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나도 서로 하려고했던 오락실 개사기 캐릭터 & 숨겨진 히든 캐릭터들 (오락실 고전게임)

  Рет қаралды 1,132,642

마비니 게임이야기

마비니 게임이야기

Жыл бұрын

어린 시절 오락실에서 너도 나도 서로 하려고 했던
고성능 캐릭터들과 숨겨진 캐릭터들을 찾아보았습니다.
arcade hidden character
- 캐딜락&다이노소어 (캐딜락과 공룡)
キャディラックス 恐竜新世紀 / Cadillacs and Dinosaurs
- 삼국전기 三國傳記 / Knights of Valour
- 캡틴 아메리카 앤 디 어벤져스
captain america and the avengers
- 야구격투 리그맨 (야구왕)
野球格闘リーグマン / Ninja Baseball Bat Man
- 파이널 파이트
ファイナルファイト/ Final Fight

Пікірлер: 2 000
@aragakiyuiii
@aragakiyuiii Жыл бұрын
그냥 우연히 추천영상에 떠서 잠깐 봐야지했다가 옛날 향수도 들고 재밌어서 끝까지 다 보고 가네요. 덕분에 잠시나마 예전 추억을 회상할 수 있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잠시나마 예전의 추억들을 떠올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 다행입니다. 시청해주시고 또한 댓글까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sungkkn
@sungkkn Жыл бұрын
추억이 새록새록.. 94년생 아날로그시대의 끝자락에서 이런추억들을 느낄수있었다는것 자체가 행운이자 큰 행복이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저 당시의 기억들 추억들은 정말 소중한 경험이자 행복이 맞는 것 같아요. 예전 감성들이 그리울때가 종종 있습니다..
@user-le7nc6gc3v
@user-le7nc6gc3v Жыл бұрын
영상 주제랑 더빙 목소리가 취향저격이네요 좋아요 구독 박고갑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엇! 감사합니다 ㅎㅎ 최고!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Жыл бұрын
7:00 당시에 녹색이 인기 많았던게... 전체적인 성능은 파랑색이 더 좋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스킬 커맨드가 녹색이 더 친숙하고 기본적으로 빠릿빠릿하고 스킬들 판정이 좋아서 빨리 친숙해지기 좋았죠. (녹색은 격투게임 했으면 익숙할 법한 커맨드들인데... 빨강색이랑 노랑색은 ....스킬 커맨드도 복잡한데가 발동 조건도 일단 붙어야 발동되서..... 로거는 스킬 발동하고 나서도 잡기 실패하면 그대로 두들겨맞다 죽었죠...=_=) 이나즈마킥 자체도 점프->타케팅->연타공격->데쉬공격 순으로 이어져서 저기서 타케팅 단계에서 공격 대상 변경한다거나, 연타공격 캔슬하고 바로 데쉬공격 들어간다거나(이건 다른 캐릭터들도 가능하긴 했는데 녹색 만큼 효용은 없었죠.)... 화면 끝으로 날아서 데쉬하는 스킬 쓴다음에 바로 이나즈마킥 마지막 단계로 연계해서 휘이이이잉~킥~ 하는 식으로 구석에서 탈출해서 화면 끝에 있는 적 타격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활용도도 많았었죠... 반면 로거는.... 야는 객관적으로 두 가지 스킬만 봉인하고 쓰면 성능이 나쁘진 않았고 오히려 클리어 속도는 더 빨랐는데... 그 두 가지 스킬이 이 게임 플레이 하는 유저들이 생명줄 처럼 생각하는 스킬들이라....(녹색의 이나즈나 킥에 해당하는 잡아서 좌우로 패대기 치는 스킬이랑... 보스 잡고 평타로 안정적으로 패기...).. 안정성이 없었고.. 팀플레이 할 때도 로거를 잘써봤자 로거의 스킬들은 아군한테 까지 피해를 끼치는 진영파괴스킬들 뿐이라 잘못하면 캐리하고도 체어샷 맞기 딱 좋았죠....ㅠㅠ (로거는 아군 신경 안쓰고 보이는 대로 다 깔아뭉게고 날려버려야 플레이가 되는데... 팀전일 때 그랬다가 로거 때문에 녹색이 죽으면.....)
@user-og1sw5gw4j
@user-og1sw5gw4j Жыл бұрын
해주고 싶은말 다있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호 이런 이유들이 있었군요..은근히 파랭이가 성능이 더 좋았다는 의견들이 있네요 말씀하신대로 녹색이 접근성이 좋다는 부분에 공감이 갑니다 그나저나 캐리하고도 체어샷이라니..ㅎㅎ 저는 파랭이 그 콕콕콕 찍은다음 폭탄던지는 스킬이 좋더라구요 ㅎ
@mugimido
@mugimido Жыл бұрын
@@mavini 콕콕콕콕콕 띵가~
@user-us6cg1vr9v
@user-us6cg1vr9v Жыл бұрын
보충설명 첨가하자면 낙법용 스킬이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넘사벽이기도 했죠 무적시간도 실제 제일 길었고요 안정성이 제일 높아서 코인 절약에 큰 공인을 했던터라 픽이 가장 높았죠
@user-ug5uk7gp4j
@user-ug5uk7gp4j 11 ай бұрын
​@@user-us6cg1vr9v저두 그 얘기 하려했는데ㅋㅋ 낙법시 나오는 회오리가 진짜 최강방어였죠
@rgkoh1279
@rgkoh1279 Жыл бұрын
파이널 파이트에서 코디가 인기 있는 이유가 와리가리가 안정감 있게 잘되기도 하고 나중에 가면 무릎 찍기로 클리어하면 좋은 보스 있는데 그것도 코디가 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하나하나 놓고 봐도 코디가 진짜 만능캐였네요 리치가 긴 주먹질과 날라차기 성능 좋은 무릎찍기 안정적인 와리가리 등등 확실히 플레이하기 편하게 만들어놓은 느낌이 있죠
@user-qx4jz5lt3z
@user-qx4jz5lt3z Ай бұрын
단검 으로 조지기 좋죠
@user-oo8ho3yt7l
@user-oo8ho3yt7l Жыл бұрын
제갈량이 좋았던게 저 찌르기 판정이 사기였고 저 찌르기로 레벨이 굉장이 잘올랏음 거기다 판정은 좋은데 데미지는 약해서 그냥 한두마리 찌르기작하면 필살기 게이지다채움 거기다 특정몹한태 대쉬+공격하면 탬을 떨구는데 제갈량이 그 대쉬공격판정이 또 개사기라 템작도 좋음 그리고 결정적으로 모든 특수검들 다 쓸수있다는 것까지 그냥 쉽사기캐릭
@user-oo8ho3yt7l
@user-oo8ho3yt7l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봄버맨이 없다는게 좀 아쉽네요 제 어린시절 1대장게임이었는데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ㅋㅋ 진짜 말씀하신대로 개사기 찌르기였죠. 진짜 제갈량 하다보면 개사기캐릭의 조건은 모두 갖추고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죠 ㅎㅎ
@user-bc2qq6pl5b
@user-bc2qq6pl5b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왔다가 10분 그자리에서 순삭으로 보고갑니다. 옛날생각도나고 좋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구독박고 종종 놀러오겠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댓글까지 달아주시고 거기에 구독까지!! 옛 추억들을 기억나게 할 수 있는 영상 더욱 만들어보겠습니다 종종 놀러와주세요 ㅎ
@user-ij4el4ob2d
@user-ij4el4ob2d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어요 간만에 옛날 추억으로 돌아갔네요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억을 함께 나눠요 ㅎ
@user-dh8bu5uh1h
@user-dh8bu5uh1h Жыл бұрын
진짜 온라인 정보 하나 없던 시절인데도 사람 보는 눈은 다 같다고 느껴지네요 ㅋ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이게 참 정말 신기한게 지역도 나이도 모두 제각각이지만 말씀하신대로 정보하나 없던 시절이었는데 여러사람들의 오락실 추억들을 들어보면 모두 비슷해서 참 신기하고 재미있죠 ㅎㅎ
@user-kw8zb4hw2b
@user-kw8zb4hw2b Жыл бұрын
ㅇㅈ 캐딜락 ㅋㅋ 녹색아재는 드랍킥이 ㅈㄴ 좋았구 여자는 무기 총질이나 칼질이 좋았던 걸로 아는데
@aXe1305
@aXe1305 Жыл бұрын
야구왕 초록색 고르는것도 캐공감 ㅋㅋㅋ
@user-lj9zw8fi4n
@user-lj9zw8fi4n Жыл бұрын
@@user-kw8zb4hw2b 새마을 아조씨로 불리던 캐릭 ㅋㅋㅋ 오락실은 주로 가보지는 않았으나 현란한 발차기가 기억나네요.
@user-zg3rs4zq1o
@user-zg3rs4zq1o Жыл бұрын
닌자 베이스볼에서 녹색 픽률이 너무 넘사라 진짜 2명이서 하면 맨날 싸우다보니 저는 빨강을 연습해서 그걸 골랐었죠. 녹색은 진짜 말이 안 되는게 일단 기술 쓰는게 쉽고 공중이라 공격도 잘 안 받고 심지어 마지막에 회오리 치면서 안전한 착지까지... 노랑이는 잡아야 기술 쓰고 파랑이도 기술이 꽤 어려웠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나마 빨강이는 달리면서 요래요래 휘저으면 쓰는 기술이라 그나마 괜찮았고 생긴게 좋았죠. 리더느낌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진짜 녹색성능이 쉬우면서도 편해서 넘사벽이죠 노랑이는 기술쓰기어려웠던게 기억이 납니다 으윽 빨갱이는 전대물(후뢰시맨)에서 보통 대장 색깔로 나와서 리더느낌이 나죠 ㅎㅎ
@starfish9937
@starfish9937 Жыл бұрын
파랑이는 아도겐 + 점프하면 위에서 방망이로 찍어대다가 폭탄날리는건데 이 마지막 폭탄은 파하기도 했던터라 녹색 못고르면 빨강이로 했었지요
@aaqwemji1439
@aaqwemji1439 10 ай бұрын
저는 파랭이 궁이 너무 임팩트 있어서 파랭이만 했습니다ㅋㅋ 녹색은 너무 무난해서 재미없었어요
@user-ul5cj1ie6z
@user-ul5cj1ie6z Жыл бұрын
공감되는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까지!!
@user-po8mi3os1z
@user-po8mi3os1z 11 ай бұрын
영상 재밌게봤어요 너무 공감갔네요 !!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전국적으로 비슷했던 그 시절의 추억들이죠 ㅎ
@King-yr4jy
@King-yr4jy 11 ай бұрын
예전에 오락실에서 재밌게 했던 게임들 영상 찾아서 보고 있는데 설명하시는게 제 생각과 비슷해서 더 재밌게 봤습니다. 요즘 고전 게임 모아놓은 APP 다운 받아서 다시 해보고 있는데 실력이 예전같지 않네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이게 세월 앞에 장사없다는게 체감이 됩니다 저도 나이를 먹다보니 손가락이 꼬이고 영~ 예전같지 않더라구요 ㅎㅎ ㅜㅜ
@user-rg2uz7zk7k
@user-rg2uz7zk7k 11 ай бұрын
저도 옛날 게임 다시해보고싶어요 계속 찾아보고있었는데ㅜㅜ 뭐 다운받아서 하시는거에요?????
@King-yr4jy
@King-yr4jy 11 ай бұрын
@@mavini 세월 앞에 장사 없다 라는 말이 딱 맞는거 같습니다 하하
@King-yr4jy
@King-yr4jy 11 ай бұрын
@@user-rg2uz7zk7k "Happy Chick Emulator"란 게임 어플인데 옛날 오락실 게임이 많이 있어서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user-fg9eu7nu9z
@user-fg9eu7nu9z Жыл бұрын
가이와 코디의 결정적인 차이는 파워였죠.. 같은 와리가리여도 파워차이가 나다보니 금새 깡패를 패는 맛은 코디쪽이었고 무엇보다 나이프를 들었을때 코디는 개사기였기 때문이었을거라 생각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호..또 그런 차이들이 있었군요. 파워차이와 아이템의 실용성..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
@incourse
@incourse Жыл бұрын
+ 필살기 리치 차이도 있죠. 점발 리치는 비슷했는데 필살기 모션이 코디가 더 길어서 적들한테 쌈싸였을때 코디로 파훼하기가 더 쉬웠어요.
@user-zp2is1gx2m
@user-zp2is1gx2m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잘모르는게 해거도 와리가리가 됩니다. 코디가 두번씩 끊어 치는거라면 해거는 한번씩 끊어치는거라 타이밍 맞추는게 어려웠죠 하지만 파워가 좋아서 은근히 인기 있었어요 오히려 가이가 생각보다 인기가 않좋았어요
@user-fu7mx8cy9e
@user-fu7mx8cy9e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가이는 코디보다 파워가 약한대신 3단 따닥이(와리가리)가 가능했었죠
@user-ih1kr4ut1o
@user-ih1kr4ut1o Жыл бұрын
잘 몰라서 여쭤보는데, 가이는 나이프 성능이 안좋았나요?
@pseohuhu
@pseohuhu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채널 번창하시길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시청과 댓글 감사합니다. star님도 모두 화이팅입니다!
@user-xx9kn5rs1d
@user-xx9kn5rs1d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영상 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릴적 오락실 추억이 새록새록 하네요. 아참 그리고 저도 생각나는 녹색캐릭이 하나 있어요. [서유강마록] 할때 친구들 서로 [사오정]선택 하려고 했던게 기억납니다 ^0^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유기에서 사오정도 제일 좋아서 진짜 서로하려고 했었죠 번개쓰는 맛이 일품이었죠 영상에 빠져버려서 아쉽습니다 ㅠ
@legacy84
@legacy84 Жыл бұрын
여담으로 코디의 나이프 성능에 대한 상징성이 큰 나머지 일부 코디가 등장하는 격투게임 예를들면 스파4 같은데선 코디를 필두로 가이 같은 캐릭터가 대전상대로 나왔을때 스테이지 한가운데 나이프가 놓여있는 이스터애그가 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 오오??? 이런거 와...정말 이런 정보같은거 알아갈 때 진짜 신기하고 재미있습니다 찾아봐야겠네요 이런거 정말 좋습니다 크흐~
@seongjinkim6055
@seongjinkim6055 Жыл бұрын
삼국지 제갈량으로 혼자서 원코인 막보까지 깻던 기억이 있네요 초반만 평타짤로 11까지 인가 렙업하면 그때부터 평타가 빨라져서 더 안정적으로 플레이를 할 수가 있었네요 제갈량 초반 평타짤은 국룰이죠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헐 고수!! 원코인이라니 평짤로 11렙까지 그런 세세한 비법이? 상팔렘의 추억이군요
@user-rebylaw
@user-rebylaw Жыл бұрын
고수셨네 ㅋㅋ 저는 200원으로 무한기 맞춰서 끝판깼던기억이 ㅋㅋ 불검먹는곳 들갈려면 2p 켜야해서 100원으로 겁나게 열심히 불검까지 가서 불검들어가기 직전에 100원 더 넣고 2p 켜서 불패랑 불검먹고 무한기맞춰서 깨고 했었는데 ㅋㅋ 다 추억이네요 ㅋㅋ
@user-io5lw9yi6k
@user-io5lw9yi6k Жыл бұрын
무한기 안하고 극한 컨트롤로 깨서 3탄에서 전등 무한 맞추면됨
@user-yb7iv3vv9e
@user-yb7iv3vv9e 13 күн бұрын
제갈량은 불칼이 사기여서 불칼먹고 따딱연타만해도 100원이면 끝판깸
@user-ih8os8uo6b
@user-ih8os8uo6b Жыл бұрын
오 소재 잘잡으셧네요...고전겜 채널이 많다 보니 엥간한건 다 봤는데 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추억들을 생각하며 만들어보았습니다 ㅎ
@terayang186
@terayang18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설명이 졸라웃긴데 너무 정확하고 공감이 됨. 딱 저 시절 저렇게 생각했음ㅋ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의 추억들을 서로 공감할 수 있어서 즐겁습니다 ㅎ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mk8337
@dmk8337 Жыл бұрын
삼국전기 제갈량은 성능도 성능이지만 불칼 얼음칼 같은 특수 무기를 먹을 수 있다는 점이 컸던것 같아요 제기억엔 제갈량이랑 마초만 먹을수 있는데 마초는 첫타가 칼이 아니라 손바닥을 내미는거라 리치도 짧고 안좋아서 무조건 제갈량 1순위 그다음 마초였던걸로 기억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제갈량 이녀석이 욕심도 많게 거의 모든 무기를 다 먹을 수 있어서 안그래도 성능 좋은데 장비까지 독식해서 진정한 사기캐의 면모를 보여주었죠
@user-gr3yn4dd6i
@user-gr3yn4dd6i 11 ай бұрын
@@mavini 특히 게이지 차는게 ㄷㄷㄷ 불검만 있어도 왠만큼 클리어 된다는ㅋ
@gameshirou
@gameshirou 11 ай бұрын
아 불검 얼음검 ㅋㅋㅋㅋㅋㅋ 추억이다 진짜 ㅋㅋㅋㅋㅋ
@aaqwemji1439
@aaqwemji1439 10 ай бұрын
궁극기도 전체 광역이다보니까 생존스킬로써도 완벽했음
@user-dd1uc3dx2b
@user-dd1uc3dx2b Ай бұрын
@@user-gr3yn4dd6i왠만큼x 웬만큼o
@Zman158
@Zman158 Жыл бұрын
해거 는 사실 펀치 속도 느린 것 만으로도 일반 게이머들은 플레이하기가 꽤 힘들었죠. 던지기 거리도 짧아서 적들 한꺼번에 날리기도 안좋고.. 진짜 고수들이나 해거 백드롭 무적 유지시간이 어마어마하다는 거 알기에 끝없이 백드롭 연사로 쉽게 플레이했지 일반 플레이어들은... 가이 랑 코디는 비슷한 거 같으면서도 가이는 연타가 5방이라 코디보다 더 때리는 시간이 길다는 것에 5방 다 때려봤자 코디보다 데미지도 약하고 무엇보다 무시무시한 스테이지 2 보스 소돔 의 몸통박치기 공격을 코디 는 주먹 한방만 톡 날려서 끊을 수 있는 반면 가이는 그게 안되다보니 코디 픽율이 압도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음.. 거기에 코디는 나이프 쥐면 엄청난 성능이 되는 것까지 해서 솔직히 세명의 성능 밸런스는 코디에만 좋은게 너무 쏠려있다 싶게 개판이었죠. 진짜 고인물들은 해거 를 더 쳐준 거 같기도 하지만.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크흐~ 코디가 사기인 이유와 픽업율이 높았던 이유를 세세하게 잘 설명해주셨네요 많은 공감이 갑니다. 해거는 정말 고인물들의 캐릭이 맞는거 같습니다..제가 하면 진짜 트롤되버리는..ㅎㅎㅎ
@vtamer01
@vtamer01 Жыл бұрын
파이널 파이트 고인물 분들이 공통적으로 던지기로 적들 모아놓고 패는 플레이를 자주 하시는데 해거의 백드롭이 무적시간이 길고 프레임도 짧아서 가장 유용하더군요.
@ryusam512
@ryusam512 Жыл бұрын
파이널파이트 잘알 아재들은 해거를 최강캐로 침
@terayang186
@terayang186 Жыл бұрын
코디가 가이보다 픽률이 좋은 이유를 하나만 더 추가하자면 일명 짠손이라 불리는 첫 두방의 펀치 데미지가 더 높았기 때문도 크지않나 싶네여.. 와리가리도 체력을 은근 갉아먹는 기술인데 코디가 더 빨리 해치울 수 있었죠!
@user-si3tb3mt2u
@user-si3tb3mt2u Жыл бұрын
해거로도 와리가리 하는 고인물들ㅋㅋㅋㅋ
@user-yx3uk7lz8x
@user-yx3uk7lz8x 11 ай бұрын
90년생 아재입니다 ㅋㅋㅋ 아무생각 없이 유투브 보러 들어왔다가 추억에 이끌려 어린 동심으로 돌아간것 같아 너무 좋았습니다 항상 즐거운 하루보내세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린시절 추억이 그리울 때 한번씩 들러주세요 ^^
@dad2016
@dad2016 11 ай бұрын
개사기 캐릭터 하나 더 있습니다. 아랑전설(원 게임제목 Fital Fury)에서 김갑환이었죠. 공중에 점프한 후 대각선으로 내려오면서 발로 몇 발 겁나게 빨리 차는 기술.. 진짜 이거 하나면 끝판왕까지 가볍게 깨고 남았습니다. 그래서 잘하는 친구들과 하면 누가 먼저 공중으로 점프하는가가 관건이었죠. 그 외에도 오끼뿜이나 썸머솔트킥, 무지막지하게 때리는 필살기.. 진짜 김갑환 고르면서 한국이 짱이라고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ㅎㅎ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갑환선생님의 기술들이 참 호쾌하고 멋있어서 당시에 자주 골라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정의의 김갑환선생님..그런데 지금은 이제 제가 더 아재가 되었네요 ㅎㅎ
@pluto13678
@pluto13678 11 ай бұрын
​@@user-kp4jx5zv1j 화내지말어잉 그럴수도 있지
@user-pq4zz8uj4r
@user-pq4zz8uj4r Жыл бұрын
파이널파이터 코디 장점이 단칼을 1회성으로 던지는게아니라 들고 계속 쑤실수잇는장점이 컷고 2라운드 지하철내려서 칼잡이대장같은 달려오는것들 주먹뻗으면 잡아지는게 컸던기억이네요 무엇보다 다른캐릭들에 비해 단점이없엇던캐릭임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진짜 코디가 딱 밸런스가 잘 잡히 캐릭이었죠.. 저는 2판 보스에서 펀치 툭 그거 하려다가 잘못해서 맨날 쳐맞던 기억이...
@CH-wx4xb
@CH-wx4xb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마빈박사님 영상. 오늘도 재밌게 보고갑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잘보내세요!
@hpzzangx0000
@hpzzangx0000 Жыл бұрын
이분 분석 엄청 공감되게 잘하시네 ~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의 추억들이 모두 비슷한 부분들이 있어서 그런가 봐요 ㅎ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acoon5
@racoon5 Жыл бұрын
나만 그런 게 아니었어..ㅎㅎ 제 기억으로 파이널 파이트에서 가이는 민첩, 코디는 밸런스, 해거는 파워였던 걸로 기억 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 뭔가 세분화되어 있네요 ㅋㅋ
@Ahn_Donghee
@Ahn_Donghee Жыл бұрын
별로 안 알려진 '스타글레디에이터2'라는 게임에 사기성이 좀 있는 히든캐릭이 있었죠. 라이온이였던 걸로 기억되는데 이 캐릭이 하단손이 히트백이 없어서 상대방 공중에 띄우면 하단손만 때려서 절명콤보가 나오곤 했죠.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스타글레디에이터 당시에 많이했었는데 그게 1이었는지 2였는지 잘 모르겠어요.. 당시 기술들이 너무 멋있어서 좋아했었죠..찾아보니 라이온이 숨겨진 사기캐였네요 ㅎㅎ 저는 그 링2개 들고있던 여자애하고 하얀옷입은 천사같은 여자로 했던 기억이.. 맞나 모르겠네요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user-mn6nc5yh2o
@user-mn6nc5yh2o Жыл бұрын
@meeduduck
@meeduduck Жыл бұрын
저도 스타글래디에이터2 좋아했었습니다. 2D 격겜만 만들던 캡콤이 처음 만든 3D 격겜이라서 그런지 기본 조작감이나 속도감, 커맨드, 콤보, 가드 시스템 등은 기존 2D 격겜을 토대로 하고 폴리곤 그래픽과 횡이동만 더해진 느낌이었죠. 3D보다 2D 격겜을 선호하던 제 취향에 딱 맞았던 게임입니다. 라이온은 사기캐릭 맞지만 비인기 게임이라 고인물도 별로 없고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기도 힘들던 시대라 그런지 히든캐릭을 쓰는 사람이 별로 없어 실제로 상대할 일은 별로 없었던 기억이 납니다.
@lemon-vo8od
@lemon-vo8od Жыл бұрын
백호에서 아래 좌좌 위좌우 였던 걸로..기억이 가물가물 레인에서 위아래 좌우 위가 카에데였던 너무 기억이 가물가물하네
@user-yi1xk7ks8w
@user-yi1xk7ks8w Жыл бұрын
와다해봤넹 어느새잊고살았었는데 간만에보니 추억돋네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기억 속 저편에 흐릿해져 있는 추억들이 떠 오를때면 즐거워집니다 ㅎ
@user-rq3bm8eg8qkeofjf83iqjsbf
@user-rq3bm8eg8qkeofjf83iqjsbf Жыл бұрын
와 어벤저스 엄청 오랜만!! 애기때 많이 했는뎁!! ㅋㅋㅋ 정말 반가운 추억의 게임 잘봤어용!!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렸을 적에 정말 많이했던 게임이죠 ㅎ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g7xb5dj3m
@user-og7xb5dj3m Жыл бұрын
캐딜락에서 무스타파(농협)가 인기있었던이유는 대쉬공격이 아니라 점프후 특수기가 타 캐릭은 제자리 점프후에만 발동되는데 무스타파는 앞으로 점프 후에도 특수기가 발동된다는게 큰 차이점이었는데 이 채널에선 아예 몇가지 특수기가 있다는거 조차 모르는듯.,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저도 당시 특수기를 사용했었는데 영상만들때 정말 기억조차 못했습니다 하도 오래되서 ㅋㅋ 댓글을 보고서야 앗..아 맞어맞어 그 기술이 있었지라고 기억해내었죠 ㅎㅎ
@Moon_Super
@Moon_Super Жыл бұрын
찐따출신 틀딱아재등장.. 30년전 겜으로 추억팔이하고 있는데 혼자 와가지고 진지빨면서 그거 아닌데 이거때문에 사기캐였는데 넌 이런 기술 있는지도 모르지?? 이러고있네 ㅋㅋㅋ
@refrigerator-user
@refrigerator-user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봤네요 모두 공감 😮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주세욥
@ehduddlr
@ehduddlr Жыл бұрын
참 전부다해본게임인데 추억돋네여 오락실가면 항상 캐딜락과 삼국지없으면 오락실찾아서 삼국지찾아서 해왔던 기억이 새록새록납니다 ㅜㅜ 야구왕도 많이했고여 ㅋ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공감됩니다. 하고싶은 게임없으면 그 오락기있는 곳 찾아다녔었죠 아 추억돋네요 ㅎㅎ
@Charlotte-dm4dw
@Charlotte-dm4dw Жыл бұрын
닌자베이스볼 초랭이 인기픽이었던건 다른캐릭터들에 비해 필살기 커맨드가 간단한고 맞추기가 쉬웠음. 게다가 오징어처럼 대공기 있는 몹들이 많이 없으니 피관리도 잘됐구요. 빨갱이는 대쉬하면서 커맨드라 대쉬하는 중에 처맞는 경우가 많았음 노랭이는 오락실현역시절에도 필살기 못쓴거보면 커맨드가 어려웠던거 같은데 기억상 완전히 근접해서 사용해야했음 파랭이는 레버 한바퀴 제대로 돌려야하는 커맨드라 보통 몹을 등지는 방향을 보고 필살기 써야 맞출 수 있었는데 거리조절도 잘해야했음 우리동네 인기순으론 초 빨 파 노 였음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 오징어 대공기 진짜 짜증나죠 ㅋㅋㅋ 영상에서도 오징어한테 맞는 부분이 있습니다 ㅎ 써주신 글을 보니 초록이말고는 뭔가 다 힘든 부분이 하나씩 있었군요 우리동네 인기순이랑 같았네요 초빨파노 ㅎㅎ
@user-xc1ty5mb1x
@user-xc1ty5mb1x Жыл бұрын
저는 빨갱이인 조세를 제일많이했습니다 솔플을하던 친구와 오락실에서 하게되면 친구들이 저랑안싸우고했다죠 ㅎㅎ 왠지모르게 저는 빨갱이위주로 하다보니 초록이가 어색했었어요
@user-kl4jd5lm1f
@user-kl4jd5lm1f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도 다들 녹색으로 입문했지만 나중엔 빨강이 하려고 했던 구두룡섬이라고 연속베기 이게 손맛이 엄청 좋았던ㅋ 노란색은 애들 거의 안한 듯 엄청 잘하는 형 하는거 몇번 본거 빼곤 없네요
@user-ul2ym7eq5n
@user-ul2ym7eq5n Жыл бұрын
뉴비들 저승사자 1. 오징어 2. 황소 보스
@user-eb2jk1tw4h
@user-eb2jk1tw4h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는 다들 입문으로 녹색으로 하지만 손에 익고 원코인 가능해지면 빨갱이 ->뚱뚱이-> 마른애 순으로 했네요
@user-xt5en7sv3o
@user-xt5en7sv3o Жыл бұрын
제갈량 뽑는거 알고 싶어서 모르는 형들 하는거 얼마나 많이 쳐다봤는지.. 이후 초선하고 장료 알아내고 항상 게임 시작하면 3명 다 보이게 해놓고 했던.. 3명 다 뽑을 줄 알면 우리 동네에서 인싸였음.. 진짜 개고수는 마초 원코인으로 보스까지 깼던.. ㄷㄷ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 맞아요 ㅋㅋㅋ 뒤에서 동네형 할 때 커맨드 보고 따라할려고 슬쩍보곤했었죠 말씀대로 나중에 비밀캐릭 모두 띄워놓곤 했었죠 ㅋㅋㅋ 아 공감갑니다 마초 원코인은 진짜 개고수..ㄷㄷ
@terayang186
@terayang186 Жыл бұрын
저는 각고의 노력끝에 장비가 주캐였는데 딜이 미쳐서 제갈량보다 클리어 타임이 더 빨랐죠ㅎㅎ
@davidjunghan91
@davidjunghan91 Жыл бұрын
Bcddc 위아래으래위
@user-bw6vb8fp6s
@user-bw6vb8fp6s Жыл бұрын
와..11분 시간순삭이네요..시간가는줄모르고보고있었네요~^^ 오랜만에 보니 그립네요~~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크흐~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그리운 어린시절의 추억들이죠 ㅎ
@user-ow5zq5mr4j
@user-ow5zq5mr4j Жыл бұрын
ㅎ 재밋게 잘 봤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주세요^^
@user-fj4px6xw9y
@user-fj4px6xw9y Жыл бұрын
코디가 가장 선호도가 좋았던 이유중 하나는 바로 나이프 사용법도 있지.. 다른놈들은 던지기만 하지만 코디는 근접해 있는 적들에겐 빠른 속도로 찌르기가 가능해서 게임을 더 수월하게 플레이 할수가 있었기 때문.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댓글을 보니 코디의 그런 성능?이 있었던걸 저만 몰랐네요...전 맨날 와리가리만...
@Korean-Gay
@Korean-Gay Жыл бұрын
음 저도;; 다른캐릭들도 근접에선 찌르기 되는걸로 기억하는데
@user-fg9eu7nu9z
@user-fg9eu7nu9z Жыл бұрын
@@Korean-Gay 해거는 나이프로는 안되고 그 파이프나 일본도로는 빠르게 내려치기가 가능하구요 가이는 나이프가 되긴하는데 무진장 느려서 코디처럼 구석에서 찌르기 신공은 안되죠. 결과적으로 코디압승 +_+;
@EE-fd6bx
@EE-fd6bx 11 ай бұрын
@@user-fg9eu7nu9z 캐릭마다 능숙하게 다루는 무기가 다름. 코디는 나이프, 해거는 쇠파이프, 가이는 일본도를 써야지만 제 성능이 나옴.
@user-zq6vu4ts1q
@user-zq6vu4ts1q Жыл бұрын
농협아재가 그렇게 인기였던가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농협아재의 인기는 최고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도 매일 농협아재로만 했던 기억이 확실히 있거든요ㅎㅎ
@the_end_of_the_GungYeah
@the_end_of_the_GungYeah Жыл бұрын
대시공격 지속시간이랑 판정 리치 모두 뛰어나서...
@hyeokatos6626
@hyeokatos6626 Жыл бұрын
국딩시절 오락실 국룰이였습니다
@jonghan8370
@jonghan8370 Жыл бұрын
이상하네 난 꼭 아줌마로만 해서 끝판도 가볍게 깼던거 같은데
@naturesound4022
@naturesound4022 Жыл бұрын
농협아재로만 했어요 사람들이
@user-wf8gw3yh9c
@user-wf8gw3yh9c Жыл бұрын
7:10 와 나는 애들이랑 맨날 아드라악! 키! 그렇게 불렀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밤바킥이라 부르시니 그렇게도 들리네요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이게 댓글에 정말 많은 발음들이 있는데..들어보면 또 전부다 그렇게 들린다는 것입니다 신기하게 ㅋㅋ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 Жыл бұрын
영상 속 게임들이랑 + 메탈슬러그, 건마스터, 던전&드래곤, 초강전기 키카이오 요렇게 문방구 앞이나 오락실에서 정말 많이 봤던 게임들이네요.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엌ㅋㅋ 나열해주신 게임들 진짜 문방구 단골 게임들이었죠 ㅋㅋ
@UNIRY
@UNIRY Жыл бұрын
원탁의기사 (원제 : 나이츠 오브 라운드) 에서도, 밸런스 스타일인 아더가 픽률이 좋앗습니다. 첫번째 캐릭도 나름 좋았고, 마지막인 도끼가 주무기인 아재는 거의 고수들만 골랐습니다. 나중에 레벨업 하면 갑자기 대머리가 되서, 더욱더 거부감을 느낀 캐릭이었죠.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원탁의 기사 해 본 기억이 있는 게임이네요 그나저나 렙업하면 갑자기 대머리가 된다구요...?? 헐...
@user-po7bk7bk6f
@user-po7bk7bk6f Жыл бұрын
저희동내에선 란슬롯이였나..첫번째애가 제일 인기 좋았던거 같아요..근데 생각나던게 중간에 친구랑 하려고 이어한다거나 할때 캐릭 선택하는 커서가 없어서 도끼 잘못 고르면 개빡쳐했던 기억이..납니다
@apple_production
@apple_production Жыл бұрын
랜슬롯>퍼시벌>아서 순이었죠 퍼시벌 대머리 간지가 먹어줬어요. 성능은 둘째치고 쎄보여서 ㅎㅎ
@user-wf5ou8xi1w
@user-wf5ou8xi1w Жыл бұрын
아서 해보십쇼 개구립니다 랜슬롯 퍼시벌 아서순으로 좋음
@cielluna6619
@cielluna6619 Жыл бұрын
????? 랜슬롯 퍼시벌 아더 순임....
@hsohsohso
@hsohsohso Жыл бұрын
와 완전 추억이네요ㅋㅋ캐딜락이랑 닌자 야구 완전 추억ㅜㅜㅜ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재미났던 추억들이죠 ㅎㅎ
@user-tb3nb9el1h
@user-tb3nb9el1h Жыл бұрын
추억을 선물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억은 정말 소중한 것 같아요
@NOLJAYO
@NOLJAYO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삼국전기 진짜 많이했었는데요. 제갈량의 사기성은 기무한에서 진짜가 나오는데, 큰 파도가 맵을 덮치는데 무적인데다가 전체광역기라 안정성은 물론이거니와 타격수도 많아서 점수펌핑이 되다보니 보너스목숨 얻기도 쉬웠었어요. 그래서 100원으로 하루종일 앉아서 엔딩을 볼 수있는 기적을 볼 수있었는데.. 오락실 주인아저씨가 몇번을 그 모습을 보다가 언제부턴가 제갈량으로 기무한을 쓰면 차단기를 내렸다올리기 시작했어요. 정전이라면서 미안하다고 100원을 돌려줬었는데, 그때는 진짜 정전인줄알고 아쉬워하면서 귀가했었어요. 다 커서 생각해보니 오락실 주인아저씨의 마음이 이해가 가더라고요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농담이아니라 당시에 게임 오래하고있으면 진짜 주인아저씨가 동전 주면서 꺼버리고 가라고 했었죠 저도 원더보이2 할때 오래하고 있으니 주인아저씨가 전원꺼버리고 50원 주고 가라고 하더라구요 ㅋㅋ
@user-fj5ci6zm2r
@user-fj5ci6zm2r Жыл бұрын
제갈량 최하위 똥캐입니다 제갈량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 아무거나 골라도 아무 보스들한테 절명콤보 그냥 냅니다.... 제갈량이 사기라고 생각하는 문방구 출신 아재들 개많아요
@user-lj9zw8fi4n
@user-lj9zw8fi4n Жыл бұрын
@@user-fj5ci6zm2r 삼국지게임은 당시 워낙 어릴때라 형들이 하는거 보면 말타고 창을 휘둘르며 돌진하는거밖에 생각이 안나네요 ㅋㅋㅋ
@Eruiya0314
@Eruiya0314 10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 닌자 베이스볼 배트맨을 친구랑 플레이하다 보면 항상 먼저 녹색을 고르려고 했는데, 우연히 어느 골목길 문방구에서 발견한 기판에서는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캐릭터 외형이 바뀌는 것으로 다같이 녹색으로 즐길 수 있는 해킹판 기판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다들 그 기판 앞에 줄을 서곤 했었죠. 스타트를 누르면 슈슉 하고 허공에 배트를 휘두르는 모션을 취하더니, 그 모션이 끝나고 나면 순서대로 외형이 바뀌어서 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들 녹색 캐릭터의 외형으로 플레이했던 기억이 납니다.
@mavini
@mavini 10 ай бұрын
저는 해킹판을 접해보지 못했는데 신기하네요 전원 같은 캐릭이라니 ㅎㅎ 문방구 앞 오락기가 짱이었네요 ㅎ
@Discover26
@Discover26 11 ай бұрын
ㅎㅎ 간만에 추억이 많이 떠올랐네요 저는 당시에 취향이 유별나서 로봇을 별로 안좋아하고 캡틴 아메리카를 엄청 좋아해서 골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이제 아저씨 세대가 되어서 추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낯설게 다가오네요 ㅎㅎ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당시에 캡틴아메리카가 뭔지도 몰랐던 시절 방패든 캐릭이 성능도 별로라서 기피했었는데 커서 보니 캡아였죠 ㅎㅎ 이제는 캡아보다 더 아재가 되버렸네요 ㅜㅜ 그래서 가끔 어린시절 추억들이 떠오르곤 합니다 제 영상들이 소중한 어린시절 한켠의 추억을 떠올리는데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gychoi335
@gychoi335 10 ай бұрын
마비니님 혹시 어렸을때 어디지역에사셨어요? 말투나했던게임ㅇ저랑비슷한동네였을듯ㅎ
@mavini
@mavini 10 ай бұрын
쩌~~어기 아랫동네 삽니다 ㅎㅎ
@golarviking9055
@golarviking9055 Жыл бұрын
놀이터에서 팀가를때 손바닥 뒤집어가면서 데덴찌, 우에시다리 등등 지역마다 용어가 다르지만 오락실게임 캐릭터만큼은 전국에서 부르는 명칭이 다 거기서 거기인게 참신기하네요 저도 농협아저씨 녹색 이런식으로 불렀던것 같아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 공감됩니다 저희동네에서는 데덴찌를 모라이모라이센치 라고했거든요 이러한 것들은 차이가 확실히 있는데.. 진짜 오락실관련 용어들은 모두 비슷했던게 신기합니다 ㅎㅎ
@user-InternetCupid
@user-InternetCupid Жыл бұрын
우린 뚱땡이 강호동이라 했는데...
@skdklfe
@skdklfe Жыл бұрын
@@mavini 와 혹시 여수이신가요? 모리오모라이센치는 어디서도 안쓰던데
@user-eb2jk1tw4h
@user-eb2jk1tw4h Жыл бұрын
데덴찌나 덴찌라후레시 일케 부름
@Yoonnn
@Yoonnn Жыл бұрын
부모님과 같은 고향 사투리를 들으니 너무 정감가네요ㅋㅋ 요즘엔 오락실이 없으니 이런 게임들을 보기 힘드네요ㅜㅜ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앗 반갑습니다 ㅎㅎ 진짜 맞아요..요즘 오락실이 사라져버려서 어린시절 그 분위기나 추억들이 그리워지곤합니다 가끔씩 오락실에서 해보고 싶은데 말이죠..ㅠㅠ
@user-ws4tj8tw2m
@user-ws4tj8tw2m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im-xl7qm
@lim-xl7qm 5 ай бұрын
잊고 지내던 추억 들이 생각 나네요 지금은 오락실 찾기가 힘들더라구요 영화관 이나 이런데 있어도 다른 게임들 뿐 .. ㅠ 감사합니당
@mavini
@mavini 5 ай бұрын
오락실 이젠 정말 보기 힘들어져서 아쉬울따름이죠..극장 한구석에 있는 오락기들로는 오락실의 느낌을 낼 수가 없죠 이젠 오랜 기억 속 추억으로만 간직할 뿐입니다.. ㅜㅜ
@user-ku8qp3lb5x
@user-ku8qp3lb5x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동네애들끼리 부르던 명칭.... 돼지 이소룡 미국인 그런게 있었다는 것조차 잊고 살고있었는데 오랜만에 그때를 떠올려봅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추억의 한편을 깨워드렸다는 것에 대해 저도 만족감을 느낍니다 ㅎ 시청해주시고 댓글까지 감사합니다!
@tomato8153able
@tomato8153able 6 ай бұрын
그 밖에도 나열해 봤습니다. - 에이리언 vs 프레데터 : 린 쿠로사와 (총 사용 패턴이 좋아서) - 천지를먹다(Warriors of Fate) : 조운 (밸런스 좋고 간지나서) - 캡틴코만도 : 캡틴코만도 (대쉬 점프해서 쓰는 화염이 좋아서) - 선셋라이더스 - 밥(3p) (위치상 점수 따기가 제일 유리해서)
@mavini
@mavini 6 ай бұрын
오 에어리언여자 에네르기파 생각나고 캡틴 대쉬점프회염방사 엄청 썼었죠 ㅋㅋ 기억납니다
@kyrixcezry2915
@kyrixcezry2915 Жыл бұрын
일단 어밴져스의 경우 아이언맨이 확실히 성능이 원탑이던게 점프레이저만으로도 다씹어먹는게 가능했고. 2인플 슈팅모드일땐 아이언맨이 실드치고 다른캐릭터가 평타치면쉽게 클리어가가능했음. 캐딜락의 경우 무스타파가 초보자도 쉽게쓸캐릭이었고 한나는 스피드원툴인데 파워는 좀많이아쉬운데반해 무스타파의 스피드는 한나에 그렇게 밀리지도않았음. 닌자베이스볼배트맨은 워낙초록이 성능이 좋아서 인기다툼이 심하다 보니 나중에 해킹버전은 게임자체적으로 3버튼을 추가해서 다른캐릭터로 전환이 가능하더군요. 4명이 전부 초록이 캐릭터로 진행이 가능했던점. 삼국전기 캐릭터들이 가장 기본공격을 연타하지않고 단타로 끊어서치는건 초반 기게이지 획득도 있지만 스코어링을 통한 레벨업때문도있습니다. 기본공격연타나 대시공격등 다른기술을 입력하면 데미지가 높아서 적들이 쉽게 죽지만 찌르기만 단타로할경우 최대한 스코어링을 하면서할수있었고 특히 제갈량은 불검을 먹을때 레벨에따라 데미지없이 갑옷만으로 풀수있었기에 불편해도 초반 레벨링이 중요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이언맨 캐딜락 닌자베이스볼 삼국전기 모두 공감합니다 댓글에서 저 게임들 모두 섭렵한게 보여서 고수의 느낌이 풍겨지십니다
@ukikaze9930
@ukikaze9930 11 ай бұрын
꼭 찌르기만 쓰지 않더라도 제갈량이 그냥 게이지 채우는 속도가 다른 캐릭보다 압도적으로 빨랐음 게이지를 빨리 채우니 필살기도 자주 쓸 수 있고 당연히 클리어도 유리. 제갈량 다음으로 픽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던건 특수기가 좋았던 마초. 그 다음은 나 같은 경우는 조운이었는데 아마 이건 사람마다 다를듯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사실 마초도 좋은 캐릭인데 제갈량이 너무 사기였죠 ㅎㅎ
@wineyvineyV2
@wineyvineyV2 11 ай бұрын
저도 제갈량 다음은 조운ㅎㅎ
@PenPon-iw7qd
@PenPon-iw7qd 4 ай бұрын
파이널파이트는 얍샙이 좌우좌우좌우 로 끊어치는 걸로 보스 원턴킬 가능한데 근육질은..몇방 치면 쓰러져버려서.. 그리고 무스타파는 드랍킥 이후 딜레이를 끊어치는 아래 위 공격 키 로 후방까지 커버가능해서..
@mavini
@mavini 4 ай бұрын
오~ 많이 해보신 느낌이 나는 글입니다
@moremoreplus
@moremoreplus 10 ай бұрын
황금박쥐 로보트 방패 로빈훗... 어쩜 저희 동네 오락실이랑 똑같은지 ㅋㅋㅋㅋㅋㅋ 저도 어린 시절 그렇게 불렀던 기억이 납니다 ㅎㅎ 추억돋네요~
@mavini
@mavini 10 ай бұрын
사는 곳은 각각 다르지만 어린시절 똑같고 비슷한 추억들이 신기하고 그립네요 ㅎㅎ
@user-cv2pz1ko9m
@user-cv2pz1ko9m Жыл бұрын
어벤저스에서 인기가 좋은 캐릭터가 아이언 맨이었을지 모르지만 나중 상급자로 가면 비전만 쓰게 됩니다. 막기 모션이 투명화라 게임중 전략적으로 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이죠.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글죠 투명화가 적들의 빔 공격같은거도 투과시켜버리고..뭔가 쓰면 쓸 수록 비전이 상급자용 캐릭임이 느껴지긴 합니다
@isachuh9590
@isachuh9590 Жыл бұрын
연배가 저랑 비슷하신듯.... 영상 잘 보고 갑니다아~~!!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40대를 넘어서 가고 있습니다..세월이 참 빠르네요 ㅠ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d6lz9cm5b
@user-sd6lz9cm5b Жыл бұрын
야구왕 재밌게 했었죠ㅋㅋㅋ 어렸을적 아파트 상가 슈퍼앞에 동전게임으로...ㅋ_ㅋ 저거 삼국지 게임도ㅎ 텐가이 도ㅎ 근데 저 삼국지 이름이 뭔가요? 저 게임 다운받으려고하는데 저 게임 검색이 안되네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상가앞에도 있었죠 ㅋㅋ 제목은 삼국전기 / 三國傳記 / Knights of Valour 이걸꺼예요
@user-ul2ym7eq5n
@user-ul2ym7eq5n Жыл бұрын
삼국전기는 뉴비때는 일단 제갈공명 픽으로 어떻게든 칼자루 입수 하는 목표, 그다음은 원코인... 어느정도 실력좀 올라가면 장비 , 관우 , 조운 정도로 원코인 하다가,,,, 고인물에 접근하면 초선 장료 골라서 콤보 조지는 재미로 ㅋ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이거 인정입니다 ㅋㅋ 초보때는 무조건 사기 제갈공명으로 하다가 어느정도 고인물되고 익숙해지면 이캐릭 저캐릭 다해보게 되죠 ㅋㅋㅋ
@user-dn6ks6zt6z
@user-dn6ks6zt6z Жыл бұрын
캐딜락 공룡 저거 오락실에서 진짜 한동안 미친듯이 한 41세 아재입니다~ 백원으로 그 돌머리 공룡까지 가봤습니다. 농협아재가 제일 좋지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오락실 횡그스롤 게임중에 제일 재미있고 난이도도 적당하다고 봅니다.세월 참 빠르네요ㅜㅜ 다시 그때로 갈수는 없나봅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캐딜락이 인기가 상당했었죠 저도 꽤나 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예전 게임들 볼 때면 그 시절이 그립곤합니다. 결코 다시 돌아갈 수 없기에 더욱 그러나 봅니다..
@HJ-vu6ek
@HJ-vu6ek Жыл бұрын
저 삼국전기 라는 게임은 당시 오락실에서 삼국지3 라고 붙여놓는 경우가 참 많았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아마 천지를먹다2 다음에 이게 나와서 그런게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당시 어느 오락실을 가도 랭킹창에 왠 흰모자쓴 양반으로 몇백만점 이렇게 도배가 되어 있더군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 그랬을 수도 있겠네요 천지를먹다2 다음에 나와서..주인아저씨의 제목 센스인가요? ㅎㅎ
@user-wf8gw3yh9c
@user-wf8gw3yh9c Жыл бұрын
6:13 노랑모자 198에 68 ㅋㅋㅋㅋㅋㅋㅋㅋ 개지리네.. 86이 되어도 날씬한건데..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68은 진짜 심했죠 제작자의 의도가 궁금해지는 ㅋㅋ
@user-vi3ib3xn6v
@user-vi3ib3xn6v Жыл бұрын
삼국지는 갠적으로 정말 싫어했던 게임이었죠. 사촌형 집으로 놀러가면 사촌형은 삼국지하러 친구들과 오락실 갔었는데. 당연히 초딩인 저도 따라갔고 금방 끝날줄알았던 게임을 해가 질때까지 하더라구요. 옆에서 가만히 지켜보며 기다리는게 너무 힘들어서 혼자 열심히 동전도 넣지않은 오락기 스틱 만지면서 기다렸던게 참... 눙물없이 들을수없는 저의 오락실이었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아으...ㅠㅠ 동전도 넣지않은 오락기 스틱 만지는..저도 동전하나없던 꼬맹이때 혼자 그랬던 기억이 있어서 너무 공감이 갑니다..구경하니 생각나는게 저는 친구집에 게임기가 있어서 놀러가면 항상 친구가 하는거 옆에서 구경만 했던게 생각이 나네요..ㅠ
@hozuho5435
@hozuho5435 Жыл бұрын
😂쨘하다 난 잘하는 친구한테 동전 얻어서 했는데
@etya12
@etya12 Жыл бұрын
던전드래곤도 이랬음 ㅋㅋ 끝나질 않고 게임기 잡고있던게 맨날 고딩형들이라 무서워서 말도못하고 그랬음 ㅋㅋ
@user-eb2jk1tw4h
@user-eb2jk1tw4h Жыл бұрын
던전드래곤이 플탐은 쩔었죠 전설의검 풀고 삥삥 돌아서 가면 2시간30분도 걸렸으니깐요 ㅋㅋㅋ
@user-ej8yq9hz2z
@user-ej8yq9hz2z Жыл бұрын
어떤 느낌이지 저도 잘알죠..ㅠㅠ 동전도 안넣은 기계에서 스틱만지면서 버튼도 괜히 눌르고..백원이라도 형이 투척해줄까봐..하지만 사촌형 중에 동네에서 한가닥하는 형이 있었는데 그 형을 오락실에서 만나면 무려 3천원을ㅋㅋㅋ 저랑 나이차이도5살밖에 안나는데.. 그맛에 더 오락실을 들락날락 거렸던 추억이 있네요
@user-ye1bj1mu4x
@user-ye1bj1mu4x 11 ай бұрын
ㅋ 추억이 돋는 영상이네요ㅎ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추억이 방울방울 가득한 채널에 기억나실때 한번씩 들러주세요 ㅎㅎ
@UltraLowSpecPC
@UltraLowSpecPC Жыл бұрын
혹시 다이너마이트캅이라는 게임 아시나요? 그거 2편을 참 좋아했었는데요 거기서 맨손 격투가 젤 좋던 흑인이 인기 좋았고 잘 하는 사람은 잡기가 매우 좋은 여자를 했고 무기사용이 좋은 백인은 많이 안했던 기억이 나네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헐? 다이너마이트형사가 2도 있었군요? 저희 동네에는 1탄밖에 없었는데 2탄은 구경도 못해봤네요.. 1탄은 진짜 오지게 했었죠 ㅎㅎ
@232cyj
@232cyj 4 ай бұрын
딱 저랑맞는시절이군요 개공감하며 옛추억에빠져서 봤어요ㅋ
@mavini
@mavini 4 ай бұрын
같은 세대시군요 ㅎㅎ 반갑습니다👍
@user-lm1qv9jc6c
@user-lm1qv9jc6c Жыл бұрын
공감되네요 초딩때 많이 했던 추억이 있네요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그 어린시절에 추억들을 꺼내드릴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ㅎㅎ
@user-rx6ne2eh3g
@user-rx6ne2eh3g Жыл бұрын
파이널파이트의 코디가 인기있었던 이유중 중요한 한가지가 빠졌네요. 바로 작은 칼을 지속 찌르기 사용이 가능했다는거죠. 나머지 둘은 던지기만 하거든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단검 든 코디를 많은 분들이 언급하시더라구요..ㅎㅎ
@user-xj6yk7my4m
@user-xj6yk7my4m 11 ай бұрын
야구왕 녹색 캐릭터는 25년이 지난 지금도 아마띠라고 들리는데 밤바킥?으로도 들리나 보네요ㅎㅎ 진짜 추억 돋네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참 여러가지 소리로 들렸던 녹색의 이나즈마킥이었죠 ㅎㅎ
@user-ll8qp7xm3t
@user-ll8qp7xm3t 11 ай бұрын
옛생각이 새록새록나네요ㅜㅜ 아아 그리운시절이여.....따닥이찌르고 하다 오락실아저씨에게 쫒겨나던 기억이 나네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저희 동네는 딱딱이 쓰다 걸리면 진짜 쳐맞았음..ㅋㅋ 그래도 그 시절이 그립습니다 ㅠ
@UNDERTALEASINNGOONA
@UNDERTALEASINNGOONA Жыл бұрын
철권태그1 진, 포트리스 슈탱 등등 국민 사기캐들이 있었죠.. 동네마다 금지 룰도 있었는데 추억이네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격투게임들이 특히 캐릭의 성능차들이 좀 있었죠.. 아 포트리스도 진짜 추억이네요 ㅋㅋ
@user-xj7lp2qz3g
@user-xj7lp2qz3g Жыл бұрын
닌자 베이스볼은 제 초딩시절 감자탕집 또는 고깃집에서 진짜 많이 하던게임입니다.. 엄청 추억이네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했던 기억이납니다 ㅎ.ㅎ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와우..감자탕집과 고깃집은 좀 특별한대요? ㅎㅎ 특별한 추억이십니다
@ckdrn917
@ckdrn917 11 ай бұрын
아~ 이나즈마 킥이였구나 우리동네에선 마지막 킥! 였는대 ㅋㅋㅋㅋ 동네마다 부르는 명칭은 달라도 고르는 캐릭터는 똑같아서 재밌네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이게 또 오락실의 묘미 아니겠습니까 ㅎㅎ
@maple4801
@maple4801 Жыл бұрын
닌자 베이스볼 배트맨 진짜 어릴 때 많이 했는데 초록 빨강 노랑 파랑 순으로 인기 있었죠. 이것도 초록 못 고르면 울며 겨자먹기로 빨강 고른 거. 근데 가끔 문방구에 캐릭터 교체가 가능한 기종이 있었죠(어른 되니까 알게 된 건데 이것들은 다 불법 개조판이라네요.ㅎㅎ) 그럼 신나서 다 초록이로 바꿔 플레이 했죠.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댓글보고 알았습니다 개조판이 있어서 녹색을 다 할수있었다고 하시드라구요 ㅋㅋ 울동네 픽순은 녹색>빨강>파랑>노랑이었습니다 그래도 다 비슷비슷했네요 그 시절 ㅎㅎ
@user-ez4ed1ty1u
@user-ez4ed1ty1u 11 ай бұрын
제갈이 사기인 이유가 속성검 다 쓸수있고 아이템 제한 거의 없고 필살기 아무렇게나 써도 대부분 확정타에 기본기 까지 다 좋아서 그래요 1타씩 치는건 레벨업 빨리 하려고 그런거고 (걍 풀콤으로 치면 레벨업이 느려요) 레벨 14인가 부터 공격속도 빨라집니다 유일하게 단점이라 꼽자면 공격력은 그렇게 강한캐릭은 아니라는거? 관우나 장료 해보면 딜이 다르긴 합니다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고수의 향기가 느껴집니다!
@user-xp3xl2ce8h
@user-xp3xl2ce8h 11 ай бұрын
파이널 파이트에서 가이와 코디의 차이는 기본연타에서 한대 더 때리냐 마냐의 차이. 가이는 기본연타 5대, 코디는 4대인데 같은 연타 파워라도 코디가 1대 더 덜침. 결정적으로 가이연타는 4타에서 5타 사이에 약간의 딜레이가 존재하는데 이게 둘러쌓여서 빠져 나올때 차이가 발생함.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오! 전문가적 분석!
@user-wu1rn9vv9c
@user-wu1rn9vv9c Жыл бұрын
삼국전기 제갈량을 많이 한건 불칼도 쓰고 리치도 좋은데 거기다가 기무한 버그도 있었어서 이것도 한몫했죠 버그가 수정된 버젼도 있지만 제가 다닌 오락실에는 있었어서 다들 제갈량만함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온갖 좋은점은 다 가지고 있던 제갈량이었죠 ㅋㅋ
@hunterprice2377
@hunterprice2377 Жыл бұрын
파이날파이트 코디가 가이보다 픽률이 좋았던건 와리가리 파워와 2단계 보스 소돔을 깨기 가장 쉬운 케릭이었기 때문이라 봅니다. 가이는 와리가리는 빠르고 쉬운데 파워가 약했음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2단 보스 그 돌진때 코디로 펀치 툭쳐서 멈추는거 동네형들이 하길래 따라해보려고 하다가 보스한테 오히려 쳐맞았죠..ㅋㅋㅠㅠ
@user-wc1ej6nb2e
@user-wc1ej6nb2e Жыл бұрын
삼국전기 제갈량이랑 조운 마초 는 무한 필살기 라는 버그가 있었죠 필살기 시전중 제갈량이라 조운은 무적이라서 원코인으로 보스까지 격파가능했구요 마초는 시전중 무적이 아니라서 약간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헉스? 조운과 마초도 무한버그가 있었군요? 헐..
@LeahEhrlich
@LeahEhrlich 11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오랜만에 추억에 잠겼네요.. 참고로 영상엔 없지만.. 던전앤드래곤 쉐도우 어쩌고.. (이하 던전2 혹은 저희동네에선 그냥 던전앤드래곤이라 불렀습니다. 1편은 노잼이라 오락실에 별로 없더라구요..) 이 게임에선 마법사가 최고였어요.. 마법 없는거 선택해놓고 점프키와 마법쓰는키 연속으로 번갈아가며 누르면 몬스터가 못 때리는... 무적의 비기!!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던전드래곤은 오락실 레전드 게임이라 생각됩니다 당시 1탄도 있었는데 너무 어려워서 자주는 안했던 기억이 있네요 친구들이랑 게임할때 보스전에서 마법사로 마법떨어지면 무적꼼수 엄청 썼었죠 ㅋㅋ
@Happydreammoney1004
@Happydreammoney1004 Жыл бұрын
95년생이라 오락실 세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 동네 오래된 오락실 있어서 해봤는데 어렵더라구요 오락실 보단 피방을 좋아했던 ㅋ 요즘은 게임 잘 안해서 그런지 피방도 싫더라구요 게임 잘 못 하는 편이라 오락실 가면 항상 돈 낭비 느낌이 들었습니다 ㅠ 아 목소리 어디 익숙하다고 느꼈는데 게임 꾸러기님 친한 형이시군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했던 오락실 게임들 요즘 다시해보면 어려운게임들 정말 많더라구요 요즘은 오락실도 거의 없거니와 있어도 판당 비용이 비싸서 선뜻 손이 가진 않더군요 그리고 예리하시네요 게임꾸러기 채널에 나오는.. 맞습니다 ㅎ
@user-lc7tp7hd8b
@user-lc7tp7hd8b Жыл бұрын
원하는 픽을 할려면 사람 드문 시간에 해야하고 친구들하고 할때는 짱겜뽀가 국룰이죠...다인용 겜은 친구들이랑 해야 몇배로 잼나죠...예전에 국딩동창들 동원예비군에서 만나 오락실 가자하니깐 pc방 스타하러 가자고해서 스타함...허긴 시대가 ㅎㅎ
@user-yk4oz6ky5g
@user-yk4oz6ky5g Жыл бұрын
야구캐릭터 게임 저건 진짜 추억이네요 맨처음엔 녹색이 좋다고해서 그거만 하다가 질려서 나머지 캐릭 전부 원코인으로 깼던 기억이..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처음엔 진짜 오래하려고 녹색만하다가 게임에 익숙해지면 이캐릭 저캐릭 해보곤 했었죠 근데 워..모든 캐릭으로 원코인 완전 고수셨군요 전 노랭이는 기술도 어렵고 해서 못하겠더라구요 ㅋㅋ
@hoondk88
@hoondk88 Жыл бұрын
옛날 생각나고 좋네요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옛 추억을 떠올려 드릴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ㅎㅎ
@user-bo8wz8sj3p
@user-bo8wz8sj3p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에서 주픽은 어벤져는 비전, 파이널파이트는 코디, 다이너소어는 무스타파, 닌자배트맨은 라이노였는데 각자 이유는 있었죠. 비전은 잘 생각은 안나긴하는데 고공공격에서 빔 쏘고 난 다음에 날리는 저공 주먹 판정이 아이언맨보다 비전쪽이 더 좋았나 그랬을껍니다. 보스전에서야 저공공격을 쓸 일이 없지만 잡몹잡는데는 저공공격을 써야 하니 이 차이가 비전과 아이언맨의 픽률을 가른게 아닌가 싶네요. 캡아나 호크는 고공공격도 라이더킥을 날려서 보스전에서의 안정성이 망이라 아예 논외였죠. 파이널파이트는 끊어치기안정성은 가이가 더 좋긴 했는데 2스테이지 소돔전에서 달려올때 주먹 1타로 공격을 끊을 수 있고 잡몹처리도 3타 이후 던지기로 마무리를 할 수 있어서 벨런스가 잘 잡힌 케릭이라 픽률 1위였습니다. 솔직히 나이프는 단점으로 생각했지 장점으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우리 동네에서는요. 다이노소어의 무스타파도 특정보스전에서 사기급의 능력을 발휘하는 케릭이라 픽률이 좋았는데 바로 부메랑을 날리던 용인보스가 무스타파 대쉬킥에 쥐약이었죠. 다른 세 케릭들이 리치문제로 이 보스에서 고생을 좀 하는 편이어서 우리 동네에서도 이 보스는 무스타파 고른 사람이 전담하고 다른 사람은 잡몹처리하는 식으로 역할을 나눠할정도였으니까요. 점프 라이더 킥도 다른 케릭들은 대부분 제자리에서 해야 날아가는데 비해 무스타파는 앞점프중에서도 여유있게 날릴 수 있었구요. 닌자 배트맨의 라이노(우리동네에선 그린이라고 부름)의 경우는 다른 세 케릭은 필살기에 시작 딜레이가 있다거나(레드) 공격 판정이 구리거나(블루) 어려운 커맨드에 잡기라거나(옐로우) 하는 이유로 고르기 힘들었다면 라이노는 제자리 즉발에 커맨드도 점프후 레버만 돌리면 나가고 명중후에도 바로 무적자세잡기로 전환이 되니 안정성도 비교할 바가 안됐죠. 지금이야 에뮬이던 스팀이던 비용이 당시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적게 드니까 맘에 드는 케릭을 하면 됐지만 당시엔 오십원 백원이 아쉬운 시절이니 강캐위주는 당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오 빔쏘고 연속콤보로 저공주먹공격이 판정이 아이언맨보다 좋았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차이점이 있었군요 소돔전에서 코디 펀치 툭 그거 하려다가 맨날 실패해서 쳐맞았던 기억이 납니다 ㅋㅋ 진짜 4스테이지인가 그 부메랑 날리는 보스가 수문장 같은 느낌이었죠 거기서 게임오버 정말 많이 당했거든요 ㅎㅎ 그렇죠 녹돌이는 커맨드도 쉬웠지만 이나즈마킥 이후에 그 회오리 무적판정이 정말 개사기였죠 맞습니다 당시 진짜 동전하나가 소중했던터라 한판 오래하려고 기를 쓰고 했었죠 공감됩니다 ^^
@user-cl9wt9xc4d
@user-cl9wt9xc4d 11 ай бұрын
영상 잘보았습니다만 뭔가 선택의 이유가 약간 저희 동네와 다른건지 채널 주인 분의 기준인지 애매하네요 일예로 처음 캡틴아메리카의 아이언맨과 비젼 픽업 이유가 2번째 스테이지부터 비행모드 시 피탄면적이 적어지고 구석의 적을 맞추를수있어서 많이 골란던것으로 알고있고 파이널파이트의 코디 픽업이유는 어린이 기준 헤머는 뭔가 우락부락한 파워형이라 애매하고 가이는 코디에 비해 리치가 짧아 잘 안골랐던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저희 동네 기준으로~😅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전국적으로 유사한 부분들이 있지만 또 지역마다 나름의 특색들도 있었던 차이 같아요 ㅎㅎ
@83b1
@83b1 Жыл бұрын
아앗 던전드래곤?? 그것도 나올줄 알았는뎀 ㅠㅠㅠ아쉽 그래도 잘봤어영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던전 드래곤도 넣을려고 했었는데 이거는 사람들이 캐릭터마다 다들 잘하시더라구요 ㅋㅋㅋ 녹색법사가 독가스 마법때문에 가장 사기였을까요? ㅎ
@AB-nu8dk
@AB-nu8dk Жыл бұрын
캐딜락 녹색옷 아재 별명은 눈에 보이는대로 다 갖다붙였죠. 농협, 농부, 청소부 (환경미화원), 우체부 등등 ㅋㅋㅋㅋ 근데 얼추 다 알아듣고 골랐다는것도 웃김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ㅋㅋㅋㅋ 진짜 뭔가 비슷해보이는 온갖별명들은 다 갖다 붙였죠..오락실 캐릭터중에 별명 제일 많을듯 ㅎㅎ
@user-cs5ql6xv7d
@user-cs5ql6xv7d Жыл бұрын
벨트스크롤 게임들의 특징은 대부분 스피드 빠른 민첩캐릭터들이 항상 성능이 준수해서 좋은거 같습니다. 힘캐릭들이 제일 뒤쳐지고 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스피디한 캐릭들이 아무래도 인기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느리지만 파워가 쎈 힘캐들은 뭔가 고수들이 해야할 것만 같은 느낌이 있죠 ㅋㅋ
@helencopeland3417
@helencopeland3417 Жыл бұрын
삼국지 제갈량을 필수로 선택해야하는 이유중에 제일큰것은 물,불,전기,얼음,天书(티엔수,천글) 을 몇몇 보스때 싸용해야지 쉽게 깰수있어서 그렇습니다.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비밀캐릭이지만 필수캐였던 제갈량 그는 대체...책에서는 머리도 좋고 게임에선 캐릭 성능까지 뛰어난 그는 대체..
@randy20246
@randy20246 Жыл бұрын
진짜 500원 만 있으면 어떤 게임이든 재밌게 하던 추억이 있는데 이제는 그런 추억 마저도 사라지고 있는거 같아여 제가 가장 재밌게 했던게임으로는 캐딜락 메탈슬러그 던전앤드래곤 이 있어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 500원 있으면 정말 든든했죠..지금은 오락실들이 거의 사라져버려서 좀 슬프긴합니다..나열해주신 게임들 모두 당시 정말 잼있게 했던 게임들이네요 ㅎ
@user-lj9zw8fi4n
@user-lj9zw8fi4n Жыл бұрын
@@mavini 한반은 동네 구멍가게 오락실에서 또는 오락실전문점에서 백원으로 주구장창하니까 아저씨가 좀 짜증아닌 말투로 내쫓는경우도 봉거 같네요...
@randy20246
@randy20246 11 ай бұрын
​@@user-lj9zw8fi4n 맞아요 그런데 제가 자주 가던 단골 오락실 에서는 부부가 있는데 그중에 아저씨 가 참 친절하고 한판더 할수 있게 동전 더 주신거 생각나뇨
@user-ns9kn4qe3u
@user-ns9kn4qe3u Күн бұрын
파이널 파이트는 코디를 선택하는 이유가 대장이 뛰어 올 때 공중에 헛주먹질 해도 대장을 막을 수 있는 (두들겨 패는)파워가 유일했기에 저걸 선택한 것임
@mavini
@mavini 18 сағат бұрын
무수히 많은 코디 선택이유 ㅎㅎ 아아..성능좋은 코디여..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닌자베이스볼은 주로 빨강이 호세로 했는데 방망이 휘두르는 시원시원한 타격감이 좋고, 점수도 잘 나와서 종종 해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후레시맨 같은 전대물을 보더래도 빨간색이 예로부터 대장의 느낌이 있죠 ㅎㅎ 타격감 좋고 시원시원하고 빨강이 만의 맛이 있습죠 ㅎ
@HHH-ed8lr
@HHH-ed8lr Жыл бұрын
보통 녹색으로 클리어하고 나서 다른 캐릭터로 헤볼까 하고 하게되는데 레드 블루 였죠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mavini 맞아요. 개인적으로 가면라이더도 빨간색 캐릭터들이 대부분 주인공이긴 해요.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HHH-ed8lr 블루 스트로우도 은근 재미있어요. 두대 때려주고 방망이로 문대준 다음에 폭탄 투척하는게 국룰이죠.
@babohogu
@babohogu 11 ай бұрын
호세가 점수가 잘 나온다는 말에 웃으면 되는거죠? 그렇게 호세가 점수가 잘 나왔으면 전일캐는 호세가 되어야 하는데 전일캐는 왜 리노임?
@kimseunguk1622
@kimseunguk1622 11 ай бұрын
삼국전기 안해보셨나요? 제갈량이 사기인 이유는 주술때문인데...? 기폭팔을 계속사용할 수 있는게 제갈량 마초의 불의검 주술(다른검도 될테지만) 장비의 막걸리주술인데 그증 제갈량이 제일 사기였져 그리고 닌자베이스볼은 캐릭터 중요치않아요 어떤케릭터든 변환 할 수 있어서 결국 모든캐가 이나자기킥 다 썼거든요
@mavini
@mavini 11 ай бұрын
왠지 고수의 향기가 느껴지십니다!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스노우브라더스2는 없나요? 다들 눈사람 선택할 때 저는 도깨비로 주로 했죠. 연타 안해도 되고, 트로피 지속시간이 길어서 좋더라구요.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어엇? 스노우브라더스2에도 캐릭마다 차이가 있었군요? 1은 정말 많이했었는데 2는 별로 해보질 못해서 그런 차이들을 미쳐 몰랐네요 기억나는게 캐릭들 얼굴이 애들인데 뭔가 무서웠던..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 Жыл бұрын
고수들은 물쟁이를 하더군요 공격이 2개로나가서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mavini 캐릭터들 실사가 좀 무섭긴한데 그럼에도 도깨비 원픽이었죠 ㅎㅎ
@cod_ET32
@cod_ET32 Жыл бұрын
@@jaeminryou9831 도깨비도 둘로 나뉘죠. 근데 물도 해보니 재밌더라구요.
@ssosmooth
@ssosmooth Жыл бұрын
야구왕 녹돌이 기술 저희동네는 마지막~~띠 였습니다ㅎㅎ 필살기는 마지막 가동~ 1스테이지 비행기보스 대사는 격파 격파 격파! 캐딜락은 공룡시대 였죠 역시 무조건 녹색ㅋㅋ
@mavini
@mavini Жыл бұрын
두 게임의 공통점 녹색 ㅋㅋㅋㅋ 마지막~~띠 ㅋㅋㅋ 마지막 가동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도 나도 함께 했던 오락실 4인용게임 모음 (오락실 고전게임)
15:23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본 사람만 아는 한국영화 사이다 장면 TOP 10
17:22
순위충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SNK의 리즈시절 : 네오지오 게임랭킹 대전격투 편
13:55
알파.러시아 Alpha.Russia
Рет қаралды 48 М.
[고전게임]용호의 권1 료 Lv8 최고난이도 원코인
22:15
찰스의 고전게임
Рет қаралды 125 М.
30년이 지나도 여전히 재미있는 오락실게임 Top 10
22:45
아케이드키드
Рет қаралды 651 М.
НАСТОЯЩАЯ ЖИЗНЬ КОТА В ВР ( I Am Cat )
22:48
perpetuumworld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FUN&SUN | Update 0.29.0 Trailer | Standoff 2
2:32
Standoff 2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