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철학 필수지식!] 메를로퐁티 - 이론편 1 : 객관주의 비판 ㅣ 서울대 철학과 학생의 생각

  Рет қаралды 28,940

충코의 철학 Chungco

충코의 철학 Chungco

4 жыл бұрын

* 영상은 당연히 공유하기로 퍼가셔도 됩니다.
* 재밌게 보시고 많이 공유해주세요.
* 후원, 연락 관련 정보는 채널 정보란에!
💰 채널후원(투네이션): toon.at/donate/chungco
--------------------------------------------------------------------------------
메를로-퐁티의 주저 '지각의 현상학' 초입 부분은 객관주의에 대한 아주 긴 분량의 철저한 비판으로 시작합니다. 제 생각에는 객관주의적 사고를 극복하는 것이 현상학적 사고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동시에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그렇게 강조하면서 설명을 해놓은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오늘 이 영상이 그 부분을 이해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철학 #철학입문

Пікірлер: 37
@user-xe8sq2jl9n
@user-xe8sq2jl9n 4 жыл бұрын
이제서야 보게 됐네요... 작업연구를 시작하려는 미대생인데 철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생각해 관련 영상을 찾던 중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해도 굉장히 잘 되게 설명해주셔서 메를로 퐁티의 이론을 겁먹지 않고 이해하려 노력해볼 수 있게 됐어요. 관련 영상도 염치없지만 더 많이 올려주시길 부탁드리고 건강하세요!
@user-nn8po5su1e
@user-nn8po5su1e 2 жыл бұрын
미시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에서는 이미 관찰자(주체)는 괸찰대상을 포함한 다른 모든 대상과 독립되어 있지 않고 주체와 객체가 모두 하나의 전체 계를 이루어 상호관계하고 있음을 그 유명한 전자(電子)의 이중 슬립 실험을 통하여 밝혀졌습니다. 즉 주객의 분리를 전제로 한 과학의 방법론에 한계가 있음을 과학 자체가 스스로 밝혀낸 셈이지요.
@JasonShin90
@JasonShin90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이 바로 떠오르게되는....알면알수록 심오하네요 철학이란 것
@j823
@j823 3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감사드리고 다음 기회에 또 듣기를 기대합니다.
@user-nl4gn9ek2d
@user-nl4gn9ek2d 4 жыл бұрын
아주 잘봤습니다~ 에드문트 후설 편도 한번 기대해봅니다
@leejaenam2000
@leejaenam2000 4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명쾌하고 쏙쏙 들어옵니다.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프레임이론도 이렇게 깔쌈하게 설명해주시면 좋겠어요.
@caterpie89
@caterpie89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주성호 선생님의 열정적인 퐁티수업을 들었을 때가 떠오르네요. 감사합니다
@user-nn8oz1qy1m
@user-nn8oz1qy1m 4 жыл бұрын
현대 철학은 항상 아무도 알려주지않는 미궁의 영역이였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유익하고 좋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tejkim1377
@tejkim1377 4 жыл бұрын
다음시간에 혹시 살(flesh)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hoonheeteddertedder9826
@choonheeteddertedder9826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늘 잘 보고있읍니다..
@user-xy1fb1ht3j
@user-xy1fb1ht3j 3 жыл бұрын
과학적인 사고가 꼭 시간에 대해 부분적인 경험으로 나누어야 과학적인 걸까요?? 몇가지의 스토리라인, 혹은 패턴의 부분으로 나누어도 될텐데요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4 жыл бұрын
ㅎㅎ 작년 1년동안 광학 연구실에 있었던 물리학과 학생이여서 그런가 훨씬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들리네요! 앞서 타당하다고 설명하는 방식 그대로 보통 연구들이 진행되죠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4 жыл бұрын
다 보고 다니까, 제가 공감하는 부분들이 정말 많네요. 저도 객관주의는 분명 각각의 존재자들로서 존재하는 우리 모두가 공통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공통적인 경험들을 통해서 함께 과학을 발전해 나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면 축구공을 골대에 넣는다고 할 때 최대한 크게 만들어서 어느 누구던지 축구공을 골대로 차도 같은 +1의 점수가 얻어질 수 있다고 하게 하려는 거라고나 할까요? 사실 각각의 개인들은 축구공을 동일한 위치에 차지 못합니다. 반드시 동일한 경로, 동일한 위치도 불가능하죠. 그렇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의 공통적으로 경험한 것을 통해서 발전하기 위한 최소한의 그럴듯한 아웃라인이 필요하고 이게 객관주의적인 현상 해석이 되겠죠. 그렇지만 이 이상의 세상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저 또한 이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물리학 뿐만아니라 철학 정신분석학 등 다양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상을 해석해야 이 세상을 더 가까이 좀 더 높은 해상도로써 바라볼 수 있을 텐데, 이렇게 의식이 개입되는 순간부턴 다수의 힘을 합칠 방법이 없고 때문에 각자 한 존재자의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정도의 기간 동안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존재합니다. 이는 외롭고 고독한 혼자만의 연구가 되겠지만, 저는 이 길을 걷고자 하고 뿐만 아니라 세상에 대한 궁금증과 존재에 대한 궁금증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 또한 이 길을 걷고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 그리고 성공하신 분들이 계속 기록을 남겨주시리라 믿습니다. 인간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 지 모르겠으나, 확실히 철학의 눈을 가진 거인은 더 큰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타지 못한다는 점에서 불리한 듯 싶습니다..
@JK-ii1nw
@JK-ii1nw 2 жыл бұрын
최고... 정말 최고...
@user-oi2hy6yv2n
@user-oi2hy6yv2n 3 жыл бұрын
"팔 다리 눈과 귀를 없애는 게 물리적인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증명 해주셨네요.
@doors2888able
@doors2888able Жыл бұрын
충코선생님 이 강의 최고입니다. 이정도 수준이 딱 좋아요. 너무 입문,겉햝기 말고
@springtreespringtree8933
@springtreespringtree8933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creay2179
@creay2179 3 жыл бұрын
이번에 현상학과 지각 공부를 하다가 알게되서 구독하여 보고있습니다~ 설명이 잘 되어있어 좋지만 동영상이라는 매체를 사용하신다면, 시각자료와 같이 보여주시면 더 효율적으로 전달될거라고 생각합니다:) 매번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user-kb5li1wx8g
@user-kb5li1wx8g Жыл бұрын
칸트와 니체 퐁티 나아가 현상학 구조주의 등의 난해한 근현대철학은 붓다의 연기법에 포섭된다 할 수 있습니다 뒤집어 그들의 사상체계가 심오한 연기법 이해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충코님의 설명은 간단명료하게 핵심을 짚어주셔서 감탄할 수밖에 없네요 고맙습니다
@user-lq4vg7tc5c
@user-lq4vg7tc5c 4 жыл бұрын
메를로퐁티...너무 어려워요...ㅠ..혹시 포이어바흐도 가능하시면..설명해주세요!!!!
@hyun6139
@hyun6139 3 жыл бұрын
퐁티에 따르면 우리가 세상을 지각하는 만큼 알수있기 때문에 객관적인것만이 실재하는것은 아니다 라고 이해했는데, 세상이 존재한다는 결론으로는 어떻게 나가는건가요?(살, 모호한경계로 존재). 제 생각엔 퐁티에 따르면 세상이 존재하는지도 아닌지도 모르는 불가지론이 될거같은데.. 있다 없다의 개념 자체도 부정당할수 있으니까요
@user-gr7rk7jc3w
@user-gr7rk7jc3w 3 жыл бұрын
메를로 퐁티가 세잔의 관계도 듣고 싶습니다.
@user-cc2me5hs8l
@user-cc2me5hs8l 2 жыл бұрын
더 간결
@user-bl6sh2co3x
@user-bl6sh2co3x 3 жыл бұрын
충코님이 생각하시기에 일반인이 철학 전공생급 따라갈수 있을까요 그냥 대학에 가는게맞는걸까요 궁극적으로는 철학책을 많이 읽어야되는건데 좀더 효율적으로 철학적 지식을 얻을수 있는게 대학인걸까요 아니면 철학하는데 있어서 철학을 전공하는것이 대학에 가지않고 혼자하는것보다 더나은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minjae92
@minjae92 3 жыл бұрын
비철학전공자인데요 글쎄요 아무래도 정규과정이란게 의미가 있어서 커큘 따라가는게 젤 좋은건 맞아요. 근데 혼자서 못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기만하면 개인적으로 쇼펜하우어의 배부른 돼지가 될뿐이라 생각하지만 배고픈 거지가 되는것보단 낫겠죠. 물론 사색이란 독서의 소화를 통해 철학을 한다면 아주 건강해질거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우리는 누군가의 철학이나 지식이 아닌 나의 철학을 찾고 나의 세계관을 구성하고 바라보는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글을 논리적으로 쓰고 싶다면 논리학을 배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minjae92
@minjae92 3 жыл бұрын
걍 제가 생각해보고 정리해본 생각이라 도움이 될까싶어 적어봤습니다.
@user-bl6sh2co3x
@user-bl6sh2co3x 3 жыл бұрын
@@minjae92 취미로 철학하는거야 사실 누구나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한번 철학으로 먹고살정도의 레벨로 가기 위해서는 어찌 생각하시나요 ?
@user-vo5cn7yu3z
@user-vo5cn7yu3z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듣습니다. 해설서 입문서 등 관련 책도 좀 안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user-cj3pc4lt1r
@user-cj3pc4lt1r Жыл бұрын
가 떠오르네요. 뜬금없는 생각인가요?^^
@jehan3597
@jehan3597 2 жыл бұрын
좀더 공부가 필요해요^^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3 жыл бұрын
주의는 양자역학 같은데요?!
@minjae92
@minjae92 3 жыл бұрын
관찰자가 인간이 아니라 우주로 확장됐을 경우엔...음 맞네요.
@12kowa
@12kowa Жыл бұрын
한대 맞은 것 같은 느낌.
@4tv859
@4tv859 3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iYu0e6ephZatZsk (칸트와 인공지능) 뽕티 새롭게 보게 되네요
@grbc6204
@grbc6204 2 жыл бұрын
육화된 코기토
@user-jq4fg7nu7z
@user-jq4fg7nu7z 2 жыл бұрын
뭐 그렇게, 퐁티처럼 주장할 수는 있겠으나, 이런 철학이 우리의 삶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에는, 우선 이해에 드는 가성비가 최악. 다음으로는, 재미(?)가 없어요. 다른 근사한, 그리고 이해하기 쉬운 철학도 많이 있습니다. 간식 철학으로서는 모르겠으나, 현상학 철학을 삶의 主食 철학으로 삼기에는 우리의 인생이 너무나 유한합니다.
Did you find it?! 🤔✨✍️ #funnyart
00:11
Artistomg
Рет қаралды 121 МЛН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유교문화
31:25
반짝머리 도서관
Рет қаралды 1,8 М.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 비트겐슈타인의 미학
27:52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60 М.
생물학자가 밝혀낸 죽음의 근본적 의미
12:05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18 М.
후설의 현상학 : 선험 현상학에 대한 기초 이해(쉽고 간결한 현대철학)
42:02
메를로 퐁티 - 몸의 현상학, 쉽고 간결한 현대철학(지각의 현상학)
19:3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57 М.
Did you find it?! 🤔✨✍️ #funnyart
00:11
Artistomg
Рет қаралды 1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