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입고가 되기엔 너무 쌔삥한 S24가 입고됐습니다. 인위적으로 한것 같지 않은 문제가 발견된 건데요. 만약 이상 발열이 발생한다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 혹시 돌아가는건 없는지 확인해 보시고 꼭 서비스센터에서 방문해서 진단 받아보세요. 데이터는 언제나 백업해서 보관하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갤럭시S24 #불량스마트폰 #데이터복구
Пікірлер: 903
@Little_Shoes10 ай бұрын
오해와 추측이 많아 상황을 정리해서 설명 드리면 소유자이신 고객님의 스마트폰은 평소 발열이 상당히 심한 상태였는데 사용하던중 갑자기 전원이 나갔다고 합니다. 삼성 서비스 센터에 방문했고 담당 기사님은 메인보드 불량으로 보드교체를 제안하셨고 고객님은 데이터가 필요했기 때문에 다시 조립을 요청하고 협력 업체에 입고했습니다. 해당 업체에서는 신형기종 대응 불가로 별도의 조치 없이 저희에게 바로 보내주신 상태였습니다. 만약 고객님이 우리가 모르는 다른 사설업체에 방문했거나 저희 협력업체에서 작업을 했다면 1. 현재 고장증상과 관계가 없는 전원단자와 무선충전모듈단자 NFC 칩셋과 Mlcc에 300도 이상의 열을 30여초 가한 다음 위치를 이동했을까(심지어 이 부품들은 붙어있지 않으니 일부러 하나하나 건드렸다고 봐야 합니다. 손이 미끄러졌다등의 문제가 아닌거죠) 2. 분명 쉴드캔은 제가 분해했는데 PMIC 아래 볼납이 있었던 점. 3. 플럭스 없이 부품을 가열해서 밀어내면 납 꼬리 같은게 생기는데 그런 형태는 현미경으로 봐서도 없었다는 점입니다. 아, 그리고 영상에서 말씀 드린부분에 대해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서는 데이터복구 업무는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메인보드 고장으로 인해 교체가 이뤄지는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보드를 임시 반출 해주시기도 합니다.
@lovesongvirus10 ай бұрын
오 임시반출!. 고장확인 후 임시반출 받는게 훨씬 좋겠네요~ 꼬마신발님 말처럼 중요한 자료는 2차 3차 백업이 중요한 듯!
@Bamos-ss-aa10 ай бұрын
볼납있는 부분은 쉴드캔 부분이 아닌데요
@lovesongvirus10 ай бұрын
@@Bamos-ss-aa 볼납이 2군데 있었음 첫번째는 쉴드캔과 관련없는 부분이고 두번째 14:08 보면 볼납보이네요
전 이번에 s23 메인보드 나가서 백업하겠다고 달라고해서 처음엔 안된다고했는데 부품교환이라고. 삼성수리기사분이 수리중에 연락와서 기존메인보드도 따로 챙겨주셨어요. 나중에 의뢰할려고요.
@iilulu2310 ай бұрын
AP상면 색은 보통 검은색 emc몰딩쓰는데 엑시노스2400은 팬아웃패키징을 적용하면서 투명한 절연재를 쓰고있습니다. 아래 구리회로가 그대로 비쳐서 금색처럼 보이네요
@이오엘-r8p9 ай бұрын
저도 삼성 노트북 as 직원 이었는데 휴대폰 분들 수리는 간단한 부분만 하고 저런 부분은 안합니다 교체죠 저분이 거짓말 하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여집니다.
@besitolee10 ай бұрын
사람이 검사 안하고, AOI 장비 통헤서 진행합니다. 광학 카메라와 영상인식 처리를 통해 각 부품의 실장 위치를 자동 체크해주죠, 저정도로 틀어진거면 바로 잡아내죠. 다른 사연이 있는 듯...
@piljunkim978310 ай бұрын
기계는 잡아내죠..슈터에 나온거 사람이 다시 넣어서 문제지..
@라지안투9 ай бұрын
@@piljunkim9783뜬소문 만들지맙시다 기계에서 검출된거는 무조건 걸러내고 스타트입다. 다시 넣으면 난리나요.
@슈바-v7y9 ай бұрын
스패이스 다다다다 하다가 리뷰패스 된듯
@sbcho8149 ай бұрын
디버깅 안되어도 불량 유출되고, 사람이 인위적으로 패스해도 유출되죠. 그리고, 수리보드까지 AOI재검하는 업체는 거의 없습니다. 육안검사하지...AOI를 운영하는것도 결국 사람입니다.
@JJJ-ih9sw9 ай бұрын
AOI는 회로검사하지 않나요?
@hjj83009 ай бұрын
S전자 현업 종사자인데, 실드캔이 노란건 손 접촉이나 유분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열을 가했을때 저렇게 노랗게 자국이 남습니다. 서비스센터에서는 열을 가하는 메인보드 수리는 안하는걸로 알고있고, 사설업체를 간걸로 추정되네요. 그리고 납볼이 조금씩 있는건 Smd공정에서 충분히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라 그 납볼이 다른 부위를 short시키지 않는 이상 문제 되지 않네요
@KKoKKiRi39 ай бұрын
자체적인 기기 발열로 실드캔이 변색될 수는 없다는 말씀?
@hjj83009 ай бұрын
@@KKoKKiRi3 휴대폰 해체할때 챔버 온도가 75도 가량인데, 이정도로는 실드캔 변색 안됩니다. 메인보드 실드캔이 변색이 된거면 누가 손으로 만진 담에 열풍기같은걸로 열은 가한거에요
@SdToWN10 ай бұрын
자재불량이라 해도 저건 누가봐도 눈에 보이는지라 공장 QC단계보다는 불량이후 사설 한번 갔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IdeaTimeService10 ай бұрын
부품위치나 볼납과 흠집을 보면 수리한 게 맞는 것 같네요...
@aaa-lx6dy10 ай бұрын
어딘가에서 무적의 380도를 거친 제품인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 군요.
@realkk073110 ай бұрын
???:단자가 삐뚤어 진 것을 알 았습니다.
@CHUNGHA-AZ10 ай бұрын
나~이스~~ 야~~ 야
@kimname77710 ай бұрын
ㅋㅋㅋ 무적의 380도 범인아니냐?ㅋㅋ
@jjbaek121810 ай бұрын
ㅋㅋ피아식별
@toyplayground898710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그곳 알리를 뒤져봐야할것 같습니다...
@ez.j10 ай бұрын
센터가면 보드교환인데 저렇게 안함. 그것도 출시된지 이제 3개월 됐는데.. 그리고 발열에 의해 납이 녹을 수 있나요? ( 폰이 저정도 뜨거워질때까지 안써봐서...) 데이터복구 명목으로 타사설업체에 갔다온거? 그냥 열풍기 갖다 댄느낌...
@KKoKKiRi39 ай бұрын
열어만 보고 보드교환은 안 하셨다는 것 같은데요
@フトスト9 ай бұрын
@@KKoKKiRi3열어만봐도 뚜껑온도랑 볼납온도랑 차이 심할텐데
@RP021010 ай бұрын
삼성전자 as센터를 저런 작업을 안합니다ㅋㅋㅋㅋㅋ 무조건 교환이죠
@spencerjonson655610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21:20
@petlove410 ай бұрын
더더군다나 보증기간 이내라서 메인보드 뜯고 리웍 쓸일이 없는데...
@Bamos-ss-aa10 ай бұрын
@@쭈니-j4y 메인보드 교환 말하는거죠 제품 교환이 아니고
@anonanon3310 ай бұрын
@@쭈니-j4y 교환 합니다. 거긴 교환이 기본 베이스입니다.
@동탄밑창보강10 ай бұрын
난 이유를 알것 같다 후배들아 왜 그랬어 쉿!
@jbkr86259 ай бұрын
보드가 엉망것이 삼성불량인지 외부업체가 손댄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강력한 불량증거처럼 보이는 밀봉된 쉴드캔내 볼납에서 신뢰도가 확 깨지네요. 아래도 글들이 있지만 캔을 제거한 직후인 13:54초 쯤에서 정지시키고 한번 보시면 볼납이 없습니다. 자막으로 정확히 그위치가 가려있어서 안보이지만 정지시키고 키보드에서 < > 키 누르면 프레임 단위로 넘길수 있는데 한두프레임 정도 자막에 가리지 않는 시점이 있으니 살펴보세요. 의도했든 우연이든 정확히 문제제기한 부분을 자막으로 가리고, 이미 아래 의견이 나왔는데도 며칠이 지나도록 수정하지 않는것은 채널의 신뢰도에 큰 흠이 될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10002kc10 ай бұрын
삼성 이틀전 주주 입니다. 추정 1. SMD 실장할 때 저렇게 발생된다면 부적합 처리 됩니다. SMD 협력업체 과실 추정 2. 좋게 좋게 다 사정 다 봐주고 운좋게 조립 공정이 투입 되었다고 칩시다. 거기서도 단계별 공정 검사를 할 텐데 부적합 처리 됩니다. 추정 3. 지이이이이이짠 운좋게 다 넘어 갔다고 칩시다. 출고전에 일정시간 전원을 넣고 검사를 하는데 거기서도 운 좋게 넘어 갔다고 칩시다. 과정 1. 사용자가 장기간 사용 했다면 저렇게 자기 좌표에 삐뚫게 처리된 제품은 증상이 점점 나타나고 A/S를 맡기겠죠 (추정 4.) 삼성 A/S 센터 같은곳은 모든 부품이 모듈화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 교체를 하고 해당 부적합 모듈은 QR코드나 S/N로 역 조사 들어 갑니다. 추정 5. 납볼 들이 저렇게 지저분하게 있는거 보니 누군가 오픈을 했었고 부품간 쇼트로 칩들이나 IC가 소손 된 거 같습니다.
@서상현-l9q10 ай бұрын
저에게 투자노하우즘 가르쳐주세요 ㅠㅠ
@trajectory-g7c10 ай бұрын
10002kc 님이 쓴 댓글이 가장 정확한 설명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대한민국 어느 기업에서든지 전자제품 생산쪽에 관련된 일을 해 본 사람이라면, 10002kc 님이 쓴 글 정도는 누구나 다 생각해 볼 수 있는 글임. 내 생각에도 생산할 때 이런 불량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이야기.
@미로모9 ай бұрын
검사센서 불량은 요즘 없을텐데..
@AdamScott428610 ай бұрын
cap이나 ind 하나 없고, PMIC 1번핀 오삽 되어있네요~ 삼성 잘못이 아니라, 사설업체에서 못살린 추측 100%
@e_sence9 ай бұрын
14:33 그렇네... +표시가 ㄴ가이드 쪽에 없네요? 쓰다가 죽은거니까 고장난 후 누가 건든게 맞긴 맞군요 그럼
@토리아빠-e6r10 ай бұрын
꼬신님 최근에 출시된 플래그십 모델인 S시리즈가 저런 상태라 저도 관심있게 시청했네요. 저정도로 소자들이 틀어진 부분이라면 품질 검사 QC에서 절대 안걸러질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꼬신님 말씀대로 서비스센터 반출 후 타 데이터 복구 업체에서 작업하다가 틀어진게 가장 가능성이 있어보이네요. 데이터 복구되는 영상도 꼭 기다리겠습니다.ㅎㅎ 오늘도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GO-wf4rh4 ай бұрын
보드 보이자마다 보이는 누런색은 타버린거죠, 발열&기타이유 로 보드가 타버린거에요, 한방향으로 움찔한 부분은 열받은상태에서 흔들흔들 했다거나 하면 그랬을 수 있죠
@OTL_LOL10 ай бұрын
처음온게 아님 맡기신 사람이 거짓말 한거임. 어디 사설수리 받은거네.
@abcxxzhhvb10 ай бұрын
믿음의상성정자
@뎅뎅군10 ай бұрын
거짓말 아니더라도 남편? 이 따로 업체 맏기거나 가족간 서로 소통안되서 먼가 오해가 생긴듯.
@@최재성-m3c삼성 서비스가 얼마나좋은데 뭐 때메 신형 폰을 사설업체에 맡기는지 도무지 몰겠는대요?
@JunghaSon4 ай бұрын
미스테리네요.. 뭔가 알려지지 않은 알릴 수 없는? 사연 많은 기기 같습니다.
@java411010 ай бұрын
어디 다른데 갔다온 매인보드 같네여
@정배-z9t10 ай бұрын
요즘 불량 기판은 거의 컴퓨터 검수가 기본인데. 저정도는 반드시 잡아내거든요. 오히려 저거 알려주는게 더 좋습니다. 저거 생산 주차 제품은 다 걷어 내야 되요 .
@hyjung252910 ай бұрын
생산시 SMT작업할때 저런 불량 나기 쉽지 않은데...
@JR-kim9 ай бұрын
믿을수 없지만 기가막히게 안걸리기도 하죠ㅋ
@daeyouncho52748 ай бұрын
저정도면 비전 검사기가 못잡을 확률 0프롭니다. 그리고 저렇게 실장되기도 쉽지 않아요.
@그래가지고-j6n10 ай бұрын
현직인데 꼬마신발님께 오기전 다른 손을 탄거같네요. 자연발열때문에 저렇게 누래지거나 땜이 다 틀어지지도 않고 반대편은 찍혀있는거 저렇게 나올수가 없어요
@날밤날밤10 ай бұрын
발열로 인해서 이것보다 더 심한 상황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터지기도 합니다~~~~~ 손도 다칠수 있어요~~~~~
@그래가지고-j6n10 ай бұрын
@@날밤날밤 그건 배터리가 터져서 소손되는 경우구여
@z1o-g5v10 ай бұрын
@@날밤날밤 현직인 분께 훈수 두는 당신은 뭐하는 사람임?
@Exynos_210010 ай бұрын
@@날밤날밤 삼성 스마트폰은 기껏해야 칩셋이 50도 수준인데 그 온도에 납이 녹을 수가 없습니다
@masterediy10 ай бұрын
@@날밤날밤말한대로 되려면 90도이상으로 불나기직전이상으로 몇시간동안은가열되야함
@briteJK9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무명인-y8y10 ай бұрын
Smt 장비가 저렇게 놓을수가 없을텐데? 가능하긴 하지만 그건 일부러 저렇게 놓을려고. 하는거라 무적의 열풍기 쐰듯... 수리기사는 뭐 시간이 남아돈답니까? 기본적인 납땜은 하겠지만 교체가 문제도 없고 시간 세이브가.. 시간도 다평가항목입니다
@Baejirangi10 ай бұрын
14분 부터 보면 볼납이 없었는데 왜 14분27초에 볼납이 생긴거죠?
@MordekaiPark9 ай бұрын
아무도 대답을 하지 않는댓글...
@Harodai13574 ай бұрын
볼납이 어디...?
@통스보2 ай бұрын
고전적인 피시비만 생각했는데, 워낙 작은 부품들로 이뤄져 있어서 참으로 신기한 영상였네요.
@레드존-e3b10 ай бұрын
그래도 기술력에 놀랬어요 최곱니다 전에 저도 사출기 기판수리할까 문의드렸다가 수리는 안된다는 말에 역시 최고네요
@whlee54419 ай бұрын
일단 중요한 자료인데 급하지 않은 거라면, 갤럭시 s24가 저렴한 중고로 풀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복구 또는 살리는 방법을 취해야겠네요~!
@ichunsunglee10 ай бұрын
저 정도면 SMT 이후 vision 검사에서 100% 걸려 졌을 텐데..
@jongroklee719210 ай бұрын
비전 검사 불가능 엑스레이검사에서도 검출 불가
@goyangyi10 ай бұрын
9:49 오른쪽 위 / 왼쪽 가장 아래 부분에 납땜(?)이 하나씩 총 2개가 안보이는데 괜찮은건가요? ㅎ 처음 뜯었을 때 발견한 PMIC아래 있던 볼납이 그 중 하나 같긴한데 15:41 에도 볼납이 하나 굴러다니네요?
@최민준-f2d6x10 ай бұрын
원래 비어있는 부분 같네요 10:34 보면 비어있어요
@inkyun9 ай бұрын
2달짜리 폰을 A/S센터가 아닌 사설로 보낸다고? 미친거 아닌가?
@파업노조4 ай бұрын
저거 as보내면 지워지거나 교체확율있어서 보내면 안됨 안내도 그렇게함 ...
@seongg_xx12Ай бұрын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는 보드에 열을 가하는 수리는 못하게 함
@미듐-w6w10 ай бұрын
화덕피자 사장님이 도우랑 같이 넣었을지도..
@유튜뷰튜뷰뷰10 ай бұрын
저거 만약에 맡긴 구매자가 거짓말한거면 삼성한테 소송 걸려도 할말이 없음
@orangerover32519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삼성전자가 저런 보드를 썼다는게 알려지면 이미지 완전 추락할게 뻔하고, 요즘은 중국회사들도 저런 보드는 안씁니다. 이거, 만일 중간에 누군가 장난친거거나, 거짓말한거라면 적어도 수십조원 손해배상 청구당할 수 있다고 봅니다!!
@BlueSky-ep6rv10 ай бұрын
세상에 보기만 해도 현기증이.. 수리업 하시는 분들은 이렇게나 복잡한 작업을 하시는 거네요.
@구귀남-x6s9 ай бұрын
복구 천재 참 존경 스럽네요 기술적으로 진공관 시대 우리로 서는
@richardkimwonho10 ай бұрын
PMIC 핀투핀이면 이전 모델 PMIC 한번 얹어 보세요. 밑져야 본전이면
@dreamchaser88922 ай бұрын
삼성서비스센터는 정규직으로 바뀐이후부턴 고객서비스를 위한곳이 아니고 철저히 수익위주의 서비스쇼를 펼치는곳으로 바뀌었습니다. 시간들여가면서 저런작업을 하기보다 빠르고 쉽게 많은 돈을 버는 교체를 권장하는편이죠. 멀쩡한거 있으면 티안나게 건드리던가요.
@potterjames454010 ай бұрын
이건 삼성의 초기 QC 에서 걸러내지 못한 문제가 아님. 액정의 품질 문제와 다르게 메인보드같은 특수 부품은 애초에 광학장비로 걸러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문제가 나오지 않고 문제가 나오면 초기 설계 오류로 인한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이지 이렇게 부품에 이해하기 어려운 스크레치 흔적 및 쓸데없는 볼납자국과 칩 자체가 틀어져 있는 경우는 없음. 현장 서비스센터에서도 이런 경우는 한번도 없으며 꼬마신발님도 이런 케이스는 한번도 나온적이 없다 말함. 영상 중 협력업체와의 통화녹음이 나오는데, 이 부분 보면 협력업체 통해서 해당 핸드폰을 받아서 데이터 추출 및 수리 하신거 같은데 해당 기기 주인과의 명확한 사실확인을 하는게 순서인거 같음. 협력업체의 통화녹음 내용은 해당 문제의 핸드폰 주인이 직접 이야기한것이 아니고 전해준 것일 뿐이기 때문에 주인을 통한 명확한 사실확인이라 볼 수 없음. 잘못하면 마치 삼성전자의 초기 제품 제조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해 처음부터 문제있는 핸드폰이 공급되었다는 뜻으로 영상이 이해될 수 있는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이는 해당 업체 및 제품의 이미지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고 이는 해당 핸드폰의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임. 결론. 1. 대기업은 생각만큼 주먹구구식으로 전자제품을 만들지 않으며 제품 마지막 체크 후 출하도 주먹구구식으로 대충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메인보드 같은 필수 특수 부품은 전자광학장비로 체크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일은 벌어지는 것이 불가능하다. 2.협력업체와의 통화녹음이 아니라 핸드폰 본래 주인과의 연락 내용을 확인하여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명확한 사실 확인을 하지 않은 채 영상을 냅두면 마치 삼성전자의 초기 오류로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 있고 이는 법적문제로 번질 소지가 있음. 3.협력업체의 통화내용에서도 이해가 안되는게, 한번 무상교환 받은 제품을 다시 데이터 원복을 받기 위해 돌려받았다는 부분은 이해하기 어려움. 보통 무상교환 시 데이터 이전 및 복구는 불가하다는 내용을 고지 받고 확인 후 무상교환을 받기 때문이며 한번 교환 받으면 기존 핸드폰을 돌려주지는 않음. 4. 결국 핸드폰 주인과의 사실확인이 필수임. 무상교환은 보통 구입채널에 따라 다르지만 사고나서 일주일에서 이주일 이내 무상교환이 가능하며 이때에는 불량판정서라는 것을 서비스센터에서 발급해줌. 이 기간 이후에 핸드폰 자체의 특정한 결함인 경우에는 메인보드 모듈 교환 같은 해당 부분을 무상수리 해주는 쪽으로 진행하며 이때에도 데이터 복구 및 이전은 불가하다는 안내와 고지를 함. 5.사설로 건드려 놓고선 AS는 불가함. 이는 애플도 마찬가지임. 사설로 건드린 제품은 핸드폰 초기 자체 불량임을 객관적으로 확인 하기 어렵기 때문임. 해당 핸드폰 주인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초기 센터를 방문 해서 받은 불량판정서 혹은 해당 센터에 내방하여 무상교품 받은 후 다시 기존의 고장난 핸드폰을 돌려받은 기록과 어떤 이유로 무상교품이 진행되었는지 기록이 남아있을 것이기 때문에 쉽게 객관적 사실 확인 및 증명은 가능함. 필히 핸드폰 주인과의 객관적 사실 확인을 통해 해당 영상의 결론을 맺어야 할 것으로 보임.
@lovehug7810 ай бұрын
삼성 램 불량도 나오는대 보드 불량이 안나올수가 없다고 생각하는대요 ㅎㅎ 허수아비 동영상보면 램 양품불량 나오더군요 한번도 사용 안한 신품이 불량이라는게 삼성도 출하후 불량이 나옵니다 저희 회사 카드단말기 제품도 삼성램불량 으로 smt 장착후 메모리 불량으로 다시 수거후 램교체 진행한적도 있음 갤럭시 스마트폰 완제품 조립후 출하검사전 6시간 이상 에이징 테스트시 발열 체크 안하는 문제 같은대요 앞으로 그항목 추가해서 테스트 항목에 넣어야 될듯 합니다
@z1o-g5v10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
@욱-k2y10 ай бұрын
@@lovehug78 아무 관련도 없는 유튜버까지 끌어들이면서 억까 하고싶을까.. 폰이랑 컴 부품이랑 같냐?
@lovehug7810 ай бұрын
@@욱-k2y 허수아비님을 제가 깠나요 ? 허수아비님 영상 보면 조립컴퓨터 조립 하시다가 삼성 램디스크 양품불량이라고 말하시면서 요즘 삼성 램이 불량이 나오내요 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신품도 불량이 나온다 삼성꺼중에 양품불량이 나올수 있다라는 의미로 글 적은건대 그게 허수아비님을 까는건가요 ?
@lovehug7810 ай бұрын
@@욱-k2y 그리고 삼성전자 3나노 수율 70% 이상 안나와서 엔비디아가 AI 칩 생산 TSMC 에 맡겼내요 삼성 내부적으로 수율이랑 품질 관리 문제 있내요
@노승섭-e2o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연락드려요 마찬가지로 24울트라 사용중이였는데요 사용한지 15일만에 전원이 꺼져서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워낙 신폰이라 교환은 받았지만 데이터 복구를위해 보드를 받아서 사설업체에 한번 맡겨봤지만 복구를 못한 상태입니다 현제 보드만 가지고있는 상태이고 꼬마신발님에게 맡기면 데이터 복구가 가능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Little_Shoes9 ай бұрын
영상에서도 보여드렸듯, 아직 S24 울트라 제품의 부품이 없는 관계로 정확히 안내가 어렵습니다. 그 외에 액정이나 다른 부품들도 복구 과정에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하시는 폰도 같이 맡겨주셔야 합니다.
@J-kn5jf10 ай бұрын
1. 누군가 수리를 위해 만져봤을가능성 (근데 너무 허접한 실수라서 그런것으로는 안보임) 2. 제조불량 (가능성없음 삼성 smt 카메라검사에서 저런것도 못잡았을 가능성없음 3. 제일 유력한 가능성 실드캔 색깔이 변색된걸로 보아 쇼트나 고온으로인해 실장된 부품들 납이 살짝 녹았고 그상태에서 흔들리거나 부딪히는 충격에 부품들이 움직이고 그대로 다시 식어서 저렇게 이동했을 가능성 정말 낮은 확률로 불량 부품이었어서 발열이 생겼거나 극악의 조건으로 발열관리 안되는 상태로 무언가 충격이있었을 것 같음 결론은 그정도로 발열이 있었는데 휴대폰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전원을 꺼지게해야하는 삼성이 잘못한 문제로 보임.... 무연납인데 녹고 움직일정도면 진짜 고온으로 올라갔을거로 보임 그런데 전원이 꺼진상태에서 고온으로 올라간거고 충격이 있던거 아니냐 라는 의문이 나올 수 있는데 그러면 쉴드캔이 저렇게 그을리지 않음으로 전원 켜진상태로 사용중에 발열관리 안된 것으로 보임 계속 나오는 볼납들은 고온+충격에서 ic에서 볼이 하나 떨어져나온것으로 보임 제조할때 납똥 튀어나와서 돌아다니는거 못잡는거면 smt 사람이하고 사람이 검사해도 저렇게못함
@maknaenayng10 ай бұрын
일단 님의 가설에서 틀린 부분이 쉴드캔 색깔의 변색부분임. 꼬마님도 s24는 아마 처음이시라 잘 모르시고 그런것뿐, 다른 해외유튜버가 s24분해한 영상 있는데 거기서도 쉴드캔이 저 색이에요 원래 기존이랑 다르게 첨부터 누리끼리하게 나왔더라구요.
@J-kn5jf10 ай бұрын
@@maknaenayng 음 제가볼땐 제 가설의 연장선으로 보이는데요 실드캔 내부 통신모듈들이 발열관리가 안되는 것 같네요 납똥이나 실장이틀어진부품들도 다 그부분이네요 실드캔이 원래 저색으로 나오진 않습니다 그라운드에 물리는거라 아노다이징같은 처리를 못하거든요
@TPM2NPU9 ай бұрын
노트북도 생산단계에서 그런일 많이 발생하는데 핸드폰이러고 그런일이 없다곤 보장 못하죠 아무리 기계가 생산을 한다 한들 오차범위가 없을 수는 없다 생각됩니다
@EDSAC10 ай бұрын
센터 방문 > 고객과실 > 사설방문 > 수리 실패 > 꼬마신발 의뢰 가 아닐까 하는... 애초에 돈 안들이고 교환 가능 할텐데.....
@leeyunre9 ай бұрын
아닌듯...센터방문>삼성잘못(메인보드교체결정으로 데이터 다날아가니 교체못함)>사설방문(수리실패)>꼬마신발 의뢰가 맞는거 같은데요~
@EDSAC9 ай бұрын
@@leeyunre 댓글보니 그런듯하네요
@ktj43559 ай бұрын
@@leeyunre저게 왜 삼성잘못..??
@좀쌔한개9 ай бұрын
납공이 있을 정도면 열이 엄청나게 나서 폭발하거나 디스플레이에 이상이 생겼을 것인데 아무리봐도 다른 업체에서 손댓다가 감당이 않되서 맡긴 듯...
은색부분은 맞는것 같네요 미실장으로 나온거라고 하기엔 왼쪽부분이 납이 살짝 묻어서 올라온 흔적이 보임.
@ssdwssd803010 ай бұрын
@@김씨입니다-t4q 아뇨 잘못된 정보에요. 미실장으로 나온것도 그냥 은색으로 납 들어가있는 경우 많습니다. 특히 wifi 모델 보면 셀룰러에 있던 소자들 비어있는데 이부분들 그냥 멀쩡히 은색 납 먹혀져 있습니다.
@kyungkeunoh246910 ай бұрын
쉴드캔에 지문까지 잘 보이네요... 지문 주인은 누굴까요???
@jieunegieoke9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저는 지금 갤럭시S24울트라1TB를 사용중입니다 제가 궁금한건 이겁니다 👇 폰을 상하로 기울이거나 한 손에 들고 달리거나 할때 폰 내부에서 뭔가가 움직이는게 느껴집니다 배터리 팩이 움직이는것 같은데 이건 원래 이런건지 뭔가가 빠져서 움직이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폰을 몇번 떨어뜨린적이 있긴 해요 떨어질때 충격으로 뭔가가 빠져서 내부에서 흔들거리는게 아닌가 싶어서 문의해봅니다 심한건 아니구요 아주아주 살짝씩 움직이는 느낌이 들어서 댓글로 문의해봅니다 답변을 기다리고 있을게요 꼭 답변 남겨주실것을 부탁드립니다
@또남9 ай бұрын
흔들리는 느낌이 없어야죠 무상a.s기간이니 삼성서비스센터 가셔요
@Little_Shoes9 ай бұрын
그런느낌이 날 수 없는 구조입니다. 꼭 센터에 방문하셔서 어떤 문제인지 직접 확인해 달라고 하세요. 만약 어떤 부품이 떨어진거고 어떤 부품이 떨어진건지 확인이 안된다면, 내부에 가능성 있는 부품 다 교체 요청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hyeonho-mx5iu9 ай бұрын
23울 사용중입니다. 원래 카메라 렌즈 흔들리는 소리 납니다. ㅋㅋ
@Aggggopp9 ай бұрын
@@hyeonho-mx5iu 이거인거 같아요 예전에 폰에서 달그락 소리나길래 서비스 센터 가보니 카메라 손떨방기능 있는 기종은 소리 난다고 하더라구용
@최명준-m3h7 ай бұрын
카메라 ois 움직이는 소리입니다 절대 불량아니에요! 오히려 소리안나면 불량일수도있어요
@정수네10 ай бұрын
교환받은거에서 임시로 띠어서 붙이고 다시 이식 하면 된다요 번거롭지만...
@The_Feaster10 ай бұрын
AS보증기간에 왜 사설수리를 했는지가 의문이긴 한데 뭐 데이터 복구를 위해서였다 생각중입니자만 분리해놓고 AS받으려는 심보는 약관 위반 아닌가
@FlyingFlowerFantasy10 ай бұрын
10:56 무적의 380도가 아니였네요 복구의 381도😊
@어쯔라그4 ай бұрын
플립칩 공정에서 볼탈락.. 옆에 볼이 떨어져서 저런 현상이 난거네요 근데 다른 소자까지 얼라인이 꼬인거보면 ... op가 1차 qc가 2차로 잡질 못했네요 설비에서 에러 분명이 떳을텐데;;
@오션-v6i9 ай бұрын
쉴드캔 누렇게 된 점, PMIC 오삽인 점으로 보아 히팅건 리터치에 의한 문제로 보입니다. 생산라인에서 솔더링 불량으로 인한 리터치 또는 출고 후 타 수리업체의 리터치에 의한 불량으로 예상됩니다. 꼭 어디 한쪽에서 발생된 문제가 아니라 복합적인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냉땜이나 이물에 의한 쇼트로 발열이 발생할 수도 있는거고 그로 인해 리터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수리 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히팅건으로 부품에 열을 가한 후 실수로 PCB에 충격이 가해져 일부 부품이 한쪽으로 쏠릴 수도 있습니다. 냉땜의 경우 공정상 AOI 검사 시 미검출 가능성, 기능검사에서도 정상으로 보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상으로만 봤을 때는 문제의 원인이 될만한 경우의 수가 너무 많네요.
@필드텔레8 ай бұрын
이말이 정답 .
@myremotemng8 ай бұрын
상식적으로 구매한지 두달된 폰이 고장나면 센터가서 교환하거나 무상수리하죠.
@GingerAtelier10 ай бұрын
0:58 뒷 배경에 선인장 ㅋㅋㅋㅋㅋㅋ 광기네요 ㅋㅋㅋㅋㅋㅋ
@모르겠어-i6u6 ай бұрын
리터치 흔적이 있네요 Smt 에서 질소300. 나오면 라운드 잘 올라타는데. 1번 리드 보시면 건든 흑적과 3D 바코드 아래쪽 칼팁 흔적이 있네요 그리고 검사기에서 각도1도 정도 주는데 이거 뒤로밀리면서 각도있어서 불량판정 나올꺼에요
@꽃바람-o2k10 ай бұрын
출시전 초기 테스트 버젼 메인보드 같은데...덮개의모양이나 덮개위 9개의 핀중 가운데 위치등이 다른이유가 정상적 유통 제품의 모양은 아니라는거.
@UCyYVc3AxlZven_g7bWPX4Xw10 ай бұрын
출시 전 프로토타입이랑은 보드 모양이 달라요. 뭘 보고 알았는지 이유는 말씀 못드리지만 1000% 양산 보드입니다.
@Zinbbaei_Vlog4 ай бұрын
겔럭시 단점 ... 폰을 살려야 데이터가 복구 된다는거 .. 반면 아이폰은 따른폰으로 로긴만하면 그대로 복구된다는거 ..
@mnb178910 ай бұрын
4:53 잉크 뭉침 불량 아닌가요..큐알 위에 잉크 뭉친거 같은데
@이런신발-f6o7 ай бұрын
제 생각엔 서비스센터나 타업체에 먼저 수리를 의뢰해서 담당자가 힛팅건 작업을 해서 쉴드캔이 노랗게 되고 볼납이 생기고, 부품이 틀어진것으로 보이네요 생산과정이나 자체결함으로 저렇게 될 확률은 낮다고 봅니다
@dddss773710 ай бұрын
삼성 갤럭시 원가절감 굉장히 좋지 않게 보고 있지만 .... 저 고객분의 메인보드는 다른 사설 업체 들어갔다가 나온거 아닐까 합리적인 의심이 듭니다. 다른 분들 댓글대로 저 정도면, 검사 장비에서 무조건 Fail 뜰텐데 비전 카메라 검사장비가 저거 못 잡을 정도로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 정말 저거 못잡은 거면, 저분에게 충분히 보상 한 다음 기기 회수 하여, LOT 번호 추적 및 해당 라인 멈추고 기계 (하드웨어 및 셋팅) 정비 해야죠 ... 검사장비 하드웨어 쪽 고장이나, 셋팅에 실수가 있다면, 저 라인에서 나온 스마트폰들은 저런 불량 수두룩 빽빽하게 막 쏟아져 나올 껍니다. 노트7 배터리 발화 사건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되야 공정쪽 실수 입니다 .
@JinInAU7 ай бұрын
삼성은 일단 절때 메인보드 수리를 안하고, 메인보드 이상은 무조껀 보드 교체를 합니다. 한국은 모르겟지만, 호주에서 삼성서비스에서 일할때 베트남에서 들어오는 파트를 사용했는데, 보드에 저정도 이상이 있으면, AOI 라고 하는 SMT 마스터 프로덕션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계에서 못찾을 일이 없어요. 솔더볼이 발견되는거는 사실 육안으로도 볼수 있는데, 기계는 무조껀 디텍팅 하거든요. 그래서 더 희한하네요. QC/QA팀이나 SMT 테크니션들이 이걸 놓칠일은 없는데…도데체 뭐지…돌아간 커넥터 주변에 따로 플럭스나 그런 흔적이 없어서 어디서 손덴것 같지도 않거든여. 사설에서 수리하고 저걸 초음파세척기에서 청소할 일도 없을테고….
@cncjsgowntpdy10 ай бұрын
SMT업체에서 저러기 쉽지 않을꺼 같은데.. 사용중 고온 노출에 의해서 소자들이 움직였을까...하는데 그렇다고 납이 녹을정도로 고온에 노출되는 환경이 있을까 생각하기도 쉽지 않고 원인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제조사에서 공정이력 확인하여 원인 공정 밝힐수는 있을꺼 같네요.
@민권-h6m9 ай бұрын
정말 귀한영상이네요 이런 케이스 일반소비자가 보기 어려울테니 구매자분은 참 운이 안좋으셨네요
@헉-b9q8 ай бұрын
실드캔은 발열로 변색 안됩니다. 사설에서 열풍기를 직접 쏘던가 아니면 사용자가 불구덩이에 던져버린 듯하네요..
@꺠로롱9 ай бұрын
출하후 다른 사설에서 수리하셨거나, 게임 24시간 틀어놓으시는분일듯? 무선충전기위에 게임 틀어놓으면 생각보다 발열 무진장 심해요. 그거 지속되면 저렇게 잘됨.
@헉-b9q8 ай бұрын
그렇게 게임해도 저렇게 안됨.. 스로틀링 걸려서 게임이 먼저꺼지고 그래도 발열 높으면 핸드폰이 뜨겁다고 무선충전도 차단됨..
@므꼬-t7w10 ай бұрын
AOI 설비에서 탑면불량적출되어 수리기사가 탑면수리중에 바텀면부품이밀렸다면 발생할수도있을거같네요 물론 수리이후에 재검사를하는게 당연하지만 당연한거안하는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삼성이 협력업체에서 납품받을때 입고검사를 전수검사하지는 않을거같은데..
@maknaenayng10 ай бұрын
까놓고 진짜 희박한확률로 통과됐다고해도 저 상태에서는 절대 안켜짐. 근데 두달인가 사용은 했다고하니..
@kial837210 ай бұрын
@@maknaenayng 켜져요 제가 스바트폰 기판 수리해봐서 압니다.
@e_sence9 ай бұрын
ㄴㄴ 지금 pmic 90도 돌아가있음
@임경수-p8n8 ай бұрын
틀어져있는 커넥터 주위에 MLCC 1개가 없어졌네요 동작에는 크게 무리가 없을거 같은데... PMIC도 리볼링 한번 해보시면 어떨른지요 제 짧은 생각입니다
@kial837210 ай бұрын
공장에서 수리분으로 빠졌다가 수리사가 실수로 부품이 밀렸는데 테스트 통과되서 그냥 나갔을 수도 있겠네요
@war.and.peace999 ай бұрын
❤저는 전문가는 아니고 가끔 전자기기를 뜯어보고 수리하는 것을 좋아하다가 망가뜨려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링크에 있는 중국산 만능테스터기 구입하면 품질은 보장이 되는지 또는 as도 한국에서 가능한지도 알고 싶습니다. 1년에 한두번 정도 쓴다면요.
@Little_Shoes9 ай бұрын
알리의 AS정책을 참고부탁 드립니다. 제품마다 다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hawks00810 ай бұрын
신품으로 직접 판매처 통해서 구매한거 맞나? 불량난 물건 누가 빼내온거일수도 있지 누가 건드린게 아니라면 이게 검수가 안되는게 이해가 안되는데 ㅋ
@cccdddaaabbb10 ай бұрын
삼성 주식있으신가요?
@후우꾸꾸우후오오후우10 ай бұрын
@@cccdddaaabbb 아무리봐도 사설수리 업체에서 뻘짓한 걸로 밖에 안보임
@user-iu8wk2y10 ай бұрын
@@cccdddaaabbb 애플 주식있으신가요?
@Temp012810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새폰으로 데이터 이동 후 어느 정도 유지한다는건 케바케. 굳이 어떤게 일반적이라고 하기는... 옮겨서 확인하고 바로 공초하는 본인도 있음. 쓰던 폰 모은다면 유지할 수도 있을 듯. 중간에 양품의 메인보드와 비교하는 사진에서 칩이나 모양이 다르다는 댓글도 있어서 궁금해서 PBK Reviews 영상을 보니 갤럭시 S24 해외판과 국내판의 차이인지 메인보드나 쉴드캔의 모양이 다른게 보임. 오해가 있을 수도 있을 듯. PBK Reviews에서도 S24를 개봉한 것은 맞음. 산지 두 달 밖에 안 되었는데 왜 서비스센터 안가고 사설업체 갔냐는 건 영상 제대로 안본거. 서비스센터 갔다가 데이터는 복원할 수 없다고 해서 다시 원복해가지고 맡겼다고 영상에 나옴. 거기부터 속인거라고 의심할 수도 있는데 의심을 가지고 서비스센터 안갔다고 확정하는 건 좀... 삼성에서 데이터도 복원해준다는 댓글 있던데 켜지면 데이터를 옮겨주는거고, 이렇게 벽돌되면 영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안됨. 기사 재량으로 뭔가 할 수도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개인의 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한 작업을 업무시간 외에 개인 시간을 써서 봉사할 사람이...? 사람마다 그 성향이 달라서 그런 일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걸 일반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사설업체 맡겼다가 불량날걸 삼성탓을 하고 있네 삼성은 부품 불량이 있으면 교체를 하지 저딴식으로 수리 하지 않는다. 100프로 사설업체 맡겼다가 수리불가 통보 받고 여기 온거 구만
@kimms.Great110 ай бұрын
전직 반도체 영업사원으로서 한말씀 드리면.. 삼성은 반도체 중 가장 최신이 들어갑니다. 시중에 공개 안한것을 먼저 삼성에 프로모션을 해서 테스트를 거쳐서 사용을 하는 것이지요. 새로운 반도체는 곧 핸펀 성능과 연결이 되기때문에 그러합니다. PMIC는 향후 1년 이상 구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전자제품 개발시 테스트 할 샘플도 따로 제작해서 샘플을 대거든요. IC 대리점에는 없을 것이고 한국지사에 삼성담당 필드엔지니어(반도체 영업사원 외 고객사에서 개발할때 빠른 대응을 위해 고객사에 상주하기도 합니다)가 샘플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겠지만... 암튼 저 IC는 못구하실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아! 비밀유지각서 쓰고 샘플제공합니다. 다른 거래처나 경쟁사에 반도체 샘플이 유출될 수 도 있기 때문에요. 암튼 잡썰 풀었구요 고생하셨습니다. 볼때마다 정말 대단하시다고 생각합니다.
@100t_10 ай бұрын
이게 작정하고 작전짜서 이런식으로 영상 올라오게 만들면 파급력이 상당할텐데 (중국쪽에서 삼성 나락보낼 작업 칠만한 상황이긴 하네요) 저도 예전에 보드 나가서 갈았던 기억이 있는데 삼성은 직접적으로 볼납 작업하지 않고 무조건 APU 보드 새걸로 교체하고 데이터 옮겨줘요
@kiimm-w3t7 ай бұрын
제.24U도 전원 켤때 발열이 한번 심하게 올라오고 정상으로 가라 앉는데 삼성폰들이 대부분 이렇나요? 제폰에 뭘 시작하는게 많긴해요 굿락 설정등등 때매
@Kilililool7 ай бұрын
네 처음 킬 때는 발열이 올라와요
@최명준-m3h7 ай бұрын
보통 삼성 엑시노스 기종에서 부팅 시 발열 심합니다 제가 S10 S20 S24 이렇게 세개 썼었는데 S10 S24는 부팅시 항상 발열있고 S20은 부팅 발열 잘 안느껴졌습니다 S24U면 스냅드래곤인데 요즘은 스냅드래곤도 부팅 시 발열이 있긴 한 모양입니다
@kseun44910 ай бұрын
산 지 2달된 핸드폰을 삼성으로 안가져가고 굳이 유료업체에 왜 맡겼을꼬....
@lovesongvirus10 ай бұрын
삼성에서 무상수리해 줬는 데 수리=교체 라서 안에 중요한 데이터 있다고 고장난 상태로 원상복구 시켜서 데이터 복구 업체에 보냈다고 설명하셨음... 마지막에 그래서 제품 a/s할 때(메인보드나갔을때) 데이터 까지는 복구해 주는건 아니니 중요한데이터는 2차3차 항상 빽업해두라고 하심
@유승호-o7h10 ай бұрын
@@lovesongvirus 제대로 수리 안되었으면 다시 a/s센터 가면 되잖음... 정 안고쳐지면 무상으로 기기 교체해주는게 삼성 a/s인데
@lovesongvirus10 ай бұрын
@@유승호-o7h 삼성서비스센터에서 무상A/S로 보드를 교체해줬는 데. 스마트폰은 보드에 저장장치까지 일체형이라 전에 그 보드의 저장장치 안에 중요한 데이터가 있는데 그 데이터를 추출하려면 고장난 상태의 보드가 필요해서 고장난 상태로 다시 돌려달라고 했다고요. 삼성서비스센터에서는 데이터 복구 자체를 안해줍니다. 그래서 댓글에 꼬마신발님이 사정설명 다 되어 있잖아요.. 그리고 그럴땐 고장난보드 임시반출신청하라고 방법도 알려주심. 영상 끝까지 다 보셨다면 충분히 인지했을 내용인데...
@lovesongvirus10 ай бұрын
@@유승호-o7h 부품이 없어서 데이터추출 실패했으니 A/S. 다시 받으셨겠죠. 중요한 자료있다니 보드를 포기하고 데이터도 포기하든 잘말해서 as받고 보드도 받든 그건 맡기신 고객님이 선택할거고요
@master-vc2wb9 ай бұрын
일반 보통 인두기로도 잘 안 녹습니다. 핫건 사용해서 지지다가 트러진거네요.
@Korea_Lvyou10 ай бұрын
사설도 볼납은 안만들겠다. 쥔장이 개인적으로 건들고 사설 안맞겼으니 다른사설 맞겼다는 고지를 안한걸수도? 삼성전자가면 그냥 메인보드 교환하라하지..개별부품 교환 안해줍니다
@sg389622 ай бұрын
삼성에서는 부품을 모듈별로 교환해 주니 데이타 복구는 필요했고, 결국 사설업체 통해 다 해봤는데 데이터 복구는 실패했고 돈은 돈대로 들어가고 기계라도 살리려고 했는데 발각이 된거 아닐까 추론해 봄
@gong13-210 ай бұрын
센터안가고 여기 보낸 이유가 있음
@downhillermr910 ай бұрын
처음 생산할 때 SMT 실장 자동화 처리되는 것이라~ 저렇게 삐뚫어지게 장착 될 수 없습니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이중 삼중 검사가 진행되죠.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어렵고, 볼납이 들어가 있다는 것 자체도 이상합니다. 그리고 고객센터 직원들은 메인보드 납땜질 안합니다. 그래서 그게 안타깝더군요. 무조건 모둘 교체~! 옛날 전파사 실력자 분들이 그립습니다.
@dioxin276810 ай бұрын
무조건은 아니지만... 제짧은 소견으로도 사설업체에서 건드린거같습니다
@minyx9t10 ай бұрын
PMIC 자체를 한번 떼고 리볼링해서 다시 붙여봤으면 어땠을까 싶긴 하네요 물론 꼬마신발님께서 생각하시기에 쓸데없는 일이었으니 영상에 담지 않으셨겠지만요
@vitamin335110 ай бұрын
삼성에는 교체를 하지 저렇게 안할걸요?
@mintlemon93779 ай бұрын
데이터 시트가있다면 호환부품으로 일시적인 복구도 가능하지않나 싶습니다만 너무 신형이라 부품조차없는데 구하긴힘들겠죠
@tuvup10 ай бұрын
그 유명한 보잉사의 4천억이 넘는 비행기도 볼트가 빠진 상태로 출고대기 중이었죠.. 요즘 '경영 최적화'의 부작용이 스멀스멀 올라오는 중인가 봅니다 ㅠㅠ
@SunghoJeon9 ай бұрын
플래쉬 칩 분리 해서 usb에 올려 보는건 안하시나요? 궁금 합니다. ㅎㅎ
@Little_Shoes9 ай бұрын
조만간 한번 해보고 싶네요.
@hellohell-o10 ай бұрын
아니 다른건 그렇다해도 실드캔은 뜯으면 바로 흔적이남는데 실드캔이 뜯긴 흔적도 없는데 왜 볼납이 있나고 ㅋㅋㅋ
@hellosalamander10 ай бұрын
6:28 이건뭐임?
@maknaenayng10 ай бұрын
@@hellosalamander그건 쉴드캔 외부 흔적이고 뜯은 흔적은 없는 거 맞네요. 저 재질 특성상 한번 뜯어버리면 다시 원래처럼 붙히는 게 불가능합니다.
@jongroklee719210 ай бұрын
어디 짧은 식견으로 쉽게 날 하면 안되죠 리볼링은 테스트용외엔 상용화 수리는 불가 함 열충격 싸이클의해 파단 됨 반도체 불량은 제로 임 직업이 수리사 였나 추정 됨 핵심은 smt 공정기술 확보 되어야 함
그정도 열이면 솔더가 녹기 이전에 번트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아요. 솔더 녹는 온도가 250도 이상인데 넓은 면적에 골고루 높은 온도를 지속적으로 줘야 녹습니다. 물론 특정 포인트에 단락이 발생해서 이상 고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러면 해당 소자나 칩이 먼저 타들어가기 시작할 겁니다. 결국 면이 아니라 점에 열이 집중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