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충분한영양,스킨십 돌때까지 아기가 원하는거 민감, 즉각적 충족시켜주기 엄마의 자신감(내 아이는 내가 제일 잘 안다)
@채원맘-w5h11 күн бұрын
ㅡ ..캬캬 난 8ㅑ
@천재-p3j10 күн бұрын
처음부터 듣자 차분하게
@까만괭7 күн бұрын
배우신 분
@승원-p7u7 күн бұрын
돐🎉
@dd0b0gii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karlinkang603111 күн бұрын
24개월까지 24시간붙어서 아기보면서 내인생에서 가장 체력적으로 힘들었어요ㅜㅜ 그래도 3세까진 무조건 애착이중요하다해서 쉬지않고 말해주고 스킨십해주고 즉각반응해줬습니다 이제두돌이지만 말을정말잘하고 눈치도빠르고 사랑스런아이로잘 자랐답니다 어린이집일찍 안보낸거 후회하지않아요 이런영상보면 잘했다고칭찬받는기분입니다 잘키워서 사회에도움되는 멋진어른으로 성장시킬게요❤❤
@luckylife758111 күн бұрын
아기가 4개월 되었어요 제 주위는 동생,친구,지인맘들 다 일찍 얼집보내거나 계획을 하더라구요 그게 좋은것처럼 당연한것처럼 해방하는것처럼 생각할때 혼자 괴리감이 들고 내가 잘못생각하나? 햇엇는데 이런 댓글보고 제 생각을 의심하지않고 믿어볼래요. 댓글 분과 아가가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바래요^^
@김금아-o5z11 күн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어머니시군요 잘키위서 사회에 필요한 일꾼으로 아이가 잘자랄것같아요
@에비후라이10 күн бұрын
우리 부부는 지금 25개월 된 아기를 육아 중입니다. 제 아내는 육아휵직을 3년 하고 있고, 저는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 퇴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둘이 붙어서 육아를 한지 어느덧 25개월이 됐네요. 그냥 행복합니다. 힘들었지만, 그만큼 보람도 있고, 아이와 공감하는 매 순간 기쁘고 보람있고 그렇네요. 화이팅.
@크리스틴-h4p10 күн бұрын
즉각반응은 안좋음
@김비담-d9y9 күн бұрын
요즘 부모들은 너무 극성임
@손병준-g6u10 күн бұрын
27개월 딸래미 키우는 아빠인데요 와이프가 최소 3년은 품에서 키우고 싶다고 말했고 의견을 존중해 와이프 퇴사까지 결정, 현재 외벌이 중입니다. 경제적으론 풍요롭진 못하더라도 지나가면 다신 없을 이 시기에 아이와 함께하는 놀이, 책읽기, 산책, 세상을 구경하는 것 등등 정말 좋아요~~!! 행복한 나날들입니다 ㅎㅎ
@바스터즈-p7n10 күн бұрын
와이프 잘만나셨네요..
@J.k-j1d10 күн бұрын
정말잘하고 계시네요~~^^
@yuriko28779 күн бұрын
화이팅!!!!!!
@하하호호69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나중에 취업불가 ...그게현실 돈없어서 매일싸움
@lovelove06899 күн бұрын
어린이 집은 안다니나용?
@다올-p7w11 күн бұрын
어떤 이유로 인해서 그렇게 하지 못한 부모들도 많지요 저 또한 그렇기에 이런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되면 자책되고 우울감에 속상합니다. 부모가 정석대로 해 준 아이들만 잘 자란다는 느낌을 받게 하니까요. 하지만 금방 자책에서 빠져나와 늦었더라도 열심히 긍정적인 자극을 주며 아이를 잘 키우면 됩니다. 누구 하나 부모가 포기 하지 않으면 행복하고 건강한, 평범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랄 수 있다고 생각해요
@린도수10 күн бұрын
괜찮아요 항상엄마가사랑한다는 감정이 전달되도록 스킨쉽 많이 해주셔요 환경이나 상황에따라서요
@qwls-if2ud6 күн бұрын
따뜻한 말씀 감사합니다
@일상다반사-y8z3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사춘기 되면 또 달라요. 때마다 잘 채워주면 되지요 ~~
@BominKim-j9h9 күн бұрын
13:00 부터 개인적으로는 중요한 메세지라고 생각됩니다. 가정보육한다고 애착관계가 잘 형성된다고 단정지을 수도 없고 어린이집 간다고 죄책감 가질필요도 없어요.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이 시기가 중요하다는것을 인지한다면 보육체계도 발전할 것이라는 메세지가 있다고 생각해요. 어린이집 선생님에게도 애착, 교육 부담을 주기보다는 시스템을 더 구축해야한다고 생각되고 양육자들도 아이와 함께하는 순간순간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질 적인 애착을 높여야되는것 같아요.
@rillasujin9 күн бұрын
정말 3년 반을 집에 데리고 있었어요 집밥에 매일 산책하면서 지냈죠 책도 많이 읽어줬어요 다행히 지금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는데 많은 역활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자두자두졸린자두11 күн бұрын
이렇게 훌륭하신 분의 귀한 강의를 집에서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음에 감사합니다. 18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어요. 이미 놓친 부분도 좀 있지만 앞으로 최대한 교수님 말씀대로 키우겠습니다. 복받으세요~
@KHC-gz7ll8 күн бұрын
제 자랑 같지만 저는 일찍 6개월부터 아이 어린이집 보내고 일했는데 아이랑 애착형성이 정말 잘되었고 주변에서 아이 발달 너무 빠르고 잘하는 것들이 많다고 칭찬 많이 받습니다^^ 퇴근하고 아이 하원하고 집에 오면 하루 30분은 꼭 아이랑 놀아주고 따뜻하게 이야기 나누고 잠자리는 항상 제가 봐주면서 노래불러주고 아이 어린이집에서 하루 있었던 일들 읊어주며 아이가 오늘 하루 즐거웠던 일 이야기해주고 동화도 들려주고요~ 자기 전에는 꼭 안아주면서 오늘도 내일도 행복하자고 하고 많이많이 사랑한다고 말해줍니다~ 분리수면도 일찍 시켜서 하루 12시간 푹재우고 아침마다 굿모닝 행복하게 인사하고 뽀뽀하고 안아주고 준비해서 어린이집 등원시키는데 엄마랑 빠바이 잘하고 이따 또만나자고 사랑한다고 하고 인사하고 헤어져요~ 일하는 엄마들도 잘키울 수 있으니 너무 죄책감 갖지 마시고 표현과 사랑 잘 해주시면 아이는 건강하게 잘 자랄거라 믿습니다❤
@박유진-e7k7 күн бұрын
경제적 이유로 복직을 해야하는데 위로가 되네요 워킹맘들도 애착형성을 잘 할수있다니… 좋은글 감사해요
일찍 부모와 떨어져 어린이집 간 아이들 특징이 뭔가를 많이 배워온다는겁니다 부모가 잘 가르쳐서 그런게 아니구요 누구든 일찍 보내면 잡다한걸 많이 배워와요. 퇴근하고 하원시키러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이는 다른아이들 하원할때 보면서 부모 기다리고있어요. 자기가 할 수 있는게 없고 스스로 본인의 감정을 피력할 수 없어 따를수밖에 없으니 상황에 맞게 적응하는거지 잘 지내는게 아닙니다. 분리수면 잘 하다가도 아기가 갑자기 부모를 찾기 시작해 실패하는경우도 아주아주 많구요. 육아에 답은 없다지만 아이가 부모,가족과 떨어지는 상황은 인류 역사99퍼센트에달하는 시간동안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입니다. 좋은게 아녜요
@user-np5od4zn2v7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즣은 국공립.가정어린이집이라도 집에 계시면서 어린 아가들 4시 넘어 6시에 데려가시는 행동은 자제해주세요. 부모가 귀하게 여겨야 교사들도 아가를 더 귀하게 여깁니다.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다 보면 말로만 다칠까 물릴까 초예민하면서 교사에게 당당하게 많은 요구사항에 늦게 데리러 오시는 부모님... 0.1세 아가들 안쓰러우면서도 휴가기간이고 전업인걸 알고 있는데도 항상 8시 등원 5, 6시 하원.. 이건 아니지않을까요.
@chimanlee82476 күн бұрын
뭉클하네요 저도 이렇게 키워주세요...
@zzung77044 күн бұрын
이 분 익산에도 강연하러 오셨는데 육아에 도움되려고 일찍부터 신청하고 갔는데 강연시간도 늦어 늦었는데도 바로 시작안해. 더구나 강연은 PPT 자료를 빠르게 넘겨가며 정말 성의없어 놀람. 질문도 기차시간때문에 3명인가 받고 마무리. 제가 경험한 최고 불성실한 강의여서 확실히 이름 석자는 각인이 되었네요.
@가라테스크8 күн бұрын
천재는 타고 나는듯~~ 그냥 인생은 흘러가는대로 인성만 교육 지대로 시키면 됩니다
@greenkwon972213 күн бұрын
17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습니다 강의가 아이를 이해하고 양육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마지막에 내가 캡틴이다! 자신감 가지기 새겨듣겠습니다 맞벌이라 18개월부터 아기를 어린이집에 맡겨야해서 제가 많이 불안했는데.. 장기적으로 아기를 위한 결정이기도 한 것을 기억하고 불안해하지않고 더 사랑해주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MioMck10 күн бұрын
커서 이런 저런 교육에 많이 투자한다고 해도 크게 변하는 건 없고, 오히려 이미 주사위는 만3세 이전에 던저졌다고 하더라구요. 예전에 어느 다큐멘터리에서 봤어요. 첫3년은 어린이집 웬만해선 보내지말고 애착 육아 해요❤ 꼭 보내셔야한다면 잘 알아보시고 믿을 수 있는 곳으로 보내세용 체력적으로 힘들었지만 만 3세가 지난 후에 시간적 여유가 많이 생겨 힐링하는 시간을 제대로 가졌어요. 지금은 둘째 계획 중 여러 책들을 바탕으로 아기 두뇌발달과 정서에 좋은 꿀팁 몇가지만 남기고갈게요^^ 1.만2세 이전에 스크린 시청은 두뇌 발달에 치명적임. (아이가 오감을 마음껏 다 느낄 수 있는 환경 조성) 2.아이들이 어른보다 환경에 훨씬 예민함. 아이가 지내는 방을 아이의 눈높이에서 최대한 매력적이고 예쁘게 정리되어 있도록 조성. 더럽고 난장판인 환경에서 아이들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음. 3.혼자서 할 수 있는 것들은 혼자 할 수 있게끔 도와주기.(이거 실제로 직접 다 해주는 것보다 힘듭니다. 하지만 가치있어요) 저는 마리아 몬테소리가 제시한 개월수 별 할 수 있는 활동 참고했어요. (스스로 옷입기, 대소변 가리기-18개월, 스스로 밥먹기.등등 이 모든게 만2세 이전에 다 가능하다는거 꾸준한 시행착오와 훈련이 필요하죠.) 4.아이가 태어나자마자 꾸준히 소통하기 옹알이에도 다 대답해주고 아이의 사소한 요구를 잘 알고 받아주기. 그럼 아이는 세상이 살 만한 곳이라는 걸 배운다고해요. 5. 자연 속에서 최대한 많은 시간을 보내기 6.이건 음악,예술 좋아하시는 분께 추천 조수미님이 어릴 때 (심지어 뱃속에 있을 때부터) 어머니께서 가장 좋아하시던 소프라노였던 마리아칼라스 음악을 하루종일 틀어놓으셨다고해요. 그리고 조수미님 완벽한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다고하시죠. 모차르트, 브람스, 웬만한 클래식 음악도 아이들 정서 발달에 좋아요.^^ 저는 사실 만 2세까지 정말 최선을 다해 육아했고 지금은 아이 만 5세가 되었는데 제 인생 즐기며 남편과 아이와 살고있어요. 중요한건 지금은 기본적인건 케어하지만 그렇게 아이에게 크게 신경쓰지 않는데도 아이가 정서적으로 무척 안정되고 밝고 자랑스러울 정도로 잘 자라주고있어요.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 존경합니다😊❤ 화이팅이에요~! @sweet4460 댓글이 지워져서 여기다 첨부합니다. 저는 외국에 살아서 MONTRSSORI FROM THE START 라는 책을 참고했는데 한글 번역본을 찾아보니 없네요. 그래서 구글에 Psycho-Sensory Motor Development 을 치시면 이 책에.나오는 30개월까지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의 타임테이블이 대충나와요. 참고하시고, 시모네 데이비스가 쓴 몬테소리 육아대백과도 추천드립니다.
@에비후라이8 күн бұрын
@@MioMck 꿀팁 감사합니다. 나이따~
@user-qz3iz6ek5z7 күн бұрын
이때가 나타나는것이 아닙니다 사춘기 이후 20대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긴장을 풀지 않으셔야 합니다 자랑아닌 자랑으로 들립니다
@sweet44607 күн бұрын
혹시 마리아 몬테소리 책 어떤 것 참고하셨을까요...?!
@MioMck6 күн бұрын
@@sweet4460 댓글이 지워져서 답글을 제 글 마지막에 첨부해놨어요~
@MioMck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댓글이 계속 지워지네요. 저는 외국에 살아서 MONTRSSORI FROM THE START 라는 책을 참고했는데 책저자가 몬테소리가 아니고 Paula Polk Lillard and Lynn Lillard Jessen 이네요. 정정합니다. 한글 번역본을 찾아보았는데 네이버에선 없네요. 그래서 구글에 Psycho-Sensory Motor Development 을 치시면 이 책에.나오는 30개월까지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의 타임테이블이 나와요. 참고하시고, 시모네 데이비스가 쓴 몬테소리 육아대백과도 추천드립니다~
@JasminCha-d5sКүн бұрын
울 아가랑 앞으로 함께할 시간들이 더 기대가.됩니다. 감사합니다 ❤
@oilf53335 күн бұрын
며느리가 학교다녀서 2살 6개월 손녀를 보고 있는 60할머니 인데 애기 보기 정말 힘드네요 손녀가 노는거에 목숨걸어서 같이 뛰려니 체력도 딸리고 그래도 집에 갈때 꼭 할머니 사랑해요 한 마디와 꼭 안아주고 가니 힘든게 다 녹아 버리네요
@eunyoungseok89214 күн бұрын
와 너무 멋진 할머니세요 아이들이 할머니 사람 듬뿍 받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따뜻하게 자라날지… 복받았네요 제가 다 너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배신자찬수3 күн бұрын
존경합니다
@감자-s8p3 күн бұрын
할머니인데 타자잘치ㅛㅣ네요
@DD_TVКүн бұрын
정말 대단하세요.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changsulee288312 күн бұрын
진짜 최고의 강연입니다❤ 감사합니다
@쑥부쟁이-g2w7 күн бұрын
부모하고 애착관계는. 하루종일. 같이 지내는 시간의량이 아니라 아이와 눈을 마주보고 얼마나 진심다하는지가 중요하며 사랑을 느낄수있는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yks2219910 күн бұрын
그냥 애가 하고 싶은거 하게 하고 자유롭게 키우면 됩니다. 3살 전에 뇌 걱정하고 조기 교육이다 머다 이런 나라는 우리나라 뿐이 없어요. 버릇 없이 행동 안하고 남한테 피해 안주는 훈육만하고 아이가 하고 싶은거 원하는거 하게 해주면 됩니다. 그럼 자연스레 공부할 애들은 공부하고 운동 할 애들은 운동해요. 공부하기 싫은데 계속 공부시키는건 부모 욕심이예요.
@명희맞는말씀이네요3 күн бұрын
격하게공감 합니다,
@송신혁2 сағат бұрын
공감 합니다😊
@지희애5 күн бұрын
15개월 딸을 어린이집 보내서 4시하원하는데요 지금 두돌인데 말을 너무잘해요 문장으로도 엄마 운동다녀왔어요? 엄마 잘 잤어요? 이렇게 얘기를 20개월부터 했어요 그리고 때리는거나 밀치는 행동하면 더 어렸을때라도 훈육 확실히 했더니 안하구요... 그리고 상상놀이 혼자놀이 상호작용 다 잘해요 저도 뇌교육을 공부하면서 애착이 중요한거 알고있지만 제 아이를 직접 키우면서 느낀건 뇌가소성이에요 뇌는 계속 변화해요 그 시기가 중요한건 알지만 앞으로도 나이가 들어서도 꾸준히 관심과 사랑을 주는게 중요해요 애착을 너무 어렵게 받아드리지말고 배고파하면 밥주고 졸리면 재워주고 많이 안아주고 적당한 규칙안에서 놀아주고 적당히 엄마아빠가 할수있는만큼 해주면 되는거같아요 애도 진심을 알아요 애기 낳기전부터 어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이요 이미 다들 너무 잘하고 있으시고 잘 하실수 있어요
@지희애5 күн бұрын
죄책감보다는 지금 할수있는일을 하세요 모든 부모님들 화이팅입니다! 존경합니다❤
@LAy9x2 күн бұрын
저는 애기 50일지나서 시어머님께 맡기고 일시작했는데 애기가 엄마아빠도 진짜 빨리말했고 인지능력도 진짜 신기할정도로 좋았어요 금방 다기억하고 외우고 말하고 신기하더라구요 솔직히 이렇게 틀짜맞춰서 이게맞고 저게 틀리다 하는건 진짜ㅠ 아닌거같아요... 누구나 내자식 내품에서 키우고싶지만 그러지 못해 마음 찢어지는 부모도많은데 말이죠ㅠㅠ 저는 책도잘 못읽어주고 혼자놀게 많이 두었지만 그누구보다 엄마를 사랑해주는 26개월 딸램이에요ㅎㅎ 엄마가 일한다고 어린이집 보낸다고 애착에 문제생기고 인지발달 느리고 그런거 전혀전혀 못느끼는 1인 추가입니다!!❤️
@historys14142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화이팅이에용
@뽀로로-e4v11 күн бұрын
애착, 조절, 공감 스킨쉽♡ 배고프면, 졸리면, 엄마를찾으면, 아이의 욕구에 즉각적반응은 12개월까지:) 엄마의자신감이 제일 중요합니다❤ 내아이는 내가 제일잘안다 뭘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이미 우린 그런 능력을 갖고있어요:)
@cloud_li8 күн бұрын
45개월까지 가정보육했어요 영상보니 잘한거같아서 뿌듯하네요
@나나-w1t6s9 күн бұрын
맞벌이 중입니다, 쌍둥이 임신이 되었어요, 전 남편이고 8개월 유아 휴직 내려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더 육아에 참여하는데 그 시간만큼 와이프와 아내에게 쏟아 부으려고 합니다ㅡ 모두 응원해요
@ChulIdeaReal9 күн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쌍둥이는 신생아시절이 가장 힘든 것 같아요 화이팅
@bominismm7 күн бұрын
제 남편은 육아휴직이 안되어 퇴사하고 함께 쌍둥이 육아중입니다. 돈보다 더 값진 시간들을 보내고 있어요! 둥이 엄마빠 응원합니다! 화이팅!
@84nahollo7 күн бұрын
5살 쌍둥이 맘입니다. 낳고 키우는거 힘들지만 클수록 쌍둥이라 더 좋은것같아요. 같이 노는모습 보면 흐뭇합니다 화이팅입니다^^
@heyding1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생후 세 살까지 유전적 특성의 강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매우 중요하다는 내용에 특히 공감합니다. 특히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것이 Physical contact!!
@Koreafamily한국가족7 күн бұрын
22개월 딸아이 아빠입니다 결혼13년만에 마흔넘어서 자연임신으로 딸아이가 태어나 현재 잘 키우고 있습니다 오늘 영상을 보고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저역시 현재 외벌이중입니다 쉬는 날에는 딸 아이와 놀아주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옆에 엄마가 있어야 아이가 안심하고 행복하다고 생각하였는데 오늘 영상을보니 잘했다는 생각이듭니다
@dinahlee421310 күн бұрын
25갤까지 얼집안보내고 제가 보고 있습니다. 저는 외출할 때마다 "어린이집 다녀요?" 라는 질문입니다 😅 저도 경제적인 자유는 다음으로 미루고, 아기랑 보내는 시간을 우선시하고 있어요❤ 똑똑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 가지고 성장하는 것 같아서 뿌듯합니다😊
@dan_chuuuu11 күн бұрын
정부에서도 이 사실을 알고 영유아교육에 더 많은 지원을 해주면 좋겠어요 경제적 지원보다도 아이들이 가정에서 충분한 사랑을 받고 자랄 수 있도록 부모들이 직장 내에서 특혜를 받으면 좋겠네요! 육아로 인해 눈치보지 않아도 되는 직장 내 분위기와 사회에서도 변화가 필요해요 그리고 영유아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교사 대 아동비율을 낮추고 처우를 개선한다면 교육의 질도 높아질 수 밖에 없어요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으로 개선한다면 당연히 출산율 상승합니다 !! 이 영상 널리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
@나나류-w8v9 күн бұрын
@@dan_chuuuu 영유아 지원을 해주려면 어린이집두 똑같이 해줘라!! 국공립.사립.민간.가정.직장 오찌 그리 천차만별이냐!!??
@나삶6 күн бұрын
@@나나류-w8v간호조무사 간호사 의사~ 같은 병원서 일함 조리종사원 급식 영양사 영양교사 다들 급식실에서 일함 하지만 월급이 같진 않아요 왜냐하면 공식적으로 들어온 루트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 정도 보수를 원하면 노력해서 선택하면 됩니다 무조건 같은 대우 해달라고 떼쓰지 말구요 그거야말로 역차별이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 사업체인 어린이집과 사설유치원에 많은 공공자금 지원되고 있습니다 얼마나 더 달라는건지... 애들 장사하면서 너무 애들 볼모로 요구하는거 눈살 찌푸려집니다 아 변호사 사무실 사무원도 변호사랑 같은 대우 해달라 할까요? 여긴 북한 공산당 아니고 자유 대한민국입니다 자기 능력에 맞게 취득하시면 됩니다 떼쓴다고 해주는짓 그만 해야죠
@냥이-g5h6 күн бұрын
성향 성격 공부머리 운동머리 전부 유전이고 타고나는겁니다 타고나는것의 최고봉인 외모는 인정하고 살면서 왜 다른 안보이는 부분들은 기를쓰고 바꾸려고들려할까요? 사회구성원으로 삐뜰어지지않게 그리고 세상을 기억하고 회상할수있는 나이대에 많은 경험을 시켜주면됩니다 사실 부모가 올바르게 살고있으면 아이도 알아서 잘 큽니다 이런거보고 자책하지마시길
@leinajin31012 күн бұрын
어린이집 늦게 보낸다고 육아 잘하고 애 잘 크는 거 아니고, 어린이집 일찍 보낸다고 애착형성 안되고 애 못 크는 거 아닙니다. 각 가정의 형편에 맞게 엄마아빠가 자기삶을 열심히 살고, 함께하는 시간동안 애랑 최선을 다해서 상호작용하고 놀아주면 됩니다😊 맞벌이하고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큰 애들도 잘 크더라구요. 엄마아빠가 자기 삶에 열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아이를 사랑하는데 아이가 잘못크는 경우는 못봤어요. 김붕년교수님 영상 찾아보고 공부하시는 분들은 다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 잘키우고싶은 분들이실텐데 모든 어머님들 진짜 훌륭하고 존경합니다😀
@realstar-Jindodog10 күн бұрын
저는 기억이 없지만 어느때나 환경이 좋아야 생명이 산다고 믿습니다 사랑 으로 자녀을 잘 키윱시다.
오은영박사님의 이혼뭐시기 이런거 보다 이런 정보가 많아졌으면...결혼후 애들을 어떻게 기르는지.행복이 뭔지
@엠마뉴엘-z4w10 күн бұрын
이 시기 놓친 엄마들 절망안하셔도 되요~ 저는 아픈동생때문에 첫째 6살까지 제 입장에서는 거의 방치였어요. 유치원에서는 우리아이만 한글을 몰랐죠. 이후 7살부터 엄청 노력하며 사랑주며 키웠어요. 3학년되니 주변에서 칭찬도 받고 스스로 학습하는 습관도 생기고 초등저학년까지는 기회가 있어요!
@REALTRUSTERS10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 대충 자연스럽게 키워도 되는걸 요즘 애들이 저런거 때문에 더 이상해지는거 같아요.
@user-bloom9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너무 힘든 육아로 엄마가 불행한 것보다 마음이 건강한 엄마가 훨씬 더 소중해요 정서는 대물림 되니까
@럭키-j9k9 күн бұрын
고생하셨네요. 아이들 생각하면 늘 후회지만 당장 지금부터, 오늘부터 더 사랑해주면 되죠.
@heejungkim70113 күн бұрын
와..정말 좋은 명강의. 감사합니다!
@지희애5 күн бұрын
첫째는 지금 24개월 둘째는 8개월 연년생인데 조금 힘들었지만 둘 낳기를 잘했어요ㅎㅎ 첫째때는 급급했지만 둘째 키우면서 배워가는게 많아요 첫째에게도 더 너그러워지구요 엄마의 감정조절이 관건이죠ㅎㅎㅎ😅
임신 준비중인데,, 맞벌이를 해야만 지낼 수 있는 저는 맘이 너무 쓰이네요ㅠㅠ 그래도 아가랑 같이 있는 시간에 더 사랑과 정성을 쏟아야겠어요ㅠ.ㅠ 아직 임신도 안했지만 벌써부터 미안해지네요ㅠㅠㅠㅠ엄마가 미안하댜,,
@mirimkwon60816 күн бұрын
미안해 하지 마세요 :) 지금도 너무 잘하고 있으세요
@김득템-q9h11 күн бұрын
우리딸 엄마가 많이 사랑해❤
@user-fv5sq7ht577 күн бұрын
영아시기가 정말 중요한 시기이고 발달에 맞는 놀이를 통해 지원을 해줘야하지요 영아들이 다니는 어린이집과 교사들의 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러한 부분을 사회가 많이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어떤 무지한 분들은 어린이집 교사라고하면 영아들 돌본다고 그냥 기저귀갈아주고 밥먹이는 직업이라고 무시하는데 이건 영아시기가 얼마나 중요한 시기인지 모르는 무지한 인식입니다..
@jueungang21997 күн бұрын
24개월때쯤 저희 애기는 “나도 어린이집 버스 타고싶어. ”그래서 27개월부터 어린이집 보냈는데 매우 잘 크고 있어요😊 애들도 다른 친구들 처럼 하고싶어 하드라구요.
@용선황-i2x7 күн бұрын
이런 내용을 보면 그럼 우리 과거 6.25때등 힘들 때 자란 사람들은 다 정상이 아니였겠네요 과잉보호 아닌가요? 적당한 애정이 중요한 것이고 다 물 흐르 듯 스스로 크는 부분도 있을 듯 합니다 정말 인간이 얼마나 3세까지 뇌에 대해서 아는지 반문해봅니다
@그런거업서요5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너무 강박을 갖고 항상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육아하는것이 더 역효과날수도 있을거같아요 제 부모님 생각하면 어릴때 고기는 구경도 못하고 자랐다고 하시고 거의 방치육아에 지금보면 경악할 환경에서 자라셨지만 저희세대보다 더 건강하시고 정서적으로도 낭만있으시고 책임감도 크시구요 그런거보면 지금은 자원과 지원이 넘치는데도 항상 불안에 떨며 육아를 하게되는거같아요 아는것이 힘인 동시에 너무 많이 아는것이 독이되는... 적당히 물흐르듯이 내가 생각하는대로 잘 키우면 될거같아요
@jiminlee706313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눈물 흘리며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ROBO-UknowWho12 күн бұрын
고등학생 교과서에 이런 내용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나올 것 같긴 한데 비중이 높을 것 같진 않음..) 인생에서 살면서 가장 알아야 하는 중요한 진리가 이거예요. 한 사람의 인생 관점이 아주 어릴적에 형성된다는거.. 다들 알아야해요
@hyunachoi981810 күн бұрын
가정수업때 나와용
@김태은-p1j10 күн бұрын
100% 공감 됩니다 이런 강의를 원하던 터인데 오늘 만나게 되어 넘 셀레며 영상봅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산후관리사인데 산모님들께 많이 말씀해드린 내용 이예요 신생아들도 말을 알아듣고 반응 한답니다 참 신기해요 그래서 산후 관리사하면서 아가들 관찰을 많이 한답니다 아가들 성향이 다 다르더라고요 똑 같은 아가는 없더라고요 다 다르더라고요 아가에 맞추어 케어해주고 있답니다 셀렘을 앉고~~ 교수님 감사합니다 진정 감사합니다
@ceciliaholm18408 күн бұрын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황예쁜9 күн бұрын
돌 전에 얼집에 보내는 딸에게 너무 빠르다 꾸중했지만, 막상 보내려면 티오가 없다니...제가 할말이 없네요...
@산마을이야기6 күн бұрын
뱃속부터 반응이 이루어 질낀데~ 최고로 중요한 강의 감사하게 시청 합니다 선생님 자격에는 성적비율보다 인성 점수를 중요시해야 되는데 안타깝게도~
@액자-m3x3 күн бұрын
저는 어린이집 너무 좋았어요 집앞 3분거리 둥이 키우는 입장에서 병원 한아이만 입원했을 때 막막했는데 낮에 어린이집 보내고 남편이 퇴근하고 한 아이만 케어하고 도움 없었으면 둘다 감염되고 너무 힘들었을을듯요 15개월부터 보냈고 18개월부터 문장으로 말하고 지금 27개월인데 5세처럼 말한다고 주변에서 들었어요 엄마아빠랑도 너무 잘 지내고 집에서 홈스쿨도20분씩 잘 진행되고 있고요~ 어린이집 만족하는건 선생님을 잘 만난게 큰 듯요.. 옆에서 소리지르는 선생님도 보긴 했어요.. 우리 아이들 맡은 선생님은 아이들앞에서 길에서 바람에 낙엽이 흩날리니 춤을 추시더라고요.. 마음이 아름다운 선생님 만나서 이렇게 만족하고 보내는 것 같아요... 저도 낳기 전에는 5살부터 어린이집 보내려고 했어요 ㅠㅠ
@mono1278010 күн бұрын
최소 3년.. 2명이면 6년 경력단절이면 내 커리어는 끝인데.. 말로만듣던 경력단절 주부가 내가 될 줄이야 대학 대학원 이후 계획된 모든것들을 내려놓게 하는 임신출산육아... 그래도 아직 돌 안된 내새끼 예쁘니 후회없지만 3년 내품에서 키워야 한다면 대한민국 출산율 반의반토막 날걸요 누가 발달애착형성시기에 품에서 안키우고싶을까요 애갖기 시작한 순간부터 눈치주고 민폐취급받다가 복직이라도 제 때 해야하는걸..
@user-bloom9 күн бұрын
너무 강박적으로 육아하지 않아도 된다 생각해요 너무 엄격함도 병이 됨
@Imlik-zo8ol8 күн бұрын
경력단절은 자기가 못한다는 증거입니다 본인에게 자신이 있으면 경력단절이 웬말인가요?
@mono127808 күн бұрын
@@Imlik-zo8ol어떤 분야에서는 일부 맞는 말이 될 수 있겠지만, 경력단절 우려없는 사람들 외에 일반 직장인들(님 말씀대로라면 능력없는 자들)은 애를 못낳겠네요 이런식의 접근은 다수의 출산에 도움이 안됩니다 당사자를 무능력자로 비난하는 건 잘못하면 2차가해가 될 위험이 있고요 게다가 능력이 있어도 어떤 분야는 몇년을 쉬면 경력단절이 됩니다^^ 나이를 능력으로 치는 분야도 있고 1년만에 페러다임 변화가 오는 분야도 있지요 모든 분야가 능력있다고 몇년이고 쉬었다가 복귀가 가능하진 않습니다
@불광58 күн бұрын
남편이 3년 아내가 3년 안되나?
@ml15077 күн бұрын
얼마나 대단한 커리어길래 커리어 단절? 혹시 회사 임원이신가요? 임신하신것때문에 부사장까지 못 올라가신건가요?
@yunalee371010 күн бұрын
외국에서 독박육아로 30개월까진 진짜 사랑으로 보듬으며 하루종일 쫑알쫑알 알려주고 매일 밖에 나가서 자연속에서 산책하고 책 많이 읽어주고 놀았다. 현지 어린이집 가니 우리 아이가 너무 착하고 행동도 바르고 사교성 좋고 사랑스럽다고 해서 ㅡ 쌤들 그냥 으례히 하는 말인줄 알았는데 ㅡ 최근 한국 들어왔는데 여기서도 선생님들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아이네요.
@hololo145210 күн бұрын
남편분이 독박벌이도 안하는 주제에 독박육아까지 시켰나보네요 ㅠㅠ
@오홍조-v3i10 күн бұрын
? 이리 좋은 댓글에서 싸움 조장하지 마세요 속 보여요ㅎㅎ @@hololo1452
@nanasdiary20710 күн бұрын
엄마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란아이네요^^
@양승원-p2q10 күн бұрын
독박이라는말 참 애매하게 돌려까는 나쁜단어죠
@yunalee371010 күн бұрын
@@양승원-p2q 네 남편은 일하고 혼자 2달마다 출장겸 여행으로 다른 나라 다녀오고 저는 제 용돈 밤에 번역일하며 벌어왔습니다. 독박이죠. ㅋ 장보고 월세 내는거 말고는 저는 제 돈 벌어 생활해요. 남편은 아이가 어린이집 다닌 이후로.하원은 도와줬지만 그외의 모든 육아와 집안일은 단 한번도 안도와줬어요. 됐습니까
@oasis_suminsam9 күн бұрын
영어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CherryPicker-u7c8 күн бұрын
왜 어린이 집이 안 좋다고 말을 못 하십니까? 개인적으로 워킹맘으로 첫째를 육아휴직 후 복직하느라 일찍 어린이집 보냈다가 후회했고 둘째 부터는 직접 키우고 있습니다. 어릴 때 어린이집 보내는 게 얼마나 아이한테 상처이고 선생님들은 부모 마음으로 아이를 대하지 않으며 CCTV 가 없을 때와 아닐 때 교묘하게 아이를 학대 하는 선생님이 많다는 것.. 이것이 부모의 마음을 찢어지게 합니다. 말을 할 수 있을 때 그러더라고요. 어린이집 선생님이 너무 무서웠고 자기를 때려서 다신 가고 싶지 않다고.. ㅠ 어린이집 지원이 중요한 게 아니고 엄마가 애를 키울 수 있는 사회 구조적인 인식의 변화와 직장에서의 보장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시기 입니다. 후배 엄마들에게 말해 주고 싶은 것은 가능한 어린이집 일찍 보내지 말라는 것 입니다. 어쩔 수 없는 환경에서라도 이것을 지키는 것이 나의 아이를 지키는 것이라는 걸 눈물로 깨달았습니다. ㅠㅠ
영유아 생들을 유아 박사공부한 샘들로. 보조교사시절도 해보고 그래야 엄마나 세상사람들이 유아샘들 깔보지않는다 글고 인성시험을 끅 봐야한다 1년마다 후대들을 인재로 키우기위함.엄마들이 3년 집에서 키울수있도록 나라서 지원 경단녀들도 특혜를 주어야
@balice994Күн бұрын
애착 중요하다해도 사회적으로 시스템이 뒷받침해줘야되는거라서 이런거보면 부모들만 눈물 흘림... 부모가 일찍 퇴근하고 안정된 생활이어야 아이를 돌보는데 기쁨을 느낄수있지요 회사원들 자영업자들 빨라도 7시 8시에 퇴근해서 아이는 9시에 자야하는데 외벌이 가정 엄마들은 어쩔수없이 독박되어 혼자 애 보다 진빠져있고 아빠들은 집에오면 애들 자는 모습만 보다 어느날 보면 커져서 늦게자기 시작해야 하루에 한번이라도 얼굴봐요... 그럼 이미 서로 애정도가 낮음... 맞벌이다? 그럼 하루에 애얼굴 보고 눈맞추기도 쉽지않은 뺑뺑이 하루가 되요... 애착 중요한거야 누구든 알지.. 근데 해줄수 없는 시스템 아래서 부모는 자기탓해요... 댓글들 보니 그래서 맘 아프네요.
@pine604411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hangjung78908 күн бұрын
물론 힘들어요 저희도 쌍둥이인데 지금23개월 접어더는데 힘들어요
@가라테스크8 күн бұрын
저도 쌍둥이입니다. 진짜 단테아보다 4배이상 힘듭니다. 그래서 티비안보여주려해도 안보여주면 부모가 혹사당해서 우짤수없이 보여주며 삽니다.
@촌신-o1c9 күн бұрын
어차피 대한민국 아이들은 초중고 학교,학원에서 12시간 넘게 생활하면서 학대당하죠...이게 정상인듯 살아감.... 그리고 대학졸업하면 노예처럼일하고 번돈으로 신축대단지1군브랜드 아파트 사거나 입주권사는게 인생의 목표. 반포신축대단지(4천세대)아파트입주권은 67억이라 웬만해선 살수도없음.
@티라미수케이쿠7 күн бұрын
27개월 가정보육하는데 엄마 잠깐 안보이면 엄마찾고 울어요ㅠ 잠깐 장보러 가는데도 가지말라고 울어요ㅠ 애착형성 잘안된거라고 하는데 저는 매일 사랑한다고 하는데 가정보육해도 부족하게 해줬나봐요….
@슈슈-t6u6 күн бұрын
재접근기라서 그래요 세돌 지나면 안정애착형성 잘될테니 조금만 힘내세요! 지나가던 쌍둥이맘입니다 저희애들도 두돌쯤 다시 안보이면울고 그랬어요! 사랑으로 지속적인 안정감을 주면 어린이집보내도 잘 지내고 그럴겁니다 저희도 22갤까지 가정보육하고 28갤에복직했는데 싸고 키워서 그런지 아직도 엄빠를 많이 찾습니다 지금 42갤인데도 안보이면 큰소리로 부르고 그래요ㅎㅎ꼭대답들어야 안정되고..근데 이게 안정애착이래요. 안찾고 관심없어도 문제구.. 엄마아빠를 너무좋아해서 그런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미리말해주고 가면 안정적으로 잘 기다립니다. 무튼 파이팅입니다
@노아풋볼클럽3 күн бұрын
그런 아기일수록 가정보육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 시기에 엄마 찾는 게 애착형성 아닌 것이 아니에요..^^ 너무 멋지게 잘 하시고 계세요~ 2, 3년 후면 느끼실거에요 ㅎㅎ
머리 감길때 절대로 손에 힘주지 마시고 감겨야 합니다. 두개골이 틀어지면 뇌에 영향을 미칩니다.
@hye.Ji38 күн бұрын
19개월 가정보육이예요 다른 매체를 통해서 시기가 안맞게ㅜ발달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오차범위 넓게볼때요
@불로소득발전소12 күн бұрын
풀버전 어디서 볼수있나요!!!!!!
@hellokui12 күн бұрын
인트로1분30초 ㅋ
@나나류-w8v11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그렇게 중요하다는 3년을 어린이집에 3년동안 아침 7시 반부터 6시 이후까지 맡기네요. 거기에 보육교사들은. 부모들은 유튜브 동영상도 보여주지요. 다음 동영상 때는 스마트폰을 3년동안 아예 보여주지 말아야 한다구 공개좀 해주셔요. 보육교사들 사진 좀 한장두 못찍게 하구요. 이 정책을 강제적으로라도 하려면 원장들.교사들의 의지가 중요합니다. 부모님들은, 사진 절대 요구하지 말구! 주말에 애들과 공원놀러가서 수십장 찍어주쇼!! 교사들 죽어납니다
@@luckylife7581 스마트폰만 보여주나요? TV도 오후내내 보여주는곳도 봤어요.! 어린이집 TV. 스마트폰 쥐고 있는것 강제로라도 못하게 하는것이 영아들 정신건강 지키는 길입니다.!
@나나류-w8v11 күн бұрын
@@luckylife7581면접보러 갔는데 민간얼집 40 명 넘는데, 하원 버스 기다리면서두 모두~동영상 틀어주더이다!
@Kimimi-tp6pl9 күн бұрын
다 필요없어용~~인생과 육아엔 정답이 없다!!!
@MijiLee-tb9jj1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장설치10 күн бұрын
둘째는 좀 힘들겠다 ㅠ
@CRettort6 күн бұрын
진짜 첫째때랑 천지차이에요ㅠㅠㅠㅠ둘째넘미안해ㅠㅠㅠㅠ
@dodododo52525Күн бұрын
S전자어린이집 10년차 교사 내새끼 낳자마자 퇴사했습니다. 가정보육합니다. 내새끼 절대 어린이집 안보냅니다. 교사진, 교재교구, 교실환경 우리나라 최고수준이어도 보낼 생각 1도 없습니다. 대학교 졸업하자마자 입사했던 24살부터 아이엄마가 된 현재, 제 생각은 변함 없습니다. 지금도 지키는 저 스스로의 약속이에요. 가정보육이 답이에요. 기관? 아이가 스스로 가고싶다고 원해서 제발로 입소하기 전까지는 절대 보낼생각 없습니다. 기관 안보내는 이유, 너무나도 많지만 정말... 할많하않입니다.
@죽병10 күн бұрын
이론과 현실은 좀 다르지..
@sookanglee378810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궁금한게요, 안전한 애착관계를 위해 둘째는 몇년후에 갖어야 하는지가 궁금해 지네요.
@김남이-u8y10 күн бұрын
다른데서 봣는데 3-4샇 이후라고 봣오요
@bulga-q3t9 күн бұрын
3세까지 대충 키웠는데 망했네요
@Ari-zg4oe9 күн бұрын
각자 가정환경에 따라 잘키우면 되는겁니다 남의 육아방식을 보고 따라하는 어리석은 부모가되지마세요 . 맘카페.유튜브대로 키운다면 너나나나 다 천재가 되고 예의가바르고 착한애가 될까요? 천만에.. 본인들이 어떻게 살고있고 능력이 얼마나되는지도 모르면서 남이하는것만보고 따라할려고하니 잘키웠다생각해도 삐딱하게 크는애들도 있고 그런겁니다 그저 애들은 관심과 사랑만줘도 알아서 잘크는거고 부모욕심대로 키우는건 아이를망치는길입니다
@liberty230810 күн бұрын
배경음 때문에 정신이 없고 말이 잘 안들려요…
@사랑합니다여러분-l2wКүн бұрын
애 셋 아빠다 어느정도 뭐 과학적 근거가 있겠지만 케바케 같다
@user-wk5mk2uv4p6 күн бұрын
저출산위는 머합니까? 3 년 육아휴직 의무화 및 휴직급여 지급 하셔야죠 얼른
@withjs216712 күн бұрын
혹시.. 수면교육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시는지요? 수면교육 끝나기까지 엄청 울려야하는데.. 그렇게 울리면서 해도 괜찮은지 좀 의문입니다
@츄러스-p1v12 күн бұрын
음 울린다고하는거보니 퍼버법을 보신것같은데 그거 지금 말 많아요... 유명한 맘카페들 보면 예전에는 권했다가 최근에 아이들 이상증세 나오면서 하면 안된다는 분들도 많아졌어요.
@dhgpwls997812 күн бұрын
저는 수면교육 성공했는데 안울리고 재웠어용ㅎㅎㅎ 퍼버니 뭐니 많은데...그렇게 안햇어요
@withjs216712 күн бұрын
@@dhgpwls9978 성공 비결이 궁금합니다ㅠㅠ
@shinaemoon320511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울리면서 달성하는 효과가 무엇인지요? 분리수면 = 부모의 편한 수면 아닌가 싶네요. 말로 정확히 표현 못하는 시기아기를 울도록 내버려 두는게 아이 정서에 좋을리가 없잖아요 상식적으로.. 아이는 울다가 지치고 포기하는 거겠죠. 큰 저항 없이 분리수면 가능한 아이라면 모르겠지만 강렬히 울면서 불편과 공포와 불안을 표현하는 아이는 당연히 중단시키는게 맞는것 같아요.
@shinaemoon320511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저희 아이 두돌 넘어서도 어느날에는 자다가 기침이 너무 심해서 돌아보니 엄청나게 토하고도 비몽사몽 기절 상태라 일어나지 않더라구요. 기도 막힐까봐 얼른 뒤집에서 남은거 다 토하게 하고 조치해 줬네요. 어릴때 분리수면은 위험하죠. 서양식 육아법이고 분리수면 하는 서양 아기들 이유없는 영아 돌연사가 많습니다.
@royce-rich9 күн бұрын
그냥 잘먹고 잘싸고 잘자면 되는시기고 그거외에 부모가 뭔가더하면 오히려 해가되는 시기. 돈쓰지 마시길.. 차라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미국 ETF 구매해라.
@jiwonchoi34146 күн бұрын
아빠들 꼭좀 보길
@sungyoon92906 күн бұрын
영어단어릏 그렇게 써야만 하나요??
@CRettort6 күн бұрын
논문이든 뭐든 공부하실때 원서로 다 하시니 자연스럽게 나오신모양... 그래도 일반청중을 위한 강의니까 한국말로 미리 준비하셨어도 좋았을듯하네요 근데 뭐 으어어엄청 어려운말도 아닌데😅
@치킨천재12 күн бұрын
아이와의 강렬한 1:1관계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쌍둥이는 어떡하나요? 한명을 품어주고 안아줄때 다른 한명은….부모님, 남편이 같이 도와주시고 있지만 핵심 주양육자인 제가 두명을 동시에 만족 못시켜주는 걸까요? ㅠㅠ
@zb981812 күн бұрын
이런걸 걱정하는 부모라 쌍둥이라도 부족함없이 사랑주실듯요 ㅎㅎ
@jihyekim941912 күн бұрын
진짜 …. 저도 쌍둥이 엄마라 매일 하는 생각 이네요 ….
@hjsw601912 күн бұрын
저도 쌍둥이요 그래서 그런가 한 아이는 불안도가 높아요 많이 못안아준 아이요 입주아줌마한테 맡길수밖에 없었어요 다른 아이는 많이 보채서 직접 돌보았는데 불안도가 낮고 자존감 높아요 노산에 쌍둥이라 둘다 안을수가 없으니 그래도 만3세까지는 집에서 계속 돌보아서 그나마 괜찮겠지 위안삼고 있어요
@박소현-w6g12 күн бұрын
쌍둥이여도 엄마가 아이들 따로따로 있을때 눈 마주치면서 사랑해 넌 엄마한테 제일 소중한 존재야 하고 꼭 많이 안아주시면 되요~ 저희집도 남여 쌍둥이 인데 안아줄수 있을때 많이 안아주니 정서적 애착이 더 좋아진다고 느꼈어요~ 세로토닌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