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자재 때문이다 업자는 전 세대 손해 배상 해야 한다 신축 아파트 문제 많다 시공 하자다
@D_cup3 жыл бұрын
김포 고촌캐슬앤파밀리에 입니다
@jhahn97483 жыл бұрын
1단지요
@xxnunoxx3 жыл бұрын
가격 떨어지는 소리군요~
@노니나-z7f3 жыл бұрын
34평 2억에삽니다
@노니나-z7f3 жыл бұрын
동탄2에 금강펜타리움도 아직도 저럼
@NoJongful3 жыл бұрын
김포사람들 가격 안떨어지게 열심히 촛불시위하고 있던데요 ㅋㅋ 지난번 서울에서 자동차 크락션 시위도 한걸로 알고있는뎇ㅋㅋㅋ 강남연결되는 지하철 놔달라고 촛불시위하는건 또 첨봤네 ㅋㅋ
@성님-r9w3 жыл бұрын
중국처럼 건물 하자,부실 있으면 폭파했으면 좋겠다 건설사도 딱 찍어올리고
@백가-i4k3 жыл бұрын
저희아버지가 아파트 현장에서 일하시는데 저희 아버지는 오래전부터 벽돌 쌓는일을 하셔서 일을 느리게 하셔도 꼼꼼이 하시는데 건설사는 빨리 대충 하는 외국인을 더 선호함 벽돌 쌓는일을 장띠기 라고 부르는데 한장 싸을때 얼마 이런식으로 하다보니깐 날림공사가 대부분 입니다 이런거 하나만 보더라고 상황이 이찌 될지는 뻔한일이죠
@yurisum-k5b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온전한 당신땜에 우리나라가 버팁니다. 님의 아버님을 진정 장인으로 추대를 해야 할 것같습니다. 제가 집을 짓는다면 아버님께 모든 걸 맡기고 싶습니다.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진짜 현장 일하는게 한국인하고 중꿔인들 하고 다르대요 안그러는사람도 있겠지만 같이일하고싶지않대요 먼가 대충대충 시간때우기 효율도떨어지고 대신책임감을갖고 그걸메꿔야하니 일은 두배로 힘들게일하고 일당은똑같이 받고 스트레스받아서 웬만하면 한국인만 모아서 팀 이루어서 일하는걸 선호 한대요
@rookiecsh3 жыл бұрын
아이구...정훈아....왜그래 사니?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성이름-u4p5z 근데 넌좀 입이 겸손해야돼 너그아버지를 그런식으로표현하면 기분좋아?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성이름-u4p5z 저분 아버님은 똑같은 시간에 꼼꼼하게 하신다는건데 말씀하시는게 인격비하 발언에 현장폐단을무슨 당연하듯이 난독증에 무슨 날림공사 대표업자임? 웬 합리화? 현장상황맞춰 대충하라는게 자랑임?
@하늘바람-f7j3 жыл бұрын
시공사 밝혀야 빨리 해결이 되죠
@유소신-m6m3 жыл бұрын
고촌 롯데 캐슬
@Minjroorayo3 жыл бұрын
와 옷에도 어디든있는데... 나같으면 못살듯...ㅜㅜ 스트레스 ㄷㅂ일듯..
@형준-u1e3 жыл бұрын
#은 왜 붙이누
@janebaek9550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한 채가 얼마인데 하자에 과태료 천만원?헛웃음이 나오네요.요즘 아파트보다 이삼십년전 예전 아파트가 더 제대로 만들어진거 같아.벽에 금간데도 없고 층간소음은 좀 있지만...
@김정화-l5h3 жыл бұрын
@acd see .
@АкбарАлаху3 жыл бұрын
@acd see ㄴ7ㅁ
@user-NaCl3 жыл бұрын
@acd see 자료 정보 좀 얻을 수 있을까요~ 독성물질을 쓰는데 사람한테 피해 있었던 사례는 없는 것 같아서요^^
@유기사tv3 жыл бұрын
2,3년전 화성 금강펜테리움아파트에서도 같은벌레들이 나왔는데, 그원인이 붙박이장이었어요.
@tv-cd7sc3 жыл бұрын
ㄷㄷ
@jinnypark57683 жыл бұрын
그때도 방송에 나왔던거 같은데 계속 이런일이 발생한다는게 큰 문제인거같아요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건축자재가 문제네요
@러블리-h7u3 жыл бұрын
동탄2신도시도 그런기사 본적있는데
@은소회3 жыл бұрын
건조가 덜된 붙박이장 일수도 있겠네요 대단지아파트 입주하다보니 나무가 축축한 자재를 막 만들어내서 그런거 같네요
@mahadeva5633 жыл бұрын
부실시공보다는 완벽시공이 건설사에 더 이익이 되게 하는 법적구조를 만들어야 부실시공은 없어질거라 생각함. 하자가 안나오는 건설사에 특혜를 주는 제도 같은거
@슈퍼맨앤우먼3 жыл бұрын
옳소~~~
@히힣-w6i3 жыл бұрын
와…. 좋은 생각이네요!!
@Mr_Kei3 жыл бұрын
이런 생각을 하는 분이 국회의원을 해야된다
@hong609-z1v3 жыл бұрын
완벽시공의 기준이 애매한데.. 그냥 부실시공하면 시공사 문닫게하는게 최선일듯
@고사리맛집3 жыл бұрын
특혜를 줄 필요는 없죠. 잘못했을때 벌을 줘야죠
@호나우도-y8v3 жыл бұрын
Mdf에 저질본드 섞어서 싱크대,붙박이장 제작.. 국민들이 정신차려서 그런업체 단체소송 등으로 강하게 응징해서 발 붙이지 못하게 하고 건설사도 같이 단체소송 해야 합니다, 외부유입은 거짓말 입니다
@로이토이-m7k3 жыл бұрын
인부들이 공사하면서 건측자재에 소변과 대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문제는 이게 짓고 인테리어하면 문제가 발생되기전까지 아무도 모른다는거죠...
@@준혁-e7g 거기 인생 나락들만 모여서 딸배보다 좀 더 나은 수준이고 가르치는 강사가 암컷모기 수컷모기 구분도 못하는곳임 각다귀가 먼지도 모르고
@귀엽다아가에요3 жыл бұрын
@@준혁-e7g 못믿겠으면 세스코 취직 고고 거기 취직하기 엄청 쉬움 :)
@박정환-m5o3 жыл бұрын
거이 나무가 문제 비에노출되도 그냥 사용. 곰팡이 있어도 사용. 노동일하시는분들은 거이다 알고 있음.
@kevinoh44323 жыл бұрын
시공당시의 주변 습도보다 현제 건축물 자체에 습도가 높아서 지속적인 문제가 되는게 아닐까..
@Everyday2Do3 жыл бұрын
거이는 대체 뭐냐 ㅋㅋ
@Pursuit-Happyness173 жыл бұрын
의
@scubaair28883 жыл бұрын
노동일 하시는 분이 뭐니 노가다 🐕🐖들이지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scubaair2888 그냥 기술자 라고 하자
@이글-k6c3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한두푼도 아닌데 저게 말이되나. 건설사는 책임져라
@그놈-s9u3 жыл бұрын
건물지을때는 너도나도 달라들었으면서 이런일에는 발벗고 나서는넘들이 없어 서로 눈치싸움 하지말고 빨리 해결해주세요
@plan77333 жыл бұрын
정말 하루 하루가 고통스럽겠어요 ㅜㅜ 보기만해도 끔찍하네요. 그나마 KBS에서 전문가 불러서 정확히 검사로 제대로 증명해서 다행이예요. 주민들이 하기엔 감당도 안되고 계속 견디고 있었을테니까요. 아무투 것으로만 고급이고 허접한 자재쓴 부실공사 방치하고 나몰라라하는 건설업체 입주민에게 제대로 보상 해야 한다고 봅니다 . .
@이승건-n6d3 жыл бұрын
지금 아파트 한채 보통 5억인데..꼴랑 벌금은 1천만원 !!!이러니 건설사 똥배짱이지..시공사나 건설사..1천만원이 돈이냐 ??법 개정해라..
@PSChoi-mv7wv3 жыл бұрын
건당 1000만원이에요
@Optimus20223 жыл бұрын
@@PSChoi-mv7wv 건당 천만원이니깐 작지...저법이 집이 2-3천 할때 만들었을걸...
@Js.s-p4v3 жыл бұрын
법위에있으니
@onestopcharts61003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그 비싼 아파트 팔아서 도대체 그 거품은 누가 다 드시는걸까.. 그리고 시공은 저 따구로 하고.. 근데 저 천만원의 과태료는 무슨 말이야 막걸리야.. 집 교환해주고 정신적 피해보상으로 가구당 1억을 줘도 모자라겠구만..
@세계과자나라3 жыл бұрын
켁 벌금 천만원?? 하자보수기간 동안 벙원판결..... 몇년 걸린다 치고 그럼 한번 벌금에 "천만원" 에 끝.... 법으로 확실히 정해야지... 우리나라 법은 벌금이 너무 약해서... 문제임....
@joomon19893 жыл бұрын
이럴경우엔 문제가 해결할때까지 달마다 벌금청부하게해야함
@jinnypark57683 жыл бұрын
입주민 모두가 힘을 모아서 제대로 보상받고 정상화 시켜놔야되는데 이와중에 집값걱정하면서 쉬쉬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문제. 이러니 업체들이 무서운거없이 이딴식으로 자재 관리도 제대로 안하고 나몰라라하는거지
@시고나리3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구축아파트 진짜 잘만들었다 층간소음도 적고 신축나오는거마다 난리네
@별을찾는소년3 жыл бұрын
진짜 옛날에 지은 아파트 들이 더 튼튼하고 하자없음... 노후되서 생긴 문제들은 있을 지은정 건축상의 하자는 거의 없음..
@christyna91003 жыл бұрын
대표적인게 압구정 현대나 한양같은거... 친척이 살아서 가끔가는데 오래된 아파튼데도 층소 거의없음~ 진짜 튼튼하게 너무 잘짐
@달빛-c1y3 жыл бұрын
근데 요즘 강남권 건설현장은 조선족 러시아 찾아볼수가 없어서다행 현장보면 외국인 채용불가 현수막도 걸어놨고.. 수도권 이외지역이 지방들이 외국인채용 극심함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달빛-c1y 수도권경기권은 외노자들이 조금 안보이기 는 한다네요 한국인들 인력 위주인 민노 한노에서 현장밥그릇 확보할려고 현장불법체류자 근무하는거 시비털어서 트집잡고 데모하니 원청에서도 눈치를 많이 본다고 하청중에 도 그런인력 있으면 걸러낸다고하더라구요
@달빛-c1y3 жыл бұрын
@@유자향기-u7r 그런 면도 있지만 민,한노총도 쓰레기 대기업 건설 공사입찰딸때 불리함 이전공사 인력채용 안전사고 부실공사 내용등 전산내역 다잡힘 제2해외동포나 외국인 노동자들 자체가 책임감0 부실공사가 빈번함. 현장세대에서 오줌똥 싸는애들이 대부분 조선족 러시아애들 세대입찰 매매가 20억대 육박하는데 소비고객들로부터 브랜드 이미지만 손실됨 그래서 외국인 인력채용 자체가 공사입찰때 마이너스적인 요소로 작용됨 그리고 민노총 한노는 근로자 환경개선이 우선아닌 지들 밥그릇 우선임 뒷구녕에선 서로 조합원 빼돌리고 소송빌미로 조합가입 유도하고 지들끼리 쟁탈전 아수라판 한 회사에 민,한노총 중복노조 있으면 묻지도 따지지도않고 거르는게 상책임
@TheKissa11213 жыл бұрын
아이들있는 집은 우짜노ㅜ 진짜 속이 천불나겠다
@zmfhlwl3 жыл бұрын
아이랑 저렇게 살수는 없구...구조변경없이 가구 인테리어 전부 하셔야할듯.... 샷시까지 천만원 이상은 깨지겠다...
@노니나-z7f3 жыл бұрын
2억에 매수걸어놔야지 깔깔깔
@메가비트-d6v3 жыл бұрын
그거 부엌 싱크대를 전체 교체하면 해결됩니다. 얼마전에도 같은 뉴스 나와서 답답한 사람들은 본인들 경비로 자제바꿔서 재시공했었음
@해바라기-z2x3 жыл бұрын
많은부분이 있겠지만 천장에어컨이 설치된곳이라면 그문제로 인해 벌레가 생기는걸로 들었습니다. 공사중에 현장에서의 소변등 오물로인해 그대로 덮고 쌓는다는 정보를 공사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로인해 알게 되었습니다.
@miyoungpark50263 жыл бұрын
공사하시는분들 똥,오줌싸서 시멘트에 섞어 바른다는 소리 들었어요
@hippone_s3 жыл бұрын
자기가 떠서 바르는건데 그걸 왜 섞어발라욬ㅋ 그냥 지하계단실가면 고개돌리는 구석탱이가 화장실임 지나가면 찌린내
@내란의힘윤석열파면3 жыл бұрын
@@sungik2496 니가 그런똥통에 살아봐ㅡ 그런말안나올걸?
@ddiyong.e3 жыл бұрын
실화임..? 극혐이다;;;
@차차-k1m3 жыл бұрын
@@ddiyong.e ㄴㄴ한국사람은 없음 전부 외국노동자들 중국 놈들이 그런경우가 있음ㅋㅋㅋ
@목련-e8w3 жыл бұрын
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신축 부터 별로없었고 남향에 베란다 통풍잘되 곰팡이 벌레 없음 요즘 앞파트 베란다 없이 빌딩식에 불편 하자갈수록 많음 그러나 정부 국회는 방관
저거 못잡습니다...아파트 부수고 다시 지어야합니다...세스코, 약, 뿌리는거 바르는거 별짓을 다해도 못잡습니다...옷이면 옷, 식기면 식기, 이불 , ...저거때문에 고생하고 ...잘 보이지도 않고 먼지 같아서 치우면 스물스물 기어가서 소름끼칩니다...결국 이사햇죠....저거 절대 안 없어집니다...전 그나마 투룸 오피스텔 월세라 나왓지만...참내 저거 아파트 산 사람들 어쩌나 ㅠㅠ..아 글구 무조건 가구에서 나오는 겁니다...무슨 외부유입? ㅎㅎ
@jm-sm5es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저도 예전에 일산 신축 오피스텔에서 먼지다듬이 생겨서 세스코 3번 오고 청소했는데도 계속 나타났습니다. 월세라 기간 만료 후 나왔지만 너무 힘들었습니다..ㅠ
@jinmin48123 жыл бұрын
싱크대나, 신발장, 붙박이장 같은 나무 끝부분에 마감재를 잘 해야 이런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을것 같아요 . 나무 끝부분에 뭐를 칠해서 마감을 한다던지... 아니면 어떤 재료로 잘 씌워서 마감을 잘 했으면 괜찮았을것 같아요 . 그리고 공사할때 나무를 비에 맞히지 않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user-cevxsarux3 жыл бұрын
건축사는 돈을 아낄려고 무슨짓이든 합니다 ㅎㅎ 아파트 지을때 인부들 화장실도 없어서, 그냥 아무대나 똥싸고 벽이나 바닥에 씨멘트로 묻어버려요ㅎㅎ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user-cevxsarux 염병할놈들 그런집에 지들도 분양받아 살거 아니여
@k-30303 жыл бұрын
응급처치로 한동안은 제습기와 살충제를 뿌리고 진공청소기로 빨아야 할 듯. 다른 얘기긴 하지만 합판을 비맞히고 썩히니깐 그 합판을 갉아먹고 자라는 애벌레가 있더군요. 저 집도 습도가 높아서 목재가 썩고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박순자-r5y3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새집지어 새 가구넣고 나니 바퀴벌레 새끼들이 새까맣게 깔려 밤에 나왔는데 붕산가루 설탕 반반 섞어 곳곳에 뒀는데 깨끗해 지더군요 희안하게 사채도 안 보이더군요 종류 는 다르지만 한번 해 보세요
@유자향기-u7r3 жыл бұрын
@@박순자-r5y 새집에 바쿠벌레가?
@romantic_CAT123 жыл бұрын
징벌적 손배로 강력하게 처벌해야 이런일이 줄어들지...
@정미-s6s3 жыл бұрын
2255세대중 500여세대가 그렇다고하니 공통적으로 저층만 그런것인지 확인해보시고 빨리 해결되셨으면 합니다.
@여바람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전 아파트 다 퍼져요.
@임지선-p6j3 жыл бұрын
비와 바람의 방향에 영향이 있었을까... 그런데 층간으로 옮겨갈수도 있을듯~
@집사는괴로워-t5d3 жыл бұрын
하청업체들이 붙박이장.싱크대장 같은거도 원가 후려쳐서 하청주니... 이꼬라지
@일만하는김삿갓용달3 жыл бұрын
가구들 다 뜨어내고 재시공해야 하지않나요?
@오대리-u5z3 жыл бұрын
껍데기만 번지르르한… 속은 섞어빠진 아파트군요! 진짜 끔찍하네요!
@아카시아-o2z Жыл бұрын
저러고도 억대
@catchtiger2053 жыл бұрын
요즘 신축 공통 하자임.. 먼지다듬이 + 곰팡이 ... 먼지다듬이 벌레를 관리실로 전화 해서 해결하라면 뭘 어떻게 하라는 건지..
@kenzomind3 жыл бұрын
그게 관리실에서 해결할 일이죠 관리실 단어 뜻 몰라요?
@oasis23603 жыл бұрын
먼지다듬이 시간 지나니까 없어지긴 했는데..영상속은 우웩 심하네요
@bitchfuckgirl123 жыл бұрын
관리비도 다 내는 건데 당연히 거기서 해결해 줘야줘ㅋㅋ
@찹쌀모찌-w7r3 жыл бұрын
@@kenzomind 벌레소굴이 될 조건으로 집을 올려놓고 관리는 관리실에서 하라니 ㅋㅋㅋ논점파악도 못하는애한테 뭘 바라겠냐.
@kenzomind3 жыл бұрын
@@찹쌀모찌-w7r 논점은 니가 파악못했지 원인 제공한 시공사는 과실이 있는거고 이부분에 대한 책임은 지는건 당연한거고 평소에 문제가 생겼을 때 관리사무실에 이야기하고 문제가 생각보다 카지면 관리단 의결로 소송으로 가는거지 관리사무소는 그 주택단지 를 관리하기 위한 곳이다 일반 소유자 세입자가 입주자대표회의 이런곳에다 민원 넣겠냐?
@You_face13 жыл бұрын
먼지다듬이 건설사에서 설치한 목재 가구에서 나올텐데....
@viper1713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들어가서 살려고하는 이유가 벌레가 50%이상 차지하는데 이정도면 다가구나 빌라 사는거와 비슷한듯..
저희집은 빌란데 작은 책벌레 같은게 보일때가 있는데 소탕하기는 쉽지 않더라구요 벼룩이 잡는다고 초가삼간 다 태운다는 옛속담도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집안에 거미들을 이용하고 있어요 (사실 저렇게 아파트에 심한벌레 출현은 그 들어오는 길을 막아야 되겠지요) 거미가 은근히 도움줘요 청소할때도 청소기 사용 안하고 밀대로 청소하고 있어요 한번씩 거미를 발견하면 장롱 밑으로 훅 불어 넣어줘요 얘네 거미들이 얼마나 큰 도움 되는데요 지금은 책벌레도 거의 사라졌지요
@인어공주-p3z3 жыл бұрын
저희집도 그랫어요..애프킬라로 목딩뿌리고 하니깐3년후 잘 안보엿던거 같아요..
@김단-b5b3 жыл бұрын
근데 역으로 진짜 거미 많으면 집에 바퀴랑 개미가 없죠 저희집도 거미 많아서 싫었는데 대신 타벌레들은 없어요
@만두친구-e9k3 жыл бұрын
@@김단-b5b제가 오래전 부터 쓰고 있는 방법이여서 거미에 대해 관찰도 많이 하게 되드라구요 거미줄 치는 거미가 있느냐며는 그냥 거미줄 안치는 거미도 있어요 다리가 긴 거미가 거미줄 치는 거미고 다리 짧은 거미는 거미줄 안치고 돌아다녀요 특히 방충망 같은데 붙어있다가 쉬파리들을 공격하는거를 봤어요ㅋㅋ 집에도 스마트카라 음식처리기를 쓰고 있는데 고양이 두마리와 강아지 한마리를 키우고 있어 쉬파리먹이를 다없애면 우리 멍냥이 먹이를 넘보는게 있어요 그래서 부엌에 과일 껍질 같은거 조금은 남겨놓거든요 (쉬파리 알까기 전에 버려요) 이래 놔두면 절대 멍냥이 밥에 안와요 ㅋㅋㅋ 그래서 집에 쉬파리들이 조금 있지요 거미도 종류별로 있으면 다 제역할을 맡아서 하더라구요ㅋㅋ
@펄른엔젤3 жыл бұрын
거미가 보기엔 징그러워도 익충이죠. 사람한테 도움되는 곤충..
@최수현-k3k2j2 жыл бұрын
아.. 저희집 주변에 나무가 많고 산도 가까워서 거미가 집에 가끔 있는데 기겁하고 죽였는데.... 책벌레나 먼지더듬이(똑같은 거 아닌가 싶긴한데 ㅎㅎ) 차라리 거미가 낫죠
@@룰루-q2k8h 그게 뭐에요?? 한국에 무슨 속설같은게 있나요?? 항상좋은일뒤에는 안 좋은일이 있곤해서 호사다마라 생각하고 넘어가려고 하는데 암튼 더 조심해야겠죠 레미콘 트럭이 뒤에서 제 차를 박살낸거라서 ~앞으로는 더더욱 큰 트럭을 피하도록 하려구해요 평소에는 큰 트럭을 피해다니는 습관이 있는데 뒤에까지 신경쓰기 힘든건 있더라구요
@---ke2bh3 жыл бұрын
나도 평생 벌레한번 본적없는 집에서 살다가(그냥 날라다니는 날파리 그정도..) 이사온집에서 조그마한 개미가 너무 많아서 진짜 너무너무 스트레스 받고 바닥 밟기가 무서워 죽겠더라고요... 그래서 평생 이런 생각 안하다가 다음에 살 집 가기 전엔 무조건 층간소음과 벌레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기로 생각했어요. 진짜 벌레 있는 집에서 사는거 죽기만큼 싫음
@polarizedwavehorizontally79843 жыл бұрын
거진 30년된 구축사는데 곰팡이는물론 벌레 없음 남향에 해 짱짱하고 따뜻함
@승난곰3 жыл бұрын
@acd see 나무를 제대로 건조시키면 벌레 안 생김 가구 만들고 남는 쓰레기 압축해서 파티클보드를 만드는데 그걸로 주방가구를 만드니 곰팡이 천국
@해솔-u4m2 жыл бұрын
시공사에 책임을 물어야합니다
@경숙김-m7q3 жыл бұрын
건설사 시공사 머리맞데고 신속하게 해결해 주심 되긋네요 스트레스 장난 아니겠네요 진짜 다들 떠벌떠벌 하지말고 즉시즉시 해결해 주세요 하자가 있으면 고쳐줘야해요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해..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neonfishplus3 жыл бұрын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적극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해야 한다.
@million4213 жыл бұрын
시공사는 거품 분양가로 이익챙겨 떠나고, 하청에 재하청으로 날림공사에 저급 자재로 도배를 해도 평당 3~4천 으로 분양시켜 입주자들 멘탈 날려버리는거다.
@su-qs4kk3 жыл бұрын
건설업체 아래 하청 없자는 중국 국적자들이 시공 한다 않보이는 곳은 완전 부실시공 하더라 내가 보니까 법을제정 해서라도 철저히 감리해야
@행운-t5o3 жыл бұрын
새아파트라고 다 좋은게 아님 집안에서 내뿜는 독을 마시고 산다고 보면 됨. 집은 지은지 오래되고 마당잇는 집이 최고임
@차가운호구3 жыл бұрын
왜 독을 내뿜음?
@심하앜3 жыл бұрын
@@차가운호구 새아파트가면 공구리냄새 한번도 못맡아봤어요? 새 콘크리트 냄새만 맡아도 머리아프던데ㅎㅎㅎ
@성민-h2l3 жыл бұрын
제발 말짱하게 다 지어진 아파트 눈으로보고 판단해서 살수있게하자....
@J초코파이3 жыл бұрын
아ㅜㅜ 정말 속상하고 스트레스 받을것 같네요ㅜㅜ 빨리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kmsjust3 жыл бұрын
요즘 건설노동자 대부분이 중국인입니다. 옛날에는 대부분 한국인이였죠
@이불사랑-j9b3 жыл бұрын
이건 국적문제랑 전혀 상관없는데요? 저건 불량자재 써서 생긴 문제인데요?
@kmsjust3 жыл бұрын
@@이불사랑-j9b ㅋㅋㅋㅋㅋ 조선족등장 자재문제가 아니라 자재관리 문제입니다. 나무에 화학처리 합니다. 비오는데 방치 하고 안버리고 재사용 한 결과입니다.
@겅터스3 жыл бұрын
그런 헛,소리 때문에 벌레 소리 듣는겁니다 ㅉㅉ 상관도 없는 문제를
@errii0404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들보면 2000년대 초중후반쯤에 지어진 아파트가 제일 좋더군요. 주차문제나 시설노화는 있을지언정 건설상의 하자는 거의 없고 구조도 뭔가 공간날림없이 잘 지은거같더라고요.
@세월-x3f3 жыл бұрын
제가 2009년에 입주아파트 살고 있는데 벌레는 전혀 없었고 다른건 튼튼한거 같은데 단지내 인도블럭이 영 시원찮네요 ㅎ
@buthead23 жыл бұрын
90년대 중반부터 삼풍등 여러 부실공사로 민감할때라,2000년대 초반까지는 재대로 자리잡을 시기였죠... 요즘은 다시 퇴보함...ㅠㅠ
@errii04043 жыл бұрын
@@buthead2 결국 대한민국은 큰일이 한번 터져야 문제가 바로 잡히려는건지....
@제3의눈차크라3 жыл бұрын
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 아파트가 제일 좋음 삼풍 백화점 이후로 시공할때 엄청 빡세게 짓는다고 하던데 철근도 엄청 넣고 그리고 그때는 외국인을 안쓰고 한국인들이 지었으니.....
@제3의눈차크라3 жыл бұрын
@@buthead2 외국인 써서 그럼.....
@보리-c5u3 жыл бұрын
먼지다듬이는 여름에 심하게 나오고 겨울에는 잘 안 보이더라구요.그리고 새아파트에서만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책이나 종이 옷 사이 걸레받이 몰딩 사이에서 제일 많이 나타나고 저는 계피로 청소 하면서 그나마 위안을 삼았어요. 다른 것보다도 한번 보고 나면 정신적스트레스가 장난아닌데. . .ㅠㅠ
@kunpark85653 жыл бұрын
1000만원 과태료??? 500세대 목재 교체하는데 수십억 나올텐데 보수 안해주고 그냥 과태료 내면되겠네..ㅋ 저 문제 이미 몇년전부터 계속 반복되고있고 TV뉴스에도 매년 나오고있는데 원인이 완전 건조되지않은 벌레 알들이 있는 저가 자재를 사용한게 원인이라고 몇년전에도 결론나왔는데 계속 반복되고 있구만.....🤬🤬🤬🤬🤬🤬🤬🤬🤬🤬🤬🤬🤬🤬🤬🤬
@deeppak53263 жыл бұрын
롯캐 살다가 먼지다듬이때문에 넘 스트레스받아서 저희도 입주 1년 남기고 전세 재연장 안하고 이사 나왔네요 ㅠㅠ
@deeppak53263 жыл бұрын
@@함께웃는세상 어디라고 딱 말씀드리긴 그곳 입주민들 생각도 해야하니 좀 그렇고 서북부 경기외곽이애요.
@윤하니_jongjong3 жыл бұрын
하자아파트 기사나올때마다 기억해두는데 gs건설 롯데건설... 점점늘어남 ㅋ
@노니나-z7f3 жыл бұрын
@@함께웃는세상 김포 좆촌 좆데캐슬엔 좆밀리에
@유소신-m6m3 жыл бұрын
롯데 캐슬 문제 많아요
@박지민-v9p3 жыл бұрын
뭐 새삼 스럽게 버섯 나는 아파트도 있는데 우리나라 현실 인거여 아파트값만 비싸고 재료는 싼거 쓰는데 호구 되는거여
@발큰3 жыл бұрын
외부유입이라고 주장을 해야 책임이 줄어들겠지.
@yadydya3 жыл бұрын
건설사가 어느곳인지부터 밝혀야한다고본다
@yjc48303 жыл бұрын
김포 ㅋㅅㅇㅍㅁㄹㅇ
@errii04043 жыл бұрын
김포캐슬앤파밀리에
@ilsang13373 жыл бұрын
500세대가 저런 엄청난 피해를 보는데 건설사에게 고작 1,000만원 과태료? 1,000만원이 건설사에게 눈이나 깜짝할 돈이냐? 껌값이 아니라 껌 종이값도 안되는 과태료.
@하루가선물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 나라도 하자보수 안하고 천 내고 만다ㆍㅋㅋ 미친 법이네.
@호랑이의하루3 жыл бұрын
껌종이값도 안되는 ㅋㅋㅋㅋㅋㅋㅋㅋ웃을 상황은 아니다만 댓글이 느무 웃기노 ㅋㅋㅋㅋㅋㅋ
@잔다-g1v3 жыл бұрын
가구 나무 원임임... 우리집도 리모델링을 원목으로햇는데 온집에 개미 파티엿음... ㅠㅠ
@엘상산시리즈3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부실 목재로 시공했다는 얘기 !!
@kueseng0193 жыл бұрын
원목이 아니라 MDF 나무 부스러기와 접착제 섞어서 만든 저가형 합판이겠죠.
@김솔직하게3 жыл бұрын
원목이 벌레가.. 원래많아요.
@sy1323 жыл бұрын
원목에 코팅을 입힌걸 써야 될것같음
@사랑의작두기3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신축인데 저게 먼지다듬이였구나.. 관리실에선 새집에선 원래 생기는거라고 그러면서 괜찮다고 그러던데.. 와... 나 저거때문에 어쩐지 몸이 가렵고 따갑더라니 ..
@PSChoi-mv7wv3 жыл бұрын
그 관리실 나쁘네요 원래 생기는거 없어요 저희도 새 아파트인데 나오니 건설사가 돈들여 3차에 걸쳐 방역해주어 지금 괜찮아요
@jinmin48123 жыл бұрын
혹시 댁에 강아지나, 고양이 키우세요? 진드기가 있어서 몸이 가렵고 따가울수도 있어요 저 주택 살때는 새집이었는데, 몸이 가렵거나 따갑지 않았는데, 이상하게도 아파트 이사와서 많이 가렵고 따갑네요 ㅠㅠㅠ
@사랑의작두기3 жыл бұрын
@@PSChoi-mv7wv 방법이 있어서 다행이네요.. 건의해야 겠어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사랑의작두기3 жыл бұрын
@@jinmin4812 없어요ㅜ 저희 온식구가 알레르기 체질이라서요 ㅠ 간지러운거 참기 힘든데 고생하십니다... 이 부분 정말 개선되어야 해요 ..
@jinmin48123 жыл бұрын
@@사랑의작두기 제가 봤을땐 나무가 문제인것 같아요... 씽크대, 신발장, 붙박이장 끝부분에 나무가 마감이 잘 되어 있어야 문제가 안 생길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나무 끝부분에 뭐로 칠을 잘 한다던가... 뭐로 덧 씌워야 하는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드네요. 가구들도 보면 마감재를 잘 쓴 그런 가구들처럼 씌우는거를 뭐라 하는지 기억이 안나는데 아무튼 뭐로 잘 씌워주면 벌레가 안 생길것 같아요. 또 공사중에 나무를 비에 안 맞게 하는것도 중요할것 같아요 . 그리고 항상 집안에 환기를 많이 해주시고 비오는 날엔, 보일러 켜서 집안을 눅눅하지 않게 습도 조절을 해주는것이 좋아요~~~ 아무쪼록 잘 해결 되시기를 바랍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