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부교들을 절대로 버릴수 없는 이유는 많은데 가장 중요한게 후속군수지원 때문입니다. 신형도입부교는 전차부대와 함께 다니며 전진만을 위해 존재한다면 구형부교는 후방군수지원을 원활하게 보급하기위해 설치한이후에도 계속 그자리에 두어야 하니까요~ 우리나란 하천이 너무 많아 절대로 버릴수없는 조건입니다.
@오세완-k3y3 жыл бұрын
ㅇㅇ
@곰형제-g6t3 жыл бұрын
리본부교도 필요한거 같으니 이참에 개량좀 하면 좋겠어요. 장병들이 인력으로 줄당기는게 좀 그렇네요. 체인걸고 동력좀 쓰면 좋을듯 합니다. 모양도 쐐기형(< <
@아무기-v6m3 жыл бұрын
그러므로 우리나라 공병들은 앞으로도 고통받을 예정
@leehyangje2 жыл бұрын
스위치 블레이드 600 같은 자폭드론 1방이면 망가지는데...
@hemlama1116 ай бұрын
@@leehyangje 그런다고 설치 안할거냐...
@무대홍-c9r3 жыл бұрын
비단 전투장비뿐만 아니라 이런 전투지원 장비의 최신화가 참 반갑네요. 오늘도 재밌게 잘보고갑니다 홍편집장님 프로랑 MSG는 진짜 매주 챙겨보게 되네요ㅎㅎ
@TheThirdman653 жыл бұрын
멋진 장비가 들어 오는군요. 대한민국 육군 공병대 축하 드립니다. 공병대 화이팅~~~~
@유수윤-m4o3 жыл бұрын
공병들 진짜 도하 준비하는데 고생 많았는데 이제 수월해지겠네요 다행입니다
@jambread8483 жыл бұрын
밀떡인가 했더니 국방티비네요, 홍편님 점점 더 활동무대가 다양해 지는게 멋져요~ ^_^
@taekwonlife3 жыл бұрын
자주부교는 진군하는 부대 따라 가고 나머지 리본 부교는 교량이 없어진 후방지역에 설치하면서 가면 좋을 거 같습니다. 한 마디로 전진하는 부대들에게 자주 부교 몰아주는게 도입 배경이 아닐까요
@춤추는곰아찌3 жыл бұрын
대박!! 이거면 레드백을 운영해도되겠네요!!
@치즈피자치즈추가3 жыл бұрын
한강만 해도 그 폭이 어마어마하니 ㄷㄷㄷㄷ
@mch6843 жыл бұрын
전쟁나면 준비 땅!해서 압록강까지 빠르게 밀고 올라갈수있겠군요.
@임영훈-j3t3 жыл бұрын
중국을 등에 엎은 북한. 공략법은 직격속도. 꼭 필요한 자주도하장비, 잘 만들어서 핵심역할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qkqhdudrka3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보급이 제일 중요하네요 전부 기계화장비면 기름 보급이 진짜 중여한듯
@kbzkbz20003 жыл бұрын
자주부교는 최전방에서 기동부대와 함께... 구형 부교는 후방에서 사용되어야 겠지요.
@AERO_K03 жыл бұрын
전투 지역에는 자주부교로 설치하고, 점령지나 자주부교가 전진한 지역에서는 리본부교로 사용하면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을거 같아요!
@hawk88733 жыл бұрын
저건 엄청난 고가품이라 최전선 긴급 돌격 도하용으로 투입되며(상황 따라 자주부교 형태이든 리본 부교 형태이든 다 쓰겠지만 암튼 후방지역에서 쓰기엔 너무 비싼 장비) 이후 아군이 진격해가면 그 지역은 기존 리본 브릿지나 장간 조립교, 간편 조립교 같은 보다 반 영구적이고 저렴한 다리 체계로 바꿉니다.
@yongkim21183 жыл бұрын
@@hawk8873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저는 진격 이후에도 계속 설치해두나? 잘몰랐었거든요
@hawk88733 жыл бұрын
@@yongkim2118 /대당 50억이 넘는 귀하신 몸인데다가 의외로 내구성이 약해서 70회 정도 쓰면 폐기, 창정비 해야 한다는군요. 오래 설치해둘 물건이 아니라 신속하게 다른 형태의 반영구적인 교량을 설치하고 얘들은 빼내서 선봉부대 따라서 계속 전방으로 진격해야 합니다.
@정해욱-v5v2 жыл бұрын
진작에 도입되어 전력화되었어야 할 장비인데 이제라도 생산에 들어간다니 공병들의 고생을 많이 덜겠습니다
@Famaji3 жыл бұрын
교랑가설단정 운전병...출신입니다. 겨울에 훈련하는게 참 힘들었어요..
@taeyeonharagu3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홍편집장 칭찬하던 그거군요 리본부교랑 호환 된다는게 최대 장점이네요
@Jesus-Christ_3 жыл бұрын
도하조교출신으로 기분 좋네요 리본 당시에 8.5세트 있어는데 교육없을때 beb 타고 속도좀 내면 스트레스 풀리고했는데 상무대 각 학교 교장들 낚시할때 저수지 중간에 설치 많이했고
@Captain_kim3 жыл бұрын
몇년도에 계셧나요? ㅋㅋ
@hawk88733 жыл бұрын
M3K?? 보통 외산 장비, 특히 미군 장비를 직도입, 라이센스 생산했을때는 K를 먼저 붙이지 않나요? KM202, KM109 등등. 그렇다면 자주 도하 교량은 KM3라고 넘버링 하는게 맞을것 같은데요. 그리고 M3가 보통 수명이 70회 정도 밖에 안되고 대당 무려 50억원이나 하기 때문에 저 장비가 도입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리본브릿지, M2베일리식 장간 조립교, MGB간편조립교등도 계속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조립교는 될 수 있는대로 기계화를 시켜서 보다 빠르고 안전한 설치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rdytogo98033 жыл бұрын
FTC 훈련때 장간조립교 200kg 짜리 부품 들고 뺑뺑이 돌던 생각하니 지금도 토 쏠림..ㅠ.ㅠ
5공병 903도하 출신입니다 오랜만에 보니 감회가.... 저거 물들어갔다나오면 정비병들 ㄷㄷㄷ
@nansaelee38133 жыл бұрын
@김규민 베어링 구리스 작업 ㄷㄷㄷ
@일삼제로3 жыл бұрын
자주부교도 육군의 기계화도 중요하지만 일단 소총부터 바꿔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user-mc93rhO9.81hProK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포방부의 크고 아름다운 것을 선호하는 취향은 못 참죠...
@진수성찬-c1u3 жыл бұрын
한국형 자주도하 장비 몇년전에 개발하다 실패해서 포기했음ㅠ
@hawk88733 жыл бұрын
의외로 노우하우가 상당해서 개발을 포기하고 대신 기계화 조립교 쪽으로 연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잡식성챔치3 жыл бұрын
그건 교량전차
@siwooedward5013 жыл бұрын
2:09 프로펠러가 아니고 스크류
@humanplusscience44493 жыл бұрын
압록강, 두만강, 청천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좁은 나라에 이렇게 강이 많으니 부교는 많이 필요하죠.
@gorhfdl85093 жыл бұрын
구형부교는 수해나 재해발생할때 사용하면 되지
@202tf63 жыл бұрын
역시 규모의 경제를 이길 수 있는 건 없다.
@남자탁용삼3 жыл бұрын
자주도하장비 언제 도입할까 🤔?!
@birdsky86223 жыл бұрын
30대에 350미터니까 한강을 건널려면 500미터잡고 왕복으로 설치할려면 여분까지 100대 정도는 필요하네~ 얘전에 자전거 타면서 행주대교 밑에서 훈련을 했던건지 모르겠는데 리본부교 트럭들이 많이 와있었는데.... 행주대교쪽이 서울에서 한강폭이 좁고 주변에 공터도 넓어서 훈련하기는 좋은 장소같더라고~
@geni03483 жыл бұрын
고전영화 머나먼다리(마켓가든작전배경)보면 베일리식부교도 있었는데
@방구석슈터3 жыл бұрын
최대 70톤급 전차를 옮길수 있다는 M3K가 도입되면 60톤 넘는 국군 전차들을 볼수 있겠군요 폴란드 사업용으로 설계된 보기륜 7개짜리 K2PL전차 도입도 가능할듯
@thebravegallade7313 жыл бұрын
@@달빛-u1o 나머지 요소 따지기에게는 미군은 같은 다리에 70톤 m1a3굴림... 그만한 파워팩만 만들 수 있으면 됨
@hawk88733 жыл бұрын
@@thebravegallade731 /M1 70톤은 숏톤, 즉 미국 톤이라 그런것이고 실제 표준톤으론 63톤 정도 입니다. 요즘은 뭘 자꾸 덕지덕지 부착해서 70톤 가까워 지고는 있지만요. 글고 일반 교량 중 32톤 안전 통과 하중 정도면 70톤 정도 통과는 가능합니다. 다리가 많이 파손되니까 문제이지요.
@ZZ-hy9pp3 жыл бұрын
BEB 운전병으로 복무했었는데 추억이네요. 2공병여단 도하중대 잘있나요
@BlackSkyUploadTube3 жыл бұрын
리본부교 자동 조립기가 있으면 좋긴 하지만 국방부가 살지 의문이네요
@jamesyang14213 жыл бұрын
금천구 독산동 도하공병단 95군번 리본부교 운전병 출신으로 리본부교 얘기라 더 관심을 가지고 본 1인입니다 잘 알지도 못하고 얘길 하네요 무슨 준비시간이 6시간이나 걸립니까?? 강동대교 훈련하면 3시간에서 3시간30분이면 한강다리 하나 다 놓습니다
아예 리본부교를 운반 할 수 있는 자주 차량이 개발 되는 것도 괜찮을거 같아요. 차량이 부교를 하천에 설치할 수도 있고 자주 부교 차량처럼 긴급시에는 하천에 바로 들어가게 개발 하는 방법요. 하천에 대해 잘 모르지만 이러면 어떨까요?
@enoeht96293 жыл бұрын
한국전쟁 당시 북한이 서울에서 3일이나 머물며 시간을 허비했던 유력한 이유로 추정되는것중 하나가 도하장비의 부족입니다.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한강철교가 폭파된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폭파하지 못했고 결국 북한은 일부 파괴된 한강철교를 수리해서 전차를 건너보냈죠. 도하장비의 소유 여부가 전쟁의 승패와 한 나라의 운명까지 결정했을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다시쓰는징비록임진왜3 жыл бұрын
이제서야 각종 장갑차량 방어력 개선 위한 중량 좀 늘릴 수 있겠네.
@서용상-l8j3 жыл бұрын
공중도하가 가능 한가요?
@Uh_sa_park_91.3 жыл бұрын
와 기존 리본부교랑 호환이 된다고?? 덜덜;;;
@xksgordlekqdlekaufryd3 жыл бұрын
대동강에 자주부교 놓고 진격하려면 많이 필요할 듯 ㄱㄱ
@jjlee67893 жыл бұрын
88년도에 공병대에서 개고생했는데 이제 공병들 좀 편해지겠다...
@user-mc93rhO9.81hProK3 жыл бұрын
정말 고생 많이하셨습니다. 선임 분들이 있어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 겁니다.
@룰러바이-k6m3 жыл бұрын
리본부교 6시간 안걸려요ㅡㅡ 1시간이면 되는데!!
@ChocoMilkTea13 жыл бұрын
우와...이거를 도입한 나라들 전체의 전차보다 많다니 ㅋㅋㅋㅋㅋ
@jaehyunpark38703 жыл бұрын
왠만한 유럽들 모아놓은 것 보다 국방력이 강한 대한민국이니...
@hawk88733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전쟁의 위협이 상존하고 있다는 소리니 별로 좋지는 않은 상황이지요.
@Frontera63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공병들의 수고는 조금 줄어들겠네요. 부교만드는 공병들 영상보면 진짜 고생이 심하던데.
@최재호-v4k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도하드립ㅋㅋㅋㅋㅋㅋㅋㅋ
@최문일-o8f3 жыл бұрын
ㅊㅊㅊ
@Captain_kim3 жыл бұрын
도하작전은 잘훈련된 부대는 반나절이면 할 수 있습니다!! .. 와 근데 자주도하장비가 기존 리본부교와 합쳐질 수 있다니....
@frozensea2513 жыл бұрын
아쉽다.. 도하단 B.E.B뱽 출신인데...
@헬베르트폰카스펜3 жыл бұрын
1901?
@남자탁용삼3 жыл бұрын
한국형 자주부교 독일의 m3자주부교 vs 영국 터키의 AAB자주부교 어떤게 낮을까 🤔?!
@hawk88733 жыл бұрын
M3 자주부교는 실전 경험도 풍부하고 많이 공급되어 검증되었고 AAB는 8륜 주행이라 도로 주행 성능, 험지 주행 성능이 4륜인 M3보다 낫고 성능도 조금 낫다고는 하는데 아직 실전 경험도 없고 판매량도 매우 적은 편이라고 하네요. 중량은 AAB가 시스템이 복잡하여 훨씬 더 무거워서 불리한 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기술이 그렇게 어려운건가? 저정도 양이라면 충분히 국산으로 가능할꺼같은데? 조선기술력이 안좋은것도 아닌데... 다르려나?
@stern1213 жыл бұрын
군대 장비는 참...안살 수 도 없고 정말 돈 먹는 하마들이네요.
@fdjdhfdk77623 жыл бұрын
국산화 하자.
@HS-zm5kg3 жыл бұрын
공병에 종사한다는 표현보다 복무한다는 표현이 적절하지않을까요?
@goi97793 жыл бұрын
k9 자주포 쓰면서.........105mm 똥포도 쓰는거보면,. 참 못버려요...
@thebravegallade7313 жыл бұрын
규모도 중요해서
@hawk88733 жыл бұрын
@@thebravegallade731 /이미 도태 수순으로 들어가서 상태 좋은 105는 차량화되고 나머지는 없어질 겁니다.
@mekopark32013 жыл бұрын
근데 잠수함도 만드는데 자주부교 만들 짬은 안되는건가; 묘하네...
@hawk88733 жыл бұрын
해본적이 없으니까요. 글고 자주 부교 원천 기술이 생각보다 상당히 기술적 수준이 높아서 비용과 시간 고려했을때 직도입이 낫겠다고 판단해서 포기한것으로 압니다. 국내 기술 가지고 개발은 가능할지 몰라도 이 경우 도입가격이 너무 높아져서 현실성이 없었거든요. 직도입한다해도 대당 50억원을 호가하는 엄청나게 비싼 시스템입니다.
@alexalex-cy5nr3 жыл бұрын
현재 준장 진급 후에 보직을 받지 못한 자가 3 명이랍니다. 연대장일 때는 업무추진비가 있었으나 준장 진급 후에 보직을 못받아 업무추진비가 없는 장성이 생겨 연대장 보다 못한 장군이 있는 것입니다. 올 하반기에도 장군 진급 심사가 있어 내년에 신규 준장이 임명될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장성의 임명 후에도 보직을 받지 못하는 준장은 퇴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끝.
@카니언-p3j3 жыл бұрын
우리 국민을 지키려는 의지와 책임을 보여주십시오 2020년 공무원 표류사건에서 국방부의 책임있는 행동을 부탁합니다.
@어슬렁곰아재2 жыл бұрын
요즘 같은 시국.. 생산 인력 졸라 부족 시기가 오니.. 부가가치 적은 , 수출 라이센스도 없는데 직접 생산 하는 건 바보짓이지 싶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