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 수학님 ray수학님 처럼 저렇게 저도 학교에서 발표때 저런 영상을 만들어서 과제물로 보여주고싶은데 저런 영상은 어떻게 만드나요 ?
@주주-i3x2 жыл бұрын
1:33 1:50 3:08 3:55 5:00
@nunjaragi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그런데 시험용 말고 예전처럼 재밌는(?) 수학 내용 올릴 계획 있으신가요?
@Ray수학2 жыл бұрын
요새 하는일이 있어서 수능 이후에 올릴 것 같습니다.
@강민철사상팬2 жыл бұрын
2년전에 로또 관련 영상 올리셨는데 로또 딩첨되셨나요?
@림서-j2i8 ай бұрын
깔끔쓰
@할거없서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습니다
@PiVillain Жыл бұрын
레이수학 당신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aaaaaaaaaaaaaaaag Жыл бұрын
당신같이 아름다운 사람은 없을겁니다
@율무-f9v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영상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분수로 나누면 곱셈이 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막상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윤설준-e1x2 жыл бұрын
4/7m의 철 막대의 무게가 4kg이라고 해봅시다. 철 막대 1m의 무게는 얼마일까요? 4를 4/7로 나누면 답이 나오게 됩니다. 4/7은 1/7이 4개이므로 전체 무게 4를 4로 나누면 1/7m의 철 막대 무게는 1kg입니다. 이 막대가 7개 있어야 1m의 무게가 되므로 1m의 무게는 7kg입니다. 즉, 역수의 곱과 같은걸 알 수 있습니다.
@대지원-o3n2 жыл бұрын
4÷4/7=x라고 둘때 양변에 4/7을 곱하면 4=4/7x가 되므로 x=7이 나오는 것과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seongminlee17302 жыл бұрын
증명 개요도 짧게 같이 소개해주면 좋을텐데
@Lengnvkvkdksk-w3m Жыл бұрын
레이님 제가 갑자기 궁금한 게 생겼는데, 두 직선이 수직이 되려면 두 기울기의 곱이 -1이 되어야 하잖아요? 근데 예를 들어 x=1과 y=1은 서로 수직인데, x=1의 기울기는 무한이고 y=1의 기울기는 0인데 0x무한이 -1은 아니잖아요. 이게 성립하지 않는 이유가 x=1이 직선의 방정식이 아니라서 그런건가요? 아직 어리고 잘 모르겠어서 질문해봅니다
@Ray수학 Жыл бұрын
x=1은 기울기가 정의 되어있지 않아 "직교하는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다."라는 성질을 사용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두 직선의 기울기를 극한의 개념을 이용해 접근한다면(두 직선을 모두 같은 방향에서 접근시킨다면 ) 기울기의 곱의 극한값은 '-1'이다라는 것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Lengnvkvkdksk-w3m Жыл бұрын
@@Ray수학 고맙습니다!!!
@YouTube_Is_The_Brainless_Oaf2 жыл бұрын
거의 다 기억하고 있긴하군...
@__person__36892 жыл бұрын
써먹는게 어려움...
@라떼는말이야-c1s Жыл бұрын
그냥 갑자기 궁금해진건데 우주처럼 거대한 공간 안에 모든 경우의 수가 있을까요 레이님이 밥먹고 있을 경우 은하 모양이 레이님 첫사랑 처럼 생긴다던지 등 사실 있을수도 있는데 관측 못힌걸수도 있잖아요
@전윤호-d1w Жыл бұрын
중2 중간고사 전에 꼭 봐야겠다
@jaemin28285 ай бұрын
요즘 모고나 수능 삼각 활용 문제보면 중학교 기하가 중요해진듯
@이훈민-u3p2 жыл бұрын
레이님 덕분에 재수하면서 수학에 대한 원론적인 이론들을 공부하고 이해하며 순수학문으로서의 수학에 흥미를 더 많이 끌어올렸고, 결국 경희대 수학과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항상 흥미롭고 이해가 쉽도록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하고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로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책 쓰신다는 댓글을 봤는데 나중에 출간하시게 되면 유튜브를 통해서도 알려주셨으면 하네요 :) 항상 건강하시고 힘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신원-d2j9 ай бұрын
채널주 보고있냐? 니가 사람 하나 보냈다
@홍하원-f8m2 жыл бұрын
자기 전 최고의 선택
@Dephynia2 жыл бұрын
개꿀팁... 다음 모고에서도 1등급 맞을 수 있길!
@HakyeonE2 жыл бұрын
이번에 1등급 못 맞았잖슴ㅋㅋㅋ
@Dephynia2 жыл бұрын
@@HakyeonE 1등급 맞습니다 ㅋ....
@HakyeonE2 жыл бұрын
@@Dephynia ㅇㅋ
@yaloshrackle11012 жыл бұрын
@@HakyeonE 왜 일단 시비부터 터는건데ㅋㅋㅋ
@HakyeonE2 жыл бұрын
@@yaloshrackle1101 ㅋㅋㅋㅋㅋㅋㅋㅋ쏴리
@user-bd5vj9ot9u2 жыл бұрын
적분 가능한 함수의 미분가능성에ㅡ대해서 영상 가능하신가요
@할거없서2 жыл бұрын
언제 돌아오시나요?
@pluto46142 жыл бұрын
삼각형 무게중심 지나는 직선이 삼각형을 이등분하지는 않죠?
@june._.02 жыл бұрын
넓이 이등분해요
@pluto46142 жыл бұрын
@@june._.0 지금 찾아보니까 넓이 이등분 하지 않더라고요
@KINSOO2 жыл бұрын
넓이 이등분이 맞지않나요? 무게중심은 세중선의 교점이고 중선이랑건 꼭짓점과 대변의 중점을 이은건데, 그럼 자연스럽게 나눠진 두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같아집니다
@pluto46142 жыл бұрын
@@KINSOO 그 여섯 조각으로 나뉘는 걸 말한게 아니라 저는 무게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을 말한 거라서요..
@KINSOO2 жыл бұрын
@@pluto4614 아하 무게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제맘대로 중선이라고 이해를 한거네요.. 무게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라면 삼각형이 두개가 안나오는경우도 많고 넓이를 이등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겠죠
근데 궁금한게 대학교 수학과 전공에서의 수학이랑 수능 수학이랑 연관된게 있나요? 수능 수학 문제 잘 풀면 대학교 전공 수학 잘하는 건가요?
@김보겸-r5e2 жыл бұрын
아 이거 왜 이제봤냐 학원 시험 보기 전에 봤으면 좋았을 것을 ㅠ
@Aether_32 жыл бұрын
중학도형에서 비가 나오면 시소정리만큼 개꿀공식이 없음
@랄랄랄랄-v8d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예비고1이고, 물리학과 진학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전부터 수학에 흥미가 있어 수2까지 독학으로 공부해오다 '수학'에 대해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질문관련된 영상들 시청 후 질문드립니다) 1.'수'의 정의,정리,법칙은 무엇인가요? 2.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의 정의와 그 정의를 통한 사칙연산의 계산순서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요? 또한, '수'체계(자연수,유리수,무리수 등)에 따라 연산들이 다르게 정의되나요? 아니면 모든 수체계에서 똑같이 정의되나요? 3.극한의 엄밀한 정의(델타-엡실론)에서 자꾸 '극한'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값이 극한값이 됨을 보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 건가요? 4.무한소와 무한대의 정의와 성질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무한소를 저는 어떻게 나온(?) 혹은 만들어진(?) 무한소인가에 상관 없이 '상태'는 0으로 향하고 있는것으로 같으나 어떤식으로 0에 향하는지는 다르다고 이해했습니다. 이게 맞나요? 5.수학은 최종적으로 무엇을 위한 학문인가요? (물리학의 경우, 물리학은 세상의 모든것에 작용하는 법칙을 찾아내는 것인데 수학은 물리와 비슷한 듯 하면서도 수를 다룬다루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논리를 펼치는것 같아 보여요) 6.제가 수학을 공부할 때 이런것에 의문을 가지며 알아내고 싶어하는 마음으로 공부를 하는게 괜찮을까요? 예를 들어, 극한의 성질을 배울 때 그 성질들을 그냥 받아들인다 혹은 그 성질들이 왜 성립하는지 알고싶다 둘 중에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해야하나요?
@nn-fr2kv Жыл бұрын
1. 무슨 수인지에 따라서 정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수 같은 경우는 완비성공리, 순서공리, 체공리를 만족하는 집합을 실수라고 불러줍니다. 정리나 법칙에 관련해서는 일단 너무 많기 때문에 몇가지를 특정해서 꼽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2.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정의는 페아노 공리계에 관해 찾아보면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수체계에서 연산에 관한 부분에서는 거의 똑같이 정의 됩니다 다만 어떤 수 체계인지에 따라 일정 연산에 대한 성질이 바뀔 수는 있습니다. 3. 엡실론 델타 논법으로 극한을 정의하고 이러한 극한의 정의에 의거해서 어떤 값이 극한값이 됨을 보이는 것입니다. 4. 먼저 무한소와 무한대에 대한 부분은 다루는 데에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극한과 무한소 개념은 양립할 수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극한을 사용하는 현대의 대부분의 수학에서 무한소는 존재할 수 없다고 이해하면 편합니다. 다만 비표준해석학이라는 분야에서는 새로운 수 체계 위에 극한을 버리고 무한소를 엄밀하게 정의해서 극한대신 사용합니다(여기서 사용하는 무한소의 정의에 대해 궁금한 경우 표준부분원리에 관해서 검색하면 나올겁니다) 5. 수학의 목적의 경우 그냥 호기심이라는 한 단어로 볼 수 있습니다. 그냥 궁금해서 하는 학문이 수학이라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궁금증을 엄밀한 논리체계로 점점 확장해 나가면서 해결하려고 하는 게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학은 기본적으로 현실세계( 자연현상이나 현실에 대응하는 것들)를 기반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수학에서는 현실을 중요하게 다루지도, 그에 관련해서 수학 분야가 발전하지도 않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학과 여타 과학 학문이 분리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6. 이런 것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알아내는 것은 수학이라는 학문에 대해서는 굉장히 좋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시험과 관련해서 수학을 다룰 때에는 자신이 잘 판단을 해서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김태우-w7k5l2 жыл бұрын
링크에 PDF파일이 없는데 저만 그런건가요??
@Ray수학2 жыл бұрын
이번 내용은 pdf를 제작하지 않았습니다.
@muindo7222 жыл бұрын
언제와요
@nore79132 жыл бұрын
내가 수능 보기 전에 이 영상이 나왔어야 했는데.
@만세-v9v Жыл бұрын
언제 돌아와용 ㅠㅠ
@user-ud7ej6tk8n2 жыл бұрын
중선정리 넣어주지 ㄲㅂ
@DayofmoonLuv2 жыл бұрын
4:29
@Mollu7372 жыл бұрын
wow
@91choi332 жыл бұрын
원의 접선과 접점에 내린 반지름이 왜90도가 되는지 증명해주세요
@김래양-h1k2 жыл бұрын
귀류법으로 증명 한다면 접선의 점과 중심에서 그은선분이 이루는각이 90°가 아니라면 선분위에 한점을 잡아 90°아닌 밑각이 같은 이등변 삼각형 하나를 만들수있는데 그랬을때 의 선분위의 두점이 원에서 같은거리에 있으므로 접선의 정의에 틀리므로 90°가 맞게됩니다.
@Jinihyun2 жыл бұрын
역시 컴퓨터 그래픽이 짱이네 ㅋㅋ
@VERGINIUS-r6eАй бұрын
외심 내심 미치겠네 오늘 기말인데
@1ejgkrl1dms22 жыл бұрын
언제와ㅠ 와줘
@Sksnsksbw2 жыл бұрын
님 전주양지중학교 최X원 쌤 친구에요?
@Ray수학2 жыл бұрын
91?ㅋㅋ
@chu57212 жыл бұрын
X^X=2 이 방정식 풀어주세요
@mickoonho80232 жыл бұрын
어케푸노
@chu57212 жыл бұрын
@쀵쀰과귀요미 감사합니당
@nn-fr2kv2 жыл бұрын
x^x=2 ,xlnx=ln2 x=e^lnx 이므로 lnx e^lnx = ln2 람베르트 오메가 함수를 이용하면 lnx=W(ln2) x=e^W(l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