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방정식을 알게 되면,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겁니다!

  Рет қаралды 366,18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414
@12math
@12math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Q_uestion
@Q_uestion Жыл бұрын
ㅋㅋ
@한보람
@한보람 Жыл бұрын
오메!!
@최성권-n6j
@최성권-n6j 2 ай бұрын
헐 레ㅡ전드다
@테미-doviviS2
@테미-doviviS2 Ай бұрын
121212
@paulk2216
@paulk2216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이 되게 공감되네. 사람이 학문을 배우려면 동기가 있어야하는데 유독 수학에만 그런게 빠져있는 느낌이 있음. 다른 학문을 위한 도구라는 느낌이 강해서 그런지몰라도 수의 아름다움은 배운 기억이 없달까. 개인적으로 수학의 매력이 이 영상에서처럼 인간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곳에서 나타나는 규칙성과 그걸 이해하려는 노력이라 생각하는데, 고등 교과과정부터는 이해를 위한 시간을 주기보다 선행을 위한 선행이 되풀이되면서 누가 먼저 나가떨어지는지를 시험하는 전력질주를 하는 것 같았음. 급하게 암기하다보니 당연히 자기가 배운 내용의 쓰임새를 파악하기 어렵고, 거기서 유도된 또다른 수식을 마주하면 연관성을 찾기보다 매번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감각으로 접근하게 됨. 필요하니까 배워야한다는 건 맞지만 학문에 매력을 느낄 시간도 안주고 일단 외우라는게 과연 효과적인 교육방식인진 잘 모르겠음.
@sd68127
@sd68127 Жыл бұрын
그건 철저히 학자입장에서 내놓는 아쉬움일 뿐.. 우선적으로 생명체로서 살아가는 우리 인간은 생존이 더 급선무.. 생존에 필요한 수학이 당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수학보다 중요시되는건 자명한사실.. 안타까워도 바꾸기 쉽지않음.. 영생을 얻지 않는이상
@bananabeak4674
@bananabeak4674 Жыл бұрын
음.... 근데 막상 배워야지만 주변이 차근차근 보이는거라.... 물론 셤과 순수학문은 다르지만...그래도... 배워야한다고 저는 생각되네요... 기본적인 수에 대한 지식이니...
@curious6468
@curious6468 Жыл бұрын
​@@sd68127생존을 위한 수학적 측면에서 마찬가지로 암기와 기술을 요구하는 시험은 하드웨어를 만드는 사람이아니라 그 자체를 양산하는거죠 투자의 관점에서 머리가 좋지않거나? 암기를 싫어하는데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는 유능한 학생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없다는건 큰 손실입니다 암기는 암기가 필요한 분야에만 시험적용해야지 줄세우기 간단한 방식이라고 아직도 적용하고 있으니 사회적 관성상 그러려니합니다 교육관계자라면 대부분 인지하고 있지 않을까요 비율이라는 단순한 개념을 생각했을때 어떤 대상을 관찰할 때 비율이란 게 보이게 해야되는데 비율 그 자체를 학습하니 생존에 생각이 나겠냐 이말입니다!!
@curious6468
@curious6468 Жыл бұрын
저 같은 경우는 학창시절 국어는 가스라이팅 당하는 느낌에 재밌는건 역사와 생명과학 밖에 없고 나머진 다 이걸 내가 왜 외워야하지? 라는 의문에 들은 많은 답변들은 학력과 돈을 위해 밖에 없으니 열심히 할 생각이 전혀 안들더라고요
@curious6468
@curious6468 Жыл бұрын
모두가 사회가 이 정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사람의 추상적인 사고력인 점 인지했으면 좋겠습니다
@최승진-z7o
@최승진-z7o Жыл бұрын
진짜 외국 유튜브 번역채널중에서 여기가 제일 짱인거같아요. 단순 번역이랑 다르게 영상 본연의 재미라는게 있음
@민우황-k7k
@민우황-k7k Жыл бұрын
그야 공식채널이니까!
@최승진-z7o
@최승진-z7o Жыл бұрын
@@민우황-k7k 에이 공식 번역채널도 자막만 번역하는데가 얼마나 많은데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Жыл бұрын
쿠르츠게작트도 번역에 맞게 영상을 재구성하거나 새로 추가하고 있습니다.
@nadh6907
@nadh6907 Жыл бұрын
옆집 어딘가는 한국 채널 영상이 이상해서 그냥 영어로 봤는데 그거 생각하면 이거는 진짜 좋음 ㅋㅋㅋ
@gle_Goo
@gle_Go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해외선물실시간낭만귀
@해외선물실시간낭만귀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진짜 이과들한테 최고의 영상이다.
@user-vf8be3qx1e
@user-vf8be3qx1e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데도 수학영상 올라올 때마다 홀린 듯이 클릭하고 영상보고 어떤 뽕에 차서 수학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영상을 볼 때마다 진로로 잡을 수는 없어도 수학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낭만죽이
@낭만죽이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진정 즐길 수 있는 방법은 찾는게 아닙니다. 깨닫는 거죠.
@mkkim7454
@mkkim7454 9 ай бұрын
@@낭만죽이 그렇다면 수학의 정석이란 책을 추천합니다.
@모든유튜브의신성치훈
@모든유튜브의신성치훈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수학 전공 후 대학원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정말로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으시면 문의주세요 가이드 해드리겠습니다.
@quest5336
@quest5336 Жыл бұрын
수능 끝나고 보는 베리타시움 최고의 선택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Жыл бұрын
중등 교육 끝나고 나서 고등 교육 선행 ㄷㄷ
@quest5336
@quest5336 Жыл бұрын
@@green_dollar_sign 현실은 +1 ㅋㅋ
@βεομκυν
@βεομκυν Жыл бұрын
​@@quest5336중등교육+1강 ㅋㅋㅋㅋ
@서울시장박원순
@서울시장박원순 Жыл бұрын
너도재수생이냐수고햇다
@boringstack1980
@boringstack1980 Жыл бұрын
한국교육: 이딴거 볼시간에 책 물리문제 하나 더 풀어!
@human_ingan
@human_ingan Жыл бұрын
진짜 보고싶었던 영상이었는데 감사합니다!
@코주부-e8e
@코주부-e8e Жыл бұрын
10:22 과학과 전혀 연관이 없는 분야를 포함해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 서로간에 연관이 없어보이는 과학적 사실(분야)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가 맞는 것 같습니다
@플립-v9s
@플립-v9s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다드컨
@다드컨 Жыл бұрын
1:26 추가 설명을 드리면 “개체수가 더 많아질수록 다음 해에 줄어든다”는 것은 개체끼리 먹이경쟁이 생겨서 개체수가 어느 수준 이상 증가하지 못함으로 해석 할 수도 있습니다.
@윤혁최-s9z
@윤혁최-s9z Жыл бұрын
오 전 피식자 개체 수가 감소해서 아사하는 것 까지만 생각했는데
@백이스
@백이스 Жыл бұрын
개체수의 추이에 관한 수식을 이렇게 쓴 근본적인 이유를 찾는 분들이 보이네요. 사실 모든 물리학,공학 등에 쓰이는 수식에 이유는 없습니다. 그것이 단지 현상을 잘 설명하기에 쓸 뿐이죠. 앞뒤를 바꾸어 이해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부분 같은데, 어떠한 필연적 근거가 있어서 (1-x)로써 환경의 제약을 설정한 것이 아니고, 그것을 (1-x)로 표현해보니 실제로 현상을 잘 설명했기에 그렇게 두는 것입니다. 물리학 혹은 공학 등의 학문들이 다 이런 식입니다. 이유가 있어서 그런 방정식을 만든 것이 아니고, 그런 방정식이 현상을 잘 설명하기에 그 방정식을 쓰는 것이 표준으로 자리 잡은것이죠. 과학은 진리가 아닌 현상을 설명하는 수단입니다. 저도 예전에 이걸 오해하고 과학이란 진리의 근본을 찾고자 고민을 많이 했었기에 댓글 남겨봅니다.
@minjae92
@minjae92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이 그렇게 설정된 이유는 존재하고 그걸 모르면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죠.
@Doong-h4rp
@Doong-h4rp Жыл бұрын
뭔가 깊이가 있는 말이네요
@iyj9152
@iyj9152 Жыл бұрын
@@minjae92 그래서 과학을 제대로 이해했다는 표현을, 그걸 가장 잘 알것같은 과학자들 본인이 상술한 이유로 인해 잘 안하는것 같습니다. 대표적인게 양자역학... 파동성을 가정하고 식을 세웠더니 미시세계에서의 각종 실험과 잘 맞아떨어져서 받아들이고 널리 쓰고있지만 정작 왜 그런지는 아직도 기초연구가 진행중이고 잘 모르는 그런 통계물리학도 마찬가지로 미시적 상태가 발현할 확률은 모두 같다는 가정인 등확률의 원리를 그냥 받아들이고 식 세워서 쭉 전개해보니 잘 맞아서 밀어붙이고 있는상황이던걸로...
@cosmic_metamorphosis
@cosmic_metamorphosis 11 ай бұрын
물리의 언어로써 수학만큼 좋은게 없죠..사실 대체불가라ㅋㅋ
@Do_Chi
@Do_Chi 9 ай бұрын
덕분에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meer_kaaat
@meer_kaaat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시험 없는 교양으로 들으니까 수학 너무 재밌다! 이게 바로 책임 없는 쾌락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무거나-o9n
@아무거나-o9n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궁금했던 영상인데 감사합니다..!!
@thilbong
@thilbong Жыл бұрын
글리크의 카오스라는 책은 1993년에 사서 읽고, 그 당시 컴퓨터로 직접 터보 파스칼로 프로그래밍해서 망델브로 집합등을 그려보기도 했었죠. 몇 시간 계산해야 겨우 조그만 화면 하나 채울만큼 계산되었었는데...
@나그네-v1y
@나그네-v1y Жыл бұрын
터보파스칼.. 저도 공부했는데.. 어느사이 C에게 잡혀있더군요.. 한가지 더 놀라운것은 저도 "카오스"라는 책을 사서 읽었는데 그 생각은 못했습니다. 남들 포트란으로 수치해석 할때 전 파스칼로 수치해석 했는데.. 담당 대학교수가 싫어하더군요.. 그때가 포트란에서 베이직 파스칼 c언어 과도기였는데.. 하여튼.. 그래도 파스칼을 들어니.. 감회가 새로워와서 몇자 적었습니다. 아직도 생각나네요 수치해서 가우시안 일리미네이션..
@thilbong
@thilbong Жыл бұрын
@@나그네-v1y 당시 소스를 확인해보니 실제로는 터보씨였더군요. 당시만해도 터보파스칼은 넘어갔나봅니다.
@매버릭-i6q
@매버릭-i6q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불면증이 해소되었습니다. 목소리가 너무 편안해요.
@롤다이아유지
@롤다이아유지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 방정식을 알게 된 후 삶이 360° 바뀌었습니다
@rising1936
@rising1936 5 ай бұрын
저도 제임스 글릭의 카오스를 읽고 있어요. 딱 이 영상에서 설명한 부분이 좀 이해하기 어렵더라구요. 그런데 이번에 보다 보니 좀 이해가 됐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cmj7260
@cmj7260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수학적으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현실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게 놀랍네요. 역시 신은 수학자인가.
@vilncal
@vilncal Жыл бұрын
신이 수학자면 수학은 누가개발함
@탕후루-e5h
@탕후루-e5h Жыл бұрын
​@@vilncal 수가 신의 언어인거죠
@bangdoll4500
@bangdoll4500 Жыл бұрын
현실에 그대로 적용 되는건 아닙니다. 쉬운 설명을 위해 단순화 시킨 겁니다. 실제로 토끼 개체수는 저렇게 간단한 포물선을 그리지 않습니다. 카오스는 괜히 카오스가 아닙니다.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Жыл бұрын
@@vilncal수학은 개발한게 아니라 발견하는겁니다…
@qwer65gdee
@qwer65gdee Жыл бұрын
현실에 적용하는게 아니라 자연에서 발견하고 표기를 한게 수식일뿐.... 순서가 바뀌었는데....
@qoqkrcant1756
@qoqkrcant1756 Жыл бұрын
이런 수학적 발견을 볼 때마다 이 세상이 .. 그냥 너무 경이롭습니다.
@pillyahn1278
@pillyahn1278 Жыл бұрын
문과이지만, 이런 영상은 진짜 재밌게 끝까지 보게 되네요. 정말 누군가 말했던 것처럼 이 세상은 '수'로 이뤄진 게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chs007
@chs007 Жыл бұрын
문과가 이해는됨??
@noahjung2597
@noahjung2597 11 ай бұрын
​@@chs007이과면 이해되냐? 가형 1등급이어도 왜 그럴까? 해석을 시도해보다.. 논문쓰는 교수들이 못한 걸 내가 무슨.. 이러면서 포기했는데 수학과 간 것도 아니면서 이과 유세는 ㅋㅋ
@안녕안녕-y6k
@안녕안녕-y6k 10 ай бұрын
@@chs007걍 교양 수준의 내용인데
@chs007
@chs007 10 ай бұрын
@@noahjung2597 잉 수학과인데?
@기둘비-g4p
@기둘비-g4p 10 ай бұрын
@@chs007교양이없는데 대학은 들어가서 뭐함?
@황건하-d4m
@황건하-d4m Жыл бұрын
크 소름 돋는다. 이걸 어쩌다가 이제 알았을까 아니 지금 알게 되어 기쁘구나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릴 적 베리타시움, DMT Park, 3청1갈, 쿠르츠게작트 같은 매체가 있었더라면 좀더 수학과 물리에 관심을 갖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자연상태의 수포자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겠지만, 이런 매체를 통해 과학과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이 많아지길 바란다.
@reang5995
@reang5995 Жыл бұрын
이분 유튜브 보실 줄 아시네 캬
@Q_uestion
@Q_uestion Жыл бұрын
3청1갈ㅋㅋㅋㅋㅋ
@loveItalia-py6gp
@loveItalia-py6gp Жыл бұрын
3청1갈이 뭐임?
@Q_uestion
@Q_uestion Жыл бұрын
@@loveItalia-py6gp 3Blue1Brown
@greatexpo-q1k
@greatexpo-q1k Жыл бұрын
​@@loveItalia-py6gp3Blue1Brown
@ehgugu
@ehgugu Жыл бұрын
혹시 이 영상을 보시는 분들 중에 아날로그 회로 설계하시는 분 계신가요..? 저에게는 1:28 저 점화식이 Negative feedback으로 보여서 전혀 낯설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값이 수렴 하는 것이 마치 CMFB, PLL, CDR이 안정 상태로 수렴하는 것과 비슷해보입니다. Negative feedback은 안정성을 따져보았을 때 수렴할 때도 있고 수렴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더 소름 돋습니다. 경우에 따라 수렴하기도 하고 요동치기도 하는 것이 저에게 너무 익숙한 모습이라서요..
@lefich-ws2xp
@lefich-ws2xp Жыл бұрын
원 채널에서 볼 때 영어 안돼서 이해 못했는데도 흥미롭게 보였던 영상... 재밌겠다...
@Fourbaisc_operations
@Fourbaisc_operations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면 정말로 이세상의 모든것을 설명할수 있는 단 하나의 방정식이 존제할것 같아요
@BONOBONOSARANG
@BONOBONOSARANG Жыл бұрын
그걸 찾을려다가 끝내 못찾은게 아인슈타인이고... 그 방정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걸 증명하는게 양자역학이죠. 너무아쉽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뭔가 우주를 설명할 단하나의 방정식이 있을거라 믿는 자신도 존재합니다. 있으면 좋겠어요.
@ryanpark7905
@ryanpark7905 Жыл бұрын
원 채널 중에 번역으로 보고 싶은 영상이 너무 많아요 ㅜㅜ 오펜하이머 영상도 빨리 번역해주세요!
@희택-1
@희택-1 Жыл бұрын
공대나오기까지 전자기학에 양자역학까지 배웠지만, 이런 내용은 처음 들어봤다..
@JUNCHI0131
@JUNCHI0131 Жыл бұрын
진짜 경이롭네요...
@LTE수학
@LTE수학 4 ай бұрын
정말 신기하고 재밌네요!!
@byehi6535
@byehi6535 Жыл бұрын
과일나무 같은거 2년에 한번 과일이 잘 열렸다 안열렸다 하고 좀 더 지나면 그 주기가 달라져서 결국 그 나무 가치가 떨어진다는게 이것도 이 원리가 적용된다는게 소름이네요
@라멘SSS
@라멘SSS 7 ай бұрын
옛날에 이미 접해봤던 점화식이지만 당시에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었음. 포물선이랑 y=x 그래프를 그려놓고 보면 너무나도 수렴할 것처럼 생긴 식인데 이게 무슨 카오스인가 하고 그냥 넘길 뿐이었음. 그런데 그저 익숙한 식이 보여서 들어온 영상에서 뜻밖의 너무 큰 감동과 아름다움을 느꼈고, 혐생으로 인해 묻어뒀던 수학에 대한 열망이 다시 깨어나는 것 같다
@박수영-j3l
@박수영-j3l Жыл бұрын
캬, 진짜 탄성이 나왔음
@조용희-t4e
@조용희-t4e Жыл бұрын
네 감동받았습니다!🎉 정말 흥미롭네요!!
@Sundance._.
@Sundance._. Жыл бұрын
뇌의 뉴런이 작용하는 예시도 보고싶어서 기다리고 있었는데 영상이 끝나버렸다.. 오늘도 베리타시움에게 놀아났어
@minjae92
@minjae92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인공신경망이 뉴런 작용을 본딴 방법임. 수학적 수식도 로지스틱 회귀랑 조금 다른데 거의 비슷함 선형회귀를 하면 안되니까 비선형함수를 활성함수로 써주는것까지.
@sihwan350
@sihwan350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처로-d2w
@처로-d2w 10 ай бұрын
저도 감동 받았어요. 거의 30년 전에 카오스 이론이란 게 등장했는데 이제서야 이런 영상을 보내요.
@HJ-yi7zz
@HJ-yi7zz Жыл бұрын
소름정도가 아니네요ㄷㄷ수학자, 과학자들이 공부하면 할수록 신의 존재를 점점 믿게 된다해도 과언이 아닐듯. 이 채널의 중요성은 이러한 아름다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와 닿을수 있게 보여준다는데 있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좋은 번역 감사합니다.
@fsunos98
@fsunos98 11 ай бұрын
신의 존재를 믿지않고 오히려 전혀 인간적인 신이 아닌, 혹은 시뮬레이션 우주가 아닌가 하는 식으로 빠지게 되죠. 인간적인 신이라면 결코 세상이 이렇지않았을겁니다.
@이소윤-j5w
@이소윤-j5w Жыл бұрын
2:37 무슨 그래프 앱을 사용하나요?
@wlemek
@wlemek 3 ай бұрын
완벽히 이해했어!
@hayeonkim7838
@hayeonkim7838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_otto_art__Officia
@_otto_art__Officia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감사해요
@Q_uestion
@Q_uestion Жыл бұрын
누군진 모르겠지만 체크표시로 보니 "찐이다"가 달릴거 같으니 ㅡㅡㅡㅡㅡ찐이다 금지선ㅡㅡㅡㅡㅡ
@박민기-r1f
@박민기-r1f Жыл бұрын
=======/ 찐이다 해제선 \=======
@긴펴
@긴펴 Жыл бұрын
와, 이 영상이 드디어 한국어 체널에도 나오네요. 이걸 맨처음에 봤을 때 충격이 새록새록...
@VintagesoUltree
@VintagesoUltree 3 ай бұрын
이 방정식을 알게 된 후 지구가 평평하게 보이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LuCA-KarL
@LuCA-KarL Жыл бұрын
수학 유투브들에서 탑 10 유투브 잘 보고 있어요.
@okkboon_territory
@okkboon_territory 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파이겐바움 상수적으로 삶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어요
@민주와냥이들
@민주와냥이들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가슴이 웅장해진다 공부에 대한 욕구가 샘솟는 영상 감사합니다
@iangreso4254
@iangreso4254 Жыл бұрын
5:25에 나오는 프로그램은 이름이 뭔가요??? 일반인들도 사용가능한가요???
@user-bp1of8te7b
@user-bp1of8te7b Жыл бұрын
저도 진짜 알고싶은데..
@joalstjr
@joalstjr 11 ай бұрын
파이썬 모듈사용한 거 같네요
@귀보드
@귀보드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aspell
@gaspell Жыл бұрын
미방 문제 풀면서 잠깐 봤던 이름인데.. 그냥 파이겐바움 상수라는 게 있꾸나~ 하고 넘어갔었는데 뭔가.. 멋있네요.. 망델브로 집합이랑 연관이 있을지는 상상도 못했는데
@na_mu9488
@na_mu9488 10 ай бұрын
현대에 '과학의 분야'인 것과 '과학이 아닌 분야'의 차이는, "아직 우리가 수학화된 규칙을 발견하지 못한 것 뿐". 과학을 모르던 시대에는 종교적인 '음양의 기'를 따지며 사람을 치료했던 것처럼, 사실 모든 분야는 모르면 종교이고 알고 나면 과학이다. 그리고 인류는 아직 아는 분야보다 모르는 분야가 더욱 많다는 것.
@minoS2
@minoS2 Жыл бұрын
한국이 걱정되네요 컥😢원문에도 있었을까 .....걱정 된다 걱정
@yeontae7216
@yeontae7216 Жыл бұрын
This equation will change how you see the world (the logistic map) 제목의 원영상 3:35즈음 내용인데, 한국이 걱정되네요라는 말은 없어여. 한국 더빙하면서 새로 넣은듯
@김도윤-c8p6m
@김도윤-c8p6m 8 ай бұрын
저런 믿을수없는 함수가 동물 개채군의 개채수 함수를 이룬다는게 정말로 아름답고 눈물나게 신비롭네요 하하 정말요 대단합니다 과학자들, 자연, 신이있다면 천재일겁니다 가장 카오스같은 우주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망델브로 집합을 택하다니 정말 놀랍네요
@fsunos98
@fsunos98 11 ай бұрын
어쩌면 이 현상이 우리가 사는 세상이 시뮬레이션 우주라는 증거가 아닐까? 어떠한 결과로 값이 도출되지않도록 무한한 순환에 빠지게 만들거나 물리계산에 있어서 값이 오버플로우 되지않게 일정한 패턴으로 겉돌도록 만드는 매우 효율적인 제한선. 효율이 이 세상의 알파이자 오메가인것이고.
@myungheesong2753
@myungheesong2753 Жыл бұрын
감동..😂
@YusufSinan-we3eq
@YusufSinan-we3eq Жыл бұрын
와.... 3차원으로 표현될 때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skyiling2
@skyiling2 Жыл бұрын
자주 좀 올려주세요 기다리고 있어요
@sonhh17
@sonhh17 Жыл бұрын
중간에 "한국이 걱정 되네요~" 라는 멘트는 한국판에만 들어가는 거네요..ㅜㅜ
@021835
@021835 10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론이 점점 설득력이 맥스를 찍고 있군 ㅋㅋ
@skynet5271
@skynet5271 Жыл бұрын
원자 부터, 천체 까지 구조적 유사성을 띄면서 반복 되는 이유가 수학적으로 설명이 되는군요 신기하네
@이태우-u3e
@이태우-u3e 10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이제 가던 길 가겠습니다
@TV-fp4eo
@TV-fp4eo Жыл бұрын
주사위 패턴 연구를 해봤는데 비슷한게 생겨요 지금은 주식 차트 주기 연구를 해보고 있어요
@FenAnVill
@FenAnVill Жыл бұрын
7:48 수식에 문제가 있습니다. -1^2 = -1입니다. 따라서 -1에 괄호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2 로 정정하시는것 추천드립니다
@aimakeworldhappy
@aimakeworldhappy Жыл бұрын
0:33 여기서 몇마리가 왜 소수인건가요 원문이랑 뭔가 번역에 다름이 있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1-x를 하는부분도 그렇고..
@바보-c3v
@바보-c3v 3 ай бұрын
저기서 몇마리가 소수이지도 않고 1-x를 하는 이유도 자세히 나와있네요
@VoidShrimp
@VoidShrimp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영어로만 보고 너무 이쁜 프랙탈인데 뭔 소린지 1도 모르겠어서 눈물 줄줄 이었는데 드디어 이 영상을 번역해주시고 설명도 깔끔히 해주시고 농담도 재밌구 이 채널 구독하게 되어 너무나 해피한 사람이 되버렸습니다...ㅠㅠㅠ 감사해요~~~ 역시 번역되어 보니 소름돋게 재밌군요!!!!!
@옥동자-k3p
@옥동자-k3p 2 ай бұрын
오신이시여..더빙이라니...
@홍성현-x8j
@홍성현-x8j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오는 첨가된 짤과 대사가 정말 찰떡인거 같아요 ㅎㅎㅎ
@김술남-u5q
@김술남-u5q 11 ай бұрын
제대로 된 정공자는 아니지만 8:53 에서 분기되는 부분은 화학 오비탈의 스핀 양자수가 연상되네요
@기종이머에요
@기종이머에요 10 ай бұрын
수학에 이정도의 매력이 있다는걸 왜 초중고때는 알지못했을까요..
@Michelincat7034
@Michelincat7034 Жыл бұрын
수학적으로 너무 아름다운 내용을 다뤘네요.. 잘보고갑니다!
@user-uz4ux7ok7g
@user-uz4ux7ok7g Жыл бұрын
사회현상, 우리의 행동양식과 미적 감각 혹은 감정과 같은 문과적인 부분까지 이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uz4ux7ok7g
@user-uz4ux7ok7g Жыл бұрын
인간관계나 개인 마인드셋과 가치관을 가질 때, 이미지화하여 같은 모양의 그래프를 그리도록 합니다.
@user-uz4ux7ok7g
@user-uz4ux7ok7g Жыл бұрын
나와 나 이외의 것은, 이것의 전체 혹은 한 부분입니다.
@marmot-we9cz
@marmot-we9cz Жыл бұрын
3:25 R이 1이하...한국 출산율은..??이라고 생각하자마자 팩폭 ㄷㄷ
@jhj8367
@jhj8367 Жыл бұрын
물리학 수학을 공부할수록 이 세상과 우주가 이상하리만치 수학적으로 이루어졌다는걸 알수있습니다 만유인력 법칙을 보면 놀랍습니다 아주 간단하죠, 질량의 곱을 이격거리의 제곱으로 나누면 그게 인력이고 그건 이 우주의 모든 질량(질점)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태양보다 100배 큰 천체부터 모래알까지 동일하게 적용되는 공식이죠 참 신기하지 않습니까, 그걸 발견한 뉴턴도 참 대단합니다
@jhj8367
@jhj8367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슐레딩거 방정식을 보면 더 놀라게 됩니다 원자의 확률분포를 나타낸 방정식인데 복잡한 수식을 풀다보면 수소원자의 구름형태가 나타납니다 헬륨부터는 좀더 방정식이 복잡하지만, 결국 모든 원자에 적용됩니다, 아주 정확하게 이런 공식을 발견한 사람도 대단하고 이 세상이 공식대로 흘러간다는것도 놀랍습니다
@CornerJohn-p4v
@CornerJohn-p4v 4 ай бұрын
​@@jhj8367 특이점 보면 한점이로 부피가 0이라는데 그럼 1g 짜리 질량 2개라도상호간 의 중력의 힘이 무제한 이라는 거임. 좀 말이 안됨 r^2 이니까요 거리가 0이면 무조건 무한대임.
@Do_Chi
@Do_Chi 9 ай бұрын
끝까지 보기를 정말 잘했다
@sincere2wb
@sincere2wb Жыл бұрын
15:22 그림이 묘하게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모습이랑 닮았네요.
@순서-x7x
@순서-x7x Жыл бұрын
근데 이정도면 진짜 신이 존재하는 거 아님?
@APFSCYH
@APFSCYH 7 ай бұрын
03:22에 나오는 그래프는 파이썬 matplotlib 으로 그린거에요?
@갓복-w2c
@갓복-w2c 9 ай бұрын
요즘 삼체에 대해서 알게됐는데... 2바디와 다르게 3바디 이상부터는 해를 구할 수가 없다네요... 케이아스 상태? 라고 하는거겠죠? 유툽에 올라오는 진자 도는것도 그렇게 무질서한 운동을 하는데 숫자 3이라는 정수가 실존하는 운동처럼 꼭 같은 것은 아닐까... 너무 소름이 돋습니다. 너무 아름다운것은 경외감을 일으키는데... 갓을 알아가는 경로 같습니다. ㅎㄷㄷ 정말 무섭네요. 모르고 살고 싶네요... ㅎㄷㄷㄷ
@JoshuaWin-hh6wl
@JoshuaWin-hh6wl 10 ай бұрын
수면영상으로 최고
@jeong452
@jeong452 10 ай бұрын
자연상수를 e라고 하는것처럼 파이겐바움 상수? 라는것도 기호로만들면 결국 자연상수 시리즈2가 나오는거아닐까요? 자연상수가 사실은 이유없이 자연속에서 정해진 고정된 어느값들이 무수히 존재하고 그것들이 사실은 자연속에선 단순한수고 곱해지고 나눠지다보면 우리가보기쉬운 1, 2, 3 이 될것같기도하네요
@한선재-b5b
@한선재-b5b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랍온어비트너무좋아
@랍온어비트너무좋아 Жыл бұрын
그냥 보던대로 세상을 보며 살겠습니다.. 문송합니다..
@shinejourneysuper
@shinejourneysuper 4 ай бұрын
변수가 어떤 방식으로 발생할지 모르는데 어떻게 미래를 알수 있다는 말인지 모르겠네요. 방정식이 온 우주를 알수 있을까요? 별 볼일 없는 한 존재인 인간을 알수 있을까요? 알수 있다고 한다면 ㅈㄴ 오만한 발상이죠. 다만 추측이 되는 한가지는 있어요. 돈이 엄청나게 많은 누군가가 투자액을 우리가 상상할수 없는 단위로 늘렸다가 줄이고, 금액을 증가하고 감소하는 폭을 불규칙적으로 조정할때 개미는 그 현실을 감당할수 없다는 것을… 개미는 보편적인 변수에만 익숙해버려서요.
@푸른피의에이스
@푸른피의에이스 13 күн бұрын
에휴..
@이상한쉼표
@이상한쉼표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볼 떄마다 미쳤다라고 밖에 생각이 안 듦
@heavy_infantry
@heavy_infantry Жыл бұрын
고1 기말 공부 조지기 전 베리타시움,최고의 선택 이해는 어렵지만 일단 ㅈㄴ 신기하다
@longcastle_snap
@longcastle_snap 9 ай бұрын
와 정말 알고싶었던 내용입니다!!!!!!!! 감사해요!!!!!!!!!!
@노진호-h4f
@노진호-h4f Жыл бұрын
파이겐바움 상수 4.669... 마치 e처럼 당연히 알아야 하는 상수인데 교육 과정에 빠져있어서 연구가 덜 된 상수인가 보네요. 근데 그래픽으로 보여주기 전에는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어렵겠네요.
@carefree5404
@carefree5404 Жыл бұрын
카오스 이론이란걸 들어보기만 했는데 이런 거였나요? 정말 매력적이고 신비롭습니다… 우주의 비밀 중 하나를 슬쩍 엿본 느낌이에요
@kr.DK5thgrade
@kr.DK5thgrade Жыл бұрын
수학의 위대함을 한 번 더 느낍니다.
@강-j2q
@강-j2q 11 ай бұрын
3:18 1 아래인 우리나라 출산율 0.6....
@valkyrieRS5
@valkyrieRS5 5 ай бұрын
출산률 떨어질것입니다 03.0 으로
@오스트
@오스트 5 ай бұрын
​@@valkyrieRS5 3.0이면 인구 2배 되겠네 ㅋㅋㅋㅋㅋㅋ
@박남경-s3v
@박남경-s3v Жыл бұрын
3:25 한국이 걱정되네요 ㅋㅋㅋㅋㅋ
@김경민-j3z8o
@김경민-j3z8o Жыл бұрын
이 영상내용은 알고 있지만 수학은 역시 알고봐도 재밌단 말이지
@gle_Goo
@gle_Goo Жыл бұрын
수학, 과학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 의 좋은 예
@whay5773
@whay5773 8 ай бұрын
자연현상은 주로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AppleKiwi27
@AppleKiwi27 Жыл бұрын
통으로 더빙하니까 더 보기 편하네요. 근데 한국채널에서 따로 하는 드립같은건 자막으로 표시하는게 좋아보여요
@quad9902
@quad9902 Жыл бұрын
로지스틱 방정식 공수에서 배웠는데 많이 쓰는거군요…
@ai195
@ai195 Жыл бұрын
이게 사실 신이 세상을 수학적으로 코딩했다는 증거가 아닐까
@오세윤-j3r
@오세윤-j3r Жыл бұрын
12:13 호주 출신이라 토끼를 죽이려 하네요 ㅋㅋㅋ
@박민기-r1f
@박민기-r1f Жыл бұрын
로지스틱맵에서 성장률이 1보다 클 경우 Xn값에 1/r 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정리가 되는데, 왜 3이 넘어가는 순간에 주기배가 현상이 나타나나요? 성장률 r에 대한 평형값 y 그래프는 (r>0)y=1-1/r을 그리잖아요, r>3 값 부터 이해가 안가네용
@sleepless-vo9sl
@sleepless-vo9sl 2 ай бұрын
초기값을 1-1/r로 잡으면 그 값에서 유지가 되는게 맞습니다. 초기값에 대한 이야기가 영상에 없는데 로지스틱 맵을 그릴 때에는 초기값을 무엇으로 두어도 상관없이 수렴하게 되는 값으로 정하는 것 같아요.
@이가람-s3w
@이가람-s3w 8 ай бұрын
문제는 정확한 r값을 아는게 힘든거지. 계속 변하기도 하니까
@TriplePistol
@TriplePistol Жыл бұрын
한국인에게 가장 필요한 방정식은 상상력이랑 결단력입니다.
빛이 나서 뜨거운 걸까, 뜨거워서 빛이 나는 걸까?
18:57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68 М.
물리학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25:5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781 М.
번쩍번쩍 거리는 입
0:32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182 МЛН
Ful Video ☝🏻☝🏻☝🏻
1:01
Arkeolog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Жат бауыр» телехикаясы І 30 - бөлім | Соңғы бөлім
52:59
Qazaqstan TV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Арнасы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그래서 양자컴퓨터는 왜 빠른 걸까?
22:40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246 М.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과학자
23:4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834 М.
놀랍게도 이 문제는... 정답율이  0%였습니다!
16:08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원자를 이해하는 가장 우아한 방법
35:33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600 М.
Inside the V3 Nazi Super Gun
19:52
Blue Paw Print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Transformers (how LLMs work) explained visually | DL5
27:14
3Blue1Brown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This equation will change how you see the world (the logistic map)
18:39
ПОСТАРЕЛА ЗА 1 ДЕНЬ НА 20 ЛЕТ - МУЖСКОЕ ЖЕНСКОЕ
55:44
ПРИЯТНЫЙ ИЛЬДАР
Рет қаралды 677 М.
Лайфхак: Легально делать деньги
0:43
СИЖУ БЕЗ ЕДЫ, ПЬЮ ОДНУ ВОДИЧКУ.
21:37
Быть Добру
Рет қаралды 79 М.
LOVE or MONEY? ❤️💸 (PART 14)
0:47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