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 순수이성비판(당신이 4차원이 아닌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22,739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3 жыл бұрын

#칸트 #순수이성비판 #서양철학
임마누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그 핵심을 요약하여 정리한 강의입니다. 그의 철학을 처음 만나는 분들에게 쉽고 간결한 소개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Пікірлер: 209
@philosophy1
@philosophy1 Жыл бұрын
칸트 이전의 근대 초기, 존 로크의 인식론은 kzbin.info/www/bejne/h4Pdl3amfrlmb5Y 를 참고하시고 고대 플라톤의 인식론 강의는 kzbin.info/www/bejne/iaXTeI1mZ9Z8npo 를 참고해주세요!
@jungsoo1211
@jungsoo1211 Ай бұрын
😅😅😊😊😅😅😅😊😅
@user-vt6xd8ry3p
@user-vt6xd8ry3p 11 күн бұрын
😅 . . ㄷ . . , ㄷ . ㅡ
@hffg2436
@hffg2436 3 жыл бұрын
철학과에 와서 처음으로 서양근대철학에 대한 수업을 듣는데 몇번을 반복해도 칸트와 헤겔에 대한 부분은 이해가 안가는게 많았어요 정말 깔끔하게 잘 정리해주시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다른 영상들도 깔끔하네요 종종 들려서 듣고갛게요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다니 저에게도 좋은 일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dm1hl4ru9e
@user-dm1hl4ru9e 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칸트철학을 알기쉽게 설명해 주기위한 많은 정성이 느껴집니다. 계몽주의자의 풍모가 다가옵니다. 감사드립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시간이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layryu1545
@clayryu154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이 정말 기다려지네요!
@HelloFingers
@HelloFingers 3 жыл бұрын
임마누엘 칸트도 대단하지만 인문학님도 대단하셔요 어쩜 이리 말씀을 잘하실까요 ^^ 순수이성비판 핵심을 요약하여 잘 정리해서 나눠주셔서 잘 들었습니다 초월이 단순한 초월적 파워, 능력 그런것들을 막연히 생각했는데 모든경험에 앞서있으면서도 오직 경험인식을 가능하게 해주는것! 이성주의+경험주의=종합칸트! "초월철학" 새롭게 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의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용이 다소 길고 난해한 편인데도 이처럼 관심가져주시고 멋진 글도 남겨주시니 큰 함이 되네요. 응원의 말씀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user-ux2fz1qc9c
@user-ux2fz1qc9c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즐거운 강의 였습니다. 고마워요.
@user-dd2rp8sf4w
@user-dd2rp8sf4w 3 жыл бұрын
벨라스케스의 거울의 비너스 이야기도 덤으로 알게되고 참 좋네요. 늘 미술사 지식을 철학 예시로 들어주셔서 더 재미있답니다. ^^
@jasmine4866
@jasmine4866 3 жыл бұрын
분석판단 이성주의 종합판단 경험주의 좋은 강의 오늘도 배우고 가네요 고맙습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u8ml8mv3q
@user-yu8ml8mv3q 3 жыл бұрын
68번째 좋아요 드립니다 칸트의 순수 이성비판이 오늘의 주제군요 거울을 보는 ,비너스를 통해 칸트는 또 비판해 보네요 경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인간의 외부의 사물을 아는것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인간의 순수 이성이 형이상학적 본질을 찿아내는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순수 이성비판 젊으셨을때 이론이네요 문제를 완전 다른시각으로 보고 재해석 하는것 정말 그분이 얼마나 타고난 천재인지 보고 있는것도 참 신기하고 재밌습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영상 참 재밌게 보았습니다 볼수록 재밌게 빠져 드네요 언어는 어렵지만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복잡할것도 없지요 참 재밌네요 평안한 밤 되세요^^☆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Жыл бұрын
순수이성비판이 철학사에서 중요하다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진입장벽이 워낙 높아서 늘 미뤄뒀는데 정말 좋은 입문영상을 만났네요. 귀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Kim-ef1sn
@Kim-ef1sn 2 жыл бұрын
시험 앞두고 막막해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종종 들르겠습니다^^
@DSKim-ej5uf
@DSKim-ej5uf 3 жыл бұрын
블랙홀같이 마법의성에 도착하는것같은 알고리즘이 나를 이곳으로 인도해주셨고 좋은 영상 볼수 있게 해준 알고리즘에 감사드려요. 영상이 마음에 들어요. 너무 재미있게 보았어요.소중하고 값진 영상 볼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해요.좋은영상이고 재능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날씨가 부쩍 추워졌네요.감기 조심하셔요.님의 채널에 칭찬과 응원을 드리고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항상 님의 채널에 행운이 따라서 채널이 매우 커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The algorithm that seems to arrive at a magical castle like a black hole guided me here and thank you for the algorithm that allowed me to see a good video. I like the video. I enjoyed it so much.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watch a valuable and valuable video. I think it's a good video and a talented person. The weather is getting colder. Watch out for the cold. I give praise and support to your channel, and as it progresses day by day, always yours We sincerely hope that the channel will be very large with good luck.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채널을 운영하면서 힘 내야할 때마다 남겨주신 글을 봐야겠네요. 열심히 해서 좋은 영상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rue_d4762
@true_d4762 2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 있는 영상들 중 순수이성비판을 가장 잘 설명한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유익하셨기를 바랄게요~
@user-ux8nl8uq3f
@user-ux8nl8uq3f 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을 핵심만 뽑아 정말 재밌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모든 강의가 기대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3 жыл бұрын
재미와 유익 둘 다 잡는 강의에 감탄합니다! 순수이성의 오류추리를 조심한다면 저도 4차원은 안되겠군요.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philos262
@aphilos262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왔군요! 오래 기다린 강의라서 더 재밌게 보게될 듯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athanielhensen570
@nathanielhensen570 25 күн бұрын
이건 정말 도움이 되는 영상이네요 감사드립니다!!
@Im-sc7rl
@Im-sc7rl 10 ай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GunnsDiary
@GunnsDiary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배웠던 내용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ㅎㅎ
@sikmul-TV
@sikmul-TV 3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시는군요 영상 잘 보고 손잡고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 좋은 이웃으로 지내겠습니다~!
@Meta_Baek
@Meta_Baek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강의 들을 때 마다 감탄합니다. 최고!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h9lp8hn4g
@user-dh9lp8hn4g 11 ай бұрын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필기해가며 반복적으로 보다보니 몇시간이 훌쩍 흘렀네요! 감사합니다.
@emptygarden7090
@emptygarden7090 3 жыл бұрын
순수이성비판 풀시청하고 갑니다 어려운 주제인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끝까지 시청할 수 있었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Ky8129
@Ky8129 3 жыл бұрын
차분한설명 잘듣고갈게요 귀에 잘들어오네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Vlog-kj8ln
@Vlog-kj8ln 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칸트는 선험적 종합 판단이 가능하다고 봄.경험해보지 않아도 인간이 외부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는 것! 완벽하게 이해는 못했지만 좀 알 것 같아요^^ 몇년전에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해 조금 배웠는데도 새롭게 느껴지네요. 연습장에 메모해가며 강의 들었어요ㅎ 어려운 주제인데 설명을 넘 쉽고 잼나게 해주셔서 풀청했습니다^^ 정성 가득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메모까지 하시고 정말 대단하세요~ 칸트 철학의 이해에 이 영상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열심히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uhyelee6279
@juhyelee6279 4 ай бұрын
탁월합니다.. 명쾌하구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eunice5069
@eunice5069 3 жыл бұрын
오늘 주제도 흥미롭습니다 순수이성, 오류추리 대단히 수고하셨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난해한 내용인데도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e7cc7bc2l
@user-pe7cc7bc2l 3 жыл бұрын
와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aptainkim8089
@captainkim8089 5 ай бұрын
정말 쉽게 잘 설명하시네요. 좋아요,구독 누릅니다. 자주 올게요
@user-lp7de7rx4q
@user-lp7de7rx4q 3 жыл бұрын
설명 너무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statine8529
@astatine8529 Жыл бұрын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에 대해 간결하고 정확하게 다가갈수 있게 되어 감사합니다 😊
@bigworldsmallstories
@bigworldsmallstories 3 жыл бұрын
콘텐츠들이 너무 좋은데요. 저는 과학이랑 철학 이런 쪽에 관심이 많은데 배울 것이 많은 채널이네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군요. 가끔 과학철학 분야도 다뤄드려야겠네요. 반갑습니다~!
@12kowa
@12kowa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sharonjo8787
@sharonjo8787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823
@j823 3 жыл бұрын
재편집하시느라 고생하셨어요~ 마음으로 찬한잔 보내드립니다. 저의 생각을 명료하게 해주는 징검다리강의 입니다. 감사드려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시니 제가 감사하네요. 칸트 철학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ooah7493
@sooah7493 4 ай бұрын
칸트철학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_^ 실천이성비판 강의도 찍어주시길 기대해 봅니다 ㅎㅎ
@jasonsalomon5854
@jasonsalomon5854 2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sapereaude4482
@sapereaude4482 3 жыл бұрын
순수이성비판을 가장 유연하게 해석하셨네요..실천이성비판의 해석도 기대됩니다. 추천...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s5en1bu8f
@user-os5en1bu8f 2 ай бұрын
좋은강의,감사합니다.
@gaenaru
@gaenaru 2 жыл бұрын
채널명 바뀌었네요. 휠씬 좋네요. 빛과 숲, 지혜와 인문학.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의 등산로가 되어주시길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잘 새겨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y-tube
@rey-tube 3 жыл бұрын
열심히 듣겠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ryuhanjo4606
@ryuhanjo4606 Жыл бұрын
서양철학책은 읽어보려해도 10페이지만 읽어도 무슨말인지 하나도 몰라서 포기했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hc9ed9hi2q
@user-hc9ed9hi2q 4 ай бұрын
깔끔한 그래픽, 적절한 비유, 쉽게 설명하려고 애쓴 흔적이 가득한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Ace-kv3qj
@Ace-kv3qj 3 жыл бұрын
당신이 4차원이 아닌이유 제목이 팍 끌렸습니다 ㅎ 그 어렵다는 칸트를 재밌게 볼수있어서 좋았습니다. 편집 애써주셔서 감사요
@daemeka6112
@daemeka6112 2 жыл бұрын
정말 쉽게 비유로 설명하면서도 정곡을 찌르는 명강의라고 생각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 또 기회가 되면 실천이성비판도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ealthytableLemontree
@HealthytableLemontree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왔네요~~ ㅎㅎ 이렇게 여러번 돌려보면서 열심히 강의들어보기는 정말 오랜만인거 같아요 😆😅 좋은 강의 준비해주셔서 감사해요~~ 다음 강의도 기다릴께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항상 응원해주시고 홧팅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재밌게 봐주시고 또 여러 번 보신다니 이 점 또한 더욱 감사하네요. 좋은 강의 만들어서 유익한 정보 드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unsukkim6581
@eunsukkim6581 10 ай бұрын
엄청감사합니다.❤❤❤
@MyHungaryStory
@MyHungaryStory 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순수이성 비칸을 잘 배웠어요.나중에다시한번시청 보겠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user-vy9gx2qh3g
@user-vy9gx2qh3g 7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나중에 돈 많이 벌면 꼭 후원도 할게요!
@user-kn3rg5xo9q
@user-kn3rg5xo9q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쉽게 잘해주시네요.
@user-xp1ep6dh3j
@user-xp1ep6dh3j 3 жыл бұрын
우와 응원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ikeastarmusic4010
@likeastarmusic4010 3 жыл бұрын
정성이 가득 담긴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잘 배우고 갑니다^^ 내용도 좋지만 편집이 정말 돋보이는 영상이예요 이웃맺고 손 꼭 잡고 갑니다 또 뵈어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r2uy8we5h
@user-pr2uy8we5h Жыл бұрын
대학시절 강의듣고 독서실에서 끙끙대며 책 과씨름했던 것보다 이영상 한변이 이해가 훨씬 쉽네여 ㅋㅋ 감사합니다
@user-bg5cq9el5z
@user-bg5cq9el5z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oongsoong123
@soongsoong123 3 жыл бұрын
여기에서도 언급하셨는데, 논리실증주의와 콰인에 의해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은 비판을 받게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 과정이 무척 궁금합니다. 칸트는 수학과 물리학을 선험적 종합판단으로 분류했지만 이후로는 수학은 선험적 분석명제, 과학은 후험적 종합명제로 분류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저도 얕은 지식에 의한 것이지만 현재 후자에 동의하는 입장이고요.) 저 같은 철학 취미생들은 어디서 저 공부 자료들을 접해야 할지 막막해서 도움을 요청드려봅니다. 언제 한번 짤막한 영상 강의라도 올려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ㅜㅜ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을 비판하는 부분 말이죠. 오늘도 35분 풀로 정독하고 갑니다. 항상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덧붙여 순수이성에 대한 강의도 나중에 더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재밌게 잘보고 있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음악 하시는 유친님께서 이처럼 철학에도 관심이 많으시고 정말 대단하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칸트의 선험적 주체에 대한 이론은 사실 얼마가지 않아서 비판을 받기 시작한답니다. 피히테의 철학 또한 칸트의 이러한 철학을 비판하는 것으로 자신의 철학적 지점을 잡고 있는 것이니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이후로 실증주의에서는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이 원천 부정당하게 되며, 콰인의 경우는 종합과 분석의 구분 자체가 과연 가능한가? 하는 의문을 던지면서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던 것이죠. 사실 오늘날 우리 관점에서 보자면 가장 강력한 메시지는 콰인이 던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요청하신 부분들 잘 체크해두었다가 강의 일정에 잘 포함시켜 보도록 할게요. 프레게도 전에 다뤄달라고 하셨는데 아직 못했네요. 부지런을 좀 떨어야하는데 말이에요. 늘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조만간 '프레게'를 한번 다뤄볼 수 있도록 홧팅해보겠습니다. 현재는 이 강의 다음 일정으로 자크 데리다의 '차연의 철학'을 계획하고 있답니다. 감사합니다!
@soongsoong123
@soongsoong123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선험적 종합판단과 관련해 논리실증주의와 콰인의 입장 그리고 프레게의 철학까지 많이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사실 무척 기대가 됩니다. 그래서 제가 이 채널을 정말 좋아하지요~~ㅎㅎ 보통 철학 전공자들과 얘기를 나눠보면 자기 신념이 너무 세거나 허영심이 강해서 그런지 사람 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인문학님은 완전 반대의 느낌이 들어 마음에 듭니다. 오히려 대중들을 위해 아주 쉽고 담백하게 접근하시고 계시죠. 또 공부를 많이 하셔서 그런지 정말 다양한 분야의 철학을 다뤄서 이 채널이 또 너무 좋습니다. 보통 예를 들어 자기 전공 분야의 홉스 철학만 파고는 발전이 없는 교수들도 종종 보는데 그런 느낌이 안 들어서 너무 좋습니다. 여담으로 파악하셨듯이 제 전공이 음악인데요~ 제가 구축하는 세계관 중 하나의 큰 축에 스피노자-라이프니츠-흄-칸트-쇼펜하우어-비트겐슈타인-괴델에 이르는 철학 라인이 있는데요. 여기서 받은 영감을 음악으로 재현해내는 게 제 큰 꿈 중 하나랍니다. 그때까지 쭉 지켜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인문학님도 소중한 유친으로서 제 음악을 들어봐주셨으면 좋겠네요! 1집 앨범을 조만간 낼 예정인데 세상에 나오면 유튜브를 통해서라든지 반드시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soongsoong123 스피노자에서부터 괴델에 이르는 철학 라인에 영감을 받아서 음악을 하신다는 말씀에 큰 흥미가 느껴집니다. 멋진 작업을 기획하고 계시는군요. 열심히 응원해야겠네요!!! 철학은 그 자체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라서 이를 접하는 사람마다의 반응과 태도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는데요, 이런 특성에 기대어서 분석철학 전공자와 유럽철학 전공자 사이에서 반목하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한답니다. 또는 중국철학을 철학으로 인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는 분들도 있고요. 어쨌든 말씀하신 것처럼 이곳은 특정 논리에 갇혀 있는 그런 폐쇄적인 채널은 아니니 편하게 구경오셔도 된답니다~! 하시는 일에 저의 채널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언제나 희망하고 있겠습니다. ^^
@soongsoong123
@soongsoong123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항상 즐겁게 시청하고 있고, 저 또한 응원합니다! 저도 좋은 소식 있으면 전해드리겠습니다.
@greenshine837
@greenshine837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p5ib8ck4z
@user-vp5ib8ck4z 3 жыл бұрын
와 이분 설명 군더기기없고 리얼 깔끔하네 존중 감사 읽다가 스스로 부족함을 많이 느꼈는데
@user-dd3mp8wc2h
@user-dd3mp8wc2h Жыл бұрын
제게 순수이성비판은 오랜 숙제같은 것이었습니다. 오랜기간 막연하게 알고 있던 내용들이 깔끔하게 정리되니 좋습니다. 제 책장에 먼지 쌓인 순수이성비판을 조만간에 시간내어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maQueen
@ImaQueen 3 жыл бұрын
쨍한 빨간색 배경이 인상깊었습니다.. 이렇게 또 순수이성비판에 한걸음 가까워 졌군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보셨나요? 감사합니다~!
@user-de8hw6vw4e
@user-de8hw6vw4e Жыл бұрын
이번 강의도 감사합니다^^ 극단 관련 일들도 하시는 듯. 철학 전공 배우인지라 그 극단 분들이 부럽습니다.^
@OHGEONSOOphotoroom
@OHGEONSOOphotoroom 3 жыл бұрын
좋아요46~~ 안녕하세요 오늘아침 첫영상으로 멋진 아름다움을 바라봅니다 따뜻한 커피향도 감사합니다 저는 작품에대한 이해는 부족해서 자세히 잠시들어보며 머무르다 갑니다 영상으로 좋은 작품소개 감사합니다 귀한영상 잘보고 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관심가져 주시는 것만으로도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user-qe8dy2hx6c
@user-qe8dy2hx6c 2 жыл бұрын
쵝오!!! 퍼갑니다.
@user-vp5ib8ck4z
@user-vp5ib8ck4z 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독서를해야 그런 이해력이 나오는건지ᆢ무지한 의문이지만 한번 듣고싶네요 젊은친구가 멋있구만 희열을 느끼게 해주셔서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 덕분에 지금 이 순간 온전히 머무르게 되니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상이 겅부하시는데 도움이 된듯하여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poetryandmusic.3647
@poetryandmusic.3647 3 жыл бұрын
이성을 법정에 세워 놓고 비판을 ㅋ 우리 안에 거울 같은 것을 통해서 바라본다. 감성~ 음.. 쭈욱 듣게 하시는 영상이어요^^
@tv8522ssosso
@tv8522ssosso 3 жыл бұрын
칸트님의 순수이성비판 📚 와 10 년이라는 시간동안의 질의문답을 통해 만들어진 순수이성비판 📚 이 완성되었군요 👍👍👍 울 인문학쌤의 멋찐 영상 오늘도 너무 재미있게 풀청하고 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세계적인 고전은 이처럼 오랜 인고의 세월을 필요로 하나봅니다. 이번 강의도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유친님!
@user-zb6ie1qj9b
@user-zb6ie1qj9b 3 жыл бұрын
만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ㅠㅠ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네, 재편집의 과정이 좀 길었지만 그래도 잘 업로드가 되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rein4266
@rein426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t6fe1rm5c
@user-tt6fe1rm5c Жыл бұрын
알수는 없으나 지혜의 신 님 조금씩 알게 됨을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gadasd1342
@gadasd1342 2 жыл бұрын
이채널의 좋은점 영상한번보고 책읽으면 이해하기쉬움ㅎㅎ
@user-yx7ln9gh1w
@user-yx7ln9gh1w 3 жыл бұрын
와. 순수이성비판을 쉽게 설명한 영상 중에 최고입니다! ^^ 딱 맞는 예는 아니지만, AI에 비해 인간이 아직까지 뛰어난 지점을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하는 이야길 들은 적 있어요. 칸트가 말하는 '이성'의 능력이 감성과 오성의 종합을 넘어 다른 것에도 적용하려는 능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순수이성의 한계'와 '물자체' 이야길 볼 때면,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에는 모른다고 말할 수 있는 분별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몇 번 더 돌려봐야겠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게 평가해주셔서 고생한 보람을 느낍니다. 재편집하느라 업로드 기간이 넘 길어졌네요. 남겨 주신 말씀처럼 인간에게 알 수 없는 것은 그 자체로 우리가 인정하는 태도를 잘 견지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철학서인 왕필본 4장을 보면, 세계와 만물의 기원에 관하여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 모른다.”라고 하는 내용이 나오는데요, 이러한 자세가 참 중요한 것이죠. 이를 넘어가면 이제부터는 신비로운 상상의 세계가 진리와 섞여든 채 어지럽게 펼쳐지게 되니까 말이에요. 암튼, 이 영상이 유익한 자료가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인공지능은 정말 백지 상태의 기계에 다량의 데이터를 넣어서 인공 지능 스스로 판단하는 기준(범주)을 생성합니다. 물론 외부에서 인간의 도움(맞다, 아니다/좋다, 싫다는 판단/적합하다, 오류다 로 표현되는 태그)을 약간 받지만요. 백지 상태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선험'적인 것이 없습니다. 칸트 철학은 AI 앞에서 붕괴하죠.
@horangjaeny7656
@horangjaeny7656 3 жыл бұрын
선험적 종합판단은 가능한가 ㅎㅎ 새로운 지식 추가 +1 👍 난해하지만 재밌어용 ㅎㅎ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네에 내용이 워낙 어려운 건데 그래도 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mying
@mmying 2 жыл бұрын
칸트 메타인지 짱이다
@MudukTV
@MudukTV Жыл бұрын
정말 똑똑하시다..
@user-kx2yf1ee7w
@user-kx2yf1ee7w 3 жыл бұрын
#겸겸이 에요 표상 우리앞에세워진에 대해 감각기관을 통해 느껴지는 이미지를 표상이라고 하는거네요 ㅎㅎㅎ 한개 배웠다용 경험하지않고 아는거 저는 좀부족한거같아요 감성만 있는거 같아서 별명이 4차원인데 이영상을 보니 4차원이 아닐수도 있겠다란 안도감이 생기네요 ㅎㅎㅎ 풀청하고 갑니다 넘 많은걸 알려주시는 인문학님 홧팅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우리는 결코 4차원일 수는 없죠. 지성적 사고도 하니까요. 다소 어려운 내용이었을텐데도 풀청하시고, 늘 감사드립니다. 칸트 철학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랄게요.
@user-uy8iw9kt2z
@user-uy8iw9kt2z 3 жыл бұрын
أستمر رائع رائع جدا❤❤❤
@danee1166
@danee1166 3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칸트, 이렇게 또 배워가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l9246
@hl9246 9 ай бұрын
사용하신 bgm정보가 궁금합니다
@user-vo6jc5mg9w
@user-vo6jc5mg9w 2 жыл бұрын
이 철학이 실 생활에서 어떻게 씌일수 있을까요? 현미경과 자동차 중 어느것이 무거운지굳이 경험이 필요할까요? 자동차가 무겁죠... 들어봐야 아는 건가요?
@user-dq1vt9jd1f
@user-dq1vt9jd1f Жыл бұрын
칸트의 다른 나머지 저서의 풀이는 언제 하시나요~~~> 실천이성비판..판단력비판..
@user-le6ns2rr2u
@user-le6ns2rr2u Жыл бұрын
힘들 땐 지금도 대충 칸트로 막아짐~ 고마운 사람임~^^
@user-ls3qr8pf8m
@user-ls3qr8pf8m 4 ай бұрын
철학은 이해의 장이 아니라 인간의 뼈를 덮고 있는 표피조직의 거죽을 만지는 것이죠. 여성의 거죽, 영상에 나오는 그림이 바로 철학이란 생각이 듭니다.
@user-pp4yb8db5x
@user-pp4yb8db5x Жыл бұрын
구독하고가요
@user-pp4yb8db5x
@user-pp4yb8db5x Жыл бұрын
ㅠㅠ
@user-pp4yb8db5x
@user-pp4yb8db5x Жыл бұрын
최고네요
@kimws33
@kimws33 3 жыл бұрын
무엇으로 편집하며 편집의 방법과 기술 좀 설명해주면 안되시나요, 멋진 강사님~~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아이패드와 애플펜슬, 그리고 루마퓨전과 키노트로 편집한답니다.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kimws33
@kimws33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와우 ㅎ ㅎ ~~
@user-bg5cq9el5z
@user-bg5cq9el5z Жыл бұрын
진짜 칸트는 천재네..
@astrbeing
@astrbeing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 있는데요. 그러면 칸트의 입장에서, 우리가 주변을 둘러보면 보이는 것들이 온통 표상들인 건가요? 물자체는 인간이 모른다고 했으니까요
@user-li2ei4kz8u
@user-li2ei4kz8u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험적 종합판단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이 순수이성비판의 근본적 물음이라 했는데...이것이 잘 이해가 안된다는 분이 있는데 혹시 추가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eunsukkim6581
@eunsukkim6581 10 ай бұрын
순수이성비판 ..한글본 누구 역이 좋을지 추천부탁드립니다.
@jongkim6864
@jongkim6864 Жыл бұрын
지혜의 빛님 약간 혼란스런 문제가 있어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모든 사건(p)은 원인(q)을 가진다. -‘모든 사건’은 전칭긍정판단으로 술어 “원인”을 포함하고 있지 않나요. 그런덴 ‘종합판단적 요소’로 q가 p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셨습니다. 이 예시로 든 명제가 종합판단적 명제가 맞는지요. 맞으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user-vm9yp1jf1s
@user-vm9yp1jf1s 3 жыл бұрын
순수이성비판 다소 딱딱하지만 알것같은 그래서 점점 빠져보게된다는~ 시간과 공간의 형식으로 받아들인는 것은 일부분일 뿐 그 외 지식과 이념과 경험과 환경등 또 다른 많은 요소가 영향을 주겠지요? 순수하다 이성적이다 이것이 다가 아니다 일단은 그냥 글을 써봤습니다~다시 와서 넉넉하게 보려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이 책이 난해하기로 유명하죠. 제가 더 쉽고 간결하게 풀었어야 하는데 능력이 부족한 탓도 있고요~ 그래도 관심있게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언급하신 지식, 경험 일반이 시간과 공간의 표상으로 직관되는 것이라고 칸트는 말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이를 순수직관이라 하여 경험직관에 대한 감성적 수용의 조건이자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어요. 이런 내용들이 다소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아주 많이 단수화 시켜보자면 그냥 색안경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이 안경을 통해서 경험 일반의 것들을 받아들인다는 것~ 이렇게 그의 철학은 인식의 가능 조건을 선험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초월철학이라고 한답니다. 어려운 내용인데도 이렇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하네요~ !
@user-vm9yp1jf1s
@user-vm9yp1jf1s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순수직관~ 경험직관에 대한 감성적 수용의 조건이자 형식 기대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user-vm9yp1jf1s 감사합니다 😊
@user-bx6sv7nc5s
@user-bx6sv7nc5s 9 ай бұрын
아~진짜 몰랑 몰랑...그냥 양자이성비판으로 넘어 가주셈.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선험적이라는 것은 시간 속에서 체험을 먼저 하는 자가 이미 알게 되는 것으로 사이클은 되돌아 온다에 해당 함.
@stevenrhee8398
@stevenrhee8398 2 жыл бұрын
벨라스케스의 그림의 포인트는 거울에 비친 비너스의 얼굴이겠지만 대부분의 남자들의 시선이 비너스의 매력적인 힙에 가장 먼저 꽂히는것은 어쩔수 없을듯.😅
@SteveJobs_
@SteveJobs_ 8 ай бұрын
칸트가 어렵다해도 들뢰즈에 비할 바는 못되는군요
@user-xf3ce9qp9q
@user-xf3ce9qp9q Жыл бұрын
순수이성 ~ 이 단어부터 정의해야 한다 ~ 순수이성과 대조되는 이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 ~~
@user-kx1sk1pn6u
@user-kx1sk1pn6u 2 ай бұрын
붓다랑 이론자체는 똑같나요?
@zoxjndmsmd
@zoxjndmsmd 3 ай бұрын
17분34초에 1번이 왜 선험적인가요?
@user-rn7dd8rt5w
@user-rn7dd8rt5w 2 жыл бұрын
20:00
@kukakinkimyoungsoon
@kukakinkimyoungsoon 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철학 정신을 본 받아야 될 것 같습니다. 순수이성판. 쓰고 고치고 쓰고 고치고 10년여 만에 출판이 되였군요? 선생님 또 오겠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10년 세월을 오롯이 쏟아부은 칸트의 정신이 정말 놀랍죠?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caesar4828
@caesar4828 3 жыл бұрын
Like 48
아예 떠먹여주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40:52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427 М.
Who’s more flexible:💖 or 💚? @milanaroller
00:14
Diana Belitska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쇼펜하우어와 불교(feat. 칸트, 유식론, 아뢰야식, 공각기동대)
23:20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78 М.
[8대 고전읽기] 순수이성비판 (한자경 교수)
43:27
플라톤아카데미TV
Рет қаралды 353 М.
니체 : 비극의 탄생(feat. 쇼펜하우어, 바그너)
27:16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70 М.
칸트 : 판단력 비판 1 (아름다움에 대하여)
19:16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96 М.
철학사의 주요 개념 - '실체'에 대한 이해로 철학사 특징 파악하기
18:08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3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