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기매미는 왜 하필 13년, 17년 주기일까?|어쩌다 이토록 긴 주기를 갖게 됐을까?

  Рет қаралды 62,721

과학드림 [Science Dream]

과학드림 [Science Dream]

Күн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 @sciencedream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매미 #주기매미 #소수
=============================================
[참고 자료]
- 『소수매미의 수수께끼』, 요시무라 진
- JIN YOSHIMURA, (1997). "The Evolutionary Origins Of Periodical Cicadas During Ice Ages."
- Rober Karban et al., (2000). "How 17-year cicadas keep track of time."
- ERIC GOLES et al., (2001). "Prime Number Selection of Cycles in a Predator-Prey Model."
- Hiromu Ito et al., (2015). "Evolution of periodicity in periodical cicadas."
- Kathy S. Williams et al., (1993). "Emergence of 13-Yr periodical cicadas Phenology, Mortality, And Predator Satiation."
- www.nytimes.com/2019/06/28/sc...
- www.nytimes.com/2024/04/24/sc...
00:00 ~ 05:09 주기매미란?
05:09 ~ 08:04 매미는 해충인가?(매미 거세 곰팡이)
08:04 ~ 10:35 매미는 시간을 어떻게 알까?
10:35 ~ 18:12 왜 미국 매미는 주기가 길까?
18:12 ~ 왜 하필 13, 17년일까?

Пікірлер: 194
@user-qv4hq1dh2o
@user-qv4hq1dh2o 6 күн бұрын
매미가 빙하기를 거쳐 주기가 길어지고 교잡을 피하기 위해 소수의 주기를 가지게 되고 드디어 13과 17년 주기를 가진 매미가 동시에 등장하게 되는 221년이 흐르는 사이.. 인간은 노이즈캔슬링을 발명했습니다 ㅋㅋ
@prococonut
@prococonut 5 күн бұрын
어림도 없습니다. 100데시벨이면 다 뚫고 들려요
@blue_gilinzzing
@blue_gilinzzing 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뚫어 드렸습니다!!!!
@user-do2fq4jb6p
@user-do2fq4jb6p 6 күн бұрын
파브르곤충기 읽고 매미의 일생을 알게 된 후 아무리 시끄럽게 노래해도 이 아이들 얼마 못 살고 죽는거 알았기에 매미보면 오래 노래해라 하네요. 강남 매미는 헤미메탈급으로 노래합니다. 나무가 점점 줄어들어서 그렇겠죠.
@dist38-gompyosevensunbee
@dist38-gompyosevensunbee 6 күн бұрын
서울의 강남구 쪽 말씀하시는 거면, 서울의 도시 열섬현상 +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부 지방에서 자주 보이던 말매미가 서울에서도 자주 보여서 그럴 겁니다. 서울 외곽 숲이 우거진 지역에서는 그래도 좀 덜 시끄러운 참매미가 우세해요.
@MK-rt2rs
@MK-rt2rs 6 күн бұрын
너 F야?
@TV-ok1kg
@TV-ok1kg 5 күн бұрын
얼마 못살긴 뭘 얼마 못살아요 ㅋㅋㅋ 13~17년 사는데 ㅋㅋㅋ 변태해서 번식할려고 성충 시절만이 충생이 아니자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
@Yanagi_8675
@Yanagi_8675 5 күн бұрын
@@TV-ok1kg 원댓이랑 관점이 다른 것 같은데요? 그 전에 10년을 살았든 1000년을 살았든 울기 시작 할 때부터는 이미 수명이 몇주도 남지 않아서 얼마 못 살고 곧 죽을텐데 원댓이 관측한 시점부터는 얼마 못 살고 죽는다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니죠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5 күн бұрын
​@@TV-ok1kg님 그런 문해력이면 영상 내용을 이해하긴 하나요?
@user-vj4xt7zt6b
@user-vj4xt7zt6b 6 күн бұрын
목소리만 듣다가 얼굴보면서 보통속도 목소리 들으니까 넘 신기합니다....!
@E.X.O.
@E.X.O. 6 күн бұрын
부끄럽습니다ㅎㅎ
@marijouna
@marijouna 6 күн бұрын
매칭이 안됌 ㅠㅠ 더 여리여리 하고 완전 목소리만 봤을 때 고등학생인줄 ㅋㅋㅋ
@user-vj4xt7zt6b
@user-vj4xt7zt6b 6 күн бұрын
@@marijouna 저두 대딩??? 인쥴 목소리가 젊으심
@ScienceDream
@ScienceDream 4 күн бұрын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namulnara
@namulnara 6 күн бұрын
소수주기에 대한 가설중 가장 그럴듯하네요 오랜만에 라이브본이라 좋아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4 күн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w2tk9gu4x
@user-iw2tk9gu4x 6 күн бұрын
어제 못 봤는데 지금 보니 너무 좋아요!
@user-us4mi3mq8g
@user-us4mi3mq8g 6 күн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dk9cs2rj4k
@user-dk9cs2rj4k 6 күн бұрын
이거랑 좀 다르지만 인도 북부에서 50년 주기로 쥐떼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게 50년주기로 해당지역 대나무 열매가 열린다고 하네요
@Modfet
@Modfet 4 күн бұрын
아유 전 라이브 형식이 더 좋네요 ㅋㅋ 길어서 좋아!
@user-ud6do8pc3y
@user-ud6do8pc3y 6 күн бұрын
13년 17년 동안 매미 언제 나오지 보고 있었을 과학자들
@user-qr9zm9ye5x
@user-qr9zm9ye5x 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user-ql3mx6er4n
@user-ql3mx6er4n 2 күн бұрын
라이브 많이하니까 점점 인물이 훤해지십니다!!
@Lassssssgo
@Lassssssgo 6 күн бұрын
오!! 드뎌 라이브~~
@dongholee6515
@dongholee6515 6 күн бұрын
굉장히 수준있는 내용이네요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6 күн бұрын
천조국은 매미도 천조마리
@cmj7260
@cmj7260 6 күн бұрын
썸넬 교체 좀 ㅠㅠ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12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횽아 아들내미랑 같이 엄청 잼있게 봤어유😊😊
@user-gx8im4sl1t
@user-gx8im4sl1t 5 күн бұрын
13년 17년도 매미의 삶의 방식일거고 곤충으로는 엄청난 수명 아닌가요? 대기로 나오는건 번식의 목적일 뿐 전체 삶의 공간은 땅속으로 보임.
@user-hu4su8ek4n
@user-hu4su8ek4n 6 күн бұрын
저출산 시대에 귀감에 되는영상이네요 ㅋㅋ 맴맴~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 6 күн бұрын
가설 개꿀잼이네요 😊
@yeouler
@yeouler 6 күн бұрын
13년17년 버티다 잠깐 나와서 발광하는건 좀 봐주자ㅋㅋ
@galactico990
@galactico990 6 күн бұрын
근데 이제 또 나올예정이잖아요 ㅋㅋㅋㅋㅋㅋ
@user-rk8ih7ne1o
@user-rk8ih7ne1o 6 күн бұрын
그게 한두마리여야지 봐주지 지역마다 수십만이 끼나오는데 소음공해 어떻게 하냐고 바퀴벌래 배짱이 버전인데 이 새끼들을 참아?
@user-lc7ny5tg4p
@user-lc7ny5tg4p 6 күн бұрын
너 주기매미지?
@user-iu5be7kg4e
@user-iu5be7kg4e 6 күн бұрын
대댓들 매미감수성이 너무 없네요 ㅠㅠㅠ 여름 잠깐이잖아요 ㅠㅠ
@user-pm2zg1xi2q
@user-pm2zg1xi2q 6 күн бұрын
안봐주면 어쩔꺼임 ㅋㅋㅋㅋㅋ 매미 잡을시간에 걍 인간이죽는게 빠름
@duchanpark6109
@duchanpark6109 6 күн бұрын
오늘 매미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더라구요.
@오니브
@오니브 6 күн бұрын
그... 썸네일을 좀 바꿔주시겠습니까..
@1228ksh
@1228ksh 6 күн бұрын
와씨 저정도면 매미가 기름 되는 거라고 해도 믿겠다
@user-lm8et4lp9s
@user-lm8et4lp9s 6 күн бұрын
소수라고 불리는, 미친듯이 매력적인 숫자입니다.
@user-th7qd2sq3n
@user-th7qd2sq3n 6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미국에서 매미를 로커스트라고 부른건 아마 떼로 나와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중~북유럽권에서 매미는 작은 풀매미 종류밖에 없어서, 울어도 풀벌레 중 하난갑다 생각하고, 소리를 내는 곤충은 여치가 더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로 매미를 의미하는 tettix는 메뚜기 학명에도 많이 붙어있습니다.) 그래서 매미가 떼로 나온다? 게다가 북미에는 가장 큰 규모의 떼를 이뤘던 로키마운틴 로커스트(Melanoplus spretus)와 burd grasshopper(Schistocerca)도 있었으니 매미도 자연스레 로커스트로 불리게 된 것 같아요.
@DonSanro
@DonSanro 6 күн бұрын
솟수 이야기를 하자면 원래 솟수(prime number)와 소수(decimal)로 수학계에서는 구분하고 있었는데 80년대 말에 맞춤법 개정이 일어나면서 사이시옷이 없는 것으로 통일 되었습니다.
@amiella_
@amiella_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매미 썸네일 바꿔주셔서 감사합니다
@coast6275
@coast6275 3 күн бұрын
매미를 징그럽다고 생각한 적 없었는데 바글바글하니까 너무 소름돋네요ㅠㅠㅠ
@kimdadadadada
@kimdadadadada 3 күн бұрын
혹시 말이죠 해파리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주실 생각 없으신지..
@user-mc9gk1si4y
@user-mc9gk1si4y 4 күн бұрын
이 동영상을 보자 숙소 근처 매미들이 열심히 울기 시작했읍니다
@nosaster
@nosaster 4 күн бұрын
영상 내용과는 관계가 없는 질문을 해도 되나요? 우제목의 되새김질과 소의 위장이 4개를 가지면서 소가 지불해야했던 대가는 어떤거인지 궁금해서요.
@user-ip8hw9xp6i
@user-ip8hw9xp6i 5 күн бұрын
보고갑니다
@user-hr9ul2gt2n
@user-hr9ul2gt2n 9 сағат бұрын
이게 진짜 훨씬 재밌음 라이브
@user-qk6ih7qv7k
@user-qk6ih7qv7k 6 күн бұрын
아직 조용하네요 장마가면 시끄러워지겠죠?
@hoitallica
@hoitallica 5 күн бұрын
잘못된 설명이 있군요 우리가 뷔페를 가면 너무 많이 먹어서 그다음에 끼니를 거르게 되는 것입니다. 점심때 가서 너무 많이 먹으면 저녁을 안 먹는다던가 다음날 아침까지 안 먹는 그런 일이 발생하죠. 그런 것은 바로 이 뷔페에서 너무 차린 게 많아서 많이 먹다보니까 배가 터지도록 먹고 배가 불러서 더 이상 다른 시간대에 음식을 먹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litis_15
@litis_15 5 күн бұрын
7:52 세상에 박제라니ㅂㄷㅂㄷ
@zerojin2
@zerojin2 4 күн бұрын
6:57 20데시벨 차이에 10배입니다. 그냥 외우세요. 지진은 규모 2차이에 에너지가 1000배고요
@TGuardians
@TGuardians 6 күн бұрын
와.. 언제나 신기한 동물의 세계
@jhondoe3891
@jhondoe3891 6 күн бұрын
한 지역에 13,17년 주기 매미가 동시 출몰한다는건 아니었구나...
@ggo-mac
@ggo-mac 3 күн бұрын
13년 17년이 되면 어떤 기관이 갑자기 번쩍거리면서 작용을 하는건가.....매미가 숫자를 세는것도 아니고 참 신기한 동물일세
@user-zt8wb9pi8n
@user-zt8wb9pi8n 6 күн бұрын
매미도 17년 기다리면 짝을찾는대 나는 ; ㅅ;...
@user-jc7pq9qn2p
@user-jc7pq9qn2p 6 күн бұрын
일단 우세요 제일 크게 울면 여자들이 관심을? 엄마?
@user-kc6sn5ps6s
@user-kc6sn5ps6s 3 күн бұрын
짝을 못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생을 기다렸다가 짝도 못찾고 그냥 죽는것이죠. 그렇다구요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6 күн бұрын
소수(素数) 는 소쑤라고 읽어야 합니다. 소수(小数) 는 소:수
@SouJungH
@SouJungH 6 күн бұрын
素数는 '바탕수'라고 이름 바꾸는 것이 낫다. '바탕 소' 왜 굳이 '소수'라고 하는지...
@StoneHyeon
@StoneHyeon 6 күн бұрын
어쩔 중국인들아 나는 프라임넘버라 할게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6 күн бұрын
@@SouJungH 그래 자동차, 학교, 국회, 민법, 산소, 수소, 이산화탄소, 환경, 기후, 군대, 결혼 다 바꿔라 ㅋㅋ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6 күн бұрын
@@StoneHyeon 촌스럽게 나는 프라임넘버라고 할게 가 뭐냐 I'll call it prime number라고 해야지. 천조국 형님들 앞에서 촌스럽게 프 라 임 넘 버 라고 발음할거냐? ㅋㅋㅋ
@StoneHyeon
@StoneHyeon 6 күн бұрын
@@milchholstein884 웅 프라임남바라 할꺼얌
@user-cu5lx4lj8u
@user-cu5lx4lj8u 6 күн бұрын
형 나 구독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4 күн бұрын
어서왕❤
@user-dh1dt2lq7x
@user-dh1dt2lq7x 6 күн бұрын
1000조 마리 ㄷㄷ ㄹㅇ 천조국 이였노
@minipekkaCR
@minipekkaCR 3 күн бұрын
근데 나무에 피해를 별로 안준다 하셨는데 그럼 꽃메미는...?
@user-dr7iu6nm2g
@user-dr7iu6nm2g 6 күн бұрын
다른 채널 영상은 백그라운드가 안되는데 여기 영상만 작은 화면으로 전환되어 다른 작업시에도 재생이 됩니다 유튜브프리미엄 안쓰고요 왜이러는걸까요?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6 күн бұрын
채널마다 조금씩 다르더라구요.
@YELICHMILL
@YELICHMILL 6 күн бұрын
매미뚝딱아저씨가 필요해보이네요
@park.j7876
@park.j7876 6 күн бұрын
결론 : 이 영상에서 말하는건 의미가 없다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6 күн бұрын
눈이 나빠 썸네일을 자세히 못 봤는데…눈을 게슴츠레~ 뜨세요~들~
@user-sz5zk6ju4l
@user-sz5zk6ju4l 6 күн бұрын
와우..
@트릴
@트릴 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대학 진학을 앞둔 고3입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갑자기 드는 질문이 하나 있는데, 과학자들이 매미를 연구하는 이유나 목적이 무엇이었을까요..? 이런 연구가 어떤 의의가 있을지 순수하게 궁금합니다.
@MulberryGarden1986
@MulberryGarden1986 6 күн бұрын
학문의 목적 중 첫번째는 진리탐구입니다. 모르던 사실을 밝히고 그 원리를 이해하여 인류의 인지 범위를 확대하는 일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가치가 있습니다. 지식의 활용은 그 다음 단계이구요.
@ghkwak7779
@ghkwak7779 6 күн бұрын
때때로 이런 아무 쓸모 없어보이는 기초과학연구가 공학이 퀀텀 점프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도 합니다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5 күн бұрын
공학에서 사용되는 많은 아이디어와 설계방식은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 당장 어떻게 활용되고 쓸모있는지 알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필요한 경우가 생기죠 과거 연금술로 금을 만든다고 뻘짓했던게 그 당시에는 생산성이 없고 가치가 없었지만 현대 과학의 기초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생각해 봅시다.
@트릴
@트릴 3 күн бұрын
다들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user-bt9lv6cw8b
@user-bt9lv6cw8b 4 күн бұрын
떳다 내 과학슈카
@uuksin
@uuksin 6 күн бұрын
아 너무재밌어
@user-fg2bg2kd9j
@user-fg2bg2kd9j 6 күн бұрын
매미 얘기를 들으니 대나무 꽃이랑 비슷한 것 같기도?
@geomjeong-i
@geomjeong-i 6 күн бұрын
썸네일 진짜;;,,, ㅠㅡㅠ
@gailcha6466
@gailcha6466 6 күн бұрын
북미 매미들 눈이랑 몸 색깔 진짜 매니악함 ㄷㄷ
@user-yl1dr9gv4q
@user-yl1dr9gv4q 6 күн бұрын
3:41 스타 브루드워의 브루드랑 같은 뜻임?
@jaeyool
@jaeyool 6 күн бұрын
그냥 우연히 소수년이 된 거 아닐까요? 만약 15년 주기나 16년 주기였다면 왜 짝수해인지, 왜 홀수해인지, 외 5의 배수해인지 따위의 의문 자체를 제기한 사람조차 없었을 듯.
@RiderHanGyeol_0402
@RiderHanGyeol_0402 6 күн бұрын
빨간가면 아저씨가 해치워 줄거예요!!! 우마가 간드앗!!
@kdyu178
@kdyu178 6 күн бұрын
주기 매미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된건 군대에서 김진명 소설 읽다가 도입부에 17년 매미와 소수에 관한 이야기 나온 부분에서임. 소설 제목이 기억이 안나네요. 뭐였더라. 선사시대 토우 관련한 이야기였던 것 같은데
@happydays2542
@happydays2542 6 күн бұрын
영화 지퍼스크리퍼스가 이 매미의 생태에 영감을 받은 걸까요.. ㅎㅎ 재미있네요
@user-et8me2pa0l
@user-et8me2pa0l 6 күн бұрын
시간이나 횟수를 따지는게 아니라 흡수되는 영양분의 총량이 아닌가 싶은데.........
@user-lf6cu5be2s
@user-lf6cu5be2s 6 күн бұрын
요약. 1.미국 매미가 13년주기와 17년 주기로 등장한다. 2.마침 금년에 두종류가 같이 나온다. 까지가 과학적 팩트. 3.그 외에 가장 중요한 이것저것의 원리는 가설만 있을뿐 밝혀진건 없다.
@user-gq3cc7mt1y
@user-gq3cc7mt1y 6 күн бұрын
😊
@reee12311
@reee12311 6 күн бұрын
크아아아악
@발큰
@발큰 6 сағат бұрын
인간에게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것만으로도 해충이라고 본다.
@user-bk8dy2rs4j
@user-bk8dy2rs4j 6 күн бұрын
매미 맛있다는데 다 먹어버립시다 일단 나부터
@user-zt1rp7ot2q
@user-zt1rp7ot2q 6 күн бұрын
결론 : 모른다!
@MeteorGOD1
@MeteorGOD1 6 күн бұрын
슈카월드 과학버전이네요 ㅋㅋ
@ScienceDream
@ScienceDream 4 күн бұрын
영광입니다
@user-rh3zp5ri5i
@user-rh3zp5ri5i 6 күн бұрын
격기3반 독자로서, 매미소리는 조금 ptsd가 오려하네요
@kkanjoy7441
@kkanjoy7441 6 күн бұрын
매미조차도 천조국이네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3 күн бұрын
현상만 보고서 또 온난화 탓하는 멍청이만 안보이면 뭐.... 근데 매미는 해충이 맞습니다. 적정수일땐 문제가 없지만 수가 많으면 나무에 꽤나 심각하게 데미지 줍니다. 한국에서 꽃매미를 해충으로 지정했던게 그이유죠. 꽃매미도 매미라서 참매미랑 다를건 없죠. 나무에 관을 꼽고 수액을 뽑아 먹습니다.
@umr6727
@umr6727 6 күн бұрын
매미같이 유충으로 몇 년, 성충으로는 길어야 한 달 이상 정도인 수명을 가진 곤충들에게 있어서 성충 시기는 사람으로 치면 노년기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군요....
@Naraea
@Naraea 6 күн бұрын
매미도 수학을 하는구나
@pink.D
@pink.D 6 күн бұрын
어머 얼굴을 뵐줄이야??????
@blue_gilinzzing
@blue_gilinzzing 5 күн бұрын
매미도 17년을 버티면 만나는데 나는 왜.......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6 күн бұрын
역시 천조국의 매미 .. 근데 매미 넘 불쌍해 그것 함할려고 17년 땅속에서 존버 했는 곰팡이에게 거세 당하다니 ...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5 күн бұрын
매미가 횟수를 셀 것 같지는 않고 그냥 양분을 17번 먹으면 야동을 17번 본 것 마냥 갑자기 성욕이 솓구치는 게 아닐까요?
@chlee2233
@chlee2233 2 күн бұрын
수를 센다는건 굉장히 웃긴 발상이네요 ㅋㅋㅋ 13번 혹은 17번 영양분을 흡수하면 자연스레 성충이 되는 몸이 완성이 된다 라고 보는게 일반적이지 않나 싶은데요?
@user-gx5hy1px3w
@user-gx5hy1px3w 6 күн бұрын
천조국이라서 매미도 천조마리
@goyoung22
@goyoung22 6 күн бұрын
어우 과학드림 좋아하지만 이번 썸네일 극혐이네요;;;
@mightyYeo
@mightyYeo 6 күн бұрын
매미 정도 백색소음이 그렇게 거슬리나?? 난 진짜 아~~무소리도 안나면 시곗바늘 소리만나서 더 정신분열 올 거 같던데..
@user-oj4yh2ki3j
@user-oj4yh2ki3j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벌써 나와서 몇마리 울기 시작함....오늘도 한마리 잡았음(말매미)
@user._.Gallery
@user._.Gallery 6 күн бұрын
221년만의 벌레파티 먹어서 혼내주자.
@user-hf3md9uy5r
@user-hf3md9uy5r 6 күн бұрын
썸네일 교체 좀.. 식겁했네요
@sesamebread00
@sesamebread00 6 күн бұрын
저 벌레 사진봐도 별 반응없는 편인데 요번 썸네일은 쓸데없이 자잘(?)해서 진짜 흠칫했어요😂
@Tasuling313
@Tasuling313 5 күн бұрын
바뀐 것도 식겁하는... ㅋㅋㅋ
@jinyoungpark6087
@jinyoungpark6087 6 күн бұрын
역시 자네야!..... 어??
@soplet6121
@soplet6121 5 күн бұрын
매미조차 천조 마리인 천조국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5 күн бұрын
13년주기 매미랑 17년주기 매미가 짝짓기 하면 15년주기 매미가 나오나요?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5 күн бұрын
아니 이게 진짜네
@user-jc7pq9qn2p
@user-jc7pq9qn2p 6 күн бұрын
암튼 저나라 스케일은...
@user-lv7mz9rd2f
@user-lv7mz9rd2f 5 күн бұрын
13년 매미랑 17년 매미랑 교배하면 몇년 매미가 태어나는걸까요 ㅋㅋ
@bana5959
@bana5959 6 күн бұрын
썸네일 제발 살려주세요 자주보는데 알고리즘에떠서 너무놀랏어요ㅠㅡㅠ
@user-dg6pl4pf3f
@user-dg6pl4pf3f Күн бұрын
채널 분리라던가해주시면 안되나여...
@user-ko7gf9vt1q
@user-ko7gf9vt1q 6 күн бұрын
ㄴㅓ무재밌다.......
@발큰
@발큰 6 сағат бұрын
서울엔 러브버그로 징글징글하다!
@user-ls9dj4xs1b
@user-ls9dj4xs1b 6 күн бұрын
때박 ㄷㄷㄷㄷㄷ
@user-ir3zj1vj7e
@user-ir3zj1vj7e 6 күн бұрын
매미들은 홀수를 좋아하네
@Ollymin
@Ollymin 6 күн бұрын
슈카인줄알았네
@bclwoe12
@bclwoe12 6 күн бұрын
러브 벌레 미치겠음
@user-ls7fh4ei4n
@user-ls7fh4ei4n 6 күн бұрын
이상하다...분명히 주가매매였는데...
@user-vj1fr6cy9g
@user-vj1fr6cy9g 6 күн бұрын
1년전 13년 주기 메미, 1년전 17년 주기 등, 매년 해당 년도, 주기 메미가 있을텐데… 왜 유독 올해죠??
@user-jb2wl1sf5l
@user-jb2wl1sf5l 6 күн бұрын
두개가 겹친다잖아;;;;아ㅡㅡ
@user-jc1vq6nu4p
@user-jc1vq6nu4p 5 күн бұрын
에휴 맛있는것도 똑같은거 걔속먹으면 질즈리죠 ㅋㅋㅋ
불가사리의 팔은 왜 하필 5개로 진화했을까?(대칭의 과학)
17:16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45 М.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2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99 М.
캄브리아기 이전에는 어떤 생물들이 살았을까?(ft.에디아카라 생물군)
10:21
25종의 멸종 직전 생물을 찾아라
22:1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34 М.
신생대 연대기: 大포유류의 시대(공룡의 몰락부터 인류의 등장까지)
13:37
서울 점령한 정체불명 파리떼 '러브버그'. 넌 대체 누구냐?? (갈로아 과학웹툰작가)
57:20
iOS 18 vs Samsung, Xiaomi,Tecno, Android
0:54
AndroHack
Рет қаралды 88 М.
iPhone 12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miniphone
0:16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1$ vs 500$ ВИРТУАЛЬНАЯ РЕАЛЬНОСТЬ !
23:20
GoldenBurst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Неразрушаемый смартфон
1:00
Statu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