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위와 동시에 후궁을 들이기 바빴던 태종 이방원? 즉위의 일등공신 아내 원경왕후의 시녀까지 후궁으로 들이다! |

  Рет қаралды 1,424,789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579
@주미자-o4y
@주미자-o4y 10 ай бұрын
역사 강의는 언제들엇도 넘^^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
@IamRobin-20
@IamRobin-20 28 күн бұрын
원경을 보고 이걸 보니 완전 이해 쏙쏙
@후리지아-r5p
@후리지아-r5p 10 ай бұрын
깔아놓은 음악이 너무커서 귀가 아파요~^^
@pomeroysalokar
@pomeroysalokar 20 күн бұрын
↑📓
@frhyewfwd2579
@frhyewfwd2579 20 күн бұрын
저도 그생각 했어요 내용이 메인인데 음악은 잠깐 나오든 없어도 그만
@희망진아
@희망진아 15 күн бұрын
시끄러워 요
@dedalus1580
@dedalus1580 15 күн бұрын
도저히 끝까지 못 들을 만큼 고통스러운 소음. 도대체 저런 배경음악이 왜 필요한지?
@김정향-x8l
@김정향-x8l 12 күн бұрын
아구 배경 음악 거스린다 너무.
@choi8471
@choi8471 11 ай бұрын
음악방송인가?
@희망을품다-o3v
@희망을품다-o3v 24 күн бұрын
세종대왕님의 어머니이신 원경왕후 아버지이신 태종 예를 갖추어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miseonkim6071
@miseonkim6071 15 күн бұрын
왜요?
@문준영-m7p
@문준영-m7p 11 ай бұрын
댓글을 방송실에선 안보는것 같군요, 몇번을 얘기해도 ~~ 사극은 내용이 중요하지 크나큰 효과음악이 대화를 잡아먹으면 하나마나.
@이현숙-c6t
@이현숙-c6t Жыл бұрын
ㅡ그러나 이방원 이자는 거사에 성공후 1등공신인 원경왕후의 두남동생을 반역져로 몰아 잔인하게 죽여버리는 만행을 저지르고 말죠..
@alternatedimension-z3i
@alternatedimension-z3i 26 күн бұрын
우리한테보면 그게 훨 나았지. 세종대왕이 왕위에 올랐으니..
@all-272
@all-272 24 күн бұрын
@@alternatedimension-z3i 정도전이 미쳤나. 어린 방석을 왕으로 추대하다니 스스로 죽기를 자처했네
@woo3606
@woo3606 20 күн бұрын
만행이라니 짜슥아 태종이 죽고 처남들이 온갖 만행을 저지르면 나라가엉망이 됬을낀데??
@이현숙-c6t
@이현숙-c6t 19 күн бұрын
@woo3606 사실을 갖고 얘기해야지 그들이 만행을 저지를 거라는 가정을 가지고 비판하다니 어이가 없네
@woo3606
@woo3606 19 күн бұрын
@@이현숙-c6t 니같은거를숙청해야된다
@TV-fv9mx
@TV-fv9mx 4 ай бұрын
이방원 정말, 원경왕후와 사돈댁에게 큰 죄를 자은 인간이다. 남존여비라는 공식에 갇혀 정말 자신의 성공에 든든한 뒷받침이 되었던 부인과 사돈댁을 이렇게 잔인하게 파멸시킨 태종! 정말 인간성 최악! 이런 남자 손덜하세요!
@grace-tx6pi
@grace-tx6pi 22 күн бұрын
권력의 원리와 작용을 모르시네요. 왕실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둘이 잘 살았을거예요. 왕조시대 권력은 나눌수도 내려놓을수도 없는 없는것입니다. 원경왕후 집안의 권세를 못잡았다면 세종대왕같은 성군의 치세를 조선시대에 못 누렷을 겁니다.
@Jh12759
@Jh12759 21 күн бұрын
@@TV-fv9mx 전근대 왕정 국가에서 죽이지 않으면 죽어요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잔인하지만 태종의 결단력이 아니였으면 세종도 없었고 조선 500면도 쉽지 않았겠죠
@메모리-e2l
@메모리-e2l 21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권력무상 세종에게 양위하고 4년만에 죽어요 임금노릇 스트레스도 만만찬은듯
@남정이-y2g
@남정이-y2g 18 күн бұрын
조선시대의 왕.귀족.양반들 최악임 여자들은 순종시키고 남자 지들 첩.여자놀이 정당화시키고 나뿐것들
@sam-nj7oh
@sam-nj7oh 18 күн бұрын
비정한 권력의 이면이지만 ㅠ 한자 배우고 있는것 보단 낫다 한글 배우게 해주셔서 감사할 뿐
@여니-i1m
@여니-i1m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 너무커서 몰입 안돼요
@장-x7g
@장-x7g 25 күн бұрын
근데 이방원이 저러는건 사실 놀랍지는 않음... 지 형제도 죽였는데 1등 공신인 와이프 형제들 죽이고 후궁들이는걸 못 할까.. 그래도 자식 안죽인게 어딘가 싶음.... 불쌍한 원경왕후
@미세스-t9o
@미세스-t9o 24 күн бұрын
지들 친형제는 안죽이고 이복형제들만 죽인걸로 알아요. 세종대왕 처가도 다 죽였어요. 사악한 인간입니다. 개국공신들인 처남들 다 죽이고 본처 핍박하고!
@user-nq2hv8ej6h
@user-nq2hv8ej6h 22 күн бұрын
자기밖에 모르는 이ㅂㅇ
@opportunity777
@opportunity777 22 күн бұрын
본인이 대기업 회장됫는데 와이프가 도와준건 인정하는데 와이프가족이랑 와이프가 와이프가 아니라 경영에 참견을하면? 잘라내야지 이걸 나쁘다하면 건희님도 불쌍한거죠?
@xxq7598
@xxq7598 22 күн бұрын
정치적으로는 잘했겠지만 남편으로써 인간성으로 도덕적으로는 잘못됬음. 살인자는 살인자
@qnfrhfbsakxmrqjq
@qnfrhfbsakxmrqjq 21 күн бұрын
왕의 입장에서는 그러는게 맞음 아니면 본인부터가 정당성이 없던 왕이라 나중가면 꼬투리 잡힘 그렇게 왕권이 약화되면 망국의 징조가 되는거고
@oksunjeon7182
@oksunjeon7182 Жыл бұрын
효과음악이없으면 듣는데 집중할수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역사을 이해할수있네요
@최계숙-b5c
@최계숙-b5c 10 ай бұрын
에휴 음악소리가 혼란스럽고 너무크네요
@쏘쏘해피
@쏘쏘해피 22 күн бұрын
원경왕후가 워낙 똑똑하니 처가랑 합세해 어떻게 할까하는 두려움도 있었을 듯 헌신한 아내와 처가 두고 18명 후궁에 처가 멸문시키고 태종도 참
@jungminlee59
@jungminlee59 4 күн бұрын
저딴게 왕이던 나라가 조선임
@우혜-c8l
@우혜-c8l Ай бұрын
선생님 목소리 잘 듣고 싶어 음량 키우면 선생님 목소리랑 배경음악이 1대1비율로 들리니 소리키우니 음악소리 귀아파요 작게해주세요
@user-nq2hv8ej6h
@user-nq2hv8ej6h 22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배경음악을 낮게해게 선생님소리가 더 잘 들리는데...
@우-k6o
@우-k6o 22 күн бұрын
드라마 원경보고 왔는데, 배경음악이... 귀가 아프오~~
@밍진냥
@밍진냥 Жыл бұрын
태종이 외척을 견제하기 위해 후궁을 맞이하는 정지척 견해도 있겠지만 이후 상왕 됐을 때도 후궁 들인거 보면 여자 좋아하는 것도 큰 것 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ocobong871
@cocobong871 3 ай бұрын
이씨들ㅠ 이후에도 쭈우욱
@O동동이
@O동동이 25 күн бұрын
근데 보면은 성군들이 후궁도 많은거같기도 ...
@raekim6042
@raekim6042 24 күн бұрын
​@@O동동이정조대왕은 아님
@O동동이
@O동동이 24 күн бұрын
@@raekim6042 ㅋㅋㅋ 마자요
@Kja-h4d
@Kja-h4d 23 күн бұрын
그냥 남자는 가질수 있으면 다 가지는거 같아요
@달이공주-j1t
@달이공주-j1t Жыл бұрын
음향이 이렇게 커야 히나요? 설명이 안들려요
@soonjlee6919
@soonjlee6919 Жыл бұрын
PD님 음악효과가 훌륭한 강의를 방해 하네요. 음악 짜증납니다. 집중이 안되요. 제발 음악효과좀 어떻게 해주세요. 🙏
@꽃과별
@꽃과별 4 ай бұрын
배경 효과 '를 저려 모르는 사람들이 방송국을 장악하고 후임자들 교육도 저들과 똑같이 한다네요. 한숨
@jj-tw2mr
@jj-tw2mr Жыл бұрын
처와 처갓집때문에 왕이되었는데 모두 말살시켜버린 왕ㅠ
@kjo1238
@kjo1238 11 ай бұрын
이방원이 처가를 말살시켰기 때문에, 세종이 태평성대 정치를 할 수 있었던 거임.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 봐라. 외가들이 다 헤쳐먹어서 나라가 완전 풍비박산 나지 않았음.
@user-truebless
@user-truebless 9 ай бұрын
자기는 기생 후궁까지 두고도 양녕댸군이 후궁으로 기생들일때 얼마나 받대했는지..ㅜㅜ
@qwerasdfzxcv-q1g
@qwerasdfzxcv-q1g 7 ай бұрын
어떻게 올라간왕위와 어떻게얻어낸 나라인데 외척이 마냥 활개치는걸 볼수만도 없었을것임..
@Perhaps-fz5og
@Perhaps-fz5og 5 ай бұрын
​@@qwerasdfzxcv-q1g결과적으로 필요악이었지. 본인이 권력의 비정함을 잘 알았으니. 일관성있는게, 본인은 아버지로서 양녕을 죽일수 없지만, 필요하면 처형해도 된다고 세종한테 유지를 남기기도 했음. 자신의 사후에 권력승계구도에 문제가 생긴다면 세종에게 정당성을 실아주는 유언을 남긴 셈
@찰리최-i7x
@찰리최-i7x 4 ай бұрын
권력은 나누지 않는것이다. 이것도 모르면 왕이되어선 안되지. 민씨 처가의 부해도 심하기도 했고,
@섭섭-b6l
@섭섭-b6l Ай бұрын
그렇게 살기를 뿜어내면서까지 싸우는 중에도 부부관계와 출산은 멈추지 않았다는 것이 미스테리.ㅋㅋㅋㅋㅋ
@angie-kv1vf
@angie-kv1vf 25 күн бұрын
왕실을 견고히 할 후손이 많아야 되서 그럴듯 합궁하는 일시도 날짜 받아서 했으니
@Poiuy123-b3x
@Poiuy123-b3x 23 күн бұрын
​​@@angie-kv1vf근데 중전이 이미 아들을 많이 낳아놓은 상태라, 중전 안 찾아갈라믄 안 찾아가도 됐었음..
@영미전-k9g
@영미전-k9g Жыл бұрын
음향 귀아퍼요
@문준영-m7p
@문준영-m7p 11 ай бұрын
역사공부 좀 할려니까 효과 음악이 넘 크서 신경질이 났어 못듣겠다, 대화소리 시꺼런소리 짱뽕되어 사뭇 짬뽕이다,
@연수모니카
@연수모니카 25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역으로 태종이 모든 왜척과 반대 세력을 다 숙청해버려서 세종대왕잉 탄생해서 태평성대 이룰 수 있었다는 역사의 아이러니....
@Jh12759
@Jh12759 22 күн бұрын
어찌보면 탁월핱 정무감각이죠
@secret955
@secret955 21 күн бұрын
정치적으로는 이해가 되는데..인간적으로는 진짜 잔인한듯
@황미란-b5w
@황미란-b5w 17 күн бұрын
왜척 아니고 외척 이겠죠? 세종대왕 언급하려면 한글부터 제대로 씁시다^^
@은하별-o5f
@은하별-o5f 14 күн бұрын
밤과낮이 끝도없이 도는 세상에서 애궂은 역사만 아이린카라 ??
@도니-z7y
@도니-z7y Жыл бұрын
음악이 너무 커요
@all-272
@all-272 24 күн бұрын
음악이 없어도 내용에 집중 잘 되니 음악은 빼주세요
@미카엘라-k4y
@미카엘라-k4y 25 күн бұрын
깔러 놓은 음악 너무 커서 쌤의 역사 설명 보다 음악소리 더 큽니다ㅠㅠ
@용두와
@용두와 Жыл бұрын
세종은 엄마를 닮은 것이였다
@jsz-pf6dd
@jsz-pf6dd 5 ай бұрын
세종도 후궁은 남부럽진 않아요~~~
@형기김-c8y
@형기김-c8y 22 күн бұрын
아빠도닮음ㅋㅋ여색은쏙빼닮았지
@빡쿈딘
@빡쿈딘 19 күн бұрын
머리 좋은게 엄마인듯요.
@Juu3306
@Juu3306 4 күн бұрын
엄마, 아빠를 다 닮은 것 이방원은 고려시대 최연소 과거급제자 였음
@뽀양이-h5d
@뽀양이-h5d 27 күн бұрын
음악 귀아프다 진짜😅
@좋은날-v2u
@좋은날-v2u 11 ай бұрын
이방원은 배신자 나의 이익을 위해서는 문불 안 가리고 은혜를 입고도 은혜를 배신으로 갚고 그래서 아버지 이성계도 그를 알아본거다. 승자라 다 왕권 강화라고 후세에게는 전하겠지
@셋째-x8m
@셋째-x8m 11 ай бұрын
배경음악이너무.소음으로들리네요!집중해서들어야하는데!채널을돌리게하네요?
@user-11010
@user-11010 4 ай бұрын
벌거벗은한국사 재미져요 조선의 역사가 귀에 잘들어오고 한두번만 봐서도 외워지는거같아요 잘보고있습니다
@부르주아-o5j
@부르주아-o5j 10 ай бұрын
그래서 남이 잘되는것보다 내자신부터 잘되야 된다는 말이요 내조 잘 해봤자 배신 당하니 빌려 먹을 역사 하여간에 지금이나 예나 여성 만 약자여~~~
@hjkxcv8932
@hjkxcv8932 3 ай бұрын
남자는 세상을 지배하고 여자는 남자를 지배한다라는 말 모름? 두 남동생들한테 무기 빼돌려서 이방원을 사활을 건 전쟁터에 내몰은 것도 원경왕후인데 무슨 여자가 약자임;; 전부 이해관계 속에 있는거지 그런 고리타분하고 피해의식에 젖은 생각은 좀 버립시다~~
@nameb2203
@nameb2203 2 ай бұрын
@@hjkxcv8932그렇게 해서 기껏 만들어놨더니 뒷통수 치고 은혜를 원수로 갚는데도 여자 몸으론 아무것도 할수있는게 없엇으니 하는 말이잖음 ㅋㅋㅋ 원경왕후가 남자였으면 가족 목숨 위해 반역이라도 해볼 수 있었겠지
@뷰티풀-k9u
@뷰티풀-k9u 7 күн бұрын
그만큼 배신도 커지
@J초코파이
@J초코파이 Жыл бұрын
양녕대군이 아빠 피를 이어받았네ㅡㅡ;;
@하모니카-t4y
@하모니카-t4y Жыл бұрын
태종입장에서는 원경황후가 속으론 두려웟겟지 맘만 잘못 먹으면 자기뒷통수칠수 잇으니깐 너무 총명하고 똑똑한 여자이기에 세력을 분산시키기위한 하나의 술책
@diddudrn
@diddudrn 8 ай бұрын
두려웠다기 보단 방해될거라 생각했겠지 두려움이란 어휘로 표현할 일인지는 모르겠음
@NicoleNicole-ec8nz
@NicoleNicole-ec8nz 6 ай бұрын
@@diddudrn그니까요. 어찌됬든 사랑했던거 같긴해요 그 난릴를 치고도 그후에 둘이 애를 더 낳았으니까요
@hanmj5766
@hanmj5766 26 күн бұрын
이방원의 열등감 폭발 열등감이 이렇게 무섭...
@너너-h3h
@너너-h3h 26 күн бұрын
이방원을 밀어주는게 아닌 원경 스스로 왕이 되었어야 했음 그래야 배신도 쉽게 안 당했겠지 그 시대가 여성이 왕이 된다는 거 자체를 생각하기 힘드니 시댁을 그것도 시아버지, 남편을 왕위에 올린 거겠지 그냥 살던가 아님 자기가 되었어야 했어요 보아하니 이방원이나 원경이나 야망은 있던 이들같아요
@성이룸-c5p
@성이룸-c5p 16 күн бұрын
그라믄 세종대왕님 사라지자나요ㅠ
@너너-h3h
@너너-h3h 16 күн бұрын
@성이룸-c5p 그건 또 모르죠 다른 나라가 세워지고 다른 정치와 제도들 조선과는 다른 나라가 세워질테니 좋은것도 아닌것도 있겠죠 세종은 태어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 거 아닐까요? 저도 태어난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때도 왕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성군이니까요
@성이룸-c5p
@성이룸-c5p 16 күн бұрын
@@너너-h3h '그건 또 모르죠' , '태어났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고', 님아 지금 님이 단 대댓글 발언들이 제가 단 댓글에 맞는 대댓글인가요? 이방원이랑 원경은 부부니까 세종은 태어났겠죠 하지만 님댓글읽고나서 자기아들을 왕 ,즉 세종대왕으로 만들어 줄수있었을까 라는 의미의 댓글인데 약간 핀트가 안맞는 장문의 대댓글 ㅋㅋㅋㅋ
@너너-h3h
@너너-h3h 16 күн бұрын
@@성이룸-c5p 이룸님 저는 처음에 쓴 건 원경왕후가 안타까워서 자기가 되는것도 방법이었다 그게 아니라면 포기하고 조용히 사는게 낫다의 뜻이고요 그리고 댓글은 만약 원경 왕후가 왕이 되는순간 역사는 다 바낍니다 지금 역사로 흐르지 않게 되고요 세종대왕은 이방원과 원경사이에 태어났습니다 이둘은 누가 왕이 되어도 이미 부부였고요 그러니 결국 태어났겠죠 하지만 역사가 바뀐다면 달라질 수도 있어요 만일의 경우에는 못 태어날 수도 있다는 뜻이고요 바뀐 역사는 아무도 모르잖아요 그리고 원경이 왕이 된다고해도 둘은 부부니 세종대왕이 태어날 가능성은 높고 태어나 왕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서 세종대왕이 왕이 되었으면 좋겠다 한겁니다 말했던대로 성군이니까요 그리고 원경왕후는 다시한번 말하지만 안타까워서 한말입니다 이걸 너무 진심으로 받아들이시네요 세종대왕이 성군이고 한글을 만든분이니 이러시는건 이해하는데 만약의 경우 입니다
@fortuna운명
@fortuna운명 16 күн бұрын
​@@성이룸-c5p 이랬어야 했다 그게 좋았다는 건데, 세종대왕이 태어나고 왕이되고말고는 본인이 집착하는 부분이잖아요. 본인 핀트가 안 맞는 부분입니다. 나는 세종대왕이 왕이 안될수도 있으니 안타까운 부분이 있다라고만 하면되지 뭘 오기를 부리고 ㅋㅋㅋ는 뭐야 경계선장애들은 댓글좀 달지 말아라 쓸데없는 고집. 남 핀트는 무시하고 자기가 꽂힌 부분에만 혼자만 집착해서 남한테 오기부리고 요구. 보기만 해도 짜증나...
@자연인-w6z
@자연인-w6z 25 күн бұрын
음악 소리가 너무커서 설명을 들을수가없네요
@양연소
@양연소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왜 음악들으러몬거 아닌데 왜 그럴까요
@moonp3890
@moonp3890 Жыл бұрын
개돼지들 선동할 땐 다이나믹한 손짓이랑 음악이 필수라서요 😊
@샤넬향기-y8i
@샤넬향기-y8i Жыл бұрын
엄청 거슬림요ㅜ
@옥경문-z3y
@옥경문-z3y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듣고 있어요
@TV-fv9mx
@TV-fv9mx 4 ай бұрын
원경왕후가 머리가 좋고 제대로 아들을 훈육해서 세종같은 아들이 나온 것이다. 태종은 인간성에 관헌한 반면교사 였다.
@뀨아아-h8h
@뀨아아-h8h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엄마아빠 밑이니까 세종같은 인물이 나온거구나
@gsyhbak
@gsyhbak 10 ай бұрын
아빠가 준장원 급제. 했는데. 아들은........
@구름-w9l
@구름-w9l 26 күн бұрын
여자 밝히는것도 닮음
@kiyjy7
@kiyjy7 Жыл бұрын
태종이 저럴 수 밖에 없었던 건 본인이 외척세력의 힘으로 권력을 잡았으나 이후에는 본인이 나아갈 길에 외척세력과 공신들이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 외척세력과 공신들을 권모술수를 이용하여 견제하고 쳐내서 왕권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음...
@김옥희-u2y
@김옥희-u2y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정도가 있지 처가집을 아작내고 지맘껏 여자들은 짐승처럼 다 취하고... 초장부터 조선은 말세였다
@werdxsdc
@werdxsdc 11 ай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잔인하다
@user-uz3mw6ov8t
@user-uz3mw6ov8t 9 ай бұрын
​@@werdxsdc정치적인 목적이라 어쩔수없음 조선중기쯤 가니까 외척들이 힘들 얻어서 왕권이 약해짐 이방원이 민씨가문 박살낸건 잘한거
@너너-h3h
@너너-h3h 26 күн бұрын
그게 정치 겠지만 인간적으론 잘못한거예요 왕으로서는 그게 맞지만 남편이자 인간으로서는 잘못한거죠
@지젤리-q7r
@지젤리-q7r 19 күн бұрын
뭘 잔인해 왕인데 어쩔수없지 그래서 후세에 세종대왕이 성군이 되었자나 왕조시대에 왕으로 태어나면 나는 더 했을듯
@김용석-l7i
@김용석-l7i Жыл бұрын
음악좀 꺼요 효과음 듣기싫어
@명숙이-t8c
@명숙이-t8c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 효과음악이 커서 잘 안 들려요
@강아지해피-y9i
@강아지해피-y9i Жыл бұрын
볼륨을 키워라
@rvssian9692
@rvssian9692 Жыл бұрын
​@@강아지해피-y9i그럼 음악소리는 안커지냐??
@강아지해피-y9i
@강아지해피-y9i Жыл бұрын
@@rvssian9692 ㅋㅋㅋㅋㅋ 그럼 알아서 쳐듣던가
@휀라디언츠
@휀라디언츠 Жыл бұрын
노이즈 캔슬링 하세요
@로즈박-i6n
@로즈박-i6n Жыл бұрын
@@강아지해피-y9i신고할란다
@yubihong2828
@yubihong2828 26 күн бұрын
어려움을 함께한 조강지처를 져버린 못된 남편이며 왕이 되도록 도와준 처가를 말살한 은혜를 원수로 갚은 배은망덕한 인간이 태종이었네요 원경왕후는 홧병으로 죽었을듯~~
@이현숙-m4e4g
@이현숙-m4e4g 25 күн бұрын
원경 드라마보며 이 영상 보니 쏙쏙
@문지영-w5t
@문지영-w5t Жыл бұрын
태종이 방원은 자신이 최고 탑 지도자 이길 원했고 원경왕후 민씨는 자신이 킹메이커로 나라를 경영 하길 원했겠죠 본인 부인의 성격과 능력을 안 이방원이 의식적으로 여러 후궁을 두어서 민씨를 왕실의 내외명부를 관장하는 여인으로 남기를 원했고 아버지가 계모에게 휘둘리는것도 경계 했구요 여흥민문이 외척으로 정치에 휘두르는것도 엄청 싫었을 겁니다
@이훤-s7s
@이훤-s7s 11 ай бұрын
처갓집 풍비박산냇으면 후궁은 적당히햇어야지
@손미경-c1s
@손미경-c1s 16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가///-- 집중을 못하게 하네요
@구름-w9l
@구름-w9l 26 күн бұрын
남자을 위해 무언가 할 필요가 없음 뒤통수치고 지기 잘난줄 알고 여자만 밝히는 놈 들이다
@Djjejekei-u5o
@Djjejekei-u5o Жыл бұрын
제발 음악소리를 줄이던가 아님 음악을 없애던가 하세요
@포비-s6j
@포비-s6j Жыл бұрын
알면 알수록 재밌는 역사....
@조혜정-d9r
@조혜정-d9r Жыл бұрын
죽음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육체적죽음과 2.성경적죽음 육체는 죽지만 분리된 영혼은 영원이 존재합니다. 예수믿는 영혼은 고통과 슬픔이없는 천국에 갑니다 안믿으면 지옥입니다. 예수님은 죄없는 완벽한삶을 사시고 십자가에서 우리대신 형벌을 받고 죽고 다이루었다라고 하셨습니다. 부활하셔서 하나님 오른편에 앉아 계십니다. 우리죄가 용서받고 천국을 가게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믿지않거나 사람이 만든 우상을 숭배하면 지옥입니다. 부처는 죽어서 흙으로 돌아갔습니다.하나님은 지금도 살아계시고 영원히 살아계신 신입니다. 공기가 눈에보이지않지만 존재하는것처럼 하나님도 영으로 존재해서 우리를 심판하십니다
@하보남-w2e
@하보남-w2e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릴리-z6k
@릴리-z6k Жыл бұрын
인간은 배신하는 존재다 그래서 희생하고 헌신하면 배신당한다 뭐하러 왕만들려구 했나 죽써서 개죽거지 원경왕후 그냥 살지 욕심 버리고
@뷰티풀-k9u
@뷰티풀-k9u 7 күн бұрын
욕심이 화을 부르지 그냥 보통사람처럼 사는게 최공 행복인듯 합니디ㅡ
@최화평-d3q
@최화평-d3q 2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가 너무 크서 말이 잘 안들림
@나건강해-d9t
@나건강해-d9t 19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땜에 나갑니다
@seioueanfe8596
@seioueanfe8596 Жыл бұрын
효과음악이 시끄러워서 정신사나우니 효과음을 아예 없앴으면 좋겠어요
@이희영-y9y
@이희영-y9y 5 ай бұрын
배경음악소리가 넘시끄러워요.😢
@도도멍
@도도멍 11 ай бұрын
쌤 안녕하세용
@힘내라인생-t4s
@힘내라인생-t4s 12 күн бұрын
배경음악이 설명을 방해하는데 시정을 왜 안 하는지?
@adrianobonucci415
@adrianobonucci415 11 күн бұрын
듣다보니 나중엔 음악밖에 안 들린다. 배경음악 볼륨 좀 내리세요. 주객이 전도
@김옥희-u2y
@김옥희-u2y Жыл бұрын
최악의 남편이다 어디 아내의 종까지 건드려~ 처가집은 개박살을 내놓고... 꼭 그렇게까지 안해도 됐는다 나쁘다 저인간
@송광마루
@송광마루 Жыл бұрын
권력이란 어쩔 수 없음. 지금도 러시아 보세요. 푸틴 비공식 첩들에 자식에 정적은 바로 제거.. 사람 안 변함. 만약 살려주었다가 언제 어떻게 본인 목이 날라 갈지 모르는데..지금도 국회의원들 보세요.. 죽일듯이 하는데요. 백성한테 잘하면 되는거임.
@스능-s4m
@스능-s4m Жыл бұрын
넌 훨씬 더할거같은디? 연산군처럼...
@gokuma8028
@gokuma8028 Жыл бұрын
문재앙이 더 심함
@노재협
@노재협 Жыл бұрын
개자식​@@스능-s4m
@연우-q9z
@연우-q9z 8 ай бұрын
처갓집은 박살 낼수 밖에 없는 상황 이었습니다 외척의 조짐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싹을 잘라야 나라가 똑바로 굴러갑니다 단지 태종의 흠이라고 하면 굳이 조강지처의 여종을 건드렸어야 했나.. 후궁을 그렇게까지 들였어야 했나..이거라고 생각함..
@직천
@직천 11 ай бұрын
음악이...
@소리나무-s1h
@소리나무-s1h 5 ай бұрын
다좋은데 효과음이 망첬네 조용하게
@needgreen525
@needgreen525 25 күн бұрын
음악 소리가 너무 커서 아쉽네요.
@JasonScottLee-r1v
@JasonScottLee-r1v 4 ай бұрын
18:49 이건 용의 눈물에 제일 잘 묘사되어 있음.
@jihye1631
@jihye1631 11 күн бұрын
음악 음량 왜 이렇게 크게 트는거야 음향 담당자 정신안차려??
@eunjoymom4493
@eunjoymom4493 5 ай бұрын
아무리그래도 조강지처에 대한 배려가 전혀없다. 처가덕에 왕이 되어놓고는..
@은지-f5w
@은지-f5w 18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때문에 집중을 못하겠어요 😢
@우희임
@우희임 Күн бұрын
그럼정종은 누구인가요??
@O동동이
@O동동이 25 күн бұрын
아 원경드라마 보고 들어왓는데 음악소리 진짜 집중안되네요 ㅠ
@DongyoungSeo-sz5nl
@DongyoungSeo-sz5nl 4 ай бұрын
음악 은 말을 어지럽게 합니다. 끄면 안될까요
@dlvago7792
@dlvago7792 Жыл бұрын
에효. 시대탓도 있어서 그 당시엔 그런발상을 못했겠지만, 원경왕후는 내조하는 부인감보단 왕재감이었네. 어차피 죽을거면 미리 군사 모아서 남펀치고 자기가 왕이 되었으면 좋았을걸.
@핵수-t8u
@핵수-t8u 10 ай бұрын
ㄹㅇ 아쉽다 능력 있는 사람이었는데
@nobuta201
@nobuta201 23 күн бұрын
민씨들 도움으로 쿠테타에 성공했으니 권력을 그들과 나눠야 될 수도 있고 그러다보면 자칫 권력을 민씨 가문에 뺏길수도 있다 판단하고 저런건데 정확한 판단. 태종이 개국공신 정도전조차 견제했고 형제들까지 죽이고 처남들까지 다 죽여 그후로 권력투쟁 없는 강한 왕권을 확립한 결과 조선전기는 태평했음. 저렇게 싹 정리해줘서 세종이 편하게 국정 운영하고 한글창제할 수 있었던거.
@달빛뮤즈-p9z
@달빛뮤즈-p9z 23 күн бұрын
배경음악때문에 집중을 할수가 없군요
@뽀빠이-f4o
@뽀빠이-f4o 9 күн бұрын
음악소리 좀 줄여요!
@강은순-j4q
@강은순-j4q 11 күн бұрын
음악꺼요 차라리 안트는게 좋을 듯
@user-fh6sr3zr3k
@user-fh6sr3zr3k Жыл бұрын
천하에 빌어먹을 남편이고 사위였음 완전 싫어 태종이란 인간
@diddudrn
@diddudrn 8 ай бұрын
동서고금에 외척 땜에 망한 왕조가 하도 많으니 세종 치세의 왕권 강화를 위해 견제를 한것인데 과하긴했지.. 여튼, 신생국가 조선의 기틀을 다지고 세종치세를 더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만든 왕임은 부정못함. 처가에는 못했어도 자식들은 무진 아꼈고 첫째를 폐하고 셋째를 세자로 만들었음에도 세종 치세에 왕자의 난 같은 일이 안일어난건 태종이 자식을 다룬 태도가 큰 영향을 줬다고 봄. 실록에 자식땜에 울었다는 기록이 유독 많이 나오긴 하더라. 당대에 드물게도 직접 업어서 키웠다고 하기도 하고.
@여름밤-p2v
@여름밤-p2v 4 ай бұрын
뭐만하면 세종. 아들이 잘나면 애비가 죄지은거 욕도 못하냐 무논리 아메바야?​@fmgkdke
@릴리-z6k
@릴리-z6k Жыл бұрын
은혜를 원수로 갚은거지 이방원이
@강아지해피-y9i
@강아지해피-y9i Жыл бұрын
병신아 이방원이 저렇게 안했 으면 너 지금 한문쓰고 있다
@스능-s4m
@스능-s4m Жыл бұрын
넌 더할거같은디?
@김진원-r1l
@김진원-r1l Жыл бұрын
요것저것 실컷했것네,,부럽다.
@야부리-e3p
@야부리-e3p 10 ай бұрын
그랬기때문에 세종이 걸림돌없이 정치를 할수있었던것도 있음
@user-uz3mw6ov8t
@user-uz3mw6ov8t 9 ай бұрын
조선 초기말부터 외척들이 힘을 얻은 후로부터 왕권이 약화되기 시작했음 본인 와이프 집안 개박살낸 행동은 잘못됐지만 사실 잘한거임
@유카-d3r
@유카-d3r 24 күн бұрын
중전이 만들어준 임금자리.. 태종 이방원은 조강지처 친정까지 쑥대밭을 만든 웬수 같은 인연입니다.. 천벌은 있겠지요
@A-MOLRANG
@A-MOLRANG Жыл бұрын
광고 드럽게 많네 짧은데
@바람-y7z3j
@바람-y7z3j Күн бұрын
편집 음악이 참
@Tiger_sn
@Tiger_sn Жыл бұрын
태종은 세종이 없었어도 그 자체로 뛰어난 왕이고 원경왕후를 내친 이유는 그 자신의 새어머니인 신덕왕후 강씨의 입김이 왕(이성계)를 좌지우지 하였기 때문이죠 신덕왕후 이후에 외척을 경멸하는 모습이 많이 나옵니다 이후 충녕 즉 세종에 장인인 심온과 그 가문을 박살내버린것처럼 외척이 득세하면 왕실의 권위와 왕권이 지켜지지 못했다는걸 아는겁니다
@죄와벌-b4q
@죄와벌-b4q Жыл бұрын
이가놈들 자체가. 배신의 표상이다
@Sjskwkfgotq
@Sjskwkfgotq Жыл бұрын
원경왕후 동생들이야 자기 왕권강화 위해서 그랬다고 해도 며느리 집안 박살낸거는 진짜 이해 안되는 짓임 태종이 외척 다 몰살시킨 결과가 뒷배 없는 어린 단종 폐위 시키고 세조가 피바람 일으키면서 즉위하게 만든거임 세조가 조선 근간 다 흔들어버림 결과론적으로 봐도 좋은 선택이 아니었고 아들이 한글 만든 세종대왕 아니었음 태종이 외척 몰살한 일 지금처럼 좋게 평가 못 받았음
@rumpelstilzchen835
@rumpelstilzchen835 Жыл бұрын
​@@죄와벌-b4q 전근대 이전 왕권 국가의 한계지 무슨 가문 탓을 하고 앉았누 ㅋㅋㅋㅋ
@딩고-c4t
@딩고-c4t Жыл бұрын
자신의 권력을 잡고 휘두르는데 뛰어났죠
@겨울-r9v
@겨울-r9v Жыл бұрын
왕조 권력의 속성상 나눌 수 없었겠죠....조선말 외척이 득세하면서 나라가 어려워지잖아요.
@김정아-f1y
@김정아-f1y 25 күн бұрын
음향 때문에 너무나 짜증이 난다. 짜증난다는 말 한 3년간 안 쓴 것 같은데 짜증나요.
@DiegoPatrick-ph2lu
@DiegoPatrick-ph2lu Жыл бұрын
이방원 정력좋네. ㄷㄷㄷ
@Zero12582
@Zero12582 7 ай бұрын
저런 남자랑 살고싶어요. 물론 첩없이😂
@MoOKl120
@MoOKl120 Жыл бұрын
아주 확 🌶️를
@사과사이다-f1c
@사과사이다-f1c 6 ай бұрын
잼있다
@user-of1mu9lp4k
@user-of1mu9lp4k 21 күн бұрын
25:24 ㅋㅋㅋㅋㅋ 자막이 이방원을 멕이네 ㅋㅋㅋㅋㅋ 600년이 지나도 이렇게 욕먹을줄 이방원을 알았을지,,,😂😂 역대 왕중 인성으로서 최악이기는 하네요,,, 아무리 외척 견제라도 사람이 고마움을 알아야지 ㅉㅉ 그나마 이방원이 빨리 간게(??)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설레임-r1s
@설레임-r1s 22 күн бұрын
이방원이 그나마 제일 잘한 일...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준것!!!!!!!!!
@희망진아
@희망진아 15 күн бұрын
음악 좀 꺼요 으이구
@원숙의-r8h
@원숙의-r8h 4 күн бұрын
배경소리가 시끄러워요
@지수-n2u6i
@지수-n2u6i 11 ай бұрын
음향이 정말안좋다
@eunjeonglee1725
@eunjeonglee1725 19 күн бұрын
방원이 연하였다니.. 똑똑하고 독종ㅠㅜ계모의 욕심으로 희생된 방석이 불쌍해ㅠㅜ
@yougumuean
@yougumuean 5 ай бұрын
이방원ᆢ 세종이 이어진것도 운명 세조가 태어난것도 운명 ᆢ 조선 왕조의 역사를 보면 500년이나 이어진 것이 신기할 정도 ᆢ중국의 예를 보더라도 2-3번의 왕조가 바뀌었을텐데ᆢ
@채얼-m2e
@채얼-m2e 10 күн бұрын
이래서 내것 다 희생해서 남 서포트해줄 필요없다....키워놓으면 뭐하나 잘되면 다 지가 잘한 덕인줄 아는데
@김혜영-h2h
@김혜영-h2h 23 күн бұрын
2배속 하니까 딱이다ㅡ
@퉁소-k3y
@퉁소-k3y Жыл бұрын
효과음 시끄러워요.. 귀아퍼요
@김은순-f6j
@김은순-f6j 21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제일맘에 안드는왕이었는데..역시
@윤숙란-g9o
@윤숙란-g9o 22 күн бұрын
음악에 눌러서! 말소리를 들어야하는데 집중이안돼요
@JasonScottLee-r1v
@JasonScottLee-r1v 4 ай бұрын
11:11 이 내용이 나중에 용의 눈물에서 부부싸움할 때 나오기도 함.
@이서령-x7v
@이서령-x7v 19 күн бұрын
음악 좀 줄여줘요 ㅠㅠ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비밀 연못의 진실
10:30
지혜의 파도
Рет қаралды 51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