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의 평균임금이 오르지 않는 이유 - 남의 일이 아닐수도 있다? -

  Рет қаралды 734,270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4 жыл бұрын

일본의 평균임금이 오르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노동경제 관념으로 설명해 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본거주 16년차가 일본인 와이프랑 같이 다양한 일본 정보를 투머치토크!
◆Info◆
매주 월,수,토,일에 라이브 방송도 하고 있습니다.
일본 사회・경제・기업・생활 등등에 대한 이야기를 투머치 토크!
주말에는 일본에서 야외방송도^^
1:1 카톡 메세지⇒ kakaoTV or 카톡에서 "박가네"를 검색→ 플러스 친구 등록!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자기 소개◆
ぱく家(박가네)︰일본 정보, 한일부부
・오상:한국인, 일본거주 15년이상, 교토대 출신, 일본·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츄미코:일본인, 도시샤대 출신&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스튜어디스, 한국어 공부중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Gメール).com
※상세한 안건 내용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습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플러스친구을 등록하시고
저희에게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일본경제 #평균임금 #디플레이션

Пікірлер: 1 200
@user-td2kq1xb8z
@user-td2kq1xb8z 4 жыл бұрын
잘듣고 있어요. ㅎㅎㅎ설명이 아주 쉬워요. 아프지 마세요. 님들은 소중합니돠~~~~!♥
@cp3992
@cp3992 4 жыл бұрын
과장 조금 보태서 혹은 실제 팩트로 일본 관련 정보나 한 주간의 뉴스 + 화제는 우리나라 언론사보다 박가네 유튜브가 객관적 + 유익함
@user-ip5jr5jx4z
@user-ip5jr5jx4z 4 жыл бұрын
뉴스는 걍 조회수 먹으려고 국뽕 코인타서 ㅈㄴ 왜곡됨 물론 일본 쪽에서 한국 보도할때도 마찬가지
@soungkim3474
@soungkim3474 4 жыл бұрын
@@user-ip5jr5jx4z 뭐가 왜곡임? 근거를 제시하세요. 박가네 채널은 국뽕없어요.
@superiort93
@superiort93 4 жыл бұрын
@@soungkim3474 뉴스가 국뽕코인탄다고 말씀하시는것 같아여
@user-ot3dc7uj5n
@user-ot3dc7uj5n 3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z9fi1ki3f
@user-cz9fi1ki3f 3 жыл бұрын
완전 동의....ㅋ
@wons0124
@wons0124 4 жыл бұрын
알람 뜨고 바로 왔어요 오늘도 매우 많이 공감 되는 영상이였습니다
@jsh384
@jsh384 3 жыл бұрын
아.... 이번 컨텐츠 좋음... 대학생들 교육자료로 썼으면 좋겠다. 미국-일본-한국으로 연결되는 국가경제 흐름이 너무 많은 부분이 비슷하고, 제일 소름끼쳤던 부분은 그런 환경에 의해서 사람들의 의식도 비슷하게 변해간다는 점. 회사들어가는 것보다, 편의점 알바나 하고 살면 더 편하고, 멘탈노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믿고있는 후배들 이야기를 학교때 은사님과 최근에 한 대화를 다시 한번 곱씹게 되는 내용이다.
@masteryi8816
@masteryi8816 4 жыл бұрын
주말 아침먹으면서 보는 박가네 꿀잼
@MJ-bh6wt
@MJ-bh6wt 4 жыл бұрын
진심 우리나라 이야기 인줄 알았어요 ㅠㅠ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용!
@user-hb1in9sq5g
@user-hb1in9sq5g 4 жыл бұрын
묘하게 이적을 닮으셨네요. ㅎㅎ 좋은 내용이라 구독하고 갑니다~
@pecon3872
@pecon3872 4 жыл бұрын
일본 - 30년전 자판기 커피값:100엔 현재 자판기 커피값:100엔
@user-jb9wf9bi3r
@user-jb9wf9bi3r 4 жыл бұрын
훌륭한 반면교사 컨텐츠~!
@user-kb6vs8lu4y
@user-kb6vs8lu4y 4 жыл бұрын
와... 이사람은 뭐지... 정보력이 으마으마하네...
@user-wq7eg7vj6g
@user-wq7eg7vj6g 2 жыл бұрын
경제학 전공자
@user-kg8dq4yz5c
@user-kg8dq4yz5c 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이해하기 쉬워요. 감사합니당 ㅎ
@scott3282
@scott3282 3 жыл бұрын
듣다보니깐 이번꺼 오상 진짜 말 빠르네 ㅋㅋㅋㅋ 50만 찍었네 벌써. 또 와서 보는데 놀람
@shink.h7367
@shink.h7367 4 жыл бұрын
남의 나라 일만은 아닌 듯.
@jinkwangseon
@jinkwangseon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일본 국민은 가난하고 나라는 부강하다는 말이 나왔군요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2 жыл бұрын
아직 소득수준은 선진국이긴한데 세금이 미쳐서 저러는거임
@seoulinout5465
@seoulinout5465 3 жыл бұрын
컨텐츠 하나하나가 뼈가되고 살이됩니다. .
@user-de1zq3pz6h
@user-de1zq3pz6h 4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jihyuk69
@jihyuk69 4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잘봅니다 한마디로 빛좋은 개살구네요 대한민국도 똑같은길을 걷는듯 ..
@sssaaa7626
@sssaaa7626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4년 학교 다니고 2년 일했슴돠 알바는 확실히 지방도시여도 당시에는 한국보다 시급은 높았어요 일 할때는 기본급 세후 18만엔이었고 잔업수당 합쳐서 세후 25-28사이로 받았네요 항상 월세는 회사에서 돈 따로 나왔었고요 실질적으로 세후 30-32만엔 사이로 벌었어요 근ㄷㅔ 지금 한국와서 세후로 300좀 안되게 버는데 한국에서 사는게 더 나은거 같네여
@user-yg4vr3dv4t
@user-yg4vr3dv4t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합니다 너무좋아요
@jml4773
@jml4773 4 жыл бұрын
피부에 와닿는 뉴스 넘 좋습니다
@user-dq5ec5vh6y
@user-dq5ec5vh6y 4 жыл бұрын
츄미코 선생님 감사합니다.
@user-qk8vq9vi5v
@user-qk8vq9vi5v 4 жыл бұрын
일본이나 한국이 경영의 효율화라는 이유로 비정규직을 양성했지만 실질적으로 비정규직에 지급되는 비용은 정규직이랑 비슷합니다 그런데도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이유는 자르기 편안것도 있지만 회장이나 사장 가족들을 비정규직 회사를 만들게해서 자기 회사에서 일하게하여 그 차익을 가족들이 가지고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알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이런경우 주주의 돈을 횡령한것으로 여겨서 업무상 배임혐의로 처벌하는데 일본과 한국은 그러질 않아서 그렇습니다
@user-qk8vq9vi5v
@user-qk8vq9vi5v 4 жыл бұрын
@@user-jc6fe4tz6f그러면 한국이나 일본처럼 두배정도 윌급 차이가 나나요 아닌거 아시죠^^
@kwangseokryu5435
@kwangseokryu5435 4 жыл бұрын
정규지과 비 정규직의 임금이 비슷하다는 근거는 어디서 나온겁니까? 국내 사내 비정규직이 정규직 될때 하는말이 연봉을 거짓으로 낮게 말하더라도 절대 공개금지를 조건으로 정규직 채용됩니다. 근거를 대고 말하세요. 비정규직 가족경영도 있을수 있겠지만, XX테크 라는 곳에서 모집하여 파견직으로 보내니... 회사측에서 필요없을때 보내기 편한거지요. XX테크는 사원을 또다른 거래회사로 파견 보내면 되는것이고요.
@user-qk8vq9vi5v
@user-qk8vq9vi5v 4 жыл бұрын
@@kwangseokryu5435 국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급이 비슷하다고 이야기한적이 없습니다 단지 기업에서 지급하는 비용이 정규직 비용만큼 지급하는데 사장 가족들이 중간에서 착복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예를 들면 a라는회사가 정규직에 200만원 월급을 준다면 경영효율을 이유로 비정규직화하고 사장 친인척 비정규직 인력회사에 200만원을 주는데 여기서100만원을 관리목적으로 착복하고 100만원을 비정규직에 주는겁니다
@kwangseokryu5435
@kwangseokryu5435 4 жыл бұрын
@@user-qk8vq9vi5v 아... 그렇군요. 오해를 했습니다.
@John-Yim
@John-Yim 4 жыл бұрын
저희 회사에 인력파견하는 회사도 회장의 친척이 파견회사 운영해요 ㅋㅋ
@han_kki_man_du
@han_kki_man_du 4 жыл бұрын
오늘영상도 꾸울잼!!!
@songsukjin99
@songsukjin99 4 жыл бұрын
your information is very useful to me! thanks a lot.
@NANNANNANAA
@NANNANNANAA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똑같다... 입사하고 7년동안 팀에 밑으로 오는 애들 정규직이 없다.. 팀에 맨파워는 갈수록 약해지는데 일은 늘고 숙련도는 더 필요하고 고인물화가 되어간다
@say_ya001
@say_ya001 3 жыл бұрын
그건 윗물이 갈아져야 되는거...
@say_ya001
@say_ya001 3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사람이 나가는 이유는 일이 문제거나 선임이 문제거나 둘다 문제인거임.
@judgejung488
@judgejung488 3 жыл бұрын
좀 지나면 비정규직 신입도 없어질겁니다. 내년이면 출산율 0.5명대임. 뭐... 외국인 부하직원이면 모를까..
@user-fd5ri7et8h
@user-fd5ri7et8h 3 жыл бұрын
똑같긴요. 비정규직 문제는 똑같다고 말할순있지만 이 영상의 주제인 평균임금으로 접근하면요. 90년대비 임금이 13배가까지 올랐어요. 전혀 다르죠.
@user-fd5ri7et8h
@user-fd5ri7et8h 3 жыл бұрын
최저시급 기준입니다
@yachtpark
@yachtpark 4 жыл бұрын
유학생에 대한 원천징수 금지인데(연간 일정 알바 금액 이하) 원청징수 때리고 학생이 가서 따져야 죄송합니다 소리 하는게 이 이유구만....
@syakaiyasei
@syakaiyasei 4 жыл бұрын
아 ㄹㅇ???? 와 내세금
@user-vy5gb2tp5i
@user-vy5gb2tp5i 3 жыл бұрын
오상님의 진짜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고 갑니다!
@user-wy9sv5fi6y
@user-wy9sv5fi6y 3 жыл бұрын
일본에 대해 잘 몰랏는데 속시원하게 잘 알려주시네요.
@myoungwon_aseo8231
@myoungwon_aseo8231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정책은 일본의 사례를 모델로 한것이 많으니, 일본의 현황은 우리에게도 걱정꺼리인듯... 정책의 질도 중요하지만 우선은 시민의식인듯...
@user-xz9ul3km3n
@user-xz9ul3km3n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98년에 IMF 이후로 금융권 직종과 외국계 회사들부터 계약직이라는게 도입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그때 뉴스에서 비정규직 반대로 시위하는 모습들이 많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제는 큰 회사나 작은 회사 어느 곳이든 비정규직들이 넘쳐나는 현실.
@old_conscience
@old_conscience 3 жыл бұрын
구독을 누르게하는 영상이네요 잘 봤습니다
@user-kv7bs8ow2f
@user-kv7bs8ow2f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skjh1004
@gskjh1004 4 жыл бұрын
울나라도 이미 정규직 비정규직 아웃소싱 하청등으로 차이 엄청날텐데요..
@user-nb3kl3jr7t
@user-nb3kl3jr7t 4 жыл бұрын
그쵸뭐...
@finemass2893
@finemass2893 4 жыл бұрын
그나라나 이나라나... 쩝
@JN-ve3jv
@JN-ve3jv 4 жыл бұрын
ㅇㅈ 이게 정답인듯
@L-S-H
@L-S-H 4 жыл бұрын
블랙기업은 한국도 만만치 않음. 대부분 남아도는 일자리들의 정체가 이거.
@youngjinkim1622
@youngjinkim1622 4 жыл бұрын
자영업 비율 높은게 최저시급까지 올려서 더망하는중
@musekm3431
@musekm3431 3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직장생활 5년해도 절대 저축안됩니다 딱 먹고살만큼 주지요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90년대에 이미 세계적인 소득국가로 아직도 소득수준은 높은편입니다만.. 세금이 말도안되게 비싸서 저축이안되는듯ㅋㅋㅋ주민세가 젤 미친거같아요ㅋㅋㅋㅋㅋㅋ 테도리 80퍼ㅋㅋㅋㅋㅋ 급여오르면 75퍼까지 내려가죠. 세금은진짜 장난아닌듯
@yong-taepark5237
@yong-taepark5237 4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추천에 떠서 몇개 봤었는데, 이 영상보고 구독 눌렀습니다.ㅎㅎ
@kangsj1977
@kangsj197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xx3wk1hd2w
@user-xx3wk1hd2w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 살고 있지만 너무 공감가서 이렇게 글을 적게되네요... 지금 현재 상황이 일본과 너무 비슷 아니 똑같네요. 계약직의 차이 이용되는 방법이 똑같네요. 여러가지 생각이 들게 됩니다.
@JOJINGU
@JOJINGU 4 жыл бұрын
일본국민은 정부나 사회적 지도층에 대한 기이한 믿음이 있는것으로 보인다. '저들은 보통사람보다 똑똑하고 좋은 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런 자리에 있는것이고, 그래서 우리같은 사람은 저들이 이끄는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모든게 다 잘될거야'. 하지만 모든 사람은 실수를 하고 이기적이기 때문에 지도층이 잘못된 길로 가지 못하도록 늘 경계하고 때로는 화를 내기도 해야 한다. 그런데 그런식으로 깐깐하게 따지는 사람을 오히려 불만세력으로 낙인찍고 따돌리는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려하지. 그래서 정치가 저모양이고, 언론과 경제가 그뒤를 따라간다.
@oceank9154
@oceank9154 Жыл бұрын
일본 정치 구조가 너무 헬이라.. 저항할 희망 갖지 못하는 것이 보편적이죠. 한국 언론과 정치인, 정치 제도 욕하지만, 일본과 비교하면 희망적이죠. 구조적인 1당 독재 바꿀 방법이 없기에, 대부분 정치 외면해 버리죠.
@green_tea_piccolo
@green_tea_piccolo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jskimkeiomba
@jskimkeiomba 4 жыл бұрын
오상 정말 인사이트 대단하십니다 저보다 나이 어리신거 같은데 존경스럽습니다 저희도 한일커플입니다 건강 잘챙시구 2세에도 힘쓰시구요 ㅎ
@iam-yu8yo
@iam-yu8yo 3 жыл бұрын
음 . 일본에 별 관심도 없는 사람인데 계속 보게됨... 재밌어요 두 분 전공이 뭔지 궁금해요~
@kunn9842
@kunn9842 4 жыл бұрын
시급은높아도 월급, 임금은 쓰레기임 한국이랑 차이안남. 그리고 일본에 블랙기업이 많고 그거에 반발하지않는 일본인들의 근성때문에 고쳐지지 않음.
@asvaler9438
@asvaler9438 4 жыл бұрын
ㅇㅇ 일본에서 일하다가 한국 왔는데, 첫 사회경험이 일본이라서 그랬는지 몰라도 지금 생각해보면 완전 개돼지에 우민화됐었었음. 근데 나 말고 다른 사람 모두 개돼지처럼 일하니까 몰랐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돈 받고 존나 굴른 내가 불쌍함
@user-lb5qj1nu5s
@user-lb5qj1nu5s 4 жыл бұрын
블랙기업으로 한국이 일본 욕할 자격이? 청년층 노오력 드립친 틀딱세대가 운영하는 좆소기업소리듣는 기업들 보면 일본이랑 다를게 없음
@ah.k4872
@ah.k4872 4 жыл бұрын
@@user-lb5qj1nu5s 거기다가 군대문화까지 더해져서 일본 좆소보다 더 ㅈ같음ㅋㅋㅋ 고성장시대때 데모하면서 개나소나 대학나와서 대기업•중견기업 들어가고 꿀이란 꿀은 다 빨고 고생은 ㅈ도 안한 방위•면제출신 486•586새끼들이 요즘애들은 노오력이 부족하니 정신력이 딸리니 군대에서 고생 안해서 그러니 라떼는 말이야 어쩌구 저쩌구 ㅇㅈㄹ하는거보면 명치 개쌔게 갈구고 싶음ㅋㅋㅋㅋ
@user-gn9bj8cs7v
@user-gn9bj8cs7v 4 жыл бұрын
@@asvaler9438 근데 한국 평균월급이 306만원 일본 평균월급이 345만원 ㅋㅋ
@user-fx9up2xq3p
@user-fx9up2xq3p 4 жыл бұрын
@@user-gn9bj8cs7v 연봉은 높아도 물가가 너무 비싸서 그닥...
@asurakang
@asurakang 3 жыл бұрын
오늘 두 분 다 헤어스타일이랑 패션 이뻐요~
@peace-hs7zj
@peace-hs7zj 4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함
@bagpiper93
@bagpiper93 4 жыл бұрын
알림보자마자 바로 왔엉
@cokepleaze
@cokepleaze 3 жыл бұрын
결론 : 마른 오징어도 짜면 물이 나온다
@user-kj7tq3oh8h
@user-kj7tq3oh8h 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
@jamespark7868
@jamespark7868 4 жыл бұрын
생각하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gt6mo7qo8j
@user-gt6mo7qo8j 3 жыл бұрын
잘 이해했습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4 жыл бұрын
요새 K방역이니 해서 국뽕 유튜브 채널들 엄청 많이 생겨서 사람들이 그거 보면서 현실을 잊으려고 하는거같던데 한국의 현실과 미래도 그렇게 꽃길은 아닐겁니다. 실상이 그래요. 왜 청년들이 공무원 시험에 목을 매고 한국어 쓰는 나라가 한국밖에 없는데도 유튜버나 인터넷 방송에 너도나도 도전하는지 왜 출산율은 세계최저고 자살율은 세계최고인지. 양극화는 일본보다 한국이 더 심할듯.
@user-kx2jt3ne7o
@user-kx2jt3ne7o 3 жыл бұрын
양극화는 통계상 우리가 일본보다 미국보다 낮습니다 다만 상대적 빈곤감 높아서 그렇게 되는겁니다
@Renlaw666
@Renlaw666 3 жыл бұрын
한국 서민 기준이 임대아파트에 중고 소나타인데 ㅋㅋㅋ 일본에서는 중상류층임 ㅋ 왜냐? 일본은 전세도 없이 대부분 월세살이에 경차만 굴리거든 ㅋㅋㅋ 일본은 월세여도 아파트 살면? 중산층이상임 ㅋ 근데 한국은 무려 전세임대 아파트의 위엄 ㄷㄷㄷ 그래도 임대산다고 차별당하는 한국? ㅋㅋㅋ
@hungrybadger6863
@hungrybadger6863 3 жыл бұрын
@@TurkistanSeneti 그거야 미국은 땅이 넓잖아요. 인구밀도 세계2위인 한국과 비교하는게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user-sd6sy1kw5q
@user-sd6sy1kw5q 3 жыл бұрын
@@TurkistanSeneti 그래서 땅 넓은 국가가 부럽다ㅠㅠ
@MrSleeppants
@MrSleeppants 3 жыл бұрын
@@hungrybadger6863 그 격차가 최근 극심해진거 보면.. 인구밀도로만 설명이 되는지.. 그리고 미국은 인구가 나날이 증가하나 우리는 반대이지요.. 일본하고 비슷하게 간다에 한표 합니다
@-HKKang
@-HKKang 3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버블경제 이유 컨텐츠도 좋지만, 개인적으로는 이게 제일 와닿고 잘 만드셨다는.. 1년이 지나도 계속 듣고 보는 중임니다.!!
@dia4816
@dia4816 3 жыл бұрын
경제문제를 좋아하는데 이분 영상은 빼먹지 않고 다봐야겠네요 진짜 대단하시네요 50만명 이상 구독자 충분히 가능하리라 봅니다
@jin_9707
@jin_9707 4 жыл бұрын
미쳤다. 진짜 유익한 영상이다.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u6eh3tk2d
@user-yu6eh3tk2d 4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내용에서 일본-> 한국으로 치환해도 별다를 빠가 없다는게 슬프다.
@user-xr3fb3vw9s
@user-xr3fb3vw9s 3 жыл бұрын
그나마 다른점은 고기를 맘껏 먹는정도 인가 ㅋㅋㅋ
@google-user8421
@google-user8421 4 жыл бұрын
박가네 채널 좋은데 올리버쌤 채널처럼 현지문화나 현지방문 대화 등 테마를 일본어 공부 부분을 추가해도 좋을듯요. 부인 분이 일본사람이니까 잘 가르칠듯
@yoonakim778
@yoonakim778 4 жыл бұрын
일본 부락민 관련해서 한번 영상 올려주세요!! 궁금한데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가 없어요ㅜㅜ
@user-jz5fn3jk3c
@user-jz5fn3jk3c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특유의 체면문화?때문에 잘못된 부분을 인정을을 잘 안하고 구조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어도 근본적인 부분부터 고쳐 나가지 않고, 그걸 덮어놓고 땜빵식 대책만 내놓다 보니 당장엔 유지되는것 처럼 보이나 구조적으로 썩어들어가는것 같다. 이번 코로나 문제도 그렇고 애초에 투명하게 확진자를 공개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려고 하기보단 눈가리고 아웅 식으로 하니 표면적으로 좋아보이겟지만, 사람들이 망각하고 인식하지 못할정도로 서서히 점점 망해가는거임 한국과의 역사 문제도 일본이 저렇게 하는걸 보면 대충이해가감.
@freelife9512
@freelife9512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현.기 처럼 노조 빵빵 하거나 대기업 들만 매년 연봉인상에 성과급 잔치 하죠.. 당장 제가다니는 소기업 제조업체들은 몇년째 임금동결에 인원 정리등등 한국도 양극화 심합니다
@xingkey
@xingkey 4 жыл бұрын
노동자도 계급화된 것임. 노조가 빵빵한게 아니라 각 협력업체 단계별로 착취하는 것임. 예를 들어 AS시장에서 해외자동차업체는 공인부품과 하청업체 자체의 부품유통이 함께 이루어지는데, 현대자동차는 부품공급 약관에서 그것을 막고 박스갈이만 해서 공인부품만 유통됨. 이건 하청업체가 이득볼 몫을 가로채는 것임.
@beanarea1
@beanarea1 4 жыл бұрын
hyun su park 그래서 하향평준화 합니까.
@jinlee5482
@jinlee5482 3 жыл бұрын
뭐래. 노조가 회사 자금관리하니? 결제와 관련된건 다 위에서 오더때려서 하는건데 노조가 무슨상관? 일안해본티 팍팍내시네. 현실도 모르면서 노조가 하청업체 부려먹네,이익 가로치네 ㅇㅈㄹ.
@freelife9512
@freelife9512 3 жыл бұрын
@@jinlee5482 당장 현대기아 노조 파업하는거 보고도 느끼는게 없냐? 걔네들이 중소기업처럼 몇년씩 임금동결 하면 가만히 있니? 생각좀 하고 댓글달어
@yoyoyo1208
@yoyoyo1208 3 жыл бұрын
@@jinlee5482 현실은 퇴직자도 노조 가입할수있고 심지어 퇴직자인데 급여도나옴 ㅎ 이런 꿀직업이없지~
@user-cr2zi6cq8f
@user-cr2zi6cq8f 4 жыл бұрын
여기 영상은 좋아요를 누르고 시청시작
@ongk3730
@ongk3730 4 жыл бұрын
18.2만 축하
@user-cu9bd9sc2t
@user-cu9bd9sc2t 4 жыл бұрын
오늘 컨텐츠 진짜 유익하다.
@aegis167
@aegis167 4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jeheehan7234
@jeheehan7234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노동현실과 별로 차이가 없네 우리나라는 일본 보다 세금, 교통비, 공과금, 의료비 이런거 싼거로 버티는것임..그것마저 올라갈것 같으니 뭐같네
@user-ry1ob7tc9t
@user-ry1ob7tc9t 4 жыл бұрын
원래 자본주의의 현실임. 숫자놀음의 한계. 그렇다고 공산주의가 좋다는건 아니구요. 그래도 정부의 컨트롤도 중요합니다. 모든 일에서 총책임자는 제일 중요하죠. 그냥 냅두면 고삐풀린 망아지밖에 안됨
@kijungsong844
@kijungsong844 4 жыл бұрын
한기 뭐든 밸런스가 중요하죠...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4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의료비가 저렴한 것은 건강보험 혜택도 있지만, 간호사들의 저임금과 고강도노동이 있어서 가능한 것입니다.
@mljeong4880
@mljeong4880 3 жыл бұрын
현 베이비 붐 세대 은퇴후 2050년 즈음 연금만 -100조, 그외 공무원 군인 사학연금까지 포함하면 -178조 근데 연금 없애야한다던가 개혁한다던가 하는 말 없음
@parksung4800
@parksung4800 4 жыл бұрын
와 영상보면서 실시간 채팅보니 완전히 진흙탕 싸움이네
@TJTechwwwtj-teccom
@TJTechwwwtj-teccom 4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아요
@Coca-Cola-911
@Coca-Cola-911 4 жыл бұрын
구독 합니다.
@user-cx7nt3rl6f
@user-cx7nt3rl6f 4 жыл бұрын
저도 깜놀함 2009년 처음 일본여행했었는데 그때 자판기 콜라 120엔 격년으로 일본여행갔었는데 2018년인가 그때도 120엔 깜놀 10년동안 가격그대로 ㅎ
@user-pg3te3ux1e
@user-pg3te3ux1e 4 жыл бұрын
당신영상을 보면 일본의 및낯을 다 볼수 잇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두분 오랫도록 이뿐사랑 하세요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4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욕을 하세요.
@earlgrey2533
@earlgrey2533 4 жыл бұрын
영상과는 거의 관련 없지만.. 일본은 세금 ,원천징수가 엄청난 나라입니다. 사회보험 4개, 주민세(1~2만엔), 소득세, 국민연금(강제), 소비세까지 포함하면 40%이상입니다. 매달 월급에서 이 많은 세금이 원청징수로 빠져나가죠. 일본에 비해 한국이 진짜 얼마나 살기 좋은 나라인지는 일본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면 다 압니다.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4 жыл бұрын
근데 연금은 한국도 무시못하죠... 저출산이 일본보다 심한데.. 근데 주민세는 진짜 양아치마냥 걷어버리니..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4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일본 연금은 무조건 내야 합니다.. 한국은 안 내는 방법이 있잖아요. 세금 일본이 훨씬 쎕니다.
@seyirin
@seyirin 4 жыл бұрын
40%는 아니구요... 22%입니다..
@cji1121
@cji1121 4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주민세 그리 안비싸던데요..
@user-yy9xs1me6z
@user-yy9xs1me6z 4 жыл бұрын
주민세는 지역 마다 다 다릅니다 저는 이번에 주민세 8만엔 내고 와이프는 10만엔 냈어요 한세대인데 주민세도 각자 내야함 게다가 수입 대비 해서 더 많이 걷어요 아주 욕나옵니다 슈발 ! 대신 부양 가족 올리면 됩니다. 이번에 부양 가족 한해만 뺏는데 차이 어마 합니다
@dsshin5321
@dsshin5321 4 жыл бұрын
일본 분석을 참 쉽게 잘 분석하셨네요^^
@lill1liliil1ill1lilii3
@lill1liliil1ill1lilii3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랑 비슷하긴 하네요. 우리도 예전엔 아빠 혼자 벌어도 가족 부양하고 집도 사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온가족이 나가서 돈 벌어도 힘들어 허덕이고 집도 꿈도 못꾸죠 ㅋㅋ
@bumsoo1000
@bumsoo1000 4 жыл бұрын
전세계 안그런나라 있으면 후진국 이런곳 말고
@user-jc5bw9ve6t
@user-jc5bw9ve6t 4 жыл бұрын
각자 하기 나름일듯 싶은데요. 27 즈음에 집나와서 갈곳 없어서 여친집에 빌붙어서 땡전 한푼 없이 와이프 돈 2천으로 원룸으로 시작했습니다. 혼자 벌기도 하고 안되겠어서 맞벌이 하기도 하고 결혼 9년차 3억5천짜리 집 대출 최대한 받고 산거 지금 6억 넘었네요. 차량은 포터2 k7하브 있구요. 2월달에 x5계약 하고 왔습니다.부모님 도움 축의금 1천만원 받은거 말곤 도움 받은거 없이 살았구요. 예전에 태어났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살짝 있지만 지금은 또 지금 나름대로 맛나고 간편한 음식들 코로나전엔 해외두 가기 쉽고 나름 살만 했잖아요.국내 여행 시간 없어서 많이는 못가봤는데 좋더라구요.시간에 쫒겨 살다 시간나면 남들 시선 의식해서 해외 따라간다고 아둥바둥 ... 잡설이 길었네요. 저 혼자 400.500 이상 버는데도 부족하다 싶어서 쿠팡 플렉스라 하는 알바도 몇달 해봤구요.돈이라는건 아무리 벌어도 벌어도 부족한듯 싶네요. 철 없을땐 200.300 벌어도 어찌 생활이 되었었는지... 정말 열심히 살고 돈이 없어서 허덕이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시길... 중소 사무직 책상에만 앉아 있음 200이상 주는곳 거의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Ok-fs1ws
@Ok-fs1ws 4 жыл бұрын
혀니님은 잘 고르신듯 요즘 어디가 400 500 더주나요?? 미래 좋은 곳을 보신 듯 그리고 집값은 님 결혼 시절에는 값이 안나가는 시절이였어요 차츰 올라간거지 님은 그냥 좋은 파도를 타신겁니다 그걸 위해 노력 하신 것도 있겠지만 하지만 모두가 그럴거라는 생각하지마세요 회사 경리만 치더라도 월급 많이 안오르고 공기업이라고 쳐도 몇년간 일해도 돈 적게주는 곳은 님 처럼 돈 많이 못벌어요. 물론 님이 열심히 해서 그 구조를 벗어나려고 하셨겠지만 모두가 그러지 못 한다는거
@user-sx3ph6jc4s
@user-sx3ph6jc4s 4 жыл бұрын
@@user-jc5bw9ve6t 혀니님은 능력자시라 가능!! 대부분은 꿈도 못꿔용.. ㅜㅜ 체력바닥,사무직도 야근빈번.. 투잡뛸 시간도 체력도 없공..월급 고대로.. 평범한 서민층은 울고갑니다~ 전생에 나라를 구하셨나봐용~
@user-ys5ss9nr1c
@user-ys5ss9nr1c 4 жыл бұрын
@@user-jc5bw9ve6t 이상하네요 저희도 맞벌이고 차없습니다 뚜벅이로 출퇴근하고 둘다 세전 250정도 됩니다 . 당연히 부모님께 머 받을 형편은 안되고 부모님이 저희들에게 손 안벌리면 다행인 상황입니다. 학자금 대출.월세.폰비.식비 주탹청약.보험비 등등 내고나면 남는거 없던데..
@jrkim2431
@jrkim2431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채팅하는사람들 한국사람들아닌가? 한국을 너무 모르네 일본 하청이 우리나라의 미래다? 무슨소리임 우리나라 하청도 장난아님 ㅋㅋㅋㅋㅋㅋㅋㅋ
@jaejinlee5421
@jaejinlee5421 4 жыл бұрын
하청의 하청의 하청 ㅋㅋㅋㅋ 애니메이션 회사는 이미 실현됐죠 일본애니화사의 하청을 한국애니회사에서 받아서 다시 대만이나 중국애니메이션 회사에 다시 하청을 주고 ㅋㅋㅋ...
@sehunkwon1618
@sehunkwon1618 4 жыл бұрын
현대차 노조 평균 연봉 8천에서 1억 정도 .. .그게 가능한 이유는? 하청과 하청에 하청을 갈넣어서 ... 사측만 비정규직과 하청을 쥐어짜는건 아니다 ...ㅋㅋㅋ 정규직 노조도 비정규직의 적이지 ...
@user-bu3gx1ii1e
@user-bu3gx1ii1e 4 жыл бұрын
@@sehunkwon1618 민노총도 겉으론..비정규직 정규화 외치지만..지들 밥그릇 없어지면 뷁함
@KimCholmin
@KimCholmin 4 жыл бұрын
요새는 하청 주지도 못함. 어차피 못할 거 아니까.. 그냥 원청이 직접 하거나 아니면 을이나 정에서 마무리.. 하청에 하청 막 내려가던 것도 옛날 이야기.. 단가 내리고 자시고가 문제가 아니라 하청 너무 내리면 아예 프로젝트 진행이 안됨..
@kk001023
@kk001023 4 жыл бұрын
뭘 못해 ㅋㅋㅋ삼성도 하청주고 그걸 또 하청주는데 ㅋㅋㅋㅋ
@user-cu3du7ru6t
@user-cu3du7ru6t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에 대해서 어렵지만 다뤄주셔야..? 그리고 호사카유지교수님의 평판은..?
@yeonchung3418
@yeonchung3418 4 жыл бұрын
1.고령화 사회의 사회 복지 비용 증가와 생산 연령대 인구 감소 2. 완전 고용이란 허상/허구적 현실 (하향평준화) 3. IT 산업에서 신흥 도전국에 밀린 일본 제조업의 끝없는 추락 4. 일본 국내 서비스 산업의 IT technology 기술 연계 서비스에 대한 너무도 신중하고 보수적인 접근 5. 일본국내 시장규모에 너무 의존적인 기업 마인드 (Pie 가 커야 분배도 커짐) 이들 5가지 요인이 일본사람들의 평균임금이 오르지 않는 이유에 대한 제 생각입니다.
@user-gu7xb7gx8m
@user-gu7xb7gx8m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미 2000년대 중반에 찾아온 이야기입니다...
@wildturkey4313
@wildturkey4313 3 жыл бұрын
일본/한국 비교를 넘어서 잘 생각해보면 이미 산업화가 먼저 진행되었던 서구 국가들에게도 다 해당되는 말일수 있습니다. 예전에 가장. 주로 남자 1인이 벌이를 하던 구조에서 임금을 더 올려주는게 부담이 되니까 "여성의 사회진출" "남녀평등"으로 포장해서 숨어있던 노동력을 시장에 추가로 투입해서 노동자 1인의 수익 증가율은 감소되는반면, 가정전체의 수입은 유지되는 구조.
@mhyoon1367
@mhyoon1367 3 жыл бұрын
와..오상 너무 똑똑해여~~우리나라도 비정규직 문제 심각해요 ㅠㅠ
@koko-fm3yc
@koko-fm3yc 4 жыл бұрын
오상과 츄미코님을 보러 언젠가 일본을 가야 겠어!!! 5년후쯤..... ㅋㅋㅋㅋㅋ
@YS-mn9xw
@YS-mn9xw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국가인데 주력 제조업이 한국과 중국에 패해서 성장 동력을 상실한 것도 한가지 원인. 잘나가는 기업들이 있어야 그 기업들이 전체적으로 임금을 끌어올리는데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석유화학, 철강 등 주력기업들이 경쟁력을 상실한것도 한가지 원인이 될 수 있음.
@CanadlanPark
@CanadlanPark 4 жыл бұрын
잘못알고계심. 제조는 부수입이고 부동산업과 원소제조업을 주로삼고있음. 내수와
@user-lt6xq1qz7e
@user-lt6xq1qz7e 4 жыл бұрын
인구 1억의 대단함의 표준이 진짜 일본이죠 내수로도 괜찮게 굴러감
@sby0011
@sby0011 4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에는 소수의 인원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기술 발전과 그에 따른 생산력의 독점이 인력에 대한 수요를 낮추고 있는것이다. AI가 결합되어 폭발적으로 생산력이 폭발하면 앞으로 이 문제가 더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불행히도 고임금 사무직도 많이 대체 될 것이다.
@user-nl8gd2lz1b
@user-nl8gd2lz1b 4 жыл бұрын
여기는 컨텐츠가 항상 고급이야. 광고 많이 붙어도 그만한 가치가 있다..
@takimagic
@takimagic 4 жыл бұрын
3:33 덴버껌 ㅋㅋㅋㅋㅋㅋㅋ 구독 누르고 갑니다 ㅋㅋㅋ
@user-gw6ud1yb6s
@user-gw6ud1yb6s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직장 생활하다가 얼마전에 정리하고 귀국했지만~세금이 어마어마해서 세금 떼고 나면 남는것도 없어요~그리고 집세도 비싸니...한국은 일본이랑 비교해서 정말 살기 좋은편임
@uyghurxinjiang7235
@uyghurxinjiang7235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한국이 훨씬 편하죠 내나라언어쓰고 남의나라언어쓰면서 안살아도 되는것도 크고 포인트는 일본은 아무리 대기업 다녀도 세금 때면 남는게 별로 없더군요
@user-gw6ud1yb6s
@user-gw6ud1yb6s 4 жыл бұрын
@ᄋᄋ 일본인의 국민성이 우월하다는게 어딜보시고 우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dongbinkim9279
@dongbinkim9279 4 жыл бұрын
@ᄋᄋ 2010년 이후로는 그런 것 같지도 읺아요.
@hondamasatofan4940
@hondamasatofan4940 4 жыл бұрын
진지청년 운전도 그렇고 길거리에 쓰레기버리고, 침뱉고 이런 자잘한 부분들이 아주 약간이라도 나은거 같습니다
@tohart4u
@tohart4u 4 жыл бұрын
@ᄋᄋ 이분 일뽕에 잔뜩 취하신 틀딱같으신데 근데 이분 말고도 박가네방송 보는분들중엔 일본을 무슨 세계최고의 시민의식이 있고 최고의 선진국처럼 빨아대는 일빠분들이 참많네요 우선 임금같은경우도 도쿄나 오사카같은 대도시에 서나 최저임금보다 조금 더 주거나 한국 시급보다 적게 주는곳이 수두룩합니다. 그건 한국도 대도시에서와 지방에서 주는 급여가 차이가 있는것과 비슷한거고요. 일본 국내에서 하는 방송들만 봐도 일반적인 생각 을 할수있는 사람이면 이상하다고 생각할수밖에 없는 발언들이나 행동들이 수도없습니다. 그런데도 일본 최고~스고이 빨아대는 사람들보면 그냥 일본가서 살고 한국은 처다보지도 말았으면 좋겠네요.
@kalsezpiz
@kalsezpiz 4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일본은 너무 정점을 빨리 찍어서 문제였던 거고 한국도 몇년안에 일본을 따라잡는다고 하니, 정점을 찍고 일본 처럼 장기 불황이 올수도.....
@user-di6od6cr3h
@user-di6od6cr3h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별반 차이는 없는거 같아요 임금 좀 올랐지만 물가는 그보다 엄청 올랐고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서도 결코 싼 물가는 아니죠 비정규직이나 계약직들의 처우는 나아지지 않고 있죠.. 비정규직이랑 계약직들을 다 정규직으로 전환할순 없겠지만 퇴직금이나 보험이나 이런것들을 조금이라도 개선해주면 좋겠어요..
@smy2436
@smy2436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선진국 아님?
@itaciturn
@itaciturn 4 жыл бұрын
5인 미만까지퇴직금 의무화된 게 아직 10년도 안 되었어요. 근데, 퇴직금 자체가 없는 나라도 있다는데요? 그건 이해가 안 가던데...
@itaciturn
@itaciturn 4 жыл бұрын
@@smy2436 2000년대 중반부터 경제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고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user-ps3jy2gm9q
@user-ps3jy2gm9q 4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 했던 점이였는데 강의 감사합니다 ☆☆☆ 한국의 미래는 일본을 보면 많이 보여지네요!!!
@finemass2893
@finemass2893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말이 언제쯤 끝날지....
@kwangseokryu5435
@kwangseokryu5435 4 жыл бұрын
@Paul Macline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중 하나가 국민에 자유를 준것과 통제를 한것중 통제를 한 경우 퇴보를 하거나 역사에서 사라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통제는 가정사에서도 정신적으로 문제가 드러난다는것! 자유로운 생각의 가치는 폄훠해도 할수도 없는것 아닐까요? 한국경제가 죽어버리는 경우를 따져봤을때 제한과 통제, 거짓정보만 없다면 죽지않을거란 확신에 댓글을 달았습니다. 진심은 어디서든 통하는거니까요.
@user-kg8bu3zb5o
@user-kg8bu3zb5o 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일본이 가는길과 갈라서려고 많이 노력을 했죠. 그런데 본진을 일본에 두고 있는 토왜당이 번번히 그걸 언플로 막고 있습니다. 대표적인게 가게부채문제인데... 이건 누무현집권기때 돈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이로인해 각종 억제책을 썻지만 듣질않아 근본적인 문제로 접근을 하고 법률로 규약을 합니다. 그런데 보수라는 명박이랑 503때 이런 법률을 부동산 경기 활성화란 미명하게 약화시키고 없애버리면서 가계부채가 급증을 하게 됩니다. 노무현 정권때 만들었던 법규를 그냥 뒀으면 상승은 할지 몰라도 이렇게 급격하게 상승은 안했을겁니다. 오직 부동산 경기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언론사를 동원해서 부동산에 투기하면 돈번다고 광고를 해댔죠. 그결과가 지금은 발목을 잡고 있는겁니다.
@user-sd6sy1kw5q
@user-sd6sy1kw5q 3 жыл бұрын
@@user-kg8bu3zb5o 누무현? ㅋㅋ ㅁㅊㅋㅋㅋ
@user-gk3xp7bi4s
@user-gk3xp7bi4s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미 진행되고 있는것 같네요. IMF 이후 기업에서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사내보유금을 배로 늘리기 시작하면서 나눠지는 급여를 줄였고 자연스레 먹고살기가 조금씩 빡빡해지니 맞벌이가 당연시 되었죠. 아버지가 1억벌어서 해결되던게 아버지가 7천+어머니가 1천+할아버지가 2천으로 나눠져서 일본이 굴러간다는 오상 말이 틀린것 같지 않습니다. 사회적으로 봤을때 저렴한 노동력이 증가된건 좋지요. 하지만 개개인의 가정으로 봤을때는 매우 불행한일 같습니다.
@user-ih3zh9ft2g
@user-ih3zh9ft2g 3 жыл бұрын
저 숙련된 제조업 직원들 자르는 바람에 일제는 고퀄이라는 통념이 박살나고 결국엔 가격마저도 애매해서 메리트가 없어졌죠
@user-pf8sv5sc1e
@user-pf8sv5sc1e 4 жыл бұрын
오상 코로나도 다뤄주세요~~
@SimonYoo
@SimonYoo 4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2006년 대졸에 엔지니어 취업했을때 초봉 4300 받았었는데... 일본은 현재 얼마나 받나요?
@djwnsugkwodjf
@djwnsugkwodjf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거 해결하면 지금같이 선진국 끝자락 취급이 아니라 진정한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거임. 이 문제의 해결이 곧 노동생산성의 개선이니까. 근데 이거 해결하려면 사람들의 의식이 바뀌어야 하는데 그걸 이룬게 선진국이니 결국 시간도 필요하고 사회적인 노력 합의 투쟁이 있어야 가능하겠지
@user-ll9jb6ox5v
@user-ll9jb6ox5v 4 жыл бұрын
댓가없는 결과는 없음 선진국으로 가면갈수록 오히려 사회는 정체되고 노동문제는 심각해지고 기업들은 경영이 힘들어짐 결론은 사회문제와 노동문제는 개선이 되는대 삶은 점점더 팍팍해지고 사회는 활기를 잃어버림 사회가 어느정도 발전하면 선진국으로 가는거보다 현상유지가 더 낫다고 봄
@CrabTastingMan
@CrabTastingMan 4 жыл бұрын
프랑스처럼 연차 7주 주고 주 35시간 일하게 나누든가 벨기에처럼 그대로 가서 청년 실업율 40% 찍든가
@dmkim1796
@dmkim1796 4 жыл бұрын
@@CrabTastingMan 우리나라는 생산성이 많이떨어짐
@user-rk8yv2pq2e
@user-rk8yv2pq2e 4 жыл бұрын
@@dmkim1796 높습니다..선진국 살아보면 한국이 대단하다라는 걸 알게됩니다
@user-sf4ez4ob4e
@user-sf4ez4ob4e 4 жыл бұрын
어느나라던 이건 해결못함 옛날로마도 이러다 망했고 식민지 지배하던 영국도 결국 쪼그라들었음. 일본은 망하는게 눈에 보일정도고 미국도 언젠간 망할거임.
@maxwiner4394
@maxwiner4394 4 жыл бұрын
그냥 일본만 아니면 IMF이후 우리나라네요
@pingping-e2286
@pingping-e2286 3 жыл бұрын
장기 IMF...
@dong-soo
@dong-soo 4 жыл бұрын
한국 이야기 맞아욬
@Favorites1317
@Favorites1317 4 жыл бұрын
사람의 마음이 결국 세상의 모든 형태와 구조를 형성하게 하는데요, 중흥기에 국가 발전을 위해서 희생한 사람들이 진정한 희생이기 위해서는 나라의 구조를 정상화시키기 위해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내려놓겠다...할 때 사회가 번영하죠. 그때 우리가 희생했으니까, 이젠 누리겠다, 사회의 구조는 새 세대들에게 희망이 없지만... 그래도 누리겠다?! 이것은 희생이 아니죠. 뽕 뽑는 거죠. 뽕뽑겠다고 사회를 망가뜨리는 거죠. 번영기에 자기들 열심히 일한 것이 과연 국가를 위해서 그랬겠는가, 자기 잘 되겠다고 그랬겠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아주 이기적인 것일 뿐일지도... 전혀 희생이 아니었던 것 같은. 옛날에는 며느리들이 시집살이를 심하게 했는데, 자기는 시집살이 힘들게 한 세대이지만, 자녀대에게는 시집살이 안 시키겠다... 할 때, 사회가변화하죠. 진정한 희생입니다. 나도 당했으니까, 너도 당해봐라...하듯이 권리나 누리려는 것, 이것으로 무슨 나라의 발전과 미래가 있겠습니까. 바로 그게 문제의 근원이죠. 우리가 무시하는 고대의 스파르타라는 나라는 그들의 중흥기에 대단한 결단을 했었죠. 귀족들이 이권을 포기하고, 평민과 똑같이 살기로 합의했던. 엄청나게 힘든 합의 과정이었고, 중간에 파토도 났다가, 다시 시도하고 하면서 아주 어렵게 그렇게 합의를 이뤄냈습니다. 그 결과, 스파르타 자체가 특권층이 전혀 없는, 그리고 모든 이들이 금욕적인, 게다가 수련적인 삶을 살았죠. 그것을 주장한 사람 자체가 철학적, 도덕적 면에서 수양이라는 방향성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서, 그들의 국가가 강력해질 수 있었고, 미래가 있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모두가 똑같을 필요는 없을 것이고, 스파르타 사회는 아무래도 너무 무식한 획일주의였죠. 그런 평등 자체나, 제도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 정신 자세가 중요하죠. 사람들은 아직도 문제의 해결을 제도의 변경에서 찾으려고 합니다. 근본 원인은 사람 마음에 있음에도... ㅎㅎㅎ; 사회를 위해서 귀족들이 자신들의 이익과 특권을 포기할 수 있었던 것, 그것은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죠. 인류의 역사는 그것 때문에, 특권자 누리겠다고, 편중된 이익 누리겠다고, 역사 내내 투쟁했던 역사였는데요.ㅎㅎㅎ 아무튼, 번영하는 국가는 그만큼 구세대 귀족들의, 후세대를 위한 자발적인 희생이 존재하는 나라였다, 그래서, 미래가 있을 수 있었다, 그걸 안 하는 국가는, 그냥 귀족 사회 구조로 들어가면서, 양극화 현상이 점점 더 심해지고, 사회 전체가 다운되는 현상으로 간다... ...는 걸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국가들에서 생생하게, 사실 그대로 볼 수 있네요. ㅎㅎㅎ
@bsl9864
@bsl9864 4 жыл бұрын
@@user-zu8xo8qt3g 요즘은 국가(공동체)를 위해야 한다 그러면 사회주의 빨갱이 취급받더라구요.
@user-yc8ck9im9l
@user-yc8ck9im9l 4 жыл бұрын
@@bsl9864 공동체 타령하면 빨갱이
@vmflap
@vmflap 4 жыл бұрын
파견의 품격이란 드라마가 나왔던 시기와 지금시기가 같을듯;;;
@nonburn
@nonburn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회사를 5년 다녔습니다!!! 처음 받은 월급과 5년차에 마지막으로 받은 월급이 같습니다 'ㅁ'/ 급여가 늘지 않습니다!!!
@user-rk8yv2pq2e
@user-rk8yv2pq2e 4 жыл бұрын
전 프랑스인데 월급이 헌국의 절반입니다..50프로가 세금이기에
@zzidoong7101
@zzidoong7101 4 жыл бұрын
@@user-rk8yv2pq2e 한국도 소득세 북유럽급으로 높은나라입니다 40+a까지 내고 그 구간도 점점내려오는..
@Tena.s
@Tena.s 4 жыл бұрын
그건 국가보단 회사문제인것같네요
@user-lt6xq1qz7e
@user-lt6xq1qz7e 4 жыл бұрын
@@zzidoong7101 연봉 1억넘게 받아야 그정도 뜯어갈텐데요.
@kdsbsb
@kdsbsb 4 жыл бұрын
월세도 안 오르던가요? 물가는 분명 오를텐데...그럼 실질적으로 월급이 줄어든거네요...ㅠㅠ
@user-by3kl3ms8s
@user-by3kl3ms8s 3 жыл бұрын
내가 93년부터 사회 생활 했는데 지금 그때 보다 10배 정도인데.... 지금 우리 나라도 조금씩 제자리 걸음 으로 가는 듯 해요
@moneysilk4043
@moneysilk4043 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친구이야기가 생각났습니다. 아침 일찍 출근해서 독수리 키보드 치면서 사무실 제일 먼저 온다고 생색 내면서 자기때는 어쩠내 하면서, 막상피씨오프 때문에 피씨 기록이 다 남는데, 헛소리하고, 전화기는 수신거부해서 2,3년차 어린후배들이 대신 민원전화 받게 하고, 연봉 은 많게는 3-4배 가져가면서 업무분장 총괄로 숫자만 올려놓고, 사무실에서 개인용무 보면서, 출장은 여기저기 내놓고 딴짓거리 하고 다니고, 문서접수 안할려고 문서돌리기하고, 나이 어린부장 부탁하면 나이 들먹이면서, 사무실에서 큰소리나 치고, 아직도 이런짓 하는 공공기관 업무자들 많다고 하네요.
@hanm71041048
@hanm71041048 4 жыл бұрын
과연 한국의 10년뒤 모습이 이렇게 될지... 아니면 다른 방향으로 갈수 있을지... 걱정되네요
@user-un4gf3ml3i
@user-un4gf3ml3i 3 жыл бұрын
간간히 20년간 들었던 일본의 사회, 문화, 경제에 대한 그 어떤 석박사, 전문가의 말보다 귀에 쏙쏙 들어오고 전체 큰 그림이 그려지는 최고의 컨텐츠 였습니다.
@user-bz6zv3es3u
@user-bz6zv3es3u 4 жыл бұрын
너 해설 정말로 짱 짱이야 너무 너무
@johnnieinadelaide
@johnnieinadelaide 4 жыл бұрын
오~똑똑하시네요👍👏
일본사람들이 이직하지 않는 이유
20:37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294 М.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의 엇갈린 운명
30:10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16 М.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일본의 고속도로가 세계에서 제일 비싼 이유
24:29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972 М.
일본사람들의 국민간식 도너츠 이야기
19:27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295 М.
일본 기업 평균연봉 1위인 KEYENCE의 비밀
46:0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14 М.
역대급 불경기라는 일본 현지의 상황
19:38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일본에서 말하는 삼성과 일본기업의 차이
23:23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34 М.
부자나라 일본 국민이 가난해졌다.
34:1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모르면 무시당하는 일본의 비즈니스 매너
26:08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282 М.