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왜 불편한 돌길을 고집하는 걸까? (feat : 길은 어떻게 발전했나)

  Рет қаралды 501,064

지식 브런치

지식 브런치

10 күн бұрын

유럽의 오랜 도시들은 대부분 길이 돌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오랜 세월 수많은 사람과 말과 마차가 드나들면서 반들반들합니다.
하지만 보기는 좋아도 여행자들에게 돌길은 은근 불편한 점들이 여럿입니다.
오래 걸으면 발바닥도 아프고, 돌에 걸려 넘어질 수도 있으며,
특히 무거운 여행 가방을 끄는 데는 최악입니다.
현지인이라고 불편하지 않을 리도 없습니다.
시끄럽고, 승차감도 나쁘고, 타이어도 빨리 갈아야 합니다. 게다가 도로 유지비도 상당합니다.
그럼에도 유럽인들은 여전히 수백 년 전에 깔린 돌길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여러 불편함을 감수할만한 돌길의 장점이 무엇이길래 그런 걸까요?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유럽돌길이유 #유럽돌길장점 #도로발달과정

Пікірлер: 780
@maye1672
@maye1672 6 күн бұрын
돌길 진짜 매력있는 것같음 개인적으로
@nownow4043
@nownow4043 9 күн бұрын
제목만 보고는 몰랐는데 내용을 보니 돌길을 쓰는게 다 이해가 되네요
@honshin23
@honshin23 7 күн бұрын
외각이나 고속도로는 아스팔트가 낫지만, 도심에선 돌길이 안전함... 거기다 유럽은 도시가 크지도 않고.....
@shipe5618
@shipe5618 9 күн бұрын
항상 유익하고 재미있는 소재로 빼늫지 않고 시청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LyndaMartin-ez2ligrged
@LyndaMartin-ez2ligrged 8 күн бұрын
🔚🔚전 인기 여돌 휴지필수라이브 레전드 팔로우도 많은데 얼굴 다팔려써♥ 너무 유명해서 깜짝 놀랬다구여
@hanchulmi
@hanchulmi 9 күн бұрын
내용도 좋지만, 개인적으로 선생님 목소리가 차분하면서도 지루하지 않아 참 좋네요~
@psptt
@psptt 6 күн бұрын
인정. 차분하지만 졸리지 않고 전달력이 좋다고 생각함
@hyeongwookjang2165
@hyeongwookjang2165 9 күн бұрын
돌길 만드는거 봤는데, 아저씨가 망치하나로 탕탕 내려치면서 되게 오래동안 작업하시더라고요.. 수작업이였단것에 놀랐고 깊은 돌이였단것에 놀랐었습니다
@shinnerz4047
@shinnerz4047 7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돌 표면이 제각각이라 레벨 맞추기가 일반 콘크리트블록보다 어려워요... 시공비용도 어마어마합니다 ㅎㅎ
@user-ol4gx6md2u
@user-ol4gx6md2u 13 сағат бұрын
1미터릏 파서 넣어요.긴돌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9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석재를 구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건물들은 석재로 지어졌고 돌로 도로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돌은 화강암이고 재료로 쓰일 돌이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건축물엔 나무가 많이 사용되었고, 돌 길을 만들지 못하였습니다.
@Yes_you_
@Yes_you_ 9 күн бұрын
지하 뚫는것도 정말힘들죠... 지반 다질때야 좋지만
@user-sl4cx1vd5p
@user-sl4cx1vd5p 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유럽이 석재로 만든 조각상이나 건축물이 더 많죠.
@vorstellung3861
@vorstellung3861 9 күн бұрын
그리고 그 탓에 수질에는 석회가 많음
@hekim8790
@hekim8790 9 күн бұрын
우리 나라는 땅만 파면 화강암 아닌가요? 그런데 가공하기 어려워 실제 사용되는 건 성곽 같은 국가 사업 위주로 쓰인 게 아닐까요?
@dddd-kd3fy
@dddd-kd3fy 9 күн бұрын
@@sj771211댓글에 건축물내용도 전에 이미 영상올렸던 내용임
@user-wp7kl4ir6q
@user-wp7kl4ir6q 9 күн бұрын
인간이 다니기엔 흙길이 좋고, 말이 다니기엔 돌길이 좋고, 차가 다니기엔 아스팔트가 좋다.
@user-fd7iv4qe3u
@user-fd7iv4qe3u 3 күн бұрын
흙길 안좋아요.비오면 진흙되서 장난 아님.요즘 밧줄같은 소재로 흙길 비슷하게 만들어 흙길에 깔던데.그거 누가 생각해낸건지 아주 좋음.진흙탕도 안생기고 흙길 대신에 다니기도 좋던데
@mkb7143
@mkb7143 2 күн бұрын
@@user-fd7iv4qe3u 제주도에서 멍석
@singingpony0517
@singingpony0517 9 күн бұрын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살았었습니다. 남미의 파리라는 별명처럼 길이 거의다 돌길 이었는데요. 차타고 다니기엔 지옥입니다. 시끄럽고, 퉁퉁 튀고, 진동이 느껴지는... 그때마다 정말로 우리나라의 아스팔트가 그리워 지더군요.
@woowonkim8854
@woowonkim8854 8 күн бұрын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저도 다녀 왔었는데 그 곳 도로의 독특한 점은 도로를 따라 놓인 배수로가 교차로에도 큰 길 방향으로(?) 계속 배수로가 파여 있어 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타고 직진을 할 때 배수로를 넘으며 오는 충격이 상당 하더라고요. ㅎㅎ
@younyjeny
@younyjeny 23 сағат бұрын
당연히 차 속도를 줄이겠군요. 👍👍
@user-rh9vm2yt9k
@user-rh9vm2yt9k 14 сағат бұрын
🔝📬
@user-vm6cp9xp2z
@user-vm6cp9xp2z 9 күн бұрын
덕분에 늘 편안히 지식을 습득하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TNT5TNT
@TNT5TNT 9 күн бұрын
어린이 보호구역에 감시 카메라보다 돌길을 까는게 낫겠다.
@thom777
@thom777 9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불규칙하고 높게하면 알아서 속도 줄어들겠네요.
@vibetolovenpiss
@vibetolovenpiss 9 күн бұрын
독일은 주택가, 학교 주변은 모두 시속 30으로 제한하고 있고, 어떤 곳은 10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동안 왕복 4차로를 2차로를 제거하고 보도 바리케이트를 세워 자전거 전용 도로로 만들었습니다. 이전에도 자전거 도로가 있었는데 말이죠. 이제 독일 주요 도시는 도심 고속도로를 제외한 도심 모든 지역을 시속 50으로 제한하려고 합니다.
@silvermt.1398
@silvermt.1398 9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애들 걸려서 넘어졌다고 난리난리 칠듯
@kevinkim1448
@kevinkim1448 9 күн бұрын
송파구 올림픽공원앞 사거리에 시범적으로 횡단보도앞 감속차선에 깔았다가 얼마 못되서 다 뜯어냈어요 소음 진동 민원때문에...😂
@user-ie8mh8zr8v
@user-ie8mh8zr8v 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방지턱 많이 설치 했잖슴 ㅋㅋ
@user-ux2fh8my1z
@user-ux2fh8my1z 8 күн бұрын
정말 산뜻한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sookiiiii
@sookiiiii 8 күн бұрын
참 매번 재밌는 이야기를 해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greeenfrog
@greeenfrog 9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다른 이유 다 제치고 이쁜 게 최고.. 유럽은 이쁜 거에 진심입니다. 편리함만을 추구했다면 건물도 다 갈아엎었겠죠! 돌길 너무 예쁩니다~
@user-iw6en8nz6i
@user-iw6en8nz6i 3 күн бұрын
관관산업으로 먹고사는 나라라서 그런가 봄요
@user-fm6po4py7u
@user-fm6po4py7u 9 күн бұрын
확실히 경복궁이나 창경궁 돌길을 걸을때 불편하긴 하네 로마시대 돌길인줄 알아서 보존하는줄 알았는데 아니었구나
@jooinlee1323
@jooinlee1323 9 күн бұрын
비오는날 경복궁에 가면 빗줄기 타고 돌길따라 내려오는 빗물을 보는게 그렇게 운치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궁에나 가야 돌길을 볼수 있네요~
@Ycmjg37143
@Ycmjg37143 7 күн бұрын
@@jooinlee1323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지하에도 건물이 있어서 그래요.
@jooinlee1323
@jooinlee1323 7 күн бұрын
@@Ycmjg37143 유럽에는 지하에 건물이 별로 없나봐요?
@dcr.-
@dcr.- 7 күн бұрын
그런 돌길하고 완전 달라요 경복궁같은 돌길은 아예 걷기도 힘들정도로 불편한데 유럽 돌길은 또 걷는게 불편할 정도는 아님 밤에 발 헛딛여서 다칠수 있냐 없냐 정도 차이남
@Ycmjg37143
@Ycmjg37143 3 күн бұрын
@@jooinlee1323 네 거의 없어요
@user-zs4bw1gj4d
@user-zs4bw1gj4d 8 күн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mozzarella9112
@mozzarella9112 9 күн бұрын
자연친화적인 요소중 온난화방지도 들어 있어요. 아스팔트로 씌워버린 우리나라는 한 여름 공기가 훨씬 덥습니다. 우리나라는 엘니뇨의 영향으로 더 더워지지만 또한 시멘트벽과 아스팔트로 국토가 싸여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4 күн бұрын
그렇긴하기도ㆍ 저 돌 빼기도 힘드니 그냥 쓰자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2 күн бұрын
여름에.. 서울 강남 대단함
@user-pj9fj3xo4m
@user-pj9fj3xo4m 9 күн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
@jiehunkang
@jiehunkang 9 күн бұрын
돌길이 배수가 좋은가요? 기본적으로 현대적인 길들은 노면배수란 노견쪽이 중심부보다 아래가 되는 설계가 되어 배수는 측면으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것인데요. 돌길은 그런 노면배수가 잘 되도록 설계가 쉬울런지요? 영국에 몇년산 경험있어요. 그런데 시골이라 그런지 몰라도 어쩌다 비가 집중강우식 20여분만 내려도 그냥 홍수가 되죠. 노면배수가 아주 엉망입니다. 비 좀오면 홍수나는 유럽지역도 그리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미관, 이런저런 아름다움, 오래된 유적 보존 전부 다 그들이 노력이 맞을 것이고 그것으로 만족한다면 상관 없겠지만 돌길이 8차선 같은 큰 도로로 확장이 잘 될것 같지도 않고 유럽사람들이 자랑했던 지하배수로도 그다지 한계 넘어로 확장을 하지 않는 전제로 한다면 그냥 자신들의 전통 유지 아니면 전통에 대한 아집 으로 적은돈 들여서 유지하는 것의 관점에 지나지 않은 것 아닐까요? 멋있는 유럽거리 걷다보면 나중에는 발바닥이 아프고 버스나 택시를 타도 쿵쾅거리고 ..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그다지 좋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영상 재미있었습니다. 항상 많이 배웁니다.
@Mmm10292
@Mmm10292 9 күн бұрын
그건 시골 깡촌이라 그런듯
@user-wi4tc9oi4f
@user-wi4tc9oi4f 9 күн бұрын
배수는 아스팔드보다 헐씬 효율적이쥬.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9 күн бұрын
장단점이 다 다를텐데 제 상식선에서는 노면배수는 돌길이 안좋은듯 합니다. 기울기 있는 포장도로가 측면배수로 훨씬 빠를듯...다만 재포장비용이 안들어가고 차량이 자연덕으로 서행하게 해주는 장점은 더 효율적일듯...전에 살던 아파트단지 어린이놀이터 약 50미터 가량이 저렇게 돌길로 돼있는데 차가 서행할수밖에 없게 되더군요.
@WS-nt9or
@WS-nt9or 9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이 보기에는 집착이라 느껴질 정도로 비효율적이라도 옛 것, 전통적인 도시미관을 중요시하더라고여. 저도 그게 그냥 제일 큰 이유 같습니다. 독일 잠깐 있어봤는데 비 좀만 와도 철철 흐르는거 보면 배수에 별로 좋진 않은거 같긴해요.
@user-gq5nl1yv7h
@user-gq5nl1yv7h 9 күн бұрын
유럽이 좋아하는건 비효율이라고 깔고 봐도 무방하다는 생각입니다.
@chlrhrkehlfRjdi
@chlrhrkehlfRjdi 9 күн бұрын
이태리 집에서 살아봤는데 차소리 땜에 시끄러워서 못잠. 차가 서행을해도 그 소리가 상당해요
@naldawson7336
@naldawson7336 9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자갈길이 진동 소음이 장난 아닌데 저 분은 완전히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user-gq5nl1yv7h
@user-gq5nl1yv7h 9 күн бұрын
달그락달그락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8 күн бұрын
스웨덴 외레브로 살았는데 거기도 시내엔 돌길많고 중후한 건물많아요
@perseusLEE
@perseusLEE 8 күн бұрын
목소리가 듣기 너무 편안합니다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2 күн бұрын
평소 궁금했던 점을 콕콕 집어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니 애정할 수 밖에~~~❤
@user-ht8fo2rh3u
@user-ht8fo2rh3u 6 күн бұрын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가 주된 것 같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Jhon-bt8rp
@Jhon-bt8rp 6 күн бұрын
알토란 같은 지식의 영상들이 가득하네요. 정주행 갑니다. ^^
@Master_Seo
@Master_Seo 9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jaySungpark-jb6rz
@jaySungpark-jb6rz 4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늘 감사드립니다 :)
@user-cz9vi3mk7f
@user-cz9vi3mk7f 8 күн бұрын
돌길의 장점이 많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user-xo4px5dk9u
@user-xo4px5dk9u 9 күн бұрын
평소에 궁금했던 건데 역시나 지식브런치네요👍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7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mw4ni2df9d
@user-mw4ni2df9d 9 күн бұрын
문득 광화문의 바닥이 생각 나는 해설이 이었던 것 같아서 이해가 되네요. 박석을 깔아 자연 친화적 으로 물길을 타고 흐르는 설계는 놀라운 성계가 아니었나 싶네요. 감사히 보고 갑니다.
@user-nu8wd6ln6c
@user-nu8wd6ln6c 9 күн бұрын
사실 과장된거죠 ㅋㅋ
@user-wl3fl2lo8f
@user-wl3fl2lo8f 8 күн бұрын
박석은 눈부심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어서 품계석에 도열해 있던 신하들의 눈 보호까지, 그리고 미세하게 층을 주어서 물이 고이지 않는답니다. 사이사이로 빠져서 침수도 안 되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니 믿으세요.
@xocxox
@xocxox 7 күн бұрын
@@user-rr6oz9qi1m 근거 제시도 못하면서 일단 까고 보는 원섭아..
@user-wl3fl2lo8f
@user-wl3fl2lo8f 7 күн бұрын
@@user-rr6oz9qi1m 유홍준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jerrysaberkim1103
@jerrysaberkim1103 7 күн бұрын
@@user-rr6oz9qi1m 원섭아...여기서 분탕질 하지 말고 경복궁 가서 물어봐.. 참 힘들게 산다 ㅉㅉ
@user-ll7hr1zf8o
@user-ll7hr1zf8o 9 күн бұрын
잘보고 있습니다^^
@LyndaMartin-ez2ligrged
@LyndaMartin-ez2ligrged 8 күн бұрын
🔚🔚전 인기 여돌 휴지필수라이브 레전드 팔로우도 많은데 얼굴 다팔려써♥ 너무 유명해서 깜짝 놀랬다구여
@user-jf4hi2lt4m
@user-jf4hi2lt4m 9 күн бұрын
우와 벌써 70만 넘기셨네요?? 매번 신기한 주제 재밌어요!!
@jun31230
@jun31230 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user-nc8cj3nc5i
@user-nc8cj3nc5i 9 күн бұрын
그런 속이야기가 있었군요 잘보고 갑니다^^
@LyndaMartin-ez2ligrged
@LyndaMartin-ez2ligrged 8 күн бұрын
🔚🔚전 인기 여돌 휴지필수라이브 레전드 팔로우도 많은데 얼굴 다팔려써♥ 너무 유명해서 깜짝 놀랬다구여
@user-qg5nv8ji9y
@user-qg5nv8ji9y 7 күн бұрын
재미있었습니다~
@hohhh8321
@hohhh8321 9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유럽 내용도 좋지만 중동 아시아도 많이 부탁드립니다
@hekim8790
@hekim8790 9 күн бұрын
철로에 왜 자갈을 까나 이전 부터 궁금했었는데 ㅎㅎ 감사합니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게 효율과 속도 밖에 없는 현실을 돌아보게 되네요…우리도 오랫동안 보존하고 싶은 것이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yi_mi_hee
@user-yi_mi_hee 4 күн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sainttongpha3980
@sainttongpha3980 9 күн бұрын
프랑크푸르트 서 차렌트해 3시간거리 짜브뤼컨에 출장간적이있는데 가로등에 약간 반사되는듯한 운치있는 길을 걷는데 너무 좋았던 기억이 나네요..잘듣고 갑니다
@moonumm9476
@moonumm9476 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잘보고 갈게요.
@ShakiBlue
@ShakiBlue 9 күн бұрын
진짜 너무재밌고 참....참..... 너무좋아요.....
@disopp
@disopp 9 күн бұрын
확실하지 않은 내용을 단정적으로 말하는 부분이 있어 짚고 넘어갑니다. 진동 : 어느정도는 흡수하겠지만, 요철에 의한 진동이 아스팔트에 비해 너무 커서 불리하면 불리했지 잇점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돌포장구간 보수공사하는 모습 보면, 돌을 시멘트로 고정하는 경우도 많아요. 배수 : 시간이 지나면 공극이 메워져서 스며드는 물은 미미해지기 때문에 표면배수가 훨씬 중요합니다. 우리나라 블럭포장들도 마찬가지죠. 게다가 시멘트로 고정하기도 하구요.
@makinggold7378
@makinggold7378 9 күн бұрын
WOW. 브린치님의 깊은 식견에 감탄 합니다. 조금 이견이 있습니다. 유럽애들 돌길 까는 걸 보면, 돌이 세로로 길쭉하게 이빨 같이 생겼고, 이빨 같이 길게 생긴 걸 세로로 길에 박습니다. 그리고 돌이 경계가 날카롭지 않고 경계가 둥글 둥글 맨들맨들한 돌 이예요. 그래서 수리 하는 걸 보니, 그냥 끼워 넣는게 아니라 대충 사각형으로 넓게 파서 틈을 맞춰 이빨 같은 돌을 세로로 박아서 마무리 하더군요. 포트홀 난 부위 만 갈아서 아스팔트 붇는 것 과는 차원이 다르게 힘들어 보였어요. 돌길이 자동차 운행에 좋은 것 같지는 않아요. 왜냐면 차 바퀴가 다닌 부분의 돌들은 충치 처럼 돌 옆이 깊게 패여 있어요. 배수도 도움이 안되는게, 요즘 같으면 평탄화 작업을 했을 텐데, 옛날 도시들는 그냥 지어서 지형의 굴곡이 있어서 비가 오면 도로로 다 흘러 가요. 아시겠지만, 오래된 집은 수리도 어렵고 그냥 살아야 해요. 그런 상황에서 돌길 까는 건 집주인 입장에서 집 값을 유지 하는 좁은 방법 인 듯.. 합니다. 고풍 스러운 집과 고풍스러운 돌길은 어울려요. 부수고 빌딩 짖는게 이득이지만, 오래된 집은 정부에서 허가를 안해주는 걸로 압니다. 빌딩이 안되는게, 옛날 집들은 대충 지어서 무너질까봐 집들을 붙여 놨어요. 한 집이 이빨 빠진듯 빠지면 옆의 집들이 무너질 수 있어요. 우리가 유럽 애들 걱정 할 것 까진 없고, 그냥 여행 가서 즐기면 됩니다. 궂이 유럽의 돌길에 대한 영상이 있어서, 댓글 달아 봤어요. ps. 지식 브런치 애독자 입니다. 브런치님의 영상 항상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user-ig3fz2jj4x
@user-ig3fz2jj4x 6 күн бұрын
님말대로 돌길이 고비용저효율이 맞는것 같습니다...되려 아스팔트가 저비용에 가성비쩌는 녀석이지요. 그리고 아스팔트는 높은 탄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진동면에서 보면 그렇게 안좋은 재료는 아니란 말입니다. 진동면에서 돌길이 특별히 유리한 점도 없고..유지비나 시공비도 비싸다면...남는 장점은 주변과 잘 어울림정도이고 제가 발견한건 ~ 열반사면에서 돌길이 엄청 유리하죠..아시다시피 아스팔트는 금방 펄펄 달아오르고 돌길은 빛을 난반사하여 아스팔트보다는 2~3도 정도 온도를 낮게 유지합니다. 그래도 돌길이 좋은 이유는 서너가지는 되어 보이긴 해요..지식브런치님은 요런 테마나 주제를 잘선정하는 점이 매우 장점 이구요.
@user-ki1zv5jj6s
@user-ki1zv5jj6s 5 күн бұрын
이견이라고 말하지 말고 첨언 한다고 하고 글을 쓰세요 브런치님이 몰라서 영상에 안 담았을까요 돌길에 대한 이야기만 짧게 영상에 담다 보니 다른 이야기를 안 한 거지 다른 영상들을 보면 유럽이나 고건물에 대한 이해도는 이미 충분히 알고 계신분임을 짐작할 수 있는데 디테일한 것 다 따지고 들어 가면 영상 한시간으로도 모자랍니다 그리고 님이 말씀하시는 부분도 어떤 부분에서 맞고 어떤 부분에선 아닐 수도 있는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돌로 만들어진 거리가 얼마나 많은데 그 거리와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다 다를 수 있는 이야기인데 님이 본 것만이 정답인 것처럼 이야기 하고 있잖아요
@chefkkful
@chefkkful 5 күн бұрын
배수에 관해선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빠찡코 쇠구슬 마냥 지나갈때마다 저항에 부딪치고 작은 차이로 가는 길이 달라지기에 유속이 크게 줄어듭니다 아스팔트위에서 물은 항상 같은 최적의 방향 같은 길로 최단기간으로 내려가죠
@makinggold7378
@makinggold7378 5 күн бұрын
@@user-ki1zv5jj6s 이견이 있어요. 1. 이견 이라고 말하든 첨언 이라고 말하든 제 자유 입니다. 2. 따지는 글 아닙니다. 3. 내 글이 정답 이라고 안했습니다. 이상한 사람이네.
@user-ki1zv5jj6s
@user-ki1zv5jj6s 5 күн бұрын
@@makinggold7378 당신이 쓴 글 읽어봐 자유? 다른 사람 이야기에 태클 걸면서 자유타령이 맞다고 생각해? 왜 당신 글에 이견이 있는 사람 글은 공감 못 하겠어? ㅋㅋㅋㅋ 진짜 웃긴다 내가 이상한 인간이면 당신은 더 이상한 인간이라는 것만 알아라
@oxygen2236
@oxygen2236 9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쪽으로만 해석한거같네요. 영상에서 같은 장점이 명확하다면 아스팔트 깐 다른 나라의 문화재는 다 실금 생기고, 무너졌을까요? 돌길은 눈으로 보기에 특색있어 보인다는것과 유지보수 비용이 싸다는것 말고는 없다고 봐야죠. 실제 단점은, 걷기 불편하고, 자동차는 물론 자전거나 오토바이 같은 것도 주행이 불편하고, 소음도 심하고, 자동차 내구성에 상당히 안좋아 진다는 단점도 있죠. 참고로 유럽도 문화적 가치가 있는 일부 지역 외에는 전부 다 아스팔트를 깔아 놓은 상태입니다.
@Zuilietzhan
@Zuilietzhan 9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돌이 무거워!! 지금 그거 보수한다치면 투입되는 인력 노임비가 아스팔트 덮고 롤링하는것 보다 돈 더 들어감
@moakim4930
@moakim4930 8 күн бұрын
실용보단 문화적 측면이 강하죠. 루베라고 저 돌길만 달리는 자전거대회도 있는데 꽤 인기있습니다.
@mo-sh5km
@mo-sh5km 9 күн бұрын
돌길은 차가 지날 때 소음이 큽니다. 여러모로 돌길 옆에 사는 건 좀 힘들어 보이더군요.
@bangdoll4500
@bangdoll4500 9 күн бұрын
아스팔트 단점 : 한국과 같이 겨울이 영하로 내려가는 나라 에서는 겨울에 얼어붙은 물이 팽창해서 아스팔트를 파괴하기 때문에, 아스팔트 도로가 10년도 못 버팁니다. 참고로, 아스팔트의 기름기는 3년이 지나면 없어지고, 이때부터 겨울에 눈이와서 젖은 아스팔트가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서 얼어 붙으면, 조각나기 시작함. 한국에서 5년 넘으면 아스콘 새로 깔아야 하죠.
@user-rf1rs1zm8y
@user-rf1rs1zm8y 9 күн бұрын
그전에 과적으로 구멍생겨서 망가져요 ㅎㅎ , 큰차들 많이 다니는 길은 100% 눌려서 안으로 들어가 있거나 구멍나거나
@krauskim7662
@krauskim7662 9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아스팔트나 시멘트가 먼저 발견됐다면 썼을겁니다. 대형트럭들이 돌아다녀서 수명이 많이 주는거지 사람이나 우마차 정도면 꽤 오래갑니다. 더욱이 유럽은 일교차도 그리 크지 않았음 아스팔트와 시멘트가 없으니까 그나마 수명이 긴 돌길을 한거임
@user-oz8mq1xc8b
@user-oz8mq1xc8b 9 күн бұрын
한국 정유산업 때문에 아스팔트가 남아돌아서 처치곤란 아스팔트는 도로 포장에 쓰입니다.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9 күн бұрын
과적으로 패인곳에 물이 들어가 도로를 쪼갭니다 그러나 점점 이런 일이 줄어들 겁니다 온난화로
@user-fw2vj9ue3d
@user-fw2vj9ue3d 9 күн бұрын
​@@krauskim7662말 같지도 않은소리하지 마라. 아무리 가정이지만 어떻게 돌보다도 아스팔트 시멘트가 먼저 나올수 있냐?
@user-bp1rg7uh1c
@user-bp1rg7uh1c 9 күн бұрын
최근에 이탈리아 갔다오면서 왜 돌길로 했을까 궁금했는데 마침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해여!
@sanahyon3095
@sanahyon3095 8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작년에 몽골에서 부터 러시아 거쳐 네덜란드까지 1만 km 자전거 타고 갔는데 유럽의 시골 마을가면 항상 돌길이 있더라구요. 보기엔 너무 고풍스러워서 좋았는데, 바퀴 폭이 얇은 자전거로 돌길을 가는 것은 힘도 들고 속도도 안 나와서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에겐 "돌길= 이 동네는 오랜 역사가 있는 곳" 이런식으로 이해하고 다녔습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9 күн бұрын
최고입니다
@user-kb3ip9tc4n
@user-kb3ip9tc4n 9 күн бұрын
ㅎㄷㄷ 곧 100만을 앞두고 있네요... 와...
@iamymw
@iamymw Күн бұрын
최근 이탈리아 여행갔다가 지난주에 귀국했는데 여행하면서 도로를 보면서 항상 궁금했습니다.(관련직종) 그 이유를 시원히 알게되었네요!!ㅋㅋ
@kagayaki21
@kagayaki21 9 күн бұрын
돌길이 여러 장점이 있겠지만, 흰지팡이로 보행하는 시각장애인, 휠체어를 쓰는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울퉁불퉁한 돌길은 불편함을 넘어서 위험하기까지 합니다. 유모차로 이동하기에도 돌길은 편하지 않습니다. 여러 장단점이 있지만 약자들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적으면 좋겠습니다.
@jinheelee-ge7gz
@jinheelee-ge7gz 9 күн бұрын
저도 이생각 했네요.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에게는 너무 불편할것같은데.. 실제 생활이 어떨지 궁금해집니다.
@sj771211
@sj771211 9 күн бұрын
중세시대에 아스팔트란걸 알았으면 돌길은 존재하지 못했을겁니다
@hjkph2221
@hjkph2221 8 күн бұрын
파리에서 좀 오래 살았는데 돌길이 시각장애인에 큰 피해를 주진 않습니다 파리시내 걷다보면 하루에 최소 한번은 시각장애인 보게 됩니다 한국은 정말 보기 힘들죠. 단언컨데 파리가 서울보다 훨씬 많이 시각장애인이 살기편합니다. 도로가 문제가 아닙니다. 저상버스라던지 지하철과 같은 교통이 문제 그리고 시민들이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의 문제입니다.
@user-me5qs8jq4w
@user-me5qs8jq4w 8 күн бұрын
@@hjkph2221 맞는 말씀이세요. 조금 덧붙인다면 도로나 건물을 지을때 배리어프리한 인프라구축도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건물입구에, 상점입구에 있는 턱이나 두세개정도의 계단들, 도로변 높은 연석들, 튀어나와있는 보도블럭들이 훨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에겐 큰 장애물이예요. 어딜가든 가려는 식당입구에 턱이 있는지 해당 식당에 매번 먼저 전화해서 확인해야하죠. 식당선택에 맛보단 접근성이 좋은지가 우선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ㅠ
@user-sj8yu9bn4c
@user-sj8yu9bn4c 7 күн бұрын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차도,자전거길,인도는 약간의 아스팔트길, 돌길..이런 순서로 된 걸 보면 훨체어나 유아차가 다니기 용이하라고 한것도 같습니다. 베를린에서의 몇몇 길이 그런 형태인걸 봤지요.😅
@user-kk3wi4lq2y
@user-kk3wi4lq2y 4 күн бұрын
내용 참신하고 참 좋았습니다.. 돌 길이 왜 좋은지
@user-nk9pi3sv1t
@user-nk9pi3sv1t 4 күн бұрын
좋타 🎉 유튜브 순기능 ~❤
@jeonghwankim5835
@jeonghwankim5835 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돌길 오래 걸으면 발바닥 엄청 아픕니다. 몇년 살다보면 걷는게 무서울 정도죠
@coldtruth3944
@coldtruth3944 9 күн бұрын
어릴때 파라과이에서 살았었는데 다른 나라들은 돌들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서 까는데 그곳에선 그냥 깔아서 자전거는 다닐수 조차 없고 자동차도 몇년만 지나면 폐차할 정도로 아작이 나던게 생각이 나네요. 그나마 일제 트럭들이나 견뎌 냈었죠.
@ec20205
@ec20205 8 күн бұрын
추가적인 이유 하나더, 눈이 많이 오는 지방에서, 돌길이 잘 안 미끄러져요. 그리고 스노우 타이어로 쇠로 된 스파이크 달린 타이어도 많이 쓰는데, 돌로 된 도로가 내구성도 좋지요
@1cyclohexane
@1cyclohexane 9 күн бұрын
동영상 잘 봤습니다. 제 생각에 유럽국가가 오래된 건물을 유지하는 이유는 고건물 보존보다는 고건물 방문으로 인한 관광수입을 더 중요시하게 여겨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초기에 언급한 단점들이 여행을 불편하게 만드는 점이 많다는 것을 상기한다면, 현재 산업 경쟁력이 미국은 커녕 아시아에도 뒤쳐지는 현상을 바라볼 때, 관광업만 유럽에 남아서 어쩌면, 마지막으로 쥐고 있는 조상님들의 유산이고, 이걸로밖에 먹고살수밖에 없는 처지를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
@user-bj4ty9bf1m
@user-bj4ty9bf1m 9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지금 폭락중 ㅋㅋ 유럽애들 공부도 일도 진~짜 안함.
@suhyunkim3581
@suhyunkim3581 9 күн бұрын
비싸서 오래된건물을 재건축하려면 천문학적인 액수가 들어가죠. 땅값제외 모든 비용이 두배세배 시간도 두배세배씩 듭니다
@1cyclohexane
@1cyclohexane 9 күн бұрын
@@suhyunkim3581 이게 더 설득력있네요. 문제는 저 문제가 대다수 고층 아파트에도 적용된다는게 암울해지네요.
@user-xj6ge1tb5t
@user-xj6ge1tb5t 2 күн бұрын
참신기하네요 지금 벨기에 브뤼헤 구도심에서 돌길에대한 궁굼함을 알고 싶었는데 영상이 올라오니 헉 AI시대가 이런건가 감사합니다
@kkyeon
@kkyeon 9 күн бұрын
지난 3월말에 동유럽 3개국(부다, 오, 프라하) 여행다녀왔는데 캐리어 사용하는데 불편하더군요. 특히 프라하가 젤 심하더군요
@solbarambombi
@solbarambombi 9 күн бұрын
예전엔 서울 일부 지역에도 유럽식 돌길이 있었어요.예컨대 서울 서부역과 중앙시장 앞 도로가 돌로 포장되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유럽에서 처음 살기 시작했을 때, 옛 기억이 나서 무척 반가웠었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운전하기가 보통 불편한 게 아니고, 또 자주 다니는 공원 옆에 돌길이 있어서 자동차 소리가 최악이지요.
@madeinhell7416
@madeinhell7416 9 күн бұрын
배수문제는 생각하고있었는데 ㅎㅎ미적차원 및 보수비용도 있군요
@srwagner324
@srwagner324 9 күн бұрын
오랫만입니다~~반갑습니다❤
@user-qw9rn6oc6o
@user-qw9rn6oc6o 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빗물 빠지는 배수구가 많습니다. 호주 퍼스에 폭우내릴때 아스팔트길 엉망이었죠.. 한국은 배수로가 많아서 비가와도 큰 문제가 안되는 거 같아요
@krauskim7662
@krauskim7662 9 күн бұрын
울나라도 아스팔트길 잘 못만드는 축입니다. 파손 잘되는 이유도 아스팔트 아래에 배수가 잘 안되서 갈라짐등 파손이 잘 일어남 (다짐, 모래층 등 아스콘외 작업을 꼼꼼히 해야 하는데, 안보인다고 돈 더 든다고 잘 안함) 잘 만든 아스팔트길은 갈라짐도 거의 없고 배수 그런거 걱정 1도 안함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6 күн бұрын
​@@krauskim7662아마도 재생골재 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해서 그럴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재생골재나 재활용한 제품을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inkling_game
@inkling_game 9 күн бұрын
와 덕분에 재밌는 공부가 됐네요 감사합니다. 아스팔트든 돌길이든 둘다 장단점이 있네요.
@neuneunelf
@neuneunelf 8 күн бұрын
중간에 Nürnberg 옛 그림이 나와서 반갑네요.
@user-fi8wj5zz5q
@user-fi8wj5zz5q 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돌길이 몇곳에 있었답니다. 박석으로 깔았었다죠. 서을 명륜동에서 창경궁 쪽, 염천교 근처등.
@Maple684
@Maple684 9 күн бұрын
유럽살고있는데 이런원인은 생각못했네요
@joonhan1541
@joonhan1541 9 күн бұрын
유럽에 살아보고싶네요
@joonhan1541
@joonhan1541 9 күн бұрын
​@@ErnestPhillips-yy1hj고만하라고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9 күн бұрын
저도 이탈리아 거주중인데 저는 비슷한 생각은 했어요 오래된 건물에 아스팔트는 이싱힐거란 생각은 했죠 하지만 아직도 로마 가면 도로 소음은 적응 인되네요
@Maple684
@Maple684 9 күн бұрын
@@joonhan1541 살기 힘듭니다. 커리어땜에 온거지 좋은오퍼 받으면 바로 옮길거에요
@Maple684
@Maple684 9 күн бұрын
@@user-sz3bl1jr3y 이탈리아 괜찮나요? 제 동료 밀란 출신인데, 세금&치안때메 ㅈ같은 나라라고 하던데
@dokpark5547
@dokpark5547 9 күн бұрын
한국도시도 일부 지정공간에 돌길, 돌담길을 설치하여 새로운 걷는 맛을 제공하면 좋겠죠
@yj.4694
@yj.4694 9 күн бұрын
경복궁 긍전전 가보시면 건물과 담벽 사이 바닥이 돌로 포장되어있습니다
@hsg9934
@hsg9934 7 күн бұрын
몇년전 이탈리아 피렌체에 갔다가 팔이 너무 아파 운 적있어요. 관광객은 어떤 지역들을 차로 진입할 수 없어서 차를 멀리 세우고 숙소까지 큰 가방을 끌고 걸어가야했는데 돌길이라 너무 덜그럭 거려서 손이랑 팔이 너무 아팠거든요. 거기다 숙소 건물이 5층인가 그랬는데 엘리베이터가 없는거에요. 😢 진짜 힘들었어요.
@user-xf7cw5re2h
@user-xf7cw5re2h 9 күн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상습 침수지역 돌길 정비는 고려해 볼만 한듯 합니다.
@user-li7on6dk6s
@user-li7on6dk6s 9 күн бұрын
승차감 안좋다고 민원 오지게 넣을텐데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9 күн бұрын
그럴바에 차라리 배수구를 더블로 가라고 할 것입니다.
@user-vb7zj1wc6v
@user-vb7zj1wc6v 9 күн бұрын
청계천로 쪽에 돌길 있는데 보수를 안해요
@meunomeechico
@meunomeechico 9 күн бұрын
장지역 가든5앞의 길이 돌길 비슷한 것이었는데 다 갈아 엎더라구요
@krauskim7662
@krauskim7662 9 күн бұрын
안 다녀보셨나봐요? ㅈ 나 불편합니다.
@bikesellable
@bikesellable 8 күн бұрын
대구에도 짧게나마 돌길이 남아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대구역 지하차도!! 예전엔 돌길이 더 컸다고 하던데 지금은 몇십미터 안됩니다. 감속하지 않고 지나가면 진짜 차 부숴질거같아요ㅋㅋ
@SteelBloodQueen
@SteelBloodQueen 8 күн бұрын
지구 둘레가 4만 키로 인데 로마가 30만 키로의 길을 깔았다는게 안 믿어지는데... 지구둘레의 7.5배나 되는 길을 깐다는게 그때 당시 인구로 그 엄청난 길이의 길을 깐다는게 절대 쉽지 않을건데...
@user-eb9ns1kd8i
@user-eb9ns1kd8i 8 күн бұрын
확실히 효율은 떨어져도 나쁘지않은 방법이네요 아스팔트처럼 열을 머금어서 여름에 고생도 덜하고 단점이 더 많지만 우리도 도입해야할듯
@leedennis3945
@leedennis3945 9 күн бұрын
재미있는 내용입니다. 다만, 4:03 중세가 끝나고 르네상스가 시작한 건 16세기가 아니라 14세기죠.
@MrNohma
@MrNohma 9 күн бұрын
제말이요 년도별 설명이 중간에 어색합니다 . 시대순 정리가 잘 맞았다면 더 유익할듯.
@sday8435
@sday8435 2 күн бұрын
결론까지 돌아돌아 오네요 ㅎㅎ
@user-ii3tq5iy6y
@user-ii3tq5iy6y 9 күн бұрын
성북구 보문동 경동고 앞길이 돌길 이었어요! 졸업하고 가보니 아스콘을 덧 씌워 놓았더군요...^^ 늘 감사드립니다!!
@user-oz9et3bu9c
@user-oz9et3bu9c 5 күн бұрын
전북대구정문 앞도 돌길인데 처음보았을땐. 이색적이고 분위기있었어요. 이번에 도로공사하는데. 돌길로 싹 깔아주면 좋겠네요. 장마철엔. 아스팔트깔린골목은 배수가 안되긴하더라구요
@user-if9uq7ip2f
@user-if9uq7ip2f 9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효율보다 미학이라.., 이걸 보니 유럽은 미국에 밀려 점차 쇠퇴할 수 밖에 없겠어요..
@user-ov1ny4kw7l
@user-ov1ny4kw7l 8 күн бұрын
비오는날 정말 무서워요 ㅠㅠ 유럽여행 갔을떄 엉덩방아 찍기 딱 좋습니다..언덕이면 ㅈㅈ
@smilesmile8105
@smilesmile8105 9 күн бұрын
오~정말 궁금했던건데 감사해요😊
@naldawson7336
@naldawson7336 9 күн бұрын
6:12 아이고~~ 반대로 말씀하시네요 ㅡㅡ 돌길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주변 건물에 균열을 일으켜서 진동흡수와 저소음에 압도적으로 유리한 아스팔트로 바뀌고 있는데요..ㅡㅡ
@user-ir7nj4om8v
@user-ir7nj4om8v 9 күн бұрын
아님ㅡㅡ
@naldawson7336
@naldawson7336 9 күн бұрын
@@user-ir7nj4om8v 그래요?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요?
@user-ss5bp4tv5b
@user-ss5bp4tv5b 8 күн бұрын
옛날 동물의 왕국 성우느낌 물씐납니다. 멋져요
@dyd8957
@dyd8957 9 күн бұрын
외국에 왔다는게 확 느껴지는게 지나다니는 외국인 건축양식도 있지만 돌길도 있죠 계곡이나 펜션등 우리나라 에서만해도 아스팔트가 아닌곳에서 색다른느낌을 받죠
@user-ml7sk2oo6m
@user-ml7sk2oo6m 9 күн бұрын
저도 효율이 더 좋아요. 운치나 낭만은 관광지나 힐링스팟으로 가야죠
@Artillery713
@Artillery713 9 күн бұрын
파리나 로마같은 유럽 대도시에서 느꼈던 건데, 그 사람들은 구도시(서울로 치면 4대문 안쪽)는 왠만하면 건물을 안건드린다는 것. 차 한대 지나가는 좁고 꾸불꾸불한 길도 그대로 놔둡니다. 그리고 길바닥도 건물과 어울려야 하기 때문에 안건드린 걸로 생각했어요. 파리나 로마도 신도시(구도시 외곽) 길은 아스팔트거든요.
@kevinyoung844
@kevinyoung844 9 күн бұрын
유모차나 휠체어 타는 분들은 돌길이 엄청 불편해요
@user-nq8zz1mv2k
@user-nq8zz1mv2k 9 күн бұрын
저도 케리어끌고 유럽 도로를 지날때 많이 불편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해되었습니다 고풍스럽보이긴 했어요
@cbg0427
@cbg0427 3 күн бұрын
유럽에 오래살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유럽마인드가 이해가 되더라구요... 실질적인 효율, 기능, 합리성 이런것보다 디자인, 감성, 친화적 이런것들이 더 중요합니다. 각종 제조 물품에도 포함되어 있죠.
@user-yv8yx9kp9h
@user-yv8yx9kp9h 6 күн бұрын
우와 그냥 막연하게 길은 오랫동안 한상 인류 곁에서 발전해 왔겠거니 했는데 다양한 요인으로 변화해온거네요 신기해요 ㄷㄷ
@ehdrnr1577
@ehdrnr1577 Күн бұрын
어린이 보호구역의 도로는 한번쯤 고려해볼만하지 않을까요
@user-fg8sy4zj5j
@user-fg8sy4zj5j 9 күн бұрын
미국의 레트로 : 50~80년대 유럽의 레트로 : 18~19세기 확연히 이들의 과거를 보는 스타일은 다르군요.
@kimseongil--7449
@kimseongil--7449 9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유적보호가 잘되어 있어서 미적으로는 아름답지만 상수도 같은 보수유지 면에서는 함부로 못하는 양날의 검이 따로없죠.
@TV-sh9jm
@TV-sh9jm 2 күн бұрын
핵심만 말씀을
@seo820526
@seo820526 9 күн бұрын
저렇게 돌길로 깔면 시각장애인들은 점자블록 어떻게 구분하나요???
@lee7150
@lee7150 9 күн бұрын
예전에 대구역 지하차도는 돌길이었는데 이제는 돌 대신에 아스팔트로 교체됐죠. 처음엔 아스팔트가 더위에 녹아내려서 돌을 깔았는데 나중엔 아스팔트 품질이 좋아지자 돌을 걷어냈다고 하네요.
@user-xy7wq4lt1d
@user-xy7wq4lt1d 9 күн бұрын
아주 잘한 일 임. 예전에 지하도 지날때 마다 진동과 소음 때문에 짜증이 많이 났었던 기억이...
@mkb7143
@mkb7143 2 күн бұрын
맞아 아스팔트하면 낮에 여름에 그열기...밤에 열대야갸 아스팔트때문..다 식을때쯤 아침,됨 다시 뎁혀짐
@dandyclubs
@dandyclubs 9 күн бұрын
유럽은... 구시가지는.. 사는 사람들은 불편하기 그지 없지. 관광산업 목적이란 이유로.. 에어컨 설치도.. 인테리어 하기에도.. 제한이 많이 걸리니.. 화장실이 집에 없던.. 곳은 공용 화장실가야 하고.. 아파트에는 돌길 있기는 한데.. 겨울철.. 헬게이트지. 오토바이나 자전거는 돌길 다니기 겁나죠. 맑은 날에도 넘어지기 쉬운 형태이기도 하고.. 젖은 돌에 타이어 미끄러지는 경우 다반사라.. 하긴 지하주차장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모든게 자동차 위주라..
@user-xl5bc6ll7f
@user-xl5bc6ll7f 4 күн бұрын
마지막에 살짝 울컥하네요
@rabbitj3565
@rabbitj3565 9 күн бұрын
독일에서 그 돌틈으로 하얗게 무언가가 있었는데, 그게 모두 담배 꽁초였습니다..ㅜ 아마도 집게로 하나하나 제거하기가 불가능해 보였네요..
초고대 지구가 리셋했다는 증거(핵전쟁의 흔적..?)
18:59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유럽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그리고 유료인 이유
8:22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일본땅? 러시아땅?...남쿠릴4개섬 운명은?
5:00
아카이브-세계의 섬
Рет қаралды 3 М.
결혼 저점 매수 실패한 사람이 만든 영상
10:40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44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