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사람들 눈높다고 욕할 거 없다. 어른들 '나 때는 다 단칸방에서 시작했어~' 하지만 자기 딸을 단칸방에 시집보내겠다는 사람을 본 적이 없음.
@DDD-fw6nt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이거 ㄹㅇ
@JaeM-t2j8 ай бұрын
그야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아이니까... 딸이 다섯쯤 됐으면 셋째 장가 보낼 땐 어서가 어서가! 했을듯
@user-kq6og3ls9n8 ай бұрын
@@JaeM-t2j위에 3명이 좋은집으로 시집갔는데 과연 넷째가 단칸방신혼살이를 할까요..
@mywarmworld8 ай бұрын
그것도 그렇지만 그때는 단칸방에서 시작해도 앞으로 더 잘살거라는 희망이 있었지 ㅎㅎ 또 그때는 이미 어릴때부터 어렵게 살아서, 주변도 다 못 살아서 결혼하면서 단칸방에서 살 수 있었음. 근데 지금은 이미 부모밑에서 아파트에서 살기때문에 결혼하면서 빌라나 단칸방으로 갈수가 없음. 그건 tv 60인치 보다가 20인치로 못 돌아가는거랑 같은거임 아이폰 6.5인치 쓰다가 3.5인치로 못돌아가는거임. 내가 그럴바에 독립안하고 결혼 안한다는 거임
@WhySoSerious777778 ай бұрын
바보들인가.. 어른들이 '나때는 다 단칸방에서 시작했어' 만 듣고 풀발기냐..? 그때도 그쪽 부모들은 반대 안하셨을거 같아?ㅋㅋㅋ 단칸방에 단칸방이 만나서 단칸방 산거지, 부잣집 딸이 단칸방남자 만난다고 하면 그때도 반대했어.. 똑똑하고 냉정히 파악하는 척은 다하면서 결국 지들 좋은 쪽으로만 보고 듣고 이해하고. 화내고.
@OO-tp2ky8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국은 이정도면 됐다가 없음 ㅋㅋㅋ 존나 잘나가는거 아닌 이상 '저 잘나가는 사람에 비하면 너도 나처럼 ㅈ밥임'이 기저에 깔려있어서 좀 만족하려하면 나보다 잘난 사람들이대며 '이 사람은 너보다 잘났는데 아직도 노력하는데 넌 뭐야? ㅋ' 하는게 취미인 국가라... 주식 2배먹었다고 기뻐하면 3배먹은 사람보여주고, 3배먹으면 4배먹은 사람보여주고, 100배 먹으면 이재용 사진들이댐
서민이나 중산층이나 진짜 별 차이 없어서 그런거예요. 두 계층 다 노동을 해야만 먹고 살 수 있는 건 똑같거든요
@최승인-b8w8 ай бұрын
문재인 ㅆㄹㄱ만 집권 안했어도 저러지 않았음 세대간 갈등유발 남여 날등유발 부동산 폭등 계층간 갈등유발 출산율 저하 이 모든게 문정권때
@jsb87188 ай бұрын
재산을 모으는 이유는 남보다 잘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삶의 독립성과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투자자들이 내면에서 질투라는 감정을 없애고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찰리멍거
@ana_sarca8 ай бұрын
저정도 모았느니 지쪼대로 이야기 하는거지 ㅋㅋㅋ
@huejqqasdf8 ай бұрын
@@ana_sarca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감명받고 댓글창열었는데 K댓글 진한 향취에 어질어질합니다ㅋㅋㅋㅋ
@허대건-f5s8 ай бұрын
@@huejqqasdf 표현이^^ 아주 좋습니다ㅋ 저도 어질 합니다ㅋㅋ k댓글ㅋ
@임준영-x6k8 ай бұрын
@@ana_sarca😂
@josephp91418 ай бұрын
멍거도 진짜 간소하고 살던데
@jisunginc8 ай бұрын
6:29 공감합니다. 상대평가, 경쟁심리 이게 어렸을 때부터 치열하다보니 성인되서도 순위에 집착하고 남들과 비교하고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기업들이 마케팅 할 때도 늘 빠지지 않는것이 판매량 1위다 브랜드 1위다 등등.. 그러니 절대적인 본인만의 행복기준보다도 남들이 나보다 더 잘 나가면 불행하고 스스로를 더욱 채찍질 하는 것 같습니다.
@IlIlIlIlIlIl-w8f6 ай бұрын
40대 중반 연봉 중위 값 5800만원 40대 평균 연봉 6400만원 30대 중반 연봉 중위 값 4700만원 30대 평균 연봉 5300만원 연봉 8천이든 1억이든 세금 띠고나면 똑같이 서민임 ㅋㅋ 부는 세습이지
@차차로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단기간 내 큰 발전을 이룩한이유 : 비교 대한민국이 초단기간 내 망해가는이유 : 비교
@재하-k2q7 ай бұрын
비교를 거꾸로하면 교비임
@MNBN877 ай бұрын
@@재하-k2q 어머나 그런 비밀이.
@님-s6o5 ай бұрын
정곡..
@옹뀨-w7c4 ай бұрын
@@재하-k2q재미도 감동도 없누...
@김씨-j6z8 ай бұрын
와 상류층이 돼도 대부분 여유가 없다고 생각하며 산다는거 아냐.. 돈이 인생의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가 맞나봄.. 진짜 어렵다
@user-MelonGongwon8 ай бұрын
플래그십 스마트폰 2~4년에 한번씩 교체하고 외식,배달도 간간히 먹고 기회되면 여행도 가끔 다니지만 난 어렵고 하층이야! 가 되어버린 대한민국.. 솔직히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진짜 머리 세게 맞은 기분임... 우리 대다수가 무난하게 잘 살고 있던거였어
@Fbbaa278 ай бұрын
그렇긴 함.. 아마 1조는 있어야 좀넉넉하게 산다 생각할지도. 1000억으로도 분산투자? 재산 분산해놓고 쓰면 그렇게 재벌처럼 펑펑쓰면서는 못 삼. 왜냐면 200억정도만 예금 넣어놓는대도, 3% 해봤자 6 억. 세후 3.3억? 그걸로 건물 보유세내고, 한남더힐? 보유세내고. 보험금내고 외제차량유지비..에 기사가정부 1년 내내 딸린 생활 절대 못함. 해외여행? 갈 수야 있겠지 며칠? 퍼스트 타기 힘듦. 국내 호텔 회원권? 끊고 수시로 바꿔가며 한끼 수십, 백단위 식사? 일주일에 한번은 가능. 명품? 몇달 모아서는 가능할지도. 평소 피부, 체형 건강 관리받고. ..4인가족 기준으로 연 최소 5억은 들 듯. 아껴야 함 . 자산 1000억이 아니라, 불어나는 돈이 매년 세금 낼 거 다내고, 생활비 빼고 10억은 남아야... 돈걱정 거의 안하고 사는 거 아닐까.. 혹 건물월세나 땅, 주식 투자. 소득있대도. 그냥 사업으로 매년 일정수익 많은 게 최고일지도..
@pacli42308 ай бұрын
상류층 되면 머하나 마음은 하층...우울증에 스트레스만 받을걸
@비야-k4z8 ай бұрын
돈은 버는만큼 쓰다보니 여유가 없는겁니다
@jgl30928 ай бұрын
근데 몇십억 아파트를 갖고있어도 월급이 충분하지않으면 그렇게 생각하지 애초에 부동산이 저 마인드를 가속화시킨거임
@yjj28268 ай бұрын
'하층은 나의 고려 대상이 아니다'....진짜 그런거 같습니다. 우린 아래를 보질 않아요. 위만 쳐다보고 있지. 동동쿤 월급 좀 되는군요 ㅋㅋㅋㅋㅋ
일단 하층 무시가 개심함. 상식적으로 다른 집 애한테 아파트 어디냐 친구하지마라 그런 문화가 있다는 것 자체가 경악스러움.
@seouldot8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중산층 끝자락까지는 인간이 아니죠
@nobro1428 ай бұрын
외국은 더 심해요 한국정도야
@Shark-pm9bj8 ай бұрын
그런 분들은 대게 비슷해서 그래요..
@김민석-f9f8 ай бұрын
@@노래하는푸린-k7m아이러니하게도 저 동네 사는 애들이랑은 친구 하지마라라는 말이 나올 수 있는건 그 둘이 같은 학교를 다닐 수 있기때문임 격차 심한 나라들은 애초에 그 둘이 같은 학교를 못다님
@officialgaak8 ай бұрын
인성교육을 못받아서 못만나게 하겠지
@ramsado8 ай бұрын
다들 자신들 하층이라고 하지만 여름 성수기 좀 괜찮은 펜션(1박에 6-70만원하는) 예약하려고 하면 예약이 풀로 차있죠 ㅋㅋㅋ 신기한 나라 나빼고 다 돈많은거 같아 ㅋㅋ
@kharjo_takealook7 ай бұрын
애초에 공급이 적은거 아닐까요
@하얀오크-r3c7 ай бұрын
그런거 같습니다.. 저도 근로소득만 따지면 상위 10프로 안에는 무조건 들어 갈텐데 머 하나 사고 어디 갈 때마다 와 가격이 이게 맞아 하면서 부들부들하는데 다 매진이고 품절이고.. 다들 어디서 그런 돈이 나는건지..
@tkdj7587 ай бұрын
@@kharjo_takealook 공급이 문제가 아니고 그런 사람들이 존재한다는거죠. 월 200~300 벌면서. 생각보다 팬션 오시는분들 막 연봉 5천씩 받는 부자들 아닙니다. 젋은 사람들도 많은데요 뭐.. 이미 중산층이 많아요.
@3040_Liberalism7 ай бұрын
펜션 호텔 좀 저렴하지만 장비가 개비싼 캠핑장 예약 안꽉차는데가 없음
@kimchiman517 ай бұрын
시간이 지나면 축적된 자산으로 보면 통계가 맞습니다 ㅋㅋ 지금 당장 안보여서 그렇지
@iiiilllii-e8l7 ай бұрын
기초생활 수급자들 인당 월 70정도 가져감 각종 세제 혜택까지 받음 80~90정도 됨 맨날 와서 하는 소리가 최소 150은 줘야되는 거 아니냐고 나라가 자기한테 해주는게 뭐냐고 하소연함 의료 혜택은 엄청나서 주 5일 물리치료 다니고 시술도 많이 받음 저 중상층 끄트머리인 사람들은 회사에서 다쳐도 산재처리도 못받고 시술비도 없어서 병 키우다가 백수됨 필요할 때 도움을 거절받은 경험때문에 손 내밀어도 도움 거부함 몸 쫌 괜찮아졌다고 돈 쫌 벌면 바로 수급자에서 제외됨 쫌 살아보려고 하는 사람들을 지원해줘야 하는데 알콜중독자 범죄자 부정수급자들 지원해주는데만 초점 맞춤 중산층을 위한 정책은 없는거 같음
@kimchiman517 ай бұрын
복지 기생충이라고 하죠
@이승호-u2t5 ай бұрын
근로장려세제
@정설지시메5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도 있지만 기초생활수급자들 대분이 그렇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임. 일 하고싶어도 못하는 등 그런 사람들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정책이지 다 그런것도 아닐뿐더러 이에 해당하는 사람들 숫자는 전체 인구에 비해 적음.
@josephp91415 ай бұрын
@@정설지시메전체인구에 비해 적은거지 노동인구에 비교하면 많음. 맨날 유럽형 복지 선진국가 말하면서 의료, 전기, 수도 막대한 손해보면서 아예 지송석 생각 없는거보면 걍 망하는게 답. 적자는 맨날 조상이 매꿔주나봄 ㅋㅋㅋ
@LSH_23799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중산층 지원을 늘려야지 복지 자체를 줄여버리면 안되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세금이 돌아오는걸 체감 못하는데 실질적으로 세금이 나를위해 쓰이고 있다는걸 여러 계층이 알수 있게 해야 함. 유럽처럼.
@탐욕절제의신8 ай бұрын
순자산 4억이아니고 2.4억임. 4억은 평균값 중위값은 2.4억 근데 이것도 가구당임. 가구당평균인원은 2.3명. 우리나라에서 1억이라는 돈 ..? 굉장히 큰돈임. 근데 유튜브들어오면 개나소나 1억 10억 100억 노래를 부르니 사람들 현실감각 무뎌지고 허무감만들고 일할 동기도 사라지는거.
@kudssa76668 ай бұрын
그돈으로 집 못사잖아 ㅋㅋㅋ
@탐욕절제의신8 ай бұрын
@@kudssa7666 집을왜사야됨? 정작 부자들은 전월세산다 ㅋㅋㅋ 유재석도 얼마전까지 전세였음 부의 증식은 부동산으로 하는거 아니란다 꼬마야
@행복투성이-f8i8 ай бұрын
아 난 주식에 1억 흐르고있음 진짜힘들다
@catpoor8 ай бұрын
1억이 뭐 큰돈이야? 1억이 큰돈이라 느끼는 사람은 직장인 밖에 없어
@sick22638 ай бұрын
@@catpoor1억이 큰 돈이지 대다수가 직장인인데
@seowonwoo6128 ай бұрын
몸 안아프고 건강한 두다리로 여행 다니며 소소하게 맛집가서 사진 한두장 찍을수 있는것도 큰 행복입니다.
@Meerkat178 ай бұрын
진짜 맞아요!
@기타쌤8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사실 이재용이 부럽지가 않습니다. 내 밥벌이 할 능력 있고 나 자신을 위해 쓸 시간이 있다는 거. 식당에서 메뉴 고를 때 가격 신경 쓰지 않을 정도의 여유. 그리고 건강. 누구도 부러울 게 없죠. 차근차근 내 자신을 위해 쓴 시간을 적립하며 추억을 쌓아가는 중입니다.
@Nayeri_run8 ай бұрын
큰 행복이쥬.
@seowonwoo6128 ай бұрын
@@darkgeobong 댓글 다는게 뭐 어때서?
@djdhfxbzw8 ай бұрын
@@darkgeobong긁?
@mo_iro8 ай бұрын
적당히 잘 먹고사는 사람들이랑 얘기할때마다 느껴지는 위화감이 이거였음. 자기가 못산다고 생각함. 내가 살아오면서 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끼니 걱정을 하는데, 30대에 건강이니 메뉴니 고민하고 대출낀 자기집에서 차몰고 다니면 충분히 중산층인 것 같은데도 자기가 가난하다고 생각하더라. '끼니 걱정할 정도면 진짜 못사는 사람들이잖아'라고 생각하고 뇌에서 제외해버리는 것 같은데, 그 '진짜 못사는 사람들'도 다 우리나라 국민이다.
@여행마니아-t9e8 ай бұрын
울 부모님도 위례에 13억짜리 빚 없이 가지고 있고 현금도 적당히 있고 자동차도 적당히 준대형 타는데 늘 기업체 운영하는 사장이나 변호사 화이자 다니면서 연 5억 버는 친척누나 이런 부류 보고 서민이라 하심.
@hohomommys8 ай бұрын
내가 끼니걱정하고사는데 내 이야기하냐?
@찌누찌누-v4f8 ай бұрын
대출을 많이 껴서 그래요 ㅠㅠ 분명 괜찮은 환경 사는데도 원리금이 크니 여유롭진 않음 ㅠㅠ 오히려 빵구나는 달도 있으니 ㅋㅋㅋ
@yongtae-chung8 ай бұрын
능력주의에 빠진 나라라 그런가 아닌가 싶네요. 나는 노력해서 이 정도는 하는데, 밥 굶는 사람은 그 노력도 안한거 아니야? 라며 근본적으로 무시하는 풍조가 있는거죠
@jamespark_8 ай бұрын
@@여행마니아-t9e뇌가 어떻게 된거아님? ㅋㅋㅋㅋ 아님 지어내다가 급하셨나. 13억짜리 집 사는 사람이 연5억 버는 사람한테 서민서민거리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theKaye048 ай бұрын
까 놓고 말하면 형평성을 중요시하는 건 아니지 본인한테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형평성이라는 명분을 앞세우는 것 뿐
@user-rmsidv1rhs8 ай бұрын
ㅋㅋㅋ ㄹㅇ 사회 제도나 구조가 그렇게 보이도록 짜는 거지 수시 도입의 이유를 생각해보면 ㄹㅇ 일반인들 눈에는 모난돌일지 몰라도 그런 사람이 나와서 해줘야 본인들 먹을 파이를 늘려줄텐데 어떻게든 공짜로 이득을 취하고 싶으니 ㅋ
@하하호호-p9y8 ай бұрын
금투세를 반대하는 이유가 사다리를 끊는다는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시장을 먼저 보호/육성하고 그 안에서 세금을 거둬야 맞지 주주 권리 보호는 나몰라라 개차반이고 아몰라 세금 거둬야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무식한 발상에 화가 나는 겁니다. 소액주주 1주의 권리 = 대주주 1주의 권리가 같은 게 당연하고 주가 조작/주식 사기/횡령/배임 등의 죄에 무겁게 형을 내려야 그게 글로벌 스탠다드 인데... 이런 주주 보호 그리고 시장 보호 없이 금투세만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발상으로 들이미니 표퓰리즘의 재원 마련을 위한 허울 좋은 명분 뿐 이라는 생각에 더 화가 납니다.
@junghee-y2b8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sugo15228 ай бұрын
대만 금투세 시행하다가 증시 40퍼증발 울나라도 시행되는순간 나락 확정
@janicelee92287 ай бұрын
민주당이 금투세 밀어붙이고 있잖아요. 그것도 모르고 그렇게들 뽑아주는지. 계층 사다리 끊어놓는 건 죄다 민주당 때 한건데.. 계층고착화 시키는게 바로 사회주의입니다. 유럽가면 다들 엄청난 세금으로 고만고만하게 살죠. 계층이동은 꿈도 못 꿉니다. 수백년간 이어져내려온 귀족가문은 그대로고요~
@ankoya77777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김도성-f6b7 ай бұрын
@@janicelee9228강남좌파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원래 민주당 지지자들은 돈 많은 사람들임 민주당 정책 자체가 부동산 상승 + 최상위 계층 기업한테 세금걷기인데 그럼 이득 보는 사람들이 어중간한 부자들이고 그 사람들이 민주당 지지자들 여기에 선동 당하는 진짜 서민들은 뇌가 없는거고
@임준영-x6k8 ай бұрын
하층민의 존재를 느낄일 없으니 내가 하층민이라 생각하는걸지도 모르겠음 정말 못사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결코 드러나지 못하는게 우리사회라. 슈카님 말씀처럼 빈민가 있는것도 아니고 있더라도 밀어버려버리고 임대아파트면 칸막이 쳐버리고
@박준식-z2k8 ай бұрын
장애인도 전용 시설가면 엄청나게 많죠. 그들을 사회에서 배제시킨채 살아가서 체감을 못할뿐. 갈수록 노산이 늘어나는 만큼 반드시 이 부분에 대한 인식개선과 토론도 늘어나야 할텐데 참..
@useeeeeeee8 ай бұрын
인정합니다 사회 문화 자체가 장애인, 빈민 등등 약자분들은 길거리에 나오지도 못하게 만들어놓고 주변만 보면서 나는 아직 하층민 ㅇㅈㄹ
@JaeM-t2j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주거안정성이 좋아서 대부분 깔끔하게 씻고 다니니 가난이 대놓고 눈엔 안 보임ㅋㅋ
@molcang38078 ай бұрын
@@JaeM-t2j 우리나라 하층민들이라고 못씻고 다니거 굶고 다니는건 아니라 겉으로보면 그냥 평범함.. 근데 뒷배가 아예 없는거임
@RtaheDo8 ай бұрын
@@molcang3807거지들이 뒷배가 있으면 안되지 ㅋㅋ 폭동일으킨다
@Hermit19208 ай бұрын
사실 고연봉자들이 중산층이라 느끼는 이유는 명확함. 세전 1억을 벌어도 세금떼고 남은돈으로 가계부 짜보면 '사치'할수있는 금액은 연봉 5천이랑 아주 많이 차이 안나거든. '나는 연봉 1억버니까 니들이랑 완전 다른 생활을 할거야!'하고 막상 가계부 짜보니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완전 격이다른 생활이 안되니까 '아 난 중산층이다' 느끼는거임. 드라마같은데서 나오는 상류층의 삶 이런거는 노동소득만으로는 어지간하면 불가능함 ㅋ
@여행마니아-t9e8 ай бұрын
그래도 대기업 다니면 스톡옵션으로 상류층 올라갈수 있는 기회가 생김.
@Hermit19208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금융소득을 늘리자니 그만큼 투자가 필요하네? 그럼 저축을 많이 해야겠네? 내 대에서는 드라마에서 보던 꿈에 그리던 생활이 불가능하네? 아 내가 중산층이다 가 되는거임ㅋ
@매일매일-o5q8 ай бұрын
ㄹㅇ 세금이 많아서 막상 떼보면 현타올때 있음. 그래서 오히려 욕심이 점점 낮아지고, 그냥 적당히 살자가 되더라구요
@Hermit19208 ай бұрын
자신과 남이 다르지 않다는걸 인정하면 편함. 자꾸 내 옆에있는 사람과 급을 나누려하니 자기 능력 이상의 욕심을 부리게 되고 파멸하는거임. 난 그냥 내 가족과 행복하게 살고 내 취미 즐기는 생활이면 충분히 행복하다.
@SHOT0912-d4k8 ай бұрын
서른에 세후 연봉 1억씩 받는다쳐도 아껴서 1년에 7~8천은 모으겠네요 15년모아야 대출없이 집삽니다. 정년까지 죽어라 일해서 결혼 육아 노후대비 해야됩니다. 위 사람이 30~40대면 자기자신이 중산층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알것같아요 물가가 미쳤거든요
@aris4rum8 ай бұрын
외국 선진국 평균 생활수준이 어떤지 매체에서 알려줄 필요가 있음. 20대~30초반에 세계 몇등 안에 드는 거대도시에서 번듯한 아파트 자가로 가지고 30후반~40초반엔 애를 상급 사교육 시설에 보내고 50대엔 자본소득으로 경제적 독립을 이루고 90세까지 돈 걱정 없이 살고 이런걸 중산층이 할 수 있는 나라는 없음.
@emperor681888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공감... 10여년전에는 한국이 선진국의 수문장 한다는 소리했는데, 그것도 이젠 옛날얘기임. 지금 한국은 스페인, 이탈리아는 씹바르고, 프랑스 정도는 되는 생활수준을 누리고 있음. 저출산이고 뭐고 해결할려면 한국 사회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해야 하는데, 거기에는 한국인들이 현실인지를 하는것도 포함됨.
@djsksoddjk8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KBS 뭐하냐 이런거나 기획해서 보여줘라
@user-xz2xz8py5z6 ай бұрын
@@emperor68188아님 이탈리아랑 비슷한 수준임
@tedjung993 ай бұрын
@@user-xz2xz8py5z평균소득은 한국아 이탈리아랑 비슷한데… 가처분소득은 일본, 프랑스 씹어먹습니다. 1인당 GDP를 너무 믿지마세요. 대만은 통계적으로 한국보다 잘사는 나라입니다. 근데 대졸자 평균 월급이 80만원입니다. 즉, 생활수준은 한국보다 훨씬 떨어지죠. 물론 한국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부채)에 물려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거르고 봐야겠지만, 일본이랑 비교하면 한국이 근소우위 수준이 아니라 무려 5천달러 가까이 차이납니다. 생활수준은 전세계에서 한국보다 잘사는 나라가 거의 없어요.
@KwonHyeongSeok3 ай бұрын
@@tedjung99ㅔㅜ
@jeeonbae58897 ай бұрын
수능도5등급을 평균이라 안보는거랑 비슷한것 아닐까요. 공부를 솔직히 아예안해도 나오는 789 제외하면 3~4등급이 사실상 평균처럼 느껴지는것 처럼요
@오G7 ай бұрын
맞죠 허수는 빼야죠
@장민석-f1b3 ай бұрын
@@오G공부는 안해도 먹고살순 있지만 경제적 하층도 살아가는 사람이니 허수가 아니죠
@김낙-x5c3 ай бұрын
@@장민석-f1b경제적 하층중에 노력하는 사람의 비중이ㅜ낮은걸 생각해보면 허수는 빼고 보는게 맞음
@장민석-f1b3 ай бұрын
@@김낙-x5c 분명 하위층에 노숙자같이 삶의 의지를 놓아버린 사람들도 있는건 사실이지만 가정형편 안 좋아서 교육 못받고 할 수 있는게 저임금 노동 밖에 없는 사람 사업하다 망해서 빚진 사람 등등 살기는 열심히 사는데 평균보다 못사는 사람들도 있음 님이 아무리 노력해도 더 좋은 대학 더 높은 임금 더 좋은 직장가기 힘들었던 것처럼 계급이동의 사다리가 오르기 힘들단건 그사람들 한테도 적용됨 그 사람들도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요
@김낙-x5c3 ай бұрын
@@장민석-f1b 공장에서 일도 해보고, 알바만 10개 넘게 해봤는데 하위권 사람들 중 열심히 산다라는 감상을 받은 적은 한번도 없음 물론 정말 노력하는데 위로 못 올라오는 사람도 있겠지만 상당수는 노력을 안함 789등급이 노력하는데 5등이 못나올 수 없는 것 처럼 저축도 안하고 매일 소비만 하던데
@박아재-l4j8 ай бұрын
국가가 개인의 노후를 책임져주지 않는다는 의식 때문인 거 같음. 그러니까 통계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본인의 인생을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 때문에 돈을 더 벌어야 한다고 의식이 강한거 아닐까요? 사회 인프라가 잘 마련되어 있을수록 경쟁과 돈에 대한 집착이 완화된다고 들었음
@Sue-sk6 ай бұрын
맞아요 사회적 안전망이 빈약하기 때문에 한순간에 나락에 갈수도 있으니 불안해서 만족을 못하고 불행한거 같습니다
@ga58353 ай бұрын
아니야 그냥 한국사람 본성임 우리나라보다 사회보장 못한 나라들 지천에 널렸음
@Yalien2618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서울대, 삼성자산 정말 탑급 교육, 커리어 가졌던 슈카 형님이 사회 약자 계층, 사회 전반을 돌아볼 수 있는 주제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늘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중산층이고 최상층이고 결국 행복하게 살려고 하는건데 행복을 밖에서 찾을려 하지 말고 안에서 찾을려고 해보는게 어떨까요. 찢어지게 가난하신분들은 당장 오늘내일이 걱정인데 적어도 이런분들 아니시면 하루하루 감사하며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의 행복을 위해 내가 뭘 해야될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보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영보용8 ай бұрын
나도 롤하면서 느끼는건데 아무리 올라가도 다이아는 되야 사람 취급한다는 소리가 너무 많이 나옴 ㅋㅋㅋ 근데 에메랄드만 해도 상위 10% 쯤 되는데 거기도 사람같이 겜 안한다. 계속 올라가야 된다란 이야기를 너무 많이 들음. 그러다가 못 올라가서 스트레스 받고 이게 돈으로 하냐 아니냐 차이 밖에 없음. 대한민국은 어디든 너무 올라가는 거에만 집착을 하는듯.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올라가면서 행복한 것도 아냐. 그냥 올라가는 거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 힘들기만 함. 그래서 아예 포기하고 난 그냥 하층으로 살련다란 정신승리를 하면서 분탕을 치거나(안 치는 케이스도 있음) 뭐든 올라가는 게 목표가 된 괴물이 되거나 둘 중 하나임. 진짜 롤 골드만 찍으면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순간 에메랄드를 찍어도 맨날 3-4티어라고 분해하고 스트레스 받는 내 모습이 한탄스럽더라. 뭔가 인정을 해줘야 되는데 진짜 잘하는 사람만 인정 받으니까 거기가 중간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듯. 서로 인정 안해주고 까대고 그러니까 그 까이지 않는 선까지 가야 그제서야 좀 만족하는 삶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보용8 ай бұрын
@@kimchiman51 그건 맞는데 어느정도 선이란 게 있어야지. 그냥 그렇게 무한경쟁하면서 불행할거면 사는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무한경쟁은 할 수 있는데 행복하게 경쟁해야지. 아예 포기하고 신선노름하지 않는 이상 불행하기만 하는 건 좀 인간답지 않은 삶이지요.
@reallife000008 ай бұрын
롤은 ㅋ나 던짐 이게 가능하지만 현실은 안되자나요.. 여긴 실전입니다. 전세살고 월세살면서 그냥 먹고살수 있죠. 솔직해집시다. 남들 해외여행가고 한우먹고 비싼 차살때 걍 분수에 맞게 그걸 인정하면서 살면돼요. 우리가 60년대 사람들처럼 굶나요? 고기가 없어 안먹는게 아니라 좋은 고기먹을라니까 먹을게없죠. 분수에 맞게 삽시다. 분수를 키울라면 ㅋ나 던짐 이게 아니라 남들처럼해서 올라가던지요. 요지는 티어에 맞게 그릇에 맞게 만족하면서 살라는겁니다.
@DsKim_8 ай бұрын
근데 살다보니 웃긴게 낮에 운전하다보면 사람들 운전실력이 롤티어표에 비례함.... 진짜 운전실력 아브실급+골드하위급 선생님들 도로주행 하는거 개열받음..
@더네이처8 ай бұрын
차이 많이 나는게 사실임 ㅋㅋㅋㅋ 돈도 그렇고. 누가 강제로 올라가라고 한 적 없음. 교육의 문제라고 봄.
@JaeM-t2j8 ай бұрын
마빵단이란 밈도 생겼어ㅋㅋ
@Sari379-j9o8 ай бұрын
50되고 암선고 받는순간 무의미해지고 마음의 여유가 생기네요 요즘은 차사고 놀러다니는데 관심생기고 주식 부동산 신경도 안씀 생존율 50%는 운에 맞기고 3개월마다 쫄면서 병원가네요 ㅎ
@수저엉7 ай бұрын
제 부모님뻘이시네요... 꼭 쾌차하시길 바라요
@minimoni45486 ай бұрын
맞아요ㆍ너무 공감되네요 꼭 건강되찮으시길 빌어요
@dora73256 ай бұрын
건강하세요
@achates8658 ай бұрын
셜록현준 채널에서 그런말 하던데... 우리나라 도시 구조는 상류층과 하류층의 동선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고. 다양한 계층이 서로 섞이질 않음. 심지어 아이들 놀이터도 어느 아파트 몇 동에 사느냐에 따라 출입 금지하기도 함. 그리고 도시 내에 공짜로 머물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적다고 함. 어디 가면 카페 등에서 돈내고 들어가야 하는데, 카페도 급이 있음. 비싼 카페, 저렴한 카페... 근데 이마저도 정말 가난한 사람들은 거리에 보이지도 않음. 집 안에만 있지 밖에 안 나가니까.(나가면 다 돈임) 이걸 영상 내용과 연결 지어 생각해보면... 하층민은 고려 대상도 아니다 -> 정말 가난한 사람들은 나가면 다 돈이니까 거리에 보이질 않음 중산층은 하층, 상층은 중산층으로 인식한다 -> 사는 지역, 평소 거니는 동선상 계층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섞일 일이 별로 없음. 강남 한복판에 살면 그 동네는 다 부자니까 자기가 평범해 보임.
@wlsgud894 ай бұрын
왜 섞여야하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냥 안섞이는게 더 좋은거같은데
@thewanderer-r1w4 ай бұрын
@@wlsgud89 그래야 서로를 이해하니까요
@wlsgud894 ай бұрын
@@thewanderer-r1w이해가 될까요..?? 이미 그 선은 넘었고 사실상 불평등을 받아드리지 못해서 우리나라가 자꾸 퇴보하는거라고 봅니다... 오히려 박탈감이나 느끼지 이해는 되지 않을거같아요
@thewanderer-r1w4 ай бұрын
@@wlsgud89 서로 만나서 이야기도 하고 그러면서 다른점은 있지만 이사람도 나와같은 사람이구나 이런걸 느끼게 되는데 멀찍이서 뉴스로만 접하면 악마나 다름없이 느끼죠
@놀고먹고자는놈8 ай бұрын
비교를 안하는 순간 행복해 지는거 같아요 남의 삶보다 본인이 즐거운걸 찾고 만족하면서 살면 행복해요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하루하루 일해서 돈벌고 그 돈으로 치킨, 맥주 먹으면 그게 곧 행복이지 돈이 많아야만 행복인가? ㅋㅋ 제발 개천에서 용나려 하지 마라. 자기 분수에 맞게 좀 살자. 서민답게, 소탈하게. 그것이 곧 행복.
@seonjoongjeong55168 ай бұрын
여자들 모여서 맨날 비교하고 그런 여자들을 와이프로 두고, 그런 와이프가 자녀를 키우기 때문에 더 악화되고 변화하기 힘듬 정치인들 표 얻는데 애쓰지말고 교육 시스템부터 다시 바꿔야 함
@TransparentUmbrella8 ай бұрын
그럼 정말 아무것도 안하고 살겠다는거네 물론 그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내가 남들보다 나은 점을 매일같이 비교하지. 남들이 본인보다 좋은 점은 비교를 안 하면서 산다고 하고 말이야
@놀고먹고자는놈8 ай бұрын
@@TransparentUmbrella 인간관계를 최소화 하고 본인 위주로 살면 되지 않을까요? 알바만 해도 먹고사는 세상인데
@TransparentUmbrella8 ай бұрын
@@놀고먹고자는놈 말 그대로 아무것도 안하는 히키코모리마냥 사시겠다는거죠
@galaxychoi3378 ай бұрын
집을 버라볼때도 똑같습니다. 서울의 50프로정도가 아파트이고 40-50프로는 빌라 다세대등등인데 아파트 미만은 아예 집으로 안치죠. 아파트를 기본으로 놓고 강남 아파트와 노원 상계의 중간인 마포 동작 성동 등등의 상위입지 아파트를 중간으로 생각하니 불행해 지는것 같습니다. 갈 수 있는 사람 몇안되는데 모두가 박탈감을 느끼는거지요.
@yimdongjoo4427Ай бұрын
아뇨 그 빌라로 따져도 뒤지게 비쌉니다...
@lll_Puremind_lll8 ай бұрын
사람 심보라는게 “내가 잘살면 뭐하냐. 저놈이 더 잘사는데 ! ” 이런 심보가진 사람들이 많아서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하현준-d7u8 ай бұрын
거꾸로임. 자기보다 못사는사람 깔보는데서 시작함.
@성이름-e9t3s8 ай бұрын
@@하현준-d7u깔보는게 가장 큰 듯
@랄라라-l5r8 ай бұрын
반대인데 ㅋㅋㅋㅋ
@스비드리가일로프8 ай бұрын
@@하현준-d7u 와 철촌살인 지렸습니다
@GwangMo8 ай бұрын
내가 잘살면 뭐하냐가 아니고 "저놈이 나보다 더 잘사는데 내가 잘산다고?" 이게 맞는듯 ㅋㅋㅋ
@m.a.b.1678 ай бұрын
12:00 제가 연봉 9천정도인데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중에 1명인데, 그만큼 빚이 있고, 부모님 용돈 드리고 월세 내고 뭐 하면 진짜 아끼고 아끼고 살아도 30만원 적금 넣기도 너무 힘듭니다. 같은 연봉 9천 버는 사람들이라도 본인 상황에 따라 생각하는게 좀 다르지 싶습니다.
@mywaylion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누구나 최고가 된다면 그건 최고가 아니죠. 하지만 나도 모르게 최고가 되지 못 한 자신을 불만족스럽게 여기고 있네요… 지금이라도 최고가 아닌 게 자연스럽다는 생각으로 살아가고 싶습니다
@vnfma78 ай бұрын
8:55 하 니르크스 매력 미쳤다
@뇌정지각8 ай бұрын
난 3인 가족의 지표로보면 중산층인데 ㅋㅋ 상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ㅋㅋㅋㅋㅋ 뭔가 자의식 과잉인가 싶기도한대… 생각보다 스트레스 안받고 뒤끝없다는 얘기 들은거 돌이켜보면 이렇게 사는게 행복한건가 싶네요? ㅋㅋㅋㅋ
@Shark-pm9bj8 ай бұрын
자신이 사는 삶의 질이 높다고 생각되면 그게 좋은 삶 아닌가요? 남 눈에 '높아보여야' 하는 삶이 지옥아닐까요
@Sosunf8 ай бұрын
나도 중산층!
@스-노우-맨8 ай бұрын
계속 여태 했던 것처럼 살면 될 듯요 굳굳
@sankim91238 ай бұрын
멘탈은 최상류층이시네요, 부럽습니다!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서민은 서민답게 좀 살아라. 자신의 그릇과 운명이 있는거다. 꼭 위로 올라가려 남을 짓밟지 좀 말고 분수에 맞게 소탈하게 살아라.
@GomdoriPooh887 ай бұрын
와… 마음을 울리는 강의네요. 가족건강하고 월급따박따박 받아서 알콩달콩 사는 행복에 대해서 다시금 돌아봅니다. 나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
@vinty9624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죽을 때 까지 경쟁하고 비교하면서 살아야될 국가임..
@은쿨루8 ай бұрын
나는 다들 그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가 결국 피로사회이기 때문인것 같음. 상류층들도 몸과 시간을 갈아넣어서 벌고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게 아닐까 생각함. 여기에 뒤쳐지는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국민성향과 돈이 행복의 기준이 된것도 한몫 하는것 같음
@JaeM-t2j8 ай бұрын
2:00 ㅋㅋㅋㅋ 동동햄 쎄다 쎄 사장님 너 상층?
@SarkMin8 ай бұрын
결국 핵심은 욕심이죠. 돈을 얼마나 버느냐 ! 자산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 ! 이것은 중요한게 아닙니다. 내가 얼마나 소비하기를 욕망하느냐 ! 이게 중요한겁니다.
@하바나-d1u8 ай бұрын
진짜 많은걸 생각하게 만드네요.... 이렇게 살면 내 미래가 깜깜하다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나는 이미 중산층이었다 라는게.... 그래도 앞으로도 노력은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불행하게 노력하기보단 행복하게 노력해야겠어요
@djsksoddjk8 ай бұрын
맞아요 어제보다 성실하고 똑똑한 내가 되기 위해서 노력. 남들이랑 비교하기 보다. 늘 즐겁고 밝게.
@hand로만8 ай бұрын
우리집도 수치상으로는 재산상으로나 소득으로나 상위10퍼 정도는 되는데 느낌상으로는 이제 막 하층을 벗어나서 중산층이 된 느낌. 생필품 옷도 싼거만 사쓰고..명품은 안산지 오래고. 다른사람들은 다 여유가 있어보이는데 우리집은 그닥 여유가 없음. 그나마 중산층이라 느끼는 이유는 원할때 해외든 어디든 여행을 갈 수있다 정도.. 물론 가성비로.
@나무오렌지-i7p8 ай бұрын
슈카는 좋은 사람, 좋은 어른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인듯
@Sdghcbjl8 ай бұрын
인정
@참이술-l1b8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죽을때까지 일만했었는데 이제는 죽을때까지 경쟁만 할 팔자네...본인이 만족 못하면 평생 경쟁 해야지 별수없죠...
@마음비움강철멘탈8 ай бұрын
본인 탓이죠
@더네이처8 ай бұрын
안해도됨. 누가 강제로 안 떠밀었다
@yunadoraemon8 ай бұрын
@@더네이처못됐음
@윤-w9e4r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굳이 노력 안하고 워라밸 챙기면서 일해도 평생 혼자 13평 임대주택 오피스텔 살면서 평소에는 서민음식만 먹고 가끔 취미활동하거나 맛있는거 먹으면서 혼자 죽으면 경쟁 안해도 됩니다 근데 그러기 싫어서 노력하는거죠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가재, 붕어, 개구리들은 개천에서 살아도 모자람이 없을텐데 왜 용이 되려 하는가. 자신의 현 위치에 만족하고 올라가려 애쓰지 마라. 서민은 서민답게. 소탈함이 곧 행복.
@markeffee8 ай бұрын
저는 수입으로는 상층인데 자산으로는 하층이네요. 버는거 자체는 주위에 비하면 잘 버는편 맞는거같은데 이것도 결국 근로소득이고 좀 번다 싶으니까 세금으로 와바박 때가고, 그렇게 세후로 남은 돈 꾸역꾸역 모아서 몇억짜리 아파트를 사야 중산층,,, 쉽지 않음,,, 자기 벌이로는 평범한데 서울 아파트 하나 물려받은 애들을 못 이긴다는 생각이 팍 드네여...
@adt1188 ай бұрын
저두요. 30대 중반에 수입은 월 천 언저린데 재산은 집 사정으로 0인데 중층이라고 하기에도 부끄럽네요
@user-uskxnfiw7298 ай бұрын
부동산세를 늘리지 않으면 해결이 안돼요. 미국 텍사스 집값이 싼게 부동산세가 무려 3퍼센트 가까이 되어 그렇습니다. 10억집이면 일년에 3천만원 가까이 낸다고 생각해 보세요. 물론 이건 극단적 예이지만 우리나라도 어느정도 세율을 정상화하지 않으면 집 값은 영영 안돼요
@준표형이최고야8 ай бұрын
@@user-uskxnfiw729 본인이 집 2채가 있었으면 3프로나 떼간다고 할테죠. 쓸데없는 정부 지출을 줄이고 세금도 줄여야 살기 좋습니다
@leeaf78 ай бұрын
ㄴ 미국 재산세가 3%인곳은 없어요. 높다고하는 뉴잉글랜드 주들도 1.5-2%대입니다. 하지만 실제 재산세가 한국보다 많다는건 동의합니다. 평균적으로 말씀하다시피 1000만원 언저리니까요. 서울의 10억 넘는 아파트 재산세가 어떨지 모르겠네요.
@atlantisssssssss8 ай бұрын
많은 경우 현재의 "서울 아파트 한채"는 과거 누군가가 평생을 일해 모으고 축척한 자산의 결정체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고작 몇년간의 노동력과 그 가치가 같을수는 없겠죠.
@건훈이-t3c8 ай бұрын
자산없는 부모 밑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전문직까진 못 하고 대기업 금융권 정도 취업하면 연봉은 높지만 자산은 없는 상태가 되지. 초봉 5ㅡ7천이어도 집은 못 사니까...결국 급여보단 자산이....
@ねこおうじょ8 ай бұрын
전문직 해도 끌어내려지는데 머 ㅋㅋ 그리고 전문직이랑 대기업이랑 난이도 차이가 얼마나 나는데 ㅋㅋ 이게 진짜 열심히 해본사람만 아는 차이가 커
@ねこおうじょ8 ай бұрын
오히려 공부안하고 대기업이나 들어가도 인생 별반 달라질거없었는데 후회막심하지
@김무선-v5y8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왜 자꾸 자산있는부모 만난 애들을 쳐다보면서 니 자신을 후려치냐고... 그래 그냥 죽을때까지 그렇게 살아라
@자극운동8 ай бұрын
자산도 넘겨주면 졸라 때 감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자기 분수를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음. 왜 꼭 사다리를 오르려 해? 그냥 지금 위치에서 만족하고 잘 가꾸며 살면 되잖아? 왜 올라가려 남을 짓밟아?
@송미-e7e8 ай бұрын
어릴때부터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교육을 안 시킨 후폭풍이 여실히 드러나네
@VELVE-i2l8 ай бұрын
사회적 약자랑 무슨 상관입니까..? 아닙니다. 철저히 해왔습니다. 넌 공부 못하면 저런일 하는거야. 저런집 애들하고 놀지마. 잘 해오셨잖아요...? 뭐가 문제죠? 나는 깨끗하다? 나는 사회적 약자를 안다? 그래서 당신은 사회적 약자에게 뭘 하죠? 나는 안하는데 남은 해야하나요?
@myungseokkang74178 ай бұрын
@@VELVE-i2l뭐래 ㅋ
@zikpzi97598 ай бұрын
@@VELVE-i2l그게 교육 못받은겁니다. 어릴때 교육 선진국가서 배워보니 확실히 알겠더군요. 한국 교육은 후진국입니다.
@SHIN77_778 ай бұрын
@@VELVE-i2l뭐란겨 ㅋㅋ
@45100Pn7 ай бұрын
사회적약자가 바뀔거라고는 생각못했지 어릴땐 노인은 공경하고 장애인은 배려하고 여성이 먼저였는데 이제 노인을 무시하고 장애인은 배척하고 내가 우선인 세상임 근데이건 우리가 배운대로 해서 나온 결과물임 젊고 건강한 남성이 늙고 장애있는 여성보다 지위가 낮은걸?
@lilili1li1lili678 ай бұрын
6:12 이런 분위기가 뭘 하든 있는 것 같음 자기보다 밑에 있는 사람은 안보이고 위에 있는 사람이랑 끝없이 비교하면서 살아가는건 너무 힘들어ㅜ
@irc33498 ай бұрын
소득에 관계없이 인간적으로 서로 교류하면 서로를 이해하게 됨. 현실적으로는 다른 사회계급과 섞일일이 없지만. 어느 계층이나 삶의 명과 암이 다 있음
@officialgaak8 ай бұрын
대화가 안통하는데 교류가 가능함?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부자들의 서민멸시가 도를 넘어섰죠. 제도적 규제가 시급합니다. 부자감세 서민증세 더이상은 못지켜봐주겠어요. 전 꼭 금투세, 기본소득으로 윗놈들 응징할겁니다.
@irc33498 ай бұрын
@@melodysheep2651 부자들이 서민을 어떻게 멸시하는지요? 어떤 제도적 규제를 말씀하시는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여쭙네요…
@melodysheep26518 ай бұрын
@@irc3349 서민들을 대표해주시는 이 대표님을 못잡아먹어 안달인 기득권 엘리트 특권층 부르주아놈들을 보고도 그런 소리가 나오세요? 부자놈들 끌어내려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들 시간입니다.
@irc33498 ай бұрын
@@melodysheep2651 세금제도와 사회복지제도는 누구를 응징하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닙니다.
@co2rktm8 ай бұрын
슈카월드 팀킬하는 슈코믹스 미쳐따
@태수TeasuExcavation8 ай бұрын
슈카형 목소리 들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형이 하는 이야기 들으면서 내가 죽을만큼 힘들어도 조금씩 버텨가고 있어. 나두 잘살아볼게 형도 승승장구 하길 바라며
@user-qh5eu3wt8c8 ай бұрын
위를 향해있는게 나쁜게 아님 아래를 다같이 뜯어먹고 무시하고 인간대접을 안하니 문제지
@Wiuhbd8 ай бұрын
수도권에서 태어나는것도 엄청난 기회지만 주변에 잘사는 사람이 많으니 계속 비교하고 족쇄처럼 끊을 수 없지
@uGreensom8 ай бұрын
최하층에서 중산층 끝자락? 중간?정도 올라온거 같은데 너무 편하고 너무 좋음... 남들이야 어쩌든 어떻게 보든 알빠아님 관심없음... 거의 불가능한 기준을 세워놓고 고통받는건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다. 남들 다 하는거에 왜그렇게 목메는거지 다 하니까 그만큼 떨어지는 사람이 수두룩빽빽하고 실패하는 사람이 많은게 당연한데 안될확률이 높으면 미친듯이 열심히 해보든지 근데 노력할 수 있는것도 재능이라 맘대로 되는것도 아님... 안되면 그냥 상황에 맞게 살면 된다고 생각함 그래도 할것, 즐길것이 넘쳐나는걸... 남들 신경쓰지말고 하고싶은거 하면서 좀 즐기고 살아요... 대한민국 엄청 살만합니다.
@새시-e7d8 ай бұрын
기준을 남에게 맞추면 만족과 행복은 영원히 가까워지지 않는 것 같습니당…
@rlaawlgh12108 ай бұрын
최저시급이 월급200인데 그게 중위소득이라하면 와닿을까요ㅎㅎ?? 하층은 그냥 백수니까 빼고 생각하는거지😊
@돈많은백수꿈-c7b8 ай бұрын
그렇게 기준이 점점 높아지기만 하니까 월1000 버는 사람이 자기가 하층인데 그것도 못버는 사람은 완전 최하층 이라고 하더라
@iehbdnXksj3378 ай бұрын
전에 통계본적있는데 단시간근로자 빼고 알바빼고 진짜 중위소득은 세전 연봉6000이었습니다 OECD기준으로하면 세전 4500~1억2천 사이가 대한민국 중산층이라는거
@mondoski7 ай бұрын
같은 생각입니다. 중위소득이라고 나온 금액이 최저시급이니 와닿지가 않네요. 파트로만 일해야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풀타임 근로자들은 중위소득 얘기할 땐 당연히 풀타임 기준으로 비교하고자 할텐데요
@HayanSnowFlower7 ай бұрын
그 최저시급 꾸준히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빚 없음)이 우리나라 전체의 딱 중간에 위치한 사람 맞고요 최저시급 받고도 빚이 빠져나가지만 전세내고 살아가는 사람도 중산층 맞고요 원룸 월세살이를 하는데도 외식, 배달 먹고 반년에 1번 여행갈 돈이 쌓인다면 그게 딱 하층에서 중산 올라가기 전 / 중산층 중 제일 아래에 위치한 사람들입니다 통계가 그렇고 지표가 그래요 대부분이 이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는 빚으로 시작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erebi83866 ай бұрын
@@iehbdnXksj337 혹시 뭐라검색해야 나올까요?
@dongdongko8 ай бұрын
3:27 화난 사람들이 아니라 래서판다 아님??ㅋㅋ
@dream-kc2nu8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살면서 하층민 상층민들과 거의 같은곳에서 사는 느낌이 들어서 그 존재를 인식했는데 요즘은 사는곳부터가 너무 달라서 존재를 인식 못하고 있는거 같음
@민정채-v8p8 ай бұрын
13:05 편집 디테일 진짜 감탄만 나오네 ;;;
@sunmer6508 ай бұрын
그 정도여?
@ouya69678 ай бұрын
호들갑 자제좀 ㅋ
@쿠크다스-i9j8 ай бұрын
감탄이 나온다는게 감탄이네
@박선-i3u8 ай бұрын
아 동동이 니니 슈카임?
@1ilillli5338 ай бұрын
진짜 궁금한데 뭐가 편집 디테일이라는거임?
@jiminsub8 ай бұрын
소득은 하층이라고 생각하디만 소비는 부자처럼하는 대한민국
@방구석백수8 ай бұрын
30대중반이고 사업이 좀 잘되서 순자산으로 30억이상 보유하고 있음. 솔직히 나는 내가 상층이라고 생각함.. 최상층은 아니고. 근데 가족들하고 이런얘기하거나 하면 부모님부터 너 아직 멀었어~ 겸손해~ 라는 반응임. 뿐만아니라 나만해도 내가 상층이긴한데 삶의질이 상층이라는 느낌은 전혀 안들고 중산층 쯤의 삶의질이라고 느껴짐.
@CrayonPop28 ай бұрын
그럼 상층 맞아요 중산층과 상층의 삶의 질은 생각보다 큰 차이 없어요 다만 빚이 있냐, 없냐의 차이일뿐이에요 빚때문에 스트레스 받으면 중산층 스트레스 안받으면 상층입니다
@ahnoo3878 ай бұрын
순자산 30억 부럽네요ㅎㅎ.. 제가 볼 땐 상층이 맞으신 것 같습니다
@whitegotham28186 ай бұрын
이상 백수기생충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였습니다
@팍스윽8 ай бұрын
고액연봉자라고 해도 세금으로 다 뜯어갑니다. 연봉 1억을 벌기 위해 고생하며 올라왔는데 만만한게 직장아이라 각종 세금으로 다뜯어가고 1억이랑 6천이랑 별차이 없네. 각종 물가는 올라가고 1억 연봉도 별거 없구나. 더 달려야겠다...이렇게 되는 것 같아요. 이런저런 세금들 지독하네요 정말.
@mindal007518 ай бұрын
SNS 영향도 있겠지만, 중위소득/자산 기준 중산층에 속하더라도 노후 준비가 안되기 때문에 하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듯?
사교육, 결혼식비용 이것만 조져놔도 숨통 많이 트일껄요?? 살아가는데 전형적인 등골 브레이커들 아닙니까
@밤바-i4y8 ай бұрын
생에 노동소득 전부 부동산에 투자했으면 그게 노후 자산인데 인식을 못함
@KINGOTAKOO8 ай бұрын
사교육도 쓰지만 사치품 많이 쓰는나라라... 남들에게 자랑할수 있는 물건 그런것만 줄여도 노후 준비 할수 있을것 같아요
@benben333318 ай бұрын
@@KINGOTAKOO 요새 명품 사치품 때문에 문제 많다하는데 그것도 좀 지난 얘기임 요샌 잘 안삼
@오클라호마펭귄8 ай бұрын
7:12 (동동)자네는 이미 중산층이야. 니니는 상류층일듯
@soymackerel77868 ай бұрын
계층이동에 대한 열망이 큰것에 대해서 여러가지 요소가 있을 수 있겠지만, 꼭 하나를 꼽자면 한국 사회는 기본적으로 경쟁심이 만연합니다. "내가 자는 순간에도 적의 책은 넘어가고 있다"같은, 8-90년대생들 수능 준비 할때 인터넷에 많이 보던 cringe 한 문장들만 생각해봐도, 다른 나라 친구들에 비해서 굉장히 빡세게 살았다는 느낌이 강해요. 주변 영미권 국가 친구들이랑 이야기 해보시면 얼마나 걔네들은 laidback 하게 살았는지 놀랄껍니다.
@seouldot8 ай бұрын
이것만봐도 솔까 느끼네요. 저 수능2등급 받았는데 저 영단어도 몰겠음. cringe 뉘앙스까지만..
@redd.t84868 ай бұрын
@@seouldotCringe 오글거리는,
@xk7777kk8 ай бұрын
왜냐면 서구 영미권은 이미 오래된 부가 내려오면서 사실상 계급이 고착화됐기 때문임..애초에 님이 말하는 영미권 국가 친구들은 위로 치고올라가려는 강력한 의지가 없음. 애초에 그 개념 자체를 이해를 못함. 근데 이 나라는 전쟁 끝난지 끽해야 70년됐고 완전히 바닥에서 다같이 출발하니까 서로 위로 올라가고싶어서 미친듯이 달리는거임. 영국을 봐도 upper class들은 같은 뜻이어도 서민이랑은 쓰는 단어 자체가 다름. toilet/lavatory 이 차이임. 우리나라도 수십년에서 백년만 더 지나면 계급이 고착화되면서 그때 태어나는 애들은 상승욕구 자체가 없을거임
@Jenna-tv9um8 ай бұрын
@@xk7777kk 음.. 물론 최상위층은 그렇지만 글쎄요.. 전 호주사는데 다들 상류층가려고 애쓰는데.. 부자보면 오히려 한국보다 더 나도 저렇게 되야지 라고 생각하는사람 많음.. 물론 그게 약간 야망있는사람의 삶의 목표 이런느낌이지 부자안되면 나락이다 망한다 이런 압박감을 가지고 경주마처럼 달리는느낌은 아니긴함
@Underthepurple4588 ай бұрын
@@Jenna-tv9um 한국은 그정도가 아닙니다. 말 그대로 달리지 않으면 넌 죽는다의 분위기지, 그런 만만한 분위기면 이런 말도 안나와요.
@seoulwonder14958 ай бұрын
상속세도 똑같았습니다. 상위 1프로가 내는 세금이라 신경안써도 된다고.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중산층까지 세금이 매겨지는게 문제죠. 언제나 그랬습니다. 부자세금이라고 했던 정책들은 시간이 지나 서민에 대한 세금으로 바꿨습니다. 참고로 상속세는 23년동안 개편안됬습니다.
@바오밥-l4x8 ай бұрын
확실히 중산층이라는 말이 참 애매한게 사촌이 계약직이라 세전 2600인가 버는데 부모님이 전문직이셔서 용돈이 월 300.. 본인이 얼마 버는지도 중요하지만 자산이 더 큰거같아요
@제이엠-h5o8 ай бұрын
서울에 자가 집이 있어도 만족을 못하는 것은 40대 후반만 되어도 회사에서 언제 짤릴지 모르는 고용 불안을 느끼는 것이고, 짤리면 다시 안정적인 직장에 들어가는게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유연한 고용시장이 아니다 보니, 벌 수 있을때 최대한 벌어 놓아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할 수 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집 한채만 있어도 지역 가입자 되면 세금이 매우 부담스러워 집니다. 뉴스에서 세금 낼 돈 없으면 집 팔아라! 이러니, 더더욱 더 벌어 놓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죠. 수명은 길어졌는데, 여전히 고용 시장은 40대가 끝이고.... 입사 시기는 더욱 늦어지고.... 현재 삶의 상층일뿐 언제 밀려날지 모르는 데, 상층이라고 말 못하는 거죠.
@reallife000008 ай бұрын
서울에 집있는데.. 전혀 문제없어요 변두리 9억짜리 집입니다. 근데 세금 100도 안내요.. 그렇게 난리칠 정도로 뜯어가지 않아요.
@VELVE-i2l8 ай бұрын
유연한 노동시장이 제일 중요하죠. 세상이 애초에 불안한 것인데, 내 고용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다른 모든이의 팔다리를 자르겠다는 그 천박한 자들의 마음이 중년 이후의 자신을 죽이러 오는것입니다.
@blessingyou17887 ай бұрын
이게정답...이래서 다들정년없는 의대를 최상으로 볼수밖에 없지요
@김준형-x8c8 ай бұрын
이젠 소득보단 자산으로 따질 필요가 있을듯하군요..
@변형준-h1q8 ай бұрын
소득과 자산은 별개인데... 40에 연 8000벌어도 모은돈 3억 넘기는건 쉽지 않은데
@user-bq8yb5nh6s4 ай бұрын
형님들 우리나라에서 지니계수(소득격차)는 줄어들고 있고 소득10분위 배율(상층이 소득 독점정도)는 커지고 있는데 그러면 상층과 중산층의 격차는 커지고 있고 중산층과 하층의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 거니까 그러면 상층과 중산층의 격차를 줄이고 대신에 중산층과 하층의 격차를 넓히자는 주장은 문제가 있을까요? 형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Ikwilnaarhuis2027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세계속에서 흥하는 한국인의 투지를 잘 설명하는 멋진 컨텐츠! 패배의식에 쩔지 않고 싸우는 대한민국 만세.
@HeeM-w6t8 ай бұрын
아니 동동이 암산실력 실화냐;; 천재네
@OmakaseHanwoo8 ай бұрын
16:44 가붕개 ㄷㄷ
@박길라-n6l8 ай бұрын
그게 좌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간다아앗8 ай бұрын
조국
@호펠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소득격차보다 자산격차가 훨씬 커서 계층을 나눌 때 좀 더 세분화된 기준이 필요함 자산은커녕 빚이 있으면서 연봉 5천인 청년 연봉은 2천인데 부모님한테 집 한 채 받은 청년 너무 다양함
@sglee48338 ай бұрын
빚을 왜 졌나요?? 집?? 집은 나중에 노후에 주택연금 신청하면 고스란히 생활비 다 나오는데요??
@NMIXX설윤8 ай бұрын
맞음 동감합니다 자산격차가 너무큼 예를들어 연봉은 평균수준인데 가족이 질병있거나 그러면 빚 엄청지게됨. 근데 그 빚을 갚으려면 몇년동안 연봉으로 갚을려면 엄청힘듦 이런 상황이면 중산층도 아님.
이게 교육때문인것같아요. 지나친 교육열...경쟁...이게 어릴때부터 계속되니 만족이 없는거 아닐까요?
@doltoBlorin8 ай бұрын
동동이 6평짜리 원룸에 사는데 내가 중산층이라구요? 라는말이 너무 와닿습니다... 소득이 중산층이면 뭐합니까, 중산층같은 생활품질을 유지하지 못하는데
@doltoBlorin8 ай бұрын
그럼 진짜 몰라서그런데(악의는 없고 진짜 지방 사람에 월급 인턴수준의 사회초년생이라 잘 모름) 자산 3~4억가지고 서울에 적당한 2~30평짜리 아파트에서 사는 생활수준 유지가 가능한가요?@@rlawogjs
@destiny988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남돈버는거에 너무 관심이 많음 ㅋㅋ
@꿈과현실-t9z8 ай бұрын
왜 모두가 힘들까.... 1.세상 해야할 게 너무 많아졌음. 여행 가야지. 아이폰도 사야지. 가방도 사야지. 명품도 좀 사야지.. 2. 자산은 줄면 안되고 계속 늘려야 함. 집이 하나 있음 두개사야하고 두개있음 세개사고 상가도 사고 싶고. 이러다보니 여엿돈이 없음. 3. 잘 사는 사람들이 너무 많음. 상대적 박탈감. 순자산 10억 가구가 상위 10프로라는데 2천만 가구라 치면 200만가구고 가구당 3명잡으면 600만명임. 600만명이면 광역시보다 인구가 많은 건데 이들이 곳곳을 돌아다니니 다들 저정도 살고 나만 못사는 거처럼 느껴짐. 근데 순자산 10억도 여유 없음. 재산 유지하려 늘리려 하다보니 팍팍하긴 마찬가지임. 나도 순자산으로 치면 통계상 5프로 안에 들던데 여유 있단 생각은 없고 그냥 큰 걱정은 없다는 정도. 그러면서 돈을 벌어야지 하는 강박에 15년전 결혼초기 아파트 하나 있고 집사람이랑 맞벌이 하며 살 때보다 어쩌다보니 자산은 몇배 늘었지만 마음적으로는 그때보다 가난함.
@BloggerC8 ай бұрын
맞말인것 같아요
@Emma-id8wl8 ай бұрын
동감 40대중반 상위5프로안인데. .이제 가난면한 느낌정도입니다. 퇴직전 아이교육도 다 시켜야하고 외벌이된지 좀 되어서 여유가 없네요. .
@박지원-YouTube8 ай бұрын
자신은 하층이지만 여름되면 휴가좀가고 해외여행도 1년에 1,2번은 가면서 오마카세도 달에 한번씩은 먹으면서 SNS에 올릴 활동들을 찾으며 복지가 부족하다고 25만원에 자신의 표를 팔아버린 사람이 국민의 절반ㅋㅋㅋㅋㅋ
@djsksoddjk8 ай бұрын
하층이라고 울부짖으면서 소비는 상류층처럼ㅋㅋㅋㅋㅋ
@오G6 ай бұрын
1억 벌지만 중산층이란 생각안함 ㅅㄱ
@MrLuminesce19 күн бұрын
국민의 절반이 아님. 선거자체가 조작이라서 ㅋㅋㅋ 한국국민들이 대부분 그렇게 멍청하다고생각은안한다. 선거로 조작질해서 표 그렇게나오는거임
@Yongyong2-xz6tc8 ай бұрын
ㅎㅎ수도권 5억 아파트 쏘나타 실수령 5천 만족하며 삽니다. 자녀계획 없고 둘이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다 갈래요. 경쟁은 작년보다 10만원이라도 더 벌자는 마음으로 내 자신과 합니다. 주변을 둘러보고 비교질 시작하면 그 순간 불행이 시작되니까요. 즐기다 가야죠
@용용-i7d8 ай бұрын
말씀하신부분 다 공감하는데 최근에 왜 우리나라 중산층은 자신을 하층으로 생각할까에 대해서 고민을 좀 해봤는데요, 주거문제가 큰것같습니다. 서울에서 나고자라서 서울에서 일하는데, 독립하고싶어도 6평집이 월세 50부터 시작, 전세 1.7억부터 시작입니다.. 눈좀 낮추려고 경기도나 외곽 알아보면 출근하려면 차가 필요해집니다 ㅠㅠ 친구가 최근에 독립했는데 대기업 꽤 오래다녔는데도 출발을 대출끼고 원룸 전세를 해야한다는게 조금 씁쓸했습니다
@적빛세상8 ай бұрын
근데 서울과 같은 대형급 도시에 사는 각국의 사람들도 다 마찬가지 아닌가요? 베이징,도쿄,파리,뉴욕등등 거기 주거비도 입이 딱벌어지는 곳들이잖아요
@PostNemo8 ай бұрын
한국은 일부지역이 아파트 "매매"가 소득에 비해 너무 높은거지 "주거"가 목적인 경우 대다수 나라에 비해 주거비는 싼편에 속한다는거... 서울하고 비교되는 세계의 대도시에 전월세 전환비로 역세권에 50만원 미만으로도 해결 가능한 지역은 한국말고 없을 듯. 물론 역세권이어도 강남같은 지역 역세권은 당연히 논외..모두가 선망하는데 살겠다고 하면 당연히 더 내야지.
@jayh10878 ай бұрын
@@PostNemo해외 대도시는 과연정상일까? 걍 서울을 분산시켜야됨
@용용-i7d8 ай бұрын
서울을 크게 선망안합니다ㅠㅠ 일자리 80%가 서울에 몰려있어서 어쩔수가 없네요.. 다른나라는 수도권에 살지않아도 충분히 선택지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뉴욕이 아니면 좋은 직장을 구하기 어렵다-는 아니니깐요 ㅠㅠ
@KINGOTAKOO8 ай бұрын
미국도 일자리가 많은 도시의 거주비는 비쌉니다. 한국은 서울밖 나가도 지하철 연결된 동네가 있습니다. 30평대 3억수준 입니다. 하지만 안봐요. 하층민은 안보듯이 싼집도 안보더라구요
@emiral88478 ай бұрын
한때 노오오오력을 해라 라는 말이 비아냥처럼 쓰였었죠. 답이 없어요
@박상일-k6l8 ай бұрын
본인이 중산층이 아니라 더 하위층에 있다고 생각하며 살것이 아니라 나는 중산층이고 상층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살아가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랄라라-l5r8 ай бұрын
ㄹㅇ 그 위치에 만족하면서 즐기는거 보단 오히려 상층으로 간다는 생각을 해야지 먼소리를 하는지 몰겠네
@user-ll5sv2oy1e8 ай бұрын
그렇게 해서 행복하시면 된건데 안그런 분들이 많으니 문제가 아닐까요
@hooligona8 ай бұрын
그렇게 생각해서 세금 때린다 하면 사다리 걷어 찬다고 머라고 하니까 그렇지 그냥 세금 때리면 그냥 수긍할줄알아야 한다고 말하는거죠
@omeprazole18 ай бұрын
그게 돈 더버는데는 좋겠지만 그렇게 살아서 행복해여?
@날개이름8 ай бұрын
끝이 어딜까..
@hfr75gi5442 ай бұрын
극단적 영끌이야 당연히 안 되는 거지만, 매우 적극적으로 의지를 모아 투자하는 거는 오히려 장려해야함. 영끌 욕하면서 자기 위안을 얻는 사람들의 다수는 실제로 자기 합리화가 습관인 경우가 많음.
@JG-in4nl8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한국인들은 만족을 모르고, 끝없이 경쟁하고, 위로 올라갈려는 마음이 있다고 했는데. 여기서, 본인은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싶음, 경쟁이 심하고, 위로 올라갈려는 마음. 이것을 달리 해석하면, 그정도로 성장하고 싶다는 마음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함. 이것이 나쁘게 보일수는 있으나, 다른 국가들을 보면, 이렇게 까지 경쟁심이나 성장에 대한 욕구가 없는 국가들도 있음, 이런 국민들이 많다는 것은, 그정도로 한국이라는 국가 전체는 성장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함.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해석을 해봐야 한다 봄. 개개인 스스로는 불행할수도 혹은, 그런 성장하는 것을 즐거움으로 느끼는 사람들도 있을수 있고, 또한 국가적 관점에서 본다면, 오히려 이런 경쟁에 대한 투쟁심이 한국이라는 국가 경쟁력을 높여 주는 요인이라 생각할수 있음.
@@jinwookim1296 중위자산 언급할때 나오는 예시가 순자산이에요ㅠ 대출받아 아파트사서 갚으면 중산층된다고했으니까
@jinwookim12968 ай бұрын
@@skwwe337 순자산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음 자본 말하는건가??
@yiyi63558 ай бұрын
@@jinwookim1296 본인이 1억이 있고 정부대출, 신용대출, 캐피탈 대출을 끌어다모아 5억짜리 집을 샀다고 가정했을 때 본인의 자산은 5억이고 순자산은 1억입니다
@user-kj3el4bj5m8 ай бұрын
4:04 와 저게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고 😮 놀랍군 역시 스울인가
@Margin_Of_Safety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초고속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다 ㅋㅋ 경쟁, 분노 ,적개심이 우리를 보다 나은 존재로 만들어준다 자신없으면 다른 나라로 짜져
@VELVE-i2l8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이 가진 그 거대한 특유의 다이나믹이 있죠. 근데 그게 거대한 만큼, 사실 방향이 잘못 향하는 순간 그만큼 더 큰 고통으로 다가오죠. ㅋㅋㅋ
@djsksoddjk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강한 자만 살아남을 수 있는 나라ㅋㅋㅋ 다들 이 악물고 달리는 나라ㅋㅋ 진짜 다이나믹 코리아네
@nabilera8 ай бұрын
상층 사람들 욕심 많다고 욕할게 아니에요. 한국 사회 분위기랑 지금 물가 등의 상황이 참 사람들을 이상하게 내몰고 있습니다. 참 답도 없고 답답함.. 그래서 무한생존 경쟁만 하는 느낌. 허탈할 때 멍때리며 유튜브만 보게 되고. 정신차려 생각하면 이런 사회현실이 참 슬픔..
@rurukim-i2i8 ай бұрын
도대체 왜 만족하지 못할까를 고민을 해봤는데.. 저도 현재 중위소득에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연봉이 더 오른다 해도 삶의 질이 지금과 크게 달라질거같다는 기대가 없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 3천대에서 5천대, 7천대가 되더라도 사는 집 금액이 달라질지언정 규모나 집의 컨디션이 달라질까? 차를 사더라도 그 차를 주차하고 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까? 당장 7-8천 연봉이 된다고 해도 아이를 낳고 양육할 수 있을까? 등등.. 삶의 질이 함께 상승할것 같다는 기대감이 없다보니 더 높은곳, 더 드라마틱한 변화가 생길 수 있을만한 소득을 바라보는게 아닐까 싶네요
@고스트-x5i8 ай бұрын
게임을 하는 이유는 상대를 빡치게 하기 위함이다.
@fez43828 ай бұрын
연봉 9천으로 10년 이상 벌면 모르겠는데 전문직 아니고선 그떄쯤이면 나이도 차고 해서 곧 퇴직해야 하고 몇년 그렇게 벌어가지고는 상류층이라고는 절대 생각 안드는게 사실임..
@VELVE-i2l8 ай бұрын
그 사람 생산성이랑 임금이랑 일치하면 상관없는데 강제로 왜곡을 만드는 구조면서 해고도 못하게 만드니 알아서 그만두게 만들죠.
@김무선-v5y8 ай бұрын
9천까지 올라가면서도 마니 받았어 2천받다 갑자기 9천 받는거 아니자나
@meehye76487 ай бұрын
행복 그런 거 없어...좀 지능 있다는 인간의 착각 이지
@박상우-h9z8 ай бұрын
장유유서로 급 나누고, 겸손을 미덕으로 생각해서 스스로를 끝없이 낮추고, 자본은 하염없이 탐한다. 유교에서의 허례와 자본주의의 단점만 잘 섞어서 환장의 콜라보 완성!! 거기에 커뮤니티 들어가서는 누군지도 모르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니… 정말 완벽 그 잡채!!
@mbs58285 ай бұрын
향상심은 당연하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고 싶은게 문제라고 생각하진 않음. 근데 상층에서 자기가 하층이다 생각하거나, 중산층에서 자신을 최하층이라 생각하거나 2단계 정도 혼동하는건 솔직히 지능문제라고 봄. 객관적으로 자기 위치를 자각하고 그보다 더 높은 위치를 노려야지. 반대로 자기가 하층인데 상층이라고 생각한다고 생각해보면 딱 느낌이 옴. 하층이 상층인척 생각하는 것과 상층이 하층인 척 생각하는 것과 다를바가 없지
@2ndslime6289 күн бұрын
노력할생각은 없으면서 잘난 삶을 살고싶어하는 젊은 세대들은 답이 없다.
@painfulworkout8 ай бұрын
돈을 잘버는거랑 재산이 많은거랑은 별개라서 그런거같습니다
@user-uskxnfiw7298 ай бұрын
댓글 보면 다같이 비교 사회는 안좋고 등등 느끼는것 같지만 이 사람들이 막상 어디서 이야기할 때에는 비교하고 그럼. 어디서 보고 배웠으면 실생활에 응용을 하고 살아야 하는데 그걸 다들 못하니 누가 바른 말 하면, 세상 물정 모르네… 순진하긴… 이런 말이 나오고 그 사람은 입을 닫게 됨
@hoolladd6 ай бұрын
맞음. 이런건 나라나 사회 문제라기보다는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고 본인부터 바뀔 생각을 해야하는데 맨날 사회탓 나라탓 하면서 피해자 코스프레만 하니깐 안바뀌는거
@쿤왓8 ай бұрын
조국이 한말이 있죠. 개천에서 용나오기는 힘드니 좋은개천을만들어서 거기서 행복하게 살아라
@낑깡쓰-l3j8 ай бұрын
동시에 지 딸래미는 위조해서 의사 만들어버리기😅
@쿤왓8 ай бұрын
@@낑깡쓰-l3j 상류층한테 어디 하층민이
@minminho94998 ай бұрын
사다리 걷어찰거고 기본 소득줄태니까 입닫고 살아라를 포장잘하면 저래되는구만
@djsksoddjk8 ай бұрын
감히 넘보지말고 니들은 개천에서나 살아라ㅋㅋㅋ
@namkwikim24 күн бұрын
슈카월드는 솔까 너무 넘사벽임
@jtrinity94088 ай бұрын
40대 초.. 순자산 15억 정도인대 나는 내가 중산층이라 생각했음. 그것도 유투브 보면서 평균 자산이 4억초중반이라는거 보면서 깨달은거임. 그냥 서울에 대출없이 부동산 급상승기 초반에 운좋게 집 한채 사서 가격이 올랐을뿐이고.. 아이 둘 키우는대 매달 매달 돈 걱정하며 살고있음. 여행다니고 외식하고 이런거 잘 못하고 아까며 살다보니 내가 중상층 이상이라 느끼기가 쉽지않은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