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거기 안 가는데요" 텅텅 빈 대구의 심장 동성로 | 총총견문록

  Рет қаралды 186,794

집코노미

집코노미

Күн бұрын

요즘 대구 동성로에 가보셨나요? 한때는 한강 이남 최대 상권이라고 불리던 곳입니다. 이젠 서너 집 건너 한 집이 비어 있지만요😮 이곳의 상징과도 같던 대구백화점 본점 건물은 폐점 이후 거리 한복판에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요. 총총견문록에서 다녀왔습니다.
#동성로 #대구백화점 #대백 #상가 #상권 #폐점 #공실 #대구 #동대구 #교동 #노보텔앰배서더 #전원돈까스 #미진분식
📰 한국경제신문 구독하기
📌bit.ly/3UWszkb
❤비즈니스 문의 jipconomytv@gmail.com
ⓒ영상의 저작권리는 한국경제신문에 있으며 무단 도용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1 200
@밍샤-u6n
@밍샤-u6n 4 күн бұрын
처음엔 재미로 봤는데, 회차가 누적되면서 진짜 나중에는 2020년대 부동산 현장을 생생히 기록한 역사적 자료로서 가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최고입니다😊
@hterius95
@hterius95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제외 지방은 인구소멸로 어차피 사라질 도시다 ㅉㅉ 앞으로는 지방에 투자하지말고 서울 수도권에만 투자해라 지방에 투자하는건 돈 낭비다 ㅉㅉ
@leeja1294
@leeja1294 Күн бұрын
@@hterius95 지방 소멸하면 그 담은 수도권임... 물이 가장자리부터 마르고 있는데 물 중앙에 가 있는다고 강 건너 불 구경 할 게 아님
@freejail
@freejail Күн бұрын
@@leeja1294 이게 맞긴함 ㅋㅋ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Күн бұрын
@@hterius95 그냥 넌 중국인해라 ㅋㅋㅋ 아니, 진짜 중국인일지도?
@hterius95
@hterius95 Күн бұрын
@@leeja1294 지방이 먼저 소멸할까? 수도권 서울이 먼저 소멸할까? 1000만원 내기하자
@클랜클랜-q9e
@클랜클랜-q9e 3 күн бұрын
동성로가 문제가 아님 대한민국 전부 다 심각함
@MEXCHUOBIBYBIT
@MEXCHUOBIBYBIT 3 күн бұрын
동성로가 망하게 된 이유. 예전에 대구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자 하면 무조건 시내(동성로)를 가야했죠. 옷을 사려해도 시내. 핸드폰 사려고 해도 시내. 남녀들 만남하려고 해도 시내 .컴퓨터 사려고 해도 시내(교동) . 근데 인터넷이 발달되고 동내상권들이 커지면서 시내에 가야 이유가 사라져 버림. 지금의 시내는 10대 20대들 클럽가서 짝짝꿍 하려고 가는 장소일뿐
@bigboyb3961
@bigboyb3961 3 күн бұрын
내란세력들 예전에는 내란수괴만 찬양하면 평양처럼 세금으로 다 해줫지만 민주화이후 자생력이 없어서 망함
@성이름-c3g3o
@성이름-c3g3o 2 күн бұрын
​@@bigboyb3961북조선도아니도 수괴이런단어 꼭써야하나여?
@j.4956
@j.4956 2 күн бұрын
@bigboyb3961 병원 가보세요. 중증이네요.
@영영-o9z
@영영-o9z 2 күн бұрын
@@bigboyb3961 참 생각하는거 하고는~~~~
@yeungjin1111
@yeungjin1111 2 күн бұрын
대구사는 사람은 알고있음..이게 정답임..근데 희안하게 관할청 관계자들은 이런 간단한 이유를 모르는거 같음 경기침체다 소비수축이다 어쩌고 저쩌고 어려운 경제 용어 갖다가 붙임 그냥 동네에 대형상권, 온라인 발달로 그냥 동성로 상권이 축소된거임..100이 있다면 60이상은 온라인매장구매로 이동임
@tankbefor8640
@tankbefor8640 3 күн бұрын
양말 한개도 쿠팡으로 시키니까 시내는 더더욱나갈일이없음
@zxv599
@zxv599 2 күн бұрын
그런듯... 쿠팡이 너무잘되있긴해요
@아웅-y9f
@아웅-y9f Күн бұрын
거기에 요즘은 집앞에 영화관 카페 맛집 다 있으니 굳이 갈 이유가 없죠. 예전 15년전 2000년 초후반때야 동성로에 가야 영화도 보고 밥도 먹고 하니 간거지 요즘 딱히 갈 이유가 없음. 그나마 현대백화점인데 동대구 신세계도 워낙 크니
@leeja1294
@leeja1294 Күн бұрын
집돌이집순이들은 더더욱 집에 틀어박혀 있기 좋은 시대가 됨 ㅋㅋㅋ
@그러지말자-x6l
@그러지말자-x6l Күн бұрын
대구시민입니다 제대로좀 알고말하세요 대구경제가 무너진것은 문재인정권에 의한것이라고 자유대한민국애국보수 국민들은 그렇게 생각합니다.대구가 얼마나 눈에 가시였겠습니까? 그래도 우리 대구애국시민들은 똘똘뭉쳤습니다. 어저께 동대구역의 역사가 바로 그것이죠
@sanghoonoh702
@sanghoonoh702 Күн бұрын
@@그러지말자-x6l 나도 대구 사는데 시내 나갈일이 없다. 정신 좀 차려라. 언제까지 문제인 탓하고 있을래. 어이그~~~~
@KINGOTAKOO
@KINGOTAKOO 4 күн бұрын
20년 전에는 중심상권에 다 몰려있어서 거기에서 만나서 다 해결했는데 요즘은 어디든 다 있는 느낌이라 딱히 갈 필요가 없다고 느낍니다.
@Shshsyywy8
@Shshsyywy8 2 күн бұрын
핵심은 그것임...그리고 동성로는 20대 극초반에 맞춘 상권이라 나이들면 안감
@jiyoonpark7367
@jiyoonpark7367 2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hterius95
@hterius95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제외 지방은 인구소멸로 어차피 사라질 도시다 ㅉㅉ 앞으로는 지방에 투자하지말고 서울 수도권에만 투자해라 지방에 투자하는건 돈 낭비다 ㅉㅉ
@아우야라고
@아우야라고 Күн бұрын
의류 신발도 서울제외하고 지방은 래플(응모)도 없고 신세계 생기고 신세계 나 그 근처에 상권 갬성 그런게 많이 생기고 자기 동네에도 동성로 안가도 이것저것 많이 생겨서... 그리고 촬영 시간이 좀 이른시간대에 가셔서 그렇지 애들 마칠시간 오후되면 사람 많은데
@Chris-j3p2f
@Chris-j3p2f 4 күн бұрын
전반적인 경기 하락 + 젊은이 인구 감소 + 임대료 부담으로 인한 상권의 주변지역 이동(교동, 종로 등)
@레오-y9d
@레오-y9d 3 күн бұрын
교동 종로는 쇼핑보단 술집이 많죠
@westbrook2559
@westbrook2559 3 күн бұрын
교동 가보셨나요? 거긴 그냥 낡은 동네 입니다. 재건축도 허가 안나는 곳이죠.
@Black_malang_cow99
@Black_malang_cow99 3 күн бұрын
젊은 사람이 없어지는게 젤 큰거 같아요. 저도 대구출신에 27살이고 지금은 경기도 살지만 명절아닐때 대구가서 지하철타면 어르신이 9할입니다. 어린애들이 약속으로 만나는 곳이 동성로였는데.. 상대적 자산이 많은 중년층이 높아지며 백화점으로 몰리는게 아닌가.. 생각되네요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3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양주훈-h9y
@양주훈-h9y 2 күн бұрын
부산이나 대구나일자리가 제일중요한데 넘노답들임😮
@HAN-B612
@HAN-B612 2 күн бұрын
동성로 안나간지 오래됐고 뉴스에서만 들었는데 저 정도일줄 몰랐네요.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많은 젊은이들이 대구를 떠나서 살다보니 그런가봅니다. 대구 돌아다녀보면 고령화가 이미 많이 시작된 기분이 듭니다. 대구+경북 메가시티 만든다고 들떠있던데 메가실버시티가 될듯합니다.
@daenamusalt
@daenamusalt 2 күн бұрын
메가 실버시티ㅋㅋ
@AidenKim_01
@AidenKim_01 2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러니깐 ㅋㅋㅋ 젊은이 떠난 해소법을 엄한데 찾음 ㅋㅋㅋ
@박주-t4u
@박주-t4u Күн бұрын
저렇게 사람없는시간에 가서 찍으면 요즘 대구떠났던가 동성로 안나오는분들 딱 오해하기 좋은 영상이지 주말엔 아직도 10대20대들 미어터짐
@mulbono7546
@mulbono7546 Күн бұрын
@@HAN-B612 대구 사람인데도 왜 합치려는 건지 모르겠네요 무슨 스타크래프트 하는것도 아니고
@soopang7264
@soopang7264 Сағат бұрын
대구사람들 다 서울,경기권으로 감
@똥꾸-m9e
@똥꾸-m9e 3 күн бұрын
대구 시민으로서 이제 동성로는 더 이상 모이는 장소가 아니긴함 인구가 많이 빠진건 팩트지만 제가 학생때만큼 시내만 나가면 인싸소리듣던게 이젠 아니다보니 집에서 게임하거나 동네, 바운더리를 벗어나지 않으려함 아파트가 갑자기 많이 들어서면서 근처에 상가가 갑자기 생겨버림
@기-v6q
@기-v6q 2 күн бұрын
15년 전만해도 베라, 맥날, 파스타먹으러 휴대폰 바꾸러 시내 나가고 그랬는데 이젠 시골동네 아닌이상 차타고 5-10분 거리내에 다 살수 있을만큼 한거도 크다 생각해요
@ToruPi
@ToruPi 2 күн бұрын
@@기-v6q 그렇죠 대구가 많이 발달하고 인프라가 좋아지다보니 동네에서 굳이 시내까지 갈일 있는거 아니면 안가죠
@user-b2jrh4v3j2
@user-b2jrh4v3j2 2 күн бұрын
요즘은 동성로 보단 교동을 가죠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2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hterius95
@hterius95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제외 지방은 인구소멸로 어차피 사라질 도시다 ㅉㅉ 앞으로는 지방에 투자하지말고 서울 수도권에만 투자해라 지방에 투자하는건 돈 낭비다 ㅉㅉ
@김뷰태시기
@김뷰태시기 4 күн бұрын
대구만 이럴까요.... 지방 상권들 전부 이런 상황이죠 서울도 죽어가는 상권이 나오는 마당에 지방이라고 버틸리가.....
@user-xh8tw9su8f
@user-xh8tw9su8f 3 күн бұрын
평일 사람없는시간에가서 지방소멸을 더 부추기는 이런 쓰레기컨텐츠들은 안보는게 답이다. 나는 부산에있다 강남에왔는데 서울도 유행인곳만 붐비고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그냥 사람자체가 밖을 잘 안나옴. 인터넷쇼핑만하는시대고 불경기도 겹쳤다. 그런내용없이 이딴영상은 지방소멸만 더 빠르게 부추기고 결국은 경기도,서울몰빵만한다면 망국으로 더 빠르게가게될거다
@xxpk9901
@xxpk9901 3 күн бұрын
이건 우리나라의 현실이죠 젊은 인구수 감소 , 인터넷 쇼핑 , 경기침체 ... 수도권은 그나마 지방 젊은 사람이 옴겨가서 조금 나은 편이고 지방은 더 심해지는거고
@abcdefuace
@abcdefuace 3 күн бұрын
서울은 좀 지나면 회복됨. 지방은 답이없음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3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sspoc4244
@sspoc4244 3 күн бұрын
@@user-xh8tw9su8f사람이 많으면 저래 공실도 많고 스벅도 나가겟슴?
@에프키퍼
@에프키퍼 3 күн бұрын
동성로가 임대료가 너무 비싸니까 교동이나 삼덕동, 종로 등으로 개인 가게들이 분산되면서 힙한 가게는 그쪽으로 많이 빠진 편이죠
@한상우-b4l
@한상우-b4l 2 күн бұрын
동성로 망하는 이유 1. 젊은층 수도권 이동 2. 동성로 외에 기타 편의 상권 확보 (경산, 수성구, 칠곡, 성서, 등등) 3. 과거 동성로가 최고의 교통중심지라 했지만 지하철 생기면서 지금은 주차 안되는 불편한 공간일뿐 4. 패션, 가전 인터넷이 훨씬 합리적 소비가 가능함 5. 기타 상점들의 문제
@lee-rf2eu
@lee-rf2eu 4 сағат бұрын
@@한상우-b4l 제일큰건 수도권제외하고 젊은인구가 벌어먹을게 없는것이 크죠... 지금 이대로흘러간다면 수도권제외하고 모든지역 망할판 짧은식견으로 제가본 해결법은. 1번 국내 내부 외세와 함께하는 매국노 암살. 2번 연방제에 가까운 체계로가며 지방의 초 광역도시권화 독창적 법을가질 지역으로 특색화 Ex 캘리포니아에서 택사스로 기업이전하는 사례처럼 1번을 선결로 하지않으면 지방통째로 특정국가의 속국화되며 중앙정부에 개기겠죠. 대구도 청소잘되어 독자적인법안가진 택사스처럼되면좋겠네요
@풍월주인-n6n
@풍월주인-n6n 4 сағат бұрын
@@한상우-b4l 3번 차 있고 부터 동성로 안가는거 같아요 그 사이 극장 분포만 봐도..굳이 나갈 이유가
@시에라-m7f
@시에라-m7f 3 күн бұрын
ㅎ준표 대구시장에게 대전이랑 비교 해서 대책 있으냐고 경북대 학생이 질문하니 대전 가서 살으라고 답변 했다던데 ㅋㅋㅋ
@shindongseok304
@shindongseok304 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LEESOON9
@LEESOON9 2 күн бұрын
그렇게말했다면 대구시장 자격있나
@Precious-c5h
@Precious-c5h 2 күн бұрын
@@LEESOON9그렇게 말했다면 대구시장이지요 ㅋㅋㅋ십석렬이나 홍발정이나
@user-pposilagi
@user-pposilagi 2 күн бұрын
홍준표는 대구관심없음 지표팔아서 올라갈 생각만하지 대구 생각했으면 공무원시험부터 전국단위로 칠수있게 푸는게 말이안돼지 ㅋㅋ
@치와와-z2k
@치와와-z2k 2 күн бұрын
헐 박정희 동상이 홍준표던데
@lupi-u2u
@lupi-u2u 4 күн бұрын
공실률 통계에서 표본 수집할때 건물이 50퍼 이상 비어 있으면 빼버리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아무래도 과거 고도성장기에는 건물이 50퍼 이상 비어있으면 신축이라고 봐서 뺀거 같은데. 성숙 상권에서는 공실률 통계를 왜곡 시키는거 같습니다. 실제는 훨 높겠죠.
@ichich-y12
@ichich-y12 3 күн бұрын
@@lupi-u2u 한블럭 위에 교동 가면 사람들 넘쳐나죠.
@B_______833
@B_______833 2 күн бұрын
@@ichich-y12 교동 진작에 망했음 ㅋㅋㅋ
@hterius95
@hterius95 Күн бұрын
서울 수도권 제외 지방은 인구소멸로 어차피 사라질 도시다 ㅉㅉ 앞으로는 지방에 투자하지말고 서울 수도권에만 투자해라 지방에 투자하는건 돈 낭비다 ㅉㅉ
@아니모야red
@아니모야red Күн бұрын
​@@ichich-y12교동도 술집이 잘되는거고... 그것도 한철일듯... 음식이 맛난게 아니라 다 천편일률적으로 메뉴만들고 트렌드에 편승해서 장사하는곳이 대부분임 첨이야 임대료가 싸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임대료는 올라갈거고 음식질은 더 떨어질거고 매출은 폭망할거임.
@이석필-h2o
@이석필-h2o 3 күн бұрын
굳이 동성로를 갈 이유가 지금은 딱히 없습니다. 사람이 안나올때 상권이 꼬라박다보니, 자연스럽게 발길이 끊기고 그게 지속이 되는것 같긴 합니다. 물론 지역발전이나 정치의 영역에서는 무관심에 가까운 상황이라 향후 발전도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국회의원은 대구가 꼬라박을동안 관심도 없고, 시장은 대구 시정보단 다른거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지라..
@CIELOGUN
@CIELOGUN 3 күн бұрын
사람은 없고 보증금 2억 월세 1000만원 누가 갈려고 할까? 근데더 웃긴건 건물주들 이거 임대 안나가도 다른 부동산 다른 주식으로 월에 3억식은 수입을 내고 있다는거 그러니깐 건물주들은 항상 부자다. 그러니 걱정 하지말자 ㅋㅋㅋㅋㅋㅋㅋ
@윤정현-p9p
@윤정현-p9p 2 күн бұрын
각구에 큰상권들 도로앞상가 앵간한데 월세 1000부터 시작합니다. 동성로 500이면 싸죠... 다만 입점업종에따라 체감차이는 다르겠지만, 그래도 쌉니다. 저기 건물주들 공실유지하는데 세금얼마나 내는지 모르시죠? 상권 붐비던 10년전 보세골목 10평짜리도 월세 700~1000씩 했습니다. 저두 새천쪽에 공장임대로있는데 200평안되는데 월세만 세액포함 550 내고있습니다. 물론 평수도 있겠지만,,,,
@CIELOGUN
@CIELOGUN 2 күн бұрын
@윤정현-p9p 대구 시골에서 월세 500만원이면 서울로치면 월세 500억식 내는거랑 똑같다. 촌눔아 알고 씨부리라^^ 평생 시골에서만 살아서 도시 경제를 알긋냐?
@haku-d4z
@haku-d4z 2 күн бұрын
@@윤정현-p9p 본인이들어가셔서 하시면되겠네요 500이 싸면 허허..
@user-vh1kf4ev3r
@user-vh1kf4ev3r 2 күн бұрын
@@윤정현-p9p건물주 걱정을 세입자가 왜 하나요? 지금 현재 상태로 봤을때 앞으로 인파가 더 죽을텐데 보증금 1억에 월세 500이면 사태파악이 안되는 주인인거죠 ㅋㅋ
@코크라이크
@코크라이크 2 күн бұрын
@@윤정현-p9p저정도면 보증금 없이 월세 50해야 상권을 부활시킬수 있을듯
@user-vh1kf4ev3r
@user-vh1kf4ev3r 2 күн бұрын
옛날에는 영화 한편 보려면 무조건 시내 나가서 한일극장, 아카데미, 중앙시네마, 만경관뿐이었고 옷을 사든 신발을 사든 쇼핑이나 오락거리들이 동성로밖에 없으니 무조건 시내를 갈 수 밖에 없었지. 요즘은 동네에 영화관, 백화점은 하나씩 다 있고 OTT, 쇼핑앱들이 있으니 주차 불편한 동성로 갈 이유가 없음. 굳이 오프라인 쇼핑을 한다면 신세계, 더현대, 모다, 이시아, 롯데 아울렛정도?
@bos6495
@bos6495 3 күн бұрын
동대구역 신세계백화점 가보면, 대구에 부자들이 이렇게 많았나 싶을 정도로 포르쉐 벤틀리 테슬라 벤츠 bmw 셀 수 없이 많은데, 주말엔 지하 5층 6층 별관 주차장 전부 꽉 차서 들어가기도 어렵고, 백화점 안에는 사람들이 터져나감 레알로... 2024년 기준, 신세계 대구점이 매출액 기준(1조5천억~6천억) 전국에서 6위 하는 백화점(5위는 현대백화점 판교점)이니 이 많은 사람들이 옛날에는 동성로 가거나 동성로 주변 지금은 역사속으로 사라진 대구백화점, 동아백화점 갔겠구나 생각이 들긴 함.
@charmi_cook
@charmi_cook 3 күн бұрын
어 그부자들도 시간적 여유있음 대구서 안놀아 서울가거나 해외로가지 그말은 내수가 망했다는건데 항상 이런이야기 나오면 신세계 주말가면 부자가 어쩌고 ..이러더라 대구 부자자랑 하면 부자가 밥을사주거나 옷을사주는것도 아닌데 ㅋㅋㅋ 저번에 신세계 가보니깐 중국인 관광객인지 조선족인지 모르겠지만 중국인들도 꽤많던데 젊은이들은 원하는 일자리 없으니 서울로가고 소비할 젊은 사람들이 없으니 자영업자 망하고 그냥 대구 지방도시들 소멸하는거
@허광-i7r
@허광-i7r 3 күн бұрын
확실히 트렌드가 바뀜 동성로시대는 한물감. 부산 서면도 난리던데. 대구의 자금은 수성구쪽으로 완전 몰리고 나머지소비는 그냥 집인근에서 끝남.
@jhk195
@jhk195 3 күн бұрын
동대구 신세계 생기고 동성로 한 번도 안갔습니다. 30대임
@피플나라peoplenation
@피플나라peoplenation 3 күн бұрын
꼭 그렇지만은 않음 신세계 졸라게비싸요
@이영희-m6w
@이영희-m6w 3 күн бұрын
격공감!​@@charmi_cook
@Yu-GyeongGwon
@Yu-GyeongGwon 2 күн бұрын
요새는 꼭 동성로 아니어도 만날 곳이 많죠 교동 삼덕동 봉덕동 수성못 신세계 더현대 등등,,, 집 근처에도 괜찮은 카페와 베이커리가 다 있어서 굳이 누군가를 만나러 동성로에 가지 않은 탓도 있다고 봅니다
@StarbucksKim-n7b
@StarbucksKim-n7b 3 күн бұрын
대구사람이라 매번 지나다녔고 익숙한 곳이 나오니까 반갑네요. 근데 실질적으로 돈쓰는 사람들은 저길 안가요. 조금 더 걸어서 반월당의 현대백화점은 그래도 장사 잘되구요. 영상 초반의 H&M 매장 앞에서 허구언날 서로 헐뜯고 시위합니다.
@charmi_cook
@charmi_cook 3 күн бұрын
현백도 신세계에 주도권뻿기고 동아백화점처럼 될뻔했는데 더현대로 리뉴얼 했죠 근데 더현대도 팝업행사 이런거 하지않으면 사람 오지않습니다 그리고 젊은 20대30대들이 많이와서 돈을 많이쓰지 않으니 계륵이고요 ..
@박주-t4u
@박주-t4u Күн бұрын
@@charmi_cook 현대든 신세계든 2030이 먹여살리지않아요 돈많은405060 브이브이브이아이피급 되는사람들이 백화점 매출올려주는거지 현대나 롯데도 망할일은없다요 자기 브이아이피 취급해준것에 맛들린 주부나 어르신들은 충성다해서 거기만 가니까..... 대전 갤러리아 대전신세계생기면 망한다더니 전국 매출순위만 좀 떨어졌지 굳건히 상위권 지키고있는게 다 그이유임....기존충성소비고객들
@에스에스-n9j
@에스에스-n9j 3 күн бұрын
가끔 대구가보면, 동대구역에 신세계백화점 생기고 더 심해진거아닌가요? 거긴 사람많던데.. 지금 모든지방도시 구도심은 망하고있어용..
@user-xh8tw9su8f
@user-xh8tw9su8f 3 күн бұрын
평일 사람없는시간에가서 지방소멸을 더 부추기는 이런 쓰레기컨텐츠들은 안보는게 답이다. 나는 부산에있다 강남에왔는데 서울도 유행인곳만 붐비고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그냥 사람자체가 밖을 잘 안나옴. 인터넷쇼핑만하는시대고 불경기도 겹쳤다. 그런내용없이 이딴영상은 지방소멸만 더 빠르게 부추기고 결국은 경기도,서울몰빵만한다면 망국으로 더 빠르게가게될거다
@xxpk9901
@xxpk9901 3 күн бұрын
신세계 백화점은 대구 사람뿐아니라 대구 주변인구도 끌어들이니깐요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3 күн бұрын
신세계 평일에도 북적북적합니다. 대구 중앙로 상권 조지게 된 건 신세계가 한 몫한듯
@westbrook2559
@westbrook2559 3 күн бұрын
​@@razielshim7501신세계 때문에 대백 본점도 망했지요.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3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sdo2425
@sdo2425 2 күн бұрын
우리 대구 시장님은 대권 출마 하시느라 바쁘셔서 대구에는 관심이 없으십니다.. 대백도 뭐 해보겠다는 말만 해놓고 무소식..이정도쯤 되면 대구시에서 나서지 않는 이상 동성로 상권은 점점 더 죽는다고 봐야 할듯
@신현주-n3q
@신현주-n3q Күн бұрын
그자는요 처음부터 대구에 관심이 없던자였습니다. 대통령 되려고 시장 된 자입니다 대현동 주민들이 올린글을 봤어요 대구시를 위해서 된 자가 아니라 다음 대통령선거때 표 얻을 려고 된자다 우린 죽든지 말든지 상관없고 수성구와 달서구만 거기가 부촌이니까 거기만 좋게 해서 표 얻을 생각밖에 없다구요
@combachi
@combachi 2 күн бұрын
동성로가 비는 가장 큰 이유는 중간 인터뷰에서 나오듯이 자기 동네에서 놀지, 굳이 동성로로 안 가기 때문이죠. 기본적으론 구도심의 몰락과 같은거에요. 거기에 청년이 빠져나가는게 양념을 칠 뿐. 수도권을 제외 한 온 나라가 청년들 빠져나간다고 난리지만, 대구는 더더욱 일자리가 없고, 임금이 낮습니다.
@heejinkim7771
@heejinkim7771 2 күн бұрын
대구사람 할배입니다 ...동성로 안가본지 20년 넘은듯 합니다...상세한 영상을 보게되어서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영상제작촬영에 저도 따라다녀 봅니다...좋아요에 쿡 했습니다 ㅎㅎ
@경환김-o2m
@경환김-o2m Күн бұрын
구미에 비하면 저건 양반 수준, 구미는 시내에 아무것도 없어요(김장호는 구미 포기)
@Barber411
@Barber411 3 күн бұрын
지역 불문 나라가 망해가는게 진짜 몸으로 느껴집니다 요즘..
@노주환-h4u
@노주환-h4u 3 күн бұрын
90년대 중후반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주말에는 어깨 부딪혀서 길 걷기가 힘들었어요.
@봉봉봉-r7t
@봉봉봉-r7t 3 күн бұрын
90년대말 주말에는 반월당에서 중앙로-교동을 지나 대구역까지 진짜 사람들이 엄청 많아서 한방향으로 밖에 못 걸을정도였는데 요즘엔 가장 중심지인 대백앞이나 중파앞에도 사람이 별로없네
@cute_animals-fh4dd
@cute_animals-fh4dd 2 күн бұрын
1.인구가 줄었다 2.상권이 바뀌었다 3.경기침제가 심하다 4.그럼에도 불구하고 임대료는ᆢ
@이곤짱
@이곤짱 4 күн бұрын
여전히 그래도 금토일엔 붐빔 예전엔 동성로 원탑이었다면 동성로 주변이 커져서 인파가 분산되서 그럼 교동쪽 삼덕동 종로골목쪽 인파가 다 분산됨
@Ccaauu
@Ccaauu 3 күн бұрын
그냥 대구 부산 광주 다 망하고 있는거예요.. 정말 그 지역이 활성화되고 사업성이 있는 지역이면 그 지역의 중심 상권이 비어있지 않습니다. 지방 경제가 망해가고 있다는 소리입니다.
@Ccaauu
@Ccaauu 3 күн бұрын
교동 삼덕으로 퍼진 이유도, 문재인 정부 시절 소주성 최저임금 정책 등 한국의 재정 확장정책과 코로나 재정남발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부동산 가치가 상승했고 동성로 중심 상가가 요구하는 임차료를 대구라는 지역이 못 따라가는 현상입니다. 자영업자와 상가주인들간에 수요 공급 미스매치 상황... 그걸 피해서 주변으로 퍼지다보니 중심상가가 비어버리는 상황이구요.. 급격하게 떨어진 화폐 가치때문에 부작용이 일어나는 중입니다. 이게 다시 정상화되려면 심하게 상권 주인들이 망해서 임차료가 현실화되거나, 또다시 정부의 확장정책을 기대해야하는데 후자를 선택할 경우에는 또 다시 부작용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토토리-l8j
@토토리-l8j 3 күн бұрын
@@Ccaauu 가로수길 공실률 40%면 강남망한거에요?
@ps9440
@ps9440 3 күн бұрын
@@토토리-l8j 예
@akina1425
@akina1425 3 күн бұрын
@@토토리-l8j 지방은 다망한거맞습니다.. 서울도 핫한곳빼고는 망하는판입니다.
@황순자-g6n
@황순자-g6n 2 күн бұрын
대구는 여행으로 가봤는데, 별로.. 특히 서문시장이 별로였어요
@버들피리-g9k
@버들피리-g9k 3 күн бұрын
대구시에서는 "관광특구" 만들었다고 떠들던데 효과가 있었나요? 대구시에서는 백억원 가까이 시민 혈세 투입해서 활성화 시킨다고 했는데, 또 뜬 구름 잡는 것 아닌지 걱정 입니다.
@hyeminSon-t7p
@hyeminSon-t7p 3 күн бұрын
관광특구 선정됐고 이제부터 뭐 한다고 하던데 아직 아무변화 없습니다 ㅋㅋㅋㅋ
@윤석렬탄핵-n2e
@윤석렬탄핵-n2e 2 күн бұрын
대구에 관광할께 있나요? 기업 유치도 힘들꺼 같구...지방 도시는 회생할 방법이 없는듯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Күн бұрын
세금훔쳐먹는 명분에 시민만 호구됨. 세슴을 시민에게 환원하는 정책은 결커안해도 찍어주닌깐
@BotU-vps
@BotU-vps 22 сағат бұрын
전국여행 다닐때 대구는 빼고 지나갔습니다. 볼게 없더라구요.
@G63-o2g
@G63-o2g 3 күн бұрын
대구 곧 빈빈촌 됩니다 ㅠ 저도 건물 상가 원룸 다 팔고 경기도 쪽으로 가서 장사도 하고 있고 대구에서는 장사하다 개망합니다
@오구59-i4z
@오구59-i4z 2 күн бұрын
서울 사람들이 명동 안 가는 거랑 똑같은 거지. 구도심은 부도심 상권이 없을 때나 번화했지 상권 분포와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오히려 매력이 없어지는 거죠
@borntobeman9
@borntobeman9 22 сағат бұрын
정확히 말하면 동성로 쇼핑거리가 망한 겁니다. 사람들이 더이상 오프라인에서 옷을 안 사니까요. 과거에 동성로에서 흥하던 보세 옷집들도 온라인 쇼핑몰 때문에 전부 망했죠. 10대20대 유입이 안 되니 카페 (저렴한) 식당들도 망하는 거구요. 시내 핫플 상권이 전부 교동, 삼덕동, 봉산동으로 빠졌어요. 여긴 주말에 젊은 사람들로 바글바글합니다. 그리고 더현대가 젊은사람들 타겟으로 싹 리뉴얼했는데 동성로 갈 필요가 없습니다. 동성로는 이제 질 안 좋은 10대나 외국인들 놀이터가 되어버렸죠. 안타깝습니다.
@쇼쇼구미식
@쇼쇼구미식 Күн бұрын
공실이 많은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유동인구가 준건 아닙니다. 지난 주말도 추운 날씨에 인파로 붐비더군요. 줄서서 기다리는 곳도 꽤 됩니다. 지나가는 대구사람입니다.
@김종윤-p1k
@김종윤-p1k 4 күн бұрын
대구 시내 안나간지 오렌지인데 와 노보텔 건물 비었다니……
@fgy8699
@fgy8699 2 күн бұрын
놀랍네요 간만에 친정 갔다가 노보텔 가자 했더니 택시기사가 러브호텔요 해서 웃었던 기억이 있네요 대구동성로의 추억이 많아서 슬프네요
@모모-b9b
@모모-b9b 2 күн бұрын
저도안간지10년인데 가끔병원갈일있을때가는데 피부과같은 미용시술할때.. 진짜거의 공실이에요 을씨년스럽기까지함 차라리 반월당지하상가가 나음 진짜요즘 누가가나요..갈이유가없으니안가죠 돈없는중고딩들이나 가서 소비도안되서 애들가봐야 동전장사밖에 안되니 점포버릴수밖에...
@fgy8699
@fgy8699 2 күн бұрын
@ 반월당 지하상가도 가서 놀랐어요 할매할배가 점련하고 있어서 ㅎㅎ 우리땐 십대 이십대만 득실했거든요 뭔가 너무 변해서 아쉬웟어요 ㅠㅠ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2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신현주-n3q
@신현주-n3q Күн бұрын
@@fgy8699 그래도 할매 할배가 점령하고 있어서 그들을 위한 음식점이 잘되어 있더라구요 저번에 갔을땐 공실에 금요일 오후였는데 사람이 없었어요 덕분에 전 거기서 싸게 밥 잘 먹었어요
@장은수-j4h
@장은수-j4h 3 күн бұрын
예전엔 대백시계탑이 만남의 장소였었죠 대백정문 남문 시계탑~~ 10년전에 떠나왔는데 그때도 이미 현대백화점때문에 많이 분산됐고 지금은 신세계까지 대구에 백화점들이 많죠 그리고 곳곳에 맛집거리들도 많고 동성로에 갈일이 없는것 같아요
@beatmax2004
@beatmax2004 3 күн бұрын
인구 감소에 그나마 있는 20대들도 잘 안찾음. 자차 이용해 찾기에는 매우 불편한데 지하철 버스로 가기엔 괜찮음. 근데 귀찮게 대중 교통 이용해 오기에는 또 딱히 볼게 없고.. 로데오 거리에서 보세옷 많이 샀었는데 이젠 인터넷 쇼핑이 더 저렴하고 편하니 자연히 안찾게 됨.. 대구역 가려고 동성로 가로 질러가면 사람 너무 많아서 기차 시간 늦을까봐 일부러 일찍 나오고 그랬었는데 ㅋㅋ
@gustav7839
@gustav7839 2 күн бұрын
옛날..그러니까 6~70년대에 동성로는 메인 도로만 상권이 형성되었고 안쪽 골목 동네는 대구 중심 고급 주택지구였습니다. 대개 삼덕동, 공평동 일대가 그런 지역이었죠. 제가 초등학교 내내 저 동네에서 놀아서 잘 알죠~ 그러다가 제가 고향땅을 떠날 무렵 전후해서그런 주택지 골목길이 번화한 유흥가로 바뀌더니 이제는 쇠퇴기에 접어든 듯한 느낌을 주네요. 제 풋풋한 20대와 같이 했던 동성로...그때의 활기가 다시 피어나기를 바랍니다.
@nami_seon
@nami_seon 2 күн бұрын
대학때는 쇼핑하러도 가고 맛집도 가고 했는데 이젠 굳이 동성로 아니라도 곳곳에 많기도 하고.. 쇼핑은 주차편하고 쾌적한 백화점이 좋고 동성로에 있는 교정치과 가는일 빼곤 굳이 갈일이 없네여😂
@kordaum
@kordaum 21 сағат бұрын
시대가 변해서 공실인것도 맞지만 상가주인들은 옛날 생각에서 못벗어나고 월세를 안내림.. 유명한 거리 건물주야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라 월세 내리느니 비워둠..
@신영준-y2s
@신영준-y2s 3 күн бұрын
살면서 전국에 이렇게나 임대공실이 수없이 깔린적이 있었나 싶다...못해도 역사적으로 최고일거 같은 느낌이다... 그냥 최근 수년간 무지막지하게 지어댄 아파트며 상가가 너무 많은거고...아파트는 아파트대로 상가 미친듯이 쪼개놨고.....자영업자 케파는 뻔하고 이용하는 사람들수도 뻔하고..경기까지 안좋은데.... 그리고 지방은 특히나 신도시들 잘못만들면 인구분산만 되서 구도심은 구도심대로 비고 신도시는 신도시대로 썰렁하게 될건데... 그냥 일본처럼 배드타운은 배드타운 답게 만들고 중심 메인상권이나 계속 유지하는게 나은 방법 같은데.... 주변국 봐도 딱 우리랑 중국만 미친듯이 지어대고 벌려놔서 공실천국이고...일본에선 공실상가를 보질 못했는데...
@데이빗드
@데이빗드 Күн бұрын
@@신영준-y2s 대구는 안바뀝니다. 묻지마 투표에 이런현상을 야기한 권 전시장을 그대로 국회의원 입성 했어요. 우리가 남이가 지역임
@channelgleaf58
@channelgleaf58 4 күн бұрын
노보텔전에 밀리오레로 첫오픈 했을겁니다. 얼마전 동성로 갔었는데 못 만나뵈어 아쉽습니다. ^^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4 күн бұрын
아직 금토 오후에는 사람 북적북적하던데...그리고 상권이 확장된 것도 한 몫 함. 교동, 삼덕동에 사람 엄청 많아짐
@내맘대로-b3g
@내맘대로-b3g 3 күн бұрын
없든데 전혀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제육볶아오길기도하는 3 күн бұрын
@내맘대로-b3g 가보긴 했음? 그게 없는 걸로 보이면 안과가봐
@리오넬튀랑
@리오넬튀랑 2 күн бұрын
@@내맘대로-b3g 저도 그런줄 알았는데 주말에는 오후부터는 사람많더라구요 예전만큼은 아니죠.ㅎ 그리고 교동은 더많고.ㅎㅎ 대백문제가 없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저자리가 그래도 괜찮은게 들어오면 그나마 조금낫죠.ㅎ
@MegaTubeamp
@MegaTubeamp 2 күн бұрын
@@내맘대로-b3g 안가본거 티네네
@MegaTubeamp
@MegaTubeamp 2 күн бұрын
실제 공실도 골목 쪽에 좀 있지 별로 많지도 않음. 금요일 오후부터 바글바글하고, 평일 낮에 가서 사람없다고 ㅎ 종로, 교동, 동성로 저녁 주말에는 사람 많죠.
@t5t7t8
@t5t7t8 3 күн бұрын
예전에는 보세제품들, 서적, 영화, 데이트 등등 때문에 동성로를 찾았지만 이젠 인터넷에서 쇼핑이 가능한 품목들이 많아서 갈일이 많이 줄었습니다 그래도 분산되었지만 젊은사람들이 찾는 술집은 붐빕니다ㅎㅎ
@Insparation00
@Insparation00 4 күн бұрын
다수 소득층이 외곽에서 일을하고 30대 이상, 동성로를 갈 일이 없다 요즘처럼 sns 발달해서 갈 곳도 많은데 시내주변 대구임금기준 200따리 일이 대부분일거고 인구 줄고 20대 다 타지로 가고 임대료 안내리고 고담대구가 현실로 되노
@eileenjung9775
@eileenjung9775 4 күн бұрын
유년시절을 보낸 대구~ 본가는 대구지만, 저도 최근 동성로 안가본지 꽤 됐네요. 이렇게 휑~해졌나요? ㅠㅠ
@룩스-d3p
@룩스-d3p 2 күн бұрын
대구 동성로는 부산 서면과 상황이 다름 부산은 인구감소와 일자리 감소가 원인이지만 대구는 성서 시지 상인 칠곡 이시아폴리스 반야월 각 도심이 주변 중심지 역할을 함 굳이 동성로가 안가더라도 그 곳에서 모든게 해결되는데 굳이 갈 필요성을 못느낌
@무던이-x2l
@무던이-x2l 2 күн бұрын
준표야.. 대구 경기 다죽었다.. 대구는 지역 화폐도 없고... 이렇게 경기 죽이기도 힘들건데 큰 일했다.. .. 대구 경기 죽이고 이제 대통령 하고 싶은갑지.....
@멜로디5101
@멜로디5101 Күн бұрын
지역경제 살린다더니 ㅋ 일자리는 바닥을침... ㅠㅠ
@김경-r4y
@김경-r4y Күн бұрын
지역화폐는 안따라해도 됩니다 카드나 현금
@신현주-n3q
@신현주-n3q Күн бұрын
처음부터 대통령 되려고 대구시장 된 자임 대구가 어찌 되든 상관없고 수성구 달서구쪽으로 퍼다주고 그쪽으로 표 얻을 궁리만 했는 자예요 이런글 누가 먼저 올린줄 아세요 대구 북구 대현동주민들이 올렸어요
@빵B
@빵B Күн бұрын
@@신현주-n3q 달서구도 혜택 없어요. 걍 대구시장이 아니라 수성구청장+동구청장이예여
@나는만렙
@나는만렙 Сағат бұрын
와ㅋ 추억이다 대백은 20년가까이 폐점한거같구 밀리오레 건물도 15년이상 폐점 하지않았나요? 한때는 잘나갔던 도시였는데..
@aabb.ccdd54321
@aabb.ccdd54321 2 күн бұрын
30대들은 이제 거의 종로에서 많이 놀거나 교동을 가고 삼덕 이쪽은 잘 안가게 되는듯... 옷은 전부 백화점 아울렛가고 보세는 지그재그 이런쪽으로 다 빠지고... 어제 동성로 다녀왔는데 헌혈하러감😂 이런거 아니면 갈일이 없는데... 228공원을 그렇게 몇백억씩 태워서 다시 만들어야만 했는지도 의문 예전 공원이 더 좋았음..
@플레이트-f8k
@플레이트-f8k Күн бұрын
예전에는 상권이 다 동성로에있었지만 이제는 아파트근처에도 상권이 다 있기에 시내나갈이유가 없지
@poeing
@poeing 2 күн бұрын
아이고 많이 걸으셨네요..ㅎㅎ 하루에 다 걷기엔 꽤 많은데..! 2016년 이전에는 옷사러도 시내 나왔어야 했고 그러니깐 장사가 되었지싶은데 지금은 다 모바일로 주문해서 저렇게 된 것 같아요ㅠ
@dsp2160
@dsp2160 2 күн бұрын
훈훈한 동네소식들으니 좋내요
@mong_9_ya
@mong_9_ya 3 күн бұрын
주차비 조올라 비싸고 뭐 있는것도 그렇고 나도 대구시민이지만 동성로 안간다 주차장가서 주차비 내봐 그럼 알게됨
@아우디-c1q
@아우디-c1q 3 күн бұрын
동성로갈땐 지하철이죠 아님 버스나
@이훈-v9i
@이훈-v9i 3 күн бұрын
주차비 아까우면 차 몰지 말아야죠
@JEFFPARK99
@JEFFPARK99 3 күн бұрын
주차비 낼돈도 없는 양반이 동성로에서 쓸돈은 있는가 전세계에서 인구 250만 대도시 중심가에서 주차비 안받는곳이 있을까. 그리고 동성로 주변에 공영주차장 많은데 설마 그돈도 없는거야??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3 күн бұрын
예전부터 대중교통으로 가는 동네였음 그러니 방문자 연령대가 낮은것이고 지금은 그냥 10~20대가 실종된 상황이라 상권이 버틸 수가 없는것이지 40대 이상세대들은 동성로는 원래 안갔잖아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3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vinyljourney7
@vinyljourney7 2 күн бұрын
자리좋은곳은 보증금 1억 월세 650(부가세별도) + 권리금별도 예상 월세 3일안에뽑아야되니 일매출 무조건 250이상나와줘야 유지가능
@뽀창
@뽀창 4 күн бұрын
전 수원사람이고 여자친구가 대구 사람이라 동성로 자주갔는데 와 심각하네요 가서 놀때는 몰랐는데.. 수원도 저정도는 아닌데 인구가 두배 차이가 나도 수도권이 훨 낫군요..
@댄스나이트
@댄스나이트 2 күн бұрын
몇년전에 잘되는 지방들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비싸게 월세 받겠죠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현실을 받아 드려야 하는데 대부분 건물주들은 정신 모차리죠! 버티면 들어오겠지!! 더희상 희망의 거리는 아닙니다! 지방은 다 똑같다고 봅니다!
@신현주-n3q
@신현주-n3q Күн бұрын
저 동성로 건물주들이 대다수 누굴까요 관광특구로 지정해서 뭘 한다고 뭐겠어요 동성로 건물주들 다 토호들이예요 토호들이 다 어디에 살까요 수성구로 알고 있습니다.
@토토리-l8j
@토토리-l8j 4 күн бұрын
동대구랑 교동으로 상권이 이동했죠..
@westbrook2559
@westbrook2559 3 күн бұрын
교동은 작은 술집 쥬얼리 빼면 별거 없어요. 동대구도 백화점 빼면 대구에서 낡은 동네죠.
@박그레이스-z1f
@박그레이스-z1f 3 күн бұрын
교동도 같은 동성로 지역으로 묶는거죠. 무슨 좁은 촌동네에 찻길 하나 건너면 되는곳인데 이동이니 뭐니 하나요ㅎㅎ
@Guost666
@Guost666 2 күн бұрын
동대구도 사실상 신세계말고는 빈곳 곳곳에 있어서..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2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doge8977
@doge8977 Күн бұрын
교동이 동성로 바운더리인데 구분짓는 이유가 뭐냐 이러다 옆아파트랑도 구분해서 부르겠네
@남정민-v6i
@남정민-v6i 3 күн бұрын
대구의 70 자락의 한 소시민입니다 님 영상 시청 하면서 우선 감사 합니다 귀경길 동대구서 자유와 파워플 멘트 님 마음 알겠읍니다 동성로 에서 한 20 년 직장생활 저로선 너무 대구의 쇠락을 실감 합니다 그래서 가끔 무료 지하철 타고 그길 가면서 회상의 시간 가져봅니다 조은 영상 또한번 감사
@도롱-c3n
@도롱-c3n 3 күн бұрын
통신골목 저기 아니고 평일 점심시간 원래 사람 없습니다...주말 저녁 한번 가보세요
@gdkr
@gdkr 21 сағат бұрын
대구에서 동성로는 상당한 의미 인데, 대구는 없어요 뭔가 서울 코엑스 스럽고 부산 센텀시티 스러운 그런 곳 거대복합 공간... 콘텐츠, 문화, IP사업 등 전략 공간이 들어 서면 좋겠어요.
@unnamed9065
@unnamed9065 2 күн бұрын
30대 인데 살아온 날보다 최근 2-3년 사이에 본 “임대” 라는 글자를 더 많이 본 것 같음…
@게살버거-j9f
@게살버거-j9f 2 күн бұрын
2002년에 시내에서 알바했는데ㅋㅋㅜㅜ20살이었고 정말 동성로 늘 사람 바글바글에 모든 가게들이 장사도 잘되고 보는재미도 있고요...나의 20대때가 동성로 가장 핫했던 때..돌아가고싶다 ㅜㅡㅠ내 젊음과 그리운 동성로
@과일빙수90
@과일빙수90 4 күн бұрын
영상 처음 볼 때부터 PD님 대구분이면 거꾸로 버림받을 거 같았어요 ㅎㅎ
@장진호-c2h
@장진호-c2h 2 күн бұрын
반월당네거리를 지하화하면서 유동인구의 감소도 더 커진듯합니다. 대구의 중심인 반월당네거리에 횡단보도가 없다는게 이해가 안가는 상황이죠. 다들 지하로만 다니니까요. 당연 유입되는 유동인구가 줄겠죠. 어떤 정책인지 모르겠지만 이해는 안되네요
@최상인-r6k
@최상인-r6k Күн бұрын
전국이 똑같습니다. 대구 문제가 아닙니다. 내수시장 자체가 매우 작음
@헤이아치-n6l
@헤이아치-n6l 2 күн бұрын
80년 생인대 그때가 그립네요~ 좌판들도 많았고 물건도 많아 흥정하는 재미도 있고 지금사는 곳에는 없던 극장 백화점 보세 패스트 푸드 술집 먹거리 등등 동성로 가야만 할수있는게 많았지만 ~이제 쇼핑은 온라인이 대세고 극장 백화점 프랜차이즈 먹거리등등 어지간한건 동네 다있으니 갈이유가 없네요~ 동아쇼핑에서 박스맨 알바도 했었는데 그때일하던 와이프 사귀고 퇴근후 자주 KFC 나 레몬소주 먹으러 다녔는데~ㅋ그때 만난 인연으로 애셋 나아서 잘살고 있네요~ 참 사람도 많고 재미나던 기억이 많았던 곳이었는데 텅텅빈거 보니 씁쓸하네여~!!!!!
@댓글2호기
@댓글2호기 4 күн бұрын
시내에 영천이나 포항 구미사람들이나 가지 대구사람들은 시내가서 안놀지 집앞에 다있는데 머하러 복잡하게 시내를
@봉봉봉-r7t
@봉봉봉-r7t 3 күн бұрын
주변 지역 사람들도 집앞에 다 있어서 대구 시내 안옴 ㅋㅋ 요즘은 아파트 단지 하나 생기면 그 주변에 웬만한건 다 있으니까
@내맘대로-b3g
@내맘대로-b3g 3 күн бұрын
근데 집 근처도 조용하든데
@꿀박-o1b
@꿀박-o1b Күн бұрын
서울 강남역 주위 상가도 임대나온 곳이 많은데 지방은 더 하겠죠? 출산율이 낮아지고 청년들이 취업하고자 대부분 위로 올라오는 현상으로 지방인구 감소에 영향도 있을 듯 하네요 또 온라인으로 상품을 많이 구입하는 현상도 상가가 비는 경우도 클 듯 하구요
@천기신-z5j
@천기신-z5j 3 күн бұрын
이제 대구도 서울처럼 각 구마다 상권이 몇몇 크게 형성되어있습니다 예전처럼 동성로 몰빵이 아니지요
@gychoi335
@gychoi335 3 күн бұрын
@@천기신-z5j 동대구 시지 범어 이시아 광코 이곡 대실 상인 칠곡3지구
@westbrook2559
@westbrook2559 3 күн бұрын
@@gychoi335 번화가면 극장 쇼핑 백화점 클럽엔술집이 있어야 하는데 이조건을 다 충족하는 곳이 대구엔 동성로 밖에 없습니다. 동대구는 백화점이 끝이고 이시아, 시지, 대곡, 성서, 칠곡은 너무 변두리라 그동네 사람들만 가죠. 범어동은 금융 법원 학원가라서 번화가라 하기엔 좀 부족하지요. 걍 대구에 젊은이들이 없어서 그런겁니다. 슬프지만ㅜㅡ 내고향 대구 그시절이 그립네요~ 08년까진 참 좋았는데
@김인섭-k5m
@김인섭-k5m 3 күн бұрын
@@westbrook2559 맞습니다. 인구 통계를 봐도, 이젠 소비를 담당할 2030이 전멸 중이죠. 4050이 번화가 돌아다니며 소비할 나이도 아니고, 하물며 6070은 더더욱 아니죠.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3 күн бұрын
@@westbrook2559 대구는 대학가던지 취직하면 이미 대구 떠나는 인구라서요. 일자리라도 있으면 순유입이 될텐데 일자리가 없으니 수도권 대학을 가던지 수도권에 취직을 하던지해서 다 빠져나가요. 뭐 이게 대구만의 일이겠습니까만은
@벌꿀치즈볼
@벌꿀치즈볼 3 күн бұрын
대구가 대구했는데 뭐가 문제 😜 - 대구시민 -
@joyunseong
@joyunseong Күн бұрын
한마디로 저기 동성로 중에서 젊은 인구가 모여드는 곳이 과거에는 전자제품팔고 고물상 같은것들이 있다는걸 생각해보면 우리가 할수 있는 생각은 성수동? 거기도 과거에는 고물상 같은게 많았는데 나중애 팝업스토어가 우후죽순 샹겨난것이 시초이니 젊은층 모여드는 동성로 상권은 성수동인데 그것도 일부..
@김용-k3r
@김용-k3r 2 күн бұрын
대구서 부동산 오래했지만 답없습니다. 동성로 건물주인들 대부분 50대이상인데 지금도 좀있음 뭐가 들어와서 좋아진다 이러고있음.. 현실 직시를 못함.. 건물 반에반토막 나면 이제 정신좀 차리겠죠.. 지금 남아있는 곳들은 주인분들이 정신차리고 월세 낮춰서 받는곳일겁니다. 대구는 뭣도 없어서 점점 노인인구가속화 되어가고있고 젊은인구 없어짐..
@teslio
@teslio 4 күн бұрын
와 대구 2000년대 초반에...동성로 정말 사람 많았었는데...ㄷㄷ;;; 다 어디가서 노는건가요..?
@내맘대로-b3g
@내맘대로-b3g 3 күн бұрын
​@@윤미래-e6m거기도 없든데
@no1froooog
@no1froooog 3 күн бұрын
@@윤미래-e6m 아는척ㄴㄴ찐따주제에 니가 뭘아냐ㅋ
@윤미래-e6m
@윤미래-e6m 3 күн бұрын
@@내맘대로-b3g 인구는 계속 줄어드니까 ㅜㅜ 동성로로 한곳에 모이던 그 유동인구 생각하면 허허벌판이죠
@윤미래-e6m
@윤미래-e6m 3 күн бұрын
@@no1froooog 부동산시장좀 보고와 ㅋㅋ 그지같은게
@윤미래-e6m
@윤미래-e6m 3 күн бұрын
@@no1froooog 부동산시장좀 보고와 그지같은게 ㅋㅋ
@dahan_tube
@dahan_tube Күн бұрын
13:30 고등학교 때, 로데오거리 가서 옷 구경하고 사러 다니는 맛으로 다녔는데... 지금은 싹~ 다 공실이네... 세월이 참....
@뽀롱뽀롱뽀로로-h9i
@뽀롱뽀롱뽀로로-h9i 3 күн бұрын
총총견문록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누누누-b2d
@누누누-b2d Күн бұрын
대구 사람으로서 동성로 안가본지가 20년이 넘은 것 같네요ㅎ 20년 전만해도 진짜 대백 앞에 발디딜틈도 없었는데.. 영상으로 동성로 구석구석을 볼 수 있어서 옛날 생각도 나고 좋았어요ㅎ
@KLB-p9q
@KLB-p9q 2 күн бұрын
임대붙은 가게들 들어올사람 없어면 다른용도로 사용하겟지. 별걸 다 걱정한다. 오프라인 가게들 다 망하고 온라인 플랫폼 장사로 다 넘어갓음. 앞으로 아파트도 상가는 안지을거다. 신도시 아파트 상가 전부 임대 붙은 공실임. 동성로도 시대 변화에 맞게 변화되겟지. 동성로 보다 서울 강남 가로수길 대부분 임대붙은 공실 가게들이고 강남역주변도 사람이 없음. 압구정동 에도 사람이 없음. 대한민국 이 극좌빨 김영삼 이후 30년넘게 좌파 독재국가 시대로 싸그리 다 망하는중임. 좌파 독재국가 는 다 망함. 좌파독재로 경제박살 국방박살 . 각자도생. 😮😮😮😮😮
@seori-e9l7c
@seori-e9l7c Күн бұрын
어디나라 어느곳이나 건물주만 돈버는 상권은 쇠퇴하고 이동하는 겁니다. 젊은이들은 항상 새로운것을 찾거든요.
@cchiers
@cchiers 4 күн бұрын
10년전에 동성로에서 폰팔이한테 가게로 억지로 끌려간뒤로 쳐다도안봄 ㅋㅋ 살다살다 어깨걸이하면서 가게로 데리고가는곳은 처음봤음. 대구 처음 놀러간건데 최악의 기억으로 남음
@쥬지스님-d5k
@쥬지스님-d5k 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삥뜯듯이 판매
@babytiger17
@babytiger17 3 күн бұрын
@@cchiers 엌ㅋㅋㅋㅋ 진짜예요??? 와 별의별일이 다 있었군요 용팔이 문화를 대구에서도 그랬구나.. 한가지 이유가 아니겠지만 지금 용산 컴퓨터상가 보면 답 나오져 자업자득이네
@뭡샺쯰줻
@뭡샺쯰줻 3 күн бұрын
근데 폰팔이 새기들은 어딜가나 그렇게 장사하지 않나요ㅋㅋㅋ
@레몬송아지-y4y
@레몬송아지-y4y 2 күн бұрын
내란세력들이라서 그럼
@puba
@puba Күн бұрын
언제더라...15년전인가? 공평동 신축공사한다고 들어가서 현장관리 했었습니다. 시내라 낮에는 공사 못하고 새벽부터 공사를 진행했었는데, 새벽 3시 4시까지도 막 사람 꽤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근처 술집이 많아서 그랬던 것 같아요. 그 이후 저도 한 10여년 정도? 공사했던 그 거리에 간 기억이 없네요.
@news9062
@news9062 3 күн бұрын
노란자 자리인 대구백화점 본점 건물이 계속 폐점되어있으니.. 더 심한거 같네요.... 빨리 누가 들어와야할거 같은데....
@상훈김-b4q
@상훈김-b4q 2 күн бұрын
서울 올라온지 6년째인데 동성로 추억 막 떠오르네요. 제가 올라올 때만 해도 옛날 광장코아 쪽이 번화가 였는데 지금도 그런거 같더라고요. 솔직히 고향이긴 하지만 서울 올라와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고향 친구들 만날 때마다 서울로 오라고 말은 하는데 안타까운 마음이 있네요
@KoreanJ7
@KoreanJ7 3 күн бұрын
강호발바닥님이 텅텅 비었다고 얘기하면 욕 ㅈㄴ 할거면서 ㅋㅋ 나름 기자가 망했다고하니 다들 댓글이 차분하네
@dec_22
@dec_22 2 күн бұрын
서울도 그렇고 오프라인 로드샵 위주의 거리는 그냥 다 망해가는 중이죠. 동성로가 비었어도 신세계 매출은 전국 6위인게 그 방증
@rebeccamin2845
@rebeccamin2845 2 күн бұрын
오늘 동대구역 탄핵 반대 집회 보니까 사람 엄청 많던데? 동성로 대구 심장 아닌지 오래전인데...
@영구업따09
@영구업따09 2 күн бұрын
태어나서 이렇게 전국적으로 공실 많은적은 처음인듯 ! 내란수괴와 내란당이 한몫했음 인정해야!!
@소림사주방장-b5r
@소림사주방장-b5r 2 күн бұрын
댓글 다 맞습니다. 온라인 구매, 인구 감소, 블록화, 경기 침체 추가 하자면 대구가 갑자기 아파트 공화국으로 변신 하면서 아파트값 폭락 하면서 소비가 더 안되는 것 임. 원래 가난한 도시가 슬림화 되고 있음
@해롱2-q5b
@해롱2-q5b 3 күн бұрын
노보텔 이전에 20년전엔 밀리오레였었어요~ 나이트도 있었던 것 같은데...
@김도도-v4t
@김도도-v4t 2 күн бұрын
임대는 나와도 절대 가격은 안 떨어뜨리고 있을걸요. 이대 앞에 처럼..그리고 우는 소리를 하죠. 요즘은 동성로에서 동대구역쪽으로 상권이 옮겼지 않나요? 교동이나
@구미베어-m5q
@구미베어-m5q 2 күн бұрын
대구만 망하는게 아니라 다른 지역도 다 망해가는중입니다 지금도 망헤가고 있구요
@paka-1
@paka-1 19 сағат бұрын
와 시내 안간지 한 3-4년 된거같은데 평일 낮에 가서 사람 없는 것 같긴 하다만 빈상가 저렇게 많은 건 처음보네.. 3-4년 전만해도 대백만 문닫았지 외곽쪽 제외하곤 빈상가 없었는데
@s-pro909
@s-pro909 3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자기 동네에서도 충분히 놀거리가 많아서 굳이 동성로에 안가요.
@정도령
@정도령 2 күн бұрын
몇가지의 큰이슈가 있었죠 지하철 화재. 충격적이었죠 그리고 공원부지조성으로 젊은이들 놀던 자리가 반이상 갈렸죠. 아쉬운건 그때 도시계획을 너무 서둘렀다는 것 워낙 쇼핑 밀집지역이다보니 시민안정은 등안시 하고 너무 급했던 행정과 급기야 대백 폐업으로 종을 쳤죠.
@밀크레드-u2v
@밀크레드-u2v 2 күн бұрын
극우의 도시~ 분지와 노인
@par-hv7lj
@par-hv7lj 2 күн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은 동성로는 입지 불패임. 대신에 메인스트릿은 비싸니 사람들을 땡길수 있는 가게들은 교동, 삼덕으로 감 그만큼 유입인구가 분산되서 동성로만 없지 근처 상권은 사람많음. 그래서 동성로 걱정은 월급쟁이가 돈많은 건물주 걱정하는 꼴임
@유레카-p1x
@유레카-p1x 3 күн бұрын
상권이 이동한거임 여러군데로 분산
@해삐-b7r
@해삐-b7r Күн бұрын
동성로 상가 임대 매매 엄청 많네여..ㅎㄷㄷㄷㄷ 현장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industry8068
@industry8068 3 күн бұрын
동성로나 통신골목쪽은 죽고 오히려 교동쪽에 젊은감성의 가게들이 많이생기면서 젊은층들이 옮겨같거 같더라구요 과거에는 컴퓨터 전자기기쪽으로 특화된 거리였는데
@Muse까칠한힐링여신
@Muse까칠한힐링여신 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교동이 핫플이됬더라구요 ~
@sabinapark3017
@sabinapark3017 3 күн бұрын
대구 동성로는 대구백화점이 죽으면서 바로 내리막길 걸었나보네요. 동대구 신세계는 바글바글하던데 ㅠㅠ
@리오넬튀랑
@리오넬튀랑 2 күн бұрын
현백 신세계는 사람이 많죠 명품관에 어떤 메이커가 들어오냐가 정말 중요한거같네요.ㅎ
ПОДРИФТИЛ С БАБУЛЕЙ #shorts
00:22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Banana vs Sword on a Conveyor Belt
01:00
Mini Katana
Рет қаралды 77 МЛН
Делаем с Никой слово LOVE !
00:43
Привет, Я Ника!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퇴직 30년 퇴직 후, 나는 경비원이 되었다.
7:34
사연 구독
Рет қаралды 2,7 М.
직접 가봤습니다
3:12
충주시
Рет қаралды 200 М.
ПОДРИФТИЛ С БАБУЛЕЙ #shorts
00:22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