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에서도 은근 장점이 많은게 차피 로드는 왼만하면 페달링을 멈추지도 않고 라쳇소리 한번 들려주면 알아서 비켜줘서 이게 은근 좋음
@hspark67313 жыл бұрын
이거맞음 자전거도로에서 타다가 뒤에서 위잉거리는소리 들리면 알아서 비키게되더라구요ㅋㅋㅋㅋㅋ
@팩폭멈춰3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도로 우측에 붙어 달리면 될텐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중앙으로 달리네요
@Exupery_ArtLab3 жыл бұрын
그 용도로만 쓰면 좋은데 가끔은 어지간히 길게 앵앵앵앵앵 하면서 일부로 저러나... 싶은 민폐라이더들도 있더라구요ㅠㅠ
@Exupery_ArtLab3 жыл бұрын
@@팩폭멈춰 누가 가르쳐주거나 누가 알려주지 않아서 그렇조. 자전거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들이면 내가 먼저 매너를 지키고 먼저 안전을 지키는데 흔히 한강 자전거 도로같은데선 개나소나 다 자전거 타니까 중앙도 달리고 2 열로도 달리고..... 똥은 더러워서 피하는게 아니라 무서워 피한다고 안다칠려면 내가 알아서 추월하고 도망가야합니다ㅠㅠㅋㅋㅋㅋㅋㅋ
@팩폭멈춰3 жыл бұрын
@@Exupery_ArtLab 추월해서 도망가려고 했는데 갑자기 중앙선을 침범해서 제 앞길을 가로 막더라고요. 옆으로 빠지는 길도 없는데.... ㅠㅠ
@MrVfmen4 жыл бұрын
차도 머플러 배기음 스피커로 틀고 다니던데 ㅎㅎ 라쳇소리도 녹음해서 틀고 다니면 간단합니다 ㅎㅎㅎ 다다다다 까르르 촤르를 소리가 꼭 뒷바퀴의 중심축에서만 발생해야할 이유는 없죠 ㅎㅎ 제일 싼 방법은 비트박스로 라쳇소리를 연습해서 입으로 촤르르르 찌르르 내고 다니면 됨
@elvenisar4 жыл бұрын
바퀴 속도에 연동되서 나면 좋겠네요 ㅎㅎㅎ
@rigogioh9762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헬스도 하는 사람이라 근손실과 힘손실의 비유 아주 인상깊게 봤습니다.. 라쳇소리 큰건 손해다. 메모..
@굿데이-b8g Жыл бұрын
와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최고
@chr68664 жыл бұрын
저는 조용한거 좋아하는데 주변에서 좋아하시는분들은 라쳇소리 따릉이 대신 쓸려고 그런거같더라구요. 최근에 진짜 큰 라쳇소리 내는 로드를 보았는데... 제가 다 부끄러웠습니다... 너무커..
@정재우-r2g4 жыл бұрын
조용한 듀라가 좋습니다. 밤 늦은 시간 주택가 지날때 페달링을 쉬어도 민폐를 끼치지 않습니다.
@나다짜근토끼4 жыл бұрын
오도바이에 비함 아가죠
@eichenwalde53342 жыл бұрын
@@나다짜근토끼 자전거 이야기하는데 오토바이가 왜나오는지 설명좀?
@같은길2 жыл бұрын
밤에자전거 타나요 바닥이보이나요 라이트 밝기로는 안보이든데요
@Illyasviel_von-einzbern Жыл бұрын
@@같은길 좋은 라이트를 사서 쓰세요
@low31118 ай бұрын
브레이크 살살 잡아주면 라체소리 줄어드는데
@김덕남-i2m Жыл бұрын
어쩜ㆍ이렇게 박식하신지ㅡㅡ 정말 대단하세요ㅡ 그래도 라쳇소리나는 잔차를 바꾸고 싶었는데 이번에도 조용한 잔차로 기변했네요 ㅠ 지이언트 패스트로드 AR 하시브리드로 기변했는데 너무 조용하네요ㅡ 라쳇소리가 은근 부러웠는데 ㅎ
@elvenisar4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것 처럼 촘촘한 소리 말고 툭툭툭툭툭툭툭툭 터지는 강려크한 소리가 좋더군요.
@koreakiwon3 жыл бұрын
아, 이거 엄청난 정본데요. 전 여태 라쳇소리가 뒷바퀴에 톱니판들 겹겹이 겹쳐놓은 부위(뒷 기어?)에서 나는 건 줄 알았어요. 그게 아니라 뒷바퀴 속 허브에서 나는 거구나. 라쳇소리 바꾸려면 톱니교체~~가 아니라 휠을 바꿔야 되는 거군요. 웃으시겠지만 제 안에서는 거의 코페르니쿠스적 사고의 전환이 일어났습니다. ㅋㅋ
@elvenisar2 жыл бұрын
예전 카세트방식(돌려잠그는거)은 톱니 안쪽에서 나는게 맞았습니다. 구조가 나름 복잡한 물건인데 소모품인 카세트와 일체형이다보니 여러모로 문제가 있어서 바퀴일체형으로 바꾼거죠.
@-juckjuck Жыл бұрын
표현 왤케 귀엽지 ㅎㅎ
@SHC_airtools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하시네요~ good입니다.
@bktv6011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20그래비티라이더4 жыл бұрын
헷
@bktv60114 жыл бұрын
@@20그래비티라이더 에헤헷~
@hergang714 жыл бұрын
2:12 포인트
@둘리형님-w9g3 жыл бұрын
YES OR YES
@byeonghaJang2 жыл бұрын
조금이라도 사람들이 같이 다니는 길들에서는 라쳇 소리가 크면 확실히 서로 인지가 가능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저녁에 차가 다니지 않는 도로를 타고 집으로 복귀 할때 라쳇소리는 물론이거니와 잡소리 하나 없이 셋팅된 로드를 미친듯이 밝고 스프린트 할때의 그 맛도 좋아요
@김홍범-k8q4 жыл бұрын
로드레이스에서 라쳇소리 크면 유리할까? 내가 페달링 쉬고 있다는 것을 라이벌에게 알려주고 싶은 친절한 레이서가 과연 있을지 비싸고 좋으면서 소리안나는 허브가 레이스에서 전력노출을 숨겨야 하기에 필요합니다. 로드레이스는 체력전? 체력이 기본이고 비슷한 프로레벨에서는 수싸움이 치열합니다.
@hwangcollin97533 жыл бұрын
zipp nsw 휠셋 라쳇소리가 조용한 이유입니다 ㅎㅎ
@이용록-e8p4 жыл бұрын
강의가 센스가 넘치네요 굳~!
@tree-e2q4 жыл бұрын
4:06 춈쵸만 라체슨
@krnewbie8 ай бұрын
라쳇T수가 촘촘한 허브들은 걸림높이가 또 낮지만 잘 걸리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막상 타보면 업힐이나 높은 파워로 페달링할때 손실되는 구간이 거의 안느껴지다시피 해서 소리랑 무관하게 T수가 높은게 좋긴 하지요. 또 요즘 세라믹허브로 재질변화도 있어서 좋은건 맞습니다. 좋다고 해줘요!~ 따릉이 대신 쓰기만 하는 저로써는 좋다고 해주셔야함다. ㅠㅠ
@정진영-m2u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그쵸... 당연히 에너지인데... 소리큰 만큼 에너지 낭비...
@치와와-h3j Жыл бұрын
라쳇소리는 보행자 겸용 자전거도로에서 좋은듯 벨을 울리지 않아도 소리 듣고 대부분 비켜주심
@bicycle1014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스프랙 클러치 방식이나 시마노 사일런스처럼 비싸고 좋은 휠이면서 아예 소리가 안나는 허브도 있는데 그건 그냥 재미없어서 안넣었습니다.
@nya1825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스프래그 클러치 쓰는 무소음 회사만 해도 손에 꼽고 오닉스(신뢰성 이슈) 트루 프리시즌(인수됨) 인수한 박스컴포넌트(부스트만 제작) 그외 파울이 공회전시 비접촉하는건 아메리칸 클래식(무소음x, 저소음o) 시마노(일부만 무소음,그마저도 고속만) 요런식으로 점점 외면당하는지라 안넣으신게 오히려 좋다고 봅니다 무소음 좋아하는 저같은 마니아들 또륵...
라쳇 메뚜기라는 기어요 .. 옛날에는 걸림 안되고 넘어가면 분해해서 속에 강철와이어 삐삐선이나 브레이크속선으로 새로 만들어 넣어서 수리해서 썼어요 ㅎㅎㅎ
@군민라이더4 жыл бұрын
라쳇 바꾸고 싶네요 지식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wooj22733 жыл бұрын
설명 재미있으시고 유익하네요! 구독 !ㅎㅎ
@sirius61304 жыл бұрын
54T의 톱니가 반응성 좋기는 좋음. 36T랑 차이가 확연히 느껴짐! 업힐할때 확실히 차이가 나서 디티스타라쳇은 54T가 찐! 개인적으론 인더스트리나인 소리를 좋아함.
@rjsjiqn4 жыл бұрын
솔까 그냥 간지 랑 뒤에서 띵띵 거리면서 벨 울리는거 보다 치리릭 하는게 쌉간지지
@레알아재-w4s3 жыл бұрын
이분 영상 깨알같은 개그요소에 쉬운것 부터 세세한 부분까지 훑어주고, 정말 좋은데.. 왜 구독자가 떡상 안할까... 자전거 유저수가 아직 비주류 라서 그런가.. 난 안탄지 오래돼서 자전거인으로 보기도 민망한데 영상 자체만으로 재밌고 유익한 영상 너무 많은데.. 안타 깝다.. 자전거 개론 화이팅~~~ 떡상 가즈아~~
@specialized13754 жыл бұрын
라쳇소리가 크니깐 벨을 안울려도 비키거나 내가 있다는 걸 인지하더라고요.. 넘 좋슴둥ㅎㅎㅎㅎ
@ssapgaming4 жыл бұрын
너무 설명 재밌고 잘해주시네요 구독박고갑니다
@Hatsal_Tunel2 жыл бұрын
바퀴작은 미니벨로에서도 라쳇의 한t수가 엄청 크게 작용하기에 미니스프린터로서 팍팍 치고 나갈때 라쳇이 듬성듬성하면 확실히 반응성이 느리더라구요
@ji-sunjeong5474 жыл бұрын
ㅇㅇ?? 라쳇 소리 큰 휠이 메뚜기 수가 많은 건거요? DT 스위스야 구조 자체가 저러니 그렇다 치지만, 보통의 라쳇은 메뚜기 다리 개수가 적을수록 오히려 소리가 큰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 소리 적기로 유명한 시마노 메뚜기 다리 6개, 소리 크기로 유명한 펄크롬의 경우에는 3개였던걸로 기억 하구요. 그래서 소리가 적을수록 촘촘한 라쳇을 가져서 페달링에서 헛도는 범위가 적었던 걸로 기억해요..
@bicycle101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그 집은 2가지 조건만 가졌나보군요
@mink69673 жыл бұрын
라쳇 소리덕에 한때 크리스킹을 자주 볼 수 있던(요새는 잘 몰라서...) 크리스킹 + 마빅 휠 조합이 많았죠. 비싼거 샀으니 요란해야 구입한 효과가 ㅎㅎ
@조선희-e4x4 жыл бұрын
여윽시!개론쌤은 설명을 잘하세요~ 자가야 귀에 쏙옥오옥~!
@-gullfaxi8237 Жыл бұрын
라쳇소리를 앞에 다니는 그냥 사람 운동하는 사람 지나가는 사람 산책하는 사람 그냥 사람한테 벨~링 대신 쓰니깐 큰게 좋은데 귀하의 의견은 다른가요??
@DinirNertan3 жыл бұрын
요새 히오스 광고는 유익하기까지 하네요.
@Happy_family_7 ай бұрын
몇그람 더 낮추려고 수백수천을 투자하는데… 힘손실 발생하는 라쳇소리는 포기못하는…
@Exupery_ArtLab3 жыл бұрын
라쳇 asmr 못참지...
@SunghoonAn4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로드에서 MTB로 넘어가면서 아는 형님이 이야기해준 걸 영상으로 그대로 보게되는군요. 입문급 하드테일로 짧은 싱글을 타고나서 이 형님이 제 자전거 잠깐 타보더니 크랭크 돌릴 때 반응이 너무 늦다(=백래쉬가 너무 길다)라고 이야기 해줬거든요. 오 진짜요? 그럼 어떻게 해야되나요? 물어보니 지금은 일단 타고 나중에 자전거 좋은 거로 바꾸라는 이야기만 해줬는데. 당시의 제 생각은 영상에서 나왔던 것 하고 똑같은 생각이었습니다. 그거 반응 더 빨라지는 게 큰 차이가 있나?(=백래쉬 짧아진다고 차이 없을 거 같은데) RPM을 조금 더 높이거나 토크로 콱 눌러버리면 되는 거 아닌가? 2개월 정도 싱글 많이 타보면서 이제서야 느낍니다. 나무뿌리 많은 다운힐에서 디테일하게 저단기어에서 짧게 짧게 킥을 하면서 나아가는 경우도 많았고요. 다운힐을 하다가 다시 업힐이 나올 때 탄력받아서 완벽하게 올라갈 수 없을 때는 페달링을 해야하기도 했고요. 장애물과 나무 때문에 자전거로 여기를 지나갈 수 있을까? 페달링하면 나무 옆구리나 바닥에 걸리지 않을까?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겨우 넘어가기도 했고요. 업힐에서 통나무로 턱 만들어 놓은 거 올라갈 때 윌리 방식으로 올라가려고 킥을 하려는데 백래쉬가 길어져서 반응이 늦는 경우도 많았고요. 위에서 말한 반응이 더 빨라지는 것. 그 몇 밀리미터 때문에 지금의 자전거가 약간은 아쉽더라고요. 영상을 보니 이론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것 같아 기쁩니다. 좋은 영상 계속 만들어주세요. 👍👍👍
@산토니오박3 жыл бұрын
이런채널도있군요 대단합니다
@용당간지4 жыл бұрын
포캣몬 세대군요 ㅋㅋㅋ 질문들어 갑니다~!! 로드에서 빡센 업힐이나 낙타등갈때는 라쳇이 촘촘한게 유리하게 작용할 까요?? 답변해주시면 마지막 영상 라쳇 소리들으면서 잠이나 자야겠네요 ㅋㅋ
@남C인생머있나4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설명 해주는데용! 겁나 빡센업힐이든 곱추등이던 낙타등이든 잘타는 사람은 페달링을 멈추지않는다라고 설명함! 엠티비는 코스지형에 따라 돌뿌리 나무부리같은 장애물을 통과시 부득이하게 페달링을 멈추었다 다시 페달링할때 장점을 위해 소리큰ㄱ게 장댕이라고 설명함~
@응슷응응슷응-r9z4 жыл бұрын
라쳇으로 시공폭풍 엔딩까지 이어버리시네요... ㄷㄷ
@bonggoodkim6598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명쾌합니다. 소위 스텔스 휠도 좋아요. 뒤에서 라쳇소리 왱왱거리고 따라오면 짜증나고 해서 먼저 보내고 갑니다. 그러다 다시 스텔스로 추월하게 되지만..
@soundsbyAK4 жыл бұрын
다음엔 프리코스터 허브 구조도 알아보는 영상 ㄱㄱㄱㄱㄱㄱ
@ginnunga14 жыл бұрын
영상 오지게 기다렸습니다 ㅋ
@애본다-o5f4 жыл бұрын
아웃트로 대밬ㅋㅋ...근데 로드도 정체 등으로 잠시 패달링을 멈췄다 다시 추월해서 나가는 순간에 라쳇t수가 많으면 조금이라도 유리하지 않을까요?
@DaddyBrownbr Жыл бұрын
라쳇소리 커 봐야 소리로 손실되는 에너지가 크지 좋을게 뭐가 있을까요. 비싼휠에서 라쳇소리가 커 지는 경우는 경량화 알루미늄 허브 구조 속에 라쳇이 소리를 내게 되므로 (통울림, 두께 적음) 소리가 밖으로 좀 크게 울리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user-xx1 Жыл бұрын
스타라쳇과 EXP라쳇도 소리가 틀립니다. 신형 EXP라쳇이 훨신 소리가 크더군요. EXP라쳇+54T는 소리가 제법 커서 사람 많은 자도 등 다닐때는 좋더군요.. 자동 벨이랄까... 주변에 위치를 확실히 알려줘서. 지나가는지도 모르고 스텔스처럼 움직이다가 인지하지 못한 사람과 부딛히는일 생기는 것보다는 라쳇소리가 나면 자전거가 있구나 하고 주변사람도 같이 주의를 하기 때문에 더 안전한 느낌?
@donbuja45793 жыл бұрын
강의맛집
@tubeyou14903 жыл бұрын
소리 큰게 단순히 브랜드 특징인가 실질적인 이득이 있는건가 궁금했는데 좋은 설명이네요.
@illykfjf52742 жыл бұрын
자전거도 없고 탈 일도 없는데 개재밋게 봄 ..
@siukim85413 жыл бұрын
이설명은 로드는 바퀴를 거의 안멈추는사람 잘타는 상급자이상 프로를 기준으로 하는것 같고 일반자도에서 타는 취미로 로드를타는 동호인들은 라쳇소리가 생명임ㅋㅋ
@elvenisar2 жыл бұрын
아 내자전거는 이천만원짜리야!!!! 하는소리 ㅎㅎ
@HG-cy1cz3 жыл бұрын
하루한번씩정주행~
@김민용-w8s4 жыл бұрын
설명 머쩌부러~
@g667-k2w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혹시 라쳇바디쪽 파울쪽에 다이소에파는 멀티구리스 발라도 되는건가요?
@--abracadabra2738 ай бұрын
질문이요~ 그제 사자전거가 록키마운틴 알티투드 인데 리어허브가 디티 370 부스트 148 18t스타라쳇 인데 소리가 너무 아니 아예 안나요 ㅜ 어찌하면 나게 할 수 있나요?
@김현목-z6c8 ай бұрын
글쎄? 뭐가좋나요? 시끄럽기만하고 스프링이 강하게 튀겨 감속되지않나요?
@acrobaticbear4 жыл бұрын
따릉이 대신 쓰이는 라쳇소리
@장희우-b8f3 жыл бұрын
스몸비들은.. 딸랑이도 못듣는다는…
@Johnsmith_Baesanimsu4 жыл бұрын
휠종류와 휠의성격도 강의 부탁드려요~~~
@용당간지4 жыл бұрын
2:56 스프링이 진짜 강하게 생겼네요.. ㅋㅋㅋ
@세웅-i7w4 жыл бұрын
벌크업 씨게하고온@@
@jinhoyou73753 жыл бұрын
일단 구독은 눌렀어요 내일 자전거 사는 입문자 입니다 뭔소린자 하나도 모르겠는데...이걸왜 다 보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