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은 왜 한국을 못 잡아먹어서 안달일까?

  Рет қаралды 191,811

보다 BODA

보다 BODA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819
@yuinlee6094
@yuinlee6094 21 күн бұрын
지나가던 의류학과 졸업생 입니다. 한복이 명나라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건 관복에 한해서입니다. 관복은 중국식을 거의 그대로 차용한게 맞아요. 그런데 한복의 기본 구성은 중국식 '포'(남방, 농경계)와는 전혀 다른, 저고리, 바지로 대표되는 전형적인 북방 기마 민족(스키타이계)에서 비롯된 옷입니다. 고구려 벽화에 그대로 나오듯, 우리 옷이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증거가 너무나도 많아요. 혹시 우리 스스로 한복이 중국에서 왔다고 오해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말씀드립니다^^
@Broken_Head_Shangus
@Broken_Head_Shangus 5 күн бұрын
오히려 중국쪽이 고려양이라고해서 한국의 영향을 받았었죠. 너무 심해서 나라에서 금지령까지 내린게 지금 중국의 한류와 같네요. 그래도 몰래 다 즐기지만 ㅋㅋ
@user-hl8rm9ut2t
@user-hl8rm9ut2t Ай бұрын
한복은 명나라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그 반대입니다. 고려시대 한복이 고려양으로 원나라에서 유행했고 유행이 명나라때까지 이어진 것을 중국인들이 한복이 명나라에서 시작했다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명나라때 한복이 유행해서 금지령까지 내려졌다고도 합니다. 자기네꺼면 금지령을 내리지는 않겠죠
@user-bt3yp7cp9m
@user-bt3yp7cp9m Ай бұрын
국뽕 유튜브 끊어요 ㅋㅋㅋ 인정할껀 인정 해야지 이젠 한자도 우덜이 만들었다데 ㅋㅋㅋ
@jisanglim2955
@jisanglim2955 Ай бұрын
@@user-bt3yp7cp9m 뭘끊어. 북방과 동방의 노예였던 한족이 자기 전통의복이 어디있노?
@user-py8yi2kx3b
@user-py8yi2kx3b Ай бұрын
​​@@user-bt3yp7cp9m 고려양이 한푸에 영향준게 맞다는데 ? 왠 국뽕에 미친 댓글인가 하고 구글링해보니 그리 나오더라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Ай бұрын
乾隆三十年(公元1765年),35岁的朝鲜哲学家洪大容随朝鲜使节团出使清朝。 这天,他穿着盛装去朝拜大清皇帝,当他走出午门时,引来了很多人围观。究其原因,问题就出在洪大容的衣冠上。 当时朝鲜使团穿着的正式冠服其实就是他们当年承袭下来的“大明衣冠”。可在乾隆三十年,大清的读书人似乎已经认不得这样的服饰了。甚至有清朝人问,“贵处衣服,是遵何代之制?”最后,反倒是洪大容告诉清朝人,“我们衣服皆是明朝遗制”。
@123carth
@123carth Ай бұрын
@@user-bt3yp7cp9m인정할 건
@Kangyonghee12345
@Kangyonghee12345 Ай бұрын
중국이 문화가 어딧냐 문화대혁명으로 다없어졌는대
@user-zk3kf5xb7h
@user-zk3kf5xb7h Ай бұрын
미쳤나 진짜 ㅋㅋ
@usergwhsj1
@usergwhsj1 Ай бұрын
본인들의 문화를 본인들이 파괴함. 장제스가 대만으로 도망가며 자기 컬렉션 안가져갔으면 중국 문화유산은 없었을듯
@polarbear333_tistory
@polarbear333_tistory Ай бұрын
없는게 문화 입니다만…? ㅋㅋㅋㅋ
@saiko-rz7jb
@saiko-rz7jb Ай бұрын
캠프파이어가 문화랍니다
@jcc934
@jcc934 Ай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넌올라가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hy6787
@ohy6787 Ай бұрын
한중일 세나라를 객관적으로 논하려면 일단 한중일 사람이 하면 안됨
@effectpowerful7797
@effectpowerful7797 Ай бұрын
중국 한국 일본에 사는 외국인들의 평가가 제일 객관적이라 봄. 사심이 들어가면 연구는 실패임.
@seansong3378
@seansong3378 Ай бұрын
객관적으로 그게 맞긴 한데.. 그러면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불리하지.. 중국이나 일본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을테니..
@user-zh5zj2rc8v
@user-zh5zj2rc8v 29 күн бұрын
좀 거부감 드는 말이지만, 이게 맞긴함 ㅇㅇ
@rockugotcha
@rockugotcha 17 күн бұрын
농담이라면 허허 웃고 넘길 말이지만 진담이면 학계라는 게 있을 수 없죠. 학문이라는 게 원래 자기 앎을 객관화하는 과정이고, 구체적으로는 피어 리뷰 따위로 아무개 동료 학자들에게 검증을 받아요.
@user-bo7nm9po4i
@user-bo7nm9po4i 17 күн бұрын
자기객관화도 못 하는 인간들이 남들도 다 그런 줄 착각하고 이런 헛소리를 하죠
@user-gs5uq9ts1n
@user-gs5uq9ts1n 24 күн бұрын
일본애니와의 비교는 정말 재밌네요 ㅋㅋㅋ둘리가 쌍문동에 산다는 설정 ㅋㅋㅋㅋㅋㅋ넘나 현실적이었던… 고길동의 마음을 성인이 된 후 이해하게 되는것도 현실 기반이라 그런것 같습니다.
@chainsawkas7545
@chainsawkas7545 Ай бұрын
예로부터 옆나라들끼리는 대부분 사이가 안 좋았죠ㅋㅋㅋㅋㅋ 영국이랑 프랑스 라든가 발칸반도 라든가 +)라던가 라든가로 수정
@AnyeongKanu
@AnyeongKanu Ай бұрын
미국.캐나다는 좋던데요(;;
@AnyeongKanu
@AnyeongKanu Ай бұрын
@@user-mi48dl7dfdw 오 그럴수 있겠네요😮👍🏻
@user-nv7vr9ii1k
@user-nv7vr9ii1k Ай бұрын
@@AnyeongKanu거기야 사실 뿌리가 같기 때문에.. 근데 좋아죽냐?? 그건 또 아닌게 은근히 미묘한 그런 감정들이 없지 않아요. 미국이 워낙 크고 쎄니까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는거에 반감 갖는 캐나다인들도 있고 미국에도 캐나다에 굳이 혜택주고 친하게 지낼 필요가 있는지 의문 갖는 사람들도 있고.. 두 나라 다 역사가 별로 길지 않기 땜에 우리가 수백,천년을 넘어서 쌓아온 역사의 결과가 이런것이듯 거기도 수백년이 지나면 또 어떤 상태일지는 장담 못하죠
@AnyeongKanu
@AnyeongKanu Ай бұрын
@@user-nv7vr9ii1k 근데 캐나다 퀘벡주는 뿌리가 같다고 하긴.. 좀 그렇죠
@banghyomoon
@banghyomoon Ай бұрын
​​@@AnyeongKanuㅋㅋㅋ 지금 독일 프랑스도 생각보단 좋죠 캐나다 미국 건국 초기앤 서로 천날만날 전쟁하던 사이였단건 암?
@user-cw5dy5ov3p
@user-cw5dy5ov3p Ай бұрын
그냥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성격을 떠나서 역사적인것만 놓고보면 절대 친해질래야 친해질수가 없음...
@rud242
@rud242 Ай бұрын
공통된 역사의식이 있어야 말이 통하지 양옆으로 역사 왜곡중인데 가능할수가 없음
@user-nu8wd6ln6c
@user-nu8wd6ln6c Ай бұрын
@@rud242 아직도 우리는 역사왜곡 안하는줄 아시네 ㅋㅋㅋ
@maudlinbuck
@maudlinbuck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역사 왜곡 생각보다 많아요;; 학생 때는 몰랐다가 대학와서 논문 보고 다니면서 알게됨;;
@user-xh1ts9lb3v
@user-xh1ts9lb3v Ай бұрын
서로서로 산이든 바다든 막고 있는 지형들이 있으니 서로간의 문화나 감성이 다른채로 1000년이 흘렀으니...
@user-tg4dq4dl6j
@user-tg4dq4dl6j Ай бұрын
영국하고 미국은?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pv9jm8uv9b
@user-pv9jm8uv9b Ай бұрын
전문가라기엔 너무 사건 나열만 왜 뒤에는 근거가있어야는데 부족합니다
@TG-sn1zh
@TG-sn1zh Ай бұрын
전문가 분석 전문가신거 같은데 근거가 부족하시네요
@user-py7ov4ul9y
@user-py7ov4ul9y Ай бұрын
동의. 한국인이 융통성이 있다면서 그 예시가 비빔밥 콘치즈인건 일본 초밥이야기 하면서 육지와 바다의 조화 일본은 조화의민족!! 이런급 아닌가 싶은데
@user-gm2vv9sc6n
@user-gm2vv9sc6n Ай бұрын
제 표현입니다만, 저런 학문은 하나를 깊게 연구하는게 아니라, 입체적인 인간의 삶을 문화라는 하나의 틀로 유형화하고,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서 깊이보다는 양으로, 직관적인 요소들을 엮어서 하나씩 하나씩 짜 맞춰가는 학문? 아닐까 싶습니다 과학처럼 데이터로 말하는 영역은 아닌듯 주관이 많이 들어가죠
@user-vn2xy2tg9z
@user-vn2xy2tg9z Ай бұрын
​@@user-gm2vv9sc6nㅇㅈㄹㅋㅋㅋㅋ사물과 기록으로 증거로 공부하는게 학문인데 주관갈거면 작가나 스토리텔러지 뭔 학자임 ㅋㅋ
@ghemsk
@ghemsk Ай бұрын
ㄹㅇ 그냥현상에대해 단편적인 카더라수준으로 결과에 맞춘해석에 근거가 없음
@lalalaal9934
@lalalaal9934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설명하는 문화적 차이로 집단과 집단의 혐오정서는 그렇게 크게 올라가지 않음 이유는 저런 문화적 갈등은 개개인의 경험에 의해 파편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임 결국 저런 파편화된 갈등을 묶어서 국가 내의 모든 구성원에게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는 집단 즉, 권력층에 의한 설계된 전파가 없는 이상 절대 이뤄지지 않음
@alpha-oe5gi
@alpha-oe5gi 27 күн бұрын
맞는말 교포들보면 알겠지만 문화는 한세대만 지나도 적응함. 중요한건 지정학적인 이권다툼이지
@user-gg6vo5nk2l
@user-gg6vo5nk2l Ай бұрын
썸네일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r9lu9uu7k
@user-pr9lu9uu7k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
@user-us3gr3qm3r
@user-us3gr3qm3r Ай бұрын
이댓글덕에 다시보고옴ㅋㅋㅋ
@user-ev6pp2cm3x
@user-ev6pp2cm3x Ай бұрын
섬네일 어그로인게 아직도 일본 베스트셀러 책들보면 죄다 혐한서적ㅋㅋㅋ
@Korea-kb5qf
@Korea-kb5qf Ай бұрын
​@@user-ej2eo3hy6j한국도 엄청 싫어함
@user-yg4oz9kr7x
@user-yg4oz9kr7x Ай бұрын
아 아무리 생각해도 일본보다 중국이 훨씬 더 싫다.......
@user-jt2nr8sf4p
@user-jt2nr8sf4p Ай бұрын
주적=북한 잠재적 적=중국,일본 걍 우리나라 근처엔 그 어느나라도 우방이될수없음 우리나라가 아무리 잘해주고 신뢰를 주더라도 저들은 호시탐탐 우리나라를 이용해먹거나 언제든 정복할 나라중 하나로밖에 안봄 결국에 우리나라는 북중일 어느나라든 우리나라를 함부러 쳐들어올수없게 국방력을 강화하고 저 나라들이 생각하는것처럼 우리나라 또한 저들한테 얻을것만 취하면서 적당히 거리를두면서 항상 언제든 쳐들어올거라는 생각을 가지고있어야됨 ㅇㅇ
@Soomin_Jung
@Soomin_Jung 25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적? 무슨 정신나간 소리?
@user-gx7ch8yk9y
@user-gx7ch8yk9y 23 күн бұрын
​@@Soomin_Jung그럼 우방임?
@Soomin_Jung
@Soomin_Jung 22 күн бұрын
@@user-gx7ch8yk9y 한국의 종주국임
@user-he3jw8vl6g
@user-he3jw8vl6g 18 күн бұрын
주적=북한,중국 북한이 침략하면 중국은 반드시 같은 공산권인 북한을 도울것 하지만 일본은 구한말때와는 다르게 침략을 벌이면 유엔의 제재와 보복을 당하게 되므로 동맹을 유지할수밖에 없지. 따라서 일본보다 북한,중국이 우리의 주적
@user-mo1ld1pr5r
@user-mo1ld1pr5r Ай бұрын
문화적으로는 그 어느때보다 끈끈한데 참 아이러니해 ㅋㅋㅋㅋㅋㅋㅋ
@bigboyb3961
@bigboyb3961 Ай бұрын
인도 파키스탄
@user-kk8ju5he7o
@user-kk8ju5he7o Ай бұрын
캄보디아-베트남
@allywinsome
@allywinsome Ай бұрын
ㅋㅋㅋ 썸네일에 홀린 듯 이끌려 들어왔습니다 ❤
@drk9788
@drk9788 Ай бұрын
중국과 일본은 왜 한국을 못 잡아먹어서 안달일까? 답은 딱하나..... 한반도,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완충구역...... 마지노선이고..... 이곳(한반도)의.... 세력 향방에 따라서.... 중국, 일본의.... 국운, 국력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Ай бұрын
아닌데요 그런식으로 접근할수 없어요 바다가 부족한 중국에겐 영해를 늘릴수 있는 최적의 육지이고 대륙으로 진출하고싶은 일본에게는 대륙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 이라서 그런건데요 우리나라가 발언권이 있거나 경제력이 있어서가 아니에요
@pluto3180
@pluto3180 Ай бұрын
잠이나 자쇼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동아시아 자체가 오세아니아 중남미 다음으로 갈라파고스 심하죠 그래서 겉으론 같은 문화권으로 보여도 실제로 전쟁나면 집안싸움인 유럽과 다르게 인종청소 일어남 서로 너무 모르고 이물질들임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이나 유대인들 역사만 봐도 앎 당장 중동만 봐도 알지
@drk9788
@drk9788 Ай бұрын
@@pluto3180 잘자
@user-ey9zw7ok6o
@user-ey9zw7ok6o Ай бұрын
좀 제대로 알고 얘기하지... 무슨 우리나라 복식이 명나라 영향을 받았다는 건지. 한복이 몽고인 원나라에 영향을 미쳤고, 비지배층인 한족이 고려양(고려풍)을 따라서 명나라 복식에 영향을 끼쳐서, 명황제가 고려양을 자제시키기 까지 했구만...
@user-xb4jv9ss3j
@user-xb4jv9ss3j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했습니다
@user-smvd
@user-smvd Ай бұрын
이분 다른 영상도 많이 올라오면 좋겠어요!
@user-qz8ib9zt9c
@user-qz8ib9zt9c Ай бұрын
국가 발전적으로만 따져본다면 주변국끼리의 배척과 연합 어떤게 더 유리할까?
@BlueWingsSuwon
@BlueWingsSuwon Ай бұрын
한복은 명나라 영향을 받은게 아니라 옛날 고대 삼국시대 이전부터 입었던 옷이 한복이고 시대에 따라 변화를 한것일 뿐이고 명나라에 영향을 받은건 한복이 아니라 궁중의복이 영향을 받은것임 그리고 일본의 기모노는 백제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옷이 기모노임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Ай бұрын
한국은 받은 건 없고 창조하고 전수만 했다? ㅋ
@user-yf2mt5vc3p
@user-yf2mt5vc3p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관복이나 왕 옷 같은 건 확실하게 중국 영향 받았죠.
@BlueWingsSuwon
@BlueWingsSuwon Ай бұрын
@@gimgankoomg4168 누가 없다고 했나 한복이 우리 전통의상 인거지 중국의 영향을 받은게 아니라고 말하는거지 우리도 중국의 영향 많이 받은것도 있고 중국도 우리의 영향을 받은것도 있고 일본도 우리의 영향을 받은것도 있고 우리가 일본의 영향을 받은것도 있고 가까운 삼국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건 당연지사 아님??
@nodeul5009
@nodeul5009 Ай бұрын
누가 누구한테 영향을 준게 아니라 그냥 서로서로에게 영향을 줘서 섞여있다고 보면 되죠. 몽골 중국 한국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습니다. 고려양이라고 해서 원과 명에게 영향을 주고 명나라도 조선에 영향을 주고 그렇게 주고 받는것이죠
@hishimhe
@hishimhe Ай бұрын
맨날 그놈의 백제 타령...큰중국이나 작은중국이나 도찐개찐
@user-rt2xb3qc7j
@user-rt2xb3qc7j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 머리속에 쏙쏙 들어 옵니다 강의 멋져요
@user-hp4hn9fm1n
@user-hp4hn9fm1n Ай бұрын
서로 존중해주면 친해 질수 있는데 정치인들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갈등을 유발 시킴 한중일이 친해지는것을 미국이 어떻게든 막으려고 하는것도 있고...한중일이 친해지기는 힘든 상황이지만 올바른 정치인들이 나와서 조금씩이라도 관계 개선을 하면 좋겟다
@user-ir9hv7ls4o
@user-ir9hv7ls4o Ай бұрын
イゼミョン、タマネギ男、がいる限りむりでしょう。
@canseemeyou1051
@canseemeyou1051 Ай бұрын
​@@user-ir9hv7ls4o 역사왜곡 전범국으로써 반성이 없고 극우적인 성향이 강해지면 더 힘들듯
@user-iz4mj8mc4k
@user-iz4mj8mc4k Ай бұрын
역사적인걸로 싫어하진 않는데 일본 태도가 극혐이라 싫음 라인사건이랑 일본인이 자기도 위안부랑 놀았다고 비웃으면서 인터뷰한거 보고 확실하게 싫어짐. 내가 싫어하는 유일한 나라 일본
@user-hw2yt1cf8x
@user-hw2yt1cf8x Ай бұрын
서로 존중해주면 개돼지 취급 받습니다
@ColeMichael-ry9uo
@ColeMichael-ry9uo Ай бұрын
@@user-iz4mj8mc4k 마비키만 보더라도 갓태어난 자기 자식을 태연하게 죽일 수 있는 잔인함과, 요바이만 보더라도 여자를 도구 정도로 취급하는 정신세계를 가지고 있었음. 자국민한테도 저렇게 했던 애들인데, 다른 나라 사람은 어떠겠음?ㄷㄷ
@user-pn5gw3hy4w
@user-pn5gw3hy4w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좋네요ㅎㅎ 혹시 이후에 영어 자막도 만들어주신다면 서양 친구에게도 보여주고 싶네요
@user-qz1db2fh5n
@user-qz1db2fh5n 25 күн бұрын
진짜 마지막 말에서 빵터지네. 공룡이 등장해도 쌍문동에서 산다. ㅋㅋㅋㅋ
@archenfield
@archenfield 29 күн бұрын
중국이랑 친해지면 중국에 흡수될뿐... 한국과 일본은 친해질수 있어도 중국은 불가능 ㅇㅇ
@youone3584
@youone3584 27 күн бұрын
"한반도가 없없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큰소리 뻥뻥치는 중-일.
@asfpdittohypeboy
@asfpdittohypeboy Ай бұрын
근데 셋중에 우리는 먼저 안 건듬
@jjkoausjqp2610
@jjkoausjqp2610 Ай бұрын
안건듬 x 못건듬 o
@user-kr5tt1ls9g
@user-kr5tt1ls9g Ай бұрын
약한데 못건들지 강대국이였어봐 제일 심했을껄
@user-qq3bj4mt9r
@user-qq3bj4mt9r 19 күн бұрын
​@@jjkoausjqp2610 건듬 x 건듦 o
@somebodyhelpmeno
@somebodyhelpmeno Ай бұрын
와 정말 신선하고 재밌었습니다!! 더 많이 뵙고싶어요!! 자주 말씀전해주세요
@user-zc3vb5sn6y
@user-zc3vb5sn6y Ай бұрын
가까운 이웃 나라 하고는. 절대로. 잘 지낼수가. 없다. 적은 항상 이웃이니까 아프리카 하고는. 적이 안된다
@user-uj2fl1gd2n
@user-uj2fl1gd2n 21 күн бұрын
한중일의 비교설명을 할때 보통 대중들의 성격비교를 많이 하는데 리더십의 차이도 비교해줬으면 합니다. 일본이 본심을 들어내지 않고 하자는대로 하는편이라도 결국 누군가는 의사결정을 할텐데 각국에도 시대마다 유명한 통치자들이 있었고 할거 아닙니까
@mini7713
@mini7713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selee783
@joselee783 Ай бұрын
그냥 ㅈㄴ 쉽게 미국탓하면되는데 한국넘들은 그걸 인정안하더라
@user-pb7yz3cz9b
@user-pb7yz3cz9b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3000cc
@3000cc 28 күн бұрын
더 듣고 싶어요.2편 가나요?
@Croatam31
@Croatam31 Ай бұрын
멀리갈 거 없이 한국-라틴족(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중국-슬라브족(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 일본-게르만족, 켈트족(영국, 독일, 핀란드 등) 이러면 정말 찰떡같이 특징이 맞음ㅋㅋ 성질 급하고 드럽다고 까이지만 그만큼 사람간에 부딪히며 정과 예술을 좋아하는 라틴족, 무뚝뚝하고 무력을 과시하지만 가끔 엉뚱한 기행을 보여 웃기기도 하는 슬라브족, 남들이 보기엔 이해 안 가는 폐쇄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그만큼 자기들만의 기발한 상상력을 선보이는 게르만족, 켈트족 심지어 서로 간의 긴장 관계도 지형도 딱 비슷함. 허구헌날 치고박고 싸우는 게르만족, 슬라브족. 예전엔 한딱가리 했지만 지금은 저 둘에게 치여서 그냥 좀 평화롭게 살고싶은 라틴족.
@user-kk8ju5he7o
@user-kk8ju5he7o Ай бұрын
근데 프랑스인은 유럽에 중국이라 불리는거 보면 또 기준 정하기 나름인거같음. 한국인처럼 성격 급한건 슬라브족이 맞음. 오히려 라틴계 사람들은 일 앞에서는 느긋한 편임.
@Croatam31
@Croatam31 Ай бұрын
@@user-kk8ju5he7o 금방 욱하고 화내는 걸 말하려다 실수 했음. 그리고 슬라브족 또 딱히 급하지 않음. 유럽은 전반적으로 여유로움. 또 프랑스를 유럽의 중국이라는 말 예전부터 난 그거 누가 지어낸건지도 모르겠고 공감도 안 갔음. 누구보다 자유를 사랑하고 정부에 순종하길 죽어도 싫어하는 사람들인데 누가 감히 그 사람들을 중국인 같다 하는거야?
@wuwuwu1757
@wuwuwu1757 Ай бұрын
이렇게 공감이 안되는 비유도 처음
@Croatam31
@Croatam31 Ай бұрын
@@wuwuwu1757 어떤 점에서?
@wuwuwu1757
@wuwuwu1757 Ай бұрын
@@Croatam31 일단 프랑스인과 이탈리아인부터도 하나로 묶일만큼 비슷하다는 이미지가 전혀 없고 프랑스인이 성질 급하고 더럽지만 정이 많고 사람간에 부딪히는걸 좋아한다? 아예 반대 이미지인데? 얘네는 서양인들 사이에서도 차갑고 콧대높고 사람들한테 잘 정을 안주고 다가가기 힘든 이미지인데 뭔 개소리하는거?
@frexhd
@frexhd Ай бұрын
둘리 ㅋㅋㅋㅋㅋㅋㅋㅋ쌍문동에서 사는 캐릭터 ㅋㅋㅋㅋㅋㅋㅋㅋ
@JUNNY-hw2zw
@JUNNY-hw2zw Ай бұрын
중국의 땅 위에 있는 문화재는 파괴한 뒤 최근에 다시 만든 것들이고, 진짜 문화는 땅 속에 있음. 중국이 고고학이 발달한 이유
@user-cy9wj5oz1d
@user-cy9wj5oz1d Ай бұрын
만리장성 진시황무덤이 단군묘이다 중국은 한민족의 한문과 역사이다 한문은 우리말로 만들어졌다 한민족 지구 최초의 인간 이다 그래서 가나글자 왜인들이 쓰는말 영어는 전부우리말 입니다 어원 모태어 영어 과일 동물이름 무게단위 사람이름까지 조사분석해보라 왜인들 말들이 구슬리다 거꾸로 까치새끼 등등 .전인호말씀.
@user-yy4cp3yz2l
@user-yy4cp3yz2l 7 күн бұрын
원래 가까운 나라끼리 충돌이 심해서 싸우지. 유럽도 그랬음
@user-iz1sl5kt2e
@user-iz1sl5kt2e Ай бұрын
한국? 만만해보이니까 욕심 발동하는 거지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Ай бұрын
원래 이웃 국가들은 서로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Ай бұрын
@Iliiillliiliiliiii 중화와 소중화.
@Someone111ify
@Someone111ify Ай бұрын
@Iliiillliiliiliiii내가 벌 이익보다 상대를 나앉게 하는게 먼저임.
@youone3584
@youone3584 2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중국과 일본이 원하는 건 뭔데? 휴전선 이남은 일본땅, 이북은 중국땅???
@user-jk6zf2ec4g
@user-jk6zf2ec4g Ай бұрын
그냥 그 나라는 어떻다 라는 고정개념 박힌 인식만 가지구 평가 하기에는 어패가 있지 ..사람 사는거 큰 차이 없다~저 사람은 자기가 아는 표면적인 지식만 가지고 전체인양 얘기하는거 보니 웃기네ㅋㅋ
@user-pi9wj6su2x
@user-pi9wj6su2x Ай бұрын
젤 꽉 막힌게 중국인데 누가 누굴보고 폐쇄적이라는건지 ???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한반도는 백두산과 압록강, 두만강 때문에 땅만 붙어있는 섬 일본은 섬 대만도 섬 몽골도 사막화되서 북쪽 수도에 몰려살고있는 내륙국 중국 중국인 인구는 동쪽으로 몰려살고 북쪽으론 추워서&만리장성과 검열로 셀프 차단 서쪽으론 사막에 스탄 5형제국과 아프카니스탄 내륙국 인종과 문화권자체가 다르고, 인도 차이나 반도쪽은 정글로 막혀있고, 네팔과 인도는 히말리아 산으로 막혀있음 중국도 섬이고 요세이자 감옥임 근데 이슬람 중앙아시아한테는 져서 동쪽으로 가고 유럽 서구열강한테는 초토화됨ㅋ 미국처럼 대륙섬인데ㅋㅋ
@user-jk1sx2ke5j
@user-jk1sx2ke5j Ай бұрын
애니메이션은 그냥 한국보다 일본이 더 발전했기 때문에 스즈메 같은것 까지 나오는거지 일본이 망상을 좋아해서가 저런거 만드는게 아님..우리도 웹툰만 봐도 저런 장르 많고 실생활 반영된 것도 일본이 더 좋은 애니 많음
@intelamd3076
@intelamd3076 10 күн бұрын
일본 애니가 발전한 이유 1) 유럽이나 미국등의 영향으로 좋은 만화작가들이 먼저 많이 배출되었음... 2) 50년대 60년대 티브이가 보급되면서 아시아권에서는 가장 빠르게 티브이 애니메이션 장르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킴 3) 몇가지 티브이 만화가 흥행에 성공하자 그 이후부터는 좋은 대본, 좋은 작가, 좋은 프로덕션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남 4) 문화가 비슷한 아시아 등과 세계시장에 판권을 팔아서 흥행에 지속적으로 성공하여 일본 애니의 시장자체가 엄청 커짐. 5) 1980년대 일본의 최고 호황시기와 겹치면서 애니메이션의 품질이 넘사벽으로 발전함...거의 돈을 무한대로 투자해서 영화보다 더 많은 제작비를 쏟아 부음.. 한국 애니가 발전 못한 이유 1) 한국은 공자왈 맹자왈을 오랫동안 최고의 가치로 여겨서, 만화를 건전하지 못한 문화로 폄하함..만화를 보면 공부를 안할 것이라는 꼰대 마인드 대폭발 2) 일본보다 컬러티브이 보급이 늦어져서 티브이나 만화영화등에 큰 투자를 못하고 거의 일본 애니메이션 짜깁기한 저질 애니만 양산해냄... 3) 일본인구수보다 한국 인구수가 적어서 만화책의 흥행에 한계가 있고 만화영화 에서도 시장자체가 좁음... 좋은 작가, 좋은 성우, 좋은 작품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구조 4) 흥행에 성공한 만화영화등이 한정적이다 보니 프로덕션도 적고, 투자자체를 이끌어내기가 부족함. (빈곤의 악순환) 5) 2000년 이후로는 한국영화가 해외에서도 많이 흥행하자 애니시장보다 영화시장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짐..웹툰에 좋은 작품은 많으나 애니메이션으로 투자받기에는 너무 열악함...
@user-mj2qx8lt8u
@user-mj2qx8lt8u 28 күн бұрын
진짜 대박이네 게임만 해도 한중일 특징 다 나오는데 들어맞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fg7ud9uf2d
@user-fg7ud9uf2d Ай бұрын
한국인들 선동 겁나 잘 되는데 자율성 자기?? 글쎄 뭐가 그렇게 하고 싶은진 몰라도 선동 좀 안 당했으면 좋겠네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Ай бұрын
자기말에 귀기울이면 정상, 남의 이야기에 귀기울이면 선동이라 말하는 나라니 자율성 자기는 무진장 높지ㅋㅋㅋㅋㅋㅋㅋㅋ
@kamuiKana
@kamuiKana Ай бұрын
썸낼이 잘 설명했네요
@Yoru6000
@Yoru6000 Ай бұрын
이거도 지금 50대 얘기지 20대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서로 글 싸고 번역하는데 걍 다 똑같은 놈들임 각자 사회 분위기때문에 20대들이 가면 쓰고 연기하는거지 사회 분위기는 한중일 다 40~50대가 주도하고 있음 온라인에서는 내선일체라는 말이 맞을 정도로 성향이 비슷함 ㅋㅋㅋㅋ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Ай бұрын
사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한중일 넘어서 서구도 뭐 비슷하죠.
@user-qg6cs9cn2m
@user-qg6cs9cn2m Ай бұрын
역사좀 공부해봤다면, 역사책을 한페이지라도 봤다면 절대 중국,일본과는 친해질수 없다
@user-me1ll4xc8g
@user-me1ll4xc8g Ай бұрын
유럽도 마찬가지임 소위 유럽3강 독일 영국 프랑스 이나라도 서로가 과거역사가 말해주듯 한중일 관계와 비슷함 2차대전때 독일의 런던대공습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 등등
@user-yr7fk3wp1w
@user-yr7fk3wp1w Ай бұрын
중국을 이해해 보려고 정자세로 앉아서 클릭했습니다. 영상 끝까지 잘 봤습니다. 중국을 이해하는 건 또 다음 기회로 해야겠네요. 쌤 탓이 아닙니다. 저의 뇌 탓입니다.
@user-cs4uo6jx6b
@user-cs4uo6jx6b 29 күн бұрын
인터넷에서 찾아보거나 챗GPT한테 대충 물어봐도 나올 법한 내용들로 채워진 가볍고 시시하고 무료한 영상이엿습니다. 과학을 보다로 입덕 해서 보다 채널에 올라온 영상들을 많이 찾아 보는데 17분이 아깝네요 최악이였습니다 . 보다 채널에선 좀 더 학식이 깊으신 분들의 영상을 기대해 보고싶습니다.
@scj9566
@scj9566 Ай бұрын
중국이 문화가 어딨냐 ㅋㅋㅋ 다 태웠는데
@user-fr4so9xo1x
@user-fr4so9xo1x Ай бұрын
1989년 이전의 중국과 이후의 중국은 완전 딴 나라
@bigboyb3961
@bigboyb3961 Ай бұрын
태워봣자 파내면 또 한무더기 나옴
@scj9566
@scj9566 Ай бұрын
@@bigboyb3961 지들꺼 아니라고 했으니 나오면 대만 문화임 ㅋㅋ
@perising
@perising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둘리 이야기는 잘모르시고 하신 말씀이시네요 한국만화는 심의필이란게 있어서 김수정 작가님이 직접 말했습니다 원래 둘리는 모두 인간 어린이들을 주인공으로 그릴려고 했지만 심의상 어린이들의 불량스러움이 심의를 못뚫어서 의인화로 돌려그린거다라고
@user-np6sg7xx8r
@user-np6sg7xx8r Ай бұрын
😂 심의가 빡셌네요 둘리와 친구들 vs 금쪽이들 어느쪽이 육아난이도가 높으려나?
@gyeseee
@gyeseee Ай бұрын
그렇네요~사람으로 아이들이 그렇게 했다라고 생각하고 보면 요즘 뭔가 촉법소년 스러우면서 마냥 즐겁게만 볼수없었을것 같기도.. 심의 빡세게 디테일한부분까지 염려하고 생각하신부분까지 예전의 감성들 만화영화 늘 그립고 추억은 방울방울 ~~~ 감동의 쓰나미 네요 @user-jz1ri2ep6p 여기 제꺼 밑에 댓글단거 밑에 대댓글쓰면 또 오류있는것처럼 안뜨고 저한테만보이는지 특정댓글에만 그렇게 뭔 설정을했는지 뭐가문제인지모르겠지만 아무튼~~ 참고하세요!!!@user-jz1ri2ep6p님 의견 공감해요~*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Ай бұрын
@@gyeseee 미래를 예상하고 그리신 건지 ㅋㅋㅋㅋㅋㅋㅋ
@hanju71
@hanju71 Ай бұрын
피아노 콩쿠르. 파트부분. 이런거 한국에서도 자주쓰는 문화임 직접 좋게이야기하면 시정하게쓴데 이게 좋다는건지 불편하다는건지 핵갈릴때가 많음
@user-pe3by2pp5i
@user-pe3by2pp5i 26 күн бұрын
*복식의 모양은 바뀌어도 기본적인 구조는 잘 안바뀝니다 중국 대륙 문화권은 전통적으로 < 상의 위에 하의 > 우리나라는 < 하의 위 상의> 이런 구조가 각각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다 원나라때 기존문화권에서 보이던 구조와 다른 구조가 등장합니다 바로 한국 문화권 구조의 옷이죠 하의 위에 상의를 입습니다
@user-gs5uq9ts1n
@user-gs5uq9ts1n 24 күн бұрын
지역축제 가시면 중국이 따로있는게 아닙니다. 자꾸 현실들을 부정하는데 한국인의 민낯은 지역축제에 가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jmhan4219
@jmhan4219 Ай бұрын
교수님 한복은 고려의 전통복식 양식이 몽골제국 구성국의 시기에 몽골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명나라 초기에 적용되어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유행이 되었던것입니다. 즉 몽골-명 교체기에도 우리의 복식이 세계제국의 유통을 통해서 유행한겁니다. 보다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해서 꼭 정확하게 발언해주십시오.
@user-lp1jx2gf5p
@user-lp1jx2gf5p 29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나라가 망하기도 많이하고 점령도 많이 당해서 실기 괭장히 힘들었을거란 생각도 듭니다. 지금같은 땅덩어리를 가진지도 얼마 않됐고요
@user-tp7cm3lm6v
@user-tp7cm3lm6v Ай бұрын
중국과 일본은 사실상 북한 다음가는 대한민국 주적임
@user-wr4vb1xf1b
@user-wr4vb1xf1b Ай бұрын
주적은 북한 하나이고 그다음 적이 중국이지 으디 은근슬쩍 일본을 껴넣냐
@user-tp7cm3lm6v
@user-tp7cm3lm6v Ай бұрын
@@user-wr4vb1xf1b 대한민국 영토 독도를 일본 땅 다케시마라고 개소리 하는데 일본이 주적이 아니라고 혹시 일본간첩이냐
@trigemxx
@trigemxx Ай бұрын
..음...ㅋㅋ 무식... 북한은 전쟁수행 능력이 없음.. 전쟁은 곧 (돈.보급)... 한국의 주적은 중궈 니뽄 맞음... 북한이 주적이라기엔 싸이즈가..ㅋㅋ 마동석 과 동네 초등생 느낌.. 경제력 ㅋㅋㅋ😅
@user-sj6ng4mt7b
@user-sj6ng4mt7b Ай бұрын
그렇게 굳이나눌 필요가 있을까 전쟁은 누가 우리를 공격하지못하도록 항시 준비해야되고 인근국가의 동향은 항시 감시해야되지만 굳이 너희는 적이야리고 할필요가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거론하신 3개국가중 우리가 쉽게 이길나라는 하나도 없습니다
@user-zs5wp2yu6h
@user-zs5wp2yu6h Ай бұрын
주적은 북한정권 하나이고 나머지가 경쟁 및 협력관계지 에효..
@user-eq1pm5bb7c
@user-eq1pm5bb7c Ай бұрын
한국은 문제 없는가? 한국ㅡ일본, 한국ㅡ중국의 사이보다 일본ㅡ중국의 사이가 덜 나쁜것 같은데... ㅡ생리적으로 친하지않더라도 사이가 나빠지는 것은 경계해야 하는데... 한국사람은 싫으면 싫은티를 너무 드러내는게 문제임.
@bgkhan4475
@bgkhan4475 Ай бұрын
두 나라 전부 역사적 문화적,열등감 장난 아님... 대륙동부지역의 동이문화재 전부 깨부순 중국과 고대사를 파면 팔수록 백제계, 부여계의 역사의 후손임을 인정해야 하는 일본은 한국 죽이는 데는 협력할 것이 분명함.....일본은 그나마 반도계에 대한 동족의식의 발현으로 협력적 관계라도 모색할 가능성의 여지가 있지만 중국은 삼한(대륙)의 역사를 본인들이 계승하지 못한데 따른 열등감과 역사왜곡으로 한반도인들을 유사국 취급하고 흡수하려 할것임. 무조건임.무조건.
@user-qn5lm5ix9i
@user-qn5lm5ix9i Ай бұрын
조선시대전만봐도 울나라사람들 굉장히 보수적이었는데 전쟁 두번으로 리셋도 두번겪고나서 그런듯
@peterchoi1907
@peterchoi1907 Ай бұрын
국사를 공부하면 일중과는 절대로 친해질 수 없다
@saekkijul
@saekkijul Ай бұрын
과거의 이야기 같다. 요즘 20대는 한, 중, 일 다 자기가 최고이며 전부 지꺼고 자기의사 분명하고 자기pr 개쩌는데
@user-ox1ot1ek7f
@user-ox1ot1ek7f Күн бұрын
중국, 일본은 객관적으로 얘기하면서 한국은 국뽕 넣어서 미화하는거 너무 싫다.
@user-dddd618
@user-dddd618 Ай бұрын
중국은 거대함에 여유가 있고 자원없는 섬나라는 위기감에 불안해서 가만히 꿍꿍이를 짜고 남한테 많이 당한 쪼개진 한반도는 상처와 불안에 블신과 자격지심이 강하게 보이려 너무 애쓰고 있죠.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Ай бұрын
풋,😂😂😂😂😂😂😂😂😂 삼류 소련국이 여유가 있어서 인민들이 죄다 미국으로 탈출러쉬를 하고 남의 바다를 침탈하고 땡강을 부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l8or3pf9t
@user-yl8or3pf9t Ай бұрын
@@user-ol9gk8bt7e 그래도 걔들은 여유를 되찾으려고 노력은 하고 있잖아 근데 한국은 하는게 뭐야? 남의 나라한테 빼앗기는게 일이야
@user-yl8or3pf9t
@user-yl8or3pf9t Ай бұрын
뭐 중국이 여유가 있다는거는 동의 못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유를 되찾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거임. 한국은 남들한테 강제로 쪼개진 상처와 불안에 불신과 자격지심으로 강하게 하려고 노력은 하고 있지만 아무 것도 하지 못함. 그냥 약하고 만만한 자국민을 친일파로 몰아붙여 몰매질 하는 것일 뿐임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Ай бұрын
​@@user-yl8or3pf9t 이름에도 드러나듯 질문이 날카롭네요 마음에 듭니다 근데 웨스트 타이완의 노력이란게 남의 나라 위협하고 문화와 역사를 도둑질하며 왜곡하는걸 노력이라 할수 있는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면 할 말은 없다만 그리고 대한민국이 아무것도 안한다는 말은............. 열 받지만 틀린 소리도 아니긴 하죠 같은 민족끼리도 방법을 못 찾고 서로 권력만 다투며 자국내 매국노를 처벌은 커녕 그 대통령과 수괴들이 친일 매국노를 자처하니 한심하기 하죠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Ай бұрын
​@@user-yl8or3pf9t 자격지심이라............ 반은 맞고 반은 틀리죠 분명 아무것도 안하는 주제에 다른 존재가 우리를 알아보길 기대하는 한심함이 있지만 그렇다고 타국의 도발과 왜곡과 부당함에 맞서는걸 자격지심이라 말할수는 없죠 이건 한국만이 아니라 주권이 있는 나라라면 다 그렇죠
@Jeongtabong
@Jeongtabong 24 күн бұрын
썸네일 무엇?ㅋㅋㅋㅋㅋ 분명히 심각한 주제인건 맞는데.....썸네일 보고 " 뭐지?ㅋㅋㅋㅋ?? " 이생각으로 들어왔는데 이렇게 진지할지몰랐어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쉽게 이해가 아주 쏙쏙 들어와서 아주아주 유익하고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썸네일보고 유머로써 재미있었고 영상을보면서 유익한 정보를 쉽게 알수있는 좋은영상...이렇게 2마리의 토끼를 손쉽게 잡은느낌 ㅋ
@doom9344
@doom9344 23 күн бұрын
중국 오지랖 enfp, 한국 앂프피 infp, 일본 isfj
@qwertysix
@qwertysix Ай бұрын
한국도 중국 일본 못잡아먹어 안달인디 ㅋㅋ
@user-ol9gk8bt7e
@user-ol9gk8bt7e Ай бұрын
셋다 기회만 된다면 서로 없애버리고 싶어하긴 하죠
@glimelite
@glimelite Ай бұрын
한국 사람들은 성향이 가장 빨리 변하는 게 특징인 듯 해요 사실 한국에서도 손님한테 상다리 부러지게 차려내오는 문화가 있었고, 손님도 적당히 먹고 남기는 문화가 있었어요. 허례허식 음식물 낭비라고 말이 많았죠 그게 몇십년 사이에 개선이 되어서, 손님한테 적당히 내오고 손님도 싹싹 잘 먹어주는 문화가 정착 된 겁니다 독재정권이 해외여행 막다가 해외여행 자유화라고 풀어준게 불과 30년 정도인데요. 초창기는 한국 사람들 해외에서 욕 진짜 많이 먹었죠. 질서 의식 희박하다구요. 하지만 지금은 많이 좋아졌구요 우리라는 집단으로 억누르는 성향도 강했는데, 몇십년 사이에 서유럽권을 닮아가면서 자기 내세우기가 강해집니다 이렇게 보면 몇십년 사이에 한국사람들의 성향이 진짜 많이 변했다는 걸 알 수 있죠
@user-yf7cd4cd5g
@user-yf7cd4cd5g Ай бұрын
뭐니뭐니해도 근본원인은 원교근공(遠交近攻) 가까운 나라하고는 싸우고 먼 나라하고는 싸운다 하는 외교근본원칙 때문에...
@user-yr6cm8tt9m
@user-yr6cm8tt9m Ай бұрын
짧은 시간에 한국 일본 중국의 내면의 이야기를 조리있게 잘 설명 해주신거 같습니다 좋아요 버튼
@user-gy3kd4mo1p
@user-gy3kd4mo1p Ай бұрын
교토화법은 충청도식 표현이네욬ㅋㅋㅋㅋ
@user-iw8xp2tq9n
@user-iw8xp2tq9n 23 күн бұрын
와... 배려라는 중국어가 없다니 대박이네요.. 나도 첨 알았네요
@bujalsw
@bujalsw Ай бұрын
참 비전문적이다
@FreddyKim00
@FreddyKim00 Ай бұрын
꽉 막힌 방구석 수준의 오만과 편견 잘들었습니다.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8년을 살았습니다. 제가보기에 중국인과 일본인은 비슷한 면이 많습니다. 대륙과 섬이라는 지역적 한계 때문인듯 합니다.말씀대로 중국도 중앙정부로 부터 멀리 떨어져 고립화된 곳이 많고 일본도 섬의 한계상 그렇습니다. 한국인만이 개방적인 면이 있죠. 요즘 중국이 제2의 문화대혁명의 길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본은 갈라파고스화 된지 오래구요. 한국은 이런 중일의 모습에서 벗어나 좀더 개방의 길로 가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특히 저질러놓고 사과 안하는거
@niendeiv9898
@niendeiv9898 Ай бұрын
​@@user-fv7xu7uz4o라이따이한이나 사과하십쇼
@ss-ls7qy
@ss-ls7qy Ай бұрын
이 세 나라는 중국인이 가장 개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인은 일본인과 전혀 닮지 않았다. 중국인은 미국인을 닮았다. 갈라파고스화에 대해서는 한국도 마찬가지다. 한국인들은 한국이 갈라파고스화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기하다. 참고로 갈라파고스화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닙니다.
@user-on7ho8yb2z
@user-on7ho8yb2z Ай бұрын
지송요 말씀이 넘 빠르시네요. 잘듵고 있긴한데요.
@shro4091
@shro4091 Ай бұрын
한중일의 역사에 정통하지 않고 의식과 문화와 특성에 대해 논하면 산으로 올라가는 발언이 되고 맥락이 틀린 엉뚱한 해석이 되는 경우를 많이 보아왔다. 이 영상도 아주 전문가적 수준의 내용은 보이지 않아 아쉽다.
@kcjung7363
@kcjung7363 Ай бұрын
역사 오래된 국가들중 인접한 이웃국가랑 사이좋은 국가관계가 굉장히 드물긴함
@risanji9898
@risanji9898 Ай бұрын
세나라 사람 인종도 같고 윤리가치관 취향 너무 많은 공통점이 있어.서로 상대방 장단점들 너무 잘알고있으니가 무시한거야.서로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많이 판단하게도 되고.
@chuncheoncity-mayor
@chuncheoncity-mayor Ай бұрын
4:21 치즈는 유럽 옥수수는 아메리카
@hyukim
@hyukim Ай бұрын
적의적은적이다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서구인들 중동과 한중일 알면 영원한 적도 있다
@user-fv7xu7uz4o
@user-fv7xu7uz4o Ай бұрын
서아시아 동아시아 보면 극과 극이란게 영원하다는걸 알게될것이다
@user-yl8or3pf9t
@user-yl8or3pf9t Ай бұрын
원나라 시절부터 한복이 유행해서 고려양이라 부른게 아니라 원래 고려가 대륙에 있어서 당연히 고려시대 복장이 그대로 명나라 초 까지 이어진 것임. 즉 남자는 몽골식이고 여자는 고려식인 명나라 초기의 모습은 고려말과 유사하며 이는 고려가 대륙에 존재했다는 또 다른 근거로 볼 수 있음
@huiwonkim8391
@huiwonkim8391 Ай бұрын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가 저런 상황에 쓰이는 말이었나? 뜬금없는데
@user-mh9ls7iq7k
@user-mh9ls7iq7k Ай бұрын
중국옷을중국은 한푸라고 합니다. 한자로 한푸는 우리발음으로는 한복입니다. 한나라 한, 옷 복~
@EGO-pz2kd
@EGO-pz2kd Ай бұрын
한족 전통 복장이자 한나라 시절 복식을 의미하는 말이 한푸입니다. 한복과 유사하거나 조금 변형된거 같은 지금의 한푸는 고려(조선) 복식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랍니다. 실제 전통 복식의 한푸는 원피스 처럼 긴치마의 일체형이 였기에 한푸 중에 한복과 거리가 있는것이 찐이랍니다. (농경민족인 한족은 일체형, 유목민족 또는 그 영향권에 있던 주변국들은 고조선 포함 상의, 하의가 나누어져 있었음, 약탈 전쟁을 위한 복장) 한복은 한국인의 전통 복장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 전에는 조선 의복이라 했으며 더 위로 올라가면 고려 복식!!!
@ThePoemath
@ThePoemath Ай бұрын
절대란 건 없다. 영원한 건 없다. 이런 기본적인 철학, 원칙도 모르다니..
@sinkma21
@sinkma21 Ай бұрын
과거에 한국이 중국영향을 많이 받은것은 사실이지만, 요즘 유행하는 한복은 한국에서 발전시킨것으로 한국컷이 맞다. 마치 돈까스가 일본음식인것처럼 한복도 한국옷인것이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유럽미국러시아도 만만찮은 것 같은데. 한중일 vs 구미러 어디가 더 사이 나쁨?
@user-xh1ts9lb3v
@user-xh1ts9lb3v Ай бұрын
그냥 지하철 노숙자 아재가 나와서 말해도 이것보단 더 경지가 높을듯.
@sgpark5579
@sgpark5579 Ай бұрын
먼소리임 중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침략 많이하고 ~ 일본도 마찬가지 일 + 중 은 한반도 침략야욕이 있으니 한반도 비하하고 한반도는 그들의 침략 야욕을 당연희 욕하는거고 간단한거임
@gamelgar1679
@gamelgar1679 Ай бұрын
한중일이 섞일 수 없어봤자 중동만 할까? 종교갈등이 이념,지역.성별 갈등보다 더 심하다
@75jeong
@75jeong Ай бұрын
난 이 분이 전문가라기 보다는 1-3년정도 각각 나라 경험해보고 말하는 느낌이라 그점 이해하고 보면 좋을듯 합니다.
@nerv1212
@nerv1212 Ай бұрын
혼네와 타테마에는 교토 사람들 특징이고 오사카 사람들은 한국사람처럼 직관적으로 말합니다.
@dotori708
@dotori708 Ай бұрын
일본 자체만 두고 보면 혼네, 타테마에 문화가 맞는 것 같아요. 오사카 사람들 너무 직설적이고 뻔뻔하다고 안 좋아하는 일본인도 있을 정도니 오사카가 좀 예외적인 것 같고, 말씀대로 쿄토쪽은 너무 타테마에라 쿄토인=무섭다는 이미지도 있어요.
@nerv1212
@nerv1212 Ай бұрын
@@dotori708 그러게요…. 오사카랑 교토는 서로 싫어하더러구요. 그래도 얘기해보면 요즘 10-20대 교토 애들은 4-50대처럼 많이 돌리진 않더랍니다. ㅋㅋ
@user-hs4df7ng1h
@user-hs4df7ng1h Ай бұрын
뒤통수와 간사함은 한국인의 특징이죠
@Sitimlaben
@Sitimlaben 19 күн бұрын
직관이 아니라 직설
@user-tp9bs6gu8l
@user-tp9bs6gu8l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음식 차려줬는데 남기면 매너없는 사람인데
@jjc1722
@jjc1722 Ай бұрын
예전 반세기전쯤? 양반 문화 잔재했을 시절만 해도 주는 대로 다먹는게 비매너여서 음식을 조금씩 남겼음 다 먹으면 모자라게 줬다는 인식에 더주는 것도 있었고, 바닥까지 긁어먹으면 상놈이란 인식도 있어서 지금과는 달랐으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Ай бұрын
@@jjc1722 6.25 이후에 식량 부족으로 음식을 남길 것조차 없던 시절이 있어서 바뀌었을 겁니다. 그런데 비교적 유복하게 자랐거나 집안 살림이 조금 괜찮았던 집안은 그런 유풍을 남길 수 있어서 상충되는 풍습이 공존했죠. 그런데 식량 부족 상황에서 그런 관습이 잔존했던 걸 보면 과거의 유습에 찌들어서 허세 부리느라 그랬던 것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원래 밥 남기는 게 하인들 먹으라고 상물림하려고 했던 건데 식량난 상황에서 그런 건 문제가 있죠.
@user-by4hq5nb2w
@user-by4hq5nb2w Ай бұрын
중국 얘기하실 때마다 픽 픽 웃으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trigemxx
@trigemxx Ай бұрын
썸네일 보고 들어와서 글 적습니다..ㅋㅋ 한 일 중.... 서로 아주 적당하게 지내던데 ? 머 문제 잇나요?... 이 지구상에 근접국 끼리 친한 나라 잇나요? ㅋㅋ 축구경기 보면 미국 멕시코 죽일듯이 경기하던데 ㅋㅋ
@user-ki5yd3jx3p
@user-ki5yd3jx3p Ай бұрын
에휴... 그래서 외국 나가면 조심해야할게 한국사람이라고 하는구나...
@kiwi-lg1vq
@kiwi-lg1vq Ай бұрын
그냥 대육과 섬사이의 반도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입니다 문화니 국민성이니 이런걸로 설명하다보니 가져다 붙인거죠
@riichi1002
@riichi1002 Ай бұрын
교토식화법 개웃김 ㅋㅋㅋ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20 МЛН
초고대 지구가 리셋했다는 증거(핵전쟁의 흔적..?)
18:59
한 나라를 몰락 시켜버린 마약의 역사
27:44
보다 BODA
Рет қаралды 502 М.
일본사람들이 세단을 타지 않는 이유
17:33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56 М.
ТОҚАЛМЕН АЛЫСҚАН ЖЕТІМ ҚЫЗ/ KOREMIZ
46:54
Көреміз / «KÖREMIZ»
Рет қаралды 370 М.
Tom & Jerry !! 😂😂
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天使与小丑心灵感应#short #angel #clown
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9999 iq guy 😱 @fash
0:11
Tie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