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나눠밟으면 안된다하시는 분들을 위해 추가 영상 올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kzbin.info/www/bejne/fH2mg2mgf7ichrs
@qst5953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사용자 설명서에 펌핑식으로 하지 말라고 나온 거..
@골드팟7 ай бұрын
급발진은 없습니다. 있다고 해도 없다고 인식해야합니다. 왜냐하면 실수로 악셀을 밟게되면 그 순간 급발진으로 인지하게 되어 브레이크 밟지도 못하고 차가 날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설령 오버런으로 급발진이 발생하더라도 브레이크로 충분히 섭니다. 미국도 페달오인 때문에 이상 가속시 두발로 브레이크 밟으라고 하고 있습니다.
@seojunbbabba6 ай бұрын
브레이크 밟았을때 스탑램프스위치라는게있습니다 브레이크폐달에달려있는스위치입니다(on.off스위치)브레이크를밟았을때 닫아주는역활 밟으면on 브레이크스위치에서 신호가가면 abs모듈로신호가갑니다 다시abs모듈에서 리어샘컨트롤유닛으로신호보냅니다이것도작은컴퓨터입니다 이컴퓨터는 뒤쪽에있는 전자장비들을제어하는컴퓨터입니다 여기서 마지막이그니션스위치에서 브레이크라잇을키게됩니다 그럼abs모듈에문제가있던지 리어샘이문제가있던지 이그니션스위치가문제가발생할수도있습니다 이중하나라도 문제가생기면 브레이크등은 안들어올수있습니다 ecu하고 브레이크컨트롤모드하고 신호를 다 주고받습니다 그래서 ecu가 문제가생기면 브레이크등에도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브레이크폐달서부터abs유압장치까지는 기계식이맞으나 abs유압장치부터는 전자식입니다 알고리즘에따라서 자동차스스로 브레이크를 잠그고열수있는 오류가 발생할수있습니다 비상충돌시스템이 있는차량이면 더욱더 개입여지가있습니다
@ARAMIZ_YOUTUBE4 жыл бұрын
괜찮으시겠어요? 혹시나 악풀이 많이 달리더라도 너무 상심마시구요. 용기 내서 지식 전달에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전 계속 응원할게요.
@AutoMiseng4 жыл бұрын
걱정과 응원 감사합니다 🙏
@gC-ni3iw4 жыл бұрын
면허 시험때도 이런 긴급상황에 대한 교육이 필수로 이루어져야 될 것 같아요. 저 취득할 때는 긴급 알람 나오면 급정지하고 비상등 켜는 것 밖에 없었는데.... 자동차가 기계에서 전자기기로 바뀌는 추세에 급발진과 같은 긴급상황 대응 메뉴얼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브레이크에 대한 정보 오늘도 감사히 알아갑니다.
@김첨지의럭키데이-l1b4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뻥 뚫린 도로에서 급발진 상황처럼 차 갑자기 훅 튀어나가게 만들고 풀브레이킹 능력 테스트하는것도 재밌겠네요...물론 상상에서만 가능하겠지만
@un-kim.4 жыл бұрын
제조사가 앞장서서 해야죠 제조사가 이런걸 권장하면 급발진을 간접적으로 인정하게되어 안합니다
@나다짜근토끼4 жыл бұрын
@@un-kim. 드라이빙센터 만든다잖아영
@chltjr834 жыл бұрын
혹시 운전면허 기능 시험중에 돌발이라는 상황이 있던거로...아는데요.....급 정지 하지 않았나요?
@youngnam9444 жыл бұрын
@@chltjr83 급 정지 해야만 합니다.
@하늘파란-o2w7 ай бұрын
브레이크는 엔진을 압도하게 디자인 된다. 브레이크와 엑셀을 동시에 밟으면 브레이크가 이긴다. 브레이크를 이길 수 없다.
@ivankim84194 жыл бұрын
미생님의 영상을 보면 항상 드는 생각은 타 유튜버들 처럼 마냥 뜬구름 잡는 소리나... 어깨 넘어로 배운 경험으로 떠드는 사람이 아니라 점으로 너무 고맙구요. 실무와 이론을 겸비 하신분께서 팩트로 가르쳐 주시니 너무 너무 고맙습니다. 이번 영상 분석을 통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주시니 더욱이 고맙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화이팅입니다~!!!
@josephkim10084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영상내내 십분 공감하며 정청했습니다. 본 영상을 많은분이 보시면 좋겠네요.
@heyman777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저도 영상 보면서 좀 이상한분이 있었습니다 . ^^ 기본적인 자동차 메커니짐을 약간만 알아도 대처가 가능했을텐데 . .하지만 저 같아도 이렇게 당황을 하면 당시에 정확한 판단을 하지 못했을것같아요 . 미리 예고된 상황이 아니라서 그럴것같아요 .
@uio86a4 жыл бұрын
@@감기조심하세요 수동은 엔진꺼도 어느정도되겟지만 안그래요 해버세요 그게되나 ㅡㅡ
@raynorh14 жыл бұрын
중간에 사이드 브레이크 채웠는데도 계속 급발진. 아반떼 차량이 브레이크등 들어오는 블박 제출했음. 흉기차가 흉기했다고 결론나올듯.. 최근엔 lf 소나타 브레이크 등 나오는상황에서 명백한 급발진 영상도 나옴
@ubox81174 жыл бұрын
응 너도 꼭 꼭 꼭 당해봐 급발진 꼭 당할거야 꼭
@heyman7774 жыл бұрын
@@ubox8117 그때 저도 한번 유튜브 영상으로 올려볼게요 . 20000대 정도 차량을 해외에 수출해 오면서 아직은 단 한건의 급발진도 없었습니다 .
@ubox81174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되도 않는 tmi 날리지 마시구요 말의 의도는 급발진 자체에 목적이 아니고 님을 포함한 당신에 자녀, 부모, 부인 등 사랑하는 사람들이 급발진으로 사랑하는 가족을 본인 옆에서 죽어가는 거를 보고 이런 말 하는지 지켜보겠다는 거에요@@heyman777
@leg-v3f4 жыл бұрын
레이는 지금 팔고 있는 모델이나 초창기에 출시한 레이나 운전석이 아닌 다른 좌석들은 안전벨트 감지 센서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로서 참 대단하게 느껴지는 방송입니다.. 아무래도 한국에 거주하다보니.. 핑게일 수도 있지만.. 차마 이렇다 저렇다 얘기하기 꺼려지는 주제를 엔지니어로서 인정하고 대체 방안들을 제시하는 모습들에 대해 존경을 표합니다. 미생님 화이팅~ 미국 출장 갈일이 이제 있으려나 싶지만 가게되면 꼭 연락드리고 찾아뵐게요 ^^
@AutoMiseng4 жыл бұрын
한국시간으로 완전 새벽시간이실텐데. 부지런하시네요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yunsujeong-b8m4 жыл бұрын
미생님 응원합니다~소신발언 요즘 말로 존멋탱이라고 한다죠 ~ ㅎ 응원드립니다
@dijaypark52574 жыл бұрын
98면허는 면허시험 합격하고 안전교육에 이런상황 대처방법 교육을 받았습니다. 당시에는 형식적인 교육이라고 비난도 많았지만 들으니 위기상황에 기억이 나더군요. 불면허 세대로서 면허시험, 안전교육 강화되야 한다고 봅니다.
@bilimwoodworks4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오늘 급발진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 이제는 면허시험에서도 가르쳐야 하는게 아닌지 얘기를 나눴는데. 이 영상이 딱 보이는군요. 감사합니다 ㅠㅠ
@알파카월드-z7k4 жыл бұрын
평소에 급발진 영상 보면 시동을 끄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오늘 기어 N으로 바꾸는 것과 시동 끄는게 효과 있다는거, 그리고 시동 꺼도 브레이크는 작동한다는거 잘 배우고 갑니다🍀
@하곰-l4n3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시동을 꺼도 브레끼가 작동하긴 하지만 문제는 시동을 끄면 핸들조작 자체가 안먹어버림... 다행히 시동을 꺼서 브레끼가 바로 밟힌다 하면 다행이긴 하지만 막말로 고속도로에서 급발진 의심이라고 해서 시동 꺼버리고 브레끼만 열라 밟고 있고 있으면 앞에 낭떨어지가 있을수도 있고 태형 트럭이 있을수도 있고 한데 그 경우는 커브 자체를 돌수가 없어요. 쭉 진직 도로에 정면에 아무것도 없으면 할수 있지만 시동을 끄는것은 대형 참사가 일어날수있는 가능성이 더럽게 크다는거죠. 중립 N으로 놓으면 브레끼가 밟힘과 동시에 핸들조작 및 차의 여러 조작을 할수있죠.
@최광수-z1z2 жыл бұрын
시동 끄면 그리고 불과 몇초 지나면 브레이크 안 듣던데 (밟아지지 않고 딱딱해져서 안 밟아 지던데ᆢ) 이게 맞는거 아닌가요?
@아리스-g4d2 жыл бұрын
@@최광수-z1z 시동 꺼지면 한번에 힘껏 밟아야 함 시동 끄고 몇번 밟아 보시면 딱딱해짐 또한 시동 끌때 완전히 키를 돌리면 핸들 잠김 acc 까지만 돌리세요
@cutewolf11234 жыл бұрын
꼭 알려드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욕먹을 각오도 하고 촬영하신 미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저런거 볼때마다 브레이크 꽉 밟고 n단으로 빼고 시동 끄는 시뮬레이션 해봅니다. 그런데 브레이크를 밟았다 뗐다 해볼 생각은 못했는데 이것도 중요하다는걸 오늘 배워가네요. 주위에 많이 전파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꺽어신은4 жыл бұрын
막상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 달리고있을때 저러면 아무 생각도 안날것같다 ! 졸 멘붕 얼마나 무서울까
@fs6780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가끔 급발진 사고 있을때 제조사 쪽에선 악셀을 잘 못 밝았을 경우를 얘기 하더군요. 하지만 운전에 익숙한 사람이 순간 잘 못 밟았다고 해도 몇분간을 의식 못한다는 건 평소에도 이해가 안되더군요. 저또한 어쩌다 잘 못 밟을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인식하고 바꿉니다. 그게 보통 아닐까 합니다. 미생님에게 하는 말은 아니고 제가 평소 느낀 것을 얘기하는 겁니다. 잘 봤습니다.
@Opportunity_once_again4 жыл бұрын
오너분들은 사고가 굳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속는셈 치고 엉덩이 들고 패달 부러뜨린다는 느낌으로 브레이크 꽉 밟는걸 한번씩 해보는걸 추천드립니다. 풀브레이킹이 어느정도 깊이와 힘이 들어가는지 체감하는 것과 아닌것은 큰차이 입니다.
@pe_pe594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사전에 연습해봐야합니다. 진짜 쎄~게 밟아야하거든요
@kaiser78462 жыл бұрын
풀브레이킹 하면 페달이 달려있는 부분이 휜다는 느낌이 옵니다. 더세게하면 부러질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성엘리-p1d4 жыл бұрын
제가 브레이크 딱딱해지는 경험을 해봤는데 정말 딱딱해집니다. 이상함을 못 느낄 수 없을 정도로..
@seogy-log4 жыл бұрын
이곳은 댓글 분위기가 운전수가 3분동안 엑셀과 브레이크를 실수로 바꿔 밟았다고 하는 분위기네....이걸 어떡해 생각해야하나..... 계속 말씀하시는게 '정상적인차'를 기준으로 얘기하는데 왜 기아차가 '결함있는차"를 만들었다는 기본 가설은 없지? '예를들어 브레이크는 엔진을 이길수 없게 되어있다'-->정상적으로 만들어진 차라면 그렇겠지. 그런데....자신들의 차가 결함이라면??? 마치 교회다니는 사람같다.. '성경에서 말씀하시길 말이야'... 일단 그들은 성경이 잘못되어있단 가설은 없죠 그리고 지금은 3분동안 저 상황에서 침착하게 피하면서 운전한 운전수를 자격미달이라 욕하고 있는 상황임
@HaaaamHoo7 ай бұрын
혹시 민주당 지지하시나요?
@ashutalos4 жыл бұрын
전에 업무로 만났던 분이 계셨는데 차를 탔더니 운전석 아래쪽이 밝더라고요. 차가 왜 이러냐 했더니 예전에 급발진을 한 번 겪은 적이 있는데 입증을 못했다네요. 그래서 브레이크 엑셀 쪽이 찍히도록 블랙박스를 다셨답니다. (어두우니 조명) 그래서 밝은 거라고... 정말 억울하셨던 모양이에요. 순간 나도 다는 게 좋을까? 라는 생각을 잠깐 했었네요. 저도 예전에 급정거하느라 엉덩이 들고 브레이크를 꽉 밟아서 간신히 사고 피한 적이 있어서...
@travel_canada_athome3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운전 하는 사람들은 꼭 봐야한다....진짜 감사합니다...... ㅠ_ㅠ
@windybot90834 жыл бұрын
해봤어여? 당해 봤냐구요? 당해 보지 않았으면 근거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지사인듯... 기계가 수많은 조건과 환경에서 운행되다가... 한순간 잘못 작동될때 그것을 지금이나마... 블랙박스가 있어 증거가 되지.. 이전에는 자동차의 결함을 사용자가 밣혀야 한다는 개 나발 같은 법이... 자동차 제조업체의 로비로 억울하게 당한 수많은 시민들이 얼마나 많을까요
@콩냐미-t6p7p4 жыл бұрын
피해자 입장에서는 기분나쁠 상황이네요. 그래도 소송가면 제조사 입장에서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논리이며 이논리를 깨부셔야 소송도 이깁니다.
@나다짜근토끼4 жыл бұрын
형의 책임을 얘기하기에는 아직 실버버튼도 없습니다..
@나다짜근토끼4 жыл бұрын
@@효성-v5i ㅠㅠ 미생형파이팅
@AutoMiseng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고정!!
@Kmec516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쎄게 때린다고?ㅋ
@나다짜근토끼4 жыл бұрын
@@AutoMiseng 내가 잘못했어요 형.....
@FrostBlizzard14 жыл бұрын
와ㅋㅋㅋ나빴다ㅋㅋㅋ
@dfytrrmmkop6 ай бұрын
본 영상중에 설명이 가장 좋습니다. 브레이크 밟았다 뗏다 반복하라. 자세한 설명 가장 좋습니다. 님이 바로 명장이라 생각합니다.
@bichon-yoolmoo4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되는 부분 하나. 저는 젋을때 차 좀 격하게 몰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단순 객기였지요. 특히 신호대기에 걸렸을때 급출발을 하기 위해서 풀브레이크 상태에서 동시에 풀악셀을 하다가 브레이크를 놓으면 휠 스핀이 일어나면서 출발하게 됩니다. 미생님 말씀대로 때려 죽어도 악셀이 브레이크를 이기진 못합니다. 브레이크를 이길 수 있는건 관성 밖에 없더군요.
@yulee50184 жыл бұрын
주행중 브레이크 여러번 푸쉬하면 순간적으로 진공배력장치 진공이 다 빠지면서 다시 진공력을 충전하기까지 브레이크가 매우 뻑뻑합니다(인력으로만 브레이크 밟는상황). 물론 급발진 상황에서 이방법 저방법 미리 알아두는것이 좋겠지만 부작용도 같이 알려주셔야 진짜필요할때 알맞게 적용킬수 있을것같습니다.
@naru07084 жыл бұрын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진자 중요한내용..
@peterchoi67894 жыл бұрын
중요한 내용이네요. 욕먹을것을 각오하고 올리셨군요. 잘봤습니다.
@shhyun58564 жыл бұрын
저거 브레이크가 말을 안들었다면 앞바퀴를 붙잡는 체계가 말을 안들었을 겁니다. 그러면 브레이크 등도 안들어올 겁니다. 그리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다? 가능성 없어 보이네요.
@heyheum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등은 안들어올수가 없어요. 브레이크랑 전혀 다른 시스템으로 단순한 접선 여부에따라 들어오는거라 브레이크등과 브레이크가 동시에 고장날 순 없죠. 뒤차 블랙박스가 있으면 확실할텐데
@Reddot_AUTO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전문 엔지니어에게 듣는 고오급 정보네요 ❤️
@yjlee8725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가 안들어" 이말이 브레이크가 딱딱해져서 안밟힌다는 말씀 같아요. 보통 이렇게 표현을 많이하거든요. 저도 미생님 영상들 보면서 브레이크가 딱딱해진다는 표현을 알게 됐어요. 직접적으로 브레이크가 딱딱하다라는 말을 안했다지만 그럴 가능성이 더 크게보입니다.
@성윤제-i3d4 жыл бұрын
블박차주가 한문철변호사님한테 말한 바 로는 브레이크가 딱딱하지않고 쑥 들어가게 밟혔다고 하네요.
운전경력 25년차 입니다. 저도 급발진은 있다고 믿습니다. 그런데 실제 제 주변 급발진 현상을 봤을때~ 브레이크랑 가속 페달을 착각 하고 밟은거 보다는 가속페달이 리턴이 안되어서 한번 본적이 있고 또 한번은 카 바닥 매트가 잘못 밀려서 그런 현상이 생긴걸 직접 본적 있습니다. 많은분들이 페달조작 실수만 얘기하시는데 다른상황도 많은거 같습니다. 물론 미생님 말씀처럼 브레이크 페달로 큰 사고 없이 멈췄구요~ 미생님 말씀에 공감 하는게 꾹 밟지말고 뗏다 밟았다도 해보고 다른시도도 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dr75084 жыл бұрын
가속페달 리턴이 안되는 현상은 저도 20년 운전에 경험한적 있어요. 진짜 당황했었죠. 그래서 발로 폐달을 여러번 꾹꾹 누르니 돌아오더군요 이건 미물질이 끼인것 일수도 있고 발매트에 낀건가 확인도 했었어요. 그리고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운적이 있네요. 미생님 말씀데로 페탈을 여러번 밝으면 브레이크면 서는 느낌 혹시 가속페달이면 웅 하는 느낌이 날겁니다. 저도 공감합니다.
@man-fv4os4 жыл бұрын
수동변속기트럭입니다.지금도 급발진 비슷한 증상이 나올때가 있습니다만 클러치페달이 있어서 사고는 없습니다.클러치와 악셀페달을 조작하는 타이밍이 이상해지면 악셀페달을 완전히 놓아도 알피엠게이지가 끝까지 올라갈때가 있습니다.그때 악셀페달을 한번 끝까지 밟았다놓거나 클러치를 그냥 놓아도 정상으로 돌아오더군요.지금은 발가락이 알아서 그패턴을 피하게 되었습니다.
@장관수-p8h4 жыл бұрын
저도 화물차 운송업 10년가량 했는대 겨울철 눈내리는날 엑셀 페달쪽에 눈이 끼니 엑셀 페달 복귀가 안되서 알피에 계속 상승 하는 경우를 한번 겪어봤내요 물론 스틱이라 잘 달래가며 차량 이동후 점검 했지만 그 후로는 엑셀 페달쪽의 이물질 끼임도 신경쓰게 되더라구요 ^^
@stonefly19734 жыл бұрын
@@장관수-p8h 악셀 폐달에 눈이 낀다구요? 차 안에서 눈싸움 하셨나 봐요...
@장관수-p8h4 жыл бұрын
@@stonefly1973한겨울 차에 수시로 오르락 내리락 하다보니 발에 붙어있던 눈이 오르간페달 관절부위? 에 껴서 얼어붙더라구요 ^^
@엘리트사다리차4 жыл бұрын
앉는 자세도 중요한 거 같아요. 편한 자세로 운전한다고 등받이를 뒤로 많이 눕히면 풀브레이킹을 하기가 힘들죠
그리고 저도운이참좋아서 사고는안나고 속도는 마구올라가고 속도30 40쯤에 시동꺼서 살았구요 첨에문제생겨서 무서워서 집에어케가나해서 다시시동걸고하니 그땐되드라구요 그리고 약1달2달뒤에 또문제가생겼습니다 그래서 패차하자생각했숩니다 근데 이영상 마지막에좀 저랑다른게있어서 흠..전 핸들도 안잡히드라구요
@jungjjm4 жыл бұрын
올라온지 19분.. ㅎㅎ 좋은 영상 넘 감사합니다
@임채욱-u4j4 жыл бұрын
최근 유튜브 보다가 급발진 내용과 지금 미생님이 소개한 글 보고있습니다.. 급발진 화면보면서 예전에 당햇던 급발진 사건이 생각나서요. 그당시 내차는 프라이드 베타 카브레다식이엇을겁니다..수동차구요.. 근데 차 시동걸자마자 급발진나서 화단 2개이상지나서 벽다무너터리구 멈췃습니다..기아에 전화햇더만 수동차는 급발진 없다구 하더군요,.,결국 손해배상 다해주고 차 폐차시키구 마무리햇습니다..지금도 급발진 내용보면 당사자 입장 이해합니다 .브레이크밟아도 안들어요..대부분 사람들 악셀 밟아다고 하겟지요..레이 급발진 화면보면 장시간인거같은데 게속 악셀만 밝고 잇엇을까요..미생님 내용도 좋은 거 많이 보고 갑니다...지금은 운전하구 잊지만 수동도 늘 일어날수 잇다는 생각 아직 갖구있습니다..사건당시 고객사에서 증거 갖구 오라하니 내가 뭐 힘이 있겟습니까 ..늘 조심 하면서 운전 하는수 밖에 없겟죠..영상 잘보고갑니다..^^
@bestGcova19944 жыл бұрын
이해를 못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밟았다 뗐다 하라는건, 지금 밟고 있는게 악셀레이터인지 브레이크인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이고.. 브레이크가 확실하다면 풀 브레이킹을 해야죠
@tossdori94004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풀브레이킹에 대해 전혀 모르는것 같은데 풀 브레이킹이라고 하는것은 시트에서 엉덩이가 들릴 정도로 힘을주며 밟아야 하는 겁니다....
@jjshim14 жыл бұрын
이걸 이해 못하는 사람들이 있네요 ㅋㅋㅋ
@stonefly19734 жыл бұрын
@@tossdori9400 네 그게 맞는데요. 그렇게 풀 브레이킹 하면서 조향이 가능하신지 한번 해 보세요... 조향을 포기하고 해야 가능 합니다.
@ghostwni44164 жыл бұрын
@@stonefly1973 네 그게 맞다고 생각되네요.
@불꽃화화4 жыл бұрын
@@stonefly1973 코너에서 또는 차량을 피해가면서 풀브레이크 밟으라는게 아닐텐데요... 급발진이라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차량을 세우는게 먼저일까요? 방향을 바꾸는게 먼저일까요?
@injaesong5334 жыл бұрын
참 고맙습니다 너무나도 소중한 정보 알고갑니다 정말 무섭습니다 급발진 저도 한번당해봤는데 다행히 신호대기중에 엔진소리 갑자기 커지길래 시동을 꺼버렸더니 검은연기 올라오면서 차는 나가지 않았는데 정말 무서워서 혼난 기억이 있었습니다
@이창희-z1y4 жыл бұрын
급발진으로 강제가속 당한다면 카메라 동영상 촬영을 운전자 발판쪽을 찍어서, 블랙박스랑 대조할때 빼도박도 못하게 제조사와 법원에서 법정다툼할때 증거로 제출해서, 승소할수 있게 해야할듯 합니다.
@seochogu-jumin4 жыл бұрын
일단기아 n중립에 놓아야합니다 최대한 엔진동력을 끝어나야 더이상 가속은 안돼죠 일단 브레이크 딱딱해집니다 말씀대로
@krauskim76624 жыл бұрын
전혀 급발진에 대한 이해가 없으시네요.
@seochogu-jumin4 жыл бұрын
@Wise Field전 경험자라서 차종은 그랜져tg s380이였구요 기어 중립 가능합니다 중립이 되는순간 RPM은 레드존까지 올라갑니다 당연히 시동꺼질리 없지요 그문제의 부속을 가지고 있습니다
@@1122-w7u 급발진 안 겪어보셨군요. 브레이크 안 먹히는 것과 급발진과 다릅니다. 저 운전자분은 운전 경력이 20년 이상이고 지금은 버스 운전하신답니다. 그런 거 구분 못할 분이 아니지요. 저는 급발진 겪었는데, 브레이크 아무리 강하게 밟아도 소용없습니다. 급속도로 돌진합니다.
@djejejurbrb16054 жыл бұрын
@@spark6799 어떻게대처하셨나요
@spark67994 жыл бұрын
@@djejejurbrb1605 저는 고속도로가 아니고 주차장에서 시동을 켜고 기어를 D에 놓자마자 RPM이 맥시멈으로 순간적으로 올라갔습니다. 저는 시동켤 때 늘 브레이크에 발을 대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죽을 힘을 다해서 밟았죠. 브레이크 안 밟은 것 보다는 나았지만, 차를 제어할 수 없었습니다. 앞집 벽에 갔다 박았습니다. 다행히 거리가 짧아서 충격이 좀 작았습니다. 벽과 차 범퍼가 좀 깨지는 정도. 벽을 박은 후 얼른 시동을 껐습니다. 두번 있었고, 차종은 달랐고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고속도로라면, 기어를 저속으로 변경하거나 중립으로 바꾸는 게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내리막에서는 중립으로 하면 안 되겠죠. 이런 일을 겪은 후, 저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비상 장치를 차에 설치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 차단 스위치 같은 거요.
@성희-x1j4 жыл бұрын
영상보고 많은 도움됐네요 여자운전자라 항상 차를 몰면서 급발진위험 생각하는데.. 많은 도움됐어요 감사합니다
@jinchors17884 жыл бұрын
등받이 세우고 풀브레이킹시 무릎이 다펴지지 않는 올바른 자세로 운전해야 풀브레이킹이 가능합니다 실제 운전하면서 풀브레이킹 할일이 없다보니 올바른 자세의 중요성에 대해 모르고 있는분이 많더라고요 저 역시 드라이빙센터에 가서 제대로 배우고 나서야 풀브레이킹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올바른 자세가 아니면 풀브레이킹이 어렵습니다 아마도 대부분 모르고 있거나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꺼에요
@gprythd92476 ай бұрын
누가 악셀을 죽어라 밟을줄 알았나. 그래서 꾹 밟으랬더니. 사람이 회까닥 했는데 뭘 밟았는지 모르지.
@entn87694 жыл бұрын
수동변속기 안만드는 한국제조사 문제 소비자 선택권 무시하고 급발진을 모두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한국제조사 한마디로 개판
@뻐꾸기-t7y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경험자입니다. 따블로 죽을 힘으로 밟아도 안듣습니다 rpm소리와는 좀다른느낌의 우우웅 소리와 함께 질주 합니다. 십수년이 지난 지금도 운전대를 잡을때마다 노심초사 하네요.ㅠ
@Jay..o_o4 жыл бұрын
꽤 긴 시간이었고 혼자가 아닌데 설마 브레이크를 착각하고 악셀을 밟았을까, 그랬다면 아무도 몰랐을까 싶지마는.. 사람이 당황하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니 그럴 수도 있다 싶긴 합니다. 급발진도 문제지만 진짜 문제는 몇 천 킬로그램의 쇳덩이를 움직이게 하는 면허를 발급하는데 그토록 형식적이고 간편하게, 저런 필요한 것에 대한 교육도 없이 던져주듯 발급하는 게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독일처럼 몇 개월씩 걸리게 하라는 건 아니지만 저리 발급해도 되나 싶은 생각이 정말 왕왕 듭니다..
유투버님. 한문철 tv보면 운전자, 옆 아들, 뒷자석 부인과 딸 이렇게 앉아 있구요. 말씀하신 보조석은 안전 벨트 내용이 없어서 모르겠고 뒷자석 벨트는 안한거 같네요 말소리 들어보면.
@whereksj4 жыл бұрын
이참에 제조사는 급발진 인정하고 차량 주의 사항으로 급발진시 대처 방법을 판매자로부터 전달 받게 만들던가 책자에 큰 글씨로 기록해 줬음 정말 좋겠습니다...도대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급발진 사고의 희생자가 되야 급발진 인정을 할련지...
@묻는건가내이름을4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유튜브의 순기능이죠 !! 감사합니다 정말정말좋은 유익한정보에요!!
@Holydiver-np6qi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우리나라 운전자들 시트 포지션부터 사이드미러 체크, 숄더 체크... 모든 부분이 다 개차반임. 한글만 읽으면 면허주는것 때문에 사고 나는건데 무슨 도로 제한 속도만 낮추고 있어!!!
@bizoja944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어쩜 수 많은이의 생명의 은인일 수도 있습니다. 열띤 설명도 너무 좋군요. 😊
@슈퍼맨-p2i4 жыл бұрын
와 드디어 제가 궁금해하던게 올라왔네요 감사합니다
@김은지-f9m4 жыл бұрын
조수석은 아내분이 아니고 아드님이 앉아있엇고 딸과 아내분이 뒷자석에 앉아있엇다가 따님과 한 대화로 추정됩니다(한문철TV에 영상올린 정보에서 확인된 내용입니다) 우리 안전벨트 안해서 어쩌냐 이걸 생각해보면 급발진으로 차를 세워야 한다면 벽에 긁어서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안전벨트를 당장 안해서 위험하지 않겠냐 라는 의미로 보는게 좋을것 같아요. 이 부분은 정정되면 좋을것 같긴하네요
@후라이팬-x3e4 жыл бұрын
운전중 착각에 대해서 공감이 가는게 저도 예전에 브레이크 실린더가 고장나서 교차로에서 차가 서질 않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때 순간적으로 잘못 밟았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가속페달을 밟더라구요 엔진소리듣고 다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는데 다행이 그때는 제동이 되서 차가 섰습니다. 그경험을 비춰 생각해보니 사람이 당황하면 가속페달을 밟을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traviatoil66504 жыл бұрын
한변호사 영상에 달린 댓글 보시면, 사람이 그럴수가 없다. 그런 실수를 할 수 없어서 급발진이다라는 주장이 다수입니다. 인간인 이상 실수할 수도 있는건데요. 경험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harefamily62692 жыл бұрын
당신의 경험이 저렇게 3분간 헷갈릴 수 없음을 증명한다고 봄.
@제비족-y1w4 жыл бұрын
먼저 용기에 감사드리고 유익한 내용 감사드립니다 명심하겠읍니다
@nature-of-sound4 жыл бұрын
미생님 영상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유용한 내용이 많아서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저로써 큰도움이 됩니다.
@bk50414 жыл бұрын
이론은 알고 있어도 닥치기전까지는 어떤 현상이 오는지도 모른다
@여호수4 жыл бұрын
간단하게..기어중립..그리고 브레이크를 꽉 밟으세요..어떤 급발진이라도 차 멈출수있습니다..
@HAPPYLOVEFREE4 жыл бұрын
😎🖒👏👏👏 제말이요~ㅎㅎ 요즘차가 대부분 오토라서 그런지 기어중립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듯 합니다 레이영상 봤는데... 아들이 삼촌과 전화통화로 위기를 넘기는 과정에서 의문점이 드는게... 수동으로 변속하라는데 운전자분은 어떻게 하냐고 오히려 반문을 하더군요 본인 차가 아닌가? 버스운전 오래했어도 차량이 바뀌면 위기시 대처능력이 떨어질수가 있지요 수동을 오래도록 운전한 분들은 기어중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있고, 습성화가 되었지요 영상속의 레이차량이 급발진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하는것은 아닙니다 결국,수동으로 변속하며 감속한걸보면 중립도 가능했을텐데... 좀 아쉽다는 의견이네요 아무튼, 기어중립의 중요성을 저또한 강조하고 싶은 마음에 댓글달았습니다 안전운전 하세요~^^
@JSKkim5644 жыл бұрын
열화 얘긴 브레이크가 들었을 때 그런건데..급발진 현상시엔 페달 자체가 안 눌러져서 심지어 있는 힘것 눌러도 미등 조차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있음.대림 자동차 교수 분께선 브레이크를 한번에 있는 힘껏 눌러 보고 차량에서 OBD를 지원 한다면 따로 레코딩해서 참고 사항으로도 괜찮다 얘기도 함.
@tac..4 жыл бұрын
떡상 영상이 되길!!! 미생님 힘!!!
@andybotwin4373 жыл бұрын
여러번 밟으면 압이 차서 브레이크 안먹으미 그냥 쎄게 누르고 있으란 전문가분들도 계시던데.. 암튼 급발진인지 진단 할 수 있는 장치를 달고 출고하게 했으면 좋겠네요. 급발진 나도 소비자가 증명해야되고 증명하면 인정안하고 협박하고 에혀..
@spacefirst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가 부러지지않는 이상(부러지면 제조사 결함).........사람의 힘으로 페달이 부러지진 않는다.
@우유맛콜라4 жыл бұрын
전문가에 세세한 내용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LeeHyoCheon4 жыл бұрын
08:15 브레이크를 밟았는데도 브레이크가 작동을 안하고 계속 가속이 되는 경우도 있어요. 브레이크를 밟았으면 브레이크가 작동 해야하는데 브레이크는 작동을 안하고 엔진은 계속 움직이는거죠. 제가 볼땐 브레이크를 밟았는데도 작동을 안한 걸로 보여지네요. 브레이크가 작동을 안하니까 로터에 브레이크 자국도 남아 있지 않겠죠. 브레이크가 작동을 했다면 저런 속도로 달리기 힘들지 않나요? 브레이크가 작동하는데 급발진이라도 속도가 그리 빠르진 않을 것 같아요. 그리고 소음이 엄청 심할텐데 그런 소음도 없는 것 같아요.
@olclocr4 жыл бұрын
말씀대로 사건이 일어나려면 급발진은 급발진대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대로 하필이면 동시에 두개가 다 고장이 나야 해요. 급발진 때문에 브레이크가 고장나지는 않거든요. 배압문제가 있다면 몰라도 작동에는 상관 없죠.
@LeeHyoCheon4 жыл бұрын
@@olclocr 급발진 영상들 보면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 안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급발진 했다고 해도 브레이크 작동하면 사고날 일이 없죠. 근데 브레이크가 작동을 하지 않아서 사고가 나는 겁니다.
@tomixamputator4 жыл бұрын
@@LeeHyoCheon 실제 브레이크는 작동하나 작동하지 않는것처럼 보이는 문제인듯 합니다. 실제로 풀악셀 상황에서 차는 멈출수있습니다. 이상한 튜닝이나 토크업 마력업 등을 한게 아니면 기본 상태라면 멈출수있게 설계합니다. 브레이크는 부스터(배력장치)없이도 폭주하는 엔진/변속기를 이길수 있게 설계하거든요. 심지어 내리막길이라도.
@tomixamputator4 жыл бұрын
물론 브레이크 라인이 터지거나 브레이크유가 없거나 페이드가 생기거나 하면 윗분말대로 브레이크가 전혀 안듣는 상황이 생기지요
@LeeHyoCheon4 жыл бұрын
@@tomixamputator 일반적인 상황에선 풀 악셀을 해도 차를 멈출 수 있죠. 당연히 브레이크 라인이 터졌거나, 액이 없으면 브레이크가 작동 안하겠죠. 문제는 바로 급발진 입니다. 평상시에 작동하던 브레이크가 급발진을 하게되면 브레이크를 밟아도 멈추지 않아요. 님이 말하는건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상황을 말하는 거구요, 제가 말하는건 급발진 입니다. 일반적인 상황하고 급발진하고 같을 수 없잖아요. 글을 쓰신거 읽어보니 급발진에 대해 잘 모르시는 듯 해서 아래 링크에 있는 영상을 보세요. 그런 왜 급발진에서 브레이크가 작동 안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n33QqJKOnbaSr9E
@LG_official4 жыл бұрын
급잘진 경험자 입니다. 엔진이 최대치로 돌아서 브레이크가 밀립니다. 정말 경험해 보시면 브레이크 안듣는걸 경험하시게 됩니다
@cheonwonju.4 жыл бұрын
힘줘서 잛아봐요 뒤꿈치 바닥에 닿게ㅡ하지말고 체중실어서요 그럼 들엉7
@이상학-q7b4 жыл бұрын
흡기가 완전히 개방되어서 브레이크 배압 형성 안됨 -> 브레이크 딱딱하든 말든 존나 쎄게 밟아서 멈춰야함
@밍에일린4 жыл бұрын
궁굼해서요, 흡기로 브레이크 배압형성안된다는게 무슨말씀인지 설명해주실수있나염 잘몰라서요 브레이크 베이퍼록 현상이 그래서일어나는건가요 그냥 브레이크 오일 갈아본경험밖에없어서용
@limrobin2234 жыл бұрын
@@밍에일린 아는선에서 말씀드리자면 보통 차들은 브레이크 담력을 생성하는 하이드로백은 펌프로 진공상태를 만들어 담력을 배가 시켜 줍니다. 그런데 엔진이 고 알피엠이거나 엑셀 온 올때는 진공력이 약해질수밖에 없습니다. 보통 운전 습관에서는 엑셀을 밟다가 브레이크를 밟지, 엑셀과 브레이크를 같이 밟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브레이크는 기본적으로 기계식이라고 보면 됩니다.(전기차나 최신 차들은 전자식 펌프로 바뀜) 그래서 배력장치가 고장나도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있는 힘껏 (오토기어에서는 올라타는 정도라 하더군요) 밟으면 왠만한 차는 다 세울 수 있다고... 아니 있습니다
@tajo984 жыл бұрын
@@limrobin223 일반 차량은 진공을 스로틀 밸브 뒤쪽에서 얻습니다. 스로틀이 적당히 닫혀있을때 생기는 진공을 이용하는거죠 (길에서 계속 풀악셀로 다니는차는 없으니...)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 스로틀이 다 열려있는 (풀악셀) 상태로 고정이 되면 더이상 진공이 안생기지요.. 그러면 진공 배압이 더이상 차지 않고 하이드로백에 남아있는 진공을 다 써버리면 브레이크가 딱딱해지는 (어시스트가 없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adjective9994 жыл бұрын
@@tajo98 디젤차량은 스로틀이 전부 개방상태기 때문에 펌프를 만들어서 진공을 형성하고 엘피지나 가솔린 차량에 한해서 흡기매니폴더에 호스를 연결해두죠 ㅎㅎ
@musclebrain97674 жыл бұрын
쉐박 일반적으로 풀악셀 상황에서는 배압형성이 안되요 이전에 만들어놓은 진공으로 밟았던지 본인은 밟았다고 생각돼도 실제론 배압의 보조없이 본인 근력으로 밟았던지 둘중 하나일듯요
@ariamaschera66104 жыл бұрын
급발진에서 살아난 사람입니다 브레이크가 엔진을 이긴다? 브레이크가 딱딱해져서 브레이크가 1도 먹히지 않습니다 정말 속도가 조금도 줄지 않습니다 브레이크가 1cm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엑셀은 깊고 브레이크는 높습니다 당해본 사람 은 압니다 자기가 엑셀을 밟았는지 브레이크를 밟았는지~~~ 브레이크가 1도 안먹는데 무슨 브레이크가 엔진을 이긴다~~~^^ 저는 미션을 N으로 바꿔서 살았네요 포드사 머큐리 차량이었는데 차가 멈춘후 10분이상 공회전으로 맹열히. 돌아가다 멈춰서 폐차 했지요 그때는 급발진이 이슈화 되지 않은 99년도 얘기라 그냥 폐차했네요
@sazi22394 жыл бұрын
장진택 기자님도 팰리사건때 악셀을 암만 밟아도 브레이크를 온힘을 줘서 밟으면 차가 서는걸 보여주셨죠 이런 사건이 터지면 언제나 내 운전경력이 얼만데 이런 실수를 하겠냐 라고 주장을 많이 하던데 글쎄요 운전을 100년해도 단 한번의 실수로도 헷갈리지 않을거라고 100프로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kdjsky3204 жыл бұрын
그건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 때문일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 해서 악셀 신호 브레이크 신호가 같이 들어오면 악셀 신호는 안 받고 브레이크 신호만 받는다는 시스템 입니다 근데 그건 정상 작동 중일때 얘기고 급발진 상태에서도 그것이 정상 작동 할지는.........
@wlsdud28103 жыл бұрын
저는 고속도로에서 120 정도 가다가 갑자기 엑셀이 힘이 안들어가고 속도가 내려가는 증상이 있었는데 수동으로 빼서 다시 D 넣었다가 수동으로 빼고 하니 엑셀이 정상적으로 되더라구요. 뒤에 덤프 있고 멈추면 사고 날거 같아서 진땀뺐는데... 찰나에 설마 죽는건가 느낌나서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급발진 대처법을 상식적으로 이해 쉽게 설명해주셔서 고마워요. 처음 부터 쭉밟고 있지말라는 말씀의 의도는 혹여나 당황해서 엑셀을 밟고 있는걸 방지 하기 위함일거 같아서 그것도 맘에 들었어요. 브레이크는 엔진을 이길수 있다는ㄴ 확신의 말도 동의 합니다.
@오상현-s8b4 жыл бұрын
아내가 옆에 앉은게 아니고 조수석은 18살 아들이 앉았고요 뒷자석엔 아내와 딸이 앉았다고 나옵니다ㅠ
@경제시장4 жыл бұрын
저 시간이면 ㅋㅋ눈으로 보면서 브레이크부터 악셀까지 왔다갔다하면서 캐논연주도 가능. 이건 자동차지 제트기가 아니잖아요. 단 10초정도에 일어난 일도 아니고ㅋㅋ이걸 분석까지 하는게 더 황당
@binoshijeno14404 жыл бұрын
동력을 먼저 끊어야함: 기어 N모드, 풋브레이크, 주차브레이크, 속도 많이 느려지면 창문모두 개방(간접브레이크작동), 멈추면 시동끔
@sasu95373 жыл бұрын
창문열면간접브레이크 작동돼나요?
@getduked90552 жыл бұрын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기어라면 모르지만 기어레버로 미션을 N으로 놓는게 가장 중요하죠. 의외로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다는게 놀라운데, 당황해서 대처하지 못할수도 있겠지만 그냥 N단놔서 엔진동력을 구동계로 전달하지 못하게해야한다는 개념조차 모르더군요. 모르니 당연히 대처 못하는거구요. 저는 이런 급발진 대처방법이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는것이 대기업이 급발진 자체를 인정하지 않기에 대처법 또한 퍼지지 않는다봅니다.
@binoshijeno14402 жыл бұрын
@@sasu9537 시속 10km가량 감속효과있데요 덥다고 창문 열고 바람맞는 연비가 창문닫고 에어컨 켜고 가는 연비보다 더 먹는다나머래나
@driftkim70154 жыл бұрын
15:52 급발진 시에 n단으로 안 빠진다는 건 있을 수가 없는 일입니다. 급발진이 ECU가 이상이 생겨서 나는데 N단으로 기어가 안빠지려면 TCU도 같이 동시에 이상이 생겨야 가능한 일인데, 이럴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몇몇 분들이 급발진 상태에서 중립으로 뺐는데도 차가 계속 움직였다고 하셧는데, 구조 상 그런 일은 있을 수 없습니다. 중립 상태에선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가지 않으니까요. 싼타페 초기형 차들이 고압펌프 불량으로 급발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도 n단에 놓으면 차를 충분히 세울 수 있습니다.
@uio86a4 жыл бұрын
급발진 경험자들은 n단도 소용없다는데 왜그런가요...거짓인가요 .
@seungkyujung34492 жыл бұрын
N으로 놔도 차는 계속 움직일수가 있죠. 이미 급발진으로 차에 가속이 붙은 상황에서 브레이크도 먹히질 않으니 당장 중립으로 변속을 했다고 해서 급격하게 속도가 줄진 않을거구요.
@헥토르-q3b4 жыл бұрын
참 좋은영상 감사 드립니다. 브레이크가 딱딱해지는 원인은 어떤 원인으로 인한 스로틀 밸브가 모두(100%) 개방될 경우 진공 형성이 안되어 브레이크가 딱딱해 집니다. 브레이크는 흡기 다기관에서 발생하는 진공 압력으로 밀어주기 때문입니다. (골프카트는 진공펌프가 없기에 처음부터 딱딱하죠.. ㅎㅎ) 미생님 말씀대로 딱딱해져도 있는힘껏 밟으면 브레이크는 동작 합니다. 모두들 영상 참고해서 급발질 잘 대처했으면 좋겠습니다. 1) N단 변경 2) 꾹꾹 눌러보며 브레이크,엑셀 확인 3) 차량을 안전한곳으로 이동하며 풀 브레이킹~! 4) 시동 OFF
@catsplanet57904 жыл бұрын
악셀 브레이크 고속도로에서 저도 둘다 밝아 봤는데 멈춰요 그건 다 아는 이야기고 이 상황은 브레이크가 안되서 그래요 여러번 발았는데 압이 안느껴졌던 아니면 여러번 눌러 너무 딱딱해져서 압이 안빠지던 .... 이 상황은 어떤 사람이 운전해도 브레이크로 정지 할수 없는 상황이에요
@황민상-j7f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성능이 급발진차를 멈추고도 남을 만큼 넘치는 성능이여도 정상적으로 작동이안되는 상태에서 제성능에 반이라도 작동됐을지 의문입니다 저 상황이면 브레이크를 요추가 시트를 뒤로 밀정도로 온 힘을 다해 밟았을건데요 악셀이랑 헷갈려서 밟은 똥멍청이가 아닌이상 저런상황에선 평소힘보다 더썻겠죠
@감사-A3 жыл бұрын
10여년전 뉴올마티즈 주행하다 수동인데도 브레이크가 딱딱해지는 현상을 겪은적 있습니다. 가족태우고 시내주행하다 너무 놀랐네요. 다행히 급발진은 아니고 브레이크 세게 밟고 겨우 멈췄던 기억이 납니다.
@귀여운쥐-e3s4 жыл бұрын
그런데요.급발진시 브레이크 펌핑을 하면 브레이크가 안듣게 됩니다. 풀브레이크 > 풀악셀. 브레이크펌핑 < 풀악셀 무슨의미로 영상에서 말씀하시는건지 알겠지만, 이영상을 엔지니어들이 보는 것은 아니잖아요 일반인들이 이 영상을 보고 급발진 대처를 한다면 큰 위험이 될겁니다! 급발진은 수초내에 일어나기에 풀브레이킹만이 사는길입니다.! 브레이크펌핑하다 골든타임놓칩니다
@H_H_H_H_H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펌핑 여러번 한 후 풀브레이킹해도 차가 서는 실험이 이미 유투브에 나와 있습니다. 참고하시길...
@jasonbourne97124 жыл бұрын
H H 여성이나 노약자일 경우 진공 배력이 살아있을때 풀브레이킹 하지않으면 기회는 없습니다.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 대부분이 위 영상처럼 도로 상황이 좋지 않아요. 순식간에 끝나는데 브레이크를 펌핑하는순간 진공 다 빠지고 그때부터는 사람의 힘으로 엔진을 이겨야하는 상황으로 바뀝니다. 그래서 베스트가 단 한번의 기회인 브레이크 진공이 살아있을때 풀브레이킹하라는 겁니다.
@H_H_H_H_H4 жыл бұрын
@@jasonbourne9712 그런 경우에도 방법만 알면 여성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damlee68724 жыл бұрын
@@H_H_H_H_H 브레이크 진공 살아있을때 밟는게 골든타임 맞습니다 그 이후로는 정말 님이 생각하는거 이상으로 안들어가요
@damlee68724 жыл бұрын
@@H_H_H_H_H 가능이야 하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진공이 있을때 젖먹던 힘까지 짜서 누르는거죠 그리고 굳이 펌핑을 해서 확인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페달에서 아예 발을 전부다 때버리면 됩니다 그리고도 계속 속도가 올라가면 급발진이니 풀브레이크 밟으시면 됩니다 구지 펌핑하면서 진공뺄 필요 없어요
@tado16574 жыл бұрын
경력자든 초보자든 사람은 망각의 순간을 종종 맞이합니다. 가끔 아무생각없이 적색신호에 진입을 하면서 뒤늦게 빨간신호라고 인식할때도 있고 무심코 밝은게 브레이크가 아닌 가속페달일수도 있고 그런상황에서 당황하면 그 밝보있던 가속페달을 브레이크라 믿고 거기에 올인하는 현상... 자동화된기계도 오류가나고 실수를 하는데 사람이 단지 운전경력이 만다고 저런실수를 안할꺼라는 일종의 방어적인 모습들..
@bradj52283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패달 부러질 정도로 밟아도 됩니다.. 사람 힘으로 못부셔요.. 급정거시에도 동일합니다..
@크림-k8r4 жыл бұрын
다른 곳에서 자세히 본 내용은 조수석은 아들이 착석, 부인과 딸은 뒷자리고 삼촌에게 전화한 아들 전화를 부인이 바꿔 받으면서 다급해진상황에 벨트 푸신것 아닐까..싶고요 이 상태서 충돌을 선택했으니 당연히 벨트 안한상태가 불안한거죠
@칼로리낮고맛있는음식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ㅈㄴ정확하다 일반 아재들이 겁나게 질질끄는거말고 딱 알고싶은것만 말해주시네 감사합니다 그리고 목소리 개호감입니다!
@kbulls99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계속누르면 브레이크 안든다고 한번에 꾹누르라는 사람도 있고.... 누구말을 믿어야할지 정말모르겠네요...;;ㅠ
@AutoMiseng4 жыл бұрын
이게 헷갈린다 하시는 분이 많으시네요. 영상을 제가 따로 추가로 만들어야 할려나봐요 ㅠ 보통은 그냥 꽉 한번에 밟으면 되는데, 이렇게 오랫동안 이상하게 움직이는 자동차는 계속 밟고 가지말고, 내가 밟고 있는 페달을 의심해 보라는겁니다. 브레이크라고 생각한 것에서 발을 떼었는데, 속도가 줄면? 어라? 이렇게 되겠죠. 브레이크를 여러번 밟앗더니 꿀렁꿀렁되면, 아~ 브레이크는 되고 있구나. 그럼 더 쎄게 밟아야겟네. 하고 그담에 꽉!!! 이해 되시죠? 그리고 꽉밟지 않고 적당히 꾹 누르고 이렇게 오래 가면 , 열로 인해서 브레이크도 점점 듣지 않게되어 더 큰 사고로 이어집니다
@kbulls994 жыл бұрын
@@AutoMiseng 여러번 밟아서 브레이크가 딱딱해지면 브레이크 잡기가 상대적으로 더 힘이드는건 맞는건가요?
@dreamingflora744 жыл бұрын
@@kbulls99 '구조적 설명'은 제외하고, '브레이크를 자주 움직인다' -> 차량이 이상이 있다-> 급브레이크 밟으면 슬립 발생 -> 차량 전복 등으로 큰 사고 위험 -> 일단은 감속 이라는 시스템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bbungbbunghwang99414 жыл бұрын
20:55 우리말지킴이ㄷㄷ 풀브레이킹이 어렵다면 1번 방법- 양손으로 핸들 잡고 핸들을 뽑는다는 느낌으로 브레이크밟는다 2번 방법 - 양발로 브레이크 밟는다 3번 방법- 엉덩이 살짝 들고 서서 누른다는 느낌으로 밟는다
@minhonoh87974 жыл бұрын
저기요. 차 속도가 올라가고 앞차들이 빽빽하게 있는데. 핸들 틀면서 지금 말하는게 된다고 생각해요?
@bbungbbunghwang99414 жыл бұрын
@@minhonoh8797 브레이크 양발로 꾹 밟는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되는데요? 풀브레이킹 하려면 바른자세로 운전해야합니다 그래서 시트위치 각도 핸들 위치 조정하는거고요 그리고 안된다고 그냥 포기하고 사고낼까요? 뭐라도 대처를 해야지
@stonefly19734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조향 때문에 풀브레이킹 쉽지 않아요. 조향을 포기하면 가능합니다...아니면 의자 등받이를 90도로 세워놓고 운전해도 힘들어요.... 테스트 해 보고 싶으시면 진공배력장치 호수 빼 버리고 운전해 보세요....
@A8Dn4 жыл бұрын
@@stonefly1973 급발진 상황이면 조향을 포기하더라도 제동을 하는 게 맞지요. 차 피하겠다고 조향을 했다가 속도가 늘어나서 감당 못 하니 어디에 박아서 멈추란 말도 나오는 판국인데요.
@catchingfire4 жыл бұрын
@@Djwofnelam 레이 렌트해서 120km 달려보세요. 그냥 슬슬가도 차 흔들거리는데 괜히 힘 더 주다가 핸들 조금만 더 돌면 날라갑니다.. 제 20년식 k5 풀브레이크 한번 해봤는데 어디 땡길 거 없으면 체중 다 실어서 부러지게 밟아야 끝까지 밟히더군요.. 여성분들은 나가 디지라는 건지.. 다이얼식 기어도 중립은 속도 떨어져야들어가고.. 머 그냥 답이 읎습니다 닶이 읎어. 레이싱카 배력장치 없다는 건 잘 모르겠지만 저희 동호회 레이싱 튜닝하고 서킷타시는 분들한테 물어봐도 핸들뽑듯이 운전한다시는 분은 한분도 없었습니다.. 오히려 적당한 힘으로 섬세하게 운전을 하시죠.. 일반인이 핸들뽑듯이 힘주고 풀브레이킹하면서 조향을 잡을 수 있을까요? 레이싱하시는 분들도 그렇게 힘주고는 코너링 안 하신다는데? 하드코어 주행만을 위해 설계된 차와 드라이버를 일반인과 비교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기어중립에 잔발이나 치라고 하시던데요 뭐.. 악셀 밟았을 지도 모르니까..
@RunLycos4 жыл бұрын
미생님 팬이고 미생님 구독자지만 레이운전자 20년 운전경력에 시내버스 기사이신 분인데 그런 분이 몇 분 동안 엑셀만 밟고 계셨을까요? 그리고 영상보시면 남자분 언성 한 번 안 올리고 최대한 차분하게 대처하려는 모습을 봐서는 상황에 비해 최대한 차분히 대처하시던데요
@depencek4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착각하고 실수하는데는 경력이 몇년이건 그 사람이 그일을 얼마나 오래했는지는 상관이 없습니다 미생님도 욕먹을거 뻔히 알지만 불편한 진실에 대해서 말씀 하셨듯이 급발진에 거의 대부분은 운전자가 악셀을 브레이크로 착각하고 밟는것이라는걸
@옥진우-z5h4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손지창님은 레이서 활동을 하시는 분인데도 테슬라로 사고 냈을 때 브레이크가 아닌 엑셀을 밟았었죠. 운전 경력과는 크게 상관이 없을 것 같습니다.
@marcolee75314 жыл бұрын
맞죠,, 심지어 사건사고 없이 긴 경력이지 실제 저런 상황을 얼마나 겪어볼까요? 그에 대한 준비는 얼마나 되어 있었으며
@김영재-r7g4 жыл бұрын
수동이긴 하지만 프론티어 구형차 악셀이 오르간 타입인데요 그사이에 흙이 엄청 끼거나 녹이나서 고착되서 알피엠 상승으로 정비소 오는 차량 많았죠(시골 농사짖는분들) 음료수병이 브레이크 페달 뒤에 껴서 안밟히는 경우도 봤구요
@DavidNodoLee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사촌이땅샀나왜캐배알4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꽉 밟으라고 하는데 , 두번째 위치에서 딱딱해져 있으면 그분은 끝까지 밟았다고 생각할것 같아요. 밟았다 놨다 하는것도 중요할것 같네요.
@진심투핸드4 жыл бұрын
스톨 테스트는 엔진이 제대로 힘을 내기전에 미리 브레이크(부스터의 보조력도 받는 상태)라서 엔진을 이길 수 있습니다 급발진 상태는 엔진이 최고마력을 내는 상태이고 부스터의 보조도 못받는 브레이크이기 때문에(설계상 브레이크의 능력이 발휘되지 못함) 브레이크가 엔진을 이길 수 없습니다
@christ-op2 жыл бұрын
2년이 지나고 알고리즘으로 봤는데... 여태 레이 목격영상은 없네요 ㅎㅎㅎ
@user-tn9df3eo8e4 жыл бұрын
저분 직업이 운전수인데... 저 블박영상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여러차례 반복해서 밟았었지 않을까요? 저상황에서 3분동안 브레이크를 밟고만 있는게 더 어려울듯..
@김승광-w7d4 жыл бұрын
직업운전자면 제일먼저 기어 D에서 N단으로 톡 빼야함
@Jiolv3 жыл бұрын
뭐 차의 아키텍쳐를 알아서 운전직이 아니죠
@ginikwon85674 жыл бұрын
저상화에 자기차도아닌대 보지도않고 자동미션을 수동기어빼라는 애기하는사람 대단하거 같음 생각도못할뿐더러 경차가 자동미션방식이 반자동 있을거라는거 알고있다는게 거의 자기차 아니면 모르는대 대단함
@brbrGDSD4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전에 풀악셀 상태에서 발매트(애프터마켓 제품)에 페달 끝이 걸려 리턴되지 못했던 경험이 있습니다(리콜차종아님). 다행히 발끝으로 재빨리 빼긴했지만 식겁한 경험이었죠.. 그 다음부터 두꺼운 매트 안씁니다.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한번씩 확인해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oisobagi523 жыл бұрын
급발진 당해본 당사자들도 그렇게 생각 할까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펌핑질을 안했다? 브레이크를 100% 다 밟지 않았다? 브레이크가 엔진을 이긴다고 얘기하는데. 운전자도 온갖방법 다 해봤을꺼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