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신혼 결혼하고도 애 안 낳는 진짜 이유 [클립] | 9층시사국35회 (23.10.22)

  Рет қаралды 1,521,472

KBS시사

KBS시사

7 ай бұрын

지난해 0.78명에서 올해 2분기 0.70명으로 끝없이 추락하는 출산율. 정부가 최근 육아휴직 급여나 부모 수당 등 각종 현금성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출산율을 높이기엔 역부족이다. 결혼 자체도 줄었지만 결혼한 부부조차 갈수록 출산을 미루는 추세이다. 결혼 5년차 이하 신혼부부 중 아이를 낳은 집은 54.2% 뿐, 이 중 맞벌이 부부는 절반 이상이 자녀가 없었다. 혼외 출산율이 2%에 그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결혼하고도 출산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봐야할 시점이다. 과연 이들 모두 일부러 아이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기 때문일까? 9층시사국은 자녀를 꿈꾸지만 현실적 이유로 고민이 깊은 맞벌이 부부와, 실제 자녀 1명을 키우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사례를 살펴보며, 미국 실리콘밸리의 사례 등을 통해 이들의 육아 고민과 부담을 덜어주려면 어떤 실질적 대책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맞벌이부부 #딩크 #DINK #무자녀 #초저출산 #저출산 #저출생 #출산율 #0.78명 #0.70명 #워라밸
취재기자: 차주하
촬영 : 조선기 강우용 이수민
영상편집: 강정희 CG : 정예나
리서처: 김보현 김예은
AD: 유화영 김영일
방송일: 2023년 10월 22일
9층시사국

Пікірлер: 7 000
@user-kt1fh1fx5u
@user-kt1fh1fx5u 7 ай бұрын
부모가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사회 국가조차 아이는 맡기고 부모는 그저 노동만 하라고 부추기는 사회 저출산은 너무도 당연한 현상
@UNloCK_OFficER
@UNloCK_OFficER 7 ай бұрын
지금 10시간 공부하면 누구나 서울대 감. 근데 서울대가면 뭐 보장해주는게 없잖음 똑같은 거임.
@user-nk1rs2gx1m
@user-nk1rs2gx1m 7 ай бұрын
​@@UNloCK_OFficER뭐 보장해주는게 없어 아직도 대기업 선호 대학 1순위가 서울댄데 우리나라 명실상부 최고 대학이 뭐 보장된게 없어보이냐? ㅋㅋㅋ 서울대 간 애들이 가만히 대학만 갔다고 쉬겠냐? 적당히 공부하고 스펙 쌓으면 대기업 골라간다, 해외 석박사 유학가거나
@user-rb7wb6vx2m
@user-rb7wb6vx2m 7 ай бұрын
@@user-nk1rs2gx1m 서울대 나와도 대기업따가리 해야 출세했다는 눈물 ㅋㅋㅋㅋ
@user-rb7wb6vx2m
@user-rb7wb6vx2m 7 ай бұрын
@@user-nk1rs2gx1m 아니 정확히는 돈있는애들 따가리가 맞는말이구나
@shine99sun80
@shine99sun80 7 ай бұрын
10년 20년전에는 국가에서 아이돌봄을 위한 사회적 경제적 지원이 더 잘되어있었나요? 아님 회사에서 더 잘 이해해줬나요? 어차피 아이낳는순간 희생입니다 그 희생을 하고 싶지 않을뿐이죠 어떻게보면 당사자들이 똑똑해진거죠...물론 그런생각을 가진 사람을 비난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선택이고 존중합니다
@yeonheekim999
@yeonheekim999 7 ай бұрын
국가 사회 기업들이 아이를 우선시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합니다. 보육시설에서 밤8시~9시까지 아이를 돌보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아이를 케어할 수 있게 제도와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합니다
@Gloria_Aria
@Gloria_Aria 7 ай бұрын
추가적으로 정시근무+재택 근무도 늘어야 함. 그래야 수도권 집중현상도 막고, 아이와 함께 할 시간이 늘음.
@user-mu5vp3iy7k
@user-mu5vp3iy7k 7 ай бұрын
맞아요. 내 아이 내가 키울 수 있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합니다.
@kimhyun-sv5zz
@kimhyun-sv5zz 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무슨 학교에서 저녁 9시 10시까지 늘봄을 한다고...참..
@user-bz9jv8ux4d
@user-bz9jv8ux4d 7 ай бұрын
유럽은 이미 시간제 알바 많이 늘리면서 출산율도 같이 올라갔어요,,,이거 하면 좋겠다,,
@user-dj1pq4zp5k
@user-dj1pq4zp5k 7 ай бұрын
와… 진짜 공감…. 애기를 우선시하는 사회분위기… 그런 분위기가 조성되면 눈치많이 보는 한국인 특성상 회사측에서도 함부러 못할듯
@songmin777
@songmin777 5 ай бұрын
애 낳아야 된다고 백날 미디어에서 떠드는데 막상 애 가지면 세상 온갖 구박을 다 견뎌야 함 친언니 조카 낳았고나서 자기 커리어 유지하려고 별로 쉬지도 못하고 복직했고 언니 퇴근 6시, 어린이집 6시까지인데 언니 퇴근하고 바로 가도 애는 혼자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해서 엄마아빠가 맨날 조카 받아서 돌봐줌 애 한 명인데도 두 부부가 온전히 케어할 수 없는 기업문화가 계속되니까 애를 안낳지
@yonggeun4222
@yonggeun4222 3 ай бұрын
제발 애좀 낳으세요 이 한심한 한국인들아 어쩜 다 똑같을가 ㅋㅋㅋㅋ
@yonggeun4222
@yonggeun4222 2 ай бұрын
@@neois3 결혼 안하는 이유 맨날 술먹고 쳐놀고 싶어서 그런겁니다 진심으로
@user-ib9lv1iv1c
@user-ib9lv1iv1c 2 ай бұрын
최신순 내글 참조
@user-iw3dl8fc4i
@user-iw3dl8fc4i 2 ай бұрын
니가 회사애 높은 자리 앉으면 지금 시대를 이해할거야
@user-od3xr9wx3r
@user-od3xr9wx3r 2 ай бұрын
​@@user-iw3dl8fc4i그럼 애 낳으라고 안하면됨 ㅋㅋㅋㅋ 기업들때문에 출산장려하는거지 사실 다른이유있냐?
@user-fr3nv3pr1d
@user-fr3nv3pr1d 5 ай бұрын
진짜 공감해요. 9시까지 봐준다고 거기 맡겨놓고 싶은 부모가 몇 이나 있을까요. 형편 좋은 아이들 엄마가 데려가서 따뜻하게 보듬어주고 좋은 교육 시키는거랑 나중에 차이날 꺼 뻔한데.. 이런 걸 저출산 대책이라고 하니.. 6시에 가도 마음 아픈 부모의 마음을 공감하는 대책이 나오길
@user-ux1qq6nr1g
@user-ux1qq6nr1g 29 күн бұрын
그럼 니가 육아하면 되겠네 일 그만두고 육아해
@coolwoni
@coolwoni 7 ай бұрын
기업의 고스펙 요구 + 늦은 취업 + 늦은 결혼 + 초산 늦음 + 높은 집값 + 맞벌이해야하는 환경 + 육아에 시간 쓸수 없는 직장 분위기 + 잦은 야근 + 육아부담 + 둘째 포기 + 아이돌봄 공백 + 사교육 뺑뺑이 + 노후 준비 불가... 헬조선 루틴
@illililillli
@illililillli 6 ай бұрын
내와이프가 자꾸 육아힘들다고하는데 나도 독박일 하는중이다. 독박육아 운운하는 여자는 믿거대상이다. 애낳아줬다 하는 여자도 믿거대상. 내가 일해서 편하게 집에서 쉬는거 바가지 긁지않았으면.. 다른여자들 같았음 요즘은 집안일.육아까지 해내는 멋진 워킹맘인데 맞벌이 안하고 집에서 애보는거 꿀인줄알길..김태희도 일하는데 애 모유수유끝나면 빨리 직장구했으면한다. 그리고 남자들은 시각이 중요한지라 와이프 출산튼살, 제왕절개 지렁이 칼자국때문에 성관계에 집중하기 힘들어서 다른여자들이 눈에 들어오기시작하는데 내가 일주일에 한번은 배출해야해서 부부관계도 요구하는거니까 와이프가 감사한줄알았으면 좋겠다 남자들은 출산트라우마있어서 와이프 샤워소리만 들어도 무서운거 여자들은 영영 모르겠지ㅉㅉ
@uniqueWorldFun
@uniqueWorldFun 6 ай бұрын
이런 사회분위기를 만든게 베이비 부머 세대임.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대부분 선진국 들이 갖는 문제임. 국민적 관심과 분위기가 바뀌어야 제도와 기업들도 따라오게 될 거임. 국개의원들은 먼저 움직이지 않음. ㄱ
@user-gt7fo6mv6i
@user-gt7fo6mv6i 6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이네요.. 이 나라 국개의원들은 왜 모를까요..
@geunk1007
@geunk1007 6 ай бұрын
​@@user-gt7fo6mv6i그걸 모를정도로 멍청한 사람이 국회의원을 할 수는 없어요. 저걸 해결할 방안이 없는거지. 소득을 유지하면서 널널히 일하고 아이도 키울수 있는 방법은..정말 능력좋은 사람들인데 그런 사람들은 주변에 거의 없죠.
@geunk1007
@geunk1007 6 ай бұрын
​@@user-gt7fo6mv6i결국에는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해줘해줘 거리다가 페미하거나 다같이 침몰하는거죠. 있는 사람들은 훨씬 더 잘 바티다가 이민들 갔거나 준비하고 있죠
@bellal87
@bellal87 7 ай бұрын
아이를 어린이집에서 6시까지 혹은 더 늦게까지 맡길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라, 아이가 유치원을 다니는 7살까지는 오후4시에 부모퇴근이라는 시스템을 만들어야함 아이를 하원하고 같이 놀이터를가고, 장을보고 도서관을 갈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되어야 아이를 낳고, 둘째를 낳을수있을꺼같아요
@yoojinseol8765
@yoojinseol8765 7 ай бұрын
저에게도 꿈같은이야기네요 이렇게만 된다면.. 퇴사안해도 될텐데...
@user-zw6ds8ov1q
@user-zw6ds8ov1q 7 ай бұрын
공무원은가능
@gessi9734
@gessi9734 7 ай бұрын
ㅠㅠ그러개요 이 당연한걸 왜 한국은 이렇게 옛적 문화를 고집할까요… 내 아인데 유치원에서 아이를 하루에 12시간을 키우는게 말이되나요.. 저는 미국에서 근무하며 (8-9시에 일시작해서 4-5시에 끝나고 점심시간은 당연하고, 일도 빼고싶으면일할때마다 vacation day가 쌓이는데 그걸 당연히 제가 쓰고싶으면 언제든지 쓸수있고.. 임신 출산하더라도 제 연봉이나, 직급에 아무영향이없습니다…) 지금 한국의 이런현실이 너무너무 마음아프고 안타까워요ㅠㅠㅠ 한국정부가 하루빨리 정신차리고.. 젊은 부부를 향해 맞는 제도가 제발 나오길 바래여ㅠㅠ
@Soosoomusic
@Soosoomusic 7 ай бұрын
7세까지만이 그 뒤에도 4시 퇴근 쭉 필요합니다
@user-dz2vq1js4j
@user-dz2vq1js4j 7 ай бұрын
적어도 초등 저학년까지는 탄력근무나 재택근무제 단축근로 등이 꼭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봅니다ㅠㅠ
@jomle_otium
@jomle_otium 5 ай бұрын
아이를 낳고 싶은 맞벌이 부부입니다. 안낳는게 아니라 못낳는거에요. 회사에서 팀장님이 여성직원들은 리스크라고 대놓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회분위기가 바뀌지 않으면 아이를 낳는 결심을 하기 힘들어요.
@user-lg7fn9om4h
@user-lg7fn9om4h 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출산하면 여성만 경력단절 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도 경력단절 되는 문화를 만들어야 아이가 생기면 남녀모두 번갈아가며 경력단절이 되는, 그래서 경력단절은 누구나 겪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ry3sj7ot7n
@user-ry3sj7ot7n 5 ай бұрын
ㅋㅋ 출산하고 복귀 빨리하면 되는데 칼복귀안하고 월급받다ㅋㅋ 퇴직금 런 회사에 한두명이아닌데
@user-lg7fn9om4h
@user-lg7fn9om4h 5 ай бұрын
​@@user-ry3sj7ot7n아...그것도 문제네요
@nari5408
@nari5408 5 ай бұрын
​@@user-ry3sj7ot7n 애낳고 몸이 엉망인데, 그리고 신생아가 얼마나 사람 손 타는데 바로 복귀.. 하.. 어이가 없네..
@user-ko2ii7nq5b
@user-ko2ii7nq5b 5 ай бұрын
​@@nari5408저사람은 육아휴직 받고 복귀안하고 타먹을거 다 타먹고 그만두는 사람말하는거임
@ll0ll077
@ll0ll077 2 ай бұрын
월급 받아봐야 170~300인데 물가는 500 받아야 살 수 있게끔 해놓고 뭔... 맞벌이 할 수 밖에 없는 사회를 만들었으면 맞벌이를 하더라도 자식을 키울 수 있는 여건을 맞춰주던가, 아니면 옛날처럼 남자는 일하러 나가고 여자는 집에서 자식 키우게 외벌이만으로도 한 가정이 먹고 살만큼 경제적 여유를 주던가. 둘 다 아무것도 안되니까 결혼하고 애 낳는 걸 포기하는 거잖음
@user-yj9gm8vf7d
@user-yj9gm8vf7d Ай бұрын
500받아야살수있는건 좀...3인가구기준이겠죠?
@user-gd4sl7ez5s
@user-gd4sl7ez5s Ай бұрын
​​​@@user-yj9gm8vf7d500도 애기델꼬 살아보면 여유롭지 않을수 있음 중고등학생은 사교육비 어마하게 드니깐
@Sukbang
@Sukbang 28 күн бұрын
님 먹는거 수준 줄이고 다 애한테만 투자해보셈 놀거 다놀고 남들 먹는거 다먹을라니깐 부족하지
@user-yj9gm8vf7d
@user-yj9gm8vf7d 28 күн бұрын
제생각엔 500인데 부족하다..?그건좀 오바인것같아요 다른나라도 그정도소득이 어렵다 그럼 도대체 어느정도까지 지원이가야되는지..?
@user-tk9ly1bw1n
@user-tk9ly1bw1n 27 күн бұрын
민주당 선심쓰듯 돈 뭣처럼 퍼주기식 정책이 임플레이션을 가속시키는 거ㅋㅋㅋㅋㅋㅋㅋ기업을 키워서 연봉을 높여줄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줘야지ㅋㅋㅋㅋㅋㅋㅋㅋ요즘 40대놈들이 무지성으로 돈주는거 지지해서ㅋㅋㅋㅋ답없음
@jerryyu786
@jerryyu786 7 ай бұрын
영상에 답이 있네요. 아기를 낳아도 일과 병행하면 아이를 키우고 함께할 시간이 없어요. 그런와중에 연장보육을 늘리고 외국인 도우미를 들여오려는 정책만 보면 한숨이 나옵니다.
@nimc8309
@nimc8309 7 ай бұрын
맞아요. 일과 병행하면서 아이들을 키울 수 있는 쪽으로 정책의 방향을 잡아야한다고 생각해요. 근무시간 그대로 두고 외국 도우미 고용이라니;; 업무 시간이 아닌 업무 결과 중심으로 평가하고, 그리고 다양한 업무 시간 range를 두고 각자 상황에 맞게 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요? 기업도 인재 놓치지 않게 되고, 근무자도 상황에 맞게 업무와 근무시간에 맞게 일하고. 사실 아이들이 크면서 가능한 근무시간이 늘어나기도 합니다. 그 방향이 일인당 일 능률도 올리고 출산율도 올릴 수 있는 방법같아요.
@user-ge5yr2hg7
@user-ge5yr2hg7 7 ай бұрын
니글에 답이있네.일을 병행하지않고 아이만 키우던 과거시절엔 출산율이 높았지
@user-bx1zv2fl3r
@user-bx1zv2fl3r 7 ай бұрын
코로나로 인해 많이 바뀌었지만 저녁에 늦어지는 회식문화도 바뀌어야 해요. 아빠들도 좀 집에 일찍 보내요, 좀.
@user-sr8bg7rz5t
@user-sr8bg7rz5t 7 ай бұрын
​@@user-qv5ps1uh7h하고싶은거 다하고 시퍼서 라니 참 답없다 70넘은 울 엄마는 큰애한테 밑에 동생들 맡기구 일을 했는데 그게 아동학대라는 생각은 안하니?아빠가 외벌이 해도 벌어먹고 살수 있는 70년대 80년대 생각하지 말아라 지금은 고물가에 저월급시대라 맞벌이 해야 애한명 키울수 있나?물음표 시대다 어린이집 보내니 애들부터도 부모를 비교한다 누구는 어디갔대 누구는 머가 있대 옛날하고 비교하면 당연 풍요의 시대는 많으나 그건 한정적이란거 본인이 둘낳아서 만족하나 모르겠지만 아이들은?아이들도 만족하는지 궁굼하네
@user-qv5ps1uh7h
@user-qv5ps1uh7h 7 ай бұрын
@@user-sr8bg7rz5t 소비는 쥐뿔 생각도 안하고 써대니 월급내에서 생활을 못하지ㅎㅎ 그래서 대출 하나도 없이 살고계셔요? 만족하는 삶을 살려니 빠듯하겠지...천만원 버는애나 500만원 버는거 다 힘든거 매한가지거든? 그 옛날은 소득이 대단해가지고 집에 애 5~10명 키웠니, 외벌이 해도 충분했어. 지들하고픈 투자고 취미고 다 해쳐하니 애낳는게 이득이 안된다고 하는 머리들인데 무슨 옛날 많이낳아 자식들에 맡겨서 애키우는 엄마뻘 드리대노. 고물가가 누가보면 몇십년전부터 지속될줄알겠네ㅋㅋ
@user-yp6kg7wi7w
@user-yp6kg7wi7w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글러먹었구나 라고 최근에 생각했던게 무신사 임원이 어린이집 설치할바에는 벌금내고 말겠다 1020세대의 대표적인 기업이 이딴말을 뭐 싸지를순 있는데 정부나 정치인들중 그누구도 제재를 가하는 사람이 없는걸 보고 우리나라 기득권들은 출산율에 관심이 1도 없구나 답이 없구나 느낌
@coco8075
@coco8075 3 ай бұрын
7시 퇴근요?ㅋㅋㅋ 신혼때 거의 9-10시 퇴근 집에오면 10-11시.ㅠㅠ 직장동료가 아이 아파서 좀 일찍(8시쯤..) 퇴근한다하니 상사가 평생 애나봐~~~~ 조롱했던 직장생활이 떠오르네요
@user-qt3yv9ls7d
@user-qt3yv9ls7d Ай бұрын
낳지마요 현명한선택입니다 특히나 돈없으면 더 낳지마요 애가 주는 행복도 크지만 힘듦도 크답니다 특히나 부모형제와 사이안좋다면 더더욱 힘듭니다
@melina4738
@melina4738 7 ай бұрын
드디어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군요. 집 값이니 뭐니 하는 건 일차적인 겁니다. 사실은 이게 가장 문제 였던거죠. 애를 키워보니 더 와 닿아요. 그나마 프랑스나 캐나다에 거주했던 경험으로 말해보자면 여기서 애 키우기 좋다는 건, 휴가를 유연하게 쓸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아이는 자주 아프거든요.
@user-pr7tb4zy8v
@user-pr7tb4zy8v 7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휴가 쓰는것도 눈치보다가 하루 내면 다행이구나 합니다...😅
@user-yq8et9if4l
@user-yq8et9if4l 7 ай бұрын
집값문제도 결혼이나 육아에 있어 심각한 문제다. 일차적인게 엄청난거다. 간과해선 않된다.
@user-fk7fz9oe2i
@user-fk7fz9oe2i 7 ай бұрын
풉 어설프게 거주만하고 한인들하고만 다녔거나 친하게 지내는 사람은 없었나보네. 유럽은 독일빼면 사실상 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소소한 상속재산이라도 없으면 무난하게 살기도 힘들고 캐나다가 애 키우면서 살기 좋다고???ㅋㅋㅋㅋㅋ환경만 좋겠지ㅋㅋㅋㅋㅋ차라리 호주를 예로 들었으면 그러려니 했겠다. 대부분 유럽국가들에서 살아보면 이런 쓰레기 노조언론에서 떠드는 개소리가 왜 헛소리인지 충분히 알게될텐데ㅉㅉ
@user-bq3yz4sx5i
@user-bq3yz4sx5i 7 ай бұрын
G랄 ㄴ 집값도영향엄청크다 월세내고 살래?
@user-uc6df7jd2
@user-uc6df7jd2 7 ай бұрын
뭐 포장들은 거창하게 하지만 솔직히 여자들이 더 편하게 살고싶어서 안낳는거지
@ggunodaum8111
@ggunodaum8111 7 ай бұрын
근무시간이 긴것도 한몫합니다. 8시간 근무하고 가끔 야근도하고 집에오면 퇴근하고 녹초가 되었는데 어떻게 아이까지 키우나요..? ㅠ 체력이 안남아납니다
@maximum11245
@maximum11245 7 ай бұрын
8시간 근무가 길면 몇시간하고 싶으세요..? 뭐 한 4시간하고 8시간 월급 받고싶으세요?
@thanku8765
@thanku8765 7 ай бұрын
선진국들은 아이있는 부모는 주 28시간 근무가 의무라는데 우리나라도 강제하지 않는 이상 변화는 없을것 같네요. 그리고 애가 아플때 휴가도 유연하게 쓸수 있다는데 이게 핵심인거 같아요. 애가 자주 아파서 직장 그만 두는 경우가 많거든요.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7 ай бұрын
얘둘 키우던 15년전에 바쁠땐 한달 30일중에 하루쉰적 있습니다. 물론 외벌이..
@user-fb9ng5vb8u
@user-fb9ng5vb8u 7 ай бұрын
님네 어머님 아버님은 일 더햐심
@hyznloco4641
@hyznloco4641 7 ай бұрын
⁠@@user-nl7of2nx8gㄹㅇㅋㅋ 노예출신인거 인증하는 꼴임ㅋㅋ 개 후진국마인드 인간들이 현시대 청년들에게 꼽주는꼴ㅋㅋ
@user-lw5yl2ju5i
@user-lw5yl2ju5i 5 ай бұрын
이나라에서 애놓는거는 미친짓이죠 인구질벽 걱정되면 재벌 정치인들이 솔선수범해서 백명씩 낳아야되요
@user-gj2mb7lo8y
@user-gj2mb7lo8y Ай бұрын
일반화 개쩌네 외벌이 월400인데 애둘 적당히 학원보네고 잘산다. 당연히 불필요한 소비는 안한다
@user-oo2so6si9e
@user-oo2so6si9e Ай бұрын
인구감소 저출산 고령화 물가상승 무능한정치인들이 있어 나라가 망한다 k민주당 기업증오 부자증오 정치 일자리 없을수밖에 좋은 일자리 만들기엔 너무힘든세상 세금 세금 인건비 원자재 상승 중국단가 밀리기시작
@user-nr4bz7tp2s
@user-nr4bz7tp2s 23 күн бұрын
걱정안되시나봐요 이대로면 노후에 중소기업 자영업 대기업미만은다 끝납니다.
@user-id8rc6pn9u
@user-id8rc6pn9u 23 күн бұрын
재벌 정치인들은 외국에서 낳고 외국에서 살지 한국에서 안살아요 ㅋㅋㅋ
@user-cv7up4cw2s
@user-cv7up4cw2s 8 күн бұрын
​@@user-gj2mb7lo8y노후준비는 어떻게 하세요?😮 아이들에게 부담하실 생각은 아니겠죠 저축 1도 못하실거같은데..ㅠㅠ😢
@user-is6oe5wo4v
@user-is6oe5wo4v 4 ай бұрын
보통 직장들 3-4명이 할 일을 여자 한명에 요구 맞벌이 필수인 부부들 중 여자들 직장서 진 다 빼고 녹초되서 집안일도 해야 됨😂힘 다 쏟고 애 어찌 낳음 그렇게 십년 이십년 지나감
@hja6003
@hja6003 7 ай бұрын
지금 교육부는 늘봄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요. 무려 아이를 밤 8시~10시까지, 그리고 토요일에도 학교에 맡겨 보육을 해주겠다 합니다. 이 영상에서 보듯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는 키워드는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이지, 아이를 맡기는 시간을 늘리는 정책이 아니란 것을 알아야 합니다. 안심하고 아이를 밤 늦게까지 맡기고 부모는 그 시간까지 일해라가 아니어야 합니다.
@rachelseo319
@rachelseo319 7 ай бұрын
맞아요
@illililillli
@illililillli 7 ай бұрын
형님들 내와이프는 서양엘프녀들도 안가는 산후조리원을 못갔다고 난리치는데 어쩌면 좋나요ㄷㄷ 남자가 6천을 가져오면 여자도 6천을 가져와야한단말에 동의하고 일본녀들처럼 더치페이도 당연하게 생각해서 결혼했는데 갑분 강남 산후조리원??이래서 외국녀가 답인가 봅니다 전세계중 한국만 산후조리원 가는거 아시죠? 아는형님도 요즘 25살연하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금발 미녀들이랑 선보는중임. 그여자분들은 남자가 200을 벌어도 감사할줄아는 여신님들임. 아님 20대초반녀 만나세요 20대초반녀는 50만원 식사만 대접해도 꺄르륵 웃었을거임. 내와이프는 100만원짜리 산후조리원가자고;; 남자는 하루 12시간 뼈빠지게 일하는데 여자는 한달월급 반이나 마사지받는데 쓴다니ㅋㅋ 니가 돈벌어하길. 남녀평등을 바란다면 여자도 금발미녀들처럼 군대가야 하는거 아닙니까? K님들이 남편이 월30만원 벌어도 아이 순풍순풍낳는 동유럽미녀들을 이길수있을거라 생각함?요즘 bts한국남자들 인기 세계권인거 암? 심지어 송중기는 선진국미녀랑 애낳았다. 그리고 제발 결혼할거면 애는낳자
@real3243
@real3243 7 ай бұрын
​​@@illililillli말하는 뽄새가 와이프가 있기는 커녕 여자친구도 한번 안사겨본거 같은데.. ㅋㅋㅋㅋ 50만원 식사는 안아까우면서 100만원 산후조리원은 아깝다는거 보니 경제 관념도 제대로 안잡힌 루저남 같네ㅠ 일단 글 조리있게 쓰는법부터 공부하자..ㅠ
@koleanan1001
@koleanan1001 7 ай бұрын
늘봄정책도 사실 따지고 보면 부모와 자녀간 애착관계를 망가뜨리는 아동학대지요
@nativefakers2494
@nativefakers2494 7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애 낳는걸 어찌 강제하냐. 그건 개인의 자유이고, 억지로 낳으라고 하는건 업압이다.
@irinalopez1739
@irinalopez1739 7 ай бұрын
진짜 문제를 제대로 짚은거죠.. 문화가 문제입니다 엄마아빠를 가정으로 보내지 않는데 어떻게 애를 낳아서 키우겠어요. 기업문화가 하루빨리 바뀌어야합니다
@vanillasky5967
@vanillasky5967 7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에 사는 기업인데 과연 경제적인 부분에서 기업이 해결해줄까요? 제가 보기는 사회적 문제를 바꿔야한다고 생각합니다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7 ай бұрын
팩트)여자들이 원해서 사회진출 한거다.
@jihoahn4546
@jihoahn4546 6 ай бұрын
@@vanillasky5967 정부가 규제로 정시퇴근 시켜야죠. 그래도 경제 안망해요. 주5일 한다고 했을 때 기업들 망한다고 난리쳤었죠. 근데 사람들이 여가시간 생기니까 소비가 폭발해서 오히려 경제가 더 잘돌아가고 기업은 장사가 더 잘됬죠.
@vanillasky5967
@vanillasky5967 6 ай бұрын
@@jihoahn4546 경제나 일자리 안 없어지면 안할 이유가 없네여
@user-iq5ip3lf5n
@user-iq5ip3lf5n 6 ай бұрын
@@vanillasky5967미국이 자본주의 아닌가요? 영상 다 안보셨죠?
@autoreviewPHL
@autoreviewPHL Ай бұрын
직업 불안정(경력단절,유가휴직 제도, 직업 문화 등), 경제적 부담(양육비 , 사교육비 , 의류비, 문화생활, 취미 등), 높은 주택가격, ㅡ 저출산 이유만 가득하군요.. 그럼에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변화와 시도는 계속 되어야 합니다. 또 . 저 많은 문제는 해결 가능하긴 할까요?? 과거 대비 직장 문화는 개선되었고 지원금도 확대 되었고 양육 시설도 늘었고 가정에서 경제적 부담은 과거나 지금이나 어려웠던건 마찬가지인데 저출산은 극에 달하였습니다. 저 위 문제도 있겠지만 저는 저출산의 원인에는 다른 더큰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
@Jang.Park_couple
@Jang.Park_couple 4 ай бұрын
신랑도 대기업 기능직인데 육아휴직 쓰고 계속 다니는 사람이 없대요,, 쓰는사람은 집이 잘 살아서 육아휴직 쓰고 어차피 그만두고,,안그러면 쓴 사람이 한명도 없대요,,연구원들은 좀 있는데 기능직은 전혀 그런 분위기가 아니래요 ㅜㅜ 무조건 그만두게 분위기 조성된대요 ㅜㅜ
@user-is6iw7tx5d
@user-is6iw7tx5d 7 ай бұрын
결혼도 안했지만 너무 공감되는 영상이네요.. 일단 야근하느라 맨날 집에 가면 8-9시인데.. 스스로를 돌볼 체력도 없는 상태입니다 ㅜㅜ
@illililillli
@illililillli 6 ай бұрын
애낳을거면 착한여자랑 결혼하자. 난 회사사람들이랑 요새 노래방을 하두갔드니 성병걸려서 와이프가 건들때마다 공포임. 일때문에 피곤해서라니까 와이프가 울더라ㅠㅠ 다들 착한와이프 만나길. 다행히 비뇨기과에서 성관계아닌걸로 걸리는거라고 와이프한테 전달해줘서 망정이지ㅋㅋ 여자는 일단 애를 순풍순풍 낳아야 모성애때문에 맞벌이 집안일 시댁행사 충실히 하는듯ㅋ 연봉1억만넘어라 그때부턴 내맘대로 다할거다. 애낳자마자 퐁퐁남시킬 작전으로 본성드러내고 직장그만두고 인생 쉽게.편승할거면 남자는 데이트비용과 어린녀들을 감동시키는 화술로 충분히 어린처녀로 갈아탄다. 남자 재다가 늙어서 애못낳는 40넘는 여자들은 맥날 할머니나 되라ㅋㅋ 남자는 늙어도 남자다. 늙어서 애못낳는 여자는 출산경험있는 같은여자들 끼리도 적이라 평생 혼자살다 독거사하는거임^^ 내와이프를봐도 출산녀 미혼녀랑 갈려서 여적여임. 니네 인생은 누가 책임져줄까??
@godhamu
@godhamu 6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애랑 아내가 ㅈㄴ 불쌍하노
@user-km9ez1tw7m
@user-km9ez1tw7m 6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에휴.. 니 애미, 니 아내, 니 자식이 너무너무너무 심각하게 불쌍하다.. 나중에 너 그러다 어리고 이쁜 꽃뱀녀한테 제대로 물려서 전재산 날리고 처자식한테 버림받는다
@user-qv5ph9ce9n
@user-qv5ph9ce9n 6 ай бұрын
​@@illililillli뭔 개소리를 이렇게 길게 써놨냐?
@user-vg1kb7ui2p
@user-vg1kb7ui2p 6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일부러 남자 욕먹일려고 쓴글인가
@pato7098
@pato7098 7 ай бұрын
이게 찐 현실이다!!! 완벽한 분석.. 회사 일하느라 가족을 포기하게 만드는게 대한민국 기업문화이다. 전문가들이 다 분석해놨지만, 정치권에는 목소리가 전혀 닿지 않는게 안타까울뿐..ㅠ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모자란 녀석아, 얘를 안 낫는 이유는 간단하고도 명확하지. 얘보다는 자기 자신의 삶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지.
@user-ro1hm2uhy3un
@user-ro1hm2uhy3un 7 ай бұрын
애 낳지마라 ㅋ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jasonyun-pz2kf 그래요. 그럴수도 있죠. 그런데 엉뚱하게 정부대책이 소홀해서 어쩌구저쩌구 ..... 하는 인간들은 음흉한 녀석들이죠....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Hella_FF 넌 편협하구나! 대한민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나라다. 솔직하게 말하면 누가 뭐라 하냐? 얘 키우는 것보다 자기 인생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고 누가 혼내냐?
@birumugle7680
@birumugle7680 7 ай бұрын
​@@user-ce9mc1zi2d 본인의 인생을 갈아서 자식에게 계속 헌신하고 봉사하세요. 그게 본인인생의 낙이고 행복이라면 그렇게 하셔야죠? 본인의 생각과 다르다고 남의 생각을 함부로 편협하다고 판단하는건 아닌것 같네요. 그리고 낳고싶어도 사회제도상 낳을 기회조차 없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user-we5un2ik2q
@user-we5un2ik2q 3 ай бұрын
육아휴직 써보면 알지. 아무 이상없는 경우가 있고 책상이 치워지는 경우가 있고 드물지만 그새 굶어죽는 경우도 있음. 본인이 이느쪽인지 알면 알아서 선택할수밖에.
@TV-zh3qb
@TV-zh3qb 5 ай бұрын
저는 미취학아동 둘을 키우면서 10시-4시까지 일하는 워킹맘입니다. 회사에서 이 단축근무를 언제까지 배려해주실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일하니까 일과 가정 양립할 수 있어 너무 좋아요 (사실 몸은 만신창이지만 ㅋㅋ 마음은 편해요(??)) 높은 급여는 당연히 포기하니까 이렇게 일할 수 있는건데 기업에서 이런 시간제 근무자를 늘리면 안될까요? 풀근무자 1명 채용과 시간제 근무자 2명 채용 비용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기업은 풀근무자 1명이 더 유리한걸까요?
@sihyunoh6893
@sihyunoh6893 7 ай бұрын
캐나다에서 살고있어요. 도와주는 사람 (친정 시댁) 하나도 없지만 어케어케 첫째 1년 잘 키웠고 뱃속에는 연년생 둘째가 자라고 있습니다. 남편 근무시간은 6-2, 저는 8-4 라서 제가 애기 얼집에 드롭하고 남편이 픽업하며 키울수있고 저녁은 가족이 함께합니다. 출퇴근시간이 너무 길지 않은점 (저는 15분 남편 35분)과 야근이 없는점. 아이가 아프면 연차를 쓸수있어요. 남편과 저 모두 쓸수있고 아이가 아파서 쓰는 연차에 대해 눈치보지 않아도 되는점도 되게 큰 요소인것 같아요. 캐나다 같은 경우 일한 시간 600 시간을 채워야 육휴를 쓸수있는데 제가 갑자기 둘째를 임신하며 복직하면서 남편이 바로 바통터치해서 육휴를 썼고 그에따른 문제는 전혀없이 다음주 복직합니다. 둘째 태어나면 또 남편이 3달정도 육휴쓸 예정이고요. 한국이 금전적으로는 훨씬 많이 도와줍니다만 이런 문화가 있어 캐나다에서 도와주는 사람이나 조리원 산후조리사 없이도 아이를 낳고 기를수 있는것 같아요. 돈보다 문화 환경이라는거 너무 공감합니다
@royj2398
@royj2398 7 ай бұрын
혹시 말씀하신 그런 근무환경이 캐나다에서는 일반적인가요? 너무 좋네요..
@sihyunoh6893
@sihyunoh6893 7 ай бұрын
@@user-ln8sl9hz4r 기업규모 작은편이에요 ㅎㅎ 제가 소도시에 살고있거든요. ㅎㅎ
@sihyunoh6893
@sihyunoh6893 7 ай бұрын
@@royj2398 저희 커플은 근무시간이 조금 더 이른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기는 7-3, 8-4 등으로 근무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allison3327
@allison3327 7 ай бұрын
미국살아요. 첫째 아이 9살 둘째 7살. 제 주위는 거의 아이들 둘, 셋이고요.. 저는 아이둘 홈스쿨링하고 있지만 제 주위는 다들 맞벌이 하면서 아이들 잘 키우더라고요. 말씀하신것처럼 환경 자체가 한국이랑 차이가 많이 나는것 같아요.
@illililillli
@illililillli 7 ай бұрын
애낳기전에 착한아내를 목표로하자. 요새 노래방을 하두갔드니 성병걸려서 와이프가 건들때마다 공포임ㅠㅠ 일때문에 피곤해서라니까 와이프가 울더라ㅠㅠ 다들 착한와이프 만나길. 다행히 비뇨기과에서 성관계아닌걸로 걸리는거라고 와이프한테 전달해줘서 망정이지ㅋㅋ 여자는 일단 애를 순풍순풍 낳아야 모성애때문에 맞벌이 집안일 시댁행사 충실히 하는듯ㅋ 연봉1억만넘어라 그때부턴 내맘대로 다할거다. 애낳자마자 퐁퐁남시킬 작전으로 본성드러내고 직장그만두고 인생 쉽게.편승할거면 남자는 데이트비용과 어린녀들을 감동시키는 화술로 충분히 어린처녀로 갈아탄다. 남자 재다가 늙어서 애못낳는 40넘는 여자들은 맥날 할머니나 되라ㅋㅋ 남자는 늙어도 남자다. 늙어서 애못낳는 여자는 출산경험있는 같은여자들 끼리도 적이라 평생 혼자살다 독거사하는거임^^ 내와이프를봐도 출산녀 미혼녀랑 갈려서 여적여임. 니네 인생은 누가 책임져줄까??
@ddjj8371
@ddjj8371 6 ай бұрын
호주에선 직장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많은사람들이 3시반 4시에 퇴근해요...차가 세시반부터 막힙니다 애들 데리러 가느라...6-7시는 다 퇴근하고 도로가 널널해요ㅠㅠㅠ 물론 출근을 아침 7시-8시부터 하지만... 우리나라도 좀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ㅠㅠ 휴가도 유연하게 쓸수있고, 눈치안보고... 이 문제 개선 안하면 점점 더 아이 안 낳을겁니다 ㅠㅠ
@sanghyunshin28
@sanghyunshin28 6 ай бұрын
호주는 자원이 풍부하고 자급자족이 가능한 나라라...
@wweo701
@wweo701 6 ай бұрын
개선안되면 뭐 자연소멸해야지ㅋㅋ
@illililillli
@illililillli 6 ай бұрын
집값이 얼마인데 결혼하면 왜 남자가 해야하는지 모르겠음.빡쳐서 결혼전에 여자들 꼬시는용 내아파트, 와이프 만삭일때 집명의는 이혼한 누나쪽으로 해놓았지. ​ ​ ​ 남자는 20대초반 젊은여자랑 하고싶어하도록 본능이 설계되고 20대 여자도 잉태에 최적화된시기라 성숙한 남자를 원하도록 인간이 만들어졌는데 30대여자 주제에 공주대접바람? ​ ​ ​ 애 국가에 맡기고 빨리일나갔으면한다 ​ ​ ​ 안그러면 난 어린여자만나러갈듯. 난절대 퐁퐁남되기싫음. 우리누나도 자기 아들 퐁퐁남될까봐 두렵다했음.
@user-jd5he3nc2r
@user-jd5he3nc2r 6 ай бұрын
이나라는 100년이 지나도 절대 안바뀔겁니다
@kimbo-kyoungclairehana599
@kimbo-kyoungclairehana599 5 ай бұрын
@@sanghyunshin28 자급자족도 가능할텐데 이민하고 싶어하는 사람들과 유학생들로 걱정 없는 나라 ㅋㄷ 호주에서는 여성인 것만으로도 존중 받는다더라구요 못생기든,, 뚱뚱하든,, 외모차별도 별로 없고? 한국은 44싸이즈 어리고 뭐 그런 여성들만 존중받지만 ㅋㄷ 트럭 운전수도 1억 벌고 휴양지 알바도 1억벌고 호주 1억과 한국 1억이 다르긴 해도 한국보다는 걱정이 많이 없을 나라~ + Miss Claire is 김보경 +
@user-yl7uc7ty3r
@user-yl7uc7ty3r Ай бұрын
직장도 포기하고 아내가 집에서 아이를 양육하게 되었는데도 나중에는 집에서 논다하고, 맘충이라 하고 사람들이 비난?하는 이상한 우리나라다..😢
@luckyhelena
@luckyhelena Ай бұрын
이래도 욕하고 저래도 욕하는 ㅈ같은 대한민국;;;남의 인생에 왜 그렇게 오지랍인지 이해안가요;;;
@Jean-tm6lv
@Jean-tm6lv Ай бұрын
음... 경제적으로 부담되는 것도 있지만 나는 무언가를 책임지는 걸 피곤해하는 성격이라, 내 아이를 잘 책임지고 잘 키우고 이런거 하기싫음... 그냥 맘 편하게 내가 하고싶은거 하고 맘 편하게 놀러다닐수 있고 자기개발도 하고 취미생활도 하면서 나자신에 포커스를 두는 삶이 좋아
@user-eb5ee9sw5n
@user-eb5ee9sw5n 7 ай бұрын
간단함. 애가 아파도 내 애를 내가 볼수없다는게 애하나만 낳아도 너무나도 난감하단걸 알아서 둘째는 포기하는거지...
@turinoik9477
@turinoik9477 2 ай бұрын
일을 안하면 됩니다. 부모님세대처럼 여자는 집안 가사일만 하면되죠. 왜들 사회나와서 여성 인권을 높혀가지고 스스로 애낳는걸 포기하는지
@user-eb5ee9sw5n
@user-eb5ee9sw5n 2 ай бұрын
@@turinoik9477 어디나가서 그런얘기하시면 앞에서는 안해도 뒤에서 다 욕합니다... 주변에 다 같은 사람밖에 없으신가보네요..
@user-ck1vb5tt5x
@user-ck1vb5tt5x 2 ай бұрын
​@@turinoik9477근데 그렇게 하고 싶어도 임금이 낮아서 안됨 지금 물가라면 최저시급 2만원은 되야하는데 항상 물가대비 임금은 낮았음 부의 재분배보다는 개인 이익에만 치중했기에 물론 앞으로도 그런 욕심때문에 인구문제는 해결안됨 물가대비 임금을 더 챙겨줄수 있는 능력이 되는 기업조차 욕심때문에 그렇게 하질않음 그렇기에 최저시급과 물가의 관계가 사실상 중요한게 아니고 부의 재분배를 위한 마인드가 중요한거임 물가 낮든지 높든지 간에 충분히 그에 대응해서 임금을 챙겨주면 됨 물가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소리지
@Yurisumaa
@Yurisumaa 2 ай бұрын
시터쓸 형편은 안되시나요?
@user-eb5ee9sw5n
@user-eb5ee9sw5n 2 ай бұрын
@@Yurisumaa 아픈애를 시터맡겨가며 일하는게 맘편한 부모는 없다는 얘기를 하고있는겁니다
@user-iy3jy9vx1e
@user-iy3jy9vx1e 6 ай бұрын
저는 30대인데 제가 맞벌이로 큰 아이거든요.. 정확히 한 4~5살 즈음부터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신거같아요 근데 엄청 가난한 집이었고 저를 대신 돌봐줄 조부모님도 없으셨어요 아버지는 애는 놔두면 알아서 큰다는 가치관을 갖고 계셔서 저를 보육원이나 유치원에도 보내지 않았어요 그래서 제 어렷을적 기억은 부모님이 출근 후 퇴근까지 불꺼진 방에서 티비만 틀어놓은채 멍하니 있던 기억이 많아요 당연히 사회성도 발달하지 못했고 부모님에 대한 애정도 크지 않아요 처음 학교에 갔을 때 처음 사회에 나가 일을 시작했을 때 처음 겪는 대인관계에 고생을 많이 했고 그 덕분에 꽤 오랜 기간 우울증으로 고생했습니다. 저는 지금 7년이나 사귄 남자친구가 있지만 제가 뭐 그렇게 성공하지 못한 삶을 살아서 일까 남자친구 벌이도 저랑 엇비슷해요 결혼한다해도 결코 제 벌이를 그만둘수없고 아이를 낳더라도 마찬가지죠. 그런데 제가 살아온 삶을 생각하면 제 아이에게는 결코 그런 삶을 물려주고싶지 않아요. 제발 정부가 이 부분을 해결했으면 좋겠는데 솔직히 희망이 보이지 않네요..
@user-gq1jn5fk3f
@user-gq1jn5fk3f 2 ай бұрын
진짜. 일하는시간을줄이면될듯
@user-us8mu1yc3s
@user-us8mu1yc3s 2 ай бұрын
본인 스스로 노력 아니면 사회는 더 힘들어 질거에요 슬프지만 현실입니다. ㅠ
@user-uk2zt4vy2j
@user-uk2zt4vy2j 2 ай бұрын
내가 성공못해서 가치가 낮은 남자를 만났다는게 무의식속에 자리잡고 있지 않기를
@bagopasibal
@bagopasibal 2 ай бұрын
멍하니 있었다는기억을 말씀하시니까 마음이 아프네요 토닥토닥 소소한 행복 누리시면서 이쁘게 사시길 바래요
@user-wd5ys3ul9o
@user-wd5ys3ul9o 7 күн бұрын
나랑 똑같은 인생을 살았네 근데 우리때도 맞벌이 부부 많았음 대신 친구랑 많이놀았지 난 부모님이 맞벌이했다고 원망하지않음 오히려 나를 키우기위해 열심히 일하셨구나 생각하지 나도 사회성 없어서 일부러 젊을때 알바 주구장창함 이와중에 남자친구 벌이 생각하는 수준. 내가볼때 넌 마인드가 걍 글러먹음ㅋㅋ
@freshcoolpink
@freshcoolpink Ай бұрын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아픔을 겪고 자랐어요. 제가 성공을 못했기 때문에 이 가난의 고리를 끊지 못했어요... 그래서 나중에 낳게될 아이에게 충분한 지원을 못해줘서 저와같은 아픔을 겪을걸 생각하면 안낳는게 오히려 나은것 같아요 ㅠㅠ
@user-dx8vp2jm2c
@user-dx8vp2jm2c 3 ай бұрын
내가 어린시절 겪었던 힘듦이 많이 작용하는 것 같아요. 애를 안낳는다고 불행한게 아니고 애를 낳는다고 행복한것도 아니거든요. 애를 낳아서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은게 현실이구요. 그리고 이제는 내 노후는 자식들이 해결해주는게 아니거든요. 애 키우는데 드는 돈도 많이 들고 희생하고 인간진화를 꼭 한다는 보장도 없구요. 자식은 부모뜻대로 커주지않는단 걸 잘 알구요. 그리고 여성의 몸의 호르몬변화 그리고 망가지는 걸 자처하는 결정이 쉬운 일이 아니에요. 물론 나도 모르게 흘러가는대로 나타나는 현상이면 받아들이겠지만 무지 애쓰고 싶은생각은 없어요.
@KoBrookeOh
@KoBrookeOh 7 ай бұрын
안 낳는 게 아니라 못 낳는 세상인 거다.. 청년들이 아이를 “안” 낳는다는 접근부터가 틀렸음
@Theo-ex6se
@Theo-ex6se 7 ай бұрын
안낳는 사람들도 있음. 내 커리어대로 돈벌면서 나를 위해 살고 싶지 애키우면서 애엄마로 살고 싶지 않고 애낳는 고통 무서워서 안낳는 다는 젊은 사람들 많음 이유가 1개가 아님 함부로 단정짓지 마시길
@user-tl6lg7xd4u
@user-tl6lg7xd4u 7 ай бұрын
그 동안 비정상적으로 많았던거지 당장 부모세대만 해도 자연도태 되는게 정상인것들 천지인데 사회분위기 상 나이먹고 결혼안하고 출산 안하면 중대범죄인 시절이있었음 무능력은 무능력끼리 장애는 장애끼리 아득바득 꾸역꾸역 애 낳던 시절이였음 그런 부모들한테 태어난 애들이 지금 결혼 적령기인데 (한국판 차우셰스쿠의 아이들) 당연히 인생이 불행하고 도태dna 가졌는데 결혼안하고 애 안낳는게 당연하지 모든게 절대적으로 고점이 평생 될 순없다 한번 나락찍고 올라가는게 세상이치다
@user-zw6ds8ov1q
@user-zw6ds8ov1q 7 ай бұрын
공무원은가능
@user-kk7sp6mq4e
@user-kk7sp6mq4e 7 ай бұрын
못 낳을수 있나?. 안낳는게 더 맞는것 같은데
@JIyuziyu
@JIyuziyu 7 ай бұрын
키울사람이 없음😂 난 일할래 연로한 부모님한케 애 맡기는건 더 싫다 ㅠ
@user-ns7mu4wq3d
@user-ns7mu4wq3d 7 ай бұрын
애를 10시간씩 어린이집, 유치원에 두고 싶지 않았고 나도 체력적으로 일과 육아를 병행할 상태가 아니라서 전업주부, 외벌이로 살았어요. 대학나오고 유학도 다녀왔고 일도 잘했는데....이젠 식당 설거지나 등하원 도우미 외에는 받아줄만한 곳도 없네요😢
@kimhyunwooPaul
@kimhyunwooPaul 7 ай бұрын
유학 다녀왔다고 실력이 있는 건 아나지요. 갈데가 없는 건 본인이 실력을 키우는 데에 게을렀던 것은 아닌지 반성해보세요. 실력이 있는 사람은 누구든 알아보기 마련입니다. 유투브 볼 시간에 실력을 키우세요!!!!
@SL-lz6rq
@SL-lz6rq 7 ай бұрын
@@kimhyunwooPaul지금 그 얘기가 아닌데 이상한데 꼬투리 잡고 사람 기분 상하게 하는 재주가 있는걸 보니 당신이나 유투브 끄고 현생에서 행복을 찾아보세요
@seungminrho
@seungminrho 7 ай бұрын
​@@user-hz4hr2pt3u이 댓글들을 보니 왜 저출산인지 바로 이해되네...
@user-vy8qi9yb4w
@user-vy8qi9yb4w 7 ай бұрын
댓글들 정말 이시대 열등의식을 제대로 보여주네요..
@lolcoinmath
@lolcoinmath 7 ай бұрын
원하던 전업주부로 취집성공 축하드립니다
@user-lp7hz3gn7j
@user-lp7hz3gn7j 5 ай бұрын
애를 낳았을때 내가 쉬어야 한다는게 너무 두렵다. 빚도있고 돈도없는데 쉬는게 가능키나 한건지,, 상상이 되지않음 남편 한사람돈으로 셋을 커버 할수있는건가 😢😢😢 애를 가지고 싶다가도 돈생각만하면 너무 사치스러운 생각을 한것같다. 애를 가지는건 사치 .
@user-ew4kq5sj5y
@user-ew4kq5sj5y Ай бұрын
애 낳으면 일시금 얼마준다 따위의 정책은 전혀 쓸모없다. 그거보고 낳는 사람 아무도 없음. 기업문화 특히 회사를 이끄는 임원들의 마인드가 "나때는 다 내가 감수하며 다녔으니 니들도 고생해"라는 한국형 마인드인건 바뀌지 않을거임. 결국 정부가 나서서 맞벌이 육아참여를 지원하지 않은 기업들에 심각한 경제적 불이익을 줘서 단기적 영리만을 추구하는 기업문화를 강제적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은 한국출산율은 미래가 없다.
@detente3668
@detente3668 Ай бұрын
이론적으로는 이게 맞는것같지만 글로벌경영환경에서 한국기업의 경쟁력 등까지 고려하면 이걸 단기에 적용하여 개선하는것은 절대 쉽지않음 당장 기업운영에 제약을 두며 불이익 주는 순간 부작용으로 침체가 가속화되며 경기는 극도로 위축될것임. 사회제도안에 양육할수 있는 환경문화를 만드려면 어마어마한 시간이 필요함
@nogo0212
@nogo0212 7 ай бұрын
국가가 인구감소정책을 펴고있다고 생각하면 맘편합니다
@Sam_mm_mm
@Sam_mm_mm 7 ай бұрын
진짜 정답......돈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를 돌보는 것이 자유로워야 합니다
@aspitola
@aspitola 7 ай бұрын
와... 우리나라 일 잘하네요!!!!
@user-yt3mv7bm3i
@user-yt3mv7bm3i 7 ай бұрын
오오 천재시다 여태껏 그랫구나😊😊
@user-yt3mv7bm3i
@user-yt3mv7bm3i 7 ай бұрын
@@user-xh9tb1ih7y 오 멋지게 말하네 넌 성공했다
@illililillli
@illililillli 7 ай бұрын
싱글녀분들 비록 돈없지만 곰돌이같이 푸근한 통통한남자를만나세요.일본여자들은 남자능력 안따져요. 여자는 자기보다 나이많은 챙겨주는 아빠같은 남자에게 끌리기마련이고 남자는 번식욕이 있기때문에 최고로 예뻐해줄수있어요 그리고 소개팅 선자리에서 남자연봉 직업좀 자세히 물어보지말길. 소개팅에서 이미지깍여요. 여자가 30대후반 넘어서 결혼했으면 후대를 못남기는것 고려 판도라상자는 열려하지마세요. 같이 맞벌이하면서 남편 전와이프 애들도 키워주면 점수땁니다. 남편이 동남아여행간다고 푸잉들터치할거면 남편들이 왜 마누라샤워소리가 공포스럽다고 말하는지 잘고민해 보시길.
@Sieunworld
@Sieunworld 7 ай бұрын
누가 그랬는데 아이를 부모가 돌봐줄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을 펼쳐야하는데 반대로 돌봄과 거기에 쓸 지원금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고있다고 방향이 잘못된거지 애 얼굴을 보지도 못하고 일해야되는데 너같으면 낳겠냐 애를 위해서 못할짓을 하도록 도와주는 정책은 아무것도 나아질수 없지 ㅉㅉ
@jacklee7557
@jacklee7557 5 ай бұрын
현상황이 지속되는한 답은 없음 결국 인구감소는 필연적이고 줄어드는 인구로 인해 발생될 문제들을 생각하고 해결책을 찾는것이 훨씬 효과적일것으로 사료됨 그리고 인구가 줄어드는것 보다 더 심각한것은 노령인구가 폭팔적으로 늘어나는 것임 사회는 병들어 갈것이고 노인케어에는 막대한 비용이 지출될것이고 부양의 고통은 더욱 심해질것이며 그 고통은 고스란히 지금의 젊은이들이 져야할 부채로 다가오게 될것임 그러니 출산의 문제는 답이 없음
@user-ub8oi2fp9w
@user-ub8oi2fp9w 3 ай бұрын
안낳고 사는부부들이 현명해 아니 결혼안하고 연애하듯 각자 집에서 지내고 밖에서 만나고 각자집으로 가고 생활하는게 편하다는것
@hellochopoa
@hellochopoa 7 ай бұрын
사교육쪽 일하고있습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저학년 친구중에 집에 밤 9시에 들어가는 친구들이 있어요.. 그전까지 저녁밥주는 센터+공부방+학원 계속 로테이션하다가 그때 집들어간대요. 의욕이 하나도 없고, 아이가 너무 무기력합니다.. 우리아이들한테도 절대 좋은 환경이 아니에요. 부모님들이 자유롭게 연차를 쓸수 있는 환경, 아이가 있는 부모는 유연하게 출퇴근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 그렇게 바뀌어야합니다
@user-qi1fu6kg4v
@user-qi1fu6kg4v 6 ай бұрын
너무 속상하네요ㅜ
@user-ib9lv1iv1c
@user-ib9lv1iv1c 4 ай бұрын
최신순 내글 참조
@handgoldstone
@handgoldstone 3 ай бұрын
부모 맞벌이로 저녁야근해서 22시까지는 일해야 아이도 그렇게 뺑뺑이라도 돌릴수있는 여유가 있어요 그런걸로 불평하면 안되죠 부모도 늦게까지 일하고 아이도 늦게까지 봐주는 시스템이 더 마련되고 최대 24시간 봐주는 센터도 마련되야해요
@vaneelee
@vaneelee 7 ай бұрын
낳지마세요 맞벌이 하면서 키울수 있는 구조도 아니고 외벌이론 감당 안되고 애아프고 입원하고 하면 맞벌이 안되고 커서 학원비 쓰다보면 답도 안나옵니다..
@user-bt5pn2cf4n
@user-bt5pn2cf4n 7 ай бұрын
맞아요
@Iamloveari
@Iamloveari 6 ай бұрын
팩폭
@macdds
@macdds Ай бұрын
세 네살부터 대학갈때까지 학원 뺑뺑이만 없어져도 출산율 급반등할거라는거 다들 알지만 아무 조치를 안하고 있죠. 학원 금지하면 건물주 다 망하니까. 이 나라는 틀렸어요. 이민 갈거 아니면 아이 낳지 마세요.
@sojin-gl3po
@sojin-gl3po 3 ай бұрын
08년생이에요.유치원다닐때 엄마가 늦게 마쳐서 내가 1등으로 등교하고 마즈막으로 하교했었음.딴애들 다가고 저만 혼자서 블럭놀이하는데 너무 너무 싫었음..
@user-hf9fj5qu3e
@user-hf9fj5qu3e 5 ай бұрын
12시간, 8시간, 6시간 개인이 선택할수있고, 기업도 이런 일의방식과 개인의 시간을 존중하는 문화. 아이가 아프면 눈치안보고 당연히 쉴수있고, 아이 하원하는 시간에 맞춰서 퇴근할 수 있는 기업문화. 워킹대디 아빠도 육아에 올인할수있는 마인드 답이 다 나왔네요
@user-ze3fs5uu5m
@user-ze3fs5uu5m 7 ай бұрын
아이가 10살정도 클때까지 부모중 한명은 3~4시퇴근 보장만 해주면 훨씬 나을거 같아요. 돈도 돈이지만 부모가 아이를 키울수 있어야 하잖아요. 자꾸 남의 손에 맡길 정책만 하는데...부모는 내손으로 키울수 있는걸 원해요.
@roybahn9900
@roybahn9900 7 ай бұрын
한자녀일때만 그나마 효과가있다는 둘이상은 무리~~
@user-zw6ds8ov1q
@user-zw6ds8ov1q 7 ай бұрын
ㅋㅋ 그럼 누가 사업함 고용안하고 말지
@user-nj4iq5ex2s
@user-nj4iq5ex2s 7 ай бұрын
​@@user-zw6ds8ov1q그런 사회문화가 문제라고요..ㅋㅋ
@piy5288
@piy5288 7 ай бұрын
​@@user-zw6ds8ov1q그소리 역사적으로 보면 수정자본주의 탄생전 얘기같네ㅋㅋ 정부 규제 없다시피한 시절 자유 들먹이면서 그럴듯한 소리 해대다가 다른 집 다른기업 다망하고 경제대공황오니 그제서야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게 되는 1900년대의 역사가 다른 방면에서 되풀이되는 느낌이랄까
@user-pk4kz8kt2f
@user-pk4kz8kt2f 7 ай бұрын
​​@@user-zw6ds8ov1q그럼 누가 고용하냐고??? 고용하는 사람은 대한민국 사람아냐??? 같이 대한민국 망하는거야...
@user-mk9ct5kz4x
@user-mk9ct5kz4x 6 ай бұрын
아이를 낳으면 현실적으로 엄마가 일을 그만둬야 한다.그럼 가구 소득이 약40%정도 줄어들것이고....식구가 한명 늘었으니 지출은 30%정도 늘것이고..산술적으로 가구소득에 70% 마이너스지... 암울한 현실이다.
@user-dd6mj2rt4c
@user-dd6mj2rt4c 5 ай бұрын
맞음 거지들은 자식 안낳아주는게 범죄자들안생기는길임 지주제를 알고 애기 안낳는 이런생각들이 아주좋음 그래야 나중에 내가애낳을때 좀더 애들이 착한애들이랑어울릴수있는 나은환경이만들어지는거임 영화나 드라마보면 돈많은사람들이 항상 나쁜사람으로비추는데절대그렇지않음 범죄자나인성빻은애들 혹은 비행청소년보면 95%가 부모홀수혹은 거지집안임
@illililillli
@illililillli 5 ай бұрын
집값이 얼마인데 결혼하면 왜 남자가 해야하는지 모르겠음.빡쳐서 결혼전에 여자들 꼬시는용 내아파트, 와이프 만삭일때 집명의는 이혼한 누나쪽으로 해놓았지. ​ ​ ​ 남자는 20대초반 젊은여자랑 하고싶어하도록 본능이 설계되고 20대 여자도 잉태에 최적화된시기라 성숙한 남자를 원하도록 인간이 만들어졌는데 30대여자 주제에 공주대접바람? ​ ​ ​ 애 국가에 맡기고 빨리일나갔으면한다 ​ ​ ​ 안그러면 난 어린여자만나러갈듯. 난절대 퐁퐁남되기싫음. 우리누나도 자기 아들 퐁퐁남될까봐 두렵다했음.
@user-sk7vq8cm5e
@user-sk7vq8cm5e 4 ай бұрын
@@illililillli니 누나가 왜 이혼했는지 잘 알겠노 ㅋㅋㅋ 야야 어린여자가 너랑 사겨는 준대?
@user-jw9bm9cu5z
@user-jw9bm9cu5z 3 ай бұрын
이혼한 누나에게 명의? 제정신이 아니네
@user-fy2gi2oe3c
@user-fy2gi2oe3c 2 ай бұрын
여자일관둔다고 솔직히 마이너스40아니다. 직장다니면서 쓰는돈이 본인월급 안넘으면 다행인여자 많다. 전문직 대기업아닌이상 실수령 300이상받는 예비엄마가 얼마나될것같음. 직장다니면서 밥값,교통비,옷,화장품 이런거로 본인월급거의탕진.
@user-ww2cy3td3f
@user-ww2cy3td3f 3 ай бұрын
어릴때 부모님 둘다 맞벌이셔서 어린이집 가던 기억이 아직도나는데 울었던기억밖에없음 첫기억조차도 일어났는데 엄마아빠없어서 울면서 할아버지할머니한테감
@ey6307
@ey6307 4 ай бұрын
시간제로 일을하게 만들면 해결된다. 미국에서 친구는 아이 둘 있는데...애들 초딩때 오전에만 근무하고 애들 하교시간 맞춰서 학교가서 픽업하더라. 그리고 애들이 커서 운전하고 다닐나이되니까 다시 종일근무 신청해서 하더라. 이런 유동성있는 시간제 근무를 모든업종에 도입해야한다. 승진? 이런것은 당연히 영향을 준다. 그래도 직업이 정년까지 유지된다는게 어딘가?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5 ай бұрын
낳아야 하는 이유보다 낳지 말아야 할 이유가 더 많은 상황이죠.
@user-hz6bz5zs1w
@user-hz6bz5zs1w 7 ай бұрын
정말 우리나라는 점점 아이를 부모가 키우는 것이 아닌 기관이 키우게끔 만들고있습니다. 근데 부모님들이 그걸 바라는 걸까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저출산은 점점 심해질거라고 봅니다😢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7 ай бұрын
북유럽도 이런저런 지원으로 나라가 반은 키워주는데? 그리고 니가 돈을 더 벌 생각은 안하냐? 능력도 안되면서 무책임하게 애를 왜 낳을까?
@jJ-kx2kw
@jJ-kx2kw 7 ай бұрын
기관이 애를 키우니 1대1 양육이 아니라서 인성에 문제가 생기는 아이들이 많이 커가고 있지요.. 엄빠는 맞벌이라고 오냐오냐 기관은 학폭신고로 오냐오냐 이래서 아이가 훈육을 제대로 받았을까요 한국사회가 걱정됩니다..
@illililillli
@illililillli 7 ай бұрын
형님들 내와이프는 서양엘프녀들도 안가는 산후조리원을 못갔다고 난리치는데 어쩌면 좋나요ㄷㄷ 남자가 6천을 가져오면 여자도 6천을 가져와야한단말에 동의하고 일본녀들처럼 더치페이도 당연하게 생각해서 결혼했는데 갑분 강남 산후조리원??이래서 외국녀가 답인가 봅니다 전세계중 한국만 산후조리원 가는거 아시죠? 아는형님도 요즘 25살연하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금발 미녀들이랑 선보는중임. 그여자분들은 남자가 200을 벌어도 감사할줄아는 여신님들임. 아님 20대초반녀 만나세요 20대초반녀는 50만원 식사만 대접해도 꺄르륵 웃었을거임. 내와이프는 100만원짜리 산후조리원가자고;; 남자는 하루 12시간 뼈빠지게 일하는데 여자는 한달월급 반이나 마사지받는데 쓴다니ㅋㅋ 니가 돈벌어하길. 남녀평등을 바란다면 여자도 금발미녀들처럼 군대가야 하는거 아닙니까? K님들이 남편이 월30만원 벌어도 아이 순풍순풍낳는 동유럽미녀들을 이길수있을거라 생각함?요즘 bts한국남자들 인기 세계권인거 암? 심지어 송중기는 선진국미녀랑 애낳았다. 그리고 제발 결혼할거면 애는낳자
@user-fd4xw1hi8n
@user-fd4xw1hi8n 7 ай бұрын
​@@illililillli결혼 전에 알아봤어야지 주식 물리고 한탄하는 거랑 다를 거 없어보임
@daengdaengeeseo4749
@daengdaengeeseo4749 7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강남 산후조리원 백만원ㅋㅋㅋㅋㅋ 천만원인데요?
@Moyayaya111
@Moyayaya111 5 ай бұрын
실리콘벨리와 한국과의 기업환경생태계가 다르지... 직장에서 내 자리 유지하면서 육아를 한다는것은 한국에선 힘든일이다...대기업이야 야근이 줄엇겟지 중소기업이나 하청업체는 수당없는 야근도 많고... 집에가면 9시... 씻고 자야지 낼아침 8시30분까지 회사로 다시 가야하지... 남들도 이리하는데.. 애때문에 일찍퇴근한다고 하면... 나중에 조금씩 내자리는 사라진다..
@user-cr7gj2hc8y
@user-cr7gj2hc8y 2 ай бұрын
총체적인 난국으로 어지러운 이 시대에서 시급한일은 출산을 늘리는것보다 살아있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의 안정을 찾아주는 일입니다.♡❤ 우리나라 인구가 부족한것을 염려할것이 아니라 지금 있는 사람들부터 건강하고 밝은 사회를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이것은 지도자들의 책임만이 아니라 국민모두가 화합하고 사랑하는 힘을 모아야합니다.♡ 우리나라가 사라질것을 두려워할것이 아니라 점점더 지치고 병들어가는 우리사회를 회복하는데 모두가 책임의식을 가져야합니다.♡❤ 우리나라 나의나라만 중요한것이 아니며 다른나라 세계나라의 평화과 행복을 위하여 어둡고 미워하고 증오하는 우리나라마음부터 고쳐나가는것이 시급합니다♡ 그만큼 깊은 아픔과 한으로 얼룩진 안타깝고 가여운 우리나라사람들이 무엇보다 자신의 마음을 깊이 헤아려주어서 그마음으로 자신과 남을 깊히 치유하고 이해하는 마음을 되찾아야합니다.♡ 우리가 본래 이기적이고 본래부터 매정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우리는 누구보다 정많고 따뜻한 사람들입니다.♡❤ 물질자본주의 사회에 깊히 물이들어 살다보니 어느새 온몸과마음이 병들어 정이멀어지고 이기적인사회로 변모되어 아닌척하면서 서로서로 상처주고 비난하고 괜찮은척하면서 속으로는 원망하고 미워하게 된것입니다. 여러분이 원래 그런성향들이 아닙니다. 우리도 모르게 전염되고 우리도모르게 너무깊히 병이들어간 것입니다. 이제 우리모두 자신을 치유하고 타인을 치유할수있는 따뜻한마음으로 나아가시면 됩니다.♡ 다 잘될거에요. 꼭 그렇게 될거에요♡❤
@jjun861
@jjun861 7 ай бұрын
자기가 하고 싶은게 많아서 또는 희생하기 싫어서 겁나서 안낳는 경우도 있을수 있지만 세상이 참 살만하구나 2세에게도 이 아름다운 세상을 알려주고 싶어서 계획하는 경우도 많은데 요새는 그런 생각이 전혀 안들고 그냥 힘든 세상 살겠구나 싶어서 고민이 많이 듬
@user-jd2jt6hb8i
@user-jd2jt6hb8i 7 ай бұрын
공감입니다
@user-jj7lb4bt1w
@user-jj7lb4bt1w 7 ай бұрын
공감됩니다~! 아이낳고 7살 5살 어린 아이들이 자긴 오래 살꺼라고 세상엔 너무 재미있는게 많다고 행복하다고 이야기 해줄때 저는 너무 뿌듯하고 행복해요~❤
@user-nj7ne8sb4b
@user-nj7ne8sb4b 7 ай бұрын
개공감😢
@user-uc6df7jd2
@user-uc6df7jd2 7 ай бұрын
다들 포장이야 멋들어지게 하지만 사실 여자들이 편하게 살고싶어서 낳기 꺼려하는거 다 알고는있지
@LL-pr4jk
@LL-pr4jk 7 ай бұрын
​@@user-uc6df7jd2그럼 남자들이 낳으셈~
@user-bx1zv2fl3r
@user-bx1zv2fl3r 7 ай бұрын
저학년 아이는 저녁까지 돌봄교실로, 고학년 아이는 학원으로 밤까지 돌릴 수밖에 없는 현재 근무방식이 정말 제일 문제입니다. 아이를 볼 수 없어 부모자녀 애착은 떨어지고, 부모는 모든 기력을 소진하고 돌아와서 아이가 얼른 잠들기만 바라게 되지요. 그러면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못느껴서 문제가 발생하고, 부모는 아이가 문제를 일으키면 힘들고, 특히 사춘기에 자녀와 관계가 더 악화되면서 이것이 악순환이 됩니다. 애착관계 부족한 자녀가 시춘기가 심각하게 올수밖에 없겠지요.. 출산과 양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패널티 없이 아이를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는 기업문화로 바뀌지 않으면 저출산은 물론이며, 부모자녀 애착관계 부족으로 인한 사회문제까지 떠안으며 이중고, 삼중고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제 정말 이른 저녁시긴부터 가족에게 돌려주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한참 전에 아이가 출근하는 아빠에게 "또 오세요~" 라고 하던 광고를 웃으면서 볼게 아니라 심각하게 봐야할 사회문제였네요.
@user-nb5rd1yw7b
@user-nb5rd1yw7b 3 ай бұрын
결혼 전에는 아이가 싫었는데 결혼하니까 사랑하는 사람과의 아이를 낳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근데 현실은? 중견기업 다니는데 출산휴가 다녀온 여직원들 업무롤 애매해지고, 원래 업무 말고 이 팀 저 팀 돌리다가 스스로 그만두게 하던데요.. 게다가 출퇴근? 왕복 합치면 3시간 반 정도 됩니다ㅎ 깜깜할 때 나갔다가 깜깜할 때 집에 들어오는데 애는 무슨..ㅠ
@user-dh9os5dh2l
@user-dh9os5dh2l 3 ай бұрын
저출산은 자연보호에는 긍정적이지요. 또 후손들에게는 인간존중의 시대를 살게해주는 방법같아요. 경쟁사회에서 인간존중의 사회가되가는것이아닌가 하는 생각이드네요 일례로 요즘 대입경쟁률이 많이떨어졌습니다. 저출산이 긍정적인면이 서서히 나타나기시작하고있습니다
@and6862
@and6862 20 күн бұрын
시골가보세요. 고령화된거...그게 미래 모습인데. 인프라 다 박살나고 노인들만 앉아서 텃세부립니다. 인터넷에서는 저출산이다못해 출산인구를 혐오의 시선으로 바라볼 정도인데...이게 인간존중? 가장 가까운 가족과도 잘 못지내서 재생산도 꺼리게 되는 현상이 어떻게 인간존중이됩니까? 애 못낳는건 그렇다 쳐도 그걸 성역화하려고 발악하는 모습은 좀 자제했으면 좋겠네요
@user-dh9os5dh2l
@user-dh9os5dh2l 20 күн бұрын
@@and6862 그럼우리나라인구 얼마나 되야됩니까? 6000만?7000만? 평균수명계속늘어나고 자동화되가는데? 생각없이 낳으면 누가 책임져야됩니까? 생각없는소리 마셈!
@user-qj7jq8mm6b
@user-qj7jq8mm6b 7 ай бұрын
얼마전 결혼해서 남편따라 지방으로 이사하며 이직하려고 면접보는데 이직이유물어보시고 출산계획이 없지 않다고 하는 순간 면접 다떨어지더라구요 저는 간호사이고 지방에는 간호사가 모자라는데두요 아니면 일년동안 임신하지 않겠다는 각서쓰면 입사시켜준다하구요.. 현재 이직한 병원도 추후 유연근무제 사용안하고 풀8시간 일한다고 각서쓰고 입사했습니다. 이게 한달전 현실입니다.
@robin5249
@robin5249 7 ай бұрын
각서의 내용은 무엇이며, 위반시 어떤 결과가 있을까요??
@DBON82
@DBON82 7 ай бұрын
얼마나 병원 입장으로써 간호사가 모자라면, 임신한다고 하면 무조건 걸러내는가 모르겠네요; 간호협회 같은거 없나요?
@user-ed7zu6kg8w
@user-ed7zu6kg8w 7 ай бұрын
5세 한 아이의 엄마입니다 .. 저희 부부 둘다 둘째 너무너무 원하지만 맞벌이를 포기 할수 없어서 둘째는 접었습니다 너무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
@user-dn3nf8kp7b
@user-dn3nf8kp7b 7 ай бұрын
첫째만 불쌍하네
@user-ge8lc2hf3t
@user-ge8lc2hf3t 7 ай бұрын
@@user-dn3nf8kp7b 수비님 인생이 더 불쌍하네요
@user-oc55nj900a
@user-oc55nj900a 7 ай бұрын
낳지말지 지금 태어나면 지옥인데 추후 우리나라 연금대느라 끝남 게다가 인프라도 무너져서 그땐 답없음
@Vidabello639
@Vidabello639 7 ай бұрын
@@user-dn3nf8kp7b늦은 나이에 유튭배운 니가 더 불쌍해ㅋㅋㅋㅋ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7 ай бұрын
덜먹고 덜쓰고 둘낳아 기르는것도 좋습니다. 그러다 가계소득이 부족하면 다 길이 보입니다.
@handgoldstone
@handgoldstone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애낳으면 애를 못봐 ㅋㅋㅋㅋㅋㅋㅋㅋ 애는 누가키우냐고 스스로 크니? ㅋㅋㅋㅋㅋㅋ 육아휴직도 맘대로 못써 남자는 육아휴직쓰면 눈치만줘… 둘다 휴직 쓰기는 택도없고 돈도없고 답이없다 아무리 생각을해봐도
@user-kf4xp5wl5e
@user-kf4xp5wl5e 5 ай бұрын
일도 계속하고 육아도 회사눈치안보고 계속 할수만있다면 얼마든지 출산은 문제가없겠죠! 그렇게 해줄수있는 회사가 얼마나될까요.. 중소기업은 생각도못할부분이죠! 또..애하나키우는데있어서 경제적여유가있는집과 없는집의 천지차이나는 교육수준도 큰문제가되구요. 내애가 경제적인것때문에 의기소침하는것도 보기힘들고..여러가지 요인이 참만죠! 옛날어른들시대처렁 농사짓고사는 시대도 아니고 생활수준의차이가 심하면 애를낳아도 심적으로 힘들죠
@euiyeuncho825
@euiyeuncho825 5 ай бұрын
개같다 진짜.. 외벌이를 하면 돈에 쪼들리고 맞벌이를 하면 애를 돌볼 시간이 없는 현실, 육아휴직이나 단축근무 자유롭게 쓸수 있도록 강제적으로 해야한다
@user-ou3uq7jx5o
@user-ou3uq7jx5o 5 ай бұрын
회사 입장도 이해해줘야죠 이게 진짜 애매함
@handgoldstone
@handgoldstone 3 ай бұрын
뭔 회사입장이야 에휴 출생률 더 떨구는 소리만 쳐하네
@f11919
@f11919 3 ай бұрын
외벌이 하다가 애 어느정도 크고 맞벌이하면 되잖아
@user-ou3uq7jx5o
@user-ou3uq7jx5o 3 ай бұрын
@@handgoldstone 그래서 니입장만 쳐 얘기하면 달라지나 ?? ㅋㅋㅋ
@user-nn7nw7rn7l
@user-nn7nw7rn7l 3 ай бұрын
6시에 일어나서 8시에 퇴근하는 생산직들이나 사무직들 많죠 ,,,, 근로시간도 단축시켜야하
@user-bg3rn7gx2e
@user-bg3rn7gx2e 5 ай бұрын
이제 30개월 딸키우는 아빠입니다 낳는다고 다 해결된게 아니더라구요 난 감기가 이렇게 무서운병인지 요즘느낍니다 맞벌이부부에게 아이가 감기라도 걸리게되면 진짜 멘붕오게되요
@user-qp7mi7gz3q
@user-qp7mi7gz3q 5 ай бұрын
9개월 딸아이 아빠입니다 저희 부부도 맞벌이 인데요 아기 감기때 어떻게 대처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앞으로 언젠간 닥칠일인데 두렵네요
@user-bg3rn7gx2e
@user-bg3rn7gx2e 5 ай бұрын
@@user-qp7mi7gz3q 저는 자영업하고 와이프는 회사다녀서 와이프 일못쉬면 제가게 대타땜빵구하던가 해서 낮에 제가애기보고 밤에와이프가 애보고 이렇게대처중입니다. 주위 친구들보니깐 맞벌이때 애기아프면 양가부모님들 부르거나 아님 친인척 불러서 부탁하고 그러더라구요 참 어렵네요
@ooo-jx1xp
@ooo-jx1xp 5 ай бұрын
저같은 경우는 모아놨던 연차를 번갈아 가면서 씁니다.. 회사 눈치 보드라도 써야죠.. 최후의 필살기는 장모님이나 엄마부르는건데.. 그것도 한두번이지.. 더 싸움만 납니다 ㅠㅠ
@user-jb3sm1bh4d
@user-jb3sm1bh4d 5 ай бұрын
@@user-qp7mi7gz3q 대처보단...그냥 절절매면서 참고 견디는거죠...애 아프다고 회사인들 어디인들 눈총만주지 시간적으로 배려를 해주는 회사가 얼마나 될까 싶네요...ㅜ.ㅜ 저도 애가 셋인데 어릴땐 진짜 지옥이었어요....애 낳은거 후회막급이였죠...지금도 현실적인 자금적인 문제때문에 애들은 이쁘지만 괜히 낳았나 싶기도 하네요....
@user-ib9lv1iv1c
@user-ib9lv1iv1c 4 ай бұрын
최신순 내글 참조
@Triangle_papa
@Triangle_papa 22 күн бұрын
육아휴직 어쩌고 그게 중요 한게 아니다 우리 부모 세대는 남편 혼자 벌어도 애를 키울수 있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외벌이로는 힘든 세대가 된거다 어마어마하게 나가는 집대출부터 남편 혼자 커버가 안되는 세상인거지 둘 살기도 빠듯한데 무슨 애들 낳냐 사람들아 원초적인 문제를 봐라 여자가 어쩌고 남자가 어쩌고 싸우지 말고 그냥 지금 시대가 힘든 시대인거 같다 나라가 이모양인데 저출산은 당연한거
@user-si7wk1zr6t
@user-si7wk1zr6t 4 ай бұрын
여유고 돈이고 내 삶이 너무 힘든데 이런 힘든삶을 되물림 하고싶지도 않고 치열한 경쟁속에 스트레스받으며 살게 하고싶지가 않다. 내가 행복해져야 낳고싶어질듯
@user-jk4ly8tx4i
@user-jk4ly8tx4i 7 ай бұрын
아무리 우리끼리 떠들어도 변하지 않는 현실이 슬프네요...
@free-yt3dj
@free-yt3dj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아직 모르시네 ㅋ
@farafara8279
@farafara8279 7 ай бұрын
백날떠들어재껴봐라
@heung2a624
@heung2a624 7 ай бұрын
많아지면 달라짐
@user-wn7ng5pl5m
@user-wn7ng5pl5m 7 ай бұрын
늙은 국개의원들은 생각없음ㅋㅋ지들 집값만 생각함
@gawele1660
@gawele1660 7 ай бұрын
정책결정자들이나 회사 간부의 마인드는 안바뀝니다 ㅠ
@user-qn2kh1jr9h
@user-qn2kh1jr9h 7 ай бұрын
지금 있는 딸아이 한명도 지키기 어려운 세상인 것같아서 ,,둘째는 없어요 ~ 촉법청소년법도 너무 이해안가고 아이들 관련 범죄 형벌도 너무 낮고 돈은 문제가 아니에요 사실 아이 키우는 부모들의 입장들은 아이들을 지킬 수있는 법과 환경이 너무 안일하기 때문입니다
@user-zm2lt6zq6j
@user-zm2lt6zq6j Ай бұрын
그냥 애나 잘 키우세요~~ 기내도 하지 말고
@wj11
@wj11 4 ай бұрын
직장다니면서 직장생태계가 직원한명에게 2~3명이할 업무양에 사람한계까지 쥐어짜내가며 성과경쟁에 때때로 퇴근후업무, 야근, 주말근무까지 체력,정신 다 소진되고, 실제로 애낳으면 직장에선 그냥 끝인거고!!!, 직장을 다니면 애를 어디 맡기고 데리고오고 자체가 불가능한데, 애는 실제로 누가 어떻게 키워야함???? 사람들 개개인의 문제라고 생각함????? 정책지원이 실효성이 있어야지 부모가 애를 키우기위해 직장이나 상황이 애를 낳고 키울 가능성이 생겨야 애를낳지 실제로 불가능한걸 애를 낳고싶은사람도 못낳는거다 (일단 애를 어디 맡기거나, 누가 키우는게 불가능하고, 돈부족 둘째치고 직장에서 한계에내몰리고 스트레스 체력부족 시간부족 일부직장빼고 출산할때 일 육아 병행하기엔 절대해결불가한 직장시스템,문화 등 등 등 애를낳아키울수가없는 복합적콜라보임, 정치판은 썪어있고 정치판이든 직장내든 심각한내로남불과 도둑질 부정한짓들이 판치는 지저분한꼴도 내자식에게 겪게하고싶지는 않음)
@jmh1987
@jmh1987 2 ай бұрын
출산한 나도...물론 엄청난 그런..자식이 주는 기쁨도 있지만........엄청난 근심과 걱정도 따른다....이건 자식을 낳은게 아니라 근심을 낳은거더라고...애가 좀만 아파도 좀만 위험할것 같아도 부모의 마음은 항상 심장쫄깃...천국과 지옥을 왔다갔다 평생 이러면서 살아야된다는게 젤 걱정
@heeya0723
@heeya0723 7 ай бұрын
첫째 출산후 출근했더니 팀장이 면담하며 둘째는 안날꺼지? 라는 뉘앙스로 이야기하더군요. 이게 현실입니다.
@user-qr6tb1mo4h
@user-qr6tb1mo4h 7 ай бұрын
으….
@illililillli
@illililillli 6 ай бұрын
내와이프가 자꾸 육아힘들다고하는데 나도 독박일 하는중이다. 독박육아 운운하는 여자는 믿거대상이다. 내가 일해서 편하게 집에서 쉬는거 바가지 긁지않았으면.. 다른여자들 같았음 요즘은 집안일.육아까지 해내는 멋진 워킹맘인데 맞벌이 안하고 집에서 애보는거 꿀인줄알길..김태희도 일하는데 애 모유수유끝나면 빨리 직장구했으면한다. 그리고 남자들은 시각이 중요한지라 와이프 출산튼살, 제왕절개 지렁이 칼자국때문에 성관계에 집중하기 힘들어서 다른여자들이 눈에 들어오기시작하는데 내가 일주일에 한번은 배출해야해서 부부관계도 요구하는거니까 와이프가 감사한줄알았으면 좋겠다 남자들은 출산트라우마있어서 와이프 샤워소리만 들어도 무서운거 여자들은 영영 모르겠지ㅉㅉ
@kyle9666
@kyle9666 5 ай бұрын
팀장님이 모쏠이라서 그런가봐요
@user-mt7ce9ez4c
@user-mt7ce9ez4c 2 ай бұрын
그것이 바로 노처녀 히스테리
@user-mp7ob7hg8p
@user-mp7ob7hg8p 7 ай бұрын
사회의 변화에 기업이 따라가지 못한다는데에 격공합니다. 업무생산성이 낮다고 자꾸 따지는데 그건 쓸데없이 직원들을 오래 붙잡아둬서 그렇죠 회의줄이고 관리를 위한 관리, 중복되는 리포트 줄이고 퇴근시간을 4시로 줄여보세요 기업매출이나 output 이 그대로 나올겁니다. 거기에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되지않도록 남성들의 육아휴직을 강제화하고 원래 연봉의 80%정도의 유상급여를 지원한다면 출생율 올라가리라 믿습니다 출산후 지원정책으로는 절대 올라가지 않을겁니다 제발 국가와 기업이 정신차리길 바랍니다
@james9784
@james9784 7 ай бұрын
현실은 이런 아이디어들은 꼰대들 모여서 쑥덕쑥덕 거리면서 '아무리그래도 그건 아니지~'하며 사라짐
@user-mp7ob7hg8p
@user-mp7ob7hg8p 7 ай бұрын
@@user-ji4mi1gi3z 주인이 노비를 생각하는 마인드를 가지셨네요 직장생활을 25년 넘게 했지만 제 주변에 월급루팡은 거의 없었어요 뭔 노동자를 그렇게 일반화를 하시나요 정확한 일 지침을 주세요 직원이 여유로와 보이는게 그저 꼴보기 싫은게 아닌지 곰곰히 생각해보시구요
@smilegood0077
@smilegood0077 3 ай бұрын
기업에서 일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을 우리나라에도 적용시키면 되겠네!! 확실히 아이를 낳는 부모가 늘어나겠지. 근데 일단 우리나라는 정부도, 기업도 그런 쪽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현저히 적은 것 같으니 ㅋㅋ..
@un4892
@un4892 2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출산환경을 안들어주는데 연애 결혼 출산 할수 있겠습니까?? 출근은 오전 5시인데 집에오면 오후 6시 인데 밥먹고 씻으면 7시 인데
@huckle127
@huckle127 7 ай бұрын
30대여성인데 정말 공감간다 진짜..워킹대디 말이 없는게 이상하다는 말이 맞다. 법개정을 강하게 개정해야한다 육아정책 너무나 허접하다 애기낳고 맞벌이 아니면 키우기 힘든데 직장에 돌아가질 못하니 제발 나라에서 기업에 지원좀 많이해줘라. 그리고 맞벌이 아나고도 애키울 수 있어야한다 하루에 10시간을 어린이집에…그렇게 키우고 싶지 않다. +댓글에 남녀혐오 갈라치기 하는분들은 서로 탓하면 남는게 뭐가 있나요 참 안쓰럽네요 나이차고 재정적으로 안정되었다고 성인인가요? 남을 존중하고 품어줄줄 아는 성숙한 어른이 됩시다 부끄러운 댓글이 많네요.
@user-kt1fh1fx5u
@user-kt1fh1fx5u 7 ай бұрын
외벌이 가장의 소득이 높으면 미혼 여성들은 남녀 임금격차생긴다고 난리에요
@madorossj9420
@madorossj9420 7 ай бұрын
죄송한데요, 남자 혼자 일하는 가정에서도 독박노동이라는 말 안하잖아요. 적당히 합시다 ㅋㅋㅋ
@zzara_zzazza
@zzara_zzazza 7 ай бұрын
​​@@madorossj9420여자혼자 일해도 독박노동이라 안하는데?;;
@Coomassie1
@Coomassie1 7 ай бұрын
@@madorossj9420독박노동..? 밖에서 돈버는것만 힘든게아니에요. 가사노동은 쳐주지도 않으시네
@user-wk2kb2xj6k
@user-wk2kb2xj6k 7 ай бұрын
유난떨지마 워킹맘이란 단어는 있고 워킹대디라는 단어는 안쓴다고 해서 니네 혼자 일하고 애 키우는거 아니야 이전 수세기 동안 남자는 나가서 노동을 했고 여자는 집에서 살림을 살고 애를 키웠는데 불과 몇십년전부터 여자도 사회에 진출해서 일을 하게 되면서 워킹도 하는 맘이 나온거지 남자라고 요즘 세상에 육아를 안해서 워킹대디라는 말을 안쓰는게 아니야 어디 무식한 년들이 못된 거만 배워가지고 뭐만 하면 남자만 걸고 넘어지지? 야 그 잘난 애 낳는거 하지마라 제발 하지마라 생색내고 유난떠는거 세계 최고고 남편은 어떻게는 노예로 부리고 아가리로는 그렇게 남여평등 쳐 따지면서 결혼비용부터 통계를 내보면 남자는 기본 1억이 넘게 들어가는데 니네는 아직도 3천따리에 ㅋㅋㅋ 뭔 기념일은 남자가 다 챙겨서 떠 받들어야 되고 니네는 상전이나 되듯이 쳐 받기만하고? 어디 되도 안한 년들이 개 ㅈ같은것만 배워가지고 개아리를 틀어? 그 잘난 출산 안해도 되니까 아가리 쳐 다물고 낳지마 ㅋㅋㅋ 제발 부탁한다
@ekw2432
@ekw2432 6 ай бұрын
출산휴가 3개월 지나고 첫출근날 사장의 첫마디는 가정을택하든 회사를 택하든 선택하라고 ㅡㅡ 평생 잊혀지지않습니다 그 이후 몇달을 밤12시 한달에 한번두번 새벽3시 퇴근 이러면서 돌도안된애기 돌보는 친정엄마도 야근을 하게되어 못다니겠다했어요 이게 현실인데 애를어케 낳나요
@mintaroma86
@mintaroma86 6 ай бұрын
정말공감합니다. 회사에 임신했다고 얘기하던 날. 축하한다는 말대신. 출산휴가를 계산하며 왜 갑자기 애를 가졌냐. 왜 이제 얘기하냐. 그래서 출산휴가는 어떻게 할거냐. 회사는 그걸묻더군요...
@Sam_mm_mm
@Sam_mm_mm 6 ай бұрын
일반 사기업만 그런 것도 아닙니다, 공무원들도 그런 상황 입니다. 정부는 집값 얘기만 쳐하는거 보면 정말 현실을 모르는구나 싶습니다. 집이야 빌라 살아도 상관없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내 애를 내가 케어할 수 없는 환경이 문제입니다.
@kimbo-kyoungclairehana599
@kimbo-kyoungclairehana599 5 ай бұрын
임신 출산 겪는 여직원분들 회사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봐서 부정적인 생각 들더라구요 출산하고 반드시 업무 복귀 하겠다고 했는데 출산휴가 중에 계약직 여직원 뽑아서 업무 빼버려서 결국 업무복귀 1년만에 그만두신 여직원분,, 임신한거 말 안하고 플젝 투입했다가 들켜서 업무에 지장없이 일하겠다고 관리자에게 사정하던 여직원분도 봤어요 그 때 막 통카피 시스템 오픈하던 때라서 분위기 엄청 살벌했는데,, 다른 업무쪽이었지만서도 다들 힘들어할 때라 그 여직원분 심적부담감 장난 아니었을 듯; 난 왜 힘들게 사는 여성분들을 많이 보게 되는지;;; 유튜브 사연에 나오는 호캉스 가고 욜로족 된장녀?김치녀? 잘 못봤음 + Miss Claire is 김보경 +
@user-iv2xm9gh9n
@user-iv2xm9gh9n 5 ай бұрын
​@@Sam_mm_mm맞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자식도 없고 가난해본적도 없으니 직장인 부모의 고충을 알턱이 없죠
@kkk-yb5lo
@kkk-yb5lo 5 ай бұрын
중소기업들은 필요없음 왕따시키거나 일많이시켜 쫓아내지요 개같은 회사들이 대부분임 이나란
@Go2b
@Go2b 4 ай бұрын
그래도 힘들든 하나든 있다면 성공하신거고 행복한 마음으로 밝게 살아가시면 됨. 다들 출산율의 문제라 부르는데 일단 출산율에 앞서 가정의 붕괴가 더 먼저이고 국민들 개개인의 삶이 박살났다는 의미임.
@dong-hwanshin3710
@dong-hwanshin3710 5 ай бұрын
사회전반적인 고물가에 걸맞지 않는 물질적인 급여....외벌이로는 살수가 없는 제반비용이 가장 크지....외벌이로 먹는거, 입는거, 주거가 불가능하니 부부가 같이 벌어야 생활이 된다... 전형적인 핵가족의 문제가 심하게 대두된 사회문제이다...예전에는 3,4대 대가족이 아니어도 부모 형제가 같은 집에서 같이 살아가는 가족형태로, 애 낳아도 주위 부모,형제가 같이 돌봐주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육아문제가 해소되거나 심각하지 않았다.... 지금은 모든 문제를 부부둘이 해결하려하니 어렵고 심각한 문제가 되는거다... 이제부터라도 부모형제가 같이 살수 있는 환경과 가족형태로 다시 회귀해야 하고 이를 유도할수 있는 금전적인, 사회적인 서비스,시스템이 나와야 한다....안그럼 지금같은 가족형태에서는 답이 없을 것이다.. 이대로 간다면 한국은 지구에서 사라진다...멸망한다는 것이다..
@kim-yq6jv
@kim-yq6jv 7 ай бұрын
제도자체가 국가가 애를 키우는게 아니라 부모가 애를 키우게 도와주는 방향으로 나가야되는데 방향성부터가 잘못되었고 자식있는 부모는 퇴근을 일찍하고 대신 고용인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해서 노동력을 보충해야하는데 그렇게하면 출산율도 잡고 실업문제도 해결되는데 기득권들이 이를 원하지 않아서 서서히 침몰하는게 안타깝네요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모자란 녀석아, 얘를 안 낫는 이유는 간단하고도 명확하지. 얘보다는 자기 자신의 삶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지.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Hella_FF 녀석아, 갑자기 비난질이냐? 명확하게 네 의견을 표현해 봐!
@yourlifesucck
@yourlifesucck 7 ай бұрын
그렇게 하려면 개개인의 연봉이 반토막으로 줄어들어야 가능함. 더불어 불공평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지 부모는 퇴근을 일찍한다면 부모가 아닌 사람은 야근해도 된다? 라는 말이 나올수 밖에 없고 그렇다고 일반적인 사무직을 2교대로 사람 뽑을 수도 없는거고 그렇게 사람을 뽑아 노동력을 보충한다고 해도 1가지 업무를 2명이서 하는거니 영업활동수익은 큰 차이 없는데 인건비는 최소 1.5배 이상이 빠짐. 그럼 사기업 입장에선 개개인의 연봉을 줄일 수 밖에 없음. 그럼 이 연봉 가지고 어떻게 사냐고 또 불만 터짐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7 ай бұрын
@@yourlifesucck 돈에 미친 인생! 인생이 꼭 하나밖에 없나? 고개들어 하늘을 봐라! 세상에 나가 봐! 얼마든지 다른 인생이 있다.
@yespleaseee9693
@yespleaseee9693 7 ай бұрын
@@user-ce9mc1zi2d저는 진심으로 아이를 위해 살고 싶은데 현실적인 여건이 어렵습니다. 선생님 같은 분은 대뜸 모자란 녀석이라고 댓글 달아놓고 비난한다 뭐다 말씀하시는데요ㅋㅋㅋ 당신같은 분들이 우리의 아버지이고 어머니라는 사실이 너무나도 부끄럽습니다.
@fh-xg6er
@fh-xg6er 6 ай бұрын
사회분위기가 미숙한것을 용인하지 않음 신입도 경력만 뽑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당장 내가 이용하는게 중요하지 젊은이를 양성한다는 생각이 없음 다큰 성인 몇년 키우는것도 나랑 조또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이는 얼마나 귀찮겠음 남의 아이가 우는것도 참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음 근데 그들도 인성이 나빠서가 아니라 종일 생존에 시달리고 남에게 시달리다보니 남의 미숙함을 참아줄 여유따위 없음 남을 착취하는 문화에서 아이가 없어지는건 당연함
@user-id8rc6pn9u
@user-id8rc6pn9u 2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우리 나라는 애 울면 눈치 엄청 주고 싫은티 많이 내서 애 키울 환경도 아님 . 그냥 다같이 강아지 고양이나 키우는게 나음 ㅋㅋ 요새는 강아지 고양이가 애보다 더 귀한 분위기임
@hanjobda9957
@hanjobda9957 Ай бұрын
고물가에 일자리 근처 집값은 고공행진이고 경쟁도 치열한 사회에 사교육비도 어마어마하고 맞벌이 하다보니 육아할 시간도 부족하고..낳고 싶지 않은 게 아니라 낳을 환경이 아니라는 본능적인 느낌
@user-wz4hl5qy2u
@user-wz4hl5qy2u 3 ай бұрын
그냥 늘 반복되는 대한민국 원인은 아는데 결과가 안바뀌는 그게 다.돈이지 아이가? 기득권층과 서민층의 차이 이게 점점 대한민국을 지우는 원인이 될듯 예전 가난해도 출산 많았지 근데 지금은 그게 안되지 보이는게 있는데 따라갈수도 없고
@whatsup9904
@whatsup9904 7 ай бұрын
2021년에 결혼한 부부 입니다. 저희도 아이 낳고 행복하게 살고 싶습니다. 하지만 둘이 벌어도 빠듯한데 한명이라도 쉬면 생활이 어렵습니다. 집은 영원히 꿈도 못꿀거 같습니다. 나이는 자꾸 먹어가고... 그에따라 아이가 안생길것에 대한 두려움도 많습니다. 만약 아이를 낳아도 우리가 부모역할이나 할 수 있을까 고민도 많습니다. 우리도 사랑하는 자식과 행복 하게 살아보고 싶습니다만 두려움만 앞섭니다...
@kangbitcoin
@kangbitcoin 7 ай бұрын
이게 현실인듯 서로 사랑해서 결혼까지 했는데 여건되면 안낳고 싶은사람이 어디있겠나요..
@user-oc55nj900a
@user-oc55nj900a 7 ай бұрын
그냥 둘이살아 낳으면 ㅈ된다
@user-tr1ip8nr4n
@user-tr1ip8nr4n 7 ай бұрын
둘이 벌어도 빠듯하면 그냥 두분만을 위해서 즐겨요 애 낳으면 ㅈ되는건 둘째고 그 애 도 ㅈ되요 그냥 즐겨요
@kimhyunwooPaul
@kimhyunwooPaul 7 ай бұрын
마음가짐이 틀렸네요! 아이 낳을 자격 없습니다!! 젊은이가 시작부터 이래서야 ㅉㅉㅉ
@thanku8765
@thanku8765 7 ай бұрын
애낳을때 필요한 조건이 두가지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는지. 정신적으로 부모가될만큼 성숙하고 인내심과 책임감이 있는지. 둘중 한가지라도 부족하면 아이가 불행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미루거나 안 낳는편이 좋습니다.
@user-si3zr7qw6v
@user-si3zr7qw6v 7 ай бұрын
이 상황에서 늘봄정책을 통해… 부모님은 일하세요… 아이는 학교에서 봐 주겠습니다…. 이게 학원이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점점 아이와 부모는 단절이 되고 부모는 그저 일만 하고 아이들은 보육시설에 맡기게 되는 이런 정책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그저 늘봄을 반대하는 것이 아닌 아이와 함께 하고픈 부모의 심정입니다.
@user-tb3vq9yw4n
@user-tb3vq9yw4n Ай бұрын
중소 입장에서 경험한 걸로는... 경력차서 연봉은 높은데 임신했다고 육휴를 달라고 한다? 그냥 내보내고 새 직원을 뽑아서 내 입맛대로 다시 가르치는게 이득이다 싶은거죠. 돈도 적게 줄 수 있고요. 사실 육휴 끝나면 그게 끝은 아니잖아요. 아기가 아프면 갑자기 연차를 낼 수 있는거고.. 조기퇴근을 원할 수도 있는거고... 그러면 일에 대한 부담은 남은 직원들에게로 넘어가는거고. 회사입장에서는 여자가 임신하면 이득될게 없습니다. 직원들끼리도 머리로는 이해하는데 막상 일이 늘어나면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어요. 그리고 이런 상황속에서 애 낳고 돌아온 직원이 일에치이고 육아에 치이고 집안일이 치이면서 힘들어하는게 보인다? 그럼 그걸 보는 미혼여자들은 아 역시 애낳지 말아야지. 다시 다짐하게 되는겁니다 😊 저렇게 사느니 내 커리어 지키면서 연봉올리고 하고싶은거 다 하면서 행복하게 살자~ 하고요 ㅋㅋㅋ
@yls239
@yls239 2 ай бұрын
8월 출산이데, 자영업자라 출산휴가도 없고..출산후 세달이라도 쉬면 내 명의 대출 이자는 계속 나올텐데 걱정임. 폐경이 가까워진거 같아 더 미룰수없어 준비한건데..대출이자 홀딩이라도 좀 해줬으면😢
@ACHLOS-tuim
@ACHLOS-tuim 7 ай бұрын
아프거나 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의외로 많아요. 온 집안과 부모의 인생이 고통의 구렁텅이가 되더라구요... 그래서 아이는 굳이 안 낳고 부부끼리 사는게 외롭긴하겠지만 편할것 같아요
@user-lp6mf9wz4d
@user-lp6mf9wz4d 7 ай бұрын
이건뭐 구더기무서워서 장 못담구네
@user-ku2ew4zn3p
@user-ku2ew4zn3p 7 ай бұрын
취업실패 무서웠을텐데 취업도전은 하셨나보네요
@SamGyetang1
@SamGyetang1 7 ай бұрын
부모는 자식을 낳으면 죽을때까지 평생 자식을 책임져야함. 왜냐? 그 자식은 선택권없거든. 부모는 원해서 낳았지만 자식은 원해서 태어난게 아니니까. 그러니까 부모로써의 책임감이 막중한거임. 그런데 거기다 아이가 장애까지있다? G7국가들이아닌 한국에서는 장애자식을 키우는 집은 아이도 하루하루가 지옥이지만 부모도 하루하루 지옥임. 그많은 시선과 편견과 차별을 버틸수가없음 한국에서는. 그래서 한국에서 살거면 딩크족도 괜찮은 선택임. 막상 자식들 다크고 나면 자식들이 챙겨줄줄아는데 아님. 그 자식도 자기 가족이생기면 부모를 짐으로 생각함. 자기가족 챙기기도 바쁜데 부모를 챙길겨를이없음. 오히려 서로 의지하는건 부부둘뿐임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7 ай бұрын
​@@user-lp6mf9wz4d이건 자식이라는 한 인격체의 삶도 달린건데 이걸 또 가벼이 말하네
@ACHLOS-tuim
@ACHLOS-tuim 7 ай бұрын
@@user-lp6mf9wz4d 장에 구더기가 생기면 그 장은 버리면 그만이지만, 생명은 그럴수가 없지요. 생명을 함부로 구더기와 비교하지마세요. 장애자녀를 50년이상 돌보는 게 얼마나 큰 희생이 따르는 지 겪어보고 말하세요
@habinna_
@habinna_ 7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로 느껴지는게, 20년 전 즈음엔 아이를 낳는게 마치 교과서 마냥, 수학공식 마냥 당연하게 생각하던거였는데 최근엔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의 부부들 중 반 이상이 아이를 안낳는다고 해서 체감이 오더라구요. 더군다나 아예 결혼 안하고 즐겁게 살고있다는 분들도 많아서...
@ddjdusb
@ddjdusb 7 ай бұрын
@@user-tx4jt3tu3k 당연히 편한건 딩크가 편하죠..애를 편하고말고때매 낳는게 아니잖아요ㅜㅜ둘이 사랑하니 닮은자식도 보고싶고 나이들면 점점 가족밖에 없을건데 자식없으면 배우자뿐인데 배우자가 먼저 갈 수도 있는거고 가족형태를 더 키우고 싶은건데 현실이 힘드니 다들 낳고싶어도 못낳는추세같음
@ABDD69
@ABDD69 7 ай бұрын
빨리 가질껄.. 할 때가 제일 빠르다.. 빚 2천이면 요즘은 있는 것도 아니고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7 ай бұрын
@@user-tx4jt3tu3k 딩크는 대체로 50대 되서야 후폭풍이 옴. 뭐 행복하게 산다면 그 후폭풍도 안 오는 경우가 있긴 한데 결코 많진않음. 애있는 부부도 비슷하게 후폭풍이 오나 애 때문에 위기를 참고 견디는거임. 다만 이거 구닥다리 생각인거 감안하기를 ㅋㅋ 요즘 보면 애 있으나 없으나 걍 못참고 이혼하는거 보면... 그나마 이혼 확률 좀 낮은거 때문에 틀린건가 긴가민가하는거지 이혼율 비슷했으면 난 내 생각 바로 집어던졌음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7 ай бұрын
@@user-tx4jt3tu3k 개인주의 확산도 있지만 안맞는 사람이랑 같이 사는 스트레스가 아이한테 악영향간다 생각하는 사람도 많으니... 실제로 이 문제로 마음에 상처가진 사람 8~90년대생들 엄청 많고 이 세대가 요즘 부부고 님도 이 세대인거같음. 그나마 님은 연애결혼이지만 여전히 조건 선 결혼 많기 때문에 이쪽이 이혼률 엄청 높음
@illililillli
@illililillli 6 ай бұрын
형님들 이렇게 먹고살기가 힘든데 내와이프는 서양엘프녀들도 안가고 애 평균 10명씩낳는 아프리카여성들도 안가는 산후조리원을 못갔다고 난리치는데 어쩌면 좋나요ㄷㄷ 남자가 6천을 가져오면 여자도 6천을 가져와야한단말에 동의하고 일본녀들처럼 더치페이도 당연하게 생각해서 결혼했는데 갑분 강남 산후조리원??이래서 외국녀가 답인가 봅니다 전세계중 한국만 산후조리원 가는거 아시죠? ​ ​ ​ ​ 아는형님도 요즘 25살연하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금발 미녀들이랑 선보는중임. 그여자분들은 남자가 200을 벌어도 감사할줄아는 여신님들임. 아님 20대초반녀 만나세요 20대초반녀는 50만원 식사만 대접해도 꺄르륵 웃었을거임. 내와이프는 100만원짜리 산후조리원가자고;; 남자는 하루 12시간 뼈빠지게 일하는데 여자는 한달월급 반이나 마사지받는데 쓴다니ㅋㅋ 니가 돈벌어하길. 독박육아타령하는 여자들아 남자들은 독박일 한다. 애낳아준다 표현하는 여자들도 믿거해라. 페ㅁㅣ란증거다. ​ ​ ​ 남자들은 평생 뼈빠지게 일하는데 여자들은 애낳았다고 핑크 여성전용 좌석주고 인생 쉽게 편승하고 시피알도 성추행합의금 요구할까봐 못받고 말이죠. 남녀평등을 바란다면 엘프 유럽녀들처럼 군대가야 하는거 아닙니까? K님들이 남편이 월30만원 벌어도 아이 순풍순풍낳는 동유럽미녀들을 이길수있을거라 생각함?요즘 bts한국남자들 인기 세계권인거 암? 심지어 송중기는 선진국미녀랑 애낳았다.
@user-bg2ez6kj5o
@user-bg2ez6kj5o 3 ай бұрын
다른 영상은 그저 애안낳는다 딩크다 문제다 이런 얘기만 하는데 이 영상이 많이 와닿네요 딱 그말이 맞아요 우리는 딩크가 아닙니다
@Taiwan_Baixiong
@Taiwan_Baixiong Ай бұрын
근데 ㅠ 막상 안정된다음에 애기 가져야지 생각하면서 미루다가 애기갖고 싶을때면 생각보다 그렇게 쉽지 않은것이 임신 … ㅠ ..생각이 있으면 한 살이라도 어렸을때 노력하는게 맞을듯
@user-yo2ke8rn4l
@user-yo2ke8rn4l 7 ай бұрын
저도 어릴때 부모님께서 맞벌이를 하셔서 저녁늦게까지 어린이집에 남아있었는데.. 다른친구들 한명한명 집에 갈때마다 넘 속상하고 외롭고 울엄마는 언제오지 이런생각만 했었음다.. 아직 아이라서 표현력이 부족해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뿐.. 늦게까지 어린이집에 남아있는거 아이 정서상 좋지는 않아요ㅠㅠ
@user-ji4gj7ne6v
@user-ji4gj7ne6v 7 ай бұрын
사실 그 어린이집 세대가 지금 출산적령세대라 안낳는것같아요…
@HappyDays12189
@HappyDays12189 3 ай бұрын
ㅠㅠ 기억난다 울부모님 공무원인데도 불구하고 매일 꼴지로 누나랑 남아서 엄마아빠 기다렸는데 ....
@kokococo1468
@kokococo1468 3 ай бұрын
그런데 외국인도우미에ᆢ늦게까지 돌봐주는 초등학교열어줄테니 일은 더하고 아이는 기관에 외부인에 맡기라니 하~~완전 정책미스에요
@user-ke7dh8lg7f
@user-ke7dh8lg7f 7 ай бұрын
아이는 생각보다 자주 아파요 ㅠ.ㅠ 연차로 해결이 안됩니다… 무급이어도 괜찮으니 연차를 좀 더 쓸수 있다면 좋을거 같아요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7 ай бұрын
맞아요.... 진짜 그러더라고요 옛날에도 전염병은 많았는데 요즘 더더 많아져서 진심, 엄마아빠들 힘들어보이세요
@user-pl6zn1nh5h
@user-pl6zn1nh5h 7 ай бұрын
아이는 생각보다 냅둬도 잘큽니다...
@user-os7yw2vi7g
@user-os7yw2vi7g 7 ай бұрын
​@@user-pl6zn1nh5h열이 39도가 되도 혼자나두면 잘커요? 열안내려가면 사람 바글바글한 소아과가서 한두시간기다려서 수액맞고 집에오면 반나절은 다까먹어요 독감 수족구 코로나 격리 일주일 편도부어도 열 많이 오르고.. 격리하면 집에 혼자나둬도 되요? 말같지도 않은 소리를 하고 있어 한 사람은 애옆에 붙어 있어야되는데 그거때문에 연차자유로운 직업이 인기인거에요 정 안되면 한명은 그만두던지..
@user-zk1dy3yq2r
@user-zk1dy3yq2r 7 ай бұрын
맞아요 자주아파요ㅜㅜ
@user-kj4kc7rj4t
@user-kj4kc7rj4t 7 ай бұрын
@@user-pl6zn1nh5h 니 부모가 널 너무 냅두고 키웠구나.. 이렇게 생각없는 말을 하는거 보면......
@user-qd4ul1dp5s
@user-qd4ul1dp5s 4 ай бұрын
재택근무가 답일지도 모르겠네요 생산라인은 육아휴직을 강력히 주던지 일반 사무직은 시간조정을 하든지 해야죠
@worldn180
@worldn180 4 ай бұрын
일보다 가정을 더 우선시하는 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자리잡기 전에는 출산율 다시 올리기 어려움
@shinijoe
@shinijoe 6 ай бұрын
너무 깊기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정치레기들 진짜 출산, 육아정책에 너무소홀하구 비현실적입니다. 이민을 고민하게 되네요.
@joohalee7389
@joohalee7389 7 ай бұрын
기관에서 아이를 늦게까지 봐주는게 중요한게 아니에요 ㅠㅠ 4시에 하원하는 우리애도 맨날 더 빨리 와달라고 늦으면 속상해해요.. 어쩌다 하루 일찍 하원해서 카페라도 같이 가면 자기전에 오늘 행복한 날이었다고 엄마를 더 많이 봤다고 합니다..ㅠㅠ 이런걸 뻔히 아는데 아이가 친구들 앞서 하원하는걸 보면서 기관에 엄마,아빠 오래 기다리는걸 생각하면 ㅠㅠ 일하고싶지만 참게돼요 ㅠㅠ
@min-kj7wz
@min-kj7wz 5 ай бұрын
완전공감요ㅠㅠ 우리애기도 할머니가 5시반에 차량받아주는데, 제가 정시퇴근하고 가면 7시넘어야함.. 애가 무슨죄ㅠㅠ
@halfbyolk
@halfbyolk 4 ай бұрын
이 덧글 보고 애가 보고 싶어하는게 응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하루 타임테이블 써보면 답 나와요. 저는 애를 하원하면 거의 7시인데 그럼 집에 와서 먹이고 씻기고 10시에 재운다고 생각해도 애랑 같이 있는 시간은 4시간 가량밖에 안됩니다. 아침에도 등원준비하는 시간 더해봤자 1시간이구요. 그럼 하루에 엄마아빠랑 보내는 시간이 5시간 근처란 소리에요. 애 입장에선 엄마아빠가 보고 싶어질만도 하고요.
@user-ui6vg5lp5m
@user-ui6vg5lp5m 4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신랑도 일이 있고, 피치 못한 야근으로 저도 한번 7시30분까지 애를 맡긴적이 있는데, 애가 한 두명 남아서, 온갖 눈치밥은 다 먹고.. 그거 몇 번 하고는 애 학교들어가면서.. 돈 한푼 더 버는 것이 뭐가 중요하냐. 내 애가 더 중요하지!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진짜 내 자신만 생각하면 지금 다시 일하고 싶지만 참게 됩니다.
@user-ib9lv1iv1c
@user-ib9lv1iv1c 4 ай бұрын
최신순 내글 참조
@user-om2gt3xf7h
@user-om2gt3xf7h 3 ай бұрын
아.... 글 보자마자 눈물터짐..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Ай бұрын
아들셋을 낳았습니다. 남편이 돈을 잘 벌어서가 아니라 제가 전업주부였기에 마음놓고 키울 수 있었어요. 육아는 24시간 365일 쉴 수가 없어요. 아무래도 아이가 뱃속에서부터 엄마와 교감을 많이 해서 엄마를 더 찾는 경향이 있어서... 고소득 고학력 여성일 수록 커리어 포기하고 아이를 키우기가 어렵습니다. 적어도 아이들 몇 살 될때까지는 밤에 잠도 못자고 병치레도 많이 하구요. 믿을만한 가족이 아니면 베이비시터도 쉽지 않구요. 아이 하원시간이나 아이와 병원가는 시간 등을 회사에서 자유롭게 보장해주면서 1달에 몇 시간이상 근무시간을 채우는 방식으로 유연근무가 보장되면 좋겠어요.
@user-pb7kt3xb6o
@user-pb7kt3xb6o 5 ай бұрын
요새 감기도 독해서.....저희 아들 한달에 유치원 1주는 빠져요 ㅠㅠ 비염도 있고.....맞벌이 꿈도 못꾸고요.... 나이들어 아이 낳아 애가 약한가도 싶고.....애가 자주 아파 맞벌이 안해도 힘들어서 죽을 것 같은데 돈없는 젊은 부부들은 어떻겠어요??
@user-lp6tt2vb9f
@user-lp6tt2vb9f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전 세계 유례없는 후진국에서 엄청 빨리 성장하여 선진국이 되었는데, 그에 따른 부작용이 어마어마 한 것 같습니다. 이건 다른나라 연구원들의 연구감임... 개인주의 가치관,본인인생 중요,빈부격차,상대적 박탈감,젠더갈등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지만 그 중 가장큰 요소가 "급 발전한 시대에 못따라온 기업문화" 이게 맞는 것 같습니다. 유럽도 여성이 일을 하거나, 복직에 유리한 기업문화 일수록 출산률이 높게 나타난 통계가 있습니다.
@user-qoraksrnehrwkrkwk
@user-qoraksrnehrwkrkwk 7 ай бұрын
아이를 낳느라 출산휴가를 쓰면 많은 기업의 경우 고과를 바닥으로 깔아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중에 회사에 다시 돌아간다고 해도 연차가 밀려서 승진이 어려워지죠. 나가야 하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생기면 돈은 더 들어가는데, 내 수입은 굉장히 불안정해 지는거죠. 요즘 세대는 일생을 걸고 낳아야 하는겁니다. 뭔가 하나 틀어지면 노후파산할 수 있어요.
@seulkeelee2977
@seulkeelee2977 4 ай бұрын
사실 전 49살 일찍 유학 하면서 영국에 20년 넘게 살고 있고 첫애는 지금 대학생이고 둘째는 내년에 대학을 가는데... 정말 힘들죠 애들 키우는게...1명 벌어서 4명 먹여 사는게 쉽지 않은듯..내 인생이 없이 살았네요... 다시 하라고 하면 그냥 결혼 안 할듯..참고 하세요
@user-id8rc6pn9u
@user-id8rc6pn9u 23 күн бұрын
이게 맞아요 애 키우면서 내 인생과 내 시간 없이 직장다니며 돈벌고 육아하며 희생하며 바둥바둥 살고 육아 비용으로 돈은 없고.. 돈.시간 희생(+경력단절)이 너무 커서 육아맘들끼리 대화해도 돌아가면 애 안낳을거라는 사람 많아요 요즘 사람들은 출산이 단점.희생이 많다는 걸 알기 때문에 안 낳는거예요
@shee-li5ok
@shee-li5ok 10 күн бұрын
49살 이시고 자식들 대학생이면 다들 알아서 대학 학자금 대출 받아서 값으라 하고 님은 애들 용돈만 주세요 ~ 미국 영국에서는 제 주위 친구들 다들 학교에 매점이나 식당에서 알바하면서 학교 다니도 여름방학은 3달 내내 빡쎄게 일해서 돈 값고 해요 . 대학생까지 키워줬음 이제 자기들이 자기 앞길을 해쳐나가야죠. 외국은 18살이면 성인이라고 결혼도 할수 있는 나이잖아요?! 님은 이제 영국에 살고 계시니 주위 유럽 등등 유럽 다니시고 볼링 . 테니스 . 수영 등등 하며 취미생활 갖으며 편하게 사세요 ~ 자식들 너무 돈 다 다줘도 자립심 없어진답니다. 미국엔 이래서 일찍 군대가는 사람들도 많고 ROTC로 대학 등록금 안내는 친구들도 있어요 . 힘내세요!
@shee-li5ok
@shee-li5ok 10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왜 영국에 살면서 혼자 일하세요 !? 부인되시는 분한테 한국 마트 한국 음식점 일식점 아님 공장 등 조금이라도 파트타임 일 해서 도움을 받길 원한다고 말해보세요 . 혼자서 다 끌어안고 고민하는것 보다는 도움을 요청하는데 가장 현실적이고 건강한 대답을 받을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dotnetguy83
@dotnetguy83 28 күн бұрын
일 때문? 일하고 싶어서 일하는 사람 몇이나 될까. 돈 때문에 일하고, 돈으로 이 좋은 세상 누리고 싶어서다. 아이를 키우기 보다는 돈을 벌어서 잘 살고 싶은 개인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인스타 같은 SNS 트랙픽 증가와 출산율 감소의 역의상관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다. 여기까지는 개인의 책임. 국가에게도 굳이 책임을 물으면 집값등 개인이 돈에 집착할 수밖에 없게 만든 방조한 것이지 않을까...
최화정이 5분만에 만든 역대급 맛있는 다이어트 피자 (+럭셔리 참외샐러드)
13:02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
00:29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77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97 М.
월급 200 MZ의 막장소비
5:53
지식현미경
Рет қаралды 20 М.
6ㆍ25전쟁 목숨을 바친 영웅들
28:0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73 М.
별짓 다 해본 유럽의 저출산 대응 전략
11:41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90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