항구는 어떤 곳에 들어설까? 생각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항구의 입지 조건

  Рет қаралды 508,402

지식 브런치

지식 브런치

Күн бұрын

내륙국처럼 항구가 없으면 해외 무역에 절대 불리해 경제 발전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바다가 있다고 해서 아무 데나 항구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바다가 있는 나라들은 늘 좋은 항구를 꿈꾸지만 모두가 가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많은 수출입품과 거대한 배들이 오가는 현대의 무역항은
생각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입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좋은 항구가 되기 위한 자연적인 조건과 인공적인 조건을 알아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항구조건 #항구입지 #항구역사

Пікірлер: 633
@mikelee1264
@mikelee1264 8 ай бұрын
30년차 현직 항만 엔지니어 입니다. 정확하고 상세한 설명입니다. ! 항만의 역사와 최신 트렌드가 잘 반영되어 있고, 항만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키워드가 다 들어있습니다. ---------- 첨언합니다. 영상에 감동받아서 댓글 처음 달아 봤습니다. (50넘어 평생 처음) 학교 졸업하고 평생 항만일만 한 사람으로 (94년 12월부터) 이 영상은 공부 많이 하셔서 만든 걸로 보여집니다. 내용 중에 부산항 신항 컨테이너부두(북컨, 남컨)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인천항 갑문 50KT 증설에 참여했습니다 아래 항해사님이 말씀하신 부산항 신항 토도 제거도 했죠.
@phinos43
@phinos43 8 ай бұрын
오오
@hangledotcom
@hangledotcom 8 ай бұрын
저는 해상무역에 관심이 많은데 우리나라에는 관련된 책이 거의 없더군요. 볼티모어 붕괴때문에 예인선의 존재를 알게 됐을때 넘 새로워서 검색해봐도 물동량이나 이동에 관한 언급만있지 예인선 같이 시스템에 관한 내용은 국내 어떤 유튜브도 언급이 없더군요. 출판된 책도 없고,번역서도 없고, 영상도 없고.. 항상 목마른 분야입니다.
@헤르메스-g5z
@헤르메스-g5z 8 ай бұрын
원산항은 부산항이 생기면서 인지도가 떨어진건가요?
@김동환-m7o
@김동환-m7o 8 ай бұрын
​@@헤르메스-g5z원산항 북한 이에요 그리고 부동항이 절박한 러시아라서 그렇지 부산항 대비 위치가 안좋음
@헤르메스-g5z
@헤르메스-g5z 8 ай бұрын
@@김동환-m7o 통일 됐을 때를 생각해 봤습니다. 분단 되기전에는 부산항보다 원상항이 더 유명 했던 이유는 뭔가요?
@bangdoll4500
@bangdoll4500 8 ай бұрын
참고로.. 부산항은 현재 물동량 2200만TEU가 넘는 세계 7위이며, 중국항구를 제외하면 물동량 세계 1위이며, 거점항이 아닌 허브항인데도 이정도 이며, 계속 물동량이 넘쳐나서, 부산신항이 완공되면 3천만TEU까지 될 거라고 합니다. 부산항 때문에 2010년대 이후로 일본의 주요항들의 물동량은 오히려 줄고 있다고... 즉, 현대의 항구는 투자와 운영을 잘 해야 하는 국가 기간산업 입니다.
@yhun1212
@yhun1212 8 ай бұрын
부산신항이랑 진해항 새로 짖는 거 보니까 규모 무시무시하더군요. 완성되면 어떻게 될지 기대
@jaeobaeg
@jaeobaeg 8 ай бұрын
광양향으로 물량을 나눠야하는데.. 내륙 창고를 만들어 빼는 짓거리 하는게 부산항이 하는짓..
@건강-h2h
@건강-h2h 8 ай бұрын
만약 통일이 되면 과장된 표현인지는 모르겠지만 물류수입만으로도 국가를 운영할 수 있겠네요!
@미이하-v6y
@미이하-v6y 8 ай бұрын
2010년대가 아니라 1995년이 분기점입니다. 원래 고베항이 물동량 넘사였는데 고베지진으로 고베항이 기능이 마비되서 부산항이 반사이익 보면서 성장한것입니다. 부산항이 뭘 잘했다기보단 우연에 의한, 그것도 남의 불행으로 인한 반사이익이니 떳떳하게 말 할 수 있는건 아니죠
@bangdoll4500
@bangdoll4500 8 ай бұрын
@@미이하-v6y고베항 뿐만 아니라, 도쿄, 요코하마, 가와사키, 고베, 오사카, 나고야 다합쳐도 1700만TEU가 안됩니다. 즉, 일본의 주요항구 전체가 부산헝에 밀려서 쇠퇴하고 있습니다. 95년 대지진을 우리가 만든게 아니니 떳떳해도 됩니다.
@yefamily
@yefamily 8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 보고 진짜 제 상식이 다 파괴됐었습니다. 남미침략, 자원의저주, 동남아 현실, 산업혁명 영국 노동자의 삶 등등.... 진짜 감사합니다. 이 채널 덕분에 제 시야가 세계로 넓어졌습니다.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만에 대해 꼼꼼하고 재미있는 내용과 설명에 감동받았습니다. 저희도 더욱 분발하겠습니다. 😃
@angangamgangism
@angangamgangism 8 ай бұрын
일좀 제대로 해라
@user-jq3cp5so6q
@user-jq3cp5so6q 8 ай бұрын
산하기관들 관리좀해라 ㅉㅉ
@Mini_Choco_Pie
@Mini_Choco_Pie 8 ай бұрын
찐 해수부?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8 ай бұрын
@@Mini_Choco_Pie 넵😀
@marine_peng
@marine_peng 8 ай бұрын
더 알고 싶은데 좀 다뤄주세요. 우리나라, 다른나라 항만 더..더 궁금해요
@iron8914
@iron8914 8 ай бұрын
전직 항해사 입니다. 진짜 열심히 준비해서 만든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전혀 부족함이 없는 해수부 담당 공무원 정도로 깊이가 있었습니다. 항만의 수심까지 언급 할때는 감동 했습니다. 부산 신항 토도 섬 발파, 준설 해서 18미터 수심을 몇년 전에 만들었습니다. 지금은 부산항이 세계 6- 7위 정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절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본의 항만은 거의 부산항의 부속 항만의 지나지 않을 정도 입니다. 물론 중국이 물동량 1위 입니다. 운임의 기준은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 지수 입니다. 그리고 브런치 님에게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8 ай бұрын
항해사면 돈 쓸어담았겠네
@홈매트
@홈매트 8 ай бұрын
​@@user-ip1ny5dy7q 요즘 항해사들도 옛날처럼 못 벎...
@user-pl8dw5lg9e
@user-pl8dw5lg9e 8 ай бұрын
@@user-ip1ny5dy7q 그만큼 많은 걸 포기하고 일하는거죠…. 요즘은 육상직보다 많이 벌지는 못해요
@yrk9194
@yrk9194 8 ай бұрын
덕분에 한국이 큰 발전을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zanhork693
@zanhork693 8 ай бұрын
​@@홈매트그래도 육상직보단 많이 벌어
@후하-x4q
@후하-x4q 8 ай бұрын
북한 지리에 대해 잘몰라서 원산항을 잘몰라 검색해봤는데 정말 천혜의 조건이네요... 정말 러시아가 탐낼만합니다
@user-vg4gb7rg4zzz
@user-vg4gb7rg4zzz 8 ай бұрын
우리 동해안 대비 북한쪽 동해안이 항구로쓰기 좋은 지역이 많죠. 그래서 중국 러시아가 호시탐탐 노리고있고요...
@ivanovOrga
@ivanovOrga 8 ай бұрын
원산은 조선시대에도 서울양반들이 지금의 해운대처럼 여름마다 놀러간 해변도 유명하죠
@AF-qk8ty
@AF-qk8ty 8 ай бұрын
그럼 북한을 침략해서 그 땅을 뺏어오면 어떨까?
@deo4800
@deo4800 8 ай бұрын
라선항도 지도 보면 조건 좋아보이더라 신포항도 그렇고
@해보안나
@해보안나 6 ай бұрын
​@@AF-qk8ty왜 침략이야 ㅜㅜ 통일해야지 원래 하나였는데
@saltandsteelforever9242
@saltandsteelforever9242 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항구 건설도 입지적 조건이 맞아야 합니다. 얘기 하신대로 큰 배가 들어올 수 있는 수심이 되고 외부로부터 거센 파도와 바람을 막아줄 자연의 방파제나 병풍(산)이 있어야 하고요. 우리 남해안의 리아스식 해안지형이 항구건설에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죠.
@summ3r736
@summ3r736 8 ай бұрын
이게 인천항이 부산항보다 큰 항구가 되기 어려운 이유죠. 고베항의 몰락으로 부산항이 세계적 항구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부산항이 가지고 있는 입지의 이점이 밑바탕에 있었죠...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8 ай бұрын
고베항의 몰락은 일본의 장기침체와 고베 대지진이 겹치면서 일어난 겁니다.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8 ай бұрын
하지만 인천이 부산보다 잠재력이 오조오억배 높음 이유는 옆에 서울이있기떄문ㅋ
@hlukhong
@hlukhong 8 ай бұрын
@@user-ip1ny5dy7qㅠㅠ
@천기신-z5j
@천기신-z5j 8 ай бұрын
​@@user-ip1ny5dy7q영상은 보고 얘기하는건지
@volvo3496
@volvo3496 8 ай бұрын
서울항이 인천이죠 서울의 배다른 동생 인천
@kiyjy7
@kiyjy7 8 ай бұрын
이것을 보니 왜 자동차와 제철같은 중공업을 포항/울산/부산/광양에 했는지 알 거 같네요... 해안 근처에 항구가 있어야 운송비도 덜 들고 서해와는 다르게 수심도 어느정도 있으면서 조수간만의 차도 크지 않아서 항구가 발달하기 좋은 지역이어서 가능했군요...
@후기현사
@후기현사 Ай бұрын
전라도인입니다. 과거 70년대초 경주불국사 수학여행 다녀오면서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의 차이, 양옥집과 초가집을 비교하며 호남푸대접 받는 느낌 들었는데 세월이 지나고서야 깨달았죠. 박정희 대통령이 왜 경부고속도로와 경상도 쪽에 공장등 산업기반시설을 만들수 밖에 없었는지를요. 보릿고개를 겪으며 밀기울이나 점심을 굶어야 했던 그시절을 벗어나게 해준 것만으로도 평생 까방권을 받기에 충분한 분이죠. 존경이라는 단어가 남발되는 이 시대에 나의 삶에선 베토벤, 이순신, 박정희 세 분에게만 사용합니다. 참담하고 암울한 요즘은 문재인, 이재명, 윤석열과 민주당, 국힘 같은 떨거지들을 위해서 80년대초 최루탄에 눈물 콧물 흘리며 민주화를 외치며 데모했던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부엉이셋째동생
@부엉이셋째동생 8 ай бұрын
과거 김해지역이 금관가야 로 번성 할수 있었던건 지금은 육지지만 과거 김해가 낙동강 하구에 있던 김해만 이었기 때문임
@wlsgh3378
@wlsgh3378 7 ай бұрын
나 장유사는데 ㅋㅋ
@익명-j4e3p
@익명-j4e3p 4 ай бұрын
부산 강서구는 김해에서 뺐어간 땅이죠
@simhopp
@simhopp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왕망의 신나라가 멸망하면서, 왕망의 외척인 김씨들이 살기위해 바다 건너 배타고와 서 정착한게 가야 지역 인거지. 그게 바로 김수로 세력. 왕망의 고모가 전한의 황후 하기전 황후가 허씨 임.
@song44560
@song44560 3 ай бұрын
​@@simhopp이상한 역사책을 읽으셨군요
@찬세오
@찬세오 3 ай бұрын
부산이 뺏어갔다.재미있는 표현입니다.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8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면 참 부산항이 항구도시면서 대한민국의 제 2의 도시가 될 수 밖에 없었는듯
@정명훈-v2i
@정명훈-v2i 8 ай бұрын
아재요.. 택배로 따지면 부산은 옥천임.. 국제공항 생각해본적 없제? ㅡㅡ
@riderlife8968
@riderlife8968 8 ай бұрын
​@@정명훈-v2i그래서 이악물고 열심히 부산가덕도공항을 막는것이지요..
@엔슈-n1l
@엔슈-n1l 8 ай бұрын
그런데 부산인구 계속 줄고 있어 ..
@mandukim5377
@mandukim5377 8 ай бұрын
1907년 대한제국 경무고문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부산은 인구 3만9743명으로 한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였습니다. 이미 120년 전에도 부산이 제2의 도시였다는 거죠. 좋은 지정학적 입지와 천혜의 항구를 가지고 있다는 게 도시의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 같아요.
@jeaonggulee4229
@jeaonggulee4229 7 ай бұрын
​@@riderlife8968막기는 누가 막아요. 대구경북하고 서로 자기들끼리 있는곳에 공항지어야한다고 싸움하면서...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8 ай бұрын
일본은 근대화에 성공하고 조선은 실패한 이유도 항구의 입지조건과 관련이 깊습니다.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한 이유도 17~18세기에 상업의 발전을 통해 근대화의 역량을 축적했기 때문인데오, 일본은 도쿄만과 세토내해(오사카 고베 히로시마 등)에 천연 입지조건을 갖춘 항구가 많아 자연스럽게 상업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조선은 서해안의 조수간만 차가 극심하여 전근대의 기술로는 서해를 통한 물류 운송이 힘들었기에 강을 따라서 상권이 발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선 팔도를 모두 관통하는 강이 없으니 조선의 상업은 한강권 대동강권 낙동강권 금강권 영산강권 이렇게 나뉘어서 따로 놀게 되어 전국적인 상권이 발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게다가 겨울에는 강이 얼고 봄에는 수심이 얕아 여름 가을에만 작동하는 반쪽짜리 수로였습니다. 그래서 상공업이 발달했다는 영조~정조 시기에조차 보부상에 의지했습니다.
@bangdoll4500
@bangdoll4500 8 ай бұрын
사농공상이 제일 큼.
@user-li7ib4ml1d
@user-li7ib4ml1d 8 ай бұрын
@@bangdoll4500 많은 사람들이 조선만 상인을 천하게 여기고 그런줄 아는데 전세계를 뒤져봐도 전근대 농경국가는 죄다 비슷했습니다. 상인은 근본적으로 떠돌이입니다. 그리고 떠돌이인만큼 온갖 범죄와 역병을 옮기는 매개체의 역할도 하죠. 당연히 정착생활이 기본적인 생활양식인 전근대 농경국가에서 죄악시되는거고요. 그리고 조선이 상인을 싫어하는 이유는 고려말 원나라발 대공황을 겪어서 그런것도 있습니다. 당시 유럽까지도 쓰이던 원나라발 신용화폐가 원나라 황실이 금은보화를 들고 튀면서 하루아침에 휴짓조각이 되고 이후 수백년간 동아시아 경제가 물물거래 수준으로 주저앉아버렸죠. 또 상업의 발전이 가져온 그림자와 그리고 당시 시대상 왜구의 침탈 기타등등이 엮이면서 그런 면모가 생긴거죠. 비슷하게 불교도 그래서 조선이 망하는 그날까지 계속 탄압을 받았죠. 당시 원나라가 얼마나 큰 경제적 피해를 주었는지 명나라가 해금령이라고 배를 아예 바다에 띄우지를 못하게 하는 보통의 국가면 못해도 GDP70%는 포기하는 미쳐버린 정책을 피해보다 이득이 크다고 진행하게 만들어버리는 수준으로 전락한지라...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8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일본에 불리한 이야기 안 하니까 공감수 적어지네
@mvue09
@mvue09 8 ай бұрын
​@@bangdoll4500 또 또 쥐좆만한 지식으로 아는 척 한다 ㅋㅋㅋㅋ
@수은-i5w
@수은-i5w 8 ай бұрын
시청자들마저 괴수들이 숨어있는 채널
@yunorang
@yunorang 8 ай бұрын
현대 항구의 경우에도 큰 도시나 물류거리가 많으면 그만큼 인구나 공업용수등으로 물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더 있답니다. 그래서 강 하구 쪽 근처에 여전히 같이 붙어 있어야 하는경우가 많죠... 뭐 요즘은 두바이 같이 해수 담수화 시설로 해결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요 그래서 큰 항구는 풍수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true5826
@true5826 7 ай бұрын
대륙 한 가운데 있는 우즈베키스탄은 인접한 5나라와만 직접 무역을 할 수 있고, 인접국이 아닌 경우 다른 나라의 양해를 얻어서 기차나 트럭으로 조금씩 실어 나갈 수 밖에 없다. 반면 바다가 있는 나라는 전세계 160여개 국가와 직접 무역을 할 수 있다. 다른 나라 눈치 볼 것 없이. 그래서 내륙국가는 발전할 수 없고 바다를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는 말이 백번 들어도 맞는 진리이다. 바다가 없는 라오스는 베트남의 항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외국인투자도 거의 들어 오지 않는다. 북한은 대륙과 연결되지만 별 영양가가 없다. 그런 걸 생각하면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정말 복 받은 나라이다.
@얼랑이-d5m
@얼랑이-d5m 8 ай бұрын
컨테이너 운송 중개업 포워더라고 합니다 포워딩업에 28년째 몸담고 있는 지식브런치 열혈팬인데 오늘 에피소드는 저한테 말그대로 대박입니다 ❤❤❤🎉🎉
@LF-mz5if
@LF-mz5if 8 ай бұрын
항해 경력이 50년인데 설명이 명확 합니다
@JohnB-hm5nf
@JohnB-hm5nf 8 ай бұрын
전세계인들이 착각하는것 2가지 1. 전세계 물동량을 항공과 트럭/철도가 담당한다 2. 전세계 GPS/통신/기상을 인공위성이 담당한다 현실은... 1.항만(80%) 2.해저케이블(98%)+열기구(80%)
@Gordon-rb7nd
@Gordon-rb7nd 5 ай бұрын
+ 몽골과 중앙 아시아가 선진국이 되기어려운 이유, 볼리비아가 칠레를 증오하는 이유
@최지훈-z5i
@최지훈-z5i 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바다와 대양이 연결된 해양경로가 있는 것에 감사함을 가져야 겠네요
@멋진빈
@멋진빈 8 ай бұрын
@@treeandtree1603 안보 관점에서 보면 그게 좋은일이지 아닌지는 잘모르겠네요. 분명 북한이 중국과 미국의 완충지 역할을 한게 분명하고, 북한과 만약 통일된다면 한국은 중국군을 바로 상대해야하는 위치가 되버리죠. 그래서 전쟁 시나리오에서 중국군이 북한을 완충지대로 계속해서 두기 위해 김정은의 급변 사태가 오면 중국군이 평양을 빠르게 점령하려고 할거라고 하죠.
@하재영-v6y
@하재영-v6y 8 ай бұрын
그래도 중국이라면 북한처럼 도로나 철도 교통 자체를 막지는 않을테니 차다리 중국이 훨씬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도국의 지리적 이점을 살리지 못하는건 많이 아쉽죠. ​@@yoirr
@acidholic
@acidholic 8 ай бұрын
@@yoirr 북한이 없었다면 지금정도의 국방력을 갖출 필요성이 떨어졌을테니 장점이라긴 애매해요
@roskfl-n6s
@roskfl-n6s 8 ай бұрын
@@acidholic 우리를 호시탐탐 노리는 중국과 일본의 존재 때문에라도 북한이 없다고 가정 하더라도 국방력은 키웠어야 할것 같습니다.
@acidholic
@acidholic 8 ай бұрын
@@roskfl-n6s 국방력을 키울필요가 없다는게 아니라 지금과 같은 정도의 국방력까지 키울 필요는 없었을거란 얘기죠.
@LEEkyouho
@LEEkyouho 8 ай бұрын
21세기 들어서는 항구가 공항까지 인접해야합니다. 대표적으로 유럽의 물류창이라 부르는 로테르담항, 스키폴 공항의 연계는 유명하죠. 우리나라에서도 부산항을 부산신항으로 옮긴 이유가 가덕도신공항과 연계해서 육해공 물류연결을 위함이죠.
@오리니-j1x
@오리니-j1x 8 ай бұрын
이거죠..국제공항으로 24시간 항공기 운항이 가능해지면 부산은 항구 항공 다 가능한 엄청난 시너지효과가 생기죠..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8 ай бұрын
맞는 소리인데 부산에는 안타깝게도 공항의 입지가 없습니다. 가덕도는 수심이 깊어 많이 힘들다고 합니다.
@dogi-k4h
@dogi-k4h 8 ай бұрын
⁠​⁠@@wonsukchung2979 홍콩이 이와같은 조건이지만 바다를 매립해 공항을 건설했듯. 부산도 가덕도 공항을 짓고 있는거. 이게 참 아이러니한게 수심이 깊고 막아줄 섬이 있다는건 지형이 산지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다는 거지…
@cardboxkim1631
@cardboxkim1631 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래서 노무현대통령때 양산에 컨테이너 기지만들어서 철도까지 연결했는데. 경남 부산 국회의원들이 국힘계열이 절대다수라 그 정책이 힘을 못받고 있죠.
@sower37
@sower37 8 ай бұрын
부산항은 이미 포화상태이기도 했고
@윰돌이
@윰돌이 8 ай бұрын
북한을 중국이나 러시아가 먹게 되면 우리나 일본에겐 엄청난 제앙임. 그리고 북한이 개방 되어 남포와 원산항이 연결되는 인프라가 깔리것도 우리 경제에 큰 데미지임. 그러니 뭐가 되건 남북한이 빨리 통일 되어야 하는 이유. 특히 우리 같이 갈수록 저출산의 암운이 드리우는 나라에게 활로가 될 수있는 모멘템이 필요한데 아무리 생각해도 답은 통일 밖엔 없음.
@고든-d2o
@고든-d2o 8 ай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도 답은 통일밖에 없지만 불가능에 가까워보이네요. 김정은이 미치지않는이상..
@kyrienkim5558
@kyrienkim5558 8 ай бұрын
동으ㅣ합니다 . 빨리 죽기 전에 통일되서 다시 더 발전하는 모습을 보고싶어요
@AndreKostolany.
@AndreKostolany. 8 ай бұрын
김정은은 고도비만이고 멀쩡한 아들도 없으니 향후 15년 정도면 통일 가능할지도 몰라요.
@내가니형이다
@내가니형이다 8 ай бұрын
님 나온 대학이? 🤣
@juneaaahn6826
@juneaaahn6826 8 ай бұрын
​@@내가니형이다뭔🐕소리?
@erickyee4198
@erickyee4198 8 ай бұрын
항구가 활성화 되려면 해운업이 발달해야 하고, 해운업이 발달하려면 해양인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또 해운업 보호차원의 해군력도 뛰어나야 하죠. 우리나라는 다 뛰어나지만 해양인력에 대한 대우가 너무 후진국같아서 점점 후퇴하고 있어서 걱정입니다. 해운회사가 해양인력 양성에 뜻이 없습니다. 점차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사람들로 교체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thekite3h
@thekite3h 8 ай бұрын
수심이 깊고 파도가 잔잔한 ... 사실 상반된 조건이죠. 그러니까 방파제를 치거나 땅을 파거나..
@hayeonkim7838
@hayeonkim7838 8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김현미-o9d9g
@김현미-o9d9g 8 ай бұрын
그런데 우리나라는 특이한게 굳이 부산등 남해나 서해에 큰 배후도시를 육성시켰으면 물류이동비등도 훨씬 줄이고 고루 발전시켰을텐데 굳이 서울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그렇게 개발시킴. 수도권은 행정. 문화중심으로 개발시키고 생산은 항구 중심으로 발전 시켰으면 되었을듯한데요. 댓글들도 보면 어떻게 하던지 서울옆에 돈을 많이 들여서라도 부족한 항구라도 만들자고 하지 다른곳에서 배후도시 만들자는건 생각지 않는 걸 보면 수도권중심으로 밖에 생각을 못하는 것 같음.
@hofffnung
@hofffnung 6 ай бұрын
포항 울산 부산 진해 마산 거제 통영 삼천포 광양 여수는 배후도시 아님? 뭘 특이해 국토에 대한 이해도 없는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 보기 전에 지도부터 봐라..
@에스큐맨
@에스큐맨 5 ай бұрын
⁠@@hofffnung ㅋㅋㅋ 원글의 의미 조차 이해못하고 댓글은 ㅋㅋㅋ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사는데 포항 울산 부산 거제 등등등 다 합쳐봐야 수도권의 반의반도 안되는 배후도시 ㅋ 배후도시의 의미는 충분한 수요를 발생시키는 인구를 품고 있어야지 서울한개 구에도 미치지 못하는 인구 가진 도시 이름만 줄줄이 나열하면 끝이냐 ㅋㅋㅋ
@김재중-v7d
@김재중-v7d 4 ай бұрын
일단 서해 쪽은 조수간만 차가 커서 탈락이라잖수..
@사랑인가
@사랑인가 3 ай бұрын
​@@김재중-v7d 그것도 박정희때 지금의 세종시로 수도 옮기면서 가로림만 개발하는 것으로 정리가능했자나요. 서해이면서도 갑문이 필요없는 홍콩항을 능가하는 천연 항구입지.
@찬세오
@찬세오 3 ай бұрын
댓글 쓸 때 높임말을 사용합시다. 싸움하자는 것은 아니니까요.
@pandaspython2024
@pandaspython2024 8 ай бұрын
인천에서 중국으로 배타고 간 적 있는데 거의 하루 걸리더군요. 타기 전엔 가까운 거리인데 이해가 안갔지만 조수 간만 차이떄문에 항구 근처에서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꽤 되니 그렇게 되더군요.
@Matou-Sakura
@Matou-Sakura 8 ай бұрын
1:54초 파도는 진짜 대단하네요~ 고대 목선으로 항해한다면 10초나 버틸려나~~ 근데 부산이 최근 수년간 하락세라는데 참 안타깝습니다. 그 큰 항구가 있음에도 젊은 인구들 위주로 빠져나간다던데 기업들, 대학들에 파격적으로 인센티브를 줘서 유치할순 없는걸까요...
@Matou-Sakura
@Matou-Sakura 8 ай бұрын
@@gunmukim9525 앗, 소식이 없어서 걱정했습니다.
@Matou-Sakura
@Matou-Sakura 8 ай бұрын
@@gunmukim9525 댓글 삭제됐네요. 반갑슴돵
@허황-c3i
@허황-c3i 8 ай бұрын
떠나지않은 그나마 젊은층이 항만에서 일하고 있지만 임금이 그리 높은편은 아니라는게 안타깝죠
@user-li7ib4ml1d
@user-li7ib4ml1d 8 ай бұрын
애시당초에 항구도시인데 해운회사가 해양인력을 돈과 시간을 들여 길러내고 충분한 값에 고용을 해줘야하는데 죄다 싼값에 저기 동남아시아 인력이나 써버리니 부산에서 젊은이들이 일할만한 주도적인 일자리가 없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8 ай бұрын
수도권마저 초격차로 저출산이라 부산의 몰락은 더 심해질 것 같습니다.
@Ratatou2
@Ratatou2 8 ай бұрын
괜히 뉴욕, 도쿄가 훌륭한 항만지형을 갖춰서 세계적인 경제도시가 되었다 생각합니다. 부산의 단점은 평지가 매우 부족... 그래도 포항 울산과 같이 주변 주요 공업도시들이 많아 훌륭한 항구로 성장할 수 있었다 생각합니다.
@평산-v6e
@평산-v6e 8 ай бұрын
선생님의 음성과 시청자를 설득하듯 차분하고 또렷한 발음,귀한정보 적당한 길이의 정보량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빕ㄴㄱ다
@y2h1234
@y2h1234 8 ай бұрын
부산은 지정학적으로 천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세계경제 2위 중국,3위 일본과 영토 1위 러시아 사이에 딱 중간인 기가막힌 위치에 있음. 서울공화국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리적 대척점에 있는 부산을 집중적으로 키워 줘야 됨. 부울경에서는 원전과 중공업으로 인한 이익을 수많은 서울 본사에서 빨아먹고 있다는 불만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심지어 에타에서는 분리독립 주장까지 나오는 실정임.
@한글로닉네임
@한글로닉네임 8 ай бұрын
무작정 지방 살리기 보다 현실적으로 부산, 광주, 대전에 몰아줘서 메가시티 키우는 게 가장 현실적.
@미이하-v6y
@미이하-v6y 8 ай бұрын
이건 뭔 소리지..부울경에 위치한 원전은 대부분 근방 전력 수요를 담당하기 위해 건설된 것입니다. 수도권까지는 이송 중 전력 효율이 떨어져 못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미 부산 포항 울산은 국가적인 2차 공업 산업단지와 수출항으로 키워주다가 산업구조가 반도체에 기반한 선진국형으로 바뀌어서 자연스레 쇠퇴하는것입니다. 수도권민들이 낸 세금을 지방 교부금으로 받아 젊은 사람 다 떠나가고 노인만 남는 동네에 그나마 인프라 유지할 수 있는건데 분리독립하면 뭐 그쪽만 손해죠. 백화점도 떠나고 이동수요도 줄어드는 동네에 서울탓하면서 무의미한 공항 지어달라고 할 시간에 중공업 체질을 개선시켜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3차산업을 유치할것 같아요 저라면
@인절미-g6m
@인절미-g6m 8 ай бұрын
반도체 공장은 왜 수도권에 있을까요? 반도체는 항공 물류가 대부분입니다. 부산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큰 국제공항이 진작에 있었다면 수도권으로 간 선진국형 산업이 영남권으로 왔을수도 있었겠죠. 결국에 수도권 집중화, 밀어주기 결과입니다.
@을지이도
@을지이도 8 ай бұрын
뭐 좀 띄워주면 이렇게 오바하는 X이 꼭 있음...
@awesomy
@awesomy 8 ай бұрын
@@한글로닉네임국세 빨아먹는 지방자치제가 문제임. 인구도 줄어드는데 선별해서 발전켜야지.
@Kimpinecone
@Kimpinecone 8 ай бұрын
어쩜 이렇게 한결같이 흥미로운 지식만 들고 오시는지 신기할 따름
@ParkJiSeop1
@ParkJiSeop1 8 ай бұрын
싱가포르가 왜 항구하고 공항이 같이 발달했는지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카이로의별-x8n
@카이로의별-x8n 8 ай бұрын
왜 이리 조용하세요.... 매주 일요일의 마지막을 책임지시는 분께서... 듣고 싶습니다. 보고 싶습니다. 지식브런치.
@salut3719
@salut3719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해양자원이 무지하게 좋은 나라입니다. 알고 보면 석유 같은 자원보다 훨 좋은 것들이죠. 예전에는 3면이 바다..해도 그게 뭐? 싶었는데 세계적인 대륙붕인 서해, 깊은 동해, 해류교차점인 남해와 수많은 섬들(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섬이 많은 나라임...남북한 합치면 인도네시아 다음 2위), 대양과 연결되는 좋은 항구 등등 복받은 곳입니다.
@뮤즈-u8h
@뮤즈-u8h 8 ай бұрын
하지만 정치인들이 자기네들 부동산 아익에만 집착해서 그 지리적 장점을 살리지못해 망하기 알보직전이죠
@hofffnung
@hofffnung 8 ай бұрын
@@뮤즈-u8h 지방소멸은 트렌드임. 정치를 못해서가 아님. 그나마 장점을 살렸으니까 신항도 하고 가덕도 신공항도 하는 거임.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이 유행인걸 못받아들이면 본인만 피곤한거임 ㅋㅋ 증오심으로 평생 살아가는거
@찬세오
@찬세오 3 ай бұрын
트렌드도 바뀌겠죠.풍선도 계속불면 터지듯이 수도권폭발을 미리 콘트롤하자는 겁니다.
@인절미-g6m
@인절미-g6m 8 ай бұрын
공항도 좀 빨리 만들었으면... 아쉽습니다. 항만, 철도, 항공 물류 시너지가 큰데 말이죠.
@ksssss-m7r
@ksssss-m7r 8 ай бұрын
크으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넓은 범위 지식에 늘 도움되네요~
@jangwuino.1278
@jangwuino.1278 8 ай бұрын
십여년을 항해사로 승선했습니다. 정말 잘 이해하도록 정리해주셨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더샵-l3v
@더샵-l3v 8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이 지식공부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피-t7k
@알피-t7k 8 ай бұрын
러샤의 부동항 그 중에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항구 크림반도 세바스토폴 ㅡ> 흑해함대 주둔지 지금 러샤우크라이나 전쟁의 근본원인이된 항구 세바스토폴 우크라이나 독립후 러샤가 돈주고 임대해서 쓰고 있었는데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 신청하면서 러샤보고 꺼지라고함 이때부터 전쟁 시작했음
@ChunSik262
@ChunSik262 8 ай бұрын
사실상 2014년도부터 전쟁 시작된거죠
@jwlee3190
@jwlee3190 8 ай бұрын
부산항운노조 조합원인데 알고리즘에 떠서 잘봤어요
@JWLEE-v5n
@JWLEE-v5n 8 ай бұрын
지정학 책에서 나왔던, 뉴욕 등 미국 동부해안이 천혜의 항구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말이 더욱 잘 이해됩니다.
@user-ow9vu5mp7q
@user-ow9vu5mp7q 8 ай бұрын
진짜 정보 퀄리티 미쳤다..
@Master_Seo
@Master_Seo 8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YunsengBaek
@YunsengBaek 8 ай бұрын
목소리 진짜 tts로 만드신거처럼 좋으시고 발음도 너무 좋으셔서 늘 부럽습니다.
@역사산책-삶에영감을
@역사산책-삶에영감을 8 ай бұрын
역시 상세하고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좋은 상식 얻고 갑니다^^
@먹고싶치킨
@먹고싶치킨 8 ай бұрын
6.25로 원산, 함흥(흥남) 잃은게 너무 아쉬움.. 몇 안되는 동해의 양항들이었는데..
@lch374213
@lch374213 3 ай бұрын
심지어 원산은 서울과 연결되는 철도(경원선)도 있었기 때문에 부산보다도 훨씬 더 가까운 동해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점에서 더 아쉽죠.
@달님이네놀이터
@달님이네놀이터 8 ай бұрын
6:41수출입fa물의 임시 보관 창고 역할도 꼭 필요합니다
@백승준-r6n
@백승준-r6n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자유대한수호-i4c
@자유대한수호-i4c 5 ай бұрын
항상 즐겨보고 공부 많이 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떡국-t7s
@떡국-t7s 8 ай бұрын
그래서 궁금한게 있는데 아프리카 내륙국인 보츠와나나 르완다는 왜 상대적으로 이웃국가보다 잘살죠? 이유가 있나요?
@-peh2188
@-peh2188 8 ай бұрын
정확하진 않지만 지난영상 '자원의 저주'에서인가 비슷한 내용 본거같은데 한버 보세요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8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는 무역 이전에 농업부터가 제대로 안되는 나라가 많습니다. 적어도 만 달러 수준은 돼야 바다를 접하냐 마냐 차이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t_i_m_e535
@t_i_m_e535 8 ай бұрын
보츠와나에 대해선 라는 책 참고하세요. 보츠와나는 식민지에서 독립한 후 군사독재가 들어서지 않은 유일한 나라에요. 청렴한 리더가 대통령이 되어 정치적으로 안정되었고, 천연자원이 풍부해서 잘살죠. 심지어 보츠와나의 국가 신인도는 일본보다 높다네요.
@서주교평신도
@서주교평신도 8 ай бұрын
@@t_i_m_e535 영화 부시맨의 주연분도 이곳출신이지요아마?
@KoKi-we6mo
@KoKi-we6mo 5 ай бұрын
르완다 - 여전히 못삼. 보츠나와 - 다이아몬드 + 인구 적어서 1인당 소득 늘리기에 유리 + 내전 x, 정치적 안정
@1cyclohexane
@1cyclohexane 8 ай бұрын
보스니아에서 유일하게 네움지역이 바다와 면해있는데, 거의 나루터 수준이라서 정작 항구로 활용 못하는게 더 웃음이 나네요.
@mvue09
@mvue09 8 ай бұрын
유일한 바다라 포기는 못하는데 정작 네움 주 수입원은 두브로브니크 행 관광객들 ㅋㅋㅋㅋㅋㅋㅋ
@sunnyday563
@sunnyday563 8 ай бұрын
참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clwiyiii
@clwiyiii 8 ай бұрын
이분 영상은 진짜 퀄리티가 남다름 혹시 어디 교수님이신가?
@Inceptor_key
@Inceptor_key 8 ай бұрын
과거 서해는 갯벌이 있어 항구를 만들기 어려워 금강 안쪽에 있는 충남 논산의 강경이 항구도시 역할을 했습니다. 서해의 해산물이 이곳에 모여 젖갈로 만들어지고 호남평야의 대동미도 이곳에 집적되어 해로를 이용해서 서울도 옮겼습니다. 북한의 진남포는 대동강 수심이 깊어 대동강 안쪽에 있는데도 북한 최대 항구라고 하더군요.
@catsabba
@catsabba 8 ай бұрын
전직 백수입니다 이분말이 맞습니다
@dong-soo
@dong-soo 8 ай бұрын
파리의 입지조건은 생각해보지 못했네요. 감사합니다.
@jkkim2895
@jkkim2895 8 ай бұрын
우리집앞 부두에도 배들이(자동차운반선, 벌크선, 시멘트운반선등) 열심히 짐을 싣고 있네요. 대형 자동차운반선을 보니 수면 아래가 거의 9미터네요, 1년내내 바다가 고요하니 항구로는 최적이네요.
@청어갬성
@청어갬성 8 ай бұрын
어떤 정치인은 대만과 중국이 전쟁을 한다면 대한민국과는 전혀 상관 없는 일이니까 우리는 참견하면 안된다고 하는데, 만약 대만이 중국에게 흡수된다면 중국은 정치적으로 이용하며 시도때도 없이 대만해협 항로를 볼모로 봉쇄한다고 겁박할 겁니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에겐 치명적인 일이죠.. 대만문제 전혀 강건너불구경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엔슈-n1l
@엔슈-n1l 8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해결할 건덕지도 없음 중국이랑도 계속 적대적인대 외교로.풀능력도 안보이거
@ChunSik262
@ChunSik262 8 ай бұрын
@@엔슈-n1l 대만에 참전하는건 좀 아니고 북한을 무력통일하는게 가장 좋은 대책같음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8 ай бұрын
트럼프 측근이 대놓고 한국은 한반도나 잘 지키라는데요
@boyslegacy
@boyslegacy 8 ай бұрын
힘이 없으니 참 어려운 문제군요
@maplestory8024
@maplestory8024 7 ай бұрын
수출을 어느나라로 제일 많이하는지 모르시죠?
@None-ep5gq
@None-ep5gq 8 ай бұрын
혹시 무슨 문제라도 있으실까요?? 일요일마다 기다리고 있는데 걱정됩니다~~
@알중-l4p
@알중-l4p 8 ай бұрын
늘 궁금했던건데요, 함부르크나 런던이나 서울도 해운으로 바다 > 내륙으로 짐을 날랐는데 강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지 않나요? 어떻게 과거에 별도의 동력없이 내륙으로 들어올 수 있었던건가요?
@dogi-k4h
@dogi-k4h 8 ай бұрын
밀물때 강안으로 들어와 썰물때 나가는 방식을 주로사용했음
@dogi-k4h
@dogi-k4h 8 ай бұрын
지금은 내륙항은 자동차와 철도의 발달 선박의 대형화로 인하여 유럽이나 중국같이 운하가 발달된 곳 외에는 전부 망했음. 파리랑 런던은 강 하구에 있는 도시에 자리를 내주었음. 그래도 함부르크는 독일이 가진 바다로 직접 나갈 수 있는 큰 항구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음
@알중-l4p
@알중-l4p 8 ай бұрын
@@dogi-k4h 감사합니다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lch374213
@lch374213 8 ай бұрын
​@@dogi-k4h그리고 몇몇 내륙항들은 강을 따라 발달했지만 역설적으로 그 강을 따라 흘러오는 퇴적물 때문에 해운이 쇠퇴한 경우도 있었죠. 튀르키예의 안타키아(성경에서 안티옥으로 나오는 도시) 등이 그 예.
@miniTauren311
@miniTauren311 8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채널!
@donsilkco70
@donsilkco70 8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서해 같군요. 옛날 중국 가는 비행기가 별로 없어서 배로 출장 간적 이었습니다. 인천으로 다시 돌아오는데 3기간동안 항구 앞에서 대기. 도크 갑문 열리 때 까지 대기.
@haemeal1985
@haemeal1985 8 ай бұрын
혹시 서양인들(남미, 아프리카 포함) 하여 왜 몸에 문신이나 타투를 많이 하는 걸까요? 예전부터 내려오는 풍습같은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컨텐츠로 하나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jinhokim3693
@jinhokim3693 8 ай бұрын
❤❤❤❤❤❤ 이번 항구편 최고네요.
@june_joy
@june_joy 8 ай бұрын
인천항은 중국과의 왕래엔 좋으나 조수간만의 차가 안좋군요
@insanesceptor
@insanesceptor 8 ай бұрын
3:46 부산 앞바다에 있는 태종대가 예시가 되겠네요
@양념치킨-t2q
@양념치킨-t2q 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수출 물동량 99퍼를 배가 담당하고 있죠. 사실상 해외여행객 짐빼고 전부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새리-m1l
@새리-m1l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dkdn07minl
@dkdn07minl 8 ай бұрын
0:17에 나오는 항구는 어디인가요?
@아프리카청춘이다-v8v
@아프리카청춘이다-v8v 5 ай бұрын
항구가 아님
@whasjdbchddmd
@whasjdbchddmd 5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청춘이다-v8v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까치선장
@까치선장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청춘이다-v8v그럼 어딘데 ㅋㅋㅋ
@활어-h5n
@활어-h5n 3 ай бұрын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마리나 다 글로리아 라고 합니다
@고든-d2o
@고든-d2o 8 ай бұрын
분단으로 인해 한반도의 육로진출이 막힌것이 정말 너무나도 아쉽습니다.
@나옥수수
@나옥수수 8 ай бұрын
항만 물류 쪽에서 일하게된 사회 초년생입니다. 황금같은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자취강아지
@자취강아지 8 ай бұрын
만약에 강을 타고 올라가야 입항할수 있는 항구는 겨울에 어떻게 하나요? 강물이 얼어서 입항을 못할텐데....
@ChoiZe-t9m
@ChoiZe-t9m 8 ай бұрын
광주가 다른 대도시들보다 근현대발전이 늦은 이유로 인근 해안에 국제급 항구가 들어설 입지조건이 별로 안좋아서 라는 이야기도 들은적이 있네요
@KimConstant
@KimConstant 8 ай бұрын
부산항의 오륙도는 영도와는 달리 방파제역할은 전혀 할 수 없습니다~
@티마르포포카
@티마르포포카 8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섬이 많은거보다 적은게 좋겠죠. 직선으로 가는게 돌아가는거는 보다 시간이 더 빨리 가니까요. 시간이 걸린다는건 이동하면서 쓰는 소모품이 늘어난다는 말이니까 섬이 너무 많으면 비용만 더 늘어나겠지요.
@modu-t2k
@modu-t2k 5 ай бұрын
그래서 부산신항과 연계되는 가덕도신공항이 중요합니다. 소분 가공이 당일치기로 가능한 물류 중심이 되는 것이죠
@RunnerBe
@RunnerBe 8 ай бұрын
돌아와요. 부산항에~
@최윤정-f4u
@최윤정-f4u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ohsolowkey
@ohsolowkey 8 ай бұрын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항로 변화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요
@품바라품바
@품바라품바 8 ай бұрын
0:20 여긴 어디일까요? 너무궁금해요
@창박골-z2p
@창박골-z2p 8 ай бұрын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우르카 항구 입니다. 세계 3대 미항 가운데 하나 입니다.
@강현기-q3c
@강현기-q3c 8 ай бұрын
훌룡하십니다 ^^
@한솔-q6t
@한솔-q6t 8 ай бұрын
저희 회사는 경기도에 있고, 수출 컨테이너가 매일 수십대 씩 오는데 전부 부산으로 가더라구요. 가까운 인천도 있는데, 왜 멀리가나 궁금했었지요.
@blackbar6274
@blackbar6274 8 ай бұрын
국제항 측면에선 부산항이 유리한데 왜 부산이 하락세인건가요
@HandBeIl
@HandBeIl 8 ай бұрын
21세기 이후로 중국의 급성장과 함께 대중국 물동량이 급증하였습니다. 그와 동시에 2003년 인천공항이 허브공항으로 발돋움하면서 국내 항공화물을 인천에서 담당하기 시작하였죠. 이것이 부산항이 쇠퇴하고 인천항이 발전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부산에 있는 김해공항은 군사공항이면서 시내에 위치하여 야간에는 운영할 수 없습니다. 공항은 주간에는 사람을, 야간에는 화물을 싣는 역할을 합니다. 더욱이 화물운송은 24시간 끊임없이 운송하는 것이 중요하고, 유럽이나 미국에서 오는 항공화물이 저녁에 출발하여 새벽에 한국에 도착할 때 그 중요성은 더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김해공항에서 항공화물을 운송하기 힘들어지면서 화물들을 인천으로 보내 운송할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육해공 복합운송을 원하는 화주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부산항을 이용하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인천항으로 들어오는 추가적 비용보다 부산에서 인천까지 보내는 비용이 더 비싸기 때문이죠. 부산항이 쇠퇴하기 시작한 다른 이유는 우리나라의 산업 변화에 있습니다. 과거에는 중공업 화학 등 제조업 중심의 해상운송 기반의 무역이 중심이었기에 해상운송에 강점이 있는 부산항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1세기 이후로 반도체와 반도체 등 항공운송을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으로 변화하면서 항공운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게 됩니다. 이런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항공운송에 어려움을 겪는 부산항은 쇠퇴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도심에 위치한 부산항이 CY(컨테이너 야적장) 부족으로 양산 ICD(내륙 컨테이너 야적장)을 이용하거나, 부산의 지대가 상승하면서 기업들이 부산을 떠나는 등의 여러 부차적인 문제도 있습니다만, 결정적으로 시대의 흐름에 변화하지 못한 부산항이 쇠퇴하고 이에 따라 부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부산을 떠나게 되는데 일조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수출 중심 국가인 우리나라의 강점을 살리기 위해 도심에서 벗어난 부산신항과 가덕신공항을 짓고 철도와 육상도로, 넓은 배후단지를 조성하려 하는 것입니다.
@집돌이-d4g
@집돌이-d4g 8 ай бұрын
21세기 한국의 주요 생산품이 기존의 중화학공업에서 it 반도체로 넘어감 부산을 포함한 남부지방의 공단들은 다 중화학 공업 서울과 수도권은 it 반도체
@크레스토
@크레스토 8 ай бұрын
산업 자체가.. 사양산업이라서 그쪽은..
@니네
@니네 8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왜 웍을 이용해서 요리하나요? 베트남 뿐만 아니라 동남아에서 웍을 많이 사용하던데 궁금해요!!
@금강-i7o
@금강-i7o 8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타로미라클
@타로미라클 8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_stree2590
@_stree2590 8 ай бұрын
자연환경 면에서는 만, 섬, 수심, 배후지 등이 중요하고 인문환경 면에서는 배후 도시, 공항, 철도, 산단, 시장, 세계 주요 운송로, 항구 관련법, 안보 등이 중요하겠네요. 자연환경 면에서 서해, 동해 등이 불리했고 남해가 유리했으며 우리나라가 가난했을 시절 자연환경 인문환경 면에서 모두 유리했던 부산항 근처에 산단을 몰아주는 식의 경제개발을 했던 것이 경제발전에는 도움이 됐지만 정치적으로는 지금의 지역갈등의 단초를 초래했군요. 왜 동해에서 포항, 울산 등이 발전했고, 전라도에서는 여수, 광양이 발전했으며, 인문환경에서 극히 유리한 인천항이 왜 부산항에 비해 발전이 늦어졌는가, 국가 인프라 개발계획과 대도시들의 도시개발계획을 세우는 뼈대 등등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titori
@titori 8 ай бұрын
이번영상 역시 많은 지식 얻어 갑니다. 교수님 다음에 혹시 유럽이나 서양 국가에서 비행기 표값이 한국의 표값 보다 비싼 이유에 대한 주제로 영상 부탁 드려도 될까요...?
@volatilemessage7025
@volatilemessage7025 8 ай бұрын
원양컨테이너 정기선의 루트를 보니 중국대만 전쟁 시 대만쪽길이 막혀 난리날 상상만 드네요. ㅜㅜ
@itsgnsl
@itsgnsl Ай бұрын
구글어스로 보면 부산신항하고 상하이항 하고 사이즈가 그렇게 차이 나지 않던데 물동량은 상하이항이 2배나 많더라구요. 부산 구항 신항 다 합치면 훨씬 커 보이던데 왜 이런거에요?
@user-rv5zp7cr3o
@user-rv5zp7cr3o 8 ай бұрын
6:42 "수추립ㅎ퐈무릐" 여기 너무 중독성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나도 따라해보니까 "수추립ㅎ퐈무릐"라고 발음하게됨.
@Tempusetspatium
@Tempusetspatium 8 ай бұрын
6:41 화물-> fa물 ㅋㅋㅋㅋ
@홍성민-t7n
@홍성민-t7n 8 ай бұрын
너무 f음이 강해서 나도 웃었어요 ㅎㅎ
@dobby.is.free.
@dobby.is.free. 7 ай бұрын
공항의 조건도 궁금합니다
@일상가
@일상가 8 ай бұрын
안녕히주무세요 교수님
@ddangbochae4738
@ddangbochae4738 8 ай бұрын
부산항이 참 대단한 역할을 하고 있었네요
@다시일어서자-q4j
@다시일어서자-q4j 3 ай бұрын
조건이 매우 까다롭네요 지을데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네요
@들국화-h4e
@들국화-h4e 8 ай бұрын
안녕 하세요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ymother8344
@ymother8344 8 ай бұрын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수출이 잘 되야 하는 거죠???
@아모르-e4y
@아모르-e4y 8 ай бұрын
항구에 무지했는데 감사합니다~
@이재영-n6r
@이재영-n6r 8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목포항과 군산항의 경우에는 입지가 좋은 항구인가요?
@rnfu0074
@rnfu0074 8 ай бұрын
군산항은 그렇다 할 수 있고 목포항은 애매한거 같네요
@skyple76
@skyple76 8 ай бұрын
서해안 항구들은 입지가 좋기가 어렵습니다
@rnfu0074
@rnfu0074 8 ай бұрын
@@skyple76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고 수심이 얕아서 항구의 입지조건으로는 안좋죠 다만 우리나라 인구의 대부분은 서해안 지역에 닿아있습니다 그 와중에 그나마 입지조건이 좋은게 평택항이랑 군산항입니다
@shinjeongk
@shinjeongk 8 ай бұрын
목포항은 입지가 굉장히 안좋습니다. 섬으로 둘러쌓여서 항구로 들어갈때마다 배가 횡보해야 되는데다가 뻘밭이라 큰 배가 들어오지도 못합니다. 목포 시내 땅의 2/3은 뻘밭을 메꾼 것일 정도죠. 일제강점기때는 꽤 큰 도시였는데 그 후로 정체된 이유중 중요한 것 하나가 항구가 클 수 있는 조건이 못 갖춰져서인걸로 보입니다.
@이재영-n6r
@이재영-n6r 8 ай бұрын
​@@shinjeongk그렇군요.
@msj1099
@msj1099 5 ай бұрын
지식유튜브 중에서도 퀄리티가 압도적이심
지브롤터가 막히면 지중해는 어떻게 될까?
10:05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451 М.
So Cute 🥰 who is better?
00:15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Quando A Diferença De Altura É Muito Grande 😲😂
00:12
Mari Maria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유럽 음식이 짠 이유
8:34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중앙탑...전략도시에 세운 국가발전의 청사진
5:26
오래된 미래
Рет қаралды 1,6 М.
선진국 중 대만의 월급이 가장 낮은 이유. 한국의 겨우 절반
11:14
달에 못 간지 50년, 왜 다시 가려는 걸까?
11:26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408 М.
동남아의 그 많은 오토바이, 정말 없어지는 걸까?
10:42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63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