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 한국 경제성장률 너무 좋다 (??)

  Рет қаралды 1,077,526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10:24 OECD, "한국 경제성장률 너무 좋다"
10:24 ~ 19:39 물가는 안 내려가는데, 경기는 좋아졌다고요?
19:39 ~ 파월 연준 의장 경질 위기?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3 100
@justinkim126
@justinkim126 25 күн бұрын
나라는 호황 나는 불황… 어디서 많이봤는데… 먼나라이웃나라 일본편인가…
@ljhosep9404
@ljhosep9404 25 күн бұрын
일본 18위, 한국8위 다른데 많이
@GEWW_Cyder
@GEWW_Cyder 25 күн бұрын
사실 미국도 어느정도 그럼 하하하 ㅠㅠ
@Corgi_fax
@Corgi_fax 25 күн бұрын
@@NONAMEduffer 거지틀딱 덕분이지
@ongs5526
@ongs5526 25 күн бұрын
@@ljhosep9404하.... 답답하긴 일본이 저 멘트 대표주자잖아 뭔 순위놀이를 하고 있어
@kks4413
@kks4413 25 күн бұрын
일본따라가면 다행이지 ㅋㅋ 청년고용률 노인빈곤률 두배로 따잇인데
@PhysioWoooooooong
@PhysioWoooooooong 25 күн бұрын
7년차 현직 프리랜서 개발자입니다 해외 연계로 일하는중인데 요즘 프로젝트를 가려받을정도로 일 엄청 많이 들어와요 어차피 비대면으로 서면으로 일처리해서 약간의 회화만 하면 충분히 일 할 수 있어요. 특히나 해외쪽에선 과제 난이도가 꽤나 낮은데 급여는 1.5배 더 쳐줍니다 게다가 환율이 높아져서 국내보다 급여다 거의2배에요 ㅋㅋ진짜 해외쪽으로 눈돌리는거 강추드립니다.한국 개발자는 인도 다음으로 알아줘요 실력도 실력이지만 성실함이 넘사벽이랍니다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5 күн бұрын
에요->예요
@user-gq9tu5ft6t
@user-gq9tu5ft6t 25 күн бұрын
이런 정보 늘 감사합니다...
@Esg-wq1hp
@Esg-wq1hp 25 күн бұрын
부럽당..ㅠㅠ 부자되셔요
@sk7556
@sk7556 25 күн бұрын
코딩하는 입장에서 기대되는 글이네요 ㅋㅋㅋ
@user-fu4mt8de4q
@user-fu4mt8de4q 2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프리 개발자인데 잡을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요즘 국내는 힘들던데 정보 부탁드립니다
@wlsgud89
@wlsgud89 25 күн бұрын
저도 수출많이하는 제약/바이오쪽인데 회사가 매분기 역대급 실적입니다...ㅎㅎㅎ 정말 내수위주로 돌리는 중소기업만 죽어나는듯 ㅜㅜ
@hangunam120
@hangunam120 25 күн бұрын
​@CoffeeStarbcuks내수 경제는 인구수가 중요한데 우리나라 출산율이....
@BUEONGIBAWI
@BUEONGIBAWI 25 күн бұрын
​@CoffeeStarbcuks5천만따리로 내수경제 ㅋ
@anyon217
@anyon217 25 күн бұрын
형 나 이직하게 회사좀 알려줘 월급 270으로 못살겟네
@wlsgud89
@wlsgud89 25 күн бұрын
@@anyon217 정말 여기는 인력난인데.... 주변 제약회사만 알아봐도 많아요
@user-zc7ho3gd5d
@user-zc7ho3gd5d 25 күн бұрын
환율이 높으니 당연한거지;;
@EEcircuits
@EEcircuits 25 күн бұрын
요즘 항상 느끼는게 물가도 오르고 체감상 경기 침체인데 놀랍게도 지표에선 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이 되게 선방중임 참 신기해..
@user-vg8lr5tz4z
@user-vg8lr5tz4z 25 күн бұрын
다른나라가 씹창나서 상대적으로 괜찮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skelox9092
@skelox9092 25 күн бұрын
​@@user-vg8lr5tz4z 아르헨티나는 쓰레기통 뒤진다더라 하네요
@manwe6202
@manwe6202 25 күн бұрын
그냥 돈풀고 물가올리면 지표는좋게나오니 꼼수만쓰는거지ㅋ
@user-qn9xn5tt6k
@user-qn9xn5tt6k 25 күн бұрын
돈풀지도않은 민간성장임 좀공부해라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좀 특이한게 우리가 체감하는 경제 규모보다 2배는 크다고 생각하면됨. 반대로 국가정책을 지표로 보고 결정하면 국민들의 삶은 난리날 수 있단거.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25 күн бұрын
해외여행으로 공항이 북적되고, 휴일 고속도로가 놀너가는 사람들로 막히고, 백화점에 인간들 미어 터지는 것 보면.. 나 빼고 다 잘나가는 같다.
@wewe-pe4ci
@wewe-pe4ci 25 күн бұрын
인터넷 커뮤만 보면 시즌 17865556 째 한국 멸망인데 막상 현실을 보면 디시 같은 커뮤 하는 애들 빼고 다들 여친 남친도 사귀고 친구들 하고 여행도 가고 잘만 사는 중
@user-eo3nv5xx9c
@user-eo3nv5xx9c 25 күн бұрын
주말에 베트남 다녀왔는데 한국사람으로 가득했음.
@thunder5311
@thunder5311 25 күн бұрын
뭐 기회 못잡고 제자리에서 쳇바퀴만 돌면 도태되는거죠
@BUEONGIBAWI
@BUEONGIBAWI 25 күн бұрын
진짜 잘벌어서 그런게 아니라 무리한 사치 허세잖아 한국이 버는 돈 대비 쓸데없는 사치에 돈을 정말 많이 쓰는 나라라는거 모두들 알지않나
@user-gw5ec3is1q
@user-gw5ec3is1q 25 күн бұрын
한달 월급 다 쓰면돼요
@user-tv7ut9hv3z
@user-tv7ut9hv3z 24 күн бұрын
결국 중산층은 사라짐. 빈부격차의 양극화만 극심한 상황인 것 같음.
@ufck7491
@ufck7491 24 күн бұрын
한달에 300이상벌면 중산층이야 이양반아... 중산층이 월 500인줄 알고있니?
@user-qi5hx6dd2e
@user-qi5hx6dd2e 24 күн бұрын
​@@ufck7491중산층은 옛날부터 500이상 버는 사람인데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 23 күн бұрын
@@ufck7491 300은 한국의 어느 지표를 봐도 중산층일 수가 없습니다... 객관적 자료를 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BrokenLife1201
@BrokenLife1201 23 күн бұрын
@@user-qi5hx6dd2e옛날의 돈의가치랑 지금의 돈의가치가 다른데 기준이 500이라고 ㅋㅋㅋ?
@asdfmpml
@asdfmpml 23 күн бұрын
@@user-qi5hx6dd2e 우리친구는 그..
@Korbeenzino
@Korbeenzino 25 күн бұрын
외국계(독일계) 제조업 회사 재직중인데 신기한게 올1분기 전세계지사 40개 중에 우리나라랑 인도가 가장좋다고 들었음 무려 회장이 콕집어서 얘기함
@We_are_Koreans
@We_are_Koreans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그건 대만이겠지. 1인당 gdp가 한국하고 맞먹는데 정작 월급은 150만원이 평균임. 인당 지디피가 뻥튀기된 이유가 중국에 있는 대만기업 생산량도 자국껄로 포함하기 때문임 ㅋ
@user-tf5fs6dy4i
@user-tf5fs6dy4i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그 gdp개념이 뭔지 배우면 본인이 얼마나 개소리했는지 알게 될거임. 검색해보셈
@doejohn2596
@doejohn2596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뭔 개소리야 이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선족임?
@adjective999
@adjective999 25 күн бұрын
흠...지멘스?
@user-fl9eb6rn6w
@user-fl9eb6rn6w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개소맄ㅋㅋㅋㅋ
@part3423
@part3423 25 күн бұрын
대기업 수출 위주 성장이고, 내수는 바닥이고 실질임금은 마이너스라는데 댓글에 딴소리 하는 애들이 왜케 많냐ㅋㅋㅋㅋㅋㅋ
@billiesimpson4596
@billiesimpson4596 25 күн бұрын
일 안하고 부모님집에 얹혀사는 애들이 대부분이라..
@lucasleenewyorkmanhattan8775
@lucasleenewyorkmanhattan8775 25 күн бұрын
일안하는 히키코모리 증가
@user-vm9hp6lb7m
@user-vm9hp6lb7m 24 күн бұрын
초반만 보고 댓글다는 애들인듯 내수 작살나는대
@user-si8hx7rd8y
@user-si8hx7rd8y 23 күн бұрын
다들 다 안보고 댓글 다니까 ㅋㅋ
@user-nt3nd5ez6y
@user-nt3nd5ez6y 23 күн бұрын
진짜 이런거보면 얼마나 모르면 내수가 엉망진창인데 대기업이 수출실적 좀 좋다고 나라호황이딴 소리 하고다님...
@user-fs1je4ep3z
@user-fs1je4ep3z 2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반토체가 계속 올라오고 있고 자동차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있고 배터리도 요즘 조금 안촣아도 3,4년 전 정보보다는 폭발적으로 성장함 갑자기 선박 업쪽에서도 흑자 전환을 시작함
@samlee1052
@samlee1052 2 күн бұрын
어느나라 사람이세요? 소설 쓰지 마세요
@lol-ie3rx
@lol-ie3rx Күн бұрын
​@@samlee1052 팩트긴하잖아 반도체기업 SK, 삼성, LG 등 1분기 매출이랑 영업이익봐라 ㅈㄴ오름 자동차 현기도 판매량 지속적으로 세계 3위랭크중이고
@no_name_fifa_mobile
@no_name_fifa_mobile 25 күн бұрын
?? 두들겨 맞은 기억밖에 없는데 내가 1짱이라니
@Jaehwi85
@Jaehwi85 25 күн бұрын
맞으면서 버텼는데, 주위를 돌아보니 다른 애들은 실신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25 күн бұрын
딴 애들은 누군가한테 칼빵맞고 쓰러져 있음 ㅋㅋ
@chanhokim455
@chanhokim455 25 күн бұрын
신나게 쳐맞다가 병실에서 깁스하고 일어났는데 경쟁자들은 이미 발인 끝난 상황 ㅋㅋㅋ
@JihoonPark-qp1ki
@JihoonPark-qp1ki 25 күн бұрын
근ㄷ0 이거 팩트다.. 그래서 실신하고 자살한 사람들 패배자라고 못함... 살아남은게 승자야ㅡ이나라는..
@muup1272
@muup1272 25 күн бұрын
국가혁명당 가즈아!!!!!!!!!!!!!!!
@user-de3dn4hb1t
@user-de3dn4hb1t 25 күн бұрын
나라 호황맞다고 생각드는게 수출건이 ㅈㄴ많음;; 회사가 ㅈㄴ바빠 그럼뭐하나 월급은 동결인데 ㅋ
@user-xs1cb3ue5s
@user-xs1cb3ue5s 25 күн бұрын
배 부른 소리하네
@feverpitchxx
@feverpitchxx 25 күн бұрын
한화떡락했으니까 그러지
@thunder5311
@thunder5311 25 күн бұрын
직무는 모르겠지만 프리랜서로 전향하세요~~
@mscho1776
@mscho1776 25 күн бұрын
ㄹㅇ 어떻게든 성과금 적게줄라고 발악을함 ㅋㅋ
@lillilllilililillilililliilill
@lillilllilililillilililliilill 25 күн бұрын
우리회사도 역대급 영업이익률나옴 ㅋㅋㅋ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25 күн бұрын
수출경기는 살아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얼마전에 유럽출장갔다가 귀국한 이재용 회장 얼굴도 굉장히 밝아보였어요.
@KaiSnakily
@KaiSnakily 25 күн бұрын
활짝 :)
@jjitjjaiming
@jjitjjaiming 25 күн бұрын
재용이형 웃상 다시볼수있을듯 ㅋㅋㅋ
@abc-it3iq
@abc-it3iq 25 күн бұрын
재드래곤형 언제나 웃상이자나..
@FvP-wo4ww
@FvP-wo4ww 24 күн бұрын
걔는 원래 아무생각이 없어서 웃는상임...
@user-mt5ml2ky4y
@user-mt5ml2ky4y 24 күн бұрын
재용이형은 웃으면 호재가 아니라 무표정일때 삼성 망할 위기인거
@user-up8xs7ro3q
@user-up8xs7ro3q 25 күн бұрын
또산률이 주도하는 결정된 미래...
@user-nh3ko6kb3h
@user-nh3ko6kb3h 25 күн бұрын
탈조해서 연금냈던거 다 돌려받아야지
@muup1272
@muup1272 25 күн бұрын
국가혁명당이 답임
@jwp-yh8wh
@jwp-yh8wh 25 күн бұрын
@@popciclelol4891 고등학교때부터 나와서 군대제외 8년째 외국사는데 한국이 최고임. 내년말에 한국들어가야징
@7Bernabeu
@7Bernabeu 25 күн бұрын
@@jwp-yh8wh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에서 회사생활을 해본적이 없으니 이딴 등신같은 소리가 나오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d2hv4gw8u
@user-rd2hv4gw8u 25 күн бұрын
@@jwp-yh8wh 그럼 한국이 최고일만함. 가끔 한국와서그럼 예비군도 끌려가고 헬조선 맛좀 보고 살면서 겪은게 아니니까
@Thoughtcrime.
@Thoughtcrime. 25 күн бұрын
출산도 그렇고 맨날 망했다 망했다 하는데 저도 우리나라 잘되었으면 좋겠어요
@user-dr7tm7lo3z
@user-dr7tm7lo3z 25 күн бұрын
너무 내려치기 당하는 나라같음 유학생이라서 다른 나라에서 온 학생들 많이 만나는데 소말리에서 온 애는 자기 나라가 제일 최고라고 하고 중국에서 온 애는 자기 나라가 제일 최고라고 할 정도로 애국심이 넘침 근데 한국은 잘해도 내려치기 당하고 못하면 물어뜯음 미국마냥 나라는 잘 사는데 길가에 마약하는 노숙자가 있는것도 아닌고 이슬람이나 무슬림 국가마냥 인구 전체가 명예 살인이나 하는 또라이 종교를 믿는것도 아니고 중국마냥 공산당때문에 검열 당하고 국가 욕하면 사라지는 나라도 아니고 인도마냥 신분 제도가 있는것도 아닌데 사람들이 헬조선 거릴때마다 진짜 웃음만 나옴 ㅋㅋ 진짜 헬을 못봐서 그렇지 출산률도 우리나라만 떨어지는게 아님 대만은 0.78로 우리랑 똑같고 홍콩은 0.7임 중국도 얼마전에 1.09로 최저 찍었고
@user-lm9dr4lr3v
@user-lm9dr4lr3v 25 күн бұрын
야선족이랑 야교들 추방하면됨
@user-ze9wb1ee6x
@user-ze9wb1ee6x 25 күн бұрын
나라 살리려면 디시 같은 커뮤부터 조져야 됨 성별 지역 세대 등등 갈라치기로 한국 사회에 혐오 조장 하는 커뮤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25 күн бұрын
난 망했으면 좋겠는데 ㄹㅇ ㅋㅋ 킹럼프 갓럼프의 조선 안락사 드가자잇~
@knadill
@knadill 25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매번 우리나라 욕하지만 우리나라가 잘됐으면 좋겠네요.
@hanpy0332
@hanpy0332 25 күн бұрын
현기차는 이번 1분기 역대 최고 실적이라네요. 신차발표, 연말 할인 행사가 없는 1분기에 이정도 실적이면 연말엔 더좋아질 거라고 하더라구요...
@vivy4668
@vivy4668 24 күн бұрын
내가 미국인이여도 ㅋㅋㅋ 20퍼싸지면 현대 구매 고려해볼거같긴함
@kokishi9
@kokishi9 24 күн бұрын
​@@vivy4668 원화가 떡락해서 현대가 버는 돈이 늘어난거지 미국에서 사는 가격은 안 변했어요 오히려 미국 특성상 잘 팔리는 차일수록 딜러가 수수료 붙여서 더 비싸게 팜
@vivy4668
@vivy4668 24 күн бұрын
@@kokishi9 무지한 놈 하나 배워갑니다 ㅎㅎ..
@user-uj9zm9zm8e
@user-uj9zm9zm8e 24 күн бұрын
근덕 주식은 ㅜㅜ
@vivy4668
@vivy4668 24 күн бұрын
@@kokishi9 무지한놈 또 하나 배우고갑니다 ㅎㅎ..
@e-nx4qt
@e-nx4qt 25 күн бұрын
역시 형은 경제이야기 할 때가 텐션이 가장 좋아!
@user-vl5jo4wc5f
@user-vl5jo4wc5f 25 күн бұрын
사람들 사는 거 보면 나빼곤 즐길 거 즐기면서 잘 사는 거 같기도 하고 ...
@user-nn1bk6ur7b
@user-nn1bk6ur7b 25 күн бұрын
다들 잘 살아 갑니다 5월초 인천공항 미어 터졌어요
@user-xg5mh6qg8k
@user-xg5mh6qg8k 2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sns만 안 해도 만족하면서 살 수 있긴 해
@kfx3907
@kfx3907 2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잘 못산다고 찡얼대는게 죄다 그냥 욕심 때문이었을지도....
@user-tv1gt9me1z
@user-tv1gt9me1z 25 күн бұрын
다들 그놈의 ~기준만 낮추면 햄보캄
@user-vj5ye8xf2p
@user-vj5ye8xf2p 25 күн бұрын
진짜 주말에 백화점만 가도 쇼핑하는 사람들이 미어터짐.
@cmj7260
@cmj7260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
@user-cf2uv3dr1h
@user-cf2uv3dr1h 25 күн бұрын
그건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은 다 그렇다..
@-su7zn
@-su7zn 25 күн бұрын
인생도 그래요
@user-yj1bu3rc7n
@user-yj1bu3rc7n 25 күн бұрын
@@user-cf2uv3dr1h 선진국은 비극까진 아닌데
@user-im3rl9vq6i
@user-im3rl9vq6i 25 күн бұрын
@@user-yj1bu3rc7n 지금은 다들그럼 마르크스말대로 자본주의의 한계가 왔는지, 전쟁때문인지 복합적인 이유인진 모르겠는데 세계적 경제 위기로 고통받고있음
@AiNER_ONLiNE
@AiNER_ONLiNE 25 күн бұрын
그저 -대-마르국수
@user-jp2ff2pl3v
@user-jp2ff2pl3v 20 күн бұрын
소비성향 자체는 좋습니다. 그리고 작년과 다르게 방한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증가하여 내수경기에 도움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kph665
@kph665 23 күн бұрын
원래 거시적 지표가 실물경기에도 반영되려면 시차가 있음
@DavidKIM0915
@DavidKIM0915 25 күн бұрын
역시....역시 형들이야!!!!!
@muup1272
@muup1272 25 күн бұрын
국가혁명당만이 다시 한번 강한 한국을 만들 수 잇읍미다😊
@muup1272
@muup1272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 부풀리기 하나는 기가 막힌 나라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
@user-oo7yx7ej8n
@user-oo7yx7ej8n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 그건 대만이고 ㅋㅋ
@user-lm9dr4lr3v
@user-lm9dr4lr3v 25 күн бұрын
@@muup1272튀
@starrysherry4632
@starrysherry4632 25 күн бұрын
요즘 낙수효과는 컵 아래로 흐르는게 아니라 컵이 커지던데...
@hittherm9213
@hittherm9213 25 күн бұрын
컵인 적 없어요. 다라이 아니 수영장...우리한테 흘러올 낙수 따윈 없음.
@hojaelee2407
@hojaelee2407 24 күн бұрын
낙수효과가 없다는 무식한소리를 아직까지 하는사람이 있네..
@user-nq3qs4oj4p
@user-nq3qs4oj4p 24 күн бұрын
낙수효과는 교과서에만 나오는거야... 대한민국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만 봐도 싹싹 다긁어먹고 안내려옴
@user-eb1qk4ug8c
@user-eb1qk4ug8c 24 күн бұрын
@@hojaelee2407배당도 안줄려고 기를쓰는데 낙수?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24 күн бұрын
​@@hojaelee2407개도국에는 낙수효과가 있는데 선진국되면 낙수효과가 거의없음
@user-bl1te5wv1z
@user-bl1te5wv1z 19 күн бұрын
원래 인터넷 깔리면 더 불행해짐 ㅋㅋㅋ 예전 행복지수 1위 국가들 부탄이 왜 행복지수 1위였는지 알아 ?? 인터넷이 안 깔려있었거등 지금 부탄에 인터넷 깔렸거등 지금 몇위게 지금 95위임 ㅋㅋㅋㅋㅋ 원래 인터넷 커뮤니티 이런대서 소위 패배자들이 서로 불행을 전파하는거임
@user-ls9tb6ly8v
@user-ls9tb6ly8v 25 күн бұрын
재용느님 말씀처럼 대기업에 봄이 왔구나. 난 시베리아급 추위인데
@sortin5755
@sortin5755 20 күн бұрын
제조업 최개 수출국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뀐것도 한몫 했을 수 있나요?
@user-hc8zt4np2m
@user-hc8zt4np2m 25 күн бұрын
독일이 경제성장률 저리 안좋은게 중국과 너무 밀접해서임.. 중국이 지금 경제 폭망하는중이라 독일경제도 같이 나락가는중..한국은 그나마 중국이 사드어쩌고 하면서 한한령 때리고 중국내 한국 기업들 못살게 군 덕분에? 한국기업들이 중국을 떠나 다른 국가로 옮겨서 타격이 덜한거.. 어찌보면 한국입장에서는 사드보복이 참으로 신의 한수~! ㅋ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25 күн бұрын
그것도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을듯 ㅋㅋ
@soujigenba9602
@soujigenba9602 25 күн бұрын
ㄹㅇ
@klpb3732
@klpb3732 25 күн бұрын
한류나 케이팝에도 행운이었음. 당시 중국에 급속도로 빨려들어가고 있었는데, 관계 싹 끊기면서 서구권 쪽으로 집중해서 엄청 대박남
@user-bo7cn8pw7y
@user-bo7cn8pw7y 25 күн бұрын
독일이 앞서 일궈놓은 신기술이 없음.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주도권이 거의 전무함. 독일의 교육에 문제점이 있을 듯
@user_Naeng-sue
@user_Naeng-sue 25 күн бұрын
​@@user-bo7cn8pw7y성취보다 화합을 중시해서 그런 듯
@iilililiii6098
@iilililiii6098 25 күн бұрын
근로시간이 넘사벽이자나❤
@user-hz3ro6ew7q
@user-hz3ro6ew7q 25 күн бұрын
19:50😊 슈반꿀 ㅋㅋ
@user-xu7zh7hd7o
@user-xu7zh7hd7o 25 күн бұрын
마트 주문할때마다ᆢㅠ ㅠ
@user-td6wo2oj7e
@user-td6wo2oj7e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선진국중에 유독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비율이 높아서 80프로고 다른 나라는 대기업 근무근로자가 50프로가 넘는 편이죠.. 우리나라는 중소기업 보호 정책을 과감히 없애야 합니다 중소기업 보호정책은 중소기업 사장님 보호정책일뿐 중소기업들 망할곳 망하고 합병되고 하면서 대기업으로 크거나 대기업이 중소기업 흡수할수 있게 해야 선진국처럼 대기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절반이상이 될수 있죠
@user-ec1ov4uf8k
@user-ec1ov4uf8k 25 күн бұрын
수출증가가 달러로 했을때 증가한건가요?
@user-vp9yo7kg2o
@user-vp9yo7kg2o 24 күн бұрын
슈선생님. 항상 희망적 메세지로 마무리해주셔서 좋습니다😊
@user-od7yb7ds2e
@user-od7yb7ds2e 24 күн бұрын
무역업하는데 실제로 부두에 가보면 물량이 많이증가함
@arisukim3074
@arisukim3074 25 күн бұрын
저러니 물가가 높지. gdp 높아진다고 내가 살기 좋아지는건 아닌듯
@user-gg8rv5hp8z
@user-gg8rv5hp8z 23 күн бұрын
너만 못삶
@user-yx8yt4fv6n
@user-yx8yt4fv6n 23 күн бұрын
2222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19 күн бұрын
GDP는 전체 국민 소득이니까 대기업 애들이 높여주는거지 즉 서민은 상관 개 ㅈ도 없는데 대체 왜 GDP 가지고 다른 나라 무시하는지 모르겠네 너 그정도 아니야 -랄센세
@thermaltrans
@thermaltrans 18 күн бұрын
결국 내수 위주의 중소 기업에 다니는 사람이 국민의 80%이니 힘든 것 같네요... 우리 나라가 갈 길은 결국 글로벌 경쟁할 수 있는 대기업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대기업 임금을 줄 일 수도 없는 것이 글로벌 경쟁에서 인재 스카우 경쟁이 심해진 상황이라서 (특히 반도체 쪽) ...
@user-vj5ye8xf2p
@user-vj5ye8xf2p 25 күн бұрын
나는 불황이 아니라 나만 불황 아닌가? 주말에 백화점 갔는데 진짜 사람 미어터지더라
@user-vk1wo1uf2f
@user-vk1wo1uf2f 25 күн бұрын
다른 누군가는 동시에 님 보면서 "와 나만 불황인가 미어터지네" 했겠죠😅 그냥 다 그런겁니다. 님도 백화점 가셨네요 뭘~ 님도 불황 아니네😊
@user-mb9gt9yv7l
@user-mb9gt9yv7l 25 күн бұрын
요즘 백화점은 명품관만 있는게 아니라 중저가 브랜드 런칭 및 팝업같은 문화생활 공간이 있어서 사람이 많은거임
@gy9984
@gy9984 25 күн бұрын
요즘 백화점가서 물건 아에 안사고 나가는 사람도 많아요 팝업 스토어 구경하고 명품들이 밀고 있는 트렌드 색이나 옷 스타일보고 그냥 나가는 손님 많이 늘었어요
@U_fa-fv2lm
@U_fa-fv2lm 25 күн бұрын
전 올해 백화점 조차 갈 형편이 안되서.. 알리나.. 기웃 기웃
@user-eo3nv5xx9c
@user-eo3nv5xx9c 25 күн бұрын
주말에 해외다녀왔는데 공항 미어터짐.
@ljhosep9404
@ljhosep9404 25 күн бұрын
지지율 떨어지는 정책을 하면 경제가 성장한다고????
@user-yw8lc9du1m
@user-yw8lc9du1m 25 күн бұрын
팩트임 ㅋㅋㅋㅋㅋ
@jpchang3446
@jpchang3446 25 күн бұрын
국민들은 무지하니까
@Corgi_fax
@Corgi_fax 25 күн бұрын
곧 뒤질건데 돈도 없는 분들은 앞으로 경제가 어찌되건 알빠 아니고 당장 통장에 꼽히는 연금만 안전하면 10년뒤 20년뒤는 망해도 상관없음 쳐내야 살아남는다
@chanhokim455
@chanhokim455 25 күн бұрын
어느정도 말은 되지 기준금리 를 개박살내면 수출 잘되고 투자도 느니까 물론 물가는 뭐.....
@melon3482
@melon3482 25 күн бұрын
어떤것들이요?
@KoGuRea
@KoGuRea 25 күн бұрын
실질성장률 = 명목성장률 - 물가상승률
@apienss3563
@apienss3563 25 күн бұрын
역시 형님들이 이나라를 성장시켜주고 있구먼~~
@ytking6427
@ytking6427 8 күн бұрын
지금 미국도 국가경제통계는 엄청 좋지만 정작 미국국민들은 월급 오른거에 비해 물가 너무 높아서 죽을 맛임. 특히 젊은 층은 집도 월세 미친듯이 비싸서 못구해서 부모집에 얹혀살고, 멀리 있는 직장은 어차피 그 근처에 집을 못구하니까 그냥 부모집 근처에서 후진 일자리만 찾아야 하고. 철저히 극소수의 가진자들만 엄청 배불리고 나머지 절대다수는 가난해지고 있음.
@kimys8724
@kimys8724 20 күн бұрын
근데 고환율 상황속에서 외화를 벌어다 주니깐 수출이 잘되는거 아님?
@wonsukcho4320
@wonsukcho4320 25 күн бұрын
최근에 대기업 은행권 오피스 직장 때려치고 석사로 산공으로 졸업해서 지금 제조업으로 직장알아보는데... 대기업은 아니더라도 중견기업 그리고 제가 학부를 영어권에서 해서 오히려 회사에서 우리가 미국 조지아나 앨라베마 테네시로 보내줄테니깐 우리한테 오세요라는 기업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대기업에서도 링크드인통해서 벤처캐피탈 사모펀드 등등 재무쪽으로 일하고싶으면 오세요가 많아졌습니다. 오히려 경력직에대한 대우는 점점 더좋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신입에대한 대우는 안좋아지는것은 아닙니다. 저도 산공 제조업에서는 완전히 무경력인데 최근에 인터뷰 1-2번보고 채용하는 중견기업이 늘어나고 현대 1차하청들도 사람들이 많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user-xs9wp9xg6f
@user-xs9wp9xg6f 20 күн бұрын
리먼사태이후 기업들 내실은 안좋은데 실적은 좋게 보이는 현상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건 의미있는 변화여서 눈여겨 지켜봐야 할것같아요
@user-st4sm3sw2s
@user-st4sm3sw2s 25 күн бұрын
대기업들이 수익을 배당으로도 임금으로도 안 풀 가능성이 있는게 이미 사내유보금 엄청쌓은 전적이 있음
@nach6635
@nach6635 25 күн бұрын
하... 배당이랑 임금만 투자지출이냐? 기동이형 회계 강의 듣고 사람 좀 돼서 와라 이익잉여금도 모르는 애들이 2010년대에 선동하던 레퍼토리를 그대로 시전하고 있노
@khj5798
@khj5798 25 күн бұрын
@@nach6635 당신 말대로 '사내유보금'은 회계학에 있어 정확한 표현이 아니고, '사내유보금' 액수가 많이 찍혀 있다고 해서 그 액수만큼 여유가 있다는 뜻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업에게 감세로 돈을 가져다 바치면 기업이 알아서 잘 하니 신경 꺼도 된다는 뜻 역시 아니지. 묻지마 감세 정책이 GDP, 실업률, 기업 투자 따위에 별로 도움이 안 되었다는 건 여러 차례 증명되었거든.
@nach6635
@nach6635 25 күн бұрын
@@khj5798 래퍼곡선이랑 mm정리가 뭔지 검색하고 오세요
@nach6635
@nach6635 25 күн бұрын
@@khj5798 아 그래서 사내유보금같이 회알못들이 시전한 말도 안되는 선동에 넘어가서 미환류소득세제같은 어이없는 제도 만들어놨습니까?
@kkk2.22
@kkk2.22 25 күн бұрын
​@@khj5798아닌데 스웨덴 미국 캐나다등등 감세해서 이득본 나라가 몇인데 ㅋㅋㅋ 유럽도 세금땜에 폭망중이구만 ㅋㅋㅋ 세금운운하는 사람들은 정작 세금을 거의 안내는 사람들 ㅋㅋㅋ
@user-ox8um3kl5x
@user-ox8um3kl5x 25 күн бұрын
역시 자네야!!!
@user-cv5ne7wt1v
@user-cv5ne7wt1v 25 күн бұрын
여러모로 인상깊은 내용들이지만 연준의 독립성이 흥미롭네요 자신의 임명한 상관이든 뭐든 소신대로 행한다는게 나름 멋진 기관 같기도 하구요 오직 경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집단으로써 그 자부심이 어느정도 역할을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user-ob5cd5ei1x
@user-ob5cd5ei1x 13 күн бұрын
반도체,선박,자동차, 2차전지 주요수출품좋았다.. 환율상승으로 수출이좋았던거 내수위주의중소기업은 고금리(대출등)랑 환율상승에따라 비용증가, 따라서 물가가높아매출액감소,수출하는대기 업들만호황 양극화 실질임금상승률(임금상승률-물가상승률)은 마이너스..명목임금이야 높겠지 낙수효과:수출증대에따른 기업의이윤증가는 임금과배당을통해 가계소득증가로연결되면서 소비를증가
@Epikrous
@Epikrous 25 күн бұрын
이거 어디서 본 시나리오 같은데..??
@icheonlover9733
@icheonlover9733 25 күн бұрын
타이완은 어떠함?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19 күн бұрын
어떻겠냐 거기는 애플 엔비디아가 일 거리 몰아서 주는데
@icheonlover9733
@icheonlover9733 19 күн бұрын
@@user-sp8hg2vi3j 그래서 몇이냐고 숫자를대
@user-bq9cb7vu1i
@user-bq9cb7vu1i 6 күн бұрын
@@icheonlover9733 니가 찾아봐 손가락이 없냐?
@user-kd7ty1xk6y
@user-kd7ty1xk6y 25 күн бұрын
이창용햄 믿고 있습니다
@gandgzo7528
@gandgzo7528 25 күн бұрын
예전에 말씀하셨던 피케티의 이론이 생각납니다. 사회 엘리트층이 되지 못한 사람이 게임을 지속할 가치가 있을까요.
@user-db8gg2pe8y
@user-db8gg2pe8y 25 күн бұрын
소득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의 85%를 담당하고 특히 하위 50%의 소득세 다 합쳐도 전체 소득세수의 1%도 안됨 즉 저소득자들은 국가 인프라를 사용할때 고소득자에게 항상 감사해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그나마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음
@user-fr2xm3sp3w
@user-fr2xm3sp3w 25 күн бұрын
본질적인 문제는 사회 엘리트층이 되지 못하더라도 먹고사는데에 큰 어려움이 없으면 사회 엘리트층이 되지 못해도 게임을 지속할 ‘가치’가 생기는데 엘리트층이 아니라면 먹고사는걸 유지하는데에 있어 난이도가 높은게 진짜 본질적인 문제인듯
@garlee8223
@garlee8223 25 күн бұрын
하위 90%모두가 자살해버리고도 그들이 여전히 부자인지 보면됩니다. 최근 신생아중 55%가 고소득층자녀고 저소득층 자녀는 10%정도더라구요.
@rusakura8664
@rusakura8664 25 күн бұрын
@@user-fr2xm3sp3w 흔히들 헬조선은 과도한 교육열이 망국병이라고 전세계적으로 욕을 처먹지만 현실은 그러한 승자독식 구조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엘리트가 일하지 않고 세금 적게 내는 수많은 천민들을 먹여살린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음 ㅋ
@user-to3ge8im2s
@user-to3ge8im2s 25 күн бұрын
​​@@user-db8gg2pe8y착한노예노 북한인민들도 본받아야되는데
@sgpark5579
@sgpark5579 25 күн бұрын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밀레이 정말 멋진 ~ 분이심니다 ~ 기대 기대~~
@ZZZZbaby
@ZZZZbaby 25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둘중에 하나라도 잘되서 다행이지머 .. 둘다 박살 나는 나라면 어쩔려고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5 күн бұрын
되서->돼서
@user-ob1rc3qe2p
@user-ob1rc3qe2p 25 күн бұрын
오히려 다같이 가난한게 행복 자체는 더 클 가능성도? 행복지수 방글라데시가 우리보다 높은거 보셈 ㅋㅋ
@user-ze9wb1ee6x
@user-ze9wb1ee6x 25 күн бұрын
​​@@user-ob1rc3qe2p근데 여기서 방글라데시 이민가서 영원히 거기서 살고 싶은 사람 아무도 없잖아 ㅋㅋㅋㅋ 행복지수는 매트릭스 빨간약 파란약 같은거임
@user-cj7tv5rw2k
@user-cj7tv5rw2k 25 күн бұрын
@@user-ob1rc3qe2pㅋㅋ방글라데시로 이민가고 싶으세요?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25 күн бұрын
​@@user-ob1rc3qe2p 행복순위 1위였던 부탄도 인스타그램 들여오니까 장외로 밀려났음
@user-ij9cz2sq4l
@user-ij9cz2sq4l 25 күн бұрын
슈카형 옛날 이였으면 회피만 했을텐데 요즘 회피하면서 툭툭 치는게 너무 좋음
@user-mg1iq1ng8l
@user-mg1iq1ng8l 25 күн бұрын
카이팅 실력이 수준급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5 күн бұрын
이였->이었
@muup1272
@muup1272 25 күн бұрын
국가권력급 국가혁명당 가즈아!!!!!!!!!!!!!!!!!!!!!!!!!!!!!!!!!!!!!!!!!!!!!!!!!!!!!
@user-vb6cf5qv4w
@user-vb6cf5qv4w 25 күн бұрын
생각보다 더 사려야함. 요새 검찰이 사방 다 쑤시고 다님...ㅎㅎ
@RollThe-Dice
@RollThe-Dice 25 күн бұрын
​@@user-vb6cf5qv4w검찰하고 엮이는 사람이 평범은 아님ㅋ
@thelezard3378
@thelezard3378 24 күн бұрын
마이너스 만들었다가...원래 제로포인트에 근접도 못했슴..
@Ahappyday.
@Ahappyday. 25 күн бұрын
딱맞는말!
@kphong4215
@kphong4215 25 күн бұрын
월급 그대로 물가 최소 2~30% 올랐음 대출 이자 올라서 서민들은 엄청 힘듬 자영업 물가 폭등으로 멸망각 반대로 부자감세 높은 환율로 수출기업은 호황시작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19 күн бұрын
너도 수출하지 그랬어 애시당초 돈벌이는 무역이지 고대나 중세나 근대나 근현대나 현대나
@GOA7520
@GOA7520 24 күн бұрын
수출을 위해 내수 착취하는 나라 ㅋㅋ 게다가 지금 미국향 수출이 좋은 이유도 미국의 리쇼어링으로 인한 공장 건설 수요 때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즉 지속 가능한 구조가 아닐 수 있다는 거죠. 게다가 리쇼어링을 생산 기반을 빼앗긴다는 의미로 본다면 더더욱 우리 나라 내수는 그 기반을 잃어가고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user-xc7fk5wg9u
@user-xc7fk5wg9u 23 күн бұрын
gdp 성장에 원달러 1380보다 약간 내렸고 국제유가는 내림세... 내 물가는???
@jnko2904
@jnko2904 25 күн бұрын
나라는 잘나다고 물가는 높아지고
@user-nb4zn7oi2e
@user-nb4zn7oi2e 25 күн бұрын
환율 1360 ㅊㅋ 미국햄들 ㅊㅋㅊㅋ
@bigpictureman8426
@bigpictureman8426 19 күн бұрын
내수 -0.4는 국내에서 쓸 돈 다 해외에서 써서 그런 듯ㅋㅋㅋ ㄹㅇ 한국사람들 해외여행 엄청많이가~
@ockbong
@ockbong 22 күн бұрын
수입이 축소된거는 언급이 안된거같아 조금 아쉽습니다 수출-수입=마진인데 마진하고 수출만 나온거같아요
@jetblue22
@jetblue22 25 күн бұрын
경제지표나 국가의 성장이 문제가 아님. 지속적으로 지니계수는 좋아져오면서 빈부격차도 개선되고 지표적으로 중산층도 탄탄해져 있는게 사실이고 팩트임. 하지만 높은 자살율이 방증하듯 한국사회는 스스로 불행하다고 믿고 있음. 헬조선 불반도 거리던 지난날 보다 더 심함. 경제나 국가적성장의 개선이 필요한게 아니라 사회적분위기를 바꿀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것 같음 스스로 비교하고 눈치보고 남이하는것만큼 나도 해야지 하는 분위기가 이 사회를 더 힘들게 만드는거같음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5 күн бұрын
율->률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2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자꾸 자신들이 지옥을 만들고 있는데 자꾸 불행하다 어쩌고다...몰론 여러가지 개혁 짬때려온게 정말 문제고 풀어야할 숙제이지만, 자살까지는 하지 말아야 하는데 ㅠ
@dimensionlibrary7703
@dimensionlibrary7703 25 күн бұрын
어디서 본 설문 조사였는데... "자국 사회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느끼시나요" 라는 질문에 남녀갈등, 종교갈등, 빈부격차 전부 한국인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았죠. 한국인들은 자기들 스스로 한국을 더 살기 힘든 나라로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종교 갈등 세계 1위라니 ㅋㅋㅋ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더라구요 진짜. 말씀하신대로 한국은 경제나 국가 차원에서 뭘 더 하기 전에 문화적, 사회적 분위기를 바꾸는 게 먼저입니다.
@kfx3907
@kfx3907 25 күн бұрын
맞말추. 그런 분위기를 우리 스스로들이 만듦.
@dbejdd
@dbejdd 25 күн бұрын
다들 엄살이고 행복했ㅇ으면좋겠다
@jamespark5063
@jamespark5063 25 күн бұрын
일요일날 삼척에서 일끝나고 오후1시에 출발했다 집은 동탄인데 평소같으면 4시간 걸릴꺼 그날만 6시간30분 걸리드라 연휴라서 ㅈㄴ게 놀러나간듯
@narinnoon
@narinnoon 25 күн бұрын
엥 이거 어디서 본거 같은..
@user-iq7zq3kn6b
@user-iq7zq3kn6b 24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이 그나마 다방면에 살아있어서 이만큼 버티고 있는건데 중소기업 노동자들도 제대로 대우 받으면 좋겠네요
@user-ji2fv7ek1y
@user-ji2fv7ek1y 25 күн бұрын
금투세좀 다루자
@user-kh2ob5ji2x
@user-kh2ob5ji2x 25 күн бұрын
제목보소... 클릭을 안할 수가 없다
@qzzzl22
@qzzzl22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잘 되는 이유는, 개개인 하나하나는 진짜 엄청나게 성실한거임. 보통의 외국인들 진짜 얼마나 게으른지 상상도 못할거다. 우리나라 스케줄대로 외국인들 일 시키면 3일만에 다 도망가고 파업함.
@redtie2929
@redtie2929 24 күн бұрын
@@qzzzl22직장들어가면 안그럼 바로 인사고과 조져지니까 그런거 그리고 나라에서 돈 없고 무능하면 사람 취급을 안하니까 도츠태안되려고 다들 열심히 사는데 난 좀 힘들더라
@user-dr7tm7lo3z
@user-dr7tm7lo3z 8 күн бұрын
@@redtie2929돈없고 무능하면 사람 취급 안해주는거 모든 나라가 똑같은 미국 남미 가봐라 돈 없으면 인권도 없음 미국은 노숙자도 돈 없고 도태된 사람이니까 돈도 주지말고 거들떠 보지말라고 교육 시킴
@Cheeseburger5647
@Cheeseburger5647 25 күн бұрын
Hi Jane!
@seungyeollee1629
@seungyeollee1629 16 күн бұрын
마지막 불꽃
@user-bq9cb7vu1i
@user-bq9cb7vu1i 6 күн бұрын
50년째 마지막 불꽃임? 화광반조를 대체 몇십년이나 하냐~
@user-qz1in3oc1x
@user-qz1in3oc1x 25 күн бұрын
달러를 벌어서 들어오니 그나마 잘 버티고 있는중… 세계적인 기업이 있는것에 감사 해야겠네요 … 터키나 아르헨티나로 안가는게 다행이라고 생각 해야죠 …;;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25 күн бұрын
이모씨가 집권하면 아르헨처럼 됨
@chanhokim455
@chanhokim455 25 күн бұрын
터키랑 아르헨은 식량자급이라도 가능하지 한국이 두나라처럼 인플레 터지면 아사자 속출각임
@user-by3do7pl1r
@user-by3do7pl1r 25 күн бұрын
@@user-di4hh7ne7i 현실은 S전자에서도 매출 고점뚫는데 직원들 보너스 성과금 죄다 깍아먹고 임원들끼리 노나드시는중. 그러곤 노조탓함. 세계적인 기업? 그냥 나라가 망해가는중임 위에선 한탕해서 업적작해서 빤스런준비중이고 생산수율은 저점을 뚫고있는데 임원 연구원들은 자기들끼리 파티하면서 남탓중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25 күн бұрын
​@@chanhokim455 ㄹㅇ 그땐 우리나라가 살려면 섬같은거 팔아서 달러가져오고 그걸로 식량사서 배급해야될 수도. 우리나란 쌀도 그닥 생산량이 높진 않지만 다른 작물은 아예 박살난 수준이라.
@hyunjukim5553
@hyunjukim5553 25 күн бұрын
어이가없네 꼭 없는것들이 대기업코스프레 ㅋㅋ​@@user-di4hh7ne7i
@ljs6739
@ljs6739 24 күн бұрын
결국 내수 기업이 아니라 수출 기업에 입사를 해야 물가 상승률을 상쇄할만한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다 이 말이네요.
@user-gu9mv7oz9s
@user-gu9mv7oz9s 25 күн бұрын
강원도 원주 반곡동에도 등대 하나 있어요 심평원이라고
@goat_2222
@goat_2222 25 күн бұрын
내수도 다 갖다가 수출로 팔던데....
@hoya7528
@hoya7528 25 күн бұрын
어? 어디서 본 상황인데ㅋㅋ
@Leclerc110
@Leclerc110 25 күн бұрын
중국 그렇게 정치적으로 배제했는데도 이 정도밖에 타격없는거 보면 반미 하는순간 국가 개박살 나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 무조건 미국형님, 유대인형님들 이 지구의 주인님들이 하라는대로 해야지
@-su7zn
@-su7zn 25 күн бұрын
중국 미국 둘중에 붙어야 한다면 무조건 미국이지
@lockheed6024
@lockheed6024 25 күн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 중국한테 하는짓 미국한테 하면 나라 1960년대로 가는거임 선택해야한다면 무조건 중국버려야함.
@user-rh1cf3gj5j
@user-rh1cf3gj5j 25 күн бұрын
외교에... 영원한 누구의 편이 있다는 생각이 얼마나 무지한건지... 미국의 우방국을 넘어 유대인들의 영향력이 막강한 이스라엘도 팽을 하네 마네 하는데 ㅋㅋㅋ 괜히 유럽이 간보는 외교 하는게 아님, 어딜 치고 들어간다는 마인드 부터가 무지 그자체... 우리가 그럴 이유가 없음 우리만 잘 살면 되는데, 중국을 치네 마네... 참
@ryo_yannada
@ryo_yannada 25 күн бұрын
​​@@user-rh1cf3gj5j우리나라야 미국이 별말 안하면 중국미국이랑 다 잘지내는 게 낫지 근데 그렇게 못할 때가 올 수빆에 없으니 미리 중국쪽 비중을 줄여나가야 한다는거
@user-lm9dr4lr3v
@user-lm9dr4lr3v 25 күн бұрын
@@user-rh1cf3gj5j 응 됐고 빨리 우리 대한민국 북부 영토 불법 점거중인 공산무장단체 쓸어버리고 쭝꿔랑 일전 준비해야됨
@kimyhyh6140
@kimyhyh6140 25 күн бұрын
대기업 이외 다 마이너스지 ...
@user-oe2vh3ws7p
@user-oe2vh3ws7p 2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fgjkns6982
@fgjkns6982 25 күн бұрын
근데 체감하는 경기는 좋아진거 같긴함
@jjitjjaiming
@jjitjjaiming 25 күн бұрын
처음 인플레로 확 꺾일때보다는 회복세로 진입한게 맞는말인듯..
@Janghun13
@Janghun13 25 күн бұрын
그나마 한숨 돌릴 수 있다 수준으로 인정하고 잘 되길 바랄 수 밖에.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5 күн бұрын
수 밖에->수밖에
@Sane--Dule
@Sane--Dule 25 күн бұрын
@@user-vf1tj3vg6s 수박먹나? 수는 떼어쓰는 것임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4 күн бұрын
@@Sane--Dule '수밖에'는 한 단어인데 왜 모르면서 아는 척 허위 사실 퍼트림?
@user-yc3tl2wj8v
@user-yc3tl2wj8v 24 күн бұрын
한숨 돌릴 상황이 아닌게, 환율 박살나서, 수출이 잘되고, 달러가 비싸니 들어오는 돈이많은거뿐, MB 때 고환율로 임기말 부작용 쳐맞고 결국은 MB도 고환율정책 잘못됐다 인정한거랑 비슷한 상황임. 일본이랑 비교할 수 없는게 일본은 금리 0.25% 라...
@eugenelu6450
@eugenelu6450 24 күн бұрын
그르네.. 나는 구로의, 등대의, 수 많은 반딧불이 중... 저스트 원 오브 뎀 이엇네..ㅠㅠ
@user-to7hs3yi4s
@user-to7hs3yi4s 24 күн бұрын
공장설비 전부 미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는데
@user-dz2mu1tj1m
@user-dz2mu1tj1m 24 күн бұрын
국민 대부분은 힘들고
@Jacksonpops
@Jacksonpops 25 күн бұрын
바로 늦은 저녁과 함께
@Meowoo0696
@Meowoo0696 9 күн бұрын
뭔가 로마의 몰락 직전 상황과 흡사한거 같기도
@kica7693
@kica7693 21 күн бұрын
제목 지은 사람 천재다
@shinyoungyoon3262
@shinyoungyoon3262 25 күн бұрын
주말마다 모든 수도권 도로가 마비되도록 놀러댕기는거보면 누구의 불황인가 싶음
@YJ--
@YJ--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빚도 있어야 내는거임 저축율 또한 높음 전세대출 같은것도 다른 나라 월세 대신이라고 생각하면 또이또이지
@ethankim4030
@ethankim4030 25 күн бұрын
ㅋㅋ 가진거 하나 없어도 남들 다 하는거 하고 싶고.. 참는것보다 일단 즐기고 내일 걱정은 내일로. 가 모토인 상태죠. 예전 욜로 외치던 사람들 뭐하는지 보세요. 속담이 정확합니다 "물 들어올 때 노저어라"
@Finn_Mertens
@Finn_Mertens 25 күн бұрын
그 여행 경비, 유흥비가 다 어디서 나오냐고 하면 잠재적인 자식 양육비에서 나오는 거임. 아이를 엿 바꿔먹었어 한국은
@Dohan06
@Dohan06 25 күн бұрын
​@@shdb2jqiisjnxjs 누가 여행가고 여가보내는데 빚을 씁니까..
@bcj1273
@bcj1273 25 күн бұрын
양극화라서 그럼
@GrimReaper-sd1yp
@GrimReaper-sd1yp 24 күн бұрын
하... 또 속았네.... 우리나라 사장들, 그러니까 윗대가리들 특성인게. 겁나게 돈 잘벌면서, 부하직원 아랫사람들에겐 항상 '힘들다... 곧 좋아질꺼다. 좀만 참아라.' 이런다. 그들은 이런말들을 입버릇처럼 말한다. 그러니 우리들은 항상 좋은꼴을 못본다. 그러니 절대 그들의 우는소리를 믿지 마라...
@schoolphobia
@schoolphobia 4 күн бұрын
이거 어제 비문학 지문에서 본 것 같아.... 경기는 호황인데 노동자들은 살기 힘들 수 있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user-xl8ip2gr6n
@user-xl8ip2gr6n 24 күн бұрын
동네미용실 컷 가격을 15000원에서 20000원으로 올렸더라. 다들 물가 올랐다고 다올리는데.. 내월급은 왜 안올라가는건지.. 월급쟁이들이 제일 불쌍한거 같기도함. 특히 중소기업 다니는 사람들..
@hyungjunlee1268
@hyungjunlee1268 25 күн бұрын
저녁에 술집들만 봐도 가득 들어차있고 가끔 외근 가는 인천공항만 봐도 사람들 미어터짐. 나름 한국이 아직은 5천만 인구에 경제규모도 10위 들락날락 하는 정도인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거대하다고 봐야지. 개인적인 생각은 인터넷 댓글 카더라 여론에 너무 휘둘리지말자임. 솔직히 지난 세월 돌이켜보면 안힘든적이 있었나.. 매번 80-90년대 호황기 이야기만 했지;; 적어도 내 주변은 호황까지는 아니어도 딱히 불황인 사람은 없는듯.
@user-by3dx3gw5c
@user-by3dx3gw5c 25 күн бұрын
ㅇㄱㄹㅇ 맨날 나라망했네 누구때문에 뭐됐네 근데 계속 성장중ㅋㅋ
@klpb3732
@klpb3732 25 күн бұрын
지금 1분기만에 작년 성장률을 찍었다고 하잖아ㅋㅋㅋ 그리고 젊은층이 문제인거지. 출산율 0.7로 망하던 지난 8년은, 젊은층 경제사정 힘들어진 시기였던게 맞음. 집값 폭등부터 취업악화까지 심각했음
@user-ze9wb1ee6x
@user-ze9wb1ee6x 25 күн бұрын
인터넷 커뮤만 보면 시즌 17865556 째 한국 멸망인데 막상 현실을 보면 디시 같은 커뮤 하는 애들 빼고 다들 여친 남친도 사귀고 친구들 하고 여행도 가고 잘만 사는 중
@popciclelol4891
@popciclelol4891 25 күн бұрын
인구감소가 이제야 시작된 현재가 대한민국 고점임. 그렇지만 출산율 0.7은 피할수 없는 파도임
@thunder5311
@thunder5311 25 күн бұрын
실제 극단에 있는 사람은 소수이나 그 소수들이 목소리가 제일 크고 파급력이 제일 크니까 그래 보일뿐 실제로는 아니죠
@user-rr5hs3mc8e
@user-rr5hs3mc8e 24 күн бұрын
인플레에서 저금리 = 초 양극화 서민 절단기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19 күн бұрын
처음부터 이걸 노렸다 !!!!!
@user-bl1te5wv1z
@user-bl1te5wv1z 1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고금리하는거라고 ??? 양극화가 될수도있지만 엄청난 성장이 담보되는거아닌가 예를들면 우리나라 엄청 성장하던 90년대나 00년대처럼 성장에 올라탈 기회가 있자너
@user-yk9km9rd2s
@user-yk9km9rd2s 25 күн бұрын
맙소사 뚠뚠이가 모자좀 골라줬으면좋겠다
@ilove6301
@ilove6301 24 күн бұрын
오랫만에... 기쁜 소식...
@je4922
@je4922 25 күн бұрын
왔다 내 새우깡
@user-kc3tr3vh6i
@user-kc3tr3vh6i 23 күн бұрын
이것만 봐도 대만에 끼치는 Tsmc의 영향력까지는 아니지만, 삼성이랑 하이닉스가 우리나라 경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는듯 ㅋㅋㅋ
@user-qh5cg3om5o
@user-qh5cg3om5o 24 күн бұрын
혹 기저효과(?)로 3.4% 성장인가요?
@Awesome-im1sf
@Awesome-im1sf 24 күн бұрын
호불호 ㄷㄷ
@myungbaklee1774
@myungbaklee1774 24 күн бұрын
환율이 올라간다는 건 국내 제조 근로비용이 감소했다는 말이네. 마치 중국 근로비용이 작아서 경쟁력이 있듯이. 그리고 수입 들어오는건 가격상승이니 급여삭감이 2중으로...
세계에 부는 미성년자 SNS금지법
25:2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67 М.
О, сосисочки! (Или корейская уличная еда?)
00:32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거지에서 황제가 된 명나라 태조 주원장 이야기
22:0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물가 비상, 내 돈 살살 녹는다.
32:3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청년들은 왜 쉬는가
31: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하루에 13조원씩 증가하는 미국 국가 채무
31:0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이래도 되나..? 4분기 출산율 0.65명
37:2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인류 역사상 최다 희생자를 기록한 독-소전쟁
31:4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МАРШРУТ ПЕРЕСТРОЕН 🙄🤣
0:53
Елена_LaVidaLoc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752 М.
BABY Comedy : Baby helps homeless people
1:00
BABY Comedy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МАРМЕЛАД СПАС МЕДВЕЖОНКА
0:51
Tasty Series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