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와 연관이 없는 얘기는 적게하 고 주제에 대해 전념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설명이 많이 부족하여 아쉬운 것같다.기본적으로 원론만 되풀이 하는 정도에 그친 상황이다.COPD 에 관한 프로그램을 굉장히 많이 봤는데 100%로 원론만 되풀이하 는 수준이다.한국이 이부분에서 가 야할 길이 굉장히 멀어보인다.제일 중요한것이 치료방법인데 획기적 인 방법이 없는것이 너무나도 답답 한것같다.그냥 흡입제로 기도가 더 좁아지지않게 하는것에 초점이 맞 춰져있는것같다.COPD치료에서 이런 치료방법을 깨지않으면 절대 로 효과적인 대혁명을 이룰수가 없 다.따지고 보면 아직까지도 이부분 에서의 깊은 이해가 너무나도 부족 한 상황인것같다.특히 호흡에서의 비가역적인 부분을 어떻게 극복해 야할지에 대한 연구가 한계를 보여 줘 너무나도 아쉬운것같다.탄력이 떨어진 페포의 기능을 어떻게 효과 적으로 회복해야할지에 대한 어려 운 연구가 매개 의사들의 발목을 단단히 잡는것같다.이부분에서 의 사들이 막연해지고있는 실정이다. 이부분에서 창의성인 연구를 거쳐 아주 효과적인 방법을 만들어낸다 면 노벨의학상을 수상하는건 절대 로 문제가 되지않을것이다.
@myokauscher8299Ай бұрын
홍혜걸 씨는 왜 자기부인한테 집사람이라고 호칭을 하나요? 자기랑 같은 의사 인데!
@drzunin10 ай бұрын
스테로이드 30년 치료도 우려스럽기는 마찬가지...... 생물학 제제 역시 끝없는... 반복........? ^^ 광고는 물론 나도 누구도 믿지 않지만, 우려하실만큼 모를 가능성 500%. ㅎㅎ 그런데 40대 이상 13.5% COPD ?? ㅎㅎ 광고는... 누가...... 내가 부끄럽다.
@삐일-u9k Жыл бұрын
짧고 간단히설명하고 증상에따른 치료법을 알려주시지 먼 입시공부도 아니고 환자가 참 인내하고듣기힘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