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칼 손으로 만들고 칼옆에 테잎붙여 물채우고 절편 손으로 뜨면서 EM용 쌤플 만들어 쓰던시절 사람입니다. 기계화 되고.. 인공지능 학습시켜..입체뇌지도까지..과학기술의 발전과 연구성과들의 깊이가... 암튼 멋집니다^^ 모든 과학자 여러분 존경합니다^^
@msjj-sr2krАй бұрын
전 85학번인데 저때 배울때는 대부분 독일식으로 배웠습니다.. 게놈(genome).. 페하(Ph)..알레르기(Alergy) 기타 등등...
@HanlesАй бұрын
5:39 게놈의 genom(genome)의 독일식 발음이니까요... 유전자gene에다가 염색체 chromosome의 뒷부분을 붙여 만든 합성어입니다. 1920년 독일 식물학 교수 한스 빙클러가 만든 단어입니다. 그러니 독일식으로 읽은거죠. -ome이라는 접미어는 이젠 자주 쓰이는 microbiome 같은 단어로도 응용되고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과기원 강창원 교수님이 유전체 라는 단어를 만들어 번역하셨죠. 전문분야, 심지어 영상에 프레젠테이션으로 소개히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 가장 잘 아실 거 같은 분들이 정말 아무것도 모른다고 왜냐고 하시면 꽤나 당황스럽네요.. 지금은 지놈이라고 읽지만 독일계가 당시엔 영향력이 컸으니까요
@피유-q8vАй бұрын
인공지능쪽 이라니 모를수도있죠뭐
@HanlesАй бұрын
@@피유-q8v게놈(유전체)가 인공지능이라구요..? 무슨 소리 하시는지... 생명공학으로써 커넥톰이 예쁜꼬마선충의 선례처럼 인공지능의 도구로써 쓰일 순 있겠지만 생명과학에서는 유전정보 전체를 게놈이라고 하는겁니다; 배준환 박사님은 서울대 생명과학부 유전과 발생 연구실 소속이신데요? 심지어 유전체는 학부까지도 갈 필요도 없이 고등학생 수준에서도 배웁니다..
@HanlesАй бұрын
@@피유-q8v 댓글이 왜 지워지는지 모르겠는데 게놈은 인공지능이 아닙니다. 그저 세포 핵 속의 유전정보 전체를 유전체 라고 하는겁니다. 커넥톰이 예쁜꼬마선충의 선례처럼 인공지능의 한 도구로 쓰일수 있겠지만 게놈은 인공지능은 아닙니다. 그리고 배 박사님은 생명과학 연구실에 계십니다. 그도 그렇지만 게놈(유전체)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준에서 나오는 정보입니다..
@kimsa-yoon6244Ай бұрын
어원을 아는 것과 전문지식을 공부한 것과는 다르니까요
@사람-p3y9cАй бұрын
@@Hanles게놈말고 발표하는사람 전공이 ai쪽
@MangoSeoАй бұрын
이거 2부가 진짜 찐임
@vnfma7Ай бұрын
인간 뇌지도의 완성도 시간문제인데 그 초복잡성은 경이로울 수준.. 우리 모두 한명 한명이 우주임
@나병길-o9uАй бұрын
과학의 발전속도 놀라고 좋은 내용을 시청 할 수 있었습니다.
@blackjoy315Ай бұрын
5:40 저같은 전기쟁이도 아직도 기억하는걸 보면 의도 적으로 개놈이라고 한거 같습니다. 결과적으론 사람들 머리속에 남았으니 성공적이네요
@5fgv3Evhv1guАй бұрын
독일인이 만든 독일어 단어라서 원래는 게놈이 맞답니다 미국이 쎄니까 요즘은 지놈으로 불러주는건데 영상에서 원래 지놈이 맞는거다라고 하니까 좀 그렇네요ㅋㅋ
@blackjoy315Ай бұрын
@ 아 그렇군요! 몰랐습니다 ㅎㅎㅎ
@blackjoy315Ай бұрын
@ 아 그렇군요! 몰랐습니다 ㅎㅎㅎ
@득도자경주최00Ай бұрын
참 좋아요 ^^
@ddosyАй бұрын
배준환 박사님 설명을 너무 재밌게 잘 해주시네요
@gyubinimАй бұрын
이야 멋지다. 이런 컨텐츠가 많으면 좋겠다. 자극적이지 않고 훌륭하네.
@yelldavidАй бұрын
2부 빨리 올려주세요 현기증 난담 말이에요
@YongseungKim-p6sАй бұрын
예쁜꼬마 선충의 신경세포를 시뮬레이션해서 레고에 적용한 로봇을 본적이 있는데(국내서 재현)… 잘 모르겠더라고요. 예쁜꼬마선충은 화학물질은 피하고 먹이를 찾아가고 짝찾기도 하고.. 생물반응인데 레고는 그렇지는 않았어요. 뭘하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누군가는 초파리의 뇌도 프로그래밍해서 로봇에 적용하는 시험도 해볼텐데 실제 초파리처럼 행동할지 그렇지 않고 모자라게 행동할지… 그러면 실제 초파리의 본능은 어디에 어떤형태로 저장 되는 것인지 초파리의 본능을 코딩해서 넣은 다음에야 로봇이 초파리처럼 행동할지 진짜로 너무 궁금하네요.
@ithink2Ай бұрын
뉴런지도는 전기적 신호가 흐르는 회로의 모습을 보여주는거라 실제로는 신경 호르몬을 통해 감정을 전달하게되니 차이가 있게되죠
@ALETHESАй бұрын
그리고 카할은 원래 그림쟁이하고 싶었는데 의사였던 아버지 뜻에 따라 억지로 의사가 된 거여서 예술적 재능을 신경세포 그림으로 뽐낼 수 있었음
@dktkwnsdnАй бұрын
뇌과학 파트는 10년 전에만 해도 아직도 요원하고 물론 언젠가는 정복될 것이 확실했지만 내 살아 생전 보는 날이 올까? 라는 생각에 이 분야쪽으로는 쳐다도 보면 안되겠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벌써 이렇게나 발전이 되는 걸 보면 특이점이 10년 안에 올 것 같아 무섭습니다. ㅋㅋ 마치 게놈(지놈?)프로젝트의 처음이 그러했듯이 누군가는 노가다라고 하겠지만 거대한 여정의 첫 발자국이 되겠지요,, 기술의 마지막은 인간을 향하기에 이 프로젝트의 마지막은 인간의 뇌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체가 아닌 생체에서 개개의 뉴런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지 참 기대가 되는 동영상이었습니다.
@jaysonkanga6357Ай бұрын
이래서 사람들이 세금을 내고 정부에선 연구개발에 자금을 지원해야 하는 건데... 그걸 왜 싹둑 다 삭감하는 건희?
@muhwagua07Ай бұрын
문정권때 돈 오지게 쳐 써서 ㅂㅅ아
@Thorne-w1kАй бұрын
과학자님들 언제나 응원합니다. 우라 뇌신결질환 환자들이 희망을 가지고 기다립니다 힘내세요!!
@김무료-e6lАй бұрын
5:54 Genome을 영어권에서는 지놈으로 읽지만 독일어에서 게놈으로 읽는다네요~
@goodshot720Ай бұрын
경이롭도다!!!
@gods705Ай бұрын
하찮은 파리도 어마어마 하게 복잡하구나 대체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강아지-0Ай бұрын
지금의 AI 기술에 꼬마선충의기술이 들어갔다면 초파리뇌를 소프트 웨어로 구현이 가능하게 짜기만 한다면 이후 AI의 수준이 어마어마하게 발전하겠네요
@kard_cherryАй бұрын
아니 초파리 박멸하려고 유튜브 검색했는데 랩미팅 뭐냐곸ㅋㅋㅋㅋ
@chefearther728829 күн бұрын
“While mapping a fruit fly brain is possible, using it as a ‘language calculator’ for human communication remains purely speculative.”
@dongssssk2Ай бұрын
2부 언제나와요?
@jhmin014Ай бұрын
초파리 1000마리씩 대량으로 자동화가 가능해지면 집단에 대해 강화학습시 어떤 변화가 있을지도 비교해서 알 수 있으려나요 세상에
@마파두두Ай бұрын
디지털 선충이 전에 나왔는데 디지털 초파리가 나올수 있겠네요? 가상으로 초파리 시뮬레이션 돌려보고싶다
@이형호-z1uАй бұрын
초파리 학습에 따라 커넥톰이 달라지지않을까요?
@last2026Ай бұрын
근데 지도 완성한건 멋지긴한데 ai에 상당부분 기술적으로 의존한것 같은데 커넥톰이 실제로 정합적인건지 전기신호로 검증하거나 여러 테스트도 이루어진건지 궁금합니다
@hayoun3Ай бұрын
저거 누가 셌을까요?에 대학원생...? 이러는게 개웃김ㅋㅋㅋ 😢😢😢😢😢ㅠㅠㅠㅠㅠ
@seoulforest275Ай бұрын
5:52 이 단어도 독일어가 과학계에서 힘쓸때 들어온 단어라...
@cbm3111Ай бұрын
나중에는 Na 를 왜 나트륨이라 읽었을까요... 나오겠다 ㅠ
@ALETHESАй бұрын
@@cbm3111어륀쥐를 왜 오렌지로 읽었을까요
@Hyuchan1002Ай бұрын
입체 모형들을 칠하는데는 몇가지 색이 필요할까요
@loading2907Ай бұрын
예쁜꼬마선충 말고도 또 커넥톰이 만들어졌군요.
@Sniff.Sniff.Ай бұрын
인간 시간문제네요..... 곧이네
@biko45Ай бұрын
아 예예 할렐루야 아멘~
@meinlet5103Ай бұрын
저책 10년전에 읽었던게 생각나네요 내용은 하나도 기억 안나고 커넥톰 이 단어 하나만 남았지만요
@B급음식Ай бұрын
예쁜꼬마선충 이야기 처음 들었을 때 다른 생물들은 엄청 오래 걸릴 꺼라 생각했는데 AI가 이걸 해결하네
@user-cokkiri19 күн бұрын
가운데 있으신분은 뭐하시는 분인가요? 그냥 멍하니 앉아서 허어?~ 우와~ 이러고만 있는걸 보자하니 화딱지가 슬금슬금 올라오는데
@SA-og7lfАй бұрын
살짝 무섭다.. 사람의 뇌도 그렇게 하면, 복사가 되는건가?
@robeliauriАй бұрын
왠지 모르게 나도 마음속으로 저걸 누가 셌을까 했을 때 .... 대학원생이라고 얘기한 이유가 뭐지 그리고 아는 단어가.... FMRI밖에 없네 🤣🤣
@unlucky2412Ай бұрын
ai 없었으면... 작업량이 상상도 안 가네 ㅋㅋㅋㅋㅋㅋ
@user-ak582vs90Ай бұрын
오호
@akakskkdnskakaoАй бұрын
8:06
@gle_GooАй бұрын
와... 이정도면 사람 뇌지도도 몇년안에 만들겠는데?
@솟솟-i6zАй бұрын
초파리 갓
@user-churrrrr11 күн бұрын
일생을 바쳐서 한 장 한 장 그려낸..
@jedi787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들(X) 감사합니다. 대학원생들~(O)
@왕비버-r5fАй бұрын
원래 "지놈"이 맞다는 말은 지극히 미국식 사고방식이기는 합니다. 같은 알파뱃을 사용하는 다른 유럽 국가들은 "게놈"으로 읽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제 과학계에 끼치는 영향력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거의 넘어간 상황이니만큼 (이제 교과서도 미국식 영어로 표현을 개정한다고 하고) 미국식에 익숙해 지는 것이 소통하기에 더 편해지겠죠..?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 같아요
@zitnbitАй бұрын
게놈이 맞고 독일어입니다. 알파벳으로 표기된 모든 단어가 영어는 아닙니다.
@user-lm7nl1vz6r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네 20분 순삭
@밤이쿤Ай бұрын
AI가 큰 역할을 하는군요. 이제 인간의 뇌지도도 시간 문제네요.
@605sozАй бұрын
양자컴퓨터에 ai조합이면 뇌스캔도 시간문제겠죠 세포간의 연결의 대한 기준을 초파리나 꼬마선충을 베이스로 학습하면… 진정 스스로 생각하는 ai가 탄생할지도..
@디붕Ай бұрын
로봇트에 인식해보면??
@MatjounNeungeumАй бұрын
2:39 난 썩었어
@꼬부기-u8gАй бұрын
와하
@BLUEBLOOMAHS2Ай бұрын
초파리면 이대한교수님 불렀어야 하는거 아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ing911frog8Ай бұрын
우호
@petergourd19777Ай бұрын
빨리 나를 매트릭스에 넣어줘요. (헛소리)
@박진열-o9nАй бұрын
5:50 게놈 지놈 논란은 어이없는거임... 독일어로 하면 게놈이고 영어로하면 지놈인거지 우리나라에서 유전체를 가장 처음 가져온 사람이 게놈이라고 했으니까 게놈이 맞는거임. 표준어가 게놈이니까. 굳이 영어를 따라갈 필요가 있나? 우리나라 표준어상으로 게놈인데. 그리고 게놈
@manifold5458Ай бұрын
잘생겻다..
@유느1017Ай бұрын
아하
@dg1120Ай бұрын
유후
@hawk8873Ай бұрын
Genome을 게놈으로 발음하는건 독일어, 일본어에서 그러했고 일제시대때 이후 대한민국 현재까지도 그때 관습 때문에 게놈으로 발음하는 것 같습니다. 우장춘 박사님이 일본에서 육종학 처음 연구했을때도 각 식물들의 게놈 분석 부터 시작했다고 읽은 기억이 나네요.
@eve120720Ай бұрын
그래서 이거 어따씀?
@bartnoon2521Ай бұрын
배박사님 두뇌도 섹시하시고 잘생기시고… 고소 하겠습니다. 너무 불공평합니다 ㅋㅋㅋㅋ
@goyangyi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이 과학의 발전속도를 가속화시키는 대표적인 예...
@myskynet2Ай бұрын
10념이면 인간뇌지도 나오겠네
@qtgomАй бұрын
어허
@구리핑-m4kАй бұрын
예후
@귤놀이Ай бұрын
게놈은 언어 유희를 위한 배려
@yangsu94Ай бұрын
기술 연구자 홀대.하면 우리나라 망한다.
@WF인테그라Ай бұрын
저거 바로 디지털로 바꿀 수는 없는 것 아니냐 화학적 신호도 있는데
@kokoro33250Ай бұрын
생각없는 학자들이 일본단어 그냥 가져와서 쓴 게 게놈(ゲノム)이겠죠. 2음절단어 70%이상이 다 일본유래 단어인데..
@Dohyun__kimАй бұрын
독일언데요
@dongugkim6969Ай бұрын
조선이여 g는 ㄱ 고 e 는 ㅔ 니까 합치면 ge 게 여....... 우리가 쓰는 콩글리씨 심지어 영국말인주 알고 쓰는 많은 말을 실쩨로 아메리끼 또모다찌에게 쓰면 못알아듣는 경우가 95%임다
@liiiiilllllllАй бұрын
초파리의 뇌도 저렇게 복잡한데 저게 전부 우연히 진화됐다는 진화론을 납득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전지전능한 신의 창조물이라고 믿는게 더 신빙성있지않나요
@Hupple4258Ай бұрын
그래서 선택압이라는 것이 있지요
@탐라도민Ай бұрын
신이 어딨냐 ㅋㅋ 좀 데리고 와봐
@바르고고운말Ай бұрын
40억년의 시간이 장난은 아니라는거죠
@proparxАй бұрын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한다!
@green_dollar_signАй бұрын
내가 신이였으면 굳이 저렇게 복잡하게 안하고 단순하게 설계 했을거 같음 오히려 우연적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시도해보며 최적의 결과를 근사적으로 찾아내다보니 복잡하지만 기능은 우수한 저런 해가 도출 되는 거라 봄
@낙법고수Ай бұрын
Wow, my brain is getting disassembed!!
@켄타-c5zАй бұрын
유튜브 자칭 과학쟁이들 이유는 모르지만 일단 난 이렇게 배웠어 ㅋㅋㅋ 이유는 모르는데 난 과학자야 앞뒤기 안맞는거 아니냐? 이유를 모르면 찾아보는게 정상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