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이 전기요금 때문에 난리 난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302,907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3 жыл бұрын

일본거주 17년차가 일본인 와이프랑 같이 다양한 일본 정보를 투머치토크!
[촬영날짜] 2021년 3월27일 18:30~
◆Info◆
매주 수,토,일에 라이브 방송도 하고 있습니다.
일본 사회・경제・기업・생활 등등에 대한 이야기를 투머치 토크!
주말에는 일본에서 야외방송도^^
◆자기 소개◆
ぱく家(박가네)︰일본 정보, 한일부부
・오상:한국인, 일본거주 17년차, 교토대 출신, 일본·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츄미코:일본인, 도시샤대 출신&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스튜어디스, 한국어 공부중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com
※상세한 안건 내용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습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일본경제 #전기요금 #일본정보

Пікірлер: 893
@user-gt9ru5ke2h
@user-gt9ru5ke2h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요즘 한국 고지서에 매달 전기요금 얼마 사용했는지 나오는 것 뿐만이 아니라 작년이랑 요금 비교해주는게 있어서 편해요
@clapeyon541
@clapeyon541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까지 표시해줘서 직관적으로 보기도 좋죠
@jwhwang6799
@jwhwang6799 3 жыл бұрын
일본도 있어요. 시간단위로 과거 2년 비교 가능해요. 그런데 오늘 전기값 오른다는 거 보니 화딱지가 나네요..
@loveolivia1965
@loveolivia1965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진실만 말하는 추미코. 가계부 안쓴다고 하잖아요. 신뢰가는 방송 👍👍👍
@jung.k
@jung.k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mi7ox1yd3s
@user-mi7ox1yd3s 3 жыл бұрын
이부부 매력있음 ㅋ
@user-vy2ts2gt4z
@user-vy2ts2gt4z 3 жыл бұрын
일본도 우리처럼 전기 물은 민영화 하면 안된다. 한국도 극우들은 자꾸 민영화 얘기 꺼내며 민영화 하면 싸질거 처럼 구라를 치는데 깨시민들은 절대 안속는다.
@ubc2010
@ubc2010 3 жыл бұрын
돈잘벌어다주는데 업무수퍼가니까 가계부안써도되지 ㄹㅇ
@user-ct6mi3rq2j
@user-ct6mi3rq2j 3 жыл бұрын
@@user-vy2ts2gt4z 작년에 물은 햇잔아?
@flintsky2073
@flintsky2073 3 жыл бұрын
민영화해서 이익은 지들이 나눠먹고, 손실은 국민들에게 부담해뿌네 ㅋㅋ 이건 시장경제도 아니고 사회주의경제도 아니고 역시 대~~단하다
@user-yo4om3ol6b
@user-yo4om3ol6b 3 жыл бұрын
근데 오상은 진짜 강의 같은거 해야할듯 준비도 많이했겠지만 흐름 안끊기고 저렇게 말하는건 재능임
@user-mi7ox1yd3s
@user-mi7ox1yd3s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8분도 지루하던데 17 분이 후딱 지나가네요
@tunguslisan8878
@tunguslisan8878 3 жыл бұрын
추미코가 바람잡이 안 해주면 못 함.
@onigirigizou0
@onigirigizou0 3 жыл бұрын
댓글 질투 시기 열등감
@gugugugu4907
@gugugugu4907 3 жыл бұрын
강의보다 더 좋은 유투브 하잖아요 ㅎㅎ
@rickearhart822
@rickearhart822 3 жыл бұрын
말하다 중간에 후원 들어와서 리액션 하느라 텀이 좀 있는데도 헤매지 않고 바로 흐름 잡는게 대단한듯
@user-cc8ll8tf8l
@user-cc8ll8tf8l 3 жыл бұрын
공공서비스는 민영화 하면 서민의 부담이 커진다는 교훈
@rou2wo125
@rou2wo125 3 жыл бұрын
근데 우리도 머지 않을 듯. 서울, 부산시장 넘어가서 보수정권 들어서면 이명박근혜 때 시도했던 민영화를 다시 추진할 테니.
@dmitrylee705
@dmitrylee705 3 жыл бұрын
탈원전으로 한전 적자가 얼마인지 알아보고 말 했으면 좋겠네요.
@user-mw5vk6eg9l
@user-mw5vk6eg9l 3 жыл бұрын
@@dmitrylee705 하 이래서 기레기가 성공하는구나. 그놈의 탈원전 아직도 시작도안했구만 20~30년후부터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건데. 이놈의 개되지들한테 딱 먹히기좋게 탈원전으로 현혹하니 현재 중단한 원전은 내구연한도가 이미 몇십년지난 부실덩어리를 과거정권때 계속 몇천억씩 투입해서 근근히 유지하다 더이상 문제시되니 그걸 멈춘건데. 원전사고나면 여긴 멸망인데 그건 논외로치더라도 원전폐기물 저장시설 곧 포화상대로 지들 지역에 추가설치한다하면 개거품물고 님비현상에 그뿐만아니라 폐기물처리비용또한 너무 엄청난 천문학적인 비용이라 후대에 엄청난고통으로 남길수있기에 지금부터 준비하고자 탈원전 계획을 세우고 앞으로 몇십년후 점진적으로 하는것을. 자 생각해보자!! 응!! 누군 욕먹고 싶어서 탈원전 하고싶겠냐고? 개되지들 듣기좋게 보기좋게 탈원전 안하면 되? 욕안먹고 나몰라라 /후대에 나몰라라 /사고 나몰라 /저장시설 포화/ 나몰라라 폐기물 처리 비용 나몰라라/ 그런데도 왜 욕 쳐먹고 하냐면 이제부터 누군가는 해야겠고 당연히 해야할시기라 하는거지 좀 생각좀 깊게 하고살자. 당장 내 보기 좋다고 욕 안쳐먹기위해 마피아들이 해쳐먹으려고 놔두는게 과연 상책인지 ㅡㅡ.
@elesky1547
@elesky1547 3 жыл бұрын
@@rou2wo125 문재인이 부동산 가격 4배올리고 원전 다 날려서 전기요금 많이 상승 예정인데
@skid631
@skid631 3 жыл бұрын
@@elesky1547 수꼴들이 이런 소리 입에 달고 살던데
@ReptileStory
@ReptileStory 3 жыл бұрын
탄소협약때문에 탈카본을 안하면 2050년부터 자국공장을 못돌리니까.. 신재생에너지를 해야 살아남긴 하는데... 자본부담방식이 서민에게 너무 가혹하네..;;;
@lowlanz
@lowlanz 3 жыл бұрын
전기같은 공공재에 대해서 단순히 세금 보조도 아니고 국민이 직접 공기업도 아닌 민간기업에 돈쏴주는 저런 제도가 통과된게 레전드다... 진정한 민영화네; 이건 우리나라 3대 악법이라는 단통법 도서정가제 우유가격 물가연동제는 명함도 못내밀듯. 일본 정치인들이 사람들 눈치를 하나도 안본다는게 느껴진다. 착실히 또정의 적금 넣어주는 일본인들 ㅋㅋㅋ 손정의가 흑우목장 차렸네
@dongpss28
@dongpss28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도 똑같은제도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한테 생산단가를 20년동안 보장해준답니다
@hhhhhhhzz60
@hhhhhhhzz60 3 жыл бұрын
추미코가 가계부를....제지 추미코가 가끔 가계부를 제지 추미코: 나를 미화하지마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
@noe_1007
@noe_1007 3 жыл бұрын
투명한 추멘!
@user-yo4om3ol6b
@user-yo4om3ol6b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역시 추멘 ㅋㅋㅋㅋ 개웃김
@100svideo
@100svide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오상 주작 방송 안돼요 ㅋㅋㅋㅋㅋ
@hyakins
@hyakins 3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츄멘하는구낭.ㅋㅋㅋ
@lifespanchin1222
@lifespanchin122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미화 철벽 방어 ㅋㅋㅋㅋ
@user-ww3ky2vs2k
@user-ww3ky2vs2k 3 жыл бұрын
여름에 덥다고 깎아주기도 하고 추우면 난방비 깎아주기도 하니.. 힘들다 못 살겠다 죽겠다 그래도 전 우리나라가 좋아용
@user-mr7vv2wr9y
@user-mr7vv2wr9y 3 жыл бұрын
한국 전기요금 고지서엔 KBS를 위한 TV수신료가 의무로 포함되고 이거 인상한다는게 현재 이슈임...
@robertduncan3655
@robertduncan3655 3 жыл бұрын
민간에 공공재를 맡기면 좋아지는건 전기공급하는 기업의 이익을 위한 것만 ....
@user-sk3vq7wu1g
@user-sk3vq7wu1g 3 жыл бұрын
민영화의 폐해 .. 거기에 가격 담합까지 하면 답이 없음
@user-oz8mq1xc8b
@user-oz8mq1xc8b 3 жыл бұрын
이띵박ㄹ혜가 꿈꾸던 세상..ㅎㄷㄷ
@user-ts2eg1co8r
@user-ts2eg1co8r 3 жыл бұрын
민영화 폐해가 아니라 재생에너지의 실제 비용이죠. 재생에너지 필요하지만 그 수준을 유지 하면서 발전시켜야지. 기술도 환경도 안되는데 밀어붙이고 있는 문재인정부로 인해 10년 우리 모습을 보는 듯
@user-lm1ip3yp2q
@user-lm1ip3yp2q 3 жыл бұрын
이런저런 생각을 많이 하게 해주는 영상입니다
@hyungbinjun4216
@hyungbinjun4216 3 жыл бұрын
오늘 생방도 기대하고 있어요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komori8733
@komori8733 3 жыл бұрын
어제 동생 입덕시켰는데 오상 말 재밌게 잘한다고 재밌다고함 ㅋㅋ 번성하세용
@user-hh4jd7ub3x
@user-hh4jd7ub3x 3 жыл бұрын
일본 관련 정보는 박가네가 최고.. 다른 건 내용도 없으면서 자극적인 제목 장사만 함^^~
@realreal0094
@realreal0094 3 жыл бұрын
늘 라이브와 편집영상 잘보고 있습니다.건강하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kdsong69
@kdsong69 3 жыл бұрын
우리집은 일본가면 전기요금 폭탄이겠네요.
@user-uy3uq5em7k
@user-uy3uq5em7k 3 жыл бұрын
우아.. 헬제팬.. 국가 기반 인프라를 시장에 풀어버리면 저렇게 됨.. 수도 전기 가스 의료 등등등.. 미쳐 돌아가는거지..
@user-xu1kg9gy1j
@user-xu1kg9gy1j 3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시장에 풀었는데 저렴하잖아요
@user-xu1kg9gy1j
@user-xu1kg9gy1j 3 жыл бұрын
걍 케바케임 ㅋ
@user-uy3uq5em7k
@user-uy3uq5em7k 3 жыл бұрын
@@user-xu1kg9gy1j 그건.. 산유국이잖아요..ㅋㅋㅋ 미국하고 비교를 하면 어떻함..
@kj-yf8ij
@kj-yf8ij 3 жыл бұрын
@@youngsuse5929 맞아요 한국도 정치인 하나 잘못뽑아서 서울 아파트 10억밑으로는 보기힘든 세상이 됬죠
@user-xu1kg9gy1j
@user-xu1kg9gy1j 3 жыл бұрын
@@user-uy3uq5em7k 그래서 케바케 라고 했고 유럽도 민영화 됬는데 프랑스 같은경우는 저렴하다고 알고 있음 민영화 사례중에 잘된 케이스도 있어요. 그렇다고 제가 전기 민영화 찬성론자는 아니고 걍 케바케라고 한거예요 ㅋㅋ
@wonwoo0426
@wonwoo0426 3 жыл бұрын
전력 자유화 시키다가 텍사스꼴난다. 자칭 선진국이라는 곳에서 전력부족으로 그것도 10년전에 예측된 일로 사람이 얼어죽는 불상사가 발생... 전력부족으로 인한 상수도 공급 차질... 완전한 인재임...
@gorapadak
@gorapadak 3 жыл бұрын
청구서 봤는데 신재생 관련 부과금 있었네...
@user-ud4qb9qq3k
@user-ud4qb9qq3k 3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정치가들은 감시와 견제가있어야하는군요
@agiyong3450
@agiyong3450 3 жыл бұрын
너무 솔직하신 츄미코님..
@user-ko3cw2ek6b
@user-ko3cw2ek6b 3 жыл бұрын
교통비 전기요금은 가장 기본인데 이게 비싸면 어찌 사나요? 한국도 예전에 6단계까지 있어서 죽을 뻔 했어요. 예를 들어 한 달에 100킬로와트를 쓰는 원룸족이 1킬로와트 이하를 쓰는데 50원. 600킬로와트를 넘는 가구는 650원 차이가 13배였어요. 허울좋은 누진세. 이거 없어진지 몇년 안되었어요. 가족이 많으면 덤탱이 쓰는 요금체계.
@zeon7734
@zeon7734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조은영상ㄱㅅ! 엌 나름 제 때 들어왓는데 일등 놓쳣다온 ㅋㅋㅋ 방심은 금물! 우리나라보다 급여는 적은데 우리나라보다 세금.월세.교통비.전기료를 많이 내는 나라가 그걸로도 모자라서 더 걷어가려고 안달이네온 ㄷㄷ 이렇게나 많이 뺏어가도 저항하지 않는 걸 보면 당사자가 아닌데도 갑갑... 몇번이고 생각하지만 일본과 일대일로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정말로 살기 좋은 나라네온! ㅎㅎ 그렇다고 우리나라도 방심하지않고 이런 사례를 잘 참고해서 혹시 모를 문제를 사전에 잘 방지하도록 노력해야지온~ 아무튼그래가지고 박가네와 파닥센세뿐 아니라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한국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이 너무 힘들지 않기를 기원합니다온 ㅠ
@noe_1007
@noe_1007 3 жыл бұрын
듣다보면 거기서 사는 분들이 존경스럽네요 특히 오상이 기계식안들어가는 수입외제차 진짜 큰맘먹고 샀구나 싶네요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3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미래모습일지도? 이명박이 여러가지 민영화시도했었죠. 명박이 인터넷 종량제도 하려고 했었음. 거기 찬성했던게 KT고. 이미 이명박 아바타 나왔잖슴.
@gorapadak
@gorapadak 3 жыл бұрын
@user-xl1ok1zg3n
@user-xl1ok1zg3n 3 жыл бұрын
이 주제도 정말 활활 불타오르네요. 특히, 댓글중에는 일베댓글도 보일정도 ....
@user-om3qp4sp2h
@user-om3qp4sp2h 3 жыл бұрын
츄미코님의 추임새도 방송에 단단히 한몫 하는듯 ... ㅎㅎㅎ
@user-om1uf4ht9q
@user-om1uf4ht9q 3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luciferseamo9641
@luciferseamo9641 3 жыл бұрын
비그치고 춥네요 오늘도 특근에노예 일시작전 모닝커피 에 라디오모드로
@vitainm1
@vitainm1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있습니다.
@user-ri4tw2dw9q
@user-ri4tw2dw9q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남이야기가 아닐수도 있다는 오상의 말 뜻은 우리나라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죠 ^^
@user-nl6sh7in5o
@user-nl6sh7in5o 3 жыл бұрын
오늘방송은 주목할만한 점이 많군요.
@wys4545
@wys4545 2 жыл бұрын
어제 인수위에서 한전이 어쩌고 해서 뭔가...했는데 저거 따라한거였네ㅋㅋㅋㅋ 파크리 할게 따로있지...에혀
@HongBlues
@HongBlues 3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공재는 민영화되면 안돼...........민영화되서 개판날거 생각하면 무섭다ㅋㅋㅋㅋㅋㅋ
@kulleelee2584
@kulleelee2584 3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전기요금이 얼마나 대단하냐 하면요. 넷우익들도.. 집 전체가 따뜻하다는 한국의 집 이야기에.. 이렇게 말하죠 "가난한 한국인이 그렇게 난방해서 나올 전기요금을 감당할리가 없다."
@sg3743
@sg3743 3 жыл бұрын
앞뒤말 안되는건 우리나라 극우단체들이랑 똑같군요 만약 그들이 따뜻한 집을 보더라도 사기라고 말할겁니다
@gambit_7285
@gambit_7285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전기로 난방 안하는 한국인..)
@Douglas-sq1xq
@Douglas-sq1xq 3 жыл бұрын
전기요금이 실제로 깍였습니다. 공과금 안내봤나... 그리고 전력 자유화는 그네가 외치던 민자사업화임ㅋㅋㅋㅋ
@user-ou3tm1yj2q
@user-ou3tm1yj2q 3 жыл бұрын
전기요금 내림 그네때 더 많이 나오던데ㅠ
@salieri777
@salieri777 3 жыл бұрын
@@jungsuoh6372 전기요금이랑 탈원전은 무관함 ㅋㅋㅄ아 원전 현재 짓고있는것들은 계속 진행중이고,
@user-px4ei4bz9i
@user-px4ei4bz9i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일본은 젊은 사람들 조금 벌어서 나라에 다 털어주네요.. ㅠ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3 жыл бұрын
하나 하나 뜯어보면 한국이 세금, 물가 더 비쌉니다
@user-nv6vu1yq1b
@user-nv6vu1yq1b 3 жыл бұрын
도찐개찐이네요 뭐....
@user-cl7ct1zs1q
@user-cl7ct1zs1q 3 жыл бұрын
아직도생생하다. 이명박정부때 의료,전기,수도 민영화 공작했던거. 건강보험공단가서 서명하고 했던거...
@kulleelee2584
@kulleelee2584 3 жыл бұрын
소매상이 끼면 전력 요금이 더 올라간다는 이야기는 유통에 대해서 잘 모르고 하는 말씀입니다. 감자로 예를 들께요. 감자 싹트면 보통 솔라닌 이라는 독소가 생겨서 조금은 꺼려지게 됩니다. 그래서 싹트지 않은 감자를 유통시키죠. 하지만 집에 감자를 사들고 가면 어떻게 되나요? 일정한 시간내에 소비를 못하면 싹이 터요. 버려야 할때가 되죠. 이건 소매업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도매업도 마찬가지고, 오직 창고를 가진 (아마도 산매) 업체만 냉장 창고에서 저장을 할 수 있는데.. 그래도 소비지에 보내려면 창고에서 꺼내야 합니다. 그리고 꺼내는 순간 카운트가 되요. 즉 산지에서 감자를 꺼낼땐 소비지에서 딱 맞춰서 소비할 양만 꺼내는게 중요합니다. 근데 그게 안되요. 감자 소비량이 들쭉 날쭉 이거든요. 산지에서 소비지 직송을 가정해 보세요. 10톤을 꺼냈는데 5톤만 소비됐어요. 그럼 5톤은 폐기해야 합니다. 그냥 폐기만 할까요? 아니죠. 가격에 전가하죠. 즉 판매 가격이 두배가 되는거에요. 그럼 딱 맞춰 팔리면? 그건 예측 못하죠? 그냥 가격이 두배에요. 딱 맞춰 팔리던 말던... 운이 좋아서 딱 맞춰 팔리면 산매업자가 "럭키!!" 하는 겁니다. 안팔리면 가격에 전가되어 있으니 산매 업자는 손해 안봐요. 그래서 도소매가 연결되는겁니다. 산매업자가 도매업자에게 1톤씩 10명에게 나눠요. 그리고 도매업자는 소매 업자에게 100킬로씩 나눕니다. 이른바 위험의 분산이죠. 보통 산매 업자는 소비지에서 얼마나 소비될지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아요. 하지만 소매업자는 가능하구요. 심지어 재고가 많으면 세일도 합니다. 그래서 폐기 비용이 줄어들어요. 가격이 싸진다구요. 도매 소매업자가 마진을 챙기지만 가격이 싸집니다. 이게 유통의 마법이에요. 업자들이 챙기는 마진만 생각하지 마세요. 참고로 이런 이유로 산지 직거래가 비싼겁니다. 그들은 안팔리는건 폐기해야 하는거에요. 마트에서는 거의 비슷한 양을 팔아서 재고 관리가 되지만, 산지 직거래는 재고 관리가 안되요. 부녀회 상납금 같은거 이야기하시는데.. 그게 아무리 많아도 몇백 몇천 수준은 안되요. 끽해야 10만원 5만원 수준이지...
@user-so7zm4cq6r
@user-so7zm4cq6r 3 жыл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user-rz7zq9rz8h
@user-rz7zq9rz8h 3 жыл бұрын
수도물이나 세액 취약계층 및 식품가격문제 좀 더 자세히 부탁드려요
@8nyangs
@8nyangs 3 жыл бұрын
일복 지진, 화산 궁금합니다.. 계신곳은 안전한지요..?
@bbluetomato6699
@bbluetomato6699 3 жыл бұрын
우민화,민영화의 결과ㄷㄷㄷ 편의점 도시락만 주구장창 먹겠네.
@user-vn6nl8vx1k
@user-vn6nl8vx1k 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회사원들 점심때 라멘이나 편의점 도시락먹어왔어요......
@clapeyon541
@clapeyon541 3 жыл бұрын
@@user-bd5hm1mj9d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다 내가 이 말은 20년전부터 꾸준하게 들어온 듯 근데 오히려 이런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다라는 말들로 인한 경각심 때문에 한국인들은 가만히 앉아서 안 당하죠 과거를 쭉 돌이켜 일본과 비교하면 확연한 차이 부당한 것들 그냥 넘어간 케이스가 거의 없습니다 딱 하나 실패한게 몇년전 검찰개혁하려 시민들 촛불시위했던건데 사실 실패한 것도 아니고 진행중이죠 언론개혁, 법조계개혁 일단 이 둘 부터 국민들이 엄청나게 벼르고 있죠 지금 코로나 떄문에 어쩔 수 없이 움추려 있는거지 코로나 아니었으면 아마 지금 장난 아니었을 겁니다 한번에 다 고치려고 하다 오히려 역효과 잘못된 것 하나하나 고쳐나가면 되는 겁니다 전 한국인들이 충분히 잘해왔고 잘하고 있고 잘 할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음 최근 중국 조선구마사 신동북공정 같은 교묘한 것들도 예전 같으면 모르고 혹은 그게 뭐 별것도 아닌데 하고 그냥 지나갔을 텐데 보세요 어떻게 됐는지
@JuneNyanko
@JuneNyanko 3 жыл бұрын
@@user-bd5hm1mj9d 그 돈 대부분은 신혼부부 주택 구입비용 대출로 소모됐어요. 생각보다 직접 지원액 거의 없어요.
@HYHYT
@HYHYT 3 жыл бұрын
중국도 어마무시하게 비쌉니다.... 여기는 오피스텔 /원룸 등은 상용건물 취급이라 , 공업요금으로 받습니다(주거 상용 분리 ,아파트는 많이 쌉니다).심지어 정기세를 그냥 집주인 건물주인 맘대로 정할수있어서 ,더더욱 심하고요....방금 계산해보니, 2인가족으로 한달에 약 200-300킬로 와트 쓰는데,거진 인민폐 300-400원정도 나옵니다.(1kw=1.65rmb=27.56엔) 저희집 전기요금은 도쿄랑 맞먹는군요 ....
@user-pi5cp3cc9j
@user-pi5cp3cc9j 3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츄미코형님 표정이 다채로운게 재밌네요 ㅋㅋㅋㅋㅋㅋ
@riondaum
@riondaum 3 жыл бұрын
오상 잘보구 가요
@user-qc1jp2yy8o
@user-qc1jp2yy8o 3 жыл бұрын
한달에 만원이면 까르보불닭이 몇봉지인가!!!
@chang17461
@chang17461 3 жыл бұрын
도쿄에서 살았었는데 전기세 물세 주민세 한달에 기본적으로 나가는 돈이 1만엔 넘었던 기억이 나네요
@as1017as1017
@as1017as1017 3 жыл бұрын
읭 그럼 싸지않나요?
@darhihan1810
@darhihan1810 3 жыл бұрын
@@doves8065한국에서 1인 가정 원룸이 그 정도면 매우 많이 나오는거에요...아낀다는 생각 없이 냉난방 펑펑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어디 계량기 고장난 곳 없는지, 건물 기본 관리비가 얼척 없이 많이 청구하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해 보셔요.
@Chegadesaudade.
@Chegadesaudade. 3 жыл бұрын
지방세를 일본에선 주민세로 내는데 주민세가 어마무시합니다. 한해당 제세로 다 돌려막기해도 백오십이상은 뜯기는것 같네요
@ryo_9636
@ryo_9636 3 жыл бұрын
@@doves8065 3인가구도 그렇겐안나오는데 어캐사시는지
@ppiyagi33
@ppiyagi33 3 жыл бұрын
@@doves8065 그렇게 나오기 힘들어요 한여름에 에어컨 20시간정도 풀로 틀어도 한달 전기세 5만원도 안나옴
@user-ou4ss4yt8n
@user-ou4ss4yt8n 3 жыл бұрын
오상 사랑해요
@bjbluery
@bjbluery 3 жыл бұрын
국가 기간산업을 민영화 하려는 정치인은 진짜 잘 지켜봐야 한다
@user-th3ox5vg6w
@user-th3ox5vg6w 3 жыл бұрын
수도, 전기 처럼 모든 국민에게 필수적인 공공재는 무조건 공기업이 운영해야죠 통신사도 원래는 공기업이었는데 민영화 하는 바람에 지금 통신 요금이 미치도록 오른거죠 ㅋㅋㅋ
@clapeyon541
@clapeyon541 3 жыл бұрын
@@user-th3ox5vg6w 가장 중요한 '의료' 빠뜨리셨네요 하지만 mb, 근혜는 이 모든 걸 다 민영화 하려고 했죠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해서 '지하철' 까지
@GK-os1ri
@GK-os1ri 3 жыл бұрын
이명박근혜. 국힘당이 집권하면 또 시작할거임
@user-vk1tt7gh7h
@user-vk1tt7gh7h 3 жыл бұрын
미쿡과 캐나다는 왜 쌀까? 우리나라도, 원전 부시고, 곧 태양력, 풍력, 천연가스, 고비용으로 간다. 안전벨트 꽉 매라.
@CafeNight921
@CafeNight921 3 жыл бұрын
@@user-vk1tt7gh7h 안전벨트가 아니라 나락행이라 꽉 붙잡아야 되네 ㅋㅋ 떨어진다!!
@folhy7428
@folhy7428 3 жыл бұрын
인건비가 싸졌는데 전기요금이 비싸져 공장을 유치못한다... 식비는 싸졌는데 교통비랑 난방비가 올라가니 잔뜩먹고 겨울잠을...
@JM-py2vd
@JM-py2v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junmax1452
@junmax1452 3 жыл бұрын
츄미코ㅋㅋㅋ 옆에서 추임새 넣을 타이밍을 계속 놓쳐요. 오상 중간중간에 추임새넣을 텀을 주세요ㅎㅎ
@buymeal
@buymeal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수돗세랑 전기세 진짜 싼거예요 해외 나가면 에어컨도 빨래도 쉽지 않아요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3 жыл бұрын
어떤 나라는 원전이 터지지도 않았는데 원전 없애고 화력발전소로 가자고 하죠. +유가연동제 ㅋㅋㅋ
@hyunjukim5553
@hyunjukim5553 3 жыл бұрын
그럼 원전이 터진담에 없애야되니?
@user-jz2dd5pv6e
@user-jz2dd5pv6e 3 жыл бұрын
그거 돌릴 수록 폐기물 나오는데 쌓아 두고만 있음
@RollRolls
@RollRolls 3 жыл бұрын
1:05 가계부자체가 없다잖아!! 역시 츄멘
@raymondstar96
@raymondstar96 3 жыл бұрын
저거 재생가능 에너지 사업 한국에서는 개인들도 많이 참여 중이고 일본과 동일하게 초기에 계약한 단가로 생산된 전력을 계속 구매해쥼.. 우리나라도 저거 문제 많음
@loveone6688
@loveone6688 3 жыл бұрын
출퇴근용으로 최고채널임
@user-et9ml7im7h
@user-et9ml7im7h 3 жыл бұрын
어제 라이브에 있던내용이.. 빠르누... 좋아요 꾸욱.
@yjs3833
@yjs3833 3 жыл бұрын
츄미코 더 믿음 간다 ♥️
@Gloomy_Rabbit_kr
@Gloomy_Rabbit_kr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전기 사주잖아요? 그것때문에 산이란 산엔 다 태양광패널로 도배를 해놔서 여름철 태풍오고 장마철만되면 나무가없어서 산사태가 났다라고 매년 뉴스나오는데;;
@user-gl5ek2rs9i
@user-gl5ek2rs9i 3 жыл бұрын
계약할때 20년간 균일가로 비싸게 삼...
@skyrocket375
@skyrocket375 3 жыл бұрын
한국전기요금이 말도안되게 싸죠 통신비는 한명이 한달에 10만원씩 납부하면서 전기요금은 4인가족이 한달에 10만원도 안나오죠 한명이 아무리 전기를 펑펑써도 여름에 에어컨을 24시간 내내 가동하는 정도로 쓰는게 아니면 전기요금 10만원 찍기가 힘듭니다 그리고 전기세(X) 전기요금(O) 전기는 한전에서 강제로 징수하는게 아닙니다 전기안쓰면 안내도 되는거에요 다만 전기를 안쓸순없으니 세금처럼 느껴질뿐입니다. 박가네님도 영상내내 전기세라는 말은 단 한번도 하지않습니다. 영상제목도 전기요금이라고 말하고있고요
@lee.dong.jun.
@lee.dong.jun. 3 жыл бұрын
물,전기,도시가스,유가,전월세... 이런 기본 지출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갈릴수 있다는거군요... 그 변수가 월 평균 수입일테고...
@TheCrystopherKIM
@TheCrystopherKIM 3 жыл бұрын
2020년 기준으로 .. 여름철 에어컨 풀가동시 .. 한국집 1500kw 일본집 1500kw 한국요금 . 430.000만원 일본요금 50.000엔 큰 차이 없었음 .. 한국 누진제가 더 가혹 ... 미국집은 ... 3000kw . 사용하면 350불 ...
@elvenisar
@elvenisar 3 жыл бұрын
전기, 수도, 대중교통 같은건 국민 생활에 직걸되므로 세금 보조해서 요금 억제하는게 맞음. 민영화시킨 나라들 보면 답 나옴.
@elvenisar
@elvenisar 3 жыл бұрын
@@0kumin 외국인 대상으론 돈 더받고 고급형 하는게 맞... 는데 이게 의사협회 보니까 지금은 안될꺼 같음. 의사협회만 그런게 아니고 의사들도 다 따라서 일밍아웃...
@user-bg1zo7eu9c
@user-bg1zo7eu9c 3 жыл бұрын
16년도까지는 여름만 조금 비쌌는데 한번 손보고나서 저렴해지긴했습니다. 30만원나오던 여름 전기요금이 11만원선으로 줄었조
@user-lg3bv1ok1w
@user-lg3bv1ok1w 3 жыл бұрын
그렇구나 요즘 전기요금이 엄청 나와서 재생 어쩌고 1000엔 되어있길래 뭐지 싶었는데 이거군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러다 전기 끊고 시골 내려가서 촛불키고 살아야 되겠어요
@yyyyoo6996
@yyyyoo6996 3 жыл бұрын
일본가정에 IH전기밥솥,인덕션용 220V전원이 따로공급되나요?
@dsk3038
@dsk3038 3 жыл бұрын
의료 수도 전기 도로통행료 교통은 민영화하면 절대안된다고 생각됨 전체물가에 영향을 주기때문 영국 미국 그리고 공용으로 시작했다 민영으로 전환하여 박살난 일본..
@user-xf7bt4ry7g
@user-xf7bt4ry7g 3 жыл бұрын
정답이죠 공공재는 공공재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죠 세금낭비라고 하는데 모두가 써야하는 공공재는 특성상 투자 유지비용이 높고 이익은 적은게 어찌보면 당연하고 그럼 적자는 당연한거임 그리고 공공재이기때문에 그걸 세금으로 메꾸는게 당연히 국민들은 부담이 적어지는거죠 세금은 소득순으로 매기니까요 근데 세금으로 적자를 메꾼다니까 알지도 못하면서 그냥 대놓고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죠 지금 미국사는데 이번 텍사스 한파문제로 얼어죽은 사람도 많았지만 난방비때문에 파산하게된 사람도 많았어요 이게 바로 공공재 민영화의 민낮입니다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3 жыл бұрын
3:23 oecd자료는 ppp(구매력지수)기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사잇슴.
@Vela_88
@Vela_88 3 жыл бұрын
어마어마하네 ㄷㄷ
@user-xs7bz3bs1d
@user-xs7bz3bs1d 3 жыл бұрын
에너지같은 인프라가 이정도 이익률이면 미쳤네요.
@enothyoon1096
@enothyoon1096 3 жыл бұрын
명바기때 민영화 하려다가 반발에 부딛쳐서 못했음
@enothyoon1096
@enothyoon1096 3 жыл бұрын
@거짓찌라시잡는중도댓글 민영화는 돈버는데에는 경제적이죠. 민영화된 기업을 소유한쪽에게 말이죠. 하지만 미국에서도 민영화했다가 다시 돌린 일들이 있었고 이번 폭설로 가격이 1000배가 나왔던 일들이 있었죠. 관리면에서 효율적이긴 한데 (민간기업) 이익추구가 우선이라서 거의 대부분 가격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인력 감소는 기본이구요.
@primero99
@primero99 3 жыл бұрын
진짜 클날뻔 했죠 명바기는 진짜 만기 출소 시켜야 됨
@dolezhangdole8114
@dolezhangdole8114 3 жыл бұрын
의료제도도 민영화 인천공항도 민영화 하려고했음 한국 사실상 지옥 문턱까지 같다온거
@user-hf9np3vr5d
@user-hf9np3vr5d 3 жыл бұрын
주택 태양광 설치해서 여름에도 전기걱정없이 에어컨 빵빵 틀수있음. 다만 실시간 전기를만들지못하는 밤은 에어컨 좀 자제해야하지만.(전기저장 설비가 없어서.)
@Returns_B
@Returns_B 3 жыл бұрын
지진 태풍 쓰나미같은 자연재해가 자주 일어나니 사회 기반적인 시설 유지비용 상승에 기인하여 생활 전반적인 요금상승이 생기지않았나.... 오상!! 유튭 잘 된다 싶으면 한국으로 넘어와.. 츄미코!! 일본에 비행기타면 금방 넘어가!!
@kyotosoloplay
@kyotosoloplay 3 жыл бұрын
다들 빠르시군요 ㅎㅎ
@clarkkim2351
@clarkkim2351 3 жыл бұрын
현실을 말씀해 주셨네요.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 전기요금 비싸다고 느끼는데 일본에 비할바는 아니죠. 게다가 일본이나 한국이나 원료는 다 수입이고 전기요금 도매가를 결정하는건 LNG가격인데 한일모두 프리미엄이 붙어서 고가에 들여오고 있죠. 여러모로 험란한 환경인데 전력회사 상당수가 민영화 되어있는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전기요금이 더 싸다는건 나름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봅니다.
@user-dv9mz2ds7w
@user-dv9mz2ds7w 3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ㅋㅋ
@siverbelljin
@siverbelljin 3 жыл бұрын
구독과 좋아요 아람서R정 감사합니다 발음 정감있어요 😆 꺄~
@user-gi5dw4fm4w
@user-gi5dw4fm4w 3 жыл бұрын
수도 전기. 철도 민영화 되면 안되는이유..
@darylyu5602
@darylyu5602 3 жыл бұрын
의료 포함.,... ㅠ
@user-tt2ib2pd1x
@user-tt2ib2pd1x 3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정책적으로 싸게파는 세가지가 있다는데 혹시 아시나요? (책,가전제품..?)
@user-pj6kh8cq7p
@user-pj6kh8cq7p 3 жыл бұрын
계속 돌려 보게 되네요 가계부 얘기할때 추미코가 오상 째려 보고 제지하면서 눈빛으로 뻥치지마 구라치지마 미화하지마 . ... 앞으로 계속 추미코씨 홧팅
@Kim-cn5bl
@Kim-cn5bl 3 жыл бұрын
미국, 캐나다랑, 한국이 요금이 비슷한거 같지? 거기는 정전이 밥먹듯이 일어납니다.... 우리 나라 정전 경험한적 있나요?
@bangusuck-WarrenBuffett
@bangusuck-WarrenBuffett 3 жыл бұрын
체감상 일본 전기요금 한국3배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집이 아파트가 아니라 난방냉방에 더 쓰게되서ㅠ
@st.clairwest4067
@st.clairwest4067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캐나다보다 쌉니다... 여긴 편도에 3천원 일반 식당 페스트푸드점 말고요 택스에 팁 주면 2만원이네요.. 특히 한식당은 1인 불가! 세계를 가도 한식당은 1인 불가는 국룰인듯..ㅠㅠ
@user-oy6iu3bh1v
@user-oy6iu3bh1v 3 жыл бұрын
👍👍👍
@mkii3708
@mkii3708 3 жыл бұрын
전기요금 최근에 바뀐거임..3단계로...그전에 300키로 이상쓰면 8만원 나왔음....400키로 넘어가면 10만원 인가 나왔던거로 기억함..몇년전까지.
@xyanguy
@xyanguy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제도가 문제면 개선을 해야되는데 ㄷㄷ
@gisc070415
@gisc070415 3 жыл бұрын
우린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
@elvenisar
@elvenisar 3 жыл бұрын
이명박 같은 정치인 뽑아주는 사람만 잘 막으면 됨.
@user-qo7ei3fs3d
@user-qo7ei3fs3d 3 жыл бұрын
@@elvenisar 그렇죠... 쥐시키덜은 항상 갉아먹고 시작하니까요...
@user-qe4wf4mo6f
@user-qe4wf4mo6f 3 жыл бұрын
이딴것들이 나라좀먹는쓰레기들이지 핵폐기물들 진짜 단체로 갈아버리고싶네
@tapecorrection592
@tapecorrection592 3 жыл бұрын
@@user-tk4qj7pz5u ㅋㅋ 근래들어 가장 황당한소리네 댁이좀 공부좀하셈 파리기후협약 이후 재생에너지는 선택이 아니고필수임 원전에서 친환경으로 바뀌는건 당연한수순임 그리고 원전폐기 처리비용이랑 토지비용 안전성하면 싼게 아니란건 이미판명이났음 막말로 님 집앞에 원전폐기시설 짓겠다고 하면 찬성하겠냐고ㅋ
@rou2wo125
@rou2wo125 3 жыл бұрын
@@elvenisar 이명박 밑에서 꿀 빨던 박형준이 부산시장에 유력하죠. 일본 욕할 거 없어요. 오세훈이 울먹였다고 뽑아준다는 아줌마들이 한가득인데요 뭘.
@rachelgamez3519
@rachelgamez3519 3 жыл бұрын
캐나다가 한국보다 싸다는데, 350kwh 토론토 기준 약 67,000원이네요.
@user-nq6lh9zx4g
@user-nq6lh9zx4g 3 жыл бұрын
00:57 실시간 팩트체크 ㅋㅋㅋㅋㅋㅋ
@user-oo6sj2xm4e
@user-oo6sj2xm4e 3 жыл бұрын
난리다 난리~~
@He-jr2ow
@He-jr2ow 3 жыл бұрын
민영화하면 일본처럼됩니다 우리도 민영화는 무조건막아야합니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민영화얘기가나옵니다 항상관심을갖어야합니다
@Horang_OwO
@Horang_OwO 3 жыл бұрын
와 조졌네 증말
@user-xn9ec1zh6r
@user-xn9ec1zh6r 3 жыл бұрын
박가네처럼 삿포로사는 1인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하루에 전기회사광고 엄청나옵니다 그런데 삿포로는 기본적으로 덥지않으니 에어컨을 거의안켜서 전기비는 체감이 별로안오는데 문제는 가스비가 정말살벌하게나옵니다 도시가스 설비가 너무나 부족해서 거진 lpg인데 가스도 민영화라 회사마다가격차이가 너무많이나요 바꿀려고해도 맨션당으로 계약하기때문에 저만바꿀수도없고요 심하면 도쿄랑 10배차이나는 회사도잇습니다 겨울만되면 여름보다 공과금이 세배는나오니 정말 빡빡합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3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나와요? 저는 겨윤에 가스비 16~18만원 내는데
@user-nc7mb1dv9w
@user-nc7mb1dv9w 3 жыл бұрын
저 전기요금 1달 1만엔 나오는데 괜찮은건가요??
@bsl9864
@bsl9864 3 жыл бұрын
혼자라면 많이 쓰시는 겁니다. 보통 전기, 가스, 수도 합쳐서 1만엔 이내로 나와야 알뜰하게 산다고 보면 돼요.
@user-nc7mb1dv9w
@user-nc7mb1dv9w 3 жыл бұрын
@@bsl9864 에어컨 난방을 너무 많이 틀어서ㅜ
@lumeil579
@lumeil579 3 жыл бұрын
저는 삼인 가족이 만엔 쪼끔 더 나와요. 아껴쓰려고 노력 중입니다. ㅠㅠ
@user-bs8kt4fm9d
@user-bs8kt4fm9d 3 жыл бұрын
도쿄에서 2인가족기준 1만2천엔정도 나오네요
@ssinukim
@ssinukim 3 жыл бұрын
난리코인!!!
@jay_el_5837
@jay_el_5837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친환경에너지를 전체의 20%까지 올린다는 계획이있으니 비슷하게 흘러갈거같기도 하네요
@seaname1
@seaname1 3 жыл бұрын
일본에는 연말정산 있나요? 한국에서 일하는 저는 이번에 86만원 반환했어요. ㅜㅜ
@user-hi3nw4tb9b
@user-hi3nw4tb9b 3 жыл бұрын
연말정산이랑 4분기로 일년내내 내는걸로아는데 정확한진 모르겠네요
@user-kf1ov1ms9t
@user-kf1ov1ms9t 3 жыл бұрын
우와... 우리나라에서 저랬다간 난리나서 나라가 발칵뒤집어 질텐데...
@SH_Ye
@SH_Ye 3 жыл бұрын
피곤피곤..어제 그건강
@user-oo3qe7pn1t
@user-oo3qe7pn1t 3 жыл бұрын
츄미코샘은 굉장히 정직하신 스탈이심
@user-fo3jr5it4b
@user-fo3jr5it4b 3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츄미코 형수님 미인이십니다. 형님은 전생에 나라를 구하셨군요
@shutgun21
@shutgun21 3 жыл бұрын
전력 유통 체계를 많이 개편해야 할거 같은데....
They RUINED Everything! 😢
00:31
Carter Sharer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есконечное пиво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몰아보기] 2만 3천권 책 보유자 이동진의 지명의 역사
2:03:37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465 М.
역대급 엔화 약세에도 일본이 엔저 정책을 고집하는 이유
25:36
일본이 저렴한(?)나라가 된 이유 - 남의 일이 아닐수도?-
17:3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91 М.
자기 취향만 잘 찾아도 인생이 바뀐다 (with 가전주부 최서영)
1:01:10
요즘 것들의 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7 М.
일본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중국회사TV를 사게 된 이유
15:45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252 М.
'경차 왕국' 일본의 특이한 내비게이션 문화
22:56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8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