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고층이 얼마나 위험하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저 고층 아파트 뛰어내린 사람들 있을 겁니다 아파트 값 떨어진다고 말은 안하지요 저는 몇명 봤습니다 ㅠㅠ
@루프스-s3d11 ай бұрын
나라에서 건축규제를 너무 많이 풀어놔서 생기는 문제 같습니다
@daniellab192811 ай бұрын
이명박때 계획한 곳
@seeyi1452 Жыл бұрын
건물 보고 징그럽다고 생각들긴 처음이다!
@hterius953 ай бұрын
외국인들은 서울 닭장 성냥갑 아파트보고 징그럽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롯데타워에서 전망보고 실망하고 다시는 한국 안 온다고 하죠 ㅉㅉㅉ
@userganadaАй бұрын
홍콩은 이쁘기라도 하지 저긴 진짜 무섭네요
@userganadaАй бұрын
@@hterius95 맞아요 한국대부분 아파트 거의다 닭장임 층간소음은 기본으로 깔고 아래층 위층과 시비붙고 ㅋㅋㅋㅋ 닭장속에 있는 사람들만 모를뿐이지
@HM-wu4tf Жыл бұрын
오래전부터 느꼈던 점을 얘기해주시는 유일한 분이네요, 서울뿐 아니라 근교에도 아파트들이 빽빽한 곳을 가보면 하늘이 보이지않고 동간거리가 너무 가까워 맘대로 커튼을 걷기도 어렵고 우울증이 괜히 많아진게 아닐겁니다. 아무리 좁은 땅이라도 앞으로 인구대비 갈수록 빈집이 생길수 있다고 생각하면 저 닭장들을 어떻게 감당할런지 진짜 걱정이네요
@Kkim0830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래서 우울증이 늘어난 원인도 있을것 같아요
@ReD_Trip Жыл бұрын
사업성만 생각하니 나오는 부분 .
@user-keep-p4q Жыл бұрын
썩은건축업자들의 큰죄
@칼슘나트륨 Жыл бұрын
충남으로 오세요 시야가 아주 탁 트여있습니다 ㅋ
@joannelee3298 Жыл бұрын
캐나다도 그래요. 아파트를 50층이상씩 지어대는데 바로코앞에 또 고층 신축아파트를 짓고. 거실커텐 항상 닫고 살아야하는 곳 많답니다. 한국은 땅은 좁지만 버릴땅이 없고 캐나다는 넓지만 실상 인간이 살수있는 땅이 얼마안됨
@아낌-f9b Жыл бұрын
여기 지나가다 보고 정신병 걸리는줄 알았어요. 이기적인 디자인이라고 생각해요
@grx1988 Жыл бұрын
용적율 600프로 인데 당연히 빡빡하죠
@jmsunny143710 ай бұрын
저딴데도 18억 19억 합니다...
@Ffhjijhgff45677 ай бұрын
눈을 망치는 디자인이라니
@gjsxjgjsxj1835 ай бұрын
저게 딱 공산주의 진영쪽 아파트인데
@shouvvb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사람 사는 곳이 아니라 사람 수납하는 곳으로 생각하고 짓는게 아니냐…
@깐쪼-b9o Жыл бұрын
여기 가려고 하는 사람은 꼭 이 글을 봤으면 좋겠네요. 이 근방에는 조금 규모는 작지만 비슷하게 닭장처럼 생긴 건물들이 많습니다. 이런 곳들은 대개 돈은 벌기 위해 기획한 곳들이기 때문에 면적당 수익만을 뽑아내기 위해 만든 건물들입니다. 때문에 보기에만 깔끔해보이게 만들었을 뿐, 시공부터 모든것이 최악입니다. 한가지 예로 기본으로 설치된 에어컨이 있었는데 시공순서를 엉망으로 공사해서 에어컨틀때마다 지린내같은 냄새가 났습니다. 냄새나면 관리실에 말하면 고쳐준다고 했지만 정작 시간내서 사람오는거 기다려서 고치는 꼬라지보면 하는게 아무것도 없더군요. 그냥 WD-40 좀 뿌리고 보는 시늉만 하다가 갔는데, 시공순서가 잘못되서 방법이 없다는 사실도 꼬치꼬치 물어보니까 어쩔 수 없이 대답해줘서 알게된 겁니다. 게다가 이 큰 건물에 냉방을 중앙에서 컨트롤하기 때문에 관리실에서 정한 기한부터만 에어컨을 틀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처음에 새집냄새가 심해서 입주할때부터 좀 불안했는데 사는 이년동안 온갖 질병에 시달리다가 이사나오니까 바로 나았습니다. 상가도 입주가 잘 안되다가 결국엔 이상한 양아치들이 들어와서 마트비슷한걸 차렸는데 상가앞에 인도부터 지하까지 불법점거하다시피 장사하는데 시끄럽게 트로트 크게 틀고 썩은 생선냄새에...아주 가관이었네요. 집값오를거 같아서 들어가시는 분들은 인생에서 몇년을 고통속에서 보내고 싶으시면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절대 가지 마세요. 이런거 짓는 돈벌레들때문에 헬조선이 되는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Ffhjijhgff4567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런 소신발언. 저도 신축 오피스텔 들어와서 몸이 많이 상했는데 그때문이 아닐까싶네요. 돈에 환장한 인간들 덕분에 사람 주거 환경이 더 낮아지는 현상이 너무도 슬프네요
@깐쪼-b9o6 ай бұрын
@@gavorstz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곰팡이가 계속 생기는게 처음부터 아주 기초적인 시공을 엉망으로 해놨기 때문이고,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금새 다시 곰팡이피고 악취가 나는거죠. 입주초기에는 너무 문제가 많아서 관리사무소에서 입주자들한테 거의 1년도 넘게 문제생기면 해결해준다고 계속 공지를 돌렸었죠. 하지만 보통의 오피스텔 관리사무소라는게 그렇듯 전문성없는 양아치들이 운영하는게 대부분이고 와서 처리해주는 사람들도 하는둥 마는둥 시늉만 하다가 가는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저런 곳은 사람사는데가 아닙니다.
@기갓2 ай бұрын
대체왜 들어가노 보는눈ㅈㄴ없다
@kweng_h6698 Жыл бұрын
아 여기 처음에 부모님이 이게 무슨 닭장을 지어놨냐 했는데 똑같은 의견이시군용... 입지는 좋은 편인데... 아쉬워요ㅠㅠ
@JHme-nx1gu Жыл бұрын
이 건물에서 일했었습니다 ㅎㅎ;; 입주떄 부터 일했었는데 진짜 하자가 엄청나더군요 상식밖에 엄청난 하자들이 수도없이 많았습니다.
@cuon Жыл бұрын
와 미쳤다. 너무 무섭다.ㅠㅠ 색깔도 소세지 색에 너무 갑갑하다. 저게 감옥이 아니라 일반 가정집이라니.
@루에나-g8f Жыл бұрын
ㅎㅎ..
@반디-k7d Жыл бұрын
중국 출장가신줄알았어요;;
@user-akdkdnenakdkdks Жыл бұрын
소세지색 ㅋㅋㅋㅋ
@kokomo7779 ай бұрын
소세지 ㅋㅋㅋㅋ😂😂😂
@coyote16497 ай бұрын
소세지?는 아니고 살라미 색 같은데?
@ufikdllahg9csef Жыл бұрын
애시당초 용적률을 600까지 허용해준 서울시가 문제네요. 원흉의 기원.... 당연히 시행사 시공사 원주민들은 용적률 크게 주면 좋아라 하죠. 생각이란걸 하고 용적률을 허가하는건 시와 구의 몫 아닌가요. 에휴.... 진짜 영상만 봐도 가슴이 꽉 막히네요.;;
@hhk294 Жыл бұрын
용적률은 땅 용도에 따라 정해지는건데 뭔 서울시가 저기에 용적률을 더 줬다는거냐 빠가사리냐?
@Ffhjijhgff45677 ай бұрын
나라가 돈에 눈이 멀었나봐요…
@atrataxevious24224 ай бұрын
안그러면 의원동원해서라도 찡찡대는데 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isikim946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도봉박홍기라고 그 분이 그랬었음.. 동간거리 간격을 짧게 지어서 서로 너무 잘 보이니 계속 커텐 처야하고 햇살도 안들어서 불 켜놔야 하고... 그게 우울증으로 가고.. 겨울엔 눈도 잘 안녹아서 빙판에 지난 5년간 우후죽순 지어질때부터 아이고 저기서 어떻게 사나 하는 아파트 많았음...
@후쿠오카곤방와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20년 넘게 살고 있어요. 가끔 한국에 갈때마다 깜짝 깜짝 놀랍니다. 좋아져서 놀라는게 아니라 점점 나빠져서 놀랍니다. 어떻게 나라를 이렇게 디자인 하고 설계하는지 정부 공무원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궁금하더군요. 70년대부터 5개년 발전계획을 만들던 부서가 현재 기재부죠. 여기가 한국을 디자인 하는 한국 최고 엘리트 집단이라도 들었습니다. 한국을 올때마다 놀랍니다. 점점 나라가 중국화 되어가고 있어요.
@lIlIlIlIlllllllll Жыл бұрын
디자인, 엘리트보다 천민자본주의가 더 우세해서 그렇습니다. 국민은 그 수준에 맞는 정치인을 갖기 마련이죠
@후쿠오카곤방와 Жыл бұрын
@@lIlIlIlIlllllllll 한국 정부의 일년예산이 600조원에서 650조원 정도죠. 그 중에 530조원이 기재부로 들어갑니다. 복지부 일년예산이 50조원에 불과하죠. 기재부와 10배 차이납니다. 이런데도 정치인 타령만 하면 이 나라가 바뀔까요?
@QQQKOR Жыл бұрын
@@lIlIlIlIlllllllll넌 조현병 검사 부터 받으시길 ㅋㅋㅋ 엘리트 주의 좋아하네
@charles-hn3ip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7-80년대 눈부신 경재발전 이후에, 성숙하지 못한 급속한 민주화로 점점 내실은 없는 속빈 강정이 되어 중국화가 되었죠. 지금이라도 국민스스로 국민성을 높히는 자성을 이루어야 합니다.
@sodizzy3339 Жыл бұрын
@@charles-hn3ip 그래서 종국에는 윤석열이라는 괴물이 탄생했습니다. ㅋㅋㅋ
@CaptainAfrica97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우연히 걸어가다가 봤는데 뭐 이런곳이 있나 싶더라구요. 실제로 보면 진짜 어이가 없습니다 ㅋㅋ
@user-ghdf376lj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이 건축한거다 완전 중국이나 홍콩 빈민층에 지어놓은 닭장 구조 건물들과 모양이 똑같다 대한민국이 세계로 부터 찬사받으니 그 명망을 사회구조 인프라로부터 망가뜨리려는 공작 짓거리다 우리나라 건설업에 조선족 노동자들과 조선족중국인 건설업자가 득시글
@성수유네 Жыл бұрын
민주당 뽑은 결과임...건설사랑 뒷돈받고 허가 내줌
@yujinlm0070 Жыл бұрын
@@성수유네 어이가 없네 술석열이가 부자감세하고 니 월급에서 세금 더 빼간단다
@AGK546 Жыл бұрын
@@성수유네 여기서 왜 정치얘기가 나오나요?
@jrl9824 Жыл бұрын
@@성수유네 건설사 뒷돈은 국짐당이 전공인데 무슨소리?
@degeckosgalactica2623 Жыл бұрын
그 근처 서울 동부 구치소하고 외관상 위화감이 전혀 없더라고요. 근처 서울 공항 착륙방향에 걸려서 고도제한이 있는데 용적률을 600까지 준것이 행정 비리가 아닌가 의심을 할 정도죠. 용적률을 막 풀어주면 주거의 질이 어떻게 떨어지는 가를 보여주는 한가지 사례가 아닌가 합니다. 하기는 서수원, 동탄이나 기흥쪽에 잘 보이는 젓가락 아파트도 문제가 심각하기는 마찬가지가 아닌가 하고요.
@queenkongworld9 ай бұрын
입주때 분양권사서 들어갔다가 팔고 나왔습니다. 저도 닭장같다 교도소같다 생각했지만 막상 안에 구조랑 조명이 아늑하고 편해요. 가장 큰 문제는 하자보다 이웃을 잘 못 만나면 층간소음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았어요 😢
@민트티의향기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닭장이네 숨통이 다 막힌다 저러니 외국인 친구에게 아파트 산다고 하면 좀 이상하게 생각한다는....
@kdh4883 Жыл бұрын
저걸 디자인 한 사람이 독일에서 여러 상을 받았던 건축가라는게 더 기가막힘...
@cristinashin250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헐 ㅠㅠ
@seonghyukhong2098 Жыл бұрын
내막을 알아보면 이미 배치는 다 나와있었고 부정적 여론을 조금이라도 완화하고자 해당 디자이너를 불러서 입면정도만 디자인을 맡겼다고 하더라구요.
@judy534 Жыл бұрын
저게 디자인임?????
@NaN_OTL Жыл бұрын
건축주 요구사항과 용적률 건폐율을 지키려면 아무리 유명한 건축가라도 별수있나요
@라이언-k2z6y Жыл бұрын
설계에 대해서 1이라도 알아요?
@세월-x3f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진짜~~ 욕나온다 저런 건물을 준공허가를 내주고 ㅠㅠ 건설쪽 공무원들이 무슨 미적감각이 있어야 건축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지 말레이시아같은 나라도 법적으로 똑같은 모양의 건축은 허가 안한다고 하더만 진짜 어떻게 저런건물을 짓냐!
@AF-qk8ty Жыл бұрын
주거빈곤 해결이 먼저니까 그렇겠지? 말레이시아같은 후진국이야 ㅆㅂ 서민의 주거안정따위는 개 ㅈ이라고 생각하니까 그런거고 보면 타지키스탄이런 국가들은 정부 건물은 멋지게 지어놨다 미얀마도 그렇고 그게 ㅈ벌레 국가라서 그래. 근본이 없어서
@user-ghdf376lj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이 건축한거다 완전 중국이나 홍콩 빈민층에 지어놓은 닭장 구조 건물들과 모양이 똑같다 대한민국이 세계로 부터 찬사받으니 그 명망을 사회구조 인프라로부터 망가뜨리려는 공작 짓거리다 우리나라 건설업에 조선족 노동자들과 조선족중국인 건설업자가 득시글
@vegasaturn4441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의 본질을 알아야합니다. 이나라는 대부분의 언론을 소유한 토건세력들이 부패한 판검사들의 비호를 받으며 국민 전체를 해처먹는 구조입니다. 개혁하려면 투표잘하는 수밖에 없어요...
@wsj96969 ай бұрын
싱가포르가 대표적인데 가면 건물이 정말 예술이긴 합니다. 싱가포르가 공무원들이 일 잘해서 일군 나라의 표본인 나라기도 하고
@dayoffffffff Жыл бұрын
하비오 5년 거주 했습니다 시야 좋을 것같다고 말했던 101동 103동 쪽은 큰 전광판 때문에 밤 10시까지 커튼을 치고 살아야 했어요. 층간 소음도 컸고,,, 첫입주 했을 때는 저는 월세라 크게 상관안했지만 점점 상가가 비어가고 상권이 죽는건 어쩔 수 없었어요. 고급단지 느낌은 아니예요. 시공도 너무 못해서 하자도 많이 있었구요. 커뮤니티센터 놀이터 등등 모든 것이 너무 별로였던 아파트였습니다.
@jipconomy Жыл бұрын
😯 생생한 의견 감사합니다
@정정-u4d Жыл бұрын
송파대로변 오피스텔의 광대함이 보기에 좋진 않지만 아파트쪽 전광판 때문에 커튼치고 산다는 얘기 첨들어봄 엄청 예민하신분인가 보네요. 5분거리에 킴스클럽 이마트 전철역 극장 쇼핑센터 다 있는 살기편한곳 입니다.오피스텔하고는 구역만 분리된것이 아니라 관리주최도 다릅니다.공원뷰도 실제 안에서 보셨으면 정말 좋았을텐데요 ㅡ하비오 거주자
@알아보자-p2b Жыл бұрын
@@정정-u4d 부럽습니다, 다만 관리주체가 맞습니다.
@바다내음-t8p Жыл бұрын
탈출 축하드립니다 🎉
@Ratel4Moon Жыл бұрын
@@정정-u4d많이 힘드시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코난-g5c Жыл бұрын
히비오 데코보코 건물..분양 건축모형 만든 사람입니다..한참 전인데 그 때 만들면서 건물이 괴물 같기도 하다는 생각했었고 난간 까지 세팅하니 바글바글 해보였습니다..그리고 일량이 너무 많아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jipconomy Жыл бұрын
withmold@hankyung.com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loma1849 ай бұрын
우리회사 사람들은 저 아파트를 정신병원이라고 부름.
@tilebible7815 Жыл бұрын
하비오 신축현장에서 8개월시공했는데 워낙넓어 길잃기 쉽상이었네요. 아파트,오피스텔,호텔,워터파크 등 내부 시공이라 외부마감이 저리된줄 얼마전 상가 매물보러 갔다가 깜짝놀랐습니다. 닭장...흉물 스런 느낌 오피스텔은 끝에서 끝까지 고시원같은 구조 석고보드 벽체로 되어있어 주먹으로 뚫으면 옆호실까지 그냥 뚫립니다
@ninaahw4128 Жыл бұрын
중국이나한국이나..ㅜㅜ쫄부허영근성 일치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불나면 대피할 순 있겠네요 적재만 안하면
@Vidabello639 Жыл бұрын
@@user-ghdf376ljㄷㅅ아 그니까 저 설계를 중국인이 했냐고ㅋㅋㅋ 시공이랑 설계구분못해?
@johnbillon7757 Жыл бұрын
@@user-ghdf376lj ㅋㅋㅋ. 말 잘못하고 핑계는...
@cargm8949 Жыл бұрын
@@johnbillon7757
@seung-jaelee884 Жыл бұрын
사실 용적률 600%면 햇빛 보기가 힘들죠. 특히 가을 겨울에... 용적률 250만 넘어가도 넘 빽빽하던데.. 신축 구축 다 살아 봤는데...신축 포기하더라도 낮은 용적률에 정남향은 포기 못하겠더라고요. 전 그래서 오래되었더라도 1기 신도시가 좋더라고요. 요즘 젊은 사람들은 신축을 좋아하지만...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정남향에 따뜻한 햇살이 쏟아지는 거실에서 앉아 있어보면 좀 낡은 집이라도... 이게 좋더라고요. 그냥 재건축하지 말고 이대로 쭉 살았으면 하네요.
@제니스-l7c Жыл бұрын
저도 베란다 있고 동간 넓고 정남향인 구축이 좋더라구요.😊
@sisikim946 Жыл бұрын
저는 아파트 안살지만 지나가면서 보면 구축이 더 살기 좋아보여요 동간거리도 널찍하고 햇살도 잘 드는게 보입니다. 구축은 사람을 생각해서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도 아파트로 간다면 구축가고 싶습니다. 옛날 아파트가 시멘트도 두둑하게 넣어서 층간소음도 덜하고요.
@아real요 Жыл бұрын
구축이 관리만 잘되어있으면 신축보다 나은거같아요 신축들 다 구조가 너무 별로인거같아서,,
@jjinggggg Жыл бұрын
신축들은 구조가별로!....확 트인,구축구조가 저는 더 낫더라구요ㅎ
@AK-sl4goАй бұрын
맞아요. 250만 넘어도 답답하다는 느낌 들어요
@davidp8138 Жыл бұрын
현장 해설도 잘하네요 자주 임장 나가줘요
@unitykarma Жыл бұрын
이걸 허용해준 공무원이하 관련자를 처벌해야합니다ㆍ송도신도시도 이렇게 되어가고있어요ㆍ경제청장이 뭘 드셨는지 송도최초 조감도를 점점 벗어나고있죠
@밥대장-v5i Жыл бұрын
결국 주민들이 그렇게 만드는거임 ㅋㅋ 투표를 무기로 ㅋㅋㅋ
@3ddd229410 ай бұрын
넓게 넓게 만들면 집값이 비싸짐
@별이-r2x9 ай бұрын
국힘 지지율이 높은 동네네요ㅠㅠ
@chaosgogogo9 ай бұрын
@@별이-r2x ㅋㅋㅋ 민주당 높은 데는 안그런줄 아나봐 정치병환자님 ~^^
@제니스-l7c9 ай бұрын
@@별이-r2x 여기 정치병 하나 또 있네. 그래서 이죄명당 지지자들 많은 서울 강북 촌구석들은 쓰러져가는 몆십년된 벽돌주택 많은데 재개발도 못해서 좋겠네. 진짜 한심하다.
@1434I Жыл бұрын
진짜 송파 처음 갔을때 저 단지를 보고 충격을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진짜 과하게 빽빽해서 놀랐습니다
@shower38 Жыл бұрын
7:20 건물 외관이 잠깐 보이지만 실제로 보면 으앜이 저절로 나옴. 이쪽 지역을 자주 다니는데 볼 때 마다 무슨 생각으로 저렇게 건물을 짓고 허가가 났는지 이해 할 수가 없네요. 아무리 바로 앞 도로가 왕복 10차선 정도 되는 큰 도로라고 해도 진짜 너무 하다 싶을 정도입니다. 그냥 돈 앞에서 모든걸 버린 시행사와 관련 공무원의 환상의 콜라보...
@애니-s1w Жыл бұрын
완전히 닭장보다 작은 새집들을 모아 놓은 느낌~ 홍콩 같네~!!!
@fantasticlife3254 Жыл бұрын
인구는 계속 줄어가는데 이렇게 용적률 높이는건 위험해 보입니다. 미래에 도심외곽 흉가를 양산할 확률이 높아요~
@popodream116 Жыл бұрын
서울은 글쌔요... 서울로 더 몰림헌 몰렸지 ..
@스티브-v9i Жыл бұрын
서울은 그렇게해서 싸지면 좋겠는데 지방이 문제겠죠?
@seeingsaying Жыл бұрын
인구는 2030년을 기점으로 줄어든다고는 하지만, 서울쏠림현상은 가속화될 거고, 오히려 기존 4인가족에서 핵가족으로 1인가구가 뿔뿔이 흩어지면 필요한 가구수가 더 늘어날 거 같아요
@스티브-v9i Жыл бұрын
@@seeingsaying 네 백신부작용때매 작년에 사상최대로 사망자 발생 앞으로 백신 맞을수록 더 오를거임
@gy5540 Жыл бұрын
서울은 안줄어듭니다. 서울은 대기수요만 1000만이고 2040년까지도 수도권 인구는 계속 우상향입니다. 그 이후에도 수도권은 고작 몇십만명 줄어드는데 그칩니다 인구걱정해야할 것은 지방 군소도시에요
@User-kgshjtegd Жыл бұрын
시각적폭력 맞네 할렘에 저런건믈 많은데 할램도 저정도는 아니다
@rondae26 Жыл бұрын
얼마전에 홍콩다녀왔는데 홍콩에서 비슷한 건물을 많이 봤는데 한국에도 있었군요.. 홍콩에서 건물보면서 위압감 들었었는데,, 조금만 외관을 다르게 지었으면 어땠을까 싶지만 관리비는 적게 나오겠네요
@튜브 Жыл бұрын
아니 용적률은 600프로 가져가더라도 외관을 아예 커튼월로 하던지 아니면 대로변이라도 차별화를 두든지 진짜 저건 하얀색으로 다 칠해두고 실외기 보이고 난간 보이고 최악이다.
@7보라돌이 Жыл бұрын
오피스텔에 커튼월까지 해주면 비싸게 분양해야함
@grx1988 Жыл бұрын
싸게싸게가 핵심인데 돈은 쥐뿔도 내기싫은 인간들이 좋은거만 원하지 ;;
@dnexwg3211 ай бұрын
실거주로는 저렇게 호실별로 실외기 있는게 좋음. 아니면 FCU라고, 중앙 방식 냉방 써야 하는데, 최악임
@corporatedemocrat Жыл бұрын
저런건 처벌 좀 해라 인구소멸 중인데 저게 뭐하는짓?
@김영태-g6z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 잡으려면 저렇게 많이 짓긴 해야됨
@noname-qn4eq Жыл бұрын
서울 수도권은 늘고 있어서, 저렇게 하는게 집 값 내릴 수 있는 길이기도 함 ..
@흰토낑-x7k Жыл бұрын
저동네 위치는 인구소멸 걱정 안해도됩니다
@꼬꼬마건물주 Жыл бұрын
누군가에게는 저기살아보는게 꿈과희망이다
@스티브-v9i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앙해서 집값 천정부지로 오르면 또 욕할거면서 ㅋㅋㅋ 역시 대한민국은 뭘해도 욕먹어 ㅋㅋㅋㅋ
@산티아고-n3f Жыл бұрын
설치 일때문에 가본적 있는데 비싼 고시원 느낌. 옆집 알람도 들리고 들리면 안될 소리도 들린다고. 층간소음에다 벽간소음 장난 아니라고.
@Hehekitt Жыл бұрын
집 내부보려고 끝까지 시청 했지만 내부는 나오지 않았다..
@Sgcdgbvxcb7653 Жыл бұрын
다들 같은 생각이네요 건축물 세울때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겸 도시미관 좀 고려해서 건축했으면 해요 내가 살고 싶은 도시건설계획 했으면 한다 정말 삭막하고 우울함 느껴지는 구소련식 아파트 건축물 같아요
언듯 보고 중국아파트 소개인줄 알았는데 우리나라라고 하니 깜짝 놀랐네요~ 제가 살고 있는 곳도 상가건물이 많고 공실도 많아 그 곳을 지나갈때 늘 안타까운데 법으로 일정비율 넘어가면 건설 못 하도록 했으면 막았으면 좋겠어요~
@newtern1 Жыл бұрын
저기는 중국화가 아니라 홍콩화
@seoul_friend Жыл бұрын
여기 설계 도면 그리는 분께.. 최대한 방 많이 만들어달라고 해서 이렇게 된거에요. 주차장도 엄청 좁고, 방음도 안좋고. 화장실 하수구 역류도 문제고. 참 대우건설에서 지었고 하자도 엄청 납니다. 상가 왜 비었는지 아시면 진짜 놀라실듯
@순손송 Жыл бұрын
🇰🇷 인구수는. 많고. 공실도 별로 없는것 같은데. 상가는 왜? 비었나요? 너무 궁금합니다. 답장.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seoul_friend Жыл бұрын
@@순손송 상가를 분양을 안줬어요. 다함하비오(그룹사 본사개념) 와 계약해야하는데.. 회사는 아파트 분양으로도 땅사고 건물지은값을 벌고도 남았습니다. 그래서 싸게 임대라도 해서, 서로 윈윈해야하는데..임대료 높게 측정해서, 들어오려면 와라 . 이런식이었죠. 지하1층도 많이 비었고 특히 지하1층 워터파크 있지만, 입장료 비싼 정책을해서 많이 오지도 않았죠. 호텔,메가박스,예식,헬스장,워터파크 다 같은회사입니다. 다함하비오 회장님 따님 분들이 대표로 있고 (계열사식으로) 회장님 동생, 친인척들이 관계있는 회사입니다.
건설사야 계산기 두들겨서 최대한 용적률 높여야 이익이 커지니까 무조건 빡빡하게 짓고 싶고 담당 공무원은 그렇게 지으면 안되는데 말은 하는데 건설사에서 엄청난 로비와 리베이트 챙겨주면 또 허가가 나는게 현실임.. 저런것들은 조사해서 형사처벌해야 공무원들도 경각심 가지지...
@티티파스 Жыл бұрын
불법만 아니면 허가나는 건 문제없지 공무원이 무슨 상관이야 댓글 병신같네
@mango71 Жыл бұрын
21세기에 서울시가 허가를 내준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안라-y7c Жыл бұрын
또또 공무원탓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톡톡-y5z9 ай бұрын
@@안라-y7c 잘못했음 탓을 해야지 왜저래
@코옹-v3f9 ай бұрын
@@안라-y7c진짜 왜저래 나라에서 허가 내줘서 지은건데 건물이 어떻게 지어지는지 모르니까 이딴 소리를 하지
@김지우-x5x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옛날 블록형이 최고 앞동과의 거리제한 공기순환도 잘되고~ 내부의 불편함만 없애면 좋을텐데
@june35679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쳤나봐요 어떻게 저럴 수 있는지
@nnmm196 Жыл бұрын
반 토막이 난 대한민국 땅에서 후손들이 닭장에 살거라고는 생각 못했겠지... 하늘을 가리는 건물이 많으면 정신건강은 맨홀 아래 하수구처럼 캄캄해 지겠어요.ㅜㅜ 동영상만 봐도 맨탈 꺼지네요,,,
@강대희-i4n Жыл бұрын
외관은 저래보여도 살아본 입장에서... 살기 좋아요... 저래보여도 전세가 2억대라.. 돈좀있어야 들어갈수 있다는 투룸은 3억대후반 월세는 70,~100 대 돈좀있어야 살수있다는...
본인집이나 그렇게 요구하세요.남의사유재산을...본인 돈 만원만 달라해도 개거품 무실거면서 쾌적하면서 집값은 내리길 바라는... 저 동네는 높이제한때문에 사업성이 현저히떨어지거늘
@돈하마-l2s Жыл бұрын
ㅋㅋ 구신도시 재건축때 용적율 500프로준다고하던데..ㅎㅎ
@k22-48heaven Жыл бұрын
송파하비오 뒷길은 그래도 변화가 있는 디자인이라 괜찮고, 단지 내 화단도 예쁨. 그러나 수많은 차량이 지나가는 송파대로에서 봤을땐 외벽이 시각테러... (평면이라도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 가능할텐데...)
@이이-q2g8d Жыл бұрын
아마 저기 건축주가 돈드는건 싫어했을 꺼예요
@유니u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어떻게 짓는지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건폐율이 10%대냐... 20%대냐.. 30%대냐의 차이가 엄청난거 같아요. 신도시의 10%대 건폐율에 용적율 250%인거와 20% ... 30%.... 체감적인 차이가 엄청납니다;;;;;; 아파트가 높게 지어지더라도 건폐율 낮은게 최고인거 같아요
@dnexwg32 Жыл бұрын
저 단지 절반 이상은 오피스텔이라서 저렇게 디자인이 나온 것이죠
@joysurisuri11 ай бұрын
저 오피스텔 실거주자이고 양재 출퇴근 1인가구 직장인입니다. 출퇴근 가능한 지역에 저 가격과, 저만한 입지, 신축의 집이 없어요... 물론 층간소음이나 하자, 흉물스런 외관 등 잘 지어진 건물 아니란것 동의합니다. 하지만 들어가 사는사람들이 이해가안되네, 정신병 걸릴거같단 댓글 보니 좀 기분이 이상하네요...😢 건강히 잘살고있습니다~ 저 건물 안에 사람 살고있어요!!!!!
@보물찾기-f2l Жыл бұрын
6년전쯤인가 당건물 신축공사할때 도배사였습니다. 1개층에 80세대정도 되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내가 일하다가 쓰러지면 며칠후에 발견되겠지....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jipconomy Жыл бұрын
😯
@jayyoon7578 Жыл бұрын
흉측하다.. 시각적 폭력이란 표현이 딱 맞는 곳이네;;;
@bettazip Жыл бұрын
요즘 아파트 이런식으로 많이 짓던데... 높고 좁은 닭장, 비둘기집 외형이 진심 숨막힘. 몇 십년후 출생률 개박살 나고 텅텅비면 슬럼가 분위기 물씬나겠다.
@케이-t7g Жыл бұрын
미치겠다. 공황장애 있는 사람들은 절대 외관 쳐다보지 말아야할 같아요. 멀쩡한 사람도 답답... 허가 내준 인간도 이렇게 될 줄 알고 해줬나?? 결론은 집값이 나쁘지 않다는 점...이게 더 놀랍다. 입지/교통 👍 입지 좋은 교도소
@Iamsunny_real9 ай бұрын
헬리오시티도 건폐율 어마무시한데 여기가 더하네…. 어휴 징그러워라
@user-icamdoit5 ай бұрын
거기 살다가 분당이사 온 사람입니다...아...증말 거기에 어찌 살았나 싶어요~먼저 탈출하는 사람이 위너입니다..홧팅~~
@masterpetes Жыл бұрын
저 정도 가구수는 아니지만 타 광역시 지역 뉴스에 벌집구조라고 비판글이 많던 유사 형태의 오피스텔에서 1년 정도 살았었는데 일조권, 조망권 다 가로막힌 집에 살면 진짜 병듦. 준공 고작 3년차에 입주했었는데 이미 벽에 약간의 얼룩 느낌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벽지 내부 곰팡이라 여름 지나면서 걸레로 닦아질 수준으로 외부로 곰팡이 드러나고, 층고도 낮다보니 층간소음도 문제고 윗집, 옆집 화장실 물내리는 소리에 진짜 집이 아니라 구치소 수준이었음.
@conyconycocoy Жыл бұрын
집안에서 창문도 안열고 커튼치고 누워서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면 살만한곳 같네요. 하 너무 답답하게 지은거 같아요😢
@별빛이내린다샤라랄 Жыл бұрын
진짜 닭장이네요;; 창문을 통해 서로 안부 확인도 가능하겠군요.
@nuvolabiance2758 Жыл бұрын
처음 봤을 때는 정신병원인 줄 알았음. 그 후 몇 번 지나며 보니 도시형 교도소라고 생각됨. 저런 흉물을 짓게 심의한 사람들, 허가한 사람들 전부 문제 있음.
@user-drfei8dh9 ай бұрын
파크하비오 2년 사는중인데 원래 지을 때부터 용적률 답답해보이는 외관으로 인기 없을 줄 알았는데 무슨 집값은 계속 오르고 전세는 없어서 못들어오는 수준임. 여기 전세 들어올려고 본 집 볼시간 기다리다 전세 나가버려서 또 대기타다가 이번엔 다른집 보고 바로 계약함. 살고싶어도 못삼 막상 살아보면 만족도 굉장히 높습니당ㅋㅋ 겨울에 난방없이도 따뜻할만큼 잘 지어졌고 관리비는 굉장히 저렴하고 인기잇는 이유가 잇음. 그러니 까내리는 영상도 생기겠지만ㅎ편리함이 엄청남 인프라 때뮨이라도 애 교육만 아니면 거의 평생 거주하고픔 가든파이브 맞은편이 아니고 탁트여서 좋고 더 모아서 매매 할거임
@kkakim3728 Жыл бұрын
우와 진짜 괜히 구치소라고 말하는게 아니네 ㅋㅋㅋㅋㅋ
@도른자-n9s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엊그제 딱 저 붉은건물 보고 뭐여 여기 완전 홍콩이네 이러고 왔는데 똑같은 말씀하시니 재밌네요
@khabf911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나게 봤어요. 고덕동에 그라시움, 아르테온, 그리고 파크하비오처럼 주상복합인 고덕센트럴푸르지오도 한번 방문해주세여
@hornbykim6681 Жыл бұрын
아름답던 고덕동이 저런식으로 변했나봐요. 도서관 옆 고덕주공 212 버스 내리면 풀냄새 훅 들어오던 고덕동...
@caseynam9340 Жыл бұрын
@@hornbykim6681 고덕주공 시절에는 하늘을 볼 수 있었다면..지금은 하늘을 볼려고 해도 아파트만 보이는? 요즘 새로운 아파트 단지 분위기랑 비슷하긴 해요. 단지가 커서 답답하다 느낄 순 있지만...저기는 살기 좀....이라면 그 단지는 돈 있다면 모 살아도 괜찮....을듯?!
@낑깡쓰-l3j9 ай бұрын
@@hornbykim6681 그라시움 아르테온 등 고덕주공 재건축 단지는 저기에 비하면 선녀에요.나름 고급화전략(하지만 하자 많은건 마찬가지)에 용적률이 250%정도라 조경이란게 그나마 존재하죠.차라리 미사쪽이 여기랑 비슷한데 거기도 파크하비오에 비해선 선녀..
@wjang68679 ай бұрын
그라시움은 거주민들 인성으로 악명이 높아져서 유명하죠 ㅋㅋㅋ 옛날 고덕동땐 그런 사람들 없었는데 갑자기 콧대높아져서는,,, ㅎㅎ
@랄랄라-n2k9 ай бұрын
공장같네 끔찍하다 아무리집없어도 안사고싶다
@ck7065 Жыл бұрын
2015~16년 집 매매 때문에 서울에 안다녀본 곳이 없었습니다. 부동산 공부도 했고요. 그 당시 주상복합 또는 오피스텔 또는 상가 있는 아파트 단지 또는 초역세권 또는 시범단지 등의 용적률 300% 이상 집들의 특징 보이더군요. 지금 선택한 집은 용적률 190% 공원과 한강 있는 자연환경 초점 둔 집이었습니다. 물론 개인 성향이겠지만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분들은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할것 같습니다. 쾌적하고 공원, 나무, 산책, 한강 있는 환경을 선택할 것 같아요.
@에비후라이 Жыл бұрын
지금 살고 계신곳은 어디인가요? 궁금합니다. 이사가고싶어요.
@starry1028 Жыл бұрын
저도 지금 사시는 동네 궁금해요!
@에뜨랑제-m7u3 ай бұрын
연식좀 되면 구청에서 매입해서 교도소로 사용하면 되겠네,,,,,
@브래드앤버터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나이들수록 푸른숲이나 청명한 하늘을 봐야 좋습니다...
@Ooooooo-t6h Жыл бұрын
아이들에게도 정서상이나 교육적으로 푸르고 넓은 단독주택이 좋다고 하더라고요
@user-ge7qs7hj7u5 ай бұрын
저기 뷰좋을 위치임
@소머리.국밥 Жыл бұрын
0:45 역시 코너링이 훌륭하시네요.
@soripapa1059 Жыл бұрын
와 아파트가 아니고 집단 수용소같다 한국에 저런곳이 있었다니
@Johnkang5714 Жыл бұрын
와 영상으로 보는데도 숨이 턱턱막히네요
@상우-b8l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뭐냐 ㄷㄷㄷ 조금만 노후 되어도 흉물처럼 보일 듯 ㄷㄷㄷㄷ 그리고 너무 붙어 있어서 층간 소음 장난 아니겠는데??
@루잔-f3d Жыл бұрын
기가막히게 그늘을 찾아다니시네요😊😊
@Tammi-l2s Жыл бұрын
저기 오피스텔 집 보러간 적 있는데 바깥쪽 소음과 매연이 엄청나서 탁 트인것만 선호하는 저도 거기선 못살겠더라구요.. 그래서 안쪽 바깥쪽 선호차이가 없는거 같아요 세입자들이 많이 안알아보는건 아닐거예요
@걍튜브-q3v Жыл бұрын
저안에 사는 사람들은 편안히 잘만 사는데 안 살아본 사람들이 겉만 보고 쓸데없이 이러쿵저러쿵
개웃긴건 ㅋㅋㅋ 건축가가 디자인한거... 원래 저런 모양 디자인 하던데 ㅋㅋㅋㅋㅋ 그사람 작품들 보고 뽑는사람들 눈알도 뽑아버려야함
@윤선열-c3t Жыл бұрын
모든 디자인은 건축가가합니다
@1Masterpiece Жыл бұрын
극도의 효율을 만들어주니, 좋아할 수 밖에요
@makeitbetterc4136 Жыл бұрын
건축주가 층고/용적률/예산 을 정해주면 건축가가 딱히 할일은 없지않았을까...
@four_name247 Жыл бұрын
인맥이나 뭐가 있을뜻...
@유한동-b9e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지금 제건축 추진하고 있는 강남 반포 여의도 이런 곳들 전부가 50층 이상 계획하고 있다는 겁니다 . 용적율을 높여 최대한 일정 면적에 많이 지어야 분담금을 낮추고 수익을 극대화할수 있다고 하니 ~~~ 15층이 기준층이면 35층 정도도 충분할텐데 ~~~인간의 욕심이 화를 부르는 것이지요 . 이런 아파트들이 향후 10년 전 후에 지어져 도시를 뒤덮고 있다고 생각하면 끔찍해지네요 .
@공공민-z6c Жыл бұрын
알고 말하시나 용적률은 법정한도내에 그대로 하고 층수만 올려 동수 없애고 동간간격 더 넓혀서 쾌적하게 하고 스카이라인 만드는거임 짜리몽땅 닭장 아파트처럼 다닥다닥 만드는게 아니라ㅋㅋㅋ 오히려 그거 없애기 위해 하는거임 앞전 시장이 지나치게 틀어쥐면서 닭장밖에 못만들게 했지
@유한동-b9e Жыл бұрын
@@공공민-z6c 요즘 높이 지은 아파트 한번 보시지요 . 가까이서 보면 진짜 답답합니다 . 높은 아파트 여러 채 들어서면 낮은 층 주택들은 조망권 침해받습니다 .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에요
@mrjoo1983 Жыл бұрын
위로 더올려서 쾌적한 아파트에다가 서울 스카이라인도 바꿀 수 있었는데 원숭이가 35층 규제해가지고 닭장같은 아파트만 지었잖아ㅠㅠㅠ
@dariab7695 Жыл бұрын
몬소리를 하는건지 층수제한 때문에 저런 기괴한 아파트가 나온건데
@djaiak Жыл бұрын
@@dariab7695과연 층수때문일까?ㅋㅌㅋㅋㅋ탓은 하여간잘해
@ringring2 Жыл бұрын
저 결혼식장 가면서 대체 이건 뭐야?? 병원이야 뭐야?? 하면서 희한하게 생각하면서 지나갔던 기억 나네요ㅋㅋ 특이한 곳이 맞았구나
@maye16723 ай бұрын
진짜 이런 닭장 성냥갑 중국식 아파트는 못짓게 해야 함 도시미관도 망치고 발전방향이 정상적이지 않은것 같음
@jjh0993 ай бұрын
표본으로 따지면 한국이 더 많음. 게다가 가격도 너무 비싸
@드게제-w4v Жыл бұрын
층간소음, 각종 소음 오질 거 같고... 몇십년뒤엔 흉흉할거같음..
@allankwon Жыл бұрын
으아....숨이 컥컥 막힘 ㅠ 진짜 인간 가축장 같다 ㅠ 닭장 건물이다 ㅠ 이게 대한민국의 수도라니 ㅠ
@물병자리-z6u Жыл бұрын
원래 있던 송파에 구치소가 사람사는 구치소로 이전 했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천존-s5w Жыл бұрын
집이 아니라 무기다 저것은 집도 아니고 그냥 무기다 .. 사람 영혼을 가두는 감옥보다 참혹한 무기 같은 곳이다 .. 저딴것을 집이라 짓는 놈들은 ... 사람으로 보이질 않는다.. 인간 사육 닭장의 극치를 보는것 같다 ..
@caleb8377 Жыл бұрын
헐 우리집앞에도 저런 오피스텔+아파트짬뽕된 곳이 있는데 늘 보면서 닭장이다 생각했는데 서울은 상당하군요 닭장의 사이즈가 후덜덜
@니니-d4h11 ай бұрын
다들 저기 왜사냐, 우울증 걸릴 것 같다, 구치소냐 등.. 너무 부정적인 의견만 있어서ㅠㅠ 저딴곳 전세 사는 사람 입장에서 속상해서 몇자 적어요🥲 지하철까지 3분컷이고 대로변에는 온갖 대기업 셔틀, 광역버스가 다녀서 저희 부부는 교통때문에 선택한게 큽니다. 근처에 대형마트가 많아서 퇴근길에 장보기도 편하고 병원, 약국, 식당, 세탁소, 운동시설 등 모두 도보 3분 안에 해결됩니다. 정말 엥간한건 이 안에 다 있어요. 주말에 늦잠자고 일어나서 10분뒤에 시작하는 영화 보러가기 가능. 가든파이브가 백화점이라고 보기는 좀 그렇지만... 그냥저냥 필요한건 얼추 있고, 잠실까지도 버스 아무거나 잡아타고 20분? 15분?이면 갑니다. 근처에 배드민턴 칠 수 있는 공원도 있고 둘레길 따라 운동하기도 좋아요. 세대수 많다보니 관리비 싼것도 있는데 일단 겨울에 안춥습니다. (왜인지는 모르겠어요. 하도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열 보존이 잘되는건지) 보일러 안틀고 살아도 늘 23~24도 유지되네요. 층간소음은 저희가 이웃을 잘 만났는지 별 문제 없었어요. 어차피 평생 살 집으로 여기 오시는거 아닐거고... 저희처럼 신혼때나 젊을때 살기에는 여기만한곳이 없는 것 같아요. 그냥 진짜 편하거든요. 2년 계약 끝나고 다른곳 갈까 이것저것 따져보다가 결국 재계약 했어요. 언젠가는 더 좋은 곳으로 가겠지만 여기 살던때가 계속 생각 날 것 같아요 ㅋㅋㅋ막상 살아보면 정말 좋은점이 많은 곳인데... 좀... 너무 욕먹는게 속상해서 주절주절 적어봤습니다^^; 건물 뒤에 사람 있어요오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