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건축에 담긴 한국, 중국, 일본의 민족성 차이

  Рет қаралды 57,143

역사돋보기 이영

역사돋보기 이영

28 күн бұрын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historycreator
정원 건축에 담긴 한국, 중국, 일본의 민족성 차이
그럼 역사돋보기 시작합니다.
#한국
#중국
#일본
#건축
#정원
#민족성
#역사
#역사이야기
#역사다큐멘터리
도서 리뷰 및 기타 협업 제의 있으신 분 연락 주세요.
historyice93@naver.com
감사합니다 :)

Пікірлер: 328
@shinwoori84
@shinwoori84 24 күн бұрын
정답을 정해놓고 알려주는 중국 정답으로 가는 길을 추측하라는 일본 정답은 없으니 알아서하라는 한국
@ohjinmyoung7350
@ohjinmyoung7350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화려하고 웅장한데 좀 촌스럽고;;일본은 시크하고 세련되었지만 좀 부담스럽고, 한국 정원은 편안하고 부담이 없지만 아주 예쁘다고 하기에는 좀 무리
@sdbasdfkbh
@sdbasdfkbh 7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oo1sm7ni9v
@user-oo1sm7ni9v 5 күн бұрын
한국식 정원이 좀 심심하긴 하지 중국식은 으레 그렇듯 화려하고 크긴 한데 촌스럽고
@user-xh1ts9lb3v
@user-xh1ts9lb3v 4 күн бұрын
취향차이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3 күн бұрын
촌스러운것은 아니지요 화려한것
@daerongdaerong
@daerongdaerong 3 күн бұрын
​@@user-dc3hp1rl1u 극도의 화려함이 오히려 촌스러움을 이끌어 내는 면이 있어 그렇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빨강파랑노랑 원색 조합으로 입은 옷보다 검정에 빨강조합 흰색에 파랑조합등 약간 눌러주는 느낌에 살짝섞인 색이 더 세련되어 보이듯이요. 사람은 전부가 화려하면 화려함에 무감해져서 그 화려함에 촌스러움이라는 이름을 붙이더라고요.
@hoonyoo5677
@hoonyoo5677 25 күн бұрын
내가 느낀 각국 정원의 부정적인 느낌은 중국은 탐욕적 일본은 인위적 한국은 방임적임
@user-ll2pw5xf9r
@user-ll2pw5xf9r 24 күн бұрын
첨가하면 중국은 권위적 탐욕적, 일본은 인위적 위선적 가식적
@핼로-니그로_MC
@핼로-니그로_MC 7 күн бұрын
인위적과 방임적은 무슨뜻이노
@sdbasdfkbh
@sdbasdfkbh 7 күн бұрын
비유 지렸다 👍 크으
@sdbasdfkbh
@sdbasdfkbh 7 күн бұрын
진짜 너무 정확해요 🙄
@berckylovr
@berckylovr 4 күн бұрын
성격도 중국은 허세 일본은 가식 한국 직선적
@user-qe2oy1gz1d
@user-qe2oy1gz1d 27 күн бұрын
창덕궁 후원 관람할때마다 매번 설명해주는 내용이네요 너무 좋습니다 ㅎㅎ
@gotrade21
@gotrade21 26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조경은 연극 한 편이고, 중국 조경은 하나의 그림이라면 한국의 조경은 한 편의 詩라는 글이 있습니다.
@user-fm6sc8gz7w
@user-fm6sc8gz7w 26 күн бұрын
붓글씨를 예들면 일본은 서도(書道) 중국은 서법(書法) 한국은 서예(書藝) 라고 합니다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26 күн бұрын
​@@user-fm6sc8gz7w 어디서 들어본 말이긴 하네요 출처가 어딘지 알수 있을까요?
@PrettyT-rex
@PrettyT-rex 22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자연주의적 사상으로 정원을 꾸민게 아니라 동원 인력, 자본의 부족으로 "그까이꺼 대충 여기까지 하자!"정신으로 덜 완성 된거에 더 가깝지 않나 싶네요.
@user-yc3eh4hu6f
@user-yc3eh4hu6f 20 күн бұрын
@@PrettyT-rex 님 인생관이 그까이꺼 대충이니 생각도 가치관도 그까이꺼 대충인거죠. 최근에 첼시 플라워쇼 쇼 가든에서 금상 받은게 한국인데요. 한국정원이 그까이꺼 대충이면 금상 주겠어요? 영국 국왕도 반한 한국정원인데 ㅋㅋ 님 눈과 뇌수준이 덜 완성되게 태어난듯...
@user-gn2nm3no9t
@user-gn2nm3no9t 19 күн бұрын
​@@PrettyT-rex거기까지가 딱 님의 안목임
@user-xr5gd6su4k
@user-xr5gd6su4k 4 күн бұрын
나이가 들면 들수록 한국문화의 아름다움이 보임
@japanlagsbehind
@japanlagsbehind 8 күн бұрын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났을까? 그 이유는 3국의 지정학적 특징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중국은 그야말로 대륙이고 그 넓은 땅에 퍼져 있는 사람들을 한 곳에서 통치하려면 누가 봐도 대단해 보여야 되고 그 위세를 떨쳐야 할 것이다. 그러니 온갖 조형물들을 갖다 놓고 극도로 화려하게 하는 것이 맞다. 일본은 섬인데다 거의 대부분 산지라 사람이 살만한 땅이 그리 많지 않고 각 지역간의 교류 또한 쉽지 않다. 그래서 3국 중 가장 나중에 문명과 통일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근본적으로 일본은 땅이 좁고 그 비좁은 땅에서 한 평생 살면서 모든 것을 다 해야 한다. 그러므로 쓸데없는 시도를 모두 버리고 모든 것을 오밀조밀하게 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무수히 많은 지진과 자연재해는 인간으로 태어났으나 자연을 통제하지 못하는 나약함을 늘 느끼게 한다. 그러므로 모든 것을 통제하고 싶어한다.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국토가 많이 좁아 한 곳에서 손쉽게 통치할 수 있는 지형이다. 또한 일본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게 뭐냐면 평야가 많고 평야 - 산 - 평야 - 산 - 평야 - 바다 식으로 지형의 높낮이가 여러번 바뀌고 자연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은 산 -> 바다 끝이다) 그래서 대체로 사람들이 평야에서 농사를 짓고 살면서 가끔은 산에 가면서 운치도 즐기는 안빈낙도의 삶이 용이한 편이었다. 그러니 그냥 자연을 보는 것 자체가 힐링이었던 셈이다. 이러한 지정학적 특성들은 사실 동아시아에 왜 3개의 주요한 국가가 생겼는지 그 이유 또한 설명해 준다. 중국은 큰 강이 있고 동쪽은 평야로 얼추 다 이어져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강력한 세력이 다른 지역을 모두 복속시킬 수 있었다. 그게 한족이다. 그러나 한국은 북쪽이 산지라 이동이 쉽지 않은데다 겨울에 존나 춥고 그 존나 열악한 지역을 뚫어 봤자 먹게 되는 땅이 작다. 굶주리던 북방 민족이나 말이나 몰 줄 알던 몽골, 섬에서 해먹을 게 없던 왜구들이나 가끔 탐을 냈지 이미 거대한 땅을 먹은 한족들이 한반도에 침을 흘릴 이유가 없었다. 그러니 중국대륙의 다른 지역이 한족에게 복속당하는 동안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는 살아남은 것이다. 일본은 아시는 바대로 섬이라 한 번 들어가면 나오기가 어렵다. 게다가 대부분 산지라 먹을 게 하나도 없는 땅이다. 그나마 날씨가 온화하고 살기 좋기 때문에 여기저기서 들어간 민족들이 섞여 (크게는 한반도 도래 민족과 해양 민족) 오랫동안 침략당하지 않고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damonkim2921
@damonkim2921 27 күн бұрын
와 쑤저우 가보면서 감탄하고 교토 은금각사에서도 감탄했는데.. 그게 이런 설계였군요. 또 하나의 지식을 얻어갑니다.. 그래도 동궁과 월지에서의 감동이 더한이유가 있었네요.
@호랑좌
@호랑좌 27 күн бұрын
정말로 빛나는 건 풍경이 아니라, 풍경의 아름다움을 아는 사람의 눈빛이죠.
@user-cf2ei3lg2k
@user-cf2ei3lg2k 14 күн бұрын
사람도 그렇고 정원도 그렇고 자연스러운게 최고입니다
@unka2007
@unka2007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뭔가 뭐든 과해서 오히려 촌스럽게 느껴짐.. 상하이 야경도 그렇고 고층빌딩은 굉장히 많은데 뭔가 고급스러움이 없다그럴까
@user-gp4fs3qd8y
@user-gp4fs3qd8y 12 күн бұрын
촌놈들이 처음 도시를 구경하면 그런 느낌이지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8 күн бұрын
​@@user-gp4fs3qd8y조선족은 한족하고는 아무 상관도 없잖아 만주나 살지
@user-observer1667
@user-observer1667 7 күн бұрын
독재국가나 개발도상국이 고층 빌딩을 많이 세우고 정작 유럽 같은곳은 옛날에 지은 낮은 건물들이 많음
@unka2007
@unka2007 7 күн бұрын
@@user-gp4fs3qd8y ㅋㅋㅋㅋㅋ 선진국 대도시 가보셨어요??? 상하이는 자카르타 같던데 ㅋㅋㅋ
@jaa2948euf
@jaa2948euf 7 күн бұрын
원래 남방인들이 다 그럼. 중국 베트남은 관복도 그렇고 건축도 그렇고 너무 과하게 알록달록함.
@user-jw4fk3wv2b
@user-jw4fk3wv2b 26 күн бұрын
이런주제 정말 좋네요
@user-xu3xi9iz9u
@user-xu3xi9iz9u 23 күн бұрын
이번 주제가 너무 좋네요 ㅎㅎ
@user-rd6ct1ip8w
@user-rd6ct1ip8w 24 күн бұрын
정원 문화는 비슷한 듯 다른 세 나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세 나라 모두 유불선 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했죠. 저도 역시 우리나라 사람인지, 저는 우리나라 정원에 많은 매력을 느낍니다. 지도자들이 사치하면 백성들이 고통을 겪는다고 생각한 유교에서 온 청빈사상, 속세의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갈고 닦는 것을 강조한 불교에서 온 소박함과 상징 체계, '선'이 자연과 닮았기에 자연과 동화되고자 했던 도교에서 온 자연주의와 차경(借景)은 한국 문화 곳곳에 녹아 있습니다. 어릴 시절 처음 각국의 정원들을 보았을 때, 그때는 우리나라 정원이 뭔가 너무 없어 보여서 약간 서글펐는데 숨겨진 여러 의미들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것이 너무 몰라서 생긴 오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말했듯이 자연은 만인의 스승이며, 아마도 선조들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아름다움과 선함의 극치였을 것입니다. 때문에 우리 조상님들은 이 자연을 적극적으로 자기 삶에 끌어들여서, 지배하거나 제한하는 대신에 동화되며, 그 수혜를 극대화하는 것에 큰 가치를 두었습니다. 몇몇 분들이 말씀하신 대로 정원을 꾸밀 수 있는 사람이면 고관대작일 가능성이 높고, 과시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일 텐데 그 본성대로 하지 않고 많은 정원들이 위에서 말씀 드린 미학을 추구했다는 점이 저는 오히려 한국 정원의 대단한 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말은 길었습니다만... 그냥 저도 언젠가 정원 하나 꾸며보고 싶다는 말이었습니다. ㅎ
@hanbyeongyeob
@hanbyeongyeob 11 күн бұрын
이분이 말하는 정원의 중국론은 시진핑 종자가 기승전결 모든 것은 중국이 원조이다. 에 세뇌된 겁니다. 어느 문서에도 중국이 원조다. 기록없습니다. 후진국 일본은 빼더라고 선진국 한국을 빼면 안됩니다. 시진핑의 동북공정에 세뇌된 것들이 중국 기원론을 주장하는 겁니다. 벼농사, 콩농사도 한민족이 원조인데. 이놈들은 중국이 원조라고 우기던 놈들입니다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25 күн бұрын
정원은 아니지만 경복궁에도 이런 풍모가 보입니다. 경복궁이 으리으리하고 화려한 건 아니지만 규모가 있으면서도 매우 단아하고 또 아주 우아하면서 특히 배경의 북악산, 인왕산과 어우러져 외국인들에겐 뭐라 형언할 수 없는 이국적인 깊은 감동을 준다고 합니다.
@SweetPlain
@SweetPlain 18 күн бұрын
전 초라하다고 얕본다고 들었습니다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8 күн бұрын
​@@SweetPlain그런 말은 처음 들었음 중국은 갑갑함 감옥 같이
@bbanssu
@bbanssu 2 күн бұрын
경복궁은 흥선대원군이 국력을 쏟아부은 결과물임..동시대에 런던에선 지하철을 뚫고 있었다는게 함정...
@aaaahaaaa
@aaaahaaaa 24 күн бұрын
평소에 궁금했던 주제인데 찾아보지는 못했어요. 덕분에 간단하게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Ratel4Moon
@Ratel4Moon 24 күн бұрын
일본 정원 가서 오래 보고 있으면 미쳐버릴 것 같은 압박감이 있음. 편안함 이런 거 없이 꽉꽉 조여드는 것 같은 느낌. 중국 정원은 보고 있으면 깔려 죽을 것 같은 느낌. 상대를 위압해서 깔아 뭉개려는 느낌. 한국 정원은 이게 의도적 정원이냐 아니면 원래 있던 것에 울타리만 둘렀냐 싶은 느낌.
@michellecho2412
@michellecho2412 26 күн бұрын
자연그대로 갖다놓은듯한 우리나라의 정원에 편안함을 느낍니다.소박한 고급스러움 그 자체인듯
@user-dq2mz9og6b
@user-dq2mz9og6b 26 күн бұрын
역시 아는만큼 보이는 법입니다. 알고나서 다시 보면 전에 보던 것과는 다른게 보이죠 ㅎㅎ 그리고 늘 댓글들 보면서 느끼지만 정말 수준 떨어지는 구독자들도 꽤 있네요...기껏 이렇게 알찬 영상을 만들어놨는데 뻘소리 댓글들 보면 힘이 빠질 것 같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은 조용히 보고 간답니다. 유별난 일부 사람들 때문에 상처받지마세요
@cijjeehh2302
@cijjeehh2302 10 күн бұрын
조선의 기본 경제가 어떻게 박살이 나있는지. 정확한 데이터를 보고 판단하면, 보면 ,영국이 1,001억 달러로 유럽 1위. 그 다음 프랑스가 721억 달러고 독일이 714억 달러 이탈리아는 418억달러 네덜란드는 99억 달러, 스페인은 222억 달러 동유럽은 454억 달러, 러시아와 그 주변은 836억 달러 미국은 983억 달러. 멕시코는 62억 달러, 남미는 216억 달러 아프리카는 401억 달러. 일본은 253억 달러. 조선은 35억달러. 청나라 1,897억 달러 인도는 1,348억 달러. 음....경제력없는 문화발전이라 기적이네여.
@user-fp6zh3jg5i
@user-fp6zh3jg5i 27 күн бұрын
이번에 한국이 정원 평가하는 국제 대회에서 금상 받았대요
@user-wh8vx1bc3x
@user-wh8vx1bc3x 18 күн бұрын
우리애게 자연은 살아있는 생명체고 산신님이 거 하시는 곳이며 우리가 돌아가 뭍힐 신성한 땅
@user-bp6rk3yw1y
@user-bp6rk3yw1y 13 күн бұрын
금상위에 그랑프리,대상,기타등등..있는건 아니쥬~~!!^^ㅋㅋ
@user-fp6zh3jg5i
@user-fp6zh3jg5i 13 күн бұрын
@@user-bp6rk3yw1y 잘 모르겠어요^^뉴스에서 짧은 토막뉴스로 지나간거라^^
@user-bp6rk3yw1y
@user-bp6rk3yw1y 13 күн бұрын
불금에 즐거우시라 농담한거유~~^^
@hongkyupark4918
@hongkyupark4918 12 күн бұрын
아!! 몰랑~~ 그냥 이념이라면 빨갱이고 내 부모 자식이라도 그렇게 할라니께요.. 우덜이 남이가?
@gardenshin119
@gardenshin119 22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머리위로 고래가 지나가는 웅장한 아쿠아리움, 일본은 오밀조밀 꾸며놓은 어항, 한국은 물 속에서 감상하는 바다
@user-wk9mq9vh1b
@user-wk9mq9vh1b 26 күн бұрын
서로다른 차이를 알아갈수 있어서 좋은 영상같아요 감사합니다.
@seseh7068
@seseh7068 20 күн бұрын
다 각자마다 개성이 있어 다 좋음.
@jaa2948euf
@jaa2948euf 7 күн бұрын
원래 남방인들이 다 그렇지. 중국 베트남은 관복도 그렇고 건축도 그렇고 너무 과하게 알록달록해서 부담스러움.
@user-or6qp2ct2b
@user-or6qp2ct2b 24 күн бұрын
한번 방문해서 즐기기엔 일본 정원이 좋지만 내 마당에 두고 즐기기에는 한국 정원이 좋네요. 중국 정원은 정원이라기보다 건축물의 일부처럼 느껴집니다.
@user-co5cg4rh5k
@user-co5cg4rh5k 26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놀랍고 (야 사람 더 투입해서 볼만하게 만들어봐) 일본은 신비롭고 (네놈 머리로는 엄두도 못내게 의미부여 해주지, 쥰내 있어보이게) 한국은 편안하고 (그냥 적당한 곳에 돗자리 하나 펴고 쉬자, 귀챠나..) 영상 보고 그냥 웃자고 써봤습니다.ㅎㅎ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26 күн бұрын
일본은 모르겠으나 나머지는 맞아 떨어지는 것 같네요
@PrettyT-rex
@PrettyT-rex 22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자연주의적 사상으로 정원을 꾸민게 아니라 동원 인력, 자본의 부족으로 "그까이꺼 대충 여기까지 하자!"정신으로 덜 완성 된거에 더 가깝지 않나 싶네요.
@user-cb4zu4sp9l
@user-cb4zu4sp9l 22 күн бұрын
정원만 그렇게 조성하는 게 아니라 건축 자체를 그렇게 해요. 고궁도 그렇습니다. 철학이 맞아요.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20 күн бұрын
요즘 우리나라 국민성보면 편한거 졸라 좋아하는거 보이는거보면 정원에도 그런 국민성이 보이는듯
@mongchimongchi9680
@mongchimongchi9680 20 күн бұрын
자연스러운것이 가장 아름다운것이다
@user-mn1gh9iq8z
@user-mn1gh9iq8z 11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정원은 궁핍
@user-lf3ky4fr6l
@user-lf3ky4fr6l 7 күн бұрын
중국은 화려함의 극치, 한국은 단아함, 일본은 정갈함
@user-ro76vzr3v
@user-ro76vzr3v 2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의 정원을 자연과 같이 살아가는 자연과의 조화로움이죠
@user-le6mj3se3t
@user-le6mj3se3t 27 күн бұрын
서안평은 대명여지도 중기본까지만 표기. 강화는 호광성 남단 끝에.
@user-em4if2xw9i
@user-em4if2xw9i 27 күн бұрын
역시 자연미가 최고여 한국처럼~~
@polarbear759
@polarbear759 4 күн бұрын
이처럼 유럽도 다 각각 나라별로 의 양식이 다르죠.
@user-gg9gq6ew6v
@user-gg9gq6ew6v 11 күн бұрын
그냥 셋 다 좋음.
@sangolman4785
@sangolman4785 3 күн бұрын
싸움수준 ㄹㅇ실화냐? 진짜 세계관최강자들의 싸움이다
@user-rm1xz9xx9b
@user-rm1xz9xx9b 25 күн бұрын
허세 규제 자연스러움 일까요?
@user-nr8xe2sk4e
@user-nr8xe2sk4e 5 күн бұрын
중국: 광각렌즈 한국: 일반렌즈 일본: 망원렌즈
@user-xb1pu9bn6i
@user-xb1pu9bn6i 2 күн бұрын
중국: 과해 일본: 염병똥싸고있네ㅋㅋ 한국: 자연스러워
@HiElvine
@HiElvine 10 күн бұрын
소쇄원을 가보면 대나무 밭을 지나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다가 작은 폭포를 그대로 활용해서 그 옆에 건물을 짓고 뒷뜰에는 꽃나무를 심고 담장을 둘렀지요. 우리나라는 인위적인 미(美)보다는 자연의 아름다운 풍광에 정자를 짓고 즐기는 풍류를 중요시 했습니다. 나무를 인위적으로 가지치기해서 형상을 만들지 않고 나무의 자연스러운 형상을 그대로 두었고 계절마다 즐길 수 있도록 활엽수와 꽃나무를 이용했죠. 중국의 정원을 가보면 빽빽하게 채워넣고 인공적인 느낌이 강해서 감옥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강하고 일본은 자연을 조각해 놓은 것 같은 느낌이 강합니다.
@el-uf3gu
@el-uf3gu 25 күн бұрын
셋 다 내 취향
@user-cb2ik9kq5v
@user-cb2ik9kq5v 8 күн бұрын
이 나라는 조선백자, 조선회화도 여백의 미, 검소의 상징이라도 하는 나라임.
@user-yo5pl5qx9o
@user-yo5pl5qx9o 2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가까운곳에 자연의 아름다움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어서.. 따로 만들필요가 없었을듯~
@balggeun
@balggeun 12 күн бұрын
우리 전통문화는 복식만 봐도 호복, 즉 유목권의 영향이 상당하고 독자적인 문화도 많은데 '동아시아의 거의 모든 전통문화의 시발점은 중국'이라는 말은...물론, 상당한 영향이 있었지만 아다르고 어다르듯이 저런 말은 쭝궈들 먹잇감밖에 안됩니다 ㅠ
@phy7
@phy7 7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게다가 당시 중국이 몽골에게 지배 받아 우리가 그 몽골의 영향을 받은 점까지 중국으로 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웃긴 건 본인들이 원조 원조 하지만, 그런 중국의 전통복식 대부분이 호복, 북방민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어요 예를 들어 복두 단령 철릭 발립, 포 , 흉배, 답호,금박直身, 직신金箔(이건 자료가 많지 않네요) 등등이 북방 영향을 받았음에도 본인들이 원조라고 왜곡하는게 걔들이라고 하더군요.
@zhiwenli-mu6jc
@zhiwenli-mu6jc Күн бұрын
@@phy7 你说中国受朝鲜的影响,明太祖朱元璋会怎么想?你们朝鲜的王只能穿中国皇子规格的衣服,还有什么李舜臣在万历年间的战争只是个无名小卒
@user-wy9bi4ps6h
@user-wy9bi4ps6h 18 күн бұрын
정원수업듣고 정원조겸한데가보면 우리나라정원은 아 마음이 편하다 이런느킴이더굿요
@user-cy1dx9tj2g
@user-cy1dx9tj2g 11 күн бұрын
점을 하나 찍되 어디에 찍느냐가 훨씬 어렵고. 진정한 예술을 아는 사람이 짝을때 진짜 빛이나겠지요 우리나라는 난화?의 여백의 미가 일품이잖아요? 하지만 중국에선 점하나찍어서는 경쟁에서 이기기 어려우니, 점하나찍고 가만 있기에는 불안할겁니다. 뭐라도 더해야 마음이 놓이겠죠. 100개씩 천개씩있으면 마적감각은 안보여도 지진않았다는 마음에 마음이 편해지겠죠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6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느끼는 건데, 우리나라는 중국과 일본의 성향이 혼합된 중간적인 성향이 있는 것 같아요. 지리적으로도 그렇지만 민족적인 색채도 그런 것 같습니다. 호탕함과 거대함, 자유분방함의 중국과 섬세함과 규율, 사회적통합의 일본의 딱 그 중간 즈음에 있는 게 우리나라 인 것 같습니다.
@user-tz8fi9ne5p
@user-tz8fi9ne5p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자연이 주인공인 정원을 추구 일본은 인간이 주인공인 정원을 추구 중국은 내가 주인공인 정원을 추구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24 күн бұрын
❤❤❤
@user-ko1di6np4p
@user-ko1di6np4p 27 күн бұрын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동동이
@동동이 6 күн бұрын
댓글 다는 사람들 전부 프로필사진 없는거 나만 웃긴가?
@user-zr9bx4ms5y
@user-zr9bx4ms5y 17 күн бұрын
몽골 베트남 정원도 알고싶군요
@sg2026
@sg2026 24 күн бұрын
한국 정원은 여백의 미를 많이 두는편이라 그래서 정원들이 시각적으로 시원한면이 있는것같음...
@phymadori545
@phymadori545 13 күн бұрын
한마디로 솔직히 말해, 한국에는 정원이라는 개념이 따로 없다. 그냥 경치 좋은데 정자 하나 지으면 끝이다.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8 күн бұрын
창덕궁 후원도 안 가봤나
@Someone111ify
@Someone111ify 7 күн бұрын
​@@user-fz6hz3uc9x그건 인공미랑 뭐가 다른거임?
@pnuxhf
@pnuxhf 19 сағат бұрын
박찬욱-봉준호-홍상수 이런 느낌ㅋㅋㅋ
@user-gg9gq6ew6v
@user-gg9gq6ew6v 11 күн бұрын
근데 건축이 공간감각을 반영한다는 이 영상 전체 논조를 그대로 미식에 집어넣으면 오차가 생김. 미식, 파인다이닝을 어떻게 자연을 향유하느냐+사람의기교를 반영하느냐고 할 때,일본의 파인 다니이이야말로 한국 정원처럼 가장 가공 덜하는 것을 추구함. 중국은 여기서도 재료의 다양하고 희귀함, 가지수, 발상력 등등 양이나 질로 압도해버리고, 한국은 여기서 의외로 인간의 노동력을 제일 갈아넣어 음식의 가공이 뭔지를 보여줌. 중국만큼 식재료가 없으니까 최대한 있는 걸 활용하고(소고기를 이런 식으로 난도질 하거나 자생 식물을 이렇게 많이 식용으로 쓰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음), 직관적으로 맛있는 기름 + 단 게 없고 귀하다 보니(꿀이나 조청이 한계. 사탕 수수등 설탕은 더운 나라에서나 재배. 예컨대 일본), 진짜 없는 재료로 피눈물나게 양념을 디벨롭해냄. 일본처럼 없는 걸 없는대로 먹을만도 한데, 우린 없으니 쥐어짜고 최대한 먹을만 하게 사람을 갈아넣음. 그러고 나서 손맛 이 지랄....
@tplee8773
@tplee8773 5 күн бұрын
의미 이런거 다 떠느서 그냥 길가는 김 아무개한테 뭐가 제일 맘에드나고 물어보면 거의 일본식 정원 선택할것 같음
@bbanssu
@bbanssu 2 күн бұрын
소박하고 자연스럽다 > 멋지게 꾸밀 기술도 재력도 없었다..국뽕은 그만...중국이나 일본사람들의 평가도 같이 넣어야 의미가 있지..이 무슨..
@issuxark9788
@issuxark9788 2 күн бұрын
말이 좋아서 자연과 조화이지 중국이나 일본처럼 절대왕정이나 봉건사회라기보다는 왕이 신하들 싸움에 머리를 감싸고 여차하면 쿠데타가 일어나는 불안한 권력이나 계급구조 때문이었을 확률이 높음. 게다가 아무리 권세있는 양반이라도 저런 노가다를 시키면 대번에 분란을 살 수 있음 ㅋㅋㅋ
@Fgjfddhhcgh4553
@Fgjfddhhcgh4553 21 сағат бұрын
안빈낙도를 외치는 문학과도 닿아있네.
@mason2250
@mason2250 6 күн бұрын
다~ 다~ 다~
@dakdnfeodjfoeof
@dakdnfeodjfoeof 9 күн бұрын
어떻게 보면 꿈보단 해몽들이네
@user-nc7rx4eb8e
@user-nc7rx4eb8e 12 күн бұрын
마이크좀바꿔요….
@user-vv1gt8ev5d
@user-vv1gt8ev5d Күн бұрын
지양하는바 딱 국민성따라 가네요
@mooners3404
@mooners3404 3 күн бұрын
4:03 일본 이야기 하는데 사진 속 배우들은 다 중국인들 ㅋ 머 어차피 할리우드 영화라서 그쪽이 캐스팅한 거긴 하지만..
@user-yo5pl5qx9o
@user-yo5pl5qx9o 21 күн бұрын
중국:졸정원.. ㅋ.. 괴석.. ㅎ
@user-qs4gm2im4m
@user-qs4gm2im4m 25 күн бұрын
개인생각 일본 인공미 중국 웅대함 한국 조경無(좋게말해 자연?)
@HiElvine
@HiElvine 10 күн бұрын
사실 한국은 궁궐 같이 같혀서 생활하는 것이 아닌 이상 집 밖에만 나가도 앞 산 뒷 산 시냇물이 가까이 있어서 굳이 정원을 만들 필요가 있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user-vj2bl6kz8g
@user-vj2bl6kz8g 27 күн бұрын
동양 건축사 들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결국은 물자죠. 물자가 풍부한 중국은 큰 땅에 자연를 가져오려하고, 가장 적은 일본은 없으니 의미부여를 통해 산이니 강이니 만들고, 우리는 적당히 있으니 다 가져오진 못하지만 있는데에서 최대한 자연를 따르는 정도로 만드는 ... 그정도 차이인 듯
@user-qj1dc1ts8e
@user-qj1dc1ts8e 26 күн бұрын
미학을 재료학으로 바꾸는 일인
@YHKEI
@YHKEI 26 күн бұрын
물자의 차이만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듯. 당시 중국은 물자가 풍요로운 것이 아니라, 인적자원이 풍부 했었음. 물자로만 본다면 당시 동남아시아를 따라 갈 수가 없었음.
@wkfehlfrjdi
@wkfehlfrjdi 25 күн бұрын
이건 아닌 듯... 조선시대에도 꾸미려고 하는 부자들은 내부치장에 그렇게 애썼다고 합니다. 요즘도 콘크리트 공장같은 아파트안에 이거저거 사다가 놓고 화려하게 꾸미잖아요. 조선시대라도 돈 있는 자들은 그러고 살았겠죠. 최빈국도 부자들은 펑펑 쓰고 사는 데요
@MrRbnkim
@MrRbnkim 24 күн бұрын
조선이 가장 못살았는데 무슨 소리..
@user-oq3ds9kc4s
@user-oq3ds9kc4s 2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멀리 산봉우리 순서의 음률까지 계산합니다.
@user-pt7zg1eq9n
@user-pt7zg1eq9n 1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사치를 죄라고 여기는 철학때문에 임금조차도 마음껏 귀중품을 소유하지 못했습니다. 풍경은 둘러두고 보는 것이고 집은 누일 자리만 있으면 된다고 했죠. 이런 철학으로 절제된 미가 많았던 거 같고, 빨강 초록 오방색 연지곤지 주렁주렁은 한때 유행했던 청나라풍이 전해진것이라 하더군요…
@Someone111ify
@Someone111ify 7 күн бұрын
절제를 강요받은거군요
@jasonlee9194
@jasonlee9194 26 күн бұрын
이쁘세요?가 뭐냐 ㅠㅠ 이뻐요? 그래야지
@user-tl1fc5vr2p
@user-tl1fc5vr2p 25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정원은 천하즉 오호사해 명산대천을 넣은것입니다
@user-mi3nt7lx4u
@user-mi3nt7lx4u 16 күн бұрын
진짜 능지인증 댓글 왤케 많냐?
@icbestmc
@icbestmc 13 күн бұрын
왜 한반도는 두색으로 나눴어요??
@user-yx2os8qn7k
@user-yx2os8qn7k 27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 아주 유명하다고하는 오래된 정원을 들렀는데. 그냥. 잘꾸몃다는정도 일뿐. 와닿지않던데요 ᆢ우리 나라 정원이 딱좋은듯😅
@user-us9hv4mx7r
@user-us9hv4mx7r 27 күн бұрын
그니깐 한국인이라는거에요 글맥락이
@user-fm6sc8gz7w
@user-fm6sc8gz7w 26 күн бұрын
중국사람들이 한국경치보고 별 볼거리가 없다입니다 각자 나름대로 문화에따라 보는 관점이 다른거겟지요
@user-cb4zu4sp9l
@user-cb4zu4sp9l 26 күн бұрын
교토에서 유명한 정원들을 많이 들렸습니다. 유홍준 전 청장 서적에 있는 곳은 거의 다 갔는데요, 배경지식을 가득 담아 갔는데도 감동이 크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냥 '한정된 재료로 가장 이쁘게 표현하려 했다' '선불교 철학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정도만 느껴졌습니다. 다만 료안지 정원에선 꽤 감정이 강해지면서 좋은 경험을 했습니다. 가레산스이 정원이야말로 규모를 이루지 못 하면 아름답지 않더라고요. 작은 정원에선 그런 먹먹함이 느껴지지 않았어요. 크기 만큼 감정도 작아지는 느낌.. 다만 사찰 건축물들은 시원시원하게 커서 좋았습니다.
@user-cb4zu4sp9l
@user-cb4zu4sp9l 26 күн бұрын
+ 은각사의 경우는 건물 자체는 품위가 있고 담담한 분위기를 풍겨서 좋았습니다. 다만 정원의 경우는 은각사지 초입의 식물 담장을 제하면 아름답지 않았습니다. 어디에나 있는 테마마크의 대로, 골목의 것과 형식적 차이만 있지 느낌은 같았어요. 모래로 만든 백사탄이나 향월대도 은각사 자체와 그닥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예술과 문장을 좋아한 이질적 무사 지도자의 문인적 성향에 비하자면 다소 튀어 보였거든요. 많이들 가시는 금각사의 경우는 번쩍번쩍한 것이 천하게 보였습니다. 당대 일본인들이 추구했던 미의식과 예법에 어울리지도 않고요.(복원 이전 모습과 아주 다릅니다.)
@user-ob2xf3nz4w
@user-ob2xf3nz4w 25 күн бұрын
은각사 정원 보고 이건 뭐지? 하고 의아했었어요. 가장 이상했던건 맨발로 작은 낙엽을 한 장 한장 주워서 바닥에 이끼 외에 아무것도 없게 만드는 정원사분을 봤는데 제 느낌으로는 좀 충격적이고 기괴한 느낌이었어요. 이 영상를 보니 그 이유를 조금 알것같은데, 그래도 전 자연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우리나라 정원이 백번 좋습니다.
@seseh7068
@seseh7068 20 күн бұрын
다만 그렇게 자랑스러운건 아닌게..한국은 조선시대때 건물높이를 규제해 버림. 정원을 만들래야 많이 만들수도 없었음. 그냥 사대부 중에서 대가만 만들까 말까..즉 한국의 정원은 정말 만들었다기 보다는 그냥 정말 자연일 가망성이 높다. ㅋㅋ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20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진짜 아무것도 안하는게 한국정원 과연 정원이 맞을까?
@user-veo
@user-veo 14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자연스러움은 = 대충대충 k융통성
@SANWAMONEY1
@SANWAMONEY1 12 күн бұрын
창덕궁 후원만 봐도 그런 말 못할텐데
@Someone111ify
@Someone111ify 7 күн бұрын
​@@SANWAMONEY1그건 최고위지배자가 사는 곳이니 예외아닌지요.
@SANWAMONEY1
@SANWAMONEY1 7 күн бұрын
@@Someone111ify 대한민국의 수많은 전통 민간정원만 봐도 진짜 자연일 가능성이 높다는 헛소린 못할거임
@us-sdf
@us-sdf 22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자연을 정복하려고 하고 일본은 자연을 소유하려고 하지만 한국만이 자연을 둘러두고 보려고 한다
@user-jt2vj5ez2u
@user-jt2vj5ez2u 25 күн бұрын
어느 경치 좋은 곳에 갔는데 쉴 자리가 없다면 크게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소박한 정자 하나 짓고 멍 때리며 자연을 보는게 한국의 정원이라고 봅니다
@bgkim-my9ue
@bgkim-my9ue 25 күн бұрын
가끔 해외에 한국 정원을 재연해놓은 걸 보면 촌스럽고 보잘것없어 보일 때가 있는데 어쩌면 그것이 한국 정원의 특징을 상징한다고 볼 수도 있죠. 단순히 정자 하나 세워놓고 한국의 전통이라고 홍보하는 건 한국 문화의 정수, 본질과는 거리가 멀죠. 에펠탑이나 피라미드는 어디에 옮겨놔도 웅장하지만 한국의 정원은 정자 하나 옮겨놓는다고 재연되는 게 아니죠. 한국 정원의 핵심은 정자가 아닌 정자를 둘러싼 자연 그 자체. 한류가 유행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도 높아지고 이젠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이 경복궁을 보면서 건축물 자체도 아름답지만 도시, 자연 등과 조화를 이루는 모습에서 감동, 희열을 느낀다고 얘기할 때 깜짝 놀란다는.
@wkfehlfrjdi
@wkfehlfrjdi 25 күн бұрын
그런데 해외마을이라고 조성해놓은 거 보면 다 조악해보여요. 그것은 카피품이라서죠. 원본은 품격이 있음 에펠탑도 세울 당시엔 파리시민들이 흉물이라고 건립반대했었어요
@kiyongkim7651
@kiyongkim7651 2 күн бұрын
정원은 인위적인게 맞는거지 ㅎㅎ. 자연스러운 맛을 느끼려면 그냥 자연에 가면 되.
@sfk1031
@sfk1031 9 күн бұрын
개인 취향이지. 일본에서 하면 무조건 하면 안된다고 한국적이지 않다고 초가집 좋다고 하니 외국인들이 한국은 거지국가냐고 조롱하지 한국은 무조건 빈민 거지처럼 살아야 한다는 역사학자들 개축건물에도 식민지의 상징인 1.5층 요구하는 나라.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 27 күн бұрын
자연을 인공적으로 만든다라....국경방어를 위해 만리장성을 짓거나, 송이 요나라 기병을 막기 위해서 호수를 파고, 숲을 만든 중국이라는 나라의 특성이 정원문화에 반영되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25 күн бұрын
태조 이성계가 정원 꾸미기를 그렇게 좋아했다고 합니다. 다만 사간원이 백성들의 고혈로 정원을 가꾸어서야 되겠냐고 임금을 질책했고 그에 태조 이성계는 부서진 정원을 보수했을 뿐이라고 응수했다는 실록의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생긴 것과는 달리 태조 이성계는 포도를 그렇게 좋아해 뜻밖에 면모를 보였습니다. 사실 태조 이성계는 한민족 역사상 최강의 무인 중 하나이지만 평소 화를 내는 일이 없고 부하들에게도 예를 갖추고 대했다고 하며 이런 풍모가 정도전이 이성계를 새로운 왕조의 군주로 선택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user-ll2pw5xf9r
@user-ll2pw5xf9r 24 күн бұрын
승자는 항상 미화되죠.
@RL1354
@RL1354 23 күн бұрын
최강의 무인이 짱깨한테 빌빌기노
@marinekim3011
@marinekim3011 9 сағат бұрын
일본과 똑같은 동질적 행동을 가진 자=대구경북... 이들의 공통점은 위에서 시키면 맹목적 충성하는 노예 근성을 가졌다.
@user-un9zy7wd2d
@user-un9zy7wd2d 26 күн бұрын
자연을 이기는 건축물들을 바라보면 혐오스럽잖아요~
@agm1144
@agm1144 16 күн бұрын
민족성이 아니라 경제적 차이 때문에 생긴 차이네요. 중국의 정원을 만든 중국의 지배층들은 한국, 일본의 지배층과는 차원이 다른 부를 누리던 사람들입니다. 그러니 정원 하나 짓는데 엄청난 비용을 지불해서 정원에 온갖 나무와 괴석을 꽉꽉 채워 한껏 사치스럽게 만들 수 있었던 거죠. 일본 정원을 만든 사람들은 경제적 여유가 없는건 아닌데 중국 부호들만큼 정원에 퍼부을 여유까지는 없었기에 제한된 공간과 재력 내에서 최대한 꾸며볼려고 노력한 결과 저런 정원들이 생겨난 겁니다. 조선 정원을 만든 사람들은 중국 일본의 그들과 비교하면 빈곤한 편이였던지라 정원에 정자 하나 짓는 것 만으로 허리가 휠 지경인데 거기다 뭘 더 꾸미고 할 여력이 있겠나요. 담장 두르고 정자 짓고 그걸로 만족할 수 밖에 없었던거죠. 좀 더 설명하면 시장 경제의 실종으로 정원을 꾸미고 싶어도 거기 필요한 인력, 물자 구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곧은 나무가 귀해져 삐뚤삐둘하게 휘어진 목재로 지은 집들을 보고 무위자연이 어쩌구 조선 건축의 미학 운운하던 거나 똑같은 경우라 봅니다. 조선이 소박한걸 좋아한게 아니라 가난해서 소박한 걸로 만족하고 지낸겁니다.
@user-veo
@user-veo 14 күн бұрын
중국일본은 조상들이 잘살아서 그 여유와 미적기준이 후대에도 이어지는것 같아요. 한국은 여유와 미감보다는 효율과 투박함이 이어지는 느낌
@youngkim2636
@youngkim2636 9 күн бұрын
물질이 문명을 낳으니까요
@user-qu6cr8ug1z
@user-qu6cr8ug1z 25 күн бұрын
😁😁😁😁😁😁😁😁😁😁😁😁😁😁😁😁😁😁
@us-sdf
@us-sdf 22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정원의 미는 자연의 하나가 되는것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조경 문화 자체가 없음 경치 좋은 곳에 정자 하나 지어놓고 끝이지 조경이라 말하는 것도 어색 일본에서 꽃창포 개량의 역사만 700년이 되었다는 말을 듣고 문화의 틀이 완전 다르구나 싶었음
@user-cb4zu4sp9l
@user-cb4zu4sp9l 26 күн бұрын
교양 때 배운 건데, 파괴하지 않고 그 공간에 어울리는 건축을 한 것 자체가 조경이라고 하더라고요. 어쩔 수 없을 때는 건물 자리에 있었던 것들을 옮겨 심거나 했으니 조경이라할 수 있고요. 식물의 경우는 유교에서 숭상한 식물들이 있어 다른 데 눈을 흘리지 않은 것이 다양성 방면에선 아쉽다 하겠네요.
@dykim4637
@dykim4637 22 күн бұрын
본래 예술이나 조경 이런분야는 사회 상류층의 전유물이자 그들에게 잉여 경제력이 남아야 잘만들고 발전할수 있는건데 이런 면에서 보자면 한국 정원은 3국중에 가장 열악한 경제력으로 인해 대충하나 짓고 후대에 와서 자연미니 뭐니 포장한 면이 있죠 당장 실록에만 봐도 후원정자 하나 짓는데 돈이 어딨냐며 신하들이 들고 일어서는 기록들 자주 나옵니다 왕실이 그거하나 지을 돈도 빠듯했다면 사대부야 말할것도 없죠 그리고 미학적인 측면에서 조선시대 후반으로 갈수록 중국그림을 모방하고 중국풍의 무언가를 만드는게 주류층의 니즈였고 그걸 최고로 쳤었죠 그래서 현재도 세계미술사적 관점에서 조선미술이나 건축은 중국이나 일본의 아류정도로 밖에 인정되지 않아요 남은게 그게 다수인데다 그런 기록이 너무 많으니까요 김홍도같은 분의 작품은 소수고 진품명품에 나오는 소장품들봐도 중국옷입고 중국의 어디를 상상해서 그렸다는 그림들 수두룩합니다
@ekkkkk719
@ekkkkk719 21 күн бұрын
돈이 없다는게 진짜 없는게 아닙니다. 서태후 이화원이나 만력제 무덤짓기처럼 지도층이 밀어부치면 나라가 망할 정도라도 해요. 조선 지도층은 그걸 안한거고.
@dasoomak
@dasoomak 17 күн бұрын
헛소리하네
@dasoomak
@dasoomak 17 күн бұрын
창덕궁과 경복궁에 정원이 있는 걸 몰라?
@user-ev9wv8up7s
@user-ev9wv8up7s 14 күн бұрын
​@@ekkkkk719조선은 백성들에게 저세율을 부과하던 나라라 항상 만성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렸음을 감안해야됨. 하지만 매우 강력한 중앙집권국가였기에 백성들을 쥐어짜내면 사실 못 할 것도 없긴 함. 대표적으로 광해군이 즉위 이후 벌인 궁궐 공사인데, 무려 5개의 궁을 동시에 지었으며 몇몇 궁은 당시 매우 희귀하고 비싼 염료로 만든 청기와로 덮었을 정도..
@user-mj2uj7yt8d
@user-mj2uj7yt8d 27 күн бұрын
유홍준이 나와서 김이 팍샜어요. 전체적으로 재미있었습니다.
@user-leeonpower
@user-leeonpower 26 күн бұрын
왜요? 유교수님이 먼 잘못했나요? 진짜몰라서요
@seouh1
@seouh1 24 күн бұрын
과유불급 아닐까요?
@dykim4637
@dykim4637 26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이긴한데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다음부턴 유홍준같은 국뽕의 평가보단 좀더 객관적인 의견을 영상중간에 넣었으면 어떨까싶네요
@Plus____
@Plus____ 25 күн бұрын
그럼 우리 문화는 구리다고 생각하는 너는 객관적이라고 생각함?? 너 일뽕이지? 무식한 냄새가 난다
@user-eu6qu6no1j
@user-eu6qu6no1j 26 күн бұрын
외국교수가 한옥이었나 한국정원이었나 인간을 초대하는 거라고 했지
@user-xu6lm8vl6s
@user-xu6lm8vl6s 26 күн бұрын
이젠 소박함은 좀 지겹다,,, 고마하자
@dasoomak
@dasoomak 17 күн бұрын
공감. 사실과 다른데 소박.자연이래,
@bhop7744
@bhop7744 23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일본식이 트렌드이긴 하지
@user-sd7jc2iv1b
@user-sd7jc2iv1b 10 күн бұрын
일본문화를 좋아하지만,, 저는 그냥 자연속의 정자하나둔, 우리나라정원이 정말 좋더라구요... 중국정원은,, 글쎄...
@zeus1586
@zeus1586 18 күн бұрын
중국과 일본이 멋있고 좋구만 . 한국의 정원은 거의 뭐 꿈 보다 해몽이네.
@empowerlee
@empowerlee 26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압축이고, 일본이 통제라면, 한국은 방치가 아닐까? 놓을 방, 둘 치 -> 있는 그대로 냅둔다는 의미에서 방치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wkfehlfrjdi
@wkfehlfrjdi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이라서 그러나 한국정원이 심심해보이긴 해도 보기엔 편안하네요. 중국정원은 뭔가 밀림같이 느껴지고 일본은 보기만 해도 답답하네요
@user-js2dk6nz5f
@user-js2dk6nz5f 25 күн бұрын
21세기에 맞는 사고 방식!!😢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LOVE LETTER - POPPY PLAYTIME CHAPTER 3 | GH'S ANIMATION
00:15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웹툰 참 재밌긴 한데...네이버웹툰 적자 허덕이는 이유 (파인드어스 이재용 회계사)
1:03:52
'My Peace of Mind' Making a Front Moss Garden | '내 마음의 평안' 주택 앞 이끼 정원 만들기
25:06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