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이 호텔에서 일하기 싫어지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57,756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Күн бұрын

일본기업과 업계중에서 '블랙기업'에 해당하는 호텔업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본거주 16년차가 일본인 와이프랑 같이 다양한 일본 정보를 투머치토크!
◆Info◆
매주 수,토,일에 라이브 방송도 하고 있습니다.
일본 사회・경제・기업・생활 등등에 대한 이야기를 투머치 토크!
주말에는 일본에서 야외방송도^^
1:1 카톡 메세지⇒ kakaoTV or 카톡에서 "박가네"를 검색→ 플러스 친구 등록!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자기 소개◆
ぱく家(박가네)︰日本の情報(일본 정보), 日韓夫婦(한일부부)
・오상:한국인, 일본거주 15년이상, 전 회사원,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츄미코:일본인, 전 스튜어디스, 한국어 공부중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Gメール).com
※상세한 안건 내용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습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
위의 링크에서 플러스친구을 등록하시고
저희에게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일본경제 #호텔 #숙박업

Пікірлер: 458
@jinjn90
@jinjn90 4 жыл бұрын
일본 외국계기업 대형호텔 프론트에서 정규직으로 일했습니다. 무조건 출근시간 1시간~1시간반전에 출근해서 백야드 정리. 돈정리. Vip숙지 등 해야합니다. 하루 5교대로 돌아가는데 1번 근무시간이 새벽 6시라 4시반까지 출근해야하는데 전철이 없으니 전날 와서 자고 출근했습니다 매일매일 출근시간 달랐습니다. 1번근무 2번근무 3번근무 1번근무 이런식... 퇴근후에도 1시간 이상씩 vip정리 등... 1년만에 스트레스 위궤양에 우울증 와서 퇴사했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첫 외국인 사원이었는데 엄청 눈치보였던... 휴...
@kang3938
@kang3938 4 жыл бұрын
진짜고생하셨네요.안쓰럽다ㅠ
@Doremipo
@Doremipo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 외국계기업 대형호텔 프론트 정규직 두군데 경험했습니다. 두번째 호텔은 아베 총리나 스가 관방장관이 한달에 한두번은 업무차 올 정도로 꽤 유명한 호텔이에요. 출근시간 십오분전에 오피스에 도착해서 돈 세고 출근 정각 되면 브리핑하고 브이아이피는 도착하면 도어에서 알려줘서 그냥 누구 오는구나만 알면 됐어요. 체크인 체크아웃 많지 않은 날에는 오버타임 거의 없었고 하더라도 십분 단위로 다 추가수당 나왔어요. 야간근무는 있어도 출퇴근 시간 첫차나 막차 걸리는거 없어서 회사에서 잘 필요도 없었어요. 야간근무에서 백 에리아 다 정리하는게 당연시 되어있어서 그거때매 시간 먹는 일도 없었구요. 호텔마다 다르지만 근무환경이 많이 안 좋은 곳인거 같네요. 에프앤비 조식쪽이면 몰라도 프런트인데 출퇴근 시간때문에 회사에서 잔다는 얘긴 진짜 들어본적도 없어요....
@dalaiho1603
@dalaiho1603 4 жыл бұрын
저는 외국계기업 대형호텔 연회 전채요리 주방에서 근무중이에요 똑같이 1시간전 출근(무급근무) + 퇴근체크 후 2시간 무급근무를 기본으로 깔고 갑니다. 시프트에는 근무시간이 정해져있지만 그걸 지키는 사람은 저같은 신입외국인정도 말고는 없네요...
@피카츄-d6t
@피카츄-d6t 4 жыл бұрын
보통 새벽일찍 출근해서 전철이나 버스가 없으면 회시에서 택시비를 주는데 그것마저도 없었나보네요...
@jinjn90
@jinjn90 4 жыл бұрын
@@피카츄-d6t 네 ㅠㅠ 실제 근무시간은 지하철이 다니는 시간이기에 문제가 되지 않앗거든요 ㅠㅠ
@외노자야마짱
@외노자야마짱 4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편집이 가능했군요. 고생하셨어요 오상. 방송보면서 저도 할많하않이었는데.... 올해 일본에서 호텔 취업한1인기거든요 ㅎㅎㅎ (일본호텔 이직률이 높은 이유중하나는 급여가 작기때문에 이직하면서 자기급여를 높이는 방법이 있어서 이직률이 높을 수 밖에 없어요)
@aozone85
@aozone85 4 жыл бұрын
사실 한국에서도 4성급 이하 호텔들은 근무 여건이 썩 좋지 않고, 3성급 이하는 객실 청소 업무를 대부분 외국인 노동자들이 맡고 있죠. 일본도 비슷하군요.
@예하랑-k3v
@예하랑-k3v 4 жыл бұрын
호텔 힘들어요! 한국과 비교할수있는 유익한자료!
@이병준-n3m
@이병준-n3m 4 жыл бұрын
슈퍼드림프로젝트 = 당신을 노예로 만들어 "드림"
@킴키류
@킴키류 4 жыл бұрын
일본유학중에 호텔청소 해본적 있습니다 물론 청소와 다른 행정류는 다르겠지만 9시출근에 한층 호실 다끝날때까지 인데 점심시간 없고 쉬는시간도 없고 물마실수있는 공간도 없었고 2잡때문에 도중에 나왓지만 5시까지 안끝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화장실갈려면 직원엘리베이터인가 타고 한창가야되는데 그나마 그것도 눈치보여서 못가겟더라구요...
@신현주-n3q
@신현주-n3q 4 жыл бұрын
저도 공장에 그런 취급을 당해봤네요 신입이라고 당하고 다른데 가니 고참인데도 당하고 그렇게 일을 하게 만들고 일 못한다고 밟아대죠 내 옆라인은 중국애들 이건 브라만이랑 불가촉천민 수준 몸이 다망가지더군요 4년을 그 취급 당하니 호텔도 그따위로 시키나요 모텔도 그런데 나오셔서 다행이예요 근데 몸 생각해서 옥수수수염 구해서 드세요 진짜 일 힘든거 아무것도 아닙니다 먹고 싸는거 박탈되는거 그거 잠깐만 안해도 몸에 상당히 안좋습니다 지금은 젊지만 나이들면 나타날수 있어요 육체노동 하시는분이면 제말 새겨 들으세요 전 11년이나 넘도록 고생합니다
@queeve5217
@queeve5217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실제로 재작년 부터 올해 3월까지 일본의 호텔여관에서 일을 했던 사람으로서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제가 했던 지역은 시골지역이라 월급도 쌘편은 아니였으며(월23만엔->세금,기숙사비등다 때면 순이익 17만엔) 일하는 시간도 하루 8시간이상의 근무시간으로 월 5일간만 휴무가 있었죠. 저는 당연히 호텔관련 업종이니 서비스쪽(프런트 및 고객대응, 방안내)만 하는줄 알았는데 실제로는 거기에 +로 청소와 설치 및 잡다한 업무는 전부 하게 됬습니다. 같이 일하시는 분들도 셋다이(여직원)씨들 평균나이가 70.2살 정도 였기에 젊은 층으로서는 저와 해외파견으로 온 2명의 홍콩인들 이였습니다. 일본인젊은 사람들도 가끔오긴했으나 다들 얼마 못가 그만뒀었죠. 지금은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온참에 코로나가 기승을 부려서 뭐 돈 벌어둔걸로 어찌어찌 생활하고 있긴 합니다만... 직원분들이 불친절하다, 한국인이라고 뭐라한다 이런건 없었으며 다들 좋으신분들 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업무여건으로는 고개를 저을정도로 안좋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호텔업종을 들어가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다시 한번 더 생각해보셨으면 하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던힐멘솔
@던힐멘솔 4 жыл бұрын
이날 생방송 한풀이 방송이였는데 오상 편집하느라 고생좀 하셨겠네요 역시 스고이~~~~~~
@꾸린꾸린걸유한락스
@꾸린꾸린걸유한락스 4 жыл бұрын
한풀이라니 요새 많이 힘드셨나봐요??
@던힐멘솔
@던힐멘솔 4 жыл бұрын
최철수 제 댓글에.한풀이라는 뜻을 아실려면 박가네 멤버십을 가입하셔서 멤버십회원들만 볼수있는 박가네 풀라방을 보셔야합니다 참!!오늘 저녁7시30분에 라이브방송하니 꼭 시청해보세요
@majejjan
@majejjan 4 жыл бұрын
@@꾸린꾸린걸유한락스 오상이 아니라 온갖 서비스직종 근무하시던 분들 한풀이 도네가 엄청나게 이어져서 힘드신분들이 이렇게 많았구나 느껴지는 방송이었음
@이상윤-s5t
@이상윤-s5t 4 жыл бұрын
츄미코 한국어레벨이 점점 느는거 보는거도 재밌네요ㅎㅎ화이팅하세요
@현구스
@현구스 4 жыл бұрын
박가네 덕분에 일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가네요. 대학 교양수업때 일본에 대해 들었는데 거기서는 겉핥기였지만 박가네는 자세하게 실상을 알려주니 좋아요. 특히 편의점편은 여행하면서 왜 최근에 외국인노동자로 바뀌는지 알수있었는데 조만간 호텔도 외국인노동자가 엄청늘겠네요..
@geunho__
@geunho__ Жыл бұрын
얼마전 일본 다녀왔는데 일본 서비스업에 외국인이 많은 느낌이였어요
@dsk3038
@dsk3038 4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방송한거 묶어서 책을 내면 한권은 거뜬할듯
@leebynet
@leebynet 2 жыл бұрын
국뽕도 아니고 일뽕도 아닌 딱 중간적인 입장에서 양국을 비교하는 모습이 좋습니다. 알지 못했던 일본의 정보를 알 수 있고, 배울 점은 배우고 버릴 점은 버릴 수 있어서 좋습니다.
@bangdongkr
@bangdongkr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서비스업 3년째 하는데, 공감 많이 합니다. 제 업종은 숙박업은 아니지만 확실히 블랙. 많고 그중에서도 정말 숙박업은 블랙오브블랙이 맞으며 아무리 이직해도 호텔은 안 간다는 일본 친구들도 많습니다. 워홀러로서 1년 체험? 지내보는 것 정도는 좋지만 그 이상은 권유하고 싶진 않습니다. 일본에서 취업할 거라면 서비스업은 가능하면 찾지 않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갈굼먹고
@갈굼먹고 4 жыл бұрын
여동생이 2년간 일본호텔에서 일했는데 정말 힘들어서 스트레스만 받고 병만 얻고 한국으로 돌아왔네요.
@김명호-v2d
@김명호-v2d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화물업계에도 저런 비슷한이야기가 있죠 .. 이래서 뭐 읽어보라고 주면 잘읽어봐야한다 그러는거죠 기업에서 사탕발림을 하면 의심부터 해야합니다
@문지학-k6b
@문지학-k6b 4 жыл бұрын
기업만 조심하지 말고 교수님의 유혹에도 넘어가지 말아야 합니다
@칸나-m8p
@칸나-m8p 4 жыл бұрын
@@문지학-k6b 대학은 교수들 일자리 창조를 위해 유지되는 곳!
@NSXTurbo
@NSXTurbo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호텔에 취업하고 싶다면 정말로 일본 내부에서 알아주는 그런 호텔 브랜드에 가세요. 최소한 그런곳에서는 돈은 적어도 블랙 소리를 듣지 않고 법안대로 일할수 있습니다.
@そらぱぱ-m1i
@そらぱぱ-m1i Жыл бұрын
일본 호텔에서 2년정도 근무하고 퇴직했습니다. 일본 철도회사가 모기업인 그룹의 4성급 호텔에서 프론트 근무했는데 호텔별로 환경은 조금씩 다릅니다만, 제가 일했던 곳은 야간의 경우 한 번 출근당 2일치 근무를 했습니다 즉 16시간 근무이며(대신 근무 끝난 후 그 날은 off) , 휴식시간은 원칙 2시간이었습니다. 물론 융통성있는 인차지는 2시간 30분씩 휴식 돌리기도 했습니다. 이 시간에는 탈의실안에 있는 캡슐에서 잠을 잤습니다. 급여는 야간수당 포함 세전 23~24만엔 사이었으며 세금떼면 20만엔도 안되는 금액이었습니다. 그래도 2년동안 다닐 수 있던 이유는 주변 사람들이 너무 좋아서 였고, 저의 경우는 우수사원 수상 할 정도로 진심으로 근무했으나 가족을 부양하기엔 너무 적은 급여에 코로나로 인한 경영악화까지 겹쳐서 결국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장점을 나열해보자면 외국인 입장에서는 일본어 능력이 매우 빠르게 향상됩니다. 프론트에서 근무하게 되면 고객응대는 물론 전화대응까지 해야하며, 거기에 서비스업의 최고봉인만큼 현란한 경어사용이 필수적이므로 좋든 싫든 일본어는 확실히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다같이 힘든 업무를 하다보니 주변 동료들과 금방 친해집니다. 아침에 퇴근하고 같이 술 한 잔 하러 가거나 그럽니다. 그리고 착한 단골손님이 고생한다고 먹을거 사오시거나 만엔짜리 주시면서 이걸로 뭐라도 사먹으라고 주시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 손님에게 고맙다는 말 들을때가 뿌듯합니다.(문제 해결해드리니 후일 고맙다고 손 편지 받아본 적도 있음) 그만둔지 2년이 다 되어 갑니다만 지금도 가끔씩 라인으로 연락 주고받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도 저는 호텔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프론트의 경우 야근으로 몸 망가짐 + 취객 및 진상고객 상대에 스트레스 쌓임 + 외국어를 사용하다보니 항상 신경을 곤두세워야하니 피로가 두배로 쌓임 등... 혹시라도 일본 호텔로 취업을 생각하고 계시는분들 다시한번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고요한명상
@고요한명상 Жыл бұрын
저도 지방에 있는 ana호텔 경험하고 재빨리 도망갔습니다 ㅋㅋㅋ
@자영업자71
@자영업자71 11 ай бұрын
혹시 도큐인가요? 우리 아들이 취업되서 다음달에 가는데ㅠ 걱정이네요
@そらぱぱ-m1i
@そらぱぱ-m1i 11 ай бұрын
@@자영업자71 ㅎㅎ 제가 근무했던곳은 기업의 이미지가 있으니 밝히기는 어렵습니다만, 도큐의 경우 도큐호텔이 5성급으로 메인이며 그 산하에 엑셀브랜드(4성급) 레이브랜드(3성급)이 있습니다. 아드님이 어느쪽으로 취직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나마 편한건 레이쪽이고 당연히도 5성급이 가장 힘듭니다. 물론 더 힘든만큼 경험치도 많이 쌓이겠지요.. 어느쪽이든 아드님은 잘 해내시고 좋은 경험 많이 쌓으실거라 믿습니다. 응원합니다.
@younunam959
@younunam959 4 жыл бұрын
전직 호텔리어 경험으로 말씀드립니다. 절대 하지마세요.
@fiaf10047
@fiaf10047 4 жыл бұрын
슈퍼호텔... 일본 갈때마다 온천 있는 곳으로 꼭 1박이상 하는 곳인데ㅋㅋ 직원들이 2년동안 바뀌지 않았던 이유가 이거였구나ㄷㄷ
@snowki544
@snowki544 4 жыл бұрын
예전 미국인이 쓴 ‘나는 분노조절 장애가 있는 호텔리어입니다’라는 책이 기억나네요.
@동생놈바보
@동생놈바보 4 жыл бұрын
분조장애 안생기는게 이상하죠
@hateCP
@hateCP 4 жыл бұрын
저같은 경우에는 외식업에서 알바를 2년정도했는데 아르바이트라 그런지 그렇게 힘들다는 느낌은 없었어요. 오오테에 주말엔 주방에만 10명이상 일할만큼 손님들도 많이오던 술집입니다
@jacksonlee9394
@jacksonlee9394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일본에서 생활하게 될 저에게는 정말 유익한 내용입니다. 사회생활의 첫단추를 정말 잘 끼우고 싶습니다 ㅠㅠ
@Shindorim_baekgom
@Shindorim_baekgom 4 жыл бұрын
좋은 회사 가시길 바랍니다
@user_rarapo
@user_rarapo 4 жыл бұрын
호텔 프론트 생각하시면 아파는가지마세요 ㅋㅋㅋ 목욕탕 청소 방청소도 함 ㅋㅋㅋ
@짱구야놀자-d1j
@짱구야놀자-d1j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특히 첫 단추 잘 끼워야 해요 전직해도 그 분야로 가는게 대부분이라
@doraemongmr6138
@doraemongmr6138 4 жыл бұрын
일본유명체인호텔에서 근무중인데 호텔이 인기있는이유는 개나소나들어올수있다 입니다 그렇다보니 급여가적을수밖에없는데 승진해서 주임급넘어가면 급여상승폭이커요 존버잘하면괜찮아짐
@leeja1294
@leeja1294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때 많이 갈리지 않았나요?
@카이쥬들怪獣
@카이쥬들怪獣 4 жыл бұрын
웬만한 뉴스,웹정보 보다 훨씬 더 유익하고 무엇보다 재미납니다 ㅎㅎ😅😅😅항상 잼나게 보고 있어요~❤️👍✌️👌
@youngraelee4598
@youngraelee4598 4 жыл бұрын
호텔업도 많은 부분이 무인화 기계화 되지 않을까 싶어요. 특히 청소나 힘쓰는 쪽은 더하죠. 일회용 어매니티 제공하는 거 생각보다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데 점점 일회용 안 쓰느 분위기라 없어지고 수건빨아서 개는 것도 기계가 정리하고 침구류도 일일이 사람이 안하고 기계가 가능한 빨리 할 수 있게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호텔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은 대기업이더라도 가면안됩니다. 중소기업 사무직이 훨 낫습니다. 인식도
@barleyfavor
@barleyfavor 3 жыл бұрын
서비스직은 대기업이라도 난이도 씹헬
@Mr-keydary
@Mr-keydary 4 жыл бұрын
다음번 블랙기업으로 파견회사도 해주세요
@도토리-n3q
@도토리-n3q 4 жыл бұрын
일본 서비스: 웃으면서 끝까지 거절 한국서비스: ㅅㅂ 거리면서 다 해줌
@ppangttuck03
@ppangttuck03 4 жыл бұрын
츤데레의 국가
@goodyomi
@goodyomi 4 жыл бұрын
웃음웃음 ->씨바씨바 ->웃음웃음 무한반복
@mrchaid
@mrchaid 4 жыл бұрын
ㅇㅈ ㄹㅇ 츤데레 끝판왕의 국가
@user-POIRARIS
@user-POIRARIS 4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증답.
@heuikun_oshaberi
@heuikun_oshaberi 4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 ㅋㅋㅋㅋㅋ
@dalaiho1603
@dalaiho1603 4 жыл бұрын
큰 계약일수록 더 조심해야되는 이유를 설명해주시넹 계약하기 최소 1달전에 계약서를 받아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 한 후에 계약해야됨
@MM-hb6bt
@MM-hb6bt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완전 애기때 뉴욕 유니클로 1호점에서 알바한 적있음. (소셜넘버있었고 불법노동자아님) 그때 베이직 아이템, 니트를 그 가격에 파는거 자체가 혁신이고 질샌더 콜라보까지 있어서 뉴요커들 뿐 아니라 관광객들까지 줄서고 난리났고 전세계 매장 매출 1위찍던 상황이었음. 근데 일본 본사에서 파견 온 총 관리자가 동아시아 버릇 그대로 인건비 줄이겠다고, 3명이 있어야할 피팅룸에 피크타임 빼고 한명만 배치하는 식으로 미친 듯이 굴려서 미국인들 적응못하고 금방금방 그만둠. 시급이 다른 가게들에 비해 높은 것도 아닌데, 요구하는 것도 많으니 남을 이유가 없지(일본 매장식으로 엄청 까다롭게 서비스질 관리하고, 틈만나면 3초(?)안에 유니클로식으로 옷개는 거 테스트하고 계산할때 카드 두손으로 돌려드리고 뭐 그런 자잘한 거 다 지키게함.) 진짜 뭐 점심먹고와야되는 애가 사라지고 그러더라. 근데 일본인 매니저가 이해를 못하더라고 애들이 왜 그렇게 오래 못버티고 그만두는지... 일본에선 그게 너무 당연한 거래. 직원들 자꾸 그만두는 상황에도 직원들을 어떻게 격려시킬지 고민하는게 아니라 자꾸 직원들 일하는 태도나 능력이 마음에 안든다고 자르고..그걸보니 난 어린 마음에도 절대 일본인 고용주 밑에선 일 안한다고 마음 먹었어. 더 웃긴건 인건비 줄인다고, 그렇게 인력배치 적게 하느라 인건비 더 나왔을 거임..주 40시간 넘어가면 오버타임이라 1.5배 줘야되는데, 그 큰 매장에 사람 배치를 적게하니 마감타임 애들이 9시에 퇴근을 못하고 새벽 1-2시까지 근무하느라 직원들 대부분 오버타임함. 나도 24시간 근무 계약이었는데 주당 45시간은 기본으로 채운듯..
@Hwa-ng60
@Hwa-ng60 4 жыл бұрын
우와~ 이 내용 실방으로 봤는데... 완전 '내가 젤 힘들어 챌린지' 같아서 이거 편집 못하겠다 싶었는데 이걸 살리시네ㅋㅋㅋ 편집왕~~
@akipang_akira
@akipang_akira 4 жыл бұрын
방송때 난리였는데 그걸 다 편집하시다니ㅋㅋㅋ오상 고생 많으셨어요!!!!
@Rotspring
@Rotspring 4 жыл бұрын
무작정 국뽕, 일뽕이 아니라서 너무 마음에 드네요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hindorim_baekgom
@Shindorim_baekgom 4 жыл бұрын
교묘한 문구로 갈아넣을 사람을 유인해서 책임자까지 맡겨버리다니...
@JuanGarcia-bz8zx
@JuanGarcia-bz8zx 4 жыл бұрын
신도림백곰 한국이 일본에서 젤 질배우는거. 교묘한 문구로 꼬시기 상술의 원조.
@TheLdw205
@TheLdw205 4 жыл бұрын
어린친구들 이런쪽 박봉이에요. 호텔업, 관광업으로 꿈을 키우지 마세요.
@sweetbe413
@sweetbe413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좋아보이는 겉모습만 보고 가지말았으면 해요 결국 빚좋은 개살구거든요..
@solanine1849
@solanine1849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거주할때 호텔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힘들더라구요...중간에 쉬는 시간이 있는데 말하자면 쉬프트잡인데 이게 은근 짜증나는게 일하다가 길게 쉬고 또 일끝나면 밤이고..주말 없고.. 잔업도 생각보다 많구요.. 노동강도는 우리나라만큼인데 우리나라가 아니니 좀더 힘들었던 기억이 있네요..ㅜㅜ
@sjwclover
@sjwclover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호텔업은 괜찮아요?
@문지학-k6b
@문지학-k6b 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그래도 새벽 5~6시에 나왔다가 점심전에 퇴근하고 오후 3~4시에 다시 출근하라고 하진 않잖아요? ..아닌가? 한국 호텔에서는 일해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xingkey
@xingkey 4 жыл бұрын
@@문지학-k6b 한국은 그렇게하면 노동청에 바로 전화합니다. 12시부터 3시까지 근무로 인정되고 하루 8시 넘은 시점부터 추가수당도 지불해야합니다. 적어도 형사법적으로도 벌금이상 영업정지 먹을 사안입니다.
@xingkey
@xingkey 4 жыл бұрын
@@문지학-k6b 한마디로 블랙기업임.
@solanine1849
@solanine1849 4 жыл бұрын
@@문지학-k6b 제가 하고 싶은 말씀을 해주셨네요..일본은 이런 무리한 시간 배분이 노동을 더 힘들게 합니다...ㅜㅜ 전날 11시 12시까지 일했어도 손님이 새벽 시간에 서비스를 요구하면 5시 6시같이 새벽 일찍 출근해야합니다..
@bellesep5322
@bellesep5322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호텔에서 근무중인데 호텔마다 근무 조건이나 복지가 엄청나게 차이납니다. 단적으로 요즘 코로나때문에 호텔이 엄청 힘든데 제가 근무중인곳은 기본급 70%받고 유급휴직 들어간 직원들 많은데 호텔근처에 오지도 못하게 하거든요. 근데 다른호텔 다니는 지인을 보니 유급휴직으로 70%받는데 근무하더라는..ㄷㄷ
@토끼마녀-r7g
@토끼마녀-r7g 4 жыл бұрын
아ㅠ저번주에 개꿀잼 이였어요ㅋㅋㅋㅋ 암튼 법원등기는 절대 부모님집으로 돌리지 마세요ㅋㅋㅋ집배원들은 생명의 위험까지 감수 하면서 등기주러 갑니다. 법원등기는 본인이 받아주세요ㅠ 흑흑흑ㅠ
@a-a-aaa-ea
@a-a-aaa-ea 4 жыл бұрын
일본계 호텔에서 일하다 일본으로 파견갔을때 느낀건데 일본 서비스는 고객과 직원사이의 파워균형이 무너져있음 우리나라는 대등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하는 반면 일본은 낮은 위치에서 서비스를 한다는 느낌이 듬 그래서 일본 근무가 비교적 스트레스가 더 심한 편
@killem_all
@killem_all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호텔뿐만 아니라 모든 서비스업종이 똑같음 종업원은 노비고 손님은 주인
@칸나-m8p
@칸나-m8p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아요! 그러니 시급 주면서 맨날 모집하죠!
@namu1478
@namu1478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정말 블랙기업 이야기는 일본을 이야기하면서 빼놓을수가 없죠... 비정규직 이라는 단어도 언급된만큼, 다음번엔 [파견]에 대해서 다뤄보시는건 어떠실지요 ㅎㅎ 정말 일본에서는 [파견]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모든 직업은 쳐다보지도 말아야 할 부분이죠..
@shu4213
@shu4213 4 жыл бұрын
이거 때문에 슈퍼호텔은 20대 중반이 지배인인 점포도 많음
@DYK-k6h
@DYK-k6h 4 жыл бұрын
방송이 너무 유익한정보들이 많네요. 잘봤습니다.
@jiggy9353
@jiggy9353 4 жыл бұрын
사기 치는데 한국 일본 있겠습니까? 일본이나 한국이나 사기꾼은 인터네셔널 마인드로 일합니다.
@gmvisck
@gmvisck 4 жыл бұрын
인간사가 남의 등골 빨아먹으면서 사는게 다반사 인듯....난 그래서 항상 사람들하고 거리유지.... 그리고 남이 권하는 건 몇번이고 검토함.
@jiggy9353
@jiggy9353 4 жыл бұрын
@@gmvisck 그래도 인간은 절대로 혼자 살순 없지요... 잘났든 못났든.. 서로를 의지하고 살수밖에 없습니다.
@danceluha
@danceluha 4 жыл бұрын
일본 체인료칸에서 일했는데 입사하고 2년동안 퇴사율이 95% ㅋㅋㅋ 남은 5%애들은 거기서 연애하거나 결혼한애들임 ㅋㅋㅋ
@thk-f2b
@thk-f2b 4 жыл бұрын
사내연애가 근속율을 높히는 재미난 이야기네요
@danceluha
@danceluha 4 жыл бұрын
@@thk-f2b 근데 사내연애는 일단 금지되어있어요. 2년안에 헤어져서 그만두는애들이 또 그렇게 많아서 ㅋㅋㅋㅋㅋ
@yunjebrianlee1263
@yunjebrianlee1263 4 жыл бұрын
캐나다에서도 항공지상직으로 취직을 했는데 여긴 2달만에 퇴사율 80퍼엿어요ㅎㅎ1년 지나면 20명중에 한명 남을까 말까 해요.... ㅜㅠ페이는 짜고 스트레스는 많고ㅜㅠ
@mikechainsmoker9004
@mikechainsmoker9004 4 жыл бұрын
그 혼돈의 카오스를 이렇게 살리나요..ㄷㄷ 다음 블랙도 기대합니다. 오늘 라이브때 만나요~
@kazita89
@kazita89 4 жыл бұрын
오상... 편집하신다고 정말 고생하셨어요!! 개인적으로 풀 라이브를 처음 봤는데 주제가 주제다보니 한풀이도 나오고 각자 속상한 이야기들 막 나오면서 마무리에서 말 한마디 제대로 진행을 못하고 거의 한시간 가까이 끌었던듯ㅜㅜ 그 많은 거 하나하나 다 대응해주시는 것도 놀라웠고 뭣보다 엄청났었는데 그거 다 편집하고도 매끄러운 내용으로 살려서 또 이렇게 보니 정리가 확 되는듯 ㅋㅋㅋ
@persono2
@persono2 4 жыл бұрын
10년 전 회사에서 재미로 리조트 인수 한다고 해서 사업성을 분석해보니 깜짝 놀랐습니다. 별도 법인으로 절 대표로 올린가기에 곧장 퇴사 했습니다.
@sangwooyi2683
@sangwooyi2683 4 жыл бұрын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큰 호텔체인을 빼고는 힘들고 수익율이 적어서 이제는 다 인도계 사람들이 가족들 중심으로 운영하는 중소 호텔이 대부분입니다.
@피카츄-d6t
@피카츄-d6t 4 жыл бұрын
현재 일본에서 2년넘게 공항 지상직으로 근무중입니다 제가 일하는 항공조업사가 블랙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한데 이런영상 보면 그래도 내 회사가 천국이구나 느끼네요 기본급은 적고 잔업은 많지만 잔업수당 다나오고(22시이후부터는 심야수당도 줌) 교통비 나오고 정규직 되고 나서는 월세보조금도 받게 되었습니다 쉬는날도 한달에 8,9일이고요 보너스도 적긴 하지만 일년에 두번 챙겨줍니다 그리고 제가 일하는 공항은 24시간 공항이 아니라서 주야교대근무도 아니고요 물론 근무시간도 길고 더 좋은 환경의 조업사,항공사도 많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블랙기업이라는 평이 있긴하지만 그래도 저희회사는 기본적인거는 다 지켜주니까 그래도 버틸 만 하더라고요 요즘은 코로나때문에 기본급의 60프로 받으면서 집에서 쉬고있습니다 이 60프로도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코로나로 무급휴가에 들어가거나 아예 직장을 잃으신 분들 생각하면 정말 다행이죠 일본에도 의외로 나쁜회사들이 많은데 그런거 생각하면 지금 이 회사에 다닐 수 있다는 것이 감사히 여겨집니다
@yoon2106
@yoon2106 4 жыл бұрын
혹시 일본 건축설계사무소에 관한 이야기해주실수 있으신가요? 일본건축디자인은 정말 세계에서 알아주는 분야인데 어깨너머로 들었을때는 정말 노동환경이 최악이라고 들었어요.
@신현주-n3q
@신현주-n3q 4 жыл бұрын
님 일본인은 무조건 자국민 우선인데 그런데도 외국인 구한다면 3D업종도 아니고 그렇다면 다시 생각해 보시는게 전 생산직만 일했었는데 도서관에서 일본직장인이 자기가 겪은걸 책으로 냈는데 그분은 웹디자이너였어요 미니멀라이프 쪽 책인데 와 정말 생산직인 제가 그분보다 낫더군요 저도 온갖 짓은 다 당해봤지만 도서관에 뒤져보세요 대놓고 블랙기업에 나오진 않을겁니다 일본어를 할줄 아신다면 일본도 노동상담 하는곳이 있는데 웹디자이너나 님처럼 건축디자인이나 애니메이션 아무리 봐도 전문직인데 정말 이건 믿을수가 없는데 그런거 상담을 해주는곳이 있더이다 신문으로 봤는데 그쪽으로 알아보시는게 더욱 확실하지 않을까요
@반짝이는매일아침
@반짝이는매일아침 4 жыл бұрын
나도 건축설계사무소의 근무여건이 무척 궁금합니다.
@서정현-c5o
@서정현-c5o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서 음식점에 직원으로있었는대 영업시간이11시~22시인대 예약손님 많으면 아침7시에도 출근 브레이크타임에도 예약받고 거의한달에 20일정도 추가근무하는대 추가금도 안주고 월급은23만엔.. 제대로 당했음.. 일본서 서비스업은 할게못됨
@user_rarapo
@user_rarapo 4 жыл бұрын
당장그만두세요ㅕ/... 신오쿠보 점장들도 그것보단 일적게하고 35는 받던데...
@tennisserveacademy8550
@tennisserveacademy8550 4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일본 소식과 정보 생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jiaeeom8407
@jiaeeom8407 4 жыл бұрын
지금 호텔에서 근무중인데 이걸 보고있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ㄲ
@kang3938
@kang3938 4 жыл бұрын
힘내요ㅎㅎ
@꽃미남냐옹이
@꽃미남냐옹이 4 жыл бұрын
한국 호텔은 분위기 어때요?
@김영준-y8u
@김영준-y8u 4 жыл бұрын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ㅜㅜ 고생이 많으세요
@jeminsun8776
@jeminsun8776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호텔에서 일하고 있네요
@yoochan2499
@yoochan2499 4 жыл бұрын
오, 오상 구독자 많이 늘었네요. 열심히 한 보람이! 20년 살아도 힘든게 일본입니다. 영혼이 자유로운 오상은 꼭 이쪽에서 성공하길 바랍니다.
@mhead5746
@mhead5746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정치나 경제에서 일본의 악법을 배워와서 적용시킨적이 많다 그걸 수많은 사람들을 갈아넣고 희생시켜서 조금씩 고쳐온거고.. 일본은 투표도 안하고 저항이 없으니까 안고쳐지는거고..
@kimhelena6305
@kimhelena6305 4 жыл бұрын
ㅇㅈ
@TV-or7xz
@TV-or7xz 4 жыл бұрын
윤미향 쫒아내라고 그렇게 저항을해도 안 쫒아내는거보면 우리도 똑같지
@altong69
@altong69 4 жыл бұрын
다까끼 마사오가 일본을 모델로 경제 발전을 시켰으니까.. 그런것 같네요..
@이종관-o2e
@이종관-o2e 4 жыл бұрын
@@TV-or7xz 진심 인정 윤석렬이 그렇게 옷벗고 나가라고 국민들이 말해도 절대안나감.ㅋㅋㅋㅋ
@가즈아-g1j
@가즈아-g1j 4 жыл бұрын
고생하셨네요~ 그 어려운 동영상을 가지고 이정도의 편집을 하시다니... 잘봤습니다~
@yoyoyo5621
@yoyoyo5621 Жыл бұрын
근데 그렇게 열악한 근무환경에서도 그렇게 친절할수있다니 대단하네요 일본갔을때 서비스업 직원들 개친절하던데 나라면 블랙기업에서 일하면 표정관리 안될듯
@7piacom
@7piacom 4 жыл бұрын
슈퍼호텔은 저가형 비지니스 체인인데 아마 저렴하게 일본여행 갔다온 사람이라면 가보지는 않았어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토요코인은 우리나라에도 진출해 있어 꽤 유명하고 APA호텔도 유명한데 APA호텔은 가격이 좀 비싼데다 회장이 극우라서 기피... 일본 블랙기업은 사실 우리나라 안 좋은 기업보다 더 과하게 심하죠.
@haneul2407
@haneul2407 4 жыл бұрын
슈퍼호텔.. 진짜 이용자가 이용하기엔 정말 괜찮은곳이라서 일본에서 호텔 취업준비할때 슈퍼호텔 공고에도 엄청 혹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alone_stand-tj
@alone_stand-tj 4 жыл бұрын
서비스직은 다 빡센것같아요.. 에혀 ㅠ 그와중에 전문 지식을 갖고 서비스업 하면 그만큼 좋은게 없구요. 호텔업은 누구든 할 수 있으니까 허들이 너무 낮아서 공급초과.. 다들 공부합시다!
@AnthonyLeung-d3l
@AnthonyLeung-d3l 4 жыл бұрын
저는 시부야에서 호텔청소일하는데요.청소직종은 나름 자유롬고 괜찮은 편인데 일본인들 많이없고 대부분 중국인들이 하더라구요. 같은호텔직종이어도 극과극이군요.
@장덕현-o1q
@장덕현-o1q 4 жыл бұрын
외노자는 국가망신
@한국정력공사-t5e
@한국정력공사-t5e 4 жыл бұрын
@@장덕현-o1q 덕현아 아가리해라 백수
@haguruma805
@haguruma805 2 жыл бұрын
@@장덕현-o1q 라고 백수가 지껄입니다~
@Lessrmatter
@Lessrmatter 10 ай бұрын
오래된 영상이지만.. 일본 방문하면서 다양한 호텔에 머물럿엇는데 비지니스호텔이든 5성급호텔이든 한번도 불친절하다는 인상을 받은 적이 없어요. 영상보니까 더더욱 감사하게느껴지네요.
@FriedrichNietzsche21th
@FriedrichNietzsche21th 4 жыл бұрын
솔거노비로 쓰는데 월 100만원도 주는 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선시대면 괜찮았을건데ㅋㅋㅋㅋㅋㅋㅋ 2020년에 저딴 ㅋㅋㅋㅋ
@philiplee153
@philiplee153 4 жыл бұрын
원래 호텔은 턴오버 비율이 높습니다. 자신의 가치를 올려서 이직을 해야 돈을 올려 받으니까요 직급도 올려서가구요.
@해여니-z3m
@해여니-z3m 4 жыл бұрын
한국이나.일본이나.겅험없이 입사가능한덴 일이 힘들던지.돈이 작아요.ㅠ 제가그렇거든요.
@캬퓨렛트
@캬퓨렛트 4 жыл бұрын
이방송을 20분이내에 편집하다니 대단하다
@bach_cello_sonata_166
@bach_cello_sonata_166 4 жыл бұрын
아니 이 아침에 올라오다니!
@268onob
@268onob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ㅎ 이천년대 초중반까진 저 드라마의 영향으로 호텔관광.경영학과 쪽이 인기였죠 당시 경희대 해당학과가 입시점수도 제법 높게 올랐었던 기억이
@myungjinhan8277
@myungjinhan8277 4 жыл бұрын
호주에있는 호텔에서 일하는데, 회사마다 다고, 호텔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같은 계열 5성 호텔이라도 업무환경 강도 다 다르고, 하물며 다른 브랜드 호텔이면 더더욱 다르죠. 다만 여기는 열심히 하고 능려되면 돈 잘받아가요. 저희쪽은 AM은 초봉 6만불시작이지만 프론트 오피스 매니저정도 되면 7만불찍고, 오피스서 일하는 sales,revenue 매니저들은 7만불중반, operation manager되면 8만불 중후반, 총지배인되면 9만불~10만불 됩니다. 주5일에 잔업없고, 보통 야간일하는 사람은 고정으로 구하기 때문에 아침이나 오후 근무들 들어가고 그것도 조정 잘하면 7시-3시 근무만 들어 갈 수도있어요. 동일 계열 다른 호텔 이동도 쉽고 나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기는 호텔경영하는 operation manager나 총지배인인 general manager는 경험있고 능력있고 학위있으면 말단부터 총지배인까지 가는거 가능합니다. 느낌상 호텔 소유주이 크게 경영에 이래라 저래라 참견하는게 크진 않은듯..
@달코이-t5z
@달코이-t5z 4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 근데 30초에 타산지석은 다른 사람의 나쁜행실은 따라하지 않는 교훈으로 얻는다는 뜻인데 반대로 쓰신거 같아요.
@jaysland_lee
@jaysland_lee 4 жыл бұрын
일본의 IT 개발자 직군에 대한 컨텐츠도 하나 만들어 주세요! 너무 궁금합니다!
@보보리자
@보보리자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 재미 있게 잘 보고 있어요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 4 жыл бұрын
서비스 업. 돈이 된다 싶으면 쉬는 날도ㅠ없음 쉬는 날이 있으면. 돈이 안됨 따져보면 둘다 비슷. 좋은곳 찾기 힘듬.
@blossomhan-2024
@blossomhan-2024 4 жыл бұрын
한국과 일본 두군데에서 호텔서비스 해 봤습니다. 한국 호텔서비스도 힘들었지만 일본은 더 힘듭니다. 첫번째 오상이 말씀하신데로 닥치고 오모테나시만 중시 합니다. 그리고 매뉴얼 진짜 토나옵니다 전화대응 할때 대사가 다 정해져 있습니다. 토씨 하나라도 틀리면 엄청 갈굽니다. 그래서 고객이 원하는 답을 곧바로 대답을 하지못하고 매뉴얼에 있는 대사로 질문을 유도해서 대사대로 답해야됩니다. 그리고 예약은 온라인으로 받는데 예약관리는 종이서류로 관리를 합니다. 그래서 안해도될 일을 구지 두번해야됩니다 또하나는 팀워크가 없습니다 특히 일본호텔은 시프트라고 교대시간 되면 뒤도안돌아보고 감 그리고 서로 뒷담화 마지막으로 제일 힘들었던것은 외국인 직원은 승진이 힘듭니다 일본인직원 보다 뛰어나도 외국어를 잘 해도 일단 외국인을 믿지를 않습니다. 아무리 일본어를 잘 해도 영어를 잘 해도 ... 그래서 지금 이직해서 프랑스 호텔에서 일하고 있어요 승진도 금방되고 매뉴얼 보다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일 할수있습니다. 호텔 서비스 쪽에서 근무하실분들 무조건 유럽으로 가세요
@-sbori8121
@-sbori8121 4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일본 료칸식 호텔 취업됐었다가 코로나 때문에 못가고 있는데 그냥 가지 말까 고민중입니다 근데 말씀 듣고 보니 일본은 정말 답이 없게 느껴지긴 하네요
@zeon7734
@zeon7734 4 жыл бұрын
서비스업 어디든 다들 힘드시겟지만 그래도 업무강도의 차이가 잇을거고 그중에서도 자신잇게 얘기할 수 잇는게 호텔업은 단연 최상위권 저임금고강도 업종입니다온 정말 자신의 인내심이 강하고 접대의 보람을 느끼는 그런 분들만 도전해보시고 잘모르겟으면 그냥 이용만하세온 그리고 이용하실 때 진상짓 안하는거 다들아시죠? 근데 모르시는분들이 많아서 예로들자면 귀중품 들고 여행오지마시고 들고왓으면 간수 잘해주세온 호텔직원은 어지간한 정신머리가 아닌한 손님짐을 가져가지 않습니다온 메모 남기시지않으면 돈을 팁이라고 오해하고 챙기는 경우도 당연 업구온 또 체크아웃후 발견되는 물건들은 재사용이 가능한 모든 물품을 대장에 기록해두고 6개월정도(돈이나 보석류는 3년)보관하며 연락처를 남겨놓으신 경우는 일일이 연락다해서 전달해드리려 노력합니다 그런데 지들이 잃어버려놓고선 의심할때는 억장이...또 가격문의하실때 제일싼게 어떠냐고 물어보시는데 같은 객실이라도 호텔자체 판매랑 여러 인터넷예약판매처마다 계약내용이 달라서 본인이 발품(검색)하시는수밖에 업어온 당연히 주말이나 이벤트잇는때에는 가격이 오르지온 그런데 저번의 경우나 다른사람은 더싸게 묵엇는데 난 왜이러냐고 따지시면 그때도 억장이...이부분까지는 컨시어지로 프론트 보조하면서 느꼇던점이고 제가 주로 담당한 하우스키핑을 얘기해보자면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건물전체가 금연구역입니다온 그런데 룸방문 할때나 정비할때 들어가면 냄새가 베어잇고 심하면 연기가 눈에 보입니다온 호텔방은 여러분에게 판매한 소유물이 아니라 다음사람이 쓸수잇는 대여물입니다온 화재위험도 잇구온 그러니 실내금연 절대 금해주시고 지정된 흡연장소를 이용해주세온 또 방을 너무더럽게 쓰지말아주세온 내돈내고 묵는데 정리도 내가해야하냐 라고 생각하시겟지만 그정도가 아니라 '고체(과자뿌시레기 등)를 밟게 하거나 액체(술이나 유색음료나 라면 등)로 적시거나 기체(담배나 향수 등)로 베이게하는경우가 잇고 파티한답시고 헬륨가스든 풍선을 방치하고 테이프를.벽과 천장에 덕지덕지붙이고 가버리거나 트윈(작은침대 두개)으로 들어와서는 침대두개릉 붙여쓴뒤 그냥 가버리거나(룸정비는 거의 아주머니분들이 하십니다 힘이 부족해서 침대옮기는 작업까지하면 평균 방12개를 정비다할 힘이 부족해지시고 골병드시고 그만두시게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거울에 스크래치내거나 가구를 부숴버린후에 도망치거나(연락처에 연락하면 내가 안그랬다 발뺌하고 역성내고) 더러운의류나 망가진 물건들을 쓰레기장마냥 버리고 가버리거나 등등' 상식이상으로 더럽게 쓰는 사람들을 보면 한심하게 느껴집니다...또 호텔의 급에따라 또는 같은 브랜드라도 각 업장마다 운영방침이 달라서 호텔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종류와 제공량이 달라지는데 어느호텔에서는 해줫는데 여기는 왜 안해주냐 항의하시는데 알기쉽게 풀어드리면 대부분은 객실안에 가격표가 붙어잇는곳이 룸서비스운영호텔이고 안붙으면 룸서비스비운영호텔입니다온(특급호텔이나 비즈니스호텔같은 급을 나누는 기준이라 보시면 될듯)방 내부에 가격표가 안붙어잇으면 기본적으로 룸방문서비스는 거의업다고 보시면 됩니다(잇다면 호텔측과실이 발생햇거나 호텔임원급관련 손님에 대한 메뉴얼에 업는 서비스)그러니 사전에 호텔홈페이지를 통해 이용가능한 서비스를.확인후에 예약하시거나 전화 혹은 방문을 통해 서비스제공이 가능한지 사전문의를 주시길 바랍니다온 그리고 프론트도 그렇고 하우스맨도 그렇고 직원은 웃으면서 존대말로 대우하는데 방문객은 무뚜뚝은 그렇다치고 화난표정에 반말 찍찍뱉으면 당연히 마음속이 타들어갑니다온 일에는 간신히 적응햇는데 접대의보람을 못느껴서 그만두시는 분들도 잇으니 가능하면 웃어주시고 상호존대말을 사용해주시면 좋겟습니다온 이렇게 힘든데 왜 저임금인지 궁금하실텐데 공장같은 자동화를 반영하기가 굉장히 한정적이고 따라서 사람이 직접해결해야하는 경우가 많기에 고용해야하는 인원수가 늘고 그에따라 인건비가 커지지온(그러니 당연 정직원보다 계약직이나 하청이 많아지구온)거기에 하우스키핑은 전문지식이 상대적으로 덜필요하고 프론트는 대학전공자를.선호하지만 결국 신입은 호텔내부재교육이 필요하기에 진입장벽이 낮은편에 속하게되고 그러면 생계가 불안한 분들은 호텔에 지원을 하게되니 너아니어도 할사람많다는 마인드가 박히게되어 저임금체계가 형성되어져버리는겁니다온...ㅠ 또 업장마다 다르겟지만 독립운영형인 소형호텔들은 회장 지멋대로라서 내부환경상 제공이 불가능하거나 직원에게 부담가는 서비스제공을 명해서 직원을 갈아넣지온 또 사무직이 현장직을 업신여기는.말도 안되는 푸대접을 받기도하지온(간담회열어서 건의사항 말하라기에 말햇던 한 직원에게 너무 말이 많네 블랙리스트에 적어야겟네 라고 면전에 대놓고 말하는 모습은 제가 이전에 잇던 호텔에서 나가야겟다고 생각하게된 계기가 되엇지온)이외에도 호텔리어의 고충이 잇지만 줄이기로하고... 감정적이게되어 장문충이 되어버려서 죄송하고 혹시나 끝까지 읽어주신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인사드립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호텔리어들에게...아니 서비스업 종사자분들에게 따뜻하게 대해주세온 부탁드리겠습니다 ㅠ
@토테츠-p3x
@토테츠-p3x 4 жыл бұрын
작성자의 분노가.... 학부생때 배운 것만 해도 재떨이에 꽁초 4개 이상인 상태로 15분 이상 있으면 키핑팀 털리고, 객실에서 프론트 연결시 5초이상 지연시 '늦어서 죄송합니다.' 안하면 매니저에게 한소리듣는... 연회부 서빙은 보기엔 멋져도 쉬운게 아니고경련와서 팔주무르면 왜 팔 주무르냐 그시간에 서빙해라...ㅂㄷㅂㄷ...
@zeon7734
@zeon7734 4 жыл бұрын
@@토테츠-p3x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온 ㅎ 근데 다시보니 저라도 다 안읽을듯 ㅋ 글이 너무 정돈안되고 기네온 ㅋㅋ
@h.carobmas2405
@h.carobmas2405 4 жыл бұрын
11:32 요리업계는 몇년 밑에서 배우다 더 이상 배울게 없다하면 2,3년에 한 번씩 이직한다고 들었습니다. 일본도 비슷한 양상이 있어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문지학-k6b
@문지학-k6b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워홀 비자 받아 일본 호텔과 면세점에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오전에 조식 준비와 체크아웃 한창 바쁠때, 점심시간 전까지는 휴식시간 저녁 준비 전부터 밤까지 다시 업무.. 청소 데스크접객 기념품판매 식사준비 시설유지보수.. 말이 직원이고 업무지 허드렛일 잡일꾼.. 일이야 그렇다 쳐도 중간의 휴게시간에서 열받음 나가노 산 한가운데 있는 휴양호텔이라 제일 가까운 편의점까지 걸어서 30분인데 어딘가 가서 쉴수도 없고 말만 휴식시간인데 쉬는 느낌이 없음 차라리 업무시간이면 돈이라도 더 받지 아예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눠져 있으면 근처에 1박 2일 여행이라도 다녀올 것을 하루를 쪼개서 업무시간 휴식시간 잡아놓고 바쁠때만 나오라고 해서 급여 계산하는데서 앞으로도 계속 갈려나가겠구나 싶어서 런했음
@fireball890
@fireball890 4 жыл бұрын
문지학 선을 넘다 못 해 부수는군요..
@갑순이-j3v
@갑순이-j3v 4 жыл бұрын
누가 하라카드나?
@기중이-y4x
@기중이-y4x 4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도 거의 모든 팬션이 이와 똑같은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부부를 운영자로 모집하여 통채로 떠 맡기는 노예계약....... 중간에 해지하려하면 천문학적인 위약금을 지불해야함 365일 24시간 노예 노동......
@neverstop9632
@neverstop9632 4 жыл бұрын
영상과 다른 질문입니다. 일본 TV보면 왜 패널을 만들어서 설명하는지요 이거 정성스럽게 만드는것도 쉽지 안을꺼같은데. PPT로 만들면 될것을 왜 스티커 떼었다 붙였다 하면서 설명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재현-r6y
@재현-r6y Ай бұрын
알면서도 일부로 그렇게 하는거일듯.. 그게 그나라 문화가 아닐까요? 나도 이해는 안간다만😢
@yunjebrianlee1263
@yunjebrianlee1263 4 жыл бұрын
항공업계도 영상 만들어주세요~~~~~!!!!
@eiei1008
@eiei1008 4 жыл бұрын
오상..대체 밤새 어떤싸움을 하신건가요...이 영상을 편집하다니..
@Travel_Park
@Travel_Park 4 жыл бұрын
누가 나무위키에다 박가네좀 등록해줘라..
@saulmiuki
@saulmiuki 4 жыл бұрын
한국 호텔과 일본 호텔(비슷한 규모로)에서 모두 일해보신 분께 얘기 들러보고 싶어요. 왜냐면 한국 호텔에서 일하는 친구도 많이 힘들다고 했서든요. 나라의 문제인지 업계의 문제인지 ?
@jjjjjjjjjiiiiiiiiiiiiiiin
@jjjjjjjjjiiiiiiiiiiiiiiin 4 жыл бұрын
일본호텔에서 2년 한국호텔에서 1년반 프론트 일한사람으로써 업계 자체가 힘듬. 시프트 3교대 체력적으로 힘들뿐더러 엄청난 박봉. 서비스직이라는게 요즘도 손님이 진짜 왕인줄알고 직원 하대하는 몰상식한 손님이 엄청많음.
@Doremipo
@Doremipo 4 жыл бұрын
한국 호텔에서 1년 일본호텔에서 3년 근무했는데 업계 자체의 문제입니다. 인건비의 비중이 크니 한명 한명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적어진다고 생각해요. 근데 서양권에 비해 팁 문화가 발달하지 않아서 팁으로 충당할 수 있는것도 아니구요.(미국에서는 월급이 정말 적은데 팁으로 생활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근데 손님이 내는 돈은 크니까 손님들은 그만큼의 서비스를 바라고 직원은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못 받으니 거기서 오는 스트레스가 엄청난거죠. 제가 근무했던 일본의 호텔은 보통 스탠다드 객실이 일박에 오십만원정도 했어요. 엄청 비싸죠. 그래서 손님들은 이거도 저거도 다 해줬음 좋겠고 받아갈 수 있는건 다 받아가고 싶어해요. 가끔 여기서 묵어보려고 돈 모아서 드디어 왔어요 하는 손님들도 있거든요. 근데 그런 사람들일수록 바라고 기대하는게 많아서 정말 힘들어요.
@yoyoyo1208
@yoyoyo1208 4 жыл бұрын
인건비비중이높은 업계특성
@leessangin
@leessangin 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현직 의사입니다. 혹시 나중에 기획하시게 되면 일본 병원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근 주변분들이 일본에서 의사 하신다고 공부를 많이하고 있는데 어떤지 좀 알려주세요 . 의원부터해서 2차병원, 종합병원까지요. 치과의사는 일본에서 망 직업이라는데 이것까지 하면 재밌을 듯합니다.
@박진희-q4c
@박진희-q4c 4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 기회가된다면 다뤄주셨으며뉴좋갰네요 ㅎㅎ 흥미로울것같습니다
@MQ5784
@MQ5784 4 жыл бұрын
제 아내가 오사카시의 종합병원 간호사인데 간접적으로 간호사의 시선에서 어느정도 말 할 수는 있습니다만 ^^
@rhinosrugbyclub8306
@rhinosrugbyclub8306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편의점이랑 똑같네 대기업 노예점주 ㅋ
@광대무변-v7k
@광대무변-v7k 4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영상입니다 굿!!
@정대화-v9z
@정대화-v9z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밌게 보았습니다~ ㅎㅎ 최근 '블랙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지금 나는 한계에 도달했는지도 모른다' 라는 영화도 재밌게 봤는데요. IT 업계도 한번 리뷰 해주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라이다-v1m
@라이다-v1m 4 жыл бұрын
오상~ 츄여사님~ 간호사쪽도 다뤄주세요 저는 한국 남자 간호사인데 궁금하네요 대체 일을어떻게 하길래 요즘 대처하는게 영,,시덥잖아요
@89NKOTB
@89NKOTB 4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 애들이 워홀 비자받고 일본에 환상품고 가지만 호텔 알바하면서 실망하는 애들 많지. 시급 1000엔에 알바 강도는 세지. 차비는 줘도 밥 안주지 이래저래 몇 달 다니다 그만두는 애들 많지. 나도 치바에 950엔 받고 다녔지만 생활 참 팍팍하더라.
@문지학-k6b
@문지학-k6b 4 жыл бұрын
힘들고 외로울건 각오했었습니다 일본 생활을 한번 해보고 싶었어요 다만 다른 사람에게 추천은 못하겠더라고요
@Sisun_arumdaum
@Sisun_arumdaum 4 жыл бұрын
딱 자기 얘기하고있노 ㅎ
@FriedrichNietzsche21th
@FriedrichNietzsche21th 4 жыл бұрын
@@lemonmilktea5406 그럴 일이 없죠. 단순노무직이 대부분이라 그냥 외노자
@서한결-g7y
@서한결-g7y 4 жыл бұрын
스고이!..편집짱..한풀이 도네로 생방 거의 터질뻔했는데..살려내셨네요! 고생 하셨습니다..
@fktcmek
@fktcmek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IT기업들 같네. 개발자로 들어갈땐 마음데로지만 나올땐 아닌데다가, 허구언날 야근에 주말출근. 주 52시간 법이 IT기업들 때문에 나왔다는 소리까지 있음. 최근엔 좀 상황이 나아졌지만 그래도 여전한 것 같음.
@blacksinusecho
@blacksinusecho 4 жыл бұрын
와오 이걸 편집을 엄청깔끔하게 하시다니 ㅎㅎ 라방에서 성토대회 장난 아니었는데 말이유~ 毎度あり( ^ω^ )
@김민영-v3b7k
@김민영-v3b7k 4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닛산이 완전히 한국에서 빠지기로 결정되었는데.....(케어나 수리등은 28년도 까지.) 한번 다뤄 주셨으면 하네요.
@zisel71
@zisel71 4 жыл бұрын
라이브에서 이미 다뤘는데 아직 편집은 안해서 유튜브에는 안 올린듯하네요.. 가입하시면 풀영상은 가능할듯..
@Paladin-d8q
@Paladin-d8q 4 жыл бұрын
나가사와 마사미 ㅋ 오랜만에 듣는 이름이네요. 아주 예쁘고 귀여운 배우^^
@chanhan1828
@chanhan1828 4 жыл бұрын
리얼 블랙기업에서 일해본 경험상 군대시절이후 최악의 시간이였다. 춥고 배고프고 돈없고 도망못가고 참...힘들다. 2급까지 따도 료칸에서 사용하는 경어가 입에 붙기까진 시간이좀 걸리고 참 힘드랃.
@고기만두-j2g
@고기만두-j2g 4 жыл бұрын
이걸 편집하다니...오상 당신은 대체
@famistarlee7326
@famistarlee7326 4 жыл бұрын
현재 토치기현 닛코시 온천호텔에서 1년째 파견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여기 일하는 일본인 파견직원이랑도 얘기해봤는데 이 주변 호텔은 전부 블랙기업이라고봐도 무방하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정규직이되어도 파견이랑 급여차이도 거의 없어서 그냥 파견으로 계속하고 있다고...파견직원의 경우 시급제로 쓰기 때문에 일을 많이 안시킵니다. 잔업은 주로 정규직들을 굴리니까요. 그냥 언어 익히고 적당히 혼자서 자급자족하기에는 나쁘지 않습니다.
@Spidersingroom
@Spidersingroom 4 жыл бұрын
연예인 이적 많이 닮으셨다 많이 생각했었는데... 오늘부로 확고히 전혀 닮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항상 많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이병재-b1r
@이병재-b1r 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하하하하하하-s8q
@하하하하하하-s8q 4 жыл бұрын
슈퍼호텔, 베개도 고르게 해 주고, 아침밥도 맨날 바뀌어서 좋던데 ㅋㅋㅋ 일하는 사람은 별로인 곳이었구나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일본을 대표하던 도시바가 상장폐지 하게 된 이유
25:00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38 М.
일본에서 자영업을 하면 안되는 이유
24:0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49 М.
한국과 일본 어디가 휴일이 더 많을까?
19:29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197 М.
일본 캡슐호텔 1박 + 지진
18:28
JM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일본 블랙기업에서 사축을 만드는 방법
9:13
안협소
Рет қаралды 521 М.
일본사람들이 학벌에 목숨을 거는 이유
23:36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6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