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보다 300원이 쌌던 그시절 세녹스 ㄱ나니..?|크랩

  Рет қаралды 889,271

크랩 KLAB

크랩 KLAB

2 жыл бұрын

#크랩 #세녹스 #가짜휘발유
요즘 기름값 때문에 주유소 가기가 무서우시죠? 이런 기름값 걱정은 오늘날의 문제만은 아니었습니다. 2003년 이라크전 발발 위기 등으로 유가가 오르던 시기, 세녹스라는 일종의 알코올 연료가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일반 휘발유에 비해 3백 원 이상 싼 가격으로 소비자의 구미를 당겼죠. 하지만 이 세녹스를 첨가제로 볼 것인지, 가짜 휘발유로 볼 것인지 논쟁이 붙었습니다. 세녹스가 추억 속으로 사라지게 된 이유, 크랩이 알아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2 000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처음 나왔을때 괜찮았는데 관련 업계들이 엄청 괴롭혀서 난리도 아니었음.
@_die4u
@_die4u 2 жыл бұрын
나만 모르는건가? ㅎㅎ
@gsp_gamsung
@gsp_gamsung 2 жыл бұрын
그 뒤로 가짜휘발유 만드는 사람들이 너도 나도 '세녹스'라고 이름붙여서 파는 바람에 세녹스=가짜휘발유 라는 공식이 자리잡아버림
@user-uq7bo4qo6b
@user-uq7bo4qo6b 2 жыл бұрын
세금이 적으니 프레임씌워서 때려잡은거임 ㅋㅋㅋ
@user-ki1wj7ql4t
@user-ki1wj7ql4t 2 жыл бұрын
정유사들 때문에 사라진거임..안타까움
@user-gd6zo9ul1z
@user-gd6zo9ul1z 2 жыл бұрын
기름값 올리는 새끼들. 올려서 지 주머니 채우는 놈들..
@triffissjeon4285
@triffissjeon4285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잘 찾아내셨네요. 안그래도 요새 가끔 세녹스 생각났는데 저때 저딴 개소리했던 사람들 박제시켜야 합니다. 이름도 그냥 다 나오게 하시지 그랬어요.... 공무원들 자신의 정책결정에 책임지도록 이렇게라도 찾아내서 박제시켜야 합니다.
@qnvoalsrnr
@qnvoalsrnr 2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ㄹㅇ 멍청하게 선동 당해서 세녹스가 혁신이네 뭐네 이지랄 하던 빡대가리 새끼들 박제해야 됨 ㅋㅋ 이미 일본 유럽 미국은 유사 사례가 있어서 기준도 정립되고 판매도 금지당했는데 정부가 하도 멍청해서 기준도 없으니 이 꼬라지가 난 거지 ㅋㅋ; 애초에 wwfc 기준 위반인 제품을 40%나 섞도록 냅둔다는 것부터가 코미디지
@user-qs1fq8mn6w
@user-qs1fq8mn6w 5 ай бұрын
저게 기름보다 비싼데 뭐래는거임 ㅋㅋ 세금 안붙어서 싼거지
@kanghj9708
@kanghj9708 4 ай бұрын
개소리가 아니라 세금을 안내니까 쌌던거고 그거 막은건데?
@triffissjeon4285
@triffissjeon4285 4 ай бұрын
@@kanghj9708 아 이해함. 그래서 쌌구먼, 그래도 기름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적절한 세금 붙여가지고 비슷한 가격 맞추면 지금쯤 저 산업도 쓸만하게 발전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운 마음임...
@user-rw3nq9rm8t
@user-rw3nq9rm8t 2 жыл бұрын
나 고3때 담임이 화학쌤이셨는데 수업시간에 어쩌다 세녹스 얘기가 나왔었음. 근데 저거 화학적으로는 문제 전혀 없는데 정유회사랑 주유소 소상공인들이 손해 오지게 보니까 세녹스 밟아 죽이려고 별별 염병 떤거라고 그랬었음. 참고로 연세대 화학과 나오심
@Hammer-bag
@Hammer-bag 4 ай бұрын
화학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으면 연로가 되지. 연료첨가제가 되면 안되지. 세금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는데.
@_xxpark_
@_xxpark_ 4 ай бұрын
⁠@@Hammer-bag그럼 그렇게 세금을 정부는 쳐 드시던데 정부를 욕해야지 세녹스를 욕하는게 맞는건가요 ? 규정을 잘못한 정부 잘못이지 세녹스 잘못인가 ㅋㅋㅋ
@Rosframe
@Rosframe 4 ай бұрын
​@@_xxpark_그거 때문에 판매금지되고 대표가 탈시로 처벌받은거 아님?
@mintchoko47
@mintchoko47 4 ай бұрын
연세대 화학과 ㅋㅋㅋㅋㅋ 학사따리가 뭘 알겠냐 석박도 아니고 연세대 화학과 출신 교사 ㅋㅋㅋㅋㅋ 참 웃기다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4 ай бұрын
​@@mintchoko47그님대?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2 жыл бұрын
저런 논란 중에 과학이 없다는 게 문제. 유해물질, 자동차에 미치는 영향, 환경 영향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하는데 불스원샷은 조금 넣고 세녹스는 40프로 넣으니 문제다, 세금을 안 낸다 등 제도적으로만 얘기하니 석유협회의 로비로 밖에 이해가 안 되는 것. 세녹스가 정말 자동차에 악영향을 주는 건지만 보고 나머지는 제도적으로 보완을 하면 될 문제를 너무 한 놈 후두려패기로 간 게 문제.
@JM-py2vd
@JM-py2vd 4 ай бұрын
실상은 새녹스가 더 고급임. 세금빼면 휘발유는 쌈
@TeemoRing
@TeemoRing 3 ай бұрын
저 시절 주축이 지금 장관,임원급으로 올라가서 나라꼴이 이 모양
@DaddyBrownbr
@DaddyBrownbr 3 ай бұрын
환경부에서 배출가스 시험을 했는데 월등히 적게 나온 결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에서는 이미 (현재까지도) 가소홀 이라는 연료가 친환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정유사와 정부가 개판만든겁니다.
@DaddyBrownbr
@DaddyBrownbr 3 ай бұрын
@@JM-py2vd 알콜이 포함되어 -OH기로 인한 세척력이 있었죠. 엔진 컨디션이 점점 좋아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세녹스는 잘 엔지니어링 된 제품이었어요.
@abumpia
@abumpia 3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 것임
@user-zb1nk6hh2n
@user-zb1nk6hh2n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자체는 괜찮았던 기억이 있네요. 초창기 부터 사용했었이니까. SM5가 좋았던건지도 모르겠지만. 시골에서도 세녹스 전용 주유소를 볼 수 있을 정도였으니 정부도 정유회사도 엄청나게 성가신 제품이긴 했을 겁니다. 문제는 세녹스가 기존 정유회사들의 점유율을 상당 부분 끌어가면서 부터 발생한거죠. 결국 정부까지 개입해서 업체를 없애버린거라 비슷한 수익구조로 정부 세금을 건드리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준 최악의 사례.
@sangminsong9656
@sangminsong9656 10 ай бұрын
국제상사 공중분해.
@user-gq8lz5fx2r
@user-gq8lz5fx2r 4 ай бұрын
세녹스도 세금 때문에 싼거였지. 세금을 휘발유처럼 적용했으면 더 비쌌죠.
@seokyohwi
@seokyohwi 4 ай бұрын
​@@user-gq8lz5fx2r연료첨가제인데 왜??
@user-mx9tf8rp5y
@user-mx9tf8rp5y 3 ай бұрын
저거 당시 대덕연구단지에서 개발된거고 , 해외에서 기술인정받고 수출 계획까지 잡았던 제품입니다. 문제는 김대중 정부의 유류세를 만들었는데 세금 문제가 걸리고, 모 호남쪽의 정유회사와 유착이 의심된거고, 노무현 정부에서 첨가제로 판정되 모든게 물거품된겁니다. 이후 회사는 사라지고 세녹스란 이름으로 그냥 , 도로옆에서 가짜 휘발류를 팔았던 기억이 나네요.
@lz77977zl
@lz77977zl 3 ай бұрын
@@user-mx9tf8rp5y그러니까 세금 처 받으면 더 비싸지는 거잖아
@user-gg3lh8tf3g
@user-gg3lh8tf3g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때문이지 뭐. 정부의 대처가 아쉽다고 생각함. 세녹스를 그냥 연료로 규정해주고 똑같이 세금 받으면 가격이 훨씬 비싸질테니 알아서 소비자들이 기존 휘발유 넣으러 갈텐데.. 소비자의 선택권도, 기업의 재산권과 활동의 자유도, 정부의 대외 이미지와 신뢰도도 전부 박살나게 된 최악의 꼴픽을 한 케이스
@user-so4si2ob9p
@user-so4si2ob9p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 자체도 일몰법으로 한시적으로 걷는 세금인데 일몰기간 끝났음에도 12년째 연장 해서 없어져야 할 세금인데 아직도 받아먹으면서 경제 어렵다고 서민 위하는척 하면서 세금 깍아주는척 하고 있는걸 알아야됨 유류세 일몰법 검색해보세요.
@user-jx1jp1ht3w
@user-jx1jp1ht3w 2 жыл бұрын
세수 확보를 위해서 괜히 교통세나 유류세 건드리는 정부도 병신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은 망각한 체 막연히 세녹스에 대해 휘발유와 같은 유류세를 부과하자는 것은 비합리적인 생각임. 유류세 철폐를 먼저 주창하지 못할 망정 도리어 지들끼리 싸우고 있으니
@arenouveau2905
@arenouveau2905 2 жыл бұрын
정유회사들이 전부 대기업인데 가만히 안있지
@sundancekid2391
@sundancekid2391 2 жыл бұрын
@@user-jx1jp1ht3w근본문제가 뭔지를 외면하는말인데요 같이 유류세 붙이면 세녹스가 더 비싸다는건 유류세 철폐해도 세녹스가 더 비싸다는거죠 합법으로 돌리고 정유사급으로 대량유통하면 싸지겠지만 원료공급과 생산시설의 이원화로 인한 낭비를 생각하면 그냥 바보짓일뿐
@user-gg3lh8tf3g
@user-gg3lh8tf3g 2 жыл бұрын
@@user-jx1jp1ht3w 아랫분이 반박 잘 해주셨네요 ㅎㅎ.. 설사 유류세 철폐를 주창해서 그것이 현실화되더라도 원가 경쟁력에서 게임이 안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은 기존 연료일 것이라 동일한 논리가 적용됩니다
@bohyunnoh5848
@bohyunnoh5848 2 жыл бұрын
다시 부활 시켜야 할것 같네요... 정유 회사에서 경쟁력을 세녹스 보다 갖추게 된다면 모르지만서도 다들 비리로 얼룩져서 이렇게 된게 아닐까요... 압력에 압력 죄없는 사장과 그 직원들만 감옥 살이 했네요....
@orpialee
@orpialee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런 경쟁력이 없게 만드는게 세금문제 아님? 세녹스도 휘발유급으로 매겨야지
@yoonseo_ji
@yoonseo_ji Жыл бұрын
@@orpialee 저거 유류세 안매겨서 그런거임 저거 개발목적이 나치독일이 2차대전때 석유 수입이 막히니까 돈 좀더 들더라도 탱크 연료에 쓸 목적으로 만든거라.. 전쟁 끝나고는 사실 원유 수입이 더 저렴해서 안썼던것일뿐.. 사실 일반 휘발유와 큰 차이도 없고 비정상적인 유류세 때문에 등장한거임
@user-jv8gb4gf7u
@user-jv8gb4gf7u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대가리 빠가
@user-jt7ob1zb1h
@user-jt7ob1zb1h Жыл бұрын
못배운 사람... 환경문제로 고세율 부과하는거지 경쟁력이 뭔상관임
@user-zl4yo1ep7g
@user-zl4yo1ep7g Жыл бұрын
영상본거 맞음? ㅋㅋㅋㅋㅋ 세녹스는 단가는 비싼데 세금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싼거고...
@user-fx8nv6pb8l
@user-fx8nv6pb8l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만든사람 지금 생각해보면 천재가아닐까 생각됩니다
@user-ie4eu8km6g
@user-ie4eu8km6g 3 ай бұрын
만들긴요 이미 기존 제품 이였는데 신나
@user-gc5te2hj1x
@user-gc5te2hj1x 26 күн бұрын
@@user-ie4eu8km6g 에구구 신나셨네
@GFREE7th
@GFREE7th 2 жыл бұрын
2:06 이 아조씨 말 재밌게 하네 ㅋㅋㅋ
@user-bk2il1pq1s
@user-bk2il1pq1s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제조 원가가 휘발유 원가보다 훨씬 비쌌음 많이 써봤는데 연비좋고 출력좋고 배출가스도 적게 나오고 좋았던 기억이 있네요 20리터짜리 깡통 많이 넣고 다녔네요ㅋㅋ 처음에는 섞어 넣다가 나중에는 깡통으로 풀로 채우고 그랬네요ㅋ
@Demonic_Josua
@Demonic_Josua 2 жыл бұрын
@@user-rv5ms9cq9r 닉넴데로 노내
@ldw1996
@ldw1996 2 жыл бұрын
@@user-rv5ms9cq9r 그러고 싶니???ㅋㅋ
@user-cx7rn2ku1u
@user-cx7rn2ku1u 2 жыл бұрын
@@user-rv5ms9cq9r 안궁ㅋㅋㅋ
@user-rs1zk6ev6t
@user-rs1zk6ev6t 3 ай бұрын
톨루엔이 들어가는데 안 좋을리가ㅋㅋ
@wolfsearodo8385
@wolfsearodo8385 2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실제로 세녹스 대리점 운영했던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세녹스 오리지날이 있었고 무늬만 세녹스가 있었으며 이런 부류의 제품을 통상적으로 세녹스로 기억하시는 분들 많음. 오리지날은 석탄 추출물에 이것저것 넣은 연료와 첨가제 사이의 법적 경계선이 모호했던 제품이었고 무늬만 세녹스는 톨루엔+솔벤트+기타 유류첨가제를 섞어 만든 가짜 휘발유. 웃긴 점은 가짜 세녹스에서도 상중하로 품질 기준이 나뉨. 세녹스 넣었는데 엔진 망가졌다. 노킹난다.인젝션 나갔다. 연료필터 맛이 갔다....이런 경험한 사람들은 짭 세녹스를 오리지날로 속아서 넣었거나 알면서 넣은 것. 오리지날은 정말 괜찮았음. 옥탄가도 좋았고....무엇보다 고객 품평이 상당히 좋았음. 그 당시 고유가시대에 1리터 990원에 품질도 좋았으니 입소문 나며 활황이었죠. 덕분에 이런 부류의 제품들 중에서도 유사 세녹스의 등장과 경쟁제품이 출현하였으나 오리지날 외엔 가짜 휘발유로 생각하시는 게 맘 편했을 것입니다. 참고로 주유소에서 휘발유를 넣었는데 윗 문장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심해 봐야 합니다. 가짜 휘발유 파는 주유소가 많진 않겠지만 지금도 어디엔가 분명히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품절사태와 공급대란으로 물건 받기도 힘들고 모호한 법적기준에 마음고생도 많았던 그때 그 시절 지금은 추억으로 남아있어 몇자 끄적이며 갑니다.
@user-xh8pt8hd9n
@user-xh8pt8hd9n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가짜가 많이 잇겟죠..이익이 많이 나니깐..ㅜㅜ
@dylanan7867
@dylanan7867 4 ай бұрын
세녹스이외엔 전부 신나였죠
@user-ck4fv7xh1b
@user-ck4fv7xh1b 4 ай бұрын
오토바이에 넣어도 아무 이상 없었어요 ㅎㅎ
@TV-id4qz
@TV-id4qz 4 ай бұрын
와 정확하게 알고 계시네요 신나넣고 다니다보면 차에 문제가 생기기도 했죠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 2 жыл бұрын
대체에너지가 시간 점유하시일이 더뎌지는 이유죠... 세녹스가 진짜던 가짜던간에.. 싸고 질좋은 대체에너지가 나오면 기존 기름쟁이들 파이가 확 줄어드니 견제가 들어갈 수 밖에.
@user-vs4uv9jc8s
@user-vs4uv9jc8s 2 жыл бұрын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네요; 세녹스는 제조단가가 더 비싸고 유해물질도 많이 나오는건 팩트인데 첨가제로 분류되어 세금이 덜붙어 소비자들이 싸게 구매할 수 있었던건데요;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1:40 세녹스 제조원가가 더 비싸죠 뭐가 더 좋은 연료겠습니까? 3:04 환경부에서 규제적합, 차체손상없다고 인정했구요 4:24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배출한다고 하는데 ㅋㅋㅋㅋ 일반 휘발유는 유해가스 배출안하나요? 그냥 말장난 갖다 붙인거구요 그냥 세금 못걷으니까 차체부식이니 유해물질이니 갖다 붙여서 판매금지한거죠 gs칼텍s, 에스오1, 현ㄷ오일 등등 정유회사에서 로비쳐서 판매금지시킨겁니다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 2 жыл бұрын
@@user-vs4uv9jc8s 제조단가가 다비싸던 뭐던 휘발류로 법원 판정 나왔고. 판매가는 휘발류보다 싸니. 당연하게 견제가 갈 수 있다는거고. 정상적인 대체 에너지가 개발 되어도 기름쟁이 견제가 안들어 갈 수가 없다는 말임 자기들 먹을게 없어지니 다른 문제는 판매후에 휘발류와 같은 조건을 걸면 되는것이고요
@user-bk5ej2qh6r
@user-bk5ej2qh6r 2 жыл бұрын
@@kangbitcoin 일단 제조원가가 비싸면 좋은 연료라는 개소리에서 머리를 탁! ㅋㅋ 대체연료면 세금을 쳐 내라고 ㅋㅋ 아예 연료로 쓰고있으면서 편법으로 첨가제라고만 하고 세금 안내면 탈세가 아니고 뭐임? ㅋㅋ
@user-bk5ej2qh6r
@user-bk5ej2qh6r 2 жыл бұрын
@@kangbitcoin 담뱃잎이랑 담배필터 분해해서 판다고 '이거 담배 아닌데?' 하면서 담뱃세 안낼거라는 딱 그수준임 ㅋㅋ
@Tweet_Boss
@Tweet_Boss 2 жыл бұрын
과학적인 근거보단 단순히 시장을 해친다(지들 해처먹는 시장)는 이유로 막은거네요. 예전이나 지금이나 썩어빠진 석유 유통 올리가르히들 싹 다 숙청해버렸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연료로 쓸거면 휘발유랑 같은세금내면됨. 근데 원가가 휘발유보다 비싼데?
@Zer0pay
@Zer0pay 2 жыл бұрын
@@user-vq7rv1tt6z 그건 시장에서 판단할 몫임.
@user-so4si2ob9p
@user-so4si2ob9p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 자체도 일몰법으로 한시적으로 걷는 세금인데 일몰기간 끝났음에도 12년째 연장 해서 없어져야 할 세금인데 아직도 받아먹으면서 경제 어렵다고 서민 위하는척 하면서 세금 깍아주는척 하고 있는걸 알아야됨 유류세 일몰법 검색해보세요.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Zer0pay 시장에서 판단이고 뭐고간에 법적 기준을 따라야되는거아님?
@Zer0pay
@Zer0pay 2 жыл бұрын
@@user-vq7rv1tt6z 법에서 유류라고 정하고 세금때리면되는데 그걸 못한거 아닙니까
@dokgo-777
@dokgo-777 2 жыл бұрын
저당시 세녹스 계속 쓰던 차들 아무런 이상 없었다. 기존 석유 업체들의 횡포와 선동으로 사라진거지. 세녹스가 문제 점이 있었다 하더라도 기존 기름 처럼 쓸수있게 더 연구하고 발전 시켰어야 하는게 맞는거지 기름 한방울 안나오는 우리나라가 무조건 없에는건 아니라고 본다. 옥수수 기름이나 유채꽃 기름도 대체해서 쓸수있는데도 기존 석유업체들의 로비와 어거지로 인해 사라진거지.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жыл бұрын
정부세금걷는 목적이 더크기 때문에 막은거라고 보는게맞음 ㅋㅋ
@devapor8656
@devapor8656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는 제조비용이 석유보다 높음. 세녹스가 싼거는 유류세가 없기때문에 그럼
@changhwankoh8902
@changhwankoh8902 2 жыл бұрын
세금때문이겠죠…
@kk02211
@kk02211 2 жыл бұрын
@@user-ot3xy5hf1w 그건 어느나라 어느 지형에도 나옵니다. 체산성이 없어서 안하는 것일뿐..!
@user-nj7qz7rm6j
@user-nj7qz7rm6j 2 жыл бұрын
@@user-ot3xy5hf1w 거기 이제 고갈나서 다른곳 찾고있어요
@quuu213
@quuu213 2 жыл бұрын
1. 차에 넣어도 이상 없었다고하고 평도 좋은편이었다 2. 그로인해 가짜 세녹스가 판쳤다 3. 유류시장 힘든데 나눠먹기 하기싫었다 4. 세녹스의 진실은 어디..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1:40 세녹스 제조원가가 더 비싸죠 뭐가 더 좋은 연료겠습니까? 3:04 환경부에서 규제적합, 차체손상없다고 인정했구요 4:24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배출한다고 하는데 ㅋㅋㅋㅋ 일반 휘발유는 유해가스 배출안하나요? 그냥 말장난 갖다 붙인거구요 그냥 세금 못걷으니까 차체부식이니 유해물질이니 갖다 붙여서 판매금지한거죠 gs칼텍s, 에스오1, 현ㄷ오일 등등 정유회사에서 로비쳐서 판매금지시킨겁니다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kangbitcoin 1. 엔진 부식은 고려대학교에서 연구한 결과였음. 애초에 해외에선 1980년에 이미 연료에 메탄올이 3% 이상 섞일 경우,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있었음... 당시 연구도 엔진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결론이 났고 평가위에선 고려대학교, 일본 자동차 연구소, WWFC 등의 연구를 근거로 세녹스가 엔진에 장기간 사용하긴 부적합하다는 결론이 났음. 2. 제조 원가가 더 비싼 건 단순히 더 고온 고압으로 제조해야 해서 제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지 일본에서 터졌던 저급 연료 제조 사건과 성분은 완전 동일함. 3. WWFC 등 국제 기구에서는 이미 메탄올 기준을 0%로 규정하고 있음. 그러나, 세녹스의 제조사에선 제조 원료에 메탄올 10%라고 표기함. 메탄올은 2년 이상 고용량으로 장기 사용했을 경우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물질임. 10%면 고용량이 맞음. 4. 일반 연료보다 세녹스의 연료가 유해가스 배출량이 약 0.8% 적은 것은 사실임. 그러나, 매우 미미한 수치이고 유해물질 자체가 유럽, 미국 등의 국가에선 배출 자체가 되면 안 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문제가 됐던 건 사실임. 물론, 당시 대한민국은 유럽, 미국과는 다르게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세부 기준이 없었던 건 사실이고, 해당 유해물질이 1급 발암물질이 아닌 3급 발암물질이라 유해성 논란이 과장된 건 사실임. 그리고 세녹스는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기준 위반으로 판매를 못 하게 되자 바이오 에탄올을 이용한 새 연료 개발로 베트남, 중국 등에 수출했음. 본인 논리대로면 유럽, 일본, 미국은 바보라서 기준을 만들고 판매 거부를 한 걸까요? 베트남, 중국은 멍청해서 그걸 거부하고 새 연료만 받아줬을까요? 5. 이미 일본에서도 1980년대에 유류세를 회피할 목적으로 세녹스와 동일 성분으로 똑같은 문제를 일으킨 사건이 있었음. 해당 사건이 터졌던 건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임. 정유회사가 무슨 신도 아니고 타임머신 타고 가서 1980년 일본한테 로비하고 1986년으로 가서 WWFC에서 기준 만들고 1990년대에 미국 가서 로비하고 그럴까요? 6. 법원에서 무죄가 나온 건 가짜 휘발유에 대해 '해외 사례와 연구 결과를 볼 때 세녹스에 문제가 있는 건 맞지만, 대한민국엔 정확한 기준이 없어 기준이 없이 처벌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어긋난다' 는 논리였지 세녹스 자체가 문제가 없다는 건 아니었음. 애초에 검찰이 기소 자체를 잘못한 것. 2심 3심에서 결국 탈세와 유사휘발유에 대한 점은 유죄로 판결남. 헌재에서도 정부는 문제가 되는 제품의 판매를 막을 의무가 있고, 정부의 행위 자체도 "첨가제 본연의 사용량에 부합하는 정도로 규칙에서 명확히 규정해 유사연료가 대기환경보전법상의 첨가제로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으로 정당하다." 고 판시함. (2003 헌 마 544·603)
@user-mq8vv9du3p
@user-mq8vv9du3p 2 жыл бұрын
@@user-Neapolitan6 당신의 인생을 사세요...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user-mq8vv9du3p 학교다닐 때 잠만 쳐자서 저런 상식도 모르고 선동당하는 사람보다는 나은 인생인 거 같은데요? 무식은 자랑이 아니에요...
@ds-k7878
@ds-k7878 2 жыл бұрын
@@user-mq8vv9du3p 너보다는 훨씬 똑똑한거 같은데?? 니가 당신의 인생을 살아라, 말아라 훈계질 할 그레이드는 아닌듯. 뭐하나 제대로 논리적 반박도 못하면서 근거 없는 비아냥거리니나 하는 꼬라지 보니까. 1찍은 무지성 찢 지지자 대깨문 100% 확실.
@user-tp3bk8we9q
@user-tp3bk8we9q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가 휘발류보다 더 환경에 좋다고 했는데 그 당시엔 관피아와 정유사의 공작으로 망한 더러운 케이스라고 알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세금문제로 편을 들어주지 않았죠. 댓글들 보니까 가짜세녹스 넣고 엔진망가지신분들도 있나본데 당시에 세녹스 짭도 엄청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 게다가 제조원가가 더 비싸서 세금 붙이면 더 비싸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우리나라 유류세가 비정상인건 인지하고 계신가요? 유류세가 일몰법으로 생긴겁니다. 인천공항 지으려고 한시적으로 만든 법인데 이걸 연장하고 연장하고 일몰법 연장기간까지 무시하면서 연장한겁니다. 온갖 세금을 붙이고서 다시 부가가치세가 붙습니다. 이중과세죠? 현 유류세는 폐지하고 상식적이고 올바른 유류세를 만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user-qp8ki1nw8x
@user-qp8ki1nw8x 9 ай бұрын
유류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만약 지금정권서 1500원이라면 800원이 유류세. 세계유가 내렸음에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1700원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g3wh4ui8x
@user-eg3wh4ui8x 2 жыл бұрын
2004년쯤인가 아토스에 자주넣고 다녔네요. 세녹스 간판보고 차 골목에대고 넣고했던 기억이....
@wongyuchoi2017
@wongyuchoi2017 2 жыл бұрын
첫차액센트에 엄청넣고다녔는데 연비도좋고
@ljoomin
@ljoomin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몇번 안 넣어봤지만 그래도 엔진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해서 반반 섞어 넣고 유용하게 탔던 기억이 있네요
@lIllIIlllIIIII
@lIllIIlllIIIII 3 ай бұрын
아버지 구아방탈때 간판도없는 작은가게앞에 주차하고 경적한번울리면 아주머니가 알아서 업소용 식용유 통 같은곳에 담긴 신나 2통 들고와서 넣어주셨는데 나도 덩달아 연료게이지 올라가는거보고 뿌듯했음
@user-kd8zs5fj7m
@user-kd8zs5fj7m 2 жыл бұрын
울아버지 세녹스 매장3개하셧다가 초반에 때돈벌고 1년도안되서 망해부렀음 결국 번돈으로 빚내서 한거 또이또이했는데 초반에 돈너무벌어서 아버지가 돈새는 기계까지사와서 돈샌거 어렸을때 기억나네 ㅠ 한5년만했어고 금수저소리들었을거같은데
@user-bq4zm1ur4g
@user-bq4zm1ur4g 2 жыл бұрын
뭐.., 이건 나라에서 제한한거니 아쉬운거죠…
@-20.41
@-20.41 4 ай бұрын
그냥 지들 꼴리는데로 앞길 문제되면 세녹스든 세녹슨 애미든 밟아죽이는거임
@user-gv5um2vn3s
@user-gv5um2vn3s 2 жыл бұрын
정유회사, 국토부, 현대차까지 합세해서 전방위적으로 세녹스를 까댔던걸로 기억합니다. 가짜이고 세녹스 넣으면 엔진 망가진다는 말을 세뇌에 가깝게 전했었죠..근데 그도 그럴게 순수 세녹스는 품질이 좋은데 가짜 세녹스 제조하는것들이 알콜을 집어 넣는 바람에 그런거였던걸로 기억해요.
@user-tt2lb8xb6x
@user-tt2lb8xb6x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기름을 쓰면 쓸 수록 실제로는 미래 세대들에게 않 좋은 것인데 왜 미래 세대의 권리를 보장을 않 하나요?
@illiilot4425
@illiilot4425 2 жыл бұрын
@@user-tt2lb8xb6x 투표권이없으니까
@AssyOdozzasae
@AssyOdozzasae 2 жыл бұрын
저당시 초딩떄였고 아버지가 소나타몰면서 세녹스 넣고있었는데 그 차 몇년탔었음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2 жыл бұрын
알콜을 25퍼센트까지 첨가해도 차는 잘 굴러갑니다. 근데 알콜이 더 비싸요. 휘발유보다... 세금 때문에 휘발유가 비싼거지.
@son9291
@son9291 2 жыл бұрын
@@user-tt2lb8xb6x 다른 나라 사람 권리도 보장 안 해주는데 뭔 미래 사람 권리를 보장해줘요 환경보호해서 미래 사람 권리 보장할거면 당장 아프리카에 예산 다 때려부어서 의식주부터 제공해야지
@user-yc3cs4lr1n
@user-yc3cs4lr1n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네요!! 딱 20대초반 결혼 전 노래와 뉴스들 그땐 신경도 안 쓰던 뉴스!! 이런 영상들은 어디서 구해 작업 허는지 신기하네요..
@user-zm4qn5ub4q
@user-zm4qn5ub4q 3 ай бұрын
새녹스 창립맴버입니다. 20년전 역삼역 스타타워 16층 그 시절 역동의 시절이었습니다.휘발유나 세녹스나 또같은 차량연료입니다. 국가가 세금목적으로 기업을 죽인거구요. 사장과 본부장은 지금은 70노인으로 세금추징과 벌금으로 근근히 궁핍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user-or6fn1rm2t
@user-or6fn1rm2t 3 ай бұрын
이거 다시 부활해야합니다
@ehdgoanfrhk
@ehdgoanfrhk 3 ай бұрын
같은 차량 연료라면 똑같이 세금을 내면 됩니다. 세금목적으로 죽이는게 아니라, 연료첨가제가 아니라 실제로 휘발류로 판매되었잖아요. 그건 문제가 있는거죠.
@user-gl3eg2cm7x
@user-gl3eg2cm7x 3 ай бұрын
정유회사에서 정부에 돈먹여갖고 정유회사 밥줄끊길까봐 커져가는 새 기업을 죽여버린 ㅋㅋ 정부 부패의 표본이죠 지금 이거 이슈화시키는거도 막고 있을듯
@ham_punch
@ham_punch 3 ай бұрын
@@ehdgoanfrhk 님말이 저말이 잖아요 휘발유로 인정이 안돼서 저렴하게 판매한거라 세금이 줄어드니까 칼들고 나선 사건이라구요 환경이나 자동차에 문제가 되지 않으면 국민들에게 좋은일이지 정유사 배부르게 할 일 있나요?? 정유사 빼고 다 좋은일인데
@ehdgoanfrhk
@ehdgoanfrhk 3 ай бұрын
@@ham_punch 직장인들은 정신이 나가서 세금 내면서 사는 줄 알아요? 정당하게 세금내면서 제대로 경제활동을 해야죠. 그냥 싸면 좋다구요? 정신 나갔어요? 길거리 불법 노점상들 늘어나서 제대로 꼬박꼬박 세금내고, 카드수수료 내면서 장사하는 올바른 자영업자들이 망하면 그게 옳은 겁니까?
@syun8303
@syun8303 2 жыл бұрын
이해관계 있는 관료와 사법부의 농간이었군 사용 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었던기억이..
@user-ko8gd2bt8p
@user-ko8gd2bt8p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나온 세녹스는 고품질이었음 옥탄가도 높아서 출력및 연비도 좋았음
@user-pj1hj3oy1s
@user-pj1hj3oy1s 2 жыл бұрын
@@bf-1109 ?
@khackers
@khackers 2 жыл бұрын
@@bf-1109 옥탄가가 무슨 의민지도 모르고 헛소리 씨부리네
@user-ft8qj4vp3w
@user-ft8qj4vp3w 2 жыл бұрын
@@bf-1109 무슨 ㅋㅋ 차 만들때 세팅을 옥탄가 높은 연료로 타게 만들면됩니다 많은 외제차들이 고급유를 넣지요 고급유랑 일반유 차이점이 고급유가 옥탄가가 더 높다는겁니다. 외국 휘발유는 옥탄가가 우리나라보다 더 높게 세팅되어있어서 그런거고요 그거에 맞춰서 차를 만들면되는겁니다
@user-ft8qj4vp3w
@user-ft8qj4vp3w 2 жыл бұрын
@@bf-1109 고출력스포츠카가 한국에서 인기없는이유? 인기는많은데 못사는거 ㅋㅋㅋ 비싸기도하고 연비도안나오고 실용적이지않기에 안사는거지 다들 타보고는 싶어하죠
@user-ft8qj4vp3w
@user-ft8qj4vp3w 2 жыл бұрын
@@bf-1109 엔진에 부담을 많이주는거랑 고출력스포츠카가 인기없는거랑 무슨상관인지 ㅋㅋㅋㅋ
@user-uo4uy2vk8p
@user-uo4uy2vk8p 4 ай бұрын
미국도 처음 지엠에서 전기차 나올때 정유사압박에 무너지고 말았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이런 기술을 발전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것도 좋을텐데 엔진기술도 발전한만큼
@hang_nam
@hang_nam 2 жыл бұрын
20년전 영상인데 엄청 오래된 시절같네 내기억속의20년은 엊그제인데..ㅜㅜ
@tumoro
@tumoro 2 жыл бұрын
법의 틈새를 파고든 사업모델과 기존 제도권 시장의 갈등이라는 점에서 여러모로 15년 뒤에 일어난 타다베이직 vs 택시와 비슷한 사건 같네요.
@user-ny6um4sd7t
@user-ny6um4sd7t 3 ай бұрын
그거랑 전혀 다른데
@virinsensatus2001
@virinsensatus2001 2 жыл бұрын
에나멜신나, 소부신나, 메탄올을 5:4:1로 섞으면 됩니다. 참고로 세녹스는 6:3:1의 비율입니다.
@user-bi9qo9to2l
@user-bi9qo9to2l 2 жыл бұрын
첫차가 에스페로였는데..아무문제없었음,... 물과 기름을 섞을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는데 정유사특히 유공이 특허시비를 걸어 개발업자 고발하는 어처구니없는횡포는 여전하네요
@user-qs1fq8mn6w
@user-qs1fq8mn6w 5 ай бұрын
저게 기름보다 비싼데 뭐래는거임 ㅋㅋ 세금 안붙어서 싼거지
@user-lf3wm9vp8h
@user-lf3wm9vp8h 4 ай бұрын
​@@user-qs1fq8mn6w최종 소비자 가격이 중요한거지 그럼 원산지 100원인데, 유통 거쳐서 500원인게 좋음 아니면 원산지 200원인데, 유통 거쳐서 300원인게 좋음? 답답하다
@skyeye8519
@skyeye8519 4 ай бұрын
이제와서 개발한건 아니고 100년은 넘은 기술임... 나치독일이 저 원조기술로 연료 사용량 50퍼센트, 항공유는 90퍼센트 이상 충당했음. 연료 첨가제라면서 허가받아놓고 틈새시장 공략하려다가 두드려맞은거고 ㅋㅋ
@user-hh2do2qq3v
@user-hh2do2qq3v 4 ай бұрын
​@@user-qs1fq8mn6w등신인가
@user-qs1fq8mn6w
@user-qs1fq8mn6w 4 ай бұрын
@@user-lf3wm9vp8h 아니 유통가가 아니라 나라에서 붙이는 세금을 우회하는거라니까? 뭔 유통비임 세금이 뭔지 모름? 지금 저건 원유 수입비가 유류세 없이 리터당 800원인 상황에서 저 원유를 가공해서 리터당 1200원짜리를 만들어 파는거임
@ssnie
@ssnie 2 жыл бұрын
영업 엄청 뛸때 기름값 감당안돼서 한 2년넘게 사용했는데 차에 아무이상도 없었음...
@cell4439
@cell4439 2 жыл бұрын
아빠한테 물어봤는데 사용해본 후기론 기존 휘발유랑 차이 없었대요. 세녹스 사라진게 많이 아쉽네요
@jungsukim2265
@jungsukim2265 2 жыл бұрын
더 좋았음
@fanaty1
@fanaty1 2 жыл бұрын
님아빠가 뭔데 ㅋㅋㅋ
@user-oc4yx9ob9o
@user-oc4yx9ob9o 2 жыл бұрын
@@fanaty1 그 시대에 실소비자지 뭐긴 뭐야
@PRND2004
@PRND2004 2 жыл бұрын
@@user-oc4yx9ob9o ㅋㅋㅋㅋㅋㅋㅋㅋㄹㅇ
@wt9468
@wt9468 2 жыл бұрын
@@user-oc4yx9ob9o 할말이 있는데 이것보다 이상으로 하면 내 주머니가 가벼워질까봐 참는다 ㅋㅋㅋ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2 жыл бұрын
바이오 알코올도 쓰는데, 저건 뭐가 문제였지...
@dorque1030
@dorque1030 2 жыл бұрын
꼬운거지. 지만 세금 아끼고 팔아먹을 수 있으니까.
@user-vc4jg3rk6c
@user-vc4jg3rk6c 2 жыл бұрын
세금을 못먹이잖아요..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기재부가 싫어함
@user-ss2ee7nz5f
@user-ss2ee7nz5f 2 жыл бұрын
기름에만 세금을 메기는 이유가 외화 유출 석유 고갈이면 세녹스에 세금을 메기지 않는게 맞고 환경보호면 메기는게 맞긴 한데 정부는 세금 줄어들까 걱정하는거 같음
@user-so4si2ob9p
@user-so4si2ob9p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 자체도 일몰법으로 한시적으로 걷는 세금인데 일몰기간 끝났음에도 12년째 연장 해서 없어져야 할 세금인데 아직도 받아먹으면서 경제 어렵다고 서민 위하는척 하면서 세금 깍아주는척 하고 있는걸 알아야됨 유류세 일몰법 검색해보세요.
@D_Fox_JH
@D_Fox_JH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알기론 당시 순수세넥스는 품질이 좋았던걸로 기억하는데... 정유사의 로비와 불량세녹스 때문에 결국 판금당한걸로 아는데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순수 세녹스도 메탄올 10% 함유라 저질인 건 마찬가지.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선 이미 저 사태랑 똑같은 사태가 있어서 일찍이 사용 금지됨. 정부가 이런 사태가 처음이다보니 규정 자체가 없어서 이 꼬라지가 벌어진 거.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에초에 wwfc 국제 기준에선 메탄올 자체가 검출되면 안 됨.
@GANADA_216
@GANADA_216 4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 2002~2005년 사이에 세녹스 간판을 단 주유소가 있었다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진 거 같았는데 이러한 이유가 있어서 시장에서 사장되었군요..
@Android__18
@Android__18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세금을 못걷어들이니까 불법 때려 버린거죠 나도 세녹스 잘 넣고 다녔었는데 아쉽네
@pcpc5455
@pcpc5455 2 жыл бұрын
문제가 된건 세녹스만 넣고도 자동차 검사에서도 아무문제가 안나오니 이게 대체 연료가 아닌 유사휘발유로 분류된듯 해용. 그리고 시너를 사용한 가짜 휘발유가 세녹스란 이름을 붙혀팔아서 이것도 문제된듯 해용..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2 жыл бұрын
세금 비중이 달라서 ㅋ 세금 많은 정유사 손 들어줌
@user-ls6jr1kp6m
@user-ls6jr1kp6m 2 жыл бұрын
90% 신나를 세녹스 라고 속이고 팔았음 한
@coolso5053
@coolso5053 2 жыл бұрын
말통으로 두개넣으면 30000원 했을따가 그립네요...
@getsk
@getsk 2 жыл бұрын
4:11 와 이분 반갑네여ㅠㅎㅎㅎㅎ 어릴때 자주보던 얼굴 목소리
@AMG_GLC43
@AMG_GLC43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시절 넣고 다녔었는데 사실 약간의 출력 저하는 있었음. 세녹스가 없어진 후 세녹스를 가장한 신나 섞인 불량 연료도 많이 있었죠.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2 жыл бұрын
대구 오세요 신나집 아직도 많아요.
@fgfgqweqwe2997
@fgfgqweqwe2997 2 жыл бұрын
@@user-rw9du8kn8z 대구에서 본적이 업구만.. 어디잇다는거죠?
@yongwookkwon8015
@yongwookkwon8015 4 ай бұрын
ㅎㅎ 대구 신나집 아직도 있나요? ㅋ 추억 돋내요 ~ 모텔입구처럼 발 쳐놓고 페인트 집에서 많이 넣었었는데 ㅋ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2 жыл бұрын
0:11 그 당시에는 전기, 수소차 보기가 힘들었죠. 단, 지금은 있으나 차값이 비쌉니다.
@user-jg6iv1lp1z
@user-jg6iv1lp1z 2 жыл бұрын
세눅스 완전 좋았는데 차도 휘발유 넣었을때보다 잘나가고 계속 넣고 탔을때도 아무 이상도 없던데 자동차 소리도 더 조용해진거 같고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1:40 세녹스 제조원가가 더 비싸죠 뭐가 더 좋은 연료겠습니까? 3:04 환경부에서 규제적합, 차체손상없다고 인정했구요 4:24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배출한다고 하는데 ㅋㅋㅋㅋ 일반 휘발유는 유해가스 배출안하나요? 그냥 말장난 갖다 붙인거구요 그냥 세금 못걷으니까 차체부식이니 유해물질이니 갖다 붙여서 판매금지한거죠 gs칼텍s, 에스오1, 현ㄷ오일 등등 정유회사에서 로비쳐서 판매금지시킨겁니다
@user-dr5pt1rd3r
@user-dr5pt1rd3r 2 жыл бұрын
이미 스마트휘발유등등 기존보다 가격 저렴하고 연비향상된 기술력있다. 시중에 풀지만 않았을 뿐이지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 2 жыл бұрын
연식이 많이 된 차량은 세녹스쓰면 엔진이 더 좋아짐
@sksskdi
@sksskdi 2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이른바 신나집이란게 엄청나게 인기였음 동네 양아치 반달들 죄다 신나집 차려서 한몫 단단히 챙기던 시절이 있었지 유독 신나빨 잘받는 차들도 있었고
@han9016
@han9016 2 жыл бұрын
소나타 ㅋ
@user-rq8ix6zm6q
@user-rq8ix6zm6q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집앞에 신나집 구아방 자주들어가던데 ㅋㅋㅋ
@user-ys7ks1wr8v
@user-ys7ks1wr8v 2 жыл бұрын
르망ㅋㅋㅋ 신나빨 최고
@damc_official
@damc_official 2 жыл бұрын
엔터프라이즈 ㄷ ㄷ
@jhb1
@jhb1 2 жыл бұрын
엑센트 아반테
@user-iuaena
@user-iuaena 2 жыл бұрын
휘발유 전에 1600원대 일때도 비싸다고 돌아다니면서 1500원대 찾아서 기름넣고 했었는데 지금은 너무 비쌈 ㅜㅜ
@dontholdback3274
@dontholdback3274 2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Hakseo
@Hakseo 2 жыл бұрын
@@dontholdback3274 저쩔티비~
@bikergoalie
@bikergoalie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네이버 카페 들어가보면 정품 세녹스 암암리에 팔긴 하던데~ ㅎㅎ 저거랑 엘피파워던가?
@pmw1129
@pmw1129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생각하는것만큼 세녹스가 사기적인 에너지가 아님. 생산단가가 휘발유보다 높은데, 유류세를 안내기 때문에 휘발유보다 훨씬 저럼했던거 세녹스가 다시 나오면 휘발유랑 같은 세금 붙어서 절대 휘발유보다 비쌀수밖에 없음
@user-qr4mg5qc8m
@user-qr4mg5qc8m 2 жыл бұрын
아니 그니깐 애초에 첨가제로 판정난거아님??
@ssjjpark4660
@ssjjpark4660 2 жыл бұрын
@@user-qr4mg5qc8m 첨가제인데 첨가가 아니라 그것만 사용했으니까 유류세를 붙이는 방향으로 갔을거란 거임
@user-yb2xm3iy2c
@user-yb2xm3iy2c 2 жыл бұрын
잘 아셔야 하는게 세녹스는 제작원가가 더 비싸여.. 휘발유가 국내에 들어오는 값보다 비싸단거죠,, 유류세를 회피했기에 임시리 쌌던거고 결국 석유제품으로 되어서 유류세 포함되면 더 비싸짐,,, 그래서 유사휘발유로 판매했기에 990원이 가능했음
@user-vb3il8ig6s
@user-vb3il8ig6s 2 жыл бұрын
영상초반에 다나오는내용인데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user-vb3il8ig6s 문해력 떨어지는애들은 세금이 거품이라고 떠들어댐
@johnniegwag4820
@johnniegwag4820 2 жыл бұрын
그때 액화석탄 개발을 했어야 했어요. 그럼 석유값이 안오르는데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johnniegwag4820 원유값이 올라도 액화석탄보단 쌈. 셰일오일이 채산성이 60달러인건 암??
@RG-qb8cz
@RG-qb8cz 2 жыл бұрын
@대충다함 저 그때 5살이여서 못봤음....
@Kamielluna
@Kamielluna 2 жыл бұрын
핼조센 앤딩으로 봐야할까... 시대를 앞서간 연료로 봐야할까...
@yankeeizm
@yankeeizm 3 ай бұрын
진짜 저게 시대를 앞서간 연료였으면 다른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있겠지만 지금 세녹스나 그 비스무리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제선진국이 하나도 없다는게 팩트
@lifeistravel7
@lifeistravel7 3 ай бұрын
원가가 비싸서 다른나라에서 개빌 안했을수도 있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테스트해보먄 대체제가 될수도 있고.. 많이 이쉬운 일이네요
@Escarpey
@Escarpey 3 ай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전기차가 진작에 나올수 있었지만 석유사업 관련국가, 업체들의 횡포로 늦어짐...친환경연료를 만들수 있음에도 연구를 막았다고 보는게 맞는듯
@user-nasanato
@user-nasanato 2 ай бұрын
​@@yankeeizm 미국 브라질은 바이오 에탄올을 휘발유에 20% 정도 첨가해서 쓰던데
@user-tu7sf4si9o
@user-tu7sf4si9o 2 жыл бұрын
좋은 대체 연료지만 세금 때문에 철퇴를 맞은 연료지요 세금을 휘발유와 같은 요율로 적용하면 처음부터 만들지 않았을 연료임
@ggorazitv692
@ggorazitv692 2 жыл бұрын
동네 후미진 주차장 한 켠에서 한 캔에 1만8천원 주고 두 통씩 넣었던 기억이.. 중동으로 간 97년식 내 첫차 아반떼는 여전히 잘 굴러가고있겠지. 최신가요 cd도 같이 넣어보냈는데.
@doyouknow_MTE
@doyouknow_MTE 2 жыл бұрын
'양카에는 세녹스' - 양카유튜버 조 모씨 -
@user-fk7cu1it1y
@user-fk7cu1it1y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는 잠깐 팔리다 사라졌지만 짝퉁세녹스는 그이후에도 계속 판매되었음. 무려 10년간. 프라이드 폐차후 세녹스도 같이 끊음.
@user-yg7ug2ut1n
@user-yg7ug2ut1n 2 жыл бұрын
근데 다 좋지만 차에는 안 좋더라구요..!그래서 다시 휘발유를 넣었던 기억이 나네요!세녹스도 나중엔 경쟁업체들이 많아져 더 질이 안 좋아졌어요!..
@wilpark
@wilpark 3 ай бұрын
불스원샷처럼 팔되 크기를 좀 크게 해서 비율을 늘렸으면 장기적으로 크게 됐을듯 첨가제로 신고하고 세금은 적게 내면서 연료로 사용되니 욕심을 부렸다고 봐야지... 물론 차에 무리가 있고 환경에 문제를 야기 시킨다면 없어지는게 맞지만
@user-bt6tj2ex6n
@user-bt6tj2ex6n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휘발류보다 완전연소가 더 잘된다는 검사 결과도 나왔다는 썰도 있었죠~ㅋ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жыл бұрын
@@user-id5qg2or4p 심보가 도루묵이다 ㅋㅋ굳이 저걸 지적해야하나?ㅋㅋ
@ropenoanswer8976
@ropenoanswer8976 2 жыл бұрын
@@user-id5qg2or4p 이런 애들은 외국에서는 문법나치라고 불림 ㅋㅋㅋㅋㅋ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user-id5qg2or4p 9급 공무원 준비하다가 포기한애들이 문법나치 심함 이거라도 안하면 진짜 허송세월보낸거같으니까 그래서 문법나치 볼때마다 짠함
@user-xw5kb9jp1r
@user-xw5kb9jp1r 2 жыл бұрын
@@kangbitcoin 그만해 이미 그애는 죽엇어
@Carhartt1889
@Carhartt1889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휘발유 세녹스 6:4 비율로 잘 넣고 다녔으면 아직까지 있었을 듯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대충다함 사실상 연료로 쓰는걸 첨가제란이유로 세금 다르게 적용하면 정유회사가 억울하지.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정유사의 로비 능력은 상상을 초월함.
@elvenisar
@elvenisar 2 жыл бұрын
세전 가격으로 비교하면 휘발유가 훨씬 싼 물건입니다.
@user-sz9dx3op6q
@user-sz9dx3op6q 2 жыл бұрын
막판에 가짜도 판첬음 하우스? 같은데가서 몰래넣고ㅋㅋ
@user-xl9ck3mq4f
@user-xl9ck3mq4f 2 жыл бұрын
@@user-sz9dx3op6q 근데 그거만 넣어도 좋았죠 완전 없어질때까지 넣었죠
@user-dj5gb6sq3u
@user-dj5gb6sq3u 2 жыл бұрын
결론적으로 밥그릇 싸움으로 인해 사라진 아쉬운 연료....
@user-wd1ue9uc7z
@user-wd1ue9uc7z 2 жыл бұрын
첨에나온 세녹스는 그닥 차에 문제는 별루 없엇지만 추후에 불법으로 무더기로 판매하던 신나는 메탄을 첨가하기시작 단가를 더 싸게 해서 마진을 올릴려고 판매햇던 제품이 문제가 많앗음 그리고 그걸 판매햇던 신나통을 세척도 없이 그냥 계속 사용 불순물이 많아지고 연료필터 고장이 많아짐 저렇게 주유소에서 판매하지않고 차량에 실어서 깡통으로 배달 ㅎㅎ
@Hunting-cheetah
@Hunting-cheetah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많이 넣었는 데 나중에 연료분사 부품인 인젝터에 문제가 생김.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구리를 쓰고 외제차는 카본을 쓰기에 우리나라는 고장이 남
@user-pw2rx7fr4d
@user-pw2rx7fr4d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가 진짜 그런문제를 이르키는지 확인 됐음좋겠내요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1:40 세녹스 제조원가가 더 비싸죠 뭐가 더 좋은 연료겠습니까? 3:04 환경부에서 규제적합, 차체손상없다고 인정했구요 4:24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배출한다고 하는데 ㅋㅋㅋㅋ 일반 휘발유는 유해가스 배출안하나요? 그냥 말장난 갖다 붙인거구요 그냥 세금 못걷으니까 차체부식이니 유해물질이니 갖다 붙여서 판매금지한거죠 gs칼텍s, 에스오1, 현ㄷ오일 등등 정유회사에서 로비쳐서 판매금지시킨겁니다
@Jjongddetv
@Jjongddetv Жыл бұрын
"재범달려 일동은 세녹스 부활을 찬성합니다."
@user-jl7id5ru3t
@user-jl7id5ru3t 4 ай бұрын
신나도 추가요~
@kkooffddccggvvdd
@kkooffddccggvvdd 4 ай бұрын
잘 몰라서 그러는데 그러면 오히려 세녹스 넣고 주행하면 엔진때도 없는거 아닌가요??
@Zer0pay
@Zer0pay 2 жыл бұрын
지금 30대고 저때 초등학생이었는데, 그때당시 세금을 거두려는 정부와 손해를 보는 대기업 정유사들의 압력으로 세녹스가 망한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지금 생각해봐도 초등학생때 생각이 맞는거같다. 적정비율 지켜서 넣게 하면 기름도 아끼고 얼마나 좋누...
@KOREA_119
@KOREA_119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때부터 생각이 깊으셨군요..ㅋㅋ신기
@user-xo5wl2ry6x
@user-xo5wl2ry6x 3 ай бұрын
아니지. 세녹스가 가격경쟁력이 없어서 망한 거지. 정유사의 주장도 타당한 부분이 있음. 분명히 연료인데, 무려 휘발유랑 6:4 끼지 섞이는 사실상의 연료인데도 불구하고 내가 파는 휘발유는 연료 세금 내고 쟤가 파는 세녹스는 첨가제 세금을 내면 나한테만 불리하잖아. 당연히 세녹스한테도 똑같은 휘발유세 걷으라고 주장할 수 있는 거 아님? 정부 입장에서도 휘발유 팔면서 참가제 세금 내면 휘발유 세금 내라고 할 수 있는 거 아님?
@wolfk3893
@wolfk3893 2 жыл бұрын
문제의 핵심은 유류세. 사실은 비효율적인 삽질인데, 한국 유류세가 워낙 세율이 높다보니 세금 안내는 세녹스가 가격에서 역전하는 아이러니한 결과
@YoungJu_Cho
@YoungJu_Cho 2 жыл бұрын
경유도 똑같은거 아님?ㅋㅋ
@Soj9
@Soj9 2 жыл бұрын
@@YoungJu_Cho 그렇죠. 원가는 경유가 더 비싼데 경우는 생계형 차량이 많아서 세금이 덜해 휘발유가 더 비싸진거죠..
@joelkim5986
@joelkim5986 2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이 전세계 최초로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 먼저 개발되었으면 세녹스와 같은 운명이었을 것임.
@abc1a
@abc1a 2 жыл бұрын
환경에 너무 안좋아서 사라진거 아님?
@user-ug4fw2so4i
@user-ug4fw2so4i 2 жыл бұрын
@@abc1a 당시 정유사에 근무하던 사람의 말로는.. 화석연료보다 차에 좋다고 말한 근거는 없고, 더 나쁘다는 자료도 없다고 했지요.. 그냥 정유회사들의 밥그릇 논리에 당한 거 뿐이라고.. 환경에 대한건 더더욱 연구된 거 조차 없었고..
@nonname8662
@nonname8662 2 жыл бұрын
@@user-rv5ms9cq9r 옛다관심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user-ug4fw2so4i 그렇다기엔 유해물질 세부 기준이랑 첨가제 혼합 비율 기준 자체가 없던 시절이었음. 배출량에 대한 기준만 있던 시절이라 판매될 수 있었던 거. 애초에 원료가 석유인데 첨가제로 분류해서 세금을 탈루한다는 것부터가 문제고 현재 판매하면 현행법 위반임... 정유회사의 밥그릇 논리에 당했다고 선동된 사람들이 많은 걸 보면 진짜 제조사가 정치질 하나는 기가맥히게 잘 하긴 했음... 애초에 세녹스 제조사에서 주장한 실험 결과와 정유회사가 주장한 엔진 손상 가능성은 대상 자체가 다름. 알코올 계통을 원료로 하는 엔진과 그렇지 않은 엔진을 놓고 얘기를 하니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올 수밖에. 그러니 세녹스 제조사 말도, 정유회사 말도 경우에 따라 맞을 수 있는데 그걸 모든 차에 넣으면 장기적으로 볼 때 엔진 손상이 오는 건 맞았음. 근데 공무원들이 그걸 모르니 한 쪽 부처에선 세녹스 제조사 말만 믿고 한 쪽 부처에선 정유회사 말만 믿어버렸던 거임. 정부가 대처를 병신같이 해서 그렇지 사실 세녹스는 불법 제품이 맞음. 애초에 엔진은 단기적으로 쓰고 버리는 부품이 절대 아님. 장기적 영향력을 생각해야함... 게다가 제품의 성능도 성능이지만 세녹스에 문제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석유를 원료로 하는 제품은 차에 연료로 쓰일 때 동일하게 세금을 매겨야하는데 사실상 저급 연료랑 다를 게 없는 세녹스를 분류만 첨가제로 탈세해서 유통하는 것은 누가 봐도 이상할 거 같은데...?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2 жыл бұрын
@@user-ug4fw2so4i 그리고 연구된 게 없다고 하기엔 이미 세녹스는 WWFC 기준 위반이라 유럽, 일본 등 이미 유사 사례가 있던 국가들은 기준 WWFC 기준을 따르고 있어서 판매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음. 연구된 게 없는데 세계 표준이 맞춰져있다는 게 웃기지 않나요?ㅋㅋ 그리고 한국도 유럽, 일본과는 별개로 고려대학교에 환경 연구 용역을 줬고 그 결과로 배출가스 자체는 양에 큰 차이가 없으나, 알데히드 등의 유독물질 배출량이 높았다는 연구 결과를 받음. 이 연구로 평가위를 열어서 법정 증거로 쓰이기도 했음.
@yijun825
@yijun825 Жыл бұрын
남이 잘되면 배아파서 시비걸어서 없애야되는거 같은 느낌이 드네요..
@user-babhd7166bsbva
@user-babhd7166bsbva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채널~떡상좀해라~!
@dubu999
@dubu999 2 жыл бұрын
20년전 휘발유값이 1200원이었네.생각보다는 그렇게 차이가 안나네
@chaneo5877
@chaneo5877 2 жыл бұрын
20년전 월급은 100만원정도인거로 아는데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korea_gd IMF로 인해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붙였는데 어느순간 정신을 차려보니 고정세금이 됨.
@user-so4si2ob9p
@user-so4si2ob9p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 자체도 일몰법으로 한시적으로 걷는 세금인데 일몰기간 끝났음에도 12년째 연장 해서 없어져야 할 세금인데 아직도 받아먹으면서 경제 어렵다고 서민 위하는척 하면서 세금 깍아주는척 하고 있는걸 알아야됨 유류세 일몰법 검색해보세요.
@hayabusa3408
@hayabusa3408 2 жыл бұрын
2010년쯤인가 달러 1700원갔을때 일반유 2200원이였어요. 그때 경험 덕분에 지금 상황에 내성이 생김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hayabusa3408 2012년에 경유 2000원까지 갔음 ㅋㅋㅋ
@jjunm2
@jjunm2 3 ай бұрын
정유사 기름쟁이들 밥그릇 뺏기는 문제로 없어진 세녹스 ㅠㅠ
@Jerison_kor
@Jerison_kor 2 жыл бұрын
2심판결에서와 같이 결국 문제는 교통세를 부과할수없었다는것
@duoman2912
@duoman2912 2 жыл бұрын
주유업계 수익때문에 이랬다 저랬다...................
@crazyski83
@crazyski83 2 жыл бұрын
와...세녹스 진짜 오랬만이다...저 때 엘란트라에 꽤 넣고 다녔었는데....
@jeokjae4192
@jeokjae4192 2 жыл бұрын
꼬추서요 ?
@Dragon5015.
@Dragon5015. 2 жыл бұрын
원래 뭐든 윗대가리들 견제와 힘싸움이 중요하지
@jhy56
@jhy56 3 ай бұрын
근데 애초에 도로관리,교통망관리 등등 각종 도로와 관련된 세금을 주유비를 통해 걷는걸로 알고있음. 즉, 저게 진짜석유든 가짜석유든 자동차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순간부턴 탈세에 해당함.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저것 외국서 합법으로 잘 장사하는데 우리나라만 막는다고 난리였는데
@Jackjackjack72727
@Jackjackjack72727 2 жыл бұрын
전 아직도 넣고 다닙니다 이름은 E10
@Rooftop_Coreano
@Rooftop_Coreano 4 ай бұрын
트워치 우버 다 날라가는거보면. 조선시대랑 별반 다르지 않음.
@DTEX2
@DTEX2 2 жыл бұрын
00:59 캬... 예비역 전역자 포스
@user-ue6il3zv8v
@user-ue6il3zv8v 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user-cf4mz5gb2g
@user-cf4mz5gb2g 4 ай бұрын
옛날 주철엔진에나 넣을 수 있었지 요즘같은 전자장비 잔뜩 붙은 알루미늄 엔진은 노킹에 실린더 내벽 다 긁힐 듯.
@user-oh2bd1tz2g
@user-oh2bd1tz2g 2 жыл бұрын
진짜 ㅋㅋ 사람 교도소 집어넣는거 정말 별거 아니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참나 ㅋㅋㅋㅋㅋ
@N4n1m0n0
@N4n1m0n0 2 жыл бұрын
정유회사가 국가 세금을 얼마나 많이 대주는데, 정유회사들이 빡쳤다면 결과는 뻔한거였음. 미국조차 정유회사들을 함부로 건들지 못할 정도니까.
@smcho7383
@smcho7383 4 ай бұрын
세녹스 엄청 넣었던 기억이 미국은 알콜성분이 의무적으로 넣는 바이오에탄올 휘발유 판매도 되고 법적으로 못을 밖을려고도함
@user-th7yj7lw9o
@user-th7yj7lw9o 6 ай бұрын
세녹스 사라지고 신나 톨루엔 섞어서 페인트 가게에서 몰래 팔던 제품이 있엇죠...
@user-tm9ls7jf8b
@user-tm9ls7jf8b 2 жыл бұрын
50cc 스쿠터에 넣었다가 엔진바로 고장났었는데 ㅋㅋㅋㅋㅋ 추억이네요 ㅎ
@oxox6758
@oxox6758 2 жыл бұрын
가짜 넣어겠지요 진짜는 ㄹㅇ좋았어요
@kangbitcoin
@kangbitcoin 2 жыл бұрын
1:40 세녹스 제조원가가 더 비싸죠 뭐가 더 좋은 연료겠습니까? 3:04 환경부에서 규제적합, 차체손상없다고 인정했구요 4:24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배출한다고 하는데 ㅋㅋㅋㅋ 일반 휘발유는 유해가스 배출안하나요? 그냥 말장난 갖다 붙인거구요 그냥 세금 못걷으니까 차체부식이니 유해물질이니 갖다 붙여서 판매금지한거죠 gs칼텍s, 에스오1, 현ㄷ오일 등등 정유회사에서 로비쳐서 판매금지시킨겁니다
@user-el1kf3uv1g
@user-el1kf3uv1g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가 옥탄가 더높고 잘나간다는 말있음
@No_Moo_Hyun
@No_Moo_Hyun 3 ай бұрын
그 반대임 열화 첨가제라서 옥탄가, 산소, 톨로엔 미달였음. 싸구려 첨가제로 팔았으면 아무 문제 없었는데.. 멍청하게 주유소 차린게 원흉
@307signal
@307signal 2 жыл бұрын
유사기름으로 단속 엔진에 손상적고 매연도 적었어요
@user-xx3mp3hd4t
@user-xx3mp3hd4t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한번 넣어본적있는데 세녹스 반 휘발유반이엿던가.. 권장 비율이있었을거에요. 제느낌으론 이질감은 전혀 없었구요 ㅋ
@watiptyltd2780
@watiptyltd2780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 판매되기 전에 이미...화공약품점에서 솔벤트와 토루엔을 1:1로 섞어서 타는 사람들이 꽤 있었는데~ (총 20L에 13,000원) 일단 차에서 신나냄세가 엄청 나고, 차 출력은 무슨 LPG차량처럼 고회전에서 완전 허당. 하도 궁금해서 휠마력 측정하는 다이노에 올려봤더니.... ㅋ~ 출력이 한 20%는 떨어지는데, 이게 RPM 6000회전 근처의 최대출력 이야기인지라, 저회전에선 거의 비슷하더군요. 이게 장단점이 명확한데~ 장점은 연소율이 좋아서 연소실내 (피스톤, 헤드, 밸브등) 카본때가 무슨 LPG차량마냥, 출고시처럼 완전 깨끗해지긴 하는데~ 장기간 사용시 고무를 경화시키는 치명적인 단점이! 알면 한 6개월에 한번씩 몇군데 없는 연료라인 고무부분을 교환해주면 되는데, 모르면 차에 불이 나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나중에 ECU맵핑 장비로 몇 가지 장난을 쳐보니, 정상 휴발류에 일정량의 토루엔만 첨가시킬 경우, 옥탄가가 올라가는 것과는 개념이 다르지만, 점화시기를 좀 당길 수 있어서 약간의 토크 상승을 기대할 수 있더군요. 그런데, 이 토루엔 첨가량이 일정부분을 넘어가면 폭발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폭발이 안되기도 하더군요. 만일 솔벤트만 휴발류에 첨가시키면, ㅋ~ 녹킹이...말도 안되게~즉! 고압에 버티지 못하고 그냥 스파크없이 자연발화가 되버리는 격인지라~ 그때 서야 깨달았죠. "아~ 이래서 솔벤트, 토루엔을 1:1로 섞어썼구나" 주절주절....
@user-ls6jr1kp6m
@user-ls6jr1kp6m 2 жыл бұрын
소부신나 한말 애나멜 신나 한말 같이 넣어야 하는데 애나멜 신나만 넣는놈은 시동이 안걸려 ~ 라카신나만 넣은놈들은 차에 불이나 ㅋㅋ 신나 추억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 2 жыл бұрын
우오ㅏ 박사님… 신기합니다
@user-he4im5mp6x
@user-he4im5mp6x 2 жыл бұрын
기름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훈장을 줘도 모자랄판에 세금못걷을 걱정에 범죄자를 만든 비운의 개발자
@ako2069
@ako2069 4 ай бұрын
유럽 서구 여러 국가에서도 에탄올을 첨가한 E10 제품이 세녹스 처럼 첨가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user-wf3th2jp5h
@user-wf3th2jp5h 3 ай бұрын
헐😮
@han8618
@han8618 2 жыл бұрын
지금 고유가 시대때 세녹스가 다시 나왔으면 좋겠다
@user-pc4sv9jn1w
@user-pc4sv9jn1w 6 ай бұрын
근데 지금은 법이 바뀌어서 세금이 붙는데다, 세녹스가 국내 사업은 접고 외국에서 판매중이긴 한 데, 그 때 처럼 석유추출물질이 아닌 식물성 에탄올 연료인데다, 식물성으로 파는 이유도 다른 나라에서도 그 때 판매했던 석유추출물질로 만드는 건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고, 그나마 세녹스 판매하는 국가들도 세녹스만 따로 주유하는 게 아니라, 일정 비율 (보통 10~15% 내외) 정도를 휘발유와 섞어야만 판매할 수 있죠.
@parkjh0821
@parkjh0821 2 жыл бұрын
경유에는 법으로 바이오 디젤 섞으면서 저건 금지해서 세금 어떻게든 뽑아먹으려는 생각만 했겠지
@user-so4si2ob9p
@user-so4si2ob9p 2 жыл бұрын
유류세 자체도 일몰법으로 한시적으로 걷는 세금인데 일몰기간 끝났음에도 12년째 연장해서 없어져야 할 세금인데 아직도 받아먹으면서 경제 어렵다고 서민 위하는척 하면서 세금 깍아주는척 하고 있는걸 알아야됨 유류세 일몰법 검색해보세요.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жыл бұрын
바이오디젤 원가 비싼건 아냐?
@user-du6dd2xx8t
@user-du6dd2xx8t 2 жыл бұрын
@@user-vq7rv1tt6z 원가는 세녹스가 저때 휘발유 보다 높았음. 논점은 세금이지
@hubsch7478
@hubsch7478 11 ай бұрын
솔벤트 톨루엔 알코올이면 옥탄부스터로 딱이네융
@jungrae5367
@jungrae5367 2 жыл бұрын
카~내아방이 세녹스 많이 때긴햏었지ㅋㅋ 추억의세녹스 단점이라면 오르막에서 힘이딸리는 느낌들때있었음 스틱차량이었고ㅋ
@allenlee2769
@allenlee2769 2 жыл бұрын
그당시 세녹스 넣고 탓었는데 엔진이 엄청 뜨거워졌죠.. 정속주행만 해도 매니폴드쪽에 시뻘겋게 달아올라서 불날까봐 불안하긴 했던 기억이 납니다..근데 출력은 오히려 좋았던거 같아요
@zonnage2877
@zonnage2877 2 жыл бұрын
그게 휘발성강한 신나같은것들이 첨가제로 섞여있어서 그런것 아닐까욤?
@user-pv2px7pf7r
@user-pv2px7pf7r 2 жыл бұрын
님이 넣은건 세녹스가 아니라 신나랑에나멜을 넣은 거고요 진짜 세녹스는 아무 문제 없어요 그 당시 신나랑에나멜을 섞어 팔았는데 세녹스라고 속여서 많이 팔았죠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2 жыл бұрын
가짜 휘발류겠죠! 세녹스 아무 이상없었음, 오히려 출력이 좋았죠!
@pmrjang1322
@pmrjang1322 2 жыл бұрын
같은 조건에서 엔진이 뜨겁다는건 열효율이 좋다는 뜻임
@hellcats2012
@hellcats2012 2 жыл бұрын
세녹스에 유해물질이 나와서 유죄라네... 그럼 일반휘발유에선 배기구에 꽃향기가 나냐???? 석유업계이권+정부세수 이 둘의 합작품....
@user-df3yw5tw6l
@user-df3yw5tw6l 2 жыл бұрын
포름알데하이드가 무시못할 용액이긴해요.
@hwanaya87
@hwanaya87 2 ай бұрын
한달에 기름 몇번 넣는다고 저러냐.. 업으로 매일 넣는 사람 아니고서야 저렇게 아껴봤자 한번 넣을때 5천원 절약하는건데 스벅가서 5천원자리 커피는 매일 마시면서 저런걸 아끼고 있어..
@user-vk6fr9wu6n
@user-vk6fr9wu6n 2 жыл бұрын
전자담배 생겼을때랑 비슷한 상황이였네요ㅋㅋ 뉴스에선 맨날 전담피고 폐가 썩었니 마니 ㅋㅋㅋ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욜로? 소확행? 라떼는 웰빙이었어~!|크랩
5:17
크랩 KLAB
Рет қаралды 440 М.
북한으로 관광가던 그때 그 시절|크랩
5:31
크랩 KLAB
Рет қаралды 327 М.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