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판단 중지 들어가니까 바로 견성을 해요, 똑같이.나라는 존재의 핵을 바로 느껴버려요/[양심 법문] 지금 즉시 견성하는 법

  Рет қаралды 29,629

Hongik Academy

Hongik Academy

Жыл бұрын

☝'좋아요'와 댓글은 학당 영상이 퍼지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하단에 자막 텍스트 있습니다!)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course01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후원안내:cafe.naver.com/bohd/64598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ARS 후원 : 1877-1974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나 #양심 #윤홍식 #홍익학당 #육바라밀 #보살도 #견성 #불성 #법공 #아공 #화두
170402 일요_1653 @5지금 즉시 견성하는 법(8분)
"부처가 뭡니까? 견성이 뭡니까?" 했을 때
제가 이걸 딱 들었단 말이에요.
이 펜을 보실 때
이거 하나에 어마어마한 게 들어있어요, 의미가.
사실은 여러분은 그건 나중 얘기고,
이걸 보실 때 판단 중지하고 보셔야 돼요.
이것만 보셔야 돼요.
이게 뭐라고도 하지 마시고.
그러면 거기에 여러분의 실상이 드러나요.
놀라운 게 이걸 통해 여러분도 알게 되고 이것도 알게 돼요.
우주에서 모두가 다 같이 꽃피워요.
이걸 깨어서 보시는 순간.
깨어서 보는 그 자리가 참나예요. 그렇죠?
자, 먼저 방법론상에서.
이렇게 친절하게 안 해줘요, 다른 데서는.
몇 십 년씩 하는 거예요. 이거 하나 이해하는데.
한 몇 십 년 하다가 이거 근처까지만 가도 이제 막 난리가 납니다,
도를 얻었다고.
왜? 남들은 더 못 하니까.
남들하고 비교하면 안 돼요.
상대적으로 자꾸 비교하지 마시고.
이걸 딱 깨어서.
제 선문답 책에 다 쓰여 있어요.
이걸 딱 보시는 순간,
깨어서 보시면, 몰입해서 깨어서 보시면,
여러분 내면에서 순수한 여러분의 근원이 드러나요.
판단 중지하고 보시면
생각, 감정, 오감이
작동이 아주 안 된다고는 아니더라도
작동이 덜하게 되면 이게 강해져요.
그래서 참나만 찾아도 대단하신 겁니다.
이거 하나 보다가 안에 화평이 일어나고
'내면에서 알아차리고 있는 순수한 자신이 있다.',
생각, 감정, 오감 이전에 판단 중지된 상태에서도
'나는 있더라.'를 아시면 아공까지 깨치신 거고요.
이거 가지고 법공까지 깨치시면 어떻게 되는지 아세요?
'이걸 왜 들었는지'까지 알게 돼요.
다른 방법도 있는데 이걸 왜 들었을까?
이게 부처라고 왜 그랬을까?
이게 여러분 우주에 이 대상이 적립되려면 뭐가 있어야 하죠?
'알아차리는 자'가요.
태초가 있으려면 여러분이 있어야 한다니까요.
이 펜이 있으려면 (뭐가 있어야 하죠)?
지금 여러분 마음에 펜이 들어온 거죠?
제가 이 펜을 드는 순간 여러분 우주에 펜이 나타난 거예요, 갑자기.
그 펜은 누가 만들었어요?
여러분 마음 작용이니까 누가 만든 거예요?
여러분 참나가 만든 거죠.
그러면 부처가 뭡니까?
이 펜을 보여준 건 여러분 참나의 작용을 보여준 거예요.
여러분 참나가 '지금 펜을 여러분 우주에 만들었다.' 하고 보여준 거예요.
이게 단순한 펜이 아닌 거예요, 참나의 작용이지.
여기까지 이해하시면 법공까지 이해해요.
화두라는 건 깨치는 정도에 따라서
어디까지 깨칠지는 그 사람의 영성 수준에 따라 또 달라요.
같은 화두를 풀어도 대화를 해보면 달라요.
‘이걸 왜 들었는지’까지 아시고 나면요.
그러니까 예전에 어떤 선사가, 구지선사라고.
"부처가 뭡니까?" 하면 손가락 하나 들었대요.
이 손가락이 제 손가락 같죠?
여러분 우주에 손가락이 지금 나타난 겁니다.
여러분 참나가 손가락을 여러분 마음에 나타나게 했어요.
이걸 판단 중지하고 보시는 동안
여러분 참나를 깨치시는 거고,
더 나아가서 어디까지 딱 아시냐면,
영성이 있는 사람은
'저 참나가 내 참나의 작용이구나.' 하고.
둘이 아닌 깨어있는 안목으로 보면 여기까지 이해가 돼요.
체험이 있으니까 이해가 될 수 있어요.
그러면 뭐가 돼요?
손가락 하나 보신 게 아니라니까요.
사실은 우주를 보신 거예요. 왜?
보고 듣는 모든 것도 이 손가락이랑 똑같아요.
여러분 참나가 만든 거예요, 지금.
지금 여러분 마음에 나타난 모든 건 참나가 만든 거예요.
참나만 아는 게 아니라, 손가락을 보여준 건.
'이 손가락이 어떻게 네 우주에 존재하게 됐는지까지 알아내라.'는 겁니다.
참나 없이 손가락이 있을 수 있나요?
여러분이 없이 이게 (있을 수 있나요)?
그러니까 예전 어른들이 거기에 대해서 평을 달 때,
'손가락 하나를 들었지만, 우주가 다 꽃 피었다.'라고 합니다.
그 사람 마음 안에서 우주가 한 번 들썩하는 거예요, 이 원리를 알면.
이게 별것 아니라,
여러분 '몰라!' 하고
여러분 내면의 근원으로 돌아가셔서
거기서 우주를 한 번 봐 보세요.
그러면 들리는 소리, 바람 부는 것, 하늘이 파란 것,
다 내 참나의 작용으로 보여요.
왜? 내 오감, 내 우주에 나타난 거니까.
이걸 말로 하면 "뭐 그럴 수 있지." 이게 아니에요.
체험하면서 느끼시면 전혀 다른 느낌이에요.
내가 사는 우주가 달리 보여요.
이런 체험 없이 이런 체험이 오래 쌓이지 않고
확철대오니 견성이니 이런 걸 말하는 건 의미가 없고.
이걸로 바로 들어가야 하는데
밑도 끝도 없이 화두를 붙잡고 앉아서
'언젠가는 되겠지.' 하고 합니다.
대게 몰입의 달인은 되는데 견성은 영 몰라요.
'이 뭐꼬?'도 하는 법이 여러 가지예요.
"이 뭐꼬..." 뭐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하고, 뭐 하고.
그건 제가 볼 때 영어 발음하겠다고
엉뚱한 짓 하고 있는 거랑 똑같은 겁니다.
'이건 뭐냐?' 이걸 볼 때.
'이건 뭐냐?' 할 때 '이게 뭐냐?'고 하는 거예요, 이것의 본질.
'넌 뭐냐?' 이것도 돼요. '넌 정체가 뭐냐?'
이게 뭐예요? 참나의 작용이요.
이렇게 바로 들어갈 수 없으니까
'이건 뭐냐?' 할 때 '이걸 보는 이놈은 뭐냐?'는 거예요.
'내 우주에 이걸 등장시킨 그놈은 누구냐?' 하고 들어가면 참나를 만나고,
참나를 만나면 이놈이 뭔지도 나와요.
이제 이건 단순한 펜이 아니에요.
나와 전혀 상관없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펜이 아니에요.
'이건 뭐냐?' 했을 때 이놈이 뭐가 돼요? 깨치고 보면?
내 참나의 작용이요. 이게 일체유심조입니다.
일체유심조까지 모르시면 확철대오는 아니에요.
아무리 참나 안에서 안주해도
아공 수준에 안주하면 아라한이라고 해요.
아라한밖에 안 돼요.
방금 이 소식까지 알면,
법공을 알면 이제 아주 초보 보살이 돼요.
초보 보살을 확철대오 했다고 하는 거예요.
이 정도 알면 왜 보살이라고 하냐면,
이제 현상계랑 싸우질 않아요.
현상계가 다 내 참나의 작용이니까.
아라한들은 현상계랑 싸워요.
그러니까 청정한 데를 찾아가야 하고
자신의 오온하고 싸워야 돼요.
자신의 생각, 감정, 오감하고 싸워요.
왜? 참나만 알았지 이놈들의 정체는 아직 몰랐으니까.
이해되세요, 여기까지?
이것만 한 번 들으셔도
평생 참선 공부 잘못하신 것 다 바로잡힙니다.
예전에 어떤, 성철스님 법대로 하셨다는 스님이, 몇 십 년 하셨대요.
제 강의 듣고 허탈해서 오셨어요. 진짜 허탈하셔서.
"아. 맞는 것 같아요." 하면서.
자신의 지난 세월이 안타까운 거예요.
"맞는다는 사실이 더 화가 나요."
제 강의를 들을수록 자명하다는 게 더 화가 나고 허탈하다는 거예요.
"왜 나는 이렇게 안 했지?" 하는 거잖아요.
"왜 이걸 이제야 들었지?"
이게 성철스님 어느 한 분의 문제가 아니라
제가 볼 때는 불자분들이 꼭 들으시고.
견성을 꼭 하고 싶으시면.
불자 아니라도 이건 초등학생도 할 수 있어요.
저희가 초등학생한테 지도해봤더니,
초등학생도 판단 중지 들어가니까 바로 견성을 해요, 똑같이.
나라는 존재의 핵을 바로 느껴버려요.
순수하니까 더 잘해요.
어른들 지도하면 '이게 이겁니다.' 아무리 해도
막 눈이 굴러가고 있어요.
자기가 기존에 알던 지식하고 검색해보느라고 맞춰보느라고 바빠요.
초등학생은요?
"생각, 감정 ‘몰라!' 해."
"어. 진짜 몰라져요." 바로 그래요.
팔다리 찾고 그래요.
팔다리가 있는지도 지금 잊어버렸다는 거예요.
"그래도 너는 있지?"
"있어요."
"어때? 그 느낌이?"
"환하고요. 빛나고요."
애가 학교 끝나고 집에 갔다 다음날 와서
"집에 가도 계속 있었어요."
이런 얘기를 지금 주고받으면,
절에서 주고받으면 난리 납니다.
그런데 초등학교에서 일어나니까
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마는 거예요.
그러니까 오히려 지금 어떤 지경이냐면
아까 영어로 예를 들었으니까
기존에 영어 공부한 사람이 더 안 되는 격인 거예요.
잘못된 습관이 들어서.
이제 막 순수하게 시작한 어린 친구들이 더 잘하고,
오랜 수많은 각종 토익, 토플 수많은 영어 문법을 씹어 먹고 하셨던 분들이
더 안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지금 그 격이랑 똑같아요.
불교에서 뭐 좀 했다는 분들이 저희가 지도해보면 훨씬 힘들어요.
묵은 관념과 묵은 습관들하고 싸우는 게 되게 힘들어요.
기존에 엉망으로 프로그램이 깔려 있어서 그거 지우는데 되게 힘들어요.
그런데 아무것도 안 깔려있는 친구는 그냥 깔면 끝나요.
이것도 아셔야 돼요.
그래서 '내가 좀 오래 했네.' 하시면 안돼요.
겸손한 마음으로 하시는 게 훨씬 효과가 좋아요.

Пікірлер: 51
@user-wn1yu1wy2t
@user-wn1yu1wy2t 11 күн бұрын
감사가ㅁ사 감사합니다 .😅
@user-ev1op4eq6l
@user-ev1op4eq6l Жыл бұрын
오~ 선생님 말씀듣고 산책을 나갔는데 사물이 달라 보이더라구요 뭔가 세상이 평온하고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사라지더라구요 스스럼 없이 대하게 됐어요 처음 느끼는 감정이라 신기했지만 좋았어요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깨어있는 거겠죠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annette_2017
@annette_2017 Жыл бұрын
판단 중지하고 생각 감정 오감이 작동을 덜 하면 화평이 일어나고 내면에서 알아차리고 있는 순순한 자신인 참나에 접속된다~ 참나에 접속하고 펜을 바라 보면 나와는 별개인 공장에서 만들어진 펜이 아닌 내 의식이 생각 감정 오감을 이용해 그려낸 펜으로 통으로 하나로 보인다~ 오~늘~ 감사합니다~
@user-zo3je3rw4h
@user-zo3je3rw4h Жыл бұрын
무아인체로 눈앞의 찰라로 보이고 듣기고 느껴지는 이것이 알아차려집니다 이것뿐인듯~~
@cruisetom8393
@cruisetom8393 Жыл бұрын
썸네일 사진 대단해요. 저렇게 표현하다니요. 정말 확 와닿는 그림 표현입니다.
@kkuak328
@kkuak328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펜을 보는 나를 보는 이것은 뭐지?''
@andaniel4rang
@andaniel4rang Жыл бұрын
논리로는 이해가 가는데 체험으로 느끼기가 힘드니.... 그래도 크나큰 도를 얻었으니 부지런히 그길을 가렵니다 감사합니다
@supermassiveblackdwarf
@supermassiveblackdwarf Жыл бұрын
장미는 빨갛고, 하늘은 파랗고, 커피는 뜨겁고, 피터팬 형아는 잘생겼따! 에고아닥! 나의 존재감 생생광명! 일체만물이 아름다운 존재감의 파티, 하느님의 숭고한 창조작품인 것이에요~ 가장 소중한 보물 참나에 대한 최고의 가르침 감사합니다!!🌞💯
@Ansim1166
@Ansim116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sv6sf3ob2q
@user-sv6sf3ob2q Жыл бұрын
우~~와 감사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 🙏🙏✨️🤗
@yooyoojang2036
@yooyoojang2036 2 ай бұрын
대박
@user-tw3qk9ni9y
@user-tw3qk9ni9y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l9ot3ue6i
@user-tl9ot3ue6i Жыл бұрын
자명한 말씀 감사합니다.
@user-sn7cj4ir7i
@user-sn7cj4ir7i Жыл бұрын
옛 서당에서 학동들을 가르치시듯 홍익사상을 조금은 이해안가는 면도 있지만 보시를 사명감처럼 강의하시고 그래서 좋은말씀도 듣고 감사합니다.^^
@1_SIMU
@1_SIM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nz8gb9sn8y
@user-nz8gb9sn8y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happybodhisattva
@happybodhisattv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v9vi3rs8q
@user-nv9vi3rs8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instar1104
@Binstar11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zj3zb9nc7u
@user-zj3zb9nc7u Жыл бұрын
비밀 댓글이 아니라서... 진심으로 응원한다는 말씀만 드립니다.
@user-er9ox7nz5f
@user-er9ox7nz5f Жыл бұрын
내가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 생각 감정 오감 내가 느끼는 것은 뇌의 해석을 거친 의식작용 그래서 눈에 보이는 것은 의식 작용으로 나의 참나 작용과 같다. 참나의 눈으로 깨어서 보면 참나가 펼쳐진 세계가 느껴진다. 그대로 인욕 수용하며 육바라밀 행 해야되는 이유 참나의 뜻을 알고 그대로 펼치는게 참나의 뜻이기 때문이다. 참나 접속 방법은 몰라~~~~로 판단중지 그 자리 알아차리는 자리를 느낄것, 존재로 만족. 학당공부과정으로 오세요~~ 더 자세한 말씀 나눠주십니다😊 감사합니다 🙏👍😊❤
@user-ic2mz3ue6q
@user-ic2mz3ue6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w8wx9zn5u
@user-rw8wx9zn5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dv9zw2hf4r
@user-dv9zw2hf4r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g4ww3sh4l
@user-mg4ww3sh4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s1wo6vx5v
@user-us1wo6vx5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신기한 이야기입니다. 😊
@user-sm1vd1wt8z
@user-sm1vd1wt8z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sg7be4tp8h
@user-sg7be4tp8h 9 ай бұрын
애타게 알아보려는 참나 주인공이 이렇게 간단 명료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x7ux5mf5n
@user-fx7ux5mf5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p4cq5nx2m
@user-vp4cq5nx2m Жыл бұрын
홍익학당을 알게 된 후에 일상에서 아예 몰랐던 새로운 감각을 조금씩, 자꾸 알아채게 되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user-fc8qw9qq9m
@user-fc8qw9qq9m Жыл бұрын
다 몰라도, 생각감정오감 다 치우고 남아있는 그 하나 존재, 존재하는 나, 인지하는 나, 알아차리는 나, 그 존재가 있음으로써 모든 우주 만물이 있음, 내 앞의 펜은 내 참나가 있음으로써 있음, 일체 모든 우주의 현상이 내 참나의 작용 내 참나가 의도를 내면 모든 우주 만물이 그에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현상계와 싸우지 않음.., 하지만 저는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인지 그것이 실감이 나지 않고 여전히 고군분투 현상계와 싸우고 있네요. 자명하게 이해하고 느끼고 싶어요 😂
@user-ie6el7mg8j
@user-ie6el7mg8j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ongikHD
@hongikHD 11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wk6tz9md4r
@user-wk6tz9md4r Жыл бұрын
신이 인간을 창조하신것은.인간에게 신으로 인지되는 것이=신께서 존재함이 되시기 위해서 이고,,스스로 존재하신다는 그 말씀을 위해서라고 생각되어요.
@user-kg6pr4ib2l
@user-kg6pr4ib2l Жыл бұрын
전세게인이 견성하는 그날까지!
@Sna_33
@Sna_33 Жыл бұрын
많은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네요
@alchemist1219
@alchemist1219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큰 도움이 되었어요~
@user-wn1yu1wy2t
@user-wn1yu1wy2t 11 күн бұрын
선상님!어디계셨다가이제사나타나시게되셨나요.100세시대에구십을바라보면서~ㅎㅎㅎ
@user-wn1yu1wy2t
@user-wn1yu1wy2t 11 күн бұрын
남은시간이황금으로변하네요.어찌하오리까.말년황금대박이상 판단중지.
@user-od1ox3wp7n
@user-od1ox3wp7n 7 ай бұрын
우주에는 나 밖에 없다
@jyj1279
@jyj1279 Жыл бұрын
홍익학당님 안녕하세요! 제가 마침 며칠전에 갑자기 뭔가를 깨달은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어떻게어떻게 하다가 아까 깨달음의 3단계 란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제가 거기서 나온 我空을 알게 된게 맞나 아니면 어디까지 갔나 싶어서요. 그날 갑자기 아 내가 지금 가상의 세계에 있고 이 세계에 있는 내가 그냥 아바타 같았어요, 제 자신의 이름을 불러봐도 어떤 감정도 느낄수 없는것 같아요. 어차피 얘는 내가 아닌것 같아요. 선생님은 나 모른다모른다 해야 된다고 하신것 같은데 그때 저의 느낌은 “아, 나는 안다”는 거였어요, 반대로 가는 것 같은데 어떻게 된 걸 가요? 어쨌든 오늘부터 모른다모른다를 외쳐보려고 하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을가요? 이 영상에 나오는 펜 이야기는 그 느낌을 모르겠네요 ㅎㅎㅎ 제가 느낀 그것이 어느 곳 인지 알려주시면 정말정말 고맙겠습니다.
@hongikHD
@hongikHD Жыл бұрын
‘모른다’는 방편이고 알아차리는 자리가 참나입니다. ‘모른다’를 통해 아는 자리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이 강의를 추천드립니다: kzbin.info/www/bejne/aqHNfqJ7o52bh80&feature=share 이외에도 학당의 다른 참나 관련 강의들이 많으니 참고해보셔요 ~~🙏🙏🙏
@jyj1279
@jyj1279 Жыл бұрын
@@hongikHD 앗 답글 너무 감사합니다!!! 요즘 슨생님 영상을 그냥 닥치는 대로 많이 보았는데 정말 으마무시한 양이네요. 이걸 무료로 볼수 있다는 것에 너무너무 감사드리면서 열심히 도를 닦으려구요!!! 깨달음이 죽 에고랑 같이 하는게 느껴질 때를 견성이라 하는 것이겠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Sbs858
@Sbs858 5 ай бұрын
이런걸 어디가서 듣나요. 참 떠먹여주는데도 이게 안퍼지네요.
@dearmytemple6465
@dearmytemple6465 9 ай бұрын
그럼 명상은 왜 할까요? 수많은 요가와 크리야들은 도데체 참나와는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수행을 통한 영적 상승과 참나는 별개인것인지. 허상의 세계에서 놀이터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인지..
@user-id2zp6xd1h
@user-id2zp6xd1h Жыл бұрын
자명한 말씀 감사합니다! kzbin.info/www/bejne/pl61pIV3apV7kNE 재미있는 영상이라 가져와봤습니다! 꾸벅
@user-pc1yg1mh5z
@user-pc1yg1mh5z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so3wx5tp6i
@user-so3wx5tp6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quirreltaylor85
@Squirreltaylor8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mr5wu6dj8c
@user-mr5wu6dj8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홍익학당] 견성의 체험적 실상(200205)_A873
41:07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56 М.
[홍익학당] 홍익학당 호흡법의 비법_A232
23:53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335 М.
Each found a feeling.#Short #Officer Rabbit #angel
00:17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해탈은 지금 바로 눈앞에 있습니다
28:57
로건[禪] 직지법문
Рет қаралды 6 М.
쿤달리니란 무엇인가?
8:44
명상하는 작가, 김유래
Рет қаралды 19 М.
칸트 : 순수이성비판(당신이 4차원이 아닌 이유)
35:2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23 М.
나가르주나, 대승불교의 아버지 - 용수 / 공사상 / 연기 / 중도
14:34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Рет қаралды 130 М.
[Hongik Academy] The key to overcoming bad habits
41:25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4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