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최초 고령사회 진입한 일본, 30년 만에 大전환점 / 정영효의 도쿄나우

  Рет қаралды 227,696

한경 글로벌마켓

한경 글로벌마켓

Жыл бұрын

#고령사회 #저출산 #고령화 #인구문제 #출산율
요즘은 일본이 한국의 저출산·고령화를 걱정하는거 알고 계시나요? 저출산·고령화의 원조국가인 일본이 한국을 걱정하는 어색한 상황.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는 것‘이라고 웃어 넘기기엔 현실이 그리 녹록지 않습니다. 한국은 아직 어디까지가 최악인지도 모르지만 일본은 최악의 상황을 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경글로벌마켓콘퍼런스NYC 홈페이지
event.hankyung.com/seminar/ny...
▶한경글로벌마켓 홈페이지
www.hankyung.com/globalmarket
더 많은 해외주식 투자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신문 구독신청
bit.ly/3Gv97Bh
▶한국경제 네이버 TV 바로가기
tv.naver.com/nowhankyung
▶한경 코리아마켓 바로가기
/ jooconomy
▶집코노미TV 바로가기
/ jipconomy

Пікірлер: 757
@user-um8vy2mi7t
@user-um8vy2mi7t Жыл бұрын
5월에 병원에 입원을 했는데 6명의 비슷한 60대 초.중.후반의 연령대가 모였는데 자녀 결혼시킨 부모가 한사람도 없었다. 우리모두 깜짝 놀랬다. 자녀들 나이가 30~40대였는데....이게 현실이구나 싶었다.
@user-bi3jy5sd9y
@user-bi3jy5sd9y Жыл бұрын
그거 님만 그런거 아닐까요?? 제 주변에는 30중반이면 다 결혼하고도 남았는데
@usdjfkdnk
@usdjfkdnk Жыл бұрын
수도권쪽은 그렇고 지방이 오히려 결혼 더 하는거같아요
@moonji6779
@moonji6779 11 ай бұрын
이 나라는 40대가 문제고 절대 말은 듣지 않는 꼴통들이지
@AndreKostolany.
@AndreKostolany. 3 ай бұрын
집값이 싼 동넨(5억이하) 일찍 결혼, 비싼 동네(10억이상)는 늦게 결혼
@Nam_Aeri
@Nam_Aeri Жыл бұрын
이말이 맞지....일본은 노령화에 맞춰서 계속 퇴직연령도 늦추면서 노인일자리도 어느정도 질을 유지하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50대부터 이제 은퇴걱정 해야되고 그나마 얻는 일자리도 양질이 아니니까ㅠ
@user-mn9kv1uv3y
@user-mn9kv1uv3y Жыл бұрын
집값 걱정에 취직 걱정에. 요즘 애들은 연애도 잘 안해요. 귀찮고 상대 비위 맞추는 것도 싫다고 친구들 끼리만 놉니다. 게다가 결혼 안 한다고 대놓고 말합니다.
@mrmin4007
@mrmin4007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무슨 여자인걸로 태어난게 벼슬인줄알죠 ㅋ 여자. 집안도 그렇고요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Жыл бұрын
@Hodu 검사님들이 얼굴을 구분 못해서 기소를 못한거지 무죄는 아님
@mrmin4007
@mrmin4007 Жыл бұрын
@@user-ic1dj5tf7r 0.81 깨진지 오래됐습니다. ㅎ 0.78입니다.
@parkdr.5381
@parkdr.5381 Жыл бұрын
지금 남 걱정 할 때가 아닌것 같은데??? 예전에는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비웃었는데 요즘에 다시 보니까 과연 한국은 30년은 커녕 3년도 못 버틸 것 같은데??? 진짜 대단한 거지. 30년을 버틴다는게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한국은 이제 시작인데 벌써 부터 숨 막히는데
@user-hx6bf4sn4o
@user-hx6bf4sn4o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대단한 국가여서 살아남기라도 하는거지 우린...
@changhshin5089
@changhshin5089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아직 최악의 수준이 어디까지인지 모른다는 말씀에 지극히 공감합니다. 사회학자라는 분들이 스스로 연구해서 기준을 잡는 방법을 이제라도 배워나가야 할 듯 합니다. 4차 산업 혁명에 대해 선진국가로써 연구하고 사회적 기준을 제시하는 사회학자가 지금도 없기에 MZ세대들이 사회에서 겪는 괴리감이 많은데, 저출산과 고령인구 문제에 대해서라도 제대로 연구되고 준비되길 기대해 봅니다.
@shaneisacc
@shaneisacc Жыл бұрын
제대로 연구되고 준비되길 바란다는 건 안일한 표현이고 극단적인 처방밖에 답이 없는게 현실
@ybeakb81
@ybeakb81 Жыл бұрын
MZ만 많을까요? 모든 세대는 다들 그 세대만의 고유의 기준을 가지고 성장한게 한국입니다. 전쟁을 겪은 세대 그 후 세대 고속성장 독재국가 군사정부 오렌지족 IMF 문민정부 Z 세대 등등 다들 가치관이 다릅니다. 엄청나게 압축성장한 후유증이겠죠 지금의 노인인구는 정말 대비하나도 못하고 나이가 들어 문제가 더 큰거죠 이제부터 은퇴하는 세대는 그나마 먹고 살만하거나 부자인 노인들이 많은 세대입니다. 앞전 세대랑 틀려요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11 ай бұрын
ㅈㄹ좀 하지마라 한국따위가 뭔 선진국이냐? 그동안 선진국들 모방해서 성장한주제 웃기고 있네
@sss5984
@sss5984 Жыл бұрын
한국이 번 돈은, 사회 안전망에 안 쓰고, 지자체, 재개발 업자, 투기꾼들, 은행이 한통속이 되어 비싼 아파트만 때려 짓는다. 지금도, 미래도, 저 짓거리 계속 한다. 저게 한국 몰락의 이유다.
@user-jh3le8xk1j
@user-jh3le8xk1j Жыл бұрын
대공감요
@user-dz3hg9wb2t
@user-dz3hg9wb2t Жыл бұрын
포퓰리즘이 나라를 망하게한다는 인간이 너무 많아
@ljp1333
@ljp1333 Жыл бұрын
지금의 40층 아파트는 30년뒤에 80층으로 올려야 될 텐데~ 에라~ 30년뒤의 일은 알게 뭐야~ 먹튀하면 되는데~ 한심한 사회~
@THEHORSFIELDII
@THEHORSFIELDII Жыл бұрын
님 옳으신 말씀입니다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Жыл бұрын
한국대학에서 근무하는 미국인 경제학교수가 그러더군요 한국에서 연구를 해본 결과 한국은 희한하게 국민들만 저출산을 걱정하는 나라라고요 지난 20년간 저출산이 굉장히 심각하다고 정치권에서 매일 걱정하고 연구하는걸 본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설문조사를 해보면 국민들만 저출산을 엄청 걱정하고 있죠 맞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hkp1928
@hkp1928 Жыл бұрын
기득권자들은 자기 주머니 챙기기 바빠서 그런거 생각할 여유가 없습니다 두둑히 챙겼다가 나라 망하면 다르나라 가서 살면된다는마인드임
@bedangtv
@bedangtv Жыл бұрын
@@hkp1928 맞습니다. 대부분 국회의원들 공직자들 다 미국으로 자녀들 이민시켰죠.
@user-oi5wd9yt6t
@user-oi5wd9yt6t Жыл бұрын
난 ㄹㅇ 일본 5년 살면서 저출산 울나라가 훨씬 심각하다는 것을 피부로 체감…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일본살면 느끼죠 한국 노인부양비로 세금 50퍼 뜯어가겠구나
@user-oi5wd9yt6t
@user-oi5wd9yt6t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그렇죠... 저 일본인들 세금 보고 엄청 놀랐습니다...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Жыл бұрын
@@user-oi5wd9yt6t 일본인들 세금이 어떻길래요?
@user-bo8ut8yc4f
@user-bo8ut8yc4f Жыл бұрын
@@pinetworkminer8377 3천만원 벌면 실수령2400정도 받아요 20프로 조금 넘게 떼감 이게 거의 최소구간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Жыл бұрын
@@user-bo8ut8yc4f 그게 일본에서의 소득세인가요? 금융 이자에 대한 세율은 다르죠?
@user-ir3is5ct4s
@user-ir3is5ct4s Жыл бұрын
냉정히 생각해 보면 한국이 더 문제가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Жыл бұрын
비교가 안되죠 독일과 폴란드마냥 일본은 G3에 노벨상만 수십개 머한민국은 노벨상 0개에 식민 속국 역사뿐인 곳
@MJ-kg4ph
@MJ-kg4ph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우리 나라 국민들은 지금까지 인구팽창만 경험했으니 아직 피부로 전혀 못느끼고 다른 나라 이야기로 생각.. 당장 2030년만 되어도 수도권 2500백만인구중 1/3이 노인이라는 통계..그때되면 지방은 말할것도 없고.. 아이들을 공장에서 찍어내는 것도 아니고..일본은 기본인구라도 있지만 한국은 그것조차 힘드니 외신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민족 1위가 될거라는데..
@user-bu5wr7ks7e
@user-bu5wr7ks7e Жыл бұрын
@@user-ic1dj5tf7r k-종교에 헤드샷 맞은 아베 😆 정리끝
@user-itrybesttillthelast2077
@user-itrybesttillthelast2077 Жыл бұрын
세상 고퀄리티의 취재영상을 이제서야 보네요. 깔끔한 그래픽과 차분한 말씀이 딱딱 잘 맞아들어가는 게 편집도 완벽합니다. 이정도 클래스의 영상을 매주 만들어내시는 건 아니겠지요? 다음 기사도 기대하겠습니다!
@digduck9463
@digduck9463 10 ай бұрын
한일 둘다 저출산이지만 인구도 일본보다 적고 내수시장도 약하고 중소기업 기반도 없고 핵심 기술도 없는 한국이 더 위험합니다.
@user-tb5ef3ln9i
@user-tb5ef3ln9i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저출산고령화가 언제가 끝일지도 모를정도로 진행되고있고 일본은 저출산고령화가 이미 바닥을 찍고있고... 지금 누가 누구를 걱정하는건지 모르겠네요ㅋㅋㅋ
@SA-og7lf
@SA-og7lf Жыл бұрын
출산율 수치가 거의 2밴데 ㅋㅋㅋ
@user-og1pg2lu2q
@user-og1pg2lu2q Жыл бұрын
일단 일본이 고령화 원조든 경제성장 난항이든 한국이 일본 걱정하는거부터가 말도 안되는거임 얘들 해외자산은 논외로 치더라도 외화비축액이 이미 넘사임 기축국빼고 oecd 회원국 평균의 3배 이상을 보유한게 대한민국인데 대한민국의 3배 이상의 외환 보유고를 쌓아둔게 일본임 진짜 누가 누굴 걱정하는건지..?
@-FairWind
@-FairWind Жыл бұрын
그러게나 말입니다....😔
@hio2691
@hio2691 Жыл бұрын
국뽕
@user-og1pg2lu2q
@user-og1pg2lu2q Жыл бұрын
@@hio2691 네 다음 실질문맹
@kcc853
@kcc853 Жыл бұрын
일본이 한국인구의 2.5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구대비 외화비축액은 비슷한데, 네가 보기 못한점은, 일본은 30년 동안의 불황에서 경제정책의 삽질 때문에 GDP대비 국가부채가 250%에 달한다는 것이다. 아베가 노믹스한다고 풀은 돈은 곧 일본인들의 자산을 깍아먹은 것이며, 굳이 이루려 했던 엔저 또한 이번에 일본의 수출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볼때, 네가 그리 좋아하는 일본도 그동안 쌓아놓은 자산들 말아먹은 것 밖에 안했지, 그리 대단히 잘해왔다고 할수없어. 다행히도 한국은 정책적 삽질을 안해서 GDP대비 빚도 50%를 넘지않았지
@user-og1pg2lu2q
@user-og1pg2lu2q Жыл бұрын
@@kcc853 네 다음 연금미포함부채
@mintchocoicecream3769
@mintchocoicecream3769 Жыл бұрын
최신 출산율 보니까 이 나라는 이미 망해서 다 끝났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SA-og7lf
@SA-og7lf Жыл бұрын
그거 원해서 여성권 올려주고, 여성 피해의식 심어주고... 집값 고의적으로 올리고, 갈라치기로 싸움 붙이고 계속 한거잖아요? D-J때부터 의도적으로 다 한겁니다. 한국 멸망작전에 매--국노들이 부역한거죠. 그걸 간파해낼 능지가 없는 저급한 민족이니, 능지 수준에 맞는 멸족의 길을 가는 거구요. ㅋㅋ 사실 ㅈ8--6들 대규모 살처분 하면 문제해결인데, 어쩌면 문크에거님이 십자가를 짊어지시고 ㅋㅋ 흰--신패--스 하실때 10차까지 쭉 응원했어야 했을지도 ㅋㅋ
@kcc853
@kcc853 Жыл бұрын
집값이 떨어지면 출산율의 회복이 가능할듯한데, 네 인생은 망해서 끝난듯
@swerving_by
@swerving_by Жыл бұрын
@@kcc853 집값 떨어져도 1인가구만 늘어날거라는 의견도 많음 출산율 예전만큼은 안 돌아올듯
@HACOO21
@HACOO21 Жыл бұрын
춘산율을 늘릴수있게 대안을 마련해야죠?
@papaplay4495
@papaplay4495 Жыл бұрын
@@HACOO21 그거로 될까? 이미 남녀평등 문제도 많아지고 혼자사는게 너무나 익숙해지고 편해지고 무엇보다 혼자사는데 최적화된 기술들이나 놀거리들 등 돌이킬 수 없는 수준까지 왔음. 집값 월급 출산혜택 등 이런거로 막기에는 이미 늦어버렸는데 대안을 마련해야겠죠? 이런 옆집 불 구경같은 말은 안하는게 ㅋ 정권들이 똥을 싸다싸다 이제 퍼내지도 못하는 지경까지 왔다 이거야
@PostNemo
@PostNemo Жыл бұрын
그때그때 시황도 좋지만 이렇게 중요한 이슈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는 이런 컨텐츠 좋습니다.
@rkd350z
@rkd350z Жыл бұрын
바다건너 미국에서 지켜보는 나에게는.. 한국이 더 위험하다. 안전망 같은가 없고..
@ojh0420
@ojh0420 Жыл бұрын
공감
@dtonpbac
@dtonpbac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일본의 최소 10배 이상은 심할텐데 먼 일본 걱정을 하고 있냐ㅋㅋ 코미디네.. 일본은 대책을 진지하게 준비하고나 있지 한귝은 나라 자체가 망할 판임
@jey4751
@jey4751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정말 심각한데 아무도 나서는 사람이 없다
@user-zr2ob6ef9x
@user-zr2ob6ef9x Жыл бұрын
아무도 나서는사람이 없는게아니라 이것저것 여러가지 정책시행하고있습니다. 지금당장 눈에 띌수가 없죠 애낳는게 뭐 하루이틀만에 뿅하고 태어납니까. 에휴
@user-ej7ju6jb5r
@user-ej7ju6jb5r Жыл бұрын
@@user-zr2ob6ef9x ㅎ 한국이 무슨 정책을 펼치고 있는지? 지난 10년 전부터 하던 정책 그걸로는 안되는걸 아직도모르고 ㅎ 뻘짓만하는데 먼 정책을 하고 있다고 하는지
@llalapopo011
@llalapopo011 10 ай бұрын
@@user-zr2ob6ef9x 그니까 이것저것이 뭔데 말해줘~~
@luckylbg
@luckylbg Жыл бұрын
이런 목소리가 국가정책에 반영이 되야하는데 ...계속 밥그릇 싸움중
@silhee09
@silhee09 Жыл бұрын
진짜 깊이 생각해야될문제. 우리 20대초 아들. 딸이 둘다 결혼안하겠답니다. 심각하게 생각해봐야함! 늦기전에 대책도 세워야하고!
@1Go_1Eeeh
@1Go_1Eeeh Жыл бұрын
이번 시리즈도 역시 많이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wt5dg7nw2n
@user-wt5dg7nw2n Жыл бұрын
고령화 진짜 심각합니다 영상 감사해요
@jaehoonha6
@jaehoonha6 Жыл бұрын
베이비부머만 다 죽고나면 어느정도 해결 됩니다. 걱정마세요.
@user-cf9qu3wz3c
@user-cf9qu3wz3c Жыл бұрын
@@jaehoonha6 말넘심
@user-wt5dg7nw2n
@user-wt5dg7nw2n Жыл бұрын
@@jaehoonha6 근데 그러려면 부모님이 돌아가셔야 하는데요 ㅠ
@user-pc3qy4qh4r
@user-pc3qy4qh4r Жыл бұрын
@@jaehoonha6 베이비부머 다 죽기전에 님들은 더 혹독한 시절을 겪습니다. 나라 엿되기 전에 출산율 어떻게든 지금 해결해야 해요.
@jaehoonha6
@jaehoonha6 Жыл бұрын
@@user-wt5dg7nw2n 내가 베이비부머 입니다. 우리세대만 고통 받으면 됩니다. 고령자가 많아서 문제지 절대인구는 너무 많은 나라입니다. 후대를 위해서 희생하자는 겁니다. 우리세대는 단군이래 제일 빠르게 성장하던 시기에 모든 혜택을 받았고 우리사회의 나쁜 문제를 야기한 세대입니다. 악업을 참회하고 후대를 위해서..
@mireihome
@mireihome Жыл бұрын
좋은 컨텐츠 잘봤습니다. 저는 도쿄도의 서쪽에 사는데 확실히 돌아다니다보면 다둥이 가족이 많긴 합니다. 엄마들도 보면 젊은분이 많이서 둘, 셋 낳는게 물리적으로는 부담이 덜한 것 같더라고요. 물론 경제적으로 힘든건 한국이나 일본이나 매한가지겠지만요.
@coled9566
@coled9566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대한민국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f7wg6qm2q
@user-zf7wg6qm2q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큼은 남의나라 걱정말고 자기나라 걱정만 했으면 좋겠네요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특히 한국에서만큼은 한국판 트럼프가 필요합니다. 트럼프처럼 국익을 우선시하는 대통령이 필요한거죠. 단, 트럼프보단 훨씬 똑똑해야 될겁니다.
@nerima-
@nerima-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elax-qksdiwlgp
@relax-qksdiwlgp Жыл бұрын
저출산 대책이 세금 빼먹는 대책이 되었고 어느 하나의 정치인도 해법을 내놓지 몬하고 세금 많이 빼먹는 자리만 차지하려 노력중이죠.
@Helianthus035
@Helianthus035 Жыл бұрын
정특파원님 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하며 다음 영상도 기대가됩니다~
@dd6943
@dd694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듣고 가용~정영효기자 포에버!!!😊
@ZeroZeroMindset
@ZeroZeroMindset Жыл бұрын
말씀 너무 차분하게 잘하셔요 !! 항상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helonj3524
@helonj3524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하며 많은것을 생각하게 되네요.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그런지 저출산문제는 도저히 예산 투입으로 해결이 되지 않으니까 외국인 이민을 받아 들여서 고령화를 늦추는 목적인지는 모르지만 한국도 이민청 신설을 검토 할 정도이면 심각하기는 심각한 모양 저출산에 따른 고령화 문제 인듯 합니다.
@user-li3sj7qu2v
@user-li3sj7qu2v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외국인들이 살기 좋은 나라도 아니기에 돈벌고 다시 귀국하기 바쁘죵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Жыл бұрын
@@user-li3sj7qu2v 부유한 나라의 외국인들이 한국에 이민을 오겠는지요 동남아쪽 필리핀,미얀마,캄보디아,베트남쪽 외국인들이 눈독을 들이지요
@user-pm9qz3bz3g
@user-pm9qz3bz3g Жыл бұрын
애기 낳아보셨으면 예산이 간접비가 많다는거 깨달으십니다. 중간중간 간접비나 지원비, 연구비 등 새어나가는 돈이 많아요. 직접비를 대폭 늘렸으면하는데.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Жыл бұрын
@@user-pm9qz3bz3g 직접비를 늘리는데 국민의 힘이 아마 반대를 할겁니다 포플리즘이니 선심성이니 하면서 국가 부채만 늘어난다고
@jamesjoung1549
@jamesjoung1549 Жыл бұрын
이민은 종교 부터 문화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합니다
@user-zr2ob6ef9x
@user-zr2ob6ef9x Жыл бұрын
좋은취재내용이네요 잘보았습니다.
@greatpol288
@greatpol288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저출산고령화가 일본보다 심각한 것은 그 속도가 너무도 빠르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면서 서서히 침몰해가는 양상이었지만, 한국은 그야말로 낭떠러지로 번지점프하고 있는 것인데, 이것은 일본조차도 경험해본적이 없는 것임. 지금 고령층과 정치인 들은 이 문제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데, 너무 빨리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들이 어린시절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던, 한국은 인구밀도가 높아서 인구줄어야 된다라는 강박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저출산고령화는 단지 인구밀도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구밀도와는 별개로 인구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물론 인구밀도가 저출산고령화의 원인 중 하나인 것은 맞습니다. 그렇다면 인구절반이 국토10%에 불과한 수도권 구석에 몰려사는 것을 해결해야 하는게 급선무인데, 국공립대학 ,공기업,정부기관등을 다 내려보내어 균형발전을 서둘러야 합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경우에서 보다시피 내려가라 그러면 싫다고 난리치는게 현재 한국의 현실입니다. 서울소재 대학의 교수님들이 인구분산,균형발전 얘기만 나오면, 대학 내려보내봤자 별 효과 없다고 하던데, 저한테는 그 말이 자기들과 가족들이 내려가기 싫다는 말로 들립니다. 문제는 그런분들이 한국의 인구문제 전문가라고 여기저기 중책을 맡고 있다는 점이지요. 그러니 해결이 쉽겠습니까? 하지만 대한민국과 우리들 개개인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지방분산 균형발전 저출산고령화해결이 필수입니다.
@fjord38
@fjord38 Жыл бұрын
우린 미래가 정해졌어요
@k.y.b1170
@k.y.b1170 Жыл бұрын
망길로 가는길ㅋ
@crossk4926
@crossk4926 Жыл бұрын
애들 학원비로 노후 대비자금 다 버리고 가난한걸 누구 탓. 당연히 자식들도 같은 인생 살기 싫어서 안 낳지. 가성비도 10%도 안되는 것을 꾸역꾸역 다 보내고 가난하게 사는게 당연하지. 만 악의 근원 학원. 기업들이 4년제 대학 나오면 연봉 더 주는 것부터 없애야 학원이 사라질 듯. 남들보다 못 받는 건 미친듯이 싫어하는 한국인 병. 자식들 차별 받지 말라고 무지성 학원 쳐 밀어 넣다 보니 이리된 듯. 실력을 검증할 실력이 없으니 대학으로 차등하는 기업도 문제 세상 어느 서비스도 제품도 입시 학원처럼 가성비 그 따구로 나오는 건 없다. 학원 때문에 어마어마한 인구가 인생의 중요한 가치를 반 백년간 잃어가는 중.
@user-kh9nb4rb3j
@user-kh9nb4rb3j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맞습니다
@mcjjsk
@mcjjsk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학원산업은 비정상적인 사회 구조에 기생하는 기생충이지 스스로 생각못하고 불나방처럼 정신 못차리고 남 하는거 다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저급한 따라쟁이 마인드가 대다수니까 그 기생충도 사는 거겠지만 진짜 그냥 사회 구조가 ㅂㅅ같음
@user_5435
@user_5435 Жыл бұрын
나도 교육 과열이 제일 문제라고 생각 그게 다 수도권 과몰입의 원인임 몇십년동안 가랑이 찢어지게 다들 입시 혈안되니 이제 역풍 맞는거
@theRedstoneinn_Dubuque
@theRedstoneinn_Dubuqu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좋은내용!!
@user-jt2yy3uy8x
@user-jt2yy3uy8x Жыл бұрын
교육을 개혁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 사소한 학문적인 성취에 따라 사회에서의 성공 여부가 갈리는 세상을 누가 만들었을까? 자녀 교육에 돈을 때려 박을수 있는 기득권 층이 그러한 사회를 만들었지. 사회 나오면 아무런 쓸모없는 것들을 머리 속에 주입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원을 낭비 중인지...
@demonsasset
@demonsasse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 퀄리티가 대다나네요... 벌써 신문 4개 보고 있는데... 아 한경 또 추가해야 하나... ㅎㅎ
@claraoh94
@claraoh94 Жыл бұрын
중요하고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wq7up9oe7s
@user-wq7up9oe7s Жыл бұрын
제조업이 답이죠. 선진국인 미국도 제조업산업을 육성하죠. 현대.삼성공장을 미국으로 끌어들이기 하죠. 일자리와 지역발전. 경제적효과가 결혼과 출산으로 이어지죠. 우리나라 정부는 4차산업을 강조하고 제조업을 가볍게 생각하죠. 정치권은 "고졸만해도 취업걱정없는 나라만들기"를 희망합니다.
@llalapopo011
@llalapopo011 10 ай бұрын
누가 가는데? 월급 복지 를 대기업 만큼 해주면 가겠다
@user-gu6lz7kl5c
@user-gu6lz7kl5c Жыл бұрын
부자나라 일본 걱정보다 우리나라가 제일 걱정 이다
@user-he2vi9mw4f
@user-he2vi9mw4f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컨텐츠를 이제 알게되었네요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user-jm8if5ql2k
@user-jm8if5ql2k Жыл бұрын
매번 감사합니다.
@user-dv1bt8lp6v
@user-dv1bt8lp6v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donchae3521
@donchae3521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고맙읍니다
@user-ul4ie6bh5j
@user-ul4ie6bh5j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모르겠으나 지방은 건물주가 박스줍는경우 많음
@abcdeabcde8408
@abcdeabcde8408 Жыл бұрын
일본의 현실을 늘 생생하게 전달해 주셔서 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Ss-we9wx
@Ss-we9wx Жыл бұрын
225조원이면 그돈으로 수도권 장기전세 아파트 100만호는 지어서 저가전세 공급 가능 했겠다. 그럼 주변 전세값도 낮아지고 자연스럽게 집값도 안정화 됐겠지. 그걸 모를리 없을거다 다만 건설 카르텔과 부동산으로 먹고 사는 인간들이 그 꼴을 못봐서 문제인거지. 안정적으로 살게만 해줘봐라 결혼을 안하나.. 결혼하면 대부분 애는 낳더라.
@mister_9523
@mister_9523 Жыл бұрын
문재인이 그 돈으로 건물 맨들게 하냐? 페미니즘이랑 공무원에게 써야지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zeun0108
@zeun0108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이런 정책 추진했음 좋겠습니다. 국민들도 정신차리고 저출산대책 추진하는 정당을 뽑아야 합니다.. 당파싸움 그만하구요.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Жыл бұрын
@@zeun0108 "저출산 예산 200조"는 언론과 정치인들이 난리치니까 공무원들이 복지나 그냥 일반 예산에 저출산이란 제목을 그냥 달았을 뿐이지 실질 출산 예산은 비율은 미미함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Жыл бұрын
@@jinyongkong70371차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 인구밀도 때문에 안되고 97년 imf 때 30대 재벌 50%가 망하면서 사라진 일자리와 평생 직장 개념을 다시 살리는것도 불가능해서 출산율은 회복 불가능하단게 팩트입니다
@sjyoon0603
@sjyoon0603 Жыл бұрын
좋은 기사 잘봤읍니다 기자님.
@user-jj9yj3yt6n
@user-jj9yj3yt6n Жыл бұрын
감사히 봤습니다
@user-iy5tq3nr6e
@user-iy5tq3nr6e Жыл бұрын
아주 훌륭한방송입니다 감사합니다
@dowoonu
@dowoonu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의 근본원인은 인구집중입니다 서울로 , 수도권으로 꾸역꾸역 모여들다보니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맞벌이를 하며 수도권에서 어떻게든 살려고 하니 출산의 기회나 의욕이 떨어지는겁니다 해결책은 인구분산이고 지방인프라와 기업의 분산입니다
@assaassa7663
@assaassa7663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더 큰 원인은 1. 청년 일자리가 없다는 것. 취직해도 대부분 연봉 낮음. 그래서 결혼도 못해, 애도 못낳아. 2. 결혼해도 애 낳으면 여성이 직장 포기해야하고 양육비가 비싸니 애 안 낳음. 프랑스는 출산율 1.8. 초등학생은 학교에서 저녁7시까지 무료로 봐줌. 그래서 프랑스 여성은 애도 많이 낳고 출산 후 대부분 직장 다님.
@dowoonu
@dowoonu Жыл бұрын
@@assaassa7663 일자리가 없는게 아니고 폼나는 일자리가 적은겁니다 '폼나게' 살아야 하는데 그게 안되는거에요 폼날필요가 없는 환경에서는 결혼 잘하고 아이도 잘 낳습니다 '폼나게' 살아야 하는 환경이 바로 인구 밀집입니다 동물도 밀집시켜놓으면 서로 싸우죠 역사적으로 보면 인구밀집의 시대에는 전염병이 돌거나 전쟁이 일어나서 자연히 다시 출산율이 높아지곤 했습니다 아시겠습니까? 아무리 출산보조금, 양육비지원, 일자리가 많아져도 소용없어요 오히려 더 인구밀집을 가속화 시키고 오히려 더 출산율이 떨어집니다 과거 20년간 그래서 정부정책들이 실패한겁니다 엉뚱한 곳을 긁어댄 겁니다 지방으로 인구분산시키고 지방 인프라건설을 잘 하면 출산율 올라갑니다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dowoonu 동감합니다. 크게 배웠습니다.
@dowoonu
@dowoonu Жыл бұрын
@@jinyoungkim3525 기업이 없으니 지방이 소멸하는거지 지방이 소멸해서 기업이 없는게 아님 먹이가 있는 곳에 동물이 모여들듯이 돈벌이가 있는 곳에 인구가 모임 대기업이 해외로 나가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인데, 1. 제일큰게 인건비 2. 땅값 3. 그밖에 세금, 정책지원등... 대기업을 지방으로 분산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대기업한테서 세금을 뽑아먹으려는 근시안적인 정책때문이고 그래서 기업은 해외로 도망나감 그래서 수도권으로 모여들고 지방은 소멸해감
@user-bx6mk5on8x
@user-bx6mk5on8x Жыл бұрын
누가 그럼 그게 근본이라고? 양극화 배금주의 남녀 갈등 과도한 경쟁 등등등 차고 넘치는 문제들이 이리 많은데 퉁쳐서 인구 집중?
@user-hjlznsjhhsjxn
@user-hjlznsjhhsjxn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user-ce7kd7so2u
@user-ce7kd7so2u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우리 애들은 취업난에 비정규직으로 고통받고 있고 일본 애들은 취업을 골라서 가는 판이니 출산률이 차이가 나는 것이 당연한거지. 앞으로도 변화가 생기려면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생긴 일자리가 젊은 애들숫자로 도지히 감당이 안될 때를 기다려야 하는데. 벌써 부터 와국인 노동자들을 불러들이는데 몇년후면 더 많은 외국인을 불러들여서 우리애들은 손가락을 빨며 애를 낳아야 하는 세상이 계속되게 만들겠지
@user-rp9kj4hs1m
@user-rp9kj4hs1m Жыл бұрын
부자들을 위해! 인건비하락을 위해!
@user-ce7kd7so2u
@user-ce7kd7so2u Жыл бұрын
@mon mon 일본의 고만 고만한 중소기업이 일본의 힘이라고 불리는 소부장 기업이고, 한국의 중소기업이란 대기업에 피빨리는 하청업체이고 그나마 2년 마다 계약하는 비정규직인 것이 차이가 나지요
@hhhh-lx3sx
@hhhh-lx3sx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아무것도 없이 시작안할려고해... 일단 집있고 남들 할거다하면서 시작할려고해... 없이 결혼해서 집사고 이렇게 살봐에야 그냥 혼자 편하게 살려고해서그래... 요즘은 결혼할때 집은 기본이요... 연봉 7천 8천은 되야 기본 조건이 되는 시대임... 결혼해서 사니 못사니 그럴봐에 그냥 혼자사는게 편하다고 생각함... 그냥 고생하기가 싫은거... 결혼하자말자 떵떵거리면서 살고 싶어서 그래...
@bill_blackhands
@bill_blackhands Жыл бұрын
@@hhhh-lx3sx 옛날엔 다 같이 가난했으니까 없이 시작하는게 당연했죠. 지금은 무슨 수저냐에 따라 노력으로 따라잡을 수 없는 시작점에서 시작하는데 그걸 아니까 포기하는거죠.
@hhhh-lx3sx
@hhhh-lx3sx Жыл бұрын
@@bill_blackhands 그냥 편하게 살고 싶은거임...
@flightkim8874
@flightkim8874 Жыл бұрын
참 뼈아픈 현실이죠
@user-it3zk1sv4b
@user-it3zk1sv4b Жыл бұрын
읿본은 나라 경제든든 산업소재 부분에서 특허 많아요.독자적인 기술들하고.저희는..저는 콘덴츠가 국뽕에 가깝다고 느껴져요.
@KD-rn3je
@KD-rn3je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또 '인구 문제?' 라고 안합니다. 많이 다뤄주세요.
@user-hy5hk8fv1p
@user-hy5hk8fv1p Жыл бұрын
기득권, 노년층의 욕심이 나라를 말아먹는다. 자기들, 자기 가족만 잘 살다 가면 끝인가? 모두가 함께 살 생각으로.. 남을 돕지는 못해도 더 가지려고 과욕은 부리지 맙시다.
@davidshin4072
@davidshin4072 Жыл бұрын
매번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oonHoChung
@JoonHoChung Жыл бұрын
대학이 너무 많다. 1/3 만 남기고 다 없애야함. 고등학교 졸업후 빨리 사회진출 해서 돈벌고 결혼 하고 가정을 꾸려야 함. 지금은 개나소나 대학가서 눈은 높아져서 취업도 못하고 결혼은 늦어지고 애를 안남.
@bedangtv
@bedangtv Жыл бұрын
일본이 한국걱정을 하는건 당연합니다. 한국만큼 부동산에 몰빵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에도 인구구조가 유리합니다. 기회가 있는데도 전세제도를 고치지않고 계속 부동산 투기를 장려하는한 일본에 비해서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생각 해보세요, 10억념는 집값에 누가 어떤 용기를 가지고 결혼하겠습니까?
@My_chanun
@My_chanun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맞아요! 이대론 희망이 없어요.
@bright1010
@bright101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이민청 신설해서 이민 받아들일 생각인가본데 너무 경제 논리인듯,고물가 의식주에 치열한 경쟁,은근하고 심각한 차별사회 여기서 이민자들이 살아남을 수있을까?또다른 심각한 사회 갈등으로 이익집단화, 범죄,국부유출 등 심각한 사회비용만 발생하고 결국은 서민만 피해 입을 거다.요즘 동남아 중국인등 마약수입만 봐도
@leesamseung1
@leesamseung1 Жыл бұрын
좋은 리포트입니다.이를 기반으로 이미 산업구조는 인력기반 경제에서 로봇기반 경제를 준비하고 있고,75세의 기준연령을 바이오테크가 그 연령을 늦추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은 그 작업을 현실화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우리나라는 단순 노령화를 대응하는 국가전략에서 이를 모두 포용할수 있는 사회시스템을 하나하나 준비햤으면합니다.
@user-kr3gq4ke4t
@user-kr3gq4ke4t Жыл бұрын
일본사는입장에서 항상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다음주도 기대하겠습니다
@user-bi1py2gd6c
@user-bi1py2gd6c Жыл бұрын
원래 남의눈에 티는보여도 내눈에대들보는 안보이다했네요
@SkyHanool
@SkyHanool Жыл бұрын
한경 영상들은 하나같이 알차네요.
@abcdeabcde8408
@abcdeabcde8408 Жыл бұрын
3류 정치권은 정쟁과 싸움만 하고 있으니.......아하 통재라 !,,,,,
@Dormammu1951
@Dormammu1951 Жыл бұрын
해외 많은 투자를 진행한 해놓은 일본, 돈을 쭉쭉 발행해도 버티는 일본... 한국은? 절망적이구만.... 일본에 대해 알면알수록 한국은 절벽을향해 달려가는 느낌이구나.... 반자이~! 그냥 혼자살다가 갈란다
@SunggukLim
@SunggukLim Жыл бұрын
그 동안 일본까는 컨텐츠만 있어서 별로였는데 이번은 좋네요 무작정까기보다는 배울건 배우고 자극받아야합니다
@Puppytobee
@Puppytobe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일본 비판하면 거품 물더니 한국 비판하니까 막 깨달음이 샘솟나봐. 먹이 던져주니까 옳다구나 하는 게 귀엽네
@user-hx6bf4sn4o
@user-hx6bf4sn4o Жыл бұрын
억까할건 억까하고 ㄹㅇ ㅈ될건 ㅈ되었다고 말하는게 요새 반일 선동선도하는 애들 특임. 그래도 이번건 자중했노
@SunggukLim
@SunggukLim Жыл бұрын
까기만 하는 패배자 마인드 버리고 상대의 실패로부터도 배우는게 승리하는 마인드 입니다 일본이라고 무조건 안좋게 보는게 아니라
@Puppytobee
@Puppytobee Жыл бұрын
@@SunggukLim 언제 까기만 했나. 일본 나우의 취지는 언제까지나 일본과 한국의 동반 성장을 위한 것이었음. 당신이 일뽕 색안경 끼고 보니까 그렇게 보이는거지.
@NCTSWISH
@NCTSWISH Жыл бұрын
도쿄나우가 제일 재밋음 ㅋㅋㅋ
@THEHORSFIELDII
@THEHORSFIELDII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미래가 어둡구나. 온 힘을 다해 외국과 경쟁해도 모자랄 판에 국가의 부가 엉뚱한데 쓰이고 있으니.....
@user-pj1ef6jm4k
@user-pj1ef6jm4k Жыл бұрын
11:45 해결방안보면 한국이 일본보다 다 부족한 상황인 듯 1. 육체노동현장에서도 일하는 여성을 일본에서 더 쉽게 볼수 있고 2. 고령자 파트타임도 일본이 더 많음 지방 맥날만 가도 노인들이 카운터보는거 쉽게 볼수있음 3. 제조건설업뿐 제외하고 편의점까지 일하는 외국인을 한국에서 보긴 쉽지 않음 4. 노동생산성은 oecd기준 한국은 일본보다 낮은 최하위수준, 덧붙여 노동시간은 일본보다 많습니다. 두 나라다 도찐개찐 선진국에 비하면 노예처럼 일하지만.
@user-ch7go6wu5f
@user-ch7go6wu5f Жыл бұрын
허허참 지당한 팩트죠
@89NKOTB
@89NKOTB Жыл бұрын
노동생산성은 한국이 역전했는데? 일본은 이미 고령 국가고 경험도 20년 되었으나, 한국은 이제 본격적인 시작이지. 한국도 고령 파트타임 외국인 늘 듯. .
@user-pj1ef6jm4k
@user-pj1ef6jm4k Жыл бұрын
gdp대비 개인당 노동생산성은 일본을 앞지른거 맞는데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앞지르지 못함. 이유는 근로시간이 2021기준 일본1668.5시간, 한국 1911.3시간이므로 좀더 효율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ojh0420
@ojh0420 Жыл бұрын
화성에 편의점에서 일하는 외노자 있어요 ㅎㅎ 한국에 외노자가 얼마나 많은데 ㅎㅎ
@TV-sm7rs
@TV-sm7rs Жыл бұрын
돈내고 봐도 될만큼 핵심요약 정리가 잘 된 영상을 무료로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한국도 일본의 좋은 점만 취해서 빨리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개선하면 좋겠습니다.
@user-wr8okgedkd7b
@user-wr8okgedkd7b Жыл бұрын
그냥 똑같은고령화 국가인줄알았는데 고비를 넘겼다니 좀 충격입니다. 뒤 이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user-nv2jk8dx2s
@user-nv2jk8dx2s Жыл бұрын
요즘 상황을 보면 고령화 저출산 보다는 (소유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걸 더 걱정하는 거 같던데요..
@teninten78
@teninten78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걸.. 자산이 떨어지면 걱정하는게 아닌가요?
@user-ok6tj5wg7w
@user-ok6tj5wg7w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정치인들이 젤 먼저 봐야할 내용이네요
@teasesang
@teasesang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스릉함미다😍
@spencerkim260
@spencerkim260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hy5hk8fv1p
@user-hy5hk8fv1p Жыл бұрын
서울 시내 고등학교, 군부대도 없애거나 통합하는 상황이라는데요. 초등학교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고, 시골은 뭐 애기가 산삼 만나는 만큼 힘들어지는 날이 올 듯.
@user-jz8hq5nk6s
@user-jz8hq5nk6s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동시에 로봇이나 인공지능 자동화를 통해서 그런 인력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텐데 정치권이 깨어나야 한다
@xena4975
@xena4975 Жыл бұрын
로봇자동화를 하니까 사람 설 자리가 없어지는거임
@The_Noble_Lucifer
@The_Noble_Lucifer Жыл бұрын
고실업률의 원인은 무인자동화
@koreanexplorer1
@koreanexplorer1 Жыл бұрын
그나라의 국민수준에 걸맞는 정치인을 가진다 국민이 깨어나야죠
@onlyone3027
@onlyone3027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뼈아픈 지적을 냉정히 받아 들여야 합니다. 연금 고갈은 사회전반의 파멸을 초래 합니다. 그래서 캐나다 같은 나라는 인구부족 문제의 심각성, 쉽게 말해 고령화로 인해 연금을 낼 젊은 세대가 없어 이민을 대거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이 방법이 유일한 대안입니다. 우리는 자꾸 일본을 추락하는 선진국이라고 비웃지만 실제는 유럽의 선진국처럼 폭발적 성장의 선진국에서 벗어나 이제는 성숙의 시기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겉보기는 퇴락해 보이지만 사회전반이 안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unvoid7424
@unvoid7424 Жыл бұрын
혼혈국가 될 바엔 싱글세 걷어서 양육비 주는게 싱글이지만 이해가 가겠네요. 인적자원밖에 없는 나라가 다른 나라랑(통계보니 대부분 동남아,중국인 결혼) 비슷한 민족이 된다면 인구며 자원이며 상대가 안되고 회생도 안되니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Жыл бұрын
이민자 받아들여서 외국인 범죄가 3배가 늘었다..우리나라는 법이 약해서 안됨
@user-ot1ho7my4o
@user-ot1ho7my4o Жыл бұрын
허경영tv보세요. 해결책있어요
@user-hx6bf4sn4o
@user-hx6bf4sn4o Жыл бұрын
성장이 영원할거라고 생각하는 것도 바보같은 거란걸 이미 서방과 일본은 느꼈겠지. 금융국가가 되어서 이젠 새로운 강자가 나올때까지 얻어먹는 패권국으로서 다지기 작업이 들어가는 중일 뿐임.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Жыл бұрын
@@user-ot1ho7my4o ㅎㅎ 허경영? 우하하하
@ioanneslee1622
@ioanneslee1622 Жыл бұрын
현시적 대책에 예산만 225조나 예산쓰면서 공무원 급여만 지급하고 결과는 대책없는 한국.
@user-charlie1983
@user-charlie198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지자체장들이 봤음 좋겠다
@hyunwoo_yi
@hyunwoo_yi Жыл бұрын
나도 한국이 더 걱정이라고 생각 됐읍니다
@aruny2655
@aruny2655 Жыл бұрын
이번 기획 최곤데요~
@ccuee92
@ccuee92 Жыл бұрын
이미 정치권은 남녀갈등 조장하고 이용하는데.. 해결의지없음.
@skyhan409
@skyhan409 Жыл бұрын
다음주도 기대하겠습니다.
@ssg6232
@ssg6232 Жыл бұрын
진짜 어이가 없네 일본은 신생아수 80만은 된다 그래도 우리나라는 ㅋㅋ 20만 걱정 해야 돼, 주제를 좀 알자.
@goolby77
@goolby77 Жыл бұрын
올해 65세가 되는 57년생부터 그 후로 20년간 출생아수 찾아봐라. 매년 고령자로 분류되 늘어나는 노인인구 보면 한숨밖에 안나온다. 특히 고령화의 고령화도 눈여겨 봐야함. 75세 이상 노인은 65세이상 노인과 또 다르게 더 많은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는데 전세계 1위를 바라보는 평균수명이 한국의 발목을 잡을것
@kimjaelyong
@kimjaelyong Жыл бұрын
매번 좋은 내용의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선행지표와도 같은 옆나라가 지금까지 해 온 대응을 잘 분석해, 좋은 대응은 적극 활용하고 나쁜대응은 잘 배제하는 쪽으로 정책을 만들어 간다면 고령화•저출산 문제를 조금은 더 빨리 해결할 수 있을건데 현실은 그렇지못해 안타깝네요. 다음 영상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user-ue5lq2on9o
@user-ue5lq2on9o Жыл бұрын
서울에있는 중학교 폐교한다고 방송봤는데 진짜 걱정이네요 인구가 감소되고있나봐요
@HACOO21
@HACOO21 Жыл бұрын
고령화가 접어들고 있는데 왜이런 문제가 노출되지 않는지???? 정치인들 뭐하는가?
@user-ev4rk9qs3x
@user-ev4rk9qs3x Жыл бұрын
지금 은퇴시기 어르신들 결혼할때는 월세 단칸방에서도 시작했지만. 지금 젊은 세대는 그런 고생을 할바에야 아예 결혼을 포기하니. 젊은사람들 결혼할때 저렴하게 살면서 저축할수 있는 행복주택이나 신혼희망타운 같은 공공주택 많이 지어야 한다고 봅니다.
@jinyongkong7037
@jinyongkong7037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sanko6405
@sanko6405 Жыл бұрын
자주 좀 올려주세요...
@NewYork7914
@NewYork7914 Жыл бұрын
간단히 말하면,, 인구절벽은 나라가 사라지는 길로 접어드는 거지요.
@user-wf2fk6wf8f
@user-wf2fk6wf8f Жыл бұрын
이제서야 자신을 돌아보고 있네요
@user-uj6ed1pr1k
@user-uj6ed1pr1k Жыл бұрын
최악의 상황인데 세계경제 3위인 일본.. 맨날 일본망한다 염불외우는데 정작 망할나라는 대한민국이 될 예정 ㅋㅋㅋ...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