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부엉이들도 에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무료로 들어보세요! 쿠폰 등록에서 '리뷰엉이'를 치면 1개월 무료 + 3개월 50% 할인 받을 수 있어요! 리뷰엉이 쿠폰 등록하기 www.welaaa.com/membership/purchase-form/premium?crmCode=리뷰엉이 본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시 쿠폰이 미리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됩니다!
@giganticlee3 жыл бұрын
아이폰은 쿠폰등록이 안되는거 같은데요?
@hmmlee66613 жыл бұрын
했어요 ㅎㅎ
@Ingeeyong3 жыл бұрын
좀 궁금한게 그 행성과 지구의 시간이 똑같이 흐를까요 아니면 다르게 흐를까요? 중력이 더 강하다면 관측 할 때마다 모습이 달라지진 않을까요..
@옥동자-k3p3 жыл бұрын
리부엉리부엉..
@Kuaumidess3 жыл бұрын
앞에 BGM 제목이 뭔가요???
@김시선3 жыл бұрын
역시 오디오북은 과학… 아 영화…. 아 과학… 영화과학유튜버 리뷰엉이지 👍
@user-ee1dn9sp7z3 жыл бұрын
형?
@DIVE-GRAPHY3 жыл бұрын
어?
@grlahane3 жыл бұрын
응?
@익명-l9t3 жыл бұрын
이왜진이라고 생각하는사람 좋아요👍
@jaeseongkim10523 жыл бұрын
동종업계도 혼란이 오고있는거지..
@류원준-v1h3 жыл бұрын
다른 거처를 찾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일단은 생명이 살고 있고 생명 유지에 너무나 적합하게 만들어진 이 지구를 우리모두 잘 지킵시다.
@나현서-t7y3 жыл бұрын
다른 거처가서도 이런 사람이 살 공간도 처음부터 만들어야하고 나라별로 어느 공간에 자리잡을지 싸우고 난리날듯
@dany_0613 жыл бұрын
@@나현서-t7y 거기 생명체는 몰살 시키고 동물원만들고 거기행성 깽판칠거 생각하면 그냥 우리지구 우리가 파괴하다 다같이죽는 엔딩이 그나마 낫다
@나현서-t7y3 жыл бұрын
@@dany_061 파괴 , 낫다 입니다
@dany_0613 жыл бұрын
@@나현서-t7y ㅇ
@자라라모발아2 жыл бұрын
근데 다른 행성에서 사는게 불가능할거같은게 지구에서 만들수있는 최대의 힘이 다른행성에서 버틴다는 보장이 없을거같음
@justover38513 жыл бұрын
한가지 확실한건 케플러가 사람살기 좋은데라고 해도 현인류가 죽을때가지도 가볼순 없겠네요 ㅠㅠ 우주 가보고싶다
@Yu-kd3rx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게 팩트다 ㅋㅋㅋㅋ 기술혁신이 발전해서 가보지 않는 한 아직까지는 확실한거 아니다. 그냥 추측이니까
@hazejin56043 жыл бұрын
@@Companion_2024 그전에 인류 멸망할듯 환경오염 심해서요 ㅋㅋ
@simonpolar3 жыл бұрын
그림의 떡이네요ㅜ
@dubbybubby30243 жыл бұрын
종의 멸종 막는다 정도일듯...
@쁘이아빠3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궁금했던게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은 우주의 신비를 조금이라도 알 수 있을까였는데 아직도 궁금하네요
@아프리카노-o9l3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 대단하다 진짜.. 과학자들을 많이 양성해야되는데..
@새벽의가로등3 жыл бұрын
의사도요
@루루973 жыл бұрын
법조인도요
@user-yj1bu3rc7n3 жыл бұрын
양성은 바라지도 않고 지금 있는 과학자들이나 잘 챙겨줬으면
@정성-l9p3 жыл бұрын
@@새벽의가로등 의사는 지금도 양산되고있는데요..
@user-ut3uu5yy1h2 жыл бұрын
@@user-yj1bu3rc7n 똑똑한 사람은 웬만하면 의사나 법 쪽으로 가니까...,
@-260v3 жыл бұрын
같은 지구에 살지만 물고기가 땅에서 살 수 없듯이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거랑 인간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건 난이도가 너무 다르다. 물이나 산소, 온도는 물론이고 중력, 목성같이 소행성등의 운석충돌을 막아줄 방패나 방사선의 위협등등 너무나 고려할게 많다.
@Genari103 жыл бұрын
지구가 진짜로 믿을 수 없는 엄청난 확률의 행성이라는 거 하나는 확실히 알겠네요.
@새벽의가로등3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억단위 갯수로 있고 그 은하 1개당 태양이 억단위 갯수로 있으므로 의외로 지구같은 운좋은 행성들은 생각보다 많을수도 있어요
@goodday-w9s3 жыл бұрын
@@새벽의가로등 억이 아니고 조단위..그것도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우리은하에만 몇백개의 지적 생명체가 있을거라 예상한다고 하니..상상도 못할정도로 크죠
@kevinchoi65803 жыл бұрын
지구가 인류, 동물, 자연 입장에서는 엄청난 확률이었을 수 있지만, 외계 생명체 입장에서 관측한 지구는 살기 힘든데? 하면서 지나칠 수도 있을지 모르죠.
@새벽의가로등3 жыл бұрын
@@kevinchoi6580 맞아요. 애초에 탄소로 이루어져 있는 애들이 아닐수도 있죠.
@kevinchoi65803 жыл бұрын
@@Genari10 다양한 관점에서도 생각해보면 재밌는 부분인 것 같아서 말해봤어요. 저희둘이 이런 얘기를 같이하면 재밌을 것 같아서 말 걸어봤는데, 초치러 왔다 싶어서 경계하시는 마음도 공감은 되네요...^^
@ragnaraw3 жыл бұрын
태양보다 6억년 어린 별이라고 하니 생각나는 건데, 지구도 대략 6억년 전에는 평균 기온 -50도의 완전히 얼어붙은 얼음행성이었다고 하니까.. 겉보기 환경만 보고 판단하면 안될 것 같기도함.
@yttst71103 жыл бұрын
왜안되지ㅋㄱ6억년전에는 생명체가없었어요 그래서
@kingston37863 жыл бұрын
@@yttst7110 잘못이해하신듯.
@kingston37863 жыл бұрын
근데 비공개님글보다가 갑자기 뜬금없이 소름돋는 생각이 든게... 행성충돌이 모항성? 즉 태양과의 간격 거리가 바뀌고 회전속도까지 바꾸는 영향을 준것은 아닐까 하는... 그래서 지구의 온도가 바뀌고 핵이 반응해서 화산폭발을 하고 대지가 바뀌고 했던건 아닐까... 하는...생각까지 하게됐네요...
@김도영-o5m2b3 жыл бұрын
그 생명가능 지대 자체가 그 중심별에서 떨어진거리가 적당한, 생명체 살기에 좋은 온도라는거에요… 지구도 한 몇억년있으면 그 지대 벗어남 그 별의 나이와도 물론 온도가 상관이있지만 저 영상에서 생명가능지대로 추렷다고 했는데
@ragnaraw3 жыл бұрын
@@yttst7110 가장 오래된 생물 화석이 약 35억년 전이에요. 6억년 전이면 이미 후생생물(다세포 생물)이 나타나던 시기입니다. 물론 당시 지구가 완전히 얼어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도 부분까지 빙하지층이 발견되고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세계 전역에서 6억~7억년 전에 빙하가 있었다는 증거들이 발견됐어요. 물론 정말 지구 전체의 평균온도가 낮았던 거냐, 아니면 당시에는 자전축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기울어져 있어서 적도지방까지도 겨울에 빙하가 생길 정도로 기온이 낮아졌던거냐.. 등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요.
@TAECHANch3 жыл бұрын
우주과학이 가장 힘들면서 무서운점은 우리인류가 테라포밍하고 이주해서 살아갈수있는행성이 과학적으로 없다 라고 증명되는게 진짜 무서울거같아요 지구에서 결국 인류는 멸망하는게 확정이니..
@이네비터블-c1t3 жыл бұрын
아직 태양수명 몇십억년 남아서 괜찮을 듯
@2ChainZsensai3 жыл бұрын
@@이네비터블-c1t 그전에 지구의 환경과 자원고갈이 문제가 아닐까 걱정이네요ㅠ 또 인류간의 갈등 포함
@체크메이트-u5j3 жыл бұрын
인류가 멸망한다면 그건 태양이 죽어서가 아니라 식량난, 자원고갈로 인한 전쟁으로 멸망할겁니다 그러니 너무 먼 미래는 걱정할 필요가 없디고 봅니다
@황명엽-b7pАй бұрын
500만년뒤면 y염색체 소멸로 자연적으로 인간은 없어진데요
@thsutleosmswlsfl3 жыл бұрын
외계생명체, 심지어 문명까지 있었다 처도 서로간에 공동확인가능한 시간대가 안맞아서 인지를 못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어떤 외계인들의 문명은 그쪽 항성의 백색거성으로 변함에따라 날아가 버렸을수도 있구요.
@역삼제니스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엔 만약 우리의 신호를 알아차린 외계행성이 있다면 이미 우리몰래 지구에 출발을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근데 우리가 상상하는 엄청난 초월을 자랑하는 기술력의 외계행성일지라도 결국 빛의속도를 넘는 기술을 갖고있지는 못할 확률이 큽니다, 그래서 이미 우리에게 탐사선을 보내서 오고있는데 너무 멀어서 도중에 포기했거나. 아직 오고는있지만 최소 몇만년~몇억년이 걸리기 때문에 우린 다죽고 아득하게 먼 미래에 도착할 확률이 큽니다. (더 정확한 이유는 아무리~발전한 문명일지라도 결국 기초적인 우주의 원리를 따를 수 밖에없어서 ,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인 빛의속도보다 빠를수가없어요, 그러니 기술력이 미치게좋은 문명이 있을지언정 지구로 올 수가 없음, 진짜 한 100조억년이 지나서 실패와성공을 무수히 무수히.. 반복하다 결국에는 우주의 만물을 마스터한 초초초.초초초.초초초특급의 문명의 시대가 오지않는이상..ㅎ
@hhhhhhhh-l5n2 жыл бұрын
@@역삼제니스 지구와 슈퍼지구는 거리가얼마정도 에요?
@BalttakoZara2 жыл бұрын
@@hhhhhhhh-l5n 슈퍼 지구도 하나만 있는게 아니라서 어떤거는 26광년 떨어진 곳에 있고 어떤거는 11광년 또 어떤거는 73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어요
@jiji-q4j2 жыл бұрын
@@역삼제니스 말씀하신 것 중에 틀린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 만약 이미 출발을 한 상태라면 중간에 포기하고 돌아갔을 확률은 엄청나게 적습니다 출발 하는 시점부터 괘도 계산을 마치고 출발하므로 지구까지 오는 궤도 위에 착륙과 이륙이 동시에 가능한 행성이 있는게 아닌 이상, 중도 포기는 불가능 할 가능성이 크겠죠! 나머지는 모두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jo37702 жыл бұрын
@@역삼제니스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빛의 속도이다ㅡ 이 개념이 맞지 않습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는 거리가 서로 멀루록 더 빠르고, 가까울수록 느립니다. 예를 들면, 우리은하와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는 오히려 서로의 질랑이 이끌러 거리가 줄고 있지만, 머나먼 은하들과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거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의 각 은하 사이의 공간의 팽창이 한 점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닌, 동시다발적인 팽창이기 때문입니다.
@dr.agumon91463 жыл бұрын
문득 생각해봤는데 만약 지구와 유사한 행성으로 이주한다고 생각한다면, 워프같은 SF에서 나올 만한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이기 때문에 아마 마크로스 시리즈처럼 만들거나 소생태계를 보유한 우주선을 만들어 이주 인구를 데리고 다니던가 이주 인구 전체를 냉동 동면에서 재워서 데리고 다니던가. 가능성이 있는건 딱 2개.
@특급열차-q1v3 жыл бұрын
관심있는 행성 중 하나였는데 영상 잘 봤습니다. 근데 이 영상에서 안나온 부분이 있는데 우리가 만약 이 행성을 갈 수 있다고 해도 기후보다 심각한 문제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중력이죠. 이 행성은 질량이 대략 지구의 10배가 넘는다고 추정되죠. 물론 이 행성은 지구보다 더 크기는 하니 같은 면적 당 받는 중력은 10배수준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지구보다는 중력이 훨씬 더 강하다는 것은 부정하긴 힘듭니다. 기후는 에어컨이나 히터로 대부분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심해도시 같은 걸로 할 수도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중력은 해결 방안이 없습니다.
@이승호-d3w3 жыл бұрын
중력 500배 보단 낫지 않습니까
@Scharnhorst81603 жыл бұрын
또, 중력이 강한 만큼 우주 탈출속도 또한 커지는데, 그정도 추진 엔진도 없거니와, 현재 기준의 연료로는 한 번 들어가면 다시 우주로 나갈 수 없는것도 문제라면 문제가 아닐까 생각되네요ㅎㅎ
@entp69163 жыл бұрын
중력 커지면 좋은거 아님? 시간 더 천천히 흐를거니깐
@user-ko3pz4vl5v3 жыл бұрын
@@entp6916 상대적인거라 모두가 거기있으면 똑같음
@hepariful3 жыл бұрын
@@entp6916 중력이 커지면 좋다고? 한번 높은 산 등산 해보시길 그 고통이 그대로 전달됨 중력이 커지면
@mungoo12033 жыл бұрын
지구가 얼마나 소중한 행성인지 또 생각해 보네요. 어떻게 이렇게 절묘한 위치에 생명이 살 수 있게 딱 만들어 졌는지요~
@HUMAN38275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굳이 다른행성에 생명체를 찾는 블필요 한 일은 안해도 될건데. 금방 찾아냈으면 우주전쟁은 시간 문제였을거야.
@cksdb-n1b3 жыл бұрын
@내시빌더 아아 안심하세요 병원입니다.
@Lecorep3 жыл бұрын
@@HUMAN38275 ㄹㅇ 진짜 왜그러는지 이해가 안됨 차라리 선사시대수준이거나 문명이 있더라도 고대수준이면 몰라도 동급인 외계인들을 왜 찾는지...
@머빵준3 жыл бұрын
지구에 생명이 존재한게 대단한 이유가 아님 이렇게 절묘한 위치에 라는말이 대단한게 아니라 그냥 우주어딘가에 한공간에 지구의 생명체가 살 조건아 충족돼서 생명이 생긴것 뿐임 예를 들어서 땅부자가 넓은부지에 흙을 깔았을때 식물이 자랄 조건을 갖춘 위치에선 싹이 나는거랑 똑같은거임. 여기서도 애매한게 생명체가 살듯한 조건으로 지구와 비슷한 행성들을 찾는데 인간은 지구의 환경조건에 맞춰잔 생명체지 먼 우주에는 낮은온도에서도 생활가능한 생명체들이 있을 수 도 있음..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이라는건 그 누구도 모르는거임
@더샷-u9l3 жыл бұрын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수명이 짧지도않은 그런 항성에서 적당한 거리에 있어서 살기좋은온도에 또 대기가 있고 물이있고 육지도있고 화산활동으로 유기물도 형성되고 자기장도있어서 항성으로부터 보호도해줘 자전축도있고 공전주기도 적당해서 계절도있고 위성인 달까지 있어서 파도와 해류 순환도 잘 시키지 이 모든걸 다 갖춘 행성이 바로 지구. 이러니 공룡같이 큰 생명체도 멸종햇다가도 다시 또다른 생명체가 진화하는걸 반복하는거임. 지구가 태양에 먹히는 날 전까진 웜홀이나 빛의속도로 이동할수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인류는 케플러22b같은 행성으로 이주할수있을꺼고 아님 이 무한한 우주의 관점으로 인류는 먼지입자 하나와도같이 하찮고 순간적인 존재이니 잠깐 번영하다 사라지는 존재되겠지...
@정산호-z3f3 жыл бұрын
이제 이 채널의 영화리뷰가 기억나지 않아.....그저 우주의 신비가 있을 뿐이야.....
@홍재재2 жыл бұрын
엉이호 너무 멋져요^^ 저는 소설 쓰는 작가인데 리뷰엉이 자주 봐요. 아이디어 많이 얻어 갑니다. 늘 감사해요.
@battlenyang4183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세상은 시뮬레이션일까요? 어떻게 이렇게 적당히 도전할만한 위치에 여기 한번 탐사해봐라라는 의도가 느껴질정도의 쌍둥이 항성계가 있는걸까요. ㅎㅎ
@다이아-n4h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고퀄리티의 영상을 만드는지 정말 대단합니다
@zhenhe083 жыл бұрын
2년 만에 지구와 비슷한행성 28개를 발견했다는 것은 10년만 조사해도 100개가 넘는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을수 있을것 100%
@라모스-r2d3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혹시 영상 아이디어 다 떨어지면 고생대부터 현대까지 존재했던 생물들 ○○대 ○○기 ○○절 ○○지층 단위로 나눠서 10속 이상 알려주는 컨텐츠 해주실 수 있을까요.
@dong_hae_bada3 жыл бұрын
오 좋네요 👍
@junne20003 жыл бұрын
아뇨? 다시 영화리뷰 유튜버 부엉부엉이로 돌아가실건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rofit38163 жыл бұрын
부엉이 죽는다
@돌고래고래-j4n3 жыл бұрын
@@user-eh1wc7hn1m 아 내핵까지 뚫고 들어가는 영화 코어 리뷰라고 ㅋㅋㅋㅋ
@metalbloodchoi71123 жыл бұрын
이건 쥬라기공원 리뷰 하면서 쭈욱 언급 하면 일년은 리뷰 가능할듯 ㅎㅎ
@binlee47292 жыл бұрын
케플러 22b는 발견되고 연구된지 꽤 돼서 현재 우주과학계가 난리인건 아니구요, 물이 있는 행성은 생각보다 흔해서 딱히 발작버튼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22b 행성이 암석이 없는 바다행성일 가능성이 높다하고, 크기나 여러가지 관측결과를 종합하였을때, 온실효과가 커 바다 표면이 끓고 있을거라고 추측한다고 합니다. 그래도 영상 잘 봤습니다.
@점메추-c9f2 жыл бұрын
응 다음 진지충
@handle-_-.2 жыл бұрын
@@점메추-c9f 이게 무슨 진지충이죠. 과학적 사실을 전하는 영상이고 만일 그 사실에 오류가 있다면 목적부터 의미를 잃는것 아닙니까
@youtube-user98752 жыл бұрын
하연수니? ㅋ
@user-dy1my7zk1y2 жыл бұрын
@@youtube-user9875 하연수 말투가 좀 진중하다고 여기서까지 비꼬네;;ㅋ
@yn315630722 жыл бұрын
삐딱하다 삐딱해ㅋㅋ 댓글 뒷부분만 써도 될걸 앞에는 왜 굳이?ㅋㅋㅋ
@뿡뿡-v5x2 жыл бұрын
매번 영상을 정주행하는데요 진짜 재밋게 정보를 알랴주시는거같아여 너무 재밌어요 ㅠ^ㅠ
@꼬라지-i4t3 жыл бұрын
초기 지구랑 비슷할지도.... 초기 지구도 물로만 이루어져 있었는데...소행성 및 달의 충돌로 물은 적당하게 증발하고 달의 충돌로 튕겨져 나간 부분은 달이 되고 남은 부분은 육지를 이루는데 영향을 주었다는 이론... 그래서 달과 지구가 같은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돌고 있다는 설~ 케플러b에 달처럼 충돌로 위성이 생겨서 조석간만(조석간만이 중요한 이유가 생명체 진화에 지대한 영향을 줌 특히나 수중생물에서 육상생물로 전환되는 과정에)이 생기고 목성같은 거대한 행성이 소행성의 충돌로 막아주면 생명체게 발현되고 진화할지도... 물론 몇 억년 뒤에~~~ㅋㅋ
@로제는이쁨3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우리 지구가 얼마나.축복받고 이 지구에서 태어난 인간들이 얼마나 축복받고 고귀하고 소중한지 알것같디 ㅠㅠ 다들 감사하며 삽시다
@jade_jin3 жыл бұрын
다큐 리뷰나 소개같은거 해주시는것도 좋은데. 원 스트레인지 락 되게 좋아요
@hshsh4191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과학 유튜버 리뷰엉이님의 영상 잘보고 갑니다
@sweetpuding79453 жыл бұрын
백만유튜버 축하드려요
@polarbear67523 жыл бұрын
리뷰엉씨 예전 영상에 따르면 빅뱅이후로 계속해서 은하는 멀어진다고 했는데, 그럼 우리 과학기술이 발달속도가 못따라가면 결국 가지도 못할거 제2의 지구는 있으나마나 한거 아니오?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전을 어느 정도의 속도로 하느냐인데... 자전속도가 너무 느리면 극이 발생하지 않아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을거고 그러면 우주의 방사광선을 막아줄 수 없다는 거... 자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밤낮이 너무 빠르게 바뀌고 무거운 원소는 계속 적도 쪽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에 대한 결과는 나도 모르겟다...
@mirr6602 жыл бұрын
또 행성이 이미 너무 많이 식었다면 이 또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아 우주의 유해한 광선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할 수 없다
@paulkang03093 жыл бұрын
엉이님 어제 봤는데 어제부터 계속 보게되는 이런 신비한 마법 엉이님이 최고임!
@paulkang03093 жыл бұрын
ps. 지구 : 나를 버리지 마...!
@erizlea3 жыл бұрын
아 윌라 오디오북 진짜 좋아요. 성우님들 연기에 빠져들어갑니다.
@wifilte99153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앞으로 발사될 예정인데 이 망원경으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다고 합니다.
@EEcircuits3 жыл бұрын
오늘 나왔습니다!
@전희정-z3l Жыл бұрын
0:28 쯤에 사용한 움직이는 우주 배경은 출처가 어디인가요..? 너무 멋지네요 :)
@chk90163 жыл бұрын
지구는 지구에서 살 수 있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일 뿐이지, 다른 행성도 그 행성에 맞는 생명체가 살거나 우리 눈에만 보이지 않을 수 도 있고, 차원이 달라 만나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HangWoonE3 жыл бұрын
케플러22b에서는 리뷰독수리가 지구를 주제로 유튜브 영상을 제작 했을수도…
@BOB-tu4bo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EEcircuits3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저 행성의 조건은 이러저러해서 생명체가 살기에 너무 혹독한 환경입니다" 이렇게 설명할 수도 있음 ㅋㅋ
@맛있는갈비3 жыл бұрын
제 추측인데 인간이 지구에서 태양계 밖 행성을 찾고 관측할때 생명체가 안보이는 이유는 몇광년이든 우리가 그 행성의 과거 모습을 보고있는것 때문이 아닐까요? 우리지구에서 예를들어 5광년 떨어진 행성이면 5년전의 행성을 보고 있는 것이니까요 혹시 3억광년정도 떨어진 행성을 보면 지금 우리가 관측할때는 3억년 전의 행성이라 아무것도 없지만 이미 엄청나게 많은 문명을 이루고 이루어가고 있지 않을까요?
@jiji-q4j2 жыл бұрын
추측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그렇답니다
@jason_cha3 жыл бұрын
통과관측법은 항성과 지구 사이에 행성의 궤도가 있을 때만 관측이 가능하죠. 하지만 그렇게 각도가 딱 맞아 떨어지는 행성이 많을까요? 아니면 그렇지 않은 행성이 많을까요? 그렇지 않은 행성이 훨씬 더 많죠.케플러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행성보다 발견하지 못한 행성이 수백배는 더 많을 겁니다.
@osillot2 жыл бұрын
윌라 오디오북 미리듣기 하나 올려줬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근데 이 영상은 전에 봤는데 알고리즘은 왜 자꾸 또 보라는걸까요? (자동재생에 계속 뜸..)
@ilheunsong67762 жыл бұрын
우와 책까지 소개해 주시니까 너무 좋아요?
@No.95_Storm_Mr.garcia3 жыл бұрын
칼세이건 박사님은 우주컨텐츠 어디에든 다 계심
@fiercehan67913 жыл бұрын
상징이죠
@Cro-cop3 жыл бұрын
뷰엉이님 그동안 허블망원경으로 생명체가 살것같은 골디락스 존 행성들을 항성의 빛이 끊기는 지점? 같은걸로 '있을것이다' 라는 추측만 했었잖아요? 이번에 올려진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그 행성들을 직접 보는게 가능할까요? 진짜 궁금하네요 ㅋㅋ
@hk-ie2fv3 жыл бұрын
근대 만약에 인류가 저 행성의 이주하기로 마음먹었는데 저 행성의 이미 문명을 이루고 있는 생명체가 있다면 어떻게됨? 전쟁해서 뺏어야 하나?
@크러쉬-i5c2 жыл бұрын
인류도 지구에서 그렇게 살아남앗음..못할것도 없지요..
@아기상어-x9s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못 가니까 ..
@Coronavirusoriginal Жыл бұрын
콜럼버스와 인디오 꼴 날듯
@sjchoi777 Жыл бұрын
지구로부터 600광년 ㅋㅋㅋㅋ
@jamesbak2575 Жыл бұрын
저기까지 못감 ㅋㅋㅋㅋㅋㅋ 인류 멸망할때까지
@김선임-d1r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좋은지식 감사합니다.
@c17a9a-n2x2 жыл бұрын
10:04 500파스칼압력에 영하 20도 온도 -> 500메가 파스칼 압력에 영상 20도 온도
@user-bi3tx5vd4p3 жыл бұрын
지구가 진짜 운 좋은듯 태양계만들어질때 운 좋게 적당한위치에 얻어걸린듯합니다
@VacuumPepE_3 жыл бұрын
심지어 골디락스 존에 걸친다고 되는게 아닌데 자기장에 대기권까지 강하니...
@아노잼-y2h3 жыл бұрын
사실 저 행성들에 이미 생명체가 살고 있었는데 운이 안좋아서 멸종한것일수 있지 않을까요? 지구는 운이 좋아서 살아남은것이고요 갔는데 문명의 흔적이 있는것이죠
@entp69163 жыл бұрын
@@VacuumPepE_ 골디락스 존에 들어가니까 전자기장도 생기는거임 ㅋㅋ
@VacuumPepE_3 жыл бұрын
@@entp6916 전자기장은 지구 외핵 또는 내핵에 철과 같은 자성금속이 녹아 일으키는 대류현상때문에 생기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아니었나보네요
@entp69163 жыл бұрын
@@VacuumPepE_ 아 맞다.. 지2를 배운지 1년 반이 되서 순간 까먹었네요 맞아요.. 핵 대류때문이었어요
@노코-j2n3 жыл бұрын
만일 케플러22-b 도 우리 지구처럼 지능형생명체 즉 인간이 존재하여 우리 지구를 발견하였다면 현재 거기서 본 우리의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현재 케플러22-b의 상태는 어떨까? 궁굼하네요
@강병민-o7e3 жыл бұрын
아 윌라오디오북에서 들은게 영화관련도서가 아니라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라니 역시 진성 과학유튜버의 길을 가시는 전직 영화유튜버 리뷰엉이
@ur44man3 ай бұрын
명왕성이나 수성 등 너무 춥고 뜨거운 곳에서도 생명체와 문명이 있지않을까 ?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온도라는건 우리 인간들만의 기준인거고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외계 생명체들은 생각치도 못한 곳에 이미 존재하고, 그들은 오히려 지구를 생명이 살수없는 지옥이라고 생각할지도..
@shm60122 жыл бұрын
서로 존재차원이 다르게 존재한다면? 우리 눈에는 안보이더라도 우리 바로 곁에 생명체는 존재할수 있는거겠죠 토성에서 살다 왔다는 지구인도 있고 전생에 화성인이었다는 유리마씨도 있었죠. 우리눈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않아보여도 거기에는 이미 생명적 존재들이 존재하고 있는거겠죠 난 수성과 금성에도 지구인보다 영적으로 크게 진보된 존재들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nanna20153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어쩌면 최초의 생명체 탄생이 지구에서 일어난 것 일수 도있고... 이미 많은 문명이 멸종 하고 운 좋게 지구에서 문명이 시작 된 것 일수도 있고.. 다른 외계 문명이 아직 우리 구석기 시대의 수준 일 수도 있고... 모르겠다..
@김핌아3 жыл бұрын
반대일수도
@최건반3 жыл бұрын
항상 들을때마다 느끼는거지만 목소리가 편하고 귀에 쏙쏙 들어옴
@BIGRC-u2h3 жыл бұрын
프로젝트 헤일메리를 본다면 시각의 다양화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게될거예요.이책 관점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얥2 жыл бұрын
이 넓은 우주에서 오직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 한다면 엄청난 공간의 낭비임과 동시에 형용할 수 없을 만큼의 낭만 아닐까
@svenylee4832 Жыл бұрын
뻔한얘기하네이놈은
@별-c2hАй бұрын
@@svenylee4832왜그렇게 살까
@snack-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리뷰엉이 따따따봉
@Rrrrressq13 жыл бұрын
지구의 행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들도있을텐데 먼가 또다른 돌잔액들이 계속 신규행성을 만드는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pisick0017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린이도 이해가 될정도로 쉽게 과학을 알려주는 영화(?) 유투버
@압도적인힘으로-u3o3 жыл бұрын
참신기한게 어떻게 수 많은 별들에 그 물이라는 액체가 공통적으로 있을까요 ?대체 물이라는건 뭐길래 우주곳곳에 뿌려져있는건지 참 신기합니다
@tkdvPehoska3 жыл бұрын
물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생김요
@오이오이-b3o2 жыл бұрын
이 형은 얼마나 큰그림을 보는겨 성지순례 가즈아
@두리삼촌v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지구와 비슷하고 해당 외계행성에 생명체가 살고있다 하더라도 산소로 숨을쉴수 없다면(외계행성 생명체들이 산소가 아닌 다른 무언가로 호흡한다면) 인류가 살수 없겠죠 그행성의 생명체는 호흡하며 살수있겠지만 인간은 반드시 산소가 있어야 호흡이 가능하니까요 생명체 존재유무도 중요하지만 산소의 유무가 더 중요한거 같네요...
@아이언스-x3b3 жыл бұрын
현실적으로는 몇만년이 걸려서라도 탐사선을 보내 관측하는것이고, 살기 적합하다 판단되면, 지구멸망 이전에 냉동기술로 인한 영면으로 가는수밖에 없을듯. 웜홀이나 빛의 속도는 수억년이 지나도 이뤄질수 없을것 같음.
@밥묵자-c9p3 жыл бұрын
@@정재민-m5t 지구는 안망해요 인간만 망해요
@แมทธิา3 жыл бұрын
@@밥묵자-c9p 행성이 안망한다고? 영원한행성이 있었던가?
@dhkim83943 жыл бұрын
@@แมทธิา 영원한건 없지만 몇만년은 살아있다는게 요지임
@밥묵자-c9p3 жыл бұрын
@@แมทธิา 몇만년만에 망할 행성이면 이미 생명체는 없다고 보는게 맞죠? 몇만년정도로는 안망한단 말입니다
@오공블랙-u5i3 жыл бұрын
@@밥묵자-c9p 1억년 생존가능
@보충제에밥말아먹기3 жыл бұрын
진짜 리뷰엉이 존나 재밌음 ㅜㅜ
@J151023 жыл бұрын
바닷물이나 대기 등 지구와 환경이 다르다면 그 다른 조건에서 적응하여 발전한 생물들이 있지 않을까요? ^^ 가볼 수는 없어도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은 언젠가 보고 싶네요.
@devilnme2 жыл бұрын
신세계라고 도착해보니 인류보다 수억년 잎선 기술을 가진 고등 생명체들이 서식중.
@월요일은사라져라2 жыл бұрын
만약 생명체가 발견된 행성에 가본다고 해도 살아남을수나 있을지 의문이네요 우리 지구만해도 외계인이 발견되면 바로 잡아서 생체실험부터 할텐데 그 행성이라고 우리를 달갑게 받아줄까요
생명체가 살아갈 확률이 높은 행성이라면 저 행성에도 생명체들이 지구처럼 문명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겠죠. 빠르게, 빠르게, 갈 수 있는 비행선을 만들어 어떻게 해서 우리 지구인들이 방문을 했다쳐요. 그들이 호의 적으로 우리 지구인을 받아들인다면 지구인들이야 좋겠지만, 만일 그렇지 않다면 아바타 영화처럼 전쟁이 일어날지 모를 일이라 생각이 들어지네요. 어차피 지금 세대는 희망사항일 뿐 꿈도 못꿀 일, 다음 생으로 윤회를 하여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새싹반짝-n9t4 ай бұрын
우리가 보고 있는 케플러22b는 600년전 모습이고 광속으로 달려도 600년임. 아무리 빠른 우주선을 만들어도 천년넘게 걸릴거고 동면장치같은걸 써도 우주선 및 기계가 천년동안 고장안나고 멀쩡해야하는데
@Infinitesounds-u8l3 жыл бұрын
지구에 살고 있다는거 자체가 기적이네요
@user_wyeudk2iw7jqj2 жыл бұрын
문재앙의 시대에 살았다는게 기절초풍임.
@수지로TV-f1i3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기보다 그 행성에 살 수 있을 만한 단세포 하나를 떨어트리는것이 훨씬 빠를지도 모름. 지구에 사는 생명체도 그렇게 단세포에서 점점 진화했듯이...
새 지구를 찾기 전에..ㅜㅜ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이 지구를 아끼는 마음을 사람들이 가졌으면 좋겠다. 세상에 존재하기 무척 어려운 환경의 축복받은 지구...
@Pepe-i4s3 жыл бұрын
언젠가 인류가 새로운 행성에 정착하는 그런 날은 오게될까... 그때를 내가 볼 수 없다는건 너무 아쉽네
@ssm-ge9qs2 жыл бұрын
만약 저 별에 우리같은 인간이 살고 있는데 아직 발전이 덜 되서 우주같은건 관측을 못하고 자기들끼리 우리처럼 놀고 있다고 생각하니깐 소름끼친다.
@야마천인6 күн бұрын
단순한 생각이 다른 행성으로 이주한다는건데 건담에서 처럼 우주에 거대 콜로니를 만들고 모든 환경을 통제하는게 생존에 더 유리하죠. 행성거쥬는 병균부터 기후, 지진 등 재난 등이 있어서 생존에 유리하지 않아요.
@김광태-s4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지구를 잘 보존 하고 보호 하자. ❤🎉
@renovonkiria14373 жыл бұрын
지금 우리가 보는 케플러 22b는 몇 년 전의 모습인가요. 어쩌면 지금 이 순간의 실제모습과는 엄청나게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X달력3개3 жыл бұрын
587.1광년 떨어져 있다고 하네요 그러니 587.1년전 모습입니다
@민초파인애플피자부먹3 жыл бұрын
587년이면 막 드라마틱하게 바뀌진 않았을거같음
@seungtaeyoue54643 жыл бұрын
대충 600광년이라니까 600년 안쪽(6세기)이니 참 괜찮은 위치 같더군요. 태양풍 돗 으로 가면 최고속도가 광속의 25%라니까... 12.5%라고 보고... 600의 8배... 4800년 가야하네요. 서력으로 만든 인류사보다 오래걸리네 ,ㅡ,';ㅡ
@tymoon33123 жыл бұрын
@@seungtaeyoue5464 웜홀을 개발하지 않는이상 불가능할듯....
@박성찬-n1d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이건 지구 기준이고 온도가 너무높거나 너무 낮아도 생명체가 살수있을지 않을가요?
@밥묵자-c9p3 жыл бұрын
그럴 가능성도 충분히 있지만 일단 우리가 아는 선에서 최대가능성을 가지고 찾는것이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은 행성부터 찾아보는것입니다 어떤 행성에선 불이활활타는데 지적생명체가 있을 수 있고 어떤 행성은 얼음천진데 지적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죠 하지만 아직 인간이 아는 범위에선 없고 그중에 가장 가능성이 높은 행성부터 탐색하는겁니다.(주워들은지식)
@시요-i2o3 жыл бұрын
A라는 책을 찾을려면 어디를 봐야할까요? 대부분 서점이나 도서관을 찾아보지 이상한 식당같은데에선 찾지 않을거에요. 물론 식당에 A책이 있을순있지만 가능성이 높은쪽을 찾는거죠
@dlwodlwo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생명체를 찾는목적이 인간이 갈수있냐 없냐일테니까
@sho44243 жыл бұрын
인류는 아직 지구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생명체 이외에는 발견한 바가 없어서 그 외의 조건에서 생명체가 존재 할지 혹은 우리가 생명체라고 정의하는 형태가 아닌 전혀 새로운 형태로 존재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또한 우주는 너무나도 넓고 셀수도 없을만큼 무수히 많은 천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도 빠짐없이 탐사를 진행하는건 불가능하죠. 온도가 너무높거나 너무낮은 곳에서 생존이 가능한 생명체가 실제로 존재한다거나 심지어 판타지에 나오는 정령이나 골렘처럼 자아를 가진 바위같은게 우주 어딘가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그걸 찾으려면 어떤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디를 탐사해봐야 할지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뭔지 모르는 걸 찾을 수는 없는 노릇이죠. 결론적으로 상기의 이유때문에 지구의 환경과 유사한 행성을 찾아보는 노력을 하는겁니다.
@박성찬-n1d3 жыл бұрын
긴 댓글 써주시느라 힘드셨을 텐데 감사합니다
@쿠쿠-q2v3 жыл бұрын
역시 리뷰엉이형의 과학시간은 잠이 잘와...
@박박콰3 жыл бұрын
내가보기에 이동하는 기술발전보다 화성이나 금성 특성을 이해하고 테라포밍해내는 기술발전이 더 빠르고 현실성 있을듯. 다만 지금까지 모든 과학적 발전은 결국 작은 계산과 작은 의문점에서 부터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다는걸 보면 그 속도는 점점 말도안되게 빨라지고있고 결과물은 점점 커지기때문에 분명 우주개척은 가능해지는데 결과물과 정답이 나오기전에 일단 난 죽고없겠지
@pointzeroLL2 жыл бұрын
이동제약이 가장 중요하죠. 이동제약이 사라진다면 그 어떤 부담없이 수많은 시도를 할 수 있으니깐요~
@gush_0411 ай бұрын
웜홀?
@김현호-v8m2 жыл бұрын
브금이 좋아서 그런데 제목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sk6g02 жыл бұрын
케플러22b가 지구의 2배정도니까 중력도 2배로 환경이 된다해도 인간이 그 중력을 못버텨서 오래 못 삼. (어느정도 적응 돼면 살 수도 있지만 당장은 못 삼)
@고건희-o2m Жыл бұрын
드볼 손오공은 금방 적응할텐데 ㅎㅎ
@sk6g0 Жыл бұрын
@@고건희-o2m 손오공도 중력 땜에 못날고 걸어다님ㅋ
@danieljeong47793 жыл бұрын
질량이 크면 중력도 큰가요? 중력이 크면 지구에서 몸무게보다 2배이상인데 살수없는거 아니에요?
@yttst71103 жыл бұрын
우주미아되는것보단 낫지
@entrepreneur79393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 진짜 하늘이 내려준 천재 같다..;;
@ryans5183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 은 어디가면 들을수 있나요?
@루디와쪼랭이2 жыл бұрын
이 상태로 이주해봤자 또 똑같은 잘못을 저지를 뿐... 게다가 이주할 행성에 다른 지적 생명체가 없을 거란 보장도 없고. 그렇게 따지면 우리는 침입자가 될 것 같음. 우릴 편하게 살게 해준 행성에 최선을 다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성병일-w2f3 жыл бұрын
지구형 행성의 이야기를 아무리 들아봐도 진짜 망가질대로 망가진 지구만한 행성도 없단 생각이 듭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고쳐써야지 저 외계행성들 고치는건 아무리봐도 가성비가 안나오는듯해요
@gointp3 жыл бұрын
음.. 근본적인 의문인데.. 인간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 건 좋지만, 그런 행성이 있다면 거기엔 이미 생명체가 발생해서 살고 있겠죠? 우리가 그곳에 이주를 할 수 있을까요? 우리 같은 혹은 우리보다 더 고등한 생명체가 있다면 어떻게 되는거죠?ㅜㅜ 외계인과 접촉하지 말 것을 당부한 스티브 호킹 박사의 말씀이 떠오르네요..
@dany_0613 жыл бұрын
우리지구도 인간들이 이기적으로 빈사상태로 만들엇구만 다른행성가서 거기 생명체들 지배하고 염병떨거 생각하면 나도내가 죽는건 싫지만 그냥 지금 당장이라도 멸종해야 다른동물들과 지구에 좋지않을까 인간만없어도 지구는 원래대로 돌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