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호 비용, 누가 내야 하는가

  Рет қаралды 694,802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15:28 EU의 환경규제, 위선인가?
15:28 ~ BBC 기자 vs 가이아나 대통령 화제의 인터뷰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1 800
@user-eu3oo7tg3d
@user-eu3oo7tg3d Ай бұрын
저정도 양심없어야 선진국 하는거임 ㅋㅋㅋ
@WOW-fantastic
@WOW-fantastic Ай бұрын
​@@hder9용서라기보단 한국이 뭐 할수있는게 있나 그냥 단호히 엄중히 어쩌구저쩌구 말로만 하고 끝이지
@cxvyt5681
@cxvyt5681 Ай бұрын
​@@doslrnt 운도 따라야지
@sa9014
@sa9014 Ай бұрын
@@hder9 그건 중국이 양심 없는 건데 용서할 이유가 없는데요
@hder9
@hder9 Ай бұрын
@@sa9014 중국 개도국이에요. 차별하지 말아주세요
@kgwkk2
@kgwkk2 Ай бұрын
​@@doslrnt그것도 개개인한테나 적용되는거지 기본적으로 이미 수천 수만 이상의 사람들의 집합체인 국가단위에선 실력도 주어진 환경에 따라 정해지는 운이다. 그 나라 수만명의 민족이 다 실력이 떨어진거라고 이야기하는건 사실상 우생학 시즌2지.
@iak7619
@iak7619 Ай бұрын
지들은 다 미리 해놓고 개도국은 하지말라하면 퍽이나 안하겠다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아니 심지어 현재로만 봐도 그렇지도 않습니다. 유럽의 일인당 탄소 배출량을 따져보면 개도국의 5~10배 이상 배출합니다.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Ай бұрын
조동아리. 선동~!! 진짜 억지지
@user-ts1gn5zg1u
@user-ts1gn5zg1u Ай бұрын
사다리 걷어차기
@user-zd2lo9xg5z
@user-zd2lo9xg5z Ай бұрын
@@hder9 미리 이럴줄 알고 했건 어쨌건 지들은 개발할거 다 해놓고 이제와서 후발주자들한테 하지 말라는게 위선이라는건데 자꾸 혼자 딴 소리하네 ㅋㅋ
@gnsdl116
@gnsdl116 Ай бұрын
@@hder9 문해력이 좀 떨어지시는듯..
@OliviaMay-sr9dh
@OliviaMay-sr9dh Ай бұрын
영국과 미국,스위스,유럽은 개도국에 저럴시간에 자국의 빅오일 거대기업이나 규제하길바랍니다. 세계 원자재기업 상위권 70%가 유럽기업인데 이들이 환경 운운한다구요?
@user-tu5rs9pq6v
@user-tu5rs9pq6v Ай бұрын
그말도 안맞는게 빅오일 또는 원유 탐사 시추 회사에게 세금 또는 규제를 가하면 생산량 자체가 급감하고 에너지가격이 오릅니다. 아직 친환경은 나설 차례가 아닙니다
@llliiillliill5947
@llliiillliill5947 Ай бұрын
그래서 실제로 규제하고 정책 만들어서 방장이 그토록 좋아하는 일론 머스크가 탄생한건데?
@user-ln8fo8sk5l
@user-ln8fo8sk5l Ай бұрын
​@@llliiillliill5947어쩌라고?
@junh4807
@junh4807 Ай бұрын
@@llliiillliill5947개소리 지금도 석유 회사 ㅈㄴ 잘나가는데
@user-ej5pc3kc8b
@user-ej5pc3kc8b Ай бұрын
인구도 조또 없는 애들이 나라만 많아서 ㅋㅋ 이기주의 개쩐다
@user-ho2hz1xj9o
@user-ho2hz1xj9o Ай бұрын
핵도 똑같음ㅋㅋ자기들은 다 보유하고 못 만들게하는 ㅋㅋ
@_NPT_
@_NPT_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우크라이나가 핵있었으면 러시아가 못 쳐들어갔지
@Bear_T
@Bear_T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핵 없는거 진짜 큰 문제임
@user-kh8nu8nf8q
@user-kh8nu8nf8q Ай бұрын
​@@Bear_T자체 핵은 없는데 미군기지에 있다는 문건유출돼서 한동안 중국에서 난리피웠음. 6.25전쟁 휴전이후부터 있던거
@user-qm2gj5bh1l
@user-qm2gj5bh1l Ай бұрын
지들은 남의 나라 침략하고 유물 약탈하고 수탈하며 환경 파괴 1등공신이면서 이제야 개발하려는 개도국한테는 선비질하네
@LeonardoKozi
@LeonardoKozi Ай бұрын
@@hder9 그런얘길 미국, 사우디가서 하라는거지, 힘쎈놈들앞에선 주댕이 벙긋도 못하면서 엄한애들 패면 되냐?
@user-vk4oy5co7p
@user-vk4oy5co7p Ай бұрын
​@@hder9 결국 문제는 환경 파괴를 그만하라고 할거면 그와 관련해서 환경파괴에 책임이 큰 선진국이 더 나은 삶을 보장해야지. 개도국이 자원을 포기하고 환경을 선택할만큼의 이득을 선진국이 줌? 지들은 환경이슈가 나오기 전에 개발해서 손에 꼽히는 부자된거잖아. 부자된걸로 뭐라고 안해. 근데 씨발 부자되고 나머지는 사다리 차서 올라오지도 못하게 하잖아. 부의 격차 이상으로 심한게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술격차임. 개도국이 아무리 지랄해도 선진국을 따라갈수가 없음. 그리까 고부가가치 산업은 선진국이 다 잡고 있고 결국 개도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는 기술안써도 되는 자원팔아서 부자되고 그걸 재투자해서 기술력을 증진시키는 수 밖에 남아있지 않은데 이걸 비판하려면 환경파괴를 말하기 전에 선진국이 좋아하는 인도적 차원의 지원이 자원으로 얻는 이득 이상으로 주면 환경파괴를 안할거아니야.
@hder9
@hder9 Ай бұрын
@@user-to9xl9sl5j 애초에 저 제도는 모든 국가에 적용된느거임. 그리고 왜 강강약약해야함? 인류가 그렇게 굴러간적은 없어요. 어디서 도덕책 읽고 강강약약질하네 ㅋㅋㅋ
@the_circle.
@the_circle. Ай бұрын
@@hder9 아프리카 전체 + 남미 전체가 지금 당장 석기시대로 돌아가도 어차피 환경 망함 왜냐고? 대륙 다 합쳐놓은거보다 영, 프, 미, 중 4나라 합친게 더 많거든. 진짜 줄여야 하는 놈들이 누구냐?
@hder9
@hder9 Ай бұрын
@@the_circle. 어차피 환경 망하는거 막 하자는거임? 그럼 그러시든가. 어이구야 중국의 미세먼지가 너무나 행복 ㅠㅠ 중국도 아직 개도국인데 더 발전해야지 ㅠㅠㅠ 환경은 어차피 망하는것이고. 그츄? 이게 니 생각이쥬?
@qkim1351
@qkim1351 Ай бұрын
니네 땅에다가 산림을 만들면되잖아 그렇게 급하면, 누적으로 치면 개도국들이 많이 아무리 써봐야 너네만 하겠냐;
@user-su5ws4nc2g
@user-su5ws4nc2g Ай бұрын
선진국 전부 산림 엄청나ㅋㅋ 한국은 뭐 산림이 부족하냐 누적으로 쳐도 개도국인 중국이 압도적이다
@user-df2ls3rd2r
@user-df2ls3rd2r Ай бұрын
@@hder9 그쪽이 이 세상에서 없어지면 됨
@user-vkfvjfdl
@user-vkfvjfdl Ай бұрын
​@@hder9개소리야 팜유같은건 한국도 쓰는데 너 과자 라면 튀김류들 처먹지마라 처먹을때마다 환경생각해서 사비로 나무하나씩 심던가
@Dansong_
@Dansong_ Ай бұрын
​@@hder9국가 산업인데 그게 맘대로 되나요 국가 경제가 파탄날텐데
@shchi_3
@shchi_3 Ай бұрын
@@hder9 님 오늘부터 일 하지말고 알아서 먹고 살아봐
@uptigerlee19
@uptigerlee19 Ай бұрын
선진국은 계속 선진국으로 덜 노력하고 더 많이 누려야하며.. 후진국들은 계속 후진국으로 남아 개처럼 노동해서 우리(선진국)를 편하게 하도록 해라.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Ай бұрын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 논리랑 별다를게 없는~~
@uramchoe3201
@uramchoe3201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user-ce3ro1xs7m
@user-ce3ro1xs7m Ай бұрын
선진국을 위해 착취당하는 후진국... 미래까지 팔아먹고 선진국 찍은 한국 입장에선 꿀빨려면 꼭 필요한 기조인게 아닐까
@ilidlleisill
@ilidlleisill Ай бұрын
선진국이 덜 노력한다니 ㅋㅋㅋㅋ
@domgo241
@domgo241 Ай бұрын
​@@ilidlleisill 실제로 그렇게 세상이 돌아갑니다. 규칙에 의거한 국제 질서라 부르고 미국과 유럽에게만 유리한 착취나 다름없죠. 뜯어보면 선진국이 능력이 좋아서 선진국이 된게 아닙니다.
@stevenlee7763
@stevenlee7763 Ай бұрын
영국이 환경을 위해 이룬 것들: 1. *산림 파괴:* - *인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식목 활동은 식민 지배 시기에 인도에서 서부 가하는 동안 광범위한 산림 파괴를 초래. 이 나무는 선박 건설, 철도 건설 및 기타 인프라 프로젝트에 사용됨. - *카리브 해:* 자메이카와 바베이도스와 같은 식민지에서 설탕 농장을 위해 숲을 대규모로 송두리째 벌였으며, 이는 상당한 산림 파괴와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초래. 2. *생태학적 파괴:* - *호주:* 영국 이주민들에 의한 토끼의 도입은 19세기 후반에 스포츠 사냥을 위해 발생했으며, 이에 따라 토끼는 대륙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 나감. 토끼는 원래 있는 생물종과 음식 및 서식지를 겨루며 널리 퍼진 환경 피해을 초래. - *뉴질랜드:* 영국 이주민들에 의한 스토트와 올뿔이와 같은 비원주종의 도입은 키위와 같은 지역 생물종을 거의 전멸시킴. 3. *광업 및 자원 추출:* - *인도:* 인도의 영국 식민 지배 시기에는 특히 석탄과 철광석을 위한 광업 활동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짐. 인도의 자르코흔드와 차티스가르 주와 같은 지역에서의 광업 작업은 환경 파괴, 토양 침식 및 수원 오염을 초래. - *아프리카:* 남아프리카와 로데시아(현재 짐바브웨)와 같은 영국 통제 지역에서의 다이아몬드와 금 광업은 산림 파괴, 토양 침식 및 시안화 물질과 같은 유독한 화학 물질로 인한 수로 오염을 포함한 중대한 환경 파괴를 초래. 4. *산업 오염:* - *영국 런던:* 영국의 산업 혁명은 런던과 같은 도시에서 공장 및 석탄 화력 발전소로 인한 심각한 대기 오염을 초래함. 1952년 대기 오염과 추위로 인한 대량 사망은 공장 오염과 겹쳐져 청정 공기 규제 시행을 촉구하게 만듬. - *영국 맨체스터:* 19세기 맨체스터의 섬유 산업은 공장이 처리되지 않은 염색액과 화학 물질을 포함한 폐수를 인근 강인 아웰과 머지강으로 배출하여 광범위한 수질 오염을 초래, 사실상 현재까지도 영국 민물 시스템을 오염시킨 주범으로 남아있음. 5. *댐 건설:* - *인도:* 영국 식민 지배 시기에 타밀나두주 코웨리 강에 메튀르 댐을 건설하여 수천 명의 이주민을 강제로 몰아내고 방대한 산림 지역을 침수시켜 생물 다양성의 손실과 지역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 - *이집트:* 1960년대 이집트 니로 강에 영국의 지원으로 건설된 아스완 고지댐은 누비아인 사회의 이주와 하류 생태계 및 농업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강의 흐름을 변경. 6. *기후 변화:* - *산업 혁명:*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 혁명은 석탄 및 기타 화석 연료의 널리 사용으로 인해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 가스의 상당한 배출을 유발함. 이것은 기후 변화에 기여하여 날씨 패턴, 해수면 상승 및 전 세계적인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줌.
@uramchoe3201
@uramchoe3201 Ай бұрын
여윽시 자네야!
@karinsundu1651
@karinsundu1651 Ай бұрын
댓글달려고 공부하시는것 같아...
@kmondays
@kmondays Ай бұрын
이 산업혁명은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user-ns9ne5dz1j
@user-ns9ne5dz1j Ай бұрын
오늘도 새로운 1승 적립하는 영국 만악론
@user-ip1ux1dr5t
@user-ip1ux1dr5t Ай бұрын
과학, 산업의 발원지 영국
@houbird
@houbird Ай бұрын
지들은 산업화때 막대한 환경오염해놓고 그래서 막대한 부를 다 이뤄놓고 개도국이 자기땅을 개발하겠다는데 시비터는 수준이 참....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아니 심지어 지금으로만 봐도 유럽의 탄소 배출이 개도국에 비해 5 ~ 10배가 높습니다. 즉, 현재로만 봐도 개도국에 요구할만한 자격이 없죠.
@user-di2cy3fs4r
@user-di2cy3fs4r Ай бұрын
탄소배출 어쩌고 할때부터 이런 이야기 나왔었죠 개도국들 입장에서 너넨 하지마 그러면 당장 그들 입장에선 생계 문제인데 이런 형태로 나올줄은 몰랐네요 ㅋㅋㅋ 어질어질함
@sssy950
@sssy950 Ай бұрын
유럽이 환경, 인권 떠들어 대는게 후발주자 발 묶으려는 개수작임
@hder9
@hder9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지금도 다같이 환경오염할 순 없죠.
@user-jv1xo1gj4k
@user-jv1xo1gj4k Ай бұрын
@@hder9 지금도 선진국들은 몇배로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계속 오염시킬테니 개도국만 하지말라는거죠
@user-ed8ub1wo1l
@user-ed8ub1wo1l Ай бұрын
ㅋㅋㅋ 역겨움 지들은 산업화 하면서 할거 다 하고 버릴거 다버리면서 해놓고는 이제와서 탄소중립 거리며 환경 보호 앞장 서는거 보면 참ㅋㅋ 보호 하긴 해야 하지만 마치 아무런 잘못도 없이 다른 국가가 한 짓을 우리가 치운다는 느낌
@hder9
@hder9 Ай бұрын
ㅇㅇ 늦더라도 해야지. 뭐 그럽 다같이 환경파괴 고고씽 하자는거임?
@user-mm9gk1qi4g
@user-mm9gk1qi4g Ай бұрын
?? 우리가 ㅋㅋㅋㅋㅋㅋ 정신 차려라;; 세계가 기득권과 비 기득권 국가로 나눌수 있다면 우리나라는 기득권 쪽이야 정말 우리나라는 선량하고 아무런 피해를 안주는 국가라고 생각하냐?? 세계 인구의 1%도 안되는 국가가 세계의 부는 2% 넘게 가져가는게 대한민국이다 니가 그렇게 공평과 정의를 외친다면 당장 니 소득의 3분의 2는 기부해라
@user-cw5ub8gd4p
@user-cw5ub8gd4p Ай бұрын
세포가 노비였던 시절을 기억해버려서 세상만사의 모든 포지션에서 일단 본인이 약자로 시작함ㅋㅋㅋㅋㅋㅋㅋ 우리도 빨만큼 빨았지 않냐? 우리가 뿌린것도 우리가 못 치우는데 우리가 뭐 누구껄 치워
@user-xh6kl6tz8n
@user-xh6kl6tz8n Ай бұрын
​@@hder9환경파괴? 해도됨 어차피 나중에 순환작용되어서 상관없음
@Etoile-
@Etoile- Ай бұрын
​@@user-xh6kl6tz8n 그래 인간이 100년간 없어지면 되겠다. 말이 되는 소리를 해라... 순환작용보다는 오염이 더 빠른데 ;;;; 그리고 순환작용이 아니라 자정작용이야...
@SeoulClass
@SeoulClass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영국 미국이 환경분담금?? 그거 70%로 부담해야 되는거 아님???
@silver33412
@silver33412 Ай бұрын
맞음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Ай бұрын
솔직히 80%까지 올려도 된다고봄.
@user-el2rz8yj7c
@user-el2rz8yj7c Ай бұрын
맞음
@DBchanal
@DBchanal Ай бұрын
지들 급하면 내연기관쓰고 LNG쓰는 애들이ㅋㅋㅋㅋㅋ 웃기지도않음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Ай бұрын
ㄹㅇ 심지어 석탄발전까지 돌리는 ㅅㄲ들임.
@Demacia365
@Demacia365 Ай бұрын
러시아: 잠가라 벨브 시전해서 유럽경제 흔들어 버리기!
@fhciwjqnqksododldmdmcovpspqkqm
@fhciwjqnqksododldmdmcovpspqkqm Ай бұрын
웃기지도 않으면 웃지를 마 ㅋㅋㅋ
@DBchanal
@DBchanal Ай бұрын
@@fhciwjqnqksododldmdmcovpspqkqm 그래 찐따야 조언 고맙다~~
@fhciwjqnqksododldmdmcovpspqkqm
@fhciwjqnqksododldmdmcovpspqkqm Ай бұрын
@@DBchanal 니소개는 일기장에 쓰고~~
@memorialsky1418
@memorialsky1418 Ай бұрын
선진국이 개도국에 비용청구하는게 역겹네여 ㅋㅋ
@user-qe9ti7je1w
@user-qe9ti7je1w Ай бұрын
특히 유럽쪽이 제일 역겨움 ㅋㅋㅋ 옛날에 산업화가 막 시작되었을 때 산림 다 날려먹고 스모그 존나 뿜어내놓고 이제와서 환경보호 ㅇㅈㄹ ㅋㅋㅋ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user-qe9ti7je1w 지금도 유럽에서 탄소 방출 엄청난게 많죠. 인구당 배출량으로 따지면, 개발도상국의 5 ~10배에 달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유럽보다 더 배출하구요.
@yuseruousso
@yuseruousso Ай бұрын
근데 어쩔수 없지ㅋ 공멸할 순 없으니까 물론 못하게 하는만큼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고 경제개발 시켜주고 기술전수해주고 해야하는데…이걸 안해서 문제지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yuseruousso 그쵸 하지 말라고만 하면 안되고 지원을 적절히 해주면서 요구 해야죠.
@WOW-fantastic
@WOW-fantastic Ай бұрын
​@@yuseruousso지원해줬다가 수입 안하면 어쩌누ㅋㅋ
@user-wl7el7qw3t
@user-wl7el7qw3t Ай бұрын
사다리걷어차기 개꿀~~
@yuseruousso
@yuseruousso Ай бұрын
근데 어쩔수 없지ㅋ 공멸할 순 없으니까 물론 못하게 하는만큼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고 경제개발 시켜주고 기술전수해주고 해야하는데…이걸 안해서 문제지
@User_qhstl4ad8
@User_qhstl4ad8 Ай бұрын
​@@yuseruousso지원은 안해주고 가난하게 살라고 하는게 문제임..
@wf9ss
@wf9ss Ай бұрын
백퍼 사다리 걷어차기임 지금 개도국 산림에서 탄소 다 흡수하는 건데. 당연히 돈으로 주고 보존해 줘야지. 지들이 말도안되고 효과도 없는 탄소감축 기술에 쏟아붇고 사기쳐서 넷제로하는 돈이면 충분히 지원해줄 수 있고 효과도 더 좋음
@nagnusyo
@nagnusyo Ай бұрын
@@wf9ss 유럽이 개좇같이 구는거 보니 러시아가 유럽연합을 싫어하는게 이해됨 ㅋㅋ
@user-dz1iv8ss4j
@user-dz1iv8ss4j Ай бұрын
​​@@yuseruousso뭘 어쩔수 없냐. 디지들말든 개도국입장에서 알빠노.
@danielshin6212
@danielshin6212 Ай бұрын
영국은 개도국 관련에 대해서는 할 말도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loveisalllll
@loveisalllll Ай бұрын
'규제 제국주의'라는 표현이 인상적이네요 산림을 보전하는 대신 팜유 가격을 5배 올려도 그 규제가 유지될지 아니면 미사일이 먼저 날아올지 궁금합니다
@gonran4661
@gonran4661 Ай бұрын
아니 입을 댈거면 돈을 내던가 막대한 자본력으로 인프라나 생필품 빠방하게 밀어주고 하면서 범 지구적으로 환경을 잘 보살펴 주십쇼 해도 시원찮을판에 칼대고 협박하면 반발심에 싹 밀어버릴수도 있지 ㅋㅋㅋ
@user-potty
@user-potty Ай бұрын
ㅋㅋㅋ
@tenal6643
@tenal6643 16 күн бұрын
개도국들 엥간해서는 독재일텐데 어? 꼴받네? 하면 어쩌라고 ㅋㅋㅋ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Ай бұрын
실제로 네슬레나 유니레버같은 유럽 빅푸드 기업들도 문제입니다. 이 기업들 특히 네슬레같은 경우는 아프리카,남미의 수자원을 몽땅 뽑아서 유럽으로 옮기고있다네요. 놀랍게도 현재진행형입니다.
@OliviaMay-sr9dh
@OliviaMay-sr9dh Ай бұрын
세계 원자재기업 순위보면 70%가 유럽기업임 ㅋㅋ 그러면서 환경운운하는게 진짜..
@user-cg8gz8eu4z
@user-cg8gz8eu4z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유럽에 기업이 그렇게 많은겁니다. 애초에 약탈 및 갑질도 힘이 있어야 할수있는거에요. 유럽은 빅파마 빅오일 빅패션 빅자동차 빅방산 빅푸드 빅화학 등 모든걸 다 가졌으니 이걸 유지하고싶은거고. 후발주자들은 따라오지말라 이거죠.
@OliviaMay-sr9dh
@OliviaMay-sr9dh Ай бұрын
논리가 이상하시네 대기업 많은거랑 남들한테 갑질하는게 뭔상관? 대기업많으면 갑질이 정당화되나요? ​@@user-cg8gz8eu4z
@whitefear.
@whitefear. Ай бұрын
​@@OliviaMay-sr9dh 갑질 정당화가 아니라 갑질해서 기업이 잘나가는 중이라는 분석처럼 느껴져요
@user-wk6ng3eb7v
@user-wk6ng3eb7v Ай бұрын
네슬레는 진짜 ㅁㅊㅅㄲ더라구요
@user-sb5iy9hw4c
@user-sb5iy9hw4c Ай бұрын
서유럽 같은 선진화된 강대국들이 중국 같은 독재 강대국들 처럼 노골적으로 압박하지 않고 도덕, 자유라는 명분하에 세련된 방법으로 상대국가들을 우회적으로 압박 및 착취하는거 볼때마다 어처구니 없으면서 박수가 절로 나오더라
@GueritoAmyo
@GueritoAmyo Ай бұрын
민족자결주의도 난 후발주자라 꼬우니까 니네도 이제 식민지 가지지 마셈이었으니ㅋㅋ
@ilidlleisill
@ilidlleisill Ай бұрын
근데 1차 2차대전으로 유럽애들도 고생하긴함. 뭐 다 서민이 죽었지만
@user-jf1dl3zy8r
@user-jf1dl3zy8r Ай бұрын
그런 나라들이 아프리카에 폐기물 버리죠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Ай бұрын
@@ilidlleisill 자기들끼리 고생을 만든 거잖음
@BlackHat0730
@BlackHat0730 Ай бұрын
저런건 비단 국가적 차원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일어나는 일임. 실제로 선진국에 사는 사람들일 수록 자기가 하는 나쁜 짓에 대해 궤변이나 허어를 더 잘 내세움 미디어부터 일상생활에서까지 그런걸 개발도상국 출신 사람들보다 훨씬 많이 접해서
@user-en4gs9ln5p
@user-en4gs9ln5p Ай бұрын
국가간의 외교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란 관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 하지만 역겨운건 다른 나라를 착취하는 행위를 정의롭고 깨끗하다고 스스로 자기합리화 하는 꼴, 이게 내가 느끼는 백인이고 유럽임.
@user-potty
@user-potty Ай бұрын
민족주의 🎉
@cookinpot
@cookinpot Ай бұрын
7:45 세계사에서 모든 나라를 망쳐놓은 또 ‘그 나라’…
@kms_2012
@kms_2012 Ай бұрын
1인당 CO2생산은 중국, 인도가 겁나 낮음. 양심이 있다면, 석유 막쓰는 미국부터 줄여가야 함...
@kiky_witch
@kiky_witch Ай бұрын
​@@dkssudgktpdy492 우린그걸 국수주의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user-zf5ck6vk3c
@user-zf5ck6vk3c Ай бұрын
만악의 근원
@user-zf5ck6vk3c
@user-zf5ck6vk3c Ай бұрын
​@@dkssudgktpdy492 때리고 맞다. 결국 더블케이오
@hder9
@hder9 Ай бұрын
그게 과연 망친거라 할 수 있을까. 당시 힘있는 나라는 뭐든 다 했음.
@LapisP463
@LapisP463 Ай бұрын
진짜 세계 문제가 있을 때 마다 원인으로 영국을 지목하면 50퍼는 맞는다 ㅋㅋㅋ
@g68u5i8
@g68u5i8 Ай бұрын
난 90%라고 들었는데?ㅋㅋ
@marco-lp4kf
@marco-lp4kf Ай бұрын
​@@g68u5i8 프랑스도 껴야해서
@ilidlleisill
@ilidlleisill Ай бұрын
걍 백퍼야
@user-ld6ys1ke9u
@user-ld6ys1ke9u Ай бұрын
​뭔가 국경선 모양이 유니크 한곳은 영국이 그었나 찍으면 맞음​@@g68u5i8
@user-oc5rl4gr8r
@user-oc5rl4gr8r Ай бұрын
백퍼가 맞는듯해여 ㅋㅋㅋㅋ
@user-lb7vc1jm6k
@user-lb7vc1jm6k Ай бұрын
유럽은 아직도 제국주의를 못버렸네 ㅋㅋ 예전에는 적자생존을 들이밀었고 지금은 환경보호를 들이밀고있을뿐
@user-ly9ty7cu4n
@user-ly9ty7cu4n Ай бұрын
그럼 선진국들이 돈을 모아서 환경보호비용을 개도국에게 매년주면댐
@ynhnk8259
@ynhnk8259 Ай бұрын
산업화의 상징인 나라가 다른 나라한테 산업화를 따지다니
@lifeisegg9483
@lifeisegg9483 Ай бұрын
😮🎉😮
@JJONG_S
@JJONG_S Ай бұрын
뭔진 몰라도 중국이 잘못했네
@user-bo8ct5eb4z
@user-bo8ct5eb4z Ай бұрын
존재자체가 잘못인 🇨🇳
@qkrakak
@qkrakak Ай бұрын
팩트)다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일인당 탄소배출로만 따지면 우리나라와 미국이 중국에 비해 몇배가 높습니다. 중국만 비판할 일이 아니죠.
@__just_do_it__
@__just_do_it__ Ай бұрын
​@@pop5770총량을 따져야지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__just_do_it__ 총량은 의미가 없죠. 일인당 배출량이 더 중요하죠..
@dummydummy3436
@dummydummy3436 Ай бұрын
요즘 re100같은 환경규제도 결국 새로운 개념의 무역장벽이란 생각이 듦 지들끼리만 잘먹고 잘살겠다 그거지
@saddggbr
@saddggbr Ай бұрын
무역장벽맞습니다. 현직 에너지정책 관련종사자입니다.
@eh9296
@eh9296 Ай бұрын
근데 결국 우리나라도 그 사다리 걷어차기에 동참하긴 해야 해.....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가 선진국들의 흐름을 거스를순 없잖어
@user-cw6pv2kr8w
@user-cw6pv2kr8w Ай бұрын
ㄹㅇ re100 못채우면 걍 무조건 거래 못하게하는가 하지 돈으로 무마가능하게 배출권 거래 ㅋㅋㅋㅋ 보여주기식이지
@g68u5i8
@g68u5i8 Ай бұрын
@@eh9296 전혀. 경제력 좋을 때 큰 소리도 치고 해야지. 출산율 ㅈ박고 나면 유럽인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인권이고 뭐고 취급도 안 해줘. 헤이그 특사 꼴 나는 거다.
@ysnam7289
@ysnam7289 Ай бұрын
​@@eh9296요즘 그 어떤 나라도 환경 생각안해요 반도체 무역전쟁하거나 ai니 데이터센터에 집중하지
@user-vz2ym9wg3f
@user-vz2ym9wg3f Ай бұрын
그럼 최대한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거나 친환경 에너지도 같이 생산하도록 기술 이전및 투자 해주던가
@user-ij1cm2tf2p
@user-ij1cm2tf2p Ай бұрын
황경파괴라며 농부한테 벌채하고 농사짓지말라고하는 플라스틱 공장주인이랑 다른게 없다고 생각함ㅋㅋㅋㅋ
@chu1029
@chu1029 Ай бұрын
EU에 수출하는 제품은 산림벌채 방지비용 청구하면 되겠네 그러면 유럽시민들이 시위해서 저딴 정책 없애주겠지
@user-mm5ql2pl2g
@user-mm5ql2pl2g Ай бұрын
청구하는순간 이란마냥 나라 박살나버려서...못하죠 그래서 더 역겨움 앞에선 착한척 후달리면 중국 러시아마냥 힘으로 압박
@user-yz4ql5mp9r
@user-yz4ql5mp9r Ай бұрын
핵무기도 마찬가지임 지들은 ㅈㄴ 많이 가져놓고 딴 나라는 한개도 못가지게 필사적으로 막음ㅋㅋㅋ
@Chocojally2020
@Chocojally2020 Ай бұрын
ㄹㅇ 지들거부터 폐기해놓고 얘길하던가 ㅅㅂ
@eteratic
@eteratic Ай бұрын
거만한 유럽. 그리고 영국은 북해유전 열심히 캐고 있음.ㅋㅋㅋ
@Moneta_juno
@Moneta_juno Ай бұрын
젠장 또 영국이야 하지만 나는 현재 발만 동동 구르는 상태의 등신이다. 도무지 어찌할 바를 모르겠군.
@conatus969
@conatus969 Ай бұрын
탄소규제 목적자체가 선진국의 기득권유지임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그렇게만 보기 어려운게 유럽의 일인당 탄소 배출은 개도국의 5 ~ 10배가 됩니다. 즉, 스스로도 지키지 못할 일들을 개도국에 요구하는 거죠. 본인들부터 개도국수준으로 탄소를 배출하고 개도국에게 요구를 하던 말던 해야죠. 이건 거의 똥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는 격입니다.
@g68u5i8
@g68u5i8 Ай бұрын
오바마는 대놓고 말했었지. 중국인들이 미국인들 만큼 소비하면 지구 몇 개 더 필요하다고 ㅋㅋㅋㅋㅋ
@user-bb9je4fe8b
@user-bb9je4fe8b Ай бұрын
@@pop5770 탄소배출량을 돈으로 거래하면 되는 시스템이라 그렇죠 현재 탄소배출량 1톤에 100유로씩 내고 탄소배출 제로 달성했다고 하는데 EU 같은경우 미국 같이 비슷한 탄소배출량 규모를 가진 나라한테는 서로 면제를 하고 그럽니다 ㅋ
@capmtr
@capmtr Ай бұрын
유럽이 진짜 책임감을 느꼈으면 농장이랑 공장 밀고 숲 조성하고 저런 말을 하던가 보니까 이건 기후환경 문제도 아니고 그냥 팜유 생산에 자기들이 관여하고 싶다는 걸로밖에 안보인다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Ай бұрын
EU는 국가별로 국가면적의 1/3을 산림지대로 의무적으로 만들어야 함.
@makergreen
@makergreen Ай бұрын
프랑스는 그래도 동부에 숲은 많던데 이탈리아, 독일은 몰루
@Moonmon343
@Moonmon343 Ай бұрын
@@makergreen이탈리아 남부는 존나 못살지않음? 숲 많을꺼같은데 아닌가
@user-yz6jl2yh7s
@user-yz6jl2yh7s Ай бұрын
이제 이것도 우주로 넘어가면 똑같이 지들이 먹을거다먹고 규제하겠죠. 신나게 해먹고나서 정점에 올라서고 뒤늦은 후발주자들은 못올라오게 사다리를 걷어차는.
@ClTYHUTNER
@ClTYHUTNER Ай бұрын
유럽과 미국이 가장 많이 내야지
@pineappleslice87
@pineappleslice87 Ай бұрын
중국 인도는요?
@kiev._Russian_Federation
@kiev._Russian_Federation Ай бұрын
@@pineappleslice87 인구가 많은데 어떡함. 개인이 배출하는 수준이 한계가 있는데 인도한테 더 줄이라고 하면 뭐 ㅋㅋㅋ 석기시대로 회귀하라는겨? 그에 반해 선진국들은 1인당 소비량이 많으니까 줄일 수 있고, 줄이지 않은 책임도 져야지. 물론 그렇게까지 환경보호 하려고 하지도 않을것이고, 기술이전도, 돈도 안내겠지만.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Ай бұрын
​@@pineappleslice87 걔넨 현재 배출량이 최고인거지 누적배출량은 유럽, 미국이 너무나 압도적임.
@user-rg9uy5cm9o
@user-rg9uy5cm9o Ай бұрын
@@pineappleslice87 중국, 인도는 오히려 1인당 배출량은 꽤 낮은걸루 앎. 그래도 총 배출량 높다고 뭐라고 하기엔 화력발전 같은거 안되서 중국, 인도에 전력공급 안되는 지역에 사는 인구가 이웃나라로 떠밀어온다고 생각하면 아찔해짐...
@bluecheese7366
@bluecheese7366 Ай бұрын
그 유명한 "런던 스모그"의 주인공께서 환경 규제라...
@user-py6dy5vc8z
@user-py6dy5vc8z Ай бұрын
중국 미국한테는 뭐라 못하면서, 만만한 아프리카,남미국가들 한테 저러는게 참
@aldebaranTNT
@aldebaranTNT Ай бұрын
수백년간 식민지 건설해서 피빨아서 부자 된 나라들로 구성된 EU이면서 너무 뻔뻔한거 아녀??
@0lsc2866
@0lsc2866 Ай бұрын
200년간 꿀빨았으니 개도국에도 열어줘야지
@hder9
@hder9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환경오염을 방치할 순 없음
@hder9
@hder9 Ай бұрын
중국 미세먼지는 그렇게 비판적이시던분들이...
@user-wx2ck4tr5r
@user-wx2ck4tr5r Ай бұрын
​@@hder9 피자 일곱조각 와구와구 먼저 쳐먹은놈이 지 힘쌔졌다고 이제부터 아껴먹으라 그러면 빡치긴 하지ㅋㅋ 그냥 각자의 입장인듯
@the_circle.
@the_circle. Ай бұрын
@@user-wx2ck4tr5r 심지어 지금도 두세조각씩 쳐먹구 있는데 이제와서 한입 먹으려는 놈한테 쿠사리주는중ㅋㅋ
@user-py9cv2wo4l
@user-py9cv2wo4l Ай бұрын
반대로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 중국이 우리나라탓하면 발작할거면서 이 문제는 개도국이 이해하라하네 ㅋㅋ
@jhshopo
@jhshopo Ай бұрын
존나 웃긴게 지들이 시작해서 누릴거 다 누려놓고 이제와서 반성없이 이래라 저래라 ㅉ 코미디긴 함
@lee6747
@lee6747 Ай бұрын
수출업 해보면 알지만 유럽 환경규제 개많음. 유럽은 이런규제를 자기들 산업보호로 사용중으로보임. 저 하얀놈들 선민의식ㅋㅋ
@fireeegg
@fireeegg Ай бұрын
느낌상!!!! 기후 위기는 유럽이 1빠로 타격받는것 같던데 냅두면 알아서 노력하겠죠
@yong-junjang6681
@yong-junjang6681 Ай бұрын
불행히도 온난화 오염문제도 고위도에 박혀있는 유럽보다 저위도 적도에 가까운 나라들이 더 크게 입지... 시베리아 북유럽 캐나다 그린란드 따뜻해지면 유럽에게 이득이지 손해 보겠나 하지만 적도 부근은 이제 태풍같은거 더 강해게 몰아치는거고... 적도쪽 섬나라는 아예 잠기고...
@rawine323
@rawine323 Ай бұрын
내가 저쪽 나라 정치인이면 바로 규제 때리자고 언플할거 같은데 내정간섭이 아주 습관이네..
@originalmelon
@originalmelon Ай бұрын
이런식으로가면 인도네시아 반서방쪽으로갈듯
@maroon5337
@maroon5337 Ай бұрын
10:37 유럽식 규칙ㅋㅋ
@vrt_nameaw1594
@vrt_nameaw1594 Ай бұрын
개도국은 부림당한 죄밖에 없다
@user-dm8zq1cd5i
@user-dm8zq1cd5i Ай бұрын
IMF도 우리나라엔 빡세게 규정을 적용해놓고 그리스 등 같은 유럽권에는 널널하게 적용했죠. 구라파색희들 혐성 참...
@thebravegallade731
@thebravegallade731 Ай бұрын
뭐 100% 탓하기는 어려운게 한국만큼 큰 경제를 구원하는 게 우리가 처음이여서 시행착오가 많음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Ай бұрын
그래서 걔네들은 IMF 여러번 터지고 그러는건가?
@makergreen
@makergreen Ай бұрын
근데 독일이 그리스 대하는 거 보면 유럽 내 가난한 국가는 국가 취급 안하는 듯?
@Cheeseburger5647
@Cheeseburger5647 Ай бұрын
Hi Jane!
@JiseonKim
@JiseonKim Ай бұрын
예상은 했지만 너무 이기적. 우리가 또 놓치고 있는게 뭐냐면 미국, 유럽, 호주 등 국가들 지도를 보면, 짙은 녹색이 아닌 푸른 농경지 축산업 대지들이 사실 과거에 우거진 숲이였고 현재도 나무를 심으면 자연적으로 다시 숲이 될수 있는 곳. 짙은 녹색부분은 도로를 놓고 벌채를 하기 어려운 산악지역이여서 못하고 National Park 라고 이름지어놓은거임. 가능한 지역은 거의 100프로 벌채가 되었고 민간소유화 됬음. 수백년전에 벌채된 자기네 농경지는 문제없고, 다른나라 개도국이 자국 밥줄로 먹고사는 농경지에 산림파괴 원인을 돌리고 있는 셈. 선진국이 이런 제재를 가할땐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불하는게 맞는거임. 아니면 지네들 나라들이 솔선수범해서 자기네 숲을 먼저 되돌려 놓던지.
@user-qn1il1yd1d
@user-qn1il1yd1d Ай бұрын
애기들을 손발 잘려서 죽던지 말던지 공장에서 혹사시키고 돈은 최저로 주던 영국임 지금이라고 다를까? 법 때문에 못하는거지ㅋㅋㅋㅋㅋ
@FactoryNo.592
@FactoryNo.592 Ай бұрын
잘은 모르겠지만 비용을 낸다면 영국이나 미국이나 중국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Ай бұрын
가장 많이 내야되는건 미국이라고 생각함. 누적량이 가장 많을뿐 더러 현재에도 줄이긴 커녕 더 늘렸음. 그래서 중국이 무서운 속도로 배출하고 있음에도 누적 격차는 잘 안좁혀짐.
@makergreen
@makergreen Ай бұрын
​@@traveler_to_the_world 이게 맞는 게, 당장에 중국이 없어지더라도 그만큼 탄소배출량을 가진 인프라를 서구권이 흡수해버리거나 똑같이 만들어버리면 진짜 의미가 없어져 버림
@user-tn5tw8vo8e
@user-tn5tw8vo8e Ай бұрын
사다리 걷어차기용 명분도 좀 섞여있을거라 봅니다.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ㅎ
@user-in5vs4pi8c
@user-in5vs4pi8c Ай бұрын
환경오염 어쩌구저쩌구 탄소배출량 쿼터제는 저 개발 국가들의 산업화를 막는 도구이고 구실일뿐 저따구 소리엔 뻐큐가 답!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그런데 사실상 현재로도 유럽이 개도국에 비해 일인당 탄소 배출량이 5~10배에 달합니다.
@user-tl7pr2ol6x
@user-tl7pr2ol6x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희 학교 도덕 수행이 우리 사회 문제에 대해서 조사하고 발표하는 건데 혹시 이 영상을 자료로 써도 될까요?
@JK-wx5tm
@JK-wx5tm Ай бұрын
수행 거져먹기 개꿀 ㅋ
@user-tl7pr2ol6x
@user-tl7pr2ol6x Ай бұрын
@@JK-wx5tm ㅋㅋㅋㅋㅋㅋㅋㅋ님 수행 몬디요
@user-ry2hh6zk7r
@user-ry2hh6zk7r Ай бұрын
교육용인데 허락까지 맡을것까지야..
@user-tl7pr2ol6x
@user-tl7pr2ol6x Ай бұрын
@@user-ry2hh6zk7r 그래도... 찔리잖아~
@galileno10068
@galileno10068 Ай бұрын
걍 써도 됨 ㅋㅋㅋ 고등학교 발표에서까지 허락맡아야하나
@moonanrenthouse7540
@moonanrenthouse7540 Ай бұрын
팜유 땡큐~
@user-xk3oh4fq6n
@user-xk3oh4fq6n Ай бұрын
탄소배출 규제하려면 국가별로 산림이 많아서 그만큼 탄소 흡수하는 양도 고려해서 탄소 배출량 분배를 정헤야지
@user-bq3tt2il4r
@user-bq3tt2il4r Ай бұрын
지구를 지키려면 다 같이 부담해야지
@zokioki515
@zokioki515 Ай бұрын
과거사 청산은 비단 전쟁범죄만이 아닌듯
@ddangdaezi
@ddangdaezi Ай бұрын
2:13 고무 기엽다..ㅋㅋ
@user-hu6gv2gs5i
@user-hu6gv2gs5i Ай бұрын
탄소흡수량이 많으면 돈을 줘야지
@decabird1738
@decabird1738 Ай бұрын
이건 선진국이 잘못한거고 re100은 좋은 캠페인이다? 웃기는소리지
@user-wlqgodrhks329
@user-wlqgodrhks329 Ай бұрын
"있는 놈들이 더 하다"
@user-bu9ow4ef3v
@user-bu9ow4ef3v Ай бұрын
식비 계속오르는데 환경 내 알바아니니까 개도국들 제발 개발 쭉 했으면 좋겠다. 싸게공급받게
@118kms4
@118kms4 Ай бұрын
환경이 중요한건 맞는데 클린디젤 생각하면 걍 eu가 깡패짓 하는거 같다
@user-fp1wv3il4b
@user-fp1wv3il4b Ай бұрын
저게 요새 시골욕하는 도시사람들 정서임. 도시사람들은 인간성 다내려놓고 먹고산다고 정신승리하면서 인성파탄난걸 합리화하고 시골에 대해선 온갖 도시에서 배운 개념들 적용해서 까내리기 바쁘고. 시골인심어쩌구하면서 본인들은 먹고살만해서 내려온 사람들이면서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는 시골사람들을 까내림.
@user-jv1xo1gj4k
@user-jv1xo1gj4k Ай бұрын
친환경이라는 허울만 보고 좋다좋다 하지 말고 내부를 잘 봐야합니다.
@user-nm8lw3hu2u
@user-nm8lw3hu2u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슈카형ㅋㅋㅋㅋㅋ
@Tiredatlosing
@Tiredatlosing Ай бұрын
슈카형 너무 매력적이어서 한 번 만나보고 싶어
@L-S-H
@L-S-H Ай бұрын
환경파괴를 한 만큼 파괴한 당사국이 내야지. 사실상 산업화한 모든 나라가 부담해야함. 제일 빨리 산업혁명을 시작한 영국부터 모범을 보이자.
@No_Exit_KangMina
@No_Exit_KangMina Ай бұрын
1분전 귀하다 ㄷㄷ
@petra24_
@petra24_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한국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지네 개도국 출신 나라들 중에서 진짜 우리나라는 럭키가이였을지도... 식민지였던 국가들중에서 잘사는 애들은 대부분 2차대전 패전국 출신이고 지금도 못사는 중동 아랍과 아프리카는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 다 지금 2차대전 승전국이 거느렸던 식민지들이란거...역사의 흐름이란 참...
@prsh0525
@prsh0525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user-ew4ve9jq7o
@user-ew4ve9jq7o Ай бұрын
근데 지구온난화가 나무 좀 심는다고 해결될 일이었음?
@csh0618
@csh0618 Ай бұрын
얘네 침략하던 버릇 어디 안가네ㅋㅋㅋㅋ
@spencerkim260
@spencerkim260 Ай бұрын
그러한 POLICY는 꽤 타당한 정책으로 중단없이 KEEP GOING ON..했으면 합니다.
@Full-Moon0228
@Full-Moon0228 Ай бұрын
차라리 각 국에 몇 %를 무조건 산림지역으로 둔다고 하는게 낫지 않나...?
@user-zm2qi3cu6v
@user-zm2qi3cu6v Ай бұрын
근데 영국은 EU가 아니잖아
@user-gd5xu8gy4x
@user-gd5xu8gy4x Ай бұрын
니들은 자전거 타고다닐때 난 걸어다니고 너네 자동차타고다닐때 난 자전거타는데 환경보호는똑같이해? 나쁜놈들아!!!!
@BKK4980
@BKK4980 Ай бұрын
유럽의 이중성에 혀를 내두른다 ㅋㅋ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Ай бұрын
영준이형 감사합니다.
@user-vh8uh2ho6i
@user-vh8uh2ho6i Ай бұрын
환경 기후문제는 해결책을 제시하기전에 선진국들이 일관성있는 모습을 보여주는게 먼저다..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Ай бұрын
팜유 얘기하는데 한국기업인 포스코인터네셔널이랑 코린도 얘기가 없어서 아쉬움
@dongwook-kimm
@dongwook-kimm Ай бұрын
진짜 환경 보호하고 싶으면 산업혁명 이후로 국가별로 탄소 배출량을 측정해서 그거에 비례해서 비용부담하고 개선하는게 맞지
@timeacu5277
@timeacu5277 Ай бұрын
천재
@user-vi2wq4vq7p
@user-vi2wq4vq7p Ай бұрын
이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서구권은 스스로 붕괴되고 있는 자국 금융 산업을 기후협약을 이용해서 만회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죠.
@ckro7576
@ckro7576 Ай бұрын
역시 영국
@Drone0
@Drone0 Ай бұрын
결국 모두의 모두가 해야하는 문제가 되는 부담비율은 또 문제겠지만..
@Healing_media
@Healing_media Ай бұрын
새로운 시각이네요. 늘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선진국과 개도국간 관계가 어쩌면 더욱 양극화로 흐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어쩌면..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한국으로선 다행이라 여겨야 할까요..
@refra494
@refra494 Ай бұрын
과거 착취해 간 거나 돌려주고 말해라.. 약탈해간 문화재도 안돌려주는 약탈자들이 선한척하고 있군..
@user-ld6ys1ke9u
@user-ld6ys1ke9u Ай бұрын
아~약탈이 아니라 전.리.품 이라구요 ㅋㅋㅋ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Ай бұрын
약탈한게 아니라 전리품은 안 돌려줘도 됨. 그거 돌려줄 거면 한국도 신리 금관 같은거 금 다른 곳에서 조공받아서 만든거면 녹여서 원자재로 돌려줘야되 ㅋㅋ
@user-hy2gh2he6f
@user-hy2gh2he6f Ай бұрын
듣다보니 생각난건데 독도 밑에 깔려있다던 그 가스자원은 언제 활용하는거임? 한창 떠들었던거 같은데 소식도 없네
@user-yo4cc2vl5k
@user-yo4cc2vl5k Ай бұрын
유럽은 로마시대때만해도 숲이 우거진 지역이었는데 인구가 늘어나고 소고기와 우유를 얻기위해 다 베어버렸지 그리고 미국 미시시피강 유역도 울창한 숲이었고 결론은 먼저 삼림을 파괴한자가 승리자
@user-bw8fd6cy1g
@user-bw8fd6cy1g Ай бұрын
본인들은 개발 다 해놓고 후발주자들은 하지말라는건 좀 아니지 그렇다고 무슨 지원금을 주는것도 아니고 걍 관세 핑계지 무슨
@gambasmassis8039
@gambasmassis8039 Ай бұрын
또 영국?
@Nirvana-Nevergone
@Nirvana-Nevergone Ай бұрын
이젠 산업화도 사다리 걷어차기를 하는 시대
@user-om4lv6wv7w
@user-om4lv6wv7w Ай бұрын
15:21 자료사진은 인도네시아 재무부 장관(Sri Mulyani Indrawati)이 아닌 것 같네요
@user-cq4ko5bn9q
@user-cq4ko5bn9q Ай бұрын
그와중에 한국 산업화 시기도 엄청 늦었으면서 속도는 제일 빨라서 선진국 초스피드로 진입하고 탄소배출 줄인덕에 누적배출 순위 엄청 낮은거 보소 ㅋㅋㅋ
@user-lu5jd1ze6h
@user-lu5jd1ze6h Ай бұрын
그냥 계속 식민주의 이어나가는거지..ㅋㅋ 책임떠넘기식 착취..
300년 전 침몰한 보물선 쟁탈전
26:0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300 М.
ДЕНЬ РОЖДЕНИЯ БАБУШКИ #shorts
00:19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이스라엘의 고민, 극단적 종교주의자 하레디
29:0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어두운 밤, 갈 곳 잃은 문과
27:4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04 М.
형제여.. 폴란드, 대한민국 무기 약 20조원 구매
27:5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한국인들이 가장 가치있게 여기는 것은?
25: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이웃이 미국인 나라, 멕시코의 고난
19:4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80 М.
어머니 안부를 묻는 야당 대표
25:0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35 М.
당신이 알던 풍요로운 유럽은 이제 없습니다 (조선일보 손진석 기자)
1:13:2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76 М.
500년 만에 발견된 영국왕 리처드3세의 유골
29:0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Dangerous School Life Hacks😱😵🤕
0:47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Книжка где, пончик? #shorts #сериалы #юмор
0:44
Мир Сватов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