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강사의 소신 발언

  Рет қаралды 191,865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Күн бұрын

00:00 개발자 취업 현실
02:24 chatGPT
03:27 Devin AI
05:17 개발자 미래 1. 개발자의 초봉에 대하여
08:40 개발자의 미래 2. 개발을 배우는게 의미가 있나?
10:42 개발자의 미래 3. 개발자가 AI에 대체가 될까?
11:34 개발자의 미래 4. 개발자라는 직업의 재정의
13:34 개발자의 미래 5. 개발자 채용에 대한 수요는?
15:07 개발자의 미래 6. AI가 대체 못하는 영역은?
18:16 개발자의 미래 7. 개발 공부 계속 할까요?
🧡제 짦은 의견입니다! 여러분의 상상속 미래 개발자의 모습도 공유해주세요!
코딩알려주는 누나 강의 듣는곳
codingnoona.th...
뇌를 살찌우러 올래?
누나 인스타 뭐야? 1008_shine
#개발자전망 #개발자미래 #개발자초봉

Пікірлер: 593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8 ай бұрын
00:00 개발자 취업 현실 02:24 chatGPT 03:27 Devin AI 05:17 개발자 미래 1. 개발자의 초봉에 대하여 08:40 개발자의 미래 2. 개발을 배우는게 의미가 있나? 10:42 개발자의 미래 3. 개발자가 AI에 대체가 될까? 11:34 개발자의 미래 4. 개발자라는 직업의 재정의 13:34 개발자의 미래 5. 개발자 채용에 대한 수요는? 15:07 개발자의 미래 6. AI가 대체 못하는 영역은? 18:16 개발자의 미래 7. 개발 공부 계속 할까요? 🧡제 짦은 의견입니다! 여러분의 상상속 미래 개발자의 모습도 공유해주세요! 코딩알려주는 누나 강의 듣는곳 codingnoona.thinkific.com/ 뇌를 살찌우러 올래?
@otter_dev
@otter_dev 8 ай бұрын
.... 이제 막 국비 수료 1-2달 남은 시점에 제목 보고 깜짝 놀라서 들어왔어요
@크라마니
@크라마니 8 ай бұрын
코닝누나님 영상을 자주 보는데요. 전 클라이언트로서 외주를 줍니다. 제 입장에서 가장 어려운게 기획을 하고 개발자에게 주엇더니 개발자가 하는말 이 기획으로 개발 못 한다 이럽니다. 헉ㄹ 기획비용과 시간을 날리고 개발자가 다시 기획하고 돈이 2중으로 날아 갓어요 그리고 이놈의 si업체를 선택해서 그런가. 실력도 부족한 초짜 개발자를 채용해서 모바일웹앱 개발 하는데 내꺼 하나 개발하다가 다른 클라이언트 일 하고 해서 시간이 엄청 소요 됩니다. 크몽을 통해서 알앗는데 크몽 계약하지 말고 직거래 하자고 햇더니 이렇게 순위를 후순위로 배치 하고 지금 2년이 다 되어 가는데 아직도 수정 하고 있고 이제 안드로이드 올려 낫는데 안드로이드 정책이 바뀌엇다고 하면서 안드로이드 테스트 20 명 해야 된다고 돈 달라고 하네요. 3천만원 줫는데 그건 달라고 하면 안되는데 어이가 없는 개발업체를 만낫네요. 그래서 이렇게 부실한 개발업체 이용 안하게 해줄수 있는 컨설팅 해주는 업체가 필요 합니다.
@허리-x6k
@허리-x6k 8 ай бұрын
개발자 하지마세요 차라리 타일이나 도배 이런거배우세요 제발... 인공지능한테 안 따이는 기술을 배우세요
@허리-x6k
@허리-x6k 7 ай бұрын
@@user-ek2pt9kh1k 배운것들 시간아까워서어떡해여
@dkdyddd
@dkdyddd 6 ай бұрын
@@허리-x6k 요즘 집도 자동화 기계에 집도 만들어요 물론 아직 철골이 안들어가게 만들고 태풍불면 끝임, 젊은 날에 타일이나 도배를 가려면 일없는 40세에 몰려가도 상관없음 근데 미래를 위한 일중 좋은 직업도 아니예요.
@crayfallinsecondlife5329
@crayfallinsecondlife5329 8 ай бұрын
"AI가 짠 코드 관리하고 이해하려면 공부해야 한다"에 한 표입니다 :)
@이승준-u5g5p
@이승준-u5g5p 8 ай бұрын
@@gonglee-jx8ps 개발 안해보셨죠? 이건 개소립니다 ㅋㅋ 비즈니스 로직은 대부분 정해져 있고, 많은 개발자들이 구글링 해서 가져오던 코드를 이제는 ai가 작성 해주는 식인데, 우리가 두려워 해야 할 상황은 AI가 PM처럼 프로젝트를 총괄해서 진행하는 상황인거지 절대 코드를 알아보지 못하거나 그럴 일은 없어요 ... ㅋㅋ
@튜어기리니아
@튜어기리니아 7 ай бұрын
@@gonglee-jx8psㅋㅋㅋ코딩과 개발은 다른 말입니다...ㅋㅋㅋㅋㅋㅋㅋ
@AhFeelsoGood
@AhFeelsoGood 7 ай бұрын
@@이승준-u5g5p 개발 언어라는건 인간이 기계어를 이해하지 못해 만들어낸건데 인공지능입장에선 전혀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결국은 인공지능은 인간이 만든 언어로 코딩을 하지 않고 기계어로 코딩할거라 봅니다 그리고 인간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코딩을 하겠죠 바둑은 그래도 스포츠이기에 인간의 영역을 만들어두었지만 코딩은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 모든 개발 언어는 사라질거고 인간이 인공지능의 코드를 이해할 필요조차 없어집니다 이런 극한으로 효율적인 환경을 인공지능이 만들어냅니다 저는 개발자가 하는 모든 업무가 10년 정도면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인간의 기초적인 소양이 될거라 봅니다.
@이승준-u5g5p
@이승준-u5g5p 6 ай бұрын
@@AhFeelsoGood 제 생각에 그런 상황이 오면 코딩 만이 문제가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는 세기말 상황이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인간이고 , 그렇기 때문에 이를 기획하고 유지 보수하는 마지막 단계는 인간이어야 하는데 그 모든 과정을 인간이 알아볼 수 없고, 인공지능이 모든 걸 진행한다는게 이상할 뿐더러 이미 모든 분야에서 수익창출에 인간은 필요 없을 정도가 되는 상황이 온다면, 그 때는 이미 AI한테 모든 분야가 지배당하는 상황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천상개깡패
@천상개깡패 6 ай бұрын
야 GPT야 니가짠 코드 관리하고 이해되게 설명해봐. 끝
@asdasdassdwww9784
@asdasdassdwww9784 8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수십명의 계산하는사람 수십명의 기록하는사람이 컴퓨터를 통해 한명으로 바뀌었다면 이제는 프로젝트 전체를 Ai를 통해 한명이 리딩하는날이 다가오고있는거죠 .. AI에 밀리지 않도록 열심히 해야지 하는 사람들은 싹다갈려나가고 AI를 활용해서 결과물을 얻어올수있는 사람들이 살아남는거고
@user-o1cry3p921c
@user-o1cry3p921c 8 ай бұрын
저도 이렇게 생각하네요.. 지금은 ai 사용이 필수가 됐어요
@maple3226
@maple3226 8 ай бұрын
아무리 AI 발달해도 사람 한명이 대체하는게 쉬울까요.. backend 시스템 이것저것 써서 짜줘 하면 정말 버그 하나 없이 그게 가능 할까요? 또 그게 가능한다 한들 그 시스템 위에 회사마다 유니크한 feature를 만드는거, 유지보수까지 완벽 대체되는건 감이 안오네요
@영영영-j8x
@영영영-j8x 7 ай бұрын
100명 필요한 업무를 10명이서 할 수 있다는게 핵심이지. 나머지는 기본소득으로 가고
@빅준-p1k
@빅준-p1k 6 ай бұрын
​@@maple3226인원이 얼마나 줄지는 경험해봐야 알지만 결국 인원이 줄어든다는 것은 필연적일 것 같습니다. 결국 생산성이 좋아진 건 사실이니 경영진들은 가능하다면 인건비를 최적화 시키고 싶어할테니까요
@Conodiodaa
@Conodiodaa 5 ай бұрын
​@@영영영-j8x기본소득 이러고 있네
@_jej1279
@_jej1279 8 ай бұрын
저도 지금 개발을 혼자 공부하고 있긴 하지만, 취업을 생각한다기보다는 영어처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도 영어가 다 번역이 되는 세상인데도 영어를 계속 공부하고 알아야 하는 것 처럼. 그렇게 나아갈 것 같아요. 분야 뿐만이 아니라, 개발을 아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해요. 지금도 영어가 필수가 아닌 직업도 영어 성적보고 뽑는 것 처럼요. 영어를 함으로써 해외와 협업이나 자료 확인이 더 수월한 것처럼 말이죠. 개발 언어를 앎으로써 좀 더 일이 수월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AndyAlone
@AndyAlone 8 ай бұрын
코딩을 기본 소양처럼 생각하실거라고 하셨는데, 그럼 본인 메인파트의 미래는 어떤가? 도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메인으로 가져갈 파트가 과연 AI와 로봇기술의 발전으로 얼마나 대체가 가능할 것인지.. 만약 대체가능 또는 부분대체가능영역이 큰 파트를 본인의 진로로 생각하신다면, 코딩 공부보다는 석사를 따시는 게 나을 겁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대체되기 힘든 건 전문성입니다. 지금은 대졸이 초임이지만, 석사가 초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석사가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 겁니다. 물론 파트마다 다를 수는 있지만, 본인 파트의 미래는 어떤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세요.
@정정길-o3g
@정정길-o3g 8 ай бұрын
영어로 예시를 들었는데 오히려 저는 엑셀, ppt같은 소양이 될 것같습니다. 엑셀같은 프로그램은 업무능력을 상승 시켜주긴 하는데 굳이 몰라도 일을 못하지는 않는 그런거죠. 영어, 엑셀, 워드는 기본 교육을 이수 한다고 반드시 잘하는것이 아니며, 엑셀도 vba까지 쓰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vlookup함수도 겨우 쓰는 사람이 있듯 누가 사용하는지에 따라 퍼포먼스가 천지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나 엑셀 잘해~ 라는 말을 하지 않듯, 코딩도 기본적인 소양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farlandtacticsonline
@farlandtacticsonline 8 ай бұрын
이 말 정말 공감되는군요..
@area51k.
@area51k. 8 ай бұрын
그것은 본인이 독학으로 공부하고 main job 이 따로 있으니 그렇게 생각하시는 거고, 개발 밖에 할 줄 모르거나 개발만 해오던 전문 개발자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 겁니다. 그리고 아직 까지는 chatgpt가 엄청 복잡하거나 창의적인 것은 짤 줄 몰라요... github나 gitlab에서 소스 공개를 폐쇄해 버리거나 AI 가 수집해 가는 걸 막게 되면 얼마 되지 않아 AI의 실력도 나락으로 떨어질 겁니다. 개발자들도 본인들 밥그릇이 위협받게 되면 뭔가 또 살 길을 모색하겠죠..
@farlandtacticsonline
@farlandtacticsonline 8 ай бұрын
이 말도 공감되는군요. 개발 공부하지 마세요. 라는 제목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딱 좋은 자극적인 제목이기도하죠. 저도 AI 난관론에는 약간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이긴 합니다만 아무튼 결판은 끝에 가봐야아는거겠죠. 아직까지 AI 가 모든 걸 다 해주는 날까지는 제법 갭이 있는 것 같은데 속도나 가속도에 관해서는 question mark 가 아니겠나 싶습니다. 인간이 생각보다 바보같으면서도 생각보다 뛰어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인간은.. 생각보다 뛰어납니다.. ​@@area51k.
@TricksOffice
@TricksOffice 6 ай бұрын
08:40 개발은 기초 소양이 될 것이다. → 200% 공감합니다. 13:00 우리는 코드를 읽고 이해하고 리뷰해 주는 능력만 있으면 된다. →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되네요. AI는 우리를 잘 도와줄 수 있는 강력한 Tool이 될 터인데, 잘 활용하는 것이 핵심일 듯 합니다.
@undercovervigilante8364
@undercovervigilante8364 7 ай бұрын
뒤늦게 개발자 붐 다 꺼지고 백엔드 개발자 매력에 빠져서 인생직업이다 생각하고 열심히 준비해서 겨우 취업시장 뚫은 사람입니다. 아직 신입이고 갓 뉴비지만 정말 공감가는 내용이 많네요 ㅠ 특히 gpt 코드 짜주는거 예술이긴한데, 그거 그대로 모르는사람이 쓰면 200% 충돌나서 아무것도 작동안될건데,, 사람들 인식이 gpt 때문에 개발자들 인식을 더 낮게 보고있더라구요 요즘..
@오늘-x7h
@오늘-x7h 4 ай бұрын
그거 몇달 몇년이면 여전히 충돌할까? 무조권 대체에요..
@protagonist24939
@protagonist24939 3 ай бұрын
지금은 코드 조금 더 손보는 정도라면.. ChatGPT-5부터는 그것도 필요없어질듯
@user-xk2vh6qg4b
@user-xk2vh6qg4b 2 ай бұрын
@@오늘-x7hai가 무한히 발전하는 건 아니라서 괜찮습니다 그 지점이 어딜지가 관건이죠
@오늘-x7h
@오늘-x7h 2 ай бұрын
@@user-xk2vh6qg4b 음..죄송한데 agi 수준부터 재귀개선이 가능해지고 그걸 우리는 무한발전으로 본다죠~
@Graves01383
@Graves01383 Ай бұрын
​@@오늘-x7h 그시점오면 개발자뿐만아니라 다른직업도 대체됨
@으악-c2e
@으악-c2e 8 ай бұрын
학부 4학년이고 교수님 밑에서 학부연구생도 하고있지만 확실히 gpt가 많은 변화를 일으킨거같습니다... 교수님들도 과제에 gpt사용하는것도 그냥 허락하시고 심지어 교수님도 예시를 보여줄때 gpt에게 프롬포트 질문을 통해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장난식으로 '이게 교수 없어요 되겠네요?' 그러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본적인 틀이 되는 코드들은 너무 단순하게 gpt에게 얻고 조금만 뜯어고치는방식으로 바뀌면서 취업시장에도 단순히 특정언어를 잘한다기보다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찾는 방향성으로 흘러가는거 같아요
@권정혁-m7u
@권정혁-m7u 5 ай бұрын
개발은 기초소양.. 와 진짜 신금을 울린다.. 개발자 교육은 지금의 영어 교육 시장 만치 커질 수도 있겠네요
@winterscent99
@winterscent99 7 ай бұрын
공대 4학년이고 개발자 희망하고 있는데 실무, 현실적인 얘기 들어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돈보단 개발하는 게 너무 재밌어서 이쪽으로 가려고 졸업작품도 AI 활용한 웹서비스 구현해보려고 노력중인데 이런 얘기 들어볼 수 있어서 좋은 거 같아요
@djeirncjckalwi
@djeirncjckalwi 6 ай бұрын
빅데이터와 웹을 복수전공(트랙제도)하는 3학년 학생입니다. 지금까지 학교 공부만 열심히 하고 따로 제대로 해본 것이 없는데 저 또한 졸작을 AI를 적용한 웹서비스 구현을 하고싶은데 혹시 방학에 공부하거나 준비할 부분을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winterscent99
@winterscent99 6 ай бұрын
@@djeirncjckalwi 음 저도 학사 4학년이라 막 엄청 잘 알지는 않아서 이래라저래라 하고 이게 왕도다 할 수는 없지만 한번 말씀드려보면 1. 머신러닝/딥러닝의 경우에는 학교에 찾아보면 보통 수업이 있어요 저도 학교 수업에 '딥러닝 이론 및 실습' 수업으로 딥러닝 개념 학습했고, 실습 때 tensor나 pytorch 같은 라이브러리를 불러와서 사용해보거나 아니면 로보플로우 같은 데이터셋 웹사이트에서 데이터셋을 받아서 직접 yolo 같은 걸 통해 모델을 만들고 학습시키고 벨리데이션하면서 배워갔던 거 같아요 2. 웹사이트를 프론트엔드에서 만들고 이걸 백엔드단에서 구현하고 위에서 만든 모델을 api화해서 사이트와 통신할 수 있게 하고 이걸 다 aws 같은 클라우드에 올리고 ip도 할당해주고 데이터가 올라가니까 DB도 만들어야 하고 유저가 접근 가능한 곳과 안되는 곳도 나누고 서버 부하 걸리면 안되니까 로드 밸런서도 하고 등등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모든 개념들을 다 아셔야 해서 이건 양이 좀 방대해요 이런 프로젝트 하시려면 백엔드 둘(한명은 AI까지 전담, 둘 다 해도 됨) 프론트엔드 하나 정도 해서 3명이서 하는 게 업무분담도 그렇고(할 게 진짜많음) 이 프로젝트를 포폴에 넣으려면 회사에서도 혼자 하는 것보다 여럿이 팀으로 해서 해결하는 걸 더 좋아한다고 하더라구요
@ComeFromSkyMyAngel
@ComeFromSkyMyAngel 8 ай бұрын
비즈니스 로직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wac-7211
@wac-7211 8 ай бұрын
8년차 직장인 30대 입니다. "기계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끝났네요.. 직장은 책임소재 폭탄돌리기 입니다
@kylecha7949
@kylecha7949 8 ай бұрын
팀장이 책임을 지는거고 팀원은 기계인거죠
@wac-7211
@wac-7211 8 ай бұрын
@@kylecha7949 원칙적으로는 맞으나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 수두룩 합니다 팀장들 끼리도 책임소재 따져서 어느팀한테 책임소재 떠 넘길까 고민먼저 하는 기업도 많아요
@wac-7211
@wac-7211 8 ай бұрын
⁠@@kylecha7949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도 많아요 팀장들끼리도 어느팀한테 책임 떠 넘길까를 먼저 고민하는 기업도 많구요 왜냐면 팀장들도 한 가정을 먹여살려야 하기 때문이죠
@wac-7211
@wac-7211 8 ай бұрын
@@kylecha7949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도 많아요 팀장들끼리도 어느팀한테 책임 떠 넘길까를 먼저 고민하는 기업도 많구요 왜냐면 팀장들도 한 가정을 먹여살려야 하기 때문이죠
@KTpion
@KTpion 8 ай бұрын
기계는 기계에게 명령된 또는 주어진 일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책임을 지죠. 인간에 의해서. 수리되던가 폐기처분 되던가. 그 책임을 인간 관점에서 고려하지 않거나 가볍게 볼 뿐.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게 기계인데 단순히 작업만을 두고서 기계에 인간을 투영하면 그렇다는 것입니다. 비즈니스에서 최종 책임은 기업의 최종 결재자인 대표가 지는 것이죠. 인간이나 기계나.
@lukedwise7824
@lukedwise7824 8 ай бұрын
전체적으로 저랑 생각이 같으시네요. ㅋㅋㅋ AI 나와서 정말 좋습니다. 정말 좋고, 개발자의 직업을 위협하지만. 결국 완전히 대체하는건 확실히 멀었다 생각해요. 나중에 혼자서 기획, 설계, 디자인, 개발, 데브옵스, 운영 까지 다 혼자서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고 결국 개발자가 지금보다 많은 업무와 많을 개발을 업무 자동화해서 할 수 있을거라 정말 기대가 되고 재미가 있네요. 진짜 요즘에 시간 갈아넣어서 광범위하게 공부하는게 정말 좋고 다 AI 응용해서 할 수 있는게 많아져서 개발자로써 행복하네요. 개인적으로 개발자 추천하네요. 머 고생은 많이하지만 성격이 맞다면요.
@Mir2SKY2
@Mir2SKY2 8 ай бұрын
1. 코로나 시즌때는 거품과 함께 많은 구인난으로 인해 연봉상승이 쉬웠으나, 현재는 코로나 거품이 빠지면서 코로나 이전시기로 연봉이 돌아온것과 경제적으로도 경기가 좋지않아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개발에 대한 허들은 많이 낮아졌으나 오히려 전문가에 대한 대우는 더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누구나 쉽게 할수 있다는 점은 다수의 초, 중급의 개발자를 공급할순 있지만 그만큼 희소성 있는 전문가급 인력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에, 그만큼 더 많은 가치를 갖게되지 않을까요. 이전에도 국비과정이나 여러 부트캠프들이 개발자를 양성해내고있지만, 진짜 전문가급의 인력을 만들어내지 못했던것을 보면 전문가에 대한 가치는 더 커지면 커졌지 작아지진 않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개발자로서 역량의 폭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백엔드의 경우 AWS나 Azure, GCS와 같은 클라우드 paas가 보편화되면서 se(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요구되었던 아키텍쳐능력, 시스템 및 네트워크 설계와 같은 역량까지도 요구되고 있으며 프론트엔드의 경우 리액트 네이티브나 플러터와 같은 크로스플랫폼 기술들이 발전되면서 다양한 플랫폼/os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있습니다. 이처럼 gpt로 인해 개발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개발자로서의 필요되는 역량 또한 점차 넓어질것이라 생각합니다 4. 오히려 개발에 대한 기초/근본적인 지식이 더 힘을 발휘할 수 있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누구나 간편하게 개발이 가능해질수록 핵심과 근본적인 내용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은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때 어셈블리를 공부하면서 왜 이런걸 공부하나 생각했지만, 지금 돌아보면 기초적인 메모리개념을 다뤄봤기에 언어에 대해 공부할때 좀더 심도있게 공부할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또한 Spring을 처음 공부할때도 servlet 개념을 이해한 상태에서 진행했기에 빠르게 배울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점차 AI가 코드를 생성해주며 쉽게 개발이 가능할 수록 이러한 핵심을 공부하려는 사람은 점점 더 적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 시대에서 어셈블리를 공부하려는 사람이 없는것처럼요. 그러나 이러한 cs지식들은 거미줄처럼 얽혀있기에 cs지식을 잘 배워놓을수록 개발자로서 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수 있을것이라 감히 예상해봅니다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8 ай бұрын
찐공감의 하트 남깁니다
@노루박
@노루박 8 ай бұрын
2번은 도대체 왜 저런 결론이 나오는거죠? 결국 하고 싶은말은 양산형 개발자들과 다른 전문성을 갖춘 개발자는 살아남는다! 이거 같은데... 맞는 말이긴한데 가치가 더 올라가는건 아니죠~ 양산형 개발자 양성 -> 개발자가 많으니 더 많은 제품이 생산된다. -> IT 관련 사업이 더 흥행!!! 이런 논리라면 가치가 올라가겠지만 ㅋㅋ 그런게 아니잖아요
@Mir2SKY2
@Mir2SKY2 8 ай бұрын
@@노루박 신입채용에서는 정해진 연봉테이블에서 시작하지만 경력채용에서는 원하는 연봉이나 조건을 확인하죠. 기업입장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좋은 인력이라고 판단되면 원하는 조건 이상으로도 충분히 제시할수 있다고 봅니다. 반대 입장에서 생각했봤을때도 9명이 경쟁하는것과 99명이 경쟁하는것 중 99명에서의 경쟁이 더 치열할겁니다. 수많은 경쟁자들과 우열을 가리는데 다른사람들보다 특출나거나 자신만의 무기가 있지않는이상 눈을 낮출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수있을겁니다.... 그러나 1명의 입장에서는 나머지가 9명이든 99명이든 상관없이 자신이 희망하는 조건에 맞춰서 갈수있는 기회가 많죠.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서 가치를 더 높이는것이 어려울수는 있으나, 전문성이 있는 인력은 항상 태부족인게 IT시장이죠. 그래서 전문가급 인력은 적어도 가치가 떨어질 일은 없으며, 쉽게 채용할수 있는 신입의 처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채용하기 어려운 전문가 인력의 처우가 더 높아질수 있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Mir2SKY2
@Mir2SKY2 8 ай бұрын
@@노루박 단어선택이 모호했는데 시장에서 받는 대우의 의미에서 말씀드린겁니다. 안그래도 국비과정, 부트캠프를 통해 대거 신입개발자들이 양성되고있는 마당에 코로나시기에 겹쳐서 더더욱 개발자의 주가가 솟아오르면서 초급개발자의 수는 어마어마하게 늘어났죠. 과거 10:1의 경쟁률의 수준이였다면 지금은 100:1까지 올라간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보다 더 치열한 경쟁이 된 만큼 초급개발자들은 자신만의 무기가 없다면 결국 눈높이를 낮춰갈수밖에 없을겁니다. 반면 회사입장에서는 신입채용시 많은 지원자들 가운데 마음대로 골라갈수있으니 땡큐죠. 거기다 신입한명이 나간다? 다시 99명중에서 1명을 고르면 그만인 상황이죠. 거기다 연봉도 연봉테이블에 맞춰서 시작하는 만큼 구직자에게 선택권은 없죠. 반면에 고급, 특급수준의 개발자들은 예나 지금이나 그 수가 적고 한정적이기에 원하는 회사에 원하는 조건으로 입사하는게 훨씬 수월하죠. 초급개발자가 100명이든 10명이든 상관없을겁니다. 오히려 주도권이 구직자에게 있다고할까요. 그럼에도 포스트코로나로 넘어옴과 동시에 시장도 불황인 마당에 왠만한 경력이 아닌이상 경력있는 개발자들도 쉽사리 이직을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신입은 어떨까요? 개개인이 들인 노력에 대해 얻어가는게 많이 없는 상황이기에 받는 대우, 즉 가치가 떨어졌다고 표현한겁니다.
@지식의한-b9q
@지식의한-b9q 7 ай бұрын
오리가 많아지면 백조도 오리보다 약간 높은 가격으로 뽑고 싶어지는 것이여... 전체적으로 다 낮아진다고 봐야지....
@metaverse4gospel
@metaverse4gospel 4 күн бұрын
개발자로 있었던 저에게 와 닿는 얘기네요. 미래를 잘 바라보고 계신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lenaljh
@elenaljh 8 ай бұрын
비전공자고 흥미느껴서 이 분야로 뛰어들었는데 인생이 백퍼센트 예측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일단 업계 진입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제 본전공 도메인 지식도 연결하면 뭔가 새로운 길이 보일거라고 생각하며 공부하고 있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FormulaF-h8u
@FormulaF-h8u 8 ай бұрын
'일단 업계 진입'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는 거 같은데, 그게 힘들어요. 인생이 100% 예측할 수 없다지만 인생은 한 번밖에 없다는 것은 100% 확실합니다. 이번 생에서 반드시 개발자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인생이 100% 예측할 수 없다지만 본인이 포기하지 않고 개발자 될때까지 나이가 어떻게 되든 끝까지 공부해서 취업하겠다는 마음가짐도 정말 100%인가요? 그게 아니라면, 본전공을 살릴 수 있는 플랜 B를 생각하시면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sdadasdad-ym5rj
@asdadasdad-ym5rj 8 ай бұрын
안생겨요
@wellekim8739
@wellekim8739 8 ай бұрын
@@FormulaF-h8u 현실적인 답변이네요 개발쪽 공부에서 발 담궜고 대학원까지 왔는데 전 다시 문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RyuhansolAXEL
@RyuhansolAXEL 8 ай бұрын
비슷한 입장에 20대 마지막 도전해서 저는 개발자 입성을 했습니다.. 업계 진입을 하고 나서 드는 생각은 딱 하나입니다. 이력서를 통해 회사 진입은 생각하지 마시기를 바래요. 업체 천곳 분석하고 그 중 백곳 정도를 넣어 봤는데, 비전공자가 개발의 규모나 수준, 그리고 프로젝트의 갯수 등 어떤 면에서도 전공자를 이기긴 쉽지 않습니다. 심지어 그런 전공자들조차 몇백명이 입사 지원을 하고 그러더군요... 그러니 실질적으로 비전공자가 이력서를 입사 담당자가 켜서 읽는 행위 자체를 안하더라구요.. 그러다가 얻은 결론이 제가 다니던 부트캠프를 통해 인적 자원이 필요하는 업체들이 자기들 소개하는 타이밍 등을 노려서 그때 내 매력을 어필하고 면접까지 연계 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방식이란 걸 알게 되었습니다. 왜냐면 그런 업체들은 아무래도 개발 전공이건 비전공이던 그게 아니라, 사람에게 데이고 나니 제대로 하는 사람을 직접 발로 뽑겠다란 스텐스다 보니, 내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가능성이 열려 있더군요... 저도 그렇게 해서 입사가 성공했구요. 정말 고생 많으실텐데 노력하시고, 진짜 박터지게 준비한다면 분명히 좋은 날이 올겁니다. 빠이팅하세요
@EDward-u1f6i
@EDward-u1f6i 8 ай бұрын
위의 분들 말대로 업계진입은 힘들고 같아요. 업계진입이 아닌 내가 작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을 늘려서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도움이 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austinjade6312
@austinjade6312 7 ай бұрын
누나 현실적인 발언 고마워요 덕분에 포기할 수 있었어요. 코딩은 당분간 취미로 두려고요. 나중에 취미로 계속 계속하다가 실력이 좋아지면 그때 두드려 보려고요
@kdjnejdhs1872
@kdjnejdhs1872 8 ай бұрын
공감 많이 가네요 우리회사는 개발자 주업무가 제안서 작성, 개발프로젝트 산출물 작성입니다. 개발은 외주업체에서… AI가 외주업체를 대체 하겠네요…
@phlox11
@phlox11 Ай бұрын
수많은 AI x 개발 관련 영상중에서 정말로 제대로 된 의견을 전달해주시는 영상을 드디어 찾았네요. 전 20+ yr 개발자이고, 영상의 내용에 매우 동의합니다. 이제 coder는 AI로 대체가 될 테니, 개발자는 product 자체를 개발하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poc를 어느때보다도 빠르게, 천재가 아니더라도 혼자서도 개발 할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고, 아이디어가 그 어느때보다도 빨리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 개발의 새로운 부흥이 올 것입니다.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Ай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두두
@행복한두두 7 ай бұрын
코딩도 중요한데 비즈니스 로직을 잘 아는 사람이 오래 살아남습니다. 금융, 보험, SCM, 이커머스 등 특정 한 분야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습득하세요.
@may9noy
@may9noy Ай бұрын
이거 맞음
@songbird345
@songbird345 8 ай бұрын
저도 이런 생각 많이 들더라구요. 기본적인 개발 소양은 가지고있으면서 AI를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을 앞으로 더 찾을거 같다는 생각. AI 싸놓은 코드를 그대로 적용할 순 없으니 사람의 손을 타야되는데 그게 앞으로 개발자가 할일. AI 때문에 개발자 사라진다 말 많은데. 사라지진 않고 일하는 방식이 바뀔 뿐이라고 봅니다. 물론 AI가 단순노동을 대체해주는만큼 필요 인력은 더 줄겠죠..
@AI-DJ
@AI-DJ 8 ай бұрын
패턴을 찾을수없는 science에 가까워질수록 대체할수없다고 봅니다. 즉 고급 제조업 기반인 한국은 생각보다 오래갈수있다
@chaosY2763
@chaosY2763 8 ай бұрын
개발자는 결국은 사라질거라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빠를거에요 ai라는 아기가 성장하는 동안 부모가 필요 하겠지만 다 성장하면 부모는 더 이상 필요가 없어 지겠죠 개발자는 본질적으로 킴퓨터와 인간 사이의 서로 다른 언어를 통역하는 역할인데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통역은 필요가 없죠 조리있게 사용하는 건 개인차 인데 그것조차 ai가 보조하게 될 겁니다... 영상에서 기계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씀 하셨는데 그건 아직 미숙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가 어린 아이가 만든 문제에 대해 책임 지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죠 ai가 성숙해 지면 책임 질 일 자체를 만들지 않을거에요...
@yydmm5761
@yydmm5761 8 ай бұрын
사실 지금도 코드자체는 구글에서 복붙해오는 경우가 많은데, 결국 이것도 기본적으로 코드 구조, 프레임워크 개념을 알아야 뭐가 되는거니까.. gpt도 비슷한게아닐지
@brutaltruth1717
@brutaltruth1717 8 ай бұрын
​@@chaosY2763 개발자의 역할은 컴퓨터와 인간의 서로 다른 언어를 통역하는 일? ㅋㅋㅋ 말씀하시는 거 보니 개발자는 아니신거 같은데.. 님이 말씀하시는 그건 딱 코더의 역할입니다. 업무 상 개발자의 보조역할을 하는 코더. 개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은 소프트웨어를 통한 문제해결이고 문제 분석하고 전체적인 해결 방안의 블루프린트를 만들어 이를 토대로 설계 디자인하고, 최종적으로 컴퓨터에 instructing하는 거. 그리고 그 설계와 디자인, 또 모든 stakeholders 혹은 clients와의 의견 조율, 의사 결정, 행동, 실행의 일이 개발업무의 대부분인 70%라고요 (정작 코딩은 30%). 그걸 AI가 해줄수 없다는 거고요. 영상 제대로 안 보셨네요. 영상에서 하는 말이 바로 그거에요. 이건 개발 해보신 분들만 이해하실 듯.
@brutaltruth1717
@brutaltruth1717 8 ай бұрын
​​​@@chaosY2763그리고 그 역할은 님이 말씀하시는 단순히 AI의 성숙/미성숙 혹은 미숙한 성능/발전된 성능 개념과는 거리가 먼 문제라규요 ㅎㅎ AI가 발전되면 애초에 "책임질일을 만들지 않는다"? ㅎㅎ 여기서 말하는 책임은, 잘못된 일에 대한 귀책의 사유로의 제한적인 상황의 책임이 아니고욯ㅎㅎ 😅 업무에 대한 담당자로써의 일반적이고 전체적인 책임의 개념을 말하는 거에요 ㅎㅎ 모든 의사결정에는 책임이 뒤따릅니다. AI가 해주기 힘든 부분이죠. 하나의 프로젝트에도 무수히 얽히고 섥힌 (기업 레벨 프로젝트) 모든 관계자와의 조율 및 의사 결정의 부분도 AI가 해주기 힘든 부분이고
@yury_kim
@yury_kim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거품은 빠졌지만 분야 지식+코딩+인공지능 좋은 콤보 같음.
@andmathanitopia8278
@andmathanitopia8278 8 ай бұрын
AI 의료계열 프로그램 제작팀장님이랑 AI스타트업 프로그래머분한테 강의를 작년에 들었었는데 수학공부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수학에 대한 이해가 많을수록 좋다고 들었는데(흔히들 통계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통계 말고도 필요한 수학들이 굉장히 많다고 하심) 혹시 이런 부분에 대한 얘기도 더 듣고 싶습니다.
@user-wildernessflower
@user-wildernessflower 8 ай бұрын
클라이언트가 자기 비즈니스의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문제해결방식이 수학적 개념에 즉시 대입되어 답이 보인다면, 그리고 그 답을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으면 최고입니다. 이렇게 사고가 흐르신다면 천직입니다. 물론 개발자 보다는 CEO겸 개발자가 되겠지만요. 수학과 친할수록 프로그램이 간결해지고, DRY(donotrepeatyourself)를 하지 않게 되는것 같습니다.
@andmathanitopia8278
@andmathanitopia8278 8 ай бұрын
@@user-wildernessflower 명쾌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Ggg-iw9xg
@Ggg-iw9xg 8 ай бұрын
별로???
@abcabcab5861
@abcabcab5861 7 ай бұрын
우리 회사에 카이스트 수학과 출신 개발자 몇 명 있었는데 코드를 간결하게 짜는게 개발 잘하는 게 아님. 넘사로 고졸 개발자가 씹어 먹었음
@평등한세상-z9y
@평등한세상-z9y 7 ай бұрын
개발잘한다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고 계신가요?
@김영석-n4u
@김영석-n4u 8 ай бұрын
코드를 싸질러놓는다는 표현이 너무 와닿네요 ㅎㅎㅎㅎ
@조아연-d6l
@조아연-d6l 6 ай бұрын
필요한 이야기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yuchan1002
@Hyuchan1002 4 ай бұрын
직업으로서의 코딩이라면 모르겠지만 생각하는 방법을 배운다는 측면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한 번은 배워둬야 할 가치는 있다고 보네요
@ANSS2002
@ANSS2002 Ай бұрын
모든 영역의팬턴을 알고있는 인재들은 반드시 필요 하기에 하던대로 하되 단 먼 미래의 우리 아이들은 한층 뛰엄넘는 창의적이고 상상력을 발휘 할수있는 학습의 장을 마련 또는 변화 시켜줘야 할 것 같습니다
@zz9843-g1w
@zz9843-g1w 8 ай бұрын
개발자 너무 힘든데 왜 하려고 하는 지. 이번 프로젝트는 챗지피티가 30프로이상 해준 거같네요. 코딩자체보다는 도메인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것같음..
@은총-q2w
@은총-q2w 8 ай бұрын
통찰력이 대단하세요
@rbalsdldiify
@rbalsdldiify 8 ай бұрын
Y combinator 창업자 폴 그레이엄의 책 "해커와 화가"를 떠오르게 하는 내용이네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는 직업의 진가는 "엔지니어링"(how)에 있는게 아니라, 화가가 그림을 그리듯 창조(what, why)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죠. 인간은 무엇을 왜 만드는 지를 고민하고, 어떤 기술스택이 최고인가, 어떤 복잡다단한 알고리즘/설계가 빠른가 하는 미시적인 논의는 인간이 아닌 ai가 맡는 시대가 올것 같습니다.
@fishduke1
@fishduke1 8 ай бұрын
영상에 덧붙여서 현재 chatgpt의 한계는 각종 논문이나 리서치 등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것 같은" 것입니다 이번에 논문 리서치하면서 느낀건 대표적인 몇개의 논문 외엔 노출도 안되고 내용 가져오는것도 못하고 응용할 줄도 잘 모릅니다 결국 A부터 Z까지 기획하는건 사람이 해야했어요 반면 코딩 구현은 훨신 편하긴 하더라구요 특정 라이브러리 도큐먼트 해석에 시간 많이 들 필요 없이 도큐먼트 분석해서 그에 맞게 코딩 해줍니다. 따라서 코딩능력의 필요성은 추후 유지보수 차원에서 많이 필요하겠지만 당장엔 그것보다 응용력, 잠재력 부분에선 ai가 대체하기 힘듭니다 또한 AI 개발자 데빈, 문제 해결 능력이 기존 AI 개발자보다 높아서 그렇지 문제해결 능력 자체는 20프로 정도밖에 안됩니다(기존 2~7프로) 반면 사람은 시키면 어떻게든 구현하고 학습하고 성장하고 응용합니다 언제 튈지 모르고 멘탈 관리 해줘야해서 그렇지 오히려 지금이 개발자가 될 수 있는 막차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행운체리
@행운체리 5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논문에 쓰인 chatgpt는 버전이 몇 기준인가요? 버전4 맞나요?
@fishduke1
@fishduke1 5 ай бұрын
@@행운체리 3, 3.5, 4, 4o, Gemini, naverQ, Claude, 뤼튼AI 썼습니당 L라마를 못써봤네여
@protagonist24939
@protagonist24939 3 ай бұрын
아니 논문 리서치를 왜 GPT로 한건지?? 정신이 나간건가
@fishduke1
@fishduke1 3 ай бұрын
@@protagonist24939 현업에서 AI 개발하다 한거에요. 그나저나 댓글 다실 때 주의하셔야할 것 같습니다.
@오팔-r3v
@오팔-r3v 3 ай бұрын
@@protagonist24939 현직 교수들도 많이 활용하는데요^^ 날카로우시네요
@이문성-n7g
@이문성-n7g 8 ай бұрын
개발, 코딩, 음,,, 사무직도 이제 코딩을 해야 되는 시대더군요, 사무직에서 엑셀, pdf, 웹으로 업무처리시 반복적인 부분이 많은 부분이 있는데, 그런 부분을 코딩으로 자동화하는 시대더라구요. 엊그제 엑셀 데이터 100만라인 정리하는데 뤼튼에서 GPT4한테 조건 던져주고, VBA만들어줘 해서, 100만라인 엑셀데이터 정리하기, 파이썬코드 짜줘 해서, 100만라인 엑셀 데이터 키워드별로 분류하기, 유튜브 재생목록 TEXT파일로 가져오기, CSV파일 40개씩 분할하기, 증명서 발급할 때 반복해서 클릭해야 하는 메뉴 클릭하기등등, 남들 이틀하는 일, 코딩으로 1시간도 안되는 시간에 처리, 개발? 코딩? 이제 사무직도 코딩해야 되는 시대인듯, AI가 짜줘도 어느정도 문법정도는 알아야, 이놈이 지대로 만들어줬는지 실행해서 정상적으로 실행하는지는 알아야 부러먹을 수 있더라구요
@냠냐미-o8l
@냠냐미-o8l 8 ай бұрын
단순 구현 거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gpt로는 커버 안되는 영역들이 생깁니다 개발은 구현이 시작이에요 유지보수, 예외처리부터 진짜인데 gpt로는 한계가 있긴합니다 아직은
@김영진-v5h1g
@김영진-v5h1g 8 ай бұрын
이분 말이 맞는게 개발에대해서 무지한 사람들은 gpt한테 해달라고 하면 다 끝나는줄 알겠지만, 해당 코드를 복붙해서 제대로 돌아가는지 그리고 오류나면 오류나는대로 수정해야하고 디버깅도 해야하고 개발이 단순 구현만 하는걸로 끝나면 ai에 대체된다는 애기가 맞지만 오히려 코딩 구현 자체보다 디버깅등에 드는 시간이 훨씬 길기떄문에 아직은 멀었다고 봅니다.
@seoul_Jin500
@seoul_Jin500 8 ай бұрын
gpt 5 3개월뒤 출시
@heesongkoh
@heesongkoh 8 ай бұрын
지금도 chatgpt로 부족한 부분은 유튜브 자료와 스택오버플로우로 커버됩니다. 하지만 chatgpt에만 의존하면 결국 도태될껍니다. gemini도 같이 쓰세요.
@seoul_Jin500
@seoul_Jin500 8 ай бұрын
@@heesongkoh zzzzzzzzzzz
@헬라리루
@헬라리루 8 ай бұрын
좋은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qwr7652
@qwr7652 8 ай бұрын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kemdot
@kemdot 7 ай бұрын
취업만 보고 관련 학과 온 건데 우울하네요.. 그렇다고 원래 하고싶었던 분야는 취업이 정말 힘들긴했지만...
@dalfst
@dalfst 7 ай бұрын
요즘 개발자 취업이 안되는 이유중 하나는 회사에서 주니어 개발자가 필요가 없어진 겁니다 주니어가 해야 할 일은 ai가 잘 해주기 때문
@wyshsndkxnehevwjwnz
@wyshsndkxnehevwjwnz 8 ай бұрын
저랑 100% 같은 생각을 말해주시네요.
@spkim0921
@spkim0921 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웬만한 부트캠프 졸업으로는 요즘 개발자로써 자격이 조금 부족해진 것 같습니다. 컴퓨터 공학 나온 애들은 4년이란 시간 동안 뼈빠지게 공부 했는데 6개월 8 개월 노드 리엑트 익스프레스 몽고디비 포스트그레스 배웠다고 해서 걔네들 못 이깁니다. 이제는 조금 더 알아야 개발자 자격이 되는 시기가 온 것 같습니다. 적어도 자바랑 C, 알고리즘 분석 (search, sort, BFS vs DFS 등등), 빅 O, IEEE, OS, 컴퓨터 건설학, data communication 과목 정도는 익혀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부트캠프 졸업 하신 것도 대단 한거지만 연봉 높은 직업을 꿈꾸신다면 요정도는 더 공부 해야 성공 한다고 봅니다.
@버거킹매니아
@버거킹매니아 7 ай бұрын
하드웨어 업체에서 5년정도 일한 사람입니다 . 아직 하드웨어 구축+ 유지비 보다 인건비가 저렴합니다 Ai 전문가들 하드웨어랑 전력량에 너무 문외한이많아서 한계에 부딪힐겁니다. Ai가 멸망한다는건 절대아니지만 그 사람과 ai 연결해주는 그 사이의 틈새에서 일자리가 생겨날 겁니다. 너무 걱정하지 말고 공부하셔도 됩니다 다만 안일한 마인드로는 하지마세요 끊임없이 공부해야합니다....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 8 ай бұрын
그냥 굉장히 좋은 학습 및 실행 도구에요. 쓸수록 느끼는데, 공부를 더 하면 더 했지, 덜 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개발자들의 워라벨을 살려줄 천사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1인이 할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져서 더 워라벨 박살일 수도 있구요. 양자컴퓨팅 시대가 오거나, 완전히 혁신적인 AI 연산이나 학습 방식이 새로 개발되지 않는 한, AI의 물리적 연산 및 에너지 한계는 명확합니다. 데이터센터가 매년 불태우는 나무가 몇 그루인지 셀 수도 없습니다. 휴대폰처럼 매년 버전 숫자는 바뀌는데 엄청나게 드라마틱하게 바뀌는 것은 없을겁니다. 이번 4o도 엄청난 것처럼 바이럴을 온 매체를 통해 하던데, 그냥 속도 빨라지고, 말로 가능한 것 말고 눈에 띌만한 건 없습니다. 일하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말로 할 일도 거의 없구요. 물론 몇 세대 차이는 큰 차이가 나겠지만요. AI가 직업을 온전히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려면, 변호사, 세무사, 간호사, 택시기사, 산업기사 등과 같이 본인이 공부하거나, 행동하는 것 거의 없이 온전히 알아서 다 일을 처리하는 수준에 이르러야 하며, 혹시 문제가 생겼을 시, 책임 청구가 가능해야 합니다. 코딩??? 온전히 믿고 코딩을 맡길 수 있을리가요. AI회사에 책임 소송해서 승소? 가능할 리가요. 오히려 IT 프로그램 성격적으로 보면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 훨씬 더 가깝습니다. 왜냐? 비전문가가 AI만 가지고 할 수 있는 서비스가 단 1개도 없으니까요.
@야류화
@야류화 7 ай бұрын
정말 구독, 좋아요를 안 누를 수가 없네요.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hree-dimensional-man
@Three-dimensional-man Ай бұрын
코드를 이해 하고 세부적으로 입맛에 맞게 수정 할 수 있으려면 공부는 필수라고 생각 해요 :)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말이에요!
@JustinPark-c3z
@JustinPark-c3z 2 ай бұрын
저는 영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하고 번역일을 했어요. Ai가 나와도 번역에 오점이 많아서 크게 타격 없을 줄 알았죠. 근데 슬슬 이 일을 함에 한계라고 느낍니다. 번역이 거의 완벽해요. 오히려 제가 배우는 것도 생길정도.. 코딩도 비슷할거라 봅니다. 지금이야 책임이니, 내가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니 하지만 그 조차도 몇 년은 커녕 몇달,, 빠르면 몇주 이내에 해결될 문제라고 봐요. 그래도 몇달까지는 봐야될거 같긴하지만. 기술는 빠르게 발전합니다.
@otwmoo
@otwmoo 8 ай бұрын
항상 생각해왔던 것지만, 세상 사람들은 낭만이 너무 부족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때, 내가 행복한 것이지. 돈만을 쫒으면 거기 행복이 있을까 싶다. 물론 많은 돈을 벌면 행복하지만, 거기에는 수많은 경쟁자가 있다. 100명 중 뛰어난 한 명만 행복할것고, 나머진 그러하지 못하다. 내가 오래시간 매몰비용을 쏟아 투자했던 일이 나에게 맞지 않는 일이란 걸 알았을 때, 얼마나 좌절 스러울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면 한다. 돈을 보기 전에 나의 내면부터 들여다 보자.
@함냐함냐함-s9z
@함냐함냐함-s9z 6 ай бұрын
저도 똑같이 생각해요! 느낌적으로만 갖고 있던 거였는데 코알누님 영상을 보니까 저도 생각이 정리되네요.
@Chrisbhvn
@Chrisbhvn 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과 화두네요. 1개월전 댓글. 너무 좋은 댓글이 많지만 이미 구시대 댓글이네요 ㅜ. 클로드 3.5 써보셨나요. 소름돋습니다. GPT4o 와 클로드 3.5의 차이를 모른다면 제대로 못쓰는 분입니다. 미래에 인간은 개발 검수자의 역할만 할겁니다. 생각보다 빠를겁니다. 내년부터 직업상실로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 생길겁니다. 개발자 사라지냐고요? 안사라집니다. 단 역할이 달라집니다 그러나, 10명이 할 일을 뛰어난 개발자 1명이 다 해낼겁니다. 100명이 할일을 10명이 아니라 5명이 할겁니다. 1000명이 할일을 100명이 아니라 20-30명이 할겁니다. 기획. 개발. 디자이너 경계가 모호해집니다. 단, 최종책임을 지는 C레벨은 존재합니다 개발직군도 세무 SaaS 출현으로 회계 직원의 일반봉급이 크게 오를 수 없는 직군과 일부 뛰어난 세무 실장 직군으로 나뉠겁니다. 즉 미래 AI와 비슷한 퀄리티를 내거나 AI 이상의 생각을 못하는 직군은 평범한 급여 수준으로 귀결될것이고, 이세돌의 신의한수 처럼 AI가 미처 생각치 못한 것을 제시하거나 문제해결할 수 있는 직군은 더 높은 연봉을 받을겁니다. 생각해보세요. 100명 급여 아껴서 10명한테 두배씩 줘도 회사는 득입니다. 월 20불씩. GPT. 클로드. 코파일럿 등등 결제하고요. 그 20불에 대부분은 대체가능합니다. LLM 제대로 각잡고 미친듯이 써보세요. 소름이 안돋는 다면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뜻합니다
@9mae_jeulgida
@9mae_jeulgida 8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으로 콘텐츠 접했는데 강사님의 딕션과 표정사용,억양이 재밌게 느껴지고 내용도 준비하신것으로 복제콘텐츠도 아니고 ..바로 구독했습니다.ㅎ 강사님의 설명이라면 어떤 내용도 재밌게볼것같네요. 약간 주식계의 엔터테이먼트 몇백만 유튜버 누가 연상되네요
@k.1289
@k.1289 8 ай бұрын
"AI를 활용해서, 결과를 잘 내는 사람(개발자 등)" 만이 살아남겠죠. 아니면 AI 자체를 개발하는 엔지니어나 그 계통으로 가던지요.
@e.s583
@e.s583 8 ай бұрын
분석, 설계, 업무 프로세스나 스토리보드 같은 경우엔 아무래도 a.i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 같아요. 결국엔 개발을 못하더라도 코드 좀 이해하고 업무에 대한 지식이 많다면 앞으로도 크게 영향이 없을 것 같네요. 결국엔 프로그래밍 언어는 단순 하나의 도구 정도로 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별이-w8l
@별이-w8l 8 ай бұрын
개발에 대해 언어 장벽이 없어질 거 같아요. python만 잘해도 c++만 잘해도 나머지 바꿔주는 코드(다른 언어로)는 정말 잘 짜줄거라.... 단순 개발이 아니라 주체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개발자가 점점 더 필요해질 거 같아요
@wayhope
@wayhope 7 ай бұрын
이건 어느정도 공감
@woojin7009
@woojin7009 8 ай бұрын
chatGPT로 react 코드 짜는 법 이런 강의 있으면 좋을거 같아요
@Quais-e5t
@Quais-e5t Ай бұрын
누나 믿고 계속 공부한다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Ай бұрын
응 믿고 와 !
@그림샘-x5u
@그림샘-x5u 8 ай бұрын
풀스택이 뭐에여? 전 50된 아줌마에요. 심심해서 챗gpt로 파이선으로 ppt만드는거 해봤는데 너무 잼있어서.. 배우고 싶어요. 제 아들 대1인데.. 코딩배우라고 했더니 모티베이션안생긴다고 하는데.. 전 알아야 할것 같아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아들 전공은 무역이에요)
@putri-pulau
@putri-pulau 8 ай бұрын
재능이 없어도 흥미가 있으면 그래도 배울텐데, 흥미도 없으면 굳이 안 배워도 된다고 생각해요. 아드님이 GPT같은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시는 편이라면 굳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 않을 것 같아요.
@garlic1226
@garlic1226 7 ай бұрын
재밌으면 나이는 상관없습니다 계속해보세요
@김민유-b4w
@김민유-b4w 2 ай бұрын
먹고살려고 배우는게 아니고 자기가 할거 하는 용도로 배워나가는거면 뭐든 문제 없어요
@akhp9013
@akhp9013 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지금 10대들이 마지노선 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컴퓨터가 개발될 당시에도 처음에는 기계 다음 소프트웨어 그리고 인터넷 순으로 산업이 발전해 억만장자들이 각 영역에서 탄생되었죠. 현재 인공지능 업계를 보면 처음에는 기계 현재는 컴퓨터로 치면 운영체제? 라고 생각할수있는 LLM 이 가장 산업으로 나와있고 이제 조만간 LLM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쏟아져나오면서 거기서 큰 돈이 움직일 거라 생각합니다. 현재는 코딩을 배워서, 직접 코딩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개발 과정 전체를 이해하고 PM,PI 의 역할을 하고 Junior, Senior 개발자들을 인공지능에 넘겨 1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되어 오히려 코딩을 더 배워야 한다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jmj6694
@jmj6694 3 ай бұрын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희망-n3y
@희망-n3y 8 ай бұрын
개발에는 별 관심이 없지만 다가올 미래의 한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좋았어요. 가끔 강사님이 미인이라서 와서 봤는데 오늘 영상은 정말 유익했어요.ㅎㅎ
@yolo-fj7cs
@yolo-fj7cs Ай бұрын
그냥 취미 삼아 해보려고 하는데.. 진짜 취미로 끝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다 힘드네요
@Hello-vancouver2000
@Hello-vancouver2000 8 ай бұрын
개발자는 끓는 냄비속의 꽃게 같은 상황입니다 지금은, 아직은 따뜻하죠. AI가 개발자를 대체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보면 늘 드는 생각이.. 대체가 진짜 안될거라 생각하는건가?? 그 어느 분야보다 가장 AI로 대체가 쉬운게 개발자인데. 비전공자도 쉽게 해볼까 하는게 개발분야인데... AI가 대체를 설마 못할거라는 생각을 하는분은 안계시죠??
@kowooram
@kowooram 8 ай бұрын
복잡한것도 뭐 Comfy 처럼 이미 가고 있습니다. GPTs 가 3년차 두명 보다 낫습니다. 저희업체도 주니어들 안뽑는 추세입니다.
@protagonist24939
@protagonist24939 3 ай бұрын
ㄷㄷ
@잭과콘나물
@잭과콘나물 8 ай бұрын
ai는 물질적생산형태가 아닌 모든곳에 취업난과 생계위협을 주는건 분명하지만 거스를수 없는 운명같은것, 100명필요한 일들 10명이내로 해결가능한 세상
@blue-pill
@blue-pill 7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언급한 1년 전 영상에 남겼던 댓글입니다. ==. ChatGPT4가 나온 시점에서 보면 개발자가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될 건 명약관화하고 GPT5가 내년에 출시될 걸 고려해보면 급격하게 영향을 받을 시기는 길어야 2년 정도가 될 것 같네요. 시니어급 개발자 간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 같구요. 시니어급의 경쟁력이란 ChatGPT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 그 자체가 되겠죠. == 위 이야기가 이제 딱 적용되는 시기네요. 앞으로 개발은 코딩이 아니게 될 겁니다. 컴퓨터 언어를 쓰지도 않을 것 같네요. 그냥 말로 대화를 주고 받으며 프로그램을 완성할 겁니다. 그 사람이 책임을 지는 사람이 되겠죠. 기획(사고능력), 언어능력, 최고급자에게는 수학능력 정도가 더 요구될 겁니다. 이외의 능력은 3년 정도 지나면 안다고 큰 경쟁력이 생기지는 않을 거예요.. 아, 이 이야기는 개발에만 국한되는 건 아니라는게 좀 위안이 되려나요. 모두들 건승하시길..
@쿠쿠-r7k
@쿠쿠-r7k Ай бұрын
님들아 챗gpt가 모든 개발자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시대가 오면 개발자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가 AI로 대체됨 우리 세대가 끝날 때 쯤 올 미래를 걱정하지말고 현생을 걱정하세요 운석 떨어져서 뒤질 걱정을 쳐 하지 마시구요
@leesunwu5025
@leesunwu5025 8 ай бұрын
현재의 AI 수준은 막 흑백 TV가 처음 나왔을 때의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컬러 TV 시대 정도로의 발전은 금방이라는데 그 정도 수준까지 도달하면 일상 생활에서 AI 활용이 꽤 침투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개발자 뿐만이 아니라 사무직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AI 활용에 능숙한) 직원 하나가 기존의 많은 어시스턴트들(개발자로 따지면 초~중급들)을 AI활용으로 대체할 수가 있으니 훨씬 더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고, 그 외에도 사람들 간에 벌어지는 온갖 트러블들이(육체적 정신적 시간적 공간적) 많이 없어지니 대단한 발전이지요.
@proxjin8426
@proxjin8426 7 ай бұрын
나온거만 흑백이죠... 챗지피티 회장 샘 알트먼이 지금 나온건 새발의 피도 안된다라고 했어요 이게 공개가 되면 세상이 엉망이 될거라구요 그래서 지금 일부만 내어놓고 ai나 미래 대해서 생각할 시간을 주는거죠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겁니다 거기에 일반 코더(그냥 양산형 개발자)들은 백프로 사라집니다...
@KTpion
@KTpion 8 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이 코딩 보조가 아니라 프로젝트 개발에 전담할 경우 즉, PM, PI 등 역할을 할 경우 어찌될지? 이게 지나친 기대일까요? 제가 보기엔 해당 그리 먼 기술이 아닌 것 같아요. 어쩌면 이미 충분히 가능한데 개발사가 인터페이스가 제공하지 않았을 뿐인지도……
@Maonocjy38
@Maonocjy38 5 ай бұрын
첨보는데 완전 자유롭게 말도 잘하시고,,, 연예인인줄................... 다른 하나의 직업이 생긴듯... 연예인.... 지루하지 않고 재밌네요.. ^^ 예전에는 개발자도 남자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정말 지금시대에는 다양한 직군에 남녀 성비가 이뤄 진듯 합니다. 아주 좋은 현상... 골고루 편식하지 않고.. 다양한 의견 생각 교류....피터지는 논쟁 회의 결과물 완성~~~~ 굿~~~~~
@nokkim3500
@nokkim3500 8 ай бұрын
마자요 지금은 다섯살부터 코딩배운다고 하더라구요 ㅋㅋㅋ 요즘 유치원 가면 절반은 영어 절반은 한국어 가르치고 코딩도 가르친대요.
@aidenji9028
@aidenji9028 8 ай бұрын
자율주행은 곧 될거에요. AI가 필요한건 학습 데이터인거지 계산 및 분석능력은 이미 사람과 비교 대상이 아니니까요. 다른건 다 월등히 뛰어난데 자율주행만 못할리가 없죠. 일론은 원래 시기를 잘 못맞춰요 그건 AI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가 예측이 불가능한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 때문이에요. 개발자라는 직업은 끝까지 존재는 할거에요 하지만 개발자라고 불리는 시작점이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거에요.
@jay-ff5yw
@jay-ff5yw 3 ай бұрын
5번은 각각의 회사에서 따로따로 개발자를 고용해서 수요가 늘어날거 같지 않음 차라리 개발 전문 회사들이 생겨서 고급 인력들이 자동화된 시스템들을 이용해서 개발을 할거 같음. 일반 회사들은 그런 개발자들에게 서비스를 설명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기획자들 위주가 될듯
@bspyeon
@bspyeon 8 ай бұрын
개발도 분야가.다양해서. . . 기초 개발은 기초소양이겠지만 깊게들어가는 건 쉽지않은 게 애초에 학습데이터가 부족합니다. 스와이프 매뉴를 만들라고 시켜보세요 마우스 좌표가지고 이벤트바운딩할겂니다 하지만 사실 순수 html css 몇줄이면 가능합니다 심지어 모든 브라우저 지원하며 퀄도 좋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데이터가 로직으로 처리하니 gpt는 그걸 대답할겁니다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8 ай бұрын
오 진짜 공감가는 이야기네요
@sonsm4881
@sonsm4881 8 ай бұрын
개발만 하는 개발자는 도태됩니다. 사업에 대헌 이해를 하고 개발도 잘하는 개발자만 살아남습니다.
@JAY_LAURENCE
@JAY_LAURENCE 8 ай бұрын
디자이너인 제가 개발을 거의 gpt한테 시켜가며 프로젝트 전체를 완성할 정도니 시대가 많이 바뀌었죠. 사실 명령을 내릴 줄 몰라서 그렇지 gpt한테 정확한 명령만 내릴 줄 알면 디자이너도 웬만한 건 다 구현 할수 있습니다. 개발자라는 단어가 웬말 이라는 느낌조차 들기 시작하는거 같습니다. 내 후년은 어떻게 될지..
@hmk7791
@hmk7791 8 ай бұрын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GPT가 디자인을 너무 잘해줘서 디자이너, 웹디자이너가 필요없을 정도죠ㅋㅋ
@dju953
@dju953 8 ай бұрын
디블리셔 입니다.. 디자인은 개나소나 눈이 있어서 더 까다로워요. 사람한테 시켜서 만들어줘도 조금있다가 '이걸 이거로 해줘' '아 아니다 처음껄로해줘' 이래요 ㅋㅋㅋ ai한테 시키면 세세한 디테일을 못살려서 더 답답해하고요.. 이래서 제가 디자인을 아예 때버리는 직업으로 바꾸려고 합니다만...
@hmk7791
@hmk7791 8 ай бұрын
@@dju953 개발도 마찬가지죠ㅋㅋㅋ
@dju953
@dju953 8 ай бұрын
@@hmk7791 그렇죠 ㅋㅋ 그래도 개발은 영어로 짜인 코드고, 읽을줄 모르는사람은 읽지도 못할정도로 직관적이지 않아서 좀.. 조용히 하고 있기라도 하는데... 디자인은 '시각' 그 자체니까 눈만 달려있으면, 참견이나 변경이 더 심하고 잦은 경험이 있네요..
@dju953
@dju953 8 ай бұрын
++실제로 사장님께서 디자인할때 GPT쓰면 더 빠르고 편하다!! 길래 그렇게 해줬더니.. ㅋㅋ 코드는 그래도 글자니까 GPT가 준 텍스트 수정하면 부분수정이 가능한데 (실제로 코드쓸때는 GPT가 엄청 유용하게 써지더군요
@AndyAlone
@AndyAlone 8 ай бұрын
1년전 영상에 빨리 시니어급 역량을 개발해야된다고 답글을 남겼었습니다. 이건 여전히 유효합니다. 풀스택이거나 시니어급 개발자는 살아남을겁니다. 코알누님 영상에 연결해서 이번엔 살아남는 법? 을 하나 남겨보겠습니다. 5번 그리고 2번과 관련해서 기업에서는 디지털화하려고 할 거고 그때 개발자를 고용해야할 거다라고 하셨는데 거기에 동의합니다. 그래서 그러면 '누가 고용이 잘 될거냐?'를 생각해야합니다. 금융기업에서 개발자를 고용하면 어떤 사람이 고용에 유리할까요? 금융에 전문지식이 있지는 않더라도 무슨 얘기를 하는지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이 고용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일에 효율성이 높아지겠죠? 회계업무를 전산화하려고 하면 회계를 잘은 몰라도 전반적인 업무틀을 알고 있는 사람이 좋겠죠? 이런 식입니다. 개발자는 스페셜리스트로서의 역량이고, 금융지식이나 회계지식, 업무프로세스 등 제너럴리스트로서의 역량도 함께 갖춘 사람이 살아남기 좋다는 거죠. 전문성이 높은 자격증은 아니더라도 주식투사상담사 2종이나 전산회계2급처럼 전문성이라기엔 난이도가 낮지만, 그림은 그릴 수 있는 정도.. 디지털화로 직업이 사라질 수 있다고 예상되는 분야들이 곧 여러분의 파겟파트가 될 겁니다. 저는 22년에 개발자되려고 알아보다가 얼른 발을 뺐습니다. 모쪼록 여러분의 건승을 빕니다.
@swc5636
@swc5636 8 ай бұрын
회계법인에서 신외감법으로 전산감사가 이미 의무화고 한국회계사 시험에 it내년부터 들어가서 코딩 문제 나옵니다 다른 나라 회계사 시험에는 it과목이 20년 된 곳도 있습니다 회계사가 코딩을 하는 시대에서 IT만으로 먹고 사는게 가능할지…
@AndyAlone
@AndyAlone 8 ай бұрын
@@swc5636 쉽게 예를 들기위해서 나온 겁니다. 이미 코딩 이외의 파트에 전문성을 갖춘 개발자가 많이 나오고 있죠. 코딩을 안다고 해도 꼬인 코딩을 푸는 건 아무래도 개발자들이 잘하기에, 과목에 코딩이 들어간 것만으로 전문성을 갖춘 개발자들이 대체되진 않을거라고 봅니다. 코딩 이외에 파트에 자신의 영역을 잘 구축하는 게 중요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sanoraph
@sanoraph 7 ай бұрын
​@@swc5636회계사가 코딩업무도 맡으면 좋겠죠 하지만 금융쪽이면 특히 보안에 관심이 많을텐데 회계사가 할 순 있겠지만 저수준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보안부터 시작해서 여러 에로사항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 저수준의 내용까지 공부하는데 학부 4년도 많은 시간이 아니기에 과연..? 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val_ms_nora
@val_ms_nora 2 ай бұрын
@@swc5636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에요.. IT과목 배워봐야 겉핡기식이고… 댓글처럼 개발자들이 회계 배우는 마당에 회계사들도 회계만으로 먹고 사는게 가능할지라는 고민 해요 😂 아무래도 문과지식보단 이공계열이 진입장벽이 훨씬 높은지라..
@taycleed2235
@taycleed2235 8 ай бұрын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 책임은 사람이 진다… 그리고 사내에 있으면 사용자 환경이랑 약간 무관하게 사내 demo용 시나리오라든지 온갖 케이스가 다 들어가야하고… ㅋ
@김화겸-y6e
@김화겸-y6e 6 ай бұрын
개발자뿐만 아니고.... 지적 능력으로 작업하는 모든 직업이 대체 위험에 있습니다. 그리고 최선단에서 작업하는 AI현업자들의 의견은 앞으로 2년이면 인간 수준의 월드모델 행위자가 나타날 거라는 거고 그게 나오면 자율주행차는 물론이고 그냥 모든 작업에 있어서 인간보다 더 성공확률이 높은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을 거라는 거에요... 불과 수 개월 전만해도, 불과 1년 전만해도, 챗지피티가 출시될 2년 전만해도 모두가 하나같이 "아직 멀었다"였는데 ㅋㅋ 지금 논문이나 투자되고 있는 자금이나 엔비디아 발전 속도나 모든 게 지수적으로 발전중..ㅋㅋ
@MustardSw0rd
@MustardSw0rd 8 ай бұрын
오늘 저에게 나이 어린 누나가 생겼습니다.
@수요일-k9c
@수요일-k9c 8 ай бұрын
진짜 영어처럼 될 거 같네요. 알고는 있어야 되지만 취업하고는 무관한 뭐 그런 ... ..
@Brown2Eyes
@Brown2Eyes 5 ай бұрын
그래도 하드웨어 기구/기계 설계보다는 SW 개발자 대우, 처우가 좋아여
@꿀띵-o9t
@꿀띵-o9t 8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빠를꺼지만 생각보다 느릴겁니다. AI가 내놓는 코드의 커버리지나 숙련도가 올라가도 그걸 상업용 프로덕트로 내놓는건 다른 문제입니다. 빗대자면,, '사진만 참고해 가봉한 옷'을 입고 결혼식에 들어가는 신랑과 같다고 생각해요. 특히 기존 시스템에 온배딩하는 코드들은 시스템이 클수록 그런 문제가 더 클 것 같네요.
@Spharkling
@Spharkling 6 ай бұрын
이제는 단순반복말고 관리직에만 도전해야하는 시대인 것 같아요. 뭐든지 어차피 사람이 확인하고 검토해야 사람이 쓰니깐요.
@dachshund_jow
@dachshund_jow 8 ай бұрын
1년전 대비 2500 깎고 현재 회사 들어옴 3개월 전에 이력서 480개 넘게 씀. 거의 죄다 광탈하고 서합 이후에 1차에서 털리는경우도 굉장히 많았음
@user-eh4hp8nn3k
@user-eh4hp8nn3k 8 ай бұрын
취준중인데 큰일이네 팁있나요 ㅠㅠㅠ
@kloud2748
@kloud2748 7 ай бұрын
480개 웃고갑니다ㅋ
@giro9395
@giro9395 2 ай бұрын
@@kloud2748네 웃고 가세요
@parkjjunewon768
@parkjjunewon768 2 ай бұрын
개발자라는 허물에 너무 한동안 빠져있었던 것 같습니다. 개발을 하면 다 취업 잘하고 연봉 높게 받던 시절은 잠시였던것 같아유..
@사냥꾼-g8i
@사냥꾼-g8i 2 ай бұрын
좋은 코드인지 확인하고 고치는 능력을 길러야 됩니다. 아무 지식도 없이 AI 기술만 믿고 하면 그게 온전 할까요?
@혼자왔어
@혼자왔어 8 ай бұрын
프로그래밍을 해줄수 있는 ai가 나왔다면 그것들의 셋팅값이나 api를 만질수 있지 않아야 하지 얺을까 싶네요 ... ai를 확실히 도구로 만들어야 하지 얺을까 싶습니다.
@phs-p5m
@phs-p5m 8 ай бұрын
댓글들에 ai공부를 안해본 사람들이 상상으로 이러면 어쩔건데 하는거 좀 ㅋㅋㅋ 언젠가 도달은 하겠죠 저도 개발직군은 아니지만, 캐글정도는 나가보고, 최신논문 찾아 읽어보고, gpu대여해서 직접 훈련도 해보고 파인튜닝도 해보고 합니다 현재의 ai모델 구조에 대해서 문제가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도달가능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죠 정말로 무조건적으로 미래에는 llm현재의 모델방향성으로 agi에 도달한다고 말할수 있을까요? 아뇨 미래의 일은 알수가 없죠 얀르쿤(cnn최초 설계자)주장대로 미로의 잘못된 벽을 두드리고 있는거일수도 있고 openai주장대로 충분히 도달가능할수도 있고 둘다 주장입니다 증명이된게 전혀아니에요 다만, 현재 ai모델이 발전하는 방향성이나, 정확도 개선 환상현상 제거되는 정도를 봤을때는 아직 멀었다고 생각이 들긴합니다 뭐 저도 당연히 제 개인적인 생각이고요 ㅋㅋㅋ 근데 전혀 해당분야에 아무지식도 없는데 그저 이러면 어쩔건데 라는식으로 말하면 누가 그걸 진지하게 받아들이나요 최소한의 지식은 가지시길
@_desaix9174
@_desaix9174 5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 개나소나 경험해본적도 없고 전공자들도아닌데 무슨 기본소득이며 다 대체된다 이딴 소리가 절반이 넘어가니 오히려 제대로된 정보찾기가 힘드네요
@Alalspsp
@Alalspsp 8 ай бұрын
다른거 알려주는 누나에서 빵터졌네요 ㅋ 코알누님 보면 긍정적 기운이 느껴져서 항상 기분이 좋아집니다! 미래의 남편분이 부럽습니다 ㅋ
@김현-p3f
@김현-p3f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태욱-d5i
@정태욱-d5i 8 ай бұрын
재밌군요...
@hajoondad5866
@hajoondad5866 8 ай бұрын
웃을때 예뻐용
@dlfmatjd9940
@dlfmatjd9940 7 ай бұрын
1. 기계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책임은 기계를 판 사람이나 보험사에서 지겠죠. 그 분들도 책임 안 지려고 노력할 거고요. 2. 사람도 돌발 상황에 대처를 못하는 경우가 많죠. 3. 기계 운영비가 인건비보다 저렴. 4. 코딩은 취미로. 5. 본인 일상 올리고, 취미 생활 알려 주는 유튜버도 꽤 있음.
@tunacant9106
@tunacant9106 8 ай бұрын
현업 개발자로서 아직도 gpt 최신꺼도 택도없습니다.. 물론 작은건 만들 수 있을거같은데 필드마다 좀 다를거같기도 하네요. 그와는 별개로 애초에 개발자가 하는 일이 코드만 짜는 일이 아니라서 ai의 발전과 함께 개발해야 할 것들도 무척 많아질겁니다. 시대에 맞추어가야죠. 항상 그랬듯이
@honeystein
@honeystein 8 ай бұрын
누나 설명 정말 잘한다
@Nomorecoco1
@Nomorecoco1 8 ай бұрын
Gpt-5 올해 나옵니다. 대비하십쇼.
@Nomorecoco1
@Nomorecoco1 2 ай бұрын
@ 대신에 내년 초에 AGI나온답니다. 화이팅!
@jwyoon059
@jwyoon059 7 ай бұрын
이건 그저 지극히 제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추측이긴 합니다만, 앞으로 코딩은 프론트엔드 -> 백엔드 순서대로 점점 일자리가 사라질 겁니다. 즉, AI한테 일자리를 빼앗기게 될 겁니다. 프론트엔드에서는 특히 웹디자인, UI 등 미적 감각 or 인간공학적인 부분이 필요한 디자인 분야를 제외하고는 싹 다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AI가 충분히 다 해줄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죠..... 사실 프론트엔드 분야는 비교적 낮게 요구되는 전문성, 업무 강도, 작업자체의 노가다성, 낮은 연봉 등 사람에게 너무 불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AI가 특히 더 강점을 발휘 할 수 있을 것 같구요..... User Customization이 중요한 웹디자인, UI/UX 등의 부분은 어쨋든 사람이 직접 해야만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살아 남을 수 있을 것 같긴합니다. 그러나 이 또한 많은 부분이 AI의 발전으로 인해 업무단순화가 되어가고 있는데다가 이쪽은 디자인 전공 혹은 디자인 지식도 요구되기 때문에, 단순히 코딩만 열심히 배우고 능력을 키운다고 해서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없기에 일자리가 살아남기는 살아남더라도 일자리 수 자체는 많이 줄어들고 일자리 뚫기가 바늘구멍이 되겠지요.... 디자인이라는게 그동안엔 워낙 노가다성이 심한 작업이라 사람이 많이 필요했던 분야인데, 기술/AI발전으로 인해 노가다성이 대폭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점차 백엔드 쪽으로 갈수록,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 등은 관리 및 보안이 중요한 분야이기에 관리와 보안은 여전히 사람의 손길이 필요하죠...... 그러나 서버/네트워크쪽은 점차 해킹, 정보누락 및 유출을 막기 위한 보안전문가 정도만 남을 것 같구요.... 데이터쪽은 IT전문가가 아닌 경영전문가들 또한 요즘은 다들 데이터분석 능력을 기본으로 함양하고 있기에, 굳이 IT쪽 전문가가 따로 필요하지 않게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앞으로 코딩 시장에서 살아 남는 방법은 코딩 언어/소프트웨어 자체를 개발하는 분야 및 AI 인공지능 개발 정도? 요렇게만 살아남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즉 앞으로는 코딩도 어설프게 배워서는 할수있는게 아무것도 없구 "그 정도는 누구나 다 해~" 혹은 "그 정도는 그냥 AI돌리면 다 돼~" 라는 소리 밖에 못들으면서 손가락만 쪽쪽 빨게 되는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 비슷한게 바로 영어죠? 마치 요즘 시대의 영어와 같은 입지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삶에 거의 필수이지만, 누구나 다 할줄 알고, 왠만한건 그냥 번역기 돌리면 알아서 다~ 번역되고, 어설프게 잘해서는 영어로 할 수 있는게(=돈 벌 수 있을만한게) 사실상 딱히 아무것도 없죠? 전문성이 아주 매우 뛰어나거나, 교육쪽으로 가지 않는 이상에요. 거의 기본 소양같은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 가까운 미래엔 코딩이 수능 과목으로 들어올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를테면 영어를 잘하는 분들은 영어는 기본전제이고, 거기에 미술을 전공하여 국제학교 미술교사로 취직하는 것처럼 현재 코딩 공부하시는 분들은, 코딩만 잘할게 아니라 코딩은 기본전제 혹은 부전공같은 거고 내 메인 능력(주 능력)은 따로 함양하여 나만 할 수 있는 (= 나만의 장점) 것이 무엇일까를 함께 고민해야하는 방식을 취해야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FishClaude
@FishClaude 2 ай бұрын
풀스택 경력 높은 개발자는 대우 받고 당분간 주니어들은 정말 어려울거야 저분 말은 다른 조코딩이나 노마드 같은 애들보다 훨씬 인사이트 있네요
@폰즈소스
@폰즈소스 8 ай бұрын
ai보다는 사람들이 더이상 새로운 앱이나 서비스를 사용 할 일이 거의 없어요. 이게 본질임
@fiesta-ul3el
@fiesta-ul3el Ай бұрын
C언어 배우는게 좋을까요?
@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알려주는누나 Ай бұрын
C언어 괜찮아요!
@아무것도몰라요-d3l
@아무것도몰라요-d3l 8 ай бұрын
썸네일어그로가 심한데 보고 반박을 몇개 하자면 먼저 개발자 취업률이 낮아진건 AI때문이 아닙니다. 그냥 개발자 풀이 줄어들어서죠. 애초에 한국은 웹개발자가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016년 2018년처럼 카카오(다음),네이버 같은 기업만 있을때가 딱 적정수준이죠. 코로나떄 거품이 너무 많이 올랐고 지금은 거품이 빠졌기 때문에 취업이 안되는것 뿐입니다. 코로나때는 일기를 써서 심리상담하는 앱이 10억 투자받고 꽃배달 업체가 100억 투자받는 세상이고 인터넷 결제 기능 하나 올려놓고 핀테크라고 우기면 300억 받는 시대였습니다. 그만큼 스타트업들이 100개 1000개 넘게 생기고 거기서 개발자들을 뽑아대면서 인력부족으로 연봉이 올라가고 거품이 빠지며 투자자들이 기존산업에 인터넷 붙인다고 돈이되지 않음을 깨닫고 투자비율이 매년 50%씩 줄어드니 취업이 안되는것입니다. 이런 사실을 모두 덮어두고 아묻따 AI떄문이다라고 주장하는 언론을 자꾸 만들어대니 정말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user-eh4hp8nn3k
@user-eh4hp8nn3k 8 ай бұрын
님 그러면 고졸 백엔드 개발자들은 차라리 취업하지 않는게 좋나요 저 이제 시작하고있는데 끝까지해보려구요.. ㅠ
@폰즈소스
@폰즈소스 8 ай бұрын
진짜 본질은 ai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더이상 새로운 앱이나 서비스를 사용할일이 없어요
@curethe9776
@curethe9776 8 ай бұрын
ai가 아니더라도 웹은 포화가 아니라 그냥 터져버림
@sansamlife
@sansamlife 3 ай бұрын
Devin AI가 언제 출시될까? 궁금하네요~ (요즘은 조용한듯)
@ycl12123
@ycl12123 8 ай бұрын
전직 개발자 입니다 구글이 인력 필요없다고 줄인다고 난리고 전문가들도 하지마라고 난리인데 왜 괜찮다고 하시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calmroad
@calmroad 4 ай бұрын
5번 사항은 옛날에는 그랬는데 지금은 과연 그럴까요? 추가 수요는 단기적으로 생기고 중장기적으로는 사하질겁니다. 아주 짧은 단기로 개인적으로 판단됩니다.
@happykobe24
@happykobe24 6 ай бұрын
코딩을 알고 쓰는거랑 안쓰고 쓰는거는 진짜 천지차이임..
@giro9395
@giro9395 2 ай бұрын
진짜요?😂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평점 2점대 중소기업 MZ 신입사원의 하루
16:22
캐치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경력 같은 신입 AI' 뽑습니다.
26:3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