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

  Рет қаралды 238,162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Жыл бұрын

전문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만 하면 모두가 전문가가 될수 있을까요?
한 분야의 진짜 전문가가 되기위한 방법, 이번영상을 통해 알아보시죠
#베리타시움 #전문가 #마스터
▀▀▀▀
Chase, W. G., & Simon, H. A. (1973). Perception in chess. Cognitive psychology, 4(1), 55-81. - ve42.co/chess1
Calderwood, R., Klein, G. A., & Crandall, B. W. (1988). Time pressure, skill, and move quality in ches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81-493. - ve42.co/chess2
Hogarth, R. M., Lejarraga, T., & Soyer, E. (2015). The two settings of kind and wicked learning environment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4(5), 379-385. - ve42.co/Hogarth
Ægisdóttir, S., White, M. J., Spengler, P. M., Maugherman, A. S., Anderson, L. A., Cook, R. S., ... & Rush, J. D. (2006). The meta-analysis of clinical judgment project: Fifty-six years of accumulated research on clinical versus statistical predic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4(3), 341-382. - ve42.co/anderson1
Ericsson, K. A. (2015).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medical expertise: a perspective from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Academic Medicine, 90(11), 1471-1486. - ve42.co/anderson2
Goldberg, S. B., Rousmaniere, T., Miller, S. D., Whipple, J., Nielsen, S. L., Hoyt, W. T., & Wampold, B. E. (2016). Do psychotherapists improve with time and experience? A longitudinal analysis of outcomes in a clinical sett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1), 1. - ve42.co/goldberg1
Ericsson, K. A., Krampe, R. T., & Tesch-Römer, C. (1993).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100(3), 363. - ve42.co/anderson3
Egan, D. E., & Schwartz, B. J. (1979). Chunking in recall of symbolic drawings. Memory & Cognition, 7(2), 149-158. - ve42.co/chunking1
Tetlock, P. E. (2017). Expert political judgment. In Expert Political Judg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 ve42.co/Tetlock
Melton, R. S. (1952). A comparison of clinical and actuarial methods of prediction with an assessment of the relative accuracy of different clinicians.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Minnesota.
Meehl, E. P. (1954). Clinical versus Statistical Prediction: A Theoretical Analysis and a Review of the Evid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ve42.co/Meehl1954
Kahneman, D. (2011). Thinking, fast and slow. Farrar, Straus and Giroux. - ve42.co/Kahneman
▀▀▀
Special thanks to Patreon supporters: RayJ Johnson, Brian Busbee, Jerome Barakos M.D., Amadeo Bee, Julian Lee, Inconcision, TTST, Balkrishna Heroor, Chris LaClair, Avi Yashchin, John H. Austin, Jr., OnlineBookClub.org, Matthew Gonzalez, Eric Sexton, john kiehl, Diffbot, Gnare, Dave Kircher, Burt Humburg, Blake Byers, Dumky, Evgeny Skvortsov, Meekay, Bill Linder, Paul Peijzel, Josh Hibschman, Timothy O’Brien, Mac Malkawi, Michael Schneider, jim buckmaster, Juan Benet, Ruslan Khroma, Robert Blum, Richard Sundvall, Lee Redden, Vincent, Stephen Wilcox, Marinus Kuivenhoven, Michael Krugman, Cy 'kkm' K'Nelson, Sam Lutfi, Ron Neal
▀▀▀▀
Written by Derek Muller and Petr Lebedev
Animation by Ivy Tello and Fabio Albertelli
Filmed by Derek Muller and Raquel Nuno
Additional video/photos supplied by Getty Images
Music from Epidemic Sound (ve42.co/music)
Produced by Derek Muller, Petr Lebedev, and Emily Zhang
Additional Edited by JH, Jung
Dubbed by Mingi Kwon
Supported by Yuna Lee

Пікірлер: 411
@user-vq3cs9hg3l
@user-vq3cs9hg3l 2 ай бұрын
1. 적절한 피드백 피드백이 없는 희귀 질환과 관련해서는 갓 의대를 졸업한 의사와 오래 근무한 의사와의 차이가 없었다. 2. 타당한 규칙의 존재 도박이나 주식 시장은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만, 그 결과가 타당한 규칙에 의해 도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패턴을 익히며 숙련될 수 없다. 3. 많은 반복 수행을 반복하면 점차 필요한 행동들이 무의식의 영역으로 옮겨가게 되며, 이때부터 실력이 정체되기 시작한다. 4. 컴포트 존에서 벗어나기 내게 익숙하고 편한 것이 아닌 새롭고 어려운 것을 도전함으로써 그 실력의 정체를 극복할 수 있다. 체스 선수들간의 실력 차이는 그들이 플레이한 게임의 횟수나 임한 시간보다는 혼자서 진지하게 분석하고 연습한 시간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user-fn2qm5dt7y
@user-fn2qm5dt7y Жыл бұрын
반복을 하면서도 자신이 숙련되지 않은 상황에 계속해서 노출되어야 발전할 수 있다는 말이 와닿았던거 같습니다 영상 잘 보고가요
@sivleke5033
@sivleke5033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는 숙련되지 않은 반복된 행동을 하면 패배자로 인식하죠 개인의 입장에서 실패란 나의 소중한 시간을 투자해서 만든 원치않는 결과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단순히 돈으로 치환해 결과를 판단하게되니 자기의 인생을 소비해가면서 패배자 소리를 듣을바에 익숙하고 숙련된 일을 찾게되죠
@user-fn2qm5dt7y
@user-fn2qm5dt7y Жыл бұрын
@@sivleke5033 네
@NoName-ln6sj
@NoName-ln6sj Жыл бұрын
@@sivleke5033 실패가능성없는 숙련된 일은 10년안에 AI로 대체
@deluxeburger651
@deluxeburger651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지 상위 20%가 되려면 다들 하는것을 충실하게 하면되지만 상위 1%가 되려면 남들이 모를법한 것도 알아야함.
@zhffkdi
@zhffkdi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포기할 때 패배한다.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Жыл бұрын
타당한 환경 많은 반복 적절한 피드백 주도적인 학습
@user-fi8xq5xj6y
@user-fi8xq5xj6y 2 ай бұрын
이거 원래 제목이 전문가와 ㅈ문가의 차이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otory1
@Dotory1 Ай бұрын
ㄷㄷ
@user-dy1sy8ly4q
@user-dy1sy8ly4q Ай бұрын
아 그래서 댓글들이 그렇구나 ㅋㅋㅋ
@IamjustDeftfanTlqkf
@IamjustDeftfanTlqkf Ай бұрын
ㄹㅇ 언제바뀜??
@1000yang
@1000yang Ай бұрын
본사에서 항의들어왔나 ㅋㅋㅋ
@user-hc6nf5zz2m
@user-hc6nf5zz2m Ай бұрын
근데 이게 더 낫긴함 예전 제목은 양산형 자기계발 유튜브 일침충 유튜브 같았음
@Sundance._.
@Sundance._. Жыл бұрын
제가 아무리 성취도 평가와 모의고사를 봤어도 공부 실력이 늘지 않았던 것은 매번 찍었기 때문에 피드백은 즉각적으로 나오지만 그것의 타당성이 없었기 때문이었군요!
@user-uk1fh7mg3k
@user-uk1fh7mg3k Жыл бұрын
그러게 공부좀 하시지 그러셨ㅇㅓ용
@jung_gonzalez
@jung_gonzalez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이해했어!
@manihan9882
@manihan9882 Жыл бұрын
타당한 환경, 반복가능성, 적절한 피드백이 전문가가 되기 위한 조건이라면 우리는 모두 사는 것에서 아마추어일 수 밖에 없겠네요 사는건 예측가능하지도 않고 단 한번 뿐이며 잘했는지 못했는지 나중에서야 알게 되는 일도 부지기수니까요 결국 다른 사람들의 말에 휘둘릴 것 없이 스스로에 대한 의도적 학습만이 삶에 있어서 최선에 방법인거 같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jk00318
@jk00318 Ай бұрын
하지만 처한 상황을 어떻게 접근하고 기록으로 남기는 지는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상황을 대하는 태도는 과정의 초반이나 결과에 가까워지는 모든 때에 주어지는 것일 테니까요. 예측이 어렵다고 해서 기록을 못하는 건 아니죠. 사실 예측을 위해서 정보를 수집하기도 하고요. 관점의 차이라고도 봅니다 ㅎㅎ 문장 끝이 아닌 초장에서 말씀하신 부분이 맘에 걸려 굳이 딴지를 겁니다 ㅜㅜ
@jung_gonzalez
@jung_gonzalez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 많이 가는게 옛날에 회사 선배가 선배인건 둘째치고 다른 사람들보다 압도적으로 일을 정말 정확하고 빠르고 많이 할 수 있길래 비결을 물어 보니. A,B,C,D,E 라는 각각의 일에서 같이 묶어서 처리할 수 있는 단계를 먼저 파악, 중요도를 나열한다음에 각 단계들끼리 한번에 묶어서 하고 중간중간 정말 급할일은 그냥 한번에 다 빼내는 식으로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도저히 감이 안잡혀서 다시 물어 보니. '네게 맞는 방법을 찾을 때 까지 다양하게 시도해야 봐야 한다' '패턴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게 맞는지 검증해야 한다' '너 스스로도 루틴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걸 개선,유지하려 해야 하고 검증해야 한다' '따로 시간을 내서' 오늘 본 영상과 소름돋도록 일치하는 내용인거 같습니다.
@siw5316
@siw5316 Жыл бұрын
11:24 이거는 마치 사람이 어떤 버튼을 눌렀을 때 바로 전기충격을 받으면 버튼 때문이라고 알지만 버튼을 누르고 10시간 지난 후 전기충격을 받으면 그 원인이 버튼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하네요.
@duxkkim724
@duxkkim724 Жыл бұрын
"내용없는 사고는 공허하며 개념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
@Arc2urus
@Arc2urus Жыл бұрын
최근 고민중이던 것에 대한 해답이 이 영상 안에 다 들어있었네요. 확신을 얻은 기분입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jisung0516
@jisung0516 Жыл бұрын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이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말이 와닿게 되는 영상이네요
@user-dh9bm5wo9o
@user-dh9bm5wo9o Жыл бұрын
이번 년도 본 영상 중 제일 중요한 영상 같네요 항상 이 채널의 영상들은 재미 이상의 중요성이 느껴지네요
@siho123
@siho123 Ай бұрын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가 아니라 패턴과 전문성의 연관이 제목으로 더욱 어울릴것같아요. 인공지능을 공부하다보니 매우 흥미롭게 영상을 보았습니다. 인공지능은 결국 무수히 많은 패턴을 학습하여, 획일화된 하나의 패턴에 가깝게 숙련되는 것인데 주식과 같이 패턴이 없거나 패턴 정보가 부족한 직군에서는 미흡하죠. 하지만 습득할 수 있는 패턴이 명확한 직군들은 AI로 거의 다 대체 되기 쉬운게 현실이네요.
@mrshan1
@mrshan1 Ай бұрын
👍
@user-hl6ej6ki4o
@user-hl6ej6ki4o Жыл бұрын
여러가지로 공감도 많이 되고 성찰도 하게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개요만 파악하면 숙달은 필요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반복되는 훈련은 지루해도 실전적인 경험을 통해 발전하는 바가 있습니다. 고된 환경과 과제들도 지금은 마주하기 버겁고 도망치고 싶지만 버티고 견뎌내면 한층 성장한 것이 느껴지죠. 현재의 고난을 성장의 자양분으로 여기며 위로받을 수 있고, 정체된 발전의 실마리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생각이네요. 감사합니다.
@bassbasely1639
@bassbasely1639 Жыл бұрын
매번 좋은 영상번역을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unaticcycling
@lunaticcycling Жыл бұрын
초월번역 인정입니다 ㅋㅋㅋ
@user-hw3vv1wd1z
@user-hw3vv1wd1z Жыл бұрын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Жыл бұрын
영어판 원문은 뭐임?
@Semiconductor_914
@Semiconductor_914 Жыл бұрын
@@atomic-orbital the four things to be an expert
@gunhang03
@gunhang03 Жыл бұрын
@@Semiconductor_914 초월번역 맞네 ㅋㅋㅋㅋ
@ecarte931
@ecarte931 Жыл бұрын
이미 번역이 아니라 창작인데 이건 ㅋㅋㅋㅋㅋ
@user-zf4yo2jw2y
@user-zf4yo2jw2y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된다. 항상 어렴풋이 생각해왔던 그대로를 명확하게 정리해놓은 느낌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번 영상이 최고의 번역같다 ㅋㅋㅋㅋㅋ 너무 유익하고 진짜 너무나 재밌는걸 제외하고 나레이션과 번역이 진짜 재밌게 해준다 ㅎㅎㅎㅎ
@yee8494
@yee8494 Жыл бұрын
그냥 다 재밌다는 소리네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iv9zm6hj4x
@user-iv9zm6hj4x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번역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살아가는데 엄청 큰 도움이 될 거 같아요!
@LeeSeoungSu
@LeeSeoungSu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아주 명쾌한 솔루션이 되었습니다. 무지매우 감사드립니다.
@user-fh8qg4cs3z
@user-fh8qg4cs3z Жыл бұрын
왜 1000판 넘게 실버에서 랭크를 돌려도 실력이 늘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에 대한 훌륭한 답변이네요
@user-fe5ln6qf7o
@user-fe5ln6qf7o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채널인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qi3mk4nr1g
@user-qi3mk4nr1g Жыл бұрын
매번 번역 컨텐츠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oRaengs99
@NoRaengs99 Ай бұрын
진짜 근 몇달간 본 유튜브 영상중에 제일 공감되고 유용한 영상이였다
@Saas-hw2jt
@Saas-hw2jt Ай бұрын
의도적인 학습의 지속과 피드백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니... 정말 배움은 끝이 없네요. 새로운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i7ou3pq7k
@user-ei7ou3pq7k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두고두고 봐야겠음
@hulahula3247
@hulahula3247 Жыл бұрын
양질의 동영상 감사합니다~
@user-pi5vv7sx7g
@user-pi5vv7sx7g Жыл бұрын
내용 너무 좋네요. 구독했습니다.^^
@wlsmdltn
@wlsmdltn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하네요. 의식적인 연습. 1만시간의 법칙에서도, 그릿에서도, 그리고 긍정심리학 에서도 지적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매일 달리기를 1시간동안 하는 사람과, 마라토너의 가장 큰 차이는 의식적으로 한계를 넘으려는가에 달려 있음을 설명합니다.
@duxkkim724
@duxkkim724 Жыл бұрын
의식적연습+메타인지
@Eriander
@Eriander 2 ай бұрын
프로게이머와 게임중독자의 차이
@psalm2528
@psalm2528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 부분인것과 그 내용이 정확하다는 것을 어떤 근거로 판단하신거예요?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Жыл бұрын
저는 이영상을 보고 느낀건 1. 전문가는 단순히 많은 시간을 투자한 사람이 아니다. 2. 전문가는 룰렛이 아닌 체스를 둔다. 3. 체스는 최상이 아닌 최적의 의사결정이다. 4. 즉 최적화를 위한 학습으로 명확한 규칙성을 얻은자이다. 5. 지금의 환경평가가 정말로 충분하고 즉각적인 표본인가? 6. 능력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스트레스에 노출하는 연습인가? 7. 논외로 많은 시간과 많은 변화와 수단으로 소위 전문가라고하며 설치는 ㅈ문가라는 사기꾼짓을 할수 있다.
@agile154
@agile154 Жыл бұрын
근육도 뇌도 사이어인의 특성을 가졌네요. 극한까지 몰아 붙이는 한계를 극복할수록 강해지나 봅니다. 그렇게 초사이어인이 되겠죠. 드래곤볼의 설정은 니체의 말을 떠올리게 하네요.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죠. 물론 그 고통을 직시하고 극복하기 위해 지랄에 가까운 노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사람들에게만요. 사람은 에너지를 덜 사용하도록 진화해왔죠. 일들은 습관으로 바꾸어 무의식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그 중 하나고요. 그리고 지속적인 쾌락은 역치가 낮아지지만, 반복적 고통은 오히려 그 더 큰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때문에 중독자들은 더 큰 투입량을 요구하며 칼바람의 나락으로 가버리죠. 반면 아픈 무릎은 걸을 때마다 가중되는 통중을 줄이기 위해, 걷기를 줄이거나 쉬게 만들죠. 이런 인간의 특성에 비추어보면, 전문가가 되는 일이 얼마나 비인간적인 행위를 필요로 하지는지 알게 되네요. 반복적이며 가중되는 실패와 피드백의 고통을 지속적으로 느껴가며, 외면하려는 본능을 억제하고 그 고통의 시간을 한땀한땀 의식해야 하는 거네요. 왜 전문가들의 수가 적고 큰 경제적 보상을 받는지도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그 인고의 시간을 줄이거나 덜 고통스럽지만 효과적으로 견뎌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고나니 그런 강박이 들어요. 뭔가 사람이라면 모든학문의 지식정보 모든분야를 전문가 수준으로 지식을 알고 살아야 하나? 하는요 모르는채로 사는게 많다고 느껴져서여
@paulk2216
@paulk2216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된 학습은 심리적으로 불편한 환경에서 나온다는 말이... 부정하고 싶지만 너무 맞는 말이네요 그리고 어쩌면 어른과 아이의 학습속도 차이도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성장여부의 차이도 있겠지만 분업화를 적용한 사회에서 인간이 학습에 들어가게 되면 일반적인 학습한계치까지는 같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이리저리 전출다니면서 경험을 쌓은 사람이랑 같은 곳에서만 일한 사람이 다른 결과를 내듯이, 다른 환경을 통한 의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다시한번 깨달은거 같습니다
@recordlife3092
@recordlife309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명 깊게 봤습니다
@rang2833
@rang2833 Жыл бұрын
타당한 환경 많은 반복 적절한 피드백 주도적인 연습
@user-iy6sc6mt5v
@user-iy6sc6mt5v Ай бұрын
우왕...너무 잘 봤씁니다!
@tveng87
@tveng87 Жыл бұрын
와 인생을 돌아보게 되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iveronflated
@iveronflated 6 ай бұрын
타당성이 적은 분야, 즉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나타나기 어렵다. 왜 투자 전문가가 되는 것이 매우 힘든지 알게 해주네요. 사람은 어떤 분야에서 주어진 확률보다 매 선택에 의한 결과를 패턴화하려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실제 승률이 본질적인 승률의 평균값에 못 미치는 것이군요. 대학 입시과정에서의 지연된 피드백 때문에 단순한 컴퓨터 알고리즘보다도 실제 사람의 예측 성공률이 낮아진다는건 확실히 이해가 갑니다. 물론 입시과정에서는 정량적 평가 외에 정성적 평가도 포함되니 온전히 대학 성적만으로 예측이 성공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좀더 시간이 지나면 더 많은 정성이 정량에 편입될 것이고 변호사, 판사같은 직업은 더더욱 AI가 대체하기 쉽다는 말도 될거같네요.
@user-gk6kg4yw6w
@user-gk6kg4yw6w Күн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초고퀄리티 흥해라
@slient1261
@slient1261 Жыл бұрын
즉 요약하면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1. 가급적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연습하고 2. 그 연습에서 "운"이 작용할만한 부분을 최소화 하며 3. 약간은 부담감을 느낄 정도의 험난한 상황에 스스로를 던지고 4. 그것을 꾸준히 반복해라. 일까요?
@sK-yp8tm
@sK-yp8tm Жыл бұрын
연습에서 운이 작용할 만한 부분을 최소화한다기보단 연습해서 숙달하고자 하는 환경 그 자체가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즉 무작위성이 적거나 없는 환경이어야 한다는 말인 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같은 환경에선 여러 지표나 전문 트레이더의 의견 등을 통해 아무리 운이 작용할 만한 부분을 최소화하려 해도 주식이란 환경 자체가 지닌 무작위성으로 영상에서 말하는 '전문가'가 되긴 힘들겠네요.
@slient1261
@slient1261 Жыл бұрын
@@sK-yp8tm 즉 단순히 "운"이라기보단 맞닥뜨리는 상황이 얼마나 규칙적인가 이것이 관건이란 말이군요. 좀 더 이해에 다가선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Askanima
@Askanima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잘 배워갑니다!
@Ernest_Khalimov360
@Ernest_Khalimov360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림을 그리고 있고 최대한 그 분야에서 취업하려고 노력하는 아마추어지만 이 영상을 보고 깨달은것이 많네요.. 동기부여도 되고 여러가지를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qidjdn
@qidjdn Жыл бұрын
그림.. AI....
@user-sp8qg3kd1v
@user-sp8qg3kd1v Жыл бұрын
@@qidjdn 근데 Ai는 아직 불완전하고 인간미 없어서 걍 한번은 슥 보는데 오래 두고두고 보고 싶진 않더라. 저작권 등 문제도 많고 아직 사회에서 인식 별로라서(호불호?) 아마 당장은 기업에서 쓰지 않을듯,,, 글고 한계가 여전히 존재하니까 딱 원하는 느낌을 살리기 힘듦.
@deluxeburger651
@deluxeburger651 Жыл бұрын
패턴읽기 : ai가 더잘함 반복 : ai가 더잘함 피드백 : ai가 더잘함 주도적연습 : ai가 더잘함
@user-eo9lg2wh1b
@user-eo9lg2wh1b Жыл бұрын
@@user-sp8qg3kd1v 당장의 기준이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생각에 3개월 이내로 사용할 것 같아요. 기업가들은 사람보다 침팬치가 일을 더 잘 한다면 침팬 를 채용한다? 뭐 이런 말도 있잖아요 ㅋㅋㅋ
@mandii_produce
@mandii_produce Жыл бұрын
@@user-sp8qg3kd1v AI의 발전속도는 어마무시합니다. 불과 몇개월만에 이리 매스컴에 오를만큼 성장했어요. 그렇다고 한계가 보이느냐 하면 그건 또 아닙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니까요.
@skysacredlight
@skysacredlight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Marco_Ai
@Marco_Ai Ай бұрын
한번 더 봐야겠네요 ㅎㅎ 😅
@user-hw5vt7hc6q
@user-hw5vt7hc6q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애들 수학공부할 때 모르는 문제는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고, 선생님은 해설을 해주는 장면을 많이 봤습니다. 사실 이건 공부에 거의 도움이 안됩니다. 그 문제에 대한 답은 얻었을지 몰라도, 새로운 문제는 전혀 다른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죠.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아.. 한사람이 모든분야 모든 학문의 지식을 배워 전문가 가능할까요?
@user-ug5hf9nl6k
@user-ug5hf9nl6k Ай бұрын
수학은 타당성이 있는 과목이기 때문에 문제가 랜덤하지 않고 어떤 규칙성이 있습니다. 그 규칙성을 모르는 문제를 통해 익힐 수 있다면 반드시 도움이 됩니다.
@djjskkawi
@djjskkawi Жыл бұрын
더빙할때 의도적으로 엑센트를 넣어서 강조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평소 말하는것처럼 쟈연스럽게 하면 듣기에 좋을거 같아요
@user-qx3jh4vk1n
@user-qx3jh4vk1n Жыл бұрын
이거 고1 3모 영어지문에 나왔어요 ㅋㅋㅋ 덕분에 100점맞앗슴다 ㅋㅋ
@jadenlee3379
@jadenlee3379 Жыл бұрын
오래전거라 답이 없을수는 있는데 일단 이 프로그램을 보기 전에는 영상의학과를 AI로 대체 할수 있다고 생각 했읍니다만 결국은 50년뒤에 일인가요? 기술이 어떻게 될지 제도가 어떻게 될지 ( 예를 들어 유방에 나오는거는 무조건 조직검사하라는 법률이 나온다던지 등,,) 는 알수가 없겠지만요,
@user-vb5lu8jv1i
@user-vb5lu8jv1i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 합니다
@gyu20001011
@gyu20001011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영상 너무좋앙
@kingdomelephant5037
@kingdomelephant5037 9 ай бұрын
5:42 문과에서 대학원을 나와도 먹기 살기 힘든이유. 경제, 정치, 사회, 문화는 변수가 너무 많아 예측을 힘들고 결과에 대한 분석이 주류다.
@LetMeBliJu
@LetMeBliJu Жыл бұрын
13:53 자막누락 :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왜냐면 보통 계속 같은 곡을 연주하니까요.
@user-cx5jj3br2c
@user-cx5jj3br2c Жыл бұрын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타당한 환경, 많은 반복, 적절한 피드백 AI 학습에게 100% 적용되는 말인 것 같네요. 놀라운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qz2eh8ts5r
@user-qz2eh8ts5r Жыл бұрын
안녕
@user-cx5jj3br2c
@user-cx5jj3br2c Жыл бұрын
@@user-qz2eh8ts5r ㅎㅇ ㅋㅋ
@micemouse1114
@micemouse1114 Жыл бұрын
제목 미쳤냐고ㅋㅋㅋㅋㅋ
@wooriyun
@wooriyun Ай бұрын
우왕….. 이번 시험 모고 지문으로 봤던게 알고리즘에 뜨다닝
@yonmin_
@yonmin_ Жыл бұрын
칼센을 여기서 볼 줄은 몰랐네요 ㅎㅎㅎ 잘보고 갑니다
@user-zc4gl2ml4d
@user-zc4gl2ml4d 11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했어요!
@asjdh
@asjdh Жыл бұрын
영상좀 자주 올려줘요 제발.. 영어 잘 못한단 말입니다!!!!!!
@seungalpha
@seungalpha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uh3tk6lk8p
@user-uh3tk6lk8p Жыл бұрын
딱히 전문분야에 노력하지 않아도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걸 이번 국감을 보고 알아버렸읍니다
@user-rz9yx5ee7e
@user-rz9yx5ee7e Жыл бұрын
이런 채널 좀 더 많아졌으면
@cmj7260
@cmj7260 Жыл бұрын
역대급으로 유익한 영상 중 하나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하아..... ㅆㅂ... 다시 공부하고 오겠습니다.
@eyes39
@eyes39 8 ай бұрын
이렇게 강한 인사이트를 주는 영상이 13만 조회수밖에 안된다는 게 신기하네요. 좋은 영감을 얻고 갑니다.
@user-zt7oz4ur3l
@user-zt7oz4ur3l Жыл бұрын
11:18 깨알 (저도...ㅎ) 넘 귀엽네요ㅋㅋㅋㅋㅋㅋ
@user-ug5hf9nl6k
@user-ug5hf9nl6k Ай бұрын
패턴이 없고 기존 사례가 적은 분야는 전문가가 되는 게 애시당초 불가능하다니 놀랍습니다.
@IIXAXII
@IIXAXII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유튜버가 되셨군요!
@zohnnasse480
@zohnnasse480 Жыл бұрын
요즘 읽고 있는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이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네요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한 사람이 모든분야의 학문의 전문가 가능 할까요?
@illiee
@illie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한국어 채널 담당자분 너무 귀여우심.. 이 특유의 유머와 갬성과 어버버 더빙ㅠㅠㅠㅠㅠㅠㅠㅠ 앞으로도 찰진 번역 많이많이 부탁드랴요!!!
@user-sp2ml3jp2p
@user-sp2ml3jp2p Жыл бұрын
11:17 이 부분 너무 귀여우셔요ㅋㅋㅋ
@oudeanis9930
@oudeanis9930 Жыл бұрын
번역은 괜찮은데 어버버 더빙 때문에 차라리 원본 찾아봅니다 ㅠ Muller는 전문적이기도 하고 안정감을 주는 말투인데 더빙 말투는 끝을 올리는(?) 어린 말투여서 몰입이 잘 안되네요. 귀엽다고 하시니... 한국사람들이 귀여움에 집착하니까 괜찮은건가 싶기도 하네요
@Pqowieuruty
@Pqowieuruty Жыл бұрын
@@oudeanis9930 전 님 생각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친근함을 주는데에 더 적합하다고 봅니다. 기본적으로 외국어에서 오는 거리감이 있는데 이것을 줄여주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귀여움에 집착도 전혀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이므로 증거가 충분하지않아 님말의 신빙성이 낮습니다.
@illiee
@illiee Жыл бұрын
@@oudeanis9930 맞아요 사실 주제 특성상 차분한 톤의 목소리가 맞죠 저도 처음엔 더빙 특유의 의문형(?) 말투가 거슬렸는데, 계속 듣다 보니까 익숙해지기도 하고ㅋㅋ 그냥 매력이다 생각하고 있어요 다만 지적하는 분들이 꽤 있는 듯 보여서, 한 번 커뮤니티 투표 등으로 피드백을 받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_.9550
@_.9550 Жыл бұрын
@@Pqowieuruty 정작 자신은 객관적이지 않은 주장을 펼친 뒤, 상대방의 의견은 객관적이지 않아 신빙성이 낮다고 반박하는, 모순이 보입니다
@BTS-tv3on
@BTS-tv3on Жыл бұрын
지식계도 물질계에 기반 메카니즘을 둬서 엔트로피와 양자물리학, 카오스에 영향을 받은것 같아요.
@user-uh7ro4lp9q
@user-uh7ro4lp9q Жыл бұрын
원본보다 더 재밌게 만드는 능력자 ㅋㅋ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Жыл бұрын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으로 얻을수없는 전문정보?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으로 얻지안은 정보로 어떻게 전문가가 되나요? 문제집,교과서를 제외한 책,전문서적에서 얻을수있는 모든정보?
@42_cloud
@42_cloud Жыл бұрын
주도적인 연습이 제일 와닿네요
@yoonpark8311
@yoonpark8311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듣던 노래중 이 노래가 가장 기억이 나네요. Scarface - Push it to the limit. 계속 반복된 일을 조금더 올려서 하면 결국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 전문가가 되는군요.
@blockcommend
@blockcommend Жыл бұрын
제목 진짜 잘 지으시네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Жыл бұрын
크 지린다
@user-qq9og3kg5p
@user-qq9og3kg5p 2 ай бұрын
1. 피드백이 있는 반복적인 경험 2. 규칙성이 있는 환경에서의 학습 3.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 연습 이 세 가지가 갖추어져야 진정한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군요.
@gasgg
@gasgg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두뇌란 참으로 놀랍다... 마치 줄기세포처럼 체스 그랜드마스터부터 외과 전문의까지 한 분야에서만큼은 놀라운 성적을 낼 수 있으니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문득 궁금한게 한 사람이 모든 학문과 모든분야에 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쌓아서 전문가가 될수 있을까요? 뭔가 사람이라면 머릿속에 알고 살아야 할거 같아여 느낌이
@user-kx5bk1ck9d
@user-kx5bk1ck9d Жыл бұрын
나래이션님이 말 사이 간격을 잘 조절해주면서 설명해주면 더 좋은 영상이 될듯
@yunki4u
@yunki4u Жыл бұрын
아 이렇게 공부만한다면 저도 서울대에갈수있군요!!
@yusijak8392
@yusijak8392 Ай бұрын
@sngiu1874
@sngiu1874 Жыл бұрын
간단하네요. 광기에 젖은 채로 고여가면 된다 ^,.^
@ideallemon3328
@ideallemon3328 Жыл бұрын
내가 무언가에 전문가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1. 타당한 환경 2. 많은 반복 3. 시의적절한 피드백 4. 주(의)도적 연습
@user-dg5mo1jg1e
@user-dg5mo1jg1e Ай бұрын
1만시간의 재발견 이라는 책 내용 요약해 놓은것 같네용
@muyodosel1658
@muyodosel1658 Жыл бұрын
단순한 일을 하더라도, 계속해서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 하고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람이 있음. 그런 사람들이 결국 전문가가 되는게 아닌가 싶음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한 사람이 모든학문 분야의 지식을 머리에 담고 전문가 수준의 지식으로 섭렵 가능 할까요?
@yigzo
@yigzo Жыл бұрын
11:12 보아겠지만 -> 보이겠지만 13:52 자막x
@daaelee2511
@daaelee2511 Ай бұрын
마스터는 많은 정보와 다른 사람보다 뛰어난 판단력, 실력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결코 하루아침에 생긴 것이 아니죠. 수만번의 연습, 노력을 통한 전유물인 것 같아요. 결국 성장하는 마스터가 되려면 성실함과 열정을 오래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자기성찰, 피드백을 받아들이며 탐구하려는 자세도 있어야 할 것 같아요.
@BestKorean144
@BestKorean144 2 ай бұрын
성적이 지지부진해서 고민이었는데 어느정도 답을 얻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niPhil
@UniPhil Жыл бұрын
반복을 적게하고도 더 숙련시킬 수 있도록 반복하면 가성비 지림
@whddnrrn1949
@whddnrrn1949 Жыл бұрын
이것을 책으로 읽고 싶다면 '1만시간의 재발견' 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정확히 영상의 내용과 비슷하고 더 보완해주는 내용도 있기 때문이죠
@abc-df4xb
@abc-df4xb Ай бұрын
피드백이 있는 반복, 한계까지 밀어붙이면서 성장, 타당한 환경 속에서
@user-bg2yg8vb3i
@user-bg2yg8vb3i Ай бұрын
That's what i really need lecture.
@DDako
@DDako Жыл бұрын
저런 직업을 찾는 것도 좋은 일 이겠군요
@parkin-soo3324
@parkin-soo3324 Жыл бұрын
제가 공부하면서 느꼈던 부분을 잘 정리한 듯하여 좋습니다.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한 사람이 열심히 공부만 하면 모든분야 모든학문 전문가 지식수준이 가능할까요?
@parkin-soo3324
@parkin-soo3324 10 ай бұрын
제 경험상 공부만해서는 그 수준이 되기는 모자라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다방면에서 준 전문가까지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user-kk6yw8xc6x
@user-mc9kh8qp2u
@user-mc9kh8qp2u 2 ай бұрын
@@user-kk6yw8xc6x 파인만 생각해보쇼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2 ай бұрын
@@user-mc9kh8qp2u ?
@MVMborzoi
@MVMborzoi Жыл бұрын
타당한 환경 많은 반복 적절한 피드백 주도적 연습 피드백이 있는 반복시험. 어느정도 예측 가능한 타당한 환경. 그러니 도박은 예외. 많은 반복 계속 발전하고 싶으면 어려운 상황에 놓여, 그전에 익힌걸 자연스럽게 구사하도록 해야한다. 심리적으로 불안한 장소에 노출되어야한다.
@coin_wallet
@coin_wallet Жыл бұрын
제목 진짜 잘 지었네요!!!
@bhk9633
@bhk9633 Жыл бұрын
기억력에 한해서 전문가, 준전문가, 비전문가의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두지 않는다? 패턴학습이 기억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경력이 많이 쌓인 사람이 볼 수 없는 것을 신입사원이 발견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잘 없는 일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미래세대, 신입사원에게 기대하는 것은 이런 새로운 시도.. 1)타당한 환경 2)많은 반복' 3)적절한 피드백 4)주도적인 연습
@xoso_
@xoso_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ㅋㅋ 제목 머에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
@Garock_Kim
@Garock_Kim Жыл бұрын
제목 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v-3329
@tv-3329 Ай бұрын
결과의 피드백이 있는, 능력의 한계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 반복 경험 결과를 어느정도 예측 가능한 규칙성을 가진 횐경
@user-hr5gu1qb7p
@user-hr5gu1qb7p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전문가가 되려면 어떤 타당한 확률을 가진 상황을 찾아서, 그곳의 패턴을 분석하여 판단을 내리고 최대한 빠른 피드백을 받기위해 노력해야하는거구나. 그걸을 위해 연습도 엄청하고.. 이거 암기 잘하는 법이랑 비슷한듯??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한 사람이 모든학문의 지식을 전부 학습해서 전문가 되기 충분히 가능 할까료?
IQ 점수의 '진짜' 의미
32:3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61 М.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ФИНАЛЬНАЯ ГОНКА! BMW M5 против CLS
47:36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84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30년이 넘는 실험 끝에 실제로 관측된 생물학적 진화현상
16:00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23 М.
분명 아는데 설명 못하는 문제들
12:23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98 М.
물리학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25:5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402 М.
iPhone 12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Main filter..
0:15
CikoYt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сюрприз
1:00
Capex0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Как работает автопилот на Lixiang L9 Max
0:34
Семен Ефимов
Рет қаралды 1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