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영의 경제쇼] 전병서&안유화 2탄 - [中 경제 위기론] “오히려 회복 될 것” vs “국유기업도 월급못줄 정도”

  Рет қаралды 99,132

KBS 1라디오

KBS 1라디오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369
@안영석-p4o
@안영석-p4o 2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화이팅
@뒤듬바리
@뒤듬바리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의견에 동감. 작년 말부터 국내 증권사나 애널리스트들이 지금이 가장 적기라며 중국 주식에 투자하라고 언론을 통해 부채질하는데, 극히 조심해야한다.
@김성종-p5n
@김성종-p5n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대단하십니다. 앞으로 일어날일과 현실 을감정이입없이 객관적으로 말씀하시는 모습이 인상적임니다'
@귀농목표세웠다
@귀농목표세웠다 3 жыл бұрын
이체널 최고 ...진심팬입니다. 세분다 너무 좋아하고 존경합니다.
@sehonsong
@sehonsong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님 감사합니다. 어디서도 듣을수 없는 중국의 실감나는 현장 소식과 통계, 우려 모두 잘 느낄수 있었습니다. 통제의 공산당이냐? 돈줄죄기의 달인 미국이냐? 누가 이길 싸움인가요? 1차전은 미국승인데,, 2차 3차전 모두 미국이 이겨도 버티기에 성공하면 중국 승일수도 있나요? 언제 들어가야 우리도 이기는게 되나요?
@한즈-e2e
@한즈-e2e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얘기는 귀에 쏙쏙 들어오고 이해 하기 쉽게 말씀도 잘 해주는거 같아요. 전에 방송도 재미있게 들었는데 역시 재밌네요.자주 좀 모셔주세요~
@이종국-k5m
@이종국-k5m 5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특히 안교수님 정확한 수치를 예로 실제 상황을 잘 묘사해 주시어 이해의 폭을 넓였습니다-
@장점호
@장점호 2 жыл бұрын
안교수님 허풍 거만하세요
@김광희-k7c
@김광희-k7c 5 жыл бұрын
와~진짜 재미있게 봤습니다.^^
@giovannigiorgio3107
@giovannigiorgio3107 5 жыл бұрын
두분 말이 다 맞습니다. 결론이 다를뿐입니다. 우린 영리하게 두가지 시나리오에 다 대비하면 됩니다. 누가 맞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JOJINGU
@JOJINGU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는 데이터와 수치를 가지고 중국의 위기를 주장 하는데, 전병서 소장은 말은 그럴듯하게 하는것 같지만 내용을 보면 괜찮아 중국은 특수해서 괜찮아만 반복하고 있다.
@CH_Sudal
@CH_Sudal 5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는 항상 터지기 직전까지 괜찮아 보인다.
@fortress-r7y
@fortress-r7y 5 жыл бұрын
저런 병신 중빠새끼를 교수니 연구원이니 뭐네 하며 부르는 최경영 수준봐라 ㅋㅋ
@남자김양선-v4q
@남자김양선-v4q 4 жыл бұрын
♥♥
@thekkyoung
@thekkyoung 5 жыл бұрын
와 오늘 명승부 ㅡ 진짜 잘들었습니다. 다른데서 듣기 쉽잖은 고급 정보들이 줄줄~ 당연히 빠른 시일 내에 후속편 해주시겠죠
@bym9677
@bym9677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님의 부분을 전체로 확대해석하면 안된다는 말 대단히 위험한 말입니다. 역대 모든 경제 위기는 아주 작은 부분의 균열에서 시작됐습니다.
@jameslee879
@jameslee879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은 참 대단해요 알기 쉽게 그리고 솔직하게 ...방대하게 최고 ....
@alexlee1913
@alexlee1913 5 жыл бұрын
완전 재미 있어요
@빌스-x4k
@빌스-x4k 5 жыл бұрын
간만에 좋은정보 토론듣고갑니다 👍
@vanderasantonio761
@vanderasantonio761 5 жыл бұрын
두분의 열변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좋은 토론 고맙습니다~^^
@jaewoolee1811
@jaewoolee1811 5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일해본 사람들은 전병서님의 이야기는 거의 성서급에 가까운 사람입니다. 큰 그림은 전병서 님이 맞다고 보지만, 안교수님의 지적도 분명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정말 좋은 토론 이고 한번 더 봤으면 좋겟네요^^
@brianj.2960
@brianj.2960 5 жыл бұрын
들어보니 안유화교수님 말이 훨씬 정도가 아니라 그냥 100배 더 신빙성이 있는게 틀림없네요.
@박미경-d7w
@박미경-d7w 5 жыл бұрын
나에게 유익한 최경영 경제쇼~!! 좋은 정보...폭 넓은 다양한 정보... 저에게 큰 경제길잡이 입니다
@youngtaejang5777
@youngtaejang5777 5 жыл бұрын
유화씨 오늘 진솔한 얘기 잘 들었습니다.
@최유정잘돼라
@최유정잘돼라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너무 좋네요.
@jojaehyun3438
@jojaehyun3438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말에 전적으로 동감 ~!!!
@jaewoolee1811
@jaewoolee1811 5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토론...진짜 감사합니다.^^
@시간초월-v4h
@시간초월-v4h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은 엄청난 디테일이시네요.
@남자김양선-v4q
@남자김양선-v4q 4 жыл бұрын
♥♥
@로블록스오리
@로블록스오리 5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박밝음-p3r
@박밝음-p3r 4 жыл бұрын
안교수님이 사실적인 얘기를 해주시니 훨씬 설득력이 있고, 중국경제붕괴가 임박해 보이네요ㅠ
@crouchingstone
@crouchingstone 3 жыл бұрын
붕괴를 예언한 정도는 아니고 힘들다 정도로 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경제는 여전히 상승중이고 금과 외환도 상당히 보유하고 있으니까요. 중국이 4차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이상 5~10년은 잡고 봐야 할듯 합니다.
@바다-w8m9m
@바다-w8m9m 4 жыл бұрын
전병서,안유화 모두 대단한 분이다! 전략과 전술에 입장차이로 보는 느낌이다! 전술이 방만하면 전략도 무용지물로 전락하게 된다!98년 어려운 시기를 피부로 느꼈댔다!비록 경제는 많이 발전했지만 매개인의 생활고나 위기는 항상 벗어나지 않았다!미래희망은 부풀어져 있지만 현제 당면의 고통은 세계와 같이 하고 있다는 생각느낌이다!
@guangxingqi6321
@guangxingqi6321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수치로설득하는 모습 정말 대단하십니다
@응애-o9x7p
@응애-o9x7p 3 жыл бұрын
Jwk님 ????
@백운용-w8g
@백운용-w8g 4 жыл бұрын
전병서님화이팅!최고
@testertv45
@testertv45 5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하네요.^^
@원현식-g3d
@원현식-g3d 3 жыл бұрын
안교수님 진짜 실력이 어마어마 하시내요 매력 넘치십니다 1년전에 들었다면 어느분이 참인지 모를텐데..
@jobsuh4455
@jobsuh4455 3 жыл бұрын
두분 정말 전문가시네요. 시각 차이가 좀 있지만 두분 분석 모두 값진 보물입니다.
@goldentime4ever
@goldentime4ever 5 жыл бұрын
서로 다른뷰의 두분의 논리가 모두 로지컬한데 이렇게 끝나니 너무아쉽습니다. 다음 시간 꼭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쓰리고튜브
@쓰리고튜브 5 жыл бұрын
오늘 엄청 재미있네요
@TheJungcompany
@TheJungcompany 5 жыл бұрын
1:1 구도의 토론 너무 좋습니다
@일영-n5l
@일영-n5l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님께 한표 !
@나다-k9r
@나다-k9r Жыл бұрын
3년 지난 지금 보면 전병서님❤
@BhangRonBooks
@BhangRonBooks 5 жыл бұрын
41:20 철밥통 없애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지. 가뜩이나 힘든 시기에 국유기업 노동자들이 허깨비들도 아닐텐데. 다들 빽이 있거나 당원이거나 파벌에 속해 있을텐데 그게 쉽냐 이거지. 매 번 공산당 얘기하면 파벌 얘기 나오는 것은 철밥통 정원에 맞춰서 나눠 가졌는데 이것을 어떻게 구조조정하느냐가 핵심이기 때문이지. 누가 누굴 쳐내냐에 따라 파벌간 싸움으로 커지테니까. 공평하게 똑같이 쳐낸다고 하면 다시 같은 파벌내에서 내분이 일어나겠지. 민간기업이야 한 마디로 처리할 수 있지만, 국유기업은 특히 중국 공산당 치하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좀 더 타당. 과거 국공내전 시기랑 비슷한거지. 밖에 트럼프와 겨뤄야 하는데 안에서 한쪽이 정리하고 맞설것인가 아님 일단 휴전하고 할 것이냐 갈림길인데 전자라면 적전분열이고 후자라면 구조조정 실패.
@easyup7
@easyup7 4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일반화보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됩니다. 중국으로 부터 시작될 세계경제의 위기. 유비무환입니다. 대비해서 나쁠건 없겠지요? 위기가 오던 안오던 우리는 늘 대비를 해야 합니다. 진솔한 이야기의 안교수님의 의견에 많은 공감이 갑니다
@chobedro
@chobedro 5 жыл бұрын
금융시스템이 무너질때, 재건축 아파트 무너지는 것처럼 되는 것이 아니고, 로칼리 잠재적인 제 2,3 금융권 이 무너져서 전체 금융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금융의 암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금융위기의 잠재요소이다. 전병서님의 의견은 총론에 치우쳐, 각론이 부족하다
@goodnews-p2m
@goodnews-p2m 5 жыл бұрын
전반전에 이어서 후반전에서도 전병소 소장이 완전 발렸네 ㅎㅎ 안유화 교수의 분석력 진짜 대단!
@장진우-l1k
@장진우-l1k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의 넌센스. 사회주의 경제 또는 국유기업은 이익을 내지 못해도 자본주의 경제(기업)과는 달리 망하지 않는다? 그럼 구 소련과 동구권은 왜 망했을까? 기업의 주주가 민간이든 재벌이든 국가이든 기업은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고 돈이 돌아야 물품대금도 주고 임금도 주는 등 경영이 가능한 것 아닌가? 중국 공산당은 손해보는 기업을 계속 유지할 무슨 비법을 가진 전지전능한 존재인가?
@섬나라에게대륙국가의
@섬나라에게대륙국가의 5 жыл бұрын
장진우 소련은 중공업이 강세이고 경공업이 부실함. 복장과 같은 국민필수품과 생필품도 수입에 의존하는 부분이 클 정도임. 그리고 공산국가와 협력함에 있어서 도급제를 실행함. 즉, 그 지역에서 쌀이 많이 나오면 그 지역의 쌀을 구매하고 돈대신 석유나 석탄, 공업품을 주는 방식임. 때문에 소련이 붕괴되는 순간 공산국가들의 경제는 씹창이 남. 결정적인건 미국의 작업인데 고가로 달러를 사들여서 외환위기를 조성함(이부분은 검색하면 자세히 나옴). 루블화가 하루 아침에 휴지쪼가리보다 가치가 없게 됨. 중국은 이런 소련의 상황에서 배운점이 많음. 그리고 취약점을 보완하고 경제발전에 전력을 다함. 그래서 소련과 중국을 동일시 하면 안됨.
@ironheart911
@ironheart911 5 жыл бұрын
@@섬나라에게대륙국가의 외환위기가 온 이유는 소련의 주요 수출품인 유가가 폭락하게됩니다. 반면, 소비에트연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출이 너무 많았죠. 맥락면에서 보면 중국도 다르지 않아요. 중국의 주요 수출품은 좀처럼 가격이 오르기 어려운 구조(전 세계적 공급과잉)이지만, 중국이 수입해야 하는 것(반도체, 에너지자원, 식량 등)은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죠. 물론 구조는 다를수 있지만 작동하는 메카니즘은 소련이나 중국이나 수입감소 + 지출증가로 인한 붕괴로 같다고도 볼 수 있는겁니다. 단, 소련의 붕괴로 얻고자 하는 것과 중국의 붕괴로 얻고자 하는 것은 분명히 다릅니다.(미국의 입장에서요^^)
@nkoni77
@nkoni77 4 жыл бұрын
@@ironheart911 얻고자 하는게 어떻게 다르다는 말씀이신지 궁금하네요...
@ironheart911
@ironheart911 4 жыл бұрын
@@nkoni77 소련은 몰락을 원했던 것이고, 중국은 경제적수탈을 원하고 있죠. 중국이 있어야 미국의 국민들이 저가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니까요. 오죽했으면 하바드대 교수가 Chimerica라고 했을까요.
@요트의꿈
@요트의꿈 4 жыл бұрын
망하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chobedro
@chobedro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 님은 스튜디오에 나와서 오픈북 시험치고, 안유화 님은 스튜디오에 나와서 시험 채점하고 있다.
@hiodour
@hiodour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저도 경제학과 조선족 학생인데 ..... 저도 경제학과 학생시절에 안유화 교수님이랑 똑같은 생각 했습니다. 쉽게 말해 (중국은 돈을 계~~~~속 찍어야만 유지할수 있는 나라다) 라고 생각했는데 저는 중국이 언젠간 망할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통화정책을 하는건 문제 없는데 중국은 미국처럼 인플레이션을 다른나라에 수출할수가 없잖습니까 ? 그리고 저역시도 안유화 교수님 말처럼 중국경제가 연착률 즉 경기 하강국면에 직면할거라고 생각 했는데 .... 적어도 GDP가 5%대 를 유히하기 힘들거라 생각했습니다..... 만일 성장율이 5% 이라로 떨어질 경우 중국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중국이 일단 디플레이션에 빠지면 회복 불가능이라고 생각 했는데 ......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중국이 이상한 나라라는걸 느꼇는데 이부분에서는 결론적으로는 (전병서 ) 선생님의 말이 맞는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하여간 중국은 괴상한 나라입니다. 중국 공산당이 뭔가 방법이 있는듯 합니다 ....... 혹시 중국 경제지표 통계가 가짜일까요 ? 사실 그정도로 심각하면 이미 이세상에 들통이 낫을텐데 ...... 그건 또 아닌거 같고 ..... 제가 중국주식시장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중국 기업들이 지금 문제는 뭐냐면 현금흐름이 개판입니다. 이렇게 따지면 안유화 교수님 말도 굉장히 설득력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2년간 중국 주식시장에 이상한 현상이 생겨낫는데. 현금흐름이 아주 조금씩 좋아지는게 보입니다. 아마도 중국정부가 기업들의 재무구조를 좋게 만들려고 손을 쓰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중국에 조금 알짜배기 기업들이 자본금을 축소해서 재무상태를 양호하게 만들려는 노력을 하는게 보입니다. 자사주매입을 해서 소각 처리를 하는 방식도 많이 쓰고 있어요 ......주주가치를 끌어 올리겟다는 노력도 하는게 보입니다. 지금 중국 정부가 현재 경제 전체의 레버리지를 낮추려는 노력을 엄청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미래 2년정도는 중국 주식시장이 꽤 재밋을꺼 같아요 내나라 중국이지만 정말 알면 알수록 괴상한 나라입니다..... ㅋㅋㅋ 가만히 보면 중국은 제가 한국에서 배우던 경제학 이론 하고는 맞아 떨어지지 않는 나라인거 같습니다..... 가끔 저는 (서구 경제학 시각으로 중국을 바라보면 안되는건가?) 이런 생각도 들더군요 모르겟습니다. 두분말 다 맞는거 같아요 ㅠㅠ 물론 한국인들은 중국을 미워하기때문에 중국이 망한다고 하는 사람을 더 좋아할거 같지만 ㅋㅋㅋㅋㅋ 중국은 분열이 안됩니다. 공산당이 망하면 그냥 민주주의 형태로 전환될 뿐이지 아직 한국인들은 중국인을 잘 몰라서 한국인들은 자기 자신들이 민족주의 집단주의가 강해서 중국인들도 그럴줄 아나봄 . 조선족은 한국에서 차별 받아봣지 중국에서 차별 받아본적이 없습니다. (한국인들은 사람을 만나면 상대방이 나보다 위인지 아래인지 부터 알려고 하죠 혹시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 이렇게 .... 한국인들은 계급나누는걸 굉장히 좋아함 ....... 반면에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라서 (상대방이 나이가 많던 적던 돈이 많던 적던 인격적으로는 똑같다) 라는 뇌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차별이 없거든 ...... 스트레스 안받고 살기에는 중국이 더 좋음 .....한국 사회는 너무 눈치를 봐야됨 ..... 만일 조선족이 한국인들 하고 합치게 된다면 .... 조선족은 3등 국민으로 전락합니다. 평생 한국인들한테 멸시와 차별 받으면서 살아야됨
@zhq6536
@zhq6536 2 жыл бұрын
전병서님의 애기도 맞는 겁니다
@MrEro324
@MrEro324 5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같은현상을 다르게 볼수있는 관점을 배우고 재밌게 시청했습니다ㅎㅎ
@aks0106
@aks0106 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에 감사 드립니다.
@문영-w4n
@문영-w4n 5 жыл бұрын
좋은 토론입니다 좀더 심층 있게 듣고 싶습니다 3탄 부탁드립니다~
@서아할배
@서아할배 2 жыл бұрын
고속도로론! 신박해~ 대륙고속도는 평일날..진짜 밟을만 하지!~혼자 달리니깐~
@yoonyoungnam5379
@yoonyoungnam5379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말씀이 좀 더 현장에 가까운 듯합니다. 임금 체불은 언론에 나오지 않아 생각도 못했어요
@jjy8467
@jjy8467 5 жыл бұрын
공부가 되는 유익한 방송~ 요즘엔 티비보다 라디오를 통해서 배우는 게 더 많은 것 같아요. 계속 노력해주세요~
@jump9337
@jump9337 5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안유화 교수님 한표 드립니다 중국의 어려움은 이제 감출 수 없는 지경까지 오는 것 같은데 지켜보면 알겠죠
@kennethjin1944
@kennethjin1944 5 жыл бұрын
두분의 멋진 토론이었습니다. 전병서 소장님의 칼럼을 오래전부터 애독하고있는 독자입니다. 중국경제의분석 두분이 모두 잘분석하셨습니다. 다만 중국경제는 정치적인 색채가 짙은데 현재 중국지도내부가 전례없는 모순을 겪고있는건 사실입니다. 지도부내부에서 모순이 터진다할적엔 그어떤 리론도적용되지않고 급변사태가 발생할겁니다.
@사막의푸른늑대
@사막의푸른늑대 5 жыл бұрын
오늘 1, 2편 다 다시듣기하며 많이 배웠네요. 유시민 씨 나오셨을 때보단 좀 어렵더군요. ㅎ2편에 급히 마무리해서 아쉬웠어요. 두 분 다시 모실 거죠? 기대하겠습니다.
@머니맨-s2b
@머니맨-s2b 5 жыл бұрын
잼 있어서 시간 금방 지나가내요... 한번 더 토론 배틀 하시죠 ㅋㅋ
@강준-z5x
@강준-z5x 5 жыл бұрын
명토론이었음. 이 두분들 토론 자주 보고 싶네요. 중국경제를 말하지만 속 내용은 세계경제 한국경제가 녹아있네요 .특히 정부의 재정 금융정책을 중국정부를 설명하는 건 환상적이네요.
@fortress-r7y
@fortress-r7y 5 жыл бұрын
무뇌냐? ㅋㅋ
@타연-j7w
@타연-j7w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는 안유화교수님의 내용에 대한 반박을 제대로 못하고 있네요....전병서님은 디테일일 많이 부족합니다..이전의 이론으로 미래를 예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mansoo2256
@mansoo2256 5 жыл бұрын
넘흥미진진한 토론입니다! 2차전 기대합니다?
@Koreansweet-kq1gk
@Koreansweet-kq1gk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소장님 말씀 공감가네요.
@jonghoock8397
@jonghoock8397 3 жыл бұрын
진짜가 나타났어 진짜가 나타났어요!
@5공수
@5공수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최고에 중국통이다 이나라에 안유화는 행운인거다
@yoonchung3852
@yoonchung3852 5 жыл бұрын
과거 2000년대 초반 브릭스 열풍 불 때 중국 주식 펀드 투자 한 적 있는데 그 때 중국 증시가 많이 오르자 중국 정부가 보유한 국영기업 주식( 소위 국고주) 팔아서 금융기관 구조조정 기금 조성하는 바람에 물량부담이 늘어나며 주가가 폭락해 중국주식 투자한 사람들 대부분 깡통찼었죠. 지금 외국인들이 중국주식 많이 산다고 하지만 이번에도 중국정부한테 비슷하게 당하지 않을지 솔직히 좀 우려됩니다
@thielinch
@thielinch 5 жыл бұрын
그때랑은 조금 다른게 지금 중국주식은 국영기업에는 자금이 안쏠리고 있어요. 민간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중이죠.....
@QUESTIONSQQQ
@QUESTIONSQQQ 5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moontellsme
@moontellsme 5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yeonglee799
@yeonglee799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승
@santo1085
@santo1085 5 жыл бұрын
안교수님 팩트에 전소장님 밀리네.
@라자팝
@라자팝 5 жыл бұрын
대박이다. 우연히 들었다가 전문성에 취했다.
@방글이-b4c
@방글이-b4c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 얘기 더 들어보고 싶은데 사회자는 왜 자꾸 끊어놓는거에요? ㅡㅡ
@남자김양선-v4q
@남자김양선-v4q 4 жыл бұрын
니하오~~
@seollunglee235
@seollunglee235 5 жыл бұрын
한분은 현장 위주로 한분은 전체 통계 위주로 해주니까 더 좋은 것 같음. 누가 더 낫다고 우열을 가릴 문제가 아니라 .. 거시적 관점 미시적 관점 다 얘기해주니까.. 더 좋음..
@김성실-v9x
@김성실-v9x 5 жыл бұрын
여자 교수님 정말 예를 잘 들어주시고 통계로 말하시는게 전문가 답네요
@eternityoflove9939
@eternityoflove9939 5 жыл бұрын
저기 안유화씨는 전문가로서 말을 너무 가볍게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경제는 제일 많은게 보이지않는 변수인데 무슨 마치 예언가처럼 "답이 보이잖아요" 이런 발언들하는게 상식에 좀 어긋나네요.
@shizhenwu8456
@shizhenwu8456 5 жыл бұрын
전소장님이,중국에대한최고전문가,틀림이없어요.전소장님은중국에대해자기손끔보드시보네요.
@shizhenwu8456
@shizhenwu8456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씨는중국에대해설복력이,미읍한느낌,나는데,전통시장에서나,출현해야지요
@뿌리깊은나무-d9z
@뿌리깊은나무-d9z 5 жыл бұрын
@@shizhenwu8456 ㅎ 칭송만 하는 분의 말에 얼마나 신뢰가 갈지... 글쎄요. 주야장천 비판만하는 분도 신뢰가 안가지만 똑같이 칭찬만하고 괜찮다고 하시는 분도 신뢰가 안갑니다
@아트만-f6w
@아트만-f6w 5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진진. 최고👍👍 요번 무역협상으로 중국으로 공급되는 유동성 향방과 영향 평가 궁금합니다.
@MrJunggdl
@MrJunggdl 4 жыл бұрын
전병서씨 말듣고 투자하면 폭망. 그는 언제나 중국이 세계최고가 될거고 지금 세계최고에 거의 임박했다함. 이류 삼류 수준의 정치와 국민으로 어찌 제일이 되겠는가?
@whg5933
@whg5933 5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는건데 최경영 진행자님은 출연자가 말하는중간에 계속 끊어버려서 집중이 안됩니다. 중간에 과도하게 끼여드는거 자제 부탁드립니다
@erebi8386
@erebi8386 4 жыл бұрын
공감이요~
@군견-x5k
@군견-x5k 5 жыл бұрын
전병서씨는 밑천이 딸리네요. 저 사람 말듣고 투자하면 재산 다 날릴듯 ㅎ
@김수현-u5q8y
@김수현-u5q8y 5 жыл бұрын
두 고수...재미있어요.
@noname-qs2er
@noname-qs2er 5 жыл бұрын
좁은 한국서 배운 중국인이랑 넓은 중국서 배운 한국인이랑 역시 세상보는 안면이 차이가 많이 나는군요....이나라는 전병서님같은 분들이 많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지방몇곳다녀본 수준과 대도시에서 노는수준차이가 극명하게 보이는군요...
@TV-cz4lh
@TV-cz4lh 5 жыл бұрын
산속에서도 들어요 쏙쏙쏙
@박영남-e3t
@박영남-e3t 2 жыл бұрын
별들 말이 없습니다
@dasichae
@dasichae 5 жыл бұрын
안교수 쪽에 무게추를....
@한일용-c1s
@한일용-c1s 4 жыл бұрын
한국에도 안유화교수님과 같은 전문 인재가 필요할뜻 맨날 저들끼리 싸움만 하지말고....
@noname-qs2er
@noname-qs2er 5 жыл бұрын
두분 말씀이 다맞습니다...중국경제는 하락하면 서민기업은 망해도 국가는 절대 망하지 않습니다..
@si-younghwang5162
@si-younghwang5162 5 жыл бұрын
망한다는 의미가 뭥미?....한극 2% 성장만 했기에 망한 나라야 아니야?..반말 미안
@ELPCPU
@ELPCPU 5 жыл бұрын
@@si-younghwang5162 사람마다 망한다는 의미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국가 부도상황인 디폴트가 나냐 마냐를 두고 기준으로 보면 편하지. 정부가 빚을 못 갚겠다고 배째라고 나서는게 되는 걸 망한다고 말하는거야. 혹은 그 디폴트를 막을려고 돈을 찍어내다고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서 돈이 휴지조각만 못하게 된 경우 망한거나 다름없다고 봐도 되지. 디폴트 직전인, 빚을 갚긴 갚지만 늦게 갚겠다는 모라토리엄은 망하기 직전인거고... 한국 저성장해도, 디폴트 내는거랑은 거리가 머니까 망하진 않았어. 애초에 요즘 미국만 빼면 선진국들은 단체 저성장행이기도 하고.
@노잼인간-b4i
@노잼인간-b4i 4 жыл бұрын
중국은 기업 국가 같이 골로가요 한몸통이라서
@wjyoun
@wjyoun Ай бұрын
중국 얘기는 두 분 말씀만 찾아 듣습니다!!!
@interchange4424
@interchange4424 5 жыл бұрын
정성적인 조사와 정량적인 조사의 의견이네요. 현장에 계신 분들은 안유화 교수님 논리가 적합할 것 같고 저 또한 안교수님 의견에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종합하면 더 잘 들립니다. 최근 국내의 중국으로의 달러 유출로 보아도 비슷합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기에 인민의 취업률에 상당히 민감하죠 그러하다보니 좀비도시가 생겨난 원인도 되는 것이고 민간기업보다 국영기업이 중국 공산당에게는 더 소중하기에 여기에 최근 좀비기업 쳐내는 것도 ...여러가지 중국 속 사정을 잘 몰라도 파생되는 소식만으로도 추합하면 힘으로 깔고 앉은 상황에 언제 터질지 모른다는게 10년전 중국경제 붕괴론입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가장 가능한게 비상식을 상식으로 만드는 재주죠.
@아치스택
@아치스택 4 жыл бұрын
이 방송 듣고 안유화교수님 방송 찾아듣고 있는데, 이렇게 비즈니스 마인드가 출중한 분이 사업 안 하시고 연구만 하고 계시다니요^^
@redtiger973
@redtiger973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전병서랑 같이 있으니까 얼마니대단한사람인지알겄네
@이철우-w5b6o
@이철우-w5b6o 5 жыл бұрын
더욱 자세한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1994년 천진은 나름 흥미진진했죠. 지금은 살벌하네요.
@코아수-koasu
@코아수-koasu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님이 훨씬 설득력이 있습니다. 공산당이 통치하고 공유경제라.. 세금 이빠이 걷으면... 중국은 안망한다????? 간만에 들어보는 궤변이네요
@임호산-r5h
@임호산-r5h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 우리고향사람 자랑스럽다
@cza5109
@cza5109 4 жыл бұрын
안유화교수 연변어디분이지요?
@타연-j7w
@타연-j7w 5 жыл бұрын
중국의 미국채권3조원 얘기를 지금하고 있다니 전병서님 최근상황에 대한 공부를 좀하고 얘기하심이...미국채권3조원중 실제 사용할수 있는 체권의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이분 보기보다는 꼰데쪽이네
@바다-w8m9m
@바다-w8m9m 4 жыл бұрын
전병서는 자본주의도 알고 사회주의 저력을 깊이 알고 이야기 하는거다! 안유화는 사회주의 속사정을 알기에 가정아주마의 불안함의 식견이다! 국민이 먼저냐?국가가 먼저냐? 안유화는 경제만 이야기만 하는거고 정치의 저력은 무시한거다! 안유화는 저도 모르게 忽悠局에 가입하거다! 하지만 이분 모두다 절세의 통찰력을 가진 분이라는거는 의심할바 아니다! 대통령 선거때 공방보다 더 재미 있다! 싸움부쳐 주세요!
@백두산-n1r
@백두산-n1r 5 жыл бұрын
과거 우리처럼 결국 달러가 빵구나지 않는다면, 전병서 교수님 의견처럼 유지되겠지만, 부족하면,..안유화 교수님 의견처럼 위기 올 수도!
@아라타한바터얼-l5b
@아라타한바터얼-l5b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사랑해여!!너무 좋아요...
@마음만부자-v6d
@마음만부자-v6d 5 жыл бұрын
공격수와 수비수가 아이러니하다. 토론은 백중지세네. 주말에 끝장 토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이현학-o7f
@이현학-o7f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님이 은행의 위기를 말할때 전병서님은 은행이 파산하면 자동적으로 정부가 다 메꿔주니 문제 없다고 말하시는데, 전병서님이 말하는 방식은 문제가 커졌을때 오히려 중국경제를 더 크게 위험하게 만드는 방법인것 같은데요.
@정원-o3f
@정원-o3f 5 жыл бұрын
중국은 현재 구조조정 중입니다. 경제가 좋지 않은건 사실이죠.. 이야기를 들어보니 전병서소장님이 원론적이고 근본적인것을 중심으로 이야기 하시고 안유화교수님은 상대적으로 세부적인것을 위주로 말씀을 하시네요. 바라보는 방향이 다를뿐이지 두 분 말씀이 귀담아 들을만한 의견입니다. 결론은 시간이 좀 지나봐야 알겠죠. ^^ 저는 개인적으로 중국은 한국처럼 부도 나지는 않을것으로 생각합니다.
@kmdr37
@kmdr37 5 жыл бұрын
이론주의자 & 현실주의자의 명품 토론 배틀!
@kmdr37
@kmdr37 4 жыл бұрын
@바이든시진핑 1년전 영상을 이제야 뒷북이나 치다니... 안타깝네요
@Cosmos-Macro
@Cosmos-Macro 5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네요
@ST-js8tp
@ST-js8tp 5 жыл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말에서 텐진시의 어려움을 알았고 텐진시의 天士力가 저평가된 이유를 알 것같으니 주식 매수를 해야겠네요. 항상감사합니다.
@yajincui8576
@yajincui8576 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큰 교회도 소형 교회를 자금적으로 도우면 좋겠어요~~~
@pie2040
@pie2040 5 жыл бұрын
역쉬 안교수님 예리하시네요 중국도 관료새끼들이 문제야
@rosebud4932
@rosebud4932 5 жыл бұрын
미국서 27세에와서 32년 소매엄을 하며 빈손으로 시작 월 400억(한화) 판매를 하면서 단한번도 행정적. 각종인허가로 단한번도 2천원 짜리 커피한잔 않써보았읍니다 참고가 되실지모르겠네요
We Attempted The Impossible 😱
00:54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СИНИЙ ИНЕЙ УЖЕ ВЫШЕЛ!❄️
01:01
DO$HIK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She made herself an ear of corn from his marmalade candies🌽🌽🌽
00:38
Valja & Maxim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e Attempted The Impossible 😱
00:54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