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이 이직하지 않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295,031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사는 한일부부가 일본의 다양한 정보를 투머치토크!
한국에서는 알 수 없는 시사/경제/생활/문화등의 정보를
일본 현지인의 시선으로 알기 쉽게 이야기합니다.
◆라이브(생방송)◆
매주 수,토,일에 토크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일본 여러 동네를 여행하는 야외방송도^^
◆자기 소개◆
ー오상(박준식)ー
울산 출신 한국인, 2003년부터 일본거주, 교토대 졸업,
일본기업·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ー츄미코(박미사)ー
아이치/미에현 출신 일본인, 도시샤대 졸업,
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항공사 승무원, 한국어 계속 공부중(TOPIK 6급 취득자)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com
※구체적인 안건 내용 및 조건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은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일본정보 #일본사회 #일본기업

Пікірлер: 358
@ster5702
@ster570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경우 한 직장에서 연봉이 올라가는게 인플레이션 보다 느린 경우가 많아서 신입사원 페이는 계속 올라가는데 기존 직원들 보다 신입사원이 제일 많이 받아요. 오래 다니는 사람만 호구 되는 시스템. 그래서 이직을 자주 해야 페이가 올라가요
@user-et7yv2bf3v
@user-et7yv2bf3v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 그런 시스템적 시너지가 외자계 미국 회사+일본자회사면 높은 초봉 빠른 호봉제와 종신고용이 같이 곁들어진 신의직장이 나오기도하죠..
@mwkim3314
@mwkim3314 Жыл бұрын
한국도 그래요 제가 다니던회사 10년차과장이 저보다 한달50만원 적게 받았어요
@doslrnt
@doslrnt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이직했다가 다시 그 회사 입사하는게 연봉이 더 빨리오르죠.
@ihp5952
@ihp595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이직 문화는 IMF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봅니다. IMF이전에는 한국도 이직을 터부시 하는 경향이 있었고 기업에서도 한번 직원을 채용하면 가급적 오래동안 같이 갈려는 문화였습니다. 그런데 IMF이후 부터는 대량실직과 더불어 IMF의 노동시장의 유연성 강제 권고등으로 계약직등이 증가했고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해고가 용이해졌습니다. 또한 호봉제 대신에 연봉제가 도입되어 한곳에 오래 있는다고 무조건 더 높은 급여를 받는 다는 보장이 사라졌으며 능력만 된다면 이직으로 연봉을 높일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그리고 IMF라는 고통의 경험은 기업들도 예전처럼 큰빚을 지면서까지 기업을 확장하는 운영보다는 좀더 내실을 기하게 되어 예전처럼 신입사원 위주로 대량 채용하는 문화가 점차 사라졌으며, 경력자를 선호하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IMF이전과 달리 이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많이 관대해졌고 환경도 이직이 좀더 용이해지는 상황으로 변경되었다고 생각합니다.
@adsm8879
@adsm8879 Жыл бұрын
IMF 이전에 기업들이 큰빚을 지면서까지 기업을 확장한게 아니라, 정경유착으로 국민들 세금을 은행이나 종금사에 지원하고, 기업들이 그 돈들을 날로 먹었던겁니다.
@user-kk8sz4pe3f
@user-kk8sz4pe3f Жыл бұрын
그냥 맨날 약빠니까 이직률 높지
@endeavorlee1588
@endeavorlee1588 Жыл бұрын
IIMF 이전에는 임금격차 자체도 크지 않았었고 대졸 출신의 전문직들(의사 약사 이런것 외에 전문성으로 일하는 직업들이요)이면 입사 후 중소기업에선 확실히 진급이 빨랐던것, 소기업 일수록 일하는 사람이 열심히 일하는게 회사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었던 시대인점도 큽니다. 지금이야 매출 조금 올린다고 큰회사처럼 취급되진 않지만 당시에는 진짜 작은회사들이 많았고 영업잘하면, 성실한 직원 있으면 생산성 차이가 굉장히 크게 벌어졌었어요
@lowlanz
@lowlanz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이직하는 이유는 일본과 달리 회사가 신입으로 입사해서 쭉 다니던 사람들을 우대하지 않기 때문이죠. 근속년수에 따른 연봉상승 따위는 없습니다. 오히려 경력자들을 급하니까 온갖 대우해주며 데려오죠. 같은 회사라도 경력이면 몇천씩 더 받아요. 결국 내가 다른 회사로 이직해서 대우받는 수 밖에 없습니다.
@user-rr2ww4tg9d
@user-rr2ww4tg9d Жыл бұрын
회사 내규로 직급에 따라 연봉이 정해지는 대기업 아니면 다 그런것 같습니다. 옮기지 않는 한 대우 제대로 받기 힘든 것 같습니다.
@honhap_things
@honhap_things Жыл бұрын
경력이직은 더후려치는대 뭔..개같이일해도 성골공채와 차이 못좁힘
@user-ji3vo7bh3c
@user-ji3vo7bh3c Жыл бұрын
@@honhap_things 2222 나도 이 생각 들었는데.. 경력으로 이직한 사람은 공채로 들어온 사람 못 이길텐데?
@lowlanz
@lowlanz Жыл бұрын
@@honhap_things 그건 완전 연봉 차이나는 회사에서 온 경우 아닐까요
@user-ep8bw6sz9i
@user-ep8bw6sz9i Жыл бұрын
@@lowlanz 연봉차이가 나니깐 경력이직 하는건데 실상은 비슷.. 그저 복지가 좋은
@gaejug_i
@gaejug_i Жыл бұрын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다들 옷 따듯하게 입으시고 내일생방때 봬용 ㅎ
@user-oc4xg9zc8i
@user-oc4xg9zc8i Жыл бұрын
구독과 알람설정 했습니다👍 저 일본에대해서 관심이 엄청 많습니다
@naracho5289
@naracho5289 Жыл бұрын
좋은 곳은 어디나 들어가기 어렵기 마련 나도 좋은 곳으로 가고 싶다
@user-rc2ek4ro7b
@user-rc2ek4ro7b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user-ot6jm6pi7z
@user-ot6jm6pi7z Жыл бұрын
요즘 영상 자주올라오니 넘 좋습니다
@user-nx1yr2mh8w
@user-nx1yr2mh8w Жыл бұрын
출근할때 영상 잘보겠습니다
@folhy7428
@folhy7428 Жыл бұрын
종신고용이 단점도 있지만 노동자 대부분에겐 사실 좋은 제도였지만 시대는 그걸 용납하지 않지... 눈을 낮춰라 뭐라 하지만 좋은 일자리는 어느 나라건 어느 시대건 갖기 힘들다. 게다가 점점 줄어든다. 내가 붙어 있으려고 악을 쓰는 이 회사는 진정 내가 원해서 붙어 있으려는건지 이제 확신이 없긴 하다.
@YiGwangMin
@YiGwangMin Жыл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user-kw4zm3cd4u
@user-kw4zm3cd4u Жыл бұрын
한국이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을 제외하곤 이직율이 높은 가장 큰 이유는~ 기업은 최소비용으로 최대실적 올리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아이엠에프 이후 최대실적정도가 아니라 극한까지 짜내야 한다라는 풍토 때문입니다. 또한 기업 기대부분이 겉으로는 가족닽은 종신적인 열정페이를 외치지만 속으로는 얄짤없고 숙련기간도 오래주지 않습니다. 빠른 곳은 한달, 긴 곳은 3개월 정도 안으로 숙련되지 않으면 인생패배자 취급하죠. 그리고 최저임금제도와 물가상승 및 경기불안 등이 여기에 기름을 붓습니다. 쉬운 예로 오래전 노가다는 일반 직종에 비해 힘들어도 일당이 몇배가 차이가 나는 메리트가 있었지만 지금은 두배도 차이가 안 납니다. 더 골때리는 것은 노가다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몸 버리면서 엄청 힘든 일들이 최저임금으로 돌리는 곳이 비일비재하죠.
@user-wm7zc7yd1v
@user-wm7zc7yd1v Жыл бұрын
지금 출근중인데 눈앞에 광고있네요 ㅋㅋ 전직사이트로 전직해서 이번달부터 새 회사다니고있습니다 전직에이전트가 한명 매칭성공하면 그 사람의 월급 3배치를 그 회사에게서 지급받으니 완전 창조경제임
@YK-gp9jp
@YK-gp9jp Жыл бұрын
일본 거주 14년에 이직 경험 5번 있는 저로서는 공감이 많이 됩니다. 지금까지는 이직 덕분에 연봉도 많이 올렸지만 역시 퇴직금을 생각하면 아쉬운 마음은 있네요. 그리고 이제부터 이직으로 연봉 올리는 것도 쉬울 것 같지 않아 요새는 가급적 붙어있으려 합니다.
@shj3189
@shj3189 Жыл бұрын
혹시 가장 마지막 이직은 몇 년 전이신가요?
@YK-gp9jp
@YK-gp9jp Жыл бұрын
@@shj3189 5년전이요
@user-jf9kw9th8w
@user-jf9kw9th8w Жыл бұрын
@@YK-gp9jp 그런데 이직도 능력 되야 가능할텐데 5번이나 하셨다면 인재신가보네요
@mgk1614
@mgk161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갑질이 넘쳐서 금방 이직하지 이직이 너무 잦아. 내가 다니던 회사 10명중 9명 이직했어 ㅋ ㅋㅋ
@user-ec6mc7rd4z
@user-ec6mc7rd4z Жыл бұрын
@@mgk1614 돈많이주고 평가 제대로해주면 남아있죠 후려칠려고하는 회사는 매일 사람이없다고 하고여 ㅠ
@user-mt1cv1bm2r
@user-mt1cv1bm2r Жыл бұрын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user-so7zm4cq6r
@user-so7zm4cq6r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simyeong99
@simyeong99 Жыл бұрын
한국인데, 대학 졸업반으로 취준하며 여기저기서 보고 듣는 이야기가 많아요 다만, 인터넷 썰 위주기도 하고 구직자들 입장으로 만 이야기를 주로 듣다보니 실상은 좀 다를수도 있지만... 신입이 취직하고 사수랑 같이 업무교육 받으면서 연봉 얘기가 나왔답니다. 여기서 두 가지 상황이 생겨서 신입이 런을 하거나 다닌지 몇년된 사수가 런을 계획하던가, 심지어는 둘 다 런(?)을 하는 경우가 있다는데 1. 신입이 본인보다 몇년 더 일한 사수 혹은 그 이상 연차들의 연봉을 들어보고 생각보다 본인 연봉과 별차이가 안남을 깨닫고, 즉시 런을 하거나 1년만 채우고 런. 2. 사수가 신입에게 넌지시 "넌 면접때 연봉 얼마로 협상했니"를 묻고 신입 연봉이 본인과 비슷하거나 심지어 더 높은(?) 걸 보고, 미래가 없음을 깨닫고 런. 보니까 중소에서 이런 경우가 많은거 같더라구요. 생각보다 연차 좀 있는 실무자급을 대우를 안해주니 이직이 자주 이루어지는거 같습니다. 가끔 뉴스기사 댓글들 보면 요즘 애들은~ 끈기가 없어 인내심이 떨어져 하면서 나무라는 사람들도 있는듯 한데... 정작 본인이 신입하고 연봉 같거나 신입이 더 높다는거 알았을때도 회사에 충성하며 버틸 수 있을지... 구직시장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공무원, 공기업 빼고는 평생직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걸 깨닫습니다. ㅋㅋㅋㅋ 빨리 기술 익혀서 본인 사업을 해야하는게 한국에서는 맞는게 아닐까 싶고. 그래서 경력 좀 쌓아보려고 일자리 어플 켜보면, 신입보다 경력 요구하는 기업들이 더 많은걸 보면서 한숨만 쉴 뿐 ㅋㅋㅋ... ㅠㅠ
@user-ts3hi2ss1w
@user-ts3hi2ss1w Жыл бұрын
대체로 20대면 이직1번, 30대면 이직2번, 40대면 이직3번. 이게 일본인들이 생각하는 이직 시 불이익을 적게 받는 마지노선입니다. 뭐, 벤처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은 그딴 거 크게 신경 안 씁니다. 그냥 성과만 있으면 됨.
@JooMin2935
@JooMin293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똑같음 ㅋㅋ한국이 이러니 일본처럼 발전이 없음
@fightriver4657
@fightriver4657 Жыл бұрын
원래 곳간에서 인심 난다고 잘 나가는 회사가 연봉 많이 주고 연차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user-lj6mf2le9e
@user-lj6mf2le9e Жыл бұрын
오상 고생이 많아
@user-tw4lx4zc7v
@user-tw4lx4zc7v Жыл бұрын
또 있잖아...ㅋㅋㅋ 아침부터 유쾌하네요 행복 하세요
@user-tb7en7ro6l
@user-tb7en7ro6l Жыл бұрын
엔저에 대해서 어떤지 방송 부탁합니다!
@pinkscooter5523
@pinkscooter5523 Жыл бұрын
너무 궁금하던 주제 감사합니다
@hheli2486
@hheli2486 Жыл бұрын
아침에 못 봐서 이제 보는데 회사 자막 무엇?! 와우!!
@ruind.8511
@ruind.8511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사는 중인데 맨날 유튜브에서 이직 광고 나옵니다...
@user-uc3xm8gc6o
@user-uc3xm8gc6o Жыл бұрын
듀닼ㅋㅋㅋ
@yongjinkim473
@yongjinkim473 Жыл бұрын
비즈리~치
@user-lw5st5ht3d
@user-lw5st5ht3d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시고토 사가시와 인디~도 짝짝 ㅋㅋㅋ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Жыл бұрын
なーあーあーうあいー
@dha6385
@dha6385 Жыл бұрын
유투브 프리미엄에 가입하세요
@dev_jakeseo
@dev_jakeseo Жыл бұрын
한국 IT 기업 종사자로서 IT 기업 종사자의 이직은 단순히 연봉이 아닌 점도 주목해볼만합니다. 카카오, 네이버에서 이직하는 사람들은 보통 더 높은 연봉을 위해서 옮긴다기보다는 새로운 도전을 위해서 옮깁니다. 오히려 연봉은 1~2천만원 이상 깎이더라도 스타트업에 가서 무언가 혁신을 만들어 보려는 사람들도 많아요.
@jyjeong4894
@jyjeong4894 Жыл бұрын
맞는말. 물이 한곳에오려있으면 섞기마련.
@codex-oe3xu
@codex-oe3xu 11 ай бұрын
그것도 이제 끝났죠 사실 새로운 도전보단 스톡 노리고 가는게 크고요
@doslrnt
@doslrnt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에 있는데 최근에 외국계 대기업으로 이직했습니다. 한국보다 요구하는 스펙이랑 경력이 낮아서 한국인 기준에선 이직 쉽긴 쉬운 듯. 친한 일본인 동료한테 듣기론 일본인들이 새로운 도전을 잘 안하고 새 회사 면접이나 여러가지 준비하는게 귀찮아서 안 하는 경우도 많긴 많은 것 같더라고요. 일본은 대기업도 일손 부족이라 오히려 이직에 실력있는 외국인들이 고액연봉이랑 높은 직책 제안 받으며 옮겨다니는 편.
@TheAsx1077
@TheAsx1077 Жыл бұрын
일본어를 배웠어야 하는데…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좋지 않은 기업들도 일본어를 잘해야돼서 요구 스펙이 낮은거 같진 않네요
@antoniopark3816
@antoniopark3816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라 가능할겁니다. 일본인이 그러면 그다지 좋은 시선은 못받는 걸로 들었어요.
@antoniopark3816
@antoniopark3816 Жыл бұрын
@@TheAsx1077 일본어를 현지인 만큼 해야 되죠. 영어와 다르게...
@Phoenix2un
@Phoenix2un Жыл бұрын
일본도 직장내 태움질이 많나요? 쓸데없이 괴롭히는거
@goldenera9430
@goldenera9430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어딜가나 취업은 쉬워요 다만 좋은 직장 찾는게 힘들지… 일본 취업 예전에 생각해봤었는데 초봉도 상당히 작더군요 세금 월세 내면서 이걸 감당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생각해서 결국 한국기업 취업 했지만 어딜가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wi3kg8ji4o
@user-wi3kg8ji4o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ㅎㅎ
@WUS2718
@WUS2718 Жыл бұрын
일본기업 면접 시 외국인이지만 이 회사에 오래 혹은 평생 일 하고 싶다는 티를 내는 게 더 좋을까요? 3년4년 하고 경력직으로 자국에서 취업하시는 분들이 많다 해서...
@minjikim2354
@minjikim235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갑니다~좋아요꾸욱~^^★
@user-yy3hu7ft5f
@user-yy3hu7ft5f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퇴직금이 일반화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 타 업종보다 IT기업은 이직이 많은 편입니다. 외국인들도 많고 전직으로 올릴수 있는 급료가 승진으로 받는 급료보다 높은 경우가 많아서 전직을 많이 합니다.
@user-sl7bu9lk8s
@user-sl7bu9lk8s Жыл бұрын
22초전은 못참지
@dgdrwweqwq
@dgdrwweqwq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사원으로 쭉 머물러도 호봉이 올라가서 월급이 계속 올라가는 것으로 압니다. 오히려 직급을 달면 귀찮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고요
@ADNAMS.singlemalt
@ADNAMS.singlemalt Жыл бұрын
잘 다녔던 회사를 그만둔 이유중 하나가, 기존직원보다 새로 들어온 직원들 년봉이 더 높아서 열받은 기억입니다. 너무 오래된 얘기네요!
@antoniopark3816
@antoniopark3816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다른 사원의 연봉을 알기가 너무 어렵죠. 친해도 연봉 얘기는 거의 터부시되는 분위기에요. 물어보면 좀 이상한 사람 취급받죠.
@user-et7yv2bf3v
@user-et7yv2bf3v Жыл бұрын
@@antoniopark3816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적어도 고용시장에서 경력이직아닌이상 신규에한해서는 그나마 겉으로 쬐금나오긴하지만 그마저도 차이날때가 많죠 스펙차이가 너무 나는게 한국시장이라 변별력없다고하는대 그 스펙으로 일본오면 스펙하나로 다 찢습니다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한국 친구들 이야기 들어보면 서로 모여서 월급 다까고 공유하는 경우 많다는데, 일본은 사적으로 서로 얼마 받는지 모름. 그만두고 물어보거나 대략 짐작만 하는 정도.
@choe3528
@choe3528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그런 기분 느끼죠. 어찌봄 당연한 겁니다. 사측에서 신규 직원을 뽑으면 대부분 사업의 확장이나 새로운 파트의 설립이죠. 그럴려면 경쟁사의 인력을 스카웃하거나 스펙이 더 높은 사원을 뽑아야 하겠죠. 그에 따라 연봉을 더 주게됩니다. 기존 근무하던 직원들은 위화감느끼겠지만 그게 자본주의죠.
@imposterdesu
@imposterdesu Жыл бұрын
​@@antoniopark3816 우연히 알게되는 경우가 있는데 후루사토 납세 상한액 관련 도와주다가 같은 특이한 경우가 있습니다. 일본인들과 돈 이야기는 안 하다보니 당연히 한국 친구들...
@user-ul2dj7zq1d
@user-ul2dj7zq1d Жыл бұрын
오상 얘기 듣다보니 무섭네요...이런식이면 발전이 없이 현상유지 하던일만 하다보니 발전은 없고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정체되어 있을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현재 한국에선 한 직장에 10년만 다녀도 장기 근속이라고 하는데...
@-mesiya-
@-mesiya- Жыл бұрын
일본 사교육에 대해 알고 싶어요 시간 되시면 방송에 한번 다뤄주세요.
@antoniopark3816
@antoniopark3816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이직할수록 일이 배로 늘어나는거 같아요. 연봉은 늘지만 일은 훨씬 더 많아진다는거. 거기다 이직하면 신임이 0인 상태로 시작하기 때문에 왕따는 아니라도 편하게 일하기 불편한 상태가 되죠. 차라리 프리랜서라면 몰라도 일본에서 이직은 손해가 더 많은 듯.
@QQQKOR
@QQQKOR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ㄷㄷ
@-roby
@-roby Жыл бұрын
일본 중소기업 9년차 직장인 입니다. 내년에 이직예정인데요 첫 이직이라 아무런 정보도 없었는데 박가네 영상보고 정말 많은정보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mi_na_mi
@mi_na_mi Жыл бұрын
❤️
@han_kki_man_du
@han_kki_man_du Жыл бұрын
짱구아빠는 이번에도 대단한 사람이였다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 Жыл бұрын
취업률이 저렇게 높고, 실업률은 또 저렇게 낮은데, 임금은 전혀 오르지 않고 있는 희한한 나라. 마치 모든 고용주들이 서로 담합을 하고 있는 것처럼 임금을 올리지 않는다. 완전고용 상태에 가게 되면 임금이 오른다는 경제원리가 철저하게 무너지는 나라지.
@kimjunghyeon1
@kimjunghyeon1 Жыл бұрын
그게 바로 그 "종신고용"이라는 일본 특유의 시스템덕분이지
@user-tk6nq9ym2i
@user-tk6nq9ym2i Жыл бұрын
ㄹㅇ 종신고용이 되니까 그러는거죠 우리나라도 공무원보면 똑같음 월급이 적어도 시간지나면 조금씩 올라가고 안짤리니까 ㅋㅋㅋ 원래 기업도 종신고용이 많았는데 요즘엔 안그러니까
@youngjinnesir2485
@youngjinnesir2485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일본에 대한 지식이 많이 생겼습니다. 애청자입니다.
@jinhongkim6800
@jinhongkim6800 Жыл бұрын
와이프가 스미토모 상사계열 정직원으로 이직 마지막 열차 타서 이직 했는데, 직장 동료들이 집에 놀러와서 하는 말이 이제 더 이상 옮길 곳이 없다고 하긴 했었네요. 이직 해 봐야 더 좋은 대우가 있는 곳이 없다고...
@teeeeeeemo
@teeeeeeemo Жыл бұрын
한국도 대기업일수록 복지가 좋고 더 좋아지고 있어요 ㅎㅎ 재택근무 원하는날에 희망하면 할 수 있고 사내에 복지시설도 많고 통근버스 있고 구내식당에서 식사 무료로 제공하고 기타 등등 일본도 마찬가지네요
@user-uu2ih6gv3k
@user-uu2ih6gv3k Жыл бұрын
내가 봤을때 대기업 1하청까지는 어느정도 복지 구색정도는 내고 있음 그 밑으론 답없고
@user-xh5tj8rr9x
@user-xh5tj8rr9x Жыл бұрын
뉴스에서 하청업체 헬이라고 해도 친구들보면 1차하청은 번듯함. 그 밑으로가 점점 나빠짐
@user-et7yv2bf3v
@user-et7yv2bf3v Жыл бұрын
통근버스있는곳은 대부분 외지라서 그런거고..대기업하나는 월세등 각종 지원 이거하나만봐도 어마어마하게 차이납니다. 왜냐면 세금이 살인적이라서 이런 지원없으면 손에 아르바이트보다 못한 돈받고 회사다녀야되거든요
@user-zp9rt2ue7n
@user-zp9rt2ue7n Жыл бұрын
1차 밑에 인건비 따먹기
@user-jaewooS
@user-jaewooS Жыл бұрын
와 이직을 권유하는 기업들이 늘어난 이유가 결국 코스트삭감이였군요 ㅎㄷㄷㄷ 처음알고 분석력 존경합니다 진짜 머리 때리네요
@smilen4204
@smilen420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얼만지 몰겠지만 일본에서는 이직성공시키면 이직회사에서 받는 수수료가 연봉의 30%정도라고 알고있어요- 그래서 더 생겨나는 거 같기도 하네요
@user-qw9tk6yv8m
@user-qw9tk6yv8m Жыл бұрын
@@smilen4204 한국도 비슷합니다. 20~30프로정도.
@sanghchung
@sanghchung Жыл бұрын
그보다도 인력부족 현상이라 이제는 타사에서라도 영입을 해야하는 현상이 가장 큰 이유아닐까요? 우리나라도 외국인 영입이 없으면 어느정도 겪을일 같네요
@garliconly9586
@garliconly9586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써야 하는 연차를 쓸 수 있다는게 복지라...골 때리네요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Жыл бұрын
19살 공고생 실습생으로 만 18살에 입사 지금 근30년째 다니는중 ㅎㅎㅎ 내가 평균년수 올리는중이군요 .. 계속 다니면 정년까지 43년 다녀야 함 ;; 중산층으로 살고 있음 .. 대기업 생산직임 우리나라도 오래 다니면 오래 다닐수록 퇴직금도 많아지는구조 .. 퇴직전 3개월 평균 * 근속연수 이기에 연차도 고정25개 + 연차에따라 +@가 주어지기에 저같은 경우 총37개 쓸수 있네요 ;; 이렇기에 저 같은경우 옴길 이유가 없죠 .. 일본 대기업직원도 저랑 같겠죠 같은 연공서열 이기에 회사입장에서도 숙련공이 안정적으로 생산해주는게 좋을수도 있으니 ..그리고 생산직은 근로자가 특별히 잘못하지 않은이상 못 짜름 ...
@user-ku8ex2gd6w
@user-ku8ex2gd6w Жыл бұрын
거의 부사관 생활 해온만큼 고생 많이하셨을듯 싶네요 😂 대단하십니다
@Phoenix2un
@Phoenix2un Жыл бұрын
호시절에 태어나셔서 상당히 즐기셨네요 대단합니다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Жыл бұрын
@@Phoenix2un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하지 마시죠 그땐 군대 같은 분위기였어요 선임들에게 이쌔기 저새끼 소리듣고 폭행도 당하고 해서 기술 배워 이제까지 있는겁니다. 당신같았으면 그 시절 당신이 말하는 호시절이라 딴곳 찾아 갔겠죠 출근하다 또 인간 볼려니 너무 스트레스 받아 장염걸려 차돌려 병원간적도 있으니까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Жыл бұрын
@@Galaxy_Express 전 3d생산직종인데 그래서 군기가 더 셀을수도 있죠 호시절 호시절 이걸로 퉁 칠려 하지만 지금도 신입사원 이직율이 30%는 됨니다. 그리고 우리세대는 imf 혹한기 맞았어요 제가 대학에 갔다면 암울했겠죠 남들과 다르게 빠르게 대학포기 해서 그렇지 ..각 시대마다 어려움이 있어요
@user-oq9pb7ki8z
@user-oq9pb7ki8z Жыл бұрын
우리 회사는 경력쌓아서 그걸로 삼성이나 하이닉스 쪽 가시는 분들 많아요 그래서 팀장님이 스펙이고 뭐고 다 필요없으니까 안나갈놈 원서 넣으라고 하라고 그러더군요 ㅎㅋ ㅋㅋ
@sms2942
@sms2942 Жыл бұрын
떡상 떡상 떡상!!!!
@rashidorida
@rashidorida Жыл бұрын
회사에 붙어있을 이유를 만들어줘야 회사에 계속 붙어있지
@user-kw4zm3cd4u
@user-kw4zm3cd4u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이네 특히 한국 ㅋㅋㅋㅋㅋ
@hyungjunlee1268
@hyungjunlee1268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10년가까이 소기업 다니고 있는데.. 신입으로 들어와서 벌써 10년째군요. 그동안 회사는 세배가까이 커졌네요. 사업 유형 자체가 경기 흐름을 잘 안타다보니 비교적 높은 워라벨을 유지하면서 롱런할 수 있는거 같네요. 연봉이 높지는 않아서 여러번 이직을 고려하긴 했지만 지금 회사에서 누리는 것들을 포기하기가 힘드네요. 성과중심 지향적이라 성과만 내면 회사 생활에 있어서 막대한 자유를 보장 받거든요. 물론 성과가 없다고 나가라고 하거나 차별대우 받거나 그런건 없는데 인센티브나 연봉상승률에 악영향을 줄 뿐이죠. 다른 직원은 모르겠습니다.. 생각이 다를수도? 그래도 전 이제 받고 싶은 연봉 마지노선은 넘겨서 이제 돈에 대한 불만은 딱히 없네요. 아무튼 일본처럼 회사에서 높은 근속년수를 원한다면 적당한 긴장감과 안락함을 느낄수 있게 해주는게 좋다고 봅니다.
@jongkim6878
@jongkim6878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이직 자체를 별로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나중에는 나의 연봉을 올리기 위한 수단이나 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주는 회사로 옮기는게 나중에 나이가 들면 이직이 용이 하지 않으므로 젊었을때 나에게 맞는 회사를 찾아야 된다고 생각 했었습니다.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이직해봤자 월급이 다 거기서거기니까 이직율이 적은 듯..... 그래도 일본의 한국계 회사엔 취직하지 맙시다. 일본내 한국 S그룹계열사, L그룹계열사 등 한국계 회사는 한국내에서와 똑같이 일많고 야근많고 월급적고....
@ThomasKim0128
@ThomasKim0128 Жыл бұрын
제경험상 중소-> 중소 별 차이 없었어요.. 중소 -> 외자계 연봉 150만 올랐네요.. 일본의 한국계 뿐만 아니라 한국인 사장님 회사는 10개 있으면 1개나 2개가 그나마 제대로 된 회사고 나머지는 사람장사하는 회사가 아직도 남아있는 느낌이네요..
@doslrnt
@doslrnt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 아직도 구시대적 폭언이랑 군대식 조직운영으로 회사운영해서 일본사람들이든 같은 한국사람들이든 못 버티고 다 나감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Жыл бұрын
@@ThomasKim0128 뉴욕에서도 그렇다네요... 한국인이 힌국기업뉴욕지사에 입사하면 그건 그냥 한국에서 일할때랑 똑같은 분위기래요...
@Phoenix2un
@Phoenix2un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그냥 한국인으로 태어난 그자체가 틀려버린듯
@ThomasKim0128
@ThomasKim0128 Жыл бұрын
@@user-hs5rx9ej4c 뭐 어딜가나 한국인이 관리자거나 한국회사면 코리안 스탠더드죠..ㅎㅎ
@walkingworld7686
@walkingworld7686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중소기업 다니다가 금융쪽 대기업으로 이직했는데 확실히 급여나 복지등이 넘사벽이에요, 요즘은 일본대기업들도 영어하는 인재를 원하다보니 일본어 못해도 크게 취직하는데 어려움이 없는거 같네요
@jky3982
@jky3982 Жыл бұрын
17:20 우아..나는 1년에 50~60일 쉬는구나 ㅋㅋㅋㅋㅋ미치겠네 정해진 휴일은 주1회인데 (48일) 월차 연차도 없고 진짜 아프거나 집에 일있을때 눈치보면서 말하고 쉬는데 150일 쉬면 회사 다닐만 하겠다...
@dalsol7903
@dalsol7903 Жыл бұрын
츄미코 선생님 언제 싸인좀 받아야 하는데..한국에 또 언제 오시나요?
@happysun285
@happysun285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도쿄일릭트론 코리아.. 저 회사 울아들이 2020년에 최종합격됐었는데 안갔어요 평택이라서..
@user-up9vv7ds3x
@user-up9vv7ds3x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사원을 사람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냥 소모품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니 다들 대우를 못받으니 떠날수 밖에요 밑에 글보면 경력직 대우해준다? 그런거 없습니다 경력직이 연봉 올려달라하면 나갈려면 나가 너 아니여도 일할 많아라며 배째라합니다 그러니 좀더 나은대우를 받을려고 이직할려고하는 겁니다.
@user-dp6is3zh7l
@user-dp6is3zh7l Жыл бұрын
오상의 부인인 추미코와 처가집은 한직장에 존버하면 처음에는 고단해도 나중에는 광명이 찿아온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텐데 그런데 오상의 이직 땡강을 고스란히 받아준 것을 보면 보통 보살의 마음은 아닌듯 보통이었으면 "걍 버티지 우째 사람이 그렇게도 끈기가 없냐? 내가 이럴려고 결혼했나?" 며 처가에서도 난리였을텐데... ㄷ ㄷ 대단한 분들이군!👍
@byho4991
@byho4991 Жыл бұрын
30넘어 「신졸 일본 대기업입사로 시작해 -> 한국회사 일본법인 -> 컨설팅(일본회사) -> 일본 대기업 -> 탐색중....」인데 전직 할때마다 연봉 100정도씩 올랐네요. 근데 40넘은 지금은 돈보다는, 편한직장이 좋다...라고 생각합니다.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첫단추를 잘 시작한 사례네요.
@musiachoi2124
@musiachoi2124 Жыл бұрын
저도 한국대학 그만두고 넘어와서 30살이면 신졸이 될거 같은데 30살 마치 문과 학사졸업자도 괜찮은 기업에 입사할 수 있을까요
@jaychoi5016
@jaychoi501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30넘어도 신졸 채용이 되나요? 인생의 갈림길에 있는데 고민이 많네요🥲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jaychoi5016 30넘어서 신졸채용..이유있음 될 수도 있는데 일본은 신졸=정사원 인턴으로 보고 급여도 적고요..(일본은 연차가 쌓여야지 급여가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일본사람들 만23세에 대부분 취직하니까 급여적은채로 시작해도 그럴려니하죠) 일본은 나이보단 군대같은 기수제라서 나이신경쓰신분은 힘들수도 있습니다
@jaychoi5016
@jaychoi5016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Cameronnp
@Cameronnp Жыл бұрын
질문 : 아들이 일본 대학 준비중인데.... 일본에서 영어회화, 토익 잘하면 취업, 이직에 확실히 유리한가요?
@user-ts3hi2ss1w
@user-ts3hi2ss1w Жыл бұрын
취업: 네 유리합니다. 여기서 유리하다는 건, 지원할 수 있는 POOL이 넓고, 영어 능력을 중요시 하는 기업에도 지원할 수 있기에 좋다는 겁니다. 이직: 직무에 따라 다릅니다. 영어를 전혀 쓸 필요가 없는 직무면, 영어 네이티브라도 쓸모가 없습니다. 일본어 잘하는 게 최고죠. 영어를 쓰는 일이라면, 당연히 유리합니다. 영어 포함, 외국어를 잘한다면, "이 사람 똑똑하다" 라는 인상을 주는 건 있기에, +요인이긴 합니다. 다만, 첫째도 둘째도 가장 중요한 건 일본어입니다.
@Cameronnp
@Cameronnp Жыл бұрын
@@user-ts3hi2ss1w 네. 잘 이해했습니다. 일본어는 N1이고 올해 eju시험보고 공대 준비중입니다. 그럼 일본에서 취업을 위해 영어 잘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토익, 토플 점수, 회화?
@user-ql4ip8mv7c
@user-ql4ip8mv7c Жыл бұрын
@@Cameronnp 기업에 따라 다르지만, 영어는 토익만 있으면 대부분 지원 가능하고, 그 이외에 대학생때 노력한 부분이나,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친구인지, 인성 등등 이쪽으로 더 봅니다.
@user-ts3hi2ss1w
@user-ts3hi2ss1w Жыл бұрын
@@Cameronnp 읽기/듣기는 토익, 회화는 英検이라는 시험이 있는데, 대학 다니시면서 2급 이상 따두시면 좋습니다.
@Cameronnp
@Cameronnp Жыл бұрын
@@user-ts3hi2ss1w 네. 고맙습니다
@MWMWMWMWMWMWMMWMWMWMWMWMWMWMWM
@MWMWMWMWMWMWMMWMWMWMWMWMWMWMWM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와 상황이 비슷한데 의식이 다르네요
@ottomayer5426
@ottomayer5426 Жыл бұрын
헐, 일본은 퇴직금이 노동관계법상의 강행규정이 아닌 것을 몰랐네요.😢 그래도 사규로 일반적으론 주는 관행은 있는 것 같은데 그런 건 좋네요. 한국 같았으면 법에 강행규정화 안 되어 있음 아에 안주려는 나쁜 풍조가 팽배한데.
@user-xw4zq7lm8n
@user-xw4zq7lm8n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봤는데 통계상 중소기업 2년 이내 퇴사율이 80%가량에 대기업 조차도 10% 정도 되더라구요
@user-gc2jj2bt4r
@user-gc2jj2bt4r Жыл бұрын
혹시 일본쪽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user-tk6nq9ym2i
@user-tk6nq9ym2i Жыл бұрын
한국일듯요 어느나라나 대기업이 좋긴하지만 일본이 중소기업도 잘돼있는데가 많아서 차이가 심하진않아요 퇴사율 80퍼면 한국 ㅋㅋㅋㅋㅋㅋㅋㅋㅋ
@kuemcheonbae5231
@kuemcheonbae5231 Жыл бұрын
그래서인지 DC 퇴직금 제도를 도입해서 근속년수와 관계없이 입사월부터 퇴직금을 불입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어요
@user-zi4fn9qh4i
@user-zi4fn9qh4i Жыл бұрын
궁금한거 일반직 관리직 합쳐서 평균값인가요? 저긴 한국과 디르게 일반직 관리직이 있으니...
@ddsbd92
@ddsbd92 9 ай бұрын
일본 대기업 10년차 급여는 어느정도 될까요? 예를 들면 미쓰비시 정도.
@shj3189
@shj3189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이직하려면 젊을때 재빨리 이직해서 끝까지 말뚝박고 있는게 답이군요 ㅋㅋㅋㅋ
@oceank9154
@oceank9154 Жыл бұрын
근속년수에 따라 퇴직금 차이가 너무 크네요.
@user-qb9fz5xe5l
@user-qb9fz5xe5l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이직 하지 않으면 연봉이 안 오르는 그냥 물가 수준으로만 오르는 것 같음.
@jky3982
@jky3982 Жыл бұрын
20:10 비슷한게 둘리에 나오는 고길동 현실에서 쉽지않은 수저인생
@user-xz8cm4qi6s
@user-xz8cm4qi6s Жыл бұрын
😮😮
@user-sc8zo8rl6s
@user-sc8zo8rl6s Жыл бұрын
짱구아빠 대단한 사람ㅋㅋㅋ
@user-tu2qb7vs7e
@user-tu2qb7vs7e Жыл бұрын
정사원(정규직)의 경우만 설명하신 것 같은데 일본 기업에 고용 형태가 정사원만 있는 건 아닙니다.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6 ай бұрын
저런 데이터 자료는 일본에서만 저렇게 쉽게 공개가 되어있는건지 아님 한국에서도 저렇게 모아져있는걸 볼 수 있는데가 있는지 볼때마다 진짜 궁굼하네요
@kwanghokim1133
@kwanghokim1133 5 күн бұрын
회사 입장에서는 구인난이라...일 못해도 무조건 데리고 가고...고인물도 그냥 인정하고 데려가야 하니...거기도 참 사업하기 힘든곳이네요
@user-px4ei4bz9i
@user-px4ei4bz9i Жыл бұрын
😀😃😄
@user-ni8dp8kq7o
@user-ni8dp8kq7o Жыл бұрын
따하잇
@user-yu2bx1my6k
@user-yu2bx1my6k Жыл бұрын
고용 보장은 참 중요하지만, 사람은 고이면 반드시 썩는다는 게 문제죠. 적절한 긴장이 개인의 적절한 발전을 가져오고 그게 더 큰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만듭니다.
@user-yz9mw5vz9m
@user-yz9mw5vz9m Жыл бұрын
이제 일본도 종신고용이 점점 사라지는 군요. Imf를 경험 못해서 그런가 봐요
@user-ni8yo6nb1j
@user-ni8yo6nb1j Жыл бұрын
근속년수 49년이면 도대체 몇 살에 회사를 들어가야 가능한 연차지??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Жыл бұрын
임금피크제 로 정년을 연장하는기업들 많습니다. 사람 구하기 힘들어서요...;;
@user-vz6fh7qi1r
@user-vz6fh7qi1r Жыл бұрын
직장인들이 안정적으로 살기엔 일본이 좋네요. 출산율도 그래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더 잘 나오는듯
@OUC_kwon
@OUC_kwon Жыл бұрын
그거는 별 차이 없어요. 일본은 여자 인권이 거의 한국 90년대 수준이라서, 대학 가는 여자도 적고 공부 많이하고 똑똑한 여자는 결혼 못한다(결혼할 필요도 없지만) 하도 그러고.. 애 기르는 엄마를 막 칭찬해주고 그래서, 공부 별로 안한 사람들이 애 많이 낳아요. 가난하면 덜 낳아야 하는데 그냥 못 사는 게 원래 그런가보다 그럭저럭 만족하고 살아가니..
@choe3528
@choe3528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이 한국보다 조금 높지만 둘다 낙제점입니다. 큰차이 없어요
@WUS2718
@WUS2718 Жыл бұрын
@@choe3528 둘다 낙제점이라 쳐도 차이없다는 건 너무 편한해석 아닌가요?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Ай бұрын
​@@choe3528그래도 일본은 잘만 결혼하던데
@ryujd0533
@ryujd0533 Жыл бұрын
앗, 오상, 짱구 아빠는 우리 셀러리맨들의 우상인디? ㅋㅋㅋ
@HIND_D
@HIND_D Жыл бұрын
한국은 IMF를 거치면서 니가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회사에서 너를 언제든 정리할수있다..아니 정리해야만한다 라는 인식이 보편화됐죠. 어차피 때되면 짜를건데 이직해서 연봉높이는게 훨씬더 이득인거고, 일본은 아직까지는 그정도로 노사간의 신뢰가 무너진 상황은 아니니까 한직장에 오래 다닐려는 풍조가 있는것이 당연합니다. 우리나라는 부동산 때문에 한살이라도 젊을때 돈 더 땡겨서 아파트 사는게 가장 중요한 재테크 수단이였지만 이제 부동산도 무너지는 상황이니까 어찌보면 일본의 급여가 적다고해도 삶의 안정성이나 질은 우리보다 나을수도있다고 볼수있겠네요. 정년즈음에 남들보다 3-4억 더 받은거..? 부동산 침체기에는 이런거 아무런 의미 없는 돈입니다. 그냥 죽을때 자식한테 서울에 있는 아파트 물려주냐 경기도에 있는 아파트물려주냐 정도의 차이일뿐이죠. 물론 그 차이가 크다고 볼수도 있지만 그건 그 아파트가 잘 팔릴때 이야기고... 받는 사람이 아닌 죽는 사람입장에선 대단한것도 아니죠.
@user-jc9nq8en8p
@user-jc9nq8en8p Жыл бұрын
일본 와인에 관해 다루어 주세요
@choe3528
@choe3528 Жыл бұрын
단순하게 생각해서 복잡하고 어려운 경제지표를 가져오기 보다는.. 이직이 높다면 사측에서도 사원들을 붙잡기 위해 여러 양질의 제안을 합니다. 급료와 사내복지죠. 그런 대우를 해주면 그만큼 인건비 비중이 높아지고 자연스레 제품의 질을 높히고 경쟁력을 확보하죠. 그러면서 서로 발전하는 겁니다. 혁신이라 하죠.
@gkf1243
@gkf124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정글이고 일본은 공원이기 때문이죠. 대기업은 일단 초국적기업이니 제외하고 생각하죠. 뼈 묻을 생각으로 가득한 인재들이 많으니까요.(남들 놀 때 공부하고, 취업준비 했으니 자격이 있죠) 한국은 일단 돈만 보고 취업하고 30대 정도 되면, 능력이랑 적성 살려서 이직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점점 미국처럼 되어가고 있죠. 일본은 진짜 모든 것이 '시스템'으로 돌아가고 관리되서 그렇죠. (몇 살에 학교가고 졸업하고 취업하고 결혼하고 집 사고 등등...... 반대로 거기서 삐긋하면 작살나는 거고요.) 매일 사활 걸린 것처럼 살아야 되는 한국이랑, 그냥 아무 변화 없이 같은 삶을 반복해야 되는 일본이랑 뭐가 좋은지는 사실 개인 취향일듯요.
@paullee6728
@paullee6728 Жыл бұрын
뒷배경은 어디인가요?
@user-zk9eb5iy5m
@user-zk9eb5iy5m Жыл бұрын
하코다테 요
@paullee6728
@paullee6728 Жыл бұрын
@@user-zk9eb5iy5m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user-ms9tb9cq2g
@user-ms9tb9cq2g Жыл бұрын
일본은 40대 취직 빙하기 세대는 비정규직이 대부분이고 노동자 전체의 40% 이상이 비정규직 임. 즉 두명 중 한명이 비정규직 임.
@user-ml5vo5wx5o
@user-ml5vo5wx5o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 일본도 지금 사회에 나오는 인구 적게 태어난 세대나 유효구인배율 높고 취직할 데 많은 거지. 십수년 전만 해도 취직 빙하기가 있어서 비정규직이나 프리터로 첫직장 제대로 못 잡아 인생 망친 세대가 잔뜩 쌓여 있는데 그 얘긴 언급 안하네요.
@user-ms9tb9cq2g
@user-ms9tb9cq2g Жыл бұрын
@@user-ml5vo5wx5o 맞습니다. 일본은 두사람 중 한사람이 최대 3년 근무 비정규직이라는건 심각한 문제 입니다. 현대판 노비제도죠. 게다가 같은 일 하며 급여는 1/3 이하이고 그 마저도 3년 이상은 고용의무 발생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거죠. 얼마전 동북지방에서 부부가 생활고로 동반 ×살 했는데 소지품에서 현금이 동전 몇십엔 밖에 없었다고 하더군요. 우리나라 처럼 이직 전직이 자유로운 분위기와는 달리 일본은 별의별 조사를 탐정회사를 통해하는 나라라서 해직 이콜 죽음과도 같습니다.
@Tongkyman
@Tongkyman Жыл бұрын
아하!
@user-wp8wf3no9t
@user-wp8wf3no9t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층은 일본에서도 이직 자주 하는듯....아는사람 몇명 찾아봐도 전부다 이직 이직..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근데 한국만큼은 아직 덜하죠. 1년은 채우고 전직하는사람들이 많으니까요
@taekyuno7898
@taekyuno7898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한 회사에 쭉 근무하면 28억이 평균적으로 은퇴할때까지 받는 임금 + 퇴직금이라니...많이 받는 것 같네요
@namefirst3498
@namefirst3498 Жыл бұрын
거기는 외국계(아시아계 빼고)아니면 대부분 분위기가 비슷하니까 안 움직이는게 아닐까 했는데...
@user-ws7lc8qw6b
@user-ws7lc8qw6b Жыл бұрын
새옹지마다
@user-hb3el1du1c
@user-hb3el1du1c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이직횟수가 많으면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까지 시대에 뒤떨어진 사장, 관리직(주로 인사쪽)들이나 그런 생각하지 다들 대우좋은 곳 있으면 가라 그래요
@lowy1722
@lowy172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한국과 크게 다른게 부업을 사규에서 금지 시킬 수 없습니다. 코로나 사태에는 ANA항공이 연봉을 줄이고 부업을 권장하기도 할 정도입니다. 쉬는 날이 많은 기업은 부업을 하면 연봉보다 많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부업 수입이 많아져 독립한 gree같은 기업도 있지요. 일본에서 취업만 바라보지 말고 다양한 부분을 보면 좋을 거 같아요.
@lowy1722
@lowy1722 Жыл бұрын
@@knkd764 그 말씀 맞아요. 개인 보안은 철저하구요. 사규에 부업 금지는 이미 패소 사례가 많아요. 단지 회사 상대로 소송을 걸고도 남을 수 있는 사람이 없으니 그렇게 사규에 적는 경우도 있지만 법적 효력은 없습니다. 만약 부업에 대해서 엄격한 곳이라면 정말 남아있을 메리트가 있지 않는한 다시 생각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user-rp9iw6tx8f
@user-rp9iw6tx8f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미용사도 전문학교 졸업후 국가시험치고 기본 120만원 부터 시작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Жыл бұрын
20분넘어가는 편집이 최고...👍🏻 20분 안되는 건 💩싸다 만 느낌이예요...
@user-vi7rv4ed2l
@user-vi7rv4ed2l Жыл бұрын
기승전신형만 ㅎㅎ
모르면 무시당하는 일본의 비즈니스 매너
26:08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283 М.
32년만의 역대급 엔저에 직면한 일본 경제 상황
25:5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82 М.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청년들은 왜 쉬는가
31: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한국과 많이 다른 일본의 술자리 문화
19:2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45 М.
일본 최대 관광도시 교토의 변화
20:09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67 М.
미국의 고민, '감자는 채소인가?'
20:4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빈집에 살아본 사람이 말하는 일본 빈집의 현실
22:3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931 М.
일본사람들이 추운 집에서 살 수밖에 없는 이유
20:02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63 М.
일본에서 중산층이 될려면 얼마나 벌어야 할까?
20:32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84 М.
接下来就是路飞救两个小孩#海贼王  #路飞
0:39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Не прокатило 😳
0:20
Pavlov_family_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