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FPS의 고증은 '일부러' 틀리는 것이다

  Рет қаралды 316,805

이준호의 루돌로지

이준호의 루돌로지

Күн бұрын

현실적인 전술 묘사로 칭찬 받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는 이해할 수 없는 고증 오류가 있습니다. 그 뒤에는 윤리적인 문제, 그리고 현실 전쟁의 주체들과 게임사 사이의 불편한 동반자 관계가 있었습니다.
오늘 영상에서는 밀리터리 FPS와 재현의 윤리, 전쟁 영화, 그리고 택티컬 슈터 레디 오어 낫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0:00 고증 오류, 잘못된 총기 재현
2:00 총기 재현의 윤리
4:44 게임은 전쟁을 미화하는 프로파간다일까?
6:54 전쟁을 다룬 영화들, "반전 영화는 없다" VS "모든 전쟁 영화는 반전 영화다"
8:56 '반전'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넘어: 허트 로커, "전쟁은 마약이다"
10:14 대안: '조금 더' 리얼하게, 레디 오어 낫
13:11 영화의 마지막 창작자는 관객이며
*본 영상은 공정 이용의 범주 내에서 각 저작물을 인용하고 소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누락된 출처, 저작권 주장은 연락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준호의루돌로지 #게임분석 #콜오브듀티 #비디오에세이

Пікірлер: 585
@ludology_ljh
@ludology_ljh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나머지 이유 절반은 어디있어요?"라는 댓글이 꽤 달리는 것 같아 보충 설명 드립니다. 1. '절반의 해명에 불과하다'라는 건 하나의 '표현'입니다. 온전히 해명이 되지 않았다는 것이지, 절반 딱 잘라서 이 이유가 절반, 이 이유가 나머지 절반, 이런 뜻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절반의 이유'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치 말하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셨다면, 온전히 저의 불찰입니다. 사과드립니다. 2. "라이센스를 못땄다"가 절반의 해명인 이유는, 모던 워페어가 보여주는 수준으로, 딱 보면 무슨 총인지 다 아는데 밀덕 아니면 모를 미묘한 '오류'가 있는 수준으로는, 총기 회사들이 '상표권 위반'으로 고소 했을 때 딱히 변명거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영상에 제시한 것처럼 NICE나 Adidos가 다 상표권 위반인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따라서 그 뒤에 일종의 암묵적 (혹은 명시적이지만 비공개인) '합의'가 있을 가능성도 있고, 아무튼 그저 서로 모른척 '뭉개는게' 이득인 상황일 가능성도 높습니다. 아마 법정 공방이 벌어지지 않는 이상 그 구체적인 내막을 알아내긴 어렵겠죠. 따라서 이렇게된 이유를 짐작해보면, 게임사가 총기 회사와 공개적으로 어떤 사업 관계에 있다고 밝히는 것이 '리스크'가 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게임사-총기회사의 거래관계는 역사가 오래됐고, 장기간 그 누구도 신경쓰지 않는 주제였지만, FPS가 (특히 미국에서) 10대를 포함한 젊은 층이 즐기는 오락거리로 자리 잡고, 그 가시성이 높아지면서 문제 소지가 생겼습니다. '애들 오락거리'가 현실 '군수업체의 자금줄'이 되길 바라는 학부모는 흔치 않을 것이고, 영상에도 썼듯이 무근거한 이야기이긴 하나, 게임과 현실 폭력 범죄를 엮기 좋아하는 특정 언론이나 단체의 표적이 되기 딱 좋은 소재가 되겠죠. 아무튼 요약하면, 이처럼 윤리적인 이유로 인해, 게임사는 총기회사들과의 관계를 부정하거나 최소한 '모호하게' 가져갈 필요가 생겼고, 그것이 콜 오브 듀티가 미묘한 재현 오류(사실 '고증'은 옳은 표현이 아닙니다)들을 양산해낸 이유일 것입니다. 게임과는 별로 상관없이, 위원 택티컬의 JR-15 마케팅과 관련해 만들어진 캘리포니아 의회법안 2571, 미성년자에게 총기 홍보 및 광고를 금지하는 법안 역시, 이처럼 미성년자와 총기, 총기회사 사이의 연결고리를 어떻게든 끊어보려는 '추세'를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만약 액티비전/IW가 총기 회사들과 공식적이고 공개적인 거래 관계에 놓여있는 상황(과거 바렛의 요구처럼 어떤 '홍보'나 '마케팅'적 요구를 들어준 상황)이라면 AB 2571을 위반한 것이 되겠죠. (ESRB M은 '미성년자 판매 금지' 등급이 아닙니다.) 3. 이 비디오 에세이는 작은 소재에서 시작해 점점 더 큰 주제로 나아가는 형식으로 쓰였습니다. 그 편이 초장부터 '전쟁 게임의 재현의 윤리'를 다루는 것보다 더 많은 분들께 와닿는 이야기가 되리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흥미가 돋지 않으셨다면 뒷내용은 안보셔도 별로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게임의 폭력성과 유해성' 따위를 주장하는 영상은, 다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결코 아니며, '없는 내용'을 제목에 써서 '낚시'를 의도한 것은 결코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영상 시청해주시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초라 모임도 많고 개인적인 일정이 겹쳐 다음 영상이 조금 늦어지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께서는, 구독, 알림설정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fw6ri8wc8n
@user-fw6ri8wc8n Жыл бұрын
절반의 해명이라는 표현을 해명해야하는 시대
@NeuroSciHan
@NeuroSciHan Жыл бұрын
나머지 절반 ㅋㅋㅋㅋㅋㅋ 미치겠다
@person___7
@person___7 Жыл бұрын
반쪽짜리 해명은 알아 들으려냐 ㅋㅋ
@user-hx7fq3dp9n
@user-hx7fq3dp9n Жыл бұрын
네티즌 문해력 수준의 현주소
@user-se5sm1qf5e
@user-se5sm1qf5e Жыл бұрын
청불 게임인데 초유딩같은 댓글이 달리다니..;;
@ludology_ljh
@ludology_ljh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말은 어떻게 해도 부족한 것 같아요. 그래서 한 번 더 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인 가내수공업의 특성상 영상 퀄리티는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작업이 좀 느린 편입니다. 그때쯤 (한번 와주신 것만으로도 감사하지만) 알고리즘의 가호가 이 채널을 떠날지도 모르겠어요. 다들 또 만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구독과 알림설정을 부탁드립니다. 부디,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평안한 밤 되시길 바라요.
@user-ch4hb8bz9r
@user-ch4hb8bz9r Жыл бұрын
오... 퀄리티가 떨어진다고 하시기엔 너무 좋은데요..? 스크롤 내리기 전까지는 구독자가 1천명인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구독하고 내일 일어나서 영상 좀 정주행하겠습니다..^^
@dubidubab3593
@dubidubab3593 Жыл бұрын
음 에세이가 잘 작성된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다소 아쉽다고 느낀 것은 의식의 흐름으로 전개된다는 것입니다. 분명히 총기 구현의 아쉬움에 대해 날선 비판을 기대하고 보았지만, 이 영상은 어느새 다른 주제인 게임과 전쟁이라는 더욱 큰 내용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차라리 제목을 수정하거나 영상의 내용이 확실히 구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영상의 내용들은 모두 버리기엔 내용이 잘 정리하고 비평했다고 느꼈습니다. 영상에서 노고가 굉장히 많이 느껴졌고, 수준 높은 이 영상이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퍼졌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songchanghoho
@songchanghoho Жыл бұрын
이런 댓글은 '고정' 해놓아야 가장 위로 올라와서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데, 깜빡하셨나보네요.
@lee-td7dm
@lee-td7dm 11 ай бұрын
혹시 영상에 사용된 음악들의 이름들을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wouldyoukim8345
@wouldyoukim8345 Жыл бұрын
단순히 해결하지 못할 질문을 대충 던지지 않고, 왜 함께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인지를 설득하는 힘이 정말 대단한 영상이었습니다
@totoking645
@totoking645 11 ай бұрын
문재인이요?
@woonglee9940
@woonglee9940 Жыл бұрын
편안한 브금과 목소리, 짜임새 있고 순서대로 흘러가는 구성, 덤덤하면서도 많은 내용과 다양한 시선을 차분하게 설명해주시고 마지막으로는 결국 이 유튜브를 보는 사람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한 번 느껴보세요' 식으로 무언가 묵직하게 마무리 짓는 영상. 진짜 14분이 1분처럼 영상에 푹 빠졌습니다. 왠만해선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댓글도 잘 안 다는데, 진짜 감동받을 정도 였습니다. 떡상하십쇼~!!!
@ChrisLee-th1dg
@ChrisLee-th1dg Жыл бұрын
폭력은 사람에서 나오지 무기,오락거리에서 나오지않습니다. 칼 쥐었다고 살인자면 모든 주부들은 살인자일까요?전쟁소설을 쓴 작가는 테러단체의 홍보부가 아니듯이 폭력적인행동은 개개인의 윤리라는 능럭에서 나오는것입니다. 올 2023년동안 본 영상중 가장 인상깊네요.
@parkaustin5660
@parkaustin5660 Жыл бұрын
근데 2023년된지 얼마 안됐는데 가장 인상깊었다는건 너무 과대평가 된가 아닌가요 ㅋㅋ
@user-iv8hn4ty7b
@user-iv8hn4ty7b Жыл бұрын
2023 이제 둘째날이다 ㅋㅋㅋㅋ
@snow_bear_
@snow_bear_ Жыл бұрын
아직 2023년이 된 지 얼마 안됐는데요?
@seokeyz
@seokeyz Жыл бұрын
ㅋㅋㅋ어쨋든 23년 이틀동안본 가장 인상깊을수도있지 ㅠ
@user-yh2yz1ss1q
@user-yh2yz1ss1q Жыл бұрын
저는 서든 10년 경력을 인정받아 모 부대 저격수 특채로 들어갔네요 ㅎㅎ
@caligo.2264
@caligo.2264 Жыл бұрын
내가 너무 좋아하는 밀리터리 프로파간다를 담은 내용이네요... 한국에는 이런 채널이 몇 없는데 영상 짜임새도 엄청 좋고 생각을 엄청 많이 해보신게 티가 나네요 앞으로도 계속 열심히 활동해주세요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wildnick2945
@wildnick2945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그냥 콜옵에 문제점만 지적하는 영상인줄알고 재미로 보려 들어왔는데 심오한 주제로 이렇게까지 잘 풀어내는걸 보고 좋아요랑 구독박고 갑니다
@coolingfan
@coolingfan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어렵지 않게 설명해주셔서 집중이 잘 되네요
@garysanderson9494
@garysanderson9494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앞으로의 영상도 아주 기대되네요
@KS-2081
@KS-2081 Жыл бұрын
대본도 잘 쓰시고 설득력 있는 목소리도 좋습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nixsound
@nixsound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레디 오어 낫 관련 장면이랑 총기 설명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였네요 덕분에 좀 더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etnamirr
@etnamirr Жыл бұрын
최근 본 영상 중 가장 멋진 고찰의 에세이였습니다. 좋은 영상 정말 감사드려요
@Markgraf_ON
@Markgraf_O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라면 "이렇게 까지할 필요 있나?"라는 반응이겠지만, 그 상대가 "학교 총기난사를 막기위해 아이들에게 방탄복과 총기휴대를 허가하자"라는 미친소리를 지껄이는 미국이라면 총기노출을 최대한 줄이는게 맞겠죠.
@user-zc7ug1xf3p
@user-zc7ug1xf3p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볼수 있는 영상을 올려주셔서 너무 좋네요
@user-su9id1wr3x
@user-su9id1wr3x 11 ай бұрын
큰 정성과 깊은 생각이 담긴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Zedaxs
@Zedaxs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한 번 고찰 해봐야 할 문제네요. 오랜만에 좋은 영상 본 것 같아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drawboxing
@drawboxing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잘 봤어요
@user-uh5zw8gf5b
@user-uh5zw8gf5b Жыл бұрын
수준 높은 성찰에 감탄하고 갑니다. 앞으로 가 기대 되네요
@blake_ahn
@blake_ahn Жыл бұрын
의미있고 소중한 비평이네요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l6k007
@l6k007 11 ай бұрын
인상깊은 영상이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riotfunk8790
@riotfunk8790 11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너무나 평소 동감하던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r7ch5vp1c
@user-ir7ch5vp1c Жыл бұрын
심도깊은 내용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구독합니다!!
@taptox
@taptox Жыл бұрын
단순히 기업과 기업간의 상업적인 측면에서 제시한 영상일 줄 알고 들어왔지만, 그 속에 담겨있는 수많은 의미와 철학적 메세지, 그리고 자연스레 몰두하며 시청하게 되는 영상미까지... 정말 재미있게 감상했습니다.
@user-bq3qi8lj2l
@user-bq3qi8lj2l 11 ай бұрын
영상의 퀄리티가 보면 볼수록 대단합니다 이번에도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user-vk8bn2di3f
@user-vk8bn2di3f Жыл бұрын
와우...최근 본 영상들 중에 가장 괜찮네요. 깊은 사유가 느껴집니다. 좋댓구 박고 갑니다.
@user-on7ud5wc2y
@user-on7ud5wc2y Жыл бұрын
앞으로가 기대되는 채널이네요. 그 깊은 고찰을 멈추지 말아주세요!
@user-lIIIlIIIIllllIIIIIll
@user-lIIIlIIIIllllIIIIIll 9 ай бұрын
영상완성도가 높네요. 단순히 시간을 보내기 위한 가벼운 영상도 좋지만 이렇게 생각할 주제를 던져주는 영상도 좋네요. 영상을 만드는데 생각을 많이 했거나 평소의 생각을 영상에 담아냈을거같아요
@Assemi96
@Assemi96 Жыл бұрын
스펙옵스 더 라인이나 블랙옵스1 되게 재미있게 했었는데... 아주 가끔이라도 좋으니 레오낫 같이 검은 색으로 가득한 게임들도 많이 나와줬으면
@user_name_future
@user_name_future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영상 참 좋습니다.
@user-lm2tt3kw2k
@user-lm2tt3kw2k 11 ай бұрын
굉장히 인상깊게 시청하고 갑니다.
@aidenkim4399
@aidenkim4399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문구가 너무 맘에 와닿네요.💯
@user-fx2kj6sx1p
@user-fx2kj6sx1p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좋고 주제도 좋네요. 잘보고 갑니다
@hankevin2315
@hankevin2315 11 ай бұрын
유익한 컨텐츠 감사합니다. 재밌게 봤습니다!
@user-bx1vv6bz4k
@user-bx1vv6bz4k Жыл бұрын
14분이라는 시간이 전혀 길게 느껴지지 않는 영상이였습니다. 항상 생각해왔던 주제인데 잘 풀어주셔서 더욱 감명 깊게 본 거 같네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user-dn7yh7gt3p
@user-dn7yh7gt3p 11 ай бұрын
This level of research and dedication is jawdropping for a small channel, I hope to see more of your videos with much more views.
@user-oc3ck4ou5c
@user-oc3ck4ou5c Жыл бұрын
진짜 흡입력 좋은 내용, 말투, 브금 최고다 바로 구독 박았습니다
@soonpoon4621
@soonpoon4621 Жыл бұрын
FPS 게임을 좋아하는지라 많은 생각이 드는 주제네요. 어릴 적에 괜히 부모님 앞에서 슈터 장르의 게임은 선뜻 하기가 어려웠는데 이게 그 이유 중 하나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r6rg8ok2m
@user-mr6rg8ok2m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2023년 하시는 모든 일들이 잘 되기를 바라며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user-nu7bo7no1s
@user-nu7bo7no1s 9 ай бұрын
대사 하나하나가 정말 인상 싶었고, 많을 것을 느끼게 해주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user-tg4yz2yv3p
@user-tg4yz2yv3p Жыл бұрын
오랬만에 보는 좋은 영상이네요 ㅎ 번창하시길
@fkflddjs
@fkflddjs 11 ай бұрын
게임과 영화 모두 아우르면서 설명해주니 좋네요~
@sunhong2
@sunhong2 Жыл бұрын
에세이 잘 봤습니다. 높은 퀄리티의 영상을 혼자 만드신다는 것이 놀랍네요. 천천히 만드셔도 좋으니 부담갖지말고 좋은영상만들어주세요. 기다리겠습니다.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봐..... 진짜 이런 채널을 기다려왔습니다 ㅎㅎㅎㅎ 진짜 사랑합니다. 영상 자주 내주세요 ㅎㅎ 안 내고 잠적하거나 도망가면 찾아서 방에 가두고 영상 만들게 할거에여 ㅎㅎ 영상 너무 재밌기 잘 봤습니다 파이팅!
@jellyroll_
@jellyroll_ Жыл бұрын
구독하고 갑니다. 좋은 컨텐츠 계속 만들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neosilly1
@neosilly1 4 ай бұрын
정말 깊은 내용의 영상을 만났네요.
@woojinyang6983
@woojinyang6983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훌륭하네요 재미있는 에세이필름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MELDIJAY
@MELDIJAY Жыл бұрын
보고 느끼는 바가 많습니다. 잘보고갑니다.
@Dog-xt3og
@Dog-xt3og Жыл бұрын
역시나 영상 퀄리티가 좋네요. 사실 이 주제는 한참 전부터 두루뭉실하게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까 가지런하게 정리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한 번 더 누르고 갑니더
@HS_COMET
@HS_COMET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슈팅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로서 평소에는 의식 못 했던 부분을 짚어주셔서 생각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영상이었습니다. 내용이 매우 좋고 영상도 깔끔하며 더빙은 듣기 편합니다. 구독 좋아요 하고 기다릴 테니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유튜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YUSYAKU
@SYUSYAKU Жыл бұрын
내용너무좋네요 잘봤습니다
@hyponex2025
@hyponex2025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알고리즘 덕분에 아주 멋진 영상을 만났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하고갑니다.
@user-mw1ss9bf5e
@user-mw1ss9bf5e Жыл бұрын
아니 에세이 내용 전개가.... 수준급인데요? 유튜브에 이런 수준높은 영상은 진짜 오랜만에 봅니다. 한시도 눈을 뗄수 없었어요
@emptycup00
@emptycup00 11 ай бұрын
와 깊은 성찰에 저도 생각을 많이하게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저도 중학교 처음 모던워페어2를 플레이 하면서 적을 물리치고 캠페인을 깨면서 희열과 스릴을 느끼며 재밌게 플레이한 경험이 있습니다. 최근에 리메이크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리메이크작을 추억삼아 다시 플레이 해봤는데, 나이를 먹어서인지, 게임이 리메이크 되면서 사실성이 더욱 강해져서인지 전투에서 느껴지는 스릴보다는, 게임 내에서 그려지는 폭력성에 제대로 플레이를 못 하겠더라구요. 소리도 리얼하고 그 전장의 리얼함이 무섭게 느껴지더군요. 어릴 때는 마냥 멋져 보였던 것이 나이가 먹으면서 그 이면에 있는 것들이 보여서 그런 것 같습니다. 양질의 영상 잘 봤습니다. 좋아요 구독 하고 갑니다😊
@PsyU246
@PsyU246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Fantasy38294
@Fantasy38294 11 ай бұрын
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생각지고 못한 충격이네요
@churchillsdowns
@churchillsdowns Жыл бұрын
FPS 게임을 즐겨 하곤 했던 제게 사소하게 공감할 만한 작은 제목으로 시작해서 전쟁과 오락거리, 윤리 사이의 잊고 있었던 고찰을 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gun9752
@gun9752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 저를 이 영상으로 이끌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c7nr5pt6i
@user-mc7nr5pt6i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떡상해야한다 하지만 이 채널은 떡상하기 힘들수도 있다. 친절하게 떠먹여주는 단순한 지식의 나열이 아닌 시청자에게 "깊은생각"을 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런 채널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MMSNG
@MMSNG 11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joonbong_
@joonbong_ 11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최근들어서 게임의 군사적 고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를 여럿 봐왔어서 그저 호기심에 클릭했다가. 14분이라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동안 아주 깊고도 기나긴 생각에 잠기게 만드는 누군가의 철학을 엿보게 되었네요. 저는 이 기나긴 고뇌가 끊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렇게 자아를 성찰하고 현상을 분석하고 나 자신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를 바랍니다. 영상에 나온 말마따나 이 영상의 마지막 창작자는 제 자신이겠죠. 어쩌면 바쁜 삶에 끊어졌을지 모를 이 고뇌를 다시금 잇게 만들어줘서 감사합니다.
@user-mn7db8vq5m
@user-mn7db8vq5m Жыл бұрын
단순 게임 리뷰인줄 알고 들어왔다가 좋은 영상 보고 갑니다
@user-ch6pu7ez1f
@user-ch6pu7ez1f Жыл бұрын
배틀필드 할때마다 전쟁이 정말 가슴아픈 역사임을 느끼고 병사 하나하나에 공감을 할정도로 몰입을 하곤 하는데 정작 그타하면은 사람하나 죽였다고 별이 떠? 하는 악랄함이 나오기도 함 오히려 비 현실적임을 나타내는 요소가 많기에 현실과 상호작용을 못하는것일수도
@rep.e_flower
@rep.e_flower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제목보고 음? 고증이 틀려?라는 호기심에 눌렀는데 영상을 다 보고 나서는 생각이 많아지는 주제이네요. 감사합니다.
@xartxgogh0227
@xartxgogh0227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떠서 보는데 좋은 내용인 듯 합니다만.. 너무나 편안한 목소리와 음악소리에 졸아버렸습니다. 잠 좀 깨고 다시 정주행하겠습니다 🙇‍♂️🙇‍♂️🙇‍♂️
@user-mq2tx2ph3i
@user-mq2tx2ph3i 11 ай бұрын
와 우연히 알고리즘으로 들어왔는데 영상 퀄리티가 엄청나시네요 대성하시길 기원합니다.
@dong2namul
@dong2namul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상당하네요ㄷㄷ..
@JJlounger
@JJlounger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좋습니다
@user-wq2rh5ul8t
@user-wq2rh5ul8t Жыл бұрын
진짜 짱이에요
@DarkFuse
@DarkFuse 11 ай бұрын
컨텐츠 미쳤네 이분;;;
@user-wn1oj2gy4e
@user-wn1oj2gy4e Жыл бұрын
정작 총기 난사 사고 통계에서 우리나라보다 총기규제가 훨씬 느슨한 서유럽(프랑스, 독일, 벨기에 등)과 동유럽(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폴란드 등)은 총기난사 사고가 적다는 게 과연 총기의 존재 자체가 총기난사 사고를 증가시키는 요인인지 더더욱 고민하기 만들어주는듯
@blyatguy2441
@blyatguy2441 Жыл бұрын
단일민족국가나 강력한 경찰력을 동원할 수 있는 미국에 비해 좁은 영토를 가진 국가들에서는 충분히 총기에 대한 규제 없이 경찰력을 투입하여 총기난사를 막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는 사법구조 뿐만 아니라 교육체계와 의료체계가 선진국 치고 굉장히 열악한 미국에 비해 훨씬 선진적인 EU국가에서는 상당한 범죄방지로 작용합니다. 한국은 전쟁국가라는 특수한 경우를 포함하지 않기에 군 내의 총기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이며, 대다수의 총기사고는 사냥꾼의 오인사격으로 발생합니다. 큰 차이는 예시의 국가는 미국보다 총기소지에 대한 규제가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총기를 소지하기 쉽지 않고, 총기사고가 많을 수 없습니다. 미국의 총기난사 사고는 인종문제와 경제 문제, 의료 시스템의 문제와 사법 시스템의 문제가 다양하게 섞인 사회적 문제로 대다수 총기사고는 흑인이 흑인을 죽이는 문제와 디트로이트나 볼티모어 등의 외곽지는 완전한 우범지대로 길을 걸어가다 묻지마 살해가 굉장히 드물지 않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일종의 묻지마 살해는 특정 인종 혐오와 미국 하층민 사회의 종교적, 사법적 폐쇄성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들은 교육과 의료 지원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성장했기에 결여된 부분을 외부로 표출하는데 적절한 총기와 이를 헌법으로 보장하는 사법시스템에 대한 자의적 해석이 문제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user-wn1oj2gy4e
@user-wn1oj2gy4e Жыл бұрын
@@blyatguy2441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어느 정도 잘 이야기하셨네요
@yl9139
@yl9139 11 ай бұрын
​@@blyatguy2441사회적 문제가 없는 국가가 존재할 수 있나요. 안이득의 손에 총이 없었기 때문에 5명 사망으로 끝날 수 있었습니다. 농촌의 자살문제는 농촌 빈곤이 그 원인이지만 치명적인 자살도구였던 그라목손의 판매를 금지시킨 것만으로도 자살률 감소 효과를 거두었죠. 원인을 없애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사회적 문제"라는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니 대증요법으로 수단인 총기를 제한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lismaj
@lismaj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보기 좋네요
@waygo9338
@waygo9338 Жыл бұрын
고찰 감사합니다.
@nikkospa-ye1pc
@nikkospa-ye1pc 11 ай бұрын
와 님 진짜 이런 내용을 다루는 유튜버는 처음봐요 똑똑하시네요
@user-wv2yp3zv5j
@user-wv2yp3zv5j Жыл бұрын
콜옵할때마다 총기를 볼때마다 도대체 왜이렇게 이상하게 만들었나 싶었는데 이런이유가 있었군요 정보전달을 정말 깔끔하게 잘하신거 같아요 잘보고갑니다
@reddubu
@reddubu Жыл бұрын
오 내용 장말 좋습니다.
@pastachio17
@pastachio17 Жыл бұрын
이런 미친 퀄의 채널이 있었다는 걸 이제야 알게되네
@SkimOnWest
@SkimOnWest 11 ай бұрын
미국에서는 스포츠 매장만 가도 게임에 등장하는 몇몇 총은 구매할 수 있어서 총기 업체에게는 정말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 되긴하겠네요.
@dong8x
@dong8x 11 ай бұрын
와! 스킴온웨스트님 반갑습니다. 여기서 뵐 줄은ㅋㅋㅋ
@YObith
@YObith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옛날에 콜옵이 진짜 쉽게 플레이 할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음 탈콥처럼 현실성이랑 리얼리티만 챙겼으면 딱 밀덕들만 하는 겜만 되었음
@asace5707
@asace5707 Жыл бұрын
탈콥은 총게임이 아니라 폐지줍기 시뮬레이터 아녔음??
@pangparae
@pangparae Жыл бұрын
탈콥이... 현실적...? 닚킶탒가 꼴리는데로 하는게 아닌게?
@JuaneeGhim
@JuaneeGhim Жыл бұрын
닚킶탒
@cheesecake941
@cheesecake941 9 ай бұрын
대본을 뭐 이렇게 잘 쓰신답니까? 모든 영상이 다 좋네요!
@sunnysonny4914
@sunnysonny4914 Жыл бұрын
표현들이 시적이고 비유적인 데다가 사유의 깊이가 있어 전달자에 불과한 여타의 다른 유튜버들과는 차별화된 지점이 있네요. 굿굿
@BALANCE_IS_NOT_SYMMETRY
@BALANCE_IS_NOT_SYMMETRY Жыл бұрын
구독 박고갑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꾸준히 하신다면 최소 5만 구독자 예상합니다.
@younhama
@younhama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 근데 영상 내에 배경음악 중 4:44 정도부터 나오는 비창 2악장은 혹시 어떻게 삽입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런 음악은 저작권에 안걸리나 해서요 ㅎㅎ
@ludology_ljh
@ludology_ljh Жыл бұрын
저작인접권이 만료된 (녹음, 음반 발매 후 50-70년이 지난) 음원을 찾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언급하신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는 빌헬름 박하우스(1884-1969)가 녹음해 1963년에 발매한 음반으로 현재 저작인접권이 만료된 상태입니다.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younhama
@younhama Жыл бұрын
@@ludology_ljh 와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je2oh1ec7e
@user-je2oh1ec7e 11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구독
@user-dx2wh7hk1n
@user-dx2wh7hk1n 11 ай бұрын
으아 재밌어용!!
@coerta7859
@coerta7859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다큐멘터리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옛날에 업로드 하신 콜드워 영상도 정말 감명깊게 시청했는데, 콜드워 영상은 채널에서 내리신건가요? 영상 정말 감사히 잘봤습니다 :)
@xhudibe1266
@xhudibe1266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주제로 시작하셔서, 다른 주제들로 부드럽게 전개해주셔서 재미있게 들었네요. 인상적이었습니다. 본론부터 단번에 무겁고 어려운 이야기로 시작했다면 저장해두고 후에 미루고 미루다가 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영상 앞으로도 많이 만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 화이팅입니다.
@Fdal0214
@Fdal0214 Жыл бұрын
게임을하는 범죄자를 고래고래 보도 하지만 게임을 하며 일상을 보내는 일반인의 비율엔 누구보다 조용함 "범죄자 대부분이 공기로숨쉼, 공기규제필요" 하는격
@psri5070
@psri5070 Жыл бұрын
물 마신 사람은 모두 죽는다. 물은 규제 대상이다. 이런 꼴…
@user-sc6kp7wm4e
@user-sc6kp7wm4e Жыл бұрын
ㄹㅇ
@morakano_shibalom
@morakano_shibalom 11 ай бұрын
제가 봐왔던 게임 유튜버들 중 단연 최고입니다.
@junhyo403
@junhyo403 Жыл бұрын
영화와 게임이 같은 궤를 달린다 하지만 막상 게임을 이런식으로 엮어내신걸 보니 놀랍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kam5551
@kam5551 Жыл бұрын
레디오어낫이 정말로 진진하게 분위기를 잡고 만들었군요 이런 게임이 더 발전했으면 좋았을텐데 유통사가 계약을 해지할줄은 몰랐네요
@user-xo8ry5kp1e
@user-xo8ry5kp1e Жыл бұрын
콜옵이나 배필처럼 무적이 아니라는 점과 탄약 보충이 않된다는 점이 정말 매력적이죠 시체와 범죄현장의 참혹한 모습은 덤
@Tarkovshit
@Tarkovshit Жыл бұрын
Fps를 좋아하는 한유저로서 정말 감명깊게 잘봤습니다
@yongdailee4575
@yongdailee4575 Жыл бұрын
재밋는 결론입니다. 원피스라는 만화의 워터세븐 편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죠. 철학자의 교양서든 아이들이 보는 만화나 게임 평론, 영화 평론에서도 깊은 성찰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자의 중요성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체라는 도구를 아득히 뛰어 넘는다는 것을 이 채널이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네요.
@user-iz4im5mv4z
@user-iz4im5mv4z 11 ай бұрын
멋진 통찰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doyoungkim8881
@doyoungkim8881 Жыл бұрын
유튜브로 쓰는 에세이라 이건 귀하군요. 장르의 진화를 보는것 같습니다 🎉🎉
@johnmattteng9658
@johnmattteng9658 4 ай бұрын
혹시 마지막에 언급하신 셰릴 안토니오가 말한 내용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저는 아무리 검색해도 안나오네요 ㅠㅠ
@user-wj8nn1zu3q
@user-wj8nn1zu3q Ай бұрын
명언감사해요 게임으로 철학을말하는 좋은분이네요 2024올해도 응원해요😊
@bacw5352
@bacw5352 11 ай бұрын
평소 밀리터리 덕후로써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user-em6gr3sb2j
@user-em6gr3sb2j 8 ай бұрын
굉장한 영상입니다.
@Tshark16
@Tshark16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퀄리티가...
@RedFox_05
@RedFox_05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팀17 (레오낫 전유통사)는 영국회사이고 레오낫 회사 보이드 인트렉티브는 뉴질랜드 회사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팀17이 작년에 리얼리즘을 지향하는 2차대전 게임 랠랫루즈의 판권을 원래 개발자들에게서 구매하기도 했죠. 당시에 유통계약해지가 직접적인 이유는 안 밝혀졌지만. 타이밍이 스팀 직접 구매가 아닌 개발사에게 구매를 통해 스팀키 생성를 맞쳐서 하다가 키 생성 제한및 유통과 스팀의 대한 수수료 문제로 말이 많았고. 그때 학교 총기사건에 대한 질문이 나왔을때 “우리는 그런 부분의 대해 두렵지 않고 그런 주제에 대해 파고 들어갈것입니다”라는 답변도 나왔는데. 그 두 일이 바로 일어나면서 갑자기 유통해지가 되면서 스팀에 구매페이지 올라온 기억이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도 스팀 소개 페이지 아래에 경찰과 법의 집행자를 존중하고 경외하며 이런 범죄해위를 절대로 미화하지않는다는 문구가 추가된걸로도 알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생각해봤던 주제인데 영상 감사합니다.
@user-ng3js7uh3q
@user-ng3js7uh3q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게임계에서 가장 민감하게 논의되는 "그저 게임일뿐이다" vs "윤리적 문제 유발원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는 주제를 한번쯤 되새기게 해서 좋았습니다. 사실, 실제로 이런 FPS를 두고 총으로 가상이지만 사람을 죽이는 것이 현실에서도 안그러는 법이냐 라는 이런 논란들이 일부 총기난사와 같은 사건의 범인들이 어느정도 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매우 크죠. 물론 이러한 논란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명확한 해답이 없고 설렁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이것이 통계적으로, 현실적으로 과연 인과관계가 명확히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에는 선뜻 답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영상에서도 언급되었듯 FPS게임과 폭력적 요소를 많이 보고 했다는 이유로 그 자체로 모든 경험자들이 잠재적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닌 것처럼 게임과 폭력성, 그리고 이런 총기회사와 게임의 홍보와 같은 불편한 진실은 아마도 영원히 이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현실적으로 어른의 사정과 경제적 논리가 지배적으로 잡고있는 세상에서 이러한 연결고리가 끊어지는 것은 매우 힘들테니까요. 또한 언급되는 총기난사가 유독 미국에서 크게 나타나는 것 역시 이런 FPS게임과 총기와도 어느정도 관련은 있기 때문에 참 논란이 많을지도 모를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아시다시피, 총기난사를 막자는 총기규제가 실질적으로 미국의 경제적, 정치적, 역사적, 국토적 환경에서 과연 실현할 수 있겠냐?라는 질문에 선뜻 답하기 힘든 것처럼 이러한 문제들은 단순히 인터넷 댓글에서 보이는 것처럼 해결될 수는 없는 딜레마라고 해석했습니다. 다시 주제로 돌아와서, 모든 FPS게임이 다 잠재적 총기난사범을 만드는 것도 아니지만 게임이라는 '도구'는 어쩌면 반쪽짜리 현실일지언정, 프로파간다라는 이미지와 동시에 간접경험을 통해 인간에게 교훈을 전달해줄 수 있지 않느냐는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합니다. 칼은 흉기로서 누군가를 죽일수도 있지만, 동시에 의료진의 손에 들어가면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것 처럼말이죠. FPS는 기본적으로 게임속의 사람을 죽이는 것이 주된 장르지만, 이를 비틀어서 총기를 든 자가 과연 정의로운 인간인가? 총기라는 것이 인간을 서로를 죽이는 그러한 잔인함을 알리는 하나의 상징이 아닌가? 라는 질문을 던지거나(좋은 예로, 스펙옵스: 더 라인, 배틀필드 1의 오프닝) 또는 게임은 아니지만 총이 때로는 누군가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고, 전쟁, 폭력에 맞설 하나의 저항도구로서 볼 수 있지 않는가?라는 질문(좋은 예로, 레디 오어 낫, 톰 클랜시의 레인보우 식스 시리즈, 그리고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초반부 상륙작전 씬)과 같이 여러 많은 논쟁과 논의가 있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이외에도 여러 논의가 있겠지만 영상을 보고 대표적으로 이런 2가지 질문이 있지 않나해서 적었습니다. 게임을 이렇게 심도있게 분석하고 성찰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PS. 개인적으로 FPS게임을 많이 하고 그에 따른 폭력성과 논란을 은연중에 많이 보는 사람으로서 정말 생각할거리를 많이 준 영상이었습니다. 유익한 영상 또 기대합니다!
@booming6509
@booming6509 11 ай бұрын
가상과 현실의 벽은 천지차이죠, 가상의 일을 가상으로 끝낸다면 좋은 스트레스 해소원이지만 가상의 일을 현실로 확장시킨다면 범죄의 시발점이 되겠죠.
젤다는 재미있고 유비식 오픈월드는 재미없는 이유
16:31
이준호의 루돌로지
Рет қаралды 198 М.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알고 보면 소름돋는 전쟁 영화 속 디테일들
13:50
백수골방
Рет қаралды 695 М.
인간의 뇌는 위험한 도박을 했다 | 뇌 가소성, 뇌과학 이야기
9:18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비평가들이 게임은 예술이 될 수 없다고 하는 이유
12:52
이준호의 루돌로지
Рет қаралды 42 М.
사격 대표출신이 영화 "존윅2"를 본다면? (할 말 많음...)
11:30
건빵튜브 GunBang Tube
Рет қаралды 806 М.
Korean Navy SEAL plays Call of Duty Modern Warfare 1 (ENG SUB)
17:54
디아블로 4 재미있다고 하면 욕먹는 이유, 그 왜곡된 기억에 대해
16:12
디아블로 시리즈 30년 개발 비화 [완전판]
51:09
이준호의 루돌로지
Рет қаралды 124 М.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