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밀란 파스타 구매 링크 예스24 url.kr/2jbxgl 교보문고 url.kr/fuq582 알라딘 www.aladin.co.... 김밀란 리조또 구매 링크 예스24 : url.kr/vwt4ig 알라딘 : url.kr/jqbpiu 교보 : url.kr/n95vhx 이 외에도 다른 여러 서점에서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69
@Kimmilan2 ай бұрын
첫 8k로 찍어본 영상인데 결국 업로딩 과정에서의 화질 손실이 엄청 크군요. 이걸 핸드폰으로 찍어서 그런건가... 디카로 찍으면 해결될까 고민이 많습니다. 아무튼, 많은 분들이 어떤 점에서 프렌치 느낌이냐고 물어봐주시는데 사실 이탈리아에선 버터를 사용한 파스타는 굉장히 극소수입니다. 대부분 이탈리아 북부지역에 몰려있고 활용법도 대부분 단순한 버터와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 혹은 버터와 세이지를 활용한 트러플 or 라비올리/뇨끼/생파스타 에 국한되어있습니다. 특히나 해산물과 조합한 버터 파스타는? ㄴㄴㄴ 거의 찾아보기 힘들죠, 거기에 버터와 마늘까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레스토랑 레벨에서도 안쓰는 방식이에요, 100%는 아니지만(제가 전부 다 가본게 아니라서 확실하게 말은 못합니다 ㅎㅎ) 오히려 프랑스나 다른 영미권 국가에 가면 버터를 훨씬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파스타를 만드는 걸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영상에서도 코멘트했듯이, 약간 뵈흐블랑 소스를 만드는 방법에서 착안한 그런 점에서 이탈리아식에서 벗어난 느낌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정수용-n3v2 ай бұрын
저는 형님이 이탈리아 방식을 벗어나서 초간단 전자레인지 원팬 파스타!! 요런거 만들때까지 계속 볼게요 ㅎ
@sean50912 ай бұрын
굴소스넣어주세요
@야미2t2 ай бұрын
프렌치식 버터 스파게티 느낌이군요
@zibeak53712 ай бұрын
한국 매장들에서 요즘 많이 나오는 버터베이스 파스타네요 ㅎㅎ 협업하셨던 업장에도 비슷한 메뉴 있었던거 같은데 그것의 오마쥬인거 같네요
@룰루랄라-k5i2 ай бұрын
파스타 좋아하는데 밀란님 덕분에 직접 요리하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또한 더 맛있고요!ㅎㅎ
@JoyanJango2 ай бұрын
이탈리아에도 우리나라 미나리 같은 채소가 있나요? 미나리, 레몬, 갑오징어 넣고 파스타 하니까 진짜 맛있더라고요
@Zipeuro2 ай бұрын
쿠킹 하지 않은 면 보관은 냉동인가요? 😮
@룰라삐리뽀2 ай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오래 즐겨 보던 시청자입니다!!! 문득 주방설비쪽에 궁금한게 있어 여쭈어봅니다 보통 다이닝 주방서 많이 사용되는 화구?던데 철판식으로 되어있고 중간에 뚜껑열어 점화한후 철판 전체에 열을 일정하게 맞추어 사용하는 간택기(?)가 있던데 이 제품의 이름을 알 수 있을까요?
@grayground09062 ай бұрын
French Top
@Kimmilan2 ай бұрын
프랜치 탑 혹은 프랜치 프라이 탑이라고 합니다
@룰라삐리뽀2 ай бұрын
@@grayground0906 감사합니다
@룰라삐리뽀2 ай бұрын
@@Kimmilan 감사합니다
@Jellyfishsfunfunlife2 ай бұрын
형 최고십니다
@퍼렁이-t3u2 ай бұрын
프랑스요리에서 버터랑 레몬많이넣은 소스를 많이 본거같은데 이런점이 덜 이탈리아스러운가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고정 댓글에 자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hslpaul75892 ай бұрын
전에 올린 레몬버터 파스타랑 이 레시피랑.. 손님한테 접대한다 할때 어떤것을 추천하겠어요?
@SSoonySSoon2 ай бұрын
스테이크 굽는 영상을 보면 tfa dostmann온도계를 사용하시던데, 한국에선 가격이 15만원 정도 합니다. 일반인은 이런 온도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까요?
@jc-nl6tq6 күн бұрын
가는 강판 이름이 뭔가요?
@dxLabb2 ай бұрын
우아 너무 짱짱입니다 우선 면은 기존에 시중에 파는거 너어도되지요 ? 그리고ㅓ 소금대시 액상 치킨스톡을 넣어도될가요 ? 얼만큼 너어야할가요 ? 꼭 만들어보고싶어서요.
@solovelystarlight2 ай бұрын
소금 대신이라고 하신 걸 보니 시판 msg용 치킨스톡을 말씀하시는듯한데... 그걸 넣으면 짠맛 외에 다른 첨가물의 맛이 더해지니 결과물은 당연히 달라지겠죠..? 염도는 제품마다 다르고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니 본인이 간을 보면서 맞춰야 하는 부분이라 답변이 불가능한 영역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치킨스톡이 들어가는 요리도 아닌데 소금 대신 액상 치킨스톡을 왜 넣으시려는 건지 궁금하네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네 시중에 판매하는 파스타 사용하셔도 되구요, 액상 치킨스톡으로는 소금을 대체할 간이 충분치 않아서 두 가지를 같이 적절하게 섞어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올려둔 영상들을 참조해 주세요, 특히 가장 최근에 올려놓은 영상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파스타 종류에 따라 물양은 매번 달라집니다.
@diddlrwls2 ай бұрын
@Kimmilan 감사합니다
@Song-yr8jr2 ай бұрын
화이트 와인 대신 청하나 소주 써도 맛 크게 차이없을까요? 집에 남는 와인이없네요 ㅠ
@user-yw4on2mn7cАй бұрын
소주말고 청하처럼 백화수복등 청주류는 괜찮습니다 ㅎㅎ 답글이 없으시길래…
@kittyban56102 ай бұрын
버터는 무염일까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네 무염이에요
@마루쉐-w9y2 ай бұрын
형 저 책 삿어요. 잘읽을게요!
@jack012-s3c2 ай бұрын
0.2mm가 맞나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눈대중으로 잰거라 0.2-3정도 될거에요
@suyunkim64202 ай бұрын
혹시 조리중 어느 부분이 이탈리아 방식을 벗어난건가요? 끝까지 보다보니 궁금해서...
@user-gl8ck1pb7q2 ай бұрын
기본 봉골레(조개,마늘,올리브오일(버터x),파슬리,화이트와인) 에서 벗어났다는 뜻 아닐까여
@Th-lx6uw2 ай бұрын
그냥 맨날 관찰레 넣고 치즈 넣고 불끄고 그렇게만 만드니깐 거기서 벗어난거지
@야미2t2 ай бұрын
이태리 - 올리브오일 프렌치 - 버터
@eugenelee25262 ай бұрын
버터를 넣어 유화 한거랑 잘 모르겠지만 화이트 와인을 저렇게 쓴 이탈리안이 있을까 싶기도 하구요 전반적으로 프랑스 조리 느낌이 있어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고정 댓글을 확인해 주세요!
@Bbangggggg2 ай бұрын
크~
@마가가류오녀2 ай бұрын
마늘을 갈아서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입자가 고와서 조리후에 거리적거리는게 거의 없기때문입니다.
@dragon_3092 ай бұрын
혹시 봉골레파스타에 파슬리 유무가 얼마나차이가있나요? 보통 집에서 해먹을때 파슬리는 패스하는데 궁금합니다
@Kimmilan2 ай бұрын
신선한향이 생각보다 강하기때문에 역체감이 큰 재료입니다. 즉 넣다가 안넣으면 확 느껴지는?
@dragon_3092 ай бұрын
@ 답변 감사합니다! 한번 넣어봐야겟네요 ㅎㅎ 그리고 초반 마늘기름이랑 같이 파슬리 줄기 넣는것도 말씀하신것처럼 향을 입히기위함인가요?
@김형준-l9v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밀란님! 영상 항상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카쵸에페페 처음으로 치즈껌 안만들고 성공했어요 ㅎㅎ 영상 주제와는 외람된 질문이긴 합니다만,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와 버터만 넣고 만드는 Fettuccine al burro를 얼마전에 해먹었는데 너무 맛있더라구요. 그래서 이탈리아에서도 이 디쉬가 그렇게 '스페셜'하고 맛있게 여겨지는 디쉬인지, 아니면 알리오 올리오처럼 냉장고에 재료 없으면 해먹는 가정식 느낌인지 궁금했어요. 재료는 간단한데 맛이 되게 고급스러워서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아니요 간단한 요리입니다ㅎㅎ 나중에 저도 재촬영해서 올려야겠어요
@meteor-magic2 ай бұрын
영상이랑은 다른 내용이지만.. 저는 까르보라나를 자주 해먹습니다. 그만큼 자주 실패하는데요 전분을 충분히 뽑아냈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아서 항상 덩어리진 소스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분을 어떻게 보충할까 싶었는데 노른자 믹스에 면수를 좀 섞으니 소스가 면과 잘 붙더라고요 이런 방법을 써도 괜찮은 걸까요?
@raapkr6242 ай бұрын
이탈리아 레시피들 봐도 소스에 면수추가해서 섞는경우가 많습니다. 파스타랑 소스 섞은다음에도 농도맞추기위해서 면수를 넣기도하고요
@raapkr6242 ай бұрын
정답은없으니 님이 요리가 잘되는 방향으로 하는게 좋지않을까요?
@100bumjin2 ай бұрын
불이 세면 치즈가 익어서 덩어리집니다.
@user-zr1ie9ky7o2 ай бұрын
노른자믹스에 관찰레 기름 넣기도 하더라구요
@Kimmilan2 ай бұрын
물이 너무 적으면 치즈가 녹을 수가 없어서 안 풀린 것들이 계란이 뭉친것처럼 보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