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중동을 두고 한판 붙었습니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139,235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9 ай бұрын

✨단백질러 9/8(금) ~ 9/22(금) 2주간 추석 특별 할인🌾
👉syncombine.com/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Пікірлер: 262
@WilltoSurvive51
@WilltoSurvive51 9 ай бұрын
기를 보내드립니다. 어소장님 힘내세요. ❤
@user-qw1et2yk8g
@user-qw1et2yk8g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예쁘고 똑똑하고 위트있고 다해요!!! 건강 잘 챙기세요♡
@nb-ck6wd
@nb-ck6wd 6 ай бұрын
언드스텐 대표님두분 참잼나게진행잘~하십니다 쌍둥이처럼 이미지가 좋습니다~좋은지식을 많이쌓아가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z8zt9tl4n
@user-dz8zt9tl4n 9 ай бұрын
80대 노인네가 궁리없이 미국판 일대일로를 얘기햇는데 전문가인 너거들도 생각없는거야? 사우디 지나가야하는데 전세계 사막에 철도를 놓을수 있는 나라가 몇개나 되나? 경험잇는 나라있어?
@user-pn5uu9pp4i
@user-pn5uu9pp4i 9 ай бұрын
대상포진은 무조건 빨리 병원으로 직행해야 됩니다. 그럼 아프지 안고도 5일만 끝낼수 ....
@jamesLee-pw9jy
@jamesLee-pw9jy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힘네세요.고품격 퀄러티 좋아요
@davidkim4599
@davidkim4599 9 ай бұрын
요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20' container 싸이즈로 계산했을때 대개 콘테이너 2 만개를 적재하고 운항할수있다. 철도로 연결해 운송한다는데 철도 차량 앞뒤에서 밀고 끌어도 컨테이너 몇개를 동시에 운송할 수있을까 ? 아마도 컨테이너 100 개 정도 한꺼번에 운송 가능하지 않을까 ? 큰 배에서 컨테이너를 찿아 내려서 그 컨테이너를 다시 철도 차량에 환적 하는 시간을 계산 한다면 그리 경쟁력이 있다고 할수없을 것 같다. 대량 운송하는 해상 운송과 소량운송이 가능한 해상 철도 복합운송의 컨테이너 당 단가를 계산하면 별 이득이 없을런지 모른다.
@yoonhongpark1281
@yoonhongpark1281 9 ай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말씀하시는 정보, 많은 도움이되고 진짜 최고, 찐 전문가, 찐 미녀!
@user-ik8vh3qf5l
@user-ik8vh3qf5l 9 ай бұрын
여소장님 최고^^
@haselnussschwarzbraun9100
@haselnussschwarzbraun9100 9 ай бұрын
환적만 3번을 하는데 효용이 나오겠나 회랑에 있는 국가들에 실체 없는 떡고물 던져서 붙잡으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
@samsungrobotics
@samsungrobotics 9 ай бұрын
♥♥♥ 어예진 소장님 사랑해요 ♥♥♥
@user-bk5bz1wl9p
@user-bk5bz1wl9p 9 ай бұрын
대상포진 조심하세요. 아이도 있는데 쉴 수 없나 보네요..ㅠㅠ 에구... 먼저 본인 먼저 챙기세요.. 화이팅 하세요.그리고 차분하게 뉴스 전달해줘서 정리하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해요.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9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해주는 유용한 내용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user-bi9mm2ii5p
@user-bi9mm2ii5p 9 ай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보러 왔습니다~♡
@chajaemyung
@chajaemyung 9 ай бұрын
근데 바이든이 다음 선거 때 나올수는 있나? 왠지 민주당에서 다른 후보를 낼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데 ㅎㅎㅎ
@sunday6702
@sunday6702 9 ай бұрын
임기못넘기고 노후로 사망하는거 아닐지..
@JohnnyRRR674
@JohnnyRRR674 9 ай бұрын
중국은 일대일로에 진심인거고 미국은 훼방 목적이 크지😂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중국은 인프라 진심이 아니고 거의다 해놨음 ㅋㅋ 쫙~ ~ ~ 깔아놈 그걸 미쿡이 뺐어서 나눠쓰자 하는거고~(깡패적 발상 힘있으면 가능) 그게 아니면 자금이없어요 ㅋㅋㅋㅋㅋ
@user-yj3cl7rr1r
@user-yj3cl7rr1r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화이팅
@dawnbluish2106
@dawnbluish2106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름 바꾸는 것 잘 하지요.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부, ~ 정부 바뀌면서 계속 바꾸고 있지요. 이름만 바꾸면 환기 역할을 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인지, 여기에 투여된 세금이 얼마나 될지 계산해 보면 좋을 듯함
@bae9678
@bae9678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아프면 나도 아프다 ㅜ ❤❤
@user-le6mb1mn2q
@user-le6mb1mn2q 9 ай бұрын
인도 미국 인프라 지들코가 석자여~~ 중국이 깔아주면 몰라도~~
@user-eh2nk1rs9c
@user-eh2nk1rs9c 9 ай бұрын
미국의 개수작..ㅋ 사막의 모래폭풍을 뚫고 기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할거라 생각하는게 망상.. 미국이 사우디,인도를 잡기위해 간사한 수작부리는 거임. 아마 철도 건설비용은 미국은 빠지고 각자 알아서 하라고 하겠지..미국이 이런거에 능숙하잖여..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그게아니고 중국이 까라논거 ㅋㅋ 뺐자고 하는거같은데 ~
@user-rg5fk3st2m
@user-rg5fk3st2m 9 ай бұрын
경쟁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야. 미국과 중국은 경쟁을 해야하지. 우리는 이집트에 수에즈 운하를 확대하거나 초고속 철도를 건설할 사업기회가 있을 것이고, 운송비용이 저렴해 지겠네요. 러시아를 통한 북극항로도 좋고.. 참고로..소말리아에는 해적의 씨가 말랐대요.
@user-dy5jy5rp7v
@user-dy5jy5rp7v 9 ай бұрын
어? 어..어어어 어??? 어 소장님 최곱니다!!
@sanha7007
@sanha7007 9 ай бұрын
오늘 아프카니스탄에 어마어마한 운하건설하는 영상을 보았는데 궁굼하네요! 다음에 어소장님 아프카니스탄 운하개발하는것부탁합니다!
@user-ub1ty6qk2z
@user-ub1ty6qk2z 9 ай бұрын
그 산악 똥땅에 운하라뇨?
@user-rz3ko4fm7d
@user-rz3ko4fm7d 9 ай бұрын
고생하셧어요😅
@user-nl2xf3lm6b
@user-nl2xf3lm6b 9 ай бұрын
미국 인도 기차 최악인데
@user-kh5gp4tb3t
@user-kh5gp4tb3t 9 ай бұрын
미국이 자국의 인프라도 제대로 하는게 없는데 ㅋㅋ 인도는 더 말할나위도 없고
@user-dz8zt9tl4n
@user-dz8zt9tl4n 9 ай бұрын
그냥 웃지요^^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9 ай бұрын
정답
@hpncjey
@hpncjey 9 ай бұрын
마지막 기사. 더 적게 자면 더 일찍 죽는다는데 우리나라 평균수명이 세계적으로 높죠. 일본도 마찬가지... 믿을 수 없는 기사입니다.
@deltax9471
@deltax9471 9 ай бұрын
변수가 하나가 아니니까 그렇죠 잠만 많이자고 예를들어 술을 매일 엄청 먹거나 하면 오래살까요?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평균수명이 70년도 안되서 인구감소데 높은편인가요 70년 아래가??
@user-pp9uf5md1t
@user-pp9uf5md1t 9 ай бұрын
같은 물동량으로 했을 때, 해운으로 가다가 철도로 가다가 다시 해운으로 가다가 다시 철도로 운송하는 비용이, 해운으로 쭉가는 것보다 절약되다는 허무맹랑한 소리를 오늘 처음 들어보네요.. 사막 한 가운데 있는 철도의 유지보수 비용은 계산 안하시나요...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9 ай бұрын
수에즈 운하 통과 비용은 계산 안하시나요? 해운으로 쭉 가는 것 보다 훨씬 절약됩니다
@ColinStudio
@ColinStudio 9 ай бұрын
해운시 물량비용 절약에동의함. 물건 한번 내려서 다시 싫는데 시간 어마어마 지체됨 물건이 없어져도 누구한테 배상받을지도 모름😂
@user-eh2nk1rs9c
@user-eh2nk1rs9c 9 ай бұрын
​@@user-vy4ev9tl8z수예즈 통과비용이 크겠냐? 아님 철도 이용료가 크겠냐? ㅋ 그리고 인도가 세계의 공장이 되기에는 멀었다..국민성이 중국과 너무 다르고 각종 규제가 너무 많아서 제조공장이 될지도 미지수..일단 물동량이 없기 때문에 철도 깔아도 경제성도 없음..미국이 감언이설로 그냥 흔들어 보는 거여..ㅋㅋㅋ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9 ай бұрын
@@user-eh2nk1rs9c 압도적으로 수에즈 운하 통항료가 더 비싼데?
@wvwvwvwvvw
@wvwvwvwvvw 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난다긴다 하는사람들이 머리굴려 만든 프로젝트인데 님도 걱정하는 걸 계산에 안 넣었을리가요 ㅎㅎ
@sumom9798
@sumom9798 9 ай бұрын
언더스텐딩의 컨텐츠 항상 잘 보고 있기는 하지만 대상포진 환자는 쉬도록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ㅜ
@user-jd4ro5ed5l
@user-jd4ro5ed5l 9 ай бұрын
쪼끔 아파요~ㅎ
@kyulee829
@kyulee829 9 ай бұрын
예진아씨 오늘도 예뻐요!
@user-ed3gj1ov2f
@user-ed3gj1ov2f 9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안되겠네요ㅎ(2분41초)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shakura4371
@shakura4371 9 ай бұрын
한국도 그런짓해서 서울이름이 汉城이 였는데 중국보고 首尔로 바꾸라고 하면서 중국은 그 이름을 바꾸기위해 큰 돈을 써야 해서
@junhoshin6766
@junhoshin6766 9 ай бұрын
다들 주권국가인데 중국이 카타부타하면 되레 역반응만날뿐 중국이 속으로는 아니지만 그래도 그렇게 할수밖에 없는법 중국이 제대로 하는것 같습니다 미국처럼 말안듣는다고 제재하고 압력넣고 하면 베네쥬엘라 쿠바처럼 영원히 적대시하는 나라가 됨
@yellowlovely2140
@yellowlovely2140 9 ай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은 항상 최고 😆믿.보.어.❤ 아프지 마세요
@younilkim6169
@younilkim6169 9 ай бұрын
수에즈운하 통과비용도 엄청납니다 그러나 중국은 믿을수 없는 나라죠
@user-fz8xi5dh7g
@user-fz8xi5dh7g 9 ай бұрын
내년 재선 바이든 힘들어
@user-dz8zt9tl4n
@user-dz8zt9tl4n 9 ай бұрын
미국 자기나라 철도한개 제대로 못해서 1년에 사고 수십건나오는건 왜 보도 없지? 풉 ㅋㅋㅋㅋ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그래서 중국이 까라논거 뺐어서 같이쓰자라고 논의중이잖아요 ㅋㅋ 그게 아니면 돈 없음 미쿡은
@nnsghi1947
@nnsghi1947 9 ай бұрын
미국의 망상이다 그자금을 미국이 대야하는데 미국은 절대 자기돈투자 하지않는다
@user-pn5uu9pp4i
@user-pn5uu9pp4i 9 ай бұрын
간질간질 뭔가 따끔따끔 하다면 바로 병원가야됨... 미련하게 시간 끌다가... 디지게 아플때 가지 말고....
@eunselee5710
@eunselee5710 9 ай бұрын
캐나다와 미국 멕시코, 남미가 해상, 운하, 철로, 트레일러 운송의 모델 이 일대일로의 모델이 된듯 대서양부터 운하로 북미 내륙까지 약 8000 킬로 운행 기차는 100칸에 2층으로 실고 수천 킬로씩... 트레일러는 무인화 추세로 수 만킬로..
@davidkim4599
@davidkim4599 9 ай бұрын
캐나다 미국 멕시코는 오래전 부터 FTA 협정이 맺어져있고 같은 대륙이라 컨테이너 몇개 정도의 소량 화물은 주로 도로를 통한 트레일러를 통하여 운송이되고 대량화물은 철도로 운송이된다. 급히 운송이 필요한 경우는 대부분 트럭으로 운송되며 같이 붙어 있는 대륙 이기 때문에 거의 육상운송이 이용되며 원유 가스 등은 송유관을 이용하여 미국 캐나다간 운송이된다. 캐나다 온타리오호와 이리호를 연결하는 운하가 있긴하나 3 국간 운송보다 유렵등 다른 대륙과 운송시 이용된다고 생각된다. 서해안에서 서해로 밴쿠버에서 LA 또는 캐나다 동해안 노바스코시아에서 프로리다 및 휴스톤 까지 운송은 해상 운송을 이용할수 있겠다. 여기에 언급되는 인도 중동 유럽 노선과는 여건이 많이 달라 비교가 별 의미가 없을 것 같다.
@eunselee5710
@eunselee5710 9 ай бұрын
@@davidkim4599 네가가 운송모델을 토대로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적하는 새로운 일대일로를 기획했다는 얘기입니다. 각기의 방식과 장단점을 몰라서가 아니라...
@usadgyydsiiutrtg
@usadgyydsiiutrtg 9 ай бұрын
어예진소장 사랑스럽네요
@gustavkim9231
@gustavkim9231 7 ай бұрын
최근 역사에 영향을 끼친 에너지 산업의 중심 지역인 '중동의 석유'를 벗어나 새로운 에너지원의 대안으로 소개되고 있는 'AI 스마트 전자발전기' 사업을 추진 중인 "SEMP연구소"에 대한 정보도 알려주세요.
@nnsghi1947
@nnsghi1947 9 ай бұрын
스리랑카의 비즈니스 중국보다 일본을 비롯해 다른나라의 빚이 더많다
@user-un2le9od5h
@user-un2le9od5h 9 ай бұрын
배와 철도중 선택하라면 평지라는 조건과 안전의 위협이 없다면 철도가 맞습니다 . 대형컨테이너선의 속도가 경제속도로 운영하면 30 km 가 안되니까요 . 시베리아횡단철도를 이용할수 있으면 한국에서 유럽까지 10일이 안걸릴테니.
@martinchoi85
@martinchoi85 9 ай бұрын
웹툰 "갓 오브 블랙필드"에 나오는 대륙 횡단 철도 사업 "유니콘"과 꽤 비슷한 콘셉트의 회랑이네요.
@brck888
@brck888 9 ай бұрын
모래가 흐르는 것은 큰 문제다. 지반을 새로 닦아야 한다.철도로는 그 거리를 별로 단축시키지 않았으므로 차라리 수에즈운하를 직접 개조하는것이 나을것이다.
@user-dz8zt9tl4n
@user-dz8zt9tl4n 9 ай бұрын
미국은 그림만 그리는 나라야 돈없어서 부장들 앞세워 국채사달라고 하는 미국이 먼돈잇어서 투자한다고 그러는지 이해가 안되넹 자국인프라도 제대로 못하는미국이 철도놓고 다른나라에 돈투자한다고? 참 지나가던 개도 웃겠네요
@user-qp5bo6ov5r
@user-qp5bo6ov5r 9 ай бұрын
미국이 왜 돈이없음? 기축통화국인데? 인프라도 못깐다는건 또 먼소리신지..
@user-pf4nh9mu6s
@user-pf4nh9mu6s 9 ай бұрын
미국 전철 타봤냐? 미국 교통수단 타본 사람이라면 무슨말인지 공감한다 기축통화? 그래서 뭐?ㅋㅋㅋ
@user-ir7br1lw7r
@user-ir7br1lw7r 9 ай бұрын
바이든이 그림은 잘 그리지요 뻥뻥뻥
@eze9450
@eze9450 9 ай бұрын
8:13 아무리 해상보다 육로가 비용이 적다고 해도...미국같은경우는 한번 환적(?)하는데 비해 이경우는 3번인데.....비용이나 시간이...특별히 메리트가 있어보이진 않는데말이죠.... 아니면 이정도의 비용을 감내 할정도로 수에즈 운하가 비효율적인걸 잘 모르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user-pp9uf5md1t
@user-pp9uf5md1t 9 ай бұрын
해상에 있는 바다는, 유지보수가 필요없지만, 사막에 있는 철도의 유지보수 비용은 어떻게 할 것인가.....
@chengxuanbai4226
@chengxuanbai4226 9 ай бұрын
돈은 미국이내는가요? 지금이자갚을돈도부족하게 생겼는데 ……그리고 사막에서철도는 누구나 지을수있을까요?인도교하고무슬림서로좋은사이도아님니다. 이소장은 앵무새야 자기생각이없어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9 ай бұрын
32:35 오빠야가 바라트로 바꾸는 대신 선물 사주고 싶게 만드는 귀여움이군요 ㅎㅎ
@tejas-world7493
@tejas-world7493 9 ай бұрын
Korean butt hurt huh 😂😅😅😂😂
@user-fz8xi5dh7g
@user-fz8xi5dh7g 9 ай бұрын
미국의 독주는 막아야한다 힘이 어느정도 균형이 맞아야지 우리같은 나라들은 더 유리한거다
@younilkim6169
@younilkim6169 9 ай бұрын
그게 러시아나 중국은 아니라고 봅니다
@Ulsan_goddai
@Ulsan_goddai 9 ай бұрын
우리 같이 힘없는 나라는 의미 없어요. 이미 미국 없이는 못사는 나라 입니다
@user-fz8xi5dh7g
@user-fz8xi5dh7g 9 ай бұрын
견제가 되야 미국도 동맹을 더 대우해주지요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younilkim6169 님도 색놀이에 빠져서 유토피아를 원하나요?
@younilkim6169
@younilkim6169 9 ай бұрын
@@userganada 유토피아는 무슨 그게 가능합니까? 중궈나 러시아가 하는짓 보면 미국이 낮다는거죠 유태인들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하는거 보면 나치랑 크게 다를것도 없다고 보이고 그나마 최악대신 차악을 선택하는거죠 영국이 그렇게 나쁜짓을 많이 했지만 영국연방은 늘고 있고 구소련서 독립한 나라들 전부 나토가입하는거 보면 적어도 미국 영국이 소련중국보단 좋다고 봅니다
@user-hp7nc3nv8v
@user-hp7nc3nv8v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컨디션 잘 조절하셔서 빨리 회복하시길 바래요
@user-xx9nt5dr6q
@user-xx9nt5dr6q 9 ай бұрын
저도 대상포진으로 ㅠㅠㅠㅜ
@user-br8ze8kj7y
@user-br8ze8kj7y 9 ай бұрын
생각은 좋은데 미국이 돈대줄꺼 같아요????????또다른나라보고 돈내놔라해서 절때 안됨
@user-fz8xi5dh7g
@user-fz8xi5dh7g 9 ай бұрын
미국은 발빼는거 선수니까? ㅋㅋ 어느정도는 맞는말이지
@user-eg2vh4eq4o
@user-eg2vh4eq4o 9 ай бұрын
튀르키예니 바라트니 하는게 국뽕정치+터키의 이슬람화, 인도의 힌두교화가 휩쓸고 있다는걸로 보이네요
@user-ib2yb6zv8l
@user-ib2yb6zv8l 9 ай бұрын
아파도 예쁘셔요
@park1277
@park1277 9 ай бұрын
예진이 누나 넘 귀여움
@tejas-world7493
@tejas-world7493 9 ай бұрын
Korean butt hurt ah 😂😅😂😅😂😅😂😅
@pongkyukim5503
@pongkyukim5503 9 ай бұрын
기차가 비싸지만 시간이 단축된다고 주장하시는데 여러 나라를 통과하는 것 자체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통관, 하역, 이동 수단 대기시간을 고려하면 좀 말이 안되는 회랑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에즈 운하가 문제가 많이 있다면 생각해볼 수 있는 루트이긴 한데요. 잘 모르겠습니다.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9 ай бұрын
유럽연합은 나라가 많아도 통과하는데 지체되는 시간이 적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협의를 해서 해결하겠죠
@pongkyukim5503
@pongkyukim5503 9 ай бұрын
@@user-vy4ev9tl8z EU는 국가 연합체이고 대부분 대륙간 운송은 배로 암스테르담에 도착하고 그 이후는 그냥 모두 육상운송이지요. 미국도 비슷하구요. 그런데 이 회랑은 해상-육상-해상-육상 루트이고 이해관계가 다른 여러 나라를 통과해서 과연 물류 차원에서 어떤 이익이 있을지 잘 몰라서요. 물론 중동 국가를 위해서는 좋을 것 같기는 합니다만 글로벌 물류 차원의 얘기는 아닌 것 같아서요.
@kwen1157
@kwen1157 9 ай бұрын
믿거나 말거나인데,,,일대일로 2022년 무역금액이 2,500조 된다고함.. 미국 유럽 시장을 의존도 낳출라고 10년전에 계획했다느게 참...선견지명이죠.
@SHKim-uv4wo
@SHKim-uv4wo 9 ай бұрын
진정한 식민지 청산을 하고 싶다면 한국처럼 자국 글자를 사용해라. 즉 영어를 쓰지 말고 ~~~
@Kkee-MD
@Kkee-MD 9 ай бұрын
미국은 연결되지도 않았는데 뭘 얻나요?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9 ай бұрын
미나가 아니라 메나요
@user-gr1fn3nq1c
@user-gr1fn3nq1c 9 ай бұрын
@dongilseo2652
@dongilseo2652 9 ай бұрын
쉿~ 그러니까 자리를 비우면 안된다니까~~~~ 진리!!😁😁😁😁😁😁
@user-yw6bg4iv6t
@user-yw6bg4iv6t 9 ай бұрын
한국은 뭐하나. 현재도 미래도 암울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9 ай бұрын
어~~ 예진이 이뻐 진짜 이뻐
@youngchanpark322
@youngchanpark322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지정학은 좋으나 활용는 그 그룹들의 능력이 의심됨.
@user-wo7qy5pv4q
@user-wo7qy5pv4q 9 ай бұрын
인도 유럽무역량 얼마나 되나요
@hkkim3528
@hkkim3528 9 ай бұрын
믿고보는 어소본색
@user-zj6sm3xp6g
@user-zj6sm3xp6g 9 ай бұрын
지나 가는 국가 중에 분쟁및 전쟁이 생기면?
@Kkee-MD
@Kkee-MD 9 ай бұрын
평균 수명은 일본과 한국이 높다는 아이러니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9 ай бұрын
러블리예진소장님 프로포즈 박고 싶어요 ㅠㅠ
@namse-back-account
@namse-back-account 9 ай бұрын
15:25 소장님 파닥파닥 ㅋㅋㅋㅋ
@jaeyonglee296
@jaeyonglee296 9 ай бұрын
중세 시대 유럽과 인도의 무역항로가 21세기에 재현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아라비아 반도를 횡단하던 낙타가 열차로 바뀐 것 같습니다. 만약 중국의 해상 경제 벨트가 완성되다면 수에즈 운하를 보호하는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중국 해군와 미국 해군의 군사 갈등이 필연적입니다.
@user-uu4pe4oc8f
@user-uu4pe4oc8f 9 ай бұрын
50년전까지는못합니다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9 ай бұрын
똥줄...아...실망...
@subuticho5014
@subuticho5014 9 ай бұрын
아라비아 반도 종단 철도 계획은 100년 전부터 있었습니다. 그러나 성사 되지 않은 것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항하기 위한 외교적 제스쳐 정도의 선언 정도이지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미국이 급하긴 급하네요. 이탈리아 우파 정권의 일대일로 탈퇴는 향후 eu와 미국의 이탈리아 투자 및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라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리아 난민의 대거 유입에 의한 외국인 혐오에 기댄 정권이라.
@user-hj3us8hc1k
@user-hj3us8hc1k 9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공승연 닮았어요!!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9 ай бұрын
한국은 지정학이 개판이라 균형외교는 불가능한 나라임. 가능한 경우는 패권국이 관대하게 눈감아 주는게 가능한 지난 70년의 평화시기 뿐. 좋은 시절 갔고 이제 정신 차려서 다음 좋은 시절만들려면 2등국가 박살내서 다시 관대한 패권국을 만들어야지. 아니면 우리가 2등 국가 하던가
@qingshanyipian1936
@qingshanyipian1936 9 ай бұрын
Plus. It skip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B&R initiative. Central Asians nations. Oil and gas giants
@user-ut1ux3pr7z
@user-ut1ux3pr7z 9 ай бұрын
제 2 그레이트 게임은 혁신적인 인구 감소를 환경적 요인에서 찿을수 있다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9 ай бұрын
그런데 아라비아를 육로로 꼭 통과해야만 한다면 쿠웨이트에 내려서 이동하는 코스가 가장 짧은데, 걸프전 이후로는 쿠웨이트는 대체 뭘 하고 있길래 조용한 걸까요?
@user-bk2he8zs6q
@user-bk2he8zs6q 9 ай бұрын
귀여워 귀여워 너무 귀여워~🤍
@user-xt8jk9rb9s
@user-xt8jk9rb9s 9 ай бұрын
이프로 보고있는시간조차 11시58분 ㅋ. 잠이보약이라는데요
@rafa2951
@rafa2951 9 ай бұрын
수에즈 막히면 중국은 말라죽을듯...
@eunselee5710
@eunselee5710 9 ай бұрын
Old korea = 고 조선 = 고구려....한국 = Korea
@user-uu4pe4oc8f
@user-uu4pe4oc8f 9 ай бұрын
미국이일대일로한다개가웃을일이다
@user-xn6hc4wm4n
@user-xn6hc4wm4n 9 ай бұрын
ㅋ 소장님 어쩔스까나~^^
@user-gq7pr9xd3t
@user-gq7pr9xd3t 9 ай бұрын
저게 뭐야? ㅋㅋ 배에 기차에 트럭에.. 지금 현재 저 나라들끼리 서로 무역하고 있는 루트를 지도에서 연결해 놓은 거잖어? 새로 하는게 뭔데? 사우디에 철로? 저 철로만 30년 건설한다에 내 손목 건다. 😂
@AntiSound098
@AntiSound098 9 ай бұрын
중동은 둘중에 하나가 압도하지 못하게 약한쪽에 힘실어주면서 양쪽으로 줄타기 해야겠내 양쪽에서 하나씩 빼먹으면서 무게추 놀이하면 중동의 봄이겠구만
@user-nx7pf8no8m
@user-nx7pf8no8m 9 ай бұрын
어느 세월에~~~~기찻길을 놓을까요???? 해외담당 소장님은 무리하지 마세요~~~
@user-yh3jd5uc3j
@user-yh3jd5uc3j 9 ай бұрын
만약 미국이 사우디 등 중동의 마음을 얻고자 하는 전략이라면 엑스포 투표에서 미국한테 뒷통수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er-br7bb6pd7r
@user-br7bb6pd7r 9 ай бұрын
수소
@bsherb75
@bsherb75 9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만든 상품을 유럽으로 판매하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 인도의 상품을 유럽으로 판매하는 공급유통망이라 생각되네요. 세계의 공장이 인도로 옮겨지는 발판이 되는건가 싶네요
@kwen1157
@kwen1157 9 ай бұрын
인도 나 인도네시아 을 한번 겪어보면 압니다...얼마나 인파라적이나 작업자 수준들이 얼마나 말도 안되고 비효율적인지....인도는 언어 통일 교육통일 그리고 기본교육도 시켜야 됩니다.
@user-pf4nh9mu6s
@user-pf4nh9mu6s 9 ай бұрын
인도 힌드어 못하는 인구수가 몇억이라고 하던데 흠...
@slvhawkneo4064
@slvhawkneo4064 9 ай бұрын
인도에서 뭘 생산해서 유럽으로 보낸다는 건 지... 중국은 육상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 제품을,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동남아 생산 제품을 유럽으로 보낸다는 개념인데 인도는 생산 제품도 아직은 열악한데다 환적을 할수록 물류비용은 늘어나는데... 그리고 미국이 투자해서 볼 이득은? 그냥 중국견제?
@user-mk6dd1jj1e
@user-mk6dd1jj1e 9 ай бұрын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면 졸지에(느닷없이 갑작스럽게) 3억명의 시장(북부전구:산동성과 동북3성)이 생긴다 그것은 한국의 내수시장이나 다름없다 멍청이,리틀 로켓맨,시황제를 강제은퇴시키고 남북통일을 했으면 (날리면은 덤으로)
@andywon9623
@andywon9623 6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분량을 늘려주세요
@user-uu4pe4oc8f
@user-uu4pe4oc8f 9 ай бұрын
잘들떠들고있네
@user-ow7ze1qn3g
@user-ow7ze1qn3g 9 ай бұрын
트럼프,바이든에서 중동과 멀어진 사이에 중국이 그 틈을 놓치지 않고 들어왔다
중국이 대만 침공하면 인도는 누구편일까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5:1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10 М.
우크라이나 곡물 수입 때문에 유럽이 갈라졌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3:2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74 М.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짓다 만 아파트가 넘친다. 흉가 된 중국 부동산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6: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06 М.
과학기술 세계 1위가 중국이라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1:1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13 М.
중국 정부가 직접 전기차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서병수 애널리스트)
48:3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4 М.
'54도' 진짜 죽음의 계곡이 된 미국 데스밸리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9:4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42 М.
푸틴이 루블화 지키기에 목숨 거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2:0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9 М.
대만 다람쥐 습격 사건 (어예진 해담경제연구소장)
45:3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7 М.
중동에 부는 시진핑의 붉은 바람 (고려대학교 중동·이슬람센터 성일광 교수)
1:02:3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세계의 공장, 중국의 물량공세 시작됐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1:5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4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