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고민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조언! 내 적성에 꼭 맞는 전공/직업 찾는 방법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 김경일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1,687,695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출연 :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
공부해서 대학 가고, 힘들게 취업까지 했지만..
지금 하고 있는 전공과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요?
확신이 없는 당신을 위해, 실질적이고도 따뜻한 조언을 드립니다!
현대인의 스트레스 원인 1위, 인간관계!
타인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친절한 심리 대백과 📖
사피엔스 오리지널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0:00 오프닝
1:00 열다섯 번째 타인, 일이 맞지 않아 고민인 당신을 위해!
2:45 적합 이론가 vs 개발 이론가, 당신의 열정 유형은?
6:43 김경일 교수님의 경험으로 보는 '적성' 찾기!
8:36 나에게 딱 맞는 일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방법🔍
12:26 오늘도 적성을 찾고 있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사피엔스 #타인의심리읽어드립니다 #김경일교수

Пікірлер: 1 300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Жыл бұрын
365일 무기력하고 피곤해보이는 직장 동료, 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kzbin.info/www/bejne/Y3mWfmZ-pJuFb7c
@user-mo7vj5ny4e
@user-mo7vj5ny4e 2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 공부 1도 안하고 적성만 제대로 찾아도 인생의 반은 성공한거임
@makiatv5373
@makiatv5373 2 жыл бұрын
돈은.?
@user-mo7vj5ny4e
@user-mo7vj5ny4e 2 жыл бұрын
@@makiatv5373 무슨돈?
@user-mo7vj5ny4e
@user-mo7vj5ny4e 2 жыл бұрын
@@nicmecha8793 그래 어릴때 경험하고 익히는거 그거 ... 그뿐인데..
@kyuhyokwon2883
@kyuhyokwon2883 2 жыл бұрын
다만 이제, 반만 성공했다는건 성공이 아니라는 걸 마음에 새겨둬야 하기는 하죠
@user-mo7vj5ny4e
@user-mo7vj5ny4e 2 жыл бұрын
@@kyuhyokwon2883 옳습니다..
@user-oc7eq2kn9d
@user-oc7eq2kn9d 2 жыл бұрын
누가 어떻게 하라고 갈피라도 잡아줬으면....
@user-vc6co5lv5t
@user-vc6co5lv5t 2 жыл бұрын
공감..ㅜㅜ
@user-lg2to4wo4l
@user-lg2to4wo4l Жыл бұрын
저도 간절하게 고민했던문제인데.. 결국 하루하루 시도하고, 지친 하루를 자기가 좋아하는 일 (취미, 운동, 맛집 등등) 으로 즐겁게 살아가면서 찾아보는수밖에.. 진짜 남들이 보기에 별거아닌것같다는것도 자기가 해보고싶다하면 해보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저는 일반인인데 잠깐 축구선수 키우는곳에 들어가 훈련도 받아보고,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공장에 자취해서 출근하기도하고 별짓 다해본것 같아요. 지금은 제가 원하는게 뭔지 발견해서 수능 공부하고있습니다.
@user-nx2xw4rh5q
@user-nx2xw4rh5q Жыл бұрын
군인해라
@yhk8093
@yhk809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본인인생의 주도권은 남한테 있는거죠 그냥 책임전가입니다.
@user-tm5bh3qp1huy
@user-tm5bh3qp1huy Жыл бұрын
자기갈피도 못잡으니까 누가권유해도 미심쩍어서 안듣게되지않나요..제가 그럽니다
@Lemonadelife812
@Lemonadelife812 2 жыл бұрын
까탈스럽게 좋아한다 = 예리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물 = 만족하는 기준이 높아 대중적으로 충족시킬수 있음 = 남의 지갑을 열 능력이 됨 = 돈벌이
@matheternal2768
@matheternal2768 2 жыл бұрын
이게 순수수학에선 적용이 안되는것 같다
@anjrd99
@anjrd99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생각하시면 뭐든 돈벌이가 되겠죠 ㅋㅋㅋ
@Lemonadelife812
@Lemonadelife812 2 жыл бұрын
@@anjrd99 비아냥대시는거??
@kyuhyokwon2883
@kyuhyokwon2883 2 жыл бұрын
@@matheternal2768 남의 지갑을 열 능력이 되면 무엇이라도 돈벌이가 되기는 하겠죠. 얼마나 그 능력이 남들에게 필요하냐에 따라, 수준은 같아도 벌리는 돈이 다를 뿐이고
@jjm103111
@jjm103111 2 жыл бұрын
야동 선택에 매우 까탈스러운데 야동 감별사 같은 직업을 구해야하나요
@pacifist1894
@pacifist1894 2 жыл бұрын
40대 초반입니다. 학교다닐때 장기두는걸 좋아하고 게임을 하면 밤세 하면서 앤딩을 보는 류였고 공부와는 매우 거리가 멀었습니다. 요즘은 인터넷 휴대폰 장기에서 9단 6단 정도의 중상위귄 정도의 수준입니다. 주변분들이 답답할 정도로 좋게 말하면 신중한 집중력이 좀 있는거 같다는 말을 종종 하셨는데 30대 후반쯤 어느날 초등학교 아들이 수학문제를 물어보더군요. 학창시절의 트라우마가 때문인지 원뿔 겉넓이 부피 구하는 문제를 풀면서 한시간동안 그걸 잡고 놓지 않았던적이 있습니다. 물론 쉬운 문제지만, 그땐 쩔쩔매면서 한시간을 책상에서 잡고 있었죠(결국 풀었습니다) 저도 제가 놀랐습니다. 40년간 내가 모르는 내 이런 내 모습이 있었구나 그때부터 수학을 초등 중등 고등을 익히는 중이고 수상수하 끝낸뒤현재 수학1삼각함수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끝내고 수열단원 진입중입니다. 수학을 공부하면서 풀리지 않는 한문제를 몇시간 동안 앉아서 고민한뒤 풀고난 다음 나오는 그 쾌감!! 그걸 제가 저도 모르는 사이 갈망하는거 같았습니다. 지금도 주말 쉬는날 수학을 익히고(공부라는 단어를 쓰기 싫습니다. 멀어질꺼 같아서) 출근해서도 수학문제를 고민할때도 있습니다. 전 교수님이 말씀하신 개발이론가에 가까운거 같습니다. 40대 늦은 나이지만 지금부터라도 수학을 전공으로 공부해 보고 싶습니다.
@HYUCHOIWONJAE
@HYUCHOIWONJAE 2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멋있네요
@user-tv1ef5br2v
@user-tv1ef5br2v 2 жыл бұрын
멋지세요!!
@matheternal2768
@matheternal2768 2 жыл бұрын
지금 전공하려면 나이가..
@mansapark3799
@mansapark3799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멋있어요! 분명 멋진 수학자가 되실 것같아요!
@RT-xv3js
@RT-xv3js 2 жыл бұрын
@@matheternal2768 나이가 왜요? 아직 젊으셔서 40이라는게 감이 안잡히시나본데.. 마음은 똑같이 젊답니다. ㅋㅋㅋ 님도 나중에 나이 들면 알아요
@ch-ed7217
@ch-ed7217 2 жыл бұрын
Fit... 맞는 일 찾기도 어려운데 인내심이 없거나 방황하는 사람처럼 보여서 더 힘든듯 ㅜㅜ그렇다고 스스로 확신이 있는것도 아니고..사회가 기다려주는 편도 아니고..
@FAC20UT
@FAC20UT 2 жыл бұрын
살다보면 알수있을겁니다 맞지 않아도 돈을 따라갈지 맞는 일인데 돈을 포기할지 돈은 맞는데 복지를 포기할지 복지,맞는일 포기해도 돈을 따라갈지 기타 등등... 저는 미래를 보고 돈 포기하고 좋아하는거 포기하고 대신의 미래를 보고 살고 있습니다 자신감이 있다면 도전하세요!!
@user-it8mp8mk6n
@user-it8mp8mk6n 11 ай бұрын
맞지않는데 돈도 포기한 상황..
@user-xu6ci7dp8x
@user-xu6ci7dp8x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당당히 포기하려구요
@sheep7187
@sheep7187 2 жыл бұрын
입사하고 우울증이왔는데 먹고는 살아야하니 버티고 버티는 중입니다.. 그래서 제가 세상에서가장 부러운 사람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이에요. 저도 언젠간 그런사람이 되고싶네요:)
@wonnon1y
@wonnon1y Жыл бұрын
같은 상황입니다.. 퇴사 하겠다고 말 하려구요ㅠ 스트레스 받으니 몸이 엉망진창이 되어가네요
@sheep7187
@sheep7187 Жыл бұрын
@@wonnon1y 이 댓글을 쓴지 벌써 1년이나 지났네요.. 정말 하루하루 버티기 힘들었는데, 퇴사하고 여행도 떠나고 현재는 이직한 회사에서 적응하며 잘지내고 있네요! 깊은 고민 끝에 퇴사했는데 아주 잘한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마음이 많이 치유됐거든요^^ 임슘니님도 힘내세요!! 어떤 선택이든 다 옳은 결정이실거예요:)
@yeoulkim6437
@yeoulkim6437 Жыл бұрын
@@sheep7187 와.. 너무 축하드려요! 같은 고민을하는 1인으로써, 저도 1년후에는 웃으면서 잘지낼수 있겠죠? 항상 행복하고 건강하세요 :)
@wonnon1y
@wonnon1y Жыл бұрын
@@sheep7187 자주 퇴사하는 것도 오점이 되니 고민이 너무 많았는데 이렇게 정신이 피폐해 진적은 처음이라…ㅠ 고생 많으셨습니다 댓글도 감사해요;)
@user-hv5go2dt7k
@user-hv5go2dt7k Ай бұрын
@@sheep7187 잘됐네요. 축하합니다^^ 늘 행복하시길...
@Hotttt22
@Hotttt22 2 жыл бұрын
행복은 정착지가 아니라 도구라는 말이 크게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user-rm7em8bp2q
@user-rm7em8bp2q 2 жыл бұрын
요즘 진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데 이 영상을 접하게 되어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혼자 고민하던게 갈피가 잡혀가는 느낌이에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user-vc4gc7he3e
@user-vc4gc7he3e 2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이 되네요. 10년 음악하고 결국 놓았는데 딱 들어맞습니다. 저는 모든장르 구별 없이 다 좋아하고 다 듣는데 열심히 해도 실력이 들인 시간만큼은 안늘더군요. 반면에 실력이 쭉쭉 늘어나서 돈도 잘 버는 친구들 보면 분명 한 두가지 장르에 미쳐있고 다른건 그냥 듣는다 정도구.. 그러다보니 기본적인 실력이 올라 다른것도 할 수 있다 정도더군요. 음악학교에서 교수님이 정말 좋아하는것이 음악이면 지금이라도 자퇴하고 취미로 즐기라고 하셨는데 그 말을 들을 걸 그랬습니다 ㅋㅋ 이미 대학도 안나온 27살이라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학창시절 나름 잘 했던 공부를 다시 해보렵니다!
@citizen_lsy
@citizen_lsy 2 жыл бұрын
저 역시 음악전공하다 별볼일없이 지내다 결국 공무원됐어요ㅎㅎ 제 얘기같아 글 남겨봅니다.
@forgive6592
@forgive6592 2 жыл бұрын
일단 한우물만 파는것이 먹고는 사는거같아요
@forgive6592
@forgive6592 2 жыл бұрын
약간 그런느낌인가요 운동도 다 좋아하는대 결국엔 한 종목으로만 선수가 되듯
@user-vc4gc7he3e
@user-vc4gc7he3e 2 жыл бұрын
@@forgive6592 재능도 중요하지만 말씀대로 진짜 한 우물이 중요하더라고요. 그냥 다 좋아하면 그 한 우물이 잘 안되고 ㅋㅋ..
@user-xw8dy7ss9w
@user-xw8dy7ss9w 2 жыл бұрын
@@user-ls1ih7qz8s ..?27살이왜요? 시작하기 좋은 나이인데요?
@lemontea221
@lemontea221 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김경일 교수님을 뵐 수 있는게 유튜브의 순기능이라고 크게 느끼네요
@user-vk5ek5zm2t
@user-vk5ek5zm2t 2 жыл бұрын
행복이 종착점이 아니라 도구라는 말씀이 크게 와닿네요 좋아하던걸 일로 했다가 싫어하게 된 1인으로서 많이 느끼고 배우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iliuui
@Liliuui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교수님 말씀을 들으니 오랜 선택이었지만 좋은 결정이었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아요.
@torido758
@torido758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네요. 이런 강의를 중고등학생들에게 보여줘야 합니다.
@user-ed8ne8kn1y
@user-ed8ne8kn1y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어려운 문제를 이렇게 통찰력있게 명쾌하게 풀어주시다니.. 속이 시원해지는 영상입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ThankYouLord1990
@ThankYouLord1990 2 жыл бұрын
쉽고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 감사드려요! 잘 배우고 갑니다~
@user-ni5jn5cy5h
@user-ni5jn5cy5h 2 жыл бұрын
진짜 삶의 큰 깨달음과 울림을 생각을 준다.모든영상 고맙습니다.
@user-ju3mt4et6s
@user-ju3mt4et6s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 직업은 destination이 아니라 journey!
@Da_journey
@Da_journey 2 жыл бұрын
지금시기에 꼭 필요한 영상이네요!! 유익한 조언 감사합니다. 용기를 가지고 도전해나갈께요~다른영상들도 봐야겠네요!!
@sungsukim690
@sungsukim690 2 жыл бұрын
필요한 시기에 이 분 영상보고 엄청 도움이 되었습니다 갱장히 실용적인 심리학인 거 같아요 까탈스럽게 좋아하는 게 적성이라고 하시는데 아주 쉬우면서도 납득되는 판단 기준인 거 같아요 그런거에는 열정이 자연히 가거든요
@huansama99
@huansama99 2 жыл бұрын
13분짜리 영상 하나에 중요한 포인트가 정말 많네요. 감사합니다.
@user-jy2ko2jo4i
@user-jy2ko2jo4i 2 жыл бұрын
고민과 걱정만 많은 제가 한심하게느껴질 때도 있었는데 복잡한 사고 과정 자체가 성장과 성숙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니 이 고민도 그렇게 까지 고통스럽지 않아지네요 기꺼이 고민 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해요!!!
@user-xn1od9hd9l
@user-xn1od9hd9l Жыл бұрын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 크기보다는 빈도!! 명언 천지네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user-mk6ge6wc8k
@user-mk6ge6wc8k 2 жыл бұрын
진로고민하는 와중에 이 영상을 보았는데 교수님이 해주신 말씀 하나하나가 주옥 같습니다. 앞으로 남은 인생에서는 꼭 제 스스로 고민해보고 성찰해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살아보겠습니다. 다들 하루하루 열심히 살면 좋겠습니다.
@user-qc4gu8ov9m
@user-qc4gu8ov9m 2 жыл бұрын
와~~ 적성에 관해서 이렇게나 명쾌하게 본질을 관통하는 이야기를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역시 갓경일 교수님 ♡ 과정도 힘들고 결과도 제게 무의미한.. 직업을 가진지 20년이 머지 않았네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때는 열정이 뜨겁게 차오르고 5시간씩도 몰입하곤 하는데요~ 이 부분에 관해서 고민해보고자 잠시 쉼을 선택한 시기에 명강의를 듣게 되어 영광이고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
@user-kb9sj8uz7l
@user-kb9sj8uz7l 2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시는게 정말 깔끔하고 알차요 사람유형을 두가지로 나눠서 분류하고 이에 맞게 적성을 찾아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설명해주셔서 더욱 도움이 많이 된 것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okorosim22
@kokorosim22 2 жыл бұрын
여기 댓글 보니 뭔가 같은 고민으로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거에 묘한 전우애 같은 게 느껴져서 위로가 되네요~ㅠㅠ
@user-uu1uv4mg4x
@user-uu1uv4mg4x 2 жыл бұрын
요즘 대학교를 어디를 가고 학과는 어디를 갈지 좀 고민이였는데 그 고민이 조금 해결된 것 같네요ㅜㅜ! 수능은 망했지만 아직 방법이 있으니 남은 시간 더 목표를 향해 달리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hl6731
@mhl6731 2 жыл бұрын
혼자고민하던중 교수님강의 듣고 감동받았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user-bk4bn5fz3u
@user-bk4bn5fz3u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늘 위로가 되는데, 오늘은 진짜 위로 많이 받고 갑니다. 지금 하는 일이 맞나 늘 고민인데, 나만 그런 게 아니라고 교수님이 토닥토닥해주는 느낌 ㅠ
@user-rj6qe1cu9m
@user-rj6qe1cu9m 2 жыл бұрын
혼란스러운 날들이 길었는데 정말 오랜만에 힘이되는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user-dj8ih6rn9n
@user-dj8ih6rn9n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직장을 다니면서도 몇년간 되풀이하던 고민이었는데, 진로의 방향을 정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해요!
@maahnii6555
@maahnii6555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대로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이 중요한것 같아요. 개발형과 적성형 둘다에 적용되긴 하겠지만 적성형은 과정에서 성장하고 발전한다면 결과물이 예상만큼 안나와도 크게 실망 안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낙천적으로 보일수도 있지만 적성에 맞는 일을 못찾으면 오히려 게으르고 나태해 진다능. 그래서 모 아니면 도인거구요.
@yjb6849
@yjb6849 Жыл бұрын
이직 후 업무 적성이 안맞아 혼자 괴로워 하던 중 보게된 강의인데 많은 도움 그리고 위로 받습니다. 행복해지는 과정, 적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기꺼히 고민하고 발전해 나가겠습니다!
@sup1877
@sup1877 2 жыл бұрын
산책하기 전마다 봐야겠어요!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toheaven00
@toheaven00 2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은 어느 하나 놓칠 부분이 없네요ㅠㅠ 오늘도 감사합니다
@kang_passionate
@kang_passionate 2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부터 9년 동안 경찰이라는 꿈을 꿔왔고 초시생의 입장에서 항상 평일에는 공부해서 생각을 안하다가 주말 노량진 등교길에 많은 생각을 해왔는데 제 꿈이 맞고, 제가 가야할 방향이 맞는 것 같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않고 꿈을 이루겠습니다.
@gardentree9762
@gardentree9762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는 정말 머리에 쏙쏙박혀요~ 메모하면서 들었어요^^ 제가 일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는 강의라 너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zzanguya
@zzanguya 2 жыл бұрын
그냥 좋아하는것과 직업으로서 좋아하는 것의 정의를 제대로 알려주시네요
@MakeMeReal
@MakeMeReal 2 жыл бұрын
김경일 선생님 팬입니다. 거의 모든 강의 다 듣고 있는데도, 이번 강의는 정말 마음에 와닿습니다. 저도 어린나이도 아닌데 한번씩 심란하게 생각에 빠지곤 했었는데,, 이렇게 그런 복잡한 마음에 대한 관련 이야기를 해주시니,,, 그리 허탈하지 않고, 힘이 됩니다. 감사해요~ 끝까지 찾아나가고 발전하고 성장하겠습니다.
@yurianna8
@yurianna8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user-nd3jp5ko4r
@user-nd3jp5ko4r 8 ай бұрын
행복은 빈도라는 말이 크게 와 닿는 것 같습니다. 완전히 좋아하는 일이 아니더라도 작은 보람이 지속적으로 있다면 직업으로 삼는 것도 좋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적성과 좋아하는 일 사이의 진로에 대한 고민에 도움 되는 유익한 강연 감사합니다!
@_muhwa
@_muhwa 2 жыл бұрын
정말 간만에 담담한 위로 받았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ew1vk8xm2s
@user-ew1vk8xm2s 2 жыл бұрын
저도 직업을 바꾸기 위해 퇴사했는데요. 영상을 보니 응원받은 기분이에요. 직종을 바꾸는 고통의 과정을 즐기며 열심히 해보려구요!😀
@user-wj7qn7wd6d
@user-wj7qn7wd6d 2 жыл бұрын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다. 깊이 고민했던 거였는데 조금 갈피를 잡아가는 영상이였어요 감사합니다💗
@Chibiunni
@Chibiunni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fit은 너무 힘들어요.. 나이제한이 너무 심해요
@bonapark2910
@bonapark2910 2 жыл бұрын
서양은 안 그런데 우리는 심하죠? 앞으로는 나이에 대한 편견이 없어지고 나이와 상관없이 이직할 수 있는 한국이 되길 바래봅니다. 요즘 젊은 세대가 관리자급이 되는 때가 되면 그렇게 되지 않을까요? 그때까지 힘들어도 조금만 더 파이팅!
@storage4242
@storage4242 2 жыл бұрын
이런 분야 영상 본 것 중 최고입니다. Fit theorist로서 계속 용기내서 찾으라는 말씀이 참 위로가 되네요. 처음 선택한 학과에서 직업까지 우직하게 걸어와 전문가의 길을 걷는 친구들이 부러웠어요. 저는 아직까지도 분야를 종횡무진 돌아다니면서도 확신이 없네요. 그치만 자기만의 길이 있는 거겠죠. 과정을 향유하고 찾아나가는 것 자체에 성장과 의미가 담겨있다는 말씀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_nuguya
@_nuguya Жыл бұрын
오랜 시간 진로고민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한줄기 빛같은 영상입니다! 유익한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됐어요!
@ecec7329
@ecec7329 2 жыл бұрын
맘이 좀 편해지면서 내 유형을 알아가게 되서 좋네요 ㅎㅎ!
@kwangk_y
@kwangk_y 2 жыл бұрын
참고견뎌서 얻는 결과가 달콤하지 않으면 그만두라는 말씀.. 퇴직을 앞둔 지금 좀더 마음의 확신을 갖게만드네요 ㅎㅎ
@dalokban1367
@dalokban1367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덕분에 직장에 대한 성숙한 인식을 가질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적성을 파악하는거 자체가 쉽지 않을뿐더러 본인이 어떠한 타입의 사람인지도 알면 좋다는게 핵심인 것 같네요 그리고 일을 하면서 늘 즐거울수 없다는 것 공감이요... 저 또한 그 결과물이 중요하고 그게 충분히 크다고 인식한다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사람인거 같네요 다만 지금 직장은 열심히 일해도 결과물(받는 돈)이 별로 좋지 않아서 다른 일 찾아보려구요... 감사합니다
@user-eu2pe2gq8c
@user-eu2pe2gq8c 2 жыл бұрын
와..29살 요즘 적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데.. 정말 도움이 되네여 이런 좋은 강의를.. 성인 adhd로서 많이 위로가 되여 감사합니다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 크기가 아니라 빈도..
@user-oe1nr2xg1v
@user-oe1nr2xg1v 2 жыл бұрын
정말 본인 가치관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본인이 잘하는 일도 물론 중요하지만 일하면서 내가 대체 뭘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든다면 그 일은 자신과 안 맞는다는 거겠죠
@2mpsy
@2mpsy Жыл бұрын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들이 맞는건지 불안할 때 누가 정답을 알려준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교수님 목소리도 편안하시고 너무 듣기 좋습니다. 평생의 숙제라는 말이 공감이 가네요. 위로가 되면서 명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Byul_ah_Lee
@Byul_ah_Lee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얘기.. 고맙슴다.. 정말로 지금도.. 불안한데.. 다독여 준다는 영상만 봐도 감사합니다.. 저두.. 19살때부터.. 이런 저런 알바하면서.. 이후 제가 몇년 쉬는데.. 일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어요.. 그러다가 정말 하고싶은 학원에서 공부와 자격증준비하려고 준비중입니다.. 이것도 무섭고 불안하고.. 맞는 일인지 잘 몰랐어요..
@user-jp9gn5wy8f
@user-jp9gn5wy8f Жыл бұрын
너무, 큰 도움이 되었어요.적합 이론가인 저 자신을 되게 비난하고 자학하며 살았는데... 자신에 대한 존중과 이해, 행복이 중요하다는 걸 완전히 잊고 있었어요... 교수님 영상 다 찾아보고 있는데 일반론적이고 지겨운 이야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라 위로도 힘도 얻고 갑니다.
@user-ko7yr1sq5x
@user-ko7yr1sq5x 2 жыл бұрын
회사를 다니면서 일이 너무 힘든데 결과는 잘 만들어냈지만 전혀 행복하지 않아서 퇴사를 결정하게 되었어요. 교수님이 마지막에 언급하신 일하는 과정이 힘듦+결과 좋음+전혀 달콤하지 않음=다른 일 찾기를 권한다는 말씀에서 아, 내가 본능적으로 나를 위한 선택을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열정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뭘까 고민하는 괴로운 이 시기를 성숙의 과정으로 알고, 적성에 맞는 일을 지혜롭게 찾고 싶어요! 정말 저에게 필요한 내용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jj8dn9ei7n
@user-jj8dn9ei7n 2 жыл бұрын
정말 도움이 되는 강연이네요! 내년에 벌써 25살이 되어, 그 전까지 적성을 제대로 찾아야겠다는 생각에 혼란스러운 한 해을 보냈어요. 영상을 보고 전공에 대한 결과가 좋지 않아도 계속 하려는 제 모습이 떠올랐어요. 마지막 4학년을 앞두고, 과정이 힘들다며 회피했는데.. 어쩌면 저도 모르게 좋아하고 있었는지, 전공을 더 공부해보고 싶은 생각이 계속 드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ut7lx8ck3o
@user-ut7lx8ck3o Жыл бұрын
아 ! 했습니다.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다. 그리고 결과가 달콤하다면 견뎌낼수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boknami89
@boknami89 Жыл бұрын
저도 돈보다도 의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편인데 자꾸 돈을 버는 직업을 찾아야한다고 생각해서 자꾸 혼란스러웠던거 같아요... 명쾌한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vk3te8dj8m
@user-vk3te8dj8m 10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멋진 강의입니다
@hjkim1461
@hjkim1461 2 жыл бұрын
나는 왜이렇게 일이 힘들까, 성취감을 느껴보고싶다고 스스로 질문하고, 답해오면서 꿋꿋이 버텨왔는데, 일요일아침 우연히 본 강의로 인해 제가 왜그랬는지 이해가 됐고 위로도 되네요. 용기내볼게요. 정말 감사합니다.
@jun_smath
@jun_smath 7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도 고민하고 있다는 점이 정말 큰 위로가 됩니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져서 방에서 이런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군요. 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도 유익하고 재밌게 잘 시청했습니다.
@ctctxk101
@ctctxk101 2 жыл бұрын
어떤 직업이 내 적성에 맞는다는 생각이 들더라도 그 안에서 꾸준히 노력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찾지 못하면 힘든건 여전한거같습니다. 정말 평생 해야 하는 고민인거같아요
@yoling-1004
@yoling-1004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둘다 필요한거같아요
@user-zm7ub5cu7q
@user-zm7ub5cu7q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공감이 가고 지금까지 저의 일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느낌이에요. 방황하고 시작도 하기전에 난 꿈이 없어라고 좌절부터하고 속상해하는 아이들부터 어른들까지 많은 분들이 이 강의를 들으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user-gp4ne6ze6x
@user-gp4ne6ze6x 2 жыл бұрын
200년 전만 해도 사람들에게 직업과 적성의 선택권과 고민 조차 하지 못했다는 걸 듣고 진짜 시원함을 느꼈어요. 적성에 맞네 안맞네를 따지기 보다 그때 당시의 사람들은 그것 밖에 하지 못했고 살기 위해 다들 그러고 살았으니까요. 저는 지금 대학생 막판인데 여러가지 타협을 거쳐서 들어간 과라서 장래에 대해 불안감을 정말 많이 갖고 있었어요. 반면에 막상 하고있는 알바는 학과의 특성과 정말 달라서 일하러 갈 때마다 안맞는 느낌에 많이 힘들었거든요. 저의 고민에 많은 위로와 큰 조언이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bonapark2910
@bonapark2910 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나랑 맞지 않는 것을 자꾸 경험하면서 나에게 맞는 것을 찾아가는거니 지금의 그 경험도 소중한 것 같아요!
@lollo-dv2gd
@lollo-dv2gd Жыл бұрын
2
@user-iy3jt5lx9n
@user-iy3jt5lx9n Жыл бұрын
지금이야 좀 불안해도 두려움이 풀리기 시작하면 쭉쭉 멋지게 나아갈 거예요, 응원해요!
@user-zd5wd9my7r
@user-zd5wd9my7r 2 жыл бұрын
요근래 회사에 퇴사 얘기하고 마음이 심숭생숭한첨이었는에 이 영상을 접하게 되어서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사실 내가 하고싶고 도전해보고 싶은건 있지만 아주 멀리 느껴져서 그냥 전공따라 취업했더니 적성이 너무 안 맞아서 힘들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큰 도움을 받게 되의서 너무 뿌듯합니다. 좋은 말씀과 강의 감사합니다.
@planktoney
@planktoney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진로에 대한 고민에 갈피는 잡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yorulehi
@yorulehi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직업상담사님께서 저는 다양한 방면으로 호기심이 많고 하고싶은게 많은 유형이라 하셨어요 저는 fit theorist네요 직업테스트하면 항상 예술가,철학자 나왔고ㅋㅋㅋ그나마 꾸준히 하고있는 일은 그림그리기예요ㅋㅋㅋㅋㅋㅋㅋㅋ전 직장생활 한번도 안해본 프로알바러 사회초년생입니다ㅠㅠ어쩜 이리 잘맞을까ㅠ알바도 여러개해보면서 적성 찾는중인데 아직까진 못찾았어요...후..
@user-pt7do4ho9u
@user-pt7do4ho9u 2 жыл бұрын
젊을때 실패해도 괜찮으니 많은 경험을 하는게 중요한듯 거기서 찾을수있을뜻
@user-id2md9up2y
@user-id2md9up2y 2 жыл бұрын
초중고 무려 12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본인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고 개발하는것 보다는 국영수 위주의 주입식 교육에서 좋은성적을 내야 원하는대학 원하는 일을 할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에 살고있으니 이런고민이 많은거 겠지요...
@great-jay_0826
@great-jay_0826 Жыл бұрын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 와 정말 맞는말이네요 오늘의 작은 행복이 내일의 힘듬을 버티게 해주는 도구… 인정… 와😮
@hyji0430
@hyji0430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도움되는 영상이다..
@minkyungkim9904
@minkyungkim9904 2 жыл бұрын
진로에 대한 혼란스러움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던 휴학생입니다. 영상을 보고 맘 속에 답답했던 응어리가 풀린 기분이에요. 알고리즘이 이 영상을 저에게 가져다 준 것은 행운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oj1se9yl2e
@user-oj1se9yl2e 8 ай бұрын
전 하다보니 점점 열정이 생기는 타입이에용 일한지 얼마 안되었을땐 내가 잘하지도 못해서 난 못하나보다 안맞나보다 생각했는데 계속 하다보니 점점 느는게 보이면서 뿌듯함과 성취감때문에 더 열심히 하게됬어요!!
@qhrud1013
@qhrud101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영상이네요. 김경일 교수님 말씀 듣다보면 귀에 쏙쏙 들어오고, 그저 막연하게 방황하던 진로, 일에 대한 고민을 좀 더 객관화해서 이해할 수 있게 돼요. 감사합니다. +중간에 교수님도 공부 재미없다고 하시는 거 넘 재밌어요 ㅋㅋ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2 жыл бұрын
계획 없던 자격증을 따게 되고 어쩔 수 없이 같은 직업으로 10년 이상 해오며 항상 느꼈던 건 이 일이 맞지 않다. 이 일이 맞다고 생각한 적 단 한 번도 없어요. 그래서 그런지 아무리 해도 늘지 않는 것 같고 발전이 없달까 그래서 성취감도 없고 취업이 쉬워서 할뿐. 자본금만 모이면 노후에라도 하고 싶은 일 하려구요. 평생 이렇게 살기엔 억울한 것 같아요. 한 번쯤은 하고 싶은 일도 해봐야죠.
@user-qh5oi4rt1i
@user-qh5oi4rt1i 2 жыл бұрын
늘 답답했는데 좋은 말씀듣게되네요. 이제껏 이것저것 일하면서 까탈스러움을 이해못하고 좋은게 좋은거지 넘어가는 편이었는데 바꺼야겠네요ㅜ
@user-oi8pv2ei8s
@user-oi8pv2ei8s Жыл бұрын
대학 입학한 그 날 부터 오늘 좀 전 까지 꾸준히 현재 이 과를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만 반 년을 하고있었습니다 정말 기적같이 썸네일과 제목이 제 알고리즘에 보였고 13분 짧막한 영상 동안 제 에이포 양면을 다 채울 만큼 놓치지않고 메모해가며 말씀을 드렸어요 정말 정말 너무 좋아만하는 일은 취미로만 놔둬야 한다는 말에 정말 공감해요 오랜시간 무거웠던 마음이 흐릿한 줄만 알았는데 조금씩 천천히 선명해져 가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ef8hm5wp7z
@user-ef8hm5wp7z Жыл бұрын
정말 위로가 되고 응원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어린 20대 때부터 항상 늦었다 생각하고 조급해하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고 지금도 키를 놓친 배처럼 부유하고 있었는데 잘 된다는 보장이 없더라도 힘을 내자는 용기가 됩니다. 항상 많은 곳에서 나오시는 교수님 영상 행복하게 보고 있어요.
@dna5372
@dna5372 2 жыл бұрын
저를 위해 만들어주신 콘텐츠 같아요. 성인 ADHD가 아닌가 생각했거든요 ㅋㅋㅋㅋㅋㅋㅋ나이 먹어서 또 직업을 바꾸려니 막막하고 불안하네요 흫 ㅠㅠㅠ
@nuyo2399
@nuyo2399 2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ㅜ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방향설정 하는데 너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jikim331
@jikim331 2 жыл бұрын
행복은 도구다. 빈도가 중요하다. 👍👍 매일 염두에 두어야겠어요.
@user-mu9dl4sc2p
@user-mu9dl4sc2p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도 고민하고 있다는 점이 정말 큰 위로가 됩니다. 방에서 이런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니.. 늘 잘 보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user-tv5vt8ll2x
@user-tv5vt8ll2x 2 жыл бұрын
저는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게 다른 편인 사람이에요. 발표 잘한다고 여럿에게 칭찬받지만 발표하는 걸 좋아하지 않고, 아이디어나 인사이트를 도출해야할 때 제 의견이 채택되는 경우도 많은데 도출하기까지의 과정은 너무 막막하고 스트레스받아요. 자기 적성과 성향에 잘맞는 진로를 찾아서 공부중인 친구들보면 왜 나만 혼란스럽지... 하며 속상했는데 사람마다 열정 유형이 달라서 그럴수도 있겠네요!
@langsmusic
@langsmusic 2 жыл бұрын
에니어그램을 통해서 자신이 어떤 유형인지 알수 있고 일과 인간 관계 모두 방향 제시를 해주는것 같아요
@hli1898
@hli1898 2 жыл бұрын
진로고민하는 성인인데 진짜 공감과 위안이 많이 됩니다. 평소에 꾸준히 몰입해서 하는 활동들과, 일은 어차피 힘드니 결과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제가 진로를 선택하는 지표들이 될 수 있다는 인사이트가 충격적입니다. 저는 기존에 했던 전공 및 업무에 대해서 결과는 좋았지만 만족감이 적었습니다. 근데 최근에 진로방향을 다시 잡고 하고 있는 활동들에 대해서는 만족감이 훨씬 높습니다. 또한 새로운 진로의 성격이 제가 평소에 향유하는 활동들과도 부합이 되는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영상을 보고 인사이트도 얻고 나름 잘하고 있다는 피드백을 받은 것 같아서 힘이 많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user-nr6lc8sg2l
@user-nr6lc8sg2l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훌륭한 강의입니다 체계적이고 신뢰가 갑니다 진심으로 도음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mirhoseinghods
@amirhoseinghods 2 жыл бұрын
자기 적성을 찾아야 하는 동시에 통합형 인재, 융합형 인재가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 또, 성공해야 하면서 성공이 아닌 행복을 좇아야 한다는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듣고 자랐던 것 같아요. 영상을 보고 나니 그런 것들이 정리되는 기분이에요.
@Tearbird
@Tearbird 2 жыл бұрын
AD 경향이 있는데 정말 적성에 맞는 일과 아닌 일에 따라 몰입도와 의욕이 달라져요ㅠㅠ 적성에 안 맞는 일은 학습도 느리고 재미도 없고 이해도 잘 안 가서 하루하루가 지옥 같더라구요. 학교 다닐 때도 이 차이가 극명해서 좋아하는 과목하고 아닌 과목은 점수 차이가 심했는데 이제 그 이유를 알 것 같네요.
@user-xr5nx7sd1w
@user-xr5nx7sd1w 2 жыл бұрын
별로 좋아하지도 않는 전공을 살리겠다고 현실과 타협한 취준생입니다 그런 제가 너무 한심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영상을 보고 많은 위로가 됐어요 저에게 성공한 삶이란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살 수 있을 정도의 직업을 가지는거라고 생각했거든요. 향유하라는 말씀 잘 새겨 듣고 현재의 취업이 목적지가 아닌 제 삶의 한 부분이 되었으면 해요
@grassychilkinthe518
@grassychilkinthe518 2 жыл бұрын
전 fit theorist 인 것 같습니다 ㅠㅠ 다수인 사람들처럼 사려다가 제가 뭘 좋아하고 좋아하지 않는지 잊어버렸어요 ㅠㅠ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ysysysysysysysysysysy
@ysysysysysysysysysysy 2 жыл бұрын
까탈스럽게 좋아하는 일,, 그럼 자기만의 주장이 없는 사람은 우선 자기를 알아가는 게 우선이겠네요,, 어쩌면 평생 숙제일 수도 있다는 말 조금씩 공감하는 요즘입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스스로 알아가는 과정이 제일 어렵거든요..
@ppashi98
@ppashi98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제 댓글을 읽으실 줄은 잘 모르겠습니다만은 정말 감사합니다. 성적에 맞춰서 온 학과에서 유난히 적응을 못하는 제가 인간으로서 덜됐기 때문인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유난히 자신감 있고 할 말이 많아지는 분야가 있다는 것 또한 잘 압니다. 교수님 덕분에 24살 먹은 저의 진로를 지금부터라도 바꾸어 볼 용기를 얻은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user-zw9ct3dm6f
@user-zw9ct3dm6f 2 жыл бұрын
추천에는 자주 떴는데 이상하게, 손이 가지 않아 보지않던 영상을 오늘에서야 봅니다. 아마도 오늘을 위해 제 자신이 무의식중에 남겨놓은 생각거리가 아닐까 싶어요. 많이 생각해보고 시도해보며 고민하고 고쳐나가봐야 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그리고 같은 고민을 하며 이 영상을 시청했을, 모든 분들이 조금이나마 소소한 행복을 자주 거머쥘 수 있는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shdkakas
@shdkakas 2 жыл бұрын
저는 후자쪽에 조금 더 가까운 것 같아요 항상 어떤 일을 하면서도 최상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부러워하면서 내가 완전한 100%의 사람이 아니면 실패한 것 이라는 무언의 압박감 때문에 힘들었던 것 같아요 최근까지도 내가 하고있던 일을 계속 하는 게 좋을지, 흥미는 있지만 너무 먼 길을 달려야 하는 진로를 선택하는 게 좋을지 너무 고민했었는데 덕분에 조금 더 버텨보고 인내하고 또 경험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제가 느끼고 있는 과정들이 헛되지 않는 시간이란 걸 느꼈습니다 정말 어디에도 이런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는데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zinedinezidane4975
@zinedinezidane4975 2 жыл бұрын
공직에 있고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지만 아직도 저는 제가 좋아하고 열정을 움직일 수 있는 다른 무언가를 찾고 있습니다. 주어진 일은 끝까지 하고 있지만 하전함이 항상 남네요. 안정적인 곳이라 털어놓으면 저를 독특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저러다 말겠지 하는 동료들도 있고 이렇게 사는 것도 감사한 일이지 않느냐 이것도 맞는 말이지만 그래도 언젠가는 이루고 싶네요
@user-ub9zd7gp1e
@user-ub9zd7gp1e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보았습니다! 고민이 많았는데 위안이 됩니다. 신규간호사로 갓 입사해서 근무하며 태워지며 정말 많이도 울면서 버텼지만, 몸이 아프니 와르르 무너졌습니다. 저는 잘 해낼 줄 만 알았었는데 아이러니하게 동기들 중 제일먼저 퇴사했습니다. 덕분에(?) 24살에 목디스크 판정받고 수술까지 해야하는 상황에서 1년동안 치료하며 또 버텼습니다. 남들 다 일하는데 나만 뒤쳐진 것 같고 다시 일 할 용기조차 없어서 공부하고 있었는데 집 안 사정이 어려워져서 공부를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다시 그 지옥같은 임상길로 가야하나 고민이 많았는데 영상보니 그래도 공부해야겠다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IM_LeeJigu
@IM_LeeJigu 2 жыл бұрын
몇 달, 몇 년째 제 적성을 찾는 중입니다 친구들이 하나둘씩 직장에 적응하는 와중에 저는 안 맞는 일, 공부를 해야 되는 것에 다른 사람보다 큰 스트레스를 느껴 여러 번 직장, 직종을 바꾸며 방랑하고 있습니다. 일과 공부를 하며 겪는 모든 상황에서 의미를 찾으려 노력하니 내면적으로 크게 성장하게 되고, 이제 조금씩 저를 알 것도 같아요! 오늘도 나를 찾기 위해 이런저런 책을 보고 유튜브를 보던 와중에 교수님의 강의를 보게 됐고, 저 같은 사람을 Fit theorist라고 부르는 걸 알게 됐어요! 하루빨리 저에게 맞는 공부, 직업을 알고 싶네요 찾으면 그 누구보다도 잘 할 자신이 있기에 그 순간이 기대됩니다. 저와 같은 유형을 가지신 분들 맘속 깊이 응원하고, 힘냅시다!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WHY IS A CAR MORE EXPENSIVE THAN A GIRL?
00:37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Шокирующая Речь Выпускника 😳📽️@CarrolltonTexas
00:43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