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Рет қаралды 1,656,122

마이풀 공식 유튜브

마이풀 공식 유튜브

4 жыл бұрын

#중국어특강 #훈민정음 #훈민정음사라진글자 #한글날
"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가 보입니다."
20년 외국어 교육 사업가
이카이스 이현준 대표의 중국어 특강!
과거의 조선 사람들은 "한글로" 중국어를 배웠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훈민정음의 사라진 글자에 숨겨진 중국어의 비밀!
영상에서 그 비밀을 확인해보세요.
한글로 배우는 특별한 중국어 학습법은
마이풀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출처 문헌 - 10분 39초 ~ 문헌 속 이미지 참고 인용]
- 세종 국어문화원 기획/김슬옹(2014).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3+5(A4 12단 접이형)≫.문화체육관광부.
- 김슬옹 글/강수현 그림(2015).
≪누구나 알아야 할 훈민정음, 한글이야기 28≫. 글누림
-
[ 🎁 100% 당첨 EVENT 🎁 ]
마이풀 앱을 다운로드, 회원 가입한 모든 분들께
마이풀의 중국어, 영어, 토익 모든 강의 수강이 가능한
7일 무료 수강권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앱 다운로드▼
Android 👉 play.google.com/store/apps/de...
iOS 👉 apps.apple.com/kr/app/%EB%A7%...
▼마이풀 더 알아보기▼
imypool.kr
어학도 비스포크 시대 #마이풀
*마풀이 마이풀로 리뉴얼 되었습니다.

Пікірлер: 4 100
@user-jt7sz6qs4j
@user-jt7sz6qs4j 3 жыл бұрын
중국어 공부하느라 엄청 노력했는데 제일 좋은 강의를 찾았네요. 오늘 하루 한시간 배운 것만으로도 엄청나게 배우고 발음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했네요. 우연히 찾은 방송이었는데 참 감사합니다. 선생님 강의도 참 훌륭합니다. 칠십을 바라보는 이 나이에 참 좋은 강의 들었습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김동호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alangMolang
@MalangMolang 2 жыл бұрын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부여)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nickerlee5099
@nickerlee5099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는 발음보다 성조가 더 중요해요. 발음은 대충해도 성조가 정확하면 알아듣습니다. 다만 아무리 발음이 정확해도 성조가 다르면 알아듣지 못해요. 그래서 한국에서 배워서 중국에 가게되면 젤 먼저 느끼는것이 발음은 정확한데 이사람들이 왜 알아듣지 못하지? 하고 느낍니다. 이것은 북경이나 대도시 말고 조금 컨트리한곳에 가면 뼈저리게 느껴요.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Жыл бұрын
@@nickerlee5099 꼭 그렇지도 않아요.. 중국어 가르치는 사람들이 중국어의 성조의 중요함을 강조하기위해서 과장한 측면이 큽니다. 실제 발음이 정확하면서 전체 문장을 제대로 구사하면 성조가 틀려도 중국인들 대부분 알아들어요.. 단어만 얘기한다면 말씀처럼 성조에 따라 같은 발음이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헷갈려하는 부분은 분명 존재합니다.. 중국에서 학교와 주재원경험을 거쳐 현재 사업을 경영중인 30년 넘게 중국에서 살고있는 사람입니다~ 네이티브 수준이며, 제가 한국인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하루종일 같이 회의하고 대화해도 중국인으로 착각하는 수준입니다~^^
@user-wu4jt6lq5e
@user-wu4jt6lq5e 2 жыл бұрын
중국어 전공했었는데 이런 교육법 정말 처음이네요 우리나라사람이 중국어를 배우기 쉽게끔 설명해주시는 점에서 우리나라 중국어 강사 원탑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닌듯합니다 어쩌다 알고리즘 타고 보게됐는데 유익하고 흥미롭네요
@leehyunjuntv
@leehyunjuntv 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현준 대표입니다. 업그레이드 버전 영상은 '교육사업가 이현준TV'에 있습니다.^^ 영상 시청해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eunjung7733
@eunjung7733 8 ай бұрын
이현준대표님! 너무 멋지십니다!
@user-su1ln1jg2q
@user-su1ln1jg2q 3 ай бұрын
동국정운은 중국에서도 매우 귀한 자료이지않을까 예상해봅니다. 14, 15세기 중국어 발음에 표준을 공부할수 있으니까요. 홍무정운으로는 중국어 표준음가를 알수없으나 동국정운은 정확히 알수 있을것이라 예상해 봅니다. 선생님.
@user-qw3sr7tf6w
@user-qw3sr7tf6w 2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박 강의입니다. 이런 강의는 널리 퍼트려야 하는데요!
@korsucx
@korsucx 9 ай бұрын
홍익인간이냐 ㅋㅋㅋ 뭘 또 널리 퍼트려 웃기는 소리를 아주 거만하게 하고 다녀요 ㅋㅋ 한국인들 제일 종특이 다들 내가 생각한데로만 생각해야 된다는 식으로 모는 성격이 니네 후진국놈들이 가지고 있는 종특 습관이란다 ㅋㅋ 역사 배우기전에 본인부터 잘 가르켜봐 어렵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각자 전세계에서 하고 다닌단다 어린 나이만먹은 쓸모없는 말만 어른아 ㅋㅋ
@user-qn8ue6yl4k
@user-qn8ue6yl4k 3 жыл бұрын
중어중문과 나온 사람입니다ᆞ밑에 댓글에 중국어 저렇게 하면 큰일나고 발음 이상하다고 그러는데 중국 북경에도 아나운서처럼 표준어 발음 잘하는 사람 드뭅니다ᆞ중국어를 발음하고 이해하는데 지금까지 모르는 원리를 알려주시는거 같네요ᆞ대학교 어느 교수님도 이런 설명 안해주십니다ᆞ전 깜짝 놀랐습니다~ 정말 훈민정음 세종대왕 만만세 입니다
@user-hn6my7ez4z
@user-hn6my7ez4z 3 жыл бұрын
중국 자체가 넓어 사투리가 외국어수준으로 달아져 현재 중국인의 언어생활이 표준 만다린과 현지어의 2중구조로 되어서 발음문제는 그렇다쳐도, 저 강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현대중국어 어법에 대한 이야기는 쏙빼고 한자단어발음만을 논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user-qn8ue6yl4k
@user-qn8ue6yl4k 3 жыл бұрын
@@user-hn6my7ez4z 지금 이 채널은 발음 얘기하시는 거 같은데요~ ᆞ어법은 어느 나라말이나 알아서 배우는 거고요~ᆞ한자를 알면 중국 발음이 쉬워질 수 있다는 건 맞는 말인거 같습니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우리함께님 지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oomkim9629
@joomkim9629 3 жыл бұрын
@@user-hn6my7ez4z 언어는 일단 귀로 들려야합니다 우리가 한국말 배울 때 문법 알고 들었나요? 발음의 구분이 있고 그걸 외국어의 학습에서 실제 사용하면 기초적은 의사소통으로서의 언어 습득은 말도 안되게 수월해질겁니다 안타깝죠 훈민정음의 요지가 안 전해진거니깐요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아나운서 발음 내는 지역은 하얼빈 일대라고 하더군요.
@sungbumshin
@sungbumshin 3 жыл бұрын
적잖은 충격입니다. 영어를 가르치는 강사로서 또 한글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도 귀한 강의를 통해 답을 찾았습니다. 너무 고맙고 감사합니다. 공부의 방향을 찾은것 같습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Sung Bum Shin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e1jh2yz2u
@user-ye1jh2yz2u Жыл бұрын
중문학 전공자로서도 소름돋는 강의였습니다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얼마나 대단한 지 다시금 확인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최곱니다
@user-fx6jr5zf1t
@user-fx6jr5zf1t Жыл бұрын
다 좋은 데 이 강의는 전제가 틀렸습니다. 훈민정음 혜례본에도 한글이 중문자를 해석하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는 글은 단 한 구절도 멊습니다. 어차피 조선의 말에 한문이 섞여 있으니 그 한문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것 일 뿐 입니다. 이 강의자의 논리대로라면 받침에 ㅇ,ㄴ 이 외에 다른 받침은 있어서는 안 됩니다. 중문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함인데 왜 중국음에 없는 발음들을 모조리 다 표기하고 있을까요? 한국에는 (왕)이라는 발음은 있어도 중국처럼 (우앙)같은 발음이 아예 없습니다. 중국인들이 갖다붙인 논리를 그대로 갖다 붙이면 안 됩니다.
@user-ye1jh2yz2u
@user-ye1jh2yz2u Жыл бұрын
@@user-fx6jr5zf1t 댓글 감사합니다 그렇죠 근데 한글로 중국어 발음표시를 하면 다 정확하다는거고 저도 그점에 동감합니다
@user-cf5cw9fq5f
@user-cf5cw9fq5f Жыл бұрын
@@user-fx6jr5zf1t 여기 중사대도 아니고 기막힘.대학도 신청자가 없다는데 세종대왕과 훈민정음까지 팔아먹음.외려 중국어를 한자대비 발음규칙찾는게 낫지. 저이는 분명 ㅈ자본들어간 이임. 재야ㅅㅎ도 기가 막히던데.ㅠ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Жыл бұрын
@@user-fx6jr5zf1t 굳이 한국어로 표현하자면.. 우앙 이 아니라 우와앙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중국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할려면, 영어든 한글이든 절대 100% 불가능합니다. 지금의 중국어 병음표기는 영어로 되어있지만, 이 표기법은 발음을 별도로 공부해야합니다. 영어식으로 발음하면 실제 중국어발음과 다른 발음들이 꽤 존재합니다. 한국어도 마찬가지이구요.
@user-mo8ey4fr7r
@user-mo8ey4fr7r 8 ай бұрын
여러가지 좋은 말도 많이 있으니 좋은 건 취하고 틀린 건 덮어 주시면서 아는 만큼 보시면 됩니다. 한 가지, 한어병음은 영어라고 하면 안 되고 라틴문자로 표기했다고 하는 게 맞습니다. 실제로 한어병음 a의 이름은 [에이]가 아니라 [아]입니다. b의 이름은 [비]가 아니라 [베]입니다. c는 이름이 뭘까요? [씨]가 아니라 [체]입니다. 이 정도면 눈치 채셨지요? 독일문자의 이름입니다. 물론 독일에서 "움라우트 유"라고 부르는 u" 도 있습니다. 영어라는 표현은 ... 좀 ...
@slphk
@slphk Жыл бұрын
중국어 공부하면서 비슷하다고만 느꼈는데, 원리대로 패턴을 이렇게 다 정리하시다니 강의 진짜 재밌어요 ㅋㅋㅋㅋㅋ 훈민정음 대박
@user-ln8fb6pk3d
@user-ln8fb6pk3d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은 단순히 중국어만 알켜 주신게 아니고 한국인의 자긍심과 한글의 우수함 그리고 세종대왕의 업적 까지 한번에4가지를 알켜주신겁니다 정말 훌륭하십니다 최고 !!!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나이트스톰 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u9br3pb2e
@user-xu9br3pb2e 3 жыл бұрын
한자를 쉽게 배우려고 훈민정음을 만든것이죠 대몽고제국때 한자를 사용안하고 티베트어를 사용했기때문에 한자 발음이 지역마다 다르고 정확한 표기가 없었겠죠 그래서 원나라가 망하고 한자에 발음을 통일하고 쉽게배우려고 만든 한글은 한자에 음성기호리고봐야죠 청나라 말기에 원세개가 한글을 사용하려고했다고해요 근데 청이 망했조 그럼 왜 400년뒤에 청에서 사용하려했을까을 생각해보면 조선에서 훈민정음을 비밀에 붙이고 기득권들만 사용한 한자를 배우는 한글이였다고 봐야죠
@user-ox7sz7hd1r
@user-ox7sz7hd1r 3 жыл бұрын
@@user-ep2yn9ci2s \
@jonginkim9095
@jonginkim9095 3 жыл бұрын
@@user-xu9br3pb2e 대몽고제국 어쩌고 하는거 보니 화교인가 보네.꺼져라.
@berckylovr
@berckylovr 2 жыл бұрын
동이가 한자를 만들때보다 글자와 발음들이 다양해졌기 때문에 동이의 후손인 한국에서 다시 손보는게 당연한이치 *한자는북방동이족들이 제를 지낼때 쓰던 상형자가 기원이고 후에 한나라가 글자를 통일하고 종이를 대량생산하면서 한자로 굳어지게 된거
@bundlro
@bundlro 3 жыл бұрын
소름 돋습니다. 평소에 답답했던 표기를 세종대왕은 이미 만들어 놨던 것이라니....말로만 모든 음을 표기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L과 R을 구분 못했다고 생각해 왔었는데 ....사라진 글자들이 반드시 부활 되어야 한다에 적극 동의 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chunh leo님 감사합니다^^
@missk8332
@missk8332 3 жыл бұрын
ㅇㅇ
@ukyeong501
@ukyeong501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소라할때 라와 라면할때의 ㄹ 발음이 다른데 똑같은 ㄹ이라 의문이었어요
@user-iu9nd2vq7i
@user-iu9nd2vq7i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이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가 중국 사신들과의 의사 소통의 원활함 때문이란 말이... 조선왕조 실록에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ㅋㅋ
@user-kw5bt6dk1b
@user-kw5bt6dk1b 2 жыл бұрын
한자 한글 통달한 일인으로서 느낀점 두 언어는 100~90은 연관되 있다
@gayin
@gayin 2 жыл бұрын
기가막힌 강의입니다ㆍ!! 한글이 이렇게 과학적이고 폭이 넓다는걸 알게 해주신 교수님께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ㆍ!!
@spqwmnbvlp
@spqwmnbvlp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아닌 분이 더 귀에 쏙쏙 들어오게 명쾌하게 한글에 관해 설명을 잘해주시는지...속이 시원해지며 감동이고 감사합니다. 세종대왕이 처음 만들었을 때 영어의 th, V, R, L을 제대로 발음할 수 있는 글자를 만들어 주었는데도 일제때 없어진 것을 다시 복원하지 않는 것은 한글학회나 국어관련 학과 교수들의 직무유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원래대로 복원하면 교과서와 출판물, 자판 등을 모두 바꿔야 하는 등 초반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엄두를 못 내는 점도 있겠으나 빨리 고칠수록 장기적으로는 더 이득일 듯 하네요. 못 표현하는 소리가 없는 위대한 글자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기성세대가 못한 일이니 젊은 학자들과 이현준님 같은 분들이 힘을 합해, 학계와 국민을 합리적으로 설득해 나가면서 적극 활동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Sorasaki_Hina
@Sorasaki_Hina Жыл бұрын
복구하려면 복구할 수 있겠으나 ㅿ · ㆁ · ㆆ · ㆍ같은 것은 자연도태된 것이기에 어렵지 않을까요?
@St-qy2md
@St-qy2md Жыл бұрын
한국어에 무성 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 치경 접근음을 쓰는 단어가 있습니까? 없지요. 그럼 글자가 있어봐야 쓰겠습니까? 안 쓰지요. 그럼 th, v, r을 볼 때랑 뭐가 다르겠습니까. 옛한글도 안 써봤고, 로마자도 안 썼는데. 표음성을 논하자면 IPA가 최강입니다. IPA 짱
@charlescahng8452
@charlescahng8452 Жыл бұрын
@@St-qy2md th = ㅌ + ㅎ, v = ㅂ + ㅇ, r = ㄹ + ㄹ ..... 뭐가 문제인지 ??? IPA는 영어의 alphabet에 없는 발음기호들일 뿐인데, 무슨 이야기를 하시는 것인지 ???
@user-ug9ux1hq7o
@user-ug9ux1hq7o Жыл бұрын
@@Sorasaki_Hina 이게 맞죠 그냥 필요가 없으니까 도태된 걸로 봐야지, 필요하면 다시 복구가 되든 새로운 자음이나 모음을 만들든지 하겠지요.
@marbling3
@marbling3 Жыл бұрын
​@@charlescahng8452 영어 못하는 티 내지말자. 그리고 R이 ㄹ+ㄹ이 아니라 L이 ㄹ+ㄹ이다. 미국 5년 살고 왔으니 엄한 반론은 거절한다.
@MissTerry709
@MissTerry709 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릴때 한글 배운기억이 없음.. 자음 모음 읽는것만 티비보면서 배웠는데 책 읽고 있더라ㅎㅎㅎ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이병기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h1vw9uq5g
@user-lh1vw9uq5g 3 жыл бұрын
와.. 장난아니구만.. 이런건 공영방송 특강좀 해주세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큐비트님^^
@user-rb7hm6rt5c
@user-rb7hm6rt5c 3 жыл бұрын
평양말이 중국사투리면 결국 한국어가 중국어사투리에 불과한단 뜻인데 이딴 소중화영상을 공중파에 올리자고? 니네들 중국인이지?
@user-rb7hm6rt5c
@user-rb7hm6rt5c 3 жыл бұрын
@SangWook Choi 그럼 평양말이 중국사투리라는 영상속 얘기가 맞는거고 결국 서울말도 중국사투리가 맞을테니 한국어자체가 중국어사투리란 얘기고 한국은 중국의 지방에 불과하단거네.ㅋㅋㅋ 니가 머저리한국인인지 화교인지는 몰라 상대할 가치가 있는지는 모르겠다만 한수 가르쳐주지. 언어가 특정지역 중심으로 발전해온 사실이 왜 한국어가 중국어에 종속되는 어처구니없는 결과로 귀결되냐? 언어학적으로도 중국어는 티벳중국어족으로 분류되고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으로 구분되다 지금은 고립어족으로 분류되는 독특한 언어다. 과거에 문자로 한자를 도입해 사용한것이지 언어로 중국어를 사용한 건 아니라는 얘기지. 같은 한자문화권에서 수백년 이상 부대끼며 살아왔으니 중국어와 비슷한 발음의 단어가 꽤 있는것도 사실이지만 문법적으로 중국어와는 완전히 다르며 언어학적으로도 중국어보단 일본어에 가깝고 중국어단어보다 오히려 일본어단어와 중복되는게 더 많을거다. 니같은 생각으로 접근하면 독일어나 프랑스어 등 유럽언어는 전부 로마어 사투리가 되겠구나. 모든 언어는 인류의 기원 아프리카어의 사투리가 되겠고. 중국어강세같은 개풀뜯어먹는 얘기는 중국채널에 가서 떠벌려라. 나 기분 엄청 나쁘다.
@user-jq1sb7dd4x
@user-jq1sb7dd4x 3 жыл бұрын
@@user-rb7hm6rt5c 요지를 잘못 잡으신것 같은데요. 영어 기반 단어를 (예를들어 텔레비젼) 사용한다고 한국어가 영어의 사투리라고 한답니까? 님이 주장하는게 딱 이수준이에요. 순수 우리말은 당연히 중국어와 관련이 없겠죠. 그런데 한자 기반 단어는 한자 만든 나라 발음을 따라가는거고, 지금의 북한에 해당하는 함경도 평안도 뭐 이런 곳들은 중국 가까이 있으니 원래 발음과 더 비슷하다는 말입니다. 일본어랑 우리랑 발음 겹치는 것들 대부분 한자업니다. 일본사람들도 어려운 단어는 한자로 만들어서 중국 발음 가져왔으니 발음이 비슷한 거죠. 그런데 중국과 거리가 머니까 발음이 우리보다 더 많이 변질돼서 우리랑도 차이가 있는 것일테고요. 단어를 공유한다는 것과, 언어가 같다는 건 별개의 것이라는 걸 생각해보세요
@user-rb7hm6rt5c
@user-rb7hm6rt5c 3 жыл бұрын
@@user-jq1sb7dd4x 핀트 못잡는 인간들 많네. 이러니 나라가 이 꼬라지지. 내가 주장하는 바가 너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거 모르냐? 내가 영상에서 분노한 부분은 단어 몇개 겹치는 부분을 갖고와서 한국어를 중국어의 아류 취급한 부분, 그리고 평양사람들이 평양을 피양이라 발음한다는 황당한 주장도 모자라 평양말이 중국사투리라고 망언한 부분이다. 이건 분명한 언어 동북공정이니까. 언어나 문화나 교류하는 과정에 서로 영향을 끼치며 섞이는거 부정하지는 않는다. 또 일제시대 이전에 많은 중국어 단어들이 한국어로 차용되었다면 정치경제과학문화 등 각 분야의 한국어 어휘들 상당수는 일본사람들이 만들어논걸 그대로 쓰고있다는거 또한 사실이다. 누군가 일본어강의를 하면서 부산말이 일본사투리라 한다면 너넨 발광하겠지? 뭐 함경도랑 평안도 말이 중국어랑 어찌고어째? 니가 거기서 살아봤냐?
@Hyunchoable
@Hyunchoable Жыл бұрын
지난 40년간 해외에서 또는 외국업체들과 일을 하면서 한글에서는 없는 이 부분(PF구분 LR구분 Z발음) 때문에 너무 힘들었었는데, 선생님 강의를 들으니, 명확해지고, 훈민정음의 과학적 창작에 놀랍고 경이롭습니다. 명강의 너무 고맙습니다. 최고입니다.
@user-yr7gr6fi7r
@user-yr7gr6fi7r 11 ай бұрын
창제 당시글자 모두 복원해야합니다. 멍청한 한글학자들 모두 가둬야합니다.
@akyl109
@akyl109 7 ай бұрын
@@user-yr7gr6fi7r옳소…!!!!! 왜 없앤거야? 국민이 멍청해서 못알아들을까봐 지레 겁먹고 단순화 작업했나? 그런 본인들부터가 저능아이였던모양이지.
@user-gn1mi5nw4j
@user-gn1mi5nw4j 6 ай бұрын
이런명료하고 ㅔ계적ㄴ 강의 처음이고 감명받앗습니다 옛 집현전학자 분들이 이렇게 잘 풀었는데 28자에서 24 갑ㅊ ㄱ된 사유 원인 이제 알았습니다 정말 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gy4zo6bs5z
@user-gy4zo6bs5z 2 жыл бұрын
얼마전부터 중국어 독학을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쉽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그 패턴들을 알아가던 중에 우연히 보게된 이 강의를 보고 제가 느꼈던 부분들(음이 중국어와 한국어가 비슷하고 일정한 발음형태로 변환)의 이유가 한 방에 정리가 되는 걸 보고 넘 충격받았네요~ 넘 감사하고 종종 들러 도움받겠습니다^^
@LEE-ld8fp
@LEE-ld8fp 3 жыл бұрын
이현준대표님 중국어 선생님이신데 이렇게 한글을 사랑하시는 님은 정말 애국자 이십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yongsoo5515
@yongsoo5515 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이십니다. 정말 명강의입니다. 널리 알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사라진 4개 글자와 발음을 살릴 때 인 것 같군요. 이런 분이 계시다니 놀랍습니다. 존경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junsukim6914
@junsukim6914 2 жыл бұрын
외국어와 훈민정음 배우면서 옛 한글을 살리면 세계공용표기문자로도 쓸 수 있을 것 같다고 막연히 생각했었는데 우리나라의 힘이 더 강해져서 그런 꿈 같은 일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네요.
@ozmaofoz3708
@ozmaofoz3708 Жыл бұрын
저도 지금 쓰는 한글로는 늘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없애버린 우리말 한글 자음과 모음을 부활 시켜서 쓰면 영어 발음표기도 이해가 잘 될 테고요. ㅂㅅ, ㄱㅅ, ㅂㅂ...근대 개화기까지도 초성에 이런 자음들도 다 썼었어요.
@que_sera___sarah
@que_sera___sarah 9 ай бұрын
아이들 가르칠 때 실제로 쓰던 교습법인데, 이렇게 정리된 버전이 있다니 ㅎㅎ 정말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 🎁 100% 당첨 EVENT 🎁 ] 마이풀 앱을 다운로드, 회원 가입한 모든 분들께 7일 무료 수강권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앱 다운로드▼ Android 👉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ypool iOS 👉 apps.apple.com/kr/app/%EB%A7%88%EC%9D%B4%ED%92%80-%EC%98%81%EC%96%B4-%EC%A4%91%EA%B5%AD%EC%96%B4-%ED%86%A0%EC%9D%B5%EC%9D%84-%ED%95%9C%EB%B2%88%EC%97%90/id1547568215 ▼마이풀 더 알아보기▼ www.imypool.kr/
@bigtk316
@bigtk316 2 жыл бұрын
꼭 영어나 중국어가 아니어도, 세계의 언어를 제대로 표기하고, 우리끼리도 정확히 소통하려면 28자의 훈민정음을 복구했으면 좋겠군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2 жыл бұрын
bigT k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2 жыл бұрын
작년에 101세로 별세하신 제 모친이 무학인데, 어려서 한글 쓰기를 익혔나 봐요. 20여년 전 가계부를 혼자 쓰신 걸 우연히 봤는데, 거기에 우리 없어진 글자가 다 들어 있어요. 심지어 받침 없는 한자말에 들어가는 받침 ㅇ까지 다 있어요. ㅂㅅㄷ 등이 합쳐진 3자병자음? 자음이 3개 겹쳐진 글자도 있었지요. 우리는 단순히 듣는 글자도 어머니에겐 그 느낌에 그런 소리값이 다 들어 있었다고 해요. 그걸 보관했으면 좋은 자료가 되었을텐데 우리가 본 걸 알고는 태워버리셨다고...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user-jp8eh6bo8g
@user-jp8eh6bo8g 2 жыл бұрын
제대로 표기한다는것이 어떤 의미 인가요? 문자라는것은 우리 편의상 약속에 의해 정해지는것이고 표준어와 맞춤법이라는것은 엄연히 언어와 문자라는 완전히 다른개념에서 시작하는것이죠. 말을통한 소통과 글을통한 소통은 너무나도 다른개념 아닐까요
@user-kh1pm9bd2b
@user-kh1pm9bd2b Жыл бұрын
와우! 고맙습니다.
@tv-zw6hp
@tv-zw6hp 2 жыл бұрын
대단한 통찰력을 갖고 계시네요. 진짜 소름+감동입니다. 많은 분들에게 공유되고 공감하여 정부와 학계에서도 움직였으면 합니다. 바로 구독, 좋아요 누르게 되네요^^
@chattybeak
@chattybeak 8 ай бұрын
짝짝 👏👏👏👏👏👏👏👏👏👏👏👏 무릎을 탁 치고갑니다 4음부활로 언어교육에 혁명을 가져옵시다
@user-qq2sg9cb5w
@user-qq2sg9cb5w 3 жыл бұрын
와 ~ 대단 놀랐어요 나도 중국어 배울 수 있을것 같습니다 용기 자신감이 생겼어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나그네님 안녕하세요! 한글로 배우면 중국어가 훨씬 쉬워집니다! 마이풀 1개월 무료 체험 중이니, 한번 경험해보세요.^^
@TV-qm9gv
@TV-qm9gv 3 жыл бұрын
이럴수가 있나요? 놀라움 자체입니다
@user-if9uq7ip2f
@user-if9uq7ip2f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개인적으로 중국어나 영어 발음이 어려울 때 막연히 생각한 부분인데.. 이렇게 명쾌하게 풀어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대단하십니다.
@yimisuk4025
@yimisuk4025 2 жыл бұрын
중국어 10년 넘게 배운 사람으로써 오늘 컨텐츠 보고 너무 감명깊어 댓글 처음으로 남겨요! 우리 조상님들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한글을 창제했는지 느껴집니다. 다만 중국 플랫폼인 bilibili에서도 이 동영상을 누가 퍼왔는지 올라가있어서 보게됬어요, 댓글 내용의 대부분이 한글발음과 중국어 소리가 유사하다는 점만 가지고 한국이 중국의 속국이다 혹은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이런댓글이 너무 많아서 정말 속상했어요. 기회가 되신다면 이런 점도 다루어주셧으면 젛겠습니다. 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joehwang9095
@joehwang9095 Жыл бұрын
현재 미국 여타 대학 언어학과에서는 고대 상나라 상형 문자가 지금 한국의 발음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내놓았습니다. 중국민족 화와족은 고조선의 한 갈래로 그들도 우리의 발음을 했다고 아시아 학자들이 아닌 유럽등 서양의 동양의 역사학자들이 연구 논문을 내놓고 있습니다. 풍은 펑이라 발음하지 않고 바람이라 발음 했다고 합니다. 이병도의 식민사관이 작금도 서슬 퍼랗게 이나라를 지배하고 있음을 통탄할 따름입니다.
@jonlee9184
@jonlee9184 Жыл бұрын
한글도 중국거니까 영어 알파벳 쓰지말고 한글발음을 쓰라고하면 되겠네요
@hhhooottt
@hhhooottt Жыл бұрын
중국속국인적있죠 역사기록있을겁니다 부정할수도없고머
@JP-mj3yd
@JP-mj3yd Жыл бұрын
​@@hhhooottt 증거좀요 아무리 찾아도 없거든요 증거 없는데 우기는거면 추하잖아요 증거좀요?
@lacheln0202
@lacheln0202 Жыл бұрын
​@@JP-mj3yd 조선부터가 스스로 중국의 속국임을 자처하는 소중화주의 국가였다는건 모두가 아는 사실 아닌가요
@user-gc7yz8rt8g
@user-gc7yz8rt8g 3 жыл бұрын
대박입니다.... 너무 재미있고 충격적입니다. 우리나라 한글이 일제강점기때 24글자로 줄여져버리고 우리나라 한글이 이런 훌륭함이 있다는걸 처음알아서 정말 충격받았습니다. 이런 정보를 접할수 없었고 교육받지 못했습니다. 영상 올려주셔서 크게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배우지망생님 안녕하세요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0bagger81
@10bagger81 3 жыл бұрын
@@user-ep2yn9ci2s 저도 진짜 헛공부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단순히 외국발음 뿐만 아니라, 세상에 모든 소리를 표현하라고 선조가 남긴 귀한 유산인데 그걸 몰랐네요
@freemanyou9557
@freemanyou9557 3 жыл бұрын
일제때 4개음이 없어진게 아니고 조선후기로 오면서 자연스럽게 하나씩 없어진겁니다
@evanrogers9961
@evanrogers9961 2 жыл бұрын
무슨 일제강점기때 사라집니까 ㅋㅋㅋ 제발 좀 제대로 알고 댓글 다세요.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알기론 주시경 선생이 한글로 이름지으며 24자로 고정시켰다고 배웠는데...
@user-ji7ob3si9n
@user-ji7ob3si9n 3 жыл бұрын
중국생할 20 년 된 사람입니다 . 중국글자 발음이 우리 발음과 같은것이 많은 것에 의문점이 많앗는데 .... ...대단하군요 . 자랑스럽군요 . 우리한글 ..... 감동스럽습니다 .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j4qz8iw2b
@user-hj4qz8iw2b 3 жыл бұрын
G5 3hd6b,
@jml3503
@jml3503 3 жыл бұрын
만다린은 만주어에서 많은 영향을 받다보니 훈민정음발음과 다르다고 봅니다. 광동어발음과 유사성이 많은 이유라고 봅니다.
@kublaikhan6248
@kublaikhan6248 2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중국 문자 입니다 모두 중국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입니다. 한국은 고대부터 중국의 속국이였습니다. 훈민정음은 중국을 위해 만들어졌고 중국인의 소유 입니다
@user-ji7ob3si9n
@user-ji7ob3si9n 2 жыл бұрын
@@kublaikhan6248 중국은 옛날에 한국의 속국이엇으니 뭐 한글도 중국을 위해 맹글엇겟죠.... 공자도 맹자도 전부 한국인인거 이제야 알겟죠?
@mdsshm4295
@mdsshm4295 9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 중국어도 그렇지만 영어 P,F G,Z B,V R,L 등의 발음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내용 입니다. 학계와 정부는 정신차리고 친일식민사관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yongpyun2988
@yongpyun2988 2 жыл бұрын
제가 20여년전 배운 중국어의 교육법을 이 방법으로 알았다면 많은것이 달랐겠네요... 좋은 연구의 결실이 맺어지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89nmy
@89nmy 3 жыл бұрын
왜 공중파에 안나와요 이런거 널리 알려져야 할거같은데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89nmy님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user-tn8cx6xk4r
@user-tn8cx6xk4r Жыл бұрын
뇌피셜이니까요
@user-cz1pd7em5z
@user-cz1pd7em5z Жыл бұрын
Ppp
@mophice72
@mophice72 3 жыл бұрын
외국어 가르치는 분들이 훈민정음을 극찬을 하는 이유가 있군요.. 알면 알수록 세기의 천재인 세종대왕~~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netuse lee님^^
@user-yr8tp6ix7o
@user-yr8tp6ix7o 3 жыл бұрын
연구하고 만든 것은 학자들이 대왕은 총감독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3 жыл бұрын
@@user-ep2yn9ci2s 전부는 일본어로 젠부 등등.. 아실 것 같은데요...?
@mussoks1
@mussoks1 3 жыл бұрын
@@user-yr8tp6ix7o 영화는 감독의 예술이라고 하죠. 업적은 프로젝트를 이끄는 사람을 말합니다. 기술자가 아니라.
@user-yr8tp6ix7o
@user-yr8tp6ix7o 3 жыл бұрын
@@mussoks1 맞는 의미의 말씀인데 기술자가 아니라 당대 학자.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자음 다섯 글자를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따 만든 것이 조금 우스울 수?도 있으나 학문 연구는 집현전 학자들이 했다고 봐야겠죠. 세종대왕은 직접 연구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kking9891
@kking9891 2 жыл бұрын
우와..... 수년 간 접한 강의 중 최고의 명강의입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insuoh7344
@insuoh7344 Жыл бұрын
엄청나게 소중한 영상 입니다.. 공개해주시고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t3ye6bi1t
@user-bt3ye6bi1t 3 жыл бұрын
참나원...이럴수가........ .이런 명강의를 들으면 화가 나요... 국가에서는 국민 죽이는 당파싸움 그만두고 이런 선생님들께 훈장과 함께 교육부에 특채하여 국가의 국력을 키우는데 전력을 다한다면 울나라가 강대국으로 가는데 큰 보탬이 될것이다... 정부는 하루빨리 이현준선생님께 삼고초려의 예를 갖추기 바랍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지옥의 마왕감악산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cominghis1612
@cominghis1612 3 жыл бұрын
옳소!!
@lovelybloom_
@lovelybloom_ 3 жыл бұрын
와아 대박이다!!!! 훈민정음으로 중국어 공부하면 엄청나게 잼날거같아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Erin YOON님, 마이풀에서 1개월 무료체험을 제공하고 있으니 체험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아요!^^
@user-pw7ie8hn1n
@user-pw7ie8hn1n 2 жыл бұрын
대박..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이렇게 좋은 한글인대!!! 주변에 공유하겠습니다
@user-oe7xb1ut9v
@user-oe7xb1ut9v 9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시절 수학 교제 중에 맥이란 문제집이 있었는데, 이 강의가 중국어 맥을 딱 잡아 주네요 감사합니다. 고등학생 제2외국어 중국어 선택한 학생들 꼭 봤으면 좋겠어요
@user-sl1og5fh2c
@user-sl1og5fh2c 3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한글이나 훈민정음, 그리고 역사 자체에 관심이 많은 편인데.. 그래서 예전부터 ㅂ순경음, ㅍ순경음의 실제 음가에 대해 알아보기도 했고 우리도 저걸 살리면 v나 f 발음을 표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그리고 실제로 십몇년 전에 한글을 보급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에는 ㅂ순경음, ㅍ순경음을 쓰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찌아찌아족에 한글을 보급한 주체들(정부나 학계겠죠)도 이미 ㅂ순경음, ㅍ순경음, 쌍리을 등의 가치나 음가를 다 알고 있다는 건데 왜 외국의 문자 없는 민족에게는 보급하면서 우리 스스로는 안 바꾸고 있을까요.. 컴퓨터 한글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게 바꿔야 되고 뭐 여러 가지 비용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바꾸는 게 맞다고 보는데.. 사라진 소리들을 부활시켜서 영어나 기타 외국어의 정확한 발음을 한글로 표기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박학성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ongwoonjeon7447
@jongwoonjeon7447 3 жыл бұрын
완전 동의합니다. ,,잠재운 순경음과 권설음 제대로 살리는 문자회복의 역사실천,,훈민정음 뜻을 따라 민족의 지혜를 새로이 모아 앞서 나가면~,, 한글 소리의 겹자음,,기막힌 모음체계,,겹받침(복자음,이중자음또는 받침)으로 다른 언어 실제소리를 표현해내어야~~생각합니다. 국제음성표기의 다양한 자음등등...은 한차원 더깊이 한글탐구자, 보급경험가, 글자디자인 여러 전문인재분들의 슬기와 사랑이 더해 ~. 신선하고 기막히게 편한 K 문자를 꿈 꿔 보네요. 고맙습니다.
@user-mh9ls7iq7k
@user-mh9ls7iq7k 3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은 한자의 발음기호~~
@MalangMolang
@MalangMolang 2 жыл бұрын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부여)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user-wk7zl6jn9u
@user-wk7zl6jn9u 2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28자와 순경음, 동국정운에 있는 권설음 설치음 표기법 본래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사용하지 않을 뿐이고 국어학계에서 그 필요성을 가르치지 않아서 모를 뿐이지요. 이찬진 선생과 공병호 선생님이 이미 훈민정음 표기는 모두 가능하게 만들어 두었으니 학계에서 필요성을 인정하는 교육만 하게 되면 상황은 금방 좋아집니다. 세종대왕 기념사업회의 박종국회장님이나 각 대학의 국어음운학 교수들도 이미 훈민정음 당시의 소리를 다 살려내 녹음한 상황이지만 중앙정부 교육 담당자들이 귀를 닫고 마음을 열지 않고 있는게 괴이한 거지요. 그러면서 중국어 담당 교수들도 틀린 발음을 가르치고 있으니 세종대왕께서 서운해 할 것이 눈에 보입니다.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3 жыл бұрын
외국어를 한글로 배워야 쉽습니다. 사라진 문자복원....필수죠. 이거 정부와 국어학자.언어학자들이.....꼭 봐야하는 강의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김영원님, 인상 깊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3 жыл бұрын
@Ons ongeluk is niet natuurlijk 성조는 표시안합니다...글씨가 지저분해집니다. 영어도 성조표시 안하고 한국말도 성조표시 안합니다. 성조는 습관일 뿐입니다...따로 배워야죠. 영어는 액센트.인터네이션 이라고 합니다. 성조없는 언어는 없어요.. 전문가만 하면 됩니다...직업으로 할것도 아니니깐. 물론 얼마든지 표시할수도 있죠. 글자위에 8성조 숫자로 쓰면 됩니다. 중국어는 4성조+경음..이정도네요. 중국어에서 문제되는건...사실 권설음이죠. 간단합니다... ㅅ의 경우오른쪽 선을 두개 그으면 되요. 이 종류는 다 이런식으로 하면 되요. 원래 훔민정음에서는 반치음ㅅ(세모)였어요. 이중모음으로 쓰자면...ㅅㅇ 이렇게 쓰면 되구요. ㅆㅇ.ㅊㅇ.ㅈㅇ.ㅉㅇ.ㄹㅇ...이러면 되죠. 혀를 꼬부린다는 의미로 ㄹ을 살려서 ㅅㄹ.ㅆㄹ.ㅊㄹ.ㅈㄹ...이런식으로 쓰면 더 좋구요.
@user-sz9cp9ec5q
@user-sz9cp9ec5q 3 ай бұрын
역사에 관심이 사라져버린 세대, 역사에 관심이 없으니 나라에 관심이 없고 나라에 관심이 없으니 한글에 관심이 없고 일제시대의 조선어학회가 바꿔버린 한글체계에 대한 통탄하는 사람이 없으니 변화가 없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이야기하는 중국발음에 대한 이야기이자 한국어, 훈민정음에 대한 우수성을 이야기하는 강의의 본질을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겠지요. 생각과 판단은 개인의 몫이니 각자 알아서 판단하면 되고 이현준 대표님의 강의는 저에게는 엄청난 감명을 준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조금의 우매함을 깨우쳐 주셔서~... 좋아요~... 구독~.. ㅎㅎㅎ 꾹
@user-ku8uq1bc7r
@user-ku8uq1bc7r 2 жыл бұрын
백개의 중국단어를 외우는 것보다 해당 영상을 통해 훈민정음을 통한 중국어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좋은 영상입니다. 베트남어를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재밌게 보았습니다
@bauya12
@bauya12 3 жыл бұрын
제가 보자 마자 한 번 더 보고 우리 애들에게 링크 공유했습니다. 감동했구요. 평상시의 저의 의문을 이렇게 가지고 계셨군요. 1. KBS 등 공중파 피디님들 이 강의 방송해 주세요. 2. 국어교육과 교수님들 사명감을 갖고 사라진 글자/소리들을 현대 문법 안에 복원해 주세요. 3. 그리고 키보드에 사라진 글자들을 복원해 주세요. 저도 중국어에 도전해 보고 싶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bauya12님 가족분들에게까지 공유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마이풀 앱 7일 무료 체험이 가능하니, 한번 체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E-217
@E-217 3 жыл бұрын
국민청원 넣읍시다 유치초등부터 방송언론까지 28자 살려내도록해야 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E-217님 감사합니다^^
@sarahkang6257
@sarahkang6257 3 жыл бұрын
미국교포 40년차 가장 아쉬웟던 부분이 대한민국 국어 언어 학자들이 세종대왕시 사용햇던 28 자 자음과 구한말 일제시 없어진 3 어음, 복합 받침들을 살려내지 않고 있다는 거 입니다. 새로 발명해 내지 않고 쓰던 옛글자를 부활만 시켜도 우린 이미 전세계 어느민족의 발음도 표기할수 있는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바로 미래로 발전할수 있읍니다.
@noyeah8428
@noyeah8428 2 жыл бұрын
28자가 왜 사라진지를 모르나... 훈민정음은 중국어를 읽는 발음 기호임. 근데 더이상 한국어에서 중국어 발음을 쓸 일이 사라지게 되니까 없어진 글자도 있는거지 뭔 이상한... 옛글자 살린다고 해도, 타국 문자 발음만 딴다고 뭘 발전은;
@noyeah8428
@noyeah8428 2 жыл бұрын
@@brandnewdatainteractive6293 영어유치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기... 훈민정음이 어떻게 생긴진 아시나요? 아니면 읽는 법은 아세요? 아니면 영어를 잘 할줄 아시나? 영어발음기호랑 중국어발음기호인 훈민정음이랑 대체 뭔관계가 있습니까? 그냥 별개의 발음기호 하나 더 외우는건데 발전이 있다고요? 근거가 뭔가요? 훈민정음이 한글이랑 닮아서? 닮았다고 읽어집니까? 정확한 발음은 아세요? 암것도 모를텐데 뭘 하겠다는;;
@DKPark-ph2jo
@DKPark-ph2jo 2 жыл бұрын
지금세대는 영어를 배우면서 다양한 발음을 쓰고 있으니 필요에 의해 옛 글자의 부활을 논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생각이지 않나요?
@tvchoitv5652
@tvchoitv5652 2 жыл бұрын
어렴풋이 알고 있던 것을 이렇게 분명하게 가르쳐 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훈민정음으로 중국어를 배워야 하겠어요.
@user-wd1fi2vv9z
@user-wd1fi2vv9z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명강의 잘보았습니다 ~^^ 이강의는 더많은사람들이 볼수 있도록 공유 합시다 ~^^
@implantier2
@implantier2 3 жыл бұрын
알고 있는 내용들도 많은데 그걸 잘 연결하고 새로운 것도 첨가해서 훈민정음에 대해 완벽히 이해할수 있게 해주신 명강의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kenny lee님 감사합니다^^ 힘이 납니다!
@bananapancake330
@bananapancake330 2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감사 드립니다. 어떤 한글 강의보다 중국어 강의보다 단연코 명쾌하네요. 훈민정음에서 이런 인사이트를 찾아내신 점이 굉장히 인상적이고 강사님 정말 똑똑하세요. 일제강점시 시절 잃어버린 것이 우리의 자존심 뿐만 아니라 소리도 잃어버렸군요... 정말 좋은 강의였습니다. 유레카!!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2 жыл бұрын
Sunjoo K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99hjyj45
@99hjyj45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박인 강의네요. 초반에는 역사적인 지식으로 빌드업을 하다가 후반에 중국어의 본질을 이해하게 하는게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훌륭한 강의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mypool_official
@mypool_officia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마이풀입니다. 저희는 현재 '외쿡어티비-마이풀'이라는 새로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영상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업로드한 지 꽤 오랜 시점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영상을 시청해 주시고 댓글과 응원을 보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많은 힘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신규 영상은 '외쿡어티비' 채널에 업로드할 예정이니 불편하시겠지만 해당 채널에서 영상을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희 채널과 영상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마이풀, 외쿡어티비 드림
@evakim4626
@evakim4626 3 жыл бұрын
중국어 전공자인데 매우 가슴에 와닿는 강의네요. 응원합니다 ^^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Eva Kim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insuncheung1598
@jinsuncheung1598 3 жыл бұрын
중국과 한국은 한자를 공유하니 중국어를 한국인은 쉽게 배울수 있는 기본기를 이미 가지고 있음에도 그동안 교습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깨닫게 해주는 명강의 이네요 구독하겠습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jinodd
@jinodd 2 жыл бұрын
정말 명 강의 였습니다. 일본어에 이어서 중국어 까지 익히고 싶었지만 결국 발음과 4성 때문에 포기한 1인으로서 절절히 와닿는 강의 였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훈민정음 28자로 어느 지방(중국, 일본, 미국 등)도 예외 없이 그 발음을 익힐 수 있다는 사실에 매우 큰 자부심을 느끼고, 한편으론 그걸 없앤 왜놈들에게 분노가 치밀면서도 없앤 이유가 또 수긍이 가는군요!!
@youngoknoh1592
@youngoknoh1592 Жыл бұрын
저랑 같네요!!! 진짜 정신이 번쩍 드네요..
@yeonzonza5737
@yeonzonza5737 Жыл бұрын
반일세뇌에서 제발 좀 꺠어나시오. 4자 없앤거 일본 탓은 뭐하러합니까? 일제로부터 독립한지 100년이 가까워지는데 아직도 일제탓하는건 너무 게으른거 아닌가요? 백년동안 한글학자들은 뭘했는데요? 그리고 그거 아십니까? 조선말까지 양반 제외하고 전국민이 문맹이었다는거? 한글도 모르는 문맹이 대부분이었어요. 왜? 쌍놈은 글배울 필요없다는 유교 신분제때문에. 그걸 없애고 공교육에서 한글 가르친게 누군줄 아세요? 그게 바로 당신이 왜놈들이라고 욕하는 일제였습니다. 공교육에서 처음으로 한글을 전국 학교에 보급한게 일제식민지시대요. 식민지 말기 1940년 이후 태평양전쟁 준비하면서 다급해진 일제가 한글,한국어 교육을 없애서 소위 민족문화말살정책을 펼친 것만 가지고 자자손손 일제를 욕하는데 일제가 당시 조선 민중의 문맹률을 낮추고 한글을 보급시킨 장본이란 사실부터 깨달으시오. 그러면 일본 욕하는게 참 부질없는 남탓임을 알게 될 거요.
@nojainnopain4485
@nojainnopain4485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없앤게 아니라 우리가 연구를 안한거죠. 글자를 없앤다고 없애지나요?
@user-cf5cw9fq5f
@user-cf5cw9fq5f Жыл бұрын
저건 말도 안되는 소리임.훈민정음없이도 중국어발음은 규칙이 있는데 굳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중에 갖다붙이니.저기 중화ㅡ라는 말은 그때 있지도않았구요.한국인을 바보로 여겨도 분수가 있지.그리고 문장구조가 우리와 다름. 중은 s+v+o 로 영어와 같아서 1500시간으로 의외로 미외교관이 배우기쉽다함. 단어만 외우면. 한국어는 s+o+v라 2200시간.게다가 여기서 중발음은 전혀고.중안에 한국어가능한 이 조선족만도 넘치고ㅡ 여기도 30년간 넘쳐서ㅡ대학 과도 프랑스.독.중은 한파트로 묶어 축소함.ㅡ여기서 우선 중전공자가 이제 없음.ㅡ 게다가 중안에도 영.프.독.스페인같은 100년간 도시 지역이나 상해등은 영어 미네이티브수준임. 80년 미수교후 미가서 태어나 살다온 애들이라 그런지. 인도쪽 4나라도 영식민지라 영어잘하고 ㅡ중어는 이제 끝났음.저이는 티비 다른 장르패널로 나오는데 완 저쪽임.
@youngjingo942
@youngjingo942 4 ай бұрын
분노 에너지를 장래 개선하는 에너지로 돌려야죠
@an9450
@an9450 2 жыл бұрын
언어와 문자를 배우려면 역시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먼저 알아야 하는 군요. 정말 최고의 강의였습니다! 깊은 울림이 있는 인문학강의!!!
@user-mz3hq1xf6y
@user-mz3hq1xf6y 3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은 정말 천재였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나야나님^^
@sangkian3409
@sangkian3409 2 жыл бұрын
야 ! 새로운 세상을 봤습니다 ! 이런 좋은 강의가 있자는 것을 !
@user-rs7dn6yn1z
@user-rs7dn6yn1z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rsjinny82
@rsjinny82 3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알고리즘으로 우연히 듣게 된 명강의네요. 무릎을 몇번이고 탁 치고 갑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Hello Fape 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MalangMolang
@MalangMolang 2 жыл бұрын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부여)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user-zf4ry3vy5w
@user-zf4ry3vy5w Жыл бұрын
놀랍습니다. 제가 둔한 머리에 노령인데 선생님의 이 설명 대강 듣고도 제 가슴과 머리가 뻥~~! 뚫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lw2fr7sw5l
@user-lw2fr7sw5l 2 жыл бұрын
모르는것 가르쳐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옛날 값진 자료들을 보여주셔서 감사하옵고 감회가 새롭고 중국어 입문에 새로운 자신감을 갖게 되었읍니다
@user-bw8dy8xd7l
@user-bw8dy8xd7l 3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강의 고납습니다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다시 한 번 세종대왕님께 감사드려요 위대하시고 세상에서 젤 훟륭하고 백성을 사랑하셨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민효순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ncle-gogo
@Uncle-gogo 3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본 영상인데 정말 신기하네요~ 사라진 문자를 사용하는게 시급해 보이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윤효상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x5ww7jw2g
@user-vx5ww7jw2g 8 ай бұрын
내가 들어본 최근 강의중에서 제일 뛰어납니다!! 정말 머리를 한대 탁 치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앞으로의 중국어 공부에 큰 이정표가 되겠네요 ^^❤😂
@bitetodust
@bitetodust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한 내용입니다 더 많이 공유되야 할 채널입니다
@jongwoonjeon7447
@jongwoonjeon7447 3 жыл бұрын
정말로 엄청나신 보물, 문화유산의 진수를 밝혀내 ,,깔끔하게 풀어주시네요! 저도 중국어 전공자이거든요.! 참 애국하시네요-감사드립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Jongwoon Jeon님 중국어 전공자이시군요!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nghokim5091
@yonghokim5091 3 жыл бұрын
국민 세금과 공권력으로 이런분들에게 보상과 훈장을 줄때 하늘의 아름다운 지혜를 가지고 살아가는 우리 온 백성이 함께 즐거워 할 것입니다 세종대왕께서 충만한 기쁨으로 웃으시는 얼굴이 보입니다 대단한 강의였습니다 저도 몇일간은 넘치는 기쁨을 안고 살것 같습니다 고개 숙여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Youngho Kim님 강의에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힘이 납니다!
@user-xm5qv9tx5r
@user-xm5qv9tx5r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부터 소위 사대부 라는 졸부들이 백성을 지금까지 혹세문민 하는것이지요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 의 위정자 그들과 결탁하여 돈과 권력을 향유하는 졸부들이 그들만의 리그를 자손만대 즐기려고 합니다 그러면서 서민들보고 애기를 많이 낳으라고 합니다 저들에 새끼들을 케어 시키려고 하는음모 입니다 사실 제생각엔 북한독제정권 의 세계 최고 후원자 는 미국의 무기 상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힘으로 한국을 통일시키려 마음먹었다면 한국전때 할수 있었는데 영리한 무기상들이 미 의회를 조종하여 지금의 휴전선이 그어진겁니다 그래서 한강에 금이그어진 것입니다 한강이 남한 것이면 우리는 벌서 세계에서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였을것입니다 소총도 미사일도 우리 맘대로 못하게 하는 미국은 술집에서 삥뜯는 양아치놈들입니다 우리 민족이 무엇이든 잘만드니까 이용가치가엄청난걸 이미 한국전때 알고있었던것이지요
@ckkc6865
@ckkc6865 Жыл бұрын
귀에 속속 들어오는 재밌는 명강의 였습니다. 중국어 배울수 있겠다는 생각!!
@birdking-jm9gi
@birdking-jm9gi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선생님의 강의를 유투브를 통해 3월19일 아침에 보고 크게 감명을 받았습니다ᆢ 우리 훈민정음의 위대함을 다시 느끼고 정말 우리글이 대단함을 가슴에 새기게 되었습니다ᆢ 늘 건강하시고 많은 가르침으로 우리 글이 바르게 갈수 있도록 이끌어주시기 바랍니다ᆢ 감사합니다ᆢ
@BryanSChoi-qs7gp
@BryanSChoi-qs7gp 3 жыл бұрын
아래의 댓글들을 보고 일부의 오해를 막고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국어는 그 자체로 매우 훌륭한 언어입니다. 하지만 당시에 문자를 중국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한국어(조선어)로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한자(한문)으로 글을 적으면 뜻이 잘 통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세종대왕은 만백성을 위하여 한국어를 위한 문자를 창제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우리의 어휘 중 중국 한자에서 온 것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대부분의 어휘는 한국 자체의 어휘입니다. 중국어 어휘와 한국어 한자 어휘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습니다. 일본도 한자를 사용하지만 일본식 어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ex) 한국(工夫) vs. 중국(学习) vs.일본(勉強) 모두 '공부하다'는 의미이지만 사용 한자는 모두 다릅니다. 중국도 근대화 이후 일본식 한자표현을 많이 받아들였습니다. '文化, 大學'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일본의 '百済無い' 는 '가치 없다, 시시하다'는 의미이며 이것은 '백제에 없다'는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백제는 한문, 불교 등을 일본에 전파한 문화국가로서 백제에 없는 것은 볼 가치도 없다는 의식에서 지금까지 일본에 남아 있는 언어의 흔적입니다. 즉, 중국, 일본, 한국 모두 서로에게 영향을 끼친 것입니다. 상당수의 영어 어휘가 고대의 그리스어, 라틴어에서 유래하거나 그 어원을 찾아 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죠... 중국어 공부는 발음공부가 우선이라고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어 발음체계를 숙달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여기서는 그 정도로만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분명히하고 싶은 것은, 훈민정음은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려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순경음 ㅂ' 등의 문자를 창제한 것이 중국 한자발음을 따라 하기 위한 문자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500년전 우리에게는 '아래아, 순경음 ㅂ' 등등의 발음이 살아 있었다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 한글(훈민정음)로 창작된 다양한 문헌을 통해서도 우리는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한 증거가 한국어는 중국어에서 왔다 또는 중국어를 따라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SNS의 발달로 쉽게 국제적 소통이 가능한 이 시대에 우리는 모두 한국의 외교관입니다. 올바른 지식 없이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를 우리 스스로가 왜곡하게 될 것이 우려되어 글을 올립니다. 문화를 지키려면 학계의 부단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우리 자신의 공부와 성찰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h264_
@h264_ 3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정리 잘해주셨습니다. 댓글 보면 이 영상의 포인트를 잘못 짚고 한국어가 중국어를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오인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SangiL Choi님 안녕하세요^^ 영상의 핵심을 정확히 파악해 주셨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마이풀에 많은 관심과 기대 바랍니다.
@user-bn7tn8dx3i
@user-bn7tn8dx3i 3 жыл бұрын
오 완전 재밌게 봤습니다. 흥미로운 내용에 모르던 내용까지, 중국어까지 이어서~ 이거 한번 다 듣고 중국어 시작하는 것도 좋을 듯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Yoo Youngkeun 님께서 강연 영상의 의도를 정확하게 짚어주셨네요^^
@ktlee9620
@ktlee9620 2 жыл бұрын
오늘 첨 들어봤는데 대단한 강의네요 특히 훈민정음 사라진 문자 강의는 충격 이었습니다
@user-zi1wq6tk3s
@user-zi1wq6tk3s 2 жыл бұрын
넘무 너무 좋은강의라 흘려버리기엔 아까워서 노트에 다 기록했습니다 귀한강의 감사드림니다
@user-tr8vw4qi3s
@user-tr8vw4qi3s 3 жыл бұрын
구한말 조선 사람이 영어를 완벽하게 발음했다는 말이 왜인지 알겠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kimri123
@kimri123 3 жыл бұрын
이거다!
@soungkyu
@soungkyu 3 жыл бұрын
그러네
@jongwoonjeon7447
@jongwoonjeon7447 3 жыл бұрын
숨겨진 보물 캐내는 찌릿하고 숨죽이는 ,,, ㅌ을ㄹ릴. Adventure가 ,,, 그러나 도전과 새로운 창조적 출산을 겪어내야...한국인DNA를 가졎음으로 ... ㅎㅎ 옛 어르신의 슬기로우신 지혜를 오늘에 되 살려 (편어일용;날로 ㅂ숨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실타래같은 영어도 나름 ,,,시원깔끔하게 요리하여야 함이 ㅎㅎ
@MahalalelLeeDokyun
@MahalalelLeeDokyun 3 жыл бұрын
구한 말의 영어 수업 교재에서는 '걷다'라는 뜻의 영어 'walk'를 '워크'라고 표기한 게 아니라 '우옥크'라고 표기했었답니다. 약간 파닉스 같은 느낌이죠.
@cominghis1612
@cominghis1612 3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박이네 ..생각하기를 멈추지 않고 공부하기를 멈추지 않고 신하(공무원) 노는꼴 못 보는 세종대왕 이 결국 후세대를 먹여살리는 결과를 낳았네요 여러분 생각은 없어진 4개 한글 알파벳 다시 복구해야 된다고 생각되지 않으세요?
@user-kn5xl1yx2y
@user-kn5xl1yx2y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봄
@user-qo5cm2xl4m
@user-qo5cm2xl4m 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깐요~없어진한글이뻐요.
@user-vv3hk5tf7z
@user-vv3hk5tf7z 3 жыл бұрын
소오름~~~~~
@ekirok9869
@ekirok9869 3 жыл бұрын
살려라! 살려라!!
@jongwoonjeon7447
@jongwoonjeon7447 3 жыл бұрын
우선 외국어습득,표기응용(일본어 물론,쭝꿔화 그리고 가까운 인접국가언어,,ㅇ비엩남,,동남아시아,,, ,,,유러아메리카!)에 잠재운 훈민정음 표기 살리어 쉽게익혀 ,,,자랑스러운 새세대에 날개펴주는 한글재발견! 민족의 지혜로움을 복구해야함다.. 찬 성.
@user-cl9jr3xi1f
@user-cl9jr3xi1f 2 жыл бұрын
뒤늦게 동영상 보았는데 훈민정음의 깊은 뜻을 이제 와서 조금 알게 되었습니다. 너무 무관심 했었던 저의 부끄러운 마음에 할 말이 없습니다. 한글이 세계 학회에서 최고의 문자니 창시자를 아는 유일한 문자라는 정도로 알고 우쭐해 왔던 것도 사실이고 지금까지 그렇게 살아 왔는데 강의 듣고 놀랬습니다. 고맙습니다.
@hijonam
@hijonam 2 жыл бұрын
이현준 대표님 강의를 이제라도 듣게 되어 참으로 다행스럽습니다.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haijencho2528
@haijencho2528 3 жыл бұрын
28개 모두 살리면 외국어 발음 표기가 정확해지는것 말고도, 한국어 자체가 더 다채롭게 될것같네요. 언젠간 다시 살려야하는게 맞는거같습니다. 세종대왕이 굉장히 과학적(입, 혀, 목 부분의 해부학적)으로 새로운 문자를 설계했다는것에 다시 한번 놀라고 갑니다. 요즘 한자공부를 하고 있는데 언어 공부에 동기부여가 되는영상이네요. 오랜만에 첫영상 첫구독 박고 갑니다 :)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Jesse Jo님 구독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들에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user-mo8ji2ho9j
@user-mo8ji2ho9j 2 жыл бұрын
백퍼공감입니다.
@user-mo8ji2ho9j
@user-mo8ji2ho9j 2 жыл бұрын
아랍어도 가능합니다. 오리지날 훈민정음으로.. 니뽄넘들이 망가뜨린 한글회복해야.. 우리국민들 정부가 힘만쓰면 10초내로 배을텐데.. 무었이 두려워하는지..
@jimmymacshin8653
@jimmymacshin8653 2 жыл бұрын
@@user-mo8ji2ho9j 맞춤법부터..
@user-wq3hb3be2y
@user-wq3hb3be2y 2 жыл бұрын
@@user-mo8ji2ho9j 훈민정음 타령하기전에 맞춤법부터 배우고오는게 어떨까요?
@balgmi99
@balgmi99 3 жыл бұрын
이게 뭐지 하고 들어왔다가 강의를 듣고 가슴이 울려서 혼났습니다. 제가 특이한 걸까요?? 저는 너무 가슴이 뛰어서 어쩔 줄을 모르고 눈물까지 흘리며 강의를 들었어요. 이런 강의 공유해 주신 것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전 중국어는 모르지만 일본어를 배웠습니다. 강의를 듣다보니 더욱 더 구체적으로 한글과 한국말이 대단하다고 알게되었습니다. 이 내용을 모든 한국사람들이 알고 또한 정부와 국어 연구자들에게도 경각심을 줄 수 있게되길 기원합니다. 감사해요. ㅜㅜ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balgmi99 님 안녕하세요^^ 긴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눈물까지 흘리셨다고 하니, 저희가 더 기분이 좋네요 앞으로도 마이풀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user-uw1qi1ob3r
@user-uw1qi1ob3r 2 жыл бұрын
놀라운 내용이군요!!! 안 쓰는 문자는 불필요하여 없어진 줄 알았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없어졌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에요. 정부 차원에서 현재 안 쓰는 4개의 문자를 복원하여 우리 후손들에게 완벽한 문자를 물려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강의하신 선생님께 존경의 마음을 담아 댓글을 남깁니다!!
@user-qx9mc1lv5j
@user-qx9mc1lv5j 2 жыл бұрын
우와.. 소름이 아니라 전율이 느껴집니다. 우리나라의 가방끈좀 있으신분들과 정부가 해야 할일이네요.. 한글 28자가 다시 살아나야하는데 100프로 10000프로 공감하게되네요. 마풀중국어.. 정말 대단하신분들입니다. 중국어는 꼭 여기서 배우겠습니다.. 우리의 언어에 다시한번 감탄하게됩니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user-cx7in1ug9e
@user-cx7in1ug9e 3 жыл бұрын
기가 막합니다! 이런 기막힌 원리가 있었다니!,,,,,, 한글의 위대함에 가슴이 벅찹니다, 명강 이십니다, 감사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박정현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g7rv6cx3p
@user-xg7rv6cx3p 3 жыл бұрын
새벽3시에 이렇게 흥미로운 강의를 보다니.. 감사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할수있다님 감사합니다^^
@user-pb2iy8lx4j
@user-pb2iy8lx4j 2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중국어를 발음하기위한 발음기호라고 주장하는 애들이 있어요 세종께서 중국애들이 말도 안되는 소리하실껄아시고 훈민정음 서문에 한국어를 한자로 발음 표현안되서 만들었다고 박아 놓으신것이 신의 한수였다고 생각합니다
@hskim1990
@hskim1990 2 жыл бұрын
한글 창제에 담긴 철학과 통찰을 알게 되니 놀라 자빠지겠네요..유익한 강의입니다.
@song8075
@song8075 3 жыл бұрын
와....대박이다! 그 동안 어렵게 공부하던 중국어 발음에 대한 생각이 한방에 그냥 이해가 되네요 처음 중국어 공부를 시작할때 이 강의를 제일 먼저 들었어야 하네요. 그리고 28자 반드시 살려야 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갈때까지 가자SONG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1783년 한글자막으로 중국🇨🇳어를 배웁니다 1443년 한글만듬 1446년 한글발표하다 이현준 한글사랑 대한민국 🇰🇷 👍 애국자 입니다 소리나는대로 °°용비어천가°° 지어내다 1447년 신숙주 °°동국정운°° ➡️ 바른발음책
@mr.sunshine7614
@mr.sunshine7614 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동영상이네요... 전 중국어 발음이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이 강의를 보고 확 깨달았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Mr.Sunshine님 감사합니다^^ 한글로 중국어를 접근하면 훨씬 쉽게 배우실 수 있을 거예요.
@hjr5954
@hjr5954 3 жыл бұрын
한글로 중국어 발음을 한다고요?ㅋㅋㅋㅋㅋㅋ 권설음이나 Re과 le은 절대 불가능하실겁니다
@lukelee7243
@lukelee7243 3 жыл бұрын
@@hjr5954 전 중국어 공부 안해봤지만 다른 언어로 배우는거보다 훨씬 쉬어보이네요. 2개만 더 배우면 되잖아요.
@hjr5954
@hjr5954 3 жыл бұрын
@@lukelee7243 개인적으로 전 배우기 쉬운 언어는 없다고 생각해요 가까운 나라라고 해도 각 나라만의 풍습과 문화, 정신, 역사가 스며들어 만들어진 것이 언어니까요. 편법이나 야매로 hsk 3~4급까지는 저렇게 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그 이상은 많이 힘들 것 같습니다.
@h264_
@h264_ 3 жыл бұрын
단계가 올라가면 적용되기 힘들겠지만, 중국어를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에겐 충분히 도움될 것 같은데요~ 철자도 처음, 단어도 처음보는 생판 모르는 외국어 배우는 것보단 접근이 쉬운 건 맞는 듯해요.
@toddkang77
@toddkang77 2 жыл бұрын
그냥 지나치던 영상이었는데...오늘 보고 완전 깜놀...이전부터 저 생각을 했는데 드디어 새로운 물결이 시작된 듯...기분 좋아서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까지. 감사드립니다
@sskim1882
@sskim1882 2 жыл бұрын
진짜 명강의입니다. 저두 아설순치후, 목화토금수를 처음으로 알게되었구 그리고 화와 수가 중요하다는 것 알게되니 우리 한글의 위대성을 다시금 알게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TV-ch5cf
@TV-ch5cf 4 жыл бұрын
다시 한번 훈민정음! 한글의 위대함을 느낄수 있었던 명강의였습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TV전자밥솥님 감사합니다^^
@MalangMolang
@MalangMolang 2 жыл бұрын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부여)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user-vz8ww2dx3f
@user-vz8ww2dx3f 4 жыл бұрын
대박~~~ 놀랍고 신기하고 기가막힌 강의 넘나 잘들었습니다 이해하기 쉽고 배우고싶어지게 만드는 강의였어요 마풀중국어 기대됩니다~~ 열씨미 공부해서 사례공유 하고싶네요^^ 강사님 넘 멋지세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한지아님 감사합니다^^ 마이풀에서 더 많은 중국어 강의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user-mn4bo3ii2r
@user-mn4bo3ii2r 9 ай бұрын
정말 훌륭하시다는 말 외에 할말이 없군요 ~ 더 많은 강의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user-of5es3tr5t
@user-of5es3tr5t Жыл бұрын
중국어 전공자로 정말 놀랍네요. 어째서 같은 한자독음 글자들이 거의 동일한 발음이 나오는지 항상 궁금했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soonjaechoi6697
@soonjaechoi6697 3 жыл бұрын
제가 들은 최고의 강의입니다.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3 жыл бұрын
ㄱ....목....아....각....나무로 (탁탁)----------(인) ㄴ....화....설....치....쎈불소리(치이)-------(예) ㅁ....토....순....궁....땅소리(쿵쿵)----------(신) ㅅ....금....치....상.....쇠소리 (챙챙)--------(의) ㅇ....수....후....우.....깊은물소리(우우)----(지)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Soonjae Choi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강의로 찾아뵙겠습니다!^^
@feudback
@feudback 3 жыл бұрын
수년 동안 생각만 해오고 있던 부분을 말씀해주시네요. 순경음을 살리는 운동을 제발 좀 해주세요. 우리 아이들이 family 영어 단어 발음은 할 줄 아는데 한글로 패밀리 또는 훼밀리로 표기를 하지 못하고 있네요. 세계에서 제일 우수한 한글을 갖고 이런 발음을 표기하지 못하고 있다니 애석합니다.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arah-sz1vl
@sarah-sz1vl 3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쓰지않는 글자들을 살려내면 좋겠습니다. 우리민족이 긴 잠에서 깨어나려는 이 시점에 훌륭하신 강사님이 나타나셨네요.
@aje4613
@aje4613 Жыл бұрын
​@짐모리슨의통일작전
@user-cx4me6rx7l
@user-cx4me6rx7l 9 ай бұрын
자량스러운 한글의 새로운 지평을 더 넓게열어주신 명강의 감사합니다. th (thank you, three 등)소리 표기법도 같이 병기할 방법을 제시해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user-dh5fn7se3b
@user-dh5fn7se3b 2 жыл бұрын
아니 왜 이제서야 이런강의를 만났나....ㄷㄷ 감사합니다.
@dazaijr
@dazaijr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국어 입시 강사인데요, 진짜 이런 식으로 사기쳐서 가르치면 안 됩니다 ... 우선 은 국문과 교수들이 아는 건 물론이거니와 고1 국어 교과서에서도 언급되는 책입니다. '솅죵엉졩 훈민정흠'이나'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라...'라는 유명한 구절들 때문에 '동국정운식 표기'라는 말을 안 배우고 갈 수가 없어요. 그리고 동국정운식 표기가 쇠퇴한 이유는 다른 것도 아닌 그냥 '실용성' 때문입니다. 에서 한자를 한글로 표기할 때 송대 '등운학파'들의 이론체계나 명대 의 언어정책을 이상적인 것으로 상정하여 발음을 지극히 인위적으로 구성한 결과, 조선에서의 한자 발음과 안 맞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당대 중국어를 말하는 것과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당시 조선 사람도, 중국 사람도 에 나온 표기로는 발음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입말과 표기가 다르니 당연하게도 '언어덕후'셨던 세종 사후에 자연스레 소멸되는 겁니다. 그리고 지금껏 표기에서 사라진 음운들 역시도 그런 맥락으로 자연스레 사라진 겁니다. 누가 두들겨 패면서 없애라고 한 게 아닙니다. 일제 때문에 원래 있었던 음운이 없어졌다니 ...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아래아'가 폐기되었는데 그럼 아래아 없앤 조선어학회는 무슨 일제 관변단체 쯤 된답니까 ...? 그 당시 없어진 음운들은 1) 애초에 입말에 사용하지 않는 인위적인 음운이었기 때문에 금방 사라졌거나(ex. ) 2) 시간이 흐름으로써 자연스레 발음이 바뀌다보니 불필요한 음운이 되어 사라진 겁니다(ex. 아래아). 그러니까 훈민정음이 창제될 당시의 음운은 (1443년) 1~200년만 지나도(임진왜란 후) 현실의 발음과 안 맞아서 없어진 건데 그걸 현대 중국어를 배우기 위해 복원해서 써야한다는 건 이미 사장된 주장입니다. 근데 마치 그것을 '훈민정음의 위대함을 잘 모르는 애들이 제대로 된 국문학 교육을 안 시킨다'는 식으로 왜곡하면 이 땅에서 국문학 전공한 모든 사람들이 이마에 머리 짚으며 황당해 할 겁니다. (그리고 영상에서 많은 사실관계들이 틀렸는데 ... 첫 번째는 '이모'와 'ㅇㅇㅣ모'의 발음이 다르다고 얘기하고 있는데요, 그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쌍이응을 쓴 게 아닙니다 ... 쌍이응은 그냥 표기상의 구분일 뿐이고, 그 발음은 옛이응으로 썼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더군다나 경상도 방언을 구사하시는 분들은 모두 아실 텐데 옛이응이 없어졌다고 하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이 두 음을 충분히 구분해서 씁니다. 수도권 지역의 분들도 22, 2E, EE를 발음할 때 조금씩 다른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또 영상에선 '알파벳으로는 발음이 달라지지만 한글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한글 역시 '표기'가 똑같아도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힘들어 하는 건 마찬가집니다. 일례로 나는 너를 안다(know)에서 '안다'는 발음이 [안다]입니다. 하지만 안다(hug)는 [안따]로 발음합니다. 중학교 문법 시간에 배우는 '음운변동'의 예시입니다. 그냥 우리는 한국어를 오랫동안 써왔기 때문에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할 뿐 영어나 한국어나 표기와 발음의 불일치는 마찬가지로 존재합니다.) 애초에 전제가 틀렸으니 뒤에 있는 주장들은 일언반구의 가치도 없습니다. 제가 이 영상이 너무나 심각하다고 느낀 이유는 한국말만 해도 한글과 한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사이의 차이가 있는 것이고 중국어도 역시 지방마다, 또 시대마다 발음이 달랐을 수밖에 없는데 그걸 하나로 뭉뚱그려 '없어진 음운을 되살려야 한다'는 착오적인 주장을 하는 데에 거짓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건 현존하는 국문학 전공자들에 대한 모욕입니다. 현재 인간이 발명한 어떠한 표기 체계로든 모든 소리를 완벽하게 재구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한글뿐만 아니라 국제음성기호조차도 현존하는 모든 소리를 나타내지 못합니다. 다만 비슷하게 구성할 뿐입니다. '훈민정음 덕분에 짐승 우는 소리도, 바람 부는 소리도 표기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그냥 문학적인 표현일 뿐입니다. 이걸 진지하게 믿는 건 '단군신화'의 내용을 들어 단군이 정말 곰의 자식이라고 믿는 거나 다름 없는 일입니다. 한글의 위대함은 한국인이 사용하는 '한국어'를 위해 자체적으로 만든 글자이자 한국어에 특화되어있는 글자라는 점에 있는 것이지, 모든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라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애초에 그럴 수도 없구요. 이런 걸 근거 없는 '국뽕'이라고 하고, 더더욱이나 사람들에게 '지식'이라는 이름으로 잘못된 강의를 전파하고 있으니 더욱 분노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이 댓글이 지워질지 남아있을지 모르겠으나, 이 이야기 더 이상 팔고 다니지 마세요. 이 영상이 알려질수록 곤란해지는 건 지금 강의하신 분일 겁니다. 국문학과 교수들이 이 영상을 아직까지 못 본 것을 다행이라고 여기세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Jaerang Lee님 안녕하세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더 노력하고 발전하는 마이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MaxKim0314
@MaxKim0314 3 жыл бұрын
영상의 얘기도 잘 들었지만 댓글의 내용도 뜻깊게 보았습니다 영상에 대해서 소름이 돋고 한글에대해 커진 자부심은 그대로이지만 댓글에서 알려주신 모르고 넘어갈수있는 내용도 잘배우고 갑니다 v f등 발음의 회복으로 중국어 일본어는 물론 영어들도 다 발음표기가 되겟지만 아랍어랑 바람이 새는 아프리카어등등은 또 완전이 다른 발음체계니까 확실히 모든언어라는것은 과장된 표현이겟네요 한글에도 같은글 다른음이 있다는걸 하마트면 깜박할뻔했네요 국어쌤이라 그런지 많은 내용에도 불구하고 문장내용이 머릿속에 잘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user-zl5bi2jr7d
@user-zl5bi2jr7d 3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솔직히 역사비교언어학이나 음운론의 진짜 초보 수준만 알아도 이 영상에 나오는 헛소리는 할 수가 없습니다.
@LeeFamTV
@LeeFamTV 3 жыл бұрын
대박.. 제가 중국어 공부하면서 어렴풋이 느꼈던걸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네요
@user-ep2yn9ci2s
@user-ep2yn9ci2s 3 жыл бұрын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user-ck3mj8iu1c
@user-ck3mj8iu1c 3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왜 이제야 이 컨텐츠를 보게 되었을까요? 세종대왕을 다시 한 번 존경하게 되고, 마풀 중국어 꼭 하고 싶습니다!
@hairenkorean
@hairenkorean 2 жыл бұрын
대만에서 중국어 공부하는 사람으로.. 한글이 정말 대단하다는 걸 다시 느껴요.. 세종대왕님 정말 감사합니다 ☺️ 한국인이라는게 자랑스럽네요 👍🏽👍🏽
조승연 중국어 특강 1탄 | 중국어는 한국어의 사촌언어!
7:26
마이풀 공식 유튜브
Рет қаралды 243 М.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KBS 역사스페셜 - 소리문자 훈민정음 어떻게 만들어졌나
57:1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영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영어 교육의 실체
22:14
마이풀 공식 유튜브
Рет қаралды 88 М.
조승연 중국어 특강 3탄 | 중국어를 한글로 배워야하는 이유!
8:43
마이풀 공식 유튜브
Рет қаралды 161 М.
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ㅣ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51:19
교육사업가 이현준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한글날 특집]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이 특별한 이유?
18:2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