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여러 종류의 전력기기를 준비하여 현장 실무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상봉손-t8f2 жыл бұрын
보기힘듬 동영상 정말 감사합니다.업무에 많은도움이 되네요.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김석철-i8y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정보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사업 번창하시길 바랍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직접 다루기 힘든 특고압부분 전력기기를 준비해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노을구름-w8q2 жыл бұрын
현장에서 직접실무해주셔 도움이 돼겠네요 영상감사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James-wi4jz2 жыл бұрын
정말 설명도 잘하시네요. 좋은 영상입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최철혁-w8y2 жыл бұрын
귀중한 자료의 영상을 보니 더욱 이해가 되고 근무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현장에 도움이 되는 영상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davidlee1718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실력에 감탄합니다 감사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조금 있으면 정식 수변전설비를 가지고 더 낳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이은부-b5v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blueksj7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강추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응원 감사합니다.
@lee8747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보 감사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네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thismildkt2 жыл бұрын
비상 발전기 절연저항 측정 하고 점검도 부탁합니다.
@리암소피아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휴즈교체하는 방법도 부탁드립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한류형파워퓨즈 내부 구조를 볼 수 있도록 준비하여 퓨즈 교체하는 방법도 같이 올려 드리겠습니다.
@박민규-j9u6e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보기 힘든 영상이네요 Zo1과 zo2를 계속 com안시켜도 되네요 이유가 뭘까요 붙였다 때면 떨어질것인데요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봐주셔서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문의하신 이유는 LBS 투입용 보조계전기(89X)에 Z01과 Z02를 순간 연결이 되면 89X가 자기유지가 되어 Z01과 Z02의 접점이 떨어져도 LBS DC모터에 110V가 연결이 되어 투입이 됩니다. 더 자세한 것은 이전에 올려드린 영상 "LBS 내부회로 이해 및 시퀜스 결선"을 참고하시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jyj85522 жыл бұрын
VCB가 있는데, 왜 퓨즈를 또 넣습니까?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VCB는 정기검사 또는 보수공사 등 부하를 차단시 결상을 보호하기 위해 3상을 동시에 개폐하고, 일시적인 과부하전류 차단용도 이며 전력퓨즈(한류형)는 2상, 3상 단락시 대전류를 신속히 차단하기 위해 사용 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차단시간은 VCB는 3~8Cyle 이나 한류형파워퓨즈는 0.5Cycle 로 고속차단이 가능하여 최소시간내에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여 계통회로의 전력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을 합니다. 참고로 사고전류 차단시간 순서는 한류형파워퓨즈 0.5Cycle 비한류형파워퓨즈 0.65Cycle 차단기 3~8Cycle
@jyj85522 жыл бұрын
한류 파워퓨즈 단독으로 설치시에 지락고장전류 발생시에 님께서 말씀하신대로 0.5싸이클 이내에 차단되므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문제는 3개 퓨즈중 한개만 융단되어 결상이 걸리는 경우 도리어 사고유발 상황이 더 나빠질수 있을것 같습니다. 따라서 전력휴즈에서 지락고장 검출시에도 3상이 동시에 개방되어져야 어느정도 효과를 볼수 있다고 여겨지는데 이렇게 될려고 하면은 LBS까지 연동해서 동작되어져야 고장전류를 완전히 해소시켰다고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럴경우 VCB동작과 파워퓨즈+LBS를 상호 비교해야 하는데,, 이경우 VCB가 파워퓨즈+LBS 보다 동작책무가 훨신더 우수합니다. 또한 전력휴즈는 동작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발생하지만, VCB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VCB가 우선하여 동작하는것이 유지관리 측면에서 더 유리할것 같습니다. 따라서 부하단의 사고시 계통의 주보호는 VCB가 후비보호는 전력퓨즈+LBS가 담당하도록 보호협조를 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전북전기구신전기기술2 жыл бұрын
퓨즈부착형 LBS에는 결상기계적트립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3상 중 용단되면 스트라이커핀이 돌출되어 결상기계적트립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결상을 보호합니다. 또한 VCB와 파워퓨즈 용도는 차이가 있으며 JY J님 말씀처럼 전력계통에서 서로 보호협조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