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차 타이어 공기압 얼마? 얼마면 돼냐고? ㅋㅋ 타이어전문가가 알려주는 내차 타이어 적정공기압은?

  Рет қаралды 118,839

[타이어남]타이어를 알려주는 남자

[타이어남]타이어를 알려주는 남자

4 жыл бұрын

타이이어 적정 공기압은? 과연 얼마인가?

Пікірлер: 121
@user-qh5oh8ud7m
@user-qh5oh8ud7m Жыл бұрын
차량마다 타이어 공기압이 틀리고 각차량에는 운전석 b필러에 보면 스티커가 붙어있어요 그공기압이 냉간시 공기압이기 때문에 그공기압에맟춰도 되고 여기서 1~2정도 더 넣어도 됩니다 대부분 타이어가게 가면 공기압 무턱대로 엄청 많이 넣습니다
@testarossa4900
@testarossa4900 Жыл бұрын
많은 전문가들과 차별화된 의견 감사합니다👍👍👍👍
@user-qf4sk6el3g
@user-qf4sk6el3g 2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qn4pu8th3i
@user-qn4pu8th3i 9 ай бұрын
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y2bh9pj1m
@user-ny2bh9pj1m 4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th84s96
@th84s96 4 жыл бұрын
초보방 영상들의 특징인 두서가 없고 뒤죽박죽! 이러면 안돼요. (간단 음슴체 주의) 영상시작- 차종에 따른 적정 공기압 밝힘. 불필요한 멘트자제로 답답함을 먼저주는것 방지. 공기압이 낮거나 높으면 어떤현상이 벌어지는지를 설명함. 간단 명료하게 영상의 핵심주제에 관련된 타이어에 대한 몇몇 썰을 풀며 정보의 만족감을 줌. 요단계면 몰입도가 증가되고 후반 마무리는 영상의 주제인 공기압 다시한번 거론하고 다음엔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다는 만족과 기대감을 주는 멘트로 마무리. 초보분들의 영상은 핵심정보들이 영상들마다 중간중간 랜덤으로 존재. 보다가 나가버림. 23분이라는 시간을 내가 알고 싶은 정보가 언제 나올지 계속 들을 사람 많지 않다는것. 영상은 10~15분 사이가 가장 적당. 15분 이상은 실력있는 프로들도 부담가는 러닝타임. 목소리도 좋으시고 지식도 해박하신데 기승전결 시원하게 해주시면 흥하실거라 봅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감사드립니다 좋은 지적이시고 저도 처음이라서 너무 긴건 아닌가 생각했었구요 저도 10~15분 내영상과 말씀하신대로 조금더 간결하게 만들어보려합니다. 좋은의견 감사 드립니다.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4 жыл бұрын
무분별한 악플이 아닌..진정으로 제작자와 구독자를 생각해 주시는 분!!! 공감가는 내용이라 좋아요누르고 갑니다.^^
@user-pu8vz8fp4y
@user-pu8vz8fp4y Жыл бұрын
타이어의 적정공기압은 자동차회사 및 타이어회사가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지요.. 타이어에 연관된 자동차 장치 특히 쇼바나 각종 구동축들이 차량 연식과 차종에 따라 버티는 힘들이 다르기에 타이어 압력조건만 가지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자동차회사가 추천하는 압력을 무시할 수 없지요.. 그에 더하여 기후조건, 기호, 내구성 등의 조건을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선택하시면 좋겠네요..
@user-wo2qp2vq4y
@user-wo2qp2vq4y 3 жыл бұрын
겨울철,여름철 온도에따라 압력차이가 많이 나는데.. 자주체크하는 수밖에.. 그런데..식힌상태에서 압력을 맞추는게 맞나요? 아님 정상적 운행후 그상태에서 원하는 공기압을 맞추어야하는지요?
@syh7699
@syh7699 2 жыл бұрын
식힌상태요
@minseonlim6567
@minseonlim6567 2 жыл бұрын
수도권에서 매일 40 km 출퇴근 하고 있습니다. 반은 고속도로, 그러나 100이상은 밟지 않습니다. 후륜 세단인데, 지금은 겨울엔 윈터를 끼고 있습니다. 담부터 올웨더 타이어를 사용해볼까 하는데요,, 매년 두번 교체하기가 쉽지 않아서요. ( 겨울. 사계절 ). 올웨더가 후륜에다 어느정도 안전할런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2 жыл бұрын
안전에는 겨울에 윈터를 사용하셔야합니다. 고속주행을 하지 않으셔서 올웨더로 가셔도 괜찮을듯 한데 후륜구동이라 또 그게 걸리네요 그리고 일 주행거리도 좀 있으시고 안전을 우선하시면 윈터 사용하시고 매년 두번씩 장,탈착하는 번거로움이 싫으시면 올웨더로 가야맞는데 고객님이 어떤부분에 포거스를 두느냐에 따라 선택 하시면 될듯 합니다. 정답은 고객님이 결정할 부분입니다. 안전이냐 불편함을 없애느냐 중에 선택을 해야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sumerTV
@sumerTV 2 ай бұрын
음.... 리프트없이 초간단 타이어편마모 셀프체크방법? 1. 평평한 주차장에 주차한다 2. 지상-휠마개-휠하우스 높이를 4바퀴측정 3. 좌, 우 높이 차이가 나면.. 시기의 차이일뿐.. 타이어 좌, 우 편마모 나니.. 가까운정비소 가셔서 점검을 추천드립니다. 공기압1psi차이로 휠하우스까지 높이가 1cm이상 차이가 날까요?🤔
@user-ey2kw1dx2s
@user-ey2kw1dx2s 2 жыл бұрын
겨울철에는 넉넉히 넣는게 좋죠?̊̈?̊̈?
@---zp6xn
@---zp6xn 2 жыл бұрын
타이어마다 맥스값이 다를텐데 통상 36~38로 잡는건 제품에 따라 안맞지않을까요?
@user-zx1yh7zz2u
@user-zx1yh7zz2u 4 жыл бұрын
잘배우고감니다 감사
@user-tt1ve6oo1b
@user-tt1ve6oo1b 3 жыл бұрын
245 40 19 인데 기존 33으로 넣고다니다가 이번에 타이어교체하면서 33으로 넣어달라니 40이좋다고 40넣어주더라구여 근데 승차감 타이어소음 너무심해서 다른타이어집가니 35로 내려주심 33으로해달라니까 33은 너무낮은거라고 35넣어주심 근데 차체 적정 공기압은33이라적혀있구 저도 33이 젤좋은거같은데... 그전33으로 넣고다니니 3년 4만 딱타네요 4만키로면 적당한거같은데
@user-abczz
@user-abczz 3 жыл бұрын
후륜구동인데, 앞30 뒤31 로 책에 나와 있고, 실제 그렇게 출고됬는데, 6개월후 엔진오일 교환하러갔더니 앞뒤 모두 37 넣어 주었어요. 달리면. 41, 42까지도 올라갑니다. 조금 딱딱한 느낌도 있지만, 연비도 좀 올라갈것 같고, 괜찮은 느낌인데.. 다만, 자동차메이커 기준을 오버해서 걱정했는데, 선생님께서 38기준으로 36 ~ 40 말씀하시는데, 웬지 느낌이 정답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 37로! 맞지요?!
@user-kq6in9sg4w
@user-kq6in9sg4w 4 жыл бұрын
그랜저ig2.4타는데 타이어 앞뒤40에 타는데 않좋은건가요 쫀쫀한 느낌이 좋아서 그러는데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가능하세요 본인이 40psi가 튀거나 하드한 느낌이 없다고 느끼신다면 가능하십니다. 36psi보다는 타이어 수명에는 도움이되실꺼고 겨울철 영하로 떨어졌을때 TPMS경고등 뜰 우려도 없구요! 또 공기압체크가 자주 쉽지 않으신분들은 40psi관리도 추천드립니다.
@user-kq6in9sg4w
@user-kq6in9sg4w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답변 감사드립니다
@blackpigg
@blackpigg 4 жыл бұрын
차량이 푸조 3008 suv이고 4짝다 ContiCrossContact™ LX 2에 225/55R18V 추천 공기압은 어떻게 될까요! 계절별로 부탁드릴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계절은 신경쓰지 않으시고 적적공기압 넣으시면 됩니다 여름에는 더 넣고 더빼고 겨울에는 덜 넣고 더 넣고가 큰 의미는 없을듯요 36~38관리하면 경고등 뜨지 않고 승차감 마모등 전반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여름엔 더 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여름철운행시는 팽창하게되어 덜 넣어야 운행시 공기압이 적정이다는 이견도있고 덜 넣으면 오히려 타이어 굴신에의한 열을 더받아서 파열위험이커진다는 의견도 있구요 겨울에 공기압 빼야 제동력 접지력이 좋다고하는데 영하로 떨어져TPMS 경고등 뜨게되고 공기압이 기온에의해 수축되니까 더 넣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36~38관리하시면 이런고민들 다 해결되실겁디다.
@ipdukchoi
@ipdukchoi 4 жыл бұрын
타이어가 완전이 식혀 젓을때 33을 넣어면 주행중에는 35-6까지 올라 가는데 정상인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네 정상입니다 운행하면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 열을받아서 팽창하기때문에 2~5psi정도 상향측정되는것이 정상입니다
@kysphj
@kysphj 4 жыл бұрын
렉서스 es300h 215 55 17 입니다 새타이어(미쉐린 에너지세이버 as) 교체후 공기압 33psi 이상을 넣으면 차가 진동이 느껴지고 승차감이 나빠집니다 32psi로 하면 진동은 약해지나 차체 흔들림이 심해지고 연비도 안좋아집니다~ 적정공기압은 얼마로 하면 좋을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진동부분은 공기압 만의 문제가 아닌듯 합니다 바란스 얼라이먼트 하체 유격점검을 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공기압 가감에 따른 승차감에는 차이가 발생하고 떨리는 차량은 더 떨리고 덜 떨릴겁니다. 제가 볼때는 떨림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jjj-vu7bz
@jjj-vu7bz 3 жыл бұрын
완전 냉각된 상태에서 넣어야 되는데 고속도로 달리다 넣으면 오히료 더올라 가든데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3 жыл бұрын
당연하죠 원칙은 냉간시 또는 상온기준에서 넣어야하는데 실제로 힘들죠 운행을 많이하셔서 열받은 상태라면 열받은거 생각해서 더 넣어야 하겠지요
@Alliswell9507
@Alliswell9507 3 жыл бұрын
Yf소나타인데 타이어가 225 50 ZR17 98w인데 몇 압을 넣으면 되나요 자동차 그 앞좌석 보니까 17인치는 33psi인데 215기준이네용 225에 18인치가 35psi나오구요
@user-uq6ul3ye9f
@user-uq6ul3ye9f 3 жыл бұрын
거기서+3 하시면되요
@user-ue4xr9zq7m
@user-ue4xr9zq7m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질문 드려요 맥스 44psi 인데, 40 넣습니다 여름에 주행 하다보면, 45-6psi까지 상승합니다 괜찮은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네 운행하시면 타이어 내부 공기가 열을받아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보시면되구요! 열에의한 상승때문에 공기압을 빼게 되면 열이 식은 후에는 오히려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운행하신다고 보시면됩니다. 여름에는 기온자체도 높아 지열에 의한 공기압 상승도 있을수 있으니 운행후 최대 공기압이상으로 높게 측정될수도 있으니 36~38psi정도로 하향조정후 운행하셔도 괜찮습니다. 기온도높고 운행후 공기압 팽창도 높아지니까요 반대로 겨울에는 38~40psi정도 관리가 좋을수도 있습니다 기온에따라 공기압이 수축하게 되니까요 대신 겨울철에 공기압을 너무 많이 넣으면 접지력이 떨어져서 오히려 더 미끄러울수도 있으니 참고해서 관리하셔야 됩니다. 타이어는 최대 120프로까지는 견디도록 설계되어있지만 수치상으로 최대공기압을 넘어가니 신경이 쓰이실꺼에요 그러니 계절에따른 기온에따라 2~3psi정도 플러스 마이너스 관리 하는 것도 좋은 공기압 관리법입니다... 정답은 없지만 운행전 적정공기압이냐? 운행후 적정공기압이냐? 인데 정확하게 완벽하게 관리할순 없는부분이라서 그래도 운행후 최대 공기압이상으로 체킹되면 분명 신경이 쓰이시고 파열우려도 있으니까 여름에는 조금 빼고 겨울에는 조금 더 넣는것이 좋은 공기압관리입니다... 대신 여름철에 너무 낮은건 더 위험하니까 일정수준 이상 빼서 관리하면 안됩니다. 문의 감사드립니다.
@user-ue4xr9zq7m
@user-ue4xr9zq7m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자상하고, 세심한 답변 깊이 감사 드립니다 타이어에 관심있는 운전자라면, 한 번쯤은 궁금해 할 부분이란 생각입니다 궁금증이 말끔히 해결 되었네요 감사드려요 ^^
@user-eu3pu8ps3f
@user-eu3pu8ps3f 4 жыл бұрын
sm3 / 215 50 R17 인데요 차에 적힌거는 205 기준으로 앞 32 뒤 29 이렇게 적혀있네요 ㅠ 앞뒤 36~37 정도 맞춰도 상관 없을까요? 적정 공기압 추천 부탁드립니다ㅜ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36~38로 관리하세용 29~32는 너무 낮습니다. 수명에서 많은 손해를 보실겁니다.
@user-eu3pu8ps3f
@user-eu3pu8ps3f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감사합니다 선생님!
@junkhan1511
@junkhan1511 Жыл бұрын
사장님 275 35 21 앞 36psi 315 40 21 뒤 37psi 여름기준 이렇게 넣고 있는데요. 추천해주실만한 공기압은 몇일까요? 최대의 난제인거같아요. 개인적으로는 40으로 넣었을 때 구름 위에 있는 기분이 좋은데 타이어 수명이 또 걱정되고.. 운행은 70퍼 이상 고속주행입니다
@TheKaede13
@TheKaede13 2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 기기가 조금씩 모델마다 브랜드마다 다르겠지만.. 1. 일반적으로 psi 38 맞춰놓으면 올라가다가 38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40몇까지 올라갔다가 서서히 빠지면서 38에서 끝나기도 하나요...? 2. 그리고 만약 공기압을 너무 많이 넣은거 같으면 타이어에서 직접 빼기보다 40에서 33으로 변경하려할때.. psi33으로 해놓고 작동시키면 타이어압 빼는 작동도 되는건가요..?
@user-mw5pb3xd8z
@user-mw5pb3xd8z Жыл бұрын
자동으로 빠져요
@smp3012
@smp3012 3 жыл бұрын
올뉴프라이드 소형차인데 36넣으면되나요
@wonkim4932
@wonkim4932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205/65/16인치휠인데요 2세대 K5 MX차량입니다 공기압 38피스인데요 타이어보면 공기없어보이거든요 40피스넣어도 적절한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3 жыл бұрын
네네 40넣으셔도됩니다만 많이 넣는게 좋은건 아니라서요
@jsh5402
@jsh5402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반떼 hd 195 65 R 15 인데 얼마 정도 넣는게 좋을까요???운전석에 부쳐있는 주행전 공기압?그건32psi 적혀있더라고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은 한달에1~3프로정도 빠집니다 일반적으로 3개월 ~6개월에 일반고객들은 공기압을 보충합니다. 그래서 빠질꺼 생각해서 조금 더 넣으시는게 더 좋습니다 36~38정도 관리를 추천드립니다. 만약 일주일에 1회정도 공기압 보충이 가능하시다면 32~34관리하셔도 괜찮습니다 대신 운행후공기압이 팽창하니까 장거리 운행전에 공기압을 보충하셔야 하구요 이런저런 부분들이 관리적인 빈틈이 있기때문에 36~38관리를 추천 드리는 거에요 문의 감사드립니다
@jsh5402
@jsh5402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보내세요
@dotori_banjang
@dotori_banjang 4 жыл бұрын
G80차량 245 45 18 넥센 AU7 으로교체 했는데 max 50psi네요 지금 37-38정도 넣고타는데 얼마나 더 넣어야 할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최대(맥스)공기압은 표기상 최대 넣을수 있는 허용치로 36~38넣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ok4cd3st9d
@user-ok4cd3st9d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번에 교체한 타이어가 175 50 15 max 36psi인데 80% 29~30psi넣고있습니다 max의 80%가 적정하다고하는데 앞바퀴가 눌려있습니다 주변에서 80%가아닌 34~35psi로 추천해주시는데 어떤게 괜찮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29~30이면 많이 적어요 경차라도 36~38은 넣으셔서 관리 하셔야합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34~35psi 주입도 가능은 하시구요 승차감에 불편만 없다면 36~38을 권장드리고 싶네요
@user-ok4cd3st9d
@user-ok4cd3st9d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많은도움됐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user-ok4cd3st9d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user-hj4pl1zz7m
@user-hj4pl1zz7m 4 жыл бұрын
RV차량인데도 차량문짝에 29psi 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렇게 넣으면 타이어가 너무 눌려 있어서 31정도로 3년 타는데. 29osi라고 왜 적혀 있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차량을 개발하는 분들이 차량개발후 타이어 안전성능을 평가할때 충격을 받았을때 타이어가 터질수있는 즉 타이어 안전성능을 평가하기때문인것 같네요 충격에 의한 타이어 파열은 많은것 보다는 적은것이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좋아지니까 사고발생 즉 안전에는 도움이 되는건 사실이구요 근데 29psi부터 TPMS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제경험상으로는요.. 그래서 뭔가 안 맞는것같다는 생각입니다 근데 여름철엔 공기압이 적을때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의한 타이어가 받게되는 열도 증가할것이고 스탠딩웨이브 현상(타이어 바닥부분이 차량중량에의해 눌려있는데 고속주행시 100프로 환원되지 않은상태로 다시 눌려서 타이어파열사고)이 발생되어 안전에 더 많은 위험을 가중시킬수도 있습니다. 또 겨울에 29~31PSI로 주입후 주행시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바로 TPMS경고등이 뜹니다 경고등 뜬 상태로 운행하실 고객들은 없다고 봅니다..저는요 ㅋ 차량제조사 나 연구원의 이론상 수치를 제가 반박할수는 없습니다만 저도 타이어 품질부서에서 14년 근무한 사람이며 타이어업계에 20년 종사한사람으로서 30~50프로의 마모손실과 이상마모에따른 소음,떨림부분등 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29~31PSI 넣으셔도 됩니다만 저도 타이어회사도 타이어 연구원들도 29~31넣고 다니시는 분들 없다고 단언합니다 예외는 있겠지만요 ㅋ 저는 36~40PSI 권장드립니다. 문의감사드립니다~^^♡
@std3786
@std3786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요즘 일인 오너로 이륜구동과 사륜시 앞 뒤 타이어는 공기압 구분필요죠ㆍ 전륜차는 앞 바퀴에 무게 집중 운전자 무게ᆢ 따라서 공기압 뒤보다 높게ㆍ 뒤는 앞과 동일은 승차감 나쁘죠ㆍ 예들면 앞은 36이면 뒤는 30정도ㅡㅡ
@SND19
@SND19 4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싼타페 19인치 타이어 입니다. 고속도로 장거리 주행이 잦은데 34psi 괜찮을까요? 39-41 정도 였는데 타이어 교체 후 업체에서 말없이 34으로 바꿔놨네요... 주행중엔 37정도까진 상승합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운행하면 타이어내부 공기가 열을받아서 팽창해서 공기압이 올라갑니다. 34psi면 주행하시면36~38정도 로 상승하실겁니다. 운행전 공기압이냐 운행후 공기압이냐에 대한 정답은 없지만 34psi관리시에는 최소 1개월에 1회정도는 보충이 필요하실듯 하구요 공기압 보충시에는 절대로 운행 바로 직후에 하시면 안되구요 냉간시 또는 최대한 식힌후 보충하셔야합니다 열받은 상태에서 34로 넣게 되면 열식으면 32~30이 될수도 있으니까요 열받은상태에서 보충하실때는 열받아 상승된거 감안해서 넣으셔야합니다.
@SND19
@SND19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답변 감사합니다!
@user-zc5yt1nr5g
@user-zc5yt1nr5g 4 жыл бұрын
그랜드카니발 인데요 타이어 맥스가51psi인데요 어느정도가 좋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SUV 요즘 차량들 타이어는 최대공기압이 51PSI 로 생산되어 출고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36~40PSI 사이 관리를 추천드립니다. 저또한 그렇게 관리하구 있구요ㅋ 51PSI는 표기상 그 타이어에 넣을수 있는 최대 공기압이지 적정공기압은 아닙니다. 문의 감사드립니다~^^
@suni9822
@suni9822 4 жыл бұрын
215 55 17 하이브리드 휠 입니다 보니깐 차량에 표시된 적정 공기압은 냉간시35인데 연비 에서 효과를 보려면 (승차감 불편함 상관없이) 앞 뒤 45정도로 하는게 괜찮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45는 너무 높은듯 합니다 승차감저하 불편이 동반될수도 있습니다. 불규칙 노면 주행시 차체 떨림도 동반될수 있습니다 저는 38전후를 추천드립니다
@tonyhwang3888
@tonyhwang3888 3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너무 공기압을 높이면 승차감도 그렇고 핸들링이 위험하게 되고 잡음도 생각해야지요(road noise)
@user-sx3ob6bg3x
@user-sx3ob6bg3x 7 ай бұрын
제동거리가 더 걱정임
@user-mg8rs2bg9w
@user-mg8rs2bg9w 2 жыл бұрын
난 모르겠다 하면 35~36 넣고 타심됩니다! !
@sorento-r8544
@sorento-r8544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질문 드려요 RV차량인데 4계절 38 PSI 넣고 다닙니다 주로 혼자 탄다고 가정했을때 여름 겨울 관계없이 38 넣고 다니도 되는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사실 저는 여름 겨울 상관없이 38넣고 다니는 편입니다만.. 여름철 공기압10프로 up이냐 10프로 다운이냐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공기압 매주 매달 등 자주 체크하신분들은 여름 36 겨울 38 넣으시라고 추천드리고 싶은데 대부분 3개월 6개월에 또는 1년이 지나도 보충 안 하시는분들이 계셔서... 그분들은 빠질꺼 생각해서 보충해야하거든요 문의 감사드립니다
@sorento-r8544
@sorento-r8544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ㅎㅎ 저는 한달에 한 두번은 공기를 넣어 주곤 합니다 여름은 36이 좋겠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user-gu3gr3nz8b
@user-gu3gr3nz8b 3 жыл бұрын
겨울철에 36psi 맞추는거 괜찬나요? (15인치 휠)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3 жыл бұрын
네네 괜찮습니다. 자주 체크하시는 분이시면 34~36 권장 드립니다.
@user-gu3gr3nz8b
@user-gu3gr3nz8b 3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겨울이라그런지 계기판에는 추울때 31까지 내려가더라구요... 기온올라가면 34~35인데 갠찬나용
@fire-fc9bt
@fire-fc9bt 4 жыл бұрын
01년식 옵티마 입니다. 원래 36정도 넣었는데 옛날차라 서스도 물렁한데다가 타이어도 물렁해서 네짝 모두 40으로 넣었는데 괜찮나요? 승차감도 제일 맘에듭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40 조금 많긴하지만 가능은 하십니다. 36은 조금작은 느낌이고 40은 조금 많은 느낌이니 38정도 추천드립니다~~^^
@fire-fc9bt
@fire-fc9bt 4 жыл бұрын
[타이어남]타이어를 알려주는 남자 답변 감사합니다!
@user-kw9tf7yv3s
@user-kw9tf7yv3s 3 жыл бұрын
옵티마 타는데 전 33넣어요 승차감때문에요
@user-lx8gw1ub8t
@user-lx8gw1ub8t 4 жыл бұрын
아반떼 xd 30~31 이고 185 65 15 44 psi 입니다 38까지 넣어도 되는건가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44는 너무 많이 넣습니다 38전후로 관리 추천드립니다~~^^
@user-lx8gw1ub8t
@user-lx8gw1ub8t 4 жыл бұрын
@@user-go6jq4zz4u 공기돌이로 38전후로만 넣어주면 되는거죠? 감사합니다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네 공기돌이로 38전후 넣으시면됩니다.
@taylorlee3930
@taylorlee3930 2 жыл бұрын
운행스타일 운행도로조건 자동차성능 자동차중량 타이어성질 기타등등에 의해 공기압주행질감 완전틀립니다. 정답이 없음.
@user-sx3ob6bg3x
@user-sx3ob6bg3x 7 ай бұрын
공기압의 잘못된 정보는 타이어 회사가 만들었군요. 타이어 회사는 맥스 공기압 만 주어야 하는데. 차에 상관없이 타이어 만 타고 다니실 분들 이네요. 자동차 타고 다니는 분들은 제조사 규정 공기압 만 안전을 보장 합니다.
@jijijiilillillllllllllllll
@jijijiilillillllllllllllll 2 жыл бұрын
자동차 무게는.... 감안을 딱히 안하나용...
@kwoenseohyoen
@kwoenseohyoen 4 жыл бұрын
여긴 다들 좀 많이 넣는듯한... 개인적인 기준이지만 차가 통통 튀는느낌들어서 전 36까지 넣은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튀는 느낌이 들면 34,36 넣으셔도 되지요~~^^
@starson8961
@starson8961 4 жыл бұрын
신차샀는대 출고때부터 공기압이 40이 넘게 채워져서 왔더라구요. 근데 나쁘지 않아서 그냥 계속 타다보니 계속 40맞춰서 타고다니는중이예요ㅋㅋ
@user-jp3ph4dv6q
@user-jp3ph4dv6q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Sm6 차량인데 이게 앞 뒤 타이어의 공기압 수치를 같이 맞춰주는게 좋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같이 맞추셔도 무방하구요 전륜구동에 앞쪽에 중량이 더 실리기때문에 앞뒤 2psi정도 차이를 두셔도 됩니다 문의 감사드립니다
@jjj-vu7bz
@jjj-vu7bz 4 жыл бұрын
아반떼 스포츠 225 40 18인치 인데요 운전석 보면 33적혀 있는데 현대나 카센타 가면 38넣어 주더라구요 주행하면 43까지 오르더라구요 이제 날이더워지니 공기압35정도 면 갠찬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괜찮습니다 대신 자주 공기압 관리하시고 냉간시 공기압 보충하세요~~^^
@user-gu3gr3nz8b
@user-gu3gr3nz8b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는 신차받고 33~34정도라 센터가니까 36'으로 맞춰주더라구요. 승차감보다도 연비를 우선시 하는편인데 몇으로 맞추는게 좋을까요? (준준형,혼자타는편이고,짐은잘안싣습니다. 한달평균7~800km 주행)
@user-gf5rp5ss1s
@user-gf5rp5ss1s 3 жыл бұрын
이런분이면 차라리 오일 넣을때 마다 40으로 맞춰달라고 하면 됨.
@user-it8wz9cq2m
@user-it8wz9cq2m 4 жыл бұрын
205 55 16 타이어는 공기압을 몇으로 하면 되나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저는 38psi 추천드립니다. 마모,성능,공기압 보충 지연까지 생각하셔서 38psi추천 드립니다.
@user-kz9lg7xp7x
@user-kz9lg7xp7x 3 жыл бұрын
아니 타이어성능이 안변했는데 수입하는 나라에서 요청한다고 맥스치를 올려서 표기한다는게 말이 됩니까?
@jwchoi2843
@jwchoi2843 4 жыл бұрын
225 45 17 타이어입니다 차체에는 33이 권장인데 앞36 뒤38이 나을까요? 앞38 뒤40이 나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네 질문 감사 드립니다. 33권장으로 넣으시면 쿠션은 아주 좋아 질겁니다 아주심한충격에 의한 타이어 파열현상도 덜 발생될겁니다 하지만 전륜 조향으로 인한 타이어 양 가장자리마모심화로 20~50프로정도의 마모 손실을 가져올꺼고 이상마모 심화에 따른 소음도 동반될수 있습니다. 아주심한 충격에 의한 타이어 파열이 생기려면 아마 차량 손상 하체 손상도 동반되는 아주 큰 충격인데 사고 말고는 극히드문 경우로 볼수 있습니다 저는 기존 33넣으셨다면 36정도 앞뒤다 아니면 앞 38 후36 추천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Faceplan_official
@Faceplan_official 3 жыл бұрын
E클래스 신형 19인치휠 타이어 앞245 40 19 뒤 275 35 19 타이어사이즈인데 승차감좀부드럽게하려면 몇으로맞추는게 좋을까요? 현재는40입니다 조금딱딱한느낌이있는거같아서요 여름 겨울 추천부탁드려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3 жыл бұрын
40은 너무 많은듯요 승차감 원하시면 38 36정도로 조정후 본의만의 최적의 공기압을 찿으심이 좋을듯 합니다
@user-si7nb8zq9s
@user-si7nb8zq9s 3 жыл бұрын
혹시 w213 450모델이신가요? 저도 노면 울퉁불퉁한 곳에서 튀는 느낌이 있어서요 ㅜㅜ
@Faceplan_official
@Faceplan_official 3 жыл бұрын
더울때40 안더울때38정도뜨는데 안더울때38을 35정도로 맞추면 승차감 괜찮아질가요?
@user-zm9il6hu4h
@user-zm9il6hu4h 4 жыл бұрын
40인데 38로 조정하려면 어떻게 하면 됩니까? 기계에 38로 설정하면 자동으로 바람 빠지고 조정 됩니까?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네넵 자동공기압 주입기에서 38로 세팅하고 물리면 자동으로 빠집니다
@user-vo8ye6br4b
@user-vo8ye6br4b 3 жыл бұрын
돼냐고(x) 되냐고(o)
@user-mm5it4mk9s
@user-mm5it4mk9s 3 жыл бұрын
아버지 차량이 eq900인데 앞바퀴는 한국 타이어 245/50 뒷바퀴는 미쉐린 타이어 245/50인데 타이어 공기압이 46psi라서 바람을 빼서 34psi로 맞췄는데 적정 공기압과 승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공기압을 알고싶습니다
@user-gf5rp5ss1s
@user-gf5rp5ss1s 3 жыл бұрын
승차감은 낮을수록 좋죠. 30이하면 저기압 뜨는데.. 34로 그냥 계속타는게 승차감 제일 좋아요. 승차감 극대화면 30이죠.. 근데 자주 바람 넣어야 되서 그냥 34하시는게 좋아요.
@user-wi8xc2ep8k
@user-wi8xc2ep8k 4 жыл бұрын
여름철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이 있을까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정답은 없습니다만 여름철엔 조금 빼도 기온이 높아 공기압이 팽창되어 높게 측정되며 겨울철에는 조금 더 넣어도 기온때문에 수축되어 낮게 측정됩니다. 근데 여름철에 너무 많이 빼게되면 운행시 타이어 굴신 운동때문에 타이어에 더 많은 열이 가해져서 파열도 될수 있으니 적당하게 너무 높지도 너무 낮지도 않게 관리하는것이 좋으며 특히 장거리 가기전에 꼭 공기압체크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안전에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문의 감사드립니다
@user-whatthe
@user-whatthe 3 жыл бұрын
아니 문짝이나 주유구에 권장공기압 다 나와있고 그거대로 넣으세요 계절에따라 2psi정도만 조절하세요 다 연구하고 만든걸 무시하고 타이어에 맞추다니 위험한 영상이네요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3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원하시는대로 넣으세요 알지도 못 하면서
@user-go6jq4zz4u
@user-go6jq4zz4u 4 жыл бұрын
@UCUMnJOXpLG4WhE4-LWUw8Tg 좋은 의견 감사 드립니다. 실수로 띵에헷님의 문의,답글이 삭제되어 공지 올립니다 죄송합니다 차량제조사에서 추천하는 공기압으로 고객들이 모두 다 차량을 운행한다면 차후에 발생되는 고객불만은 엄청나게 증가될것입니다. 29~32psi로 넣고 주행했을때는 1만km~1만5천km 주행후에는 타이어 톱니마모(힐토우) 마모 발생이 심하여 소음불만이 엄첨나게 증가 될것이고 약2~3만km 주행후에 타이어 양숄더부(가장자리) 마모가 심해져서 조기마모 불만도 엄청 증가하게 됩니다. 또 공기압 관리가 제대로 안 된고객은 (6개월이상 공기압 보충 안하시는분) 여름철 타이어 스탠딩웨이브현상(주행시 타이어 바닥부위 눌림,환원) 심해져서 파열사고도 높아질수 있고 또 겨울철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을때 펑크발생이 되지 않았는데도 TPMS(공기압)경고등 점등되어 불편을 겪는 고객들이 많아질겁니다 경험으로 볼때 대체적으로 공기압 29PSI부터 경고등이 점등되며 최초 영상기온에서 영하로 떨어질때는 저희 매장 같은경우는 하루 5대에서 8대정도 들어와서 공기압 보충하고 가십니다(한마장에서만) 겨울시즌 전체는 50~100대 이상 들어오구요 30~32psi 상온 영상18도에 주입하고 다음날 아침 영하 5도가 되었다고 가정했을태 공기압이 얼마나 수축 될까요? 경고등 뜰정도로 수축 될겁니다 아마도... 분명 차량에 따른 타이어 회사도 타이어 성능을 맞춰서 공급하지만 서비스센타 직원들도 상기 문제 등으로 차량제조사 표기 공기압으로 넣지 않고 운행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차량제조사에서 추천하는 적정공기압은 신품일때는 모르지만 차후 사용하면서 발생될 소음,마모,기타 불만은 염려해두지 않은듯 합니다(제 주관적인 생각) 또 타이어는 1일 점검사항이라고 정비지침서에 설명되어있는데 필드에서 고객들이 얼마에 한번씩 공기압 보충을 하실까요? 제조사 서비스센터직원들도 Claim증가로 힘들어지고 타이어제조사 AS담당도 힘들어지고 고객도 힘들어집니다 저희 같은 판매점은 더 힘들어 집니다. 필드에서는 사후관불만관리나 소음, 마모, 기타 문제점도 생각해야하기에 자연스럽게 ... 타이어 회사부터 카센타,타이어대리점, 차량에 지식이 많은 고객분들 심지어 서비스센타 직원분들까지 30~32로 넣고 운행하는것을 추천하지 않고 있는실정입니다 제가 언급할때도 차량제조사는 차량에 맞게 권장하고 타이어제조사는 타이어에 맞게 신품이아닌 사후관리 ,불만 관리까지 ,기대수명까지 책임져야하기때문에 적정공기압의 괸리부분에서 차랑제조사와타이어제조사의 다를수 있다고 말씀드린겁니다. 적정공기압은 차량을 운행하는 고객이 어느 추천 공기압을 따를지는 선택할 몫이겠지만 자연스럽게 변화해 왔습니다.. 좋은 의견은 감사 드립니다만 제 생각이 필드에서 최 접점에서 직접 타이어를 사용하고 수리하고 관리하는 대다수의 의견임을 말씀드리고싶습니다 감사드립니다
@tonyhwang3888
@tonyhwang3888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런것들도 모르며 차를 몰고 다니나요? 운전교육들을 어떻게 받는지, 차를 사면 사용설명서를 읽기나 하는지 궁금하네요. 그러니까 사고들도 그렇게 많이 나나보다.
@user-zj7bk9sb6h
@user-zj7bk9sb6h 4 жыл бұрын
35 가 최고여
@jjj-vu7bz
@jjj-vu7bz 3 жыл бұрын
저도 35요 달리면 38까지 오르드라구요
@user-ju3bp3eu6d
@user-ju3bp3eu6d 3 жыл бұрын
ㅈㅇ
@user-zh1bd4hs5l
@user-zh1bd4hs5l 2 жыл бұрын
한얘기.또하고 또하고 또하고 또하고 20분을 넘는 영상인데 차마다 문짝에 써있는 공기압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네요 보다가 암걸리는줄
적정공기압 33psi 인데 왜 40psi 를 주입할까?
10:24
슬기로운 자동차 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1 МЛН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타이어 공기압을 최대한(50psi) 넣어 봤더니...👀
10:37
카닥TV [카다기]
Рет қаралды 22 М.
타이어 전문가에게 물어봤습니다
10:14
-월포TV-월급모아 포르쉐
Рет қаралды 50 М.
자동변속기 차량 운전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7가지
8:00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