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덕후 밀떡] FA-50 단좌형 본격 개발 착수, 미 해군 도입할까?

  Рет қаралды 43,347

밀리터리 덕후 밀떡

밀리터리 덕후 밀떡

Күн бұрын

네이버 오디오클립 : audioclip.nave...
팟캐스트 팟빵 주소 : www.podbbang.co...
그밖에 아이튠즈,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
네이버 오디오 클립에서 청취 가능합니다.
팟캐스트에선 더 많은 이야기가 있으니 구독 눌러주세요.
국방에 대해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송!
무거운 주제도 가볍게 풀어나가는 방송!
누구보다 나라를 사랑하는 방송!
나 군대에서 한 가닥 했거든?!
이런 사람도, 군대에선 도대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이런 사람도, 이곳에선 모두 덕후가 된다. 밀떡!
군사 지식, 이슈, 시사, 역사 등 밀리터리 덕후들과 함께하는 방송
악의적인 악플, 정치적, 인신공격 댓글, 비방목적 댓글 경고 없이 차단합니다.
밀리터리 덕후 밴드 가입해주세요.
문의사항 : rlaaudgns19@hanmail.net
--------------------------------------
"Scott Buckley - Legionnaire" is under an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CC BY 4.0)
Music provided by BreakingCopyright: • 💣 Copyright Free Milit...

Пікірлер: 103
@pg8010
@pg8010 10 ай бұрын
탑건에서 2인승 비행기를 선택한 이유는 진짜 파일럿이 촬영중 조종을 해줘야 해서 였음. 감독은 원래 F35 로 찍고 싶었는데 그럼 배우들 비행 장면을 CG로 해야해서 포기했음.
@KJ11-DAFS
@KJ11-DAFS 10 ай бұрын
후방석을 연료탱크로 개조한 형식의 항공기가 L-159 체코제 공격기가 있습니다. 밀덕들 사이에서 이방식으로 개조하는게 어떠냐로 떠들썩 했던적이 있습니다. 이 체코제 공격기의 경우는 후방석 연료탱크를 이륙하는데 소비하는 방식으로 해서, 이륙 후에는 연료탱크가 비어버리기 때문에 무게중심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항공기는 무슨짓을 해도 일단 이륙은 해야 하니까요. 이륙후에 연료탱크가 비어버리면 무게중심 문제는 없는거죠. 무게중심 변화 문제는 2차세계대전에서 무스탕이 조종사 뒤에 연료탱크가 있었는데, 이게 미묘한 무게중심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그러니까 조종석 뒤에 연료탱크에 연료가 차 있으면 무게중심이 엉망이 되어버려서 조정이 껄끄롭다는 문제가 있었다는 거죠. 하지만 무스탕은 장거리 전투기였고, 가장 먼저 조종석 후방연료탱크를 소모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투에 돌입할 시점이 되었을때 딱히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불편한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이륙한 후 얼마간은 뒤뚱거리는 오리인것은 맞으니까요. 다만 현대의 전투기는 이륙하면서 막대한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에 후방석 연료탱크는 이륙하면 텅 비어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제가 걱정 되는것은 후방석을 개조 했을때 탈출 시 캐노피가 날라가야 하는데, 이게 미묘한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이건 테스트를 해야 하는데... 다 돈이죠.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디자인적인 문제입니다. 보기 싫다는거죠. 전투기가 자동차도 아닌데 무슨 디자인이냐고 하실지 모르지만, 놀랍게도 세일즈에 영향이 있다고 합니다. 정말 믿거나 말거나죠. 1인승 답게 캐노피를 변경시키지 않으면 세일즈가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생기네요. 캐노피형상을 기존 형상을 유지한체 덮는다고 해도 아까 언급한데로 탈출할때를 생각해서 설계변경을 해야하는데, 정말 미묘한 문제입니다. 후방시야를 막지 않을까 하는 문제도 지적되었죠. L-159처럼 캐노피를 놔두고, 연료탱크만 탑재를 하면....확실히 아름답지는 않습니다. 결국은 제대로 할려면 돈이 듭니다. 장사를 하려면 투자를 해야죠. 세상에 공짜가 어딨습니까?
@이상호-y9t
@이상호-y9t 10 ай бұрын
KAI는 투자할 회사가 아닙니다.
@LotusFlower3388
@LotusFlower3388 10 ай бұрын
F-50 단좌형은 디자인(미적인 부분)도 신경 썼으면 좋겠네요. 뒷좌석 떼어 내고서 연료탱크 덩그러니 놔둔채로 끝내지 말고 앞뒤 좌석 사이는 막고 뒷좌석 캐노피 부분도 보이지 않게 잘 만들어서 기능도 기능인데 보기에도 멋지게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LotusFlower3388
@LotusFlower3388 10 ай бұрын
@@윤희승-u7k 좌석 관련 개량 하는 것도 있고 블럭20 사양으로 업그레드 하는 것도 있다면 기존 FA-50보다는 좀더 비싸질듯 합니다.
@이상호-y9t
@이상호-y9t 10 ай бұрын
KAI가 어떤 회사인데요? 절대로 돈안들입니다. LAH를 민수용엔진 그대로 달고 팔아먹는 회사입니다
@cSyaK69
@cSyaK69 9 ай бұрын
❤글지. 보기 좋은 떡이 맛있는거니깐.
@cSyaK69
@cSyaK69 9 ай бұрын
​@@이상호-y9t요즘은 그게 대세 아닌가? 이중용도. 군용 민수용 스위치.
@gonred1689
@gonred1689 9 ай бұрын
밀리터리 유튜브 채널 공통적으로 형상 변경은 없고 뒷좌석에 연료통으로 개조 하고 대충 막는다고 예상 하더군요 공기흡입기나 캐노피 형상 변경이 돈이 들어 가나 봅니다 카이는 대충 만들고 단좌형이다 사라 할겁니다
@ahnnak
@ahnnak Ай бұрын
붐방식의 공중 급유장치를 장착하는식이 가장 좋지 않을런지 항속거리가 짧은 단점을 커버해 줄수 있는 묘안일듯 한데 KF 21 도 조종석 뒤쪽에 급유구가 있는듯 해서
@황천의볶음밥
@황천의볶음밥 10 ай бұрын
F35에 대한 훈련기 및 모사항공기로 T50계량형도 있었으면 좋겠음. F35는 단좌전용이라 시뮬레이터 말고는 훈련방법이 없고 실비행에 나서면 유지비도 넘사벽으로 높고 거기에 가동률도 낮아서 조종사들 비행시간 채우기도 만만치 않음. 좋던 실던 F35는 전세계에 많이 팔려나갈 물건이니 이 시장도 가능성이 있을듯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그게 미국이 머리쓴게 가장적기로 대여형식으로 가능거임... 거기에서 한발짝 더 담그면 좋지만 글쎄요....내가 있고 그런데 뭐하로 남거 사겠음.... 아무리 형제 자매 남매가 싸워도 미국은 그 역사를 아니 안하는거임.... 그런다고 한국이 영원한 우방도 아니고 미국이 한국에 영원한 우방도 아니고 유럽도 저렇게 자기가 있다고 행동하는데....지금 금리라도 내리는거 보이셈....절대 아님...그냥 현실파악도 하는게 좋은 한국은요...예전 일찍 이찍 타령 하던시대가 아님....
@폴라리스-z7l
@폴라리스-z7l 9 ай бұрын
기체 외형 및 엔진추력 차이가 상당하고 비행 특성이 틀려 F-35모사는 어렵고 다만 같은 록히드마틴에서 설계한 기체여서 조종석 배열, 조종석 계기판(MFD), 사이드 스틱 조종간, 헬멧 큐잉시스템은 비슷하게 재현할 수 있을 겁니다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10 ай бұрын
F16과 DNA를 공유하면서 전투기급 성능을 끌어낸 T50의 흥행.. 어찌 보면 인간사 새옹지마 ㅋㅋㅋ
@cSyaK69
@cSyaK69 9 ай бұрын
❤찬준이형!
@moonjaelee1652
@moonjaelee1652 10 ай бұрын
단좌형 개발에 돈을 적게 쓰는 방법은 캐노피 모양을 변경하지 않고 후방좌석을 연료탱크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후방 시야가 불량하다는 의견은 최신 전투기나 전차에도 탑재되는 HMD를 이용하는 방법과 자동차 써라운드뷰처럼 후방 카메라를 활용하고 조종사 좌석 뒤에 LCD 모니터를 달아 가상의 후방시야를 만들어 주는 방법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부분도 개발 검토해 봤으면 좋겠어요.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솔직히 fa50은 뭐를 만들던 지금에 사골우러 먹어도 최소 50년이상임^^ 활용기간이요^^ 정말 신의한수처럼 우리나라에 만들어지 계기도 너무 고마운 선조들임.... 특히나 4대항전장비는 정말 기가막히게 국산으로 만들어서는....너무 고마움요^^ 아직 공대공 미슬이 없지만....
@므믐므믐므믐므믐므믐
@므믐므믐므믐므믐므믐 9 ай бұрын
한국이 맡은 영업지역에서 조립생산후 판매까지 해도 최대 20%뿐이 못먹는데 미 해군이 도입하면 얼마나 먹길래 언론에서도 잿팟거리면서 난리임? 아무리 f-35 때문에 록마가 바쁘다지만 수량이 많으면 미정부나 기업 입장에서도 미국내 생산쪽으로 방향을 잡겠지 그럼 한국은? 우린 투자 지분말고는 핵심부품 관련해서 뭐하나 내세울게 없음 대충 5%나 먹을려나 운좋으면 껍데기만 만들어 보낼수도 있으니 최대 5~10%보면 되겠네 이정도면 민간기업이 아닌 하청보다 영업이익이 적은데 이게 대단한거임?ㅋㅋ 밀리 유튜버들 보면 이런걸 제대로 말해주는 인간이 단 1명도 없음 ㅋ
@HighFive421
@HighFive421 10 ай бұрын
어짜피 t-50은 반은 로키드마틴거라 돈 많이 투자하기 그렇죠.
@sprinter5385
@sprinter5385 10 ай бұрын
하이엔드 제품이 아닌이상 너무 좋을 필요 없이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성능을 내는 기체가 롱런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요즘은 훈련용이라도 초고속비행 에이사레이더는 필수임^^ 세상이 바뀌는데 본인만 우리동네가 최고니 해봐야 지구안에서 정도는 보아야죠.....
@고대경-b6d
@고대경-b6d 10 ай бұрын
T-50A가 미해군 훈련기가 된다면 대박이죠.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어요.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그럴려면 선생님에 능력으로 미국에 정치판을 바꾸어 보세요^^ 그럼 가능함^^ 그건 외 그냥 말만 하는꼴임^^ 그보다 월등하면 미국시민에 행동 제스처를 파악해서 우리가 유리한 고지로 만들어 보셈^^ 리스펙 할정도루요^^
@orangehunter6903
@orangehunter6903 10 ай бұрын
궁금한 것이 연료를 사용하면 할 수록 무게 중심이 바뀌게 될텐데 그렇게 바뀐 무게중심에 의한 제어환경변화는 컴퓨터로 자동 계산되는건가요? 아니면 무게중심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뭔가 하는 건가요??
@ALBATROSS00
@ALBATROSS00 10 ай бұрын
진짜 단좌기가 썸내일 같이만 디자인 나와도 넥스트 F16 가능할듯
@bca-r2e
@bca-r2e 10 ай бұрын
외형은 변화가 없단다.
@이상호-y9t
@이상호-y9t 10 ай бұрын
그럴 일 없답니다.
@bca-r2e
@bca-r2e 10 ай бұрын
@@이상호-y9t 이미 카이에서 그렇게 발표를 했단다. 무식한 티 내지말고 노력 좀 하거라.
@이상호-y9t
@이상호-y9t 10 ай бұрын
@@bca-r2e 웃기는 소리 마라. 너 kai직원이지? 캐노피 형상 그대로 두고 개발한다고 발표했는데 어디서 헛소리를?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10 ай бұрын
밀떡 정명섭님 미해군 🇺🇲🇺🇸 한국 🇰🇷FA-50 단좌형 전투기 도입할까요 😂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훈련용이라 복좌형이 필요하겠죠. ㅎㅎ
@andrewkang8970
@andrewkang8970 10 ай бұрын
전술훈련기는 단좌형으로 받을겁니다 고둥훈련기랑 달라요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일본 고등훈련기 관련 가설 하나. 일본은 T-50의 개발과정만 벤치마킹하여, 록마의 도움을 받아 별도의 고등훈련기 겸 경전투기를 만들고 싶어하는것 같습니다. 특히 F414 단발로 만든 다음 일본의 경제력을 이용해 훈련기 200대를 들여 기체 단가를 낮추고, T-4를 단좌로 개조한 경험을 활용해 단좌 경전투기를 만들어 수출을 시도한다면, FA-50을 성능으로 누르는 매우 강력한 경쟁기종이 등장하게 됩니다. (F414 단발로 만들면 T-50 지재권 침해 의혹도 간단히 격파할 수 있죠.) 여기까지는 매우 우려할만한 사항입니다만… 아마 미국은 T-7 편입 내지 별도 개발을 하더라도 보잉과의 협업을 붙여주려고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록마 협업이나 하다못해 노스롭 그루먼 협업이라도 하려고 설득 중에 있겠죠. 만약 일본이 T-7 편입이나 보잉 협업으로 신규 개발을 하려고 했다면 두 국가 사이의 이견이랄게 없어야 할텐데, 관련 내용을 협의중이라는 소식이 있는걸로 봐서는 서로 다른 방안을 밀고 있는것 같습니다.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복잡하게 돌아가네요.
@김동섭-q8x
@김동섭-q8x 10 ай бұрын
사출용 좌석과 사람 무개를 합하면 최소 300kg 이 빠져나가다.... 그기에 연료와 기타 다른 장비를 넣으면 최소한의 변경으로 계발 가능할거다....T7a 2027년에 양산하면 다행일거다...그럼 배치는 최소 2029년이나 2030년 되어야 가능하고... 중간에 또 결함 나오면 정말 언제 양산할지 몰라...정말 기간이 무한대로 가는거지....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아무리 우겨봐야 미국은 존슨법 때문이라도 그런 신념이 좌우 정권이 바뀌던 안 바뀜...그나마 외산공장을 만들어서 정비라도 하는정도에 그치지만 그거라도 일본과 함께 할수 있다는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거임....우기면 뭐함 세상물정 현실파악도 해야 가능한거죠.... 판타지에서만 살거임!
@destinyconfident
@destinyconfident 10 ай бұрын
미국은 자국 방산 보호를 위해 아무리 제품성능이 뛰어나더라도 수입을 잘 안합니다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T50은 록마 제품으로 들어가겠죠.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정명섭-j3n 그렇게 안하고 여기주고 다음은 저기주고라^^;; 세상물정을 그래서 알아야 하는거죠^^ 어느시기에 넣으면 가능한지는요^^ 주야장천 말만 해봐야 현실파악 안 돼면.... 세상은 도덕으로 흘러가지 않아요 오직 힘이지...힘이 있어야 내 말도 들어주는거라..... 그래서 한국은 무조건 국토수복은 해야 선진국 위치에 올라가구요....아니면 맨날 출산율 어쩌고 내수시장 어쩌고애서 끝남..... 부동산으로 땅따먹기나 하고 있고 대기업만 키워주고 이런식이라.... 재벌 자식도 2,3세대 거치면 멍청한 인간 나오기 일수죠 왜냐 왕정도 몇천년 가는 왕권 보았음 그 삼국지 내륙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겨우 수십년 동이족인 진시황도 수십년이 끝임 그 몽골제국은요 자식들 주고나니 그다음 나라가 갈라지지 않음요.... 세상이치가 이런거임....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지구역사아이스하키자 10 ай бұрын
그래도 일본도 f2급 동체기술 빼먹어서 f22에 적용했잖아요^^ 수입은 아니고 일본 협박이지만요^^
@드조파인-m1l
@드조파인-m1l 10 ай бұрын
하이급 전투기는 앞으로 속도는 더 올라갈 것이다 그럼 고등훈련기도 마하는 되어야 전환시 대처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로우급은 최소 마하는 넘어야 하기에 FA-50같은 기종이 유지비가 적게 들며 영공방위에 최적화가 되어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단좌기로 변형되려면 마하여서 변화에 따른 풍동실험이 필요 그래서 KF-21 개발시 단좌 복좌를 동시에 개발한것으로 보입니다 FA-50은 배우는 입장에서 개발된 것이고 자금때문에 동시개발한 것은 아닌것 같네요
@한우리-g6d
@한우리-g6d 10 ай бұрын
미해군은 언제 결정되나요? 참..올해... 소리나오는데...
@김정식-k2w
@김정식-k2w 10 ай бұрын
단좌형의 완전 개발이 아닌 일부변경이다. 그러므로 절름발이 개발이다 완벽한 단좌의 경우 동체중심의 체계가 이동하므로 대대적인 설계변경부터 시험비행의 테스트가 필요하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팩트불패
@팩트불패 10 ай бұрын
FA50. 을 경공격기라 하는건 무장상태가 경 즉 가벼운 무장 임을 말하는거죠 1인승이 필요한 이유는 무장상태 를 중 즉 무거운상태 가벼운 무장를 많이 달거나 무거운 무장을 하기 위해서 필요 한거죠
@팩트불패
@팩트불패 10 ай бұрын
전투기나 공격&무장 헬기는 무장상태에 따라 구분하지 크기에 따라 구분 하는게 아니겠지요 하이 = 중 무거운 다양한 ..로우 = 경 가벼운 제한적 이라 해야한다능
@팩트불패
@팩트불패 10 ай бұрын
소중대로 나누면 치누크에 K6달면 대형무장 헬기도 대는거라능. 미디엄도 없는 단어 하이 마이너스. 혹은 로우 플러스가 맏는 표현이죠. 무장상태에 따라
@nts6759
@nts6759 10 ай бұрын
계속 떠 있는 1인승 fa-50 의 cg는 아직 희망 사항 이지요. 형상 변화 없이 개조한 단좌형은 좀 멋 없습니다. 정말 f-5처럼 경전투기 베스트 셀러가 되려면 cg같이 본격적인 단좌형 개발이 필요할것 같은데....
@김건수-m7j
@김건수-m7j 10 ай бұрын
완벽한 F-50 개빌을 위한 예산좀.. 완벽한 단좌형 개발에 대략 2조원이면 멋지고 F-16 90%이상의 성능을 갖는 전투기 만듭니다..형상은 그대로 두고 후방석에 연료탱크를 채운다는 안은 정말 너무 별로입니다. 단좌형 개발하려면 형상설계부터 다시 하고 풍동시험을 거쳐야 해서 2조원정도는 필요합니다. 제발 예산지원 좀 어떻게 안될까요?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정부의 급작스런 감세 정책으로 인해 KF-21 보라매 양산 예산조차 지키지 못해서 20+20같은 방안으로 어떻게든 당장 올해 들어가는 금액을 줄이려고 난리치는 중인데 우리나라 전력으로 도입할 일 없는 F-50에 들일 돈이 있을까요?
@팩트불패
@팩트불패 10 ай бұрын
@@alsid_ 죄송해요 해석 오류 였어요
@javaxerjack
@javaxerjack 10 ай бұрын
처음 개발할 때는 아무도 원치 않았고, 누구도 성공할 거라 생각 못한 훈련기가 이렇게까지 성장할걸 누가 생각했을까?
@정민제-r8y
@정민제-r8y 10 ай бұрын
처음설계할때 단좌형은 생각도안했었나?
@김정완-k5x
@김정완-k5x 9 ай бұрын
단좌형도 단좌형이지만 항공모함을 쓸 네이비가 더 시급하지 않나??? 항공모함용 훈련기..네이비는 KF-21 이구나...
@mavino100
@mavino100 9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훈련기를 개발한다고... 걱정이 되지 않는다. 새로운 플레이어가 생기는것도 시장의 잠재력을 입증하는것이니 나쁘지 않다. 거대 사업을 앞두고 두 거대집단이 컨소시엄을 이뤄 이미 시장에 진출해 있다. 잘 알려진대로 보잉과 사브의 합작으로 T7A가 미공군의 훈련기 사업을 따냈다. 이에 대응한 록히드마틴과 KAI의 합작으로 T50이 개발 되었는데 이는 한국의 훈련기로 성공적으로 대뷔하였고 수출도 순항중이다. 이미 훌륭한 두 종류의 동급 기체가 거의 동시에 개발이 된 것이다. 두 기체는 서로 비교해볼 가치가 있다. T7A의 가격은 T50에 비해 2/3밖에 되지 않는다. 오히려 프로그램 코스트를 비교해보면 절반 수준에 접근한다. 그밖에도 더 놀라운 것이 있는데 두 기종이 제너럴일렉트렉의 GE404 엔진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성능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T50은 마하 1.5의 초음속 기동이 가능한 훈련기인데 비해 T7A는 아음속 훈련기다. 이러한 차이는 무엇 때문일까? 항공기가 공기의 저항을 헤집고 날아가기 위해서는 항공기를 사방에서 잡아당기는 항력을 이겨내야 한다. 강한 추력이 필요한데, 엔진을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의 능력보다 얼마나 저항을 적게 만들었는지가 중요한 비교 포인트가 될 것이다.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속도가 높아지면 저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운동량의 증가분을 충분히 벼텨 줄 강력한 기골이 필요하다. T7A의 성능이 제한되는 이유는 기골이 튼튼하지 못해서라고 유추할 수 있다. 엔진의 출력이 남더라도 항공기가 벼텨주지 못하는 상황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항공기의 저렴한 가격이 이를 설명해준다. 그리고 치명적으로 T7A에서 윙락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는 디자인적인 측면이 부실하다고 보여지는 대목이다. T50의 운영 유지비용이 시간당 400만원에 지나지 않는 것을 보면 튼튼한 기골에 비해 중량조절에도 큰 성취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한국공군의 운영유지율을 보면 독보적으로 출중한 89%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부품 수급 및 정비성도 좋아 보인다. 일본이 경쟁자로 나선다하더라도 별로 걱정이 되지 않는 이유다.
@mavino100
@mavino100 9 ай бұрын
일단 잘 빠졌어.. 잘 될 수 밖 에 없어..
@joda1223
@joda1223 10 ай бұрын
미 해군 훈련기 선정되면 항모 이착함형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CATOBAR 4만톤 항모(E2 탑재가능) 개발해야함 물라매는 개발에 돈 너무많이 들어감
@김김-o6x
@김김-o6x 10 ай бұрын
항모 ㅋ 에휴
@joda1223
@joda1223 10 ай бұрын
@user-dq8jt7qh1k 함모란 지상밯진 항공기 항속거리 밖에서 제해권을 확보하는 무기입니다 E-2만 탑재하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으아우아오아
@으아우아오아 10 ай бұрын
돈없어서 카이 독자적으로 저거 돈이 없어 힘들꺼라더만 많이 파니깐 카이 혼자서도 가능하구나 ㅋㅋ. 근데 돈 남아도는 미국 빼고 1인승을 다른 국가들이 원할까?
@hitgirl6201
@hitgirl6201 10 ай бұрын
일본전문유툽보면 lgtv는 인정받고 잇다고하더라구요
@user-eu2ydidibe38w9dkdnwoaps
@user-eu2ydidibe38w9dkdnwoaps 10 ай бұрын
미해군은 FA-XX 준비하는 걸로 알아요
@경사-f2d
@경사-f2d 10 ай бұрын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겁나 ♥️ 왕좋와요
@정명섭-j3n
@정명섭-j3n 10 ай бұрын
왕 고맙습니다.
@prollejazz
@prollejazz 10 ай бұрын
kth 기자 팰널 원추 합니다!
@jklee580
@jklee580 10 ай бұрын
미국 일본이 협럭해서 만든데요! 일본은 또, 미국의 호구, 보잉의 호구가 될 것이고...양산 단가가 무지 비쌀것이라 예상함!
@zeota-bh1hs
@zeota-bh1hs 10 ай бұрын
음.... 작년에도 개발 착수 한다고 했는데 ~~~~ 진짜인건가??!! 이런제목이 한두번이였어야지~~~~ 믿을수 없네??!! 그건 그렇고 미일정상회담후 미일 훈련기 공동개발한다는건 보도 안하나요??!! 그게 제일 중요한 문제 아닌가??!!
@윤그림-c5x
@윤그림-c5x 10 ай бұрын
이게 어렵나 kF21은 만들면서 KF50은 어렵나요
@성민기억법영어회화
@성민기억법영어회화 10 ай бұрын
록마를 앞세워입찰하라
@MK-gy8mq
@MK-gy8mq 9 ай бұрын
뭐 일본이 우리나라 FA-50을 살 리가 있나....결국 돈 처발라서 보잉이 개발중인 하자투성이 훈련기에 합류하겠지.....
@signsys
@signsys 10 ай бұрын
FA-50의 베이스 기체인 T-50은 1997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기체로, 한국 공군은 T-50과 FA-50의 성능개량 개발에 착수해야 합니다. KF-21 개발에서 확보한 국산 항전장비를 대거 채택하고, 특히 부족한 전력생산량을 충분히 확보해서 AESA 레이다 성능을 정상화해야 합니다. 성능개량 개발과정에서, KAI는 공군과 협조하여 복좌기를 단좌기로 개량하는 방안과 고유 단좌기 모델을 동시에 개발해야 합니다. 정부도 전향적으로 성능개량에 투자하여, 어렵게 잡은 FA-50의 수출 경쟁력을 2030년대에도 확보해야 합니다.
@andrewkang8970
@andrewkang8970 10 ай бұрын
트럼프최측근은 그냥 T7 사라고 대놓고 얘기하던데
@천마신공-j7i
@천마신공-j7i 10 ай бұрын
FA50 그레펜 꼬라지 안 나게 적당한 가격으로 너무 좋게는 안되ㅠㅠ
@정음-p1i
@정음-p1i 10 ай бұрын
미국 언급하지 마세요. 미국이 필요하면 사겠지요. 이제는 국가자존심을 좀 생각했으면 합니다.
@팩트불패
@팩트불패 10 ай бұрын
국가 자존감은 어쩌구요 외국투자 없으면 도로 60년대인 우리가 안정적 투자 보장도 없이 자존심 세운다고 누가 믿고 투자 합니까 자존심은 양아치들이 가오 세울때 필요 한거구요. 자존감을 세우셔야죠
@운암1
@운암1 10 ай бұрын
단좌형 개발은 수출다변화를 위한 것이고 복좌형에서 둘이 나누어 했던 것을 최첨단으로 바꿔 한사람이 가능토록 만든것이죠. 근데 예전에 단좌형이 불가능했던게 기술력이 없어 복좌형이 어쩔수 없었던건데, 이제는 보러매를 통해서 첨단장치가 개발되어 단좌형이 가능한 겁니다
@raspi-v2e
@raspi-v2e 10 ай бұрын
FA-50을 한국공군에서는 보통 혼자 탑습합니다. 개발비 줄일려고 그냥 복좌형으로 한거죠.
@갈천-c4v
@갈천-c4v 10 ай бұрын
복좌형을 단좌형으로 개조한다고 효과가 있을까? 그냥 제로상태에서 저렴한 단좌형 전투기를 개발하는것이 훨씬 좋다는 의견이 있던데, 단좌개조는 삽질하는거 아녀?
@지일정-o2i
@지일정-o2i 10 ай бұрын
FA-50 단좌형을 개발하려면 진작에 했어야지 20년동안 이핑계 저핑계를 대고 시간을 질질 끌다가 뒤늦게 이제서야 단좌기를 개발하는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
@김김-o6x
@김김-o6x 10 ай бұрын
알아보면됨. 단좌개발했으면 그핑계로 KF21 개발 못했을수도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안해왔던 이유: 단좌 F-50으로 KF-X를 퉁칠까봐. 이제와서 KAI가 자기돈 들여서 싸게라도 단좌형 만들려는 이유: 일본이 록마와 협업하여 F404/F414 단발로 훈련기 겸 경전투기를 개발하고 싶어하는것 같은데, 일본 훈련기 200대로 기체 단가를 낮추고 단좌 경전투기를 수출하면 상당히 강력한 경쟁자가 됩니다. 특히 F414로 만들면 FA-50이 일본 경전투기와 T-7계열 경공격기 사이에 끼이기 때문에 시장에서 불리해집니다. 이걸 돌파하려면 빠르게 경전투기 수요를 다 채워버리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죠.
@raspi-v2e
@raspi-v2e 10 ай бұрын
돈 문제죠. 한국 공군은 더 이상 도입을 안하니까. 한국 공군 예산으로는 못하는거죠. KAI는 우리돈으로 개발하긴 좀... 이렇게 된거죠.
@지일정-o2i
@지일정-o2i 10 ай бұрын
카이는 FA-50 복좌를 단좌로 개조하는것은 돈이많이 수조원 들어가고 록마의 허가없이는 못하고 무게중심이 어떻고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못한다고 하지않았는가? 이제와서 뒤늦게 입장을 바꾼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
@Dpsenzk33
@Dpsenzk33 10 ай бұрын
FA-50 단좌형 만든다는 거 비행기 형상 설계 변경없이 후방좌석에 연료통을 설치해서 단좌형으로 만든다는 겁니다. 이 채널에서 설명을 제대로 못해서 그런겁니다.
@Dpsenzk33
@Dpsenzk33 10 ай бұрын
후방석이 연료통으로 교체되면 기존 항속거리 1852km에서 2500km정도로 항속거리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단좌 개조안 1. 후방좌석 제거하고 연료통 조금 추가: 300억 가량 필요 2. 후방좌석 제거하고 후방동체 내에도 연료탱크를 추가하여 "무게중심"을 맞춰 후방좌석에 대용량 연료탱크를 추가: 3000억 가량 필요 3. 캐노피 형상 등 공기역학적 외형이 변경: 3조 가량 필요. 이렇게 되는 겁니다. 모르는 사람들은 3번을 1번 가격으로 할 수 있는줄 알고, 어느정도 아는 사람들도 2번을 후방동체 연료탱크 없이 할 수 있는 줄 알고 있죠.
@andrewkang8970
@andrewkang8970 10 ай бұрын
​@alsid_ 맞습니다 FA-50,의 최대장점이 가성비인데 3번을 적용하는경우 라팔보다 비쌀수도 있죠
@speedway12345
@speedway12345 10 ай бұрын
일본에서는 록마하고 계약하고 TA50에 F414엔진 적용 할 가능성은 없는지?
@헨섬보이-k7w
@헨섬보이-k7w 10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안할것같에요 할것같으면 이미 했지요 미국 보잉사를 밀어주지 않죠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F404에 최적화된 T-50 계열기에 F414 엔진을 달고 제 성능을 발휘하게끔 고치려고 한다면, 기체 전체를 빈 설계도에서부터 새로 설계하는 방법과 시간이나 비용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T-50 사업을 할 때 록마가 그 사업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자료들과 소프트웨어를 받아다 썼었는데, 이를 백그라운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있으며 당연히 록마 소유입니다. 일본이 노리는 것은 그 백그라운드 데이터로, 한국이 그걸 참고해 빨리 개발했으니 자기들은 더 빨리 개발할 수 있을거라는 계산을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록마와 협업하기 때문에 나올 수 있는, T-50 관련 대한민국의 지재권을 침해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F414 단발기로 개발하는 것이죠.
@speedway12345
@speedway12345 10 ай бұрын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T-7을 선택하면 기존 기체를 버리고 모양이 거의 흡사한 새로운 기체를 개발 해야 됩니다. 록마 와 하면 좀 더 쉽게 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karlmarx3211
@karlmarx3211 10 ай бұрын
그런 우려는 없습니다. T-7투자에 일본이 함께하기로 결정난 걸로 보입니다.
@raspi-v2e
@raspi-v2e 10 ай бұрын
미 공군 훈련기 사업할때, 록마가 T-50A에 미공군이 원하면 F414엔진도 달아줄수 있다고 했으니, 기술적으로는 어렵지 않겠죠. 그런데, 이게 계약상 가능할지 모르게네요. 아시아 지역은 KAI가 영업권이 있는데, 이걸 무시하고 록마가 계약할 수 있나?
@sfk1031
@sfk1031 10 ай бұрын
200억 달라고 하니 무조건 안된다고 예산 안줬지. 그러면서 수리온은 1조원 예산 쓰고 아직도 태국에서 전투기 도입하겠다는거 오히려 방사청에서 막았다면서
@강한자-j1o
@강한자-j1o 10 ай бұрын
T-50 : 훈련기 TA-50 : 전술입문기 FA-50 : 경량전투기 TF-50 : 미국 훈련기
@raspi-v2e
@raspi-v2e 10 ай бұрын
TF-50은 훈련기라고 하기 보다는 미군용 TA-50이죠. MLU하면 TA-50과 FA-50이 거의 같아지는데, 그냥 미군용 FA-50 블록20 이라고 해도 큰 문제는 없을것 같기도 하고요.
@운무-y5o
@운무-y5o 10 ай бұрын
카이 주가는 바닥에서 빌빌빌 기고 있네
@오늘비왕
@오늘비왕 10 ай бұрын
이런 댓글 달지 마쇼. 카이에 물린 호구들이 이런 영상이라도 보면서 정신 승리 해야 합니다..ㅜㅜ
@요정맥주
@요정맥주 10 ай бұрын
1등 출석😊
@리을-d8b
@리을-d8b 10 ай бұрын
록마꺼를 뭔 개조를 하냐..우리것이 아녀 저건.... 대충 만들어서 내놔라...사갈 놈은 다 사간다. 보잉이 경전투기를 만들면 록마는 가만히 있것어? 눈치봐서 신형 경전투기를 떡 허니 내놓지 싶은데?
УНО Реверс в Амонг Ас : игра на выбывание
0:19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ак Ходили родители в ШКОЛУ!
0:49
Family Box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Жат бауыр» телехикаясы І 26-бөлім
52:18
Qazaqstan TV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Арнасы
Рет қаралды 434 М.
I Sent a Subscriber to Disneyland
0:27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04 МЛН
Korea’s Beloved Fighter Jet: The KAI T-50 Golden Eagle
20:54
Megaprojects
Рет қаралды 129 М.
The Life of Wernher von Braun (Bob Ward)
52:03
NASA APPEL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필리핀, FA-50 12대 추가 도입하려는 이유
16:33
밀리터리 덕후 밀떡
Рет қаралды 9 М.
R&D Deep Dive: The Next-Gen Fighter Planes You’ve Never Heard Of
17:55
소형모듈원자로 SMR 개발 눈앞, 군용무기 혁신 기대
20:45
밀리터리 덕후 밀떡
Рет қаралды 86 М.
УНО Реверс в Амонг Ас : игра на выбывание
0:19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