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현스님 천재십니다 이시대의 부처님이십니다 어디에서도 들어보지못한 진귀한 말씀 불법승 문화 역사 명강의 넘 재미나게 말씀해주시니 귀에쏙쏙 들어옵니다 다시 공부하며 행복하게 지내고있습니다 방송 유트브로 스님 만나뵙지 얼마 않되었지만 진귀한 말씀에 푹빠졌습니다 무소유 집착 마음에 와닿습니다 스님 존경합니다 _()()()_
@hyesookjun20412 жыл бұрын
율장까지 하셨으니~~~~ 공~~~~또한.... 유일자현스님의 자유로움!!!! 감사합니다.
@김무정-m8j Жыл бұрын
부처님 돌아가셨을때 왜 최고제자 마하가섭은 그자리안계시고늦게 소식접했을까 궁금했었는데 마하가섭의 강건주의그리고 아난과의 마찰 등 일련의여러 사건 듣고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어디에서도 듣지못한 그리고 못할 자현스님 법문.같은강의 매번 들을때마다 새롭게 한가지씩 귀트이고 감동받고있습니다❤
@박미옥-b6g3 жыл бұрын
관세음보살()()() 진기한 법문 감사합니다 🙏🙏🙏
@불법승3 жыл бұрын
무소유와 집착~ 잘 알았습니나. _()_
@김지현-o2s8j2 жыл бұрын
감사히 들었습니다 늘상 고맙습니다 일 하면서 들으니 너무 좋아요^^ 간강하시길 기도 합니다~^^
@금강심오산3 жыл бұрын
정말 오랫만에 일년전 붓다로드 청하옵고 감회가 새롭습니다 스님뵈니 좋아요
@marianna68623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덕분입니다
@JJB_XP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oyeon2083 жыл бұрын
스님 감사합니다 🙏
@유미리-k3p3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선불교연구소 응원
@민재김-h1k3 жыл бұрын
덕분입니다
@전민채-l5l3 жыл бұрын
스님 감사합니다
@leemina491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삼보 에 귀의 합니다.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불교보배 자현스님 선불교연구소 응원합니다
@조미숙-l2x7j4 жыл бұрын
불교계의 아이돌 스님! 감사합니다
@김무정-m8j Жыл бұрын
기도혁명 오대산 월정사 금강경봉찬기도 응원합니다🎉
@새벽숲2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감사합니다 💜 💜 존경합니다 🙏 🙏 🙏
@여길상4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도 오래된 사람 🥰🤣👍
@namugomu79814 жыл бұрын
거룩하신 부처님. 가르침에 감사합니다.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덕분입니다~ 불교공부가 참말로 재미있습니다 스님 짱이십니다~~~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스님 법문으로 행복한하루시작합니다 자현스님이 이~시대에 격셔서 참말로감사합니다~
@마음의달-c8u4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 잘들었습니다 () 스님덕분에 많은걸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oyeon2083 жыл бұрын
붓다로드를 통해 최고의 불교포교를 하시는 자현스님 감사합니다
@jcamnr08334 жыл бұрын
스님, 감사합니다 _()_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선불교연구소 응원합니다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시방세계 모든부처님 자현스님 덕분입니다^^
@sylee28723 жыл бұрын
익은 벼가 고개를 숙이듯이 많이 가진 후에ᆢ많이 배운 후에 오는 겸손이 진짜
@chriseau36404 жыл бұрын
항상 많은걸 배워갑니다. 자현스님 방송은 종교를 떠나서 큰 가르침을 주는 아주 유익한 방송입니다. 항상 감사.응원.지지.사랑 합니다
@하늘스케치-x4f4 жыл бұрын
스님법문 완독중입니다.
@eunsunko56174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오늘도 좋은말씀 강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한외자-y1g3 жыл бұрын
불교보배 자현스님 선불교연구소 응원
@soyeon2083 жыл бұрын
놀랍고 진기한 이야기~
@user-ny1ii6eq5j3 жыл бұрын
덕분입니다~ 자현스님계셔서 불교미래가 밝아질것같습니다 스님 두손모읍니다~~~
@김민영-l5j9z3 жыл бұрын
소유 집착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 이었어요 감사합니다 자현스님~ ^^
@kkingkkyong2 жыл бұрын
불교가 이렇게 재밌었나? 시간 가는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최영준-g3t3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선불교연구소 응원 합니다
@조영숙-d2x5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우신 부처님 부처님! 많은 공부를 통해 중생을 깨우쳐주시는 자현스님!
@예말숙-z4y4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고맙습니다
@골드문-o5o5 жыл бұрын
깨달음 어렵지만 감사합니다 정진 하겠습니다
@민일홍-k4v4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이 말씀이 집착은 어떨지? 중독 뎝니다
@미정-y3k4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oyeon2083 жыл бұрын
집착~! 놓기가 참 어려워요
@일체지4 жыл бұрын
1년전 들을 때와 다른 느낌으로 이해가 잘 되네요. 집착이 고통임을ㅠㅠ 소유하지 못함에 무한 집착하는 제 자신을 바로보며 알아차리고 있는중입니다. 자현스님! 고맙습니다()()()
@지금-b3k5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동진심-v8y2 жыл бұрын
귀한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stevenrhee83984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양반 사대부들은 항상 청빈을 자랑삼아 말하면서 자신이 지은 시나 시조속에 항상 그같은 사상을 집어넣었다. 그러나 글로 읊조리는 것과 실제 자신들의 생활은 완전히 달랐다. 고래등같은 기와집, 드넓은 토지, 그리고 그땅에 일개미처럼 들러붙어 경작하는 노비들을 소유한 부자들이었다. 조선 사대부들은 거의 대부분이 그같은 이중적인 삶을 살았다.
@kwonskang19164 жыл бұрын
청렴한 이황? 노비만 367명에 땅부자! 조선 시대 청렴함의 상징이었던 선비들이 사실은 땅과 노비를 거느린 재력가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계승범 서강대 대우교수는 신간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역사의아침 펴냄)에서 사회지배층이자 지식인인 선비가 본연의 임무에 태만하고 책임감도 부족했다며 정면 비판했다. 저자에 따르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선비인 이황 역시 노비만 367명을 거느렸고 논과 밭을 각각 1166마지기, 1787마지기 가진 땅부자였다. 청빈낙도를 실천한 선비가 없지는 않았겠지만 현재까지 이름이 전해 내려오는 선비들은 대부분 막강한 재산가라는 분석이다. 저자는 왜곡된 선비상이 계급과 남녀 차별 같은 그릇된 유산을 남기는 등 현대사회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계 교수는 “객관화의 과정을 밟은 후에야 유교와 선비는 진정한 전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귀여운아희3 жыл бұрын
꼬우면 평균 세율 70% 헤븐 니뽕으로 꺼지시던가
@민일홍-k4v4 жыл бұрын
안녕히 주무세요
@모두가꽃이야 Жыл бұрын
다음이야기가 더 궁금해집니다❤ 감사합니다~~
@김무정-m8j Жыл бұрын
🙏🙏🙏
@yumilaura38705 жыл бұрын
지혜롭고 사랑스러우신 부처님 그 부처님의 사랑을 알고 느낀 예수 예수의 사랑은 부처님으로부터 나왔다~
@은소회3 жыл бұрын
비우는 생활을 해야 되는데 잘 안되유~~^^
@namugomu79814 жыл бұрын
아난 선지식님. 마하가섭 선지식님. 오늘도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천경희-b9h4 жыл бұрын
나무석가모니불 문수사리 보현보살
@굿-q5x3 жыл бұрын
자현스님은 40대 후반으로 보이시는데...어찌아시는지^^나이가 궁금해집니다~ 저는 빨간 사루비아 따서 빨아먹던 기억이 아스라이 남아있는 50대 말띠랍니다😁
@쟝짱구4 ай бұрын
우와 싯타르타님 존명 대박 ㅇㅅㅇㄷㄷ
@김정숙-e6n1l3 жыл бұрын
스님 성불하세요
@문영아-m5b3 жыл бұрын
2021😗6😘12 굿.😍🤗☺😚😙.
@정숙희-r7i2 жыл бұрын
스님 👍 뵙고 싶습니다
@dreaming6064 жыл бұрын
마하트마 아사리 선교양수 확철대오,,,,
@이용석-f3y3 жыл бұрын
佛道를 이루겠다는 誓願이나 타인에 대한 사랑, 자비 역시 어떤 면에서 보면 집착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또한 中道란, 말 그대로 어느 정도 소유나 집착도 허용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도 생깁니다. 그 정도의 기준을 초월하는게 중도인가요? 아렵지만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南無 阿彌陀佛
@모덕용4 жыл бұрын
집착과 욕심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지난번 강의에 스님께서 사람이 스트레스가 없다면 발전이 없다며 개인적으로 적당한 스트레스가 좋다고 말씀 하신것 같은데 ~그렇다면 욕심과 집착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욕심과 집착은 함께 가는게 아닐까요? 욕심이 생겨야 그걸 얻기위해 어떤 대상에 집착도 하며 또 그 과정에서 적당한 스트레스도 받고~미묘한 차이 같지만 욕심 집착 스트레스 발전이 모두 같이가는게 아닐까요? 지나치면 안된다는 전제조건이 따르겠지만요
@lets10624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은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법을 설하십니다. 내 생각입니다만, 욕심도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한 욕심이라면 괜찮지 않을까요? ^
@GT0502 жыл бұрын
꿈꾸며 버티는 중
@user-qs9vm2ve8r4 жыл бұрын
지겹지 않음에도 있지 않을가요?
@김광태-s4 Жыл бұрын
인간의 행복은 타인 과 평등 하면 행복은 사라진다. 타인 보다 재산, 명예, 철학 이 높아야 행복한거 같다.
@흐르는흙2 жыл бұрын
마하가섭은 아라한의 반열에 있지 않았나요? 아라한이면서도 문제가 되는 생각을 하고 있는지요?
@soyeon2083 жыл бұрын
나무 불법승
@최영수-v3q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아요 너무 합니다 😢
@sarettayap57272 жыл бұрын
南無阿彌陀佛🙏🏻
@태경엄-w6o2 жыл бұрын
공의파는 인도 남부에서나 될 가말까?
@칠십평생3 жыл бұрын
무소유는 자이나교의 종지 이고, 무집착이 불교의 종지 입니다.
@YoungKim-d8s Жыл бұрын
요점은 어떤사람
@전은숙-m6r3 жыл бұрын
집착-쓰레기산-이삿짐멘붕 😵💫🤑🤤
@백문일견-v9m3 жыл бұрын
당시 포교지역들이 겹쳤던 엄격고행주의 자이나교와 그 보다도 더 엄격고행주의 교단이자 인간 행위의 의미성을 부정한 아지비카 교단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면 좋았겠다 싶습니다. 자이나교를 공부해 보고 직접 자이나교 계율을 수행해 보면 왜 인도에서는 불교는 사라졌는데 자이나교는 2500년 이상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반면 자이나교는 지금도 인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불교는 한때나마 세계를 제패 했는지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제바달다의 주장 중에 유일하게 타당한 것이 고기를 먹지 말자고 한 것인데 이것은 나중에 대승에서 채택 됩니다. 불교의 문제는 당시에 우리가 외도 라고 아에 거뜰떠 보지도 않은 자이나교, 아지비카교, 바라문교 같은 경쟁종교들을 살펴 보면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바달다 문제도 자기가 탁발을 다녀 보면 같은 탁발수행자 처지인 자이나교 수행자들이 육식공양을 거부 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고 젊은 혈기에 그들 보다 더 우수한 수행자가 되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비록 신통이 있었다고 전하지만 부처님 같은 깨달음이 부족했기에 지금 우리가 보기에도 어리석기 짝이 없는 주장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철저한 불살생과 완전 채식만을 하는 자이나교 수행자들도 우유는 먹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