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더 변호사 사는 이유기 형량 줄이기 위함임 사기, 횡령, 배임은 피해금액 변제하기 전에는 교도소에서 나오게 해주면 안되고 피해금액 다 변제 한 후에 석방하는 제도 필요함
@모두감사-n8f Жыл бұрын
법의 무지한 나홀로 소송이라는게 부가가치를 놓고 봤을때 어찌보면 판결 마지막에 더 많은 손실이 있지 않을까 해서. 그리고 변호사님 말씀처럼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음이....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 감사요 ^!*
@hyang-taikshim7173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lawyer_parkjuhyun3 ай бұрын
@@hyang-taikshim717 감사합니다 ^^
@ymadcorporation24 күн бұрын
변호사님 영상 잘 보고갑니다!
@lawyer_parkjuhyun18 күн бұрын
@@ymadcorporation 감사합니다 ^^
@희성박-m9l Жыл бұрын
네네 감사합니다.~^^♡
@진석박-r3m Жыл бұрын
변호사님 연락좀주세요 어떻게 할지 모르겠습니다
@juhyeonkim30742 ай бұрын
돈만받고 일 안하는 변호사 많긴 하던데요. 법좀 아는 사람은 변호사 비용이 제일 아까움 ㅋ 대여금 청구소송을 해서 승소한다고 쳐도 상대방이 가진게 있어야 돌려 받죠 ㅋ
@람폰텐6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작약-s6b4 ай бұрын
2:12 소가 1천이상은 의뢰 효율적 변호사비용청구 1백, 1천이하 서면만의뢰
@learekorea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여기 계신분들중 경험 있으신분께 질문좀 드려요. 디자인권 침해 관련 민사소송 진행 중이고 현재 간접강제 신청으로 승소 판결문을 받았고 피고에게 변호사 비용을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요. 궁금한점은 변호사 보수 관련하여 수임료 (성공보수 및 패소시까지) 모두 지불을 한 상태인데 만약 추가로 소송비용 확정신고 및 강제집행 까지 가게 된다면 보통 별도의 수임료가 추가적으로 발생 하는것 인지 궁금합니다.
@lawyer_parkjuhyun2 ай бұрын
@@learekorea 처음 계약하기 나름이고, 포함해서 계약하지 않았다면 추가로 발생합니다.
@mariahcarey367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동생이 킥보드로 사람을 쳐서 피해자(골절상, 40일 입원) 자동차해상보험에서 치료비 1200만원과 손해배상금 1900만원이라는 너무나 큰 액수를 구상금 청구 소송을 걸었는데, 집이 가난하고 아무것도 그당시 아는게 없었고 변호사 선임을 한다고해도 손해배상금 1900만원을 변호사 선임비용 대비 얼마나 줄일 수 있을까 겁이났었고 보험사에서 겁을 주길래 일단 분납 조건으로 5회차 납입중에 있습니다. 근데 이것은 제가 이 금액을 인정해서 분납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자꾸 겁을 줘서 일단 분납해서 치료비 정도만 내고 나중에 소송을 하든지해서 소가를 줄여야 겠다고 혼자 생각했었습니다 (답변서 낼 생각도 못했씁니다)ㅠ 근데 지인들에게 물어보니 돈을 주면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ㅠ 불리하다고,,, 1회차 납입하고 한달뒤에 법원에서 판결문이 날아왔습니다. 지급하라고... 그 판결문이 날아온지 2개월정도 지난 상황입니다.. 이경우 이의제기를 할 수 있을까요? 항소라고 하나요...? 기한이 2주라는데 제가 여기서 뭘할 수 있을까요 ㅠㅠㅠ
@정코코-p9f10 ай бұрын
부당전보관련 주변지인 소송준비및 의견 함께 하고자하는 사람들이 회사내 있어서요 지금 준비중 입니다. 근대 질문이 있는대요 변호사님 가벼운 마음 생각해주셨음 좋겠는대요 외국(대기업)관련소송 해본적 있으신지요? 예를들면 불법파견 관련 퇴직금 부당전보(회사변호인 김앤장 입니다) 아무래도 만나서 충분한 상담하는게 현명 할까요???.
보이스핑 피해자 입니다ᆢ쌍방합의해서 피해금액일부는 변제받고 나머지는 월 변재한다고 하였는데 약속을 지키지 읺고있어 민사소송 을 할려고 하는데 가능할까요
@홍끌로드6 ай бұрын
영상감사드립니다. 저와 고소인은 직장동료입니다. 명예훼손 건으로 고소인과 600만원에 합의(고소취소서면 제출)를 봤는데 고소인이 강요와 협박에 의해 합의할 의사가 없었는데도 어쩔 수 없이 합의했다고 직장 인사팀에 허위사실을 흘리고 있어 너무 억울합니다. 합의금을 돌려받을 방법이 있는지요? 있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주장
@lawyer_parkjuhyun5 ай бұрын
합의를 돌릴 수는 없을 것 같고,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홍끌로드5 ай бұрын
위건이 직장 내 괴롭힘이 되어 저는 사용자로부터 중징계를 받아 선처를 받기위해 피해자와 합의하여 저의 선처를 바라는 문구를 기재했는데 피해자는 노동위윈회에서 강요와 협박에 의해 합의할 의사가 없었는데 합의했다라고 진술했습니다.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궁금합니다.
@이설-u4c4 ай бұрын
변호사님 저는4남 1녀장녀로 살다 아빠는5년전 돌아가시고 작년엄마 돌아가시면서 제가 엄마가 데리고 재혼했고 입양 된걸 알았고 남동생이 법무사를통해 소송을했고 저도 법무사를 써서 대응했는데 저는 1차판결에서 승소하였는데 항소장을 받았습니다 제살아온 기록들 다 제출해서 증영도했고요 저와둘째는 같은생각이고 큰동생 막내는 한편이되어 저를 괴롭힙니다 끝난줄 알았는데 항소라는걸 또 해서 60월 27일 변론기일에 변호사를 알아보는게 나을까요 ?
@lawyer_parkjuhyun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1심에서 증명할 자료 모두 제출했다면 충분히 소송에 임하셔서 승소했을 것 같습니다. 변호인 선임 필요성이 있는지 판단을 위해 소송기록 검토만 의뢰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