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를로퐁티 강의로 들어왔다가 구독합니다. 설명이 너무 깔끔하고 쉽습니다. 저도 배워야 할 강의력입니다. 고맙습니다.
@김상훈-e9h1l2 жыл бұрын
하이데거가 당신의 나라가 전통의 오랜 보전이라는 측면에서 고도로 발전된 나라라고 했을 때 머리가 띵해지네 대단한 통찰력이다
@MinorSwing-qu3ku4 жыл бұрын
충코님의 재미난 영상주제와 자료들 항상 잘보고 감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유학생활에도 어려움이 예상되는 시대이지만 원하고 추구하시는 것들 마니마니 얻고 오시길 바래요. 이런 귀한 자료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놀러올깨요~~
@wjchin26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았습니다. 이런 포멧 영상 좋은데요 완전!!
@lynnseo9055 Жыл бұрын
다시보는 하이데거.. 이 영상을 같이 보니 좋아요. 오늘날 존재의 사유가 더욱 필요하다고 느껴집니다.
@achingthingshedoessowell20074 ай бұрын
충코님 덕분에 좋은 대화를 듣게 되네요
@영현-e8b4 жыл бұрын
이번 학기에 독일철학 듣는데 시험기간에 들어와서 다시 봐야지
@cantabile77777 Жыл бұрын
목소리만으로 충분하고 더 멋질듯~ 집중도 더 잘될것입니다 😊
@daeeunkim25253 жыл бұрын
전 왜 이 영상을 보고 눈물이 날까요. 하이데거의 통찰이 너무 많은것을 전해줍니다
@valueexplorer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Studio_cmsh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어요~ :)
@deokso42224 жыл бұрын
충코님 영상 목 빠지게 기다렸어요ㅠㅠ 오늘 영상도 잘 보겠습니다. 항상 양질의 컨텐츠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많은 활약 부탁드려요.
@장애옹-s3w4 жыл бұрын
우리 모두가 공통적으로 지향해야 할 것 그 이전에 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그것이 무엇일까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Жыл бұрын
64년도에 이미 서구사회는 사라지는 가치 때문에 혼란스러웠는데 육십년이 지난 지금은 그 혼란이 배가 되었메요
@이지원-v2x4 жыл бұрын
토마스 쿤에 대해 서치하던 중 들어와서 다른 영상들도 보고있는 중입니다. 정말 유익해요!!
@homeotherm_omnivore3 жыл бұрын
개인의 맥락을 알아야 생각이 전달될 수 있다고 생각한듯요
@정상복-w2y3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누구나 자기주관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막스 플랑크나 하이데거 조차도 그틀이 잘못됐다가 아니라 언어의 한계라고 생각된다 차라리 스님의 질문이 날카롭고 화두처럼 느껴진다
@학습심층4 жыл бұрын
2:12 하이데거가 갖고 있는 사상에 대해 미리 알고있으면 더 재밌게 봤을 거 같네요. '오늘날 서양과 세계 전체 사이의 관계는 더 이상 투명하지 않고 혼란스럽기 때문입니다.' 이 말을 이해할 수 있으면 더 좋았을 거같네요
@autotokalon74 жыл бұрын
종교의 다분화, 학문등 다양한 신념에 얽매여서 그 이상을 투명하게 관조할 능력자체가 상실됐다는 의미로 이해했어요 ㅎㅎ
@임선자-j4v3 жыл бұрын
구독했습니다
@lkh01204 жыл бұрын
말의 깊이가...두사람 위치가 바뀐것같다... 왠지 하이데거가 깨달은에 이른 승려같다;;;
@yongyongdiedie3 жыл бұрын
스님은 질문만 하니까 그런게 아닐까? 하이데거와 대면할 정도의 사람이라면 저 승려도 한 수준 할지도 모름. 그리고 불교는 사유보다는 실천(수행)과 함께한 공부를 더 중요시하는 종교이니 진짜 수준이 떨어질순 있어도 그건 우리 기준일지도 모르는..
@김상훈-e9h1l2 жыл бұрын
하이데거가 승려와의 대화 중 당신의 나라가 전통의 오랜 보전이라는 측면에서 고도로 발전된 나라라고 한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당신의 날 선 태도에 대한 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현석-l6h2 жыл бұрын
@@김상훈-e9h1l 저게 무슨 날선 태도임;;
@장근전-o2n3 жыл бұрын
존재는 존재와 마주할때 존재한다 ᆢ
@이현-j9g2 жыл бұрын
와...
@kaeward50343 жыл бұрын
5:47여기 나오는노래 뭔지 아시는분
@유지인-t7s3 жыл бұрын
바하의 프랑스모음곡 중의 한곡입니다.
@전자공학의악마3 жыл бұрын
내 이러니까 데거형빠지
@anetteseong987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의 의미가 무엇입니까?
@anetteseong987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의 의의과 의미가 정확히 무엇입니까?
@Loppatiin6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자본주의와 진영 논리를 벗어나서 생각 해보시면 과거 인류 모든사회에 존재했었고 지금도 존재하는데 자본주의에 파괴된 공동체 회복을 추구하는 사회주의 이념 중 하나입니다. 공산주의 출발이 되는 기본적인 개념은 인간사회에서 발전하는 물질적 도구에 의해서 정치,경제,종교.문화 시스템이 바뀌고 정의 된다는 개념입니다.흔히 유목민과 농사 정착민의 얽힌 전쟁역사를 떠오르면 쉽게 이해 될수 있고 자본주의 시작이 19세기 영국 산업혁명의 기계 시스템, 대량 생산으로 인류의 모든 다양한 전통사회가 변화해서 현대사회의 기초가 되었다는걸 떠올려 보십시오 칼 마르크스는 이런 역사적 분기점에서 당시 변화 하는 사회를 심오하게 관찰했던 시대적 산물입니다. 19세기 식민지 노예제 생산으로 유지 되었던 서구제국주의가 기계제 대량생산으로 노예제도를 임금노동자로 대체해서 소비자로 변화 시켰던 역사적 사실을 주목하십시오 아직 전세계는 이 사슬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정진영-y9m3 жыл бұрын
ㅎㅇ
@도깨비-j4v3 жыл бұрын
결국 신은 없다. 교수가 이겼군요.
@rptministries4 жыл бұрын
#사탄에게 무릎 꿇은 하이데거1 kzbin.info/www/bejne/qoHdqGmDnrB4oKM
@heartt57733 жыл бұрын
Angst, Furcht..
@케이트-s3n4 жыл бұрын
영상과는 1도 관련이 없는뎅. 리트 따위를 푸는데 철학 공부가 도움이 되노?
@유리유리-u4o4 жыл бұрын
우리 게이는 리트를 풀려고 철학 공부 하노?
@gojust98184 жыл бұрын
리트도 어렵지만 철학 공부는 더 어려워요 ㅜㅜ
@rptministries4 жыл бұрын
#사탄에게 무릎 꿇은 하이데거2 kzbin.info/www/bejne/pZSse3xnpqysb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