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도시에서의 삶은 어땠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30,549

함께하는 세계사

함께하는 세계사

3 жыл бұрын

#역사 #세계사 #중세
참고자료
Fossier, Robert: Paysans d'Occident (XIe-XIVe siècles), Paris 1984
Fossier, Robert: Ces gens du Moyen Âge, Paris 2007
Le Goff, Jacques: L’Europe est-elle née au Moyen Âge?, Paris 2003

Пікірлер: 126
@user-bi2zy1xb7v
@user-bi2zy1xb7v 3 жыл бұрын
한 인물에 관한 이야기도 좋지만 이런 한 생활,문화를 알려주시는게 너무 좋군요 좀더 책이나 정보를 얻기 힘든데 이렇게 영상으로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니 고마워요
@user-bi2zy1xb7v
@user-bi2zy1xb7v 3 жыл бұрын
@@ljh6463 ^오^ 좋은 정보 고마워요~ 정신병원 늦지않고 가보세요 ㅎㅎ
@Dawn._
@Dawn._ 3 жыл бұрын
@@ljh6463 그동안 단 댓글만 봐도 인성 수준이 보인다 역겨운 인간일세
@leelee7523
@leelee7523 3 жыл бұрын
@@ljh6463 대체 왜 그렇게 말하냐 사는게 힘드냐
@jaelee6784
@jaelee6784 3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가 최곱니다! 왕 중심이 아닌 민중사가 제일 재미있는 것 같아요.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3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
@user-gy1pn5kx9s
@user-gy1pn5kx9s 3 жыл бұрын
중세도시편 아주 재미 있었어요! 다음편도 기대합니다.
@user-vq5cg8pg3s
@user-vq5cg8pg3s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재밌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w3qr2ze7r
@user-cw3qr2ze7r 3 жыл бұрын
수업시간 떄 이해가 되지 않았던 중세 생활상을 좀 더 이해하게 되었어요!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jsm7689
@jsm7689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enturionkwk
@centurionkwk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새로운 지식을 얻어가네요. 감사합니다.
@user-hi6jq8mq8k
@user-hi6jq8mq8k 3 жыл бұрын
8:53 뭐지 실천의 하느님인가? 살짝 감동이네요.
@anonymity7336
@anonymity7336 3 жыл бұрын
예수가 간음을 저지른 여자에게 돌팔매질을 해 죽이려는 사람들 앞을 가로막고 “너희들 중 죄가 없는 사람만 이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라고 말한 일화가 성경에 실려있으니까요... 게다가 교회의 가장 큰 목적은 죄인들을 회개시키는 것이니 교리상으로도 당연한 일...
@user-mz4qs1nb7g
@user-mz4qs1nb7g 3 жыл бұрын
2021년 현재 보다 훨씬 합리적이네
@user-jh9yr3bw4h
@user-jh9yr3bw4h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rnc3249
@rnc3249 3 жыл бұрын
오 중세삶 시리즈 기다렸어요! ㅎㅎ 나무위키에서도 쉽게 찾을 수 없는 정보라 유튜브에서도 보기 힘들어서 그런지, 전공자가 그려주신 중세삶 시리즈가 조회수도 잘 나오는듯!
@BKG6755
@BKG6755 3 жыл бұрын
도시에서 어느 계급이나 같은 길을 공유했다는 마지막 문장이 인상 깊네요. 현재는 서로 얼굴 볼일도 없을 수도 있고 볼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죠
@user-nq8xx8zx8o
@user-nq8xx8zx8o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같은 길은 걷습니다.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жыл бұрын
@@user-nq8xx8zx8o 멋있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같은길을 걷죠
@anthonykim2828
@anthonykim2828 3 жыл бұрын
ㅋㅋ 3분전은 못 참죠 바로 시청으로 혼내줍니다
@seunghunyang4584
@seunghunyang4584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어요!!
@user-1ux72hs8wj2hs
@user-1ux72hs8wj2hs 3 жыл бұрын
'도시적이다', '촌스럽다'의 표현만 봐도, 도시와 시골을 보는 시각이 어떤지 알 수 있죠.
@PlXNIN
@PlXNIN 3 жыл бұрын
굉장히 감동적으로 봤습니다. 도시란 계층에 관계없이 같은 도로를 공유하는 하나의 우주라는 표현이 매우 인상적이네요
@ian1323
@ian1323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영상입니다.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2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bi2dh1ch6u
@user-bi2dh1ch6u 3 жыл бұрын
오오!!! 또 중세사람들의 삶!!!! 이 주제 되게 재밌더라구요...
@therock79983
@therock79983 3 жыл бұрын
즐감합니다 오늘도
@MrShippark
@MrShippark 3 жыл бұрын
암흑시대로 치부되는 중세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중세를 보는 것 같습니다.
@pavepig
@pavepig 3 жыл бұрын
가끔씩 중세인이 현대인보다 더 개방적이라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1278sk
@1278sk 3 жыл бұрын
현대인이 중세인보다 무례할수도 있다, 현대엔 무례하게굴어도 도끼에찍혀 죽을일이 없다라는 비슷한 말이 생각나네요ㅋㅋ
@user-dl7zc9gu9r
@user-dl7zc9gu9r 3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기사들에 대한 이야기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pv6pu9sr3y
@user-pv6pu9sr3y 3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너무 좋아요 👍🏻
@jere121213
@jere121213 3 жыл бұрын
와,,,진짜 흥미로운 주제당
@user-ot3fu6ix1u
@user-ot3fu6ix1u 3 жыл бұрын
좋은 지식 배우고 갑니다
@user-gp5zt9xn1s
@user-gp5zt9xn1s 3 жыл бұрын
6분 전은 못 참아!!
@user-mf2ho6hh7s
@user-mf2ho6hh7s 3 жыл бұрын
'도시에 사는 이들은 좋든 싫든 세상을 향해 열려 있어야 했다'
@arch9475
@arch9475 3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ZB-xt2lp
@ZB-xt2lp 3 жыл бұрын
구독했읍니다,,,재밌네요
@Marget56
@Marget56 3 жыл бұрын
중세라는게 우리가 생각한것만츰 무지하지도 어둡지도 않다는게 놀라워요
@kjy242
@kjy242 3 жыл бұрын
구독하길 잘했어 역시 좋아...
@leefullsun2000
@leefullsun2000 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이 늠무나 좋으시네오 보다가 뭐지 번역기 튼건가 싶었어요🙃 잘보고가용
@user-mx4ix3el1v
@user-mx4ix3el1v 3 жыл бұрын
동화책 보는 느낌으로 재밌게 잘봤어요
@liliill3549
@liliill3549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이 정말 와닿네
@user-cb8wk5mn3q
@user-cb8wk5mn3q 3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user-ke9sj2jk4z
@user-ke9sj2jk4z 3 жыл бұрын
내용도 알차고 너무 좋은데 잔잔한 브금이 깔리면 더 좋을것 같아요!
@JJUNYONG
@JJUNYONG 3 жыл бұрын
오 2분전!!
@user-zj1sb8pw9t
@user-zj1sb8pw9t 3 жыл бұрын
와 정보 수급 능력이 엄청나신것 같아요..
@wotlr1208
@wotlr1208 3 жыл бұрын
오.... 진정한 소셜 믹스...
@belleepoquela3271
@belleepoquela3271 3 жыл бұрын
로마 후의 유럽과 송나라 이후의 중국이 참 많이 닮았네요. 봉건제랑 비슷한 제도로 회귀하는 것도 그렇고..
@user-xo6wq9st2s
@user-xo6wq9st2s 3 жыл бұрын
중세시대 영주들의 삶과 일상이 궁금한데 어디서 알아 볼 수 있을까요??
@user-if9uq7ip2f
@user-if9uq7ip2f 3 жыл бұрын
도시가 특별하네요..감사합니다..
@crouchingstone
@crouchingstone 3 жыл бұрын
도시에 사는 이들은 좋든 싫든 세상에 열려있어야 했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당연히 적용되는 말이네요. 덕분에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zotolee2621
@zotolee2621 3 жыл бұрын
당신 왜 이렇게 흥미로운건가요?
@habsburger1230
@habsburger1230 3 жыл бұрын
0:51 어째 문명에서 보던 도시 방어력같지....
@whoisthismilkanyway
@whoisthismilkanyway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jq1pn5ll4o
@user-jq1pn5ll4o 3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참맛있네요
@kimweonill
@kimweonill 3 жыл бұрын
통찰력 있는 구성이 돋보였습니다.
@CentralParkish
@CentralParkish 3 жыл бұрын
과거 카톨릭이 의외로 개방적인 면이 있었네요. 십자군이나 마녀사냥과는 180도 다르네요..
@abgeschiedenheit4100
@abgeschiedenheit4100 3 жыл бұрын
마녀사냥은 오히려 르네상스 이후에 심해지죠. 종교개혁과 더 맞물려있어서 가톨릭 개신교 할 것 없이 양쪽에서 저지른 일들이 심각했고. 오히려 중앙의 통제를 벗어난 광기와 그것을 이용해 한몫 챙기려는 지방관이나 그런 부류 사람들이 지옥도를 만들기도 했다고 합니다
@CentralParkish
@CentralParkish 3 жыл бұрын
​@@abgeschiedenheit4100 하긴 11세기와 16세기 카톨릭은 틀릴 수 있겠네요.
@user-zj3fb3hu3o
@user-zj3fb3hu3o 3 жыл бұрын
초기 노르만왕조시대를 제외하면 15세기 까지만해도 중세시대는 나름 깨끗하고 그나마 사람사는 시대였음 깨끗한걸 중시했고 현대의 기준에서보면 영 아니지만 그당시에는 나름 합리적인 사회였음
@Youtube_information
@Youtube_information 3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중립적인 사실을 그대로 전해주는 유익한 채널 많은 생각을 하고 현실세계에도 적용해볼 가치를 제공하는 마음의 양식을 채웁니다.
@ZamBokSaw
@ZamBokSaw 3 жыл бұрын
매춘에 관한 대목이 상당히 흥미롭네요
@random0153
@random0153 3 жыл бұрын
중세 시대 이야기는 전부 흥미로운것 같음ㅋㅋㅋ
@kennyreview
@kennyreview 3 жыл бұрын
(2:18) 발음 멋지시네요! 연습 안 하시고 바로 하신건가요?
@y8523647
@y8523647 3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서 박사과정중이세요
@kennyreview
@kennyreview 3 жыл бұрын
@@y8523647 오 그렇군요! 멋지네요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3 жыл бұрын
👏👍🙏
@dltls14746
@dltls14746 3 жыл бұрын
혹시 만약에 교수가 되시거든 한국에서 강의 하실 생각은 없으십니까? 높은 수준의 역사 교양을 10분으로 압축해 배우는 느낌이 강해서 너무 좋습니다. 별로 좋지 않는 지방대를 다닌터라 이런 교양이 없어 늘 갈망했는데 정말 우물을 발견한 기분입니다.
@andykal2947
@andykal2947 3 жыл бұрын
유럽국가들의 학교 역사교육 문의드립니다. 우리나라는 국사와 세계사가 어느정도 분리가 되는 나라이고.. 한반도=한국어=한민족=국사라는 프레임하에서 배우는데.. 유럽은 땅과 민족,언어와 종교 등이 다 다르고 같은 언어라도 국가가 다르고 같은 국가라도 종교에따라 또 다르고, 다른 국가라도 같은 민족이기도 하고.. 모든게 얽혀있다 보니 여러 국가들이 로마의 기원부터 시작해서 도데체 어떻게 역사공부하는지 궁금합니다. 영국만 봐도 로마를 베이스로 시작하면 자기네 앵글로섹슨 민족은 야만인으로 깔고가야되는데..이런 부분들은 또 어떻게 교통정리를 하는지도 궁금하고.
@clover8438
@clover8438 3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내용이고 흥미롭고 일반인들이 얻기 힘든 귀중한 정보인데, 설명을 좀더 구조화 시키면 구독자들이 더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가령, 가장 핵심적이고 직관적인 설명을 제일 먼저 던지고 지엽적인 내용은 뒤로 배치하시면 어떨까 합니다.
@user-ez5uz4ox3w
@user-ez5uz4ox3w 3 жыл бұрын
내용의 풍부성에 한번 놀라고 제작자의 섹시한 독일어 실력에 두번 놀란다..
@juventista9713
@juventista9713 3 жыл бұрын
역시 유럽의 중심은 중세에도 이탈리아였구나 ㄷㄷ
@jamesraynor942
@jamesraynor942 3 жыл бұрын
아 중세는 못 참지ㅋㅋㅋㅋㅋㅋ
@alone_stand-tj
@alone_stand-tj 3 жыл бұрын
저당시엔 자동화가 없으니 노동력을 무시할 순 없겠죠
@user-ys4pc9om1t
@user-ys4pc9om1t 9 ай бұрын
독일어 전공자세요? 독일어 정말 잘하시네요 ㅎㅎ
@anetteseong987
@anetteseong987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독일에서 유학중이세요?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이야기는 현대 사회에도 적용되는 말 같습니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좋던 싫던 다양한 사람들과 부대끼면서 살아야 합니다. 때문에 이들의 가치판단은 인구밀도가 낮고 "자신의 땅" 안에서 배타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시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려있을 수 밖에 없죠 실제로 미국의 정치지형도를 보면 인구밀도가 높고 대도시가 많은 주일수록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공화당 표밭인 텍사스에서도 휴스턴 등의 대도시는 민주당 강세인것을 볼 수 있죠
@user-it6tm3xt2i
@user-it6tm3xt2i 3 жыл бұрын
지역영주도 가지고 있지 않은 인구목록을 세례때문에 교회가 가지고 있었다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일까요? 초반 주교가 있는 곳에서 발전했고 행정역할을 했다는 얘기를 들으니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우리나라도 조선 초기 불교탄압이 단순히 종교차원만이 아니라 불교가 가지고 있던 국가의 행정기능을 되찾아오는 과정이었단 얘기에서도 보듯이 종교기관의 행정기능은 동서양 비슷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상업의 발전을 비교적 막았기에 도시의 차이가 생긴게 아닐런지요. 워낙 농사를 중시했으니
@user-ci3nr7ke4r
@user-ci3nr7ke4r 3 жыл бұрын
떴따!
@user-gq2mx7jf9s
@user-gq2mx7jf9s Жыл бұрын
서로마 멸망 이전부터 이미 주요 도시에는 주교구가 있는 곳에 도시가 살아있었고, 엄청난 쇠퇴를 겪었는가는 의문인 것 같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토지와 장원을 선호하는 새로운 게르만 귀족들과 서로마 말기 도시에서 과도한 의무를 회피하고자 장원으로 도피한 로마계 귀족들로 인해 우후죽순으로 성장한 도시가 규모와 기능 면에서 감소한 건 사실이라 봅니다. 다만, 완전하게 쇠락하여 사라졌는가는 아닐 것이고, 메로빙 초기에는 여전히 메로빙조 1세대, 2세대 국왕들이 로마계 귀족의 도움을 받고 행정망을 이용하기 위해 도시에서 거주하며 통치를 한 것으로 보이더군요. 또한 주교 역시 각 지방의 로마계 귀족 사회에서 영적이 아닌 세속의 권위적 정점을 나타내는 자리가 되어 도시의 행정망과 사회조직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서로마 말기부터 메로빙조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주교의 위상이 높아지거나 유지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어떤 단절이나 파괴는 분명 다양한 전쟁으로 존재하기는 했지만, 이것이 매우 당연한 일은 아니었고 오히려 메로빙조가 갈리아를 통일한 시점에서는 더더욱 아니라고 봅니다. 메로빙조를 중심으로 이야기 했기에, 이탈리아와 이베리아는 또 다른 이야기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베리아에서도 단순히 도시가 쇠락만을 거듭한 것은 아니고, 로마계 귀족의 이동으로 인해 버려진 도시 구역은 구역내 건물의 쓰임이 단순 거주지로 전락하는 등의 분명 쇠퇴의 징조를 보였지만, 또다른 곳에서는 서고트 왕의 이름으로 세워진 도시가 존재한 것을 고려하면 지방과 시대 그리고 환경의 이야기가 있던게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세 성기가 근래 들어 많이 조명 받고 실제로도 로마 시대의 아름다운 문명의 발전상에 맞먹을만큼 물산이 풍부해지고 다양한 교역망이 다시 재개된 것에서 이를 부정하고자 하는 건 아니지만, 중세 초기는 여전히 암흑기라던지, 성기는 괜찮은 시대지만 초기는 아니라는 느낌이라던지가 뭔가 아쉬운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중세초는 분명 역동의 시대고 다양한 정치 세력이 새로운 권력을 조직하는 도전의 시대였으며 기후에서도 불리한 시대가 있던 건 사실이라 물산이나 교통에서 많은 부족함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지만, 서로마 정부가 사라진 시점부터 카롤루스 대제가 로마에서 대관을 받는 그 순간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350년에 달하는 시간이 압축되어 한줄로 평가되는 게 조금은 슬픈 것 같습니다. 사실 제가 이 역사 파트를 좋아하는 것도 없잖아 있겠지만, 한 번 다른 분들이 다뤄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는 것 같네요. 일단 제 이야기는 패트릭 기어리의 '메로빙거 세계', 크리스토퍼 위컴의 'Inheritance of Rome', 레이몬드 카의 '스페인사'에서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댓글의 양질에서 솔직히 부족한 면은 많다 생각합니다.
@user-mz4qs1nb7g
@user-mz4qs1nb7g 3 жыл бұрын
중세를 원초적 낭만으로만 바라보면 안됨 2021년 현재 가치관으로 봐서는 안된다는 이야기 '당연'의 기준이 달라도 너무달랐던 시대
@Jelk243i
@Jelk243i 7 ай бұрын
도시와 유곽은 함께 생성하고 발전했던 건지 궁금하네요
@user-tz7ts2mm1c
@user-tz7ts2mm1c 3 жыл бұрын
??? 도시 인구수 표시가 문명 시리즈 같은데요??
@miso5700
@miso5700 3 жыл бұрын
참으십시오.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3 жыл бұрын
함께하는 중세사 채널 개설 고고
@mk.115
@mk.115 3 жыл бұрын
고대 로마제국의 수도 로마는 인구가 100 만 이였는데 참 아쉽구만
@dandal8817
@dandal8817 3 жыл бұрын
사람 사는데는 과거거든 현재든 다 똑같나 보네요
@seeyouinswiss
@seeyouinswiss 3 жыл бұрын
중세에도 시골은 촌스럽다 라고 생각을 했네요 ㅎ ㅎ이후엔 귀족들은 시골..외곽에 집 이 있어야 교양있고 부자라고 생각하고 공장이나 상업지구에 사는걸 천박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스타일이라고 ..그러다가 요즘 한국드라마보면 ㅎㅎ주상 복합 ..높은 빌딩 스타일 그런곳에 사는걸 잘 사는걸로 ㅎ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참 재미있네요..재미있는 그림영상까지 만들어서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해요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3 жыл бұрын
고대 도시의 쇠퇴는 서로마제국보다는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이 더 큰 영향을 끼친 것 같다 생각됩니다
@user-uw4ls3ew4d
@user-uw4ls3ew4d 3 жыл бұрын
중세 교회가 매춘을 암묵적으로 인정했다는게 놀랍네요.
@kimyoungkyu958
@kimyoungkyu958 3 жыл бұрын
중세라고 예수천국 불신지옥이 아니었네...
@mm-gs5no
@mm-gs5no 3 жыл бұрын
중세는 봐야쥐
@rx7veilside217
@rx7veilside217 2 жыл бұрын
이런부분을 보면 현대가 오히려 중세보다 못한부분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user-kb9lt2xh3t
@user-kb9lt2xh3t 3 жыл бұрын
중세 유럽은 못참지 ㅋㅋ
@user-qn5ye1rn4j
@user-qn5ye1rn4j 3 жыл бұрын
보통 사람과는 크게 상관 없는 왕조/국가(주의)/민족(주의) 의 역사보다는 이런 생활사가 진짜 역사일지도 모르겠어요.
@user-ji4gl4fr8w
@user-ji4gl4fr8w 2 жыл бұрын
시장이 생산 활동을 자극하고 늘어난 생산활동이 시장을 자극하는 선 순환구조는 지극히 초보적인 경제 상식인인데 다짜고짜 임금 삭감에 노동시간 연장을 통한 소비 억제로 경제를 되살린다는 경제팀은 어느 별 아니 어느 시대에서 온 경제팀인가?
@Jelk243i
@Jelk243i 7 ай бұрын
그래서 법인세 깍아서 낙수효과 준다잖아요 ㅎㅎㅎ
@user-hu3yd3fv9w
@user-hu3yd3fv9w 3 жыл бұрын
일단 차가 없음
@ssatda_bro
@ssatda_bro 3 жыл бұрын
이형 가둬놓으실분
@bidory
@bidory 3 жыл бұрын
중세 종교인이 현대 대한민국보다 더 깨어있네 ㅋㅋ
@user-hs5pv3tw4s
@user-hs5pv3tw4s 3 жыл бұрын
ㅋㅋ 명답
@jsm7689
@jsm7689 3 жыл бұрын
중세 도시는 지금 생각과 다르게 엄청 좁은 구역이였나 보네
@user-wh9un9ip4e
@user-wh9un9ip4e 3 жыл бұрын
현 서울인구 964만 중세에 가장 컸다는 파리가 20만이니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오실것 같네요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서울도 인구 20만 정도에 현재 서울의 1/7 수준 크기였다고 하죠. 도시민들도 엄연히 식량과 자원을 공급받아야 살아갈 수 있는 만큼, 메갈로폴리스의 발전은 산업시대 런던 이후에나 가능했습니다
@TakeOnMe2023
@TakeOnMe2023 2 жыл бұрын
똥과 오물이 넘쳐나던 중세 유럽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жыл бұрын
역시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은...
@user-re9ex9gv2c
@user-re9ex9gv2c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교회가 매춘부를 마냥 죄악시하지 않았다는 게 특이하네요.
@puggyk4220
@puggyk4220 3 жыл бұрын
요리사
@puggyk4220
@puggyk4220 3 жыл бұрын
분뇨처리자도..
@user-lm3ht8ow8n
@user-lm3ht8ow8n 3 жыл бұрын
이게도시지
@namenick2818
@namenick2818 3 жыл бұрын
10:08
@user-jw4kr4fz7m
@user-jw4kr4fz7m 2 жыл бұрын
유럽의 과거와현재 중세3
@puggyk4220
@puggyk4220 3 жыл бұрын
성직자가 매춘
@zotolee2621
@zotolee2621 3 жыл бұрын
아 이것 보세요 도시의 진짜 모습은 결국 개인의 익명성에 기반했다고 보는데요 대체 현대인들은 sns로 스스로의 익명성을 벗어던지는 이유는 대체 어떻게 이해 하면 될까요
@user-es9st9ht6x
@user-es9st9ht6x 3 жыл бұрын
이거 보세요오오~!!
@user-ub8vy9nz6u
@user-ub8vy9nz6u 3 жыл бұрын
25번째 야기분좋다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жыл бұрын
왕은 종교 이념에 빠져서 현실을 못 보는데, 정작 성직자들이 현실을 더 잘 보고 있었군요. 한국도 남의 일이 아니라서 깊이 느끼는 바가 있습니다.
중세 사람들의 모든 것 몰아보기!
1:46:17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61 М.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낮았다면 역사는 정말 바뀌었을까?
10:24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58 М.
Did you believe it was real? #tiktok
00:25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Became invisible for one day!  #funny #wednesday #memes
00:25
Watch Me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중세 사람들은 어떤 일상을 보냈을까?
10:38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904 М.
중세는 암흑의 시대?! 중세시대 대학생활은 어땠을까?
10:31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21 М.
대항해시대! 해적의 삶은 어땠을까?
10:59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90 М.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witch hunting! Why, how and when it took place
9:16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524 М.
☕️카페가 많아지면 문화강국이 된다? 각 나라별 카페 문화 비교
15:49
중세 시대의 종말을 가져온 최후의 전쟁
34:29
GCL 지씨엘
Рет қаралды 71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