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고 싶은 사람들과 불편한 사이가 되는 사람의 특징 (권진숙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284,203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Жыл бұрын

「 오늘의 심리학자
감리교신학대학교 권진숙 교수
- 미국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박사 졸업
- 미국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석사 졸업
- 전) 미국 목회 상담 협회 전문가 (AAPC Fellow)
- 한국목회상담협회 감독
- 한국기독교심리상담학회 수련 감독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전문 심리상담가 1급
-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 한국상담학회 정회원
저서 『관계문화이론』 등 」
■ 놀심 온라인 클래스
ㆍ어딜가나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심리 커뮤니케이션
[클래스101] 강의구성 보러가기
class101.app/e/psyup-class
ㆍ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Пікірлер: 528
@user-mz4ez9bs5j
@user-mz4ez9bs5j Жыл бұрын
앗 나다 나! 부모에게 인생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지 못한 사람 나야나! 먹고 살기 바빠서, 무지해서, 낳기만 하면 지 알아서 살면서 삶을 깨닫게 되는 줄 알았던 부모님 둔 사람 나야나! 그래서 유튜브로 조언 듣고 인생공부 하는 사람!
@user-hk3iy1oq4b
@user-hk3iy1oq4b Жыл бұрын
짱짱굿굿! 멋져브러
@in5521
@in5521 Жыл бұрын
저도요!
@user-tk6uj7ck1c
@user-tk6uj7ck1c Жыл бұрын
여기도 추가요 마흔이 넘어도 .. 부딪히고 깨져야 배우게되는일이 계속 생기네요 ㅋ
@autumnsky10
@autumnsky10 Жыл бұрын
나역시 마찬가지지만, 어릴때 부모를 원망많이 했었지 근데 내가 부모나이 이젠 그 이상이 되어보니 그저 나의 부모들이 불쌍하게만 느껴진다 그들도 사랑을 받아본적이 없었기 때문이고 그들도 소통을 받아 본적이 없었으므로...
@user-ib6kz2oi2e
@user-ib6kz2oi2e Жыл бұрын
귀여워... ㅎㅎ 우리 같이 배워나가요!!😂
@greenlim1948
@greenlim1948 Жыл бұрын
상처받은 아이들이 많아서 저출산 원인이 되는거 같아요. 상처받고 커서 치유도 다 안됐는데 아이를 낳고 키울 에너지도 없고 내가 상처를 대물림 안할 자신도 없어요. 아무리 애써도 애초에 행복하게 큰 사람만큼 해맑게는 못 키울거고..
@user-akfjkjsgf
@user-akfjkjsgf Жыл бұрын
나는 자살 안하구 히키코모리 안 되고 사회생활하는 것 만으로 대단하다 스스로 위로하며 살아갑니다. 셀프토닥토닥
@cjboidypvud
@cjboidypvud 4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짜랬다!!🤗🤗 성장하고 발전 하셨네요 대단하세용
@baechumzee
@baechumzee 4 ай бұрын
나돈데
@cjboidypvud
@cjboidypvud 4 ай бұрын
@@baechumzee 멋지시네요~ 대단~~👍
@user-rl6rw6ml8d
@user-rl6rw6ml8d 4 ай бұрын
@menoexist3971
@menoexist3971 2 ай бұрын
멋있다❤❤
@user-un7zh7yp4z
@user-un7zh7yp4z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관계의 유산을 받지 못하는 유형의 집안 1. 집안에 비밀이 많다. 우리아버지 술많이 먹는다고 말하지 마라 등등의 가정안의 여러가지일을 비밀로 하라고시킬때 내가정에 대해 수치심이라는 감정을 갖게된다 2. 공감을 받지 못하는 가정. 부모가 없이 자라거나 공감해주지 않는 부모와 사는 가정 3. 애가 부모를 돌봐야하는 가정 애늙은이로 자라서 정작 성인이 되면 가족이나 애인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보이게 된다. 관계 자산이 필요한 사람은 1. 심리치료를 받으므로 내가정을 내부모를 다시 보게된다. 자서전쓰기.내인생의 가장 중요한사건 5가지를 써본다. 내가 나를 객관화하게 된다. 내 상처를 충분히 애도 하게 된다. 애착 외상트라우마가 있을수 있다. 트라우마는 극복이 어렵다는것을 인정해준다. 정확한 병식을 갖자. 2. 관계능력이 있다는 사람은 자신을 알고 상대방도 아는사람이다. 내가 부족한걸 아는사람. 말수가 없어요. * 인간관계의 가장 중요한 2가지 상호성과 진정성 나를 이야기하고 상대의 이야기도 들어주는 상호성있는사람. 진정성있게 자신을 보여주는사람이 매력이 있는 사람이다. 부모님이 힘껏 키워주심에 감사를 드리고 부모님께 물려받지 못한 부분은 관계의 자수성가하도록 배워나아갑시다.
@user-mn2kj4rl3z
@user-mn2kj4rl3z Жыл бұрын
귀한 시간 내서 요약해주시니 감사합니다.
@Ann_of_green_gables
@Ann_of_green_gables Жыл бұрын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n7zh7yp4z
@user-un7zh7yp4z Жыл бұрын
정리해보면서 저도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
@wisdomj2h
@wisdomj2h Жыл бұрын
귀한댓글입니다 ㅠㅠ
@qkejfjfnxkskajdkaj
@qkejfjfnxkskajdkaj Жыл бұрын
요약 감사합니다
@Fri_PM_0530
@Fri_PM_0530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부모세대가 아이들을 잘못 키워왔으면 상처받은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가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의 원인중에 저런 이유도 있을것 같아요
@qlxm12
@qlxm12 Жыл бұрын
@@user-vd4gt7kd8r 맞아요 너무 공감되는 말씀이네요. 지금 저출산인 이유가 단순히 집값이 비싸고 애를 돌볼시간이 없어서 뿐만이 아니라 그거 포함 부모의 정신이 온전치 못하니 자식들한테까지 영향이 고스란히 끼쳐지는것같습니다.
@GRATEFUL77
@GRATEFUL77 Жыл бұрын
그 부모님들의 부모님들도 간신히 살아남아서라고 생각해요 ㅠ
@_yulnang
@_yulnang Жыл бұрын
부모의 부모도 고통받은 세대였기에
@bohwang8513
@bohwang851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부모조차도 전혀 행복해보이지않음 두분다 내면에 깊은 정신 심리문제 느껴짐 이래놓고 애는 쳐 낳으라지
@tobehappy11
@tobehappy11 Жыл бұрын
물질적 금수저 만이 아니라 정서적 금수저도 존재하는것 같습니다. 부모님으로 부터 받는것이 경제적인것에 만 촛점이 맞춰있는데 사실 이렇게 대화법 가정의 규칙 관계 맺는방식 등이 더욱 많은거 같습니다 오늘도 격한 공감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bohwang8513
@bohwang8513 Жыл бұрын
차라리 가정이어려워서 물질적으로 풍족하지 못했더라도 정서적 빈곤함 물려주는것보단 훨씬 낫죠 그게
@user-po8sw5ru1o
@user-po8sw5ru1o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TheKillHeels
@TheKillHeels 7 ай бұрын
저도 살면서 같은 생각한 적 많어요. 사회생활하며 만나는 사람들 중 편하고 예민하지도 않으면서 여러 다른 사람들과 상황에 포용력있는 사람들보면 참 부럽고 편했는데 그들의 부모를 만나고 보니 답이 보이더라구요
@user-zz3tr6qw4g
@user-zz3tr6qw4g 7 ай бұрын
​@@bohwang8513물질적으로 풍족한 집이 정서적으로도 풍족할듯
@user-bw9kd6tf2o
@user-bw9kd6tf2o 7 ай бұрын
물질부족 정서부족이면 답없음 왜낳았지 싶음 자식을
@jaeyunkim2087
@jaeyunkim2087 Жыл бұрын
이거 완전 내 이야기네… 부모가 의식주 랑 학비만 해주면 된거지 … 란 지극히 옛날 사람 손에 자라나 보니 그냥 고아처럼 자란 기분이 너무많이 든다 물론 내가 받은것도 받지 못한채 살아오시는 분도 많겠지만 .. 대화나 감정의 교류가 전혀 없는 집에서 살아온다는건 그냥 고아로 자라는 것과 다를바 없네요
@maxkoo2926
@maxkoo2926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네요. 힘드네요..
@user-uw3it1fy6s
@user-uw3it1fy6s Жыл бұрын
요즘20대부터 40대까지 거의 이렇게 커온듯요..자수성가하고싶네요
@chanhim6316
@chanhim6316 Жыл бұрын
저랑 같네요..
@user-mf7jv1uk1h
@user-mf7jv1uk1h Жыл бұрын
89년생, 35인데 이 문제로 괴로워하면 주변에서 많이 놀라던데.. 실례지만 나이가 어떻게되세요? 저희부모님 5060 시골분의 표본인데, 애석하게도 제 주변친구들은 이런부모가 아니였답니다..
@maxkoo2926
@maxkoo2926 Жыл бұрын
@@user-mf7jv1uk1h 동갑이네요 ㅋㅋㅋ
@Jane-dc6wd
@Jane-dc6wd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다 보고 나니 “나는 트라우마가 있는 사람이구나” 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유년시절의 부모님과의 관계는 크게 나쁘지 않았는데 친오빠가 청소년기로 접어들 때부터 20대 초반까지 친오빠한테 참 많이 맞고 싸웠어요. 처음엔 그저 맞다가 나중엔 발악하며 싸웠죠. 싸우게 된 이유는 부모님께 수차례 도움을 요청했으나 “니가 잘못했으니까 오빠가 때리는 거지” 라는 말이 되돌아오기를 반복하니(맞은 이유는 숙제 땜에 컴퓨터를 해야하는데 오빠가 게임하고 있어서 두시간만 비켜달라 했기 때문) “나는 내 스스로 보호할 수 밖에 없고 부모는 나의 울타리가 아니었구나” 라고 느낀 후로 성격이 점점 모나지고, 밖에선 그래도 밝은척 잘 지냈지만, 모든 친인척들과는 거리를 두고 친척집에 가도 어느 방구석에서 나가지 않게 됐어요.(친인척이 6살 때부터 외모지적과 남자로 태어났어야 한다며 저의 성을 거부하는 듯한 발언을 습관처럼 얘기 함) 그래서 나는 가족이란 이름의 사람은 있으나 가족은 없다구 생각하게 됐어요. 그 누구도 있는 그대로의 나와 나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도와주지 않으니까요. 이렇게 10대를 보내고 성인이 되니 저는 저 자신 빼고는 아무도 믿지 않고 그 누구도 나를 공감해줄 수 없다고 생각했고 얕은 인간관계를 유지 하며 살아왔어요. 그런데 살면서 나름 잘 감췄다 생각했는데 이런 아픔은 어디로든 스며나오고 터져나온다는 것을 30대가 되어서야 느꼈고 아무리 노력해도 나아지는 거 같지 않았는데(부모님 관련 상담도 3개월 정도 받음) 이 영상을 보니 다시 힘내서 자수성가 해보고 싶어졌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꼭 성공해볼게요!
@cjboidypvud
@cjboidypvud 4 ай бұрын
헉 저랑 구구절절 같으시네요 저는 그래서 얼마나 억울하고 버림받은 느낌이 나던지 ㅎㅎ 저는 극단적 생각도했거든요 인생이 행복하지 않고 버림 받은인생이라 생각했거든요 난 필요없다고 생각했구요 근데 저희 부모님은 살아온 환경이 남아선호라 계다가 수직적 관계라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대드는걸 못보시는 분이셨어요. 그리고 제가 예민하고 스트레스에 취약해서 감정 표현을 격하게 폭력적이게 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어요 ㅎㅎ 과하게 반응한.. 이런것들을 이해하니 좀 맘이 편해졌어요 ㅎㅎ 인간관계도 참 얕아서 ~ 너무 방어적이라 ㅎㅎ 바뀌기 힘드네요 바뀌려 노력하는데 늦은 만큼 뛰어야죠뭐😅 ㅎㅎ 힘내세요~~~!! 피곤하시면 철분제, 마그네슘 잘 드시구용
@space6363
@space6363 Жыл бұрын
내 부모는 당신들의 한계치로 자식들에게 최선을 다 하셨다.어떤 형태로든...내 나이 65세 심리학 공부를 끝없이 하지만 난 지금도 부모와의 관계 틀 영향으로 외롭고 힘들때가 많다.따스한 사랑이 그리우면 가슴 밑바닥 가라앉아 숨어서 서럽게 울고있는 나.. 그 누구도 채워줄 수 없는 나와 나만의 관계가 애처롭다.
@yoonjinhong6009
@yoonjinhong6009 Жыл бұрын
아이일때는 어른스럽고 어른이되어서는 아이같이 행동한다는 말씀이 뼈를 때리네요ㅜㅜ
@fh-xg6er
@fh-xg6er Жыл бұрын
긍정적 리액션이 완전히 없는 집에서 자랐어요 부모님이 안아준적도 기억에 없고요 화내는거 말고는 감정표현을 거의 들어본적도 없습니다 가족끼리 코미디프로 보고는 웃기는 했어요 근데 그게 거의 전부였던거 같네요 공부 잘한다는 중학교 가자마자 전교 10등안에 들어도 칭찬이 없고 공부하라는 말 한마디 없는 집에서 자라니 공부가 중요한지도 정말 모르고 나중에는 전문대에 갔네요 인생이 망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삶의 수준이 조금 떨어진건 사실이겠죠 그나마 부모님이 60이 넘어서라도 본인들의 부모로서의 행동들을 후회합니다 어머니가 심리상담 받으니 감정불능이라고 하더군요 그래도 저는 좋은 배우자 만나서 감정표현을 많이 배워서 이제야 좀 사람같이 하고 삽니다
@ddimm1304
@ddimm1304 Жыл бұрын
나다 .. 어릴때부터 엄마가 말하지말라는 비밀들이 정말 많았고 스스로 우리집안은 자랑할 거리가 없구나 생각하고 학창시절에 집안관련된 이야기, 나에 대한 이야기는 일절안했음 그러다보니 내가 다른애들의 성격 집안환경 이야기들은 꿰고 있는데 정작 나에 대해서 알아주는사람은 없었다
@ddimm1304
@ddimm1304 Жыл бұрын
그 외로움이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쭈욱 ...
@user-ki7kg1ht3f
@user-ki7kg1ht3f Жыл бұрын
공감요 나는 친구들 가정사 다 아는데 정작 저는 얘기해본 적이 없더라고요 친구들이 너는 왜케 너 얘기를 안 하냐고 할 정도로...
@user-gk6pn7wz8j
@user-gk6pn7wz8j Ай бұрын
내세울게 하나도 없고 흠이 너무 많던 집안.... 어디가서 얘기하지말라는 얘기를 진짜 어릴때부터 들음.. 빚쟁이에게 전화가 오면 집에 아무도 없다고 거짓말 하라고 시키던 부모.. 그들도 사는게 버거웠겠지 어린 나도 힘들었었다. 죽지 않고 지금껏 살아온 내가 기특하다.
@ssuis8904
@ssuis8904 Жыл бұрын
대학 시절에 배웠던 심리학은 나를 너무 냉정히 분석해서 아프고 차가웠는데, 그래서 어쩌라고? 소리가 절로 나왔는데 관계의 자수성가... 너무 따듯하고 힘이 되는 말이네요. 저도 관계만큼은 자수성가 하고 싶습니다. 이제까지 유투브에서 봤던 콘텐츠 중에서 제일 힘이 되는 메세지였어요. 감사합니다!
@user-of9us7hp5j
@user-of9us7hp5j Жыл бұрын
🌏힘 주셔 감사합니다❤
@user-ny9yf5hp6f
@user-ny9yf5hp6f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 생각하면 그지같다 . 그래서 겉돌았다. 밖에서도 겉돌았다. 여전히 겉돌지만 . 스스로 생각한다. 내가 잘하면된다고. 난 나쁜사람이 아니라고. 과거는 잊어버리는게 맞는거같다. 현재와 미래가 중요하니까 지금 삶의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생각했다.
@user-dy6fi2yi7r
@user-dy6fi2yi7r Жыл бұрын
잘 지내고 싶은 사람들과 불편한 사이가 되는 사람 바로 저입니다.... 나를 제대로 마주하고 받아들이는 것도 쉽지 않고 나를 인정한 다음엔 또 상대에게 내가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제 자신 너무 못났네요.. 너무 어렵습니다. 저는 연인도 마찬가지고 친구도 마찬가지입니다.
@aAEewe
@aAEewe Жыл бұрын
저는 왜 사람들과 관계맺으려고 (일하면서)생각하면 피하고 싶고 도망가고 싶을까요 ㅠㅠ 백수지만 돈없어서 벌어야 하는데 일하려고 생각하니 사람들대하는게 겁나네요
@user-hi1te1jf6g
@user-hi1te1jf6g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은 항상 자식은 부모를 행복하게 해주기위해 존재하는거라고 말하시면서 그 방법을 취업해서 돈으로 기쁘게 해드리는것뿐이라고 하셨죠 그 외엔 관심이 없으십니다 내가 어딜가서 어떤 말을 듣고 상처를 받든, 무슨짓을당하든 다 내가 못났고 내가문제있어서 그런거라고 제 편을 들어주시지도 심각하게 생각하시지도않아요 그러다 점점 어차피 내가 속상하든 슬프든 내 감정을 부모에게 말한다고해서 들어주시지않고 내탓만하시니 그냥 아예 말을하지말자..... 점점 입닫고 필요한말만 꺼내다보니 과묵한사람이 되었고 감정표현에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너는 왜이렇게 딸이 아들같냐 애교가없냐 다른집딸들은 안그러는데~ 라고 하실때마다 속상하더라구요 자라온환경이 날 그렇게 만들었는데 항상 내가 뭘 좋아하고 뭘 잘하고 무엇을할때 달가워하지않는지 그런건 관심있을줄알았는데 하나도 모르시고 알려고도 하지않으세요 직업과 돈.. 보여지는것만 중요한거같아요 기분전환이 필요해서 내가 좋아하는걸 하려고하면 항상 통제하기 바쁘시고 뭐하나 긍정적인소리 들어본적이없어요 그래 그렇게해 라는 말이 얼마나 듣고싶은지.. 왜 매번 부정적인 소리만 입에 달고사실까.. 아파서 응급실에 자주가면 갈때마다 옆에서 어찌나 화를내는지 걱정되어서 화내는게아니라 그냥 한심하다는듯이.. 아픈것도 눈치보이고 요즘은 사람대하기도 힘들더라구요. 모든게 지치고 화나는 감정마저도 한숨으로 떼우기일쑤고.. 내가 그렇게 못난사람인가싶어 자존감도 많이떨어지고.. 타인앞에서라도 단단한 사람이고싶은데 이젠 부모님뿐만아니라 타인마저도 지나치게 눈치보고 신경써서 너무힘드네요 조그마한 실수에도 손발이 다 떨리고.. 그놈의 완벽주의때문에 시작조차 힘든것도 많고.. 아이를 낳는다는 생각도 못하겠더라구요 .. 내가 당한게 너무커서
@user-gt6md1xz4q
@user-gt6md1xz4q Жыл бұрын
부모가 부모같지도않고 배울점도없네요 부모라는존재는 먼저 본보기를보이고 자식을 격려하고 품어줘야하는데요 거리를두세요 무관심하게 쎄게나가야 부모가 뉘우칠려나요
@panti359
@panti359 Жыл бұрын
와...저랑 똑같아요 ㅜㅜ
@user-ki7kg1ht3f
@user-ki7kg1ht3f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저랑 똑같아요 그래서 저는 긴 고민 끝에 그냥 손절했어요 고아가 되기 싫어서 참았는데 그런 가족 있어봤자 내 우울과 어릴적 트라우마만 커지더라구요 그리고 아프면 화내는 거 동감이요 내가 내 돈내고 병원가서 내가 아픈데 대체 왜 나한테 화내는 건지 그 이유를 아직도 모르겠어요 말하고 싶지도 않고 너무 억누르고 사니까 말하려고 해도 뭐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해서 그냥 입 닫게 돼요 입열면 터져나올 게 수만가지니까 엄청 마이웨이고 개인주의 성격인데도 남 눈치 지나치게 많이 봐요 저도... 완벽주의 때문에 시작조차 못해서 항상 무기력증, 자괴감 달고 사는 거 일상이구요
@user-nm6pu8ju9y
@user-nm6pu8ju9y Жыл бұрын
나이가 어떡게 되시는지 모르지만..성인이 되어 독립 하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어릴때의 환경이란것은 가정,부모가 전부이기 때문에 그곳에서 정의되어진 내가 진짜 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성인이 되어 경제적,정서적으로 독립하여 그런 환경에서 스스로를 분리시키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진짜 나는 누구인지 파악하고 알게되는 시간을 가지시면서.. 좌충우돌 어려움을 겪겠지만 그때야 비로소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오롯이 살게 됩니다. 학생이시라면 지금도 충분히 자기객관화를 잘 하고 계시니..부모가 나를 나쁘게 평가해도..스스로를 칭찬하고 위로하며 사랑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미 충분히 잘 하고 계시니까요❤
@cherry-up29
@cherry-up29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죽기까지 배울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기의 내면을 항상 통찰하고 부족함을 파악하며 내일은 더 괜찮은 내가 되길 바라고 그 과정들을 통해 내면을 단단하게 지키는것에 늘 애쓰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히 보고갑니다
@catcutekiti
@catcutekiti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퇴근후 집에 늦게오면 그날은 잠못자는 날이었습니다. 술에 취해 집안살림 박살 부부싸움 제동생은 그로인해 초등학생때까 자기도 모르게 오줌을 실수할 정도로였고 전 새벽까지 잠도 못자고 숨죽여 부모님이 싸우는걸 지켜만 봐야했습니다 중학교때 아버지 죽이려고 칼들고 죽이려 했지만 아버지가 그러더군요 찔러보라고 그러지 못했습니다 한날은 술취한 아버지에게 성추행도 당했지만 지금도 그사실은 저만아는 비밀입니다 40대 중반 미혼 아버지와는 연끊은지 25년 하지만 성격적으로 저 또한 결함이 생기더군요 타인에게 애정을 주거나 그런걸 못합니다 한번도 누군가에게 사랑받아 본적도 들어본적도. 없어서 그런가봐여 스스로 저를 고립시켜 회사다닐때도 일만했지 누군가와 소통하지 않았습니다 연애 한번도 안했고 학교다닐때 나와 친해지려던 애를 일부러 멀리했던 기억 중년이 되어 깨닫게 됩니다 내가 결함이 있구나라고
@user-nn6gg6ng9u
@user-nn6gg6ng9u 11 ай бұрын
더이상 아프지 마세요 이렇게 상처를 드러내신 것만으로도 이미 용기 있으세요 진정한 관계 맺기를 할수있는 기회가 오늘과 미래가 있으니 더 나아지길 진심으로 응원해요 저 또한 많은 상처가 있는데 많은 분들의 얘기를 들으면 공감도 되고 응원해주고 싶어서 댓글 답니다.
@studykoreanart
@studykoreanart Ай бұрын
저도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서 그런지 공감이 되네요. 힘냅시다!
@crescendo_999
@crescendo_999 Жыл бұрын
애어른으로 유년기를 보내고 상처 그대로 품은 채 어른이 되어버린 사람들 정말 많네요. 나도 그 중 하나. 공부하며 자수성가 해나가렵니다. 어른애로서 자수성가가 필요한 모든 사람들에게 축복이 있기를.
@user-cv2qp7bx5c
@user-cv2qp7bx5c Жыл бұрын
^ 관계의 자수성가 ^ 그만큼 사람과의 관계가 참 중요하다는 말씀같아요 .. 이세상은 혼자가 살아갈수 없고 모든것이 관계속에서 살아가는것 같아요.. 오늘도 두분선생님께 좋으신말씀 잘듣고 관계개선 되돌아봅니다 늘~놀심채널 응원합니다
@grey_nyc
@grey_nyc Жыл бұрын
부모님 중에 나르시시스트 있는 분들은 부모한테 학대받은 경우. 부모는 다 최선을 다했다는 일반 사람이면 몰라도 심리 상담기로선 무지한 일반화.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키운 아이들은 지속적인 학대와 방치로 트라우마가 다 있습니다.
@Gamja1344
@Gamja1344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인간관계든 스스로든 힘들고 지치고 저항감이 밀려오고 불안감 우울감 증오 미움 질투심같이 부정적인 감정들과 생각들은 "두려움"에서 시작되는거 같아요. 사람들은 그 두려움의 존재를 모르거나 피하며 살고 있죠.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어디서부터 고쳐야 하는지 모르고 오히려 더 질타하고 깎아내리죠. 내 안에 큰 두려움이 있고 그 두려움이 나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걸 인지하는게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두려움에서 해방이 되려 발버둥 치는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온전히 받아들이면 그 두려움은 서서히 사라지더라고요. 혹시 두려움으로부터 도망을 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그 두려움에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지 않고 그저 있는 그대로 마주보며 받아들여 보세요. "아 내 안에 두려움이 존재하고 있었구나" 하고 알아차리기만 하면 됩니다. 처음엔 큰 파도가 치는것 마냥 큰 위협처럼 느껴지고 죽고싶은 마음까지 들수도 있어요. 하지만 걱정마세요. 절대 안죽습니다. 큰 파도뒤엔 잔잔한 바다가 있듯이 비가 갠 뒤엔 따뜻한 해가 떠오르듯이 우리 자연속에 모든것이 그렇듯 그저 바라보고 마주한다면 어느샌가 사라져 있을겁니다. 이것이 깨달음을 얻기 위한 첫번째 스텝입니다. 우리가 몸을 만들기 위해 운동하고 지식을 쌓기 위해 공부를 하듯이 매일 매일 두려움을 마주하는 연습을 한다면 두려움은 몰랐던 내 자신을 알게 해주고 나의 고통과 걱정들은 모두 허상이며 스스로가 붙잡고 놓아주지 않았다는것을 일깨워주는 위대한 스승이 됩니다.
@user-nd8pj6hs1f
@user-nd8pj6hs1f Жыл бұрын
정말 경험적인 말씀을 어느 스님이나 심리학자보다 디테일하게 말쑴하시네요 핵심 포인트는 두려움이고 그 걸림돌을 잘 다루면 디딤돌이 되어 인생을 점프 할수 있단 얘기네요 제나이 57세에 막연한 생각을 확실히 굳혀 주셨어요
@user-lx5ti8gm8s
@user-lx5ti8gm8s Жыл бұрын
내가 고민했고 방황하던 젊은시절에 유트브가 있어서 소통하고 배울수 있었다면 성장할수 있었을텐데 감정에 압도되어 달팽이가 딱딱한 껍질속에 몸을 숨기듯 잔뜩 움츠리고 숨기기에 바빴죠. 직면하지 않으니 해결되지 못한채 나자신도 그누구도 제대로 사랑하지 못하고 현재를 살지 못하는 불안한 삶을 살았어요. 슬프네요.
@user-mf7jv1uk1h
@user-mf7jv1uk1h Жыл бұрын
관계자산 물려주지 않은것뿐만아니라 여기에더해 방임, 차별로 안좋은 영향을 주어 유년기가 너무 괴로웠고 성인이 다되어 부모에게 "이러이러했기에 나 너무 괴로웠고, 특정상황에서 울컥튀어나온다. 부모가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것이 아니라 내가 느낀감정을 들어주고 치유할 수 있게 도와달라. " 했는데, 잘 이해를 못하시고 인정하지않고(인정하면 자기삶이 부정당하는줄 아시는듯.. 아무리 설명해드려도 이해못하십니다) 나도 힘들었다 힘들게 살았다 나는 최선을 다했다 더이상 어쩌라고. 너도 너같은 딸낳아봐라. 시집가기전에 효도많이해라. 2차가해..효도만 요구하는 케이스는 어떻게 극복해야할까요.. 머리로는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데 솢구쳐올라올때마다 "나는 평생 위로받고 사랑받지 못했구나"라는 슬픈 감정이 올라오고, 부모님 얼굴 보는것조차 싫습니다 20대후반부터 30대중반이 된 지금까지 별것 다해보는데 잘 안되네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soonock7343
@soonock7343 4 ай бұрын
부모가 나르시스 같으니 이해받을수없고 나르시스는 뇌구조가 문제있어서 실제지능이 5살정도라 하네요. 유튜브에 나르시스인격장애 검색해서 많이 보시면 도움됩니다.저도 옛날에 그런 노력을 30년 넘게 소통할려고 노력해왔지만 결국은 비난과 인정하지않는수많은 잘못들.격국 우연히 유튜브 나르시스인격장애에관한것을 알고나서 이젠 나르랑은 연끈고사니 너무 해방되서 행복합니다.
@jisooson8758
@jisooson8758 Жыл бұрын
전 청소년기에 제일 자주 들은 말 중 기억에 남는게 '우리집은 돈 없어 네가 벌어서 먹고 살아야되. 네가 돈 벌어 결혼해야 되.' 였는데 하도 들어서 정말 일찍 공무원되서 그렇게 살고 있는데 나중에 공무원 동료들과 얘기하다가 그분은 공부 압박없이 컸다는게 문화충격이었어요. 어린 제가 나이는 들어가는데 곧 알아서 벌어먹고 살아야 한다는게 얼마나 무서웠을까요.
@ohnew2191
@ohnew2191 Жыл бұрын
그 무서움과 두려움을 딛고 스스로를 책임질 수 있는 어른이 되셨네요 ! 너무 고생하셨습니다 !
@user-ip5fc5uv6y
@user-ip5fc5uv6y Жыл бұрын
어린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노력해서 공무원이 된 것 자체가 너무 대단하세요!! 대댓글도 너무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user-bloom
@user-bloom Жыл бұрын
그런 자신을 토닥여주세요:)
@angela-qi4hy
@angela-qi4hy Жыл бұрын
저희집도요... 스무살되면, 자기 힘으로 살아야된다고... 고등학교 때. 너무 힘들고, 방황했어요... ㅠㅠ 부모님 대화. 속에.. 기죽이기. 겁주기... ㅠㅠ... 압박 속에서 자랐네요.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4 ай бұрын
압박을 이겨내고 본인 인생을 스스로 책임지고 살아가는 성인이 되셨네요! 수고하셨어요!
@user-wj7yc2bu5g
@user-wj7yc2bu5g Жыл бұрын
사실 다 귀찮지요.주변인도 부모도 내가 낳은자식도. 각자 최선을 다하는구나라고 생각하고 각자 잘 살아내갑시다. 결국은 다 그입장 그자리에 있게되니까요.
@thankyo7
@thankyo7 Жыл бұрын
내향인은 3시간 뒤면 보내줘야한다 ㅎㅎㅎ 공감되요.
@umt8025
@umt8025 Жыл бұрын
태어나서 최초로 맺는 인간관계인 부모에게서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는 2~5살 시기에 충분한 사랑과 신뢰 안정감을 느끼지 못한 사람은 인간관계와 인격형성의 제일 밑바탕이 되는 심리적 토대나 주춧돌이 없기 때문에 타인을 믿지 못하고 지나치게 배타적이거나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동시에 모든 관계에 대한 본능적인 회의감이 깊어서 그 어떤 인간관계나 단체생활에서도 동화되지 못하고 홀로 겉도는 사람이 됩니다. 이런 사람일수록 애착형성의 역할모델이 없음으로 인해 나중에 결혼해서도 의처증과 의부증 환자가 될 확률이 높고 충동조절장애(사람들이 분노조절장애라고 잘못 부르는)에 시달리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쉽게 말해 사랑을 제대로 받아보지 못하고 배우지 못했기에 사랑으로 대해야 할 소중한 사람들에게 상처만 주는 사람이 되는거죠
@user-wh7vv7pf5r
@user-wh7vv7pf5r Жыл бұрын
영상보면서 종이에 적어봤는데 쓰다보니 눈물이 나오네요 가슴 깊은곳에서 응어리졌던게 풀리면서 스펙트럼이 넓어진다는게 무슨 말인지 알거같아요 좋은 기억,추억,경험들로 트라우마를 덮어가면서 세상을 행복하게 바라보며 살아가 볼게요 유익하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yooney70
@yooney70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과거보다 앞으로가 더 좋을거예요 ^^홧팅
@bk-nx8mw
@bk-nx8mw Жыл бұрын
ㅎㅇㅌ!
@user-ig2ye5vc6k
@user-ig2ye5vc6k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부모님께서 자식들을 너무 사랑하시지만 본인들도 잘 모르시는데다 살기가 바빠 관계형성을 잘 배우지 못하고 자라왔습니다 청소년때부터 지금현재도 그것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부모님이 원망스러워 잠도 못잔 날을 셀수도 없을꺼에요. 무엇보다 그분들이 정말 착하고 순수한 분들인걸 자식인 제가 제일 잘 아는 상황에서 그런 마음이 든다는게 더 저를 괴롭게 했습니다. 우연히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었습니다 약간의 다름은 있겠지만 아무도 모를것 같던 제 상황을 대변해 주시는 느낌이었어요! 댓글들을 보니 좋은 영상과 어울리지 않는 글들이 몇몇 보이지만, 실망하지 마세요! 저는 말을 하고 글을 쓰는걸 좋아해서 이렇게 장문으로 남기지만 댓글을 쓰지 않는분들 중에서 저와 같이 도움을 받는 사람들이 분명 더 많을꺼에요 조금 공감하기 어려운 댓글을 쓰는 분들도 그렇게 함으로써 본인들의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이 되는, 긍정적 작용을 한다고 생각도 듭니다. 어떻게든 영상이 시청자들에게 선한 영향을 주시는 거죠! 다시 한번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b6tx1tu7x
@user-db6tx1tu7x Жыл бұрын
상처준사람이 잘지내보자 라고 말하는거 자체가 양심버리고 말하는거같음... 도움받을일 생길수 있다 라고한다지만 그렇게 말할정도로 안좋은감정만 쌓였는데 뭐가 아쉽다고 잘지내려고 노력해야하는건지 듣는것도 상대가 해석하기 나름이라지만 도움받을일 생길수 있다 이러는데... 뭔가 마치 협박하는것처럼들림... 도움받을일 생길수 있다 라고 말할정도면 인간관계 씹창내놓고 양심버리고 급한불부터 끄고보자 라는 마인드같은데... 앞으로 안그러라는법도 없고 뭐가아쉽다고 잘지내야하는건지 모르겠슴...
@fromkcat
@fromkcat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은 강의다. 철학관에서 자수성가해야할 팔자란 말 들었을때 그동안 내 삶을 돌아보면서 느꼈던 감정과 일치해서 슬펐는데 잠시 부모탓했던 나를 반성하게 된다. 사실은 부모님도 정말 최선을 다했던건데 내가 그 면을 보지못했었구나 애도하는 마음...배워갑니다
@rairairai_
@rairairai_ Жыл бұрын
반성할 필요 없어요.. 해도 되는 겁니다. 최선을 다한 거는 부모의 사정이고요, 잘못된 양육으로 인해 본인이 힘들었다고 하면 그냥 잘못된 겁니다. 부모탓은 살면서 무조건 거쳐야 되는 과정이니 그걸 죄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ut2zv9bj7l
@user-ut2zv9bj7l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마음이 따듯한분이시네요.
@user-yv6qb9jg8v
@user-yv6qb9jg8v Жыл бұрын
늘 느끼는 거지만 놀심님은 적당한 타이밍에 질문을 참 잘 던지는 것 같아요
@user-de9rx8yp8d
@user-de9rx8yp8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항상 느낍니다
@user-bg4nt8hi2q
@user-bg4nt8hi2q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준비도 많이 하고 진심으로 궁금하고 독자들에게 도움줄수 있는게 뭘까 생각하는거 같아요. 칭찬합니다🎉
@21cbeast
@21cbeast 6 ай бұрын
다들 부모의 학대방임 속에 힘든 분들이 너무 많다.. 부모 세대가 다 죽으면 학대방임이 없어질 법도 한데..누군가는 또 부모가 돼서 학대방임을 한다..너무 슬퍼..
@blacksilver8855
@blacksilver8855 Жыл бұрын
저처럼 상처받은 사람들이 많나보네요 싸울지라도 끝까지 싸우세요 본인 인생은 본인이 만드는 거지 부모가 만드는 게 아니죠 그리고 그뒤 자유를 얻었으면 본인에 대한 책임을 지셔야합니다
@FGFGD629
@FGFGD629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사건 5가지 떠올려 보라고 하셨는데 전부 부모님께 신체적 정신적으로 폭력 당한 기억밖에 없네요 ㅠㅠ 말대꾸 하거나 의사표현했을때 폭행당했어요 나는 참 트라우마가 많은 사람이었구나.. 그래서 학창시절에는 트라우마 회피하려고 공부만 했는데 성인되고 나서 직장생활에서 사람관계 원만히 못하고 계속 그만두고 직업바꿨나봐여. ㅠㅠ
@user-fn7cs3en2o
@user-fn7cs3en2o Жыл бұрын
저랑 많이 비슷하시네요 트라우마가 많고 내면이 불안정해 자꾸 회피하며 살게 되요
@FGFGD629
@FGFGD629 Жыл бұрын
@@user-fn7cs3en2o 네 어릴땐 그냥 다 참고 달다가 크면서 자의식 생기니까 불안장애 오고 직장에서도 부당하면 할말해야되는데 수용받은 경험이 없어서 원만한 자기표현을 못해요 그래서 무작정 참다가 그만두고 이성친구도 착취하려는 남자만 만나네요 차이면 꼭 고아된 어린아이로 돌아가서 길바닥에 부모가 버리고 간 감정이 몰려와서 가슴이 찢어지고 공황발작오고 ㅠㅠ
@user-fn7cs3en2o
@user-fn7cs3en2o Жыл бұрын
@@FGFGD629 아 저랑 진짜 비슷하세요 저도 자기주장 제 표현하면 혼나고 맞아서 자기표현하는 능력을 못기르고 성인이 됐어요 남자만날때도 마찬가지로 너무 의존하게 돼서 헤어지면 죽을것같이 괴롭고 다 무너지는 기분 ㅠㅠ 고아된 기분같다고 생각했어요 애착형성이나 수용받은 경험이 성장기에 충분하지 못해서 그런가봐요 저도 우울증 만성적으로 겪다 우울증인지도 몰랐는데 직장다니면서 그대로 살기가 너무 어려워져서 정신과에서 항우울 항불안제 처방받아 복용한 지 1주일 째에요 ㅠㅠ
@yoongeunyeal
@yoongeunyeal Жыл бұрын
구두발로 맞았다
@user-ki7kg1ht3f
@user-ki7kg1ht3f Жыл бұрын
저도 다섯가지 사건 떠올려봤는데 전부 가족 땜에 슬프고 힘들었던 기억만 떠올라요 다섯가지 중에 어떻게 행복한 기억이 단 한개도 없을 수 있나 싶어서 현타오고 인생 잘못살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거 때문에 더 우울해지고
@user-vp7wb5cp6z
@user-vp7wb5cp6z 10 ай бұрын
관계 자수성가 중입니다. 힘들고 어려운 순간이 90이지만 성공하고 행복함을 느끼는 10%의 순간들에 감사하며 살아갑니다ㅎㅎ
@user-my4ni5hr6n
@user-my4ni5hr6n Жыл бұрын
나는 우리부모도 상처받은 아이라면서 자기인생들을 합리화하고 고통준자녀에게 이해까지 받으려는 부모세대들의 그 이기심이 너무 싫다 내가 그렇게 못자랐으니까 내자식에게는 어떻게든 잘할려고하고 내문제를 고칠려고 해야지 아니면 낳지를 말던가 누군가는 끊어야할 문제였다면 자신들이었어야지 자식이 해주겠지 하는기대를 하는 부모들이 아직도 너무 많아서 화가난다 내가 부모였다면 나는 그렇게 못했을거 같은데 말이다.
@user-yd6mb5fn6l
@user-yd6mb5fn6l Ай бұрын
그렇게 어쩔수 없었다면서 비겁하게 합리화나 하는 ㅂㅅ들이 많음 ㅋㅋㅋㅋㅋ
@user-oe1un2fp3m
@user-oe1un2fp3m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는 성격 바꿔보자고 애썻는데 다 부질없고(애쓰나 안쓰나 인간관계 못 맺는다는 말임) 이제 다 귀찮아져서 남에 대한 관심이 없어짐 혼자살다 혼자 죽으려고요
@Re-Do73
@Re-Do73 Жыл бұрын
그 폐해가 특정한 자녀에게 몰빵되는 경우도 있을까요....가령 감정 쓰레기통 같은.....그 집안의 모든 가족들은 감정을 억누르고 투사해서 특정한 한 사람 탓만 하게 되는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4 ай бұрын
있죠...굳이 가족이 아니라 친구들끼리도 잘생기고 예쁠수록 본인 감정 투사해서 많이 생각하는데, 가족은 맨날 보니까 더 심하죠...
@soonock7343
@soonock7343 4 ай бұрын
그런가족과 인연끈으세요 .저도 인연끈고사니 너무 행복 합니다
@Re-Do73
@Re-Do73 4 ай бұрын
계속 함께 하면 자기 감정 상태 자체를 착각하게 되더라고요 . 저희 어머님이 저보고 요즘엔 정신과 가는 거 이상한 거 아니라고 상담받아 보고 약도 먹고 그러더라고 히더라구요 그래서 정신과 상담 받았는데 저는 감정적으로 너무 우울한데 의사선생님 제가 우울증이 아니라는 거예요 정신과적으로 진단되는.병이.없는.거에여 그런데 웃긴것은 저희 어머니 건강 검진 받았는데 바로 우을증.진단 받았는데 나보고 정신과 가서 약 받아 먹으라고 얘기해 놓고 본인은 우울증 진단이 나왔는데 병원도 안가고 약도 안 먹어요. .전형적으로 .자신의.문제를.투사하는 스타일인.거지요 진셀은. 내가 병든것이 아니라 우리 가족 들이 아픈.사람들인 겁니다. 우리 가족들은 그 사실을 덮으려고 용을 쓰면서 성공하고 인정 받아야 하는.것이고 전 그 사실을.너무나.선명하게 느끼고 보아야 하는.고통이 있는.겁니다. 공감 능력이 뛰어나고 예민하신 분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게 있어요 내가 느끼는 감정이 다 나의.것이 아니라는.겁니다. 누근가는 여러분의 가정에서 감정적인 변기통이나 정화조 노릇하다가 마음이 지치고 탈진하는 것 일 수 있어요 그래서 항상 가족들하고 있으면 더럽혀지는 느낌 곧 수치심 굴욕감 낙심.죄책감에 시달립니다.. 사람인데 인격적인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라. 급하고 힘들 때 부정적인 감정의 배설을 위한 변기통이 되고 있어서 힘이 드는 겁니다. .화장실이 그렇잖아요. 다급할 땐 정말 간절 하지만 볼일 보고 나면 필요 없잖아요. 저는 이상하게 집에 있으면 가족들로부터 강간 당하는 느낌이 드는데 그 이유를 알수 없었어요. 꼭 겁탈 당하고 반복적으로 .버림 뱓는 느낌이 드는.거에요 사람들이 다 급할때 매춘부로 찾아가서 배설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게 사랑이 아니고 정상적인 섹스가 아니잖아. 단지 배설하는 것이지... 저는 가족들에게 정서적인 배설을 받아내어야 하는 일종의 정서적인 창녀. 노릇을 강요 당하고 있었던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 도와 주고 싶어도 도와줄수가 없어요 최소한 자기 문제를 인정하고 변화 되려고 노력을 해야 도와줄수가 있는 건데 문제는 자기한테 했는데 인정하지 않고 그냥 맨날 징징 거리면서 위로만 받으려고 하기 때문에 도와줄 필요도 없고 도와줄 수 없어요 끊어 내고 떠나 셔야 됩니다 나중에 배우자와 자녀들을 위해서 줄 수 있는 정서적인 여유가 없게 돼요 근데 정말 아이러니한것은 반복적으로 그런 이성들을 만나게 된다는 거죠 아들에겐 그런 엄마 같은 여자. 딸에게는 그런 아빠 같은 남자
@infp_intp
@infp_intp Жыл бұрын
상대방 성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혼자 추측하고 파악하지 말고 물어보는 건 배워야겠네요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저는 아버지란 사람이 나르시시즈이고 엄마는 무기력한 그래서 거의 방관과 방임 그리고 속박으로 무질서한 육아에 피해자였어서 학교에서 왕따, 은따를 당해도 집에서 모를 정도로 존재감이 없는 사람으로 커왔습니다. 그래서 사람을 대응하는 방법을 거의 모릅니다. 하하하하하하
@user-xo7id5yz9s
@user-xo7id5yz9s Жыл бұрын
말씀은 웃으면서 하셔도 얼마나 마음이 힘들고, 고된 시간읕 보내셨을지 느켜집니다... 토닥토닥.'..
@user-is7oi5yj4e
@user-is7oi5yj4e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괜찮으세요?은따 왕따 당할동안 정말…많이 힘드셨을거같아요..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user-is7oi5yj4e 안 괜짢으면 뭐 죽기밖에 더 하겠어요? 많이 흑화되서 강강약약으로 지냅니다 ㅎㅎ
@user-is7oi5yj4e
@user-is7oi5yj4e Жыл бұрын
@@chumlee225 죽지마여여어어 ㅇ더 이상 아프지마요..밥 잘 챙겨 드시고 행복하세요!!응원할게여
@user-mz4ez9bs5j
@user-mz4ez9bs5j Жыл бұрын
와 댓글 읽는데 너무 공감되네요. 저는 부모님이 반대 성향인 집이고 인생에서 추상적으로 중요한 부분에선 방임으로 컸고, 교육과 자유부분에서는 속박으로 컸네요. 학창시절에 나쁜애들한테 안 굽히고 강강약약으로 살면서 할말 했다가 은따 당했는데도 가족들은 몰랐네요ㅎ 그당시 부모님 부부싸움으로 집안이 매일 엉망이었거든요. 학교생활은 최악인데 집안은 지옥이었네요.
@handle1189
@handle1189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내용이에요. 놀심님 영상은 클릭하기까지 많은 난관이 있지만(다른 자극적인 영상들때문에😂) 시청하고 나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user-do6ox9xp1o
@user-do6ox9xp1o Жыл бұрын
나를 파악하는 건 힘들지만 꼭 해야 하는 일이라는 걸 다시 한 번 느끼고 갑니다
@user-wx5tc9yn7p
@user-wx5tc9yn7p Жыл бұрын
따뜻하고 위로가 되는 이야기입니다. 개인 상담이 아님에도 위로받은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de9rx8yp8d
@user-de9rx8yp8d Жыл бұрын
관계의 자수성가.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Fullwaters
@Fullwaters Жыл бұрын
놀심 영상들 보면서 이렇게 감사하고 행복하게 본 영상은 처음이에요. 교수님 말씀 너무 좋고 감사해요. 여러 번 보면서 내용 더 꼭꼭 흡수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user-lm1gj4mq3x
@user-lm1gj4mq3x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하기쉽고 도움되는 내용이에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othejaetv
@hothejae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ㅜㅜ 요즘 제가 너무 고민하고있던 부분이었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놀심통해서 그어떤 영상에서보다 울림이 있네요 ~~ 영상 참 감사합니다!
@user-ro9nh6js4p
@user-ro9nh6js4p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이런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공짜로 쉽게 접할수 있다는것에 세상 좋아짐을 느끼고 놀심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이많이 시청할테니 앞으로도 꾸준히 각박한 현대사회에 저희같이 정서적으로 불안한 사람들에게 위로와 해결책을 주세요
@user-kx4qd5ti8e
@user-kx4qd5ti8e Жыл бұрын
이제 관계까지 자수성가해야 해? 어휴.. 지친다.. 부모 잘못 만난 게 어디까지 가나........................
@soonock7343
@soonock7343 4 ай бұрын
남탓은 않좋은거다. 부모가 부자부모라도 자수성가는 건정한 삶의 방식이다.부모한테 의지하지말고 혼자 잘 설수 있는 연습이 진짜 삶의 실력이다
@user-em4fu6io7z
@user-em4fu6io7z Жыл бұрын
권진숙 교수님 여기서 뵙네요. 반갑고 감사합니다~♡ 저는 다른곳에서 몇학기 교수님께 배웠어요. 너무 좋은 시간이었고, 좋은 스승이다. 생각했고 , 항상 감사하는 맘이었습니다 오늘도 좋은말씀 감사해요. 관계의 자수성가 ^^ 누구나 어려움 있는거 인정하자
@user-hw8jw1wj6r
@user-hw8jw1wj6r Жыл бұрын
상처의 되물림. 내 마음 애도, 더 나아가 내 아이들의 마음 애도… 오늘도 반성. 입으로 상처주지 말아야지.
@danbi7911
@danbi7911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키워드, 관계의 유산 대신 자수성가^^♡
@user-bb3xe2jt8x
@user-bb3xe2jt8x 8 ай бұрын
진짜 딱 내 얘기ㅜ 유년시절에 해결되지 못한 묶은 감정들을 연인이나 친밀한 관계에게 기대하고 바램. 그러면 나는 자연스럽게 그걸 충족해주지 못하는 상대방에게 서운함과 실망감을 느끼고 상대방은 참다참다 결국 지쳐서 날 떠나버리고 악순환 무한반복ㅜㅜ
@5_ramjee
@5_ramjee Жыл бұрын
마음에 위로가 되었어요..감사합니다.
@EPark-gb7fh
@EPark-gb7fh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중요한 말씀 해주시네요. 심리에 관한 영상을 보면 댓글에 부모에 대한 원망만 가득한데… 스스로 자수성가 할수있다는 생각은 참신하고도 핵심을 찌르네요.
@sujeongkim3905
@sujeongkim3905 7 ай бұрын
진짜요. 저도 저 단어로 갑자기 상처에 갇혀있던 세계가 다른차원으로 확장된것같아요. 단어에서 주는 에너지가 좋아서 메모로적어뒀습니다. 관계의자수성가 꼭이루어보고싶어요.
@suhyunlee7846
@suhyunlee7846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봤습니다 왠지 모르게 마음에 위안이 되는 것 같습니다 '나의 자서전 쓰기', '진정성'과 '상호성'.. 마음에 새기며 살아가고 싶습니다
@user-pz2fz1lx8j
@user-pz2fz1lx8j Жыл бұрын
오늘은 많은 부분을 배우네요 마음에도 많이 남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akfjkjsgf
@user-akfjkjsgf Жыл бұрын
완전 저 케이스인데 분발해서 그냥저냥 잘 살아가다가 완전 나르시즘 가스라이팅 팀장 만나고 ptsd가 온건지 우울증 씨게 왔네요. 무기력하게 살다가 사회생활 망할구 같아서 영상봅니다. 사람 대하늨게 너무 지치구 잘 보이고자 노력하는게 나무너무 의미없게 느껴져서 막 삽니다 ㅋㅋ
@SINSA999
@SINSA999 Жыл бұрын
모든부모가 현명하고 자녀에게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줄 정도의 사람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user-rp1iv8qe7f
@user-rp1iv8qe7f Жыл бұрын
한 문장도 빠짐없이 유익한 말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hjook1990
@hjook1990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어쩌면 심리 상담을 받는 과정이 말씀해주신 스스로 자서전을 쓰는 것과 같은 과정이 아니었나 돌이켜보게 되네요
@kyounglee9849
@kyounglee9849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을 알게되어감사합니다. 자수성가 하겠습니다😊
@user-ny5ew8ty5w
@user-ny5ew8ty5w Жыл бұрын
그렇구나~^^ 영상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x7uv4gf3s
@user-yx7uv4gf3s Жыл бұрын
나도.. 어릴 때 자리잡은 수치심 때문에 자존감이 낮아진거네.. 대체 왤까 궁금했는데..
@user-op6mo7ks1v
@user-op6mo7ks1v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좋은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user-tx3ll7nd1z
@user-tx3ll7nd1z Жыл бұрын
헐... 맞아요 우리집은 늘 나쁜 일은 숨기고 좋은 일은 더 숨기라고 배워서 나는 늘 할 수 있는 말이 없어요 ㅠㅠ 무속을 믿어서 부정탄다 손탄다 재수없다 하면서 행동 통제도 너무 많았어요 와 이유만 정확히 알았는데 뭔가 자유로워진 기분이에요!
@happybb
@happybb Жыл бұрын
정말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jiyounglee-eo8bz
@jiyounglee-eo8bz Жыл бұрын
너무 똑똑하신것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xm9ve1tn2f
@user-xm9ve1tn2f Жыл бұрын
참 다행입니다 사실 이 파트는 왠지 제게 송곳같은 말씀으로 또다른 트라우마를 낳을까봐 살짝 고민하다가 열었는데 오히려 용기를 주시니 힘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sprite8172
@sprite8172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차분하게 말씀해주시는데 귀에 잘 들어와요. 너무 좋은 내용을 경험하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gisugo
@gisugo Жыл бұрын
받지못했으니 공감하지 못하고 내가 영원히 가질수 없는부분이라 생각해왔는데 내가 나 스스로 배우고 키워갈수 있는 거군요 생각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indsglee3320
@mindsglee3320 Жыл бұрын
관계의 자수성가를 이루도록 해야겠어요 교수님, 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jeyshin6927
@jeyshin6927 Жыл бұрын
관계의 자수성가라는 개념 넘 좋으네요 이런 정신적인 부분은 극복하고 계발해낼수있을거란 생각을 물질적인 부분에 비해서 덜하고 못했던것 같은데 큰 동기부여가 됐습니다👍🏻
@saelomikim5515
@saelomikim551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공감도하면서 들었어요~
@kwonmandooo
@kwonmandooo Жыл бұрын
헉 저의 1학년 때 담당 교수님이셨던 ㅠㅠ... 힘든 시기에 너무 도움 많이 주셨던 교수님이셔요 진짜 영상 잘 보겠습니다!
@user-np3jp3td6n
@user-np3jp3td6n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일부러 그러신건 아니니까 이해하고 원망은 없다 원망을 없애니 고마움이 생겼다 맛있는거 먹지 않으시고 주머니에 넣어와서 자식 입에 넣어주시던 분들이시니까 내 부모는 할버지세대로 더 받은게 없는 사람들이다 자수성가해서 돌려 드리려고 한다 자수성가=돈 아니고 관계 인간관계 사회성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Жыл бұрын
하지만 맹목적 효도윤리면 눈멀어요 자수성가요구 부모는 무책임하고 한국같은 집단주의는 자수성가가 불가능해요 미국같은 개인주의면 모르나 거기도 막상 자수성가하면 결코 본인힘이 다가 아니라며 손벌리기 급급 몰염치
@bohwang8513
@bohwang8513 Жыл бұрын
맛있는거 안먹여줘도 됐는데 왜 폭언이랑 무시를 해댔는지 그거나 좀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Жыл бұрын
@@bohwang8513 성격 문제있는 부모며 본인들은 꿈에도모르고 남들도 얘기않고 은따또는 안만나거 나 비슷한 사람만 만나 자식들도 모르고 살수 분명 한것은 이들부모도 자신들부모(자식한테 조부모) 욕은 좀처럼안해 두려워하는 게 있으니 악인들은 반드시 두려워하는게 있고 어딘가 미련 알수있음
@michelle3011
@michelle3011 Жыл бұрын
'관계의 자수성가'라는 말이 와닿네요! 부모님께 받지 못한 것을 원망만 한다면 나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 부족한 부분은 내가 스스로 나를 위해서 챙겨나가도록 하며, 그럼으로써 나와 내 주변과의 관계의 자수성가를 이루도록 한다.
@user-nh8vt3zj1x
@user-nh8vt3zj1x Жыл бұрын
제게 참 필요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qlxm12
@qlxm1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사실 저와 맞는 상담사분도 못찾았을뿐더러 무기력증이 심해져서 정신과를 가는거조차 버거워졌어요 그래서 약도 처방받으러 못가고 히키코모리로 살아간지 벌써 2년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기간 내내 놀심님 영상들 보면서 느낀게 많아요. 제가 묻고싶은 질문을 놀심님께서 해주시니까 그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더라구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많은 깨달음 얻고갑니다 이 무기력한 시간들이 결코 헛되지 않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obehappy11
@tobehappy11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이제 힘을 좀얻으셨으니 약물 처방이라도 꼭 받아셔서 더 힘 내셨으면 해요~화이팅입니다~^^
@infp_intp
@infp_intp Жыл бұрын
저는 정신과보다도 상담을 통해 큰 도움을 받고 있어서 혹시나 상담생각이 있으시다면 꼭 맞는 상담사분을 찾으셨으면 좋겠어요..! 그동안 많이 힘드셨을텐데 정말 수고했어요😊
@user-mx8ol5rk5c
@user-mx8ol5rk5c Жыл бұрын
울컥합니다 20년동안 집 나간 배우자를 기다리던 사람의 이야기와 겹쳐 보이네요 스스로를 용서하시고 부모 이웃을 용서 하시며 다시 일어서셨으면 좋겠습니다
@M_MOMO
@M_MOMO Жыл бұрын
사실 상담사분들도 딱히 내담자의 이야기들을 들어줄뿐 엄청난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려워요. 저도 무기력증도 심했고 2년내내 자주 울고 동생이 괜찮다고 요즘엔 정신병원이 나쁜게 아니라고 가보라고도 해줬어요. 제 방법은 자주 바깥 공기를 쐬고 내스스로가 무엇을 원하는지. 나와의 시간을 더많이 갖고 이런 채널들을 들으면서 스스로 멘토링하면서 글도 써보고 읽어보는 시간도 갖고 주변을 환기시키는게 중요해요. 제 방법은 게임상 친구들과 채팅하면서 하루종일 얘기하는거였어요. 힘든 시간 많이 도움을 주었고 제가 다시 일어나는데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낯선이들과 얼굴 보고 대화하는건 아직도 힘듭니다만 그럼 또 어떤가요. 우린 서로 도움을 주고 받기위해 공동체로써 함께할뿐이지 반드시 함께 있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주희님도 조금씩 한발자국 세상에 발을 내딛어봐요. 이채널을 비롯해서 다양한 채널들의 이야기들을 듣고 제스스로 멘토링하는데 꽤 큰 도움이 되어서 한마디 적어봅니다. 한번 해보고 나면 참 별거아닌게 큰벽처럼 느껴졌구나 싶더라구요. 아직도 내가 이런것도 좋아하는구나 하고 나에 대해 많은걸 알아가고있어요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나 자신과 친해져보는 연습해보세요 자신감은 그 다음이라고 생각해요
@kepiok5000
@kepiok5000 Жыл бұрын
​@@M_MOMO 인터넷 낯선 이에게 이런 긴 글을 적은 님에게 감사합니다.
@user-cx8mo7zx4v
@user-cx8mo7zx4v 10 ай бұрын
우리집은. 비밀은 없는데 아주 평범한. 집안 인데. 가난한 농촌이라. 일하기 바쁘고.인간 관계에 관한 대화 이런건 들어본적도 없고. 각자 알아서 눈치껏 살아서. 악착같이. 살아 남는것 밖에 몰랐다 이후 살면서. 관계에 관한 공부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주변 모든 사람들이. 나의 선생님. 이다
@Obodydonc
@Obodydonc Жыл бұрын
2번 봤어요. 부모탓하고 싶지 않은데 여기 또 나오네요. 오늘은 자서전을 써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chungheeryu4559
@chungheeryu4559 Жыл бұрын
저도 여기 3개 가정에 해당되네요. 관계에서 수치심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더라구요. 우리 모두 화이팅!!!
@user-qr3gh6wz5o
@user-qr3gh6wz5o Жыл бұрын
깔끔하고 단백한 어조가 마음에 들어브러요 선상님
@garam_e309
@garam_e309 Жыл бұрын
담백
@Naim3927
@Naim392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간단하고도 명료하게 알려주셔서 관계성 자산이 없는 제가 큰 시너지를 얻습니다. 자수성가하기에 힘들고 아플때도 있지만 작은 성취감부터 갖다보니 이런강연에 크게 시너지를 얻어요.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daring_innocent
@daring_innocent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너무너무 좋아요! 유튜브로 듣게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관계도 자수성가 할 수 있어 정말 다행입니다ㅎㅎ👍🏻
@jiwonb2316
@jiwonb2316 Жыл бұрын
ㅠ위로가 됩니다... 항상 인간관계의 유산을 못받았다고 생각했는데, 제 나름 자수성가한 것들이 있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고, 또 저와 같은 사람들이 많다는 것에 위로가 됩니다. 귀한 내용의 영상 감사합니다.
@Chanbee313
@Chanbee313 Жыл бұрын
보면서 마음에 안정감이 들어요. 좋은 말씀 감사해요
@ok-nm7re
@ok-nm7re Жыл бұрын
권진숙 교수님 세심하고 청아한 목소리 듣기 좋아요 이론의 사례를 들어 천천히 생각하며 듣게 강의가 좀더 길면 좋겠어요
@gainedmm2078
@gainedmm2078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고통스러울 정도로 고민했던 부분인데 영상을 보며 희망이 생기네요.
@one-plus-we
@one-plus-we Жыл бұрын
부모님도 부모에게 비슷한 환경에서 자랐을것 대물림을 막으려면 많이 배우고 조금씩 개선 해야함
@sciencecoach76
@sciencecoach76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위로가됩니다❤
@user-cn2ml9xf9k
@user-cn2ml9xf9k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해주셔서 잘 들었습니다.
@user-uj5ex4pq1f
@user-uj5ex4pq1f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yjh8074
@yjh807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휴..
@hannah6571
@hannah6571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gf2eq6gm2c
@user-gf2eq6gm2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보통은 다 물려받긴 힘드니, 자수성가하면 된는 말씀이 너무 좋네요~ 상태파악과 나아갈 방향까지 제시해주셔서 뿌듯합니다 😊
@soheekim74
@soheekim74 Жыл бұрын
아빠 죽고 엄마는 하루 이틀 걸러 집에 들어오고 여관 주인이라는 사람이 외상값 달라고 집에 오고 엄마 친구한테 돈 갚으라고 전화 오고 성적표 사인 받아가야 하고 육성회비 내야하는데 담임이 물어보면 대답하기도 창피하고 친구한테도 비밀이고 언니는 제 기분따라 두들겨패고 양말도 속옷도 없고 엄마애인이라는 남자가 전화해서 욕하고(이건 나는 기억도 못하고 있음) 재산은 온갖 사기꾼에게 털리고 아주 즐거웠다. 근데 나도 못지 않게 ㅂㅅ이고 쓰레기지만 남자나 사람들과 엮이지 않고 자식 안 x지른 게 불행중 덜 불행. 무서운 건 우리 엄마 겉으론 절대 저런 여자로 안 보이고 자식 때문에 고생한 고상한 과부로 남들이 착각한다는 것과 내가 중년까지 꾸역꾸역 살았다는 것
@user-jf5zm9ph3f
@user-jf5zm9ph3f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연락할 친구가 없어도 잘 사는 사람들이 특징 (권진숙 교수)
17:36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114 М.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타고난 불안감을 극복하는 방법 (정신아 상담사)
14:48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50 М.
인생이 술술 풀리는 운 좋은 사람들의 특징 (장성숙 교수)
14:42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558 М.
악의없는 말로 상처주는 사람 특징
15:42
남인숙 작가의 어른성장학교
Рет қаралды 39 М.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하고 자란 어른들의 세 가지 특징 (강은호 교수)
20:07
할 말이 없는 침묵의 순간, 대화를 이어나가는 방법 (권수영 교수)
19:28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