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대표 “환자 볼모, 밥그릇? 정부가 선거에 이용 중”

  Рет қаралды 350,643

CBS 김현정의 뉴스쇼

CBS 김현정의 뉴스쇼

4 ай бұрын

* 필수 의료 전공의 미달… 의사 수 늘리는 게 대책 아냐
* 값싼 인력 전공의 늘려 병원 싸게 운영하려나 생각도
* 의사 수 늘어나면 의료비 지출 늘어날 가능성 있어
* 전공의협의회, 전문의 증원 요구… 환자에게도 좋아
* 필수 의료정책 패키지면 된다? 재정 내용은 없어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의대정원확대 #의료수가정책 #의료계집단행동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_비대위원장
▣ 라이브 방송 안내
뉴스쇼 라이브 방송 | 매주 월~금 오전 7시20분~9시
댓꿀쇼 라이브 방송 | 뉴스쇼 본방송 끝나자마자 이어서 오전 9시
▣ 김현정의 뉴스쇼 유튜브 구독하기
goo.gl/ApKab6
▣ 제보 및 의견
◇ 문자: # 1212
◇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pf.kakao.com/_xiCucI
◇ 뉴스쇼 제보 이메일: newsshow981@gmail.com
◇ 댓꿀쇼 관련 이메일: newsshow.cbs@gmail.com
◇ 모바일 레인보우
-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goo.gl/0fboZU
- 애플 앱스토어: apple.co/2ytJKPW
◇ 뉴스쇼 홈페이지: bit.ly/3evk35R
◇ 카카오TV: tv.kakao.com/channel/3238340
◇ 네이버TV: tv.naver.com/newsshow

Пікірлер: 6 400
@Casker9
@Casker9 3 ай бұрын
전공의는 전임의, 교수가 아닙니다. 전공의가 빠졌다고 병원이 안 돌아가면 시스템이 이상한거에요.
@icevalleyz
@icevalleyz 3 ай бұрын
전공의 갈아서 돌리는게 대학병원이에요 ㅇㅇ;
@phantomkoo4189
@phantomkoo4189 3 ай бұрын
그렇긴 한대...그런 식이면 쟤네들은 어디가서 수련받나용? 그런거 해결하려면 인턴에서 절반 거르고 레지턴트 과정 채용 숫자 줄이는 수 밖에... 그러면 또 난리나지요 ㅎㅎㅎㅎ
@dpark1657
@dpark1657 3 ай бұрын
@@phantomkoo4189 인턴에서 절반 거르고 레지턴트 채용줄여도 병원이 돌아가려면 병원에서 전임의를 늘려야겠죠. 그게 정상인겁니다. 결국 병원들이 돈 아끼겠다고 전공의 갈아서 운영하고 있는건데 전체적인 시스템을 바꾸려면 한번 크게 뒤집어주는게 맞죠. 이번에도 정부가 밀리면 정말로 아무것도 안바뀝니다.
@user-od9mz4nb1t
@user-od9mz4nb1t 3 ай бұрын
@@phantomkoo4189 값싼 인력으로 지탱해온 의료시스템이 이제 정상으로 바뀌어야 할 때죠....병원도 정식으로 의사 더 고용하고 수련의들은 별도 교육시스템으로 운영해야 하는것이고...그러면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겠죠....누군가는 부담해야 할 것이고...
@gwanghyilee7724
@gwanghyilee7724 3 ай бұрын
그런데 이번 필수패키지 내용 보시면 여태껏 인턴 수련기간 1년이었는데 복지부가 협의도 없이 2년으로 늘려놨답니다. 어느 의대생들이 돌아버리지 않겠습니까? 정부가 잘못한것 맞고 대통령은 고집만 부릴때가 아니고 제발 어린 학생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됩니다. 얘네들이 뭔 돈독이 올라서 어른들은 그놈의 밥그릇타령인가요? 😢
@user-dn6bm6yn5v
@user-dn6bm6yn5v 3 ай бұрын
국민생명을 담보로 거니 이슈를 묻어버리네
@user-st7lf1qw5w
@user-st7lf1qw5w 3 ай бұрын
완전 말도 안되는 헛소리 환자 환자가족들 국민들은 분노한다
@user-ww6mt4jn6m
@user-ww6mt4jn6m 3 ай бұрын
총선아니라도 한번은 해결해야할일입니다
@user-bW649H6fcvwe
@user-bW649H6fcvwe 3 ай бұрын
피교육생인 전공의가 없으면 병원이 돌아가지 않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네요ㅠㅠ 제도적 개선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 같아요.
@SR-tr7cj
@SR-tr7cj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지금이라도 의대생을 증원해서 의사수를 늘려야합니다. 전공의들, 전임의들이 수련에 집중할수 있기 위해서..
@ililiiili-wg1yi
@ililiiili-wg1yi 3 ай бұрын
국민을 위한 방향 >>> 일본처럼 대학병원에서 전문의를 더 고용하면 된다. 지금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본업 못하고 있는 전문의들이 넘쳐난다. 지금 의대생 더 뽑는다고 학생들이 내외산소 할거 같나? 있던 전공의들도 못하겠다고 그만두는 마당에... @@SR-tr7cj
@acasia123
@acasia123 3 ай бұрын
밥그릇 아닌, 초''럭셔리''한 삻을 지키기 위해 환자들의 목숨을 인질로 한 의사들의 야비한 협박극. 의사가 늘면 초럭셔리는 못하고, 럭셔리 만 가능하니깐..
@wontaepark4625
@wontaepark4625 3 ай бұрын
개원하려고 하는 전문의를 근무조건을 좋게 하여 병원에서 취직시켜야죠.@@SR-tr7cj
@CH_Sudal
@CH_Sudal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의사수 늘리자고
@__kimmy1164
@__kimmy1164 3 ай бұрын
일반 회사로 치면 인턴사원들이 없어서 회사가 안돌아가는 거랑 똑같은 거다… 이게 정상이냐고요 !!!!!!! 😮😮
@gkaRp-ll3kg
@gkaRp-ll3kg 3 ай бұрын
의료개혁 ?. 갑자기... ?? 몇 대 정부에서 타진 해 왔엇는데 모다 개 무시한 의료계였는데 ........정치적 ?? 왜... 실효가 적어니까 모자란 민주 야당처럼 "떠 넘기기" 작전을 ??.
@Tootootootool
@Tootootootool 3 ай бұрын
없어도 잘 돌아가는 중
@user-oq9lw2iw5h
@user-oq9lw2iw5h 3 ай бұрын
특성이 다르지
@Nobreaky
@Nobreaky 3 ай бұрын
의사의 특성에 대해 생각이란 것을 해봐야 하는데, 아이큐가 한자리라서 그게 불가능 한건가??? 의사가 되기 위해선 실습을 해야하는데 현실적으로 사망자의 시신을 구하기도 힘들뿐더러, 비용도 만만찮다. 3천명의 의대생들도 모두가 시신으로 실습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병원에서 교수들의 지도아래 간단한 실습만 하는 상황이다. 5천명으로 늘리면 과연 메스잡아 실습시간 채울수 있는 의사들은 얼마나 사회로 나올까?? 일반회사 인턴과 비교하는 사람은 생각을 하고 사는 사람일까...그냥 오늘만 사는 사람일까......
@Tootootootool
@Tootootootool 3 ай бұрын
@@Nobreaky 그럼 의대생 직계가족 시신 의무기증 법으로 정하면 되겠네
@user-nz8wv6fc7v
@user-nz8wv6fc7v 3 ай бұрын
니들이 더잘하고 CCTV 설치해서 투명하게 허야 의료사고 줄지😂
@user-qt2oj1hc3i
@user-qt2oj1hc3i 3 ай бұрын
국민들 담보로 해서 자기 밥그릇 챙기고 있다
@book6076
@book6076 3 ай бұрын
밥그릇 줄어드는 걱정 하는것도 맞겠지. 근데 전공의 없다고 의료체계 마비되는 이 시스템도 문제가 많다. 이나라는 어딜가든 노동착취시스템. 교수더뽑고 병원도 더지어라
@user-cu6ys3go4h
@user-cu6ys3go4h 3 ай бұрын
의료민영화 생각해 봤나?
@user-rx6qx9xz5p
@user-rx6qx9xz5p 3 ай бұрын
교수 월급 니가줄래?
@user-qt4ue6tu7x
@user-qt4ue6tu7x 3 ай бұрын
너 의사니 겁나니​@@user-rx6qx9xz5p
@Tootootootool
@Tootootootool 3 ай бұрын
마비 안 됐음. 한국 환자 중 90%는 나이롱환자임
@paulkim3766
@paulkim3766 3 ай бұрын
니돈으로 해봐
@user-ec4ir3bu5t
@user-ec4ir3bu5t 3 ай бұрын
내 주변에도 산부인과,소아과,외과 전문의들이 자기 전문과를 접고 피부관리하는 의사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들을 돌아오게 하는 정책이 가장 빠르고 비용도 적게 들고 합리적인 문제해결입니다.
@christianextractreformed3818
@christianextractreformed3818 3 ай бұрын
관련 피부과같은 곳도 전부 급여로 넣고 단가를 낮춰줘서 수익을 적정 수준으로 맞추면 돌아갈거라 봅니다. 온세상 물가 관련도 다 조절하는데 의료만 안될이윤 없죠
@user-pk8vw4sj4f
@user-pk8vw4sj4f 3 ай бұрын
환자보호자의 sns마녀사냥으로 소아과는 못견딘다~~
@user-vk8ci9hh7d
@user-vk8ci9hh7d 3 ай бұрын
의료법 개정해서 5년 이상 경력있는 간호사들에게 피부미용과 개원할 수 있게 열어주면 해결됨. 그 아래 간호조무사로 타투까지 가능하게 해주면 필수의료 의사 수준으로 미용의들 소득이 정상화될듯 합니다.
@user-zq5wg7xw5w
@user-zq5wg7xw5w 3 ай бұрын
ㄴ 그러면 간호사들이 병원에 붙어있을까요? 안그래도 힘든데 다 나가서 피부클리닉 차리지...지금 의사보다 간호인력이 훨씬더 부족합니다
@jejy341
@jejy341 3 ай бұрын
정책으로 돌아오겠냐. 무노동고연봉인데. 하다못해 페이닥터로 심플하게 일해도 연1.5야. 코딩랑 간호사가 다 일하고 잠깐의 상담이면 오케이인데 뭔 정책으로 돌아오냐. 말이되는 소리를 해야지.
@user-kh8ci9dg2c
@user-kh8ci9dg2c 3 ай бұрын
해보지도않고하지마않되속내을감추고일반국민은정부징책찬성
@user-he1ou5si4e
@user-he1ou5si4e 3 ай бұрын
옛날 속담 에 절이 싫으면 떠나면 되지요 국민 에 피곤 함 😢
@user-sq7kb5vb2x
@user-sq7kb5vb2x 3 ай бұрын
대학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전문의를 쓰지 않고 전공의의 노동력으로 운영하고(전문의가 없음), 중환자실 병상이 없다 이것이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이다
@gggddx97
@gggddx97 3 ай бұрын
그니깐 그게 문제면 증원한다하기전에 의사들이 문제제기하고 개선 목소리를 냈어야지 왜 이제와서 병원탓이라 하는지? 이걸로 사직서 던졌어봐 국민들이 등 돌렸겠냐고
@user-qc1me1fu4d
@user-qc1me1fu4d 3 ай бұрын
@@gggddx97 문제제기를 오래전부터 정부에 했습니다. 그동안 무시하다가 뒷통수 맞은거예요
@user-gr8tx1us7l
@user-gr8tx1us7l 3 ай бұрын
@@gggddx97소아과 임현택 회장님 입막는 동영상 보세요 대화를 제대로 나누려는게 아닙니다 정부는
@gggddx97
@gggddx97 3 ай бұрын
@@user-qc1me1fu4d 제대로 안했죠 안하고 모두 개원 했잖아요 개원하지 않고 지금처럼 연합해서 한 목소리 내어 봤다면 그때도 지금도 국민들이 의사 손 들어주고 정부탓 했을것 같은데 증원한다고 하니 문제 있다하면 공감이 되겠냐고요 속 빤히 보이는거지
@user-sk3qj3zj6g
@user-sk3qj3zj6g 3 ай бұрын
​@@gggddx97 니돈으로 to 늘리면 되겠네
@suh1458
@suh1458 3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의사 수자가 더 적어도 필수의료에 많은 지원자가 있었다, 의료 시스템이 서서히 망가지는 것을 방치한 관료들이 문제다
@broccoli2959
@broccoli2959 3 ай бұрын
백번 옳아요.
@blue-cornflower
@blue-cornflower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이번에 고치잖아
@user-rv5re7ph7t
@user-rv5re7ph7t 3 ай бұрын
환자도 억울하겠지만 고소고발이 난무하니 바이탈과 소아과 산부인과 전공하던이나 근무하던이나 다 이탈해서 이렇게 되었고 게다가 인기과목의 전망은 너무좋은데 누가 험난한길을 가려나요? 영화나 가능합니다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3 ай бұрын
의사 숫자 세배로 늘리면 전부 해결됨 ㅅㄱ
@akxiwoq9006
@akxiwoq9006 3 ай бұрын
방치한게 아니라 20년간 자기들 밥그릇 지키느라 맨날 반대한 의사들이 문제지
@user-ex1yy1hw7u
@user-ex1yy1hw7u 3 ай бұрын
총선용일지라도 반드시. 의사증원해야합니다 특권의식이. 해도해도 너무합니다
@user-hz9wl2zt2f
@user-hz9wl2zt2f 3 ай бұрын
이번에 전공이들 없어도 병원 돌아가게 시스탭 바궈주세요 돈 받고 전공이 받아주세요
@user-gh5qb6kr2n
@user-gh5qb6kr2n 2 ай бұрын
엠씨. 답답하군 넉넉히 뽑아도 필수과로는 안 간다고. 안 가. 알아. ?
@user-gh5qb6kr2n
@user-gh5qb6kr2n 2 ай бұрын
야!mc. 답답하네,정부가 윤통이 도리도리야. 절대로 먹통 주장만 내 세우는데 대화가 되냐고.
@user-gh5qb6kr2n
@user-gh5qb6kr2n 2 ай бұрын
전공이 가 시스탭이 뭐야. 한글도 모르는 주제에 뭘 안다고 댓글이야.
@sky4508
@sky4508 3 ай бұрын
일반 동내의원가니까 한산하던데 의사가 없다니 그사람들 데려오면 되겠어요. 치료받고 얼마나 빨리 처방하는지 버스도 환승입니다. 라고 하더라. 지방 종합병원 필수의료 문제겠죠.
@user-mz8rh3tl1t
@user-mz8rh3tl1t 3 ай бұрын
맞음 그게 문제 해결책임 개업의로 빠지는 인원이 늘어나는게 문제인데 전체 의사수 늘려봤자 의미없죠
@user-de5du8yb2s
@user-de5du8yb2s 3 ай бұрын
@@user-ow6se5uc7q 나오고 있어요
@user-ep7zm1sp5k
@user-ep7zm1sp5k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수원사는데.병원.그리복잡하지않아요.증원.반대합니다
@daewonyoon6941
@daewonyoon6941 3 ай бұрын
@@user-ow6se5uc7q 답답하신건지 주변에 친한 의사 한분 없으신건지. 일반 동네 개원의들이 대부분 전공의 과정 다 거치고 전문의 자격증 가지신분들입니다. 노가다요.. ㅉㅉ
@mino9013
@mino9013 3 ай бұрын
동네병원도 있어야지 아프면 다 대학병원갈거냐?
@user-cf9kx1mv3y
@user-cf9kx1mv3y 3 ай бұрын
응급의학과 의사분이 나와서 반대를해도 밥그릇이라고 욕을하는 사람이 있구나.... 세계10위권 선진국이면 뭐하나... 국민성이 이런데
@ohhyuunkwon7864
@ohhyuunkwon7864 3 ай бұрын
밥 그릇 맞으니까... 변호사도 예전에 증원때 법률 서비스 질 떨어진다고 반대 했는데.... 결국 시간 지나니까 전 국민들이 가벼운 법 상담 쉽게쉽게 하는걸로 정착했음. 절대적인 숫자가 늘면 받는 우리 국민들 입장에서는 무조건 좋음.
@ililiiili-wg1yi
@ililiiili-wg1yi 3 ай бұрын
건강보험료 늘어나는것도 국민들 몫이지@@ohhyuunkwon7864
@itman94
@itman94 3 ай бұрын
애쓴다. 검이 이길까? 의가 이길까? 국민은 위하라고 있는게 아니지 써먹으라고 핑게대라고 있는거지. 그렇지
@broccoli2959
@broccoli2959 3 ай бұрын
​@@ohhyuunkwon7864 고소고발ㅈ난무하는 있답니다
@user-fe8tq2mb9h
@user-fe8tq2mb9h 3 ай бұрын
​@@ohhyuunkwon7864건강보험 시스템이 어떤지는 아시죠?
@user-nl9cu8bz1k
@user-nl9cu8bz1k 3 ай бұрын
의대 정원 확대하고 의과대학도 전공별로 구분해서 모집하면 되겠네..
@user-kg6ri4rj6w
@user-kg6ri4rj6w 2 ай бұрын
성형과 의사 아닌 걸로 해요 열심히 국립대 나와서 국민세금으로 얼굴고치는 데로 인재들이 다 간다는 게 참 어이가 없고 내과 전공해도 피부과 성형으로 전환을 막아 주세요
@user-sz4ss6dv8g
@user-sz4ss6dv8g 2 ай бұрын
의사과잉
@user-kl4yd6wk8i
@user-kl4yd6wk8i 2 ай бұрын
지난번 증원 400명 하려 할때 파업 안했으면 지금 2000명 증원 안했을 수도 있었겠죠 다 욕심에 눈멀어 생긴일,,자업자득입니다
@Ilovevox2018
@Ilovevox2018 3 ай бұрын
필수 의료학과 지원을 늘리는 정책이 먼저다!! 필수 의료학과에 학비를 낮춰주등가.. 장학금을 주덩가.. 필수 채용을 법에 넣던가 해야한다..
@user-jj6jm1th4h
@user-jj6jm1th4h 3 ай бұрын
입틀막으로 대화가 가능한가요? 소아청소년과 회장이 입틀막으로 끌려나가는데..130회 대화했다.제대로 된 대화인가요?
@surisan100
@surisan100 3 ай бұрын
의학전문대학원이라는 제도는 좋다고 선택한 사람이 이제 정원 늘리는건 반대한다. 이제 정원 늘린덕에 입학할 미래 의대생은 나중에 또 어떤 이유에서건 숫자 늘어난다면 또 반대하겠지. ㅎ
@user-gl2nt2zo3d
@user-gl2nt2zo3d 3 ай бұрын
총선용이든 뭐든 그냥 이번참에 의사협 이겨서 증원 하길 바랍니다.
@user-bg8qo4vc5j
@user-bg8qo4vc5j 3 ай бұрын
서울 잘 사는 동네 피부과, 성형외과 빼고, 필수의료 즉 내과, 소아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진료, 기초의학, 의료관리 등 의료인의 지방균형 확충이 핵심입니다!!!
@john_nasse
@john_nasse 3 ай бұрын
의사를 많이 뽑아도 필수의료 지원안합니다. 우리가 오물쓰래기반장 안하는거랑 똑같아요 오물뒤집어쓰는데 월 2천 주면 다 합니다. 고생은 고생대로하고 병원이랑 정부에서 보호안해주면 의사 만명 뽑아도 미용과만 만개 더 생기는거에요
@john_nasse
@john_nasse 3 ай бұрын
@@boxer2024 의사는 한국에서 공부 제일잘하는 애들이 최소한의 명예와 급여가 보장되는 직업이니까 선택하는거지 의사의 사명감? 그걸 왜 바라는거죠? 그냥 직업인데? 의사는 돈 바라면안되나? 너도 돈안되는건 하기싫잖아 놀부세@긴가?
@helio3569
@helio3569 3 ай бұрын
@@john_nasse 시간은 좀 걸릴 수 도 있지만 시장논리대로 기피과 외 선호되는 과 과포화상태되서 기대수입 혹은 정년 등등 기대이하로 떨어지면 알아서 기피과로 불리는 과로 갈거라 봅니다. 이게 자본주의 시장 논리아닌가요? 물론 기피과에 대한 제도개선도 필수구요
@john_nasse
@john_nasse 3 ай бұрын
@@helio3569 제도개선만 하면 됩니다 필수의료 전문의는 차고넘쳐요 박민수 차관이 잘나가던 한국의 산부인과 포괄수가제로 바뀌고 어찌됐나요? 전부 망했습니다. 제도의 문제입니다
@user-kz7po8gj1l
@user-kz7po8gj1l 3 ай бұрын
@@boxer2024❤😊
@slowcho3797
@slowcho3797 3 ай бұрын
이대로 진행되면 수년 뒤 필수과 다 무너지고 부자는 민영화 고급 병원, 가난한 자는 포괄수가제로 가장 싸게 치료하는 병원으로 다니게 될 겁니다. 국민 여러분. 이제 누구나 양호한 수준으로 치료받던 의료선진국은 없어집니다.
@calorieban8341
@calorieban8341 3 ай бұрын
의료시장도 시장이고 수요 공급의 법칙이 작동하는 거 아닙니까, 공급이 부족해서 늘리자는데 안된다고 하는 건 공급자 개개인의 높은 수입을 유지 시키려는 집단이기주의 아닙니까
@ysy6166
@ysy6166 3 ай бұрын
공급이 부족한게아닙니다 의사들이 기피하는 필수의료분야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의대증원은 이문제를 해결하지못하고 세금만 낭비할테니 그 돈을 진짜 문제해결을 위해 쓰자는겁니다
@martian3585
@martian3585 3 ай бұрын
@@ysy6166 환자를 담보로 파업하는 주장은 설득력이 1도 없음
@rkpark1083
@rkpark1083 3 ай бұрын
공공의대 설립때는 왜.파업함 ㅋㅋㅋ
@ondal7595
@ondal7595 3 ай бұрын
그런 것은 당신들이 걱정할 일이 아니지. 어차피 부자는 고급식당, 가난한 사람은 서민식당에서 밥먹고 사는거야
@user-kg6ri4rj6w
@user-kg6ri4rj6w 2 ай бұрын
응급실에 경증환자는 안 받으면 될 것을 왜 받아서~ 병상이 없다고 하는지요
@user-sf6cx2pb2g
@user-sf6cx2pb2g 3 ай бұрын
다 모르겠고 지방 중소도시만 해도 의사가 거의 할아버지 수준 ㅠㅠ 젋으신 의사들은 지방에 올 생각을 안 하는듯 합니다 인큐베이터도 없고 산과도 거의 없다시피 하니 참 참담합니다 정부나 의사 어느쪽에 기울어진것보다 ㅡㅡ 일단 의사는 없습니다 일단 아프면 아픈 사람만 손해 여튼 지방은 슬픕니다 다들 강대강 보다는 대화로 절충해서 잘 해결되기른 바랄뿐입니다
@user-on4uk9tg4c
@user-on4uk9tg4c 2 ай бұрын
지방에 환자수요가 없는데 대학병원세우는건 문제있잕나요
@user-sf6cx2pb2g
@user-sf6cx2pb2g 2 ай бұрын
@@user-on4uk9tg4c 대학병원은 아무나 세우는거 아닌거 맞죠 제가 대학병원은 바라지도 않고요 다만 꼭 필요한 과는 있어야 된다는거죠 실례로 20년 전에 있던 과도 없어졌으니까요 의료의 질이 얼마나 낙후됐는지 대충 감이 오시리라 생각합니다 출산도 지역에서 못하고 여기보다 더 큰곳으로 가는게 현실 입니다 여기가 지금 인구 17만 정도 인데 ㅡㅡ 이곳보다 더 큰도시로가서 출한을 해야 하는게 현실입니다 의사들도 거의 서울에서 정년퇴직한 교수님들이 오시는듯 한데요 병원에 가면 선생님들 연배가 그래요 대학병원을 바라는게 아니고요 꼭 필요하고 실력있으신 선생님 한분이라도 오기를 바랄뿐입니다
@user-sf6cx2pb2g
@user-sf6cx2pb2g 2 ай бұрын
@@user-on4uk9tg4c 제가 원하는건 대학병원을 설립해 달라고 말씀드린게 아닙니다 20년전에 있던 과도 없어졌을 정도로 의료가 낙후 됐다는 뜻입니다 인구 17만 되는 시에서 산모가 맘편안히 출산하기 위해서 더 큰 도시에 있는 곳으로 진료를 보러다닙니다 ㅡㅡ 그리고 이 곳에 있는 2차 의료 기관에 가면 제가 보기에 거의 대학에서 정년퇴직 하신 분들 정도 되는 연배의 의사가 진료를 봅니다 다른 곳에서 퇴직하고 여기서 다시 진료 보시면 ㅡㅡ 제가 봤을때는 노안으로 눈도 제대로 안보이시는듯 한데 ㅡㅡ 여튼 필요한 과 필요한 능력의 의사 한명이 더 좋다는 소리 입니다 과도 없고 의사도 없고 있던 과의 의사의 나이는 거의 60을 넘으신분들이 많으니까 말씀드리는 겁니다.
@user-sf6cx2pb2g
@user-sf6cx2pb2g 2 ай бұрын
음 댓글을 두번 달았는데 왜 자꾸 지워지는지 ㅡㅡ 여튼 제가 원하는건 대학병원 아닙니다 이 지역에 필요한 과와 거기에 실력 있으신 의사 한명이라도 있기를 바라는 겁니다 20년 전에도 있던 과가 없어 졌는데 이게 정상적인 의료 시스템 인가요 여기에 있는 2차 의료 기관에 가면 거의 대학에서 퇴직하신분들 오신듯 합니다 연배가요 ㅡㅡ 있던 과는 없어지고 젊은 의사도 없어서 거의 퇴직 하신분들이 오시는 지금 이 의료 시스템이 최고의 시스템은 아닌듯 합니다 이 댓글은 그냥 남아 있었으면 좋겠네요 ㅡㅡ
@junekim6550
@junekim6550 3 ай бұрын
전문의, 전임의, 교수들이 진료하는걸 보면서 배워야할 각과 전공의들이 사직했다고 병원이 안돌아가는 그 시스템!!! 그 시스템이 문제라고~!!
@ho_woo
@ho_woo 3 ай бұрын
시스템이 문제면 니들 할일을 하면서 제도를 바꿔야 정당성이 생기지. 환자 볼모로 잡고 시스템문제라는 개소리하면 누가 응원해주냐? 니들 나가면 병원 마비될거 알고 있었잖아?
@user-vf2xz4uu8q
@user-vf2xz4uu8q 3 ай бұрын
@@ho_woo 정부는 2000명 증원하면 파업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고. 파업하면 지지율 올라가고 선거에 유리하고..
@user-ly2wq5bn3z
@user-ly2wq5bn3z 3 ай бұрын
@@ho_woo 전공의들이 최저임금도 못받고 주 80시간 일을 할 의무가 어디에 있음? 착각하지 마셈, 전공의들은 아직 배우는 학생들임. 대학원생이 자기 전공의 미래가 암울하다고 연구실 출근 그만두면 불법 파업이라고 할건가?
@user-ly2wq5bn3z
@user-ly2wq5bn3z 3 ай бұрын
문제의 본질은 바이탈 과의 터무니 없이 낮은 의료 수가임. 환자를 살리면 살릴수록 적자를 보는 제도는 바꾸지 않은채 의대생 숫자만 늘리면 안그래도 수십년째 미래가 암울했던 바이탈의 미래는 더 암울해 지는데 누가 그런 암울한 미래를 위해 주 80시간씩 일하면서 수년을 버틸까?
@tv-up6rz
@tv-up6rz 3 ай бұрын
​@@user-vf2xz4uu8q 돈 때문에 파업 합니다
@Bonoboo176
@Bonoboo176 3 ай бұрын
병원쇼핑부터 막아서 의료보험 구멍나는 것 좀 막아둬야되는거 아닌가
@osa5154
@osa5154 3 ай бұрын
결국 국민을 조이자는.. 글구 의사는 계속돈을벌고..의사 숫자늘려서 경쟁사켜서 못남놈 도태시키는.. 결정은 돈내는 국민이
@user-ls8mn5wl6s
@user-ls8mn5wl6s 3 ай бұрын
@@osa5154 그럼 미국처럼 의료민영화 해야지. 맹장염 수술에 천만원 넘게 나와봐야 정신을 차리지.
@user-xj1ce7vs4i
@user-xj1ce7vs4i 3 ай бұрын
군대도 군인들 스스로 부조리와 폭행을 없앴는데, 병원 의사들 스스로 잘못된 구조를 이어가고 있으면서 나라가 잘못했다고만 한다. 스스로 고치려는 노력은 안하는가
@user-sn9tl4tb8d
@user-sn9tl4tb8d 3 ай бұрын
너무 잘나서들 우쭈쭈해야하고 군의관이 아니라 군대보내고 노가다 경험도 시켜야 정신차리지 사람을 돈으로만 보는 의사들 질났다정말
@allnewsall87
@allnewsall87 3 ай бұрын
아니 의대 학생들 교육을 현직 의사들이 파업까지하면서 걱정한다고? ㅋㅋㅋㅋㅋㅋ
@user-nm5ye8mh2y
@user-nm5ye8mh2y 3 ай бұрын
밥그릇 줄어드니깐 그러자나~~~요
@user-tu6eu3uz6v
@user-tu6eu3uz6v 3 ай бұрын
그르게 파업씩이나 대단한 의사분들 나셨네 교육을 위해 환자도 내팽겨치신다 ? 환자는 죽어라 좋은의사 만들겠다?
@user-ky5me9oq8i
@user-ky5me9oq8i 3 ай бұрын
걍의사냐? 교수이자 의사지 걍 의사는 걱정도 아해
@user-be5eb7my5t
@user-be5eb7my5t 3 ай бұрын
조용한 변명이 그럴싸하지만, 결국은 적은 의사수로 나눠먹기 하겠다는 것 아닌가. 그렇게 국민과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에서라면 병원 이탈해서 지금의 환자를 버려두고 떠나서 이참에 일년 휴식하겠다는 말이 나오나?!
@user-sk8ze9zu5m
@user-sk8ze9zu5m 3 ай бұрын
밥그릇싸움
@tngusgo6295
@tngusgo6295 3 ай бұрын
별필요없으면 넘치도록 두면되지~~ 똑똑하고 부지런한 사람만살아남는직종 을 만들어야 한다
@user-rk5pi3mu8c
@user-rk5pi3mu8c 3 ай бұрын
저임금에 오랜시간 일하는 전공의들 위주로 대학병원이 돌아갈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에요.. 그 자리를 모두 전문의로 채우면 그만큼 병원이 돈을 잘 벌어야되는데 지금 수가로는 택도 없어요.. 결국 치료비를 많이 내고 의료보험비 많이 내야 해결되는 구조인데 국민들이 이걸 감수할 의향이 있어보이진 않아요
@akxiwoq9006
@akxiwoq9006 3 ай бұрын
의사들도 미용 개방이나, 처방전 없이 감기약 약국에서 구매할수 있게 한다던지 하는 그런 의지는 없어보여요
@user-iz4ks5hm7b
@user-iz4ks5hm7b 3 ай бұрын
​​@@akxiwoq9006미용은 자격이 있는 사람한테라면 개방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고(단 이 경우 기피과 처우는 더 악화됨), 지금도 처방전 없이 종합감기약은 살 수 있어요. 혹시 전문의약품을 처방전 없이 사게 해달라는 말이시라면, 이게 말이 되는 소리입니까? 의약분업 명분이 뭐였는지는 아시죠?
@user-lv8lx5pn1d
@user-lv8lx5pn1d 3 ай бұрын
​@@akxiwoq9006의약분업은 애초에 의사들이 엄청 반대 했어요. 그때도 돈때무에 그런다고 엄청 욕 먹었지요
@user_pejnx266
@user_pejnx266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 그러니 전공의들의 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업무 로드를 낮추기위해 2000명보다 더 많이 증원하고 임금체계를 개편해야겠네요 그러면 수가를 올리지않고도 유지하면서 전공의의 업무 로드를 방지할 수 있겠네요
@freedomgibbum4744
@freedomgibbum4744 3 ай бұрын
​@@user_pejnx266아니 한꺼번에 2000명 증원..왜 거길 집착하나여? 의대학장들은 350명 정도만 증원해도 된다는데..
@user-lt1ug9ns7s
@user-lt1ug9ns7s 3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필수의료문제,지역의료 문제부터 해결하고 증원문제 해결이 순서가 아닐까요
@hyeoklee7132
@hyeoklee7132 3 ай бұрын
지역 의료 해결에 증원이 필요한거 아니예요?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의협에서 제시해야죠? 해결해야 한다 그런데 증원은 아니다. 이러고만 있으면 되나??
@realattack6292
@realattack6292 3 ай бұрын
증원은 지역의료 해결에 도움이 안됩니다. 까놓고 보면 증원을 해서 국민들에게 좋은 게 하나도 없습니다.. 있다고 하면 자녀 의대 진학확률 증가, 그냥 의사 월급 낮아져서 속 시원하다 정도죠.. 의대 증원의 부작용은 건강보험료 고갈 속도 증가, 의대 교육환경 부실로 인한 양질의 의사 수 하락 등이 있어요.. 그리고 지역의료 개선이 안되는 이유는.. 어차피 의사 면허 따서 지방에서 일을 해도 큰 수술은 환자들이 서울로 오잖아요. 그럼 지방에서 일을 왜 합니까.. 다 서울로 오지..
@KangHoon-ls8bz
@KangHoon-ls8bz 3 ай бұрын
@@hyeoklee7132 수가.의료시스템.병원지원 등등 기본적인게 밑바탕이 되어야죠~저도 단계적 으로 어느정도 증원은 필요하다 보는 임장이지만 증원이 우선순우가 아니라 분배의 문제라고 봅니다. 어느 a.b.c 구역에 갈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유도해야 자연스럽게 사고안나고 잘 흘러가죠
@MrJoseph0508
@MrJoseph0508 3 ай бұрын
필수의료 문제는 시장원리에 맡겨야 하고, 지역의료 문제는 지방균형발전 나라전체의 경제정책과 관련 문제임. 이게 해결될 때까지 기다리자는 건 의사증원 하지 말자는 얘기지..
@Lee-rc3eg
@Lee-rc3eg 3 ай бұрын
@@realattack6292 국민들에게 좋은게 의사들에게 안 좋은 건 확실히 써주셨네요. 의사 많아지면 월급 적어지니까, 생명을 볼모로 파업하는 거라고. 뒤에 쓰신건 전혀 논리적 설득이 안되고요.
@TS-kd8of
@TS-kd8of 3 ай бұрын
교육은 백년지 대개인데. 생각 하고 연구 해서 빠른 시간에 후다닥 얼렁뚱당 할게 아니라, 조금은 천천히 잘 만들어서 국민들에게 좋은 진료를 받게 만드는게하는 것입니다, SRT.KRT같은 초고속기차가 있어서 지방에 아산병원,삼성병원 가는데 3~4시간 걸리면좋은병원에 가는데 , 초고속 기차를 만듵어서 지방 병원이 문닫는 상황이 되는 거지요
@user-ro8rx5qs6l
@user-ro8rx5qs6l 3 ай бұрын
이십년을 손도 못대고 있는데,더 시간을 보내야 될까요? 지금 아니면 이후에는 아무도 못합니다.
@user-ob9bb3kc4q
@user-ob9bb3kc4q 3 ай бұрын
지방병원도 문제가 많읍니다 지방병원에서 약처방해서 먹다가 서울아산갔는데 죽지않고 살은게 용하다하시더라고요 그러니 지방병원가겠어요 버스타고 힘들어도 서울병원가지
@TS-kd8of
@TS-kd8of 3 ай бұрын
@@user-ro8rx5qs6l 지방의대가는 사람들은 이류 의사 입니다, 다~들 힘든병에 걸리면 다~~들 서울로 올라옵니다
@user-zx7eq3fi5s
@user-zx7eq3fi5s 3 ай бұрын
정원 늘리기보다 외과,소아과,산부인과 같은기피과목에 대폭지원을 하면 되지않나요?
@labelle5433
@labelle5433 3 ай бұрын
그걸 안하겠다고 정부에서 이 난리인거예요
@user-eb7ev4hw3j
@user-eb7ev4hw3j 3 ай бұрын
건강 ㅈ보험료 더 많이 낼수 있나요 피부과는 간호사도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부과로 몰리는것은 자유경쟁으로 가는게 최고입니다
@labelle5433
@labelle5433 3 ай бұрын
@@user-eb7ev4hw3j 이건 아닙니다. 지금 간호사샘들이 얼마나 부족한지 아시나요? 뭐든 근본작인 해결책을 마련해야지. 미용쪽 쏠림 막겠다고 그 시장을 작살내버린다? 자본주의적인 접근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의사와 간호사의 양역은 구분 되어야 마땅합니다. 간허사까지 미용하면 아마 온 세상이 다 미용으로 닾힐 수 있어요. 동네 할머니들이 은퇴한 간호사에게 만원 내고 보턱스 맞는다고 할지도요. 뭐든 근존 해결을 해야지. 이런식은 또다른 부작용으로 나라를 망칩니다. 건강 보험료를 다 많이 내는 방향으로 국민들 여론을 형성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user-mb1xw3po9i
@user-mb1xw3po9i 2 ай бұрын
정부지원이 부족한 게 문제가 아니라, 의사적성 1도 없는 애들이 의대로 몰려 가서 쉽고 돈되는 과에만 집주되는 게 문제 핵심이죠!
@labelle5433
@labelle5433 2 ай бұрын
@@user-mb1xw3po9i 쉽게 돈되는 과라면 피부과 성형외과 안과 뭐 이런거 말인가요? 그 과 티오는 1~3명 정도로 극소수인데.. 그건 세계 그 어디도 선호해요. 미국도 일본도요. 하지만 왜 모두 그쪽으로 쏠림이 없는지 아세요? 다른 과를 전공해도 보상이 되기 때문이죠. 그런데 기피과를 나오면 일단 취업이 안되잖아요. 전문의나 교수 3명은 뽑아야하는데 수술할수록 적자니까 1명으로 돌리잖아요. 응급의학과 소아과 전문의가 부족한지 아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10년 전 두배인데요? 소아과 전문의도 얼마나 증가했는데요? 근데 자리가 없으니 전공을 회피하는겁니다. 그걸 왜 욕해요? 당신이라면 미래가 불투명하고 법적 리스크만 크게 덤탱이쓰는 과에 가고싶어요? 전공의 1년차를 형사처벌하고. 이대목동 소아과는 의사의 과실이 없음에도 구속시키고.. 세상을 크게 보세요. 뭐가 문제인지.. 그저 누군가의 희생을 강요하고.. 상대에게 댓가를 바라지말고 봉사하라고 하는건 당신의 극심한 이기심입니다. 말투를 보니 그저 남탓만 하고 비난하는 사람인 듯합니다.
@user-xq8is2cu2e
@user-xq8is2cu2e 3 ай бұрын
전공의가 걱정해야할 부분들인가? 그냥 밥그릇 지키기라고밖에 생각이 안드네요
@user-jb5qz7fc1k
@user-jb5qz7fc1k 3 ай бұрын
밥그릇이 아니라 내용물이 마음에 안들어... 비상상황... 절대 용서하지마라...!
@user-sk8ze9zu5m
@user-sk8ze9zu5m 3 ай бұрын
선거에필요하면지금시끄릅게이렇게하겠는는가니들이싸게당하냐
@user-kb2tw1cp5q
@user-kb2tw1cp5q 3 ай бұрын
의대생들 수업받을 공간이 부족하다면서 공공의대 설립은 왜 반대냐?
@happier244
@happier244 3 ай бұрын
수련의 과정이 인원 부족으로 힘들다고 징징대는 것도 늘려준다니 수련 질이 떨어질거라고 징징 대는 것도 환자를 위한거라고 보기는...
@user-eo2xu9mp5q
@user-eo2xu9mp5q 3 ай бұрын
구차한말뒤에는 밥그릇 빼았기는게 두려운거죠.정확하게.
@user-qh1cy8lm5u
@user-qh1cy8lm5u 3 ай бұрын
우리동네 종합병원 오늘도 진료에 아무 지장 없던데. 우리나라는 현재 의료 과소비 국가 임. 의사 증원 늘리면 더 과속화되고 의사들 자기들 끼리 경쟁하다가 피해자는 결국 환자들 임. 필수 의료진 확보는 해당과 지원을 늘여주고 법적 안전 장치로 보호해줘야 함. 현재 공공의료병원에 환자들이 가려고도 하지 않고 심지어 의사 매출 떨어졌다고 권고 사직 당하는 현실임. 이재명 부산에서 서울로 헬기타고 서울대 오는 것처럼 대부분의 지방 환자들 중앙에 있는 병원으로 달려옴. 지방에 실력있는 의사 있어도 무시함.
@user-ds8yr1iy9h
@user-ds8yr1iy9h 3 ай бұрын
이재명 부산에서 헬기타고 서울로 온것은 부산대병원이 의료질이 떨어져서가 아니고 사전에 다 짜여졌던 계획적인겄 이었습니다.
@user-ju9lm9nb7u
@user-ju9lm9nb7u 3 ай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왜 의사만 예외인가요? 의사도 경쟁을 해야지요. 실력이 없으면 도태되어 사라져야 실력있는 의사들이 그자리늘 메우죠 무슨짓을 해도 면허가 유지되는 의사들이 돈때문에 저러는데 의사도 경쟁해야 됩니다.
@accossam.koreaaccordionclub
@accossam.koreaaccordionclub 3 ай бұрын
ㅋㅋ,,, 그 틈새에 정치질하고 자빠졌네,,,
@user-gz6rm2qr1q
@user-gz6rm2qr1q 3 ай бұрын
내주변에 서울에 병원에 있어 명의야 내가 지금 다쳤어 근데 수술이 좀까다롭데 당신은 서울안가? 그냥 지방 대학병원 가실거요
@user-gz6rm2qr1q
@user-gz6rm2qr1q 3 ай бұрын
검사라는 특권을 가지고 칼을 휘두르는 집단보단. 의사집단은 환자생명을 담보로 싸우는건 아닌거 같음
@user-cw5cp9xu3h
@user-cw5cp9xu3h 3 ай бұрын
박단위원장의 대답에도 돈이 많네요 의사는 희생도 감내하여 선택해야하는 직업입니다
@user-qo9si3mz4n
@user-qo9si3mz4n 3 ай бұрын
밥그릇 투쟁을 포장하지 않았으면 한다
@Yang._.G
@Yang._.G 3 ай бұрын
국민을 위한 일입니다.
@user-hy8kz9bx1b
@user-hy8kz9bx1b 3 ай бұрын
국민 팔지마라 한두번 파업했나 의약분업때 한의사 보험적용때 의사 다 굶어죽는다고 하더니 ~~~ 코로나때 의사 모자란게 정부책임이라고 말하던 의사들 다 어디갔나 누가뭐래도 너희 밥그릇통이 정말 크다
@uch-sasuke
@uch-sasuke 3 ай бұрын
​@@Yang._.G국민을 위해서 국민 목숨을 위협한다? 이건 뭔 개소리지 ㅋㅋㅋㅋ
@user-qg2jj3yr1f
@user-qg2jj3yr1f 3 ай бұрын
밥그릇 투쟁하면 안되나요? 의사도 사람입니다
@kcs6171
@kcs6171 2 ай бұрын
의대생이나 전공의들에게는 어떨지 몰라도, 이미 자리잡은 의사들에게는 10년 20년후 의사수가 늘어난다 해도 밥그릇에 영향주지 않습니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의사가 매년 2천명씩 쏟아지면 그 피해를 어찌 감당할 것이며, 의사수가 늘면 사회적 의료비가 증가는 필연적인데 지금도 위태위태한 건강보험재정을 어찌 관리할지 대책이 안보이기 때문이지요. 현재의 시스템도 유지할 수 없습니다. 모든의사가 밥그릇에 연연하는거 아닙니다. 좋은 시스템을 망가뜨리는걸 보고만 있을 수 없는겁니다. 그래서 나이많은 의사나, 밥그릇에 관계없는 교수들도 반대하는겁니다. 이미 돌이키긴 어려울 것 같고... 20년쯤 후에 '의사들은 이럴줄 알았을텐데 왜 안막았냐'는 얘기 틀림없이 나올겁니다.
@kenneth0324
@kenneth0324 3 ай бұрын
해부학 실습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왜 사람들이 기증을 안하는지도 고민 좀 하자
@user-vo5kq9no1q
@user-vo5kq9no1q 3 ай бұрын
좋은 시절은 끝나갑니다. 변호사.회계사.한의사.의사 공급이 늘어나니 어쩔수 없지요. 수요자가 공급을 늘리라는데 정부도 별수있나요. 국민이 까라면 까야죠. 갑자기 이노래가 생각나네요. "봄날은 간다" '연분홍 치마도 바람이 불면 휘날릴수 밖에 없지요'.
@HaKimNui
@HaKimNui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일반 회사로 생각하면. "인턴 또는 계약직 없이 회사가 안돌아간다." 로 보면 되겠습니까???? 삼전. sk. 현대 등이 인턴 or 계약직 없이 안돌아가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개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
@NewJeans_Danielle
@NewJeans_Danielle 3 ай бұрын
병원이 그동안 정말 웃긴 상황이었다는 거죠 😂
@user-ul6cw4tv7y
@user-ul6cw4tv7y 3 ай бұрын
대학병원은 전문의사고용 을 안하고 교수와 레지던트 인턴 들로 운영하고 있어요
@user-qw9th8oy3k
@user-qw9th8oy3k 3 ай бұрын
안돌아가요
@sergio-xs1wq
@sergio-xs1wq 3 ай бұрын
이런 무식한 애랑 한표라니
@Yang._.G
@Yang._.G 3 ай бұрын
@@user-ul6cw4tv7y그런 시스템을 갖고 있는게 코미디죠. 전문의사를 양성하고 쓸 일자리는 확충안하니, 의사들이 나와서 다른 진료나 보게되는거고.. 시스템의 문제였다는게 보이는 상황에서 의대증원 틱장애가 걸렸는지..
@user-ei9gv8uv4r
@user-ei9gv8uv4r 3 ай бұрын
국내 의료진은. 믿을수가 없다 의료인수입을해서라도 정신없는 의료인들 영원히 잠재워야할듯합니다 어찌국민을볼모로 이러짓을
@user-wp1vz2uj6f
@user-wp1vz2uj6f 3 ай бұрын
숫자를 늘리고 이후 보완을 하면 되지 않나~
@hjj6420
@hjj6420 3 ай бұрын
서울은 병원이 넘쳐납니다. 의대증원이 아니라 필수의료, 지방의료체계 문제점을 해결해야지
@Kurazzang
@Kurazzang 3 ай бұрын
의사들의 이기심 때문에 발생한 문제 아닌가요? 지방 의사들 연봉 3억을 준다고 해도 안하는 실정입니다. 의사들의 평균을 올려치는 건 답이 아닙니다. 의사 수를 늘려서 평균을 낮춰야 의사들이 일이 있는 지방으로 가게 되는 것입니다.
@leehyangje
@leehyangje 3 ай бұрын
의사 5천명 증원해서 = 의사들끼리 카르텔로 의료과실! 의료사고! 의료살인?을 감추는 것을 깨야 한다. 다 같은 사람이니깐...
@user-on7jx8nd2h
@user-on7jx8nd2h 3 ай бұрын
지방병원 다니다가 성에 안차서 서울로 가는거지요
@user-lv8lx5pn1d
@user-lv8lx5pn1d 3 ай бұрын
​@@Kurazzang님은 깡촌에 가서 자기 전공도 아닌 과까지 커버하고 당직 콜도 받고 문제생기면 민사 형사 책임이 있는데 어떻게 갑니까 . 공무원들도 세종시 만 가라해도 안간다고 사표쓰는데. 마치 버스 한대로 기사가 잠도 안자도 일년 내내 하는 거예요.사고 나면 자기 책임
@Kurazzang
@Kurazzang 3 ай бұрын
@@user-lv8lx5pn1d 그니까 그 전공자를 늘리면 되잖아요. 그럼 답 나오는건데 인원 안 늘리고 답 찾으려고 하니까 어려운겁니다.
@eomboyong
@eomboyong 3 ай бұрын
대체 어느 직장인이 대학정원 늘린다고 파업을 하나?
@user-xl4mk8so6t
@user-xl4mk8so6t 3 ай бұрын
참고로미국은 의사한사람당6명입니다
@user-ll2oy4wi4d
@user-ll2oy4wi4d 3 ай бұрын
주도하는개 나타났는데도 주도한게ㅜ아니라니 어처구니 없네.
@TV-lb8xf
@TV-lb8xf 3 ай бұрын
윤석열이 의사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대증원 2000 정책은 총선용 이다 의도적인 의사파업을 유도하여 국민의 지지을 얻어내려는 총선전략이다
@eunjun2612
@eunjun2612 3 ай бұрын
다 알죠~~
@user-yj1bk7tn5u
@user-yj1bk7tn5u 3 ай бұрын
해야되는 일인데 총선용으로 하면 머리가 좋은 거지 탓할 일이 아니죠. 의대 증원은 어느 정부가 해도 해야되는 일입니다 그걸 이 시기에 한다고 정부 욕하는 건 그냥 무조건 정부 까는 사람인 것 같네요.
@TV-lb8xf
@TV-lb8xf 3 ай бұрын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총선하냐?
@savorkim9808
@savorkim9808 3 ай бұрын
총선용이라면 오히려 골치 아프게 의료개혁 안하지요.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해야만 하는일이라서 하는겁니다.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3 ай бұрын
​@@TV-lb8xf북도발해서 총선한 보수임
@user-nv5dm6dx9k
@user-nv5dm6dx9k 3 ай бұрын
전공의 들의 얘기를 할수 있는기회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x5pc4hy3q
@user-dx5pc4hy3q 3 ай бұрын
의룡인들 좌표 ㄷㄷ
@user-um7xr7cq1m
@user-um7xr7cq1m 3 ай бұрын
전공의는 의사 도 아닌데 전공의가 없다고 병원이 안돌아가는시스템이말이안됨
@user-ls2bc8mm1j
@user-ls2bc8mm1j 3 ай бұрын
아니 이상허네~~의사가 늘어나면 국민들 의료비지출이 많아진다?왜 그런것까지 생각하는거지?그건 우리가 알아서 할께~~의사란직업도 아무리 허접해도 실습을 보고 배우면 의사될수 있다 ~~의약품 회사에서 정형외과 수술하는거 못봤는가?
@omeio2579
@omeio2579 3 ай бұрын
이참에 전공의 없이 병원 돌아가게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peacewe8009
@peacewe8009 3 ай бұрын
싼 전공의 대신 전문의를 많이 두려면 병원이 힘들겠죠. 현수가로 무너질지도 모르고...의료비를 더 내야 가능한 걸로...
@blackwhite2439
@blackwhite2439 3 ай бұрын
그렇게 되려면 건강보험료 아무리 못내도 3배 이상은 더 내야 될 겁니다. 무지한 국민들은 그것도 모르고,,,그냥 시기 질투심으로 의사들을 마녀사냥하고 있죠.
@user-sc2oc5ok2y
@user-sc2oc5ok2y 3 ай бұрын
불가능합니다. 건보료 폭증
@hokim9588
@hokim9588 3 ай бұрын
뭔소리인지 막던지심
@K.REN_EJ
@K.REN_EJ 3 ай бұрын
전공의가 없으면 안댐..경험을 쌓고 기술을 쌓아야 하는데..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을 어케 만들건데여 ㅠ 지금 펠로우 교수님들도 전공의 시절이 있죠.. 전공의를 안쓰다보면 껍데기만 전임의 실력은 전공의인 일들이 생길 것 같네요..
@Ltk6882
@Ltk6882 3 ай бұрын
결국 필수과 수가올려서 돈더달라는 소리네. 증원시키지말고 수가올리면 그건 건보료에서 나가는거 아닌가 ㅋ
@user-cr1tg5iy6i
@user-cr1tg5iy6i 3 ай бұрын
증원은 돈나가는 소리 아닙니까? 그래서 의사들이 수가 올려달라고 파업한적 있나요?
@user-rq7im5pq8k
@user-rq7im5pq8k 3 ай бұрын
왜 필수의료가 망가졌는지 원인을 알면 해결방안도 당연히 나오는거 아닌가? 대우못받는 과를 누가 원하겠는가? 당연지사. 인지상정이지
@Ltk6882
@Ltk6882 3 ай бұрын
@@user-cr1tg5iy6i 증원 돈나가는소리는 의사분들이 하는 주장이지요
@Ltk6882
@Ltk6882 3 ай бұрын
@@user-rq7im5pq8k 돈이. 무한정 나오면 원하는데로 드리죠 .ㅋ 복지사각지대에서. 자살하는분들 돈평펑주면 자살안할거아닙니까 그거 몰라서 안합니까 그돈이 누구한테 걷어내야되는돈이니깐 쉽지않은거죠
@user-xc7pk2sm7l
@user-xc7pk2sm7l 3 ай бұрын
의대생 전공의 다 퇴출이 답이다
@user-tu6eu3uz6v
@user-tu6eu3uz6v 3 ай бұрын
거짓말 하지맑그냥 니들 돈 적게벌까봐 그런거지 갖다붙이지 마라 뻔한걸 가지고 이것들이 거짓말을 하는게 국민들이 싫다는거다 이것들아
@user-rz5ul2ek7e
@user-rz5ul2ek7e 3 ай бұрын
전공의를 많이 의존하는 병원 체제의 비밀 : 의료수가 너무 낮아 OECD최하위라서 로컬 병원들 대부분 빚더미 속에서 하나둘씩 폐업하기 때문이다..
@user-tu6eu3uz6v
@user-tu6eu3uz6v 3 ай бұрын
의대상 학비가 얼만데 이기야 좀 알고나 있어라 니들한테 들어가는돈 다른과 애들 돈 받아서 매꾸고있다 알고나 떠들어라 애기들 인터뷰가 위험한 이유 ㅋ
@user-tu7xc5zp8e
@user-tu7xc5zp8e 3 ай бұрын
빚더미가아니라 돈이 안되서 폐업하는건데 무슨소리
@user-th3rr6gt1s
@user-th3rr6gt1s 3 ай бұрын
@@user-tu7xc5zp8e 돈이 안되니까 빚이 생기죠 골통 비었음?
@user-tu7xc5zp8e
@user-tu7xc5zp8e 3 ай бұрын
@@user-th3rr6gt1s 지금끼지 버티는 개인병원은 마이너스통장 쥐고 자원봉사하나요?
@user-mb1xw3po9i
@user-mb1xw3po9i 2 ай бұрын
숫가가 낮아서 빚더미가 아니라 실력 없는 병원이 문닫는 거요. 이름있는 병원은 대기환자들 바글바글이고 3,4분 진료받는데 2,3시간씩 기다리는 게 현실이지!
@user-mi2ii1jm3m
@user-mi2ii1jm3m 3 ай бұрын
필수의료영역의 수가 올려달라? 그럼 그렇게 주장하세요.
@user-qi6sb5ur8m
@user-qi6sb5ur8m 3 ай бұрын
의료개혁은 필요하다봅니다. 사표를 던지는 전공의들! 이해할 수 없습니다. 밥그릇 싸움도 정도껏 해야지요!
@Minji87choi
@Minji87choi 3 ай бұрын
그들이 공부열심히한 목적은 돈벌리수단으로 했기때문인듯합니다. 환자를이용해서 돈버는기술을 공부했지요.
@user-qi3sm3kt1i
@user-qi3sm3kt1i 3 ай бұрын
정부는 선거로 의사 그만 이용하고, 대화로 해결해야함 환자만 괴롭다
@user-ep7zm1sp5k
@user-ep7zm1sp5k 3 ай бұрын
지금.정부가.있나요?무정부.아닌가요?나만그런가.
@Rapy95
@Rapy95 3 ай бұрын
윤석열이가 국민.민생.경제 챙긴다 생각하는게 모자란 것
@cerenial
@cerenial 3 ай бұрын
전국에 의사가 십만인데 이중에 7% 일 안한다고 전국에 의료대란나는 시스템은 정상이 아니죠. 게다가 전공의는 교육받아야 하는 손님입니다. 지금 대학병원 수술 외래 껀수, 그게 원래대학병원에서 봐야 하는 진료량이 맞아요.
@ayp1111
@ayp1111 3 ай бұрын
완전 공감
@user-gy9dt2sg5o
@user-gy9dt2sg5o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전문의 고용하고 더 많은 2차3차병원이 생겨나서 수술부담을 분배해야죠. 그렇게 하려면 일단 의료수가부터 현실화해야합니다. 전문의 고용할수록 적자인데, 상급병원이 전문의를 고용안하죠.
@cerenial
@cerenial 3 ай бұрын
@@user-gy9dt2sg5o 그나마 있단 2차병원들이 대학병원으로 쏠리면서 다 망했죠. 대학병원은 전공의를 싸게 굴릴 수 있으니까 살아남았고요.
@user-qo4dv9cd2g
@user-qo4dv9cd2g 3 ай бұрын
코로나때 같은 상황의 파업...그때는 총선이 아니었는데...? 결론적으로 누가 편협한건가?
@user-kp3cw7ex1u
@user-kp3cw7ex1u 3 ай бұрын
의대 애들 교육 개판 된다.
@user-cx1is8tk2r
@user-cx1is8tk2r 3 ай бұрын
의사가 되면, 돈과 명예가 있습니다. 의사는 법무부 5급, 4급 공무원은 그냥 시켜줘도 잘 안합니다. 대학은 이런 직업을 많은 사람들이 갖을 수 있도록 교육시설도 갖추고 증원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공부 잘하는 사람이 의대 가는 것이 아니라, 소신이 있는 사람이 의대 가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똑똑한 사람들이 이공계도 지원하는 환경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내 자식이 미국 뉴욕서 의사로 지내고 있는데, 미국은 한국만큼 목숨걸고 의대를 선택하지 않으며, 급여도 이공계 대비 그리 높지도 않습니다. 박단 비대위원장과 김현정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서, 전공의 대표의 논리가 와닿지 않습니다. 왜 자꾸 밥그릇 챙기기란 느낌이 드는지 모르겠네요.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하여 의사의 수는 반드시 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woodaebang7820
@woodaebang7820 3 ай бұрын
응급실 뺑뺑이에서 간과되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의료소송 문제입니다. 응급실 뺑뺑이를 돌다가 돌아가신분이 처음에는 의식이 멀쩡하다가 2시간도 안되어 6군데정도 응급실에서 거부당하고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왜 이런일이 벌어질까요? 의사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환자가 바로 겉으로 보기에 멀쩡해보이는데 막상 vital 측정하거나 추정진단을 생각해 볼 때 조만간 사망할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입니다. 보호자분들이 소송거는 주된 사유가 들어올때는 멀쩡했는데 와서 죽었다는거거든요. 당연히 응급실에서 부담스러워 할 수 밖에 없는 환자분이었던 것이죠. 누군가 받으면 소송당할 위험이 높으니 폭탄돌리기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의료소송에 대한 지원 없이는 절대 해결되지 않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lupin9305
@lupin9305 3 ай бұрын
그것도 보건복지부에서 대책 마련하고 있어요. 100분 토론에서 얘기함.
@user-hw8qe1uu8s
@user-hw8qe1uu8s 3 ай бұрын
환자 무서우면 의사를 하지말아야죠 ~ 스스로 의사가 되고자 햇으면서 환자는 무섭다 ?
@prak333
@prak333 3 ай бұрын
와 의새들 진짜 정신나갔네 ㅋㅋㅋㅋ의료소송하면 진단서 조차 같은의사라고 발급 안 해줘서 의료소송 대부분이 다 패소하는데, 마치 무슨 지들이 미국처럼 소송걸려서 돈 다물어주는 것처럼 애기하네 와 진짜 소름 돋는다. 의새들 환자버리고 여론 조작 선동하는거 정말 역겹네
@user-qs6ew5ll6s
@user-qs6ew5ll6s 3 ай бұрын
​@@user-hw8qe1uu8s얼마 전 응급실 소송 건 기사 한 번 찾아 읽어봐 주시길요
@user-ul6cw4tv7y
@user-ul6cw4tv7y 3 ай бұрын
소송당하고 형사처벌 받는게무섭다는거. 환자가 무섭다는게아님니다이해력 딸림
@KCHyun-yc3kx
@KCHyun-yc3kx 3 ай бұрын
의료인들 역시 지 밥 그릇 지키기라면 체면도 염치도 없는 부류들 그 이상은 못 되는 듯!
@wisetoothdoc
@wisetoothdoc 3 ай бұрын
지방병원을 강화시켜라!
@incheolsong1224
@incheolsong1224 3 ай бұрын
모든 정책은 근거를 갖고 해야됨. "그럴 것 같다"고 "그랬으면 좋겠다"고 정책을 시행하려고 하면 안됨.
@user-ev4ip4qs9y
@user-ev4ip4qs9y 3 ай бұрын
지랄 역대정권에서 환자 볼모로 버티는 의사들 땜에 관철 못한것 . 지금이라도 못하면 정말 의료대란 올것임
@jihwanlee3327
@jihwanlee3327 3 ай бұрын
전 정부에서도 압박은 해왔음 의사들이 강경하게 타협 조차 안했으니 이번엔 강하게 나간거임.
@user-px8re9qd5t
@user-px8re9qd5t 3 ай бұрын
누워서 침을 뱉어라
@user-cl7qr7zi7v
@user-cl7qr7zi7v 3 ай бұрын
현재의 한국의료 체계는 세계에서 최고수준인 것 같고 의료비도 매우 싼편입니다. 그러나 동래병원들이 너무 많아요 그래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병원들도 많아요. 싱가포르의 경우 교수님 만나는 데 100불이상이고 치료비는 별도이더군요 종합병원들은 전공의를 너무 싸게 장시간 근무켜합니다. 인구가 줄고 고령인구는 늘어납니다. 의사수만 늘인다고 해결될 것 같이는 않은 것같습니다 . 진정한 전문가와 더욱더 깊게 검토해야 할것입니다.
@ninaahw4128
@ninaahw4128 3 ай бұрын
100불.. 10만원대? 우리도 교수면담하면 그정도드는데...치료비는당근따로지..
@happydrawing7309
@happydrawing7309 3 ай бұрын
어디서 개소릴
@user-do9xl2ir4s
@user-do9xl2ir4s 3 ай бұрын
싱가포르가 잘못된거지 그걸 왜 우리가 따라가야 해? 지금 의사들이 기대하는 최소 수입 보장액이 너무 높은게 문제죠
@user-mb1xw3po9i
@user-mb1xw3po9i 2 ай бұрын
그럼 싱가폴 가서 의사 하세요! 10억을 줘도 지방엔 안가겠다는 심뽀를 설명해 주세요!
@user-on2cu8nd2d
@user-on2cu8nd2d 3 ай бұрын
그럼 환자를 두고떠난 의사는 정의로운가? NO
@user-nf1jh6ug7d
@user-nf1jh6ug7d 2 ай бұрын
흐지부지 되면 또 언제 단체파업할지 모릅니다.
@ysoll138
@ysoll138 3 ай бұрын
전문의는 모두 다 어디갔나요? 그리고 전공의는 아직 완전한 의사가 아니다. 병원도 산업 현장도 모든 곳이 임시직으로 일을 메꾸고있네. 피부과 성혀외과에는 치료 이외에는 의료보혐 지원 백퍼 삭감해라
@user-ul6cw4tv7y
@user-ul6cw4tv7y 3 ай бұрын
병윈에서 전문의 고용을 안해요 300만원 받는 전공의만 쓰려고하니 문제죠. 이걸 해결 하는게 정부인데 헛짓거리만 하고 있어요
@user-ls8mn5wl6s
@user-ls8mn5wl6s 3 ай бұрын
원래 피부과 성형외과 의료보험 안되는 비급여로 돈 버는게 훨씬 많습니다. 원래 병원도 비급여로 버는게 훨씬 많구요. 우리나라 수가체계가 너무 저가로 되어 있어 시간대비 노동에서 큰 이득이 안됩니다.
@user-cs7mz4cv3w
@user-cs7mz4cv3w 3 ай бұрын
하물며 방송국이나 기자들도 이쯤되면, 실무자들인 의사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하는데, 정작 정부, 대통령, 보건복지부는 필수과 의료진들의 의견을 한번 실제로 들어보고자 하지 않는다.
@user-xk2ke5yg6y
@user-xk2ke5yg6y 3 ай бұрын
수도 없이 듣고 있다. 근데 실현이 안될까봐.. 불신이 문제..
@user-xl9bf3wx1p
@user-xl9bf3wx1p 3 ай бұрын
세계인들이부러워하는 의료서비스 시스템 입니다 우리는 내손에있는게 복인줄알고감사히생각할때 지킬수있습니다 나랏빛1000조도부담인데 저.저출산에 초등학교 입학생 사라지는데 지금의젊은이들 미래세대에게 부담가지말아야합니다
@user-xl4mk8so6t
@user-xl4mk8so6t 3 ай бұрын
결국은 의사들돈때문입니다 국민들은다알고있어요 환자많아서 힘들다면 서.왜 의사수막어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싼것이 문제이고 쓸데없이 병원 가는것막아야돕니다
@user-ro8rx5qs6l
@user-ro8rx5qs6l 3 ай бұрын
그건 상충되는 논리네요.
@user-xl5bc4xo7t
@user-xl5bc4xo7t 3 ай бұрын
박단 선생님, 맞아요
@kjp6585
@kjp6585 3 ай бұрын
단순히 생각하면 의사가 많이 늘어나면 밥 그릇 작아진다가 의사들의 생각이지 지금도 대형병원 진료 받을려면 한참을 기다려야하고. 수술은 더 기다려야하니 그렇지 지금 응급한자 119 실려 가면 뺑뺑이 도는 현실을 어떻게 할건지 답을 해야하고 대형병원도 의사 수값때문에 고용이 힘들고 다음은 꼭 수능시험 잘 쳤다해서 수술 잘한다고는 생각 안 한다 정말 환자를 위해 얼마만큼 진료를 잘하는지가 훌륭한 의사지 SKY대 나와야 훌륭한 의사가 된다는 생각부터 잘못된 생각인 것 같네 지방대학 의대나와도 의사들의 자립 노력하면 좋은 의사가 되는거다 지금 토론 답은 오로지 의사들의 입장만 생각하는 답인 것 같네 왜 의사를 늘리면 국민들한테 안 좋은지에 대한 답이 전혀없다
@user-zt1wy3gy6r
@user-zt1wy3gy6r 3 ай бұрын
정부정책을 왜 너들한테 허가 받아서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하냐 하기 싫으면 떠나라 환자 목숨을 담보로 환자를 두고 떠나 대모질하는 일이 의사로서 저질러도 되는건지
@joonyounglee9151
@joonyounglee9151 3 ай бұрын
파업 전공의들 모두 의사면허 취소하고 협의회는 없어져야 합니다.
@byaungcheollee8639
@byaungcheollee8639 3 ай бұрын
솔직히 돈에 환장한 거지... 무슨 의료니 정의니 중요하겠냐....그러다 돈이면 부모도 팔겠다..
@user-kb2tw1cp5q
@user-kb2tw1cp5q 3 ай бұрын
돌팔이 제외하면 진짜 의사수는 몇명이나 될까?
@user-sk8ze9zu5m
@user-sk8ze9zu5m 3 ай бұрын
한의사들그렇게무시하다가 지들빌요할때에는한의사를의사수에넣는의사들저들은지들마음대로의이론입니다
@user-ny5lg7jx3b
@user-ny5lg7jx3b 3 ай бұрын
전공의하기싫음그만두고 노가다다니라 너희들이 의사가 국민생명갖고 장난치나 증원찬성
@user-vv1hq6un1i
@user-vv1hq6un1i 3 ай бұрын
정부에서 전공의 에게 무슨 압력인가? 압력의 내용을 정확히 말해주세요
@user-qh1cy8lm5u
@user-qh1cy8lm5u 3 ай бұрын
먼허 정지
@user-ds8yr1iy9h
@user-ds8yr1iy9h 3 ай бұрын
​@@user-qh1cy8lm5u 그래 배터지게 밥그릇 챙기기 위해서 면허취소하고 집구석에서 밥이나 배터지게 쳐 먹으라고~!
@yd5024
@yd5024 3 ай бұрын
지방의료시스템의 정상화는 의대증원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그 근본원인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의사수를 소폭 늘리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지방병원의 일정소득이 확보되지 않으면 지방의료 문제는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 지방소멸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증원만으로 그것은 불가능하다.
@osiris8482
@osiris8482 3 ай бұрын
지방병원에 일정 소득을 확보하는 방법은 2가지죠. 수입을 늘리거나 비용을 줄이거나. 이번 정부정책은 두가지 다 입니다. 수가 개선을 어느 정도 해서 수입을 늘렸고요. 의사 정원을 늘려 향후 의사 월급을 줄여서 비용을 줄이는 겁니다. 자. 그러면 지방병원의 일정소득이 확보됐죠?
@crackuser1
@crackuser1 3 ай бұрын
​@@osiris8482근시안적 사고...
@hkatiekim514
@hkatiekim514 3 ай бұрын
그건 니들 생각이고 절대 수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30년동안 증원 없이 감원만 했다. 거기다 15년 후는 노령환자 폭증할 추세니까 이러는 거 아님. 느그들이 여태 반대만 쳐 안했어도 매년 조금씩 늘렸다. 의레기 업보임
@sglee4833
@sglee4833 3 ай бұрын
간단명료 팩트 의견에 동의합니다
@kiko1657
@kiko1657 3 ай бұрын
의대 증원만 하면 안되지만, 의대 증원도 해야한다. 의대 증원만 한다는 얘기는 아무도 안했다.
@yoonk423
@yoonk423 2 ай бұрын
필수과 전공한 사람들이 일할 환경을 만들고 그들의 미래를 보장해줘야한다..
@user-bs4po8dg1d
@user-bs4po8dg1d 3 ай бұрын
팩트 하나만 이야기하면 의사수가 늘어난다고해서 국민들이 내는돈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지금 의협이 요구하는 필수의료 수가 올려달라고 말하는게 진료비 의료비 엄청 상승시키는 요인입니다 근데 그런 이야기 안하는거 보이죠? ㅋㅋㅋ 그냥 재넨 양심이 없어요 그냥 개뻔뻔함 ㅋㅋㅋ 지들 밥그릇 이야기만 계속함 ㅋㅋ
@tvamazingeee4186
@tvamazingeee4186 3 ай бұрын
뻔한 이유일 수록 우리는 좀 더 고상한 이유로 포장을 한다.
@user-yu1co6ll2u
@user-yu1co6ll2u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원인은 이해가 안되고 대책도 애매하고 의사 월급 줄어드는게 정부안의 핵심
@user-ri1ck7wb8z
@user-ri1ck7wb8z 3 ай бұрын
의대생. 전공의 구속시키고 면허취소 영구박달해 주세요
@user-gs4uf3ti6y
@user-gs4uf3ti6y 3 ай бұрын
교수님들이 전공의 부추겨서 자신들 밥그릇 챙기는것이 팩트인거 같아요
의사 1000명 리베이트, 발표 시점 참 묘하다? 의협 총파업 하루 전날
22:21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